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201A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201A
KR20150026201A KR20130104709A KR20130104709A KR20150026201A KR 20150026201 A KR20150026201 A KR 20150026201A KR 20130104709 A KR20130104709 A KR 20130104709A KR 20130104709 A KR20130104709 A KR 20130104709A KR 20150026201 A KR20150026201 A KR 20150026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angle
image
photographing angl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4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형
천시내
김종호
김지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4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6201A/ko
Priority to US14/092,373 priority patent/US20150062293A1/en
Priority to PCT/KR2013/010918 priority patent/WO2015030308A1/en
Publication of KR2015002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field of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Abstract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 및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속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이미지를 센싱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를 센싱하는 각도 센싱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각도 센싱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1 각도 범위인 경우, 상기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이면, 상기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에서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변화하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A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 및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속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그대로 또는 좌우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란 안경처럼 머리에 착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를 말한다. 디지털 디바이스의 경량화 및 소량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가 개발되고 있으며, HMD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다. HMD는 단순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넘어 증강 현실 기술, N 스크린 기술 등과 조합되어 유저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카메라 렌즈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에 장착되어 360도 회전 가능한 카메라의 경우, CCTV와 같은 방범용 카메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어안 렌즈와 같은 화각이 넓은 카메라의 경우, 특수한 효과를 필요로 하는 사진촬영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수한 카메라 렌즈의 경우,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장착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한 렌즈 또는 어안 렌즈의 경우 블랙박스에 장착되어 넓은 각도에서 방범 또는 감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수평 회전 가능한 카메라 또는 화각이 넓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경우, 카메라의 각도에 따라 유저에게 센싱된 이미지를 그대로 제공하거나 또는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카메라의 촬영 각도가 90도를 초과하는 경우, 촬영 각도의 변화와 기 설정된 각속도와의 비교를 통해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로 촬영 각도가 변화하면 유저에게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촬영 각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에, 촬영 각도의 변화를 고려하여 유저에게 센싱된 이미지를 그대로 제공하거나 또는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자동차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 수평 회전 가능한 카메라 또는 화각이 넓은 카메라가 장착되는 경우에 센싱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이미지를 센싱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를 센싱하는 각도 센싱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각도 센싱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1 각도 범위인 경우, 상기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이면, 상기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에서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변화하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1 각도 범위인 경우, 상기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이면, 상기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에서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변화하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가 수평 회전 가능한 카메라 또는 화각이 넓은 카메라가 장착된 디지털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유저가 측면 또는 후방에 위치한 주변 환경을 보기 위해 움직일 필요없이 카메라를 통해서 용이하게 주변 환경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면, 유저는 센싱된 이미지를 그대로 유지한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이면,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제공하여, 유저는 측면 또는 후방에 위치한 주변 환경을 보다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평 회전 가능한 카메라 또는 화각이 넓은 카메라가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장착되는 경우, 유저의 움직임없이, 디지털 디바이스의 움직임만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의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의 촬영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에 장착된 카메라 유닛이 수평 회전 가능한 경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에 장착된 카메라 유닛의 화각이 180도를 초과하는 경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1 각도 범위인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가 자동차에 장착된 카메라인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가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만, 도 1은 일 실시예로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 디스플레이 유닛(120), 각도 센싱 유닛(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PDA(Persone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이미지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이 장착되어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폴더, 3폴더 등 포함), 자동차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9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HMD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카메라 유닛(110)은 앞 방향의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앞 방향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카메라 유닛(110)이 향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110)은 화각 영역 내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프로세서(14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 유닛(110)이 수평 회전 가능한 경우, 카메라 유닛(110)은 수평 회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프로세서(1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평 회전 각도는 카메라 유닛(110)의 디폴트 상태에서 향하는 방향에서의 일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 