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354A -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 - Google Patents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354A
KR20150025354A KR20130102934A KR20130102934A KR20150025354A KR 20150025354 A KR20150025354 A KR 20150025354A KR 20130102934 A KR20130102934 A KR 20130102934A KR 20130102934 A KR20130102934 A KR 20130102934A KR 20150025354 A KR20150025354 A KR 20150025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wdm
package
lens
light
capil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7430B1 (ko
Inventor
최영복
강창호
이광훈
Original Assignee
(주)파이버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이버피아 filed Critical (주)파이버피아
Priority to KR1020130102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43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은 외부로부터 광을 입사받고 상기 입사받은 광을 통과시키는 제1 캐필러리, 상기 캐필러리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입사받은 광을 직진시켜 통과시키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 렌즈를 통과한 광을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일부 광을 출력하고 필터링되지 않은 나머지 광을 반사하는 CWDM 필터, 상기 제1 CWDM 필터에서 출력한 상기 필터링된 일부 광을 직진시켜 통과시키는 제2 렌즈, 그리고 상기 제2 렌즈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2 렌즈를 통과한 광을 직진시켜 채널로 출력하는 제2 캐필러리를 포함하는 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패키지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CWDM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의 CWDM 패키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WDM 패키지가 아닌 다른 CWDM 패키지의 상기 CWDM 필터에서 반사된 상기 필터링되지 않은 나머지 광을 입력받는다. 이로 인해, CWDM 패키지들을 병렬 구조로 배치시킴으로써, CWDM 모듈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제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MULTI CHANEL 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MODULE}
본 발명은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에 관한 것이다.
고밀도 파장 분할 다중화(DWDM,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은 하나의 광케이블 상에서 여러 개의 빛 파장을 동시에 전송하는 광 전송 방식이고, 저밀도 파장 분할 다중화(CWDM, 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CDWM라 함)는 이더넷 스위치에서 분할된 파장별 기가비트 인터페이스를 집적/분기하는 방식이다.
CWDM은 광 케이블이 제공하는 범위 내에서 대역폭을 증가해 사용하고, 따라서 광 송신부에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LD, laser diode) 및 파장 분할 다중화에 사용되는 필터의 가격을 낮출 수 있음으로, 고밀도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의 경제적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CWDM 패키지를 복수개 구비하는 다채널 CWDM 모듈은 하나의 CWDM 패키지의 출력광을 인접하는 다른 CWDM 패키지에 입사시키도록 CWDM 패키지들을 배치시키고, 이때, 다채널 CWDM 모듈은 광 파이버를 이용하여 각각의 CWDM 패키지를 연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형성되는 다채널 CWDM 모듈의 경우 각각의 CWDM 패키지를 연결하는 광 파이버의 곡률반경으로 인해, 각각의 CWDM 패키지의 배치 간격을 일정 간격 이하로 좁게 배치할 수 없고, 이에 따라, 다채널 CWDM 모듈의 크기를 일정 크기 이하로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채널 CWDM 모듈의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 은 외부로부터 광을 입사받고 상기 입사받은 광을 통과시키는 제1 캐필러리, 상기 캐필러리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입사받은 광을 직진시켜 통과시키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 렌즈를 통과한 광을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일부 광을 출력하고 필터링되지 않은 나머지 광을 반사하는 CWDM 필터, 상기 제1 CWDM 필터에서 출력한 상기 필터링된 일부 광을 직진시켜 통과시키는 제2 렌즈, 그리고 상기 제2 렌즈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2 렌즈를 통과한 광을 직진시켜 채널로 출력하는 제2 캐필러리를 포함하는 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패키지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CWDM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의 CWDM 