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491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491B1
KR101192491B1 KR1020060083844A KR20060083844A KR101192491B1 KR 101192491 B1 KR101192491 B1 KR 101192491B1 KR 1020060083844 A KR1020060083844 A KR 1020060083844A KR 20060083844 A KR20060083844 A KR 20060083844A KR 101192491 B1 KR101192491 B1 KR 101192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radio link
radio bearer
terminal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1240A (ko
Inventor
김효준
김익한
조경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491B1/ko
Publication of KR20080021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국이 호 설정을 위해 무선링크 구성을 변경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활성 타임(Activation time) 및 무선링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미리 정해진 횟수에 따라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상기 재전송 후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활성 타임을 재결정하고 상기 재결정된 활성 타임 및 상기 무선링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링크 재구성 명령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링크 구성이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Figure R1020060083844
무선 접속 베어러(Radio Access Bearer), 활성 타임(Activation Time), 무선 링크 재구성, 무선 베어러 설정(Radio Bearer Setup)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a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WCDA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베어러(Radio Access Bearer) 설정 절차를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베어러 설정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NC에서의 무선 접속 베어러 설정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E에서의 무선 접속 베어러 설정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서비스 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호 설정 성공률을 높이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단말기간 또는 단말기와 서비스 네트워크 간에 통신하기 위해서는 상호간의 채널을 설정하는 호 설정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호 설정 과정을 위해 필요한 내용들은 이동통신 기술들에 따라 규격으로 정해놓고 있다.
3세대 또는 3.5세대에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이동통신 기술인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WCDMA) 기술에서도 상기 호 설정에 관한 규격을 정해놓고, 호 설정 과정에서 상기 규격을 적용하여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런데,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동기식 이동통신 방식(예를 들어, CDMA 방식)과는 달리 유럽형 방식이라 불리는 상기 WCDMA 방식에서는 호 설정에 필요한 절차(Procedure)들이 정의는 되어 있고 몇 가지의 사용 예들이 기재되어 있긴 하지만 상당부분은 구현상에 의존하고 있다.
상기 WCDMA 방식에서의 통상적인 호 설정 절차에 대하여 도면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WCDA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베어러(Radio Access Bearer, 이하 RAB라 칭함) 설정 절차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WCDMA 방식에서는 호 설정을 위한 방법으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칭함)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구간 접속로 설정 단계와 무선 접속 베어러(Radio Access Bearer: RAB)를 설정하는 서비스 접속로 설정단계를 분리하여 2단계의 절차를 수행 하여 설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도 1은 서비스 접속로인 RAB의 설정 절차를 도시하는 것으로, WCDMA 규격에 따른다.
도 1을 참조하면, 10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라 칭함)(101)로의 호 요청을 수신한 교환망(Core Network, 이하 CN이라 칭함)(104)은 RANAP(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RAB 할당 요청(RAB Assignment Request) 메시지를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103)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RAB의 설정을 시작한다. 여기에서, 상기 RAB는 UE(101), 기지국(Node B)(102), RNC(103), CN(104)에 걸쳐서 사용자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용하는 전송로를 의미한다. 상기 UE(101)와 기지국(102), UE(101)와 RNC(103) 간(Uu)은 무선 구간이고, 기지국(102)과 RNC(103) 간(lub), RNC(103)와 CN(104) 간(lu)은 유선구간이다. RAB 설정을 위해 RNC(103)이 상기 무/유선 구간의 모든 구간에 있어서의 제어를 담당한다.
107 단계에서 RAB 할당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RNC(103)는 RAB 설정을 위해 NBAP(Node B Application Part)를 이용하여 무선 링크 재구성 준비(Radio Link Reconfiguration Prepare) 메시지를 기지국(102)으로 전송한다. 상기 무선 링크 재구성 준비 메시지에는 기지국(102)와 UE(101)간의 데이터 전송에서 사용할 무선 링크(채널) 정보가 포함된다.
기지국(102)은 상기 무선 링크 재구성 준비 메시지를 통하여 해당하는 사용자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무선 링크 설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렇게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자원을 할당하는 등 상기 무선 링크 설 정 준비가 완료되면, 109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102)은 상기 NBAP를 이용하여 무선 링크 재구성 준비완료(Radio Link Reconfiguration Ready) 메시지를 RNC(103)로 전송한다.
