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725A - 배터리 팩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725A
KR20150024725A KR1020130102006A KR20130102006A KR20150024725A KR 20150024725 A KR20150024725 A KR 20150024725A KR 1020130102006 A KR1020130102006 A KR 1020130102006A KR 20130102006 A KR20130102006 A KR 20130102006A KR 20150024725 A KR20150024725 A KR 20150024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unit
remaining capacity
discharge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2706B1 (ko
Inventor
주리아
송의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2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706B1/ko
Priority to US14/217,761 priority patent/US9923397B2/en
Publication of KR20150024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6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by variation of fi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3Maintaining the SoC within a determined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battery ageing, e.g. to the number of charging cycles or the state of health [So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팩, 배터리 팩 장착 장치 및 배터리를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배터리 팩 장착 장치는 자가 방전 진입에 대응하는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배터리 팩의 자가 방전 특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배터리 팩이 포함하는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이 기설정된 기준치와 일치하도록 배터리 팩을 강제 방전시키거나 충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Battery pa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을 장착한 장치 및 배터리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전지가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이차전지는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다수의 전지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은 전지 모듈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이차전지의 완전방전은 이차전지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컨대 리튬 이온 배터리 또는 납 축전지의 경우, 완전방전은 이차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차전지가 적용되는 외부기기는 장기간 동작을 정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차전지는 암전류에 의한 자가방전 또는 암전류의 크기와 근사적으로 동일한 부하전류에 의해 장기간 방전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의 장기간 방전은 이차전지의 완전방전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자가방전 특성이 개선된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배터리 팩의 자가방전 특성을 개선시키는 배터리 팩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그 밖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 장착 장치는, 제1 및 제2 단자 사이에 연결된 배터리부 및 상기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을 감지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방전전력을 공급받는 부하회로,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모듈 및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발전모듈을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자가 방전 진입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이 기설정된 기준치와 일치하도록 상기 배터리부를 강제 방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팩 장착 장치는 운송 수단일 수 있고, 상기 자가 방전 진입 신호는 상기 운송 수단의 장기 주차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가 상기 부하회로에 상기 배터리부의 방전전력을 출력하도록 상기 배터리 팩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사이에 연결된 방전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가 상기 방전회로에 방전전력을 출력하도록 상기 배터리 팩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가 방전 진입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이 기설정된 기준치와 일치하도록 상기 발전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준치는 제1 및 제2 잔존용량 수치 사이의 범위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수명에 따라 제1 또는 제2 잔존용량 수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제어 방법은, 외부로부터 자가 방전 진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잔존용량을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잔존용량이 상기 기준치 초과이면 상기 배터리를 강제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를 강제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부하회로에 상기 배터리의 방전전력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제어 방법은 상기 잔존용량이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발전 모듈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준치는 제1 및 제2 잔존용량 수치 사이의 범위일 수 있고, 상기 제1 또는 제2 잔존용량은 상기 배터리부의 수명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제1 및 제2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충전전력을 공급받고, 방전전력을 출력하는 배터리부 및 외부로부터 자가 방전 진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이 기설정된 기준치와 일치하도록 상기 배터리부의 강제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이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외부로 충전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이 상기 기준치 초과이면 외부로 방전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제1 및 제2 단자와 연결된 방전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방전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부를 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준치는 제1 및 제2 잔존용량 수치 사이의 범위일 수 있고,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수명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잔존용량 수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형태에 따라, 배터리 팩은 자가방전 특성이 개선될 수 있고, 완전 방전이 되기까지의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 및 배터리를 제어하는 방법은 배터리리 팩이 장착된 장치로서 운송 수단이 장기 주차시 배터리 팩이 완전 방전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장착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자가 방전 진입 당시의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에 따른 자가 방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라 도 1의 배터리 팩의 구현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배터리 팩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관한 배터리 팩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장착 장치의 블록도이다. 배터리 팩 장착 장치(10)는 배터리 팩(100), 발전 모듈(110), 부하회로(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0)은 제1 및 제2 단자(P1, P2)와 제2 및 제2 단자(P1, P2) 사이에 연결되어 충전전력을 공급받고, 방전전력을 출력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0)은 제1 및 제2 단자(P1, P2)를 통하여 발전 모듈(110) 및 부하회로(120)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외부로부터 입력 받은 신호를 인식할 수 있고, 배터리 팩(100), 발전모듈(110) 및 부하회로(120)를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 팩 장착 장치(10)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운송 수단일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팩 장착 장치(10)는 자동차 배터리를 포함하는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오토바이 등일 수 있다.
