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642B1 - 발사체 - Google Patents

발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642B1
KR102601642B1 KR1020230051810A KR20230051810A KR102601642B1 KR 102601642 B1 KR102601642 B1 KR 102601642B1 KR 1020230051810 A KR1020230051810 A KR 1020230051810A KR 20230051810 A KR20230051810 A KR 20230051810A KR 102601642 B1 KR102601642 B1 KR 102601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le
target
wedge
filled
propel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훈
이기석
김지예
박민해
Original Assignee
디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펜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1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7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42B12/7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7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42B12/74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ore or solid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발사추진체에 의해 소정 목표물로 발사되는 발사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발사체는 소정 충진재가 채워질 수 있도록 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바디와; 바디의 일단에 쐐기 결합되는 것으로, 목표물에 충돌시 바디 방향으로 밀리면서 바디의 일단이 확장 및 파쇄되도록 된 헤드와; 바디의 타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충진재가 충진되는 충진공이 형성되고, 발사추진체에 의한 가압력을 받아 추력을 얻는 테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사체{PROJECTILES}
본 발명은 발사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발사체 내부에 물, 소화액, 최루약, 폭약, 40mm유탄, EOD점토, EOD 세라믹 등 다양한 충진재를 선택하여 장입할 수 있고, 폭발물 처리용 무반동 물포총 및 폭약 무반동 발사장치도 장착 가능하며 발사시 목표물과 충돌하면 바디가 파손되면서 내부의 충진재가 외부에 살포되도록 되는 발사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기는 발사체로서 총알을 발사한다. 총알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탄두와 발사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속도와 정확도가 뛰어나다. 총알은 일반 총알 외에도 돌격 소총 등에서 사용되는 저격용 총알, 탄창 안에 여러 개의 총알이 들어있는 연발 총알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다른 종류의 총기 발사체로는 산탄총탄이 있다. 산탄총탄은 한 발의 총알 대신 여러 개의 작은 구슬 모양의 총알을 한 번에 발사하는 것으로, 광범위한 범위를 공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근접전이나 재무장 상황에서 사용되는 칼이나 나이프 등의 무기도 발사체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비살상 무기용 총알의 대표적인 종류는 공기압 총알(Airsoft BBs), 페인트볼(Paintballs), 공기압 화살(Airsoft Arrows), 라이트닝 볼(Lightning Balls), 고무탄, 빈탄, 전기충격침을 발사하는 테이저, 페퍼스프레이, 가스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반동 물포총은 일반적인 총기와는 달리 발사 후 반동이 거의 없는 총기이다. 이 무반동 물포총에 사용되는 발사체는 상기한 총알과 비교하여 볼 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첫째, 고에너지를 가지고 발사됨에 따라 목표물을 공격할 때 큰 충격과 파괴력을 가질 수 있다. 둘째, 길쭉한 형태를 가지거나 특별한 모양을 가지는 등 형태면에서 구별된다. 예를 들어, 발사체로서 Sabot(샤보)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발사체는 금속 총알과 이를 감싸는 외부 플라스틱 커버로 구성되며, 발사 후 커버는 분리되고 내부에 있는 금속 총알이 목표물을 공격한다. 이러한 구조는 초기 속도를 높이고, 정확도와 궤도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목표물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플래시 탐지, 열감지, 적외선 감지 등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무반동 물포총에 사용되는 발사체가 일반적인 총알과는 다르게 제작되고, 발사됨을 알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최루가스를 구비하는 고무충격 발사체"에 관한 것으로, 내부 공간을 구비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탄체, 탄체의 일단에 장착된 고무탄두, 상기 탄체의 타단에 장착된 지지대, 탄체의 내측에 배치된 지연도화선, 지연도화선에 의해 점화되도록 상기 내관의 내측에 배치된 착화제 및 상기 탄체의 내부에 배치된 최루가스를 구비한다.