패키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WDM 패키지가 아닌 다른 CWDM 패키지의 상기 CWDM 필터에서 반사된 상기 필터링되지 않은 나머지 광을 입력받는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CWDM 패키지의 상기 CWDM 필터는 서로 다른 중심파장대로 상기 제1 렌즈를 통과한 광을 필터링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하나의 CWDM 패키지와 다른 하나의 CWDM 패키지는 180도 다른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다중화 CWDM 모듈은 복수개의 CWDM 패키지를 한 방향으로 구비하는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을 구비하고, 제1 그룹에 포함된 CWDM 패키지들은 제2 그룹에 포함된 CWDM 패키지들과 180도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1 그룹의 제1 패키지에 입사된 입사광은 제1 패키지에서 반사되어 제2 그룹의 제2 패키지로 입사되고, 제2 패키지에 입사된 입사광은 제2 패키지에서 반사되어 제1 그룹의 제3 패키지로 입사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으로 인해, 제1 및 제2 그룹의 제1 내지 제8 패키지들은 제1 내지 제8 채널을 통해 각각 광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8 패키지를 제1 및 제2 그룹으로 배치시키는 구조로 인해, 본 발명의 다중화 CWDM 모듈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제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10)은 복수개의 CWDM 패키지, 복수개의 광 파이버, 그리고 이의 외부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모듈 케이스(11)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CWDM 패키지는 제1 그룹(G1)에 속하는 제1 패키지(100), 제3 패키지(300), 제5 패키지(500) 그리고 제7 패키지(700)와, 제2 그룹(G2)에 속하는 제2 패키지(200), 제4 패키지(400), 제6 패키지(600) 그리고 제8 패키지(800)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8 패키지(100 내지 800) 각각은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CWDM, 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의 패키지로, 제1 패키지(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 패키지(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입사광을 제1 광 파이버(1)로부터 전달받아 통과시키는 제1 캐필러리(capillary)(110), 제1 캐필러리(110)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제1 캐필러리(110)를 통과한 입사광을 직진시켜 직진광을 출력하는 제1 렌즈(120), 제1 렌즈(120)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제1 렌즈(120)를 통과한 직진광을 CWDM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광을 출력하는 제1 CWDM 필터(filter)(130), 제1 CWDM 필터(130)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제1 CWDM 필터(130)에서 필터링된 필터링광을 모아 직진시켜 직진광을 출력하는 제2 렌즈(140), 그리고 제2 렌즈(140)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제2 렌즈(140)에서 출력된 직진광을 통과시켜 제1 채널(CH1)로 제1 출력광(2)을 출력하는 제2 캐필러리(150)를 구비한다.
제1 캐필러리(110)에 입력되는 입사광은 컴포트(com port)로부터 입사되는 광일 수 있다.
이때, 제1 CWDM 필터(130)는 제1 렌즈(120)를 통과한 직진광을 중심 파장으로부터 오차범위 2nm로 파장을 분할하여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직진광의 일부 광을 제2 렌즈(140) 방향으로 직진시킨다.
그리고 이때, 제1 CWDM 필터(130)는 필터링되지 않은 나머지 직진광을 반사시켜 제1 렌즈(120) 및 제1 캐필러리(110)를 통해 제2 광 파이버(21)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렌즈(120, 140)는 지-렌즈(G-lens)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패키지(100)는 제1 캐필러리(110), 제1 렌즈(120), 제1 CWDM 필터(130), 제2 렌즈(140) 및 제2 캐필러리(150) 외부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유리 재질의 케이스를 포함하여 일체형 구조를 갖고, 유리 재질의 케이스로 감싸진 제1 패키지(100)는 스테인리스(sus) 재질의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패키지(100)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본 발명의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10)은 제1 패키지(100)와 같은 구조를 갖는 CWDM 모듈을 복수개 구비한다.
한 예에서, 복수개의 제1 패키지(100)는 각각 제2 패키지(200), 제3 패키지(300), 제4 패키지(400), 제5 패키지(500), 제6 패키지(600), 제7 패키지(700), 그리고 제8 패키지(800)를 구비하여 8개의 패지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패키지(200)는 제1 캐필러리(210), 제1 렌즈(220), 제2 CWDM 필터(230), 제2 렌즈(240) 그리고 제2 캐필러리(250)를 구비한다.
제2 패키지(200)의 제1 캐필러리(210)는 제2 광 파이버(21)를 통해 제1 패키지(100)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입사받아 통과시킨다.