배터리 팩(100)은 발전 모듈(110)로부터 생성되는 충전전력을 저장하고, 부하회로(120)로 방전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전 모듈(110)은 자동차 엔진(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엔진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발전 모듈(210)로부터 생성된 충전 전력은 배터리 팩(100)의 제1 및 제2 단자(P1, P2)를 통하여 배터리 팩(100)에 포함된 배터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부하회로(120)는 배터리 팩(100)과 제1 및 제2 단자(P1, P2)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부하회로(120)는 제1 및 제2 단자(P1, P2)를 통해서 배터리 팩(100)의 방전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예컨대, 부하회로(120)는 운송 수단의 라이트, 블랙박스 또는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외부로부터 입력 받은 신호를 인식할 수 있고, 배터리 팩 장착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외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발전 모듈(110)을 가동시키거나 발전 모듈(11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외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부하회로(120)가 포함하는 각종 전력 소모 부품들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00)의 제3 단자(P3)를 통하여 배터리 팩(1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배터리 팩(10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팩 장착 장치(1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장기간 배터리 팩 장착 장치(10)를 작동시키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 배터리 팩 장착 장치(10)의 입력 장치(미도시)를 통해서 배터리 팩 장착 장치(10)의 장기간 미사용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장기 주차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 장치(미도시)를 통해서 입력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130)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배터리 팩(100)의 자기 방전 특성을 제어할 수 있으며, 배터리 팩(100)은 제어된 자기 방전 특성에 따라 자가 방전을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신호뿐만 아니라 스스로 판단하여 배터리 팩(100)의 자가 방전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 장착 장치(10)가 운송 수단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운송 수단의 시동을 끈 시점에서 소정의 기간(예컨대, 3일) 동안 시동이 다시 켜지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00)의 자가 방전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자가 방전 진입 당시의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에 따른 자가 방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자가 방전 진입 당시의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은 배터리 팩의 사용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 2는 자가 방전 진입 당시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이 각각 100%, 80% 및 60%인 경우들(210, 208, 206)에서 배터리 팩의 자가 방전 특성을 나타낸다.
배터리 팩의 자가방전 특성은 암전류의 크기 및 배터리 팩의 수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충전시점까지 배터리 팩의 자가 방전하는 특성은 1차 충전시점부터 2차 충전시점까지 자가 방전하는 특성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자가 방전 진입 당시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이 100%인 경우(210), 1차 충전시점까지의 자가 방전 특성과 1차 충전시점부터 2차 충전시점까지의 자가 방전 특성이 상대적으로 큰 변화를 나타낸다. 반면, 자가 방전 진입 당시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이 80% 또는 60%인 경우(208, 206), 1차 충전시점까지의 자가 방전 특성과 1차 충전시점부터 2차 충전시점까지의 자가 방전 특성이 상대적으로 작은 변화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 방전 진입 당시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의 수치에 따라 배터리 팩이 완전방전까지 걸리는 시간이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자가 방전을 시작하여 도 2의 1차 충전시점까지의 구간에서, 자가 방전 진입 당시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이 각각 100%, 80% 및 60%인 경우들(210, 208, 206)을 비교해 보면, 자가 방전 진입 당시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이 80% 및 60%인 경우들(208, 206)은 비교적 서로 평행하게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이 감소한다. 