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858A - 비대칭 lte 전개에서의 간섭 완화 - Google Patents

비대칭 lte 전개에서의 간섭 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858A
KR20150024858A KR1020147036561A KR20147036561A KR20150024858A KR 20150024858 A KR20150024858 A KR 20150024858A KR 1020147036561 A KR1020147036561 A KR 1020147036561A KR 20147036561 A KR20147036561 A KR 20147036561A KR 20150024858 A KR20150024858 A KR 20150024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b
victim
attacker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6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3226B1 (ko
Inventor
넝 왕
질레이 호우
지밍 구오
밍하이 펭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2/076346 external-priority patent/WO2013177780A1/en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2/07633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3177774A1/en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24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04J11/0056Inter-base st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B17/327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04J11/0059Out-of-cell use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04W52/244Interferences in heterogeneous networks, e.g. among macro and femto or pico cells or other sector / system interference [OS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비대칭 업링크(UL)/다운링크(DL) 슬롯 구성을 기반으로 겪은 간섭에 대한 간섭 완화 솔루션들이 개시된다. 공격자 네트워크 엔티티 송신들로부터의 간섭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이 식별되도록, 측정 또는 정적/반정적 수단을 사용하여 공격자/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이 식별된다. 충돌 슬롯들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지능적으로 완화하는 스케줄링을 협상하고 해결하도록 셀 간 간섭 조정(ICIC) 메커니즘들이 확장된다.

Description

비대칭 LTE 전개에서의 간섭 완화{INTERFERENCE MITIGATION IN ASYMMETRIC LTE DEPLOYMENT}
본 개시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대칭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전개에서의 간섭 완화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폭넓게 전개된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들은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대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례는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다. UTRAN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지원되는 3세대(3G) 모바일 전화 기술인 범용 모바일 전기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로서 정의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이다.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 포맷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네트워크들, 직교 FDMA(OFDMA: Orthogonal FDMA) 네트워크들 및 단일 반송파 FDMA(SC-FDMA: Single-Carrier FDMA)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다수의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 또는 노드 B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하고,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한다.
기지국은 다운링크를 통해 UE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업링크를 통해 UE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 상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은 인근 기지국들로부터의 또는 다른 무선 라디오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송신기들로부터의 송신들로 인한 간섭에 부딪힐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 UE로부터의 송신은 인근 기지국들과 통신하는 다른 UE들의 업링크 송신들로부터의 또는 다른 무선 RF 송신기들로부터의 간섭에 부딪힐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은 다운링크와 업링크 모두에 대한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모바일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요구가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UE들이 장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액세스하고 점점 더 많은 단거리 무선 시스템들이 커뮤니티들에 전개되는 것과 함께 간섭 및 병목(congested) 네트워크들의 가능성들이 커지고 있다. 연구 및 개발은 모바일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증가하고 있는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물론, 모바일 통신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발전 및 향상시키도록 계속해서 UMTS 기술들을 발전시키고 있다.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들은 비대칭 UL/DL 슬롯 구성에 기반한 간섭에 대한 간섭 완화 솔루션들에 관련된다. 이러한 간섭에 접하게 되면, 공격자 네트워크 엔티티 송신들로부터의 간섭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이 식별되도록, 측정 또는 정적/반정적 수단을 사용하여 공격자/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이 식별된다. 다음에, 충돌 슬롯들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지능적으로 완화하는 스케줄링을 협상하고 해결하도록 셀 간 간섭 조정(ICIC: Inter 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메커니즘들이 확장된다.
본 개시의 한 양상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연관된 상태 품질 측정들을 공격자 진화형 nodeB(eNB: evolved nodeB)에 의해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을 기초로 비대칭 업링크(UL: uplink)/다운링크(DL: downlink) 슬롯들로부터의 간섭을 받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상기 eNB에 의해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간섭의 완화와 관련된다.
본 개시의 추가 양상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피해자 eNB에서 공격자 eNB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피해자 eNB에서의 간섭을 나타내는 송신 상태들을 표시함 ―, 및 상기 피해자 eNB에 의해, 상기 간섭을 완화하도록 상기 피해자 eNB와 연관된 송신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추가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연관된 상태 품질 측정들을 공격자 eNB에 의해 획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을 기초로 비대칭 UL/DL 슬롯들로부터의 간섭을 받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상기 eNB에 의해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간섭의 완화와 관련된다.
본 개시의 추가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는 피해자 eNB에서 공격자 eNB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피해자 eNB에서의 간섭을 나타내는 송신 상태들을 표시함 ―, 및 상기 피해자 eNB에 의해, 상기 간섭을 완화하도록 상기 피해자 eNB와 연관된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추가 양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갖는다. 이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연관된 상태 품질 측정들을 공격자 eNB에 의해 획득하게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을 기초로 비대칭 UL/DL 슬롯들로부터의 간섭을 받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상기 eNB에 의해 식별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간섭의 완화와 관련된다.
본 개시의 추가 양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갖는다. 이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피해자 eNB에서 공격자 eNB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피해자 eNB에서의 간섭을 나타내는 송신 상태들을 표시함 ―, 및 상기 피해자 eNB에 의해, 상기 간섭을 완화하도록 상기 피해자 eNB와 연관된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추가 양상에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연관된 상태 품질 측정들을 공격자 eNB에 의해 획득하고,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을 기초로 비대칭 UL/DL 슬롯들로부터의 간섭을 받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상기 eNB에 의해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간섭의 완화와 관련된다.
본 개시의 추가 양상에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피해자 eNB에서 공격자 eNB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피해자 eNB에서의 간섭을 나타내는 송신 상태들을 표시함 ―, 그리고 상기 피해자 eNB에 의해, 상기 간섭을 완화하도록 상기 피해자 eNB와 연관된 송신들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업링크 LTE/-A 통신들의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시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ed) 분할을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기지국/eNB 및 UE의 설계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2개의 이웃하는 eNB들에 대한 타임 슬롯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한 양상을 구현하도록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UE들의 공격자/피해자 쌍을 예시하는 블록도들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공격자 eNB와 피해자 eNB 사이의 제어 시그널링을 예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공격자 및 피해자 UE 세트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분할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eNB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 의도되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대상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이 모든 경우에 요구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경우들에는 제시의 명확함을 위해,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는 점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와 "시스템"이라는 용어들은 흔히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전기 통신 산업 협회(TIA: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의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기술은 광대역 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 기술은 전자 산업 협회(EIA: Electronics Industry Alliance)와 TIA로부터의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포함한다. TDMA 네트워크는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진화형 UTRA(E-UTRA: Evolved 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A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기술 및 E-UTRA 기술은 범용 모바일 전기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및 LTE 어드밴스드(LTE-A: LTE-Advanced)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더 최신 릴리스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무선 네트워크들 및 무선 액세스 기술들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 및 무선 액세스 기술들에도 사용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이러한 기술들의 특정 양상들은 아래에서 (대안으로 "LTE/-A"로 함께 지칭되는) LTE 또는 LTE-A에 대해 설명되며, 아래 설명의 대부분에서 이러한 LTE/-A 용어를 사용한다.
도 1은 LTE-A 네트워크일 수도 있는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100)를 보여준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다수의 진화형 노드 B(eNB)들(11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eNB는 UE들과 통신하는 스테이션(station)일 수 있으며, 또한 기지국,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각각의 eNB(110)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3GPP에서, "셀"이라는 용어는 그 용어가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eNB의 이러한 특정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그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eNB 서브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eNB는 매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또는 다른 타입들의 셀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 셀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넓은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반경 수 킬로미터)을 커버하며 네트워크 제공자에 서비스 가입들을 한 UE들에 의한 무제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피코 셀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더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것이며 네트워크 제공자에 서비스 가입들을 한 UE들에 의한 무제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펨토 셀은 또한 일반적으로, 비교적 작은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집)을 커버할 것이며, 무제한 액세스 외에도, 펨토 셀과의 연관을 갖는 UE들(예를 들어,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 내의 UE들, 집에 있는 사용자들에 대한 UE들 등)에 의한 제한적 액세스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 셀에 대한 eNB는 매크로 eNB로 지칭될 수도 있다. 피코 셀에 대한 eNB는 피코 eNB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리고 펨토 셀에 대한 eNB는 펨토 eNB 또는 홈 eNB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eNB들(110a, 110b, 110c)은 각각 매크로 셀들(102a, 102b, 102c)에 대한 매크로 eNB들이다. eNB(110x)는 피코 셀(102x)에 대한 피코 eNB이다. 그리고 eNB들(110y, 110z)은 각각 펨토 셀들(102y, 102z)에 대한 펨토 eNB들이다. eNB는 하나 또는 다수(예를 들어, 2개, 3개, 4개 등)의 셀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동기 동작 또는 비동기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동기 동작의 경우, eNB들은 비슷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eNB들로부터의 송신들이 대략 시간 정렬될 수 있다. 비동기 동작의 경우, eNB들은 서로 다른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eNB들로부터의 송신들이 시간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다.
UE들(120)은 무선 네트워크(100) 전역에 분산되며, 각각의 UE는 고정적일 수도 있고 또는 이동할 수도 있다. UE는 또한 단말, 이동국,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UE는 셀룰러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코드리스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등일 수 있다. UE는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펨토 eNB들, 중계기들 등과 통신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이중 화살표들이 있는 실선은 UE와 서빙 eNB 간의 원하는 송신들을 나타내는데, 서빙 eNB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를 통해 UE를 서빙하도록 지정된 eNB이다. 이중 화살표들이 있는 점선은 UE와 eNB 간의 간섭 송신들을 나타낸다.
