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958A -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958A
KR20150025958A KR20130104182A KR20130104182A KR20150025958A KR 20150025958 A KR20150025958 A KR 20150025958A KR 20130104182 A KR20130104182 A KR 20130104182A KR 20130104182 A KR20130104182 A KR 20130104182A KR 20150025958 A KR20150025958 A KR 20150025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user
user terminal
advertisement conten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비오
Original Assignee
안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비오 filed Critical 안비오
Priority to KR2013010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5958A/ko
Publication of KR2015002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광고 컨텐츠가 광고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광고 관리 서버; 및 다른 사용자 단말기와 함께 상기 사용자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광고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며,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거나 호 연결 종료 상태로 변하면 상기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NTENT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호 연결을 시도하거나 호 연결을 종료할 때 광고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고유의 음성통화 서비스는 물론,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므로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라 할 수 있다. 근래 들어, 휴대폰의 보급률이 급속히 증가되어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휴대폰의 보급과 더불어, 모바일 광고시장 또한 꾸준히 성장해 왔으며, 광고주들은 모바일 광고의 가능성을 예측하고 꾸준하게 그 예산을 증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바일 광고는 간단한 형태의 메시지 광고와 배너 광고 컨텐츠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폰의 광고 기술에 있어서는 단문메시지와 같은 형태로 광고 메시지를 작성하여 SMS 전송방식으로 각 단말기에 전송하였다. 이렇게 전송된 광고 메시지는 단말기의 메일 사서함에 저장된 후 사용자가 메일을 체크할 때 노출되어 사용자가 그 광고 내용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광고 메시지가 단말기에 수신되는 순간 자동적으로 노출되어 보다 강력한 광고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였다.
전자와 같은 광고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를 읽는데 방해가 되고, 이와 같은 광고 메시지가 많은 경우 이들에 의해 메일 사서함이 포화 상태로 되어 오히려 광고의 역효과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후자와 같이 자동적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광고방법은 사용자에게 수신되는 다른 메시지와의 혼동을 야기시켜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들 모두는 감성자극 보다는 단순히 메시지 수준으로 광고하게 되므로, 보다 강력한 광고 효과를 얻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광고 업체가 임의로 광고 메시지를 발송하게 되므로 사업자 측에서 불법광고 행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개인의 정보가 유출되거나, 미성년자에 성인광고 메시지가 전송되는 등의 사회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용이하게 광고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고, 광고주 입장에서는 광고 대상이 특정된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그룹에만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여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상기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면, 호 연결 대기 시간 동안 제 1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호 연결 상태로 변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상기 호 연결 상태로 변하면, 상기 제 1 광고 컨텐츠의 표시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고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을 광고 대상(target)으로 지정한 광고 컨텐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을 광고 대상으로 지정한 제 1 광고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거나 호 연결 상태로 변하는지를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상기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면, 호 연결 대기 시간 동안 제 1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상기 호 연결 상태로 변하면, 상기 제 1 광고 컨텐츠의 표시를 종료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고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동작 방법은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 중 상기 광고 컨텐츠가 광고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그룹 및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거나 호 연결 종료 상태로 변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고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고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광고 관리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부를 참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 중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광고 컨텐츠가 광고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그룹 및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며, 상기 광고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거나 호 연결 종료 상태로 변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광고 컨텐츠가 광고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광고 관리 서버; 및 다른 사용자 단말기와 함께 상기 사용자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광고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며,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거나 호 연결 종료 상태로 변하면 상기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호 연결을 시도하거나 호 연결을 종료할 때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지 않고 광고 노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광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서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 110, 110', 112, 112', 광고 관리 서버(120), 사용자 그룹 관리자 서버(130), 광고주 서버(140) 및 사용자 