RNC(103)는 상기 무선 링크 재구성 준비완료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하였으므로, 110 단계에서 RNC(103)는 ALCAP(Access Link Control Application Par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lu 데이터 전송 베어러(Iu Data Transport bearer)의 설정을 시작한다. 상기 lu 데이터 전송 베어러 설정은 패킷(Packet) 관련 서비스를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다.
111 단계에서 RNC(103)는 ALC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ub 데이터 전송 베어러의 설정을 시작한다. 상기 111 단계에서 RNC(103)는 상기 Iub 데이터 전송 베이러를 전용 채널(Dedicated CHannel: 이하 DCH라 칭함)에 연동(Interworking)시키기 위해 바인딩 식별자(Binding Identification)를 포함시킨다.
113 단계에서 RNC(103)는 RNC(103)와 기지국(102) 간에 동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DCH 프레임 프로토콜(Frame Protocol: 이하 FP라 칭함)을 이용하여 기지국(102)으로 순방향 동기(Downlink Synchronis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
115 단계에서 기지국(102)은 상기 순방향 동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역방향 동기(Uplink Synchronisation) 메시지를 RNC(103)로 전송함으로, 상기 RNC(103)와 기지국(102)간의 Iub 데이터 전송 베이러에 대한 동기를 설정한다.
상기 Iub 데이터 전송 베이러 설정에 대한 준비가 완료되면, 117 단계에서 RNC(103)는 기지국(102)을 통하여 UE(101)로 RRC 무선 베어러 설정(RRC Radio Bearer Setup) 메시지를 DCH, 특히 전용 제어 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 이하 DCCH라 칭함)로 전송한다.
119 단계에서 상기 RNC(103)는 RAB 설정을 위한 무선 링크 재구성에 있어서 변경 동기 시간인 활성 타임(Activation time)을 결정하고 NBAP를 이용하여 기지국(102)으로 무선 링크 재구성 명령(Radio Link Reconfiguration Commit) 메시지에 상기 활성 타임에 대한 정보 및 무선 링크 재구성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상기 활성 타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102)과 UE(101)은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면 사용자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RAB로 무선 링크 환경을 변경한다. 그리고 121 단계에서 상기 UE(101)는 상기 변경된 무선 링크 환경에서 동기를 획득하여 RNC(103)로 RB 설정이 성공적으로 되었음을 알리는 RRC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RRC Radio Bearer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RNC(103)는 상기 무선 베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123 단계에서 CN(104)으로 RANAP을 이용하여 상기 105 단계에서 수신된 RAB 할당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AB 할당 응답(RAB Assignment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RAB 설정이 성공하였음을 알린다.
이렇게 함으로써, 123 단계에서 UE(101)로의 호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RAB가 설정되고, UE(101)의 호 설정을 위한 절차가 완료된다.