제2 패키지(200)에 입사되는 광은 제1 캐필러리(210)는 제1 패키지(100)의 제1 캐필러리(110)에서 출력된 직진광의 일부 광으로서, 제1 패키지(100)의 제1 CWDM 필터(130)에서 필터링 되지 않고 반사되어 제1 캐필러리(110)로 출력된 광이다.
즉, 제1 패키지(100)에서 반사된 일부 광이 제2 광 파이버(21)를 통해 제2 패키지(200)에 입사되게 된다.
제2 패키지(200)의 제1 캐필러리(210), 제1 렌즈(220), 제2 CWDM 필터(230), 제2 렌즈(240) 및 제2 캐필러리(250)는 제1 패키지(100)의 제1 캐필러리(110), 제1 렌즈(120), 제1 CWDM 필터(130), 제2 렌즈(140) 및 제2 캐필러리(150)와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제1 패키지(100) 및 제2 패키지(200)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므로, 제1 패키지(100)에서 출력된 광이 제2 광 파이버(21)를 통해 제2 패키지(200)로 입사되게 된다.
그리고, 제2 패키지(200)의 제2 캐필러리(250)는 제2 채널(CH2)로 제2 출력광(3)을 출력하고, 제2 CWDM 필터(230)에서 반사된 일부 광을 제3 광 파이버(31)로 출력한다.
그리고 이때, 제2 패키지(200)의 제2 CWDM 필터(230)의 필터링 범위 중심파장은 제1 패키지(100)의 제1 CWDM 필터(130)의 중심파장과 다른 파장값을 갖는다.
제3 패키지(300)는 제1 패키지(1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1 캐필러리(310), 제2 렌즈(320), 제3 CWDM 필터(330), 제2 렌즈(340) 및 제2 캐필러리(350)를 구비하며, 제2 패키지(200)로부터 출력된 광을 제3 광 파이버(31)를 통해 전달받아 제3 채널(CH3)로 제3 출력광(4)을 출력하고, 제3 CWDM 필터(330)에서 반사된 일부 광을 제4 광 파이버(41)로 출력한다.
제4 패키지(400)는 제2 패키지(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1 캐필러리(410), 제2 렌즈(420), 제4 CWDM 필터(430), 제2 렌즈(440) 및 제2 캐필러리(450)를 구비하며, 제3 패키지(300)로부터 출력된 광을 제4 광 파이버(41)를 통해 전달받아 제4 채널(CH4)로 제4 출력광(5)을 출력하고, 제4 CWDM 필터(430)에서 반사된 일부 광을 제5 광 파이버(51)로 출력한다.
제5 패키지(500)는 제1 패키지(100) 및 제3 패키지(3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1 캐필러리(510), 제2 렌즈(520), 제5 CWDM 필터(530), 제2 렌즈(540) 및 제2 캐필러리(550)를 구비하며, 제4 패키지(400)로부터 출력된 광을 제5 광 파이버(51)를 통해 전달받아 제5 채널(CH5)로 제5 출력광(6)을 출력하고, 제5 CWDM 필터(530)에서 반사된 일부 광을 제6 광 파이버(61)로 출력한다.
제6 패키지(600)는 제2 패키지(200) 및 제4 패키지(4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1 캐필러리(610), 제2 렌즈(620), 제6 CWDM 필터(630), 제2 렌즈(640) 및 제2 캐필러리(650)를 구비하며, 제5 패키지(500)로부터 출력된 광을 제6 광 파이버(61)로부터 전달받아 제6 채널(CH6)로 제6 출력광(7)을 출력하고, 제6 CWDM 필터(630)에서 반사된 일부 광을 제7 광 파이버(71)로 출력한다.
