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3783A - Keyboard harmonica and hose with mouthpiece - Google Patents

Keyboard harmonica and hose with mouthpie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3783A
KR20150023783A KR1020157001157A KR20157001157A KR20150023783A KR 20150023783 A KR20150023783 A KR 20150023783A KR 1020157001157 A KR1020157001157 A KR 1020157001157A KR 20157001157 A KR20157001157 A KR 20157001157A KR 20150023783 A KR20150023783 A KR 20150023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musical instrument
holder
instrument body
mouth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1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요시타카 노구치
도모히토 도야마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3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7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12Free-reed wind instruments
    • G10D7/14Mouth-organs
    • G10D7/16Mouth-organs with keyboa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Toy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건반 하모니카는 종방향의 일 단부에 공기 취입 구멍을 구비하는 악기 본체와, 호스부, 호스부의 제1 단부에 제공되어 호스부를 공기 취입 구멍에 연결하는 조인트부 및 호스부의 제2 단부에 제공된 마우스피스를 구비하는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와, 마우스피스가 악기 본체의 일 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호스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홀더는 조인트부, 악기 본체의 일 단부 또는 호스부 상에 제공된다.The keyboard harmonica includes a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having an air blowing hole at one longitudinal end thereof, a hose part, a joint part provided at a first end of the hose part for connecting the hose part to the air blowing hole, And a holder for detachably fixing the hose portion so that the mouthpiece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wherein the holder is provided on the joint portion, one end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or the hose portion.

Description

건반 하모니카 및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KEYBOARD HARMONICA AND HOSE WITH MOUTHPIECE}KEYBOARD HARMONICA AND HOSE WITH MOUTHPIECE < RTI ID = 0.0 >

본 발명은 건반 하모니카(keyboard harmonica) 및 건반 하모니카용 마우스피스(mouthpiece)를 갖는 호스(hose)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se having a keyboard harmonica and a mouthpiece for a keyboard harmonica.

일반적으로, 건반 하모니카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서와 같이, 악기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마우스피스(취주관)을 갖는 호스를 구비한다.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는 건반 하모니카가 책상 등 위에 악기 본체를 배치한 상태로 연주될 수 있도록(착석 연주) 충분한 길이 및 가요성을 갖는다.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는 악기 본체를 파지한 상태로 건반 하모니카의 연주시에(기립 연주) 사용될 수도 있다. 건반 하모니카가 기립 연주로 연주될 때, 악기 본체는 한 손으로 파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악기 본체의 건반부는 다른 손으로 조작될 필요가 있다.Generally, a keyboard harmonica is provided with a hose having a mouthpiece (take-out tube) extending from the instrument body, for example, as in Patent Document 1. 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has a sufficient length and flexibility so that the keyboard harmonica can be played with the instrument body placed on a desk or the like (seating performance). 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may be used when playing the keyboard harmonica (standing performance) while holding the instrument body. When the keyboard harmonica is played in standing performance, the instrument body needs to be held with one hand, and the keyboard part of the instrument body needs to be operated with the other hand.

일본 실공평07-27507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07-27507

그러나,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를 사용하는 건반 하모니카의 기립 연주시에,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는 손으로 파지될 수 없다. 따라서, 가요성을 갖는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의 요동(swinging)이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의 마우스피스에 전달되어, 연주를 방해할 수도 있다.However, when the keyboard harmonica using 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is played upright, 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can not be held by hand. Therefore, the swinging of the flexible mouthpiece hose may be transmitted to the mouthpiece of the mouthpiece-attached hose, which may interfere with the performance.

본 발명의 일 양태의 목적은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를 사용하는 동안 기립 연주시에 연주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반 하모니카 및 건반 하모니카용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board harmonica and a hose with a mouthpiece for a keyboard harmonica that can improve the comfort of performance during a standing performance while using 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본 발명의 건반 하모니카는 종방향의 일 단부에 공기 취입 구멍을 구비하는 악기 본체와, 호스부, 호스부의 제1 단부에 제공되어 호스부를 공기 취입 구멍에 연결하는 조인트부 및 호스부의 제2 단부에 제공된 마우스피스를 구비하는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와, 마우스피스가 악기 본체의 일 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호스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홀더는 조인트부, 악기 본체의 일 단부 또는 호스부 상에 제공된다.The keyboard harmonic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having an air blowing hole at one longitudinal end thereof, a hose portion, a joint portion provided at a first end of the hose portion to connect the hose portion to the air blowing hole, And a holder for detachably fixing the hose part so that the mouthpiece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wherein the holder is attached to the joint part, one end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or the hose part / RTI >

본 발명의 건반 하모니카용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는 종방향의 일 단부에 공기 취입 구멍을 구비하는 악기 본체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고, 호스부와, 호스부의 제1 단부에 제공되고 호스부를 공기 취입 구멍에 연결하는 조인트부와, 호스부의 제2 단부에 제공된 마우스피스와, 마우스피스가 악기 본체의 일 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호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홀더는 조인트부 또는 호스부에 제공된다.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for keyboard harmonic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a musical instrument body having an air blowing hole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ovided at a first end of the hose portion and has a hose portion And a holder which is detachably fixed to the hose portion so that the mouthpiece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instrument body, wherein the holder is provided to the joint portion or the hose portion do.

전술된 건반 하모니카 및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에 따르면, 홀더가 조인트부에 제공되든, 악기 본체에 제공되든 또는 호스부 상에 제공되든, 홀더는 악기 본체의 일 단부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가 호스부 상에 제공될 때, 홀더는 호스부의 제1 단부 부근에 제공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keyboard harmonica and mouthpiece attachment hose, the holder can be disposed at or near one end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whether the holder is provided to the joint part, provided to the musical instrument body, or provided on the hose part. When the holder is provided on the hose portion, the holder may be provided near the first end of the hose portion.

따라서, 호스부의 제2 단부에 근접한 부분을 홀더에 고정함으로써, 마우스피스로부터 악기 본체의 공기 취입 구멍까지의 호스부의 실질적인 길이는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를 사용하는 기립 연주의 경우에도, 호스부의 요동이 마우스피스에 거의 전달되지 않아, 이에 의해 기립 연주시에 연주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홀더에 고정된 호스부의 종방향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악기 본체의 일 단부로부터 마우스피스까지의 호스부의 연장 길이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연주자는 악기 본체의 건반부가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될 수 있는 위치에 마우스피스를 배치할 수 있다.Thus, by fixing the portion close to the second end of the hose portion to the holder, the substantial length of the hose portion from the mouthpiece to the air inlet opening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can be set short. Accordingly, even in the standing performance using the mouthpiece-attached hose, the swinging motion of the hose portion is hardly transmitted to the mouthpiece, whereb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fort of performance at the standing-up performance. Furthermore, by changing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hose portion fixed to the holder, the extension length of the hose portion from one end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to the mouthpiece can be easily adjusted. As a result, the player can place the mouthpiece in a position where the keyboard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can be easily visually confirmed.

더욱이, 공기 취입 구멍에 장착된 조인트부는 공기 취입 구멍의 축 둘레로 회전할 수도 있다. 그러나, 홀더가 악기 본체 상에 제공될 때, 호스부는 호스부를 홀더에 고정함으로써 악기 본체에 고정되어, 이에 의해 조인트부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립 연주가 안정한 상태로 수행될 수 있다.Further, the joint portion mounted on the air intake hole may be rotated around the axis of the air intake hole. However, when the holder is provided on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the hose portion is fixed to the musical instrument body by fixing the hose portion to the holder, whereby it is possible to regulate the rotation of the joint portion. Therefore, the standing performance can be performed in a stable state.

더욱이, 홀더가 조인트부, 호스부, 또는 악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때, 또는 홀더가 착탈 불가능하게 고정될 때, 홀더의 분실이 방지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holde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joint portion, the hose portion, or the musical instrument body, or when the holder is detachably fixed, the loss of the holder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건반 하모니카에서, 건반부가 악기 본체의 상면에 제공될 수도 있고, 홀더는 공기 취입 구멍으로부터 악기 본체의 하면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In the keyboard harmonic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rument body, and the holder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instrument body from the air blowing hole.

이 구성에 따르면, 호스부가 홀더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단부측을 향해 연장하는 부분은 호스부의 고정부로부터 악기 본체의 하측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호스부는 악기 본체의 상면측 위에 위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반 하모니카의 기립 연주시에, 호스부가 건반부의 조작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hose portion is fixed to the holder, the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first end side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trument body from the fixed portion of the hose portion. Therefore, the hose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Thus, at the time of standing up the keyboard harmonica, the hose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portion.

더욱이, 호스부의 고정부로부터 제1 단부측을 향해 연장하는 부분이 악기 본체의 하면측에 배치되면, 홀더가 조인트부 또는 호스부 상에 제공되더라도, 조인트부의 회전이 규제될 수 있어, 이에 의해 안정한 상태로 기립 연주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Furthermore, when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of the hose portion toward the first end side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rotation of the joint portion can be restricted even if the holder is provided on the joint portion or the hose portion, To perform standing-up performance.

본 발명의 건반 하모니카에서, 건반부가 악기 본체의 상면에 제공될 수도 있고, 홀더는 공기 취입 구멍으로부터 건반부를 구성하는 건(key)의 선단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In the keyboard harmonic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rument body, and the holder may be disposed on the tip side of the key constituting the key portion from the air blowing hole.

이 구성에 따르면, 마우스피스는 또한 건의 선단측(자유단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건은 연주자가 기립 연주시에 그/그녀의 입 내에 마우스피스를 유지한 상태로 선단측으로부터 눈으로 확인될 수 있다. 건반부의 가시성은 착석 연주시의 건반부의 가시성에 유사하기 때문에, 연주자는 건반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mouthpiece is also disposed on the distal end side (free end side) of the gun, the gun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distal end side while the dancer holds the mouthpiece in his / her mouth . Since the visibility of the keyboard part is similar to the visibility of the keyboard part at the time of seating, the player can easily operate the keyboard part.

본 발명의 건반 하모니카에서, 호스부는 조인트부로부터 악기 본체의 후면측을 향해 연장할 수도 있고, 악기 본체의 하면측으로 돌아오게 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In the keyboard harmonic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se portion may extend from the joint portion toward the rear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or may be arranged to return to the bottom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악기 본체의 후면은 상면에 인접한 면들 중, 건반부를 구성하는 건의 기단측(요동 지지점측)의 면이다. 더욱이, 이하의 설명에서, 상면에 인접한 면들 중, 건의 선단측(자유단측)에 위치된 면은 악기 본체의 정면이라 칭한다.The rear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is a surface of a proximal end side (a rocking support point side) of the key constituting the key part among the surfaces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Furth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urface positioned on the tip side (free end side) of the gun among the surfaces adjacent to the top surface is referred to as the front surface of the instrument body.

기립 연주시에, 건반부를 조작하는 연주자의 손은 악기 본체의 정면측에 배치된다. 호스부는 전술된 바와 같이 배치되기 때문에, 호스부는 예를 들어 연주자의 손에 접촉함으로써 건반 하모니카의 기립 연주를 방해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t the time of stand-up performance, a player's hand for operating the keyboard portion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Since the hose portion is disposed as described above, the hose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standing performance of the keyboard harmonica, for example, by contacting the player's hand.