유닛(110)의 화각이 180°를 초과하는 경우(예를 들어, 어안 렌즈(fish-eye lens)), 카메라 유닛(110)은 동시에 180°가 넘는 범위에서 센싱된 이미지를 프로세서(1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HMD인 경우, 앞 방향은 HMD를 착용한 유저의 시야에 대응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카메라 유닛(110)은 HMD를 착용한 유저의 시야에 대응하는 방향의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프로세서(140)에 의해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프로세서(14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는 각종 동영상,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카메라 유닛(110)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HMD에 해당하는 경우,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HMD는 투시형(see-through) 방식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투시형(see-through) 방식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투명한 것으로, HMD를 착용한 상태에서 유저가 주위 환경을 인식하면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낸다. 다른 일 예로서, HMD는 전방 주사(front-light) 방식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방 주사 방식은 빛이 눈에 직접 투사되지 않고 반사된 영상을 거울과 같은 반사체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HMD는 암막형(see-closed) 방식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암막형 방식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외부 환경을 볼 수 없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컨텐츠를 이용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HMD는 투시형 또는 전방 주사 방식으로 카메라 유닛(110)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각도 센싱 유닛(13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카메라 유닛(110)의 촬영 각도를 센싱하고, 이를 신호 형태로 프로세서(14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 유닛(110)이 수평 회전 가능한 경우, 촬영 각도는 기 설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카메라 유닛(110)이 수평 회전된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 유닛(110)의 화각이 180°를 초과하는 경우, 촬영 각도는 카메라 유닛(110)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해당하는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40)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140)는 카메라 유닛(110)의 촬영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카메라 유닛(110)의 촬영 각도가 제 1 각도 범위인 경우,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카메라 유닛(110)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 상술한 제 1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좌우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카메라 유닛(110)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내지 9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프로세서(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동작들을 통칭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수행/제어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 스토리지 유닛, 커뮤니케이션 유닛, 파워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은 상술한 각도 센싱 유닛(130) 외에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및 그립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은 동영상, 오디오, 이미지,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은 프로세서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 유닛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내/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파워 유닛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의 촬영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의 (a)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2의 (b)는 카메라 유닛(110)이 수평 회전 가능한 경우의 촬영 각도를 나타내고, 도 2의 (c)는 카메라 유닛(110)이 화각이 180도를 초과하는 경우의 촬영 각도를 나타낸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전면에 카메라 유닛(110)을 장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HMD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전면의 일측에 카메라 유닛(110)을 장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측은 좌측, 우측 또는 중간 등의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일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 유닛(110)은 수평 회전이 가능하거나 화각이 180°를 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어,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카메라 유닛(110)을 장착하는 것이 외부 장면을 센싱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시형 또는 전방 주사 방식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의 (b)는 카메라 유닛(110)의 수평 회전이 가능한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카메라 유닛(110)은 도 2의 (b)에 도시된 기 설정된 지점(화살표)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110)은 기 설정된 화각(x1) 영역 내의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화각(x1)은 6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촬영 각도는 제 1 각도 범위 및 제 2 각도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각도 범위는 기 설정된 지점(화살표)을 향할 때의 카메라 유닛(110)의 화각부터 y1각도까지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y1 각도는 9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각도 범위는 카메라 유닛(110)의 촬영 각도가 y1 각도를 초과하는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각도 범위는 제 1 각도 범위를 제외한 각도에 해당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10)의 수평 회전과 관련하여, 도 3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지점(화살표)은 카메라 유닛(110)이 디폴트 상태에서 향하는 방향의 일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의 (c)는 카메라 유닛(110)의 화각이 180°가 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의 (c)에서, 카메라 유닛(110)은 기 설정된 화각(x2) 영역 내의 이미지를 센싱할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화각(x2)는 270°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도 2의 (c)의 카메라 유닛(110)을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한 번에 넓은 각도의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2의 (b)와 유사하게,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촬영 각도는 제 1 각도 범위 및 제 2 각도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각도 범위는 y2 각도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y2 각도는 18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각도 범위는 카메라 유닛(110)의 촬영 각도가 y2 각도를 초과하는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00)의 화각이 180°를 넘는 경우와 관련하여, 도 4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에 장착된 카메라 유닛이 수평 회전 가능한 경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a는 수평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 유닛(110)에 의해 센싱되는 주변 환경을 나타내고, 도 3b는 도 3a에서 카메라 유닛(110)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낸다.
