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3171A -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 Google Patents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3171A
KR20150023171A KR20130100489A KR20130100489A KR20150023171A KR 20150023171 A KR20150023171 A KR 20150023171A KR 20130100489 A KR20130100489 A KR 20130100489A KR 20130100489 A KR20130100489 A KR 20130100489A KR 20150023171 A KR20150023171 A KR 20150023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portion
propellant
bullet
robot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6160B1 (ko
Inventor
이준성
박민수
박순석
신준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30100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160B1/ko
Priority to US14/105,863 priority patent/US9671204B2/en
Publication of KR20150023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0Projectiles or missi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e.g. by the launching apparatus or weapon used
    • F42B30/04Rifle grenades
    • F42B30/06Bullet traps or bullet deceler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5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discrete solid bodies
    • F42B12/58Cluster or cargo ammunition, i.e. projectiles containing one or more submiss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5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discrete solid bodies
    • F42B12/58Cluster or cargo ammunition, i.e. projectiles containing one or more submissiles
    • F42B12/62Cluster or cargo ammunition, i.e. projectiles containing one or more submissiles the submissiles being eject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rojectile
    • F42B12/625Cluster or cargo ammunition, i.e. projectiles containing one or more submissiles the submissiles being eject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rojectile a single submissile arranged in a carrier missile for being launched or accelerated coaxially; Coaxial tandem arrangement of missiles which are active in the target one after the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5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discrete solid bodies
    • F42B12/58Cluster or cargo ammunition, i.e. projectiles containing one or more submissiles
    • F42B12/62Cluster or cargo ammunition, i.e. projectiles containing one or more submissiles the submissiles being eject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rojectile
    • F42B12/64Cluster or cargo ammunition, i.e. projectiles containing one or more submissiles the submissiles being eject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rojectile the submissiles being of shot- or flechette-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41H7/005Unmanned ground vehicles, i.e. robotic, remote controlled or autonomous, mobile platforms carrying equipment for performing a military or police role, e.g. weapon systems or reconnaissanc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02Stabilising arrangements
    • F42B10/04Stabilising arrangements using fixed fins
    • F42B10/06Tail f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Toy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총포에 결합하여 탄자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보호체에 격납된 폭약, 또는 로봇 등을 목표물을 타겟으로 발사할 수 있으며, 탄자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함으로써 더욱 멀리 있는 목표물 까지 조준하여 발사할 수 있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에 있어서, 총포에서 발사되어 그 후방에서 전방으로 입사되는 탄자를 구속하여 상기 탄자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트랩수단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트랩수단에 흡수된 탄자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총류탄의 탄도방향으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수단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되는 추진체와, 내부에는 상기 탄자가 관통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전방은 상기 제1수용부와 대면하여 상기 추진체에 결합되고, 상기 중공의 후방은 상기 탄자가 상기 중공을 통하여 상기 추진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총포에 결합될 수 있는 발사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RIFLE GRENADE USING BULLET TRAP}
본 발명은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총포에 결합하여 탄자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보호체에 격납된 폭약, 또는 로봇 등을 목표물을 향하여 발사할 수 있으며, 탄자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함으로써 더욱 멀리 있는 목표물 까지 조준하여 발사할 수 있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에 관한 것이다.
총류탄(銃榴彈)이란 소부대의 근접전투시 근거리의 지역표적을 대상으로 인마를 살상하거나 주요 장비 등을 파괴할 목적으로 개인화기인 소총의 총구에 장착되어 직사 또는 간접사격에 의해 발사되는 것으로서, 그 몸통 내부에 폭발물 또는 화학물의 성형장약이 충진되어진 일종의 소형폭탄이며, 수류탄의 최대 투척거리와 공용화기인 박격포의 최소사거리의 사이의 범위 내에서 소부대의 전투력을 보완시켜 주도록 운용되는 화력지원무기이다.
이와 같은 총류탄은 그 탄체 구조에 있어, 총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고정관과, 별도의 발사약통의 추진장약 폭발에 의하여 일정표적을 향하여 비행하도록 하는 날개뭉치와, 탄착지점에서 충격 등에 의하여 작용하는 신관과, 신관의 점화에 의하여 폭발되는 성형장약과, 성형장약의 폭발에 의하여 세열되어 수백 개의 파편으로 비산되는 금속제 탄두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총류탄은 개인장비인 소총의 총구에 장착되어 발사됨으로써, 손으로 투척하여 제한된 일정거리의 범위 내에서 폭발되는 수류탄과 달리, 수류탄의 투척거리보다 그 사거리를 증가시켜서, 즉 유효 사거리를 연장시켜 폭발됨으로써 내부에 충진되어진 성형장약의 폭발에 의하여 금속제의 외피가 작은 수백 개의 파편들로 세열되어 비산됨으로써 일정 반경내에 있는 표적을 무력화시키는 무기이다.
