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469A - 위치 정보에 기반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에 기반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469A
KR20150024469A KR20130100892A KR20130100892A KR20150024469A KR 20150024469 A KR20150024469 A KR 20150024469A KR 20130100892 A KR20130100892 A KR 20130100892A KR 20130100892 A KR20130100892 A KR 20130100892A KR 20150024469 A KR20150024469 A KR 20150024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user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812B1 (ko
Inventor
박정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100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8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24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디바이스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는 복수 사용자의 복수 디바이스로부터 복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콘텐츠 정보 수신부, 복수 디바이스로부터 복수 디바이스 각각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와 관련된 소정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제 2 디바이스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판단 결과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 정보에 기반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ERVICE BASED ON LOCATION, AND DEVICE}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의 스마트 단말이 대중화되고 보급됨에 따라 사람 또는 친구 중심의 IMS(Instan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IMS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두며 이상의 즉각적인 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하며, IMS를 이용하여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동영상 또는 소정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IMS는 주로 단말의 주소록에 기반한 친구 중심 또는 사람 중심의 커뮤니티를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현재 듣고 있는 음악을 듣는 다른 사용자가 누구인지 여부 또는 같은 음악을 듣는 다른 사용자와 정보 공유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스마트 단말이 휴대폰의 기능 및 정보 제공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들 간의 관계 형성을 위한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에, 스마트 단말과 같은 모바일 환경과 접목된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되기도 한다. 또한, 음악 서비스의 경우, 모바일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주로 제공되고 있으며, 화제가 되는 음악에 대하여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같은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플래시몹과 같은 집단 행동을 기획하거나, 커뮤니티를 형성하기도 한다. 위치에 기반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 2012-0137617호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같은 음악을 듣는 사람들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콘텐츠 플레이어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 및 콘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같은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을 연동하여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소비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 사용자의 복수 디바이스로부터 복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콘텐츠 정보 수신부, 복수 디바이스로부터 복수 디바이스 각각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와 관련된 소정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제 2 디바이스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판단 결과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사용자의 복수 디바이스로부터 복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 디바이스로부터 복수 디바이스 각각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와 관련된 소정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제 2 디바이스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로 디바이스의 사용자인 제 1 사용자의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콘텐츠 정보 전송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부,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디바이스와 관련된 소정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위치하는 다른 디바이스의 제 2 사용자 정보 및 제 2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콘텐츠 정보 수신부, 제 2 사용자 정보 및 제 2 콘텐츠 정보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같은 음악을 듣는 사람들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플레이어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 및 콘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같은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을 연동하여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소비할 수 있다. 콘텐츠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주소록 상의 친구뿐 아니라 사용자 본인이 모르는 다른 사용자와 콘텐츠를 기반으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화면을 나태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 콘텐츠 제공 서버(30) 및 복수의 디바이스(20)를 포함한다. 다만, 도 1의 콘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은 디바이스(2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디바이스(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바이스(20)는 TV, 스마트TV, IPTV, PC와 연결된 모니터 및 TV와 연결된 셋탑박스와 같은 방송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셋탑박스와 같은 장치는 TV 장치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서 TV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 개시된 복수의 디바이스(20)의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원에서 이야기하는 디바이스(20)의 종류 및 형태가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디바이스(20)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작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20)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로 디바이스(20)의 사용자 정보, 콘텐츠 정보 및 디바이스(2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디바이스와 관련된 소정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위치하는 다른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20)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현재 자신의 위치와 인접한 다른 사용자의 디바이스 중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이용 중인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2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다시 한번 설명된다.
콘텐츠 제공 서버(30)는 디지털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오픈 마켓 제공자, 또는 VOD, 실시간 방송 채널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및 음악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콘텐츠 제공 서버(30)이 앞서 설명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콘텐츠 제공 서버(30)는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사용자의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콘텐츠 제공 서버(30)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복수 사용자의 복수 디바이스(20)로부터 복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복수의 디바이스(20)로부터 복수 디바이스(20) 각각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소정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이용하는 콘텐츠의 정보 및 디바이스의 GPS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21)와 관련된 소정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제 2 디바이스(22)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 2 디바이스(22)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정보를 제 1 디바이스(2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제 1 디바이스(21)와 제 2 디바이스(22)가 서로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21)가 이용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제 1 디바이스(21)의 사용자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2)로 전송할 수 있다. .