LTE/-A는 다운링크에 대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를 그리고 업링크에 대해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화(SC-FDM: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를 이용한다. OFDM 및 SC-FDM은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K개)의 직교 부반송파들로 분할하며, 이러한 부반송파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톤들, 빈들 등으로도 지칭된다. 각각의 부반송파는 데이터와 함께 변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벌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OFDM에 의해 그리고 시간 도메인에서는 SC-FDM에 의해 전송된다. 인접한 부반송파들 간의 간격은 고정적일 수 있으며, 부반송파들의 총 개수(K)는 시스템 대역폭에 좌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K는 1.4, 3, 5, 10, 15 또는 20 메가헤르츠(㎒)의 대응하는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72, 180, 300, 600, 900 또는 1200과 같을 수 있다. 시스템 대역폭은 또한 부대역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대역은 1.08㎒를 커버할 수 있으며, 1.4, 3, 5, 10, 15 또는 20㎒의 대응하는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 2, 4, 8 또는 16개의 부대역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LTE/-A에 사용되는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다운링크에 대한 송신 타임라인은 무선 프레임들의 단위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예를 들어, 10 밀리초(㎳))을 가질 수 있고 0 내지 9의 인덱스들을 갖는 10개의 서브프레임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0 내지 19의 인덱스들을 갖는 20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L개의 심벌 기간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규 주기적 프리픽스에 대한 7개의 심벌 기간들 또는 확장된 주기적 프리픽스에 대한 6개의 심벌 기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2L개의 심벌 기간들에는 0 내지 2L-1의 인덱스들이 할당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시간 주파수 자원들은 자원 블록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자원 블록은 하나의 슬롯에서 N개의 부반송파들(예를 들어, 12개의 부반송파들)을 커버할 수 있다.
LTE/-A에서, eNB는 eNB의 각각의 셀에 대한 일차 동기 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이차 동기 신호(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 일차 동기 신호 및 이차 동기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 주기적 프리픽스를 갖는 각각의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0과 서브프레임 5 각각의 심벌 기간 6과 심벌 기간 5에서 각각 전송될 수 있다. 동기 신호들은 셀 검출 및 포착을 위해 UE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eNB는 서브프레임 0의 슬롯 1의 심벌 기간 0 내지 심벌 기간 3에서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전송할 수 있다. PBCH는 특정 시스템 정보를 전달(carry)할 수 있다.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eNB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심벌 기간에서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CFICH: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을 전송할 수 있다. PCFICH는 제어 채널들에 사용되는 심벌 기간들의 수(M)를 전달할 수 있으며, 여기서 M은 1, 2 또는 3과 같을 수 있고 서브프레임마다 다를 수 있다. M은 또한 예를 들어, 10개 미만의 자원 블록들을 갖는 작은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서는 4와 같을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M = 3이다. eNB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처음 M개의 심벌 기간들에서 물리적 HARQ 표시자 채널(PHICH: 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및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전송할 수 있다. PDCCH 및 PHICH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처음 3개의 심벌 기간들에 포함된다. PHICH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HARQ)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PDCCH는 UE들에 대한 자원 할당에 관한 정보 및 다운링크 채널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eNB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심벌 기간들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전송할 수 있다. PDSCH는 다운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된 UE들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도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제어 섹션, 즉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심벌 기간에 PHICH 및 PDCCH를 전송하는 것 외에도, LTE-A는 또한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부분들에서도 이들 제어 지향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 예를 들어 중계-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R-PDCCH: Relay-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중계-물리적 HARQ 표시자 채널(R-PHICH: Relay-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을 이용하는 이러한 새로운 제어 설계들은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뒤의 심벌 기간들에 포함된다. R-PDCCH는 반이중 중계 동작의 맥락에서 원래 개발된 데이터 영역을 이용하는 새로운 타입의 제어 채널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처음 여러 개의 제어 심벌들을 점유하는 레거시 PDCCH 및 PHICH와는 상이하게, R-PDCCH 및 R-PHICH는 데이터 영역으로서 원래 지정된 자원 엘리먼트(RE: resource element)들에 맵핑된다. 새로운 제어 채널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시분할 다중화(TDM), 또는 FDM과 TDM의 결합의 형태일 수 있다.
eNB는 eNB에 의해 사용되는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 1.08㎒에서 PSS, SSS 및 PBCH를 전송할 수 있다. eNB는 PCFICH와 PHICH가 전송되는 각각의 심벌 기간에서 전체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이러한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다. eNB는 시스템 대역폭의 일정(certain) 부분들에서 UE들의 그룹들에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eNB는 시스템 대역폭의 특정 부분들에서 특정 UE들에 PDSCH를 전송할 수 있다. eNB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모든 UE들에 PSS, SSS, PBCH, PCFICH 및 PHICH를 전송할 수도 있고,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특정 UE들에 PDCCH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또한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특정 UE들에 PDSCH를 전송할 수도 있다.
각각의 심벌 기간에서 다수의 자원 엘리먼트들이 이용 가능할 수 있다. 각각의 자원 엘리먼트는 하나의 심벌 기간에 하나의 부반송파를 커버할 수 있고 실수 또는 복소수 값일 수 있는 하나의 변조 심벌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심벌 기간에서 기준 신호에 사용되지 않는 자원 엘리먼트들은 자원 엘리먼트 그룹(REG: resource element group)들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REG는 하나의 심벌 기간에 4개의 자원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PCFICH는 심벌 기간 0에서 주파수에 걸쳐 대략 균등한 간격을 둘 수 있는 4개의 REG들을 점유할 수 있다. PHICH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수의 구성 가능한 심벌 기간들에서 주파수에 걸쳐 확산될 수 있는 3개의 REG들을 점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HICH에 대한 3개의 REG들이 모두 심벌 기간 0에 속할 수 있거나 심벌 기간 0, 심벌 기간 1 및 심벌 기간 2로 확산될 수도 있다. PDCCH는 처음 M개의 심벌 기간들에서 이용 가능한 REG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 9개, 18개, 32개 또는 64개의 REG들을 점유할 수 있다. REG들의 특정 결합들만이 PDCCH에 대해 허용될 수도 있다.
UE는 PHICH와 PCFICH에 사용되는 특정 REG들을 알 수도 있다. UE는 PDCCH에 대한 REG들의 서로 다른 결합들을 탐색할 수 있다. 탐색할 결합들의 수는 일반적으로 PDCCH에 대해 허용된 결합들의 수보다 적다. eNB는 UE가 탐색할 결합들 중 임의의 결합에서 UE에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UE는 다수의 eNB들의 커버리지 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eNB들 중 하나가 UE를 서빙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서빙 eNB는 수신 전력, 경로 손실, 신호대 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들을 기초로 선택될 수 있다.
도 3은 업링크 롱 텀 에볼루션(LTE/-A) 통신들에서의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300)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업링크에 대한 이용 가능한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들은 데이터 섹션과 제어 섹션으로 나뉠 수 있다. 제어 섹션은 시스템 대역폭의 2개의 에지들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성 가능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어 섹션의 자원 블록들은 제어 정보의 송신을 위해 UE들에 할당될 수 있다. 데이터 섹션은 제어 섹션에 포함되지 않는 모든 자원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설계는 인접한 부반송파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섹션을 발생시키며, 이는 단일 UE에 데이터 섹션의 인접한 부반송파들 전부가 할당되게 할 수도 있다.
eNB에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UE에 제어 섹션의 자원 블록들이 할당될 수 있다. eNodeB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UE에 또한 데이터 섹션의 자원 블록들이 할당될 수도 있다. UE는 제어 섹션의 할당된 자원 블록들(310a, 310b) 상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UE는 데이터 섹션의 할당된 자원 블록들(320a, 320b) 상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서 데이터만 또는 데이터와 제어 정보 모두를 전송할 수 있다. 업링크 송신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의 두 슬롯들 모두에 걸칠 수 있으며 주파수에 걸쳐 호핑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100)는 다양한 세트의 eNB들(110)(즉,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펨토 eNB들 및 중계기들)을 사용하여 단위 면적당 시스템의 스펙트럼 효율을 향상시킨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자신의 스펙트럼 커버리지에 이러한 서로 다른 eNB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100)는 또한 이종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도 있다. 매크로 eNB들(110a-c)은 보통 무선 네트워크(100)의 제공자에 의해 신중히 계획되어 배치된다. 매크로 eNB들(110a-c)은 일반적으로 강한 전력 레벨들(예를 들어, 5W - 40W)로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상당히 더 낮은 전력 레벨들(예를 들어, 100㎽ - 2W)로 전송하는 피코 eNB(110x)는 매크로 eNB들(110a-c)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커버리지 홀들을 없애고 핫스팟들의 용량을 개선하기 위한, 비교적 무계획적인 방식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100)로부터 독립적으로 전개되는 펨토 eNB들(110y-z)은 그럼에도, 이들의 관리자(들)에 의해 허가된다면 무선 네트워크(100)에 대한 잠재적 액세스 포인트로서, 또는 적어도 무선 네트워크(100)의 다른 eNB들(110)과 통신하여 자원 조정 및 간섭 관리의 조정을 수행할 수 있는, 액티브 상태인 인식 eNB로서 무선 네트워크(100)의 커버리지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펨토 eNB들(110y-z)은 또한 일반적으로 매크로 eNB들(110a-c)보다 상당히 더 낮은 전력 레벨들(예를 들어, 100㎽ - 2W)로 전송한다.
무선 네트워크(100)와 같은 이종 네트워크의 동작에서, 각각의 UE는 보통 더 양호한 신호 품질을 갖는 eNB(110)에 의해 서빙되는 반면, 다른 eNB들(110)로부터 수신되는 원치 않는 신호들은 간섭으로 취급된다. 이러한 동작 원리들은 상당히 차선의 성능을 초래할 수 있지만, eNB들(110) 사이의 지능적인 자원 조정, 더 양호한 서버 선택 전략들, 및 효율적인 간섭 관리를 위한 더 고급 기술들을 사용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네트워크 성능의 이득들이 실현된다.
피코 eNB(110x)와 같은 피코 eNB는 매크로 eNB들(110a-c)과 같은 매크로 eNB와 비교할 때 상당히 더 낮은 송신 전력을 특징으로 한다. 피코 eNB는 또한 대개 무선 네트워크(100)와 같은 네트워크 주위에 애드 혹 방식으로 배치될 것이다. 이러한 무계획적인 전개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100)처럼 피코 eNB 배치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들은 낮은 신호대 간섭 상태들을 갖는 넓은 영역들을 가질 것으로 예상될 수 있으며, 이는 커버리지 영역 또는 셀의 에지에 있는 UE들("셀 에지" UE)로의 제어 채널 송신들에 대해 더욱 어려운 RF 환경을 초래할 수 있다. 더욱이, 매크로 eNB들(110a-c)과 피코 eNB(110x)의 송신 전력 레벨들 간의 잠재적으로 큰 격차(예를 들어, 대략 20㏈)는 혼합된 전개에서 피코 eNB(110x)의 다운링크 커버리지 영역이 매크로 eNB들(110a-c)의 다운링크 커버리지 영역보다 훨씬 더 작을 것임을 암시한다.
