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590A -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590A
KR20150024590A KR20130101659A KR20130101659A KR20150024590A KR 20150024590 A KR20150024590 A KR 20150024590A KR 20130101659 A KR20130101659 A KR 20130101659A KR 20130101659 A KR20130101659 A KR 20130101659A KR 20150024590 A KR20150024590 A KR 20150024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bearer
response messag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2044B1 (ko
Inventor
박민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1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04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4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호 처리 방법은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가 아이들 상태일 때에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가 송신된 후에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른 발신 단말과의 전용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활성화 이벤트와 베어러 이벤트가 중복되는 호 충돌 상황에서도 호 처리의 순서를 결정하여 모든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호 충돌로 인하여 활성화 이벤트 또는 베어러 이벤트에 대한 처리를 마무리하지 못하는 콜 드롭이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호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ALL}
본 발명은 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VoLTE(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서비스 중에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의 송신 및 전용(dedicated) 베어러 설정을 위한 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3GPP 릴리스(Release) 8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나로써, 망 아키텍처(Network Architecture)인 EPC(Evolved Packet Core)를 기술하고 있다. EPC는 3GPP LTE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들의 집합이다. EPC는 기존의 3GPP 시스템 아키텍처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진화시켜, 진화된 무선접속망(Evolved RAN)인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등을 지원하고, 또한 패킷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네트워크 노드를 단순화시킨 효율적인 망구조를 갖는다. EPC와 E-UTRAN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EPS(Evolved Packet System)라고 호칭할 수도 있으며, 현재 국내에서 서비스 중인 LTE 이동통신 시스템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LTE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초기에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레거시망과의 혼용 통신 환경이 나타나며, 이러한 통신 환경에서는 LTE망에 접속할 수 있으면서도 WCDMA망 등과 같은 레거시망에도 접속할 수 있는 듀얼모드(dual mode)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운용될 수 있다. 아울러, LTE 이동통신 서비스의 초기에는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대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는 WCDMA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였으며,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는 LTE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이와는 달리 데이터 통신은 물론이고 음성 통화까지 LTE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VoLTE 서비스이다. 이러한 VoLTE 서비스는 HD(High Definition) voice 서비스로 불려지기도 한다. VoLTE 서비스에 의하면, 음성 통화 시에 기존보다 깨끗한 HD급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통화 중에 실시간으로 상대방과 같은 화면을 보여주면서 지도, 음악, 뉴스, 사진 등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LTE망의 서비스 영역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그 제한된 지역을 벗어나거나 서비스 셀 접경 지역 등과 같이 전파 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는 음성 통화호의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레거시망과 연동하여 음성 통화호의 연속성(voice call continuity)를 제공하려는 추세이다. 이때, VoLTE 통화 중에 LTE 약전계로 진입할 경우에 통화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레거시망의 패킷망(packet switched network)으로 음성 트래픽을 핸드오버(handover) 시켜주는 기술이 패킷 스위치드 핸드오버이며, 레거시망의 서킷망(circuit switched network)으로 음성 트래픽을 핸드오버 시켜주는 기술이 SRVCC(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VoLTE 서비스에 위한 VoLTE 호의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 VoLTE 호가 발생되면 TA(Tracking Area) 단위로 페이징(paging)이 이루어지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전화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을 의미하는 180 링잉(ringing)을 송신하고, 180 링잉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까지 도착하면 링 신호가 발생한다.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는 백그라운드(background) 실행에 의해 자체적으로 링 신호가 발생하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전화를 늦게 받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절전 등을 위해 아이들(idle) 상태로 진입하고, 이 때에 PGW에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상태 변경에 따른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다. 이렇게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링 신호의 발생 중에 아이들 상태로 진입하는 시간은 eNodeB에 설정되어 있다.
이후,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전화를 받으면 200 OK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까지 도착한다. 이 때,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아이들 상태에서 액티브(active) 상태로 활성화되는 이벤트가 발생한다. 이 때,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활성화를 위한 상태 변경에 따라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PGW에게 송신한다.
한편, VoLTE 서비스를 위한 VoLTE 호는 EPS 베어러(bearer)의 기본(default) 베어러가 아닌 대역폭을 보장받을 수 있는 전용(dedicated) GBR(Guaranteed Bit Rate) 베어러를 이용하며, 이렇게 전용 GBR 베어러를 설정할 때에는 PCRF(Policy & Charging Rule Function)로부터 전용 베어러 설정 메시지가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로 송신된다.