반면, 자가 방전 진입 당시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이 100%인 경우(210)는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잔존용량이 감소하여, 1차 충전시점에서는 자가 방전 진입 당시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이 80%인 경우(208)와 잔존용량이 역전하는 현상을 도 2로부터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1차 충전시점부터 2차 충전시점까지의 구간에서 각각의 경우들을 비교해 보면, 자가 방전 진입 당시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이 100% 및 80%인 각각의 경우(210, 208), 시간에 따른 잔존용량은 이전 구간에서보다 보다 빠른 시점에서 역전한다. 다시 말해서, 배터리 팩의 자가 방전 진입 당시의 잔존용량의 수치에 따라 자가방전율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배터리 팩이 완전방전하기까지 시간이 최대가 되는 자가 방전 진입 당시의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의 수치는 기준치로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치는 배터리 팩에 대한 자가 방전 실험 등을 통하여 얻을 수 있고, 제1 및 제2 잔존용량 수치 사이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기준치는 배터리 팩의 수명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잔존용량 수치가 변경될 수 있다. 자가 방전 진입시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이 상기 기준치가 되도록 배터리 팩은 강제 방전되거나 충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은 배터리 팩이 포함하는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배터리 팩의 수명 및 사용상태 또한 배터리 팩이 포함하는 배터리부의 수명 및 사용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라 도 1의 배터리 팩의 구현예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도 1의 배터리 팩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배터리 팩(100a)은 배터리부(310) 및 배터리 관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310)는 배터리 팩(100a)의 제1 및 제2 단자(P1, P2)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단자(P1, P2)를 통해서 충전전력을 공급받거나 방전전력을 방출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32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BMS)라고 부를 수 있고, 배터리부(310)를 제어하거나 배터리부(31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관리부(320)는 배터리부(310)의 온도, 오픈 회로 전압(open circuit voltage) 및, 충방전 전류의 크기 등을 감지할 수 있고, 비상시 배터리부(310)의 충방전을 차단하는 것과 같이 배터리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부(320)는 배터리 팩(100a)의 제3 단자(P3)와 연결될 수 있고, 제3 단자(P3)를 통해서 배터리 팩(100a)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00a)의 제3 단자(P3)는 제어부(130)와 연결될 수 있고, 배터리 관리부(320)는 배터리 팩(100a) 외부의 제어부(130)와 통신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320)는 제어부(130)로부터 배터리 팩(100a)의 각종 패러미터를 설정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130)는 배터리 관리부(320)로부터 배터리 팩(100a)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배터리 관리부(320)는 제3 단자(P3)를 통해서 외부, 예컨대, 도 1의 제어부(130)로부터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320)가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배터리 관리부(320)는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한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을 제3 단자(P3)를 통해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의 제어부(130)는 배터리 관리부(320)로부터 수신한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할 수 있다.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이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130)는 배터리부(310)의 방전전력을 도 1의 부하회로(120)에 강제로 공급하도록 배터리 팩(100a) 또는 부하회로(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00a)로부터 방전전력이 출력되도록 부하회로(120)를 강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부하회로(120)는 운송 수단의 시동을 끈 후에는 동작할 필요가 없는 에어컨, 히터, 오디오, 실내 등 또는 헤드 라이트와 같은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310)는 방전전력을 제1 및 제2 단자(P1, P2)를 통해서 부하회로(120)에 공급함에 따라,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은 감소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배터리 관리부(320)와 통신하여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이 기준치까지 감소하는 경우, 배터리부(310)의 방전전력 방출을 중단시킬 수 있다.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이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130)는 도 1의 발전모듈(110)을 제어하여 충전전력을 배터리 팩(100a)의 배터리부(310)로 공급할 수 있다. 