특허문헌 2는 "화재 진압용 소화탄"에 관한 것으로, 포탄형으로 발사되는 소화탄을 구성하되, 내부에 소화약제가 압축 내장된 소화탄두가 형성되고 또 폭파용 화약이 내장되며, 후단에는 폭발력으로 탄두를 날려보내기 위한 장약부가 구성되고 내부에는 타이머장치 및 그와 연결되는 뇌관으로 구성된다.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발사체는 장애물로 엄폐하고 있던 목표물에 직접적 영향을 주거나 화재 진압용으로만 사용 가능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5-0071161호(2015.06.26) 등록특허공보 제10-0872085호(2008.11.2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발사체 내부에 물, 소화액, 최루약, 폭약, 40mm유탄, EOD점토, EOD 세라믹 등 다양한 충진재를 선택하여 장입할 수 있고, 화약 카트리지 무반동 발포총 또는 무반동 물포총에도 장착 가능하며 발사시 목표물과 충돌하면 바디가 파손되면서 내부의 충진재가 외부에 살포되도록 되는 발사체를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표물을 직접 타격하지 않더라도 발사체 내에 저장된 충진재를 방출함으로써 창문 등과 같은 장애물을 관통하여 장애물 뒤쪽으로 침투함으로써 장애물로 엄폐하고 있던 목표물에게 직접 영향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러시에는 목표물에 직접 타격하여 치명적인 충격을 줄 수도 있고, 화재진압 또는 인명구조시 목표물에 치명적인 충격을 주지 않고 소화액이나 최루가스만을 살포할 수도 있는 발사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사추진체에 의해 소정 목표물로 발사되는 발사체에 있어서, 소정 충진재가 채워질 수 있도록 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쐐기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목표물에 충돌시 상기 바디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바디의 일단이 확장 및 파쇄되도록 된 헤드와; 상기 바디의 타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충진재가 충진되는 충진공이 형성되고, 상기 발사추진체에 의한 가압력을 받아 추력을 얻는 테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는 발사방향의 가장 끝부분에 위치하고 외주면이 경사지게 상기 바디로 갈수록 확장 형성되는 충돌탑부와; 상기 충돌탑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면서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충돌탑부 및 상기 바디 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목표물을 향해 날아갈 때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여 추진력이 향상되도록 형성된 추진부와; 상기 추진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내부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로 갈수록 외경이 같거나 작아지며 외주면이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디에 대하여 쐐기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쐐기결합부; 및 상기 추진부와 상기 쐐기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 외경 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상기 쐐기결합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며 외주면이 가파른 경사로 형성되며, 상기 목표물 충돌시 상기 바디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바디가 그 반경방향으로 확장 및 파쇄되도록 하는 파쇄발생부를 포함한다.
상기 쐐기결합부는 상기 바디에 대하여 밀봉 결합되도록 외주면 일측에 밀봉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봉홈에 탄성을 가지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쐐기결합부의 공간부에는 충진재 및 강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진다.
상기 충돌탑부는 상기 헤드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돌탑부 및 상기 테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충진공이 형성된 상기 테일부로부터 상기 충돌탑부까지 상기 충진재가 충진시 내부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배출공이 형성되고, 충진 완료시 상기 공기배출공을 막는 마개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테일부는 상기 바디의 하단과 밀착 연결되어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발사추진체 총열 내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발사추진체 내에 의한 가압력을 받는 스커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는 내부에 상기 충진재가 채워질 수 있도록 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충진부; 및 외측면에 상기 목표물 충돌시 내부 팽창 압력 및 상기 파쇄발생부와의 충돌에 의한 반작용으로 일단이 반경방향으로 확장 및 파쇄되도록 슬릿홈이 형성된 측면파쇄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릿홈은 단면부가 내주면은 평행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은 수직 또는 경사진 선으로 이루어지는 돌기 및 홈이 반복되는 형상이거나, 내주면도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돌기 및 홈이 반복되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슬릿홈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등간격의 절개된 점선으로 이루어진 절취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절취부에는 상기 단면부의 상기 외주면에 상기 바디의 내부방향으로 응력이 집중되도록 노치가 인입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발사체는 내부에 물, 소화액, 최류액, 폭약, 공포탄 등 다양한 충진재를 사용목적, 장소 및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사체는 화재진압 또는 인명구조 상황시 헤드를 금속소재로 교체해 유리 창문을 파괴하여 진입로를 마련하거나, 테러진압 상황시 헤드 내부에 강체를 더 포함 장착하여 테러범 및 범법자 등에 치명적인 직접 타격을 가할 수도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발사체는 화약카트리지 발포총 또는 무반동 물포총에도 장착 가능하고 발사되어 목표물에 충돌시 헤드가 바디 방향으로 밀리면서 바디의 일단이 확장 및 파쇄되어 내부 충진재가 외부로 살포 및 방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발사체는 원거리 발사탄과 물을 이용하므로, 장거리에서 폭발물을 해체할 수 있는 바 폭발물 처리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가 장착된 다중 포총이 결합된 드론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의 헤드와 밀봉부재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가 목표물을 향하여 발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의 발사체가 목표물을 향하여 발사될 때 충돌되기 전과 후의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헤드의 파쇄발생부와 바디의 측면파쇄부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확대도.
