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234A -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234A
KR20150024234A KR20140024400A KR20140024400A KR20150024234A KR 20150024234 A KR20150024234 A KR 20150024234A KR 20140024400 A KR20140024400 A KR 20140024400A KR 20140024400 A KR20140024400 A KR 20140024400A KR 20150024234 A KR20150024234 A KR 20150024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data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4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4040B1 (ko
Inventor
어민성
현명륜
김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469,300 priority Critical patent/US9788275B2/en
Publication of KR20150024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 끄기(screen off) 상태에서 선별적으로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를 처리하여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과, 화면 상태에 따라, 상기 모뎀 정보를 갱신할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모뎀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없을 시, 상기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를 무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ELECTRONIC DEVICE}
본 개시는 화면 끄기(screen off) 상태에서 선별적으로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를 처리하여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 같은 전자장치는 전력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활성 모드(Active Mode), 슬립 모드(Sleep Mode), 그리고 유휴 모드(Idle Mode) 사이를 천이한다. 전자장치는 상기 활성 모드에서 기지국과 패킷 송?수신을 할 수 있고, 상기 슬립 모드에서는 기지국과의 사전 협상을 통해 정해진 시간 구간 동안 자원 사용을 줄임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며, 상기 유휴 모드에서는 하향링크 트래픽만을 감시함으로써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대부분 전자장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전자장치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와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는 통신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프로세서는 모뎀이라 칭하기도 한다.
상기 전자장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통신서비스 이용 상태(예컨대, 안테나 레벨 표시등)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프로세서(혹은, 모뎀)으로부터 상태정보를 제공받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단순히 통신프로세서로부터 제공받은 상태정보를 가공처리 없이 출력하거나 제3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상태정보를 가공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프로세서의 상태정보 갱신은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유발시키고 이에 따라 슬립상태 구간이 짧아져 전류소모가 커질 수 있다. 즉, 슬립상태에서 상태정보 갱신 같은 통신프로세서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이벤트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웨이크업(wake up)되어 전류소모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통신프로세서 혹은 모뎀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는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해 모뎀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화면 끄기(screen off) 상태에서 모뎀의 상태정보 갱신 이벤트들을 필터링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횟수를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화면 끄기(screen off) 상태에서 모뎀의 상태정보 갱신 이벤트들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제공되는 횟수를 제한하도록 하여 슬립상태를 오래 유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통신 프로세서가,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과, 화면 상태에 따라, 상기 모뎀 정보를 갱신할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모뎀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없을 시, 상기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를 무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모뎀 정보를 갱신할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네트워크 등록 상태가 등록에서 등록해제로 변경되거나, 등록해제에서 등록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모뎀 정보 갱신이 필요하고, 네트워크 등록 상태가 등록에서 등록해제로 변경되지 않거나, 등록해제에서 등록으로 변경되지 않는 경우 상기 모뎀 정보 갱신이 필요 없다고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모뎀 정보를 갱신할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모뎀 정보가 RAT(Radio Access technology) 정보인 경우, 테더링 기능이 수행 중일 경우 상기 모뎀 정보 갱신이 필요하고, 테더링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모뎀 정보 갱신이 필요 없다고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모뎀 정보를 갱신할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모뎀 정보가 NITZ(Network Id and Time Zone) 정보인 경우, 상기 NITZ 정보 중 전체 또는 일부 정보가 이전 정보와 다른 경우, 상기 모뎀 정보 갱신이 필요하고, 상기 NITZ 정보 중 전체 또는 일부 정보가 이전 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모뎀 정보 갱신이 필요 없다고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모뎀 정보를 갱신할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모뎀 정보가 NITZ(Network Id and Time Zone) 정보인 경우, 초기 NITZ 정보 갱신 후에 일정 시간 동안은 상기 모뎀 정보 갱신이 필요 없다고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뎀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있을 시, 슬립상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웨이크업시키는 과정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상기 모뎀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모뎀 정보를 갱신할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화면 