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605A - 장구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보르네시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구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보르네시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605A
KR20150024605A KR20130101709A KR20130101709A KR20150024605A KR 20150024605 A KR20150024605 A KR 20150024605A KR 20130101709 A KR20130101709 A KR 20130101709A KR 20130101709 A KR20130101709 A KR 20130101709A KR 20150024605 A KR20150024605 A KR 20150024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ell
zgc
cells
senesc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9793B1 (ko
Inventor
김재룡
손종근
양효현
황보경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01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7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2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6Caryophyllaceae (Pink family), e.g. babysbreath or soapwor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구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보르네시톨((-)-bornesit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렇게 섬유아세포 또는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의 세포노화 과정을 억제함으로써 노화관련 질환, 예를 들어 피부노화,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 간염, 만성 피부손상 조직, 동맥경화, 전립샘 증식증 및 간암 등과 같은 질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세포노화를 저해할 수 있는 항노화 기능성 식품, 항혈관노화 약물 개발, 화장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장구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보르네시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cellular senescence comprising extracts of Melandrium firmum Rohrbach or bornesitol isolated from the same}
본 발명은 장구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보르네시톨((-)-bornesit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정상 체세포는 일정 횟수 분열하면 더 이상 분열할 수 없게 되면서 세포노화 상태가 된다. 이는 염색체 말단의 텔로미어가 세포분열 과정에서 점점 짧아지면서 DNA 손상이 생기기 때문에 일어나는데, 이를 복제노화라고 한다. 텔로미어의 단축뿐만 아니라, 암유전자 및 암 억제 유전자의 기능 이상, 염증반응, 산화스트레스, 항암제, 자외선 및 방사선 등에 의해서도 세포노화가 유도된다. 노화 세포는 크기가 크고 모양이 더 편평해지며, 세포성장이 멈추고, 핵에 DNA 손상 흔적이 많으며, 다양한 염증성 단백질을 분비한다. 그리고 생화학적으로 노화 베타-갈락토시다제(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A-β-gal)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인자들에 의해 노화가 유도되지만 p53과 Rb/p16 암억제 유전자 신호전달 경로를 통하여 노화가 조절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세포노화 현상은 암을 억제하거나 촉진하기도 하며, 조직 재생과 복구, 조직/개체 노화와 노화관련 질환의 중요한 기전으로 제시되고 있다. 아울러 세포노화는 암, 동맥경화, 피부노화, 퇴행성 신경질환, 근감소증, 골다골증, 전립선비대증 등과 같은 다양한 노화관련 질환의 병인에 기여한다. 최근의 연구결과들은 세포노화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 조직, 장기의 노화, 건강 수명, 노화관련 질환의 발생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텔로머라제 결핍 생쥐는 노화가 빨리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늙은 텔로미어 결핍 생쥐에서 텔로머라제 발현을 증가시키면 노화에 따른 조직 또는 장기의 퇴행성 변화를 역전시킴을 확인하였다. 노화가 빨리 오는 생쥐 모델에 있어서 노화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p16을 발현하는 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한 결과 노화로 인한 조직 병변이 억제되며, 노화관련 질환의 발생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생쥐에서 간 섬유화가 일어나는 과정에서 간 성상세포의 노화가 나타나는데, 간성상세포의 노화가 과다한 간 섬유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53 활성이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나치게 높아지면 노화가 빨리 나타나지만, 적절한 p53의 활성은 오히려 노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세포노화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물질들에 대한 연구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비타민 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NS398 및 에피프리에데라놀(epifriedelanol)과 같은 약물 또는 단일 성분들이 이 세포노화를 억제한다. 그리고 라파마이신(rapamycin)이 생쥐모델에서, 4,4'-디아미노디페닐설폰(4,4'-diaminodiphenylsulfone)이 꼬마선충에서 노화관련 질환의 발생을 억제하며, 건강수명을 늘리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장구채는 두해살이 식물로 한국에서 널리 분포되어 각종 질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무뇨, 유방암, 임질 및 수유 질병의 치료에 많이 사용되었다고 문헌에 보고되어 있다. 장구채 메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은 헥소바르비탈(hexobarbital)에 의한 수면 시간의 연장, 혈청 트랜스아미나제 활성의 상승, 간 세포의 가혹한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포함한 간 활동을 일으킨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나 섬유아세포 노화를 저해하는 효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0686260호에서는 장구채 및 울릉장구채 추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 및 간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장구채 또는 울릉 장구채 추출물은 AST 및 ALT 활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간 조직내의 섬유화로 인하여 축적된 콜라겐, 알파 스므스 머슬 액틴(alpha-smooth-muscle actin) 및 TGF-β의 양을 유의성 있게 억제하여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제 및 건강기능 식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으나, 본원 발명과 같이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나 섬유아세포 노화를 저해한다는 언급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구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보르네시톨((-)-bornesit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장구채 추출물과 장구채에서 분리한 12가지 단일성분들을 사람 혈관내피세포와 섬유아세포에서 세포노화 저해 효능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사람 혈관내피세포에서는 장구채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사람 섬유아세포에서는 장구채 헥산 추출물과 ZGC-2 (ursolic acid), ZGC-9 ((-)-bornesitol)가 세포노화 저해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장구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보르네시톨((-)-bornesit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 화학식 1 >
Figure pat00001

상세하게는, 상기 장구채 추출물은 장구채 메탄올 추출액에 증류수 및 헥산(n-hexane)을 첨가하고 분획화하여 추출된 헥산(n-hexane) 분획 추출물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포는 섬유아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장구채 추출물은 장구채 메탄올 추출액에 증류수 및 헥산(n-hexane)을 첨가하여 분획화한 증류수 층에 에틸아세테이트(EtOAc)를 첨가하고 분획화하여 추출된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 추출물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포는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포 노화는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세포 노화 억제는 노화 베타-갈락토시다제(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A-β-gal) 활성 억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인 경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장구채 추출물 또는 (-)-보르네시톨((-)-bornesitol)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품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세포 노화의 증상 정도에 따라 투여 방법이 결정되는데, 통상적으로는 국소 투여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 중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엘렉시르제,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경고제, 로션제, 연고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노화,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 간염, 만성 피부손상 조직, 동맥경화, 전립샘 증식증 및 간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을 치료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장구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보르네시톨((-)-bornesitol)이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 노화를 억제하고, 아울러 세포 분열로 인한 복제노화를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세포노화 과정을 억제함으로써 노화관련 질환, 예를 들어 피부노화,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 간염, 만성 피부손상 조직, 동맥경화, 전립샘 증식증 및 간암 등과 같은 질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혈관내피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세포노화를 저해할 수 있는 항노화 기능성 식품, 항혈관노화 약물 개발, 화장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장구채 추출물의 분리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장구채로부터 분리된 단일성분의 화학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사람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에서 장구채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A, 장구채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각 추출물을 10, 100ug/ml 처리 후, 3일 동안 배양하여 MTT법으로 세포독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B, SA-β-gal 활성 염색 사진 및 SA-β-gal 활성 염색 백분율. 아드리아마이신 처리 후, 각 추출물을 10ug/ml로 처리하고, 3일 후 SA-β-gal 활성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각 실험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시행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Cont, 대조군;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A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Rap, 라파마이신(rapamycin). *p<0.05 or **p<0.01 vs DMSO.
