KR20150026390A -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390A
KR20150026390A KR20130105150A KR20130105150A KR20150026390A KR 20150026390 A KR20150026390 A KR 20150026390A KR 20130105150 A KR20130105150 A KR 20130105150A KR 20130105150 A KR20130105150 A KR 20130105150A KR 20150026390 A KR20150026390 A KR 20150026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unit
terminal device
portable termi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복
백규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0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6390A/ko
Publication of KR2015002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6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capacity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사용자의 건강상태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제공하여 몸의 이상이 발견될 시에 적기에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전원 생체정보 수집장치는 센서부, 전원유도부, 출력 조정부, 변환부, 전송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내부전원 없이도 생체정보 전송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생체신호 감지장치의 소형화 및 휴대성의 증가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및 그 방법 {BATTERYLESS BIO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ITS METHOD}
생체정보 전송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NFC 통신망 등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생체정보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삶의 질의 향상과 이를 위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신체의 변화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꾸준히 관리해 주어야 할 필요성이 높다.
그리하여 최근 사람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렇게 개발된 기술들은 주로 혈당계, 혈압계 또는 심전도 측정 장치 등에서 생체센서를 통하여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 및 검토하기 위해 사용자 및 의사와 병원과 같은 생체 정보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생체신호 측정장치들은 주로 내부전원을 탑재하고 있어 그 크기를 소형화하기가 쉽지 않았고 그로 인해 일상생활시에 몸에 부착하여 상시적인 측정을 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존재하였다.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생체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생체신호 감지장치의 소형화, 휴대편의성의 증대 등이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요구에 의한 소형화 및 휴대성 증가에 가장 큰 장애가 되는 것이 바로 전원의 문제였다. 생체신호 감지장치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원이 필요한바, 이를 위하여 배터리 같은 내부 전원이 포함되게 되면 생체신호 감지장치의 부피가 커져 몸에 부착하거나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상시적인 모니터링에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사용자의 건강상태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제공하여 몸의 이상이 발견될 시에 적기에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건강을 유지함에 있다.
그러므로 상시적인 모니터링이라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소형화 및 휴대성의 증가라는 문제의 해결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NFC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장치와의 전자기장 유도로 인해 전원을 유도하여 배터리 없이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근거리 통신의 적합한 데이터형식으로 전송하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다.
위의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는,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상기 수집된 생체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변환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휴대용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탑재한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의 접근에 따라 형성된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직류전류를 생성하는 전원 유도부; 상기 생성된 직류전류의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센서부, 데이터 변환부, 전송부에 공급하는 전원 조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유도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장치와 근접할 때 형성되는 전자기 유도에 의해 발생 된 전자파를 안테나 코일로 수집하여 직류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전원 조정부는 상기 전원 유도부에서 생성한 직류전류를 상기 센서부, 변환부, 전송부가 동작할 수 있는 동작출력에 맞게 감압 또는 승압하여 상기 센서부, 변환부, 전송부로 전원을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전원 조정부에서 동작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센서부에서 상시로 수집된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및 상기 제1 변환부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생체정보를 휴대용 단말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전원 조정부에서 동작 전원을 입력받아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생체정보를 