끄기 상태일 때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상기 화면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를 감지하고, 화면 상태에 따라, 상기 모뎀 정보를 갱신할지를 판단하고, 상기 모뎀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없을 시, 상기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를 무시하는 통신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프로세서는, 네트워크 등록 상태가 등록에서 등록해제로 변경되거나, 등록해제에서 등록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모뎀 정보 갱신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관련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크 등록 상태가 등록에서 등록해제로 변경되지 않거나, 등록해제에서 등록으로 변경되지 않는 경우 상기 모뎀 정보 갱신에 이벤트를 관련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프로세서는, 상기 모뎀 정보가 RAT(Radio Access technology) 정보인 경우, 테더링 기능이 수행 중일 경우 상기 모뎀 정보 갱신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관련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고, 테더링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모뎀 정보 갱신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관련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프로세서는, 상기 모뎀 정보가 NITZ(Network Id and Time Zone) 정보인 경우, 상기 NITZ 정보 중 전체 또는 일부 정보가 이전 정보와 다른 경우, 상기 모뎀 정보 갱신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고, 상기 NITZ 정보 중 전체 또는 일부 정보가 이전 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모뎀 정보 갱신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프로세서는, 상기 모뎀 정보가 NITZ(Network Id and Time Zone) 정보인 경우, 초기 NITZ 정보 갱신 후에 일정 시간 동안은 상기 모뎀 정보 갱신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프로세서는, 상기 모뎀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있을 시, 슬립상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웨이크업시키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상기 모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프로세서는, 화면 끄기 상태일 때 상기 모뎀 정보를 갱신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상기 화면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로부터 NITZ(Network Id and Time Zone)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NITZ 정보 중 전체 또는 일부 정보가 기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NITZ 정보 중 전체 또는 일부 정보가 기저장된 정보와 일치할 시, 상기 NITZ 정보 갱신을 무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NITZ 정보 중 전체 또는 일부 정보가 기저장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시, 상기 NITZ 정보 갱신을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NITZ 정보 갱신을 갱신하는 과정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웨이크업시키는 과정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상기 NITZ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NITZ 정보의 일부 정보는 시각대(time zone)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의 제1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외부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의 제2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동작;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전자장치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프로세서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 끄기 상태에서 모뎀의 상태정보 갱신 이벤트를 필터링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제공되는 횟수를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모뎀의 상태정보 갱신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모뎀의 상태정보 갱신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면이 전자장치 외부에 존재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자장치(100,120)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서버,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제어기(100), 스피커/마이크로폰(110), 카메라(120), GPS 수신기(130), RF 처리기(140), 센서모듈(150), 터치스크린(160), 터치스크린 제어기(165), 확장 메모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기(100)는, 인터페이스(10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103) 그리고 내부 메모리(10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어기(10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인터페이스(101),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 통신 프로세서(103), 내부 메모리(104)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화된 회로에 집적화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장치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통신 프로세서(103)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102, 103)는 확장 메모리(170) 혹은 내부 메모리(104)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프로세서(102, 103)는 확장 메모리(170) 혹은 내부 메모리(10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는, 상기 통신프로세서(103)가 이벤트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화면상태 정보(화면 on/ff 정보)를 상기 통신 프로세서(103)로 제공하고, 상기 통신 프로세서(103)로부터 상기 통신 프로세서(103)의 상태정보를 제공받아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다른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센서 프로세서 또는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은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101)는 전자장치의 터치 스크린 제어기(165) 및 확장 메모리(170)에 연결시킨다.
인터페이스(10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주변 장치들을 연결시키는 버스일 수 있다.