도 4는 사람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에서 장구채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A, 장구채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다. 각 추출물을 1-10ug/ml 처리 후, 3일 동안 배양하여 MTT법으로 세포독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B 및 C, SA-β-gal 활성 염색 사진 및 SA-β-gal 활성 염색 백분율. 아드리아마이신 처리 후, 장구채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1-10 ug/ml로 처리하고, 3일 후 SA-β-gal 활성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각 실험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시행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D, p53, 인산화 S6K, p21의 발현을 나타낸다. 아드리아마이신 처리 후, 추출물을 1-10 ug/ml로 처리하고, 웨스턴 블랏법으로 각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조사하였다. NT, 미처리; Cont, 대조군;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A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Rap, 라파마이신(rapamycin). *p<0.05 or **p<0.01 vs DMSO.
도 5는 사람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에서 장구채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복제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A, 복제노화 세포에 대한 장구채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다. 각 추출물을 1-10ug/ml 처리 후, 3일 동안 배양하여 MTT법으로 세포독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B 및 C, SA-β-gal 활성 염색 사진 및 SA-β-gal 활성 염색 백분율. 복제노화 세포에 장구채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1-10ug/ml 처리하고, 3일 후 SA-β-gal 활성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각 실험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시행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Old, 늙은 세포(Old cells);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A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Rap, 라파마이신(rapamycin). *p<0.05 or **p<0.01 vs DMSO.
도 6은 사람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에서 장구채 단일 성분의 세포독성 및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A, 장구채 단일 성분의 세포독성 효과. 각 성분을 10ug/ml 처리 후, 3일 동안 배양하여 MTT법으로 세포독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B, SA-β-gal 활성 염색 백분율. 아드리아마이신 처리 후, 각 단일성분을 10ug/ml로 처리하고, 3일 후 SA-β-gal 활성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각 실험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시행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Cont, 대조군;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A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p<0.05 vs DMSO.
도 7은 사람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에서 장구채 단일 성분의 세포독성 및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A, 장구채 단일 성분의 세포독성 효과. 각 성분을 1ug/ml 처리 후, 3일 동안 배양하여 MTT법으로 세포독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B, SA-β-gal 활성 염색 백분율. 아드리아마이신 처리 후, ZGC-3을 1ug/ml로 처리하고, 3일 후 SA-β-gal 활성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각 실험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시행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Cont, 대조군;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A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p<0.01 vs DMSO.
도 8은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장구채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A, 장구채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각 추출물을 10, 100ug/ml 처리 후, 3일 동안 배양하여 MTT법으로 세포독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B, SA-β-gal 활성 염색 사진 및 SA-β-gal 활성 염색 백분율. 아드리아마이신 처리 후, 각 추출물을 10ug/ml로 처리하고, 3일 후 SA-β-gal 활성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각 실험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시행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Cont, 대조군;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A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Rap, 라파마이신(rapamycin). *p<0.05 or **p<0.01 vs DMSO.
도 9는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장구채 헥산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A, 장구채 헥산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다. 각 추출물을 1-10ug/ml 처리 후, 3일 동안 배양하여 MTT법으로 세포독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B 및 C, SA-β-gal 활성 염색 사진 및 SA-β-gal 활성 염색 백분율. 아드리아마이신 처리 후, 장구채 헥산 추출물을 1-10 ug/ml로 처리하고, 3일 후 SA-β-gal 활성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각 실험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시행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D, p53, 인산화 S6K, p21의 발현을 나타낸다. 아드리아마이신 처리 후, 추출물을 1-10 ug/ml로 처리하고, 웨스턴 블랏법으로 각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조사하였다. NT, 미처리; Cont, 대조군;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A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Rap, 라파마이신(rapamycin). *p<0.05 or **p<0.01 vs DMSO.
도 10은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장구채 헥산 추출물의 복제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A, 복제노화 세포에 대한 장구채 헥산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다. 각 추출물을 1-10ug/ml 처리 후, 3일 동안 배양하여 MTT법으로 세포독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B 및 C, SA-β-gal 활성 염색 사진 및 SA-β-gal 활성 염색 백분율. 복제노화 세포에 장구채 헥산 추출물을 1-10 ug/ml 처리하고, 3일 후 SA-β-gal 활성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각 실험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시행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Old, 늙은 세포(Old cells);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A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Rap, 라파마이신(rapamycin). *p<0.05 or **p<0.01 vs DMSO.
도 11은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장구채 단일 성분의 세포독성 및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A, 장구채 단일 성분의 세포독성 효과. 각 성분을 10ug/ml 처리 후, 3일 동안 배양하여 MTT법으로 세포독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B, SA-β-gal 활성 염색 백분율. 아드리아마이신 처리 후, ZGC-5, ZGC-6, ZGC-9를 10ug/ml로 처리하고, 3일 후 SA-β-gal 활성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각 실험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시행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Cont, 대조군;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A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p<0.05 vs DMSO.
도 12는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장구채 단일 성분 ZGC-9((-)-보르네시톨((-)-bornesitol)의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A 및 B, SA-β-gal 활성 염색 사진 및 SA-β-gal 활성 염색 백분율. 아드리아마이신 처리 후, ZGC-9를 1-10ug/ml로 처리하고, 3일 후 SA-β-gal 활성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각 실험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시행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C, p53, 인산화 S6K, p21의 발현을 나타낸다. 아드리아마이신 처리 후, ZGC-9를 1-10 ug/ml로 처리하고, 웨스턴 블랏법으로 각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조사하였다. NT, 미처리; Cont, 대조군;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A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Rap, 라파마이신(rapamycin). *p<0.05 or **p<0.01 vs DMSO.
도 13은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활성산소 생성에 미치는 ZGC-9((-)-bornesitol)의 효과를 나타낸다. A, 활성산소 유세포분석. B, 평균 활성산소량 비교. 섬유아세포에 아드리아마이신을 처리하고, ZGC-9를 10 ug/ml 처리하여, 세포내 활성산소 정도를 유세포분석기로 조사하였다. 각 실험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시행 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ADR,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Y, 젊은 세포(young cells); Cont, 대조군;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A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Rap, 라파마이신(rapamycin). *p<0.05 or ** p<0.01 vs DMSO.
도 14는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ZGC-9((-)-bornesitol)의 복제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A, SA-β-gal 활성 염색 사진을 나타낸다. B, SA-β-gal 활성 염색 백분율을 나타낸다. C, ZGC-9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다. 복제노화 세포에 ZGC-9를 1-10 ug/ml 처리하고, 3일 후 SA-β-gal 활성 염색을 시행하였다. 세포독성은 MTT법으로 조사하였다. 결과는 각 실험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시행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Old, 늙은 세포(Old cells);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A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Rap, 라파마이신(rapamycin). *p<0.05 or **p<0.01 vs DMSO.