발전모듈(110)이 배터리 팩(100a)의 제1 및 제2 단자(P1, P2)를 통해서 배터리부(310)에 충전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은 증가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배터리 관리부(320)와 통신하여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이 기준치까지 증가하는 경우, 배터리부(310)에 충전전력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배터리 관리부(320)는 제3 단자(P3)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자가 방전 진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320)가 외부로부터 자가 방전 진입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배터리 관리부(320)는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320)는 감지한 잔존용량과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할 수 있다.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이 기준치 보다 높은 경우, 배터리 관리부(320)는 제3 단자(P3)를 통해서 강제 방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의 제어부(130)가 배터리 팩(100a)의 배터리 관리부(320)로부터 강제 방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배터리부(310)의 방전전력을 도 1의 부하회로(120)에 공급하도록 배터리 팩(100a) 또는 부하회로(120)를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부(310)는 방전전력을 제1 및 제2 단자(P1, P2)를 통해서 부하회로(120)에 공급함에 따라,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은 감소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320)는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을 감지하여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이 기준치까지 감소하는 경우, 제3 단자(P3)를 통해서 강제 방전 중단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0a) 외부의 제어부(130)는 강제 방전 중단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하회로(120)에 배터리부(310)의 방전전력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이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배터리 관리부(320)는 제3 단자(P3)를 통해서 충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의 제어부(130)가 배터리 팩(100a)의 배터리 관리부(320)로부터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도 1의 발전모듈(110)을 제어하여 충전전력을 배터리 팩(100a)의 배터리부(310)로 공급할 수 있다. 발전모듈(110)이 배터리 팩(100a)의 제1 및 제2 단자(P1, P2)를 통해서 배터리부(310)에 충전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은 증가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320)는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을 감지하여 배터리부(310)의 잔존용량이 기준치까지 증가하는 경우, 제3 단자(P3)를 통해서 충전 중단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0a) 외부의 제어부(130)는 충전 중단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전모듈(110)를 제어하여 배터리 팩(110a)의 배터리부(310)에 대한 충전전력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도 1의 배터리 팩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배터리 팩(100b)은 배터리부(410), 배터리 관리부(420) 및 방전회로(4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410)는 배터리 팩(100b)의 제1 및 제2 단자(P1, P2)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단자를 통해서 충전전력을 공급받거나 방전전력을 방출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 관리부(420)는 배터리부(410)를 제어하거나 배터리부(41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부(420)는 배터리 팩(100b)의 제3 단자(P3)와 연결될 수 있고, 제3 단자(P3)를 통해서 배터리 팩(100b)의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배터리 관리부(420)는 제3 단자(P3)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자가 방전 진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420)가 외부로부터 자가 방전 진입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배터리 관리부(420)는 배터리부(410)의 잔존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420)는 감지한 잔존용량과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할 수 있다.
배터리부(410)의 잔존용량이 기준치 보다높은 경우, 배터리 관리부(420)는 방전회로(430)를 제어하여 배터리부(410)의 방전전력을 방전회로(430)로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부(410)가 배터리부(410)와 병렬 연결된 방전회로(430)에 방전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배터리부(410)의 잔존용량은 감소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420)는 배터리부(410)의 잔존용량을 감지하여 배터리부(410)의 잔존용량이 기준치까지 감소하는 경우, 방전회로(430)를 제어하여 배터리부(410)의 강제 방전을 중단할 수 있다.