수평 회전 가능한 카메라 유닛(110)을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각도에서의 주변 환경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변 환경은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위치한 곳의 주변에 위치한 사물, 사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의 촬영 각도, 즉 a1 내지 a11 각도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장면 s1 내지 s11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각도의 주변 환경도 센싱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이 a1 내지 a11 촬영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센싱되는 이미지 s1 내지 s11을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의 디폴트 상태에서, 카메라 유닛(110)의 화각 즉 a1 촬영 각도의 이미지 s1을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1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통해 s1을 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이 오른쪽으로 수평 회전되어 90° 회전된 경우, 카메라 유닛(110)의 화각 즉 a6 촬영 각도의 장면 s6을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1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통해 s6을 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이 수평 회전되어 180° 회전된 경우, 카메라 유닛(110)의 화각 즉 a10 촬영 각도의 장면 s11을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1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통해 s11을 볼 수 있다. 즉, 도 3의 실시예에서, 유저(10)는 정면이 아닌 측면 또는 후면의 주변 환경을 유저(10)의 고개를 좌우로 돌리는 등의 유저의 움직임없이 카메라 회전을 통해 용이하게 볼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110)이 일정 각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그대로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0 시간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센싱된 이미지 s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t0 시간으로부터 T시간이 경과된 t1 시간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센싱된 이미지 s6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t1 시간으로부터 T시간이 경과된 t2 시간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센싱된 이미지 s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이미지를 캡쳐하거나 동영상을 캡쳐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에 장착된 카메라 유닛의 화각이 180°를 초과하는 경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a는 화각이 180°를 초과하는 카메라 유닛(110)을 통해 센싱되는 주변 환경을 나타내고, 도 4b는 도 4a에서 카메라 유닛(110)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화각이 180°를 초과하는 카메라 유닛(110)은 도 3에서 상술한 카메라 유닛과 달리 회전에 따라 다양한 각도 범위를 센싱하는 것이 아닌, 한번에 180°가 넘는 각도의 주변 환경을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센싱된 이미지를 한번에 유저에게 제공할 수도 있으나,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 범위로 나누어 보여줄 수도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도 4a의 카메라 유닛(110)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의 촬영 각도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270°의 화각을 갖는 카메라 유닛(110)의 화각을 11개의 촬영 각도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촬영 각도 각각은 실제로 카메라 유닛(110)을 통해 실시간으로 센싱되는 것이 아닌, 전체 화각 중 적어도 일부의 화각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 각도와 센싱된 이미지 중 촬영 각도에 해당하는 부분을 매핑할 수 있다. 즉, 도 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11개의 영역을 a1 내지 a11의 촬영 각도와 s1 내지 s11의 장면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촬영 각도와 장면을 매핑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의 촬영 각도가 a1 내지 a11 각도로 나누어짐에 따라, 촬영 각도에 해당되는 부분 이미지 s1 내지 s11을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촬영 각도가 변화함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촬영 각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그대로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촬영 각도의 변화는 실제 카메라 유닛의 화각의 변화가 아닌 전체 화각 중 디스플레이 타겟이 되는 각도가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0 시간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센싱된 이미지 중 s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to 시간으로부터 T시간이 경과된 t1 시간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센싱된 이미지 중 s6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t1 시간으로부터 T시간이 경과된 t2시간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센싱된 이미지 중 s1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이미지를 캡쳐하거나 동영상을 캡쳐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촬영 각도가 제 1 각도 범위 또는 제 2 각도 범위인지에 무관하게, 센싱된 이미지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제 2 각도 범위에서 좌우 반전없이 그대로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로서, 이미지 캡쳐 또는 동영상 캡쳐에서는 보다 자연스러울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캡쳐링하는 경우, 카메라 유닛(100)의 촬영 각도에 관계없이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제공된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연속하여 