이와 같은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의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 도 2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콘텐츠 정보 수신부(101), 위치 정보 획득부(102), 위치 판단부(103), 콘텐츠 정보 제공부(104),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 관리부(105) 및 콘텐츠 제공부(106)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의 구성이 도 2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텍스트를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채팅 관리부(미도시) 및 사용자 간의 지인 여부를 판단하는 지인 판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정보 수신부(101)는 복수 사용자의 복수 디바이스(20)로부터 복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다. 콘텐츠 정보는 복수 디바이스(20) 각각에서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의 정보가 될 수 있으며, 복수 사용자 각각이 구매한 콘텐츠 또는 복수 사용자 각각이 선호하는 콘텐츠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정보 수신부(101)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와 같은 소정 서비스에 가입된 복수의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현재 스마트폰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의 아이디 또는 스트리밍 방식 및 다운로드 방식으로 구분되는 방식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획득부(102)는 복수 디바이스(20)로부터 복수 디바이스(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위치 정보 획득부(102)는 복수 디바이스 각각의 위치 정보를 위치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 때, 위치 정보는 복수 디바이스(20) 각각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복수 디바이스(20) 각각의 기지국 정보 및 복수 디바이스(20) 각각의 AP(Access Point)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 획득부(102)는 디바이스의 현재 GPS 정보, 디바이스와 연결된 기지국의 위치 정보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AP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위치 정보 획득부(102)는 복수 디바이스(20)의 위치 정보가 기록된 위치 서버로부터 디바이스 각각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위치 판단부(103)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21)와 관련된 소정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제 2 디바이스(22)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영역은 지리적인 영역일 수 있으며, 지리적인 영역은 지리적으로 구분된 국가 영역이 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위치 판단부(103)는 제 1 디바이스(21)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에 제 2 디바이스(22)가 위치하는 경우, 디바이스가 인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 1 디바이스(21)와 제 2 디바이스(22)가 동일한 국가에 위치한 경우,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위치 판단부(103)는 제 1 디바이스(21)과 제 2 디바이스(22)가 동일한 기지국 내지 동일한 AP에 연결된 경우,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위치 판단부(103)는 제 1 디바이스(21) 및 제 2 디바이스(22)의 위치 정보 및 다양한 기준에 따라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콘텐츠 정보 제공부(104)는 판단 결과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1)에 대응하는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2)로 제공한다. 좀 더 상세히 말하면, 콘텐트 정보 제공부(104)는 제 1 디바이스(21)와 관련된 소정 영역 또는 소정 거리 내에 제 2 디바이스(22)가 위치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21)에 대응하는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2)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정보 제공부(104)는 제 1 디바이스(21)와 제 2 디바이스(22)가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21)에서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정보 및 제 1 디바이스(21)의 사용자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 관리부(105)는 복수 사용자 각각의 요청에 대응하여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복수 사용자 각각의 소셜 네트워크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 관리부(105)는 제 1 디바이스(21) 및 제 2 디바이스(22)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21)의 사용자 및 제 2 디바이스(22)의 사용자 간의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 관리부(105)는 제 1 디바이스(21)에서 재생 중인 음원과 제 2 디바이스(22)에서 재생 중인 음원이 동일하거나, 동일한 장르의 음원인 경우에도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 관리부(105)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지인들 간의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와 동일한 관심 분야를 갖는 사용자들 간의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제공부(106)는 제 1 디바이스에(21)에 대응하는 제 1 콘텐츠를 제 2 디바이스(22)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제공부(106)는 제 1 디바이스(21)에 대응하는 제 1 콘텐츠를 제 2 디바이스(22)로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콘텐츠 제공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콘텐츠는 스트리밍 콘텐츠가 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 서버(30)는 제 1 콘텐츠를 제 2 디바이스(22)로 전송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채팅 관리부(미도시) 및 지인 판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채팅 관리부(미도시)는 제 1 디바이스(21)의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텍스트를 제 2 디바이스(22)의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정보 제공부(104)는 제 2 디바이스(22)의 미디어 재생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지인 판단부(미도시)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의 지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지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정보 제공부(104)는 제 2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의 지인이고, 제 2 디바이스(22)가 일정 영역 또는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21)에 대응하는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2)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21)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재생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디바이스(21)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 디바이스(21)의 위치에서 일정 반경 내에 같은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디바이스(22)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20)의 위치 정보는 위치 서버(미도시)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으며, 검색 결과는 거리 순으로 정렬하여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디바이스부터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21)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재생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지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지인에게 해당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추천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21)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재생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지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들 간의 채팅방 또는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소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10)는 소정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음악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동시에, 인스턴트 메시지에 기초하는 텍스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화면을 나태는 도면이다. 