더욱이, 조인트부로부터 연장하는 호스부의 제1 단부측의 부분은 마우스피스의 경우에서와 같이 악기 본체의 일 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연주자가 그/그녀의 입에 마우스피스를 유지하더라도, 호스부의 제1 단부측의 부분은 연주자의 얼굴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 결과, 기립 연주시에 연주의 쾌적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portion on the first end side of the hose portion extending from the joint portion is not arranged to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as in the case of the mouthpiece, even if the performer holds the mouthpiece in his / her mouth, The portion on the first end side of the hose portion does not contact the player's face. As a result, the comfort of the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at the time of standing up.

본 발명의 건반 하모니카에서, 홀더는 그 내부에 호스부를 끼워맞춤으로써 호스부를 고정하는 끼워맞춤부와, 원통형 형상을 갖고, 마우스피스 및 호스부가 삽입되는 것이 가능한 호스 삽입부를 구비할 수도 있고, 호스 삽입부는 끼워맞춤부의 끼워맞춤구와 연통할 수도 있다.In the keyboard harmonic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may have a fitting portion for fixing the hose portion by fitting the hose portion into the holder, a hose inserting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capable of inserting the mouthpiece and the hose portion, The portion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tting portion of the fitting portion.

이 구성에 따르면, 호스부가 기립 연주시에 끼워맞춤부의 끼워맞춤구로부터 예기치 않게 탈락하더라도, 호스부는 호스 삽입부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마우스피스와 호스부의 제2 단부측의 부분이 악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상황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부가 기립 연주시에 탈락하더라도, 연주자는 건반 하모니카의 조작의 큰 변화의 느낌을 갖지 않고, 계속 연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if the hose portion is unexpectedly dropped from the fitting portion of the fitting portion during the standing performance, the hose portion is held by the hose inserting portion, so that the mouthpiece and the portion at the second end side of the hose portion are separated from the musical instrument body The situation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even if the hose portion is dropped during the standing performance, the player can continue playing without feeling a great change in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harmonica.

본 발명의 건반 하모니카에서, 수용홈이 형성될 수도 있고, 수용홈은 악기 본체의 하면과 측단면 사이의 코너부에서 개방되어 있고, 측단면은 악기 본체의 일 단부에서 하면에 인접하고, 호스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은 악기 본체의 하면측에 배치된다.In the keyboard harmonica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and the receiving groove is open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end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and the side end surface is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at one end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The receiving recess for receiving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instrument body.

이 구성에 따르면, 악기 본체의 하면측 상에 배치된 호스부가 악기 본체의 측단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호스부가 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이에 의해 호스부가 악기 본체의 하면과 측단면 사이의 코너부에서 예각으로 절곡되는 상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호스부의 관로가 코너부에서 좁아지게 되는 상황이 억제될 수 있어, 이에 의해 연주자가 호스부 내로 공기를 취입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hose is housed in the receiving groove in a state in which the hos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side end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ituation of being bent at an acute angle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endoscope. As a result, the situation in which the channel of the hose portion becomes narrower at the corner portion can be suppress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the player from difficulty in taking air into the hose portion.

더욱이, 호스부는 수용홈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악기 본체의 하면측에 배치된 호스부의 이동이 수용홈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부의 요동이 마우스피스에 거의 전달되지 않아, 이에 의해 기립 연주시에 연주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more, since the hose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movement of the hose portion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can be restricted by the receiving groove. As a result, the swinging motion of the hose portion is hardly transmitted to the mouthpiec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mprove the comfort of performance at the time of standing up.

본 발명의 건반 하모니카에서, 수용홈의 내면은 하면으로부터 측단면으로 연장하고 하면 및 측단면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도 있다.In the keyboard harmonic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may have a slope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side surface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이 구성에 따르면, 경사면 상에 수용홈 내에 수용되도록 호스부를 배치함으로써, 호스부가 수용홈 내에서 굴곡하는 것이 방지되고 호스부의 관로가 수용홈 내에서 좁아지게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연주자에 의해 호스부 내로 공기를 취입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이 더 해소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disposing the hose portion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n the inclined surface, the hose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nding in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channel of the hose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narrow in the receiving groove. As a result, the difficulty in blowing air into the hose part by the player can be further solved.

본 발명의 건반 하모니카에서, 홀더는 수용홈의 내면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keyboard harmonic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may be constitu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이 구성에 따르면, 홀더를 포함하는 건반 하모니카의 구성 부품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number of component parts of the keyboard harmonica including the holder can be reduced.

더욱이, 본 발명의 건반 하모니카는 종방향의 일 단부에 공기 취입 구멍을 구비하는 악기 본체와, 악기 본체의 상면에 제공된 건반부와, 악기 본체의 하면과 측단면 사이의 코너부에서 개방되어 있는 홈부를 포함하고, 측단면은 악기 본체의 일 단부에서 하면에 인접한다.Further, the keyboard harmonic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having an air blowing hole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key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And the side surface section is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at one end of the instrument body.

전술된 건반 하모니카에 따르면,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의 제1 단부(조인트부)는 공기 취입 구멍에 연결되고,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의 제2 단부(마우스피스)가 악기 본체의 측단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의 중간부(호스부)가 악기 본체의 하면측에 배치될 때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의 중간부의 일부는 홈부 내에 수용된다. 이 경우에,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의 중간부가 악기 본체의 하면과 측단면 사이의 코너부에서 예각으로 절곡되는 상황이 억제될 수 있다. 그 결과, 호스부의 관로가 전술된 코너부에서 좁아지게 되는 상황이 억제될 수 있어, 이에 의해 연주자가 호스부 내로 공기를 취입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keyboard harmonica described above, the first end (joint portion) of 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is connected to the air blowing hole, and the second end (mouthpiece) of 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protrudes from the side end surface of the instrument body. When the middle part (hose part) of the attachment hose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a part of the middle part of 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part. In this case, the situation in which the middle portion of 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is bent at an acute angle at the corner between the lower face and the side end 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ituation in which the duct of the hose is narrowed at the corner portion described abov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the player from difficulty in taking air into the hose portion.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를 사용하는 건반 하모니카의 기립 연주시에 연주의 쾌적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fort of playing can be improved at the time of standing up the keyboard harmonica using the mouthpiece-attached hos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반 하모니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악기 본체의 측단면으로부터 볼 때 도 1에 도시된 건반 하모니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악기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볼 때 도 1에 도시된 건반 하모니카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연주자에 의한 기립 연주시에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건반 하모니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건반 하모니카에 있어서 호스부가 악기 본체의 상면측 상에 올라가게 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홀더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홀더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악기 본체의 측단면으로부터 볼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반 하모니카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악기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볼 때 도 8에 도시된 건반 하모니카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건반 하모니카에 있어서 악기 본체에 대한 홀더의 장착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홀더의 고정 위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홀더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악기 본체의 측단면으로부터 볼 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반 하모니카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악기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볼 때 도 13에 도시된 건반 하모니카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하면측으로부터 볼 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반 하모니카의 악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수용홈 내에 호스부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수용홈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수용홈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수용홈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5에 도시된 수용홈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건반 하모니카의 악기 본체에 형성된 수용홈(홀더)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keyboard harmonic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keyboard harmonica shown in Fig. 1 when viewed from the side end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3 is a rear view of the keyboard harmonica shown in Fig. 1 when viewed from the rear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keyboard harmonica shown in Figs. 1 to 3 at the time of standing up performance by the player.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se is rais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instrument body in the keyboard harmonica shown in Figs. 1 to 3. Fig.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holder shown in Figs. 2 and 3. Fig.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holder shown in Figs. 2 and 3. Fig.
8 is a side view of the keyboard harmonic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end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9 is a rear view of the keyboard harmonica shown in Fig. 8 when viewed from the rear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ounting state of the holder with respect to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in the keyboard harmonica shown in Figs. 8 and 9. Fig.
Fig. 11 is a sid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ixing position of the holder shown in Figs. 8 and 9. Fig.
12 is a sid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holder shown in Figs. 8 and 9. Fig.
13 is a side view of the keyboard harmonica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end 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14 is a rear view of the keyboard harmonica shown in Fig. 13 when viewed from the rear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of a keyboard harmonica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the bottom side.
16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s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shown in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receiving groove shown in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receiving groove shown in Fig.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modification of the receiving groove shown in Fig. 15.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receiving groove shown in Fig.
2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ceiving groove (holder) formed in the musical instrument body of the keyboard harmonica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반 하모니카(1)는 악기 본체(2),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3) 및 홀더(4)를 구비한다.1 to 3, the keyboard harmonica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usical instrument body 2, a mouthpiece attachment hose 3, and a holder 4.

악기 본체(2)는 직방체형의 외관을 갖고, 건반부(10)가 그 상면(2a)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건반부(10)는 복수의 건[백건(11A) 및 흑건(11B)]이 악기 본체(2)의 종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악기 본체(2)의 상면(2a)에 대향하는 면은 하면(2b)이라 칭한다. 악기 본체(2)의 상면(2a)에 인접한 면들 중, 건(11)의 선단측(자유단측)에 위치된 면은 악기 본체(2)의 정면(2c)이라 칭하고, 건(11)의 기단면(요동 지지점측)에 위치된 면은 악기 본체(2)의 후면(2d)이라 칭한다.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keyboard part 10 is provided on its upper surface 2a. The keyboard part 10 is configured so that a plurality of keys (the white key 11A and the black key 11B)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urface facing the upper surface 2a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is referred to as a lower surface 2b. A surface positioned on the distal end side (free end side) of the gun 11 among the surfaces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2a of the instrument body 2 is referred to as a front surface 2c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he face located on the end face (on the rocking support point side) is referred to as the rear face 2d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공기 취입 구멍(air-blowing hole)(12)이 악기 본체(2)의 상면의 종방향에서 일 단에 인접하여 측단면(2e)(일 단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악기 본체(2)에서, 공기 취입 구멍(12)으로부터 내부로 공기를 취입하고 건(11)을 조작(누름 조작)함으로써, 악기 본체(2)의 내부에 제공된 리드(reed)가 건(11)에 대응하여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 취입 구멍(12)은 악기 본체(2)의 정면(2c)과 후면(2d) 사이의 중간에 위치된다.An air-blowing hole 12 is opened at the side end face 2e (one end) adjacent to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The reed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is guided to the key 11 by the operation of the gun 11 by pushing in air from the air blowing hole 12 into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So that sound is generated. In this embodiment, the air inlet hole 12 is located in the middle between the front face 2c and the rear face 2d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3)는 공기 취입 구멍(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호스부(14), 조인트부(15) 및 마우스피스(16)를 구비한다.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3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air intake hole 12 and has a hose portion 14, a joint portion 15 and a dental mouthpiece 16.