전달받는 휴대용 단말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탑재하여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생체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식으로 가공하는 데이터 가공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가공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생체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장치의 프로세서가 가공하여 상시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을 포함하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식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방법은 휴대용 단말장치에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가 접근함에 따라 전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하는 단계; 전자기 유도로 인해 생성된 전자파를 수집하여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전자기 유도로 생성된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 조정된 전원을 공급받아 센서를 구동시켜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조정된 전원을 공급받아 수집된 생체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조정된 전원을 공급받아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형식으로 변환된 신체정보를 휴대용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는 생성된 상기 직류전류를 변압기를 이용하여 감압 또는 승압하여 동작출력에 맞게 조정해서 전원을 공급하며,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와 상기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사이에 형성된 전자기 유도를 통해 생긴 전자파를 안테나 코일로 수집하고, 직류전류의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는 전자기 유도로 생성된 상기 직류전류를 변압기를 이용하여 감압 또는 승압하여 동작출력에 맞게 조정해서 전달한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조정된 전원을 공급받아 생체 센서를 통해 상시로 수집된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조정된 전원을 공급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생체정보를 휴대용 단말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센서를 구동시켜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조정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피부에 부착하거나 목, 손목, 발목에 걸 수 있게 제작되어 휴대할 수 있게 고안된 생체센서가 상시로 생체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가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형식으로 변환된 신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형식의 생체정보를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NFC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장치와의 사이에 유도된 전자기장에서 나오는 전자파를 안테나 코일을 통해 수집해서 전원을 유도하여 내부 전원이 없어도 생체정보를 감지하고 송신하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를 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전원 유도 기술을 사용하면 내부전원 없이도 생체정보 전송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생체신호 감지장치의 소형화 및 휴대성의 증대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하여 사용자의 신체적 변화를 지속적으로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게 측정할 수 있어 상시적인 건강상태의 모니터링과 신체의 변화에 따른 빠른 조치가 가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의 전원유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와 휴대용 단말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는 휴대용 단말장치(301)와 NFC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원을 유도하고 생체 정보를 전송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망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사용할 수 있다. NFC는 13.56MHz 대역의 통신 주파수에서 106Kbps에서 424Kbps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는 통신범위 약 10cm 이내의 근접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의미하며, NFC는 네트워크 설정에 필요한 시간이 약0.1초 수준으로, 기존의 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과 차별화된 즉시 응답성이 필요한 형태의 응용에 매우 적합하다.
NFC는 두 단말의 안테나를 통하여 유도기 전력을 기반으로 통신하는 기술로 각 단말장치의 전자기장의 생성 여부에 따라 수동 통신(passive communication) 모드와 능동 통신(active communication) 모드로 동작한다. 능동 통신 모드는 단말장치가 캐리어 주파수에 전자기장을 생성하여 다른 단말장치에 유도기전력을 공급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로 일반적으로 전원이 필요한 모드이다. 수동 통신 모드는 단말장치가 스스로 전자기장을 생성하지 않고, 능동 통신 모드의 단말장치가 생성한 전자기장으로부터 유도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를 말한다.
이때, 능동 통신모드 단말장치는 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연속적인 전자파(continuous electromagnetic wave)를 변조하여 수동 통신모드 단말장치에게 질문 신호(interrogating signal)를 송출하고, 수동 통신모드 단말장치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자신의 정보를 리더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리더로부터 송출된 전자파를 역산란변조(back-scattering modulation)시켜 능동 통신모드 단말장치에게 되돌려 보낸다. 여기서 역산란 변조란, 리더로부터 송출된 전자파를 태그가 산란시켜 리더에게 되돌려 보낼 때, 그 산란 되는 전자파의 크기를 변화시켜서 태그의 정보를 보내는 방법을 의미한다.