도 9는 도 8(c)의 측면파쇄부가 확장 및 파쇄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의 헤드에 마개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의 바디에 마개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의 바디 측면파쇄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가 장착된 다중 포총이 결합된 드론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1000)는 발사추진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발사추진체(10)는 예를 들어,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고층건물이나 화재건물 등에 접근할 수 있는 드론(1)에 설치된 복수개의 무반동 물포총를 포함할 수 있다. 발사체(1000)는 내부에 물, 소화액, 최루액, 폭약, 공포탄, 40mm유탄, EOD점토, EOD 세라믹 등 다양한 충진재를 장입할 수 있다. 발사추진체(10)는 사용목적, 장소 및 상황에 따라 선택된 충진재가 장입된 발사체(10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발사체(1000)는 테러, 화재, 폭동, 인명구조 상황에 있어서 장애물을 관통하여 장애물 뒤쪽으로 침투함으로써 장애물로 엄폐하고 있던 목표물에게 직간접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진압 또는 인명구조 상황시 첫발은 공포탄약이 장약된 발사체(1000)로 유리 창문을 파괴하고 진입로를 마련할 수 있다. 나머지 발사부터는 물 또는 소화액이 장약된 발사체(1000)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테러진압 상황시 폭약, 최류액 및 쇠구슬 등이 장착된 발사체(1000)로 테러범, 범법자 등에 치명적인 직접 타격을 가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1000)는 발사추진체에 의해 소정 목표물로 발사되는 것으로, 바디(300), 헤드(100) 및 테일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00)는 상기한 소정의 충진재가 채워질 수 있도록 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헤드(100)는 바디(3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목표물에 충돌시 상기 바디(300)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바디(300)의 일단이 확장 및 파쇄되도록 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100)는 상기 바디(300)의 일단에 쐐기 결합될 수 있다.
테일부(500)는 상기 바디(300)의 타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발사추진체에 의한 가압력을 받아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이 테일부(500)에는 상기 충진재(330)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공(55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충진재(330)는 물, 소화액, 최루액, 폭약, 공포탄, 예방탄, 화약(Black Powder), 스모크리스리스 파우더(Smokeless Powder), 블랙파우더 대용 파우더(Substitute Powder), 마그넘 파우더(Magnum Powder), 트레일 보스 파우더(Trail Boss Powder) 등 다양한 액체 및 기체로 이루어진 장약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100)는 충돌탑부(110), 추진부(130), 쐐기결합부(150) 및 파쇄발생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충돌탑부(110)는 발사방향의 가장 끝부분에 위치하고 외주면이 경사지게 상기 바디로 갈수록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충돌탑부(110)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충돌탑부(110)는 살상용으로는 앞단이 날카롭고 뽀족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미살상용으로는 앞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충돌탑부(110)는 바디(300)에 대하여 분리 교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진입로 확보, 최루탄 및 공포탄 등 미살상용으로 사용시, 플라스틱 소재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유리창 파쇄 또는 살상용으로 사용시 상기 충돌탑부(110)는 금속 소재로 교체될 수 있다. 여기서 충돌탑부(110)는 교체 가능한 점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진재 및 충돌탑부가 다양하게 조합된 복수의 모델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충돌탑부(110)는 추진부(130), 쐐기결합부(150) 및 파쇄발생부(17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추진부(130)는 상기 충돌탑부(110)의 하부에 일체형 또는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추진부(130)는 목표물을 향하여 날아가 때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즉, 이 추진부(130)는 상기 바디(300)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면서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충돌탑부(110) 및 상기 바디(300) 보다 큰 외경을 가진다. 이 추진부(130)는 상기 충돌탑부(110)와 마찬가지로 원추형상 또는 고깔형상을 가지고 상기 충돌탑부(110) 보다는 경사각이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쐐기결합부(150)는 상기 추진부(13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300)에 대하여 쐐기 방식으로 결합 설치된다. 이 쐐기결합부(150)는 상기 바디(300)로 갈수록 외경이 같거나 작아지며 외주면이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쐐기결합부(150)는 그 내부에 공간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파쇄발생부(170)는 상기 추진부(130)와 상기 쐐기결합부(150) 사이에 위치한다. 