캡쳐링하는 경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에 관계없이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제공된 동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는 센싱된 이미지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캡쳐나 동영상 캡쳐가 아닌, 유저(10)에게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제 2 각도 범위에서 센싱된 이미지가 좌우 반전이 없이 제공된다면 유저에게 불편함 또는 좌우 반전에 대한 혼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유저에게 제공하는 경우에는, 센싱된 이미지를 그대로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경우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도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보다 빠르거나 느린 경우를 감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다양한 모드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9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서 상술한 수평 회전 가능한 카메라 유닛 및 도 4에서 상술한 180°를 초과하는 화각을 갖는 카메라 유닛과 관련하여,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점에서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수평 회전 가능한 카메라 유닛 및 180°를 초과하는 화각을 갖는 카메라 유닛 중 수평 회전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대표적인 예로 들어 이하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5 내지 도 9는 유저에게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캡쳐를 위한 것이 아닌 실제 유저에게 인식되는 환경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1 각도 범위인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의 (a)는 카메라 유닛(110)의 수평 회전에 따른 촬영 각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카메라 유닛(110)에 의해 센싱된 이미지가 유저에게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의 기 설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이미지 센싱을 시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지점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110)의 디폴트 상태, 즉, 카메라 유닛(110)이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전방을 향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카메라 유닛(110)이 작동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의 회전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외부 환경을 센싱할 수 있다. 도 5의 (a)는 카메라 유닛(110)이 디폴트 상태에서 우측으로 수평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이 a1 촬영 각도에서 a5 촬영 각도에 이르기까지의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것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a1 촬영 각도 내지 a5 촬영 각도는 제 1 각도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제 1 각도 범위는 카메라 유닛(110)이 센싱한 이미지를 좌우 반전없이 그대로 유저(10)에게 제공하더라도, 유저(10)가 인식하기에 불편함이 없는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각도 범위는 0° 내지 ±90°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a)와 달리, 카메라 유닛(110)이 디폴트 상태에서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10)이 수평 회전을 함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10)에게 수평 회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 1 각도 범위에서 카메라 유닛(110)이 수평 회전하는 경우, 수평 회전의 각속도에 무관하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10)에게 센싱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110)의 회전 각도가 a1에서 a5가 될 때까지, 즉 센싱된 이미지가 s1 에서 s5에 이르기까지 to시간에서 tn시간동안 센싱된 이미지를 유저(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a1 촬영 각도에서 a5 촬영 각도까지의 수평 회전의 각속도가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a1 촬영 각도에서 a5 촬영 각도까지의 수평 회전의 각속도가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의 촬영 각도의 변화에 대하여 각속도에 관계없이, 카메라 유닛(110)의 촬영 각도가 제 1 각도 범위에 해당한다면,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센싱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는 센싱된 이미지를 좌우 또는 상하 반전없이 그대로 유저(10)에게 제공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명세서의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상술한 도 5에서 카메라 유닛(110)이 a1 촬영 각도에서 a5 촬영 각도까지 수평 회전한 다음에 이어서 회전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 1 각도 범위에서와 달리, 제 2 각도 범위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촬영 각도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센싱된 이미지를 유저(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은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에서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드가 다양하게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제 2 각도 범위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a6 촬영 각도를 초과하는 각도로서,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90°를 초과하는 각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각속도는 유저에 의해 설정 가능하며, 본 명세서에서 기 설정된 각속도는 시간 T 동안 촬영 각도가 2회 이상 변화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의 (a)는 카메라 유닛(110)의 수평 회전에 따른 촬영 각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카메라 