도 15는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장구채 단일 성분 ZGC-2(우르솔산(ursolic acid)의 세포독성 및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A, ZGC-2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다. B 및 C, SA-β-gal 활성 염색 사진 및 SA-β-gal 활성 염색 백분율. 아드리아마이신 처리 후, ZGC-2를 1 ug/ml로 처리하고, 3일 후 SA-β-gal 활성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각 실험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시행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Cont, 대조군;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A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Rap, 라파마이신(rapamycin). *p<0.05 or **p<0.01 vs DMSO.
도 16은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장구채 단일 성분 ZGC-2(우르솔산(ursolic acid)의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A 및 B, SA-β-gal 활성 염색 사진 및 SA-β-gal 활성 염색 백분율. 아드리아마이신 처리 후, ZGC-2를 0.01-1 ug/ml로 처리하고, 3일 후 SA-β-gal 활성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각 실험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시행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C, p53, 인산화 S6K, p21의 발현을 나타낸다. 아드리아마이신 처리 후, ZGC-2를 0.01-1 ug/ml로 처리하고, 웨스턴 블랏법으로 각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조사하였다. NT, 미처리; Cont, 대조군;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A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Rap, 라파마이신(rapamycin). *p<0.05 or **p<0.01 vs DMSO.
도 17은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활성산소 생성에 미치는 ZGC-2(우르솔산(ursolic acid)의 효과를 나타낸다. A, 활성산소 유세포분석. B, 평균 활성산소량 비교. 섬유아세포에 아드리아마이신을 처리하고, ZGC-2를 1 ug/ml 처리하여, 세포내 활성산소 정도를 유세포분석기로 조사하였다. 각 실험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시행 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ADR,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Y, 젊은 세포(young cells); Cont, 대조군;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A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Rap, 라파마이신(rapamycin). *p<0.05 or ** p<0.01 vs DMSO.
도 18은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ZGC-2(우르솔산(ursolic acid)의 복제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A, SA-β-gal 활성 염색 사진을 나타낸다. B, SA-β-gal 활성 염색 백분율을 나타낸다. 복제노화 세포에 ZGC-2를 0.01-1 ug/ml 처리하고, 3일 후 SA-β-gal 활성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각 실험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시행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Old, 늙은 세포(Old cells);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AC,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Rap, 라파마이신(rapamycin). **p<0.01 vs DMSO.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장구채 추출물 분리 및 단일성분의 화학구조
1. 장구채 추출물 및 단일성분 분리
장구채 10.0 kg에 80% 메탄올 20.0 L을 가하고 60 ℃에서 환류 냉각하여 12시간 동안 3회에 걸쳐 추출하였다. 여과지(filter paper)를 깔고 감압하여 여과하고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메탄올이 제거된 추출물 550.0 g을 얻었다. 추출물 550.0 g에 H2O 1.0 L을 가하고 진탕하여 현탁액으로 한 후, 동량의 n-헥산(n-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OAC), n-부탄올(n-butanol)을 가하여 용매분획을 통해 n-hexane 분획 75.9 g, EtOAC 분획 47.4 g, n-butanol 분획 97.0 g, H2O 분획 329.7 g을 얻었다.
60×12 cm 사이즈의 Silica-gel (70-230mesh) column을 만든 후, n-hexane 분획 50.0 g을 로딩하고, 이동상 용매로 기울기 용리 [EtOAC: MeOH= 100:1 → 1:1]하여 TLC로 확인하였으며 32개의 sub fraction (HZG1~32)을 얻었다. Fraction HZG14 (2.5 g)을 50×4 cm 사이즈의 Silica-gel (70-230mesh) column에 로딩하고, 이동상 용매로 기울기 용리 [n-hexane: EtOAC = 50:1 → 1:1]하여 ZGC-1(300 mg)을 얻었다. fraction HZG24 (1.0 g) (2.5 g)을 75 × 2 cm 사이즈의 Silica-gel (70-230mesh) column에 로딩하고, 이동상 용매로 기울기 용리 [n-hexane: EtOAC = 50:1 → 1:1]하여 ZGC-2(30.4 mg)을 얻었으며, fraction HZG25 (0.5 g)을 75×5 cm 사이즈의 Silica-gel (70-230mesh) column에 로딩하고, 이동상 용매로 기울기 용리 [n-hexane: EtOAC = 50:1 → 1:1]하여 ZGC-3(25.7 mg)을 얻었다. Fraction HZG31 (34.2 g)을 메탄올을 이용하여 재결정하여 ZGC-4(20.0 mg)을 얻었다. 75×5 cm 사이즈의 Silica-gel (70-230mesh) column에 로딩하고, 이동상 용매로 기울기 용리 [n-hexane: EtOAC = 50:1 → 1:1]하여 ZGC-5(25.7 mg)을 얻었다.
60×12 cm 사이즈의 Silica-gel (70-230mesh) column을 만든 후, n-butanol 분획 90.0 g을 로딩하고, 이동상 용매로 기울기 용리 [CHCl3: MeOH= 100:1 → 10:30]하여 TLC로 확인하였으며 20개의 sub fraction (BZG1~20)을 얻었다. Fraction BZG11 (4.2 g)을 50×4 cm 사이즈의 Silica-gel (70-230mesh) column에 로딩하고, 이동상 용매로 기울기 용리 [CHCl3: MeOH = 100:1 → 1:1]하여 ZGC-5 (142.5 mg)을 얻었으며, 75×2 cm 사이즈의 Sephadex™ LH-20 column에 로딩하고, CHCl3: MeOH= 1:3의 용매 조성으로 ZGC-6 (40 mg)을 얻었다. Fraction BZG12 (0.3 g)을 75 × 2 cm 사이즈의 Sephadex™ LH-20 column에 로딩하고, MeOH 100%의 용매 조성으로 ZGC-7 (13.5 mg)과 ZGC-8 (50.5 mg)을 얻었다. Fraction HZG13 (2.0 g)과 Fraction HZG17 (30.0 g)을 메탄올을 이용하여 재결정하여 ZGC-9 (50.0 mg)과 ZGC-10 (69.5 mg)을 얻었다. Fraction BZG14 (6.5 g)을 75×2 cm 사이즈의 Sephadex™ LH-20 column에 로딩하고, MeOH 100%의 용매 조성으로 ZGC-11 (14.5 mg)과 ZGC-12 (30.0 mg)을 얻었다 (도 1). 분리된 12종의 단일 물질들은 MS, NMR (1H, 13C, DEPT, 1H-1H COSY, HMQC, HMBC) 등 분광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결정하고 문헌과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2. 분리된 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장구채의 n-haxane 분획과 n-butanol 분획에서 분리한 12 종의 화합물은 기지물질로서 MS, NMR (1H, 13C, DEPT, 1H-1H COSY, HMQC, HMBC) 등 각종 분광학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고 문헌과 비교하여 ZGC-1 [α-스피나스테롤(α-spinasterol)], ZGC-2 [우르솔산(ursolic acid)], ZGC-3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ergosterol peroxide)], ZGC-4 [α-스피나스테롤-글루코사이드(α-spinasterol-glucoside)], ZGC-5 [2-메톡시-9-β-D-리보푸라노실 퓨린(2-methoxy-9-β-D-ribofuranosyl purine)], ZGC-6 [아리스테로마이신(aristeromycin)], ZGC-7 [엑디스테론(ecdysteron)], ZGC-8 [폴리포도아우레인(polypodoaurein)], ZGC-9 [(-)-보르네시톨((-)-bornesitol)], ZGC-10 [D-만니톨(D-mannitol)], ZGC-11 [비텍신(vitexin)], ZGC-12 [사이티소사이드(cytisoside)]으로 확인하였다(도 2).