상술한 절차들은 무선 환경의 상태가 좋은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무선 환경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 칭함)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RRC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 중 일부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에러가 발생한 부분을 재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대한 에러를 제거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활성 타임이 만료되기 전에만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면 RNC로부터 UE로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가 전송되지 못했다 하더라도 기지국이 채널 즉, 무선 링크 설정을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도록 변경하므로,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는 결국 UE로 전송되지 못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이 상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이하 RB라 칭함) 설정 메시지를 먼저 UE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RLC 응답 메시지(이하, RLC 애크라 칭함)를 수신한 후 기지국의 채널 정보를 변경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도 RB 설정 메시지 전송시 순방향(Downlink) 채널의 상태는 좋으나 역방향(Uplink) 채널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RLC 애크가 UE로부터 RNC로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않으므로, 상기 RNC는 기지국에게 채널 정보를 변경하라는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활성 타임이 만료되어도 기지국은 채널 변경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때 이미 UE는 RRC RB 설정 메시지의 수신에 성공했다면 상기 활성 타임 만료시 UE는 채널을 변경한다. 따라서, 채널이 변경된 UE가 RRC RB 설정 완료 메시지를 역방향 채널로 재전송하더라도, RNC는 상기 RRC RB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은 호 설정 실패로 이어지고, 그에 따라 호 설정 성공률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의 성공률을 높이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UE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새로 계산된 활성 타임 만료시 채널을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호 설정 성공률을 높이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국의 호 설정 방법에 있어서, 호 설정을 위해 무선링크 구성을 변경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활성 타임(Activation time) 및 무선링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미리 정해진 횟수에 따라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재전송 후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활성 타임을 재결정하고 상기 재결정된 활성 타임 및 상기 무선링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링크 재구성 명령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링크 구성이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른 방법은;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의 호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호 설정을 요청하기 위해 무선링크 구성을 변경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활성 타임(Activation time) 및 무선링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기 전에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가 재수신되면,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어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면, 상기 무선링크 구성을 변경한 후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상기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국에 있어서, 송신부와,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를 제어하여, 호 설정을 위해 무선링크 구성을 변경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활성 타임(Activation time) 및 무선링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미리 정해진 횟수에 따라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를 재전송하며, 상기 재전송 후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활성 타임을 재결정하고 상기 재결정된 활성 타임 및 상기 무선링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링크 재구성 명령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링크 구성이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른 장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신부와,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를 제어하여, 기지국을 통해 제어국으로부터 호 설정을 요청하기 위해 무선링크 구성을 변경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활성 타임(Activation time) 및 무선링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어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기 전에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가 재수신되면,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어국으로 재전송하고,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면, 상기 무선링크 구성을 변경한 후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상기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개시된 개념 및 구체적인 실시예가 변경 또는 변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잘 인식할 것이다. 또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개시하는 개념 및 구조와 균등한 개념들 및 구조들이 본 발명의 가장 넓은 형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잘 인식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히 UMTS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UMTS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UE1(201)이 무선으로 Node B1(205)에 연결되어 있다. 하나의 Node B에는 다수의 UE들이 연결될 수 있다. Node B1(205)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RNC1(210)은 상기 Node B1(205)를 포함하여 다수의 Node B들과 연결될 수 있 다. 도 2에서는 다수의 Node B들 중에서 RNC1(210)과 Node B1(205) 및 Node B2(206)과의 연결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UE2(202)는 Node B3(207)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Node B3(207)은 유선으로 RNC2(211)과 연결된다.
상기 RNC들(210, 211)은 자신이 제어하는 Node B들(205 내지 207)의 무선자원을 할당하거나 관리하며. Node B들(205 내지 207)은 실제 무선자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자원은 셀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Node B들(205 내지 207)이 제공하는 무선자원은 자신이 관리하는 셀들의 무선 자원들을 의미한다. UE들(201, 202)은 특정 Node B들(205, 207)의 특정 셀이 제공하는 무선 자원을 이용해서 무선 채널을 구성하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B 설정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115 단계 이후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310 단계에서 RNC(303)는 Node B(302)를 거쳐서 UE(301)로 RB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RB 설정 메시지에는 채널 변경 동기 시간인 활성 타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는 시점에서 UE(301)은 채널을 변경한다.
312 단계에서 UE(301)는 상기 RB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RB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NC(303)로 RLC 애크를 전송한다. 그러나, 이때 역방향(Uplink) 채널 상태가 좋지 않아서 상기 RLC 애크가 UE(301)로부터 RNC(303)로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못한다. 그러면 RNC(303)는 미리 정해진 재전송 최대 횟수만 큼 상기 RB 설정 메시지의 재전송을 수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RLC 애크를 수신하지 못하면, RNC(303)는 Node B(302)를 위한 최소의 활성 타임을 결정하여 Node B(302)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는 시점에서 기지국이 즉시 채널을 변경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RNC(303)가 UE(301)로부터 RLC 애크를 수신하지 못해서 UE(301)가 RRC RB 설정 메시지를 모두 수신하였는지 알 수 없는 경우, 314 단계에서 RNC(303)는 미리 정한 재전송 최대 횟수만큼 재전송을 수행한다. 상기 재전송 최대 횟수는 UE(301)가 RNC(303)로부터의 상기 RRC RB 설정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했을 것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횟수이다.