센서모듈(150)은 인터페이스(101)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 및 광센서가 인터페이스(101)에 결합되어 각각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 및 외부로부터의 빛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측정 시스템, 온도센서 또는 생체 센서 등과 같은 기타 센서들이 인터페이스(101)에 연결되어 관련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모듈(150)의 출력데이터는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 또는 통신 프로세서(103)으로 보내지거나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센서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에서 먼저 처리된 후 처리 결과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 또는 통신 프로세서(103)로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120)는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센서모듈(150)과 결합하여, 사진 및 비디오 클립 레코딩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F 처리기(140)는 통신 기능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통신 프로세서(103)의 제어하에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프로세서(103)로 제공하거나 통신 프로세서(103)로부터의 기저대역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통신 프로세서(103)는 다양한 통신방식에 기저대역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통신방식은,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통신방식,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통신방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방식,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방식,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방식,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방식, Wi-Fi(Wireless Fidelity) 통신방식, WiMax 통신방식 또는/및 Bluetooth 통신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 예에 더하여, 상기 통신 프로세서(103)는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가 발생할 시, 전자장치의 화면상태를 확인하고, 화면 끄기 상태일 시,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모뎀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예를 들어, 네트워크 등록상태가 등록(registered)에서 등록해제(deregistered)로 변경되거나 네트워크 등록상태가 등록해제(deregistered)에서 등록(registered)로 변경되는 이벤트, 테더링 기능이 수행 중일 때 RAT 정보가 변경되는 이벤트, NITZ 정보 중 시간대(Time zone)가 이전 시간대와 다른 경우 모뎀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화면 켜기 상태일 시, 해당 모드에서 모뎀 정보 이벤트를 필터링하지 않고, 모든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해서 필요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를 웨이크업시켜 모뎀 정보를 갱신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프로세서(103)는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모뎀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를 깨우고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로 제공하고, 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모뎀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될 시,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를 무시하고, 다시 말해, 슬립상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를 깨우지 않고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통신 프로세서(10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통신 기능 수행을 위한 장치들을 포함한 통신 모듈부 또는 프로세서 없이 통신 기능 수행을 위한 장치들로만 이루어진 통신 모듈부로 대체될 수 있다.
스피커/마이크로폰(110)은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스피커/마이크로폰(110)은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거나 전기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이 외부포트를 통해 전자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기(165)는 터치스크린(160)에 결합될 수 있다. 제스처 스크린(16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165)는, 이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터치스크린(16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60)은 전자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160)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전자 장치에 전달한다. 또한 전자 장치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즉,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터치스크린(16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GPS 수신기(130)는 인공위성으로부터 받은 신호를 위치, 속도, 시간 등의 정보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위성과 GPS 수신기간 거리는 빛의 속도와 신호도달 시간을 곱하면 계산되며, 3개 위성의 정확한 위치와 거리를 구하여 공지된 삼각측량의 원리로 전자장치의 위치가 측정된다.
확장 메모리(170) 혹은 내부 메모리(103)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 메모리(170) 혹은 내부 메모리(103)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 및 MPEG 모듈, 카메라 소프트웨어 모듈,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인 시스템 동작(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은, RF 처리기(14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은, 해당 통신방식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구조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관련하여,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은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명령어들(상기 도 3 내지 도 5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은 터치스크린(16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카메라 소프트웨어 모듈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렌더링 엔진을 포함하는 웹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젯(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70, 103)는 위에서 기술한 모듈 이외에 추가적인 모듈(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일부의 모듈(명령어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모뎀의 상태정보 갱신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프로세서(103)는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예컨대, 안테나 레벨 표시, RAT 표시(예: 3G, 4G, 네트워크 등록 상태 등등)가 발생할 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를 깨워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 발생 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를 깨워 처리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의 슬립구간이 짧아져서 전류소모가 커질 수 있다.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해, 통신 기능을 수행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통신프로세서 혹은 모뎀이 웨이크업(wake up)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은 한계가 있지만, 모뎀이 상태정보 갱신을 위해 슬립상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웨이크업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즉, 통신 프로세서(103)의 이벤트 필터링부(230)는 모뎀으로부터 갱신되는 정보 종류를 제한하여 슬립상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웨이크업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NITZ(Network Id and Time Zone) 정보는 전자장치가 다른 지역시간대로 이동할 경우 해당 지역 기지국으로부터 변동된 지역표준시각 정보로써, 그에 따라 전자장치는 기준시각을 조정할 수 있다.