그러나 업링크의 경우, 업링크 신호의 신호 세기는 UE에 의해 통제되며, 따라서 이는 임의의 타입의 eNB들(110)에 의해 수신될 때 유사할 것이다. 거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eNB들(110)에 대한 업링크 커버리지 영역에 대해, 채널 이득들을 기초로 업링크 핸드오프 경계들이 결정될 것이다. 이는 다운링크 핸드오버 경계들과 업링크 핸드오버 경계들 간의 불일치를 초래할 수 있다. 추가 네트워크 시설들 없이, 이러한 불일치는 서버 선택 또는 eNB에 대한 UE의 연관을, 다운링크 및 업링크 핸드오버 경계들이 더 근접하게 매칭되는 매크로 eNB 전용 이종 네트워크에서보다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더 어렵게 할 것이다.
서버 선택이 대개 다운링크 수신 신호 세기를 기초로 한다면, 무선 네트워크(100)와 같은 이종 네트워크들의 혼합된 eNB 전개의 유용성이 크게 약화될 것이다. 이는 매크로 eNB들(110a-c)과 같은 더 강한 전력의 매크로 eNB들의 더 넓은 커버리지 영역이 셀 커버리지를 피코 eNB(110x)와 같은 피코 eNB들로 나누는 이득들을 제한하기 때문인데, 이는 매크로 eNB들(110a-c)의 더 강한 다운링크 수신 신호 세기는 이용 가능한 UE들 전부를 끌어당기는데 반해, 피코 eNB(110x)는 자신의 훨씬 더 약한 다운링크 송신 전력 때문에 어떠한 UE도 서빙하지 못하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매크로 eNB들(110a-c)은 이러한 UE들을 효과적으로 서빙하기에 충분한 자원들을 갖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100)는 피코 eNB(110x)의 커버리지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매크로 eNB들(110a-c)과 피코 eNB(110x) 간의 로드를 적극적으로 밸런싱하고자 하는 시도를 할 것이다. 이 개념은 셀 범위 확대(CRE: cell range extension)로 지칭된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서버 선택이 결정되는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CRE를 달성한다. 서버 선택을 다운링크 수신 신호 세기를 기초로 하는 대신, 선택은 다운링크 신호의 품질을 더 기초로 한다. 이러한 하나의 품질 기반 결정에서, 서버 선택은 UE에 최소 경로 손실을 제공하는 eNB의 결정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추가로, 무선 네트워크(100)는 매크로 eNB들(110a-c)과 피코 eNB(110x) 간 자원들의 고정 분할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능동적인 로드 밸런싱에도 불구하고, 피코 eNB(110x)와 같은 피코 eNB들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에 대해서는 매크로 eNB들(110a-c)로부터의 다운링크 간섭이 완화되어야 한다. 이는 UE에서의 간섭 제거, eNB들(110) 사이의 자원 조정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와 같은, 셀 범위 확대가 이루어진 이종 네트워크에서는, 매크로 eNB들(110a-c)과 같은 더 강한 전력의 eNB들로부터 전송되는 더 강한 다운링크 신호들의 존재시, UE들이 피코 eNB(110x)와 같은 더 낮은 전력의 eNB들로부터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 피코 eNB(110x)는 매크로 eNB들(110a-c) 중 우세하게 간섭하는 eNB들과의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간섭 조정에 관여한다. 간섭 조정을 위한 많은 다른 기술들이 간섭을 관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채널(co-channel) 전개에서 셀들로부터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셀 간 간섭 조정(ICIC)이 사용될 수 있다. 한 가지 ICIC 메커니즘은 적응적 자원 분할이다. 적응적 자원 분할은 서브프레임들을 특정 eNB들에 할당한다. 제 1 eNB에 할당된 서브프레임들에서, 인근 eNB들은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eNB에 의해 서빙되는 UE가 경험하는 간섭이 감소된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들 모두에 대해 서브프레임 할당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가지 종류들의 서브프레임들: 보호 서브프레임들(U 서브프레임들)과 금지 서브프레임들(N 서브프레임들)과 공통 서브프레임들(C 서브프레임들) 사이에 서브프레임들이 할당될 수 있다. 보호 서브프레임들은 제 1 eNB에 의한 독점적 사용을 위해 제 1 eNB에 할당된다. 보호 서브프레임들은 또한 이웃하는 eNB들로부터의 간섭 부재를 기초로 "클린(clean)" 서브프레임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금지 서브프레임들은 이웃 eNB에 할당되는 서브프레임들이며, 제 1 eNB는 금지 서브프레임들 동안 데이터 전송이 금지된다. 예를 들어, 제 1 eNB의 금지 서브프레임은 제 2 간섭 eNB의 보호 서브프레임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eNB는 제 1 eNB의 보호 서브프레임 동안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일한 eNB이다. 다수의 eNB들에 의한 데이터 송신을 위해 공통 서브프레임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공통 서브프레임들은 또한 다른 eNB들로부터의 간섭 가능성 때문에 "언클린(unclean)" 서브프레임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기간마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 서브프레임이 정적으로 할당된다. 어떤 경우들에는, 단 하나의 보호 서브프레임이 정적으로 할당된다. 예를 들어, 기간이 8 밀리초라면, 매 8 밀리초 동안 eNB에 하나의 보호 서브프레임이 정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서브프레임들은 동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적응적 자원 분할 정보(ARPI: adaptive resource partitioning information)는 비-정적으로 할당된 서브프레임들이 동적으로 할당되게 한다. 보호, 금지 또는 공통 서브프레임들 중 임의의 서브프레임이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각각 AU 서브프레임, AN 서브프레임, AC 서브프레임). 동적 할당들은 예를 들어, 매 100 밀리초 또는 그 미만과 같이 빠르게 변화할 수 있다.
이종 네트워크들은 서로 다른 전력 등급들의 eNB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소하는 전력 등급으로,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및 펨토 eNB들로서 3개의 전력 등급들이 정의될 수 있다. 동일 채널 전개에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및 펨토 eNB들이 있을 때, 매크로 eNB(공격자 eNB)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PSD: power spectral density)는 피코 eNB 및 펨토 eNB(피해자 eNB들)의 PSD보다 더 클 수 있어, 피코 eNB 및 펨토 eNB와 상당량들의 간섭을 생성한다. 피코 eNB들 및 펨토 eNB들과의 간섭을 감소 또는 최소화하기 위해 보호 서브프레임들이 사용될 수 있다. 즉, 공격자 eNB에 대한 금지 서브프레임과 부합하도록 피해자 eNB에 대해 보호 서브프레임이 스케줄링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시분할 다중화(TDM) 분할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블록들의 첫 번째 행은 펨토 eNB에 대한 서브프레임 할당들을 나타내고, 블록들의 두 번째 행은 매크로 eNB에 대한 서브프레임 할당들을 나타낸다. eNB들 각각은 정적 보호 서브프레임을 갖는데, 이 동안 다른 eNB는 정적 금지 서브프레임을 갖는다. 예를 들어, 펨토 eNB는 서브프레임 0의 금지 서브프레임(N 서브프레임)에 대응하여 서브프레임 0에 보호 서브프레임(U 서브프레임)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매크로 eNB는 서브프레임 7의 금지 서브프레임(N 서브프레임)에 대응하여 서브프레임 7에 보호 서브프레임(U 서브프레임)을 갖는다. 서브프레임 1 - 서브프레임 6은 보호 서브프레임들(AU), 금지 서브프레임들(AN) 및 공통 서브프레임들(AC) 중 어느 하나로서 동적으로 할당된다. 서브프레임 5와 서브프레임 6에 동적으로 할당된 공통 서브프레임들(AC) 동안, 펨토 eNB와 매크로 eNB 모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공격자 eNB들은 전송이 금지되기 때문에 (U/AU 서브프레임들과 같은) 보호 서브프레임들은 감소된 간섭 및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다. (N/AN 서브프레임들과 같은) 금지 서브프레임들은 피해자 eNB들이 낮은 간섭 레벨들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기 위해 데이터 송신이 없다. (C/AC 서브프레임들과 같은) 공통 서브프레임들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인근 eNB들의 수에 좌우되는 채널 품질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인근 eNB들이 공통 서브프레임들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다면, 공통 서브프레임들의 채널 품질은 보호 서브프레임들보다 더 낮을 수 있다. 공통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채널 품질은 또한 공격자 eNB들에게 강하게 영향을 받는 셀 범위 확대(CRE) UE들에 대해 더 낮을 수 있다. CRE UE는 제 1 eNB에 속할 수 있지만, 또한 제 2 eNB의 커버리지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펨토 eNB 커버리지의 범위 한계 근처에 있는 매크로 eNB와 통신하는 UE가 CRE UE이다.