이러한 총류탄은 주로 인마살상, 장갑차의 파괴, 벙커 및 복토진지파괴, 건물내 공격, 울창한 숲속내의 표적, 사각지역에 대한 표적, 지원화력인 공용화기의 보완, 돌격전의 화력, 연막을 형성시켜 신호 및 차폐용으로, 야간조명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재래식 총류탄은 소총사격간 총류탄을 쏘고자 할 때, 발사기를 소총의 총구에 장착시키고 약실에서 실탄을 제거한 후 별도의 발사약통으로 교체하여 장전시켜야 하며, 발사 후에는 다시 실탄으로 교체하는 불편함과, 그 교체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즉각 응사가 불가능하여 전투순발력의 확보가 불가능하고, 또한 소총수가 실수로 실탄으로 발사할 경우 총구앞에서 총류탄이 폭발됨으로 인하여 아군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소총의 총열 하측에 별도의 발사장치를 구비하여 소총의 기능과 유탄발사기의 기능을 겸한 장비가 개발되어 운용되고 있는데, 이 장비는 총열 및 격발장치가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추가적으로 더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 중량이 커서 휴대 및 취급상의 제한이 있으며, 특히 일부 제한된 특정의 인원에게만 지급되어 운용되기 때문에 화력지원도 제한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편, 소총수가 휴대하고 있는 기본장비인 소총의 중량이 무거워서 그 반동력도 크고, 그에 따라 반동량의 충격이 과도하게 증가함에 따라 휴대 및 취급이 불편하였던 종래 소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전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총의 경량화가 이루어지거나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소부대의 구성원이 휴대하는 기본장비인 소총에 의하여 유탄발사가 가능하도록 소총의 구조를 개선시키고 경량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총의 구조를 바꾸는 것은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소총에 추가적인 장치를 구비하여 개선한다 하더라도 상기 종래의 문제점들이 그대로 상존하게 될 것이다.
이와 반대로, 소총의 구조를 개선시키는 대신에 발사되는 총류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특정 인원에 관계없이 개인 기본장비인 소총에 본 발명의 총류탄을 장착하여 실탄으로 발사시키면 별도의 발사장치도 필요 없게 되므로 효율적인 개선방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984-0002520호(총류탄, 1984.07.02 공개)가 있다.
본 발명은 개인용 화기에 장착하여 탄착지점을 더욱 증대시킴으로써 유효사거리가 향상된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발명은, 보호체 내에서 로봇이나 폭약 등을 탑재할 수 있는 격납고에 전달되는 충격을 전방위에서 흡수함으로써 상기 격납고 내에 탑재된 대상물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발명은, 상기 격납부에 탑재되는 로봇은 상기 보호체가 탄착지점에 도달하면 외부의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고, 탄착지점의 주변 영상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적군을 발견하거나 적군의 아지트에 도달하여 내장된 폭약부를 폭발시켜 적군을 신속하게 타격할 수 있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에 있어서, 총포에서 발사되어 그 후방에서 전방으로 입사되는 탄자를 구속하여 상기 탄자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트랩수단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트랩수단에 흡수된 탄자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총류탄의 탄도방향으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수단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되는 추진체와, 내부에는 상기 탄자가 관통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전방은 상기 제1수용부와 대면하여 상기 추진체에 결합되고, 상기 중공의 후방은 상기 탄자가 상기 중공을 통하여 상기 추진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총포에 결합될 수 있는 발사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은, 상기 추진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형성된 제3수용부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격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3수용부와 격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격납부로 외부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저감하는 충격완화수단이 구비되는 보호체를 포함한다.
상기 격납부에는, 로봇이 탑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완화수단은, 상기 제3수용부의 전방에 지지되는 제1완충부 및 상기 제3수용부의 후방에 지지되는 제2완충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완충부 및 제2완충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3수용부에 지지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격납부에 지지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신축 가능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3수용부와 상기 플랜지에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로 각각 이루어진다.