상기 재전송 최대 횟수만큼 상기 RRC RB 설정 메시지의 재전송을 수행하면, RNC(303)는 UE(301)가 상기 RRC RB 설정 메시지를 수신했다고 간주하고, 316 단계에서 상기 Node B(302)의 채널 변경을 지시하는 무선 링크 재구성 명령 메시지를 NBAP를 이용하여 Node B(302)로 전송한다. 상기 무선 링크 재구성 명령 메시지에는 RNC(303)에 의해 재결정된 활성 타임이 포함된다. 상기 재결정된 활성 타임은 Node B(302)가 채널을 변경할 수 있는 최소의 시간 값이다. 상기 무선 링크 재구성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Node B(302)는 상기 무선 링크 재구성 명령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는 시점에서 바로 채널 구성을 변경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UE(301)의 채널 구성과 상기 Node B(302)의 채널 구성이 일치하게 되어서 상기 UE(301)과 RNC(303)간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310 단계에서 및 314 단계에서 수신된 RB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활성 타임 정보에 따른 활성 타임이 만료되면 UE(301)는 채널 구성을 변경한 후, 318 단계에서 상기 변경된 채널을 통해 RRC RB 설정 완료 메시지를 Node B(302)를 통하여 RNC(303)로 전송한다. 앞서 설명하였지만, UE(301)가 채널 구성을 변경하는 시점과 Node B(302)가 채널 구성을 변경하는 시점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역방향 무선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 UE(301)가 먼저 채널 구성을 변경하고 나중에 Node B(302)가 채널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런 경우, UE(301)는 먼저 채널 구성을 변경한 후, RRC RB 설정 완료 메시지를 RNC(303)로 최대 전송 횟수가 될 때까지 계속해서 전송한다. 상기 Node B(302)가 채널 구성을 변경하면, 상기 UE(301)가 계속해서 전송하고 있는 RRC RB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게 되고, RNC(303)까지 전달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RNC(303)가 상기 RRC RB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RB 설정 완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순방향 채널을 통한 RLC 애크(이하, DL RLC 애크라 칭함)를 전송한다. 그런데, 상기 RNC(303)으로부터 상기 DL RLC 애크가 없는 경우 UE(301)는 RRC RB 설정 완료 메시지를 RNC(303)가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 재전송한다. 여기에서, UE(301)가 역방향 채널을 통해 RRC RB 설정 완료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최대 시간은, RNC(303)가 상기 314 단계에서 순방향 채널을 통해 RRC RB 설정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최대 시간에 Node B(302)가 채널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활성 타임이 만료되는 시간을 합한 값보다 크다. 즉, '(역방향 재전송 최대 시간) > (순방향 재전송 최대 시간) + (Node B 활성 타임 만료 시간)'으로 결정한다. 이렇게 각각의 재전송 최대 시간 값을 정함으로써, Node B(302)가 채널 을 변경할 수 있도록 UE(301)가 상기 RRC RB 설정 완료 메시지를 재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역방향 재전송 최대 시간은 UE(301)가 RRL RB 설정 완료 메시지를 RNC(303)로 최대 횟수만큼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고, 상기 순방향 재전송 최대 시간은 RNC(303)가 RRC RB 설정 메시지를 UE(301)로 최대 횟수만큼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RAB 설정 과정에서 RNC와 UE의 동작을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NC에서의 RAB 설정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 단계에서 도 3의 RNC(303)가 UE(301)와 Node B(302) 사이의 채널 구성을 변경하기까지의 시간, 즉, 활성 타임을 결정한다.
403 단계에서, RNC(303)는 Node B(302)를 통하여 상기 활성 타임에 대한 정보(즉, 활성 타임 정보)가 포함된 RB 설정 메시지를 UE(301)로 전송한다.
405 단계에서, RNC(303)는 상기 전송된 RB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RLC 애크)를 상기 UE(301)로부터 수신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다면 415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407 단계로 진행한다.
407 단계에서, RNC(303)는 UE(301)가 상기 RB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를 위하여 상기 RB 설정 메시지를 상기 UE(301)로 재전송한다.