ZGC -1 [colorless crystals, IR νmax (KBr) cm-1: 3251 (OH), 1676 (C=C stretch); 1H-NMR (250 MHz, pyridine-d 5) δ : 5.18 (1H, dd, J = 15.0, 8.7 Hz, H-22), 5.14 (1H, t, J = 4.0 Hz, H-7), 5.08 (1H, dd, J = 15.0, 8.7 Hz, H-23), 3.84 (1H, m, H-3), 1.06 (3H, d, J = 6.5 Hz, CH3-21), 0.87 (3H, d, J = 6.8 Hz, CH3-26), 0.85 (3H, d, J = 6.5 Hz, CH3-27), 0.82 (3H, s, CH3-19), 0.59 (3H, s, CH3-18); 13C-NMR (62.5 MHz, , pyridine-d 5) d: 37.5 (C-1), 32.1 (C-2), 71.0 (C-3), 38.9 (C-4), 40.5 (C-5), 29.5 (C-6), 117.9 (C-7), 139.6 (C-8), 49.7 (C-9), 34.4 (C-10), 21.8 (C-11), 39.6 (C-12), 43.4 (C-13), 55.3 (C-14), 23.3 (C-15), 28.2 (C-16), 55.9 (C-17), 13.2 (C-18), 12.1 (C-19), 41.1 (C-20), 21.2 (C-21), 138.6 (C-22), 129.6 (C-23), 51.3 (C-24), 37.6 (C-25), 21.5 (C-26), 19.1 (C-27), 25.6 (C-28), 12.4 (C-29). Positive FAB-MS m/z 412 [M]+.]
ZGC -2 [colorless needles, 1H-NMR (250 MHz, MeOD) δ: 5.03 (1H, t, H-12), 3.05 (1H, m, H-3), 2.87 (1H, dd, J = 13.2, 4.2 Hz, H-2), 1.84 (1H, d, J = 11.3 Hz, H-18), 1.00 (3H, s, CH3-23), 0.93 (3H, d, J = 6.7 Hz, CH3-30), 0.86 (3H, s, CH3-26), 0.84 (3H, s, CH3-27), 0.78 (3H, d, J = 6.5 Hz, CH3-29), 0.73 (3H, s, CH3-24), 0.66 (3H, s, CH3-25); 13C-NMR (62.5 MHz, MeOD) d: 39.8 (C-1), 27.9 (C-2), 79.7 (C-3), 38.1 (C-4), 56.7 (C-5), 19.5 (C-6), 34.3 (C-7), 40.8 (C-8), 48.9 (C-9), 40.0 (C-10), 24.1 (C-11), 126.9 (C-12), 139.6 (C-13), 43.2 (C-14), 28.8 (C-15), 25.3 (C-16), 48.9 (C-17), 54.3 (C-18), 40.4 (C-19), 40.4 (C-20), 30.8 (C-21), 38.1 (C-22), 29.2 (C-23), 16.0 (C-24), 16.4 (C-25), 17.8 (C-26), 24.4 (C-27), 181.7 (C-28), 17.7 (C-29), 21.6 (C-30).]
ZGC -3 [Needles, UV λmax (CHCl3) nm 243; vmax (KBr) cm-1 3406 (OH), 2954 (C-H), 1716 (C=C), 1457 (CH2), 1045 (C-O); 1H-NMR (CDCl3, 250 MHz,) δ 0.81 (3H, s), 0.82 (3H , d, J = 6.8 Hz), 0.83 (3H, d, J = 6.8 Hz), 0.86 (3H, s), 0.95 (3H, d, J = 6.6 Hz), 1.19 (3H, d, J = 6.6 Hz), 3.91 (1H, m, H-3), 5.13 (2H, m, H-22, H-23), 6.20, 6.45 (each 1H, d, J = 8.4 Hz, H- 6, H-7); 13C-NMR (CDCl3, 62.9 MHz) δ 135.4 (C-7), 135.1 (C-23), 132.2 (C-22), 130.6 (C-6), 82.1 (C-8), 79.3 (C-5), 66.2 (C-3), 56.1 (C-17), 51.5 (C-14), 50.9 (C-4), 4.5 (C-13), 42.7 (C-24), 39.7 (C-20), 39.2 (C-12), 36.8 (C-1, C-10), 34.6 (C-9), 33.0 (C-25), 29.9 (C-2), 28.6 (C-15), 23.3 (C-16), 20.8 (C-11), 20.5 (C-27), 19.9 (C-26), 19.6 (C-21), 18.1 (C-19), 17.5 (C-28), 12.8 (C-18). Positive FAB-MS m/z 429 [M+H]+.]
ZGC -4 [colorless crystals, IR νmax (KBr) cm-1: 3395 (OH), 2938, 2864 (C-H), 1457 (CH2), 1367 (CH3), 1060, 1030 (glycosidec C-O); 1H-NMR (250 MHz, pyridine-d 5) d: 5.17 (1H, dd, J = 8.1, 3.5 Hz, H-7), 5.05 (2H, m, H-22, H-23), 4.62 (1H, d, J = 9.6 Hz, H-1'), 4.44 (1H, dd, J = 4.5, 9.3 Hz, H-5'), 4.30 (1H, m, H-6'), 4.10 ~ 3.97 (4H, m, H-2', 3', 4' and H-3), 1.07 (3H, d, J = 6.5 Hz, CH3-21), 0.83 ~ 0.90 (9H, m, CH3-26, 27, 29), 0.70 (3H, s, CH3-19), 0.57 (3H, s, CH3-18); 13C-NMR (62.5 MHz, pyridine-d 5) d: 37.3 (C-1), 32.2 (C-2), 71.7 (C-3), 37.3 (C-4), 40.1 (C-5), 30.0 (C-6), 117.9 (C-7), 139.5 (C-8), 49.5 (C-9), 34.5 (C-10), 21.7 (C-11), 39.6 (C-12), 43.4 (C-13), 55.3 (C-14), 23.3 (C-15), 28.9 (C-16), 60.0 (C-17), 13.1 (C-18), 12.2 (C-19), 41.2 (C-20), 21.6 (C-21), 138.7 (C-22), 129.6 (C-23), 51.4 (C-24), 37.3 (C-25), 21.7 (C-26), 19.2 (C-27), 25.7 (C-28), 12.5 (C-29), 102.2 (C-1'), 75.4 (C-2'), 78.7 (C-3'), 77.0 (C-4'), 78.6 (C-5'), 62.9 (C-6'). Positive FAB-MS m/z 574 [M]+ .]