배터리부(410)의 잔존용량이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배터리 관리부(420)는 제3 단자(P3)를 통해서 충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의 제어부(130)가 배터리 팩(100b)의 배터리 관리부(420)로부터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도 1의 발전모듈(110)을 제어하여 충전전력을 배터리 팩(100b)의 배터리부(410)로 공급할 수 있다. 발전모듈(110)이 배터리 팩(100b)의 제1 및 제2 단자(P1, P2)를 통해서 배터리부(410)에 충전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배터리부(410)의 잔존용량은 증가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420)는 배터리부(410)의 잔존용량을 감지하여 배터리부(410)의 잔존용량이 기준치까지 증가하는 경우, 제3 단자(P3)를 통해서 충전 중단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0b) 외부의 제어부(130)는 충전 중단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전모듈(110)를 제어하여 배터리 팩(110b)의 배터리부(410)에 대한 충전전력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도 3a 및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서, 자가 방전 진입시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에 대한 기준치를 저장하는 구성요소는 도 1의 제어부(130) 또는 도 2 또는 3의 배터리 관리부(320 또는 420)가 될 수 있다. 또한, 기준치와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을 비교하는 구성요소는 도 1의 제어부(130) 또는 도 2 또는 3의 배터리 관리부(320 또는 420)가 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들과 같이 자가 방전 진입시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을 조절함으로써 배터리부의 자가방전율을 감소시켜 완전방전까지 걸리는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배터리 팩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방법은 배터리 팩 장착 장치를 제어하는 도 1의 제어부(130) 또는 배터리 팩(100)의 배터리 관리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제어부(130) 및 배터리 팩(100)의 배터리 관리부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구성요소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의 제어부(130)가 도 4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한 것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자가 방전 진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 배터리 팩 장착 장치의 사용자는 장기간 상기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장치가 포함하는 입력장치 등을 통해서 장기 미사용을 알리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부로 자가 방전 진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가 입력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명령을 자가 방전 진입 신호로 해석할 수도 있다.
제어부가 외부로부터 자가 방전 진입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는 배터리 팩과 통신하여 배터리 팩이 포함하는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S11).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배터리 팩으로 배터리부의 잔존용량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 팩이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부는 제어부의 신호에 응답하여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는 감지한 잔존용량을 배터리 팩 외부의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배터리 팩(또는 배터리 팩의 배터리 관리부)으로부터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을 수신함으로써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에 대한 기설정된 기준치와 배터리부의 감지된 잔존용량을 비교하여, 감지된 잔존용량이 기준치보다 낮은지 판단할 수 있다(S12). 제어부가 저장하고 있는 기준치는 배터리 팩에 대한 실험을 통해 미리 정해진 값으로서, 배터리 팩의 배터리부가 자가방전 하는 경우 완전방전까지의 시간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에 대한 수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치은 제1 및 제2 잔존용량 수치 사이의 범위일 수 있으며, 제1 잔존용량 수치가 제2 잔존용량 수치보다 높은 경우, 감지된 잔존용량이 제2 잔존용량보다 낮은지 판단할 수 있다.
기준치보다 감지된 잔존용량이 더 낮은 경우, 제어부는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이 기준치가 되도록 배터리부의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S13). 제어부는 배터리부와 병렬 연결된 발전모듈을 제어하여 발전모듈이 배터리부의 충전전력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발전모듈이 생성한 충전전력은 배터리부에 공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은 증가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배터리 팩과 통신하여 배터리 팩이 포함하는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S14). 제어부가 배터리 팩으로부터 배터리부의 잔존용량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선행 단계(S11)와 동일하다.
제어부는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에 대한 기설정된 기준치와 배터리부의 감지된 잔존용량을 비교하여, 기준치가 감지된 잔존용량과 같은지 판단할 수 있다(S15). 예를 들면, 상기 기준치가 제1 및 제2 잔존용량 수치 사이의 범위인 경우, 감지된 잔존용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다면 제어부는 기준치와 감지된 잔존용량이 같다고 판단할 수 있다. 감지된 잔존용량이 기준치와 같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배터리 팩과 통신하여 배터리 팩이 포함하는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을 다시 감지할 수 있다(S14).
감지된 잔존용량이 기준치와 같은 경우, 제어부는 배터리부의 충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S16). 제어부는 발전모듈이 배터리부로 충전전력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발전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부의 충전이 중단되면, 배터리부는 자가 방전을 시작할 수 있다(S17).
만약, 제어부가 자가 방전 진입 신호를 수신하고(S10),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을 감지하여(S11), 기설정된 감지된 잔존용량이 기준치보다 낮은지 판단한 결과(S12), 감지된 잔존용량이 기준치보다 낮지 않다면, 제어부는 감지된 잔존용량이 기준치보다 높은지 판단할 수 있다(S18). 만약, 감지된 잔존용량이 기준치보다 높지 않다면, 감지된 잔존용량은 기설정된 기준치와 같으므로 배터리부는 자가 방전을 시작할 수 있다(S17).