409 단계에서, RNC(303)는 상기 RB 설정 메시지를 미리 정한 재전송 최대 횟 수만큼 재전송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RB 설정 메시지가 상기 최대 재전송 횟수만큼 재전송되었다면 411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재전송 최대 횟수만큼 재전송되지 않았다면, 405 단계로 되돌아간다.
RNC(303)는 상기 RB 설정 메시지를 최대 횟수만큼 재전송했음에도 불구하고 UE(301)로부터 상기 RLC 애크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411 단계에서 RNC(303)는 Node B(302)가 채널 구성을 변경할 수 있도록 활성 타임을 재결정한다. 여기에서, UE(301)가 상기 RB 설정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했다고 간주할 수 있는 최대 재전송 횟수만큼 RNC(303)가 상기 RB 설정 메시지를 재전송하였으므로, RNC(303)는 역방향 채널의 상태가 좋지 않아서 상기 UE(301)로부터 상기 RLC 애크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로 간주하고, Node B(302)의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활성 타임을 재결정하는 것이다.
413 단계에서, 상기 401단계에서 결정된 활성 타임 정보를 포함하는 RB 베어러 설정 메시지 또는 상기 411 단계에서 재결정된 활성 타임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링크 재구성 명령 메시지를 Node B(302)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Node B(302)는 상기 제공된 활성 타임이 만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무선 링크 정보에 따라 채널 구성을 변경한다.
415 단계에서, RNC(303)는 상기 변경된 채널을 통하여 UE(301)로부터 상기 RB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
417 단계에서 RNC(303)는 상기 수신된 RB 설정 완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하, DL RLC Ack라 칭함)를 UE(301)로 전송한다.
419 단계에서 상술한 절차에 따라서 RNC(303)는 Node B(302)를 통한 UE(301)와의 RAB 설정을 완료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UE가 정상적으로 RB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나 역방향 채널 상태가 좋지 않아서 UE로부터 RB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UE만 무선 링크 정보에 따라서 채널 구성을 변경하고 Node B는 채널 구성을 변경하지 않음으로 인해 초래되는 호 설정의 실패를 해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E에서의 RAB 설정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 단계에서 도 3의 UE(301)는 RB 설정 메시지를 RNC(303)로부터 수신한다.
503 단계에서 UE(301)는 상기 수신된 RB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역방향 채널로 RLC 애크를 Node B(302)를 통하여 RNC(303)로 전송한다.
505 단계에서 UE(301)는 상기 수신된 RB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활성 타임 정보에 따른 제공된 활성 타임이 만료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면 509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지 않았으면 507 단계로 진행한다.
507 단계에서 UE(301)는 상기 RB 설정 메시지를 RNC(303)로부터 재수신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RB 설정 메시지가 재수신되면, UE(301)는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재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503 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약 상기 RB 설정 메시지가 재수신되지 않는다면, UE(301)는 채널 구성을 변경할 시간인 활성 타임이 만료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505 단계로 되돌아간다.
채널 구성 변경 시간인 활성 타임이 만료되면, 509 단계에서 UE(301)는 상기 수신된 RB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무선 링크 정보에 따라서 채널 구성을 변경한 후, RB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RB 설정 완료 메시지를 Node B(302)를 통하여 RNC(303)로 전송한다.
511 단계에서 UE(301)는 상기 RB 설정 완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하, DL RLC 애크라 칭함)를 RNC(303)로부터 수신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DL RLC 애크를 RCN(303)로부터 수신하면 517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DL RLC 애크를 수신하지 못하면 513 단계로 진행한다.
513 단계에서 UE(301)는 상기 RB 설정 완료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최대 횟수만큼 재전송했는지 확인한다. 만약 최대 횟수만큼 상기 메시지를 재전송했다면 상기 DL RLC 애크를 수신하지 못했더라도 RAB 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고 515 단계로 진행하고, 최대 횟수만큼 상기 메시지를 재전송하지 않았다면 509 단계로 되돌아간다.