한편, 수동 통신모드 단말장치는 별도의 전지(battery)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능동 통신모드 단말장치가 송출한 전자파를 안테나로 받아서 태그 칩 내부의 정류 및 체배 회로를 이용하여 수동 통신모드 단말장치의 구동 전압을 만든다. 수동 통신모드 단말장치를 정상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수동 통신모드 단말장치가 놓인 위치에서 리더로부터 송출된 전자파의 세기가 특정 문턱값(threshold) 이상이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이러한 NFC를 사용하여 생체정보를 전송하는 실시 예에 따르면, 능동 통신모드 단말장치인 휴대용 단말장치(301)와 수동 통신모드 단말장치인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가 서로 10cm이내로 근접하게 되면 자기장이 유도되어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 내에서 유도된 자기장에서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생성해 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기장의 유도 범위 10cm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NFC 기술을 사용할 때에 해당되는 것으로 다른 근거리 무선 기술을 활용할 때에는 10cm에 구속되지 않고 전자기 유도로 인하여 전자파를 수집하여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면 더 넓은 범위도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전력으로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는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RF신호 및 해당 근거리 통신에 맞는 신호를 전송하여 휴대용 단말장치(301)에 생체정보를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는 전원유도부(201), 출력조정부(202), 센서부(203), 변환부(204), 전송부(20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유도부(201)는 도 2에서와 같이, 휴대용 단말장치(301)와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가 10cm 이내로 근접하게 되면 양 장치 안에 포함된 안테나 코일에 의하여 전자기장이 유도되고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 내의 전원유도부(201)가 유도된 전자기장으로부터 안테나 코일이 전자파를 수집하여 이를 직류전류로 생성하여 생체신호 감지장치(101)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얻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조정부(202)는 도 2에서와 같이, 전원유도부(201)에서 유도된 직류전류를 전달받아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전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생체신호 감지장치(101)의 각 부(센서부(203), 변환부(204), 전송부(207))의 구동을 위하여 동작출력에 맞게 조정하여 각 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조정이란, 예를 들어 센서부(203), 변환부(204), 전송부(207)가 각기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이 5v고 유도된 직류전류의 전압이 10v라 한다면 10v 그대로 각 부에 전송한다면 과전압으로 장치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5v로 감압을 하거나, 또는 반대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이 5v고 유도된 직류전류의 전압이 10v라 한다면 5v 그대로 각 부에 전송한다면 전압이 부족하여 동작하지 않게 될 수 있으므로 각 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10v로 승압하는 것을 의미한다.
센서부(203)는 도 2에서와 같이, 출력 조정부(202)에서 조정된 전력을 전달받아 전원으로 사용하여 센서부(203)의 생체센서를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거나 감지할 수 있을 만한 위치에서 휴대하게 하며 동작시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한 생체정보를 변환부(204)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생체센서란 주로 소형화되어 몸에 부착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하나, 옷 위에 장착할 수 있거나 손목이나, 발목, 목에 거는 등의 신체에 꼭 부착하지 않더라도 생체 정보를 수집하여 변환부(204)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는 생체센서로 볼 수 있다.
변환부(204)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하는 제1 변환부(205)와 근거리 통신으로 전송하기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부(206)를 포함한다.
제1 변환부(205)는 센서부(203)를 통해 수집된 생체정보를 전달받아서 RF 신호 등 근거리 통신으로 전송하기 용이하도록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변환부(206)는 이렇게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생체정보를 RF 신호 등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당하는 근거리 통신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사용되는 NFC 통신의 표준은 크게 ISO/IEC 18092, ISO/IEC 14443, ISO/IEC 15693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 ISO/IEC 14443 표준은 능동 통신모드 단말장치와 수동 통신모드 단말장치에 주로 적용되는 대표적인 표준 기술로 13.56MHz 대역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에 대한 표준 규격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을 이러한 NFC를 사용하여 생체정보를 전송하는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변환부(205)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생체정보를 제2 변환부(206)에서 ISO/IEC 14443의 표준규격에 맞는 자체명령어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전송부(207)는 제2변환부(206)로부터 전달받은 생체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서 휴대용 단말장치(301)로 전송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으로 NFC를 사용하는 실시 예에 따르면 ISO/IEC 14443의 표준규격에 맞는 자체 명령어 형식 등 RF 신호로 전송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된 생체정보를 RF 신호로 휴대용 단말장치(301)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휴대용 단말장치(301)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장치(301)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401), 수신된 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시각적, 청각적 데이터 등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가공부(4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장치(301)의 통신부(401)는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장치(301)와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가 근접하게 위치하면 무전지 생체신호 감지장치(101)와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에 포함되어 있는 안테나 코일이 전자기장을 유도하여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의 전원유도부(201)가 이러한 전자기장 유도로부터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원을 동작전력으로 사용한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가 수집된 생체 데이터를 전송부(207)에서 RF 신호등 해당 근거리통신 신호로 전송하면 이를 휴대용 단말장치(301)의 통신부(401)가 수신하여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데이터 가공부(402)는 도 3을 참조하면, 통신부에서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생체정보를 휴대용 단말장치(301)의 프로세서가 휴대용 단말장치 운용 프로그램 등 응용프로그램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생체데이터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모니터 또는 스피커 등과 같이 시각, 청각 등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어떤 형식으로든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가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형식이란, 예를 들어 모니터 또는 스피커 등의 데이터 출력 기기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모니터 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서 시각적, 청각적 데이터로 변환되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종류의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의 전원유도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의 전원유도부(201)와 휴대용 단말장치(301)의 통신부(401)에는 안테나 코일(501)이 포함되어 있어 두 장치가 근접하게 되면 각각 포함된 안테나 코일(501)이 전자기장을 유도할 수 있다. 이렇게 유도된 전자기력으로 인하여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의 전원유도부(201)가 안테나 코일(501)을 전자파를 수집하여 이를 통해 직류전류를 생성시켜 전원을 유도하고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의 각 부분을 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방법은, 먼저, 휴대용 단말장치(301)와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가 접근한다(510).