그런데, 이러한 아이들에서 액티브로의 활성화 이벤트와 전용 베어러 설정을 위한 베어러 이벤트는 별개의 이벤트이므로 이들 호 처리의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PGW는 활성화 이벤트에 대한 처리 과정에서 CCR-U(Credit Control Request-Update)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CCA-U(Credit Control Answer-Update)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데, 이때 베어러 이벤트가 발생하여 RAR(Re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는 호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호 충돌이 발생하면 PGW가 활성화 이벤트 또는 베어러 이벤트에 대한 처리를 마무리하지 못하는 콜 드롭(call drop)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15602, 공개일자 2013년 02월 14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이벤트와 베어러 이벤트가 중복되는 호 충돌 상황에서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가 아이들 상태일 때에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의 송신 및 전용 베어러의 설정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호 처리 방법은,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가 아이들 상태일 때에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가 송신된 후에 상기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른 상기 발신 단말과의 전용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호 처리 장치는,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가 아이들 상태인 상황에서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메시지 수신부를 통해 상기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와, 상기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가 송신된 후에 상기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른 상기 발신 단말과의 전용 베어러를 설정하는 베어러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아이들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변경하여야 하는 활성화 이벤트와 전용 베어러를 설정하여야 하는 베어러 이벤트가 중복되는 상황에서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의 송신 및 전용 베어러의 설정을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활성화 이벤트 또는 베어러 이벤트에 대한 처리를 마무리하지 못하는 콜 드롭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채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장치를 채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이벤트 처리 과정의 일 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장치를 채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이벤트 처리 과정의 다른 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채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서는 WCDMA 이동통신망이 레거시망으로 운용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레거시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등과 같은 여타의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이나 CDMA2000 등과 같은 여타의 동기식 이동통신망이 LTE 이동통신망과 함께 혼용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LTE망에 접속할 수 있으면서도 WCDMA망 등과 같은 레거시망에도 접속할 수 있는 듀얼모드의 이동통신 단말장치(Mobile Equipment)(300)를 대상으로 하여 Vo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장치(300)는 LTE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기지국의 역할을 수행하는 eNodeB(110)의 서비스 영역(111)이 WCDMA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기지국의 역할을 수행하는 NodeB(210)의 서비스 영역(211)에 포함되는 서비스 중첩 영역에서 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notepad), 태블릿(tablet) 컴퓨터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eNodeB(110), MME (120), HSS(Home Subscriber Server)(130), SGW(Serving Gateway)(140),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150), MSC 서버(160), PCRF(Policy & Charging Rule Function)(170) 등은 LTE 이동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장치(도 2의 도면부호 500)는 LTE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노드들 중에서 PGW(150)에 탑재되거나 별도로 설치된 상태에서 PGW(150)와 연동할 수 있다.
eNodeB(110)는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와 통신하여 이동성을 보장하는 기지국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eNodeB(110)는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무선 승인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이동통신 단말장치(300)로의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 등과 같은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기능을 수행한다. 또, IP 헤더 압축 및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해독(encryption), SGW(140)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라우팅(routing), 페이징(paging)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이동성과 스케줄링을 위한 측정과 측정 보고 설정 등을 수행한다.