유닛(110)에 의해 센싱된 이미지가 유저에게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110)은 a6 촬영 각도에서 a10 촬영 각도까지 변화하는데 T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의 촬영 각도가 T 시간 동안 4회 변화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촬영 각도의 변화를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는 경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에게 제공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a6 촬영 각도 내지 a10 촬영 각도에서 카메라 유닛(110)이 센싱한 이미지 s6 내지 s10을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좌우 반전 없이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카메라 유닛(110)이 수평으로 빠르게 회전하는 중에는 제 2 각도 범위에 진입하더라도 이미지를 좌우 반전하지 않고 그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유저에게 보다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의 (a)는 카메라 유닛(110)의 수평 회전에 따른 촬영 각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카메라 유닛(110)에 의해 센싱된 이미지가 유저에게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110)은 a6 촬영 각도에서 a10 촬영 각도까지 변화하는데 4T의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의 촬영 각도가 4T 시간 동안 4번 변화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인 경우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인 경우는 상기 카메라 유닛의 수평 회전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멈추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인 경우는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의 구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를 타고 가는 도중에 이미지를 센싱하는 경우, 버스 외부의 환경은 변화하지만 버스 내부의 이미지는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따라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a6 촬영 각도 내지 a10 촬영 각도에서 카메라 유닛(110)이 센싱한 이미지 s6 내지 s10 중 각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인식한 이미지인 s6 내지 s10 이미지를 좌우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카메라 유닛(110)이 수평으로 회전하는 중에 제 2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각속도가 느려지는 경우에는, 센싱된 이미지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보다 좌우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유저에게 보다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의 (a)는 카메라 유닛(110)이 수평 회전에 따른 촬영 각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도 8의 (b)는 카메라 유닛(110)에 의해 센싱된 이미지가 유저에게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110)은 a6 촬영 각도에서 a10 촬영 각도까지 일정하지 않은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유닛(110)은 a6 촬영 각도에서 a8 촬영 각도까지 회전하는데 2T의 시간이 걸리고, a8 촬영 각도에서 a10 촬영 각도까지 회전하는데 T의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a6 촬영 각도에서 a8 촬영 각도까지는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인 경우로 인식하고, a8 촬영 각도에서 a10 촬영 각도까지는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는 경우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촬영 속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인 것으로 인식된 a6 촬영 각도 내지 a7 촬영 각도에서 카메라 유닛(110)이 센싱한 이미지 s6 및 s7을 좌우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촬영 속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인식된 a8 내지 a10 촬영 각도에서 카메라 유닛(110)이 센싱한 이미지 s8 내지 s10을 좌우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카메라 유닛의 수평 회전 속도가 느린 상태에서 빨라지는 경우, 이미지를 좌우 반전해서 보여주다가 다시 그대로 보여주면 유저에게 혼란을 줄 수 있어, 좌우 반전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술한 도 5 내지 도 8의 실시예는 카메라 유닛(110)이 기 설정된 지지점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카메라 유닛(110)이 이미 제 2 각도 범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 1 각도 범위로 왼쪽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회전 각속도에 무관하게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유저의 측면 또는 후면에서부터 전면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경우에는, 이미지를 좌우 반전하지 않고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보다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의 (a)는 카메라 유닛(110)이 제 2 각도 범위에서 수평 회전하는 경우의 촬영 각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도 9의 (b)는 카메라 유닛(110)에 의해 센싱된 이미지가 유저에게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카메라 유닛(110)은 a6 촬영 각도에서 a10 촬영 각도까지 수평 회전하면서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상술한 도 5 내지 8과 달리, 카메라 유닛(110)은 a1 촬영 각도에서 a5 촬영 각도까지 이미지를 센싱하지 않고, a6 촬영 각도부터 이미지 센싱을 시작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9의 (a)와 같이, 제 1 각도 범위에서 이미지 센싱을 하지 않는 것은, 제 1 각도 범위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 즉, HMD를 착용한 유저의 시선 부재를 인식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각도 범위에서 이미지 센싱을 하지 않는 것은 제 1 각도 범위에서 카메라 유닛(110)이 디액티베이트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a)를 