호스부(14)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연성 수지 재료로 형성된 관형 부재이다. 이하에 설명되는 조인트부(15) 및 마우스피스(16)는 호스부(14)의 양단에 끼워맞춤으로써 고정된다. 더욱이, 호스부(14)의 양단 이외의 부분은 벨로우즈(bellows)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호스부(14)는 유연하게 굴곡할 수 있고, 또는 종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The hose portion 14 is a tubular member formed of a soft resin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The joint portion 15 and the dental mouthpiece 16 described below are fixed by fitting to both ends of the hose portion 14. Further, portions other than both ends of the hose portion 14 are formed in a bellows shape. Therefore, the hose portion 14 can be flexed flexibly or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조인트부(15)는 호스부(14)의 제1 단부를 공기 취입 구멍(12)에 연결하는 파이프 조인트이다. 조인트부(15)의 일 단부는 호스부(14)의 제1 단부에 끼워맞춰진 호스측 관로부(15A)이고, 다른 단부는 공기 취입 구멍(12) 내에 삽입될 본체측 관로부(15B)이다.The joint portion 15 is a pipe joint connecting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to the air blowing hole 12. [ One end of the joint portion 15 is a hose side channel portion 15A fitted to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a main channel side channel portion 15B to be inserted into the air blow hole 12 .

본 실시예에서, 호스측 관로부(15A)와 본체측 관로부(15B) 사이에 위치된 조인트부(15)의 중간 관로부(15C)가 굴곡되어, 호스측 관로부(15A) 및 본체측 관로부(15B)의 축들이 서로 직교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인트부(15)는 소위 L형 파이프 조인트이다.The intermediate channel portion 15C of the joint portion 15 positioned between the hose side channel portion 15A and the main channel side channel portion 15B is bent and the hose side channel portion 15A and the main body side channel portion 15B, The axes of the conduit portion 15B become orthogonal to each other. That is, the joint portion 15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o-called L-shaped pipe joint.

마우스피스(16)는 호스부(14)의 제2 단부에 연결된 관형 부재이다. 마우스피스(16)의 제1 개구부는 호스부(14)의 제2 단부에 끼워맞춤될 부분이고, 원통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마우스피스(16)의 제2 개구부는 연주자의 입에 의해 유지함으로써 연주자가 취입하기 위한 부분이고, 본 실시예에서 직사각형 관형 단면으로 형성된다.The mouthpiece 16 is a tubular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hose 14. The first opening of the mouthpiece 16 is a portion to be fitted to the second end of the hose portion 14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cross-section. The second opening portion of the mouthpiece 16 is a portion for the player to hold by holding by the mouth of the performer, and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tubular s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홀더(4)는 전술된 호스부(14)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끼워맞춤부(17)만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끼워맞춤부(17)는 베이스부(21)와, 베이스부(21)로부터 그 사이에 간극을 갖도록 돌출하여 반경방향에서 그 외부로부터 그 사이에 호스부(14)를 클램핑하는 한 쌍의 클램핑 돌기(22, 22)를 구비한다.The holder 4 is formed by only the fitting portion 17 for detachably fixing the hose portion 14 described above. The fitting portion 17 of this embodiment comprises a base portion 21 and a pair of protruding portions projecting from the base portion 21 so as to have a gap therebetween and clamping the hose portion 14 therebetween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clamping protrusions 22 and 22 are provided.

한 쌍의 클램핑 돌기(22, 22) 사이의 간극은 호스부(14)의 외경보다 작지만, 호스부(14)의 관로가 폐색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한 쌍의 클램핑 돌기(22, 22) 사이의 간극은 예를 들어, 벨로우즈 형상으로 형성된 호스부(14)의 최대 외경보다 작고 최소 외경보다 크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ap between the pair of clamping projections 22 and 22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ose portion 14 but not to obstruct the channel of the hose portion 14. [ The gap between the pair of clamping projections 22 and 22 is preferably set to be smaller tha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hose portion 14 formed in a bellows shape and larger than the minimum outer diameter, for example.

본 실시예의 끼워맞춤부(17)에는, 원호형 내주면(23)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클램핑 돌기(22, 22)의 대향면 및 한 쌍의 대향면에 인접한 베이스부(21)의 면에 의해 형성된다. 내주면(23)의 직경 크기는 호스부(14)의 외경 크기보다 작도록 설정된다.In the fitting portion 17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c-shape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3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pair of clamping projections 22 and 22 facing each other an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21 adjacent to the pair of opposite surfaces .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3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ose portion 14.

더욱이, 본 실시예의 끼워맞춤부(17)에서, 내주면(23)은 반원보다 큰 원호[우호(major arc)]를 갖는 C 형상으로 형성된다. 호스부(14)가 끼워맞춤부(17)에 고정될 때, 호스부(14)는 호스부(14)의 고정부를 변형하면서, 한 쌍의 클램핑 돌기(22, 22)의 선단부들 사이의 개구[끼워맞춤부(17)의 끼워맞춤구(17A)] 내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호스부(14)가 끼워맞춤부(17)에 고정된 상태에서, 호스부(14) 및 홀더(4)의 내주면(23)의 축들은 서로 일치하거나 서로 평행하다.Furthermore, in the fitting portion 17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23 is formed in a C shape having an arc (major arc) larger than a half circle. When the hose portion 14 is fixed to the fitting portion 17, the hose portion 14 deforms the fixing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And can be fitted into the opening (the fitting hole 17A of the fitting portion 17). The axes of the hose portion 14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23 of the holder 4 coincide with each other or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hose portion 14 is fixed to the fitting portion 17.

더욱이, 본 실시예의 홀더(4)는 전술된 조인트부(15)의 중간 관로부(15C)와 일체로 성형되고,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3)의 부분으로서 구성된다. 홀더(4)는 호스측 관로부(15A) 및 본체측 관로부(15B)의 축들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으로부터 그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변위된 위치에 배치된다. 더욱이, 홀더(4)의 내주면(23)의 축은 본체측 관로부(15B)의 축에 평행하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홀더(4)에서, 끼워맞춤부(17)의 끼워맞춤구(17A)는 조인트부(15)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지향한다.Furthermore, the holder 4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termediate conduit portion 15C of the above-described joint portion 15 and is configured as a portion of the mouthpiece-attached hose 3. The holder 4 is disposed at a position displaced from the virtual plane including the axes of the hose side channel portion 15A and the main body side channel portion 15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Moreover, the axis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23 of the holder 4 is parallel to the axis of the main body side channel portion 15B. Furthermore, in the holder 4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tting opening 17A of the fitting portion 17 is direc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joint portion 15. [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건반 하모니카(1)가 기립 연주로 연주될 때,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측 관로부(15B)는, 조인트부(15)의 호스측 관로부(15A)가 악기 본체(2)의 측단면(2e)을 따라 악기 본체(2)의 후면(2d)을 향해 연장하도록, 공기 취입 구멍(12) 내에 삽입되어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3)를 악기 본체(2)에 장착한다. 이 장착 상태에서, 홀더(4)는 조인트부(15) 및 공기 취입 구멍(12)으로부터 악기 본체(2)의 하면(2b)측에 배치되고, 홀더(4)의 끼워맞춤구(17A)는 악기 본체(2)의 하면(2b)측을 지향한다.When the keyboard harmonica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layed as a standing performan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3, the main body side channel portion 15B is connected to the hose side channel 15 of the joint portion 15 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3 is inserted into the air blowing hole 12 so that the mouth portion 15A extends toward the rear face 2d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long the side end face 2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o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he holder 4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2b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from the joint portion 15 and the air blowing hole 12 and the fitting portion 17A of the holder 4 And is directed to the lower surface 2b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더욱이, 호스부(14)가 조인트부(15)로부터 악기 본체(2)의 후면(2d)측으로 연장하고 악기 본체(2)의 하면(2b)으로 돌아오게 되는 상태에서, 호스부(14)의 제2 단부 부근의 부분은, 마우스피스(16)가 악기 본체(2)의 측단면(2e)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홀더(4)에 고정될 수도 있다.The hose portion 14 is extended from the joint portion 15 to the rear surface 2d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nd returns to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he portion near the second end may be fixed to the holder 4 so that the mouthpiece 16 protrudes from the side end face 2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여기서, 호스부(14)의 고정부는 악기 본체(2)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호스부(14)의 고정부로부터 제2 단부측의 부분은 측단면(2e)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악기 본체(2)의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더욱이, 호스부(14)의 고정부로부터 제1 단부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악기 본체(2)의 하면(2b)과 접촉하게 된다.Here, the fixing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is disposed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herefore, the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on the second end side from the fixed portion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so as to protrude from the side end surface 2e. Further, the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extending from the fixed portion to the first end sid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2. [

따라서, 호스부(14)를 홀더(4)에 고정함으로써, 연주자(M)에 의한 건반 하모니카(1)의 기립 연주시에,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손(M1)으로 악기 본체(2)를 파지하면서, 연주자(M)는 그/그녀의 얼굴을 악기 본체(2)의 측단면(2e)을 향한 상태로 그/그녀의 입으로 마우스피스(16)를 유지하고, 악기 본체(2)의 측단면(2e))의 측으로부터 건반부(10)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다른 손(M2)으로 건반부(10)를 조작할 수 있다.Therefore, by fixing the hose portion 14 to the holder 4, when the keyboard harmonica 1 is standing up by the player M,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ile holding the main body 2, the player M holds the mouthpiece 16 in his / her mouth with his / her face toward the side end face 2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he keyboard part 10 can be operated with the other hand M2 while checking the key part 10 from the side of the side face 2e of the main body 2 with eyes.

다른 한편으로,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3)를 사용하여 연주자에 의한 건반 하모니카(1)의 착석 연주시에는, 연주자는 책상 등 위에 배치된 악기 본체(2)의 정면(2c)에 대향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측 관로부(15B)는, 호스부(14)가 조인트부(15)로부터 악기 본체(2)의 정면(2c)을 향해 연장하도록 공기 취입 구멍(12) 내에 삽입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3)가 악기 본체(2)에 장착된 상태에서, 홀더(4)는 조인트부(15)로부터 악기 본체(2)의 상면(2a)측에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playing the keyboard harmonica 1 by the player using 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3, the player faces the front face 2c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disposed on the desk or the like, The main body side channel portion 15B is formed so that the hose portion 14 extends from the joint portion 15 toward the front face 2c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s shown in Fig. The holder 4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2a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from the joint portion 15 with 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3 mounted on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착석 연주를 위한 대기 또는 준비시에, 마우스피스(16)는 호스부(14)의 제2 단부 부근의 부분을 악기 본체(2)의 상면(2a)측에 배치된 홀더(4)에 고정함으로써 악기 본체(2)의 상면(2a)측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마우스피스(16)는 책상 등 위의 임의의 장소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에서, 호스부(14)는 악기 본체(2)의 정면(2c)으로부터 연장하는 호스부(14)가 악기 본체(2)의 상면(2a)으로 돌아오게 되면서 홀더(4)에 고정되기 때문에, 마우스피스(16)는 악기 본체(2)의 측단면(2e)으로부터 돌출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는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호스부(14)는 마우스피스(16)가 예를 들어 상면(2a) 또는 악기 본체(2)의 건반부(10) 위에 배치되도록 홀더(4)에 고정될 수 있다.The mouthpiece 16 is fixed to the holder 4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2a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by the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near the second end The mouthpiece 16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any place on the desk or the like because it can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2a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5, the hose portion 14 is fixed to the holder 4 while the hose portion 14 extending from the front surface 2c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returns to the upper surface 2a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he mouthpiece 16 is disposed at a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side end face 2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However, this is not a limitation. The hose portion 14 can be fixed to the holder 4 such that the mouthpiece 16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2a or the key portion 10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반 하모니카(1) 및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3)에 따르면, 마우스피스(16)로부터 악기 본체(2)의 공기 취입 구멍(12)까지의 호스부(14)의 실질적인 길이는 호스부(14)의 제2 단부 부근의 부분을 홀더(4)에 고정함으로써 짧게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건반 하모니카(1)가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3)를 사용하여 기립 연주로 연주되더라도, 호스부(14)의 요동은 마우스피스(16)에 거의 전달되지 않고, 이에 의해 기립 연주시에 연주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keyboard harmonica 1 and 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se portion (the mouth portion) from the mouthpiece 16 to the air inlet hole 12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14 can be set short by fixing the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near the second end to the holder 4. [ As a result, even when the keyboard harmonica 1 is played with standing performance using 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3, the swinging motion of the hose portion 14 is hardly transmitted to the mouthpiece 16,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fort of the user.