화면 끄기(screen off) 상태는 특별한 경우(상태 동기 에러를 유발할 수 있는 이벤트)를 제외하고는 사용자 대기 상태이기 때문에, 모뎀의 모든 정보가 항상 갱신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통신프로세서(103)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로부터 화면상태 정보를 제공받아(200), 상태 동기 에러와 연관된 정보에 대해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모뎀 이벤트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로 제공하여 갱신시킬 수 있다.
필터링될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확장 메모리(170) 또는 내부 메모리(104)에 저장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갱신될 수 있다.
먼저, 네트워크 등록상태가 등록(Registered)에서 등록해제(Deregistered)로 변화거나 등록해제에서 등록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만, 통신프로세서(103)가 애플리케이션(102)을 깨워 네트워크 등록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네트워크 등록상태가 등록(Registered)에서 등록해제(Deregistered)로 혹은 등록해제에서 등록으로 변하지 않은 경우, 이벤트를 애플리케이션(102)으로 제공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102)를 깨우지 않는다.
여기서, 네트워크 등록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기지국 혹은 네트워크 영역(area) 코드(예, cell id, LAC(Location Area Code), RAC(Routing Area Code), TAC(Tracking Area Code)), 로밍 상태(roaming status), 등록 가능 혹은 불가능 유무를 지시하는 forbidden boolean, 핸드오버 가능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 정보, 서비스 도메인(service domain), service capability, PLMN 정보 등이 있다.
또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 정보(LTE, WCDMA, GSM) 변경 이벤트가 발생할 시, 통신프로세서(103)는 현재 테더링(tethering) 기능이 수행 중일 때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102)를 깨워 RAT 정보를 제공하고, 테더링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102)를 깨우지 않는다. 즉,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로 RAT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NITZ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 시, 초기에만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102)를 깨워 NITZ 정보를 제공하고, 이후 소정 시간 동안에 NITZ 정보가 수신되더라도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102)를 깨우지 않는다. 다시 말해, 최초 NITZ 정보 갱신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는 NITZ 정보를 갱신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NITZ 정보 중 시각대(time zone)가 이전 저장된 시각대 정보와 다른지 비교하여 동일할 때는 NITZ 정보를 갱신하지 않고 상이할 때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102)를 깨워 NITZ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네트워크 등록상태 및 RAT 정보의 경우, 일정 시간 동안 계속 정보가 갱신되지 못할 시, 일정 주기 간격으로 갱신하여 급격한 상태 변화를 방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별적인 모뎀 정보 갱신을 통해 상태 동기(state Async) 에러 방지가 가능하고, 더불어 모뎀에서 액티브하게 정보를 필터링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102)를 깨우는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장치의 통신프로세서(103)는 300단계에서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가 발생할 시, 302단계로 진행하여 전자장치의 화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화면 상태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에 의해 수집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는 일정 주기, 특정 이벤트, 통신 프로세서(103)의 요청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에서 통신 프로세서(103)으로 전달될 수 있고, 통신 프로세서(103)가 상기 수집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104, 170)에 직접 접근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는 네트워크 등록 상태 정보(기지국), RAT 정보, 및 NITZ 정보가 변경될 때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프로세서(103)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로부터 제공받은 화면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 끄기 상태인지를 알 수 있다.
이후, 통신프로세서(103)는 302단계에서 화면 끄기 상태일 시, 3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모뎀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등록상태가 등록(registered)에서 등록해제(deregistered)로 변경되거나 네트워크 등록상태가 등록해제(deregistered)에서 등록(registered)로 변경되는 이벤트, 테더링 기능이 수행 중일 때 RAT 정보가 변경되는 이벤트, NITZ 정보 중 시간대(Time zone)가 이전 시간대와 다른 경우 모뎀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고하기로 한다.
반면, 통신프로세서(103)는 302단계에서 화면 켜기 상태일 시, 해당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프로세서(103)는 해당 모드에서 모뎀 정보 이벤트를 필터링하지 않고, 모든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해서 필요시 슬립상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를 웨이크업시켜 모뎀 정보를 갱신시킬 수 있다.