상기 충격완화수단은, 상기 제3수용부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격납부의 외주면에 전달되는 충격을 저감하는 완충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추진체는, 상기 추진체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2수용부의 내부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공이 더 구비된다.
상기 추진체는, 상기 제2수용부에서 제1수용부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공이공이 더 구비된다.
상기 추진수단은,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되는 추진제와, 상기 추진제에 연결되는 점화기 및 상기 점화기에 연결되며, 상기 공이공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추진뇌관을 포함한다.
상기 추진수단은, 상기 추진뇌관과 점화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추진뇌관 작동 시 상기 점화기의 점화시기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제가 더 구비된다.
상기 추진체는, 상기 제2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추진수단을 밀폐시키는 밀폐커버가 더 구비된다.
상기 트랩수단은, 상기 중공과 대면하는 제1수용부의 후방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발사되는 탄자를 구속하는 트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트랩부에 구속되는 탄자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수단을 작동시키는 타격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격부는, 상기 트랩부가 상기 발사체와 대면하는 면의 반대면에 밀착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부 내에서 상기 제2수용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격침 및 상기 제2수용부와 마주하고 있는 상기 제1수용부의 전방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격침을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안전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트랩부에 구속되는 탄자의 운동에너지는 상기 격침이 상기 안전스프링을 가압하여 상기 격침이 상기 추진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진체는, 상기 추진체의 측부에서 상기 격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안전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사체는, 상기 중공의 전방에 구비되어 중공의 전방을 커버하는 안전덮개가 더 구비 될 수 있다.
상기 발사체는, 상기 발사체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날개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로봇은, 외부의 컨트롤러와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가 구비되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봇은, 상기 로봇에 설치되어 상기 로봇이 위치한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촬영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봇은, 상기 로봇에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폭발되는 폭약부가 구비된다.
상기 폭약부는, 인마 살상을 위한 고폭약이 적용된 파편 탄두 또는 열압력 탄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폭약부는, 비살상 무기인 최루가스 또는 수면가스를 적용한 탄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에 내장된 감지수단에 의해 적군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폭발할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납부에는, 상기 컨트롤러와 로봇과의 무선통신거리를 증대시키는 중계기가 더 탑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은, 개인용 화기에 장착하여 탄착지점을 더욱 증대시킴으로써 유효사거리가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호체 내에서 로봇이나 폭약 등을 탑재할 수 있는 격납고에 전달되는 충격을 전방위에서 흡수함으로써 상기 격납고 내에 탑재된 대상물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격납부에 탑재되는 로봇은 상기 보호체가 탄착지점에 도달하면 외부의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고, 탄착지점의 주변 영상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적군을 발견하거나 적군의 아지트에 도달하여 내장된 폭약부를 폭발시켜 적군을 신속하게 타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보호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추진체 및 발사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타격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보호체에 격납될 수 있는 로봇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로봇에 탑재될 수 있는 폭약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탄자 트랩에 의한 추진체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과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자(B)트랩을 이용한 로봇(400)이 탑재된 탄두의 장거리 발사장치는, 총포에서 발사되어 그 후방에서 전방으로 입사되는 탄자(B)를 구속하여 상기 탄자(B)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트랩수단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부(2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트랩수단에 흡수된 탄자(B)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총류탄의 탄도방향으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수단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210)가 형성되는 추진체(200)와, 내부에는 상기 탄자(B)가 관통할 수 있는 중공(310)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310)의 전방은 상기 제1수용부(220)와 대면하여 상기 추진체(200)에 결합되고, 상기 중공(310)의 후방은 상기 탄자(B)가 상기 중공(310)을 통하여 상기 추진체(200)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총포에 결합될 수 있는 발사체(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진체(200)의 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형성된 제3수용부(110)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격납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제3수용부(110)와 격납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격납부(120)로 외부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저감하는 충격완화수단이 구비되는 보호체(100)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보호체(100)는, 내부에는 상기 제3수용부(110)가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장거리 발사장치의 탄도 방향과 대응되는 상기 보호체(100)의 일단부는 유선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공기저항을 저감한다.
상기 장거리 발사장치가 탄착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보호체(100)는 충격, 또는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복수의 파트로 분해되어 상기 격납부(120)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격납부(120)는 상기 보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보호체(100)와 같이 복수의 파트로 분해되어 격납부(120)에 탑재된 로봇(400)이나 탄두가 외부로 노출되어 진다.