더욱이, 악기 본체(2)의 측단면(2e)으로부터 마우스피스(16)로 연장하는 호스부(14)의 길이는 종방향에서 홀더(4)에 고정될 호스부(14)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자는 측단면(2e)으로부터 연장하는 호스부(14)를 굴곡하는 등에 의해, 용이하게 볼 수 있는 위치에 마우스피스(16)를 배치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hose portion 14 extending from the side end face 2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o the mouthpiece 16 is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hose portion 14 to be fixed to the holder 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easily adjusted. Therefo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player places the mouthpiece 16 at a position easily seen by bending the hose portion 14 extending from the side end face 2e .

더욱이, 공기 취입 구멍(12)으로부터 악기 본체(2)의 하면(2b)측에 홀더(4)를 배치함으로써, 홀더(4)에 고정된 호스부(14)의 고정부로부터 제1 단부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악기 본체(2)의 하면(2b)에 배치된다. 따라서, 호스부(14)는 악기 본체(2)의 상면(2a)에 위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건반 하모니카(1)의 기립 연주시에, 호스부(14)는 건반부(10)의 조작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Further, by arranging the holder 4 on the lower surface 2b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from the air blowing hole 12, it is possible to extend from the fixed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fixed to the holder 4 to the first end side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Therefore, the hose portion 14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2a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As a result, at the time of standing up the keyboard harmonica 1, the hose portion 14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operation of the key portion 10.

더욱이, 공기 취입 구멍(12)에 장착된 조인트부(15)는 공기 취입 구멍(12)의 축 둘레로 회전할 수도 있다. 그러나, 호스부(14)의 고정부로부터 제1 단부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전술된 바와 같이 악기 본체(2)의 하면(2b)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홀더(4)의 고정부로부터 제1 단부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조인트부(15)가 회전하려고 시도하더라도, 악기 본체(2)의 하면(2b)에 맞접한다. 그 결과, 건반 하모니카(1)는 조인트부(15)의 회전을 규제함으로써 안정한 상태로 기립 연주로 연주될 수 있다.Further, the joint portion 15 mounted on the air intake hole 12 may be rotated around the axis of the air intake hole 12. [ Since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to the first end side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2b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joint portion 15 tries to rotate, the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ain body 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2b. As a result, the keyboard harmonica 1 can be played in the standing performance in a stable state by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joint portion 15.

더욱이, 기립 연주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부(10)를 조작하는 연주자의 손은 악기 본체(2)의 정면(2c)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호스부(14)는 조인트부(15)로부터 악기 본체(2)의 후면(2d)측으로 연장하면서 악기 본체(2)의 하면(2b)측으로 돌아오게 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호스부(14)는 연주자의 손에 접촉함으로써 건반 하모니카(1)의 기립 연주를 방해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4, the hands of the player operating the key part 10 are disposed on the front face 2c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0064] As shown in Fig. Since the hose portion 14 is arranged so as to extend from the joint portion 15 to the rear surface 2d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nd return to the lower surface 2b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standing performance of the keyboard harmonica 1 by making contact with the player's hand.

더욱이, 기립 연주시에, 조인트부(15)로부터 연장하는 호스부(14)의 제1 단부측의 부분은 악기 본체(2)의 측단면(2e)을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연주자는 그/그녀의 입에 마우스피스(16)를 유지하더라도, 호스부(14)의 제1 단부측의 부분은 연주자의 얼굴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 결과, 기립 연주시에 연주의 쾌적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portion of the first end side of the hose portion 14 extending from the joint portion 15 is disposed along the side end face 2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during the upright playing, The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on the first end side does not contact the player's face even if the mouthpiece 16 is held in the mouth. As a result, the comfort of the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at the time of standing up.

더욱이, 착석 연주시에,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기 본체(2)에 대한 조인트부(15)의 방향이 변경되면, 마우스피스(16)는 단지 호스부(14)를 홀더(4)에 고정함으로써 책상 등 위의 임의의 장소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마우스피스(16)를 위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5, when the direction of the joint portion 15 relative to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is changed, the dental mouthpiece 16 merely moves the hose portion 14 to the holder 1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uthpiece 16 from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any place on the desk or the like by fixing it to the mouthpiece 4,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mouthpiece 16 sanitarily.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홀더(4)는 조인트부(15)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홀더(4)의 분실이 또한 방지될 수 있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because the holder 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joint portion 15, the loss of the holder 4 can also be prevented.

제1 실시예에서, 홀더(4)의 끼워맞춤구(17A)는 조인트부(15)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지향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끼워맞춤구는 호스측 관로부(15A)가 중간 관로부(15C)로부터 연장하는 방향으로 지향할 수도 있고, 또는 예시된 예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지향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하나의 클램핑 돌기(22)가 조인트부(15)의 중간 관로부(15C)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tting hole 17A of the holder 4 is not limited to being orient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joint portion 15.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fitting hole may be orien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se side channel portion 15A extends from the intermediate channel portion 15C, o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llustrated example You may. In this case, one clamping projection 2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termediate channel portion 15C of the joint portion 15. [

더욱이, 전술된 제1 실시예에서, 끼워맞춤부(17)는 C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17)는 호스부(14)를 그 사이에 클램핑하는 한 쌍의 클램핑 돌기(22, 22)를 구비하기만 하면 된다.7, the fitting portion 17 is not formed in the hose portion 14, but the fitting portion 17 is not necessarily formed in the C shape, It is only necessary to provide a pair of clamping projections 22, 22 for clamping therebetween.

더욱이,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4)는 끼워맞춤부(17)에 추가하여 원통형 호스 삽입부(24)를 포함할 수도 있다. 호스 삽입부(24)는 호스부(14)와 마우스피스(16)가 그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이러한 크기로 형성된다. 더욱이, 호스 삽입부(24)는 끼워맞춤부(17)의 끼워맞춤구(17A)와 연통한다. 호스 삽입부(24)는 예시된 예에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예시된 예에서, 끼워맞춤부(17)는 조인트부(15)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호스 삽입부(24)는 조인트부(15)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holder 4 may include a cylindrical hose insert 24 in addition to the fitting portion 17. The hose insert 24 is formed in such a size that the hose portion 14 and the mouthpiece 16 can be inserted therein. Further, the hose inserting portion 24 communicates with the fitting portion 17A of the fitting portion 17. [ The hose inserting portion 24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in the illustrated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over,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tting portion 17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joint portion 15. However, for example, the hose inserting portion 2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joint portion 15.

호스부(14)가 호스 삽입부(24)를 구비하는 홀더(4)에 고정될 때, 호스부(14)는 마우스피스(16)의 측으로부터 호스 삽입부(24) 내에 삽입되고, 호스부(14)의 고정부는 변형되어 한 쌍의 클램핑 돌기(22, 22) 사이에 끼워맞춤된다.The hose portion 14 is inserted into the hose insertion portion 24 from the side of the mouthpiece 16 when the hose portion 14 is fixed to the holder 4 having the hose insertion portion 24, (14) is deformed and fitted between the pair of clamping projections (22, 22).

이 유형의 홀더(4)의 경우에, 호스부(14)가 기립 연주시에 끼워맞춤부(17)로부터 예기치 않게 탈락하는 경우에도, 호스부(14)는 호스 삽입부(24)에 의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호스부(14)의 제2 단부측의 부분 또는 마우스피스(16)가 악기 본체(2)로부터 분리되는 상황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부(14)가 기립 연주시에 끼워맞춤부(17)로부터 예기치 않게 탈락하는 경우에도, 연주자는 건반 하모니카(1)의 조작의 큰 변화의 느낌 없이 계속 연주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is type of holder 4, the hose portion 14 is held by the hose insert portion 24 even when the hose portion 14 unexpectedly falls off from the fitting portion 17 during standing up The situation that the portion on the second end side of the hose portion 14 or the mouthpiece 16 is separated from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can be suppressed. Thus, even when the hose portion 14 is unexpectedly dropped off from the fitting portion 17 at the time of standing up, the player can continue to play without feeling a large change in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harmonica 1.

더욱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홀더(4)는, 예를 들어 끼워맞춤부(17)가 공기 취입 구멍(12)으로부터 악기 본체(2)의 정면(2c)측에 위치되도록, 조인트부(15)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마우스피스(16)는 또한 악기 본체(2)의 정면(2c)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연주자는 기립 연주시에 그/그녀의 입에 마우스피스(16)를 유지한 상태로, 그 선단측(자유단측)으로부터 건(11)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건반부의 가시성 착석 연주시에 건반부의 가시성에 유사하기 때문에, 연주자는 건반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The holder 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joint portion 15 so that the fitting portion 17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2c side of the instrument body 2 from the air blowing hole 12,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mouthpiece 16 is also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2c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he player can hold the mouthpiece 16 in his or her mouth during standing- The gun 11 can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tip side (free end side) thereof. Since the visibility of the keyboard part is similar to that of the keyboard part during the visibility seating of the keyboard part, the player can easily operate the keyboard part.

더욱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홀더(4)는 조인트부(15)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인트부(15)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Further, the holder 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one formed integrally with the joint portion 15, but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joint portion 15. [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next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Fig.