통신프로세서(103)는 304단계에서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모뎀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시, 306단계에서 슬립상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를 깨우고 308단계에서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로 제공할 수 있다.
반면, 통신프로세서(103)는 304단계에서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모뎀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될 시, 310단계로 진행하여,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를 무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슬립상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를 깨우지 않고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로 제공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 끄기 상태에서 모든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에 대응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를 깨워 모뎀 상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를 제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정보 손실 없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를 깨우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모뎀의 상태정보 갱신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프로세서(103)는 400단계에서 모뎀 정보가 네트워크 등록 상태와 관련이 있는지 판단하여, 관련이 있을 시, 402단계에서 네트워크 등록상태가 등록(registered)에서 등록해제(deregistered)로 변경되거나 네트워크 등록상태가 등록해제(deregistered)에서 등록(registered)로 변경되는 것인지 판단하여, 등록에서 등록해제 혹은 등록해제에서 등록으로 변화하는 경우 404단계에서 네트워크 등록 상태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반면 등록에서 등록해제 혹은 등록해제에서 등록으로 변화하지 않는 하위 서비스 레벨이 변화는 경우 406단계에서 네트워크 등록 상태 갱신이 필요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통신프로세서(103)는 408단계에서 모뎀정보가 RAT 정보인지를 판단하여 RAT 정보인 경우 41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다른 전자장치들과 연결되어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다른 전자장치들과 연결되어 테더링 기능을 수행할 시 412단계로 진행하여 RAT 정보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414단계로 진행하여 RAT 정보 갱신이 필요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통신프로세서(103)는 416단계에서 모뎀정보가 NITZ 정보인지를 판단하여 NITZ 정보인 경우 418단계로 진행하여 NITZ 정보 중 시각대(Time Zone)가 이전 기저장된 시각대와 다른지를 판단할 수 있다. NITZ 정보 중 시각대(Time Zone)가 이전 기저장된 시각대와 다를 시 420단계로 진행하여 NITZ 정보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NITZ 정보 중 시각대(Time Zone)가 이전 기저장된 시각대와 동일한 경우 422단계로 진행하여 NITZ 정보 갱신이 필요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통신프로세서(103)는 424단계로 진행하여 모뎀정보가 네트워크 등록 상태, RAT 정보, NITZ 정보가 아니 다른 정보들에 대해서는 모뎀 정보 갱신이 필요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프로세서(103)는 500단계에서 power on 혹은 비행모드 끄기 상태가 될 시, 502단계로 진행하여 네트워크로부터 NITZ 정보를 수신하고 504단계에서 슬립모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를 깨우고 506단계에서 NITZ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로 제공하여, NITZ 정보 전체 혹은 일부 정보(예컨대 시간대(time zone) 정보)를 저장시킬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가 슬립상태가 아닌 웨이크업 상태일 경우 504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후, 통신프로세서(103)는 508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가 슬립상태로 천이되고 화면 끄기 상태에서, NITZ 정보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여, NITZ 정보 수신 이벤트가 발생할 시 510단계로 진행하여 NITZ 정보 중 시각대 정보가 이전 기저장된 시각대 정보와 동일한지를 비교할 수 있다.