ZGC -5 [amorphous powder, IR νmax (KBr) cm-1: 3422 (OH), 1697 (C=C), 1470, 1264, 1109 (C-N); 1H-NMR (250 MHz, pyridine-d 5) d: 7.71 (1H, s, H-2), 7.67 (1H, s, H-8), 5.76 (1H, d, dd, J = 6.0 Hz, H-1'), 4.48 (1H, t, J = 5.5 Hz, H-2'), 4.04 (1H, dd, J = 2.4, 5.5 Hz, H-3'), 3.72 (1H, d, J = 2.4 Hz, H-4'), 3.27 (1H, dd, J = 2.2, 12.4 Hz, H-5'); 13C-NMR (75 MHz, pyridine-d 5) d: 164.4 (C-6), 152.2 (C-2), 150.0 (C-4), 141.0 (C-8), 102.3 (C-5), 90.2 (C-1'), 86.1 (C-4'), 76.0 (C-2'), 71.1 (C-3'), 61.6 (C-5'), 49.6 (OCH3).]
ZGC -6 [amorphous powder, UV λmax (H2O) nm 265; IR nmax (KBr) cm-1: 3335, 3148 (NH2), 2929 (C-H), 1666, 1604 (N-H), 1209 (C-N), 1037 (glycosidec C-O); 1H-NMR (250 MHz, , pyridine-d 5) d: 7.71 (1H, s, H-2), 7.67 (1H, s, H-8), 5.76 (1H, d, dd, J = 6.0 Hz, H-1'), 4.48 (1H, t, J = 5.5 Hz, H-2'), 4.04 (1H, dd, J = 2.4, 5.5 Hz, H-3'), 3.72 (1H, d, J = 2.4 Hz, H-4'), 3.27 (1H, dd, J = 2.2, 12.4 Hz, H-5'); 13C-NMR (75 MHz, pyridine-d 5) d: 157.7 (C-6), 157.6 (C-4), 153.2 (C-2), 140.6 (C-8), 121.4 (C-5), 90.7 (C-1'), 87.8 (C-4'), 75.4 (C-2'), 72.5 (C-3'), 63.0 (C-5'). FAB-MS m/z 266 [M+H]+.]
ZGC -7 [amorphous powder, IR νmax (KBr) cm-1: 3359 (OH), 2712 (C-H), 1650 (C=C), 1452 (CH2), 1321 (CH3), 1068 (C-O-C); 1H-NMR (250 MHz, pyridine-d 5) d: 5.80 (1H, d, J = 2.0 Hz, H-7), 3.93-3.60 (2H, m, H-2, H-3), 3.28 (1H, dd, J = 9.6, 2 Hz, H-22), 1.20 (9H, s, CH3-21, CH3-26, CH3-27), 0.95 (3H, s, CH3-19), 0.88 (3H, s, CH3-18); 13C-NMR (62.5 MHz, pyridine-d 5) d: 37.3 (C-1), 68.5 (C-2), 68.6 (C-3), 32.5 (C-4), 50.5 (C-5), 206.4 (C-6), 122.1 (C-7), 168.0 (C-8), 35.0 (C-9), 39.2 (C-10), 21.0 (C-11), 32.8 (C-12), 49.9 (C-13), 85.2 (C-14), 31.8 (C-15), 21.0 (C-16), 51.7 (C-17), 18.0 (C-18), 24.4 (C-19), 77.9 (C-20), 21.5 (C-21), 78.4 (C-22), 27.3 (C-23), 42.4 (C-24), 71.3 (C-25), 28.9 (C-26), 29.7 (C-27). FAB-MS m/z 479 [M-H]-.]
ZGC -8 [amorphous powder, IR νmax (KBr) cm-1: 3289 (OH), 2915 (C-H), 1651 (C=C), 1471 (CH2), 1371 (CH3), 1072 (C-O-C); 1H-NMR (250 MHz, pyridine-d 5) d: 6.23 (1H, s, H-7), 4.17 (1H, m, H-3), 3.84 (1H, m, H-2), 3.66 (1H, m, H-22), 3.57 (3H, s, OCH3), 1.56 (3H, s, CH3-21), 1.34 (6H, s, CH3-26, 27), 1.19 (3H, s, CH3-19), 1.04 (3H, s, CH3-18); 13C-NMR (62.5 MHz, pyridine-d 5) d: 36.3 (C-1), 68.1 (C-2), 68.0 (C-3), 31.9 (C-4), 51.8 (C-5), 203.4 (C-6), 121.6 (C-7), 166.7 (C-8), 34.3 (C-9), 38.6 (C-10), 21.4 (C-11), 32.4 (C-12), 48.0 (C-13), 84.1 (C-14), 31.7 (C-15), 21.0 (C-16), 51.3 (C-17), 17.8 (C-18), 24.4 (C-19), 76.8 (C-20), 21.6 (C-21), 77.4 (C-22), 27.4 (C-23), 42.6 (C-24), 69.5 (C-25), 29.9 (C-26), 30.0 (C-27). Positive FAB-MS m/z 495 [M+H]+.]
ZGC -9 [whitish amorphous powder, IR νmax (KBr) cm-1: 3434 (OH), 2954 (C-H), 1652, 1431, 1055 (C-O); 1H-NMR (250 MHz, DMSO-d 6) d: 4.72 (1H, t, J = 2.1 Hz, H-2), 4.63 (1H, m, H-6), 4.54 (1H, m, H-1), 4.49 (1H, m, H-4), 4.34 (1H, m, H-5), 3.61 (3H, s, OCH3), 2.98 (1H, t, J = 9.0, H-4); 13C-NMR (62.5 MHz, DMSO-d 6) δ: 84.1 (C-1), 70.3 (C-2), 71.1 (C-3), 72.6 (C-4), 72.8 (C-5), 72.2 (C-6), 59.9 (OCH3).]
ZGC -10 [white powder, mp 168~169℃. IR vmax (KBr) cm-1: 3406 (-OH), 2908 (C-H), 1072 (C-O); 1H-NMR (250 MHz, pyridine-d 5) d: 3.36 (2H, d, CH2-1 or 6), 4.59 (1H, qui, CH-2 or 5), 4.85 (1H, td, CH-3 or 4), 5.96 (1H, OH). 13C-NMR (62.5 MHz, pyridine-d 5) d: 65.6 (C-1), 72.1 (C-2), 73.3 (C-3), 73.3 (C-4), 72.1 (C-5), 65.6 (C-6).]
ZGC -11 [yellowish amorphous powder, UV λmax (MeOH) nm 335, 272, 215; IR vmax (KBr) cm-1: 3370 (OH), 1638 (C=C), 1354, 1096; 1H-NMR (250 MHz, CD3OD) δ: 7.82 (1H, d, J = 8.7 Hz, H-2', 6'), 6.92 (1H, d, J = 8.6 Hz, H-3', 5'), 6.56 (1H, s, H-3), 6.47 (1H, s, H-6), 4.90 (H, d, J = 7.2 Hz, H-1"), 4.18 3.44 (6H, m, sugar protons); 13C-NMR (62.5 MHz, CD3OD) d: 183.9 (C-4), 166.2 (C-2), 164.8 (C-9), 162.8 (C-7), 162.0 (C-4'), 158.7 (C-5), 129.4 (C-2', 6'), 123.0 (C-1'), 117.0 (C-3', 5'), 109.1 (C-10), 105.2 (C-8), 103.8 (C-3), 95.2 (C-6), 82.6 (C-5"), 80.1 (C-3"), 75.3 (C-1"), 72.5 (C-2"), 71.7 (C-4"), 62.8 (C-6").]