도 3a는 콘텐츠 플레이어의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3a를 참조하면, 앨범의 이미지 및 이름이 표시되고, 해당 앨범 내의 음악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음악을 재생하는 중에 SNS를 통해 사용자가 감상한 음악에 대하여 글을 남길 수 있다. 또한, 선택한 음악을 같이 감상할 지인을 선택하는 '같이듣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현재 같은 음악을 듣고 있는 다른 사용자를 검색하거나, 음악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기반', 및 현재 재생 중인 음악 콘텐츠를 지인에게 추천하는 '친구추천' 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앨범, 채팅, 클라우드, 음악 서비스를 개별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b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현재 같은 음악을 듣고 있는 다른 사용자를 검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위치 기반 또는 지인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을 듣고 있거나 동일한 장르의 음악에 대하여 관심을 갖는 사람 또는 같은 음악을 구매한 사람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검색된 사용자들 간의 의견을 공유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들의 SNS에 접근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불과하므로 이에 본원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의 구성도이다. 도 4에서 설명되는 디바이스(20)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와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동작할 수 있다. 다라서, 도 4에서 설명되지 않은 내용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된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유추 가능하거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디바이스(20)는 콘텐츠 정보 전송부(201), 위치 정보 전송부(202), 콘텐츠 정보 수신부(203), 표시부(204)를 포함한다. 다만, 도 4의 디바이스(20)의 구성이 도 4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콘텐츠 정보 수신부(201)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로 디바이스(20)의 사용자인 제 1 사용자의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고, 위치 전송부(202)는 디바이스(20)의 위치 정보를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1 콘텐츠 정보는 현재 디바이스(20)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위치 정보는 GPS정보, 디바이스(20)와 연결된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AP의 위치 정보가 될 수 있다.
콘텐츠 정보 수신부(203)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디바이스(20)와 관련된 소정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위치하는 다른 디바이스의 제 2 사용자 정보 및 제 2 콘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표시부(204)를 통해 제 2 사용자 정보 및 제 2 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정보 수신부(203)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현재 사용자의 디바이스와 인접한 디바이스 중 같은 음악 콘텐츠를 재생 중인 다른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콘텐츠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되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여도,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5에도 적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복수의 사용자의 복수 디바이스(20)로부터 복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정보를 수신(S501)하고, 복수의 디바이스(20)로부터 복수 디바이스(20) 각각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21)와 관련된 소정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제 2 디바이스(22)가 위치하는 여부를 판단(S503)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에(21) 대응하는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2)로 전송(S504)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제 1 디바이스(21)와 관련된 소정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제 2 디바이스(22)가 위치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21)에 대응하는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2)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제 1 디바이스(21)에 대응하는 제 1 콘텐츠를 제 2 디바이스(22)로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콘텐츠 제공 서버(30)에 제 1 콘텐츠를 제 2 디바이스(22)로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밖에도,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제 1 디바이스의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텍스트를 제 2 디바이스(22)의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제 2 디바이스(22)의 미디어 재생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제 2 사용자가 제 1 사용자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 때,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10)는 제 2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의 지인이고, 제 2 디바이스(22)가 일정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21)에 대응하는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1 내지 S50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
20: 디바이스
30: 콘텐츠 제공 서버

Claims (18)

  1. 디바이스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 사용자의 복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콘텐츠 정보 수신부;
    상기 복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 디바이스 각각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와 관련된 소정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제 2 디바이스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는 상기 복수 디바이스 각각에서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인 것인,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는 상기 복수 사용자 각각이 구매한 콘텐츠 또는 상기 복수 사용자 각각이 선호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인 것인,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복수 사용자 각각의 소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사용자 각각의 요청에 대응하여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콘텐츠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콘텐츠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제 1 콘텐츠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인,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텐츠는 제 1 콘텐츠 스트리밍인 것인,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텍스트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채팅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미디어 재생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 제공부는,