그룹(150, 1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는 컴퓨터나 컴퓨팅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표시하는 데 쓰이는 전자 하드웨어 기기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서버(server)는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의 요구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온라인상의 사용자 단말기(110), 사용자 그룹 관리자 서버(130), 광고 관리 서버(120), 광고주 서버(140) 간의 광고 컨텐츠 제공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단말기, 서버 등이 도시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그룹 관리자 서버(130)가 아니라 사용자 그룹 관리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간이함을 위해 도 1에서 도시되는 사용자 그룹 관리자 서버(130), 광고 관리 서버(120), 광고주 서버(140)를 대상으로 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및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호(call) 연결 대기 중 및/또는 호 연결 종료 후에 광고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시청된 광고 시청 기록을 광고 관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0)가 표시하는 광고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150)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일 수 있으며, 광고 시청 기록은 각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 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시청 기록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소정의 리워드(reward)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와 함께 하나의 사용자 그룹, 즉 제 1 사용자 그룹(15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그룹은 임의의 목적을 가지거나 소정의 자격을 갖춘 사용자들의 모임 또는 조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그룹은 소정의 협회일 수 있으며, 사용자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상기 협회의 회원일 수 있다. 사용자 그룹 관리자 서버(130)는 광고 관리 서버(120) 및/또는 광고주 서버(140)로부터 광고 시청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그룹 관리자 서버(130)는 광고 시청 결과에 따라 광고주로부터 소정의 리워드를 획득하고, 사용자 그룹(150)에 속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에는 제 1 사용자 그룹(150)뿐만 아니라, 제 2 사용자 그룹(150')이 포함될 수 있다. 제 2 사용자 그룹(150')은 제 1 사용자 그룹(150)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2, 1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 1 사용자 그룹(150)에 대한 사용자 그룹 관리자 서버(130)만이 도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 2 사용자 그룹(150')에 대한 사용자 그룹 관리자 서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도는 두 개의 사용자 그룹(150, 150')이 도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수의 사용자 그룹이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에 이용될 수 있다.
광고 관리 서버(120)는 광고주 서버(140) 및/또는 광고 대행사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여 광고 컨텐츠가 광고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그룹(150)에 속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10)로 광고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광고 시청 기록을 수신하여 광고 시청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시청 결과는 각 사용자의 광고 시청 기록을 통계한 것으로서, 각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그룹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및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시청 결과는 광고주 서버(140) 및/또는 사용자 그룹 관리자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광고 시청 결과로부터 소정의 리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광고 관리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의 광고 시청 결과를 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의 광고 시청 동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시청 동향은 각각의 사용자 그룹 별로 전체 광고 컨텐츠, 각각의 광고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의 카테고리(예를 들어, 문화, 경제, 음식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그룹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의 수 등과 같은 사용자 그룹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광고 관리 서버(120)는 각 사용자 단말기의 광고 시청 기록으로부터 사용자 그룹의 광고 시청 결과를 생성하여, 사용자 그룹 차원에서의 광고 컨텐츠 시청 통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광고 시청 결과로부터 광고 시청 동향을 생성하여, 사용자 그룹 간의 광고 컨텐츠 시청 통계를 비교 및 확인할 수 있다.
광고주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표시하기 위한 광고 컨텐츠를 광고 관리 서버(120)로 제공할 수 있다. 광고주 서버(140)가 제공하는 광고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일 수 있다. 광고주 서버(140)는 광고 관리 서버(120)로부터 광고 시청 결과를 수신할 수 있으며, 광고 시청 결과에 따라 광고 관리 서버(120) 및/또는 사용자 그룹 관리자 서버(130)에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광고주 서버(140)가 도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수의 광고주 서버가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에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특정한 사용자 그룹에 속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모바일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그룹 관리자 차원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 그룹의 운영 자금 등으로 이용될 수 있는 리워드를 광고주로부터 얻을 수 있고, 광고주 차원에서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여 광고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종래의 광고가 아니라, 사용자 그룹(및 사용자 그룹에 속한 사용자)을 광고 대상으로 특정하여 광고를 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향상된 광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의 차원에서, 전화 통화 대기 중 및/또는 전화 종료 후의 시간 동안 자연스럽게 광고에 노출되기 때문에 광고를 시청하는데 부가적인 동작을 수반하지 않으며, 이러한 광고 시청을 통해 예를 들어, 사용자 그룹의 회비 감면 등과 같은 리워드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통신부(210), 인터페이스부(220), 메모리부(230),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시계, 노트북 등 이동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호 