LTE/-A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간섭 관리 방식은 저속 적응형 간섭 관리이다. 간섭 관리에 이러한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스케줄링 간격들보다 훨씬 더 큰 시간 스케일들에 걸쳐 자원들이 협상되어 할당된다. 이러한 방식의 목표는 시간 또는 주파수 자원들 전부에 걸쳐 전송 eNB들과 UE들 전부에 대해, 네트워크의 총 효용을 최대화하는 송신 전력들의 결합을 찾는 것이다. "효용"은 사용자 데이터 레이트들,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플로우들의 지연들, 및 공평성 메트릭들의 함수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최적화를 해결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전송 엔티티들 전부를 제어하는 중앙 엔티티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엔티티는 항상 실현 가능하거나 심지어 바람직한 것은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대안적인 양상들에서는, 특정 세트의 노드들로부터의 채널 정보를 기초로 자원 사용 결정들을 수행하는 분산형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저속 적응형 간섭 알고리즘은 중앙 엔티티를 사용하거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엔티티들의 다양한 세트들에 대해 알고리즘을 분산시킴으로써 전개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와 같은 이종 네트워크들의 전개들에서, UE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간섭 eNB들로부터의 강한 간섭을 UE가 관찰할 수 있는 우세 간섭 시나리오에서 동작할 수 있다. 우세 간섭 시나리오는 제한된 연관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UE(120y)는 펨토 eNB(110y)에 가까울 수도 있고 eNB(110y)에 대한 강한 수신 전력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UE(120y)는 제한된 연관으로 인해 펨토 eNB(110y)에 액세스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고, 그래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크로 eNB(110c)에 또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더 낮은 수신 전력을 갖는 펨토 eNB(110z)에 또한 접속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UE(120y)는 다운링크 상에서 펨토 eNB(110y)로부터의 강한 간섭을 관찰할 수 있고, 또한 업링크 상에서 eNB(110y)에 강한 간섭을 일으킬 수도 있다. 조직화된(coordinated) 간섭 관리를 이용하여, eNB(110c) 및 펨토 eNB(110y)는 자원들을 협상하기 위해 백홀(134)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협상에서, 펨토 eNB(110y)가 자신의 채널 자원들 중 하나의 채널을 통한 송신을 중단하는데 동의하며, 그에 따라 UE(120y)가 그 동일한 채널을 통해 eNB(110c)와 통신할 때와 같이 그렇게 많은 간섭을 UE(120y)가 펨토 eNB(110y)로부터 경험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우세 간섭 시나리오에서 UE들에서 관찰되는 신호 전력의 불일치들 외에도, UE들과 다수의 eNB들 사이의 상이한 거리들 때문에 동기 시스템들에서조차 다운링크 신호들의 타이밍 지연들이 또한 UE들에 의해 관찰될 수 있다. 동기 시스템의 eNB들은 시스템에 걸쳐 추정적으로 동기화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매크로 eNB로부터 5㎞의 거리에 있는 UE를 고려하면, 그 매크로 eNB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다운링크 신호들의 전파 지연이 약 16.67㎲(5㎞ ÷ (3 × 108), 즉 광속 'c') 지연될 것이다. 매크로 eNB로부터의 그 다운링크 신호를 훨씬 더 가까운 펨토 eNB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와 비교하면, 타이밍 차는 유지 시간(TTL: time-to-live) 에러의 레벨에 가까울 수 있다.
추가로, 이러한 타이밍 차는 UE에서 간섭 제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간섭 제거는 흔히 동일 신호의 다수의 버전들의 결합 사이의 상호 상관 특성들을 이용한다. 신호의 각각의 사본 상에는 간섭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는 동일 위치에 있을 가능성은 없을 것이므로, 동일 신호의 다수의 사본들을 결합함으로써 간섭이 더 쉽게 식별될 수 있다. 결합된 신호들의 상호 상관을 이용하면, 실제 신호 부분이 결정되고 간섭과 구별될 수 있어, 간섭이 제거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기지국들/eNB들 중 하나 그리고 UE들 중 하나일 수 있는 기지국/eNB(110)와 UE(120)의 설계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제한적 연관 시나리오의 경우, eNB(110)는 도 1의 매크로 eNB(110c)일 수 있고, UE(120)는 UE(120y)일 수 있다. eNB(110)는 또한 다른 어떤 타입의 기지국일 수도 있다. eNB(110)는 안테나들(534a-534t)을 구비할 수 있고, UE(120)는 안테나들(552a-552r)을 구비할 수 있다.
eNB(110)에서, 송신 프로세서(520)는 데이터 소스(512)로부터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프로세서(54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PBCH, PCFICH, PHICH, PDCCH 등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데이터는 PDSCH 등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520)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처리(예를 들어, 인코딩 및 심벌 맵핑)하여 데이터 심벌들 및 제어 심벌들을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520)는 또한 예를 들어, PSS, SSS 및 셀 특정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TX)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프로세서(530)는, 적용 가능하다면 데이터 심벌들, 제어 심벌들 및/또는 기준 심벌들에 대한 공간 처리(예를 들어, 프리코딩)를 수행할 수 있고, 변조기들(MOD들; 532a-532t)에 출력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532)는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각각의 출력 심벌 스트림을 처리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532)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추가 처리(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 변환)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변조기들(532a-532t)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534a-534t)을 통해 각각 전송될 수 있다.
UE(120)에서, 안테나들(552a-552r)은 eNB(110)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 신호들을 복조기들(DEMOD들; 554a-554r)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554)는 각각의 수신 신호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 변환 및 디지털화)하여 입력 샘플들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554)는 (예를 들어, OFDM 등에 대한) 입력 샘플들을 추가 처리하여 수신 심벌들을 획득할 수 있다. MIMO 검출기(556)는 모든 복조기들(554a-554r)로부터 수신 심벌들을 획득할 수 있고, 적용 가능하다면 수신 심벌들에 MIMO 검출을 수행하여, 검출된 심벌들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558)는 검출된 심벌들을 처리(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여, UE(120)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56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580)에 제공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 UE(120)에서는 송신 프로세서(564)가 데이터 소스(562)로부터의 (예를 들어, PUSCH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580)로부터의 (예를 들어, PUCCH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564)는 또한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564)로부터의 심벌들은 적용 가능하다면 TX MIMO 프로세서(566)에 의해 프리코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SC-FDM 등을 위해) 복조기들(554a-554r)에 의해 추가 처리되어 eNB(1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eNB(110)에서는, UE(120)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UE(120)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이 안테나들(534)에 의해 수신되고, 변조기들(532)에 의해 처리되며, 적용 가능하다면 MIMO 검출기(536)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 프로세서(538)에 의해 추가 처리될 수 있다. 프로세서(538)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539)에 그리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54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들/프로세서들(540, 580)은 각각 eNB(110) 및 UE(120)에서의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eNB(110)에서 제어기/프로세서(54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과 모듈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에 관한 다양한 프로세스들의 실행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UE(120)에서 제어기/프로세서(58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과 모듈들은 또한 도 8과 도 9에 예시된 기능 블록들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에 관한 다른 프로세스들의 실행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들(542, 582)은 각각 eNB(110) 및 UE(120)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스케줄러(544)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을 위해 UE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시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들에서는, 실시간 UL/DL 트래픽 로드에 적응 가능한 동적/반동적(semi-dynamic) UL/DL 타임 슬롯 구성들이 스펙트럼 이용을 개선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인식된다. 도 6은 2개의 이웃하는 eNB들에 대한 타임 슬롯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매크로 eNB는 제 1 타임 슬롯 구성을 사용하여 매크로 송신 프레임(600)에서 정보를 전송한다. 이웃하는 피코 eNB는 다른 제 2 타임 슬롯 구성을 사용하여 피코 송신 프레임(601)에서 정보를 전송한다. 서로 다른 타임 슬롯 구성들은, 피코 송신 프레임(601)이 DL 타임 슬롯을 작동시키는 동안 매크로 송신 프레임(600)은 UL 타임 슬롯을 작동시키도록, 상충하는 타임 슬롯들을 생성한다. 그러나 이웃하는 셀들에서, 예컨대 타임 슬롯들(602, 603)에서 서로 다른 DL/UL 타임 슬롯 구성은, eNB의 DL 동작들이 이웃하는 셀들의 UE UL 수신에 간섭을 야기하는 eNB들 간(eNB-to-eNB) 간섭을 비롯하여 다양한 간섭 문제들을 초래할 수 있다. eNB의 송신 전력은 UE의 송신 전력보다 상당히 더 강할 수 있기 때문에, DL 동작들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은 무시해도 될 정도가 아니다. UE들 간(UE-to-UE) 간섭은 또한 상충하는 DL/UL 타임 슬롯들을 야기할 수도 있다. UE들 간 간섭에서, UE UL 송신은 이웃하는 셀들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의 UE DL 수신에 간섭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간섭은 UE들이 서로 가깝다면 매우 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은 UE들 간 그리고 eNB들 간 간섭 처리 모두에 대한 간섭 완화 솔루션들을 제안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한 양상을 구현하도록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블록(700)에서, UL/DL 간섭을 받는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공격자/피해자 세트가 식별된다. 선택된 양상들에서 공격자/피해자 eNB들의 세트가 식별되는 한편, 다른 선택된 양상들에서는 공격자/피해자 UE들의 세트가 식별된다. 이동성 관리를 목적으로, UE들은 현재 서빙 및 이웃하는 셀들의 물리적 링크를 측정하여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reference signal receive power)/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reference signal receive quality)을 네트워크에 보고한다. 서로 다른 셀들의 경로 손실 및 신호 세기의 UE 측정은 서로 다른 셀들에서 잠재적 공격자/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 세트를 분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운영, 관리 및 유지(OAM: operation, administrative, and maintenance)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적/반정적 구성에서 eNB의 간섭 세트들이 또한 식별될 수도 있다.
블록(701)에서, 공격자/피해자 세트의 eNB들 사이에서 제어 시그널링이 전송된다. LTE ICIC는 X2 인터페이스와 같은 백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eNB들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는 셀 간 간섭 처리를 위한 다양한 제어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 시그널링은 상대적 협대역 송신 전력(RNTP: relative narrowband transmit power), 오버로드 표시자(OI: overload indicator) 및 강한 간섭 표시자(HII: high interference indicator)를 포함한다. RNTP 정보는 일반적으로 이웃 eNB들에 전송된다. 이 정보는 다운링크의 물리적 자원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마다 1 비트를 포함하는데, 이는 해당 PRB 상의 송신 전력이 주어진 임계치보다 더 클지 여부를 표시한다. 따라서 RNTP를 수신하는 이웃 eNB들은 어느 대역들이 더 심한 간섭을 겪을 것인지를 예상하여, UE들로부터의 CQI 보고들에 의존하기보다는 즉시 정확한 스케줄링 결정들을 내릴 수 있다. eNB들이 사전 대책으로 RNTP 메시지들을 전송하지만, eNB에 의해 업링크 방향에서의 강한 간섭이 검출되면 OI 표시자가 트리거된다. eNB는, UE들이 잠재적으로 이러한 강한 간섭의 소스인 이웃 eNB들에 OI를 전송할 것이다. OI 메시지는 또한 PRB마다 저조, 중간 또는 강력의 간섭 레벨 표시를 포함한다. UL 송신들에 대한 HII는 DL에 대한 RNTP 메시지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이웃하는 eNB들이 가까운 미래에 강한 간섭 전력을 예상해야 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1 비트가 PRB마다 존재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셀 에지 UE들에 할당된 PRB들이 표시된다. 핸드오버 측정 보고들의 일부로서의 RSRP 측정들이 또한 셀 에지 UE들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비슷한 방식으로, 이 표시자는 주파수 분할 방식에 사용되는 대역들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블록(701)을 참조하면, UE들 간 간섭을 해결하기 위한 양상들에서, 공격자 UE를 서빙하는 eNB가 피해자 UE를 서빙하는 eNB에 X2 간섭을 통해 HII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eNB들 간 간섭을 해결하기 위한 양상들에서, 공격자 eNB는 사전 대책으로, 사용되는 RB들 그리고 또한 이들의 상대적 송신 전력을 식별하는 RNTP를 피해자 eNB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RB들에서 강한 간섭을 겪게 되면, 피해자 eNB는 공격자 eNB에 반응적으로 OI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 있다.