휴대용 단말장치(301)와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가 접근하면 그 사이에 전자기 유도 현상이 있어난다(520).
이때, 근접망 통신으로 NFC를 사용하는 실시 예에 따르면 10cm 이내로 근접할 때에 전자기 유도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나 이는 10cm 이내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NFC이외의 근접망 통신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자기 유도가 발생할 수 있는 거리라면 그 범위도 포함될 수 있다.
전자기 유도현상으로 생성된 전자파를 수집하여 직류전류를 생성한다(530)
이때, 직류전류는 휴대용 단말장치(301)와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101)의 내부에 있는 각 안테나 코일(501)이 전자기 유도현상이 일어나며 생성되는 전자파를 수집하여 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직류전류를 각 부분의 동작전압에 맞게 전압을 조정한다(540).
여기서 전압의 조정은, 생성된 직류전류를 변압기 등 변압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센서부, 변환부, 출력부에 각각 알맞은 동작출력에 맞게 감압 또는 승압하는 것이다.
동작전압에 맞게 조정된 전압을 센서부(203), 변환부(204), 전송부(207)에 공급한다(550).
이때, 각 부에 공급된 전원을 통하여 센서부(203)에서는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변환부(204)에서는 휴대용 단말장치(301)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전송부(207)에서는 이렇게 변환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조정된 전압을 공급하여 센서부(203)의 센서를 구동시켜 생체정보를 수집한다(560).
이 경우 센서는 혈압, 체온, 맥박 등 인간 신체에 대한 모든 생체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장치를 의미하며, 실시 예에 따르면 피부에 부착하거나 또는 목, 손목, 발목에 걸 수 있게 제작되어 휴대할 수 있게 고안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센서를 통해 수집된 생체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한다(570).
실시 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해 생체 정보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제1 변환단계와 변환한 디지털 데이터를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에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한 생체정보를 휴대용 단말장치(301)에 RF 신호로 전송한다.(580)
실시 예에 따르면, ISO/IEC 14443의 표준규격에 맞는 자체 명령어 형식으로 변환한 생체정보는 RF 신호를 통해 휴대용 단말장치(301)로 전송할 수 있다.
생체정보가 담긴 RF신호를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장치(301)가 사용자에게 출력한다(590).