상기 충격완화수단은, 상기 장거리 발사장치가 탄착지점에 낙하할 때 상기 보호체(100)를 통하여 격납부(120)에 탑재된 로봇(400)이나 탄두가 파손되지 않도록 충격력을 감쇄하게 된다.
상기 충격완화수단은 상기 제3수용부(110)의 전방에 지지되는 제1완충부(130) 및 상기 제3수용부(110)의 후방에 지지되는 제2완충부(140)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체(100) 낙하 시 탄착지점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 가장 큰 제3수용부(110)의 전방에 위치한 제1완충부(130)가 상기 제2완충부(140)의 완충능력보다 더 우수하도록 설계한다.
상기 제1완충부(130)와 제2완충부(140)는, 일단부는 상기 제3수용부(110)에 지지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격납부(120)에 지지되는 플랜지(160)가 형성되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신축 가능한 실린더(150) 및 상기 실린더(150)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3수용부(110)와 상기 플랜지(160)에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17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장거리 발사장치가 발사되는 순간에는 관성에 의하여 상기 보호체(100) 내부에서 상기 격납부(120)에 장거리 발사장치의 후방으로 가해지는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 제2완충부(140)가 압축변형되면서 격납부(120)에 작용하는 관성력을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장거리 발사장치가 탄착지점에 낙하되면 상기 보호체(100)의 전방에 충돌에 의한 충격이 발생되어 상기 격납부(120)에 장거리 발사장치의 전방으로 가해지는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 제1완충부(130)가 압축변형되면서 격납부(120)에 작용하는 관성력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충격완화수단은, 상기 제3수용부(110)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격납부(120)의 외주면에 전달되는 충격을 저감하는 완충패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제3수용부(110)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격납부(120)의 외면이 제3수용부(110)의 내주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6은, 보호체(100)에 격납될 수 있는 로봇(4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로봇에 탑재될 수 있는 폭약부(4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격납부(120)에는 외부의 컨트롤러(미도시)와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로봇(400)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로봇(400)은 각종 소형 전자장비나, 폭약 등을 탑재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이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로봇(400)에는 상기 장거리 발사장치의 탄착지점, 즉 상기 로봇(400)이 위치한 주변 환경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는 촬영부(410)가 구비된다.
즉, 컨트롤러를 통하여 로봇(400)이 위치한 곳의 내부 상황, 구조 등을 파악할 수 있어 아군을 대신하여 정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로봇(400)에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폭발되는 폭약부(4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러를 통하여 정찰을 수행하다가 적군과 마주하거나, 적군의 주요 시설에 침투하여 상기 폭약부(420)를 폭발시킬 수 있어 정밀타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폭약부(420)는 상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400)에 내장된 감지수단에 의해 적군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폭발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러를 통하여 영상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없거나, 또는 영상확보가 어려운 경우에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로봇(400)이 적군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폭약부(420)를 폭발시키게 된다.
상기 감지수단은 적외선센서, 열감지 센서 및 초음파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납부(120)에는 상기 컨트롤러와 로봇(400)과의 무선통신거리를 증대시키는 중계기(미도시)가 더 탑재될 수 있다.
즉, 상기 격납부(120)에는 상기 로봇(400)과 함께 상기 중계기를 탑재함으로써 상기 로봇(400)을 이용한 작전반경을 증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진체 및 발사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타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추진체(200)는, 총포에서 격발된 탄자(B)에 의해 가동되는 추진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탄자(B)의 운동에너지와 별도로, 또 다른 운동에너지를 발생하여 더 큰 추진력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거리 발사장치의 유효사거리를 증대시키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추진체(200)에 대하여 다시 한번 설명하면, 상기 보호체(100)에 대면하여 보호체(100)에 결합되는 일단부에는 제2수용부(210)가 형성되어 상기 보호체(100)의 탄도 방향으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수단이 수용되며, 상기 제2수용부(210)가 형성된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에는 제1수용부(220)가 형성되어 총포에서 발사되는 탄자(B)를 구속하고 구속된 탄자(B)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수단을 작동시키는 트랩수단이 수용된다.