통신프로세서(103)는 512단계에서 NITZ 정보 중 시각대 정보가 이전 기저장된 시각대 정보와 다른 경우 514단계로 진행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를 깨워 NITZ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는 516단계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NITZ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반면 통신프로세서(103)는 512단계에서 NITZ 정보 중 시각대 정보가 이전 기저장된 시각대 정보와 동일한 경우 518단계로 진행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깨우지 않고 현재 수신된 NITZ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테더링(Tethering)은 인터넷에 연결된 전자장치가 스스로 중계기 역할을 하여 주변의 다른 기기에 인터넷 접속을 가능케 하는 서비스이다. 테더링은 방식에 따라 블루투스, USB 케이블 연결, 무선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휴대용 단말기에 노트북 컴퓨터를 연결하여 인터넷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600)이 3G 혹은 4G 통신방식에 기반하여 기지국(608)에 연결되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이때, 다른 기기들(602, 604, 606)도 블루투스, USB 케이블 연결, 무선랜을 통해 스마트폰(600)과 연결되어 인터넷 접속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600) 내에서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는 중, 모뎀 정보 이벤트 예컨대 RAT 변경 이벤트가 발생할 시, 스마트폰(600) 내의 통신프로세서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깨워 RAT 변경 정보를 제공하여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면이 전자장치 외부에 존재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화면은 전자장치(700) 외부(701)에 존재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720)의 화면(721)일 수도 있다. 상기 외부 화면(721) 또는 상기 외부 기기(720)는 상기 전자장치(7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화면(721) 또는 상기 외부 기기(720)는 모니터나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 스마트 안경이나 스마트 시계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 랩탑, 타블렛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기기가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장치(700)는 내부에 화면(701)을 가지고 있거나 없을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700)는 내부(701) 또는 외부 화면(721)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외부(710)로부터 수신한 모뎀 정보를 갱신할지를 판단하고, 상기 모뎀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없을 시, 상기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를 무시할 수 있다. 갱신할 필요가 있을 시 통신 프로세서(103)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2), 스마트 시계와 같은 상기 외부 기기(720) 및 상기 외부 화면(721)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 예에 더하여, 상기 화면 상태 정보는 상기 전자장치(700) 또는 상기 외부 기기(720)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상태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상태뿐만 아니라 마이크, 스피커, LED, 진동기, 센서 등의 상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 예에 더하여, 선별적으로 처리되는 모뎀 정보 갱신 이벤트는 상기 전자장치(7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720)로부터 상기 전자장치(700)로 전달되는 데이터로 확장될 수 있으며 외부 데이터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장치(700)에 센서 데이터 처리를 위한 센서 프로세서가 존재할 경우, 상기 센서 프로세서는 센서모듈(15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장치(700)의 화면 상태 정보에 따라, 갱신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다른 프로세서(102, 103) 또는 상기 외부 기기(720)로 상기 센서 데이터 또는 상기 센서 데이터와 연관된 정보를 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어기, 110: 스피커/마이크로폰
102: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103: 통신프로세서
120: 카메라, 130: GPS 수신기
140: RF 처리기, 150: 센서모듈
160: 터치스크린, 165: 터치스크린 제어기
170: 외부 메모리

Claims (24)

  1. 전자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의 제1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외부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의 제2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동작;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전자장치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프로세서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의 제 2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은,
    디스플레이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됨을 지시하는 정보 또는
    디스플레이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됨을 지시하는 정보, 중 최소한 하나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장치의 외부 통신에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상기 제 2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프로세서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데이터의 특성에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처리 결과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프로세서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프로세서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데이터 또는 처리 결과가 네트워크 등록 상태와 관련된 경우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상기 제 2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 1 프로세서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데이터 또는 처리 결과가 RAT(Radio Access Technology)와 관련된 경우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프로세서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데이터 또는 처리 결과가 NITZ(Network Id and Time Zone)과 관련된 경우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프로세서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전송하도록 결정된 경우, 제1 프로세서를 슬립(sleep) 상태에서 웨이크업(wakeup) 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전자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전자장치의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의 통신 모듈에 제공하는 동작;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하여, 상기 전자장치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정보에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와 연관된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프로세서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들은 디스플레이, 마이크, 스피커, LED, 진동기, 센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프로세서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데이터의 특성에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처리 결과를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프로세서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프로세서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 결과가 네트워크 등록 상태, RAT 또는 NITZ와 관련된 경우 중 최소한 하나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와 연관된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프로세서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와 연관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장치의 부품을 통해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전자장치에 있어서,