블록(702)에서, 전송된 제어 시그널링에 응답하여 송신 특성들이 조정된다. 예를 들어, 공격자 eNB로부터 RNTP 메시지 수신시, 피해자 eNB는 미사용 또는 저조한 간섭의 RB들 상에 UL 트래픽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더욱이, 피해자 eNB로부터 OI 메시지들의 수신시, 공격자 eNB는 대응하는 RB들의 DL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RNTP 및 OI 메시지들의 전달을 통해, 공격자 eNB와 피해자 eNB가 송신 전력을 협상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70)의 일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예시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70)의 일부는 커버리지 영역(806)을 정의하는 매크로 eNB(MeNB: macro eNB)(800), 피코 커버리지 영역(807)을 정의하는 피코 eNB(PeNB: pico eNB)(801), 그리고 커버리지 영역(808)을 정의하는 MeNB(805)를 포함한다. MUE(803), PUE(802) 그리고 MUE(804)인 3개의 UE들이 커버리지 영역들(806-808) 중 하나의 영역 내에 로케이팅된다. MeNB(800), PeNB(801) 그리고 MeNB(805)에 대해 타임 슬롯 구성들이 서로 달라, UL/DL 타임 슬롯들(예를 들어, 도 6으로부터의 서브프레임들(602 또는 603))에 비대칭성을 야기한다. 따라서 동일한 타임 슬롯 동안, MUE(803)는 MeNB(800)로의 UL에 대해 스케줄링되는 한편, PUE(802)는 PeNB(801)로부터의 DL에 대해 스케줄링되고, MUE(804)는 MeNB(805)로의 UL에 대해 스케줄링된다. MUE들(803, 804)로부터 스케줄링된 UL 통신들은 PeNB(801)로부터 PUE(802)로의 DL 통신에 관해 간섭을 발생시킨다. MUE(803)는 MUE(804)보다 상대적으로 PUE(802)에 가깝기 때문에, MUE(803)로부터 PUE(802)로의 DL 간섭이 훨씬 더 강하다. 더욱이, PeNB(801)로부터의 DL 통신은 또한 MUE(803, 804)로부터의 각자의 UL 통신들을 수신하는 MeNB들(800, 805)과의 간섭을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선택된 양상들은 PUE(802)와 MUE들(803-804)의 UL/DL 타임 슬롯들의 비대칭성에 의해 야기되는 UE들 간 간섭을 완화하는 것에 관련된다. 본 개시의 추가 양상들은 PeNB(801)와 MeNB들(800, 805)의 UL/DL 비대칭성에 의해 야기되는 eNB들 간 간섭을 완화하는 것에 관련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E들은 현재 그리고 이웃하는 셀들의 물리적 링크를 측정하여 RSRP/RSRQ를 네트워크에 보고한다. 도 9a와 도 9b는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UE들의 공격자/피해자 쌍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9a와 도 9b에서, eNB(902)는 UE(900)에 대한 서빙 eNB이고, eNB(903)는 UE(901)에 대한 서빙 eNB이다.
도 9a와 도 9b에 예시된 본 개시의 첫 번째 예시적인 양상에서, UL/DL 타임 슬롯들의 비대칭성은 피해자 UE(901)에 대한 간섭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UL/DL 비대칭성은 공격자 UE(900)로부터 eNB(902)로의 UL 송신으로 인해 eNB(903)로부터 피해자 UE(901)로의 DL 송신에 대해 간섭을 발생시킨다.
보통의 이동성 관리 측정들의 과정에서는, 공격자 UE(900)가 eNB(902), 자신의 서빙 eNB, 그리고 eNB(903)까지의 자신의 경로 손실을 측정하여, 자신의 서빙 eNB, eNB(902), 그리고 eNB(903)와 같은 이웃하는 eNB들에 상태 품질 측정들을 전송한다. 도 9b에서는, 피해자 UE(901)가 eNB(903), 자신의 서빙 eNB, 그리고 eNB(902)까지의 자신의 경로 손실을 측정하여, 상태 품질 측정들을 자신의 서빙 eNB, eNB(903)에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태 품질 측정들을 eNB(902)와 같은 이웃하는 eNB들로 UE가 또한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서빙 eNB(903)가 중계할 수도 있다. 다양한 상태 품질 측정들을 측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측정 셋업을 기반으로, 공격자/피해자 UE들은 이들의 서빙 셀들 그리고 가능하게는 이들의 이웃하는 셀들까지의 이들의 경로 손실 측정들을 보고하도록 요구된다. 이러한 상태 품질 측정 보고들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는 공격자 및 피해자에 대한 경로 손실들이 비슷한 잠재적 공격자/피해자 UE 세트를 분류/식별할 수 있다. 더 정확한 식별을 하기 위해, 공격자/피해자 UE들의 서빙 셀들은 동기/반동기 방식으로 측정을 구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경로 손실 측정들을 수신하여, 피해자 UE(901)로부터 eNB(903)까지의 경로 손실이 공격자 UE(900)로부터 eNB(903)까지의 경로 손실에 가깝거나 그 미만이고 결합된 경로 손실 측정들이 피해자 UE(901)에 대한 공격자 UE(900)의 근접성을 나타내면, 피해자 UE(901)는 피해자이고 공격자 UE(900)는 공격자라고 결정한다. 이러한 조건들이 충족되면, 네트워크는 공격자/피해자 UE 세트를 식별할 수 있다.
도 9a와 도 9b에 예시된 본 개시의 두 번째 예시적인 양상에서, UL/DL 타임 슬롯들의 비대칭성은 피해자 eNB(902)에 대한 간섭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UL/DL 비대칭성은 공격자 eNB(903)로부터 UE(901)로의 DL 송신으로 인해 피해자 eNB(902)에서 공격자 UE(900)로부터의 UL에 대해 간섭을 발생시킨다.
UE가 RSRP/RSRQ, 경로 손실 등과 같은 다양한 상태 품질 측정들을 하도록 구성되면, 이러한 상태 품질 측정 결과들은 공격자/피해자 eNB 세트 식별에 이용될 수 있다. UE(901)로부터 공격자 eNB(903)까지의 경로 손실이 UE(900)로부터 피해자 eNB(903)까지의 경로 손실에 가깝거나 그 미만이고 결합된 경로 손실 측정들이 UE(901)에 대한 UE(900)의 근접성을 나타내면, 네트워크는 피해자 eNB(902)는 피해자이고 공격자 eNB(903)는 공격자라고 결정한다. eNB(902, 903)와 같은 eNB들은 또한 경로 손실과 같은 비슷한 상태 품질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슷한 상태들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는 공격자 eNB와 잠재적 피해자 eNB 간의 관련된 경로 손실 측정들을 고려해 eNB들의 공격자/피해자 세트를 결정한다. 이러한 조건들이 충족되면, 네트워크는 공격자/피해자 eNB 세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 결과들은 또한, 공격자/피해자 eNB 세트들을 결정하도록 이러한 상태 품질 측정들에 대해 구성된 UE들이 없는 셀들과 공유될 수 있다. 낮은 경로 손실을 갖는 eNB들은 공격자/피해자 쌍으로서 카테고리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양상들에서, DL이 잠재적 공격자 UE UL 통신에 의해 심하게 간섭을 받고 있는 피해자 UE를 식별하기 위한 추가 방법은 이중 CQI 보고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중 CQI 보고 능력은 현재 LTE 표준들에 존재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UE는 UE들 간 간섭을 겪을 수 있는 시간 패턴 그리고 UE들 간 간섭을 거의 또는 전혀 겪지 않는 시간 패턴에 대응하는 2가지 타입들의 CQI를 보고하도록 구성된다. UE 이중 CQI 보고가 CQI들 간의 상당한 차를 나타낸다면, UE는 다른 UE로부터 간섭을 겪고 있을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비대칭 DL/UL 구성으로 인해 간섭이 없는 타임 슬롯들에 스케줄링되어야 한다.
공격자/피해자 eNB 세트의 식별은 공격자 eNB 송신 동안 네트워크가 eNB 간 간섭 조정 및 협력적 스케줄링 메커니즘을 적용하게 한다. 비대칭 DL/UL 구성 기반 eNB들 간 간섭에 관해 앞서 설명한 측정 기반 솔루션 외에도, 운영, 관리 및 유지(OAM) 인터페이스, 자기 조직화 네트워크(SON: self-organizing network), 또는 공격자/피해자 eNB 세트를 식별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통해 정적/반정적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 추가로 주목되어야 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공격자 eNB(1000)와 피해자 eNB(1001) 사이의 제어 시그널링을 예시하는 타이밍도이다. 전환 주기가 시작되면, 시점(1002)에서 공격자 eNB(1000)가 피해자 eNB(1001)와 같은 임의의 피해자 eNB들을 식별하는 개루프 전력 설정 프로세스가 시작된다. 다음에, 공격자 eNB(1000)는 식별된 피해자 eNB들과의 초기 송신 전력의 협상을 시작할 수 있다. 시점(1003)에서, 공격자 eNB(1000)는 자신의 경로 손실을 측정하고 그 결과들을 전환 타임 슬롯 패턴들 및 시작 시간들과 함께 피해자 eNB(1001)에 전송한다. 경로 손실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시점(1004)에서 피해자 eNB(1001)가 자신의 로딩 및 간섭 레벨을 공격자 eNB(1000)에 전송한다. 시점(1005)에서, 공격자 eNB(1000)는 피해자 eNB(1001)에서 겪은 간섭 및 피해자 eNB(1001)까지의 경로 손실에 대한 자신의 측정을 기초로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초기 송신 전력은 피해자 eNB(1001)의 UL 수신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선택된다.