한편, 감지된 잔존용량이 기준치보다 높다면, 제어부는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이 기준치가 되도록 배터리부의 강제 방전을 시작할 수 있다(S19). 제어부는 배터리부와 병렬 연결된 부하회로를 제어하여(예를 들면, 부하회로를 작동시킴으로써) 배터리부의 방전전력이 부하회로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부가 생성한 방전전력이 부하회로에 공급됨에 따라,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은 감소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배터리 팩과 통신하여 배터리 팩이 포함하는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S20). 제어부가 배터리 팩으로부터 배터리부의 잔존용량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선행 단계(S11)와 동일하다.
제어부는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에 대한 기설정된 기준치와 배터리부의 감지된 잔존용량을 비교하여, 기준치가 감지된 잔존용량과 같은지 판단할 수 있다(S21). 예를 들면, 상기 기준치가 제1 및 제2 잔존용량 수치 사이의 범위인 경우, 감지된 잔존용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다면 제어부는 기준치와 감지된 잔존용량이 같다고 판단할 수 있다. 감지된 잔존용량이 기준치와 같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배터리 팩과 통신하여 배터리 팩이 포함하는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을 다시 감지할 수 있다(S20).
감지된 잔존용량이 기준치와 같은 경우, 제어부는 배터리부의 강제 방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S22). 제어부는 배터리부가 방전전력을 부하회로에 공급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부하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부의 강제 방전이 중단되면, 배터리부는 자가 방전을 시작할 수 있다(S17).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가 도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서 제어부를 예시로 들었으나, 상기 방법은 제어부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터리를 포함하는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배터리 팩 장착 장치 100, 100a, 100b : 배터리 팩
110 : 발전모듈 120 : 부하회로
130 : 제어부 320, 420 : 배터리 관리부
310, 410 : 배터리부 430 : 방전회로
P1 ~ P3 : 제1 ~ 제3 단자

Claims (16)

  1. 제1 및 제2 단자 사이에 연결된 배터리부 및 상기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을 감지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방전전력을 공급받는 부하회로;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모듈; 및
    상기 배터리 팩 및 상기 발전모듈을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자가 방전 진입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이 기설정된 기준치와 일치하도록 상기 배터리부를 강제 방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장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 장착 장치는 운송 수단이고,
    상기 자가 방전 진입 신호는 상기 운송 수단의 장기 주차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장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가 상기 부하회로에 상기 배터리부의 방전전력을 출력하도록 상기 배터리 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장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사이에 연결된 방전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가 상기 방전회로에 방전전력을 출력하도록 상기 배터리 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장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가 방전 진입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이 상기 기준치와 일치하도록 상기 발전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장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는 제1 및 제2 잔존용량 수치 사이의 범위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수명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잔존용량 수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장착 장치.
  7. 외부로부터 자가 방전 진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잔존용량을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잔존용량이 상기 기준치 초과이면 상기 배터리를 강제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강제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부하회로에 상기 배터리의 방전전력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용량이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발전 모듈로부터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는
    제1 및 제2 잔존용량 수치 사이의 범위이고,
    상기 제1 또는 제2 잔존용량은 상기 배터리부의 수명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어 방법.