    상기 판단 결과, 제 1 디바이스와 관련된 소정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제 2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것인,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지리적인 영역이되, 상기 지리적인 영역은 지리적으로 구분된 국가 영역인 것인,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의 지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인 판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지인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 2 사용자가 상기 제 1 사용자의 지인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것인,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는 상기 복수 디바이스 각각의 위치 정보를 위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복수 디바이스 각각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상기 복수 디바이스 각각의 기지국 정보, 및 상기 복수 디바이스 각각의 AP(Access Point)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인,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
  14. 디바이스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사용자의 복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 디바이스 각각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와 관련된 소정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제 2 디바이스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콘텐츠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텍스트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미디어 재생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의 지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지인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사용자가 상기 제 1 사용자의 지인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것인,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
  18. 디바이스에 있어서,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로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인 제 1 사용자의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콘텐츠 정보 전송부;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부;
    상기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와 관련된 소정 영역 또는 거리 내에 위치하는 다른 디바이스의 제 2 사용자 정보 및 제 2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콘텐츠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제 2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 2 콘텐츠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0130100892A 2013-08-26 2013-08-26 위치 정보에 기반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KR101891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892A KR101891812B1 (ko) 2013-08-26 2013-08-26 위치 정보에 기반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892A KR101891812B1 (ko) 2013-08-26 2013-08-26 위치 정보에 기반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469A true KR20150024469A (ko) 2015-03-09
KR101891812B1 KR101891812B1 (ko) 2018-08-24

Family

ID=5302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892A KR101891812B1 (ko) 2013-08-26 2013-08-26 위치 정보에 기반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748B1 (ko) * 2018-08-27 2019-05-27 양정민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451B1 (ko) * 2019-02-15 2020-02-25 김성용 근거리 네트워크와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동하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방법, 및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063B1 (ko) * 2010-11-30 2011-12-15 주식회사 씨온 위치에 기반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101144333B1 (ko) * 2011-07-22 2012-05-11 주식회사 에스엠 엔터테인먼트 Lbs를 이용한 소셜음악서비스 제공방법과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748B1 (ko) * 2018-08-27 2019-05-27 양정민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812B1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23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dvertisement content and personal content
US110827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ersonal content
US97300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hoc peer-to-pee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US10271158B1 (en) Sharing a live view on a mobile device
US81504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obile video blog service
US85102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ggesting a user activity
US20100250458A1 (en) Content based social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US20160127291A1 (en) Anonymous mobile group communications
CN105684398A (zh) 通过网络进行内容分发的方法和装置
KR101533083B1 (ko) 위치기반 컨텐츠 추천방법, 위치기반 컨텐츠 추천장치 및 전자장치
KR101384668B1 (ko) 하이브리드앱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실시간 라이브방송을 제공하는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US9547688B2 (en) Method of providing service for user search, and apparatus, server, and system for the same
KR20140118605A (ko) 증강 객체를 전송하는 서버 및 방법
US10834035B2 (en) Instant messaging for mobile device with offline and online mode
KR20150020440A (ko) 사용자 그룹에 음원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KR101891812B1 (ko) 위치 정보에 기반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US201700643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streaming to a geographically limited set of viewers
CN103369379A (zh) 一种推荐内容播放方法、移动终端、服务器及系统
KR102099776B1 (ko) 클립 동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리보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KR101457100B1 (ko) 사진 공유를 추천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사진 공유 인터페이스 영역을 표시하는 디바이스
US201301666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artial contents
US20120265660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service in mobile terminal,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mage service
KR101810635B1 (ko) 컨텐츠 이어보기 제공 서버, 단말 및 방법
KR101909559B1 (ko) 이력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1372854B1 (ko) 이벤트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이벤트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