제7 패키지(700)는 제1 패키지(100), 제3 패키지(300) 및 제5 패키지(5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1 캐필러리(710), 제2 렌즈(720), 제7 CWDM 필터(730), 제2 렌즈(740) 및 제2 캐필러리(750)를 구비하며, 제6 패키지(600)로부터 출력된 광을 제6 광 파이버(61)로부터 전달받아 제7 채널(CH7)로 제7 출력광(8)을 출력하고, 제7 CWDM 필터(730)에서 반사된 일부 광을 제8 광 파이버(81)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8 패키지(800)는 제2 패키지(200), 제4 패키지(400) 및 제6 패키지(6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1 캐필러리(810), 제2 렌즈(820), 제8 CWDM 필터(830), 제2 렌즈(840) 및 제2 캐필러리(850)를 구비하며, 제7 패키지(700)로부터 출력된 광을 제8 광 파이버(81)로부터 전달받아 제8 채널(CH8)로 제8 출력광(9)을 출력한다.
제8 CWDM 필터(830)에서 반사된 일부 광은 제9 광 파이버(91)를 통과하고, 이때 제9 광 파이버(91)의 단부는 A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된다.
한 예에서, 제9 광 파이버(91)의 단부의 경사 A는 82°인 것이 좋다. A가 82°의 각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제9 광 파이버(91)에 입사된 제8 CWDM 필터(830)의 반사된 일부 광이 제9 광 파이버(91)의 단부에서 반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로 인해, 제8 CWDM 필터(830)에서 반사되어 제9 광 파이버(91) 내부로 인입된 광이 제8 CWDM 필터(830)로 다시 들어오지 않는다. 즉, 제8 CWDM 필터(830)에서 반사된 일부 광은 제9 광 파이버(91) 내부로 인입되고, 제9 광 파이버(91)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에 의해서 제8 CWDM 필터(830)로 반사되지 않는다.
도 2를 참고로 하는 다른 한 예에서, 제7 패키지(700)의 제7 CWDM 필터(730)에서 반사된 일부 광을 제8 광 파이버(81)를 통해 제8 출력광(9)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와 같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예에서, 제8 패키지(800)를 제외한 제2 패키지(200), 제4 패키지(400) 및 제6 패키지(600)만이 제2 그룹(G2)에 속하게 된다.
제1 CWDM 필터(130)와 제2 CWDM 필터(230)의 필터링 범위 중심파장이 서로 다른 파장값을 갖는다고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제3 CWDM 필터(330), 제4 CWDM 필터(430), 제5 CWDM 필터(530), 제6 CWDM 필터(630), 제7 CWDM 필터(730) 및 제8 CWDM 필터(830)는 모두 서로 다른 필터링 범위 중심파장을 갖는다.
제1 내지 제8 CDWM 필터(130, 230, 330, 430, 530, 630, 730, 830)은 서로 다른 필터링 범위의 중심파장값을 가짐으로 인해, 제1 내지 제8 채널(CH1, CH2, CH3, CH4, CH5, CH6, CH7, CH8)에 출력되는 제1 내지 제8 출력광(2, 3, 4, 5, 6, 7, 8, 9)는 서로 각각 다른 파장값을 갖게 된다.
그리고, 제1 그룹(G1)에 속하는 제1, 제3, 제5 및 제7 패키지(100, 300, 500, 700)는 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그룹(G2)에 속하는 제2, 제4, 제6 및 제8 패키지(200, 400, 600, 800)는 제1 그룹(G1)의 패키지들과 180도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각각 열(row) 방향으로 패키지를 구비하는 제1 및 제2 그룹(G1, G2)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위치함으로 인해, 제1 그룹(G1)의 패키지 중 어느 한 패키지에서 출력된 출력광이 제2 그룹(G2)의 패키지 중 어느 한 패키지에 입사광으로 입사되거나, 제2 그룹(G2)의 패키지 중 어느 한 패키지에서 출력된 출력광이 제1 그룹(G1)의 패키지 중 어느 한 패키지에 입사광으로 입사된다.