515 단계에서 UE(301)는 Node B(302)를 거쳐 RNC(303)과의 RAB 설정을 완료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UE와 Node B, 그리고 RNC 간에 통신을 위한 접속로 설정에 있어서 UE의 동작은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WCDMA 무선 접속 기술에서 RNC가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를 UE로 최대 전송횟수까지 전송하였음에도 불구하고 UE로부터 응답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RNC는 Node B의 무선링크 구성을 즉시 변경하도록 Node B에게 지시함으로써 UE와 RNC간의 호 설정 성공률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국의 호 설정 방법에 있어서,
    호 설정을 위해 무선링크 구성을 변경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활성 타임(Activation time) 및 무선링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미리 정해진 횟수에 따라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재전송 후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활성 타임을 재결정하고 상기 재결정된 활성 타임 및 상기 무선링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링크 재구성 명령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링크 구성이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호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정된 활성 타임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무선링크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최소의 시간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설정 방법.
  3.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의 호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호 설정을 요청하기 위해 무선링크 구성을 변경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활성 타임(Activation time) 및 무선링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기 전에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가 재수신되면,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어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면, 상기 무선링크 구성을 변경한 후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상기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호 설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상기 제어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 미리 정해진 횟수에 따라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상기 제어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호 설정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링크 구성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는 시점에 상기 무선링크 구성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설정 방법.
  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국에 있어서,
    송신부와,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를 제어하여, 호 설정을 위해 무선링크 구성을 변경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활성 타임(Activation time) 및 무선링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미리 정해진 횟수에 따라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를 재전송하며, 상기 재전송 후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활성 타임을 재결정하고 상기 재결정된 활성 타임 및 상기 무선링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링크 재구성 명령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링크 구성이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정된 활성 타임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무선링크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최소의 시간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국.
  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신부와,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를 제어하여, 기지국을 통해 제어국으로부터 호 설정을 요청하기 위해 무선링크 구성을 변경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활성 타임(Activation time) 및 무선링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어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기 전에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가 재수신되면,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어국으로 재전송하고,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면, 상기 무선링크 구성을 변경한 후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상기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상기 제어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 미리 정해진 횟수에 따라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상기 제어국으로 재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링크 구성을 상기 활성 타임이 만료되는 시점에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060083844A 2006-08-31 2006-08-3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192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844A KR101192491B1 (ko) 2006-08-31 2006-08-3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844A KR101192491B1 (ko) 2006-08-31 2006-08-3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240A KR20080021240A (ko) 2008-03-07
KR101192491B1 true KR101192491B1 (ko) 2012-10-17

Family

ID=3939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844A KR101192491B1 (ko) 2006-08-31 2006-08-3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4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967B1 (ko) * 2007-06-22 201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512044B1 (ko) * 2013-08-27 2015-04-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7025A2 (en) 2004-06-18 2006-01-19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protocol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7025A2 (en) 2004-06-18 2006-01-19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protocol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RAFT1(2006.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240A (ko)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4471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JP4550138B2 (ja) 端末とネットワーク間の無線アクセス設定の変更
KR101086796B1 (ko) 동기 재송신을 하는 harq 프로토콜
KR101498123B1 (ko) 강화된 업링크를 지원하는 매체 접속 제어 계층 아키텍처
US7706322B2 (en) Allocation of resources in packet-switched data transfer
EP3270634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KR10099608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공용 채널을 이용하기 위한 통신의 초기화 방법 및 장치
US20210234807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566978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リンクの伝送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7529938A (ja) 強化アップリンク専用チャネル−Iub/Iurを介する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トコル
JP2011514033A (ja) 無線装置とネットワーク間のデータユニットのシーケンスの送信のための無線通信方法
EP2512181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executing handover
JP665711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の端末のハンドオーバー方法及び装置
US8699455B2 (en) Providing a serving HS-DSCH cell change acknowledgement
KR20100069125A (ko) 통신 시스템 및 그의 rrc 접속 방법
KR10119249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15884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알에이비 설정장치 및 방법
JP4725312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呼接続時間短縮方法
EP1954090A1 (en) A method for handover of a user terminal
WO2013071750A1 (zh) 业务建立方法及装置
KR10117370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US104333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he transi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CD) from a CELL_FACH state to a CELL_DCH state
KR101446357B1 (ko) Srns 재할당 중 호 절단 방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90018253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베어러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90097683A (ko) 호 절단 방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