이때, 생체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해 시각, 촉각, 청각을 포함하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식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1 :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201 : 전원 유도부
202 : 출력 조정부
203 : 센서부
204 : 변환부
205 : 제1 변환부
206 : 제2 변환부
207 : 전송부
301 : 휴대용 단말장치
401 : 통신부
402 : 데이터 가공부
501 : 안테나코일

Claims (13)

  1.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상기 수집된 생체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변환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휴대용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탑재한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의 접근에 따라 형성된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직류전류를 생성하는 전원 유도부; 및
    상기 생성된 직류전류의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센서부, 데이터 변환부, 전송부에 공급하는 출력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도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장치와 근접할 때 형성되는 전자기 유도에 의해 발생 된 전자파를 안테나 코일로 수집하여 직류전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전원 유도부에서 생성한 직류전류를 상기 센서부, 변환부, 전송부가 동작할 수 있는 동작출력에 맞게 감압 또는 승압하여 상기 센서부, 변환부, 전송부로 전원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출력 조정부에서 동작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며 피부에 부착하거나 또는 목, 손목, 발목에 걸 수 있게 고안된 생체센서를 포함하여 생체정보의 수집이 상시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출력 조정부에서 동작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센서부에서 상시로 수집된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및
    상기 제1 변환부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생체정보를 휴대용 단말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출력 조정부에서 동작 전원을 입력받아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6.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탑재하여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생체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식으로 가공하는 데이터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가공부는 ,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생체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장치의 프로세서가 상시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을 포함하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식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장치.
  8. 휴대용 단말장치에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가 접근함에 따라 전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하는 단계;
    전자기 유도로 인해 생성된 전자파를 수집하여 직류전류를 생성하는 단계;
    전자기 유도로 생성된 상기 직류전류의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
    조정된 전원을 공급받아 센서를 구동시켜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조정된 전원을 공급받아 수집된 생체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조정된 전원을 공급받아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형식으로 변환된 신체정보를 휴대용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와 상기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사이에 형성된 전자기 유도를 통해 생긴 전자파를 안테나 코일로 수집하여 직류전류를 생성하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직류전류의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는,
    전자기 유도로 생성된 상기 직류전류를 변압기를 이용하여 감압 또는 승압을 하여 동작출력에 맞게 조정해서 전달하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조정된 전원을 공급받아 생체 센서를 통해 상시로 수집된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조정된 전원을 공급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생체정보를 휴대용 단말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근거리 무선통신의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센서를 구동시켜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조정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고 피부에 부착하거나 또는 목, 손목, 발목에 걸 수 있게 제작되어 휴대할 수 있게 고안된 생체센서가 상시로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가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형식으로 변환된 신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형식의 생체정보를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방법.
KR20130105150A 2013-09-02 2013-09-02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26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150A KR20150026390A (ko) 2013-09-02 2013-09-02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150A KR20150026390A (ko) 2013-09-02 2013-09-02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390A true KR20150026390A (ko) 2015-03-11

Family

ID=5302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5150A KR20150026390A (ko) 2013-09-02 2013-09-02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63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0759B2 (en) Physical assessment parameter measuring device
US10673280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oupled hub and sensor node on-body acquisition of sensor information
US949812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atient monitoring using dynamic multi-function device
EP3638105B1 (en) Direct frequency modulating radio-frequency sensors
KR102518671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04413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10028660B2 (en) Physiological parameter measuring system
Geman et al.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based on the sensors network and android internet of things gateway
KR20140060164A (ko) 생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충전 가능한 신발,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KR20150061100A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0905376B2 (en) Physical parameter measuring
US115040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mbient energy powered physiological parameter monitoring
WO2020133521A1 (zh) 一种应用于院内的病人恢复监护系统及方法、存储介质
US20120293340A1 (en) Triggering recharging and wireless transmission of remote patient monitoring device
IL257586A (en) Remote control and interaction with implanted devices
JP2018072147A (ja) センサ装置
Giri et al. IoT-based smart wheelchair for disabled people and patient monitoring
CN110850978A (zh) 全植入式脑机接口系统
CN100508876C (zh) 人体生理状态检测腕表
KR20150026390A (ko) 무전원 생체정보 전송장치 및 그 방법
TWM416446U (en) Implantable wireless charging health management system
KR20180001659A (ko) 생체신호 측정 의복 및 시스템
CN208076059U (zh) 一种基于LoRa无线技术的体温监测终端
KR20170022579A (ko) 저전력 기반의 바이오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CN112137579A (zh) 一种移动监护设备的信号传输处理方法、设备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