다음에, 셀 간 간섭 조정을 이용하는 폐루프 전력 조정 프로세스가 시작될 수 있다. 공격자 eNB(1000)는 사전 대책으로 시점(1006)에서, 공격자 eNB(1000)가 사용할 예정인 RB들 그리고 사용한다면, 이들의 상대적 송신 전력을 식별하는 RNTP 메시지를 피해자 eNB(1001)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다음에, 피해자 eNB(1001)는 RNTP 메시지를 사용하여, 어느 대역이 더 심한 간섭을 가질지를 예측하고 그 더 심한 대역들에 관해 지능적으로 스케줄링 결정들을 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해자 eNB(1001)는 미사용 RB들 또는 저조한 간섭을 갖는 RB들 상에 UL 트래픽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피해자 eNB(1001)가 이웃하는 eNB들에 의해 서빙되고 있는 UE들에 대한 UE 송신들을 기초로 RB들에서 간섭을 검출하면, 피해자 eNB(1001)는 시점들(1007, 1008)에서 OI 메시지들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다음에, 공격자 eNB(1000)는 OI 메시지들 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RB들 상에서 UL 송신들을 다시 스케줄링하거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간섭 UE들에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에 따르면, RNTP 및 OI를 기반으로 한 송신 전력 협상이 요구에 따라 교환될 수 있고, 이러한 신호들에 대한 응답들이 공격자 eNB(1000)의 송신 전력의 조정을 야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로딩의 동적 교환, 사용자 기하학적 구조 등을 사용하여 간섭이 완화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공격자 UE(1100) 및 피해자(1103) 세트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에서, eNB(1101)는 UE(1100)에 대한 서빙 eNB이고, eNB(1102)는 UE(1103)에 대한 서빙 eNB이다. 더욱이, eNB(1101)와 eNB(1102)는 X2 인터페이스(1104)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도 11에서, 네트워크는 eNB(1102)로부터의 피해자 UE(1103) DL 수신에 대해 강한 간섭을 야기하는 공격자 UE(1100)로부터 eNB(1101)로의 UL 송신들을 식별한다. 이러한 공격자/피해자 세트가 식별된다면, 공격자 UE(1100)의 서빙 셀인 eNB(1101)에 대한 ICIC 메커니즘의 HII 표시가 피해자 UE(1103)와 같은 피해자 UE들을 서빙하는 이웃하는 셀들인 eNB(1102)로 확대될 수 있다. eNB(1101)는 백홀 X2 인터페이스(1104)를 통해 eNB(1102)에 HII 통보(1105)를 전송한다. eNB(1101)로부터 HII 통보(1105)의 수신시, eNB(1102)는 그러한 간섭하는 RB들 동안 다른 UE들을 스케줄링하거나, UE들 간 간섭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다른 주파수 또는 RB에서 피해자 UE(1103)를 서빙할 수 있다.
비대칭 UL/DL 기반 UE들 간 또는 eNB들 간 간섭이 존재하는 셀들 간의 제어 시그널링에 응답하여 송신 특성들을 조정할 때, 간섭의 영향을 완화하도록 특정 스케줄링이 이용될 수도 있다. UE들 간 간섭 시나리오들에서는, 피해자 UE들에 대한 강한 UE들 간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공격자의 서빙 eNB가 충돌 타임 슬롯들에서 잠재적 공격자들의 스케줄링을 피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공격자 UE들로부터의 강한 UE들 간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피해자 UE의 서빙 eNB들이 충돌 타임 슬롯들에서 잠재적 피해자 UE들의 스케줄링을 피할 수도 있다.
eNB들 간 간섭 시나리오들에서는,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스케줄링 메커니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분할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충돌 슬롯들에서는, 공격자 eNB(1200)의 송신 정보가 피해자 eNB(1201)의 송신 정보와 관련하여 주파수에 따라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격자 eNB(1200)는 슬롯 에지들(1202, 1204)의 주파수들에는 공통 기준 신호들(CRS: common reference signals)만 스케줄링한다. DL 송신을 위한 데이터는 슬롯 중앙(1203)의 중심 주파수들에 스케줄링된다. 피해자 eNB(1201)에 대한 대응하는 슬롯은 슬롯 에지들(1205, 1206)의 주파수들에서 UL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스케줄링되었다. 슬롯 중앙(1203)에 대응하는, 피해자 eNB(1201)의 슬롯의 슬롯 중앙(1206)의 주파수들은 아무런 송신 정보도 없이 스케줄링된다. 이에 따라, 스케줄링된 충돌 슬롯들은 대응하는 주파수들에서 충돌하는 전송된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시분할 다중화(TDM) 구성들에서, 공격자/피해자 eNB 세트들은 DL/UL 송신들을 TDM 방식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해자 eNB들 UL로부터의 UL 송신들과 관련하여, 피해자 eNB에서 DL에 대한 ACK/NACK를 제공하기 위한 PUCCH 메시지들로 인해 충돌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ACK/NACK UL PUCCH 송신들에서 가능한 간섭을 극복하기 위해, HARQ 타임라인이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솔루션은 현재 송신 표준들에 대한 변경들을 필요로 할 것이다. 다른 잠재적 솔루션은 앞서 도 12에 관해 예시 및 설명한 바와 같이, FDM 접근 방식에 따라 ACK/NACK 송신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일 수 있다.
공격자 eNB들로부터의 DL 송신들과 관련하여, 공격자 eNB들이 상태 품질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는 피코 eNB들인 경우, 공격자 피코 eNB는 피해자 eNB들에 대한 UL 그랜트 정보를 동적으로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정보를 사용해 송신들을 스케줄링하여 충돌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대안으로, DL/UL TDM 분할을 사용하여 반정적 솔루션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양상에서, 매크로 eNB가 그 트래픽/로드 상태들을 기초로 UL 송신에 상충하는 서브프레임이 사용될지 여부를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코 eNB에 주기적으로 통보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양상에서는, 공격자 피코 eNB가 매크로 eNB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상충하는 DL 서브프레임을 거의 빈 서브프레임(ABS: almost blank subframe)으로서 구성한다. ABS 서브프레임들은 일반적으로 어떠한 트래픽 채널들도 전송하지 않으며, 대개 매우 낮은 전력을 갖는 제어 채널 프레임들이다. 거의 빈 자원들은 아주 작은 데이터 트래픽 간섭에 사용될 수 있는 ABS 서브프레임들 중 이용 가능한 자원들이다. 여전히 추가 양상들에서, 피해자 eNB는 상충하는 UL 서브프레임에 공백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은 비대칭 UL/DL 상충 슬롯들로 인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어떠한 특정 스케줄링으로도 제한되지 않는다.
도 13은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예시적인 eNB(110)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eNB(110)는 메모리(542)에 저장된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eNB(110)의 특징들 및 기능을 작동시키는 제어기/프로세서(540)를 포함한다. 제어기/프로세서(540)는 또한 이러한 특징들을 구현하는 eNB(11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제어한다. eNB(110)가 공격자 eNB인 경우, 안테나들(534a-t)을 통해 수신되어, 변조기/복조기들(532a-t)에서 복조되고, 수신 프로세서(538)에서 처리된 신호들이 메모리(542)에 저장된 공격자/피해자 알고리즘(1300)을 실행하는 제어기/프로세서(540)에 의해 분석된다. 공격자/피해자 알고리즘(1300)은 신호 측정들을 분석하여, 비대칭 UL/DL 슬롯 구성들로부터의 간섭을 겪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eNB들을 결정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과 동작들의 결합은 공격자 eNB에 의해 비대칭 UL/DL 슬롯들로부터의 간섭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피해자 eNB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피해자 eNB가 식별되었다면, 현재 수신 품질 정보가 안테나들(534a-t), 변조기/복조기들(532a-t), 수신 프로세서(538)를 통해 수신되어 제어기/프로세서(540)에 의해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과 동작들의 결합은 적어도 하나의 피해자 eNB로부터 수신된 현재 수신 품질 정보를 기초로 초기 송신 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제어기/프로세서(540)는 메모리(542) 내의 제어 시그널링 애플리케이션(1301)에 액세스함으로써 RNTP와 같은 제어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신호들은 이후, 변조기/복조기들(532a-t)에서 변조되어 안테나들(534a-t)을 통해 전송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과 동작들의 결합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RB들 및 초기 송신 전력을 식별하는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공격자 eNB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피해자 eNB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피해자 eNB로서의 동작시, eNB(110)는 안테나들(534a-t), 변조기/복조기들(532a-t) 및 수신 프로세서(538)를 통해 공격자 eNB로부터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540)는 공격자 eNB가 제어 시그널링에 포함시켰던 식별된 RB들 및 초기 송신 전력을 판독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과 동작들의 결합은 공격자 eNB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RB들 및 초기 송신 전력을 식별하는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공격자 eNB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제어기/프로세서(540)는 제어 시그널링 및 식별된 송신 RB들에 대한 식별된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더 낮은 간섭을 겪거나 제어 시그널링에서 식별된 대응하는 송신 RB들을 피하는 RB들에 업링크 송신들을, 스케줄러(544)를 이용해 스케줄링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과 동작들의 결합은 피해자 eNB에 의해 서빙되고 있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UE들을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RB들과의 간섭을 완화하도록 업링크 송신에 대해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추가 양상들에서, 공격자 UE를 서빙하는 것으로 구성된 경우, eNB(110)는 안테나들(534a-t)을 통해 상태 품질 측정들(1302)을 수신하며, 이들은 변조기/복조기들(532a-t)에 의해 복조되고, 수신 프로세서(538)에서 처리되어 메모리(542)에 저장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과 동작들의 결합은 eNB에서, eNB에 의해 서빙되는 공격자 UE로부터 그리고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웃하는 eNB들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UE들로부터 상태 품질 측정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추가 양상에서, 다음에 제어기/프로세서(540)는 메모리(542)에 저장된 공격자/피해자 알고리즘(1300)을 실행하여 상태 품질 측정들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공격자/피해자 알고리즘(1300)의 결과들은 이웃하는 셀들에서 서빙되는 피해자 UE들을 식별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과 동작들의 결합은 상태 품질 측정들을 기초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UE들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피해자 UE들이 식별되면, eNB(110)는 제어기/프로세서(540)의 제어 하에, 메모리(542)에 저장된 제어 신호 애플리케이션(1301)에 액세스하여 이웃하는 셀들에 대한 제어 신호, 예컨대 HII를 발생시킨다. 제어기/프로세서(540)는 제어 신호를 이웃하는 셀들에 전송하는데, 먼저 변조기/복조기들(532a-t)에서 신호를 변조한 다음, 안테나들(534a-t)을 통해 전송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과 동작들의 결합은 공격자 UE에 할당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업링크 RB들과 연관된 예상되는 강한 간섭을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웃하는 eNB들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eNB(110)가 피해자 UE들 중 하나를 서빙하는 이웃하는 eNB로서 동작하는 경우, 제어 신호들이 안테나들(534a-t)에 수신되어, 변조기/복조기들(532a-t)에서 복조되고, 수신 프로세서(538)에서 처리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과 동작들의 결합은 eNB에서, 공격자 UE를 서빙하는 서빙 eNB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며, 여기서 제어 신호는 공격자 UE에 할당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업링크 RB들과 연관된, 서빙 eNB에 의해 예상되는 강한 간섭을 표시한다.