MME(120)는 eNodeB(110)와 SGW(140)간의 신호 제어를 담당하며,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의 송신 데이터에 대한 라우팅을 결정한다. 이러한 MME(120)는 eNodeB(110)로의 페이징 메시지 분산, NAS(Non Access Spectrum) 시그널링, 망내 핸드오버 제어, 트래킹 영역 리스트 관리 등을 수행한다. 또, MME(120)는 SGW(140)와 PGW(150)의 선택, 핸드오버를 위한 MME(120)의 선택 및 변경, 단말 인증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MME(120)는 이동통신 단말장치(300)나 다른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PGW(150) 또는 SGW(140)로부터의 결합 요청이나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등이 있는 경우에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것 등과 같은 제어 플레인(control plane)의 여러 기능을 담당하며, HSS(130)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 인증 및 위치 관련 데이터 등을 제공받아서 EPS 베어러(Evolved Packet System bearer) 또는 아이피 터널(IP tunnel)의 설정,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HSS(130)는 LTE 이동통신망에 대한 가입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data base)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이며,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 인증 및 위치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
SGW(140)는 설정된 세션에 따라 페이로드 트래픽(payload traffic)을 처리하는 세션 제어(session control)를 수행하는 사용자 플레인 노드이다. eNodeB(110)와 S1-U 인터페이스로 연동하며, 3GPP 내부에서의 핸드오프(handoff)를 지원하고, PGW(150)와 EPS 베어러를 설정하고 터널링을 이용하여 PDU(Packet Data Unit)를 전달한다. 이러한 SGW(140)는 가입자 프로파일(profile)을 기반으로 PGW(150)를 선택하며, 인바운드 로밍 호인 경우에는 홈 네트워크의 PGW와의 상호 정산을 위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다.
PGW(150)는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의 IP를 할당하고 외부 인터넷망 및 비 3GPP망과 연동하는 세션 제어를 수행하는 사용자 플레인 노드이다. 패킷 서비스를 위해 SGW(140) 및 외부망과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며, 터널링 및 IP 라우팅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SGW(140) 및 외부망으로 PDU를 전달한다. 이러한 PGW(150)는 로컬 호인 경우에는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PGW(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장치(도 2의 도면부호 500)를 탑재하거나 별도로 설치된 호 처리 장치(도 2의 도면부호 500)와 연동할 수 있다.
이러한 PGW(150)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의 활성화와 관련된 활성화 이벤트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와의 전용 베어러 설정과 관련된 베어러 이벤트가 중복되는 호 충돌 상황에서 호 처리 장치(도 2의 도면부호 500)가 호 처리의 순서를 결정하여 모든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처리한다. 즉, 결정된 호 처리 순서에 따라 이벤트 중복 상황에서 베어러 이벤트에 대한 처리 전에 활성화 이벤트를 선순위로 처리하며, 활성화 이벤트의 처리 후에 베어러 이벤트를 후순위로 처리한다.
MSC 서버(160)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400)에 의한 부가 기능을 위하여 음성 및 영상용 세션 데이터 프로토콜(session data protocol)을 제공한다.
PCRF(170)는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service data flow)에 따른 동적(dynamic) QoS 및 과금 규칙(rule)을 제공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의 통신 정책 및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NodeB(210), RNC(220), SGSN(230), MSC(Mobile Switching Center)(240), HLR(Home Location Register)(250), CGS(Cellular Gateway Switch)(260), GGSN(Gateway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270) 등은 WCDMA 이동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NodeB(210)와 RNC(220)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영역에 해당되며, MSC(240)와 CGS(260)는 서킷 교환 코어 네트워크에 해당되고, SGSN(230)과 GGSN(270)은 패킷 교환 코어 네트워크에 해당된다.
NodeB(210)는 이동통신 단말장치(300)들과의 연결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확보하고, 이동통신 단말장치(300)들과의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한다.
RNC(220)는 여러 개의 NodeB(210)를 제어하며, 각각의 NodeB(210)에 통신 자원을 할당하고, 핸드오버(handover)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SGSN(230)은 여러 RNC(220)들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의 이동성과 패킷 세션 관리를 담당하며, IP 라우팅을 수행할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의 위치 등록과 같은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다.
GGSN(270)은 IP망과 직접 접속하여 IP망과 WCDMA망의 PS 도메인(domain)을 연결해주는 관문 역할을 수행하며, SGSN(230) 및 외부 망과의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고, 터널링 및 IP 라우팅 기능을 수행한다.
MSC(240)은 방문자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HLR(250)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 인증 및 위치 관련 데이터 등을 제공받아서 음성 통신을 위한 스위칭 제어를 수행한다.
CGS(260)는 WCDMA 이동통신망과 일반 통신망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여 일반 통신망에 연결된 다른 통신 시스템과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MSC(240)와 IMS(400) 사이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410), HSS(Home Subscriber Server)(420), MGW(Media Gateway)(430),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440), AS(Application Server)(450) 등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400)를 구성할 수 있다.