상기 추진체(200)가 상기 보호체(100)에 결합되는 부분을 추진체(200)의 일단부라 하고, 상기 추진체(200)에 상기 발사체(300)가 결합되는 부분을 추진체(200)의 타단부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추진체(200)의 일단부에는 상기 보호체(100)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이 구비된다. 이는 상기 추진체(200)의 타단부에도 구비되어 상기 보호체(100)와 추진체(200) 및 발사체(300)가 서로 파트별로 제작되어 조립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수단은, 나사선을 이용한 체결방식이나, 또는 걸림홈에 걸림편이 걸림고정되는 방식 및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방식 등 공지된 모든 결합수단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추진체(200)는 그 외주면에서 상기 제2수용부(210)의 내부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공(221)이 구비된다.
상기 노즐공(221)은 제2수용부(210)의 내부에서 상기 추진수단이 발화되면 추진력에 이용되는 폭발력이나 화염, 또는 가스가 분출되는 곳으로 상기 장거리 발사체(300)의 탄도방향에 대하여 상기 추진수단의 폭발력이나 화염, 또는 가스가 추진체(200)의 후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제2수용부(210)의 내부에서 추진체(200)의 후방 방향으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진체(200)에 형성되는 제2수용부(210)와 제1수용부(220)는 추진체(200)의 내부에서 제2수용부(210)와 제1수용부(220)의 중앙 부분을 잇도록 형성되는 공이공(23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공이공(230)을 통하여 제1수용부(220)에 구비되는 트랩수단이 상기 제2수용부(210)에 구비되는 추진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추진수단은, 상기 제2수용부(210)에 수용되는 추진제(212)와, 상기 추진제(212)에 연결되는 점화기(213) 및 상기 점화기(213)에 연결되어 상기 공이공(230)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추진뇌관(231)을 포함한다.
상기 트랩수단이 상기 공이공(230)을 통해 상기 추진뇌관(231)을 타격하게 되면, 상기 추진뇌관(231)이 상기 점화기(213)를 점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점화기(213)의 발화에 의해 상기 추진제(212)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염화, 가스, 또는 폭발력 등이 상기 노즐공(221)을 통해 토출되면서 상기 장거리 발사체(300)에 추진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추진수단은 상기 추진뇌관(231)과 점화기(21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추진뇌관(231) 작동 시 상기 점화기(213)의 점화시기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제(21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총포에서 발사된 탄자(B)는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상기 트랩수단을 타격하게 되어 상기 추진수단을 작동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장거리 발사체(300)가 상기 총포에 결합된 상태로 추진제(212)가 연소되면 추진제(212)의 화염의 아군에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상기 지연제(214)를 구비하여 상기 장거리 발사체(300)가 탄자(B)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1차적으로 발사되고, 총포에서 장거리 발사체(300)가 발사된 이후에 상기 점화기(213) 및 추진제(212)가 점화됨으로써 2차적으로 추가적인 추진력을 제공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수용부(210) 내에서는 상기 점화기(213) 및 추진제(212)에 의해 높은 열과 폭발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의하여 상기 보호체(100)의 격납부(120)에 구비되는 로봇(400)이나 폭약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수용부(210)에는 상기 추진수단을 밀폐시키는 밀폐커버(211)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랩수단은 총포에서 발사된 탄자(B)를 구속하고, 탄자(B)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발사체(300)와 대면하는 제1수용부(22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공(310)을 관통하여 발사되는 탄자(B)를 구속하는 트랩부(240) 및 상기 제1수용부(22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트랩부(240)에 구속되는 탄자(B)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수단을 작동시키는 타격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트랩부(240)는 탄자(B)의 운동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는 완충판과 고강도의 섬유층 및 상기 탄자(B)가 트랩부(240)를 관통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금속판 등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탄자(B)의 운동에너지에 따라 복수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완충판은 상기 탄자(B)가 트랩부(240)에 관입되는 초기의 운동에너지를 1차적으로 감속시키는 것으로 탄성의 고무재질을 이용하여 상기 탄자(B)가 완충판을 관통한 후에 상기 섬유층과 금속판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탄자(B)의 파편이 상기 발사체(300)의 중공(310)을 통하여 총포의 총열(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섬유층은 방탄재료로 이용되는 고강도 복합섬유인 아라미드계의 케블라섬유를 소정의 두께로 여러 겹을 적층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금속판은 섬유층을 관통한 탄자(B)가 충돌시 탄자(B)의 운동에너지를 장거리 발사장치가 총포로부터 발사될 수 있는 운동에너지로 전환시키며, 상기 탄자(B)가 상기 추진체(200)의 트랩수단을 관통하여 추진수단에 관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추진수단의 점화기(213) 및 추진제(21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타격부(250)는, 상기 트랩부(240)에서 구속된 탄자(B)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트랩부(240)가 상기 발사체(300)와 대면하는 면의 반대면에 밀착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부(220) 내에서 상기 제2수용부(210)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격침(251) 및 상기 제2수용부(210)와 마주하고 있는 제1수용부(220)의 내측면과 상기 격침(251) 사이에서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안전스프링(25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평상시에는 상기 안전스프링(252)에 의하여 상기 격침(251)이 상기 추진체(200)에 결합되는 발사체(30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격침(251)이 상기 추진뇌관(231)을 타격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거리 발사체(300)를 총포의 총열(b)에 결합하여 탄자(B)를 격발하게 되면, 상기 탄자(B)가 트랩부(240)에 구속되면서 발생한 운동에너지에 의하여 상기 격침(251)이 상기 안전스프링(252)의 탄성력을 이기고 안전스프링(252)을 가압하여 상기 격침(251)이 추진뇌관(231)을 타격함으로써 상기 추진수단이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진체(200)에는 그 측부에서 상기 격침(251)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안전핀(260)을 더 구비하여 장거리 발사장치의 보관 및 이동 시 상기 격침(251)이 추진뇌관(231)을 타격하지 못하도록 하여 안정성을 확보한다.