본 실시예에서, 건반 하모니카(1)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단지 홀더(4)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다른 구성들은 제1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한 동일 구성 요소들에 부여되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In this embodiment,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holder 4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keyboard harmonica 1, and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for exampl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4A)는 악기 본체(2)의 하면(2b)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고, 홀더(4A)가 악기 본체(2)에 장착된 상태에서 악기 본체(2)의 하면(2b)과 홀더(4A) 사이에 호스부(14)를 개재하도록 구성되어, 호스부(14)를 고정한다.8 to 10, the holder 4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nd the holder 4A is provided on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nd the hose portion 14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ain body 2 and the holder 4A in a state where the hose portion 14 is mounte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홀더(4A)는 U 형상의 판재를 만곡함으로써 얻어진 부재이고, 종방향에서 호스부(14)의 부분은 그 양단부 사이의 개구로부터 홀더(4A) 내에 삽입되어, 그 내부에 호스부(14)를 수용한다. 더욱이, 홀더(4A)를 악기 본체(2)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홀더(4A)의 양단부에 형성된 갈퀴부(claw portion)(31) 및 홀더(4A)의 갈퀴부(31)를 포획하기 위해 악기 본체(2)에 형성된 잠금부(32)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이, 홀더(4A)는, 홀더(4A)가 악기 본체(2)에 고정된 상태에서, 악기 본체(2)의 하면(2b)과 홀더(4A)의 저부 사이의 치수가 호스부(14)의 외부 치수보다 작도록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holder 4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ember obtained by bending a U-shaped plate member. The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holder 4A from the opening between the both end portions thereof, And accommodates the hose portion 14. Further,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holder 4A to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is configured to catch the claw portion 31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lder 4A and the rake portion 31 of the holder 4A Is formed by a lock portion (32) formed on the instrument body (2). The size of the holder 4A between the bottom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nd the bottom of the holder 4A is smaller than that of the hose portion 14 in the state that the holder 4A is fixed to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As shown in FIG.

홀더(4A)는 홀더(4A) 내에 수용될 호스부(14)의 축이 악기 본체(2)의 종방향을 따르도록 측단면(2e)(일 단부측) 부근에 위치된 악기 본체(2)의 하면(2b)에 고정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홀더(4A)는 악기 본체(2)에 장착된 조인트부(15)[공기 취입 구멍(12)]에 대해 악기 본체(2)의 두께 방향[악기 본체(2)의 상면(2a)으로부터 하면(2b)을 향한 방향]에서 중첩된 악기 본체(2)의 하면(2b)의 위치에 고정된다.The holder 4A is mounted on the instrument main body 2 which is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side end face 2e (one end side) so that the axis of the hose portion 14 to be received in the holder 4A i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As shown in FIG. Furthermore, the holder 4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o that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he upper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2a to the lower surface 2b) of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overlapping with each other.

전술된 구성을 갖는 홀더(4A)를 구비하는 건반 하모니카로 기립 연주시에,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3)는 조인트부(15)의 호스측 관로부(15A)가 악기 본체(2)의 측단면(2e)을 따라 악기 본체(2)의 후면(2d)을 향해 연장하도록 악기 본체(2)에 장착된다.The hose side hose portion 15A of the joint portion 15 is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attachment portion 15A of the mouthpiece attachment portion 15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at the time of standing up with the keyboard harmonica having the holder 4A having the above- Is attached to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so as to extend toward the rear surface 2d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long the side end surface 2e of the main body 2. [

이와 함께, 호스부(14)는 악기 본체(2)의 후면(2d)측으로 연장하는 호스부(14)가 악기 본체(2)의 하면(2b)으로 돌아오게 되도록 홀더(4A) 내에 수용되고, 호스부(14)는 마우스피스(16)가 악기 본체(2)의 측단면(2e)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홀더(4A) 내에 수용되고, 홀더(4A)는 악기 본체(2)의 하면(2b)에 고정된다.The hose portion 14 is accommodated in the holder 4A so that the hose portion 14 extending to the rear surface 2d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returns to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he hose portion 14 is accommodated in the holder 4A such that the mouthpiece 16 protrudes from the side end surface 2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nd the holder 4A is held on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이 방식으로 홀더(4A)가 고정된 상태에서, 홀더(4A) 내에 수용된 호스부(14)는 악기 본체(2)의 하면(2b)과 홀더(4A) 사이에 개재되어, 호스부(14)가 홀더(4A)에 고정되게 된다. 더욱이, 호스부(14)의 고정부로부터 제1 단부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악기 본체(2)의 하면(2b)과 접촉하게 된다.The hose portion 14 accommodated in the holder 4A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2 and the holder 4A so that the hose portion 14 is held by the holder 4A, Is fixed to the holder 4A. Further, the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extending from the fixed portion to the first end sid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2. [

전술된 바와 같이, 호스부(14)를 홀더(4A)에 고정함으로써, 연주자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립 연주로 건반 하모니카를 연주할 수 있다(도 4 참조).As described above, by fixing the hose portion 14 to the holder 4A, the player can play the keyboard harmonica with the standing performance as in the first embodiment (see Fig. 4).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반 하모니카에 따르면, 제1 실시예의 것들과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keyboard harmonic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호스부(14)는 호스부(14)를 홀더(4A)에 고정함으로써 악기 본체(2)에 고정되기 때문에, 공기 취입 구멍(12)에 끼워맞춤된 조인트부(15)가 악기 본체(2)에 대해 회전하려고 시도하더라도, 회전이 규제될 수 있다. 그 결과, 기립 연주가 안정한 상태로 수행될 수 있다.Since the hose portion 14 is fixed to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by fixing the hose portion 14 to the holder 4A, the joint portion 15 fitted to the air blowing hole 12 Can be regulated to rotate even if it tries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As a result, the standing performance can be performed in a stable state.

더욱이, 홀더(4A)는 악기 본체(2)의 하면(2b)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기 때문에, 악기 본체(2)는 안정한 상태로 책상 등 위에 배치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holder 4A can be detached from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can be placed on a desk or the like in a stable state.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구성은 또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인트부(15)에 제공된 홀더(4)에 적용 가능하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서, 예를 들어, 호스부(14)는 홀더(4)가 조인트부(15)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인트부(15)와 홀더(4) 사이에 호스부(14)를 개재함으로써 고정될 수도 있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8 to 10 is also applicable to the holder 4 provided in the joint portion 15 as in the first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hose portion 14 is provided between the joint portion 15 and the holder 4 in a state where the holder 4 is mounted on the joint portion 15, And may be fixed by interposing a portion 14 therebetween.

제2 실시예에 따른 홀더(4A)는 악기 본체(2)의 두께 방향에서 공기 취입 구멍(12) 위에 중첩된 악기 본체(2)의 하면(2b)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홀더(4A)는 예를 들어, 공기 취입 구멍(12)으로부터 악기 본체(2)의 정면(2c)측으로의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더욱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홀더(4A)는 악기 본체(2)의 하면(2b)에 고정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기 본체(2)의 정면(2c)에 고정될 수도 있다.The holder 4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being fixed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superposed on the air intake hole 12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he holder 4A may be fixed at a position from the air blowing hole 12 to the front surface 2c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for example. The holder 4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being fixed to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For example, (Not shown).

이들 구성에 따르면, 마우스피스(16)는 또한 악기 본체(2)의 정면(2c)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연주자는 연주자가 기립 연주시에 그/그녀의 입에 마우스피스(16)를 유지한 상태로, 그 선단측(자유단측)으로부터 건(11)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건반부(10)의 가시성은 착석 연주시의 건반부(10)의 가시성에 유사하기 때문에, 연주자는 건반부(1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se configurations, since the mouthpiece 16 is also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2c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he play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player keeps the mouthpiece 16 in his / , And the gun 11 can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tip side (free end side) thereof. Since the visibility of the key part 10 is similar to the visibility of the key part 10 at the time of seating, the player can easily operate the key part 10.

더욱이, 제2 실시예의 홀더(4A)에 따르면, 호스부(14)는 악기 본체(2)와 홀더(4A) 사이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끼워맞춤부(1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한 끼워맞춤부(17) 및 호스 삽입부(24)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시된 예에서, 호스 삽입부(24)를 악기 본체(2)의 하면(2b)에 고정된다. 그러나, 끼워맞춤부(17)는 예를 들어 악기 본체(2)의 하면(2b)에 고정될 수도 있다. 더욱이, 끼워맞춤부(17) 및 호스 삽입부(24)는 하면(2b)을 따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holder 4A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hose portion 14 is fixed between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nd the holder 4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tting portion 17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cas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the fitting portion 17 and the hose inserting portion 24, which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hose inserting portion 24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However, the fitting portion 17 may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for example. Furthermore, the fitting portion 17 and the hose insertion portion 24 may be disposed along the lower surface 2b.

더욱이, 홀더(4A)가 끼워맞춤부(17)를 포함할 때, 홀더(4A)는 악기 본체(2)에 대해 착탈 가능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홀더(4A)는 악기 본체(2)에 대해 착탈 불가능할 수도 있다.Further, when the holder 4A includes the fitting portion 17, the holder 4A is not limited to the detachable member with respect to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nd for example, the holder 4A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 / RTI >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next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Fig.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실시예의 건반 하모니카에 비교하여 단지 홀더(4, 4A)의 구성의 일부만이 상이하고, 다른 구성들은 제1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부여되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In this embodiment, only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olders 4 and 4A is different as compared with the keyboard harmonic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for exampl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4B)는 호스부(14) 상에 제공되고, 제1 실시예(도 2 및 도 3 참조)에서와 동일한 끼워맞춤부(17) 및 호스부(14) 상에 끼워맞춤부(17)를 유지하는 유지부(18)를 구비한다.13 and 14, the holder 4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on the hose portion 14 and is provided with the same fitting por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see Figs. 2 and 3) 17 and a holding portion 18 for holding the fitting portion 17 on the hose portion 14.

유지부(18)는 호스부(14)가 삽입되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유지부(18)의 치수는 호스부(14)가 그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고, 마우스피스(16)와 조인트부(15)가 그 내부에 삽입될 수 없도록 설정된다. 그 결과, 홀더(4B)는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3)로부터 탈락하지 않는다. 유지부(18)의 축은 끼워맞춤부(17)에 고정된 호스부(14)의 고정부의 축에 직교하도록 설정된다.The holding portion 18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to which the hose portion 14 is inserted. The dimension of the retaining portion 18 is set such that the hose portion 14 can slide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outhpiece 16 and the joint portion 15 can not be inserted therein. As a result, the holder 4B does not fall off the hose 3 with the mouthpiece. The shaft of the holding portion 18 is set to be orthogonal to the axis of the fixed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fixed to the fitting portion 17.

전술된 구성을 갖는 홀더(4B)를 구비하는 건반 하모니카의 기립 연주시에,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3)는 조인트부(15)의 호스측 관로부(15A)가 악기 본체(2)의 측단면(2e)을 따라 악기 본체(2)의 후면(2d)으로 연장하도록 악기 본체(2)에 장착된다. 더욱이, 홀더(4B)는 유지부(18)가 호스부(14)의 제1 단부측 부근에 위치되고 끼워맞춤부(17)가 유지부(18)로부터 악기 본체(2)의 하면(2b)측으로 위치되도록 호스부(14)와 악기 본체(2)에 대해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끼워맞춤부(17)는 공기 취입 구멍(12)으로부터 악기 본체(2)의 후면(2d)측에 위치된다.The hose side attachment portion 15A of the joint portion 15 is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attachment portion 15A of the joint portion 15 at the time of standing up of the keyboard harmonica having the holder 4B having the above- And is attached to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so as to extend to the rear surface 2d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long the side end surface 2e of the main body 2. [ The holder 4B is positioned so that the holding portion 18 is located near the first end side of the hose portion 14 and the fitting portion 17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from the holding portion 18. [ Side of the hose unit 14 and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In this state, the fitting portion 17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2d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from the air blow-in hole 12.