ZGC -12 [yellowish amorphous powder, UV λmax (MeOH) nm 335, 270, 213; IR vmax (KBr) cm-1: 3372 (OH), 1640 (C=C), 1346, 1090; 1H-NMR (250 MHz, CD3OD) δ: 7.83 (1H, d, J = 8.7 Hz, H-2', 6'), 6.93 (1H, d, J = 8.6 Hz, H-3', 5'), 6.57 (1H, s, H-3), 6.48 (1H, s, H-6), 7.39 (1H, s, H-2'), 5.0 (H, d, J = 7.0 Hz, H-1"), 4.18-3.44 (6H, m, sugar protons), 3.80 (3H, s, OCH3); 13C-NMR (62.5 MHz, CD3OD) d: 182.1 (C-4), 166.1 (C-2), 162.8 (C-9), 162.8 (C-7), 162.5 (C-4'), 158.5 (C-5), 129.5 (C-2', 6'), 123.1 (C-1'), 117.0 (C-3', 5'), 109.8 (C-10), 103.2 (C-8), 103.9 (C-3), 95.9 (C-6), 82.5 (C-5"), 77.8 (C-3"), 73.6 (C-1"), 72.1 (C-2"), 71.5 (C-4"), 62.3 (C-6"), 56.6 (OCH3).]
< 실시예 2 > 장구채 추출물 및 단일 성분의 세포 독성 및 세포 노화 저해 효능 조사
1. 실험 재료
사람 섬유아세포와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는 Lonza (Walkersville, MD, 미국)에서 구입하였다. 둘베코스-변형 이글스 배지(Dubeccos-Modified Eagle's medium; DMEM), 우태아혈청, 항생제 용액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은 WelGene (Daegu, Korea), 내피세포성장 배양액-2(endothelial cell growth medium-2, EGM-2)는 Lonza (Walkersvill, MD, 미국)에서 구입하였다. p53에 대한 항체는 SantaCruz Biotech, Inc. (SantaCruz, CA, 미국)에서 구입하였으며, p21과 pS6에 대한 항체는 Cell Signaling Technology Inc.(Beverly, MA, 미국)에서 구입하였다. GAPDH 항체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권기선 박사로부터 분양받았다. 아드리아마이신은 일동제약주식회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2. 세포 배양
사람 섬유아세포는 10% 우태아혈청과 1% 항생제 [페니실린(penicillin) 10,000unit/ml, 스트렙토마이신(stretomycin) 10,000ug/ml)가 포함된 DMEM 배양액을 이용하여 100 mm 배양접시에 세포를 1 × 105개로 분주한 후, 37℃, 5%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접시의 바닥에 세포가 80-90% 정도 자라면, 트립신-EDTA 용액 (2.5X) 을 넣어 세포를 분리한 후, 계대 배양하였다. 제대혈관내피세포는 EGM-2를 배양액으로 사용하여 사람 섬유아세포와 같은 방법으로 세포를 배양하였다. 세포를 계대할 때마다 세포 수를 측정하여 세포가 몇 회 분열하였는지 분열 횟수를 조사하였다. 세포의 분열 횟수 (population doubling, PD)는 PD= log2F/log2I (F=마지막 세포수, I=처음 세포수)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세포들은 분열횟수가 사람 섬유아세포의 경우 PD<35 또는 PD>75, 제대혈관내피세포는 PD<30 또는 PD>50회의 것을 사용하였다.
3. 아드리아마이신 처리에 의한 세포노화 유도
직경 100mm 배양접시에 사람 섬유아세포,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를 1.5x105개 분주하였다. 3일간 37℃, 5% 이산화탄소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였다. 세포를 항생제가 포함된 DMEM 배양액으로 2회 세척하였다. 세포에 500 nM 아드리아마이신을 4시간 처리한 후, 항생제가 포함된 DMEM 배양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사람 섬유아세포는 10% 우태아혈청과 1% 항생제가 포함된 DMEM 배양액으로, 사람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는 EGM-2 배양액으로 배양하였다. 4일 후, 노화 베타-갈락토시다제(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A-β-gal) 활성 염색으로 세포노화가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4. 3-(4, 5-디메틸티아졸-2일)-2, 5-디페닐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측정 방법
장구채 추출물과 화합물이 세포의 성장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MTT법으로 조사하였다. 0.1% MTT 용액을 96 웰(well) 배양용기의 각 웰(well) 당 50 ul씩 넣고 3시간 동안 37℃, 5% 이산화탄소배양기에서 반응시켰다. 배양액과 MTT 용액을 제거 한 후,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100 ul를 첨가하여 형성된 결정을 녹였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성장속도를 측정하였다.
5.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에서 장구채 추출물 및 단일성분의 효과 조사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노화된 세포에 장구채 추출물과 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12가지의 단일 화합물들이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아드리아마이신을 4시간 처리한 세포들을 트립신-EDTA로 배양접시에서 분리하여 96well, 12well, 24well 세포배양용기로 분주하였다. 96well 세포배양용기에 각 well당 섬유아세포는 500개, 제대혈관내피세포는 1,000개씩 분주하였다. 24well에는 섬유아세포는 3000개/well, 제대혈관내피세포는 5000개/well로 분주하였으며, 12well은 섬유아세포 5000개/well, 재대혈관내피세포 7000개/well을 분주하였다. 하루 동안 37℃, 5% 이산화탄소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96well에는 각 well에 10% 우태아혈청과 1% 항생제가 포함된 DMEM 배양액과 EGM-2 배양액을 100ul씩 더 넣어 주고 12well과 24well은 배양액을 교환한 후, 추출물은 100ug/ml, 단일 화합물은 10 ug/ml로 처리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를, 양성 대조군으로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5mM과 라파마이신(rapamycin) 500nM을 첨가하였다. 3일 동안 37℃, 5% 이산화탄소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세포의 성장 정도는 MTT법으로, 세포노화 정도는 노화 베타-갈락토시다제(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A-β-gal) 활성 염색법으로 조사하였다.
6. 노화 베타-갈락토시다제(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A-β-gal) 활성 염색
세포노화에 대한 효과는 SA-β-gal 활성 염색으로 조사하였다. 24 well 또는 12 well 배양용기에 단일 화합물을 3일 동안 처리한 후, 세포를 인산완충액으로 세척하였다. 3.7%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로 세포를 고정한 후, 고정액을 제거하고 다시 인산완충액으로 세척하였다. SA-β-gal 염색 용액 [40 mM 시트릭산(citric acid)/포스페이트(phosphate); pH 5.8, 5 mM 포타슘 페로시아나이드(potassium ferrocyanide), 5 mM 포타슘 페리시아나이드(potassium ferricyanide), 150 mM NaCl, 2 mM MgCl2, X-gal 1 mg/ml]을 24 well 배양용기에는 각 well 당 250 ul, 12 well 배양용기에는 각 well 당 500ul를 넣어 주었다. 은박지로 싸서 37℃에서 17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인산완충용액(PBS)으로 2번 세척한 후, 1% 에오진 용액으로 1분간 염색하였다. 인산완충용액으로 2회 세척 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파란색으로 염색된 세포를 관찰하였다. SA-β-gal 활성 정도는 총 50~100개의 세포 중에서 세포질에 파란색으로 염색된 세포 수를 측정하여 백분율 (%)로 표시하였다.