연결을 위한 제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발신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호 연결의 종료를 의미하는 호 연결 종료 신호를 발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주기적 및/또는 비주기적으로 광고 관리 서버(120), 사용자 그룹 관리자 서버(130)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광고 관리 서버(120)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표시한 광고의 광고 시청 기록을 광고 관리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예를 들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 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20)는 제어부(24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220)는 호 연결을 요청하는 입력, 호 연결 요청을 수락하거나 거절하는 입력, 호 연결을 종료하는 입력, 연결 정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20)는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20)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230)는 광고 컨텐츠 및 광고 시청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광고 시청 기록은 각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 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을 광고 대상으로 지정한 광고 컨텐츠일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예를 들어, 동영상 컨텐츠 또는 이미지 컨텐츠일 수 있다. 광고 컨텐츠 중 일부는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링크 광고 컨텐츠에 의한 광고의 목적물 및/또는 광고 컨텐츠의 광고주로의 연결 정보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광고의 목적물 및/또는 광고주와 관련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구동하는 운영체제(OS), 사용자에 의해 메모리부(230)에 저장되어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릿 또는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광고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응용프로그램, 및 사용자의 선호정보 등과 같은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으로서, 제어부(240) 등은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광고 컨텐츠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메모리부(23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성요소로서, CPU 프로세서 등과 같은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0)의 상태는 호 연결 대기 상태, 호 연결 상태, 호 연결 종료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된 사용자 단말기(110)의 상태에 따라 제어부(240)는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의 표시 후, 제어부(240)는 광고 시청 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에서, 통신부(210), 인터페이스부(220), 메모리부(230), 제어부(240)는 복수의 물리적인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물리적인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통신부(210), 인터페이스부(220), 메모리부(230), 제어부(240) 각각은 소프트웨어(software)를 이용하거나 펌웨어(firmware)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S310 단계에서,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상태가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310 단계는 통신부(210)가 호 연결 요청 신호를 발신하거나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상태가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10)가 호 연결 요청 신호를 발신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것을 의미하고, 통신부(210)가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S32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10)의 상태가 호 연결 대기 상태인 경우, 인터페이스부(220)는 호 연결 대기 시간 동안 광고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10)의 호 연결 대기용 영상을 표시하게 되면, 이러한 호 연결 대기용 영상 상에 제 1 광고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광고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을 광고 대상으로 지정한 광고 컨텐츠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영상 컨텐츠 또는 이미지 컨텐츠일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10)의 상태가 호 연결 상태로 변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호의 연결은 통신부(210)가 호 연결 요청 신호를 발신한 후에, 착신자가 호 연결 요청을 수락하거나, 통신부(210)가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후에 사용자가 호 연결 요청을 수락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가 호 연결 완료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상태가 호 연결 상태로 변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S34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10)의 상태가 호 연결 상태로 변하면(S420 단계), 인터페이스부(220)는 제 1 광고 컨텐츠의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제 1 광고 컨텐츠의 표시가 종료되면, 인터페이스부(220)는 호 연결 시 제공되는 통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S350 단계에서,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상태가 호 연결 종료 상태로 변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가 호 연결 종료 신호를 수신 또는 발신하면,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상태가 호 연결 종료 상태로 변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S36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10)의 상태가 호 연결 종료 상태로 변하면(S350 단계), 제어부(240)는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제 2 광고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광고 컨텐츠는 제 1 광고 컨텐츠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을 광고 대상으로 지정한 광고 컨텐츠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영상 컨텐츠 또는 이미지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제 2 광고 컨텐츠는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정보는 제 2 광고 컨텐츠에 의한 광고의 목적물 및/또는 제 2 광고 컨텐츠의 광고주로의 연결 정보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광고의 목적물 및/또는 광고주와 관련된 URL 주소,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2 광고 컨텐츠는 제 1 광고 컨텐츠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 2 광고 컨텐츠 및 제 1 광고 컨텐츠는 광고의 목적물 및/또는 광고주가 동일할 수 있다.