CSCF(410)는 호 처리를 수행하며,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를 위한 기본 기능을 수행하는 인프라 시스템이다. 이러한 CSCF(410)는 가입자 등록, 인증, 과금, 서비스별 트리거링 및 라우팅, 착신자 위치 조회, SIP 메시지의 압축 및 해제를 처리하며, 역할에 따라 Proxy_CSCF, Interogating-CSCF, Serving-CSCF로 나눌 수 있다.
HSS(420)는 WCDMA 이동통신망 및/또는 LTE 이동통신망에 대한 가입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이며,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 인증 및 위치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
MGW(430)는 MGCF(440)와 CGS(260) 사이의 관문 역할을 하는 게이트웨이이며, CSCF(410)에 연결된 LTE 이동통신망과 WCDMA 이동통신망과의 연동을 위한 시그널링과 미디어를 변환하여 준다.
MGCF(440)는 SIP와 회선교환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ISUP(ISDN User Part)와의 시그널링의 변환을 지원하고, MGW(430)를 제어한다.
AS(450)는 텔레포니(telephony)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발신자표시 서비스, 발/착신 금지, 착신전환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장치(500)는 메시지 수신부(510), 상태 확인부(520), 메시지 송신부(530), 베어러 설정부(540) 등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상태 확인부(520)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가 아이들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메시지 수신부(510)에게 알려준다.
메시지 수신부(510)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가 아이들 상태인 상황에서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한다. 예컨대,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더라도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또는,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었더라도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메시지 송신부(530)는 메시지 수신부(510)를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컨대, 메시지 송신부(530)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활성화 정보를 포함하는 CCR-U(Credit Control Request-Update)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용 베어러 설정 성과 정보가 포함된 RAA(Reauthorization Answer)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베어러 설정부(540)는 메시지 송신부(530)에 의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가 송신된 후에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와의 전용 베어러를 설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방법은,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가 아이들 상태일 때에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S610, S620, S6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640, S650)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가 송신된 후에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와의 전용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S66)를 더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장치(500)를 채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이벤트 처리 과정의 일 예를 보인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장치(500)를 채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이벤트 처리 과정의 다른 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장치(500)가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 과정 중에 복수의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의한 이벤트 처리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예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 즉 발신 단말의 활성화와 관련된 활성화 이벤트에 대한 미처리 상황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와의 전용 베어러 설정과 관련된 베어러 이벤트가 중복하여 발생하는 상황에서 모든 이벤트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장치(300), eNodeB(110), MME(120) 및 SGW(140)들은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701).
예컨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에서 VoLTE 호가 발생되면 TA 단위로 페이징이 이루어지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 전화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을 의미하는 180 링잉을 송신하면 180 링잉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까지 도착하여 링 신호가 발생한다.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에서는 백그라운드 실행에 의해 자체적으로 링 신호가 발생하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전화를 늦게 받으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는 절전 등을 위해 아이들 상태로 진입한다.
이후,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전화를 받으면 200 OK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까지 도착한다. 이 때,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가 아이들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활성화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며, SGW(140)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를 아이들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활성화시키겠다는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PGW(150)에게 송신한다(703).
그러면, PGW(150)에 탑재된 호 처리 장치(500)의 메시지 수신부(510)가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호 처리 장치(500)의 상태 확인부(520)는 기 저장되어 있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에 대한 상태 정보가 아이들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메시지 수신부(510)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PGW(150)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 메시지를 PCRF(170)에게 송신한다. 예컨대, PGW(150)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의 활성화 정보를 포함하는 CCR-U(Credit Control Request-Update) 메시지를 PCRF(170)에게 송신할 수 있다(705). 이 때, 일반적인 경우라면 PGW(150)는 PCRF(170)로부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예컨대, CCA-U(Credit Control Answer-Update)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한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에게 VoLTE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에 CSCF(410)는 대역폭을 보장받을 수 있는 전용(dedicated) GBR(Guaranteed Bit Rate)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하여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컨대, AAR(Authentication Accounting Request) 메시지를 PCRF(170)에게 송신한다(707).
그러면, PCRF(170)는 전용 베어러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AR(Re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를 PGW(150)에게 송신하며, PGW(150)에서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와의 전용 베어러를 설정하여야 하는 베어러 이벤트가 발생한다(709).