참조하면, 카메라 유닛(110)은 제 2 각도 범위에서 수평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의 수평 회전이 제 2 각도 범위에서 시작하여 제 2 각도 범위에서 종료하기 때문에,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카메라 유닛(110)이 제 2 각도 범위에서 수평 회전을 수행하는 경우, 제 1 각도 범위부터 제 2 각도 범위까지 순차적으로 수평 회전을 수행하는 때와 달리, 유저에게 거울과 동일한 반전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10)의 촬영 각도 및 촬영 각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유저(10)가 고개를 좌우로 돌리지 않은 상태에서 카메라 유닛의 회전을 통해 주위 환경을 다양한 각도에서 디텍트하는 상황이므로, 유저(10)에게 촬영 중인 이미지의 각도 및 각속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가 자동차에 장착된 카메라인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a는 자동차(200)의 사이드 미러에 장착된 카메라 유닛(210)의 수평 회전에 따른 촬영 각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도 10b는 카메라 유닛(210)에 의해 센싱된 이미지가 유저에게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200)의 사이드 미러에 수평 회전 가능한 카메라 유닛(21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수평 회전 가능한 카메라 유닛(210)은 다양한 각도에서의 외부 환경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회전 가능한 카메라 유닛(210)은 주차시에 주변 환경을 센싱하고, 주변 사물과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는 카메라 유닛(210)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자동차 내부의 컨트롤 박스(22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트롤 박스(220)는 네비게이션, TV, 차량 에어컨 조절 등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서, 자동차(200)는 카메라 유닛(210)의 촬영 각도가 제 1 각도 범위인 경우에는 센싱된 이미지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각도 범위는 0° 내지 ±90°에 해당할 수 있다. 이는, 제 1 각도 범위는 자동차의 전방에 해당하기 때문에, 센싱된 이미지를 그대로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이 유저에게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다른 일 예로서, 자동차(200)는 카메라 유닛(210)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에는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각도 범위는 제 1 각도 범위 외의 각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각도 범위는 ±90°를 초과하는 각도에 해당할 수 있다. 이는, 제 2 각도 범위는 자동차의 후방에 해당하기 때문에,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이 유저에게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술한 도 5 내지 도 8의 실시예를 동일하게 적용하여, 제 2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각속도에 따라 이미지를 반전해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가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촬영 각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1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제 1 바디(310) 및 제 2 바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바디(31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좌측에 위치하고, 제 2 바디(32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우측에 위치하고 카메라 유닛(330)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 1 바디(310) 및 제 2 바디(320)에 걸쳐서 장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 간의 내각이 180°보다 작은 상태에서, 180°를 초과하는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310) 및 제 2 바디(320) 간의 내각에 따라, 카메라 유닛(110)이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스크린(3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 간의 내각이 180도 이내인 경우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 간의 내각 변화에 따라 센싱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 간의 내각이 1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제 바디 및 제 2 바디 간의 내각 변화에 따라 센싱되는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도 5 내지 도 9의 실시예를 동일하게 적용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내각 변화의 속도에 따라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하는 도 12의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먼저, 디지털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1 각도 범위 또는 제 2 각도 범위인지 결정할 수 있다(S1210).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카메라 유닛은 수평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카메라 유닛은 180°를 초과하는 화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각도 범위는 0° 내지 ±9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각도 범위는 제 1 각도 범위 외의 각도로서, ±90°를 초과하는 각도에 해당할 수 있다.
S1210 단계에서, 촬영 각도가 제 1 각도 범위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S1220).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각도가 제 1 각도 범위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에 해당하는지와 무관하게,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S1210 단계에서,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인지 결정할 수 있다(S1230). 도 6 내지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에는,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공되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가 상이해질 수 있다.