S37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220)는 제 2 광고 컨텐츠 중 연결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38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220)에 의해 수신된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정보에 기초한 연결은 광고의 목적물 및/또는 광고주와 관련된 URL 주소로의 인터넷 연결, 전화번호를 이용한 호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S320 및/또는 S360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광고 컨텐츠는 메모리부(230)에 기저장된 광고 컨텐츠 및/또는 실시간으로 다운로드되는 광고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고 컨텐츠 중 인터페이스부(220)에 표시되는 광고 컨텐츠는 임의로(random)로 결정되거나 소정의 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은 사용자의 선호정보, 각 광고 컨텐츠의 표시 빈도, 광고 관리 서버(120)에 의해 설정된 각 광고 컨텐츠의 표시 빈도의 우선순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40)는 광고 시청 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시청 기록은 각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 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시청 기록의 생성은 기존에 생성된 광고 시청 기록에 대한 부가 또는 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에 의해 생성된 광고 시청 기록은 통신부(210)에 의해 광고 관리 서버(12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송은 주기적 및/또는 비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360 단계 이후에, 소정의 시간 동안 인터페이스부(220)가 사용자로부터 연결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지 못하면, 제어부(240)는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제 2 광고 컨텐츠의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제 2 광고 컨텐츠의 표시가 종료되면, 인터페이스부(220)는 호 연결 종료 후에 제공되는 통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부(230)에 저장되는 광고 컨텐츠는 광고 관리 서버(120)로부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서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광고 관리 서버(120)는 통신부(410), 메모리부(420),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주기적 및/또는 비주기적으로 광고 관리 서버(120), 사용자 그룹 관리자 서버(130)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10)는 광고주 서버(140) 및/또는 광고 대행사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10)는 각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광고 시청 기록을 수신할 수 있으며, 광고 시청 기록으로부터 제어부(430)가 광고 시청 결과를 산출하면, 산출된 광고 시청 결과를 광고주 서버(140) 및/또는 사용자 그룹 관리자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예를 들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 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42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420)는 통신부(410)에 의해 수신되거나 광고 시청 기록 및 제어부(430)에 의해 산출된 광고 시청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420)는, 광고 관리 서버(120)를 구동하는 운영체제(OS), 사용자에 의해 메모리부(420)에 저장되어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릿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42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430)는 광고 관리 서버(120)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성요소로서, CPU 프로세서 등과 같은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30)는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10)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통신부(410)에 의해 광고 컨텐츠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 중 광고 컨텐츠가 광고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그룹 및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10)를 선택하여, 통신부(410)로 하여금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110)로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광고 시청 기록으로부터 광고 시청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시청 결과는 각 광고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 그룹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 관리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의 광고 시청 결과를 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의 광고 시청 동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시청 동향은 각각의 사용자 그룹 별로 전체 광고 컨텐츠, 각각의 광고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의 카테고리(예를 들어, 문화, 경제, 음식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그룹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의 수 등과 같은 사용자 그룹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통신부(410), 인터페이스부, 메모리부(420), 제어부(430)는 복수의 물리적인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물리적인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통신부(410), 인터페이스부, 메모리부(420), 제어부(430) 각각은 소프트웨어(software)를 이용하거나 펌웨어(firmware)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S510 단계에서, 통신부(410)는 광고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서, 제 1 광고 컨텐츠 및/또는 제 2 광고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은 광고주 서버(140) 및/또는 광고 대행사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제어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 중 S510 단계에서 수신된 광고 컨텐츠가 광고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그룹 및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10)를 선택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통신부(410)는 S520 단계에서 제어부(430)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10)로 광고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은 주기적 및/또는 비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상태가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거나 호 연결 종료 상태로 변하면 광고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S540 단계에서, 통신부(410)는 광고 시청 기록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은 광고 컨텐츠를 수신한 각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광고 시청 기록은 각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및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 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550 단계에서, 제어부(430)는 광고 시청 기록으로부터 사용자 그룹의 광고 시청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시청 결과는 각 사용자의 광고 시청 기록을 통계한 것으로서, 각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그룹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및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광고 시청 결과는 광고주 서버(140) 및/또는 사용자 그룹 관리자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고 관리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의 광고 시청 결과를 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의 광고 시청 동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시청 동향은 각각의 사용자 그룹 별로 전체 광고 컨텐츠, 각각의 광고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그룹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및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 및 광고 관리 서버(120)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110) 및 광고 관리 서버(120)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 및 광고 관리 서버(120)의 동작 방법은 유/무선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상기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면, 호 연결 대기 시간 동안 제 1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호 연결 상태로 변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상기 호 연결 상태로 변하면, 상기 제 1 광고 컨텐츠의 표시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고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을 광고 대상(target)으로 지정한 광고 컨텐츠인, 동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호 연결 종료 상태로 변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상기 호 연결 종료 상태로 변하면, 제 2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고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속한 상기 사용자 그룹을 광고 대상으로 지정한 광고 컨텐츠인, 동작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고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 2 광고 컨텐츠에 의한 광고의 목적물 및 상기 제 2 광고 컨텐츠의 광고주 중 적어도 하나로의 연결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고 컨텐츠 및 상기 제 2 광고 컨텐츠는 광고의 목적물 및 광고주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동작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고 컨텐츠 및 상기 제 2 광고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기저장된 광고 컨텐츠인, 동작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광고 컨텐츠 중 상기 제 1 광고 컨텐츠 및 상기 제 2 광고 컨텐츠는 임의로 결정되거나 소정의 기준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기준은 사용자의 선호정보, 각 광고 컨텐츠의 표시 빈도, 각 광고 컨텐츠의 표시 빈도의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고 컨텐츠 및 상기 제 2 광고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광고 시청 기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고 시청 기록은 각 광고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및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 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8. 