상기 발사체(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총포의 총열(b)에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상기 발사체(300)의 중공(310)에 상기 총포의 총열(b)이 삽입된다.
상기 제1수용부(220)와 대면하는 상기 중공(310)의 전방에는 중공(310)을 커버하는 안전덮개(32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안전덮개(320)는 상기 총포의 총열(b)에서 발사되는 탄자(B)를 감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트랩부(240)에서 발생하는 탄자(B)의 파편이 상기 총열(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발사체(300)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날개부(330)가 구비되어 상기 장거리 발사장치의 안정적인 비행을 도모한다.
도 8은, 탄자 트랩에 의한 추진체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8a는 총렬(b)에 장거리 발사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탄자(B)가 격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상기 격발된 탄자(B)가 총렬(b)에서 벗어나 상기 안전덮개(320)에 도달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c는 상기 탄자(B)가 트랩부(240)에 구속되고, 탄자(B)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장거리 발사체가 총렬(b)로부터 발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트랩부(240)에 구속된 탄자(B)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상기 타격부(250)의 격침(251)이 안전스프링(252)의 탄성을 이기고 제1수용부(220) 내에서 공이공(230), 즉 상기 추진뇌관(231)을 타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d는 장거리 발사체가 상기 총렬(b)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고, 상기 격침(251)이 추진뇌관(231)을 타격한 후에 안전스프링(252)에 의해 제자리로 원상복귀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때, 상기 격침(251)에 의해 타격된 추진뇌관(231)이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추진뇌관(231)에 의해 지연제(214)가 작동되어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점화기(213)가 점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일정시간이란, 상기 장거리 발사장치가 발사되어 사용자로부터 안전한 거리만큼 날아갈 수 있는 만큼의 시간을 의미한다.
도 8e는 상기 격침(251)이 제1수용부(220) 내에서 제자리로 원상복귀 되고, 상기 추진제(212)가 점화되어 노즐공(230)을 통해 상기 추진제(212)가 점화됨으로써 발생하는 폭발력이나 화염, 및 가스 등이 분출되어 장거리 발사체에 탄자(B)의 운동에너지 이외에 추가적인 추진력을 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거리 발사장치를 이용함으로서, 개인 화기에 장착하는 총류탄의 유효사거리를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추진수단이 구비됨으로써 탄자(B)의 운동에너지와 함께 별도의 추진력을 제공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탄자(B)트랩을 이용한 로봇(400)이 탑재된 탄두의 장거리 발사장치의 유효사거리 및 작전반경을 증대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추진수단을 작동시키는 격침(251)이 상기 안전스프링(252)과 안전핀(260)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보관 및 운반시에는 안전핀(260)으로 안전을 확보하며, 상기 안전핀(260) 제거 후에는 상기 안전스프링(252)에 의해 탄자(B) 발사 전에 상기 격침(251)이 추진뇌관(231)을 타격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호체(100)에는 로봇(400)이나 폭약 및 로봇(400)과 외부의 컨트롤러 사이의 무선통신 거리를 증대하는 중계기를 탑재할 수 있으며, 상기 로봇(400)을 이용하여 적진을 정찰하거나, 로봇(400)에 탑재된 폭약부(420)를 폭발시켜서 전진의 정밀타격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 보호체
110 : 제3수용부
120 : 격납부
130 : 제1완충부
140 : 제2완충부
150 : 실린더
160 : 플랜지
170 : 탄성부재
200 : 추진체
210 : 제2수용부
211 : 밀폐커버
212 : 추진제
213 : 점화기
214 : 지연제
220 : 제1수용부
221 : 노즐공
230 : 공이공
231 : 추진뇌관
240 : 트랩부
250 : 타격부
251 : 격침
252 : 안전스프링
260 : 안전핀
300 : 발사체
310 : 중공
320 : 안전덮개
330 : 날개부
400 : 로봇
410 : 촬영부
420 : 폭약부

Claims (24)

  1.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에 있어서,
    총포에서 발사되어 그 후방에서 전방으로 입사되는 탄자를 구속하여 상기 탄자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트랩수단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트랩수단에 흡수된 탄자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총류탄의 탄도방향으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수단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되는 추진체;
    내부에는 상기 탄자가 관통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전방은 상기 제1수용부와 대면하여 상기 추진체에 결합되고, 상기 중공의 후방은 상기 탄자가 상기 중공을 통하여 상기 추진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총포에 결합될 수 있는 발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진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형성된 제3수용부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격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3수용부와 격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격납부로 외부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저감하는 충격완화수단이 구비되는 보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격납부에는,