    내부 및/또는 외부 디스플레이;
    제1 프로세서; 및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에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상기 제1 프로세서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통신 프로세서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하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의 제2 프로세서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보내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보내도록 구성되는 것은,
    디스플레이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됨을 지시하는 정보 또는
    디스플레이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됨을 지시하는 정보, 중 최소한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전자장치의 외부 통신에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상기 제 2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 1 프로세서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데이터의 특성에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처리 결과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프로세서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상기 제 2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프로세서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데이터 또는 처리 결과가 네트워크 등록 상태와 관련된 경우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프로세서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 결과가 네트워크 등록 상태, RAT 또는 NITZ와 관련된 경우 중 최소한 하나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상기 제 2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 1 프로세서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전송하도록 결정된 경우, 제 1 프로세서를 sleep 상태에서 wakeup 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140024400A 2013-08-26 2014-02-28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44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69,300 US9788275B2 (en) 2013-08-26 2014-08-26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344 2013-08-26
KR1020130101344 2013-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234A true KR20150024234A (ko) 2015-03-06
KR102244040B1 KR102244040B1 (ko) 2021-04-26

Family

ID=5302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400A KR102244040B1 (ko) 2013-08-26 2014-02-28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0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0194B2 (en) 2015-08-31 2018-09-18 Xiaomi Inc.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awaking electronic equipment
US10721688B2 (en) 2015-06-12 2020-07-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058A (ko) * 2008-10-30 2010-05-11 삼성전기주식회사 저전력 지그비 디바이스 및 저전력 웨이크업 방법
US20100290380A1 (en) * 2009-05-15 2010-11-18 Acer Incorpo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ower Saving Method Thereof, and Packet Filtering Method Therefor
US20120272230A1 (en) * 2011-04-19 2012-10-25 Apple Inc. Power saving application update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252674A1 (en) * 2012-03-23 2013-09-26 Htc Corporation Power Saving Method and Related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058A (ko) * 2008-10-30 2010-05-11 삼성전기주식회사 저전력 지그비 디바이스 및 저전력 웨이크업 방법
US20100290380A1 (en) * 2009-05-15 2010-11-18 Acer Incorpo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ower Saving Method Thereof, and Packet Filtering Method Therefor
US20120272230A1 (en) * 2011-04-19 2012-10-25 Apple Inc. Power saving application update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252674A1 (en) * 2012-03-23 2013-09-26 Htc Corporation Power Saving Method and Related Mobil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1688B2 (en) 2015-06-12 2020-07-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US10080194B2 (en) 2015-08-31 2018-09-18 Xiaomi Inc.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awaking electronic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040B1 (ko)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23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황인식을 이용한 알람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9788275B2 (en)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28839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camera module in sleep mode
EP279038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geo-fence service with low power consumption
US8706172B2 (en) Energy efficient continuous sensing for communications devices
JP6076501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のオン・オフ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装置、設備、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0429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home screen in mobile terminal
EP3089056B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ised information display
US20150141037A1 (en) Improving scalability and reliability of hardware geo-fencing with failover support
WO2021052413A1 (zh) 节能信号监听时刻的确定方法、配置方法及相关设备
US91730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creen off during automatic response system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US201500525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scheduled task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obile terminal
WO2015003601A1 (zh) 流量提醒方法、装置及终端
CN108304151B (zh) 用于显示内容的方法及其电子设备
KR20150022673A (ko) 단말의 모드 변경 방법 및 장치
JP2021535642A (ja) 干渉報告制御方法、ユーザ機器とネットワーク側機器
WO2019061276A1 (zh) 一种信号质量的提醒方法、终端以及服务器
KR102244040B1 (ko)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6454953B (zh) 流量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07908527B (zh) 一种应用图标显示方法及装置
JP2013171591A (ja) 電子装置システムおよび電子装置システム内で低電力消耗を維持し、位置決め機能を提供する方法
CN112748970A (zh) 消息的显示方法及终端设备
JP7272694B2 (ja) 端末の電力消費を低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端末
KR20160144656A (ko) 통신 장치 및 그의 채널 스캔 방법
CN114666440A (zh) 应用程序控制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