S1230 단계에서,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S1240). 예를 들어, 카메라 유닛이 수평 회전 가능한 경우에는,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는 카메라 유닛의 수평 회전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멈추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카메라 유닛의 화각이 1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는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의 구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각도 범위에서 기 설정된 각속도보다 작은 속도로 촬영 각도가 변화하는 경우는, 유저가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측면 또는 후면에 위치한 주변 환경임을 인식할 수 있어,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 보다 자연스러울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에서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변화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S1230 단계에서,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S1250). 이는, 제 2 각도 범위에서 빠른 각속도로 카메라 유닛이 회전하는 경우, 제 1 각도 범위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이미지를 제공하다가 갑자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바뀌면 유저에게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디지털 디바이스
110: 카메라 유닛
120: 디스플레이 유닛
130: 각도 센싱 유닛
140: 프로세서

Claims (20)

  1.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이미지를 센싱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를 센싱하는 각도 센싱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각도 센싱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1 각도 범위인 경우, 상기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이면, 상기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에서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변화하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는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상기 제 1 각도 범위에서 상기 제 2 각도 범위로 변화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디지털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상기 제 2 각도 범위에서 상기 제 1 각도 범위로 변화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유닛이 수평 회전 가능한 경우,
    상기 카메라 유닛의 수평 회전을 디텍트하고,
    기 설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 유닛이 수평 회전된 각도를 상기 촬영 각도로 매핑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인 경우는 상기 카메랑 유닛의 수평 회전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멈추는 경우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인 경우는 상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의 구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지점은 상기 카메라 유닛이 디폴트 상태에서 향하는 방향에서의 일 지점을 나타내는, 디지털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유닛의 화각이 180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이미지를 센싱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의 화각을 적어도 하나의 촬영 각도로 나누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각도와 센싱된 이미지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각도에 해당하는 부분을 매핑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의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상기 제 2 각도 범위에서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상기 제 2 각도 범위에서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는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상기 제 1 각도 범위에서는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는, 디지털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인, 디지털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는 유저가 상기 HMD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메라 유닛이 수평으로 회전된 각도인, 디지털 디바이스.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상기 제 2 각도 범위에서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는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상기 제 1 각도 범위에서 상기 HMD를 착용한 유저의 시선 부재를 인식하는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 각도 및 상기 촬영 각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각도 범위는 상기 제 1 각도 범위 외의 각도에 해당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가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는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의 내각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바디는 카메라 유닛이 장착되는, 디지털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캡쳐링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제공된 이미지를 캡쳐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연속하여 캡쳐링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제공된 동영상을 캡쳐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20.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1 각도 범위인 경우, 상기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가 제 2 각도 범위인 경우,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이면, 상기 촬영 각도에 따라 센싱된 이미지의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각도의 변화가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 이내에서 상기 기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변화하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20130104709A 2013-09-02 2013-09-02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20150026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709A KR20150026201A (ko) 2013-09-02 2013-09-02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US14/092,373 US20150062293A1 (en) 2013-09-02 2013-11-27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PCT/KR2013/010918 WO2015030308A1 (en) 2013-09-02 2013-11-28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709A KR20150026201A (ko) 2013-09-02 2013-09-02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201A true KR20150026201A (ko) 2015-03-11

Family

ID=5258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4709A KR20150026201A (ko) 2013-09-02 2013-09-02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62293A1 (ko)
KR (1) KR20150026201A (ko)