제어기/프로세서(540)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스케줄러(544)에 사용하여, 제어기/프로세서(540)의 제어 하에, eNB(110)가 서빙하고 있는 UE들을 공격자 UE의 업링크 송신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다운링크 간섭을 완화하도록 스케줄링한다. 스케줄러(544)로부터의 스케줄링 신호들은 제어기/프로세서(540)의 제어 하에 타깃 UE들로 전송되는데, 이는 먼저 변조기/복조기들(532a-t)에서 신호들을 변조한 다음, 안테나들(534a-t)을 통해 전송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과 동작들의 결합은 eNB에서 서빙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UE들을,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UE들에서 공격자 UE로부터의 업링크 송신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을 완화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다른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고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명령어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벌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파들, 자기 필드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 필드들 또는 광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7의 기능 블록들 및 모듈들은 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하드웨어 디바이스들, 전자 컴포넌트들, 로직 회로들, 메모리들, 소프트웨어 코드들, 펌웨어 코드들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추가로,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고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각종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좌우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특정 애플리케이션마다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되거나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예시적인 설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와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나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상기의 설명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임의의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실시할 수 있게 하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시들 및 설계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따르는 것이다.

Claims (52)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연관된 상태 품질 측정들을 공격자 진화형 nodeB(eNB: evolved nodeB)에 의해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을 기초로 비대칭 업링크(UL: uplink)/다운링크(DL: downlink) 슬롯들로부터의 간섭을 받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상기 eNB에 의해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간섭의 완화와 관련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격자 eNB는 공격자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를 서빙하는 eNB를 포함하고,
    상기 공격자 UE는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 중 하나인,
    무선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은 상기 공격자 UE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 중 나머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연관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조건부 품질 측정들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reference signal receive power);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reference signal receive quality);
    상기 서빙 eNB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웃하는 eNB들에 대한 경로 손실 측정들;
    채널 품질 표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또는
    이들의 결합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강한 간섭을 겪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수신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들을 식별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격자 eNB에 의해 초기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로부터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을 분석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연관된 상태 품질 측정들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을 분석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주파수에 따라 상기 공격자 eNB에서 다운링크 슬롯을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 슬롯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제 1 주파수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주파수는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대응하는 업링크 슬롯에서 거의 빈 자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업링크 그랜트 정보를 상기 공격자 eNB에서 디코딩하는 단계; 및
    디코딩된 업링크 그랜트 정보에 표시된 업링크 송신과의 충돌을 피하도록 상기 공격자 eNB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격자 eNB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로부터 백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링크 송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송신 정보에 표시된 업링크 송신과의 충돌을 피하도록 상기 공격자 eNB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상충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거의 빈 서브프레임(ABS: almost blank subframe)으로서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피해자 진화형 nodeB(eNB)에서 공격자 eNB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피해자 eNB에서의 간섭을 나타내는 송신 상태들을 표시함 ―; 및
    상기 피해자 eNB에 의해, 상기 간섭을 완화하도록 상기 피해자 eNB와 연관된 송신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자 eNB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사용자 장비(UE)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UE들을 서빙하는 eNB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UE들에 할당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자원 블록(RB)들에 대해 상기 공격자 eNB로부터 예상되는 강한 간섭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상기 피해자 eNB에 의해, 상기 복수의 UE들 중 비-피해자 UE를 서브프레임에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피해자 UE는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송신 상태들에 의해 야기된 간섭을 겪지 않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상기 피해자 eNB에 의해, 주파수에 따라 상기 피해자 eNB와 연관된 송신 슬롯을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슬롯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제 1 주파수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주파수는 상기 공격자 eNB와 연관된 대응하는 역방향 송신 슬롯에서 거의 빈 자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업링크 RB들에서 강한 간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공격자 eNB에 오버로드 표시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상기 공격자 eNB의 다운링크 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피해자 eNB의 업링크 슬롯에 대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확인 응답(ACK: acknowledgement)/부정 응답(NACK: negative acknowledgement)을 피하도록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타임라인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상기 공격자 eNB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피해자 eNB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빈 슬롯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로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연관된 상태 품질 측정들을 공격자 진화형 nodeB(eNB)에 의해 획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을 기초로 비대칭 업링크(UL)/다운링크(DL) 슬롯들로부터의 간섭을 받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상기 eNB에 의해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간섭의 완화와 관련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격자 eNB는 공격자 사용자 장비(UE)를 서빙하는 eNB를 포함하고,
    상기 공격자 UE는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 중 하나인,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을 비교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은 상기 공격자 UE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 중 나머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연관되고,
    상기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비교하기 위한 수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조건부 품질 측정들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상기 서빙 eNB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웃하는 eNB들에 대한 경로 손실 측정들;
    채널 품질 표시자(CQI); 또는
    이들의 결합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강한 간섭을 겪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수신 자원 블록(RB)들을 식별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격자 eNB에 의해 초기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로부터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을 분석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연관된 상태 품질 측정들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을 분석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27. 제 20 항에 있어서,
    주파수에 따라 상기 공격자 eNB에서 다운링크 슬롯을 분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다운링크 슬롯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제 1 주파수를 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주파수는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대응하는 업링크 슬롯에서 거의 빈 자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28.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업링크 그랜트 정보를 상기 공격자 eNB에서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 및
    디코딩된 업링크 그랜트 정보에 표시된 업링크 송신과의 충돌을 피하도록 상기 공격자 eNB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29.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격자 eNB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로부터 백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링크 송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업링크 송신 정보에 표시된 업링크 송신과의 충돌을 피하도록 상기 공격자 eNB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상충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거의 빈 서브프레임(ABS)으로서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31.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로서,
    피해자 진화형 nodeB(eNB)에서 공격자 eNB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피해자 eNB에서의 간섭을 나타내는 송신 상태들을 표시함 ―; 및
    상기 피해자 eNB에 의해, 상기 간섭을 완화하도록 상기 피해자 eNB와 연관된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자 eNB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사용자 장비(UE)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UE들을 서빙하는 eNB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UE들에 할당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자원 블록(RB)들에 대해 상기 공격자 eNB로부터 예상되는 강한 간섭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피해자 eNB에 의해, 상기 복수의 UE들 중 비-피해자 UE를 서브프레임에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비-피해자 UE는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송신 상태들에 의해 야기된 간섭을 겪지 않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피해자 eNB에 의해, 주파수에 따라 상기 피해자 eNB와 연관된 송신 슬롯을 분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송신 슬롯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제 1 주파수를 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주파수는 상기 공격자 eNB와 연관된 대응하는 역방향 송신 슬롯에서 거의 빈 자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36. 제 31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업링크 RB들에서 강한 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검출하기 위한 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공격자 eNB에 오버로드 표시자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37.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공격자 eNB의 다운링크 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피해자 eNB의 업링크 슬롯에 대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확인 응답(ACK)/부정 응답(NACK)을 피하도록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타임라인을 수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공격자 eNB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피해자 eNB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빈 슬롯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39.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연관된 상태 품질 측정들을 공격자 진화형 nodeB(eNB)에 의해 획득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을 기초로 비대칭 업링크(UL)/다운링크(DL) 슬롯들로부터의 간섭을 받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상기 eNB에 의해 식별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간섭의 완화와 관련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격자 eNB는 공격자 사용자 장비(UE)를 서빙하는 eNB를 포함하고,
    상기 공격자 UE는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 중 하나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주파수에 따라 상기 공격자 eNB에서 다운링크 슬롯을 분할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다운링크 슬롯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제 1 주파수를 할당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주파수는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대응하는 업링크 슬롯에서 거의 빈 자원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업링크 그랜트 정보를 상기 공격자 eNB에서 디코딩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디코딩된 업링크 그랜트 정보에 표시된 업링크 송신과의 충돌을 피하도록 상기 공격자 eNB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3.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피해자 진화형 nodeB(eNB)에서 공격자 eNB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피해자 eNB에서의 간섭을 나타내는 송신 상태들을 표시함 ―;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피해자 eNB에 의해, 상기 간섭을 완화하도록 상기 피해자 eNB와 연관된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자 eNB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사용자 장비(UE)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UE들을 서빙하는 eNB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스케줄링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피해자 eNB에 의해, 주파수에 따라 상기 피해자 eNB와 연관된 송신 슬롯을 분할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송신 슬롯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제 1 주파수를 할당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주파수는 상기 공격자 eNB와 연관된 대응하는 역방향 송신 슬롯에서 거의 빈 자원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6.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업링크 RB들에서 강한 간섭을 검출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검출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공격자 eNB에 오버로드 표시자를 전송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7.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연관된 상태 품질 측정들을 공격자 진화형 nodeB(eNB)에 의해 획득하고;