이와 함께, 호스부(14)는 악기 본체(2)의 후면(2d)측으로 연장하는 호스부(14)가 이어서 악기 본체(2)의 하면(2b)으로 돌아오게 되고 마우스피스(16)가 악기 본체(2)의 측단면(2e)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홀더(4B)에 고정된다. 고정 상태에서, 호스부(14)의 고정부는 악기 본체(2)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호스부(14)의 고정부로부터 제1 단부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악기 본체(2)의 하면(2b)과 접촉하게 된다.The hose portion 14 is returned to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nd the hose portion 14 extending to the rear surface 2d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is returned to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nd is fixed to the holder 4B so as to protrude from the side end face 2e of the main body 2. [ The fixed portion of the hose unit 14 is disposed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so that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xed portion of the hose unit 14 to the first end side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instrument body 2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2b.

전술된 바와 같이, 호스부(14)를 홀더(4B)에 고정함으로써, 연주자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립 연주로 건반 하모니카를 연주할 수 있다(도 4 참조).As described above, by fixing the hose portion 14 to the holder 4B, the player can play the keyboard harmonica in the standing performance as in the first embodiment (see Fig. 4).

전술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건반 하모니카 및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3)에 따르면, 제1 실시예의 것들과 유사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keyboard harmonica and the mouthpiece attachment hose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re is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예를 들어, 끼워맞춤부(17)가 공기 취입 구멍(12)으로부터 악기 본체(2)의 하면(2b)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홀더(4B)에 고정된 호스부(14)의 고정부로부터 제1 단부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악기 본체(2)의 하면(2b) 상에 배치되어, 호스부(14)가 악기 본체(2)의 상면(2a) 위에 위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fitting portion 17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from the air blowing hole 12, the distance from the fixed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fixed to the holder 4B The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first end side can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so that the hose portion 14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laced on the upper surface 2a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더욱이, 호스부(14)의 고정부로부터 제1 단부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악기 본체(2)의 하면(2b)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다음에 조인트부(15)가 회전하려고 시도하더라도, 호스부(14)의 고정부로부터 제1 단부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악기 본체(2)의 하면(2b)에 맞접한다. 따라서, 조인트부(15)의 회전이 규제되고, 기립 연주가 안정한 상태로 수행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xed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to the first end side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2b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even if the joint portion 15 tries to rotate next,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of the first side end portion 14 to the first end sid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joint portion 15 is restricted, and the standing performance can be performed in a stable state.

더욱이, 제3 실시예에 따른 홀더(4B)를 구비하는 건반 하모니카에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착석 연주를 위한 대기 또는 준비시에, 호스부(14)는 마우스피스(16)가 책상 등 위의 임의의 장소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끼워맞춤부(17)에 고정되고, 마우스피스(16)는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도 5 참조). 구체적으로, 홀더(4B)는 유지부(18)가 호스부(14)의 제1 단부측 부근에 위치되고, 끼워맞춤부(17)가 유지부(18)로부터 악기 본체(2)의 상면(2a)측에 위치되도록, 호스부(14)와 악기 본체(2)에 대해 배치된다. 이 배치 상태에서, 마우스피스(16)는 호스부(14)의 제2 단부측 부근의 부분을 악기 본체(2)의 상면(2a)측에 배치된 끼워맞춤부(17)에 고정함으로써 악기 본체(2)의 상면(2a)측에 배열될 수 있어, 마우스피스(16)가 책상 등 위의 임의의 장소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홀더(4B)는 유지부(18)에 기인하여 호스부(14)로부터 탈락하지 않기 때문에, 홀더(4B)의 분실이 방지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keyboard harmonica having the holder 4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hose portion 14 is arranged so that the mouthpiece 16 is attached to the desk (not shown) And the mouthpiece 16 can be used hygienically (refer to Fig. 5). The mouthpiece 16 is fixed to the fitting portion 17 so as to prevent contact with any place on the back. More specifically, the holder 4B is positioned so that the holding portion 18 is located near the first end side of the hose portion 14 and the fitting portion 17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from the holding portion 18 2a side of the hose unit 14 and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respectively. In this arrangement state, the mouthpiece 16 is fixed to the fitting portion 17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2a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by a portion near the second end side of the hose portion 14, (2a) side of the mouthpiece (2), so that the mouthpiece (16)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any place on the desk or the like. Furtherm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holder 4B does not fall off the hose portion 14 due to the holding portion 18, the holder 4B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제3 실시예의 홀더(4B)는 단지 끼워맞춤부(17) 및 유지부(18)만을 구비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구성에서와 같이 호스 삽입부(24)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The holder 4B of the third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having only the fitting portion 17 and the holding portion 18, (24). ≪ / RTI >

더욱이, 제3 실시예에서, 홀더(4B)는 공기 취입 구멍(12)으로부터 악기 본체(2)의 후면(2d)측에 위치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호스측 관로부(15A)가 악기 본체(2)의 측단면(2e)을 따라 악기 본체(2)의 정면(2c)으로 연장하도록 조인트부(15)가 악기 본체(2)에 장착되면, 홀더(4B)는 예를 들어 공기 취입 구멍(12)으로부터 악기 본체(2)의 정면(2c)측에 배치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third embodiment, the holder 4B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2d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from the air blow-in hole 12. However, if the joint portion 15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instrument main body 2 so that the hose side channel portion 15A extends to the front face 2c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long the side end face 2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he holder 4B can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2c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from the air blowing hole 12, for example.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next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Fig.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건반 하모니카(1)에 비교하여 단지 악기 본체(2)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다른 구성들은 제1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한 동일 구성 요소들에 부여되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In this embodiment,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keyboard harmonica 1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for exampl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2b)측에 배치된 호스부(14)의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홈(홈부)(40)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악기 본체(2)에 형성된다. 수용홈(40)은 악기 본체(2)의 하면(2b)과 측단면(2e) 사이의 코너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수용홈(40)의 내면은 악기 본체(2)의 하면(2b)으로부터 측단면(2e)으로 연장하고, 하면(2b)과 측단면(2e)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41)을 갖는다.15 and 16, a receiving groove (groove portion) 40 for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2b side is formed in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 The receiving groove 40 is opened at the corner between the lower surface 2b of the instrument body 2 and the side end surface 2e.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40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2b of the instrument body 2 to the side surface 2e and has an inclined surface 41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2b and the side surface 2e.

본 실시예에서, 수용홈(40)의 종방향은 하면(2b)과 측단면(2e)에 대해 경사진다. 더욱이, 수용홈(40)의 내면은 수용홈(40)의 종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원호 형상(예를 들어, 반원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수용홈(40)의 반경방향 치수(폭 치수)는 호스부(14)의 외부 크기보다 크게 설정된다.In this embodimen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4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2b and the side surface 2e. Further,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40 is formed to have an arc shape (for example, a semicircular arc shape) in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40. The radial dimension (width dimension) of the receiving groove 40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external size of the hose portion 14.

악기 본체(2)의 측단면(2e)에서 수용홈(40)의 개구는 악기 본체(2)의 하면(2b)측에서, 공기 취입 구멍(12)에 인접하여 위치된다.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40 in the side end surface 2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is located adjacent to the air blowing hole 12 on the lower surface 2b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상기 구성을 갖는 악기 본체(2)를 구비하는 건반 하모니카의 기립 연주시에,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3)는, 조인트부(15)의 호스측 관로부(15A)가 악기 본체(2)의 측단면(2e)을 따라 악기 본체(2)의 후면(2d)을 향해 연장하도록 악기 본체(2)에 장착된다(도 1 및 도 2 참조). 더욱이, 장착시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4)는 수용홈(40)의 측단면(2e)에서 개구에 인접하여 배치된다.The hose 3 with hose side channel portion 15A of the joint portion 15 is provided with the hose side channel portion 15A of the joint portion 15 at the upright play of the keyboard harmonica having the above- Is mounted on the instrument body 2 so as to extend toward the rear face 2d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long the side end face 2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see Figs. 1 and 2). 16, the holder 4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pening at the side end face 2e of the receiving groove 40 at the time of mounting.

이와 함께, 호스부(14)는, 악기 본체(2)의 후면(2d)측에서 연장하는 호스부(14)가 악기 본체(2)의 하면(2b)으로 돌아오게 되고, 마우스피스(16)는 악기 본체(2)의 측단면(2e)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홀더(4)에 고정된다(도 1 및 도 2 참조). 그 결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4)로부터 제1 단부측으로 연장하는 호스부(14)의 부분은 수용홈(40) 내에 수용된다. 수용홈(40) 내에 수용된 호스부(14)는 수용홈(40)의 경사면(41) 상에 또한 배치된다.The hose unit 14 returns to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nd the hose unit 14 extending from the rear surface 2d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returns to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Is fixed to the holder 4 so as to protrude from the side end face 2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see Figs. 1 and 2). 16, the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extending from the holder 4 toward the first end side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40. [ The hose portion 14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40 is also disposed on the inclined surface 41 of the receiving groove 40.

전술된 바와 같이, 호스부(14)를 홀더(4)에 고정함으로써, 연주자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립 연주로 건반 하모니카를 연주할 수 있다(도 4 참조).As described above, by fixing the hose portion 14 to the holder 4, the player can play the keyboard harmonica with the standing performance as in the first embodiment (see FIG. 4).

전술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건반 하모니카에 따르면, 제1 실시예의 것들과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keyboard harmonica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더욱이, 본 실시예의 건반 하모니카에서, 호스부(14)가 악기 본체(2)의 하면(2b)과 측단면(2e) 사이의 코너부에서 예각으로 절곡되는 상황이 수용홈(40) 내에 호스부(14)를 수용함으로써 억제될 수 있다. 그 결과, 호스부(14)의 관로가 전술된 코너부에서 좁아지게 되는 상황이 억제될 수 있어, 이에 의해 연주자가 호스부(14) 내로 공기를 취입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keyboard harmonica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tuation in which the hose portion 14 is bent at an acute angle at the corner port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2b and the side end surface 2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14). ≪ / RTI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ituation in which the channel of the hose portion 14 becomes narrower at the above-mentioned corner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player from difficulty in taking air into the hose portion 14. [

더욱이, 수용홈(40) 내에 수용된 호스부(14)는 수용홈(40)의 경사면(41)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호스부(14)가 수용홈(40) 내에서 굴곡하는 것과 호스부(14)의 관로가 수용홈(40) 내에서 좁아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연주자에 의해 호스부(14) 내에 공기를 취입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이 더 해소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hose portion 14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40 is disposed on the inclined surface 41 of the receiving groove 40, the hose portion 14 is bent in the receiving groove 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annel of the gasket 14 from becoming narrow in the receiving groove 40. As a result, the difficulty in blowing air into the hose portion 14 by the player can be solved more.