이 파쇄발생부(170)는 상기 바디(300) 외경 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상기 쐐기결합부(150)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며 외주면이 가파른 경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사체(1000)가 목표물 충돌시, 상기 쐐기결합부(150)가 상기 바디(300) 방향으로 밀리면서 바디(300)의 일단이 확장 및 파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쐐기결합부(150)는 바디(300)에 대한 쐐기 결합시, 쐐기 효과(Wedge Effect)에 의하여 수직방향(도 2의 -Z축)에 비하여 수평방향(도 2의 Y축)으로 더 큰 힘이 작용하여 바디(300)의 반경반경으로 용이하게 확장 및 파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테일부(500)는 바디(300)의 하단과 밀착 연결되는 결합부(510) 및 이 결합부(510)의 하단에 배치되는 스커트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커트부(530)는 상기 발사추진체(10)의 총열 내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발사추진체(10) 내에 의한 가압력을 받아 추진력을 얻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스커트부(530)는 내부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양측 끝단이 얇은 두께를 가지며 스커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스커트부(530)는 상기 발사추진체(10) 방향(-Z축)으로 갈수록 얇아지며 외부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530)의 끝단 외경이 상기 바디(300)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측면이 탄성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발사추진체(10)의 총열 내면에는 나선상의 강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사체(100)는 상기 발사추진체(10)에 의해 발사시 강선을 따라 회전되면서 발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사체(1000)는 회전 관성을 가지게 되고 이로 인해 안정된 탄도를 가지고 발사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바디(300)는 충진부(310) 및 측면파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진부(310)는 내부에는 상기 충진재(330)가 채워질 수 있도록 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충진재(330)는 테일부(500)의 충진공(550)으로부터 주사기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충진부(310) 내에 충진될 수 있다.
측면파쇄부(320)는 외측면에 상기 목표물 충돌시 내부 팽창 압력 및 상기 헤드(100)의 파쇄발생부(170)와의 충돌에 의한 반작용으로 일단이 방경방향으로 확장 및 파쇄되도록 슬릿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릿홈(322)은 길이 방향(Z축)과 수평방향(X축) 사이의 반경방향으로 예를 들면, 바나나 껍질, 꽃잎과 같은 형태로 용이하게 갈라지면서 확장 및 파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의 헤드와 밀봉부재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쐐기결합부(150)는 상기 바디(300)에 대하여 2차적으로 밀봉 결합되도록 외주면 일측에 밀봉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밀봉홈(120)에 밀봉 성능을 높이는 밀봉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밀봉부재(200)는 바디(300)에 대하여 쐐기결합부(150)가 1차적으로 밀봉하고, 2차적으로 탄성을 가지고 밀봉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고무,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100)는 쐐기결합부(150)의 내부 공간부(160)에 상기한 충진재(330) 및/또는 강체(400)가 채워질 수 있다. 강체(400)는 쇠구슬 다발을 포함할 수 있으며, 테러범 살상용 및 유리창 파괴와 같은 사용 목적에 의하여 쐐기결합부(150) 내부에 장입될 수 있다. 또한, 강체(400)는 쇠구슬 다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다양한 무기 및 폭약 등으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공간부(160)에는 상기한 충진재(330), 강체(400) 이외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알의 핵, 단속재, 프라이머, 윤활유, 추적제 및 고정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총알의 핵은 보통 납, 구리, 납 합금 또는 소금물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총알 핵은 총알의 무게와 밀도를 제어하고, 총알이 목표물에 충돌했을 때 입히는 피해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속재는 총알 내부에는 종종 단속재가 함께 넣어질 수 있다. 이것은 총알이 발사되면서 핵 주위로 물결 모양의 압력을 만들어내어, 총알의 비틀림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총알 프라이머는 총알 핵의 뒷면에 위치하며, 탄알집의 총탄을 발사하기 위해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작은 금속 및 화학 물질로 만들어진다. 윤활유는 일부 총알 내부에 가지고 있고 이것은 총의 작동 부위에 부드러운 작용을 제공하고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추적제는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며, 총알의 흔적을 식별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추적제는 일반적으로 탄피에 추가되며, 총알이 발사된 후에도 여전히 흔적을 남기도록 설계될 수 있다. 고정제는 핵이 탄창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총알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총알 핵의 뒷부분에 부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가 목표물을 향하여 발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의 발사체가 목표물을 향하여 발사될 때 충돌되기 전과 후의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헤드의 파쇄발생부와 바디의 측면파쇄부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확대도이며, 도 9는 도 8(c)의 측면파쇄부가 확장 및 파쇄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a)를 참조하면, 발사체(1000)가 목표물을 향하여 발사될 때 충돌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사체(1000)가 목표물에 도달하기 전에는 추진부(130)와 파쇄발생부(170)가 만나서 최대 외경을 이루는 지점에서부터 측면파쇄부(320)의 앞 일단까지는 H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발사체(1000)가 목표물을 향하여 발사될 때 충돌하면서 측면파쇄부(320)가 파쇄발생부(170)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목표물 충돌시 쐐기 효과(Wedge Effect)에 의하여 상기 바디(300) 방향 즉, 수직 방향(-Z축)에 비하여 수평방향(Y축)으로 더 큰 힘이 작용하여 상기 바디(300)의 일단이 반경방향으로 확장 및 파쇄될 수 있다.