    상기 상태 품질 측정들을 기초로 비대칭 업링크(UL)/다운링크(DL) 슬롯들로부터의 간섭을 받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상기 eNB에 의해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간섭의 완화와 관련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격자 eNB는 공격자 사용자 장비(UE)를 서빙하는 eNB를 포함하고,
    상기 공격자 UE는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 중 하나인,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49. 제 47 항에 있어서,
    주파수에 따라 상기 공격자 eNB에서 다운링크 슬롯을 분할하고; 그리고
    상기 다운링크 슬롯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제 1 주파수를 할당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구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주파수는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대응하는 업링크 슬롯에서 거의 빈 자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50.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피해자 진화형 nodeB(eNB)에서 공격자 eNB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피해자 eNB에서의 간섭을 나타내는 송신 상태들을 표시함 ―; 그리고
    상기 피해자 eNB에 의해, 상기 간섭을 완화하도록 상기 피해자 eNB와 연관된 송신들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자 eNB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해자 사용자 장비(UE)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UE들을 서빙하는 eNB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52. 제 50 항에 있어서,
    스케줄링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구성은,
    상기 피해자 eNB에 의해, 주파수에 따라 상기 피해자 eNB와 연관된 송신 슬롯을 분할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 슬롯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제 1 주파수를 할당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주파수는 상기 공격자 eNB와 연관된 대응하는 역방향 송신 슬롯에서 거의 빈 자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KR1020147036561A 2012-05-31 2013-05-24 비대칭 lte 전개에서의 간섭 완화 KR101983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2/076346 2012-05-31
CNPCT/CN2012/076330 2012-05-31
PCT/CN2012/076346 WO2013177780A1 (en) 2012-05-31 2012-05-31 Ue to ue interference mitigation in asymmetric lte deployment
PCT/CN2012/076330 WO2013177774A1 (en) 2012-05-31 2012-05-31 Enb to enb interference mitigation in asymmetric lte deployment
PCT/CN2013/076198 WO2013178037A1 (en) 2012-05-31 2013-05-24 Interference mitigation in asymmetric lte deploy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858A true KR20150024858A (ko) 2015-03-09
KR101983226B1 KR101983226B1 (ko) 2019-05-28

Family

ID=4967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6561A KR101983226B1 (ko) 2012-05-31 2013-05-24 비대칭 lte 전개에서의 간섭 완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09904B2 (ko)
EP (1) EP2856826B1 (ko)
JP (2) JP6297542B2 (ko)
KR (1) KR101983226B1 (ko)
IN (1) IN2014MN02230A (ko)
WO (1) WO20131780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422A1 (ko) * 2018-07-13 2020-01-16 한국과학기술원 광대역저전력 통신을 위한 상호 공존 통신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79604B (zh) * 2012-04-20 2018-04-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动态tdd小区中的上行功率控制方法
WO2015093821A1 (en) * 2013-12-16 2015-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cell acquisition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5093869A1 (ko) * 2013-12-18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bs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EP2930982B1 (en) * 2014-04-07 2016-05-18 Alcatel Lucent Mitigating dl-ul interference
EP2930994B1 (en) * 2014-04-07 2016-05-18 Alcatel Lucent Mitigating UL-to-DL interference
EP3235321B1 (en) * 2014-12-17 2019-02-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ull duplex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012986B2 (en) * 2015-06-05 2021-05-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irst communication devic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therein for sending and decoding, respectively, downlink information
WO2016198089A1 (en) * 2015-06-08 2016-12-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vity adjust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601568B2 (en) 2015-10-08 2020-03-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terference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3363249B1 (en) * 2015-10-15 2019-08-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with long-term resource allocation
CN107318166B (zh) * 2016-04-26 2021-03-05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装置
CN107453834A (zh) * 2016-05-31 2017-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下行干扰管理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10548160B2 (en) 2016-10-31 2020-01-28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on grant-based and grant-less traffic multiplex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US10299145B1 (en) * 2016-11-04 2019-05-21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from neighbors
CN110463086B (zh) * 2017-03-22 2021-10-26 Lg 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控制小区间干扰的方法及其设备
US10334527B2 (en) * 2017-08-11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or system for scheduling multiple receive chains
CN110139290B (zh) 2018-02-09 2022-03-08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远端干扰测量信号的处理方法及基站、存储介质
US10848294B2 (en) * 2018-05-02 2020-11-24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remote interference in time division duplexing networks
GB2575515A (en) 2018-07-13 2020-01-15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US11025398B2 (en) * 2018-07-30 2021-06-01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interference determination assistance
CN110831043B (zh) * 2018-08-10 2022-09-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干扰处理方法、装置及系统
WO2020056703A1 (en) * 2018-09-21 2020-03-26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interference management design introduction
WO2020067952A1 (en) * 2018-09-28 2020-04-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operator reference signal identification
US10820237B2 (en) * 2018-09-28 2020-10-27 Qualcomm Incorporated Multi-step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and detection for interference management
WO2020062021A1 (en) 2018-09-28 2020-04-02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ment by aggressor victim relation
CN111565445B (zh) * 2019-02-13 2021-06-04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基站对终端进行资源调度及功率控制的方法和设备
CN111756492B (zh) * 2019-03-28 2022-07-22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处理方法及设备
CN111756507B (zh) * 2019-03-29 2021-10-22 成都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远程干扰管理方法及装置
US10757655B1 (en) 2019-04-18 2020-08-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Uplink interference avoidance under closed loop power control conditions
US11039398B2 (en) 2019-05-31 2021-06-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Uplink interference avoidance under open loop power control conditions
CN113853013A (zh) * 2020-06-28 2021-12-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干扰协调方法、装置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75560C (zh) * 2004-09-13 2008-03-1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多载波时分双工移动通信系统灵活支持非对称业务的方法
CA2711260A1 (en) * 2008-03-24 2009-10-01 Zte U.S.A., Inc. Dynamic adjustment and signaling of downlink/uplink allocation ratio in lte/tdd systems
US8260206B2 (en) 2008-04-16 2012-09-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plink and downlink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JP2011077964A (ja) 2009-10-01 2011-04-14 Sharp Corp 通信システム、干渉調整方法、基地局装置及び移動局装置
US8520617B2 (en) 2009-11-06 2013-08-27 Motorola Mobility Llc Interference mitigation in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9031010B2 (en) 2010-04-08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Separate resource partitioning management for uplink control and uplink data signals
US9166719B2 (en) 2010-04-28 2015-10-2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adio frame including multiple types of subframes and apparatus thereof
US8923126B2 (en) * 2010-06-18 2014-12-30 Mediatek Method for coordinating transmissions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s apparatuses and communications apparatuses utilizing the same
CN102348216B (zh) * 2010-07-31 2015-1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干扰处理方法和装置
CN102404808A (zh) 2010-09-14 2012-04-04 夏普株式会社 异种网络中增强型同信道干扰消除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8655400B2 (en) 2010-09-22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transmit power for wireless radio coexistence
US9014025B2 (en) 2010-10-04 2015-04-2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different types of base stations in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s system
US9356725B2 (en) * 2010-10-08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actions for time-domain partitioned cells
US8837301B2 (en) * 2010-11-08 2014-09-16 Motorola Mobility Llc Interference measurements in enhanced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capable wireless terminals
JP5674958B2 (ja) * 2010-11-10 2015-02-25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測定シグナリングを伝える方法および装置
US8830934B2 (en) 2010-12-10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ble filter for multi-radio interference mitigation
US8605615B2 (en) 2011-03-18 2013-12-10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radio coexistence with a system on an adjacent frequency band having a time-dependent configuration
CN102202400B (zh) 2011-05-31 2013-10-1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资源占用方式的指示及处理方法及装置
WO2013006194A1 (en) * 2011-07-01 2013-01-10 Intel Corporation Structured codebook for uniform circular array (uca)
WO2013089344A1 (en) * 2011-12-15 2013-06-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the user equipment for the same
US9143984B2 (en) * 2012-04-13 2015-09-22 Intel Corporation Mapping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3169198A1 (en) * 2012-05-09 2013-11-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adio base station
CN104412685B (zh) * 2012-05-31 2018-07-13 高通股份有限公司 不对称的lte部署中的干扰缓解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05352* *
3gpp R4-092693* *
3gpp R4-092694* *
3gpp TR 36.921 v10.0.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422A1 (ko) * 2018-07-13 2020-01-16 한국과학기술원 광대역저전력 통신을 위한 상호 공존 통신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56826B1 (en) 2017-10-11
JP2017208830A (ja) 2017-11-24
WO2013178037A1 (en) 2013-12-05
EP2856826A1 (en) 2015-04-08
JP6479894B2 (ja) 2019-03-06
US10009904B2 (en) 2018-06-26
JP2015524199A (ja) 2015-08-20
IN2014MN02230A (ko) 2015-07-24
KR101983226B1 (ko) 2019-05-28
JP6297542B2 (ja) 2018-03-20
US20150189666A1 (en) 2015-07-02
EP2856826A4 (en)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226B1 (ko) 비대칭 lte 전개에서의 간섭 완화
US93567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actions for time-domain partitioned cells
KR101594005B1 (ko) 증분적 간섭 제거 능력 및 시그널링
KR101601855B1 (ko) 동일한 물리적 셀 아이덴티티(pci)를 갖는 원격 라디오 헤드들(rrh)에 대한 위치 확인
KR101552268B1 (ko) 다중-입력-다중-출력 및 협력형 멀티포인트 송신들에서의 안테나 시간 오프셋
KR101565913B1 (ko) 협력형 멀티포인트 전송 (comp)하의 pucch의 업링크 자원 관리
KR101902419B1 (ko) 이종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155587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로의 eNodeB 물리 계층 시그널링
KR101441665B1 (ko) 주파수 및 시간 도메인 범위 확장
WO2013177774A1 (en) Enb to enb interference mitigation in asymmetric lte deployment
KR101654626B1 (ko) 간섭 제거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자원 사용률을 개선하기 방법 및 장치
KR20150110642A (ko) Csi 피드백을 위한 효율적인 업링크 리소스 표시
KR20160074545A (ko) 3-d mimo에 대한 csi-rs의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21537B1 (ko) 저주파수 무선 네트워크에서 고주파수 통신들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20965A (ko) 이종 네트워크들을 위한 자원 활용 측정들
KR20150143702A (ko) 기지국에 의한 강화된 안테나 관리
WO2013177780A1 (en) Ue to ue interference mitigation in asymmetric lte deploy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