이처럼, 활성화 이벤트에 대한 처리가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베어러 이벤트가 발생하는 이벤트 중복 상황이 발생되면 종래에는 호 충돌로 인하여 콜 드롭이 발생할 수 있었다.
이 때, 호 처리 장치(500)의 메시지 수신부(510)는 단계 709에서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인 RAR 메시지가 수신되더라도 단계 703에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베어러 이벤트를 처리하지 않고 활성화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하여 PCRF(170)로부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예컨대, CCA-U(Credit Control Answer-Update)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711).
이후, 메시지 수신부(510)에 의해 PCRF(170)로부터 CCA-U 메시지가 수신(713)되면 메시지 송신부(530)는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를 SGW(140)로 송신하여 활성화 이벤트에 대한 모든 처리를 마무리한다(715).
그리고, 베어러 설정부(540)는 후순위 처리로 결정되었던 베어러 이벤트를 처리하여 위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와의 전용 GBR 베어러를 설정한다(717).
다음으로, PGW(150)는 전용 베어러 설정 성과 정보가 포함된 RAA(Reauthorization Answer) 메시지를 PCRF(170)로 전송하여 베어러 이벤트에 대한 모든 처리를 마무리한다(719).
PGW(150)로부터 RAA 메시지를 수신한 PCRF(170)는 AAA(Authentication Accounting Answer) 메시지를 CSCF(410)에게 송신한다(721).
이제, 도 1 내지 도 3, 도 5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의한 이벤트 처리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예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와의 전용 베어러 설정과 관련된 베어러 이벤트에 대한 미처리 상황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활성화와 관련된 활성화 이벤트가 중복하여 발생하는 상황에서 모든 이벤트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장치(300), eNodeB(110), MME(120) 및 SGW(140)들은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801).
예컨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에서 VoLTE 호가 발생되면 TA 단위로 페이징이 이루어지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 전화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을 의미하는 180 링잉을 송신하면 180 링잉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까지 도착하여 링 신호가 발생한다.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에서는 백그라운드 실행에 의해 자체적으로 링 신호가 발생하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전화를 늦게 받으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는 절전 등을 위해 아이들 상태로 진입한다.
한편, CSCF(410)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에게 VoLTE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에 대역폭을 보장받을 수 있는 전용 GBR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하여 AAR 메시지를 PCRF(170)에게 송신하며(803), PCRF(170)는 전용 베어러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AR 메시지를 PGW(150)에게 송신한다(805).
그러면, PGW(150)에 탑재된 호 처리 장치(500)의 메시지 수신부(510)가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인 AAR 메시지를 수신하며, 호 처리 장치(500)의 상태 확인부(520)는 기 저장되어 있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에 대한 상태 정보가 아이들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메시지 수신부(510)에게 알려준다. 즉, PGW(150)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와의 전용 베어러를 설정하여야 하는 베어러 이벤트가 발생된 것이다.
그리고, 단계 801의 서비스 요청 절차에 따라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전화를 받으면 200 OK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까지 도착한다. 이 때,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가 아이들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활성화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며, SGW(140)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를 아이들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활성화시키겠다는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PGW(150)에게 송신한다(807).
그러면, PGW(150)에 탑재된 호 처리 장치(500)의 메시지 수신부(510)가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PGW(150)에서는 베어러 이벤트에 대한 처리가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활성화 이벤트가 발생하는 이벤트 중복 상황이 발생된 상황이다.
이 때, 호 처리 장치(500)의 메시지 수신부(510)는 단계 805에서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인 RAR 메시지가 수신되었더라도 단계 807에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베어러 이벤트를 처리하지 않고 활성화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하여 PCRF(170)로부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예컨대, CCA-U(Credit Control Answer-Update)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이를 위해, CCR-U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이라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의 활성화 정보를 포함하는 CCR-U 메시지를 PCRF(170)에게 먼저 송신(809)한 후에, PCRF(170)로부터 CCA-U 메시지가 수신되기까지 대기한다(811).
이후, 메시지 수신부(510)를 통해 PCRF(170)로부터 CCA-U 메시지가 수신(813)되면 메시지 송신부(530)는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를 SGW(140)로 송신하여 활성화 이벤트에 대한 모든 처리를 마무리한다(815).