    로봇이 탑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수단은,
    상기 제3수용부의 전방에 지지되는 제1완충부; 및
    상기 제3수용부의 후방에 지지되는 제2완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 및 제2완충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3수용부에 지지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격납부에 지지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신축 가능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3수용부와 상기 플랜지에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로 각각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수단은,
    상기 제3수용부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격납부의 외주면에 전달되는 충격을 저감하는 완충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진체는,
    상기 추진체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2수용부의 내부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진체는,
    상기 제2수용부에서 제1수용부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공이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진수단은,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되는 추진제;
    상기 추진제에 연결되는 점화기; 및
    상기 점화기에 연결되며, 상기 공이공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추진뇌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추진수단은,
    상기 추진뇌관과 점화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추진뇌관 작동 시 상기 점화기의 점화시기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진체는,
    상기 제2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추진수단을 밀폐시키는 밀폐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랩수단은,
    상기 중공과 대면하는 제1수용부의 후방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발사되는 탄자를 구속하는 트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트랩부에 구속되는 탄자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수단을 작동시키는 타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트랩부가 상기 발사체와 대면하는 면의 반대면에 밀착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부 내에서 상기 제2수용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격침; 및
    상기 제2수용부와 마주하고 있는 상기 제1수용부의 전방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격침을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안전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에 구속되는 탄자의 운동에너지는 상기 격침이 상기 안전스프링을 가압하여 상기 격침이 상기 추진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추진체는,
    상기 추진체의 측부에서 상기 격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안전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는,
    상기 중공의 전방에 구비되어 중공의 전방을 커버하는 안전덮개;가 더 구비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는,
    상기 발사체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날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1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봇은,
    외부의 컨트롤러와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가 구비되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로봇은,
    상기 로봇에 설치되어 상기 로봇이 위치한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촬영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로봇은,
    상기 로봇에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폭발되는 폭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폭약부는,
    인마 살상을 위한 고폭약이 적용된 파편 탄두 또는 열압력 탄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폭약부는,
    비살상 무기인 최루가스 또는 수면가스를 적용한 탄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에 내장된 감지수단에 의해 적군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폭발할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24.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격납부에는,
    상기 컨트롤러와 로봇과의 무선통신거리를 증대시키는 중계기;가 더 탑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KR1020130100489A 2013-08-23 2013-08-23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KR101566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489A KR101566160B1 (ko) 2013-08-23 2013-08-23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US14/105,863 US9671204B2 (en) 2013-08-23 2013-12-13 Rifle grenade using bullet tr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489A KR101566160B1 (ko) 2013-08-23 2013-08-23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171A true KR20150023171A (ko) 2015-03-05