더욱이, 수용홈(40) 내에 호스부(14)를 수용함으로써, 악기 본체(2)의 하면(2b)측에 배치된 호스부(14)의 요동이 수용홈(40)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따라서, 기립 연주시에 호스부(14)의 요동이 마우스피스(16)에 거의 전달되지 않아, 이에 의해 기립 연주시에 연주의 쾌적성을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수용홈(40)에 의해 호스부(14)의 요동을 규제함으로써, 악기 본체(2)에 장착된 조인트부(15)가 악기 본체(2)에 대해 본체측 관로부(15B)의 축 둘레로 회전하는 상황이 또한 억제될 수 있다.Furthermore, by accommodating the hose portion 14 in the receiving groove 40, the swinging of the hose portion 14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2b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can be restricted by the receiving groove 40 . Therefore, the swinging motion of the hose portion 14 is hardly transmitted to the mouthpiece 16 at the time of stand-up performanc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comfort of performance at the standing-up performance. Further, by restricting the swinging motion of the hose portion 14 by the receiving groove 40, the joint portion 15 mounted on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2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relative to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2, Circumferential rotation can also be suppressed.

더욱이, 수용홈(40)을 형성함으로써, 홀더(4)는 측단면(2e)에서 수용홈(40)의 개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어, 홀더(4)가 악기 본체(2)의 하면(2b)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홀더(4)는 보호될 수 있다.Further, by forming the receiving groove 40, the holder 4 can be disposed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40 in the side end surface 2e, so that the holder 4 can be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trument body 2 2b from being protruded. As a result, the holder 4 can be protected.

더욱이, 악기 본체(2)의 하면(2b)과 측단면(2e) 사이의 코너부에서 호스부(14)의 절곡각은 수용홈(40)에 의해 감소되기 때문에, 홀더(4)가 측단면(2e)에서 수용홈(40)의 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더라도, 호스부(14)는 코너부에서 호스부(14)의 절곡에 기초하는 응력에 기인하여 홀더(4)로부터 예기치 않게 탈락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bending angle of the hose portion 14 at the corner between the lower surface 2b and the side end surface 2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is reduced by the receiving groove 40, The hose portion 14 unexpectedly comes off from the holder 4 due to the stress based on the bending of the hose portion 14 at the corner portion even if the hose portion 14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40 Can be prevented.

제4 실시예에서, 악기 본체(2)의 수용홈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용홈이 악기 본체(2)의 하면(2b)과 측단면(2e) 사이의 코너부에서 개방되어 있는 한, 예를 들어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형상일 수도 있다.The receiving groov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s. 15 and 16 and the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nd the side end face 2e As long as it is opened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7 to 20.

도 17에 도시된 수용홈(40A)의 내면은 도 15에 도시된 수용홈(40)과 동일한 경사면(41A)을 갖는다. 수용홈(40A)의 종방향은 또한 도 15에 도시된 수용홈(40)에서와 같이 하면(2b)과 측단면(2e)에 대해 경사진다. 그러나, 수용홈(40A)의 내면은 수용홈(40A)의 종방향으로부터 볼 때 직사각형 형상 또는 유사한 형상(예를 들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수용홈(40A)의 내면을 구성하는 경사면(41A) 및 수용홈(40)의 폭방향[악기 본체(2)의 정면(2c)으로부터 후면(2d)을 향한 방향]에서 그에 대향하는 한 쌍의 내측면(42A)은 각각 평탄면이다. 예시된 예에서, 한 쌍의 내측면(42A)은 한 쌍의 내측면(42A) 사이의 간극이 경사면(41A)으로부터 악기 본체(2)의 하면(2b)과 측단면(2e) 사이의 코너부를 향해 증가하도록 서로에 대해 경사진다. 그러나, 예를 들어, 이들 내측면은 서로 평행할 수도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40A shown in Fig. 17 has the same inclined surface 41A as the receiving groove 40 shown in Fi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40A is also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2b and the side surface 2e as in the receiving groove 40 shown in Fig. However,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40A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r a similar shape (for example, a trapezoid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40A. That is, the inclined surface 41A constitu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40A and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40 (the direction from the front surface 2c to the rear surface 2d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he inner side surfaces 42A of the pair are flat surfaces, respectively.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pair of inner side surfaces 42A are formed such that the gap between the pair of inner side surfaces 42A is inclined from the inclined surface 41A to the corner between the lower surface 2b and the side surface 2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nd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as to increase toward the portion. However, for example, these inner sides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수용홈(40B 내지 40D)은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수용홈(40, 40A)에서와 같이 경사지지 않는다. 이들 수용홈(40B 내지 40D)의 내주면은 악기 본체(2)의 하면(2b)으로부터 악기 본체(2)의 내부를 향해[악기 본체(2)의 두께 방향에서] 1단 내향하여 위치된 제1 단차형 내면(43B 내지 43D)과, 악기 본체(2)의 측단면(2e)으로부터 악기 본체(2)의 내부를 향해[악기 본체(2)의 종방향에서] 1단 내향하여 위치된 제2 단차형 내면(44B 내지 44D)을 구비한다.The receiving grooves 40B to 40D shown in Figs. 18 to 20 are not inclined as in the receiving grooves 40 and 40A shown in Figs. 15 and 17.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eceiving grooves 40B to 40D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from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he first and second stepped inner surfaces 43B to 43D and the second and third stepped inner surfaces 43B to 43D and the first and second stepped inner surfaces 43B to 43D and the inner side surface 2e of the instrument body 2 toward the inside of the instrument body 2 And has stepped inner surfaces 44B to 44D.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수용홈(40B 내지 40D)의 제2 단차형 내면(44B 내지 44D)은 모두 악기 본체(2)의 종방향에 직교하는 평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수용홈(40B)의 제1 단차형 내면(43B)은 악기 본체(2)의 종방향에 직교하는 평탄면이다. 다른 한편으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수용홈(40C, 40D)의 제1 단차형 내면(43C, 43D)은 악기 본체(2)의 두께 방향으로 오목하도록 만곡되고, 악기 본체(2)의 종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원호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8(도 19)에 도시된 수용홈(40B)(40C)의 내면은 악기 본체(2)의 폭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내측면(42B, 42B)(42C, 42C)을 또한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도 20에 도시된 수용홈(40D)의 내면은 단지 제1 및 제2 단차형 내면(43D, 44D)만을 구비한다.The second stepped inner surfaces 44B to 44D of the receiving grooves 40B to 40D shown in Figs. 18 to 20 are flat surfaces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trument body 2, respectively. The first stepped inner surface 43B of the receiving groove 40B shown in FIG. 18 is a flat surfac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tepped inner surfaces 43C and 43D of the receiving grooves 40C and 40D shown in Figs. 19 and 20 are curved so as to conca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Like shape in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ner surfaces of the receiving grooves 40B and 40C shown in Fig. 18 (Fig. 19) also include a pair of inner side surfaces 42B, 42B, 42C and 42C facing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trument body 2 do. 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40D shown in Fig. 20 has only the first and second stepped inner surfaces 43D and 44D.

또한,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수용홈(40A 내지 40D)에 의해서도, 도 15에 도시된 수용홈(40)에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Similar effects can also be obtained in the receiving groove 40 shown in Fig. 15 by the receiving grooves 40A to 40D shown in Figs. 17 to 20, too.

수용홈이 전술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악기 본체(2)는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홀더(4A, 4B)를 구비하는 건반 하모니카에 적용 가능하다.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cable to a keyboard harmonica having the holders 4A and 4B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수용홈이 형성되는 악기 본체(2)가 제2 실시예에 적용될 때, 악기 본체(2)에 고정될 홀더(4A)는 예를 들어 악기 본체(2)의 하면(2b) 상의 수용홈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더욱이, 악기 본체(2)에 고정될 홀더(4A)는 예를 들어 수용홈 내에 수용된 호스부(14)의 부분을 고정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수용홈의 내면과 홀더(4A) 사이에 호스부(14)를 개재함으로써, 호스부(14)를 홀더(4A)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holder 4A to be fixed to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can be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ceiving groove on the lower surface 2b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when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on which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s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Position. Furthermore, the holder 4A to be fixed to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may be arranged to fix,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ix the hose portion 14 to the holder 4A by interposing the hose portion 14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holder 4A.

다른 한편으로, 수용홈이 형성되는 악기 본체(2)가 제3 실시예에 적용될 때, 악기 본체(2)의 수용홈은 호스부(14) 상에 제공된 홀더(4B)의 배치에 대응하도록 공기 취입 구멍(12)으로부터 악기 본체(2)의 정면(2c)측 또는 후면(2d)측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on which the receiving recesses are formed is applied to the third embodiment, the receiving grooves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holders 4B provided on the hose portion 14 Is formed on the front face 2c side or the rear face 2d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from the blowhole 12. [

[제5 실시예][Fif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도 21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next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건반 하모니카에 비교하여 단지 홀더 및 수용홈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다른 구성들은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부여되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In this embodiment,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holder and the receiving groov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keyboard harmonica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nd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In this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악기 본체(2)에서, 악기 본체(2)의 하면(2b)측에 배치된 호스부(14)의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홈(40E)은 제4 실시예에서와 같이 형성된다. 수용홈(40E)은 제4 실시예에서와 같이 악기 본체(2)의 하면(2b)과 측단면(2e) 사이의 코너부에서 개방되어 있다(도 15 내지 도 20 참조). 수용홈(40E)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수용홈(40)에서와 같이 하면(2b) 및 측단면(2e)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수용홈(40E)의 종방향은 하면(2b) 및 측단면(2e)에 대해 경사질 수도 있고 또는 경사지지 않을 수도 있다.21, in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eiving groove 40E for accommodating the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2b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has the fourth Is formed as in the embodiment. The receiving groove 40E is opened at the corner between the lower surface 2b and the side surface 2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as in the fourth embodiment (see Figs. 15 to 20). The receiving groove 40E may or may not include a slop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2b and the side surface 2e as in the receiving groove 40 shown in Fig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40E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2b and the side surface 2e or may not be inclined.

본 실시예에서, 호스부(14)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홀더(4E)는 수용홈(40E)의 내면(23E)에 의해 형성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40E)의 내면(23E)은 악기 본체(2)의 종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원호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면(23E)의 반경방향 치수는 호스부(14)의 외부 치수보다 작게 설정된다. 수용홈(40E)의 내면(23E)은 반원보다 큰 원호(우호) C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수용홈(40E)의 내면(23E)은 제1 실시예에서 홀더(4)의 내주면(23)(도 2)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holder 4E for detachably fixing the hose portion 14 is formed by the inner surface 23E of the receiving groove 40E. As shown in Fig. 21, the inner surface 23E of the receiving groove 40E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in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The radial dimension of the inner surface 23E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mension of the hose portion 14. [ The inner surface 23E of the receiving groove 40E is formed in an arc (C) shape larger than the semicircle. That is, the inner surface 23E of the receiving groove 40E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23 (Fig. 2) of the holder 4 in the first embodiment.