WO (1) WO20150303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797A1 (ko) * 2016-01-22 2017-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Hmd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1221436A1 (ko) * 2020-04-28 2021-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하여 공간의 깊이를 획득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2697A (ja) * 2014-03-31 2015-11-05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撮影制御システム
US9979930B2 (en) * 2015-12-03 2018-05-22 Beijing Pico Technology Co., Ltd. Head-wearable apparatus, 3D video call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3D video call
EP3413165B1 (en) * 2016-02-29 2021-10-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Wearable system gesture control method and wearable system
US11622100B2 (en) * 2021-02-17 2023-04-04 flexxCOACH VR 360-degree virtual-reality system for dynamic event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9451B2 (en) * 1996-06-24 2002-10-01 Be Her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anoramic camera to capture a 360 degree image
JP4393652B2 (ja) * 1999-03-30 2010-01-06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および文書撮影方法
US6222584B1 (en) * 1999-11-03 2001-04-24 Inventec Corporation Method of automatically rotating image storage data subject to image capture angle, and the related digital camera
US6487481B2 (en) * 2000-05-30 2002-11-26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Parking assisting apparatus
JP4532856B2 (ja) * 2003-07-08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位置姿勢計測方法及び装置
KR100611182B1 (ko) * 2004-02-27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상태에 따라 메뉴표시상태를 변경하는 휴대형전자기기 및 그 방법
US7791638B2 (en) * 2004-09-29 2010-09-07 Immersive Media Co. Rotating scan camera
JP2006337882A (ja) * 2005-06-06 2006-12-14 Sony Corp 撮像装置
TW200929996A (en) * 2007-12-25 2009-07-01 E Ten Information Sys Co Lt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0064781A1 (ko) * 2008-12-01 2010-06-10 (주)두원전자통신 광대역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CN102714670A (zh) * 2010-01-07 2012-10-03 日本电气株式会社 便携信息终端和屏幕显示控制方法
JP2011155361A (ja) * 2010-01-26 2011-08-11 Sony Corp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1259598B1 (ko) * 2010-07-30 2013-04-30 주식회사 팬택 로드뷰 제공 장치 및 방법
BRPI1106263A2 (pt) * 2010-08-19 2013-01-22 Canon Kk dispositivo eletrânico
JP5889536B2 (ja) * 2011-03-08 2016-03-22 ローム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映像システム、眼鏡、および映像表示装置
KR101784176B1 (ko) * 2011-05-25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17656B1 (ko) * 2011-12-13 2018-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JP6028357B2 (ja) * 2012-03-22 2016-11-16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手術システム
JP5938977B2 (ja) * 2012-03-23 2016-06-22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手術システム
KR101793628B1 (ko) * 2012-04-08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9465216B2 (en) * 2012-08-07 2016-10-11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Wearable display device
KR102034583B1 (ko) * 2013-02-28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070048B2 (en) * 2013-03-26 2018-09-04 Htc Corporation Panorama photographing method, panorama displaying method, and image capturing method
CN105308621B (zh) * 2013-05-29 2019-05-21 王康怀 从活体内多相机胶囊重建影像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797A1 (ko) * 2016-01-22 2017-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Hmd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845869B2 (en) 2016-01-22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MD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1221436A1 (ko) * 2020-04-28 2021-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하여 공간의 깊이를 획득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0308A1 (en) 2015-03-05
US20150062293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510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US9304320B2 (en)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851803B2 (en) Autonomous computing and telecommunications head-up displays glasses
US9442567B2 (en) Gaze swipe selection
US87628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viewport for a mobile device based on viewing angle
KR102246553B1 (ko) Hmd 및 그 제어 방법
US8830142B1 (en)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26201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US20140184724A1 (en)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video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CN110060614B (zh) 头部佩戴型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显示系统
US20170039774A1 (en) Augmented Reality Communications
US20170171539A1 (en) System for displaying an image for a head mounted display
KR20150037254A (ko) 착용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레이어 제어 방법
WO2021018070A1 (zh) 一种图像显示的方法及电子设备
US20210162925A1 (en) Immersive display
KR20150084200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WO2020129029A2 (en) A system for generating an extended reality environment
CN105683813B (zh) 头戴式显示器及其控制方法
US11366318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22459B1 (ko) 저시력자용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WO2023107806A1 (en) Eye image stabilized augmented reality displays
KR20150039352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WO2023065126A1 (zh) 拍摄控制方法、设备、拍摄系统及存储介质
EP3152894B1 (en) Lifelog camera and method of obtaining a digital image tagged with corrected image direction information
CN116820229A (zh) Xr空间的显示方法、xr设备、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