그리고, 베어러 설정부(540)는 후순위 처리로 결정되었던 베어러 이벤트를 처리하여 위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장치(300)와의 전용 GBR 베어러를 설정한다(817).
다음으로, PGW(150)는 전용 베어러 설정 성과 정보가 포함된 RAA 메시지를 PCRF(170)로 전송하여 베어러 이벤트에 대한 모든 처리를 마무리한다(819).
PGW(150)로부터 RAA 메시지를 수신한 PCRF(170)는 AAA 메시지를 CSCF(410)에게 송신한다(821).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이벤트와 베어러 이벤트가 중복되는 호 충돌 상황에서도 호 처리의 순서를 결정하여 모든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활성화 이벤트 또는 베어러 이벤트에 대한 처리를 마무리하지 못하는 콜 드롭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아이들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변경하여야 하는 활성화 이벤트와 전용 베어러를 설정하여야 하는 베어러 이벤트가 중복되는 상황에서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의 송신 및 전용 베어러의 설정을 순차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호 충돌로 인하여 활성화 이벤트 또는 베어러 이벤트에 대한 처리를 마무리하지 못하는 콜 드롭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은 LTE 이동통신망이 각종 레거시망과 함께 운용되는 이종 이동통신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140 : SGW 150 : PGW
170 : PCRF 410 : CSCF
500 : 호 처리 장치
510 : 메시지 수신부 520 : 상태 확인부
530 : 메시지 송신부 540 : 베어러 설정부

Claims (6)

  1.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가 아이들 상태일 때에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가 송신된 후에 상기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른 상기 발신 단말과의 전용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는, 상기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더라도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호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는,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었더라도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호 처리 방법.
  4.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가 아이들 상태인 상황에서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메시지 수신부를 통해 상기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와,
    상기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가 송신된 후에 상기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른 상기 발신 단말과의 전용 베어러를 설정하는 베어러 설정부를 포함하는
    호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가 아이들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수신부는, 상기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더라도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호 처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가 아이들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수신부는,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전용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었더라도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호 처리 장치.
KR20130101659A 2013-08-27 2013-08-27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512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659A KR101512044B1 (ko) 2013-08-27 2013-08-27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659A KR101512044B1 (ko) 2013-08-27 2013-08-27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590A true KR20150024590A (ko) 2015-03-09
KR101512044B1 KR101512044B1 (ko) 2015-04-14

Family

ID=5302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659A KR101512044B1 (ko) 2013-08-27 2013-08-27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04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810B1 (ko) * 2006-08-29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1192491B1 (ko) * 2006-08-31 2012-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US8768295B2 (en) * 2010-02-18 2014-07-01 Alcatel Lucent Method of handling a change to bearer control mode
KR101854441B1 (ko) * 2011-08-04 2018-06-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선택적 호 처리 방법, 선택적 호 처리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과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044B1 (ko)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6089A (zh) 增强分组交换域数据中断机制
CN107251611A (zh) 一种业务处理方法、相关装置及系统
KR101529969B1 (ko) 이종 이동통신 환경의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WO2012068946A1 (zh) 查询网关的方法及系统
KR101432510B1 (ko) 이종 이동통신 혼용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1038609A1 (zh) 本地连接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
KR101512044B1 (ko)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121970B1 (ko)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558230B1 (ko) 패킷 스위칭된 도메인으로부터 서킷 스위칭된 도메인으로 호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102199271B1 (ko)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28624A (ko) 맞호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98216B1 (ko) 호 처리 결정 방법 및 장치와 그 호 처리 시스템
KR102076766B1 (ko) 단말 활성화 유지 방법 및 장치
KR101449720B1 (ko) 베어러 설정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29972B1 (ko) 호 재처리 방법 및 장치와 호 재처리 시 통화 연결 음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80856B1 (ko)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45681B1 (ko) 이기종 망에서의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817267B1 (ko) 이기종 망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징 장치 및 방법
KR102113308B1 (ko) 위치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KR101463798B1 (ko)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101404559B1 (ko) 이종 통신망간 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124500B1 (ko) 영상통화를 위한 메시지 변환 방법 및 장치
KR101364552B1 (ko)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40046235A (ko) 부하제어장치 및 방법
KR20150026017A (ko) 그룹 영상통화의 과금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