광고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으로서,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 중 상기 광고 컨텐츠가 광고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그룹 및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거나 호 연결 종료 상태로 변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게 하는,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광고 시청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광고 시청 기록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그룹의 광고 시청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시청 기록은 각 광고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및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 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시청 결과는 각 광고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그룹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및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 각각의 광고 시청 결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의 광고 시청 동향을 생성하며, 상기 광고 시청 동향은 각각의 사용자 그룹 별로 전체 광고 컨텐츠, 각각의 광고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그룹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및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2. 사용자 단말기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을 광고 대상으로 지정한 제 1 광고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거나 호 연결 상태로 변하는지를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상기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면, 호 연결 대기 시간 동안 제 1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상기 호 연결 상태로 변하면, 상기 제 1 광고 컨텐츠의 표시를 종료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속한 상기 사용자 그룹을 광고 대상으로 지정한 제 2 광고 컨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호 연결 종료 상태로 변하는지를 감지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상기 호 연결 종료 상태로 변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제 2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14. 광고 관리 서버로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부를 참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 중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광고 컨텐츠가 광고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그룹 및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며,
    상기 광고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거나 호 연결 종료 상태로 변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게 하는, 광고 관리 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광고 시청 기록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광고 시청 기록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그룹의 광고 시청 결과를 산출하며,
    상기 광고 시청 기록은 각 광고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및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 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시청 결과는 각 광고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그룹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및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관리 서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 각각의 광고 시청 결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의 광고 시청 동향을 생성하며, 상기 광고 시청 동향은 각각의 사용자 그룹 별로 전체 광고 컨텐츠, 각각의 광고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그룹에게 시청된 빈도, 시간 및 연결 정보를 이용한 접속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관리 서버.
  17.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광고 컨텐츠가 광고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광고 관리 서버; 및
    다른 사용자 단말기와 함께 상기 사용자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광고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며, 호 연결 대기 상태로 변하거나 호 연결 종료 상태로 변하면 상기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30104182A 2013-08-30 2013-08-30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25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182A KR20150025958A (ko) 2013-08-30 2013-08-30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182A KR20150025958A (ko) 2013-08-30 2013-08-30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958A true KR20150025958A (ko) 2015-03-11

Family

ID=5302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4182A KR20150025958A (ko) 2013-08-30 2013-08-30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59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008B1 (ko) * 2015-03-19 2016-01-29 주식회사 에바인 노출 문구에 따른 예상 수신 결과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008B1 (ko) * 2015-03-19 2016-01-29 주식회사 에바인 노출 문구에 따른 예상 수신 결과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9453A1 (en) Capturing and Managing Web Page Content Items
JP6149319B2 (ja) パーソナル通信デバイスによるターゲットを絞った電子広告コンテンツを用いたユーザ認証のための方法および/またはシステム
US103058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US20170262891A1 (en) Telecommunications call augmentation system
US20120166520A1 (en) Determining Advertising Effectiveness Outside of a Social Networking System
KR101538278B1 (ko) 바이럴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9799A (ko)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광고자에게 높은 참여의 게시물 알림
KR20140047491A (ko) 봇을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US112760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argeted content across user channels
CN106209607B (zh) 订阅信息展示方法和装置
JP2016538662A (ja) オンライン・システムのユーザのカスタマイズされたグループに対する広告のターゲティング
JP2011513837A (ja) 標的とする広告の選択方法
WO20161095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viewing quality of media objects
US9792625B2 (en) Determining fraudulent indications of advertisement interaction based on identity
KR20150025958A (ko)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15005811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plaint documentation and resolution
TW201519132A (zh) 基於行動廣告之簡訊回饋方法及其系統
US201603507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ccess to advertisements on web pages
US9407595B2 (en) Method of notification by an inviter of an information on a page of an advertiser's server
WO2016079539A1 (en) Telecommunications call augmentation system
KR20130026604A (ko) 능동형 모바일 광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