7. 세포 단백질 추출
각 세포를 60 mm 배양접시에 1x105개로 분주한 후 37℃, 5%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항생제가 포함된 DMEM 배양액으로 2회 세척한 후, 장구채 추출물과 단일성분을 농도 별로 1시간 전 처리하고, 아드리아마이신 500 nM을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한 후, 인산완충액으로 2회 세척하였다. 배양접시 당 세포 용해 용액 [25mM Tris-HCl(pH 7.6), 150mM Nacl, 1% 트리톤(Tryton) X-100, 0.5% 소듐 데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 0.1% SDS, 1mM 소듐 바나데이트(Sodium vanadate), 5mM NaF, 프로테아제 억제제(protease inhibitor) 또는 1mM PMSF]을 50 ul를 넣었다. 세포 긁개를 이용하여 배양접시를 긁어 용액과 세포를 모은 후 미세원침관으로 옮겼다. 얼음에서 30분간 반응시키면서 매 10분마다 용액을 진탕하였다. 12,000 rpm에서 15분간 원침하여 상청액을 새 튜브로 옮겼다. 용액 속의 단백질 양은 우혈청알부민을 표준단백질로 사용하여 바이신코니닉산(bicinchoninic acid; BCA) 법 (Pierce Biotechnology Inc., Rockford IL, 미국)으로 정량하였다.
8. 웨스턴 블랏(Western blot) 분석
단백질 (30μg)을 10% SDS-폴리아크릴아미드(SDS-polyacrylamide) 겔에서 전기영동하여 분리하였다. 니트로셀룰로스 막으로 단백질을 이동시킨 후, 5% 전지분유가 포함된 트윈-20-트리스 완충된 식염수(Tween-20-Tris buffered saline; TTBS)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니트로셀룰로스 막을 p53, pS6 또는 p21에 대한 일차항체가 포함된 5% 전지분유-TTBS 용액에서 밤새도록 반응시켰다. TTBS 용액으로 10분씩 3회 세척 한 후, 겨자무 과산화효소(horseradish peroxidase)가 결합된 2차 항체와 1시간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TTBS로 막을 7분씩 5회 세척 한 후, 향상된 화학발광(enhanced chemiluminescence) 용액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각 항체와 반응한 특정 단백질의 양은 LAS-3000 영상장치 (Fujifilm Corp., Stanford, CT, 미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실험에 동일한 양의 단백질이 사용되었음은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ase; GAPDH) 항체를 이용해 비교하였다.
9. 세포 내 활성산소(ROS) 농도 측정
세포를 100mm 배양접시에 1.5x105개로 분주한 후 37℃, 5%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항생제가 포함된 DMEM 배양액으로 2회 세척한 후, 아드리아마이신 500 nM을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인산완충액으로 한 번 세척하고, 트립신-EDTA 용액 (2.5%) 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 60mm 배양접시에 1 X 105개로 분주하였다. 하루 동안 37℃, 5% 이산화탄소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갈아주고 단일화합물을 10 ug/ml, 1 ug/ml로 처리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를 양성 대조군으로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5mM과 라파마이신(rapamycin) 500nM을 첨가하였다. 3일 동안 37℃, 5% 이산화탄소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항생제가 포함된 DMEM 배양액으로 2회 세척하고 H2DCFDA 250uM을 20분 동안 처리하였다. 인산완충용액으로 1회 세척하고 트립신-EDTA 용액을 넣어 세포를 분리하여 미세원침관으로 옮겼다. 5,000×g 에서 1분간 원침하여 상청액을 버리고 2% 우태아혈청을 포함한 인산완충용액을 1ml 넣어 세포를 세척하고 다시 5,000×g에서 1분간 원침하였다. 세척과정을 2회 반복한 후, 1%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를 1ml 넣어 주었다. 세포 내 ROS 양은 BD FACS CantoⅡ 유세포 분류기 (BD Biosciences, San Jose, C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0. 결과
(1) 사람 제대혈관내피세포에서 장구채 추출물의 세포독성과 세포 노화 저해 효능 조사
사람 제대혈관내피세포에서 장구채 추출물 5가지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각 추출물을 10, 100 ug/ml로 처리하였을 때, 10 ug/ml에서는 부탄올 추출물만이 독성을 나타내었고 다른 물질은 모두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도 3A). 장구채 추출물이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노화를 억제하는지 조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10 ug/ml로 처리하였을 때 아드리아마이신 처리에 의해 증가되는 SA-β-gal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도 3B).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처리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증가되는 SA-β-gal 활성을 저해하였다 (도 4A, 4B, 4C). 이 추출물이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 과정에서 증가되는 p53, p21, 인산화S6K와 같은 단백질의 발현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증가되는 p21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D).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뿐만 아니라, 복제노화가 유도된 세포에서도 세포노화를 억제하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농도의존적으로 복제노화에 의해 증가된 SA-β-gal 활성을 감소시켰다 (도 5).
이상의 결과로부터 장구채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와 세포 분열로 인한 복제노화를 저해하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사람 제대혈관내피세포에서 장구채 단일성분의 세포독성 효과와 세포노화 저해 효능 조사
사람 제대혈관내피세포에서 장구채 단일성분 12가지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화합물을 각각 10 ug/ml 처리하였을 때 ZGC-2, 3을 제외한 나머지 물질들은 모두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도 6A). 이 중 ZGC-6, 7, 10, 11, 12가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를 억제하는지 조사하였으나, 세포노화를 저해하는 효능을 관찰할 수 없었다 (도 6B). 10 ug/ml에서 독성을 나타낸 ZGC-2, 3의 농도를 1 ug/ml 낮추었을 때,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도 7A). 1 ug/ml ZGC-3 처리하였을 때, 아드라이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를 억제하지 않았다 (도 7B).
이상의 결과로 장구채로부터 분리된 단일 성분들은 제대혈관내피세포에서 세포노화를 저해하는 효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3)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장구채 추출물의 세포독성과 세포 노화 저해 효능 조사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장구채 추출물 5가지에 대한 세포독성을 먼저 조사하였다. 이들 추출물은 10, 100 ug/ml로 처리하였을 때는 10 ug/ml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도 8A). 장구채 추출물이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노화를 억제하는지 조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과 헥산 추출물을 10 ug/ml 처리하였을 때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증가되는 SA-β-gal 활성이 감소되었고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보다 헥산 추출물이 더 큰 효과를 보였다 (도 8B). 헥산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효능을 더 조사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증가되는 SA-β-gal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도 9A, 9B 및 9C). 헥산 추출물이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 과정에서 증가되는 p53, p21, 인산화S6K와 같은 단백질의 발현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p53, pS6 단백질 발현은 10 ug/ml로 처리하였을 때 모두 감소되었고, p21 단백질은 3 ug/ml부터 감소되었다 (도 9D).