  12. 제1 및 제2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충전전력을 공급받고, 방전전력을 출력하는 배터리부;
    외부로부터 자가 방전 진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부의 잔존용량(state of charge; SOC)이 기설정된 기준치와 일치하도록 상기 배터리부의 강제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이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외부로 충전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잔존용량이 상기 기준치 초과이면 외부로 방전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제1 및 제2 단자와 연결된 방전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방전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부를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는 제1 및 제2 잔존용량 수치 사이의 범위이고,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수명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잔존용량 수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130102006A 2013-08-27 2013-08-27 배터리 팩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62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006A KR102062706B1 (ko) 2013-08-27 2013-08-27 배터리 팩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14/217,761 US9923397B2 (en) 2013-08-27 2014-03-18 Battery pack,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006A KR102062706B1 (ko) 2013-08-27 2013-08-27 배터리 팩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725A true KR20150024725A (ko) 2015-03-09
KR102062706B1 KR102062706B1 (ko) 2020-02-20

Family

ID=5258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006A KR102062706B1 (ko) 2013-08-27 2013-08-27 배터리 팩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23397B2 (ko)
KR (1) KR102062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0450B2 (en) * 2015-10-05 2020-06-09 Lenovo (Singapore) Pte. Ltd. Devices and methods to discharge battery
US10819122B2 (en) * 2018-04-05 2020-10-27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to use cell balancing resistor(s) of battery pack to reduce charge level of battery cells
US11429167B2 (en) 2020-07-17 2022-08-30 Lenovo (Singapore) Pte. Ltd. Techniques to decommission battery based on user command
US20220407329A1 (en) * 2021-06-16 2022-12-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attery charge regul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461A (ko) * 2008-12-22 2010-07-01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방전 지연장치 및 그 방법
US20120069481A1 (en) * 2010-09-16 2012-03-22 Ricoh Company, Ltd. Voltage switching circuit,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circuit, and battery pack
JP2013074706A (ja) * 2011-09-27 2013-04-22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6523A (en) 2000-01-11 2000-12-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mart alternator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fuel efficiency and monitoring batteries in an automobile
JP2007037345A (ja) 2005-07-28 2007-02-08 Mazda Motor Corp 車両用発電機の制御装置
KR100706393B1 (ko) 2005-09-27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전장유니트의 암전류 최소화 방법
KR100765830B1 (ko) 2006-04-29 2007-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42볼트 전원 시스템 제어방법
US7928735B2 (en) * 2007-07-23 2011-04-19 Yung-Sheng Huang Battery performance monitor
KR101093928B1 (ko) 2009-11-26 2011-1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461A (ko) * 2008-12-22 2010-07-01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방전 지연장치 및 그 방법
US20120069481A1 (en) * 2010-09-16 2012-03-22 Ricoh Company, Ltd. Voltage switching circuit,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circuit, and battery pack
JP2013074706A (ja) * 2011-09-27 2013-04-22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706B1 (ko) 2020-02-20
US9923397B2 (en) 2018-03-20
US20150061572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63469B (zh) 电池过放电防止装置
KR102016752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제어방법
KR20180045954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2009303A (zh) 用于电动汽车放电控制的控制系统和方法
JP4785797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
EP2685589B1 (en) Battery pack, method of charg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190012981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3531861B (zh) 蓄电池和机动车
KR20170013537A (ko) 배터리 관리와 통신기능을 갖는 에너지 저장 및 제어시스템
US20130057213A1 (en) Battery monitoring and charging system and motor-driven vehicle
CN102574470A (zh) 车辆的充电系统及包含该车辆的充电系统的电动车辆
US20120299545A1 (en) Rechargeable battery power supply starter and cell balancing apparatus
CN113937863B (zh) 混动系统的电池均衡策略和混动车辆
CN106956602B (zh) 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电动车
KR20150024725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80057231A (ko) 배터리 고장 방지 장치
KR101364856B1 (ko) 차량용 보조배터리 충전제어장치 및 그 충전제어방법
WO2017191818A1 (ja) 電源装置
JP2003291754A (ja) 車両用電源装置
JP2013099060A (ja) 充放電制御機能を備えた携帯端末充電装置
KR20120124540A (ko) 자동차 스타팅 모터 구동용 스마트 배터리
KR20190115966A (ko) 돌입전류 방지용소자와 다이오드 전압강하 특성을 이용한 이동식 카라반을 견인하는 전기자동차의 전원공급 배터리 시스템
JP2000217206A (ja) 電気自動車の充電制御装置
WO2013115035A1 (ja) 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JP6008735B2 (ja) 荷役車両の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