이로 인해, 복수개의 CWDM 패키지들이 제1 및 제2 그룹(G1, G2)으로 병렬로 정렬되어, 다채널CWDM 모듈(10)의 크기가 소형화 제작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8 패키지 및 제1 내지 제8 광 파이버의 외부를 감싸는 모듈 케이스(11)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은 제1 광 파이버(1), 제1 캐필러리(110), 제1 렌즈(120), 제2 광 파이버(21), 제1 캐필러리(210), 제1 렌즈(220), 제3 광 파이버(31), 제1 캐필러리(310), 제1 렌즈(320), 제4 광 파이버(41), 제1 캐필러리(410), 제1 렌즈(420), 제5 광 파이버(51), 제1 캐필러리(510), 제1 렌즈(520), 제6 광 파이버(61), 제1 캐필러리(610), 제1 렌즈(620), 제7 광 파이버(71), 제1 캐필러리(710), 제1 렌즈(720), 제8 광 파이버(81), 제1 캐필러리(810), 제1 렌즈(820), 제9 광 파이버(91)를 먼저 제작하고, 위의 구성요소를 배치한 후 나머지 요소들을 배치하여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10)을 제조한다.
이러한 순서로 구성요소들을 배치하여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10)을 제조함으로써,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컴포트를 통해 입사된 입사광은 제1 광 파이버(1)를 통해 제1 패키지(100)로 입사되고, 제1 캐필러리(110), 제1 렌즈(120)를 통과한 후, 제1 CWDM 필터(130)에서 필터링된다.
이때, 필터링된 일부 광은 제2 렌즈(140) 및 제2 캐필러리(150)를 통과하여제1 출력광(2)으로서 제1채널(CH1)로 출력되고, 필터링되지 않은 나머지 광은 제1 CWDM 필터(130)에서 반사되어 제1 렌즈(120) 및 제1 캐필러리(110)를 통해 제2 광 파이버(21)로 출력된다.
제2 광 파이버(21)로 출력된 광은 제2 패키지(200)의 제1 캐필러리(210)로 입사되어 제1 캐필러리(210) 및 제1 렌즈(220)를 통과하고, 제2 CWDM 필터(230)에서 필터링된 후, 제2 렌즈(240) 및 제2 캐필러리(250)를 통해 제2 출력광(3)으로서 제2 채널(CH2)로 출력된다.
이때, 제2 CWDM 필터(230)에서 필터링되지 않은 나머지 광은 제2 CWDM 필터(230)에서 반사되어 제1 렌즈(220) 및 제2 캐필러리(210)를 통해 제3 광 파이버(31)로 출력된다.
계속해서, 제3 광 파이버(31)를 통해 제3 패키지(300)에 입사된 광은 일부가 필터링되어 제3 출력광(4)으로서 제3 채널(CH3)로 출력되고, 필터링되지 않은 나머지 광은 제3 CWDM 필터(330)에서 반사되어 제4 광 파이버(41)로 출력된다.
그리고, 제4 광 파이버(41)를 통해 제4 패키지(400)에 입사된 광은 일부가필터링되어 제4 출력광(5)으로서 제4 채널(CH4)로 출력되고, 필터링되지 않은 나머지 광은 제4 CWDM 필터(430)에서 반사되어 제5 광 파이버(51)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제5 광 파이버(51)를 통해 제5 패키지(500)에 입사된 광은 제5 채널(CH5)에 일부(6) 출력되고 제6 광 파이버(61)로 일부 출력되며, 제6 광 파이버(61)를 통해 제6 패키지(600)에 입사된 광은 제6 채널(CH6)에 일부(7) 출력되고 제7 광 파이버(71)로 일부 출력된다.
마지막으로, 제7 광 파이버(71)를 통해 제7 패키지(700)에 입사된 광은 제7 채널(CH7)로 일부(7) 출력되고 제8 광 파이버(81)로 일부 출력되어, 제8 광 파이버(81)를 통해 제8 패키지(800)에 입사된 광은 제8 채널(CH 8)로 출력된다.