헥산 추출물이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 뿐만 아니라, 복제노화가 유도된 세포에서도 세포노화를 억제하는지 조사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복제노화에 의해 증가된 SA-β-gal 활성을 감소시켰다 (도 10).
이상의 결과로부터 장구채 헥산 추출물이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와 세포 분열로 인한 복제노화를 저해하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4)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장구채 단일성분의 세포독성 효과와 세포노화 저해 효능 조사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장구채 단일성분 12가지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화합물을 각각 10 ug/ml 처리하였을 때 ZGC-2를 제외한 나머지 물질에서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도 11A). 이 중 ZGC-5, 6, 9가 세포노화를 억제하는지 조사하였으며, ZGC-9가 세포 노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1B, 11C). ZGC-9를 농도 별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SA-β-gal 활성이 감소되었다 (도 12A, 12B).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p53과 pS6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켰다 (도 12C). ZGC-9 10 ug/ml을 처리하여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증가되는 세포 내 ROS의 양을 측정한 결과, ROS의 양이 감소하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도 13). 복제노화가 유도된 세포에서도 세포노화를 억제하는지 조사한 결과, 복제노화에 의해 증가된 SA-β-gal 활성이 감소됨을 관찰하였다 (도 14).
10 ug/ml로 처리하였을 때 독성이 있었던 ZGC-2를 1 ug/ml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도 15A). ZGC-2를 1 ug/ml로 처리하여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 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ZGC-2에 의해 세포 노화가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도 15B, 15C). ZGC-2는 농도의존적으로 SA-β-gal 활성과 p53, p21, pS6 단백질 발현을 저해하였다 (도 16A, 16B, 16C). ZGC-2는 1 ug/ml에서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증가되는 세포 내 ROS의 양도 감소시켰다 (도 17). ZGC-2가 복제노화 유도된 세포에서도 세포노화를 억제하는지 조사한 결과, 복제노화에 의해 증가된 SA-β-gal 활성이 감소됨을 관찰하였다 (도 18A, 18B).
이상의 결과로부터 장구채로부터 분리된 ZGC-2 (ursolic acid)와 ZGC-9 ((-)-bornesitol)이 각각 1 ug/ml, 10 ug/ml의 농도에서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세포노화와 세포 분열로 인한 복제노화를 저해하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장구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보르네시톨((-)-bornesit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 화학식 1 >
    Figure pat0000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구채 추출물은 장구채 메탄올 추출액에 증류수 및 헥산(n-hexane)을 첨가하고 분획화하여 추출된 헥산(n-hexane) 분획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섬유아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구채 추출물은 장구채 메탄올 추출액에 증류수 및 헥산(n-hexane)을 첨가하여 분획화한 증류수 층에 에틸아세테이트(EtOAc)를 첨가하고 분획화하여 추출된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노화는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노화 억제는 노화 베타-갈락토시다제(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A-β-gal) 활성 억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노화,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 간염, 만성 피부손상 조직, 동맥경화, 전립샘 증식증 및 간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1020130101709A 2013-08-27 2013-08-27 장구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보르네시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589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709A KR101589793B1 (ko) 2013-08-27 2013-08-27 장구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보르네시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709A KR101589793B1 (ko) 2013-08-27 2013-08-27 장구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보르네시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605A true KR20150024605A (ko) 2015-03-09
KR101589793B1 KR101589793B1 (ko) 2016-01-28

Family

ID=5302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709A KR101589793B1 (ko) 2013-08-27 2013-08-27 장구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보르네시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7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823A1 (ko) * 2014-09-25 2016-03-3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장구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보르네시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160147136A (ko) * 2015-06-11 2016-12-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재생용 조성물
WO2017002120A1 (en) * 2015-07-02 2017-01-05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Selective inhibitors of senescent cells and uses thereof
KR102200546B1 (ko) * 2019-12-12 2021-01-08 (주)아모레퍼시픽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KR20210044021A (ko) * 2019-10-14 2021-04-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왕불류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284A (ko) * 2005-04-12 2006-10-17 (주)젠크로스 장구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 및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7145A (ko) * 2010-02-24 2011-08-3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장구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284A (ko) * 2005-04-12 2006-10-17 (주)젠크로스 장구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 및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7145A (ko) * 2010-02-24 2011-08-3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장구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823A1 (ko) * 2014-09-25 2016-03-3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장구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보르네시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160147136A (ko) * 2015-06-11 2016-12-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재생용 조성물
WO2017002120A1 (en) * 2015-07-02 2017-01-05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Selective inhibitors of senescent cells and uses thereof
KR20210044021A (ko) * 2019-10-14 2021-04-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왕불류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00546B1 (ko) * 2019-12-12 2021-01-08 (주)아모레퍼시픽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WO2021118286A1 (ko) * 2019-12-12 2021-06-17 (주)아모레퍼시픽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CN114727928A (zh) * 2019-12-12 2022-07-08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诱导促进老化皮肤细胞周围环境变化的组合物
CN114727928B (zh) * 2019-12-12 2024-03-22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诱导促进老化皮肤细胞周围环境变化的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793B1 (ko)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793B1 (ko) 장구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보르네시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435717B1 (ko) 퀘세틴-3-O-β-D-글루쿠로니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CN102946877B (zh) 乳突果及其分离的化合物在制备用于治疗神经疾病的药物中的用途
KR20160076654A (ko) 엑소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062616B1 (ko) 에피프리에델라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억제용 약학조성물
KR102054391B1 (ko) 마이크락티니움 종 미세조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8190B1 (ko) 목단피로부터 분리된 2,5-디하이드록시-4-메톡시아세토페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672708B1 (ko) 차즈기 추출물 또는 알파-아사론을 함유하는 죽상동맥경화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437729B1 (ko) 로리오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354116B1 (ko) 이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지방생성 억제용 조성물
KR101698234B1 (ko) 오수유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루타에카르핀 또는 리모시트린 3-루티노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JP5295227B2 (ja) ズダヤクシュ抽出物またはこれから分離された化合物を含む癌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用組成物
KR101550967B1 (ko)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레오-1(4&#39;&#39;-메톡시페닐)-1,2-프로판디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437728B1 (ko) 주글라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503600B1 (ko) 삼백초로부터 분리된 에리스로-오스트로바이리그난-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140112636A (ko)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브리타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2659740B1 (ko) 해삼 생식선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의 항암 용도
KR101503585B1 (ko)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퀘르세타제틴 3,4&#39;&#39;-디메틸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780939B1 (ko) 인삼 유래 화합물 분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
Lee et al. Chemical constituents with senolytic activity from the stems of Limacia scandens
KR101038022B1 (ko) 신규 당 화합물
KR101658515B1 (ko) 장생도라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화합물을 함유하는 혈관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150055145A (ko) 인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시르투인 활성화로 치료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810642B2 (ja) 癌転移抑制用トリテルペン誘導体及び該トリテルペン誘導体を用いた癌転移抑制用組成物
KR101484526B1 (ko) 한약재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jnp3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