수용홈(40E) 내에 호스부(14)를 수용할 때에, 호스부(14)는 호스부(14)의 고정부를 변형하면서 수용홈(40E)의 개구부로부터 끼워맞춰진다. 그 결과, 호스부(14)는 수용홈(40E)[홀더(4E)]에 고정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의 건반 하모니카에 따르면, 제4 실시예의 것들과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건반 하모니카에서, 홀더(4E)는 수용홈(40E)의 내면(23E)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홀더(4E)를 구비하는 건반 하모니카의 구성 부품의 수는 감소될 수 있다.The hose portion 14 is fitted from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40E while deforming the fixed portion of the hose portion 14 when the hose portion 14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40E. As a result, the hose portion 14 can be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40E (holder 4E). According to the keyboard harmonica of the fifth embodiment,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can be obtained. Moreover, in the keyboard harmonica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holder 4E is formed by the inner surface 23E of the receiving groove 40E, the number of component parts of the key harmonica having the holder 4E can be reduced.

본 발명이 5개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추가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ve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ad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조인트부(15)는 L 형상을 갖는 파이프 조인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호스측 관로부(15A)와 본체측 관로부(15B)의 축들이 서로 일치하거나 서로 평행한 선형 파이프 조인트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조인트부(15)에 제공된 제1 실시예의 홀더(4)는 홀더(4)에 고정된 호스부(14)의 축이 본체측 관로부(15B)의 축에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호스부(14) 상에 제공된 제3 실시예의 홀더(4B)는 끼워맞춤부(17)에 고정된 호스부(14)의 축이 유지부(18)의 축에 평행하도록 형성된다.For example, the joint portion 15 is not limited to a pipe joint having an L shape, and may be a linear pipe joint in which the axes of the hose side channel portion 15A and the main channel side channel portion 15B coincide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holder 4 of the first embodiment provided in the joint portion 15 is formed such that the axis of the hose portion 14 fixed to the holder 4 is parallel to the axis of the main body side channel portion 15B. The holder 4B of the third embodiment provided on the hose portion 14 is formed such that the axis of the hose portion 14 fixed to the fitting portion 17 is parallel to the axis of the holding portion 18. [

더욱이, 홀더(4, 4A, 4B, 4E)는 홀더들에 고정된 호스부(14)가 악기 본체(2)의 종방향에서 측단면(2e)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호스부(14)가 종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홀더(4, 4A, 4B, 4E)에 각각 고정된 호스부(14)가 악기 본체(2)의 정면(2c)측으로 경사진 방향에서 측단면(2e)으로부터 돌출하면, 연주자가 건반부(10)를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holders 4, 4A, 4B and 4E are not limited to being formed such that the hose portions 14 fixed to the holders protrude from the side end face 2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For example, the hose portion 14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horses 14 fixed to the holders 4, 4A, 4B and 4E respectively project from the side end face 2e in a direction inclined toward the front face 2c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2, ) Can be easily confirmed with eyes.

1: 건반 하모니카
2: 악기 본체
2a: 상면
2b: 하면
2c: 정면
2d: 후면
2e: 측단면(일 단부)
3: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
4: 홀더
10: 건반부
11: 건
12: 공기 취입 구멍
14: 호스부
15: 조인트부
16: 마우스피스
17: 끼워맞춤부
17A: 끼워맞춤구
18: 유지부
24: 호스 삽입부
40: 수용홈(홈부)
41: 경사면
1: Keyboard harmonica
2: Instrument body
2a: upper surface
2b: when
2c: Front
2d: Rear
2e: side end face (one end)
3: Hose with mouthpiece
4: Holder
10:
11: Gun
12: air blowing hole
14: Hose portion
15: joint part
16: mouthpiece
17:
17A:
18:
24: hose inserting portion
40: receiving groove (groove portion)
41: slope

Claims (10)

종방향의 일 단부에 공기 취입 구멍을 구비하는 악기 본체와,
호스부, 상기 호스부의 제1 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호스부를 상기 공기 취입 구멍에 연결하는 조인트부 및 상기 호스부의 제2 단부에 제공된 마우스피스를 구비하는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와,
상기 마우스피스가 상기 악기 본체의 일 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호스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조인트부, 상기 악기 본체의 일 단부 또는 상기 호스부 상에 제공되는, 건반 하모니카.
An instrument main body having an air blowing hole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ose with a mouthpiece provided at a first end of the hose portion and having a joint portion for connecting the hose portion to the air blowing hole and a mouthpiece provided at a second end portion of the hose portion,
And a holder for detachably fixing the hose portion so that the mouthpiece projects from one end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Wherein the holder is provided on the joint portion, one end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or the hos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건반부가 상기 악기 본체의 상면에 제공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공기 취입 구멍으로부터 상기 악기 본체의 하면측에 배치되는, 건반 하모니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keyboard par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And the holder is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instrument body from the air blowing ho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반부가 상기 악기 본체의 상면에 제공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공기 취입 구멍으로부터 상기 건반부를 구성하는 건의 선단측에 배치되는, 건반 하모니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keyboard par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And the holder is disposed on the tip side of the gun constituting the key portion from the air blowing hol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부는 상기 조인트부로부터 상기 악기 본체의 후면측을 향해 연장하고, 상기 악기 본체의 하면측으로 돌아오게 되도록 배치되는, 건반 하모니카.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the hose portion extends from the joint portion toward the rear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and is arranged so as to return to the lower 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그 내부에 상기 호스부를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호스부를 고정하는 끼워맞춤부와, 원통형 형상을 갖고, 상기 마우스피스 및 상기 호스부가 삽입되는 것이 가능한 호스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 삽입부는 상기 끼워맞춤부의 끼워맞춤구와 연통하는, 건반 하모니카.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holder has a fitting portion for fixing the hose portion by fitting the hose portion into the holder, and a hose inserting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capable of inserting the mouthpiece and the hose portion,
And the hose inserting portion communicates with a fitting portion of the fitting portio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악기 본체의 하면과 측단면 사이의 코너부에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측단면은 상기 악기 본체의 일 단부에서 하면에 인접하고, 상기 호스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은 상기 악기 본체의 하면측에 배치되는, 건반 하모니카.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receiving groove is opened at a corner between a lower surface and a side end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and the side end surface is adjacent to a lower surface at one end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Is disposed on the undersid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내면은 상기 하면으로부터 상기 측단면으로 연장하고 상기 하면 및 상기 측단면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건반 하모니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has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side surface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수용홈의 내면에 의해 구성되는, 건반 하모니카.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And the holder is constitu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종방향의 일 단부에 공기 취입 구멍을 구비하는 악기 본체와,
상기 악기 본체의 상면에 제공된 건반부와,
상기 악기 본체의 하면과 측단면 사이의 코너부에서 개방되어 있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단면은 상기 악기 본체의 일 단부에서 상기 하면에 인접하는, 건반 하모니카.
An instrument main body having an air blowing hole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key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And a groove portion open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end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body,
And the side end surface is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at one end of the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종방향의 일 단부에 공기 취입 구멍을 구비하는 악기 본체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한 건반 하모니카용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이며,
호스부와, 상기 호스부의 제1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호스부를 상기 공기 취입 구멍에 연결하는 조인트부와, 상기 호스부의 제2 단부에 제공된 마우스피스와, 상기 마우스피스가 상기 악기 본체의 일 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호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조인트부 또는 상기 호스부에 제공되는,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
A hose with a mouthpiece for a keyboard harmonica which can be mounted on a musical instrument main body having an air blowing hole at one end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A joint part provided at a first end of the hose part and connecting the hose part to the air blowing hole; a mouthpiece provided at a second end of the hose part; and a mouthpiece provided at one end of the instrument body And a holder detachably fixed to the hose portion so as to protrude,
Wherein the holder is provided in the joint portion or the hose portion.
KR1020157001157A 2012-07-19 2013-07-03 Keyboard harmonica and hose with mouthpiece KR2015002378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0479 2012-07-19
JPJP-P-2012-160479 2012-07-19
PCT/JP2013/068292 WO2014013878A1 (en) 2012-07-19 2013-07-03 Keyboard harmonica and hose with mouthpie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783A true KR20150023783A (en) 2015-03-05

Family

ID=4994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157A KR20150023783A (en) 2012-07-19 2013-07-03 Keyboard harmonica and hose with mouthpie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20566B2 (en)
KR (1) KR20150023783A (en)
CN (1) CN104704553B (en)
TW (1) TWI518674B (en)
WO (1) WO2014013878A1 (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529U (en) * 1977-07-04 1979-02-01
JPS6213110Y2 (en) * 1980-06-04 1987-04-04
JPH0337037Y2 (en) * 1987-07-01 1991-08-06
JPH0210594U (en) * 1988-07-05 1990-01-23
JPH0247694U (en) * 1988-09-27 1990-03-30
JPH0755592Y2 (en) * 1989-09-12 1995-12-20 株式会社全音楽譜出版社 Key holder for keyboard harmonica
JP2636469B2 (en) * 1990-05-29 1997-07-30 ヤマハ株式会社 Table wind hose for keyboard instruments
JPH0727507Y2 (en) * 1992-08-20 1995-06-21 株式会社鈴木楽器製作所 A device for holding the mouth of a keyboard instrument
CN2545674Y (en) * 2002-05-27 2003-04-16 丁文良 Blow resonator of mouth-organ
JP4193609B2 (en) * 2003-06-27 2008-12-10 ヤマハ株式会社 Keyboard wind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04553B (en) 2017-11-21
CN104704553A (en) 2015-06-10
WO2014013878A1 (en) 2014-01-23
JP6020566B2 (en) 2016-11-02
TWI518674B (en) 2016-01-21
TW201409461A (en) 2014-03-01
JPWO2014013878A1 (en)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3389A3 (en) Trocar for introducing a medical instrument
EP1520509B1 (en) Adaptor for endoscope forceps opening
JP2011124886A (en) Battery housing mechanism for noise cancellation headphone
USD1002835S1 (en) Face mask f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TE245004T1 (en) ARTHROSCOPIC MEASURING DEVICE
US20100107850A1 (en) Strap connector and strap for musical instrument having strap connector
KR20150023783A (en) Keyboard harmonica and hose with mouthpiece
US10522120B2 (en) Key unit and wind instrument
JP6177169B2 (en) Insertion device, endoscope
JP2006331999A (en) Rocking switch
JP6660992B1 (en) Shoulder rest device
JP6595728B2 (en) Endoscope case
JP2024036054A (en) controller cover body
JP7378132B2 (en) Auxiliary equipment
JP6657793B2 (en) Wind instrument
JP2008046286A (en) Foot pedal apparatus
JP3107787U (en) Nostril cannula
CN113035156A (en) Performance assist device and gas spring musical instrument
JP2007300998A (en) Ultrasonic puncture attachment
JP2004222923A (en) Endoscope
JP2018125778A (en) Portable device
KR200428321Y1 (en) Medical assembly
JP6171808B2 (en) Silencer
JP3107788U (en) Nostril cannula
JP2017205434A (en) Operation tool of endoscop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