이로 인해, 컴포트로 인입된 입사광이 제1 내지 제8 패키지(100 내지 800)을 통해 제1 내지 제8 채널(CH1 내지 CH8)로 각각 출력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1, 31, 41, 51, 61, 71, 81 : 광 파이버
10 :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방식의 모듈 11 : 모듈 케이스
100 : 제1 케이스 110 : 제1 캐필러리
120 : 제1 렌즈 130 : 제1 CWDM 필터
140 : 제2 렌즈 150 : 제2 캐필러리

Claims (3)

  1. 외부로부터 광을 입사받고 상기 입사받은 광을 통과시키는 제1 캐필러리, 상기 캐필러리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입사받은 광을 직진시켜 통과시키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 렌즈를 통과한 광을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일부 광을 출력하고 필터링되지 않은 나머지 광을 반사하는 CWDM 필터, 상기 제1 CWDM 필터에서 출력한 상기 필터링된 일부 광을 직진시켜 통과시키는 제2 렌즈, 그리고 상기 제2 렌즈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2 렌즈를 통과한 광을 직진시켜 채널로 출력하는 제2 캐필러리를 포함하는 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패키지
    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CWDM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의 CWDM 패키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WDM 패키지가 아닌 다른 CWDM 패키지의 상기 CWDM 필터에서 반사된 상기 필터링되지 않은 나머지 광을 입력받는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
  2.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CWDM 패키지의 상기 CWDM 필터는 서로 다른 중심파장대로 상기 제1 렌즈를 통과한 광을 필터링하는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
  3. 제1항에서,
    상기 하나의 CWDM 패키지와 다른 하나의 CWDM 패키지는 180도 다른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
KR1020130102934A 2013-08-29 2013-08-29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 KR101567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934A KR101567430B1 (ko) 2013-08-29 2013-08-29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934A KR101567430B1 (ko) 2013-08-29 2013-08-29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354A true KR20150025354A (ko) 2015-03-10
KR101567430B1 KR101567430B1 (ko) 2015-11-11

Family

ID=5302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934A KR101567430B1 (ko) 2013-08-29 2013-08-29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43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229Y1 (ko) 2006-09-29 2007-01-12 에스인포텍(주) 8채널 저밀도파장분할다중화 수동형 광통신망장치
WO2009086686A1 (en) 2008-01-03 2009-07-16 Oplink Communications, Inc.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KR101236692B1 (ko) 2012-05-25 2013-02-22 (주)로코시스텍 파장선택장치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파장분할 광 스플리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430B1 (ko)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3537B2 (ja) 波長分割多重方式光通信用光源及び光通信システム
US11460641B2 (en) Free-space optical collimator
KR101285766B1 (ko) 양방향 광 송수신 모듈
US20160164625A1 (en) Distributed wave division multiplexing systems
FI77944C (fi) Optiskt vaoglaengds-multiplexsystem.
CN208477150U (zh) 一种光学密集波分复用模块
US9590759B1 (en) Bi-directional compact 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having a dispersionless bi-directional tap
KR20200059356A (ko) 멀티채널 양방향 광통신 모듈
US20160191192A1 (en) Assembly of standard dwdm devices for use on free-space multiport dwdm devices
US20130343699A1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demultiplexer with reduced physical dimension
US10725253B2 (en) Optical multiplexer/demultiplexer, optical subassembly, and optical module
JP2005070189A (ja) 光束多重通信用光リンク及び双方向光通信用光リンク
KR101567430B1 (ko) 다채널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모듈
CN101504474B (zh) 一种梳形带状滤波器
CN102208737A (zh) 可调谐多波长产生单元
CN203799055U (zh) 一种梳状滤波器
US6556743B2 (en) Optical signal add and drop apparatus
US20030108297A1 (en) High density integrated fiber optics add/drop modules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s
KR102426671B1 (ko) 다양한 싱글밴드 cwdm 패스 필터를 이용하여 구현된 듀얼 밴드 cwdm 패스 필터 모듈
CN115963606A (zh) 光接收组件及光模块
US10615883B1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module
KR102078391B1 (ko) 파장 다중화/역다중화 장치
CN202075525U (zh) 可调谐多波长产生单元
KR101886369B1 (ko) 광학 디먹스 모듈 및 광학 먹스 모듈
KR102041589B1 (ko) 파장다중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