KR101566160B1 KR101566160B1 (ko) 2015-11-05

Family

ID=5302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489A KR101566160B1 (ko) 2013-08-23 2013-08-23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71204B2 (ko)
KR (1) KR1015661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6373A (zh) * 2018-10-19 2019-01-11 中国人民武装警察部队工程大学 动能型增程防暴枪榴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1030B (zh) * 2018-10-19 2023-08-22 中国人民武装警察部队工程大学 一种撞击击发式增程防暴枪榴弹
CN211884905U (zh) 2019-08-22 2020-11-10 贝克顿·迪金森公司 球囊扩张导管及其球囊
CN115247982B (zh) * 2021-12-31 2023-08-04 南京工业职业技术大学 一种用于机场的新型无伤害捕鸟弹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59861A1 (de) * 1972-12-07 1974-06-12 Dynamit Nobel Ag Gewehrgranate, insbesondere zum verschuss von traenengas- oder leuchtkoerpern
BE804791A (fr) * 1973-09-13 1974-01-02 Herstal Sa Dispositif de lancement pour grenade
US4013011A (en) * 1975-04-08 1977-03-22 Fabrique Nationale Herstal S.A. Throwing device for grenades
GB2109513B (en) 1981-11-17 1985-08-21 Mecar Sa Rifle grenade
US4567831A (en) * 1984-06-11 1986-02-04 The State Of Israel, Ministry Of Defence, Military Industries Bullet trap and bullet deflector in rifle grenade
US4747349A (en) * 1984-12-28 1988-05-31 Luchaire S.A. Apparatus for launching by a bullet ammunition such as a grenade having a trailing tube to provide a flat trajectory of fire
BE905563A (fr) * 1986-10-07 1987-04-07 Herstal Sa Grenade telescopique.
BE1003971A3 (fr) * 1990-11-14 1992-07-28 Herstal Sa Perfectionnements aux projectiles.
FR2685468B1 (fr) * 1991-12-24 1995-04-28 Luchaire Defense Sa Tube douille pour grenade a fusil pouvant retenir les fragments de la balle.
US6408765B1 (en) * 1999-03-02 2002-06-25 State Of Israel-Ministry Of Defense Armament Development Authority-Rafael Door breaching device with safety adapter
KR100400187B1 (ko) 2001-04-06 2003-10-01 협진정밀공업 주식회사 실탄발사 총류탄의 탄자고착구
US6523478B1 (en) * 2001-09-10 2003-02-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Rifle-launched non-lethal cargo dispenser
JP5015527B2 (ja) * 2006-08-28 2012-08-29 日本工機株式会社 閃光発音体および煙発生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6373A (zh) * 2018-10-19 2019-01-11 中国人民武装警察部队工程大学 动能型增程防暴枪榴弹
CN109186373B (zh) * 2018-10-19 2023-09-05 中国人民武装警察部队工程大学 动能型增程防暴枪榴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71204B2 (en) 2017-06-06
KR101566160B1 (ko) 2015-11-05
US20160223308A1 (en)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2809B1 (en) Fast acting active protection system
EP2205929B1 (en) System for protection against missiles
US1049543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arming an explosive device
RU2293281C2 (ru) Снаряд для метания и способы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5107766A (en) Follow-thru grenade for military operations in urban terrain (MOUT)
US8701325B1 (en) Duplex weapon system
US8468946B2 (en) Low shrapnel door breaching projectile system
US9127920B2 (en) Pyrotechnic slug
KR101566160B1 (ko) 탄자트랩을 이용한 총류탄
DK178262B1 (da) Impuls og momentums overføringsanordning
US8807004B1 (en) Recoil attenuated payload launcher system
US8196513B1 (en) Stand-off disrupter apparatus
RU2810104C2 (ru) Способ метания объекта, боеприпас и 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9211030A (zh) 一种撞击击发式增程防暴枪榴弹
RU205522U1 (ru) Реактивный снаряд с лазерной головной частью для разоружения комплексов активной защиты танков
RU2510484C1 (ru) Граната "болотея" к ручному гранатомету, содержащая кассетную боевую часть с осколочными субснарядами
KR102601642B1 (ko) 발사체
KR102692251B1 (ko) 소형 드론용 유탄 지상 투하 장치
KR100400187B1 (ko) 실탄발사 총류탄의 탄자고착구
RU2353896C2 (ru) Дымовая граната
Tumbarska Non-lethal flash-bang munitions: current state and trends of development
US20150268023A1 (en) Single round exploder
RU2623617C2 (ru) Антизасадное оружие
RU2072092C1 (ru) Выстрел раздельного заряжания
KR101384214B1 (ko) 능동파괴체계의 대응탄의 급속 발사를 위한 개방형 추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