도 8(c) 및 도 9를 참조하면, 발사체(1000)가 목표물을 향하여 발사될 때 충돌한 후에는 측면파쇄부(320)는 슬릿홈(322)에 의하여 상기 목표물 충돌시 내부 팽창 압력 및 상기 헤드(100)의 파쇄발생부(170)와의 충돌에 의한 반작용으로 일단이 반경방향으로 갈라지면서 확장 및 파쇄될 수 있다. 즉, 측면파쇄부(320)가 길이 방향(Z축)으로 바나나 껍질 또는 꽃잎과 같이 반경방향으로 갈라지면서 파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의 헤드에 마개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의 바디에 마개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충돌탑부(110) 또는 테일부(500) 중앙에는 충진공(550)이 형성된 상기 테일부(500)로부터 상기 충돌탑부(110)까지 상기 충진재(330)가 충진시 내부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배출공(1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충진 완료시 상기 공기배출공(111)을 막는 마개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의 바디 측면파쇄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측면파쇄부(320)는 상기 파쇄발생부(170)와의 충돌에 의한 반작용으로 일단이 방사상으로 확장 및 파쇄되도록 슬릿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홈(322)은 단면부가 내주면은 평행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은 수직 또는 경사진 선으로 이루어지는 돌기 및 홈이 반복되는 형상이거나, 내주면도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돌기 및 홈이 반복되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세하게, 슬릿홈(322)은 상기 바디(300)의 길이방향(Z축)으로 절곡된 등간격의 절개된 점선으로 이루어진 절취부(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절취부(324)에는 상기 단면부의 상기 외주면에 상기 바디(300)의 내부방향으로 응력이 집중되도록 노치가 인입 형성될 수 있다. 즉, 노치는 발사체(1000)가 목표물에 도달하여 충돌시 내부 팽창 압력에 의하여 더 응력이 집중되고 측면파쇄부(320)가 더 확장 및 파쇄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드론 10: 발사추진체
100: 헤드 110: 충돌탑부
120: 밀봉홈 130: 추진부
150: 쐐기결합부 160: 공간부
170: 파쇄발생부 200: 밀봉부재
300: 바디 310: 충진부
320: 측면파쇄부 322: 슬릿홈
324: 절취부 330: 충진재
400: 강체 500: 테일부
510: 결합부 530: 스커트부
550: 충진공 700: 마개부재

Claims (11)

  1. 삭제
  2. 발사추진체에 의해 소정 목표물로 발사되는 발사체에 있어서,
    소정 충진재가 채워질 수 있도록 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쐐기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목표물에 충돌시 상기 바디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바디의 일단이 확장 및 파쇄되도록 된 헤드와;
    상기 바디의 타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충진재가 충진되는 충진공이 형성되고, 상기 발사추진체에 의한 가압력을 받아 추력을 얻는 테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발사방향의 가장 끝부분에 위치하고 외주면이 경사지게 상기 바디로 갈수록 확장 형성되는 충돌탑부와;
    상기 충돌탑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면서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충돌탑부 및 상기 바디 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목표물을 향해 날아갈 때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여 추진력이 향상되도록 형성된 추진부와;
    상기 추진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내부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로 갈수록 외경이 같거나 작아지며 외주면이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디에 대하여 쐐기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쐐기결합부; 및
    상기 추진부와 상기 쐐기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 외경 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상기 쐐기결합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며 외주면이 가파른 경사로 형성되며, 상기 목표물 충돌시 상기 바디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바디가 그 반경방향으로 확장 및 파쇄되도록 하는 파쇄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결합부는,
    상기 바디에 대하여 밀봉 결합되도록 외주면 일측에 밀봉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봉홈에 탄성을 가지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결합부의 공간부에는,
    충진재 및 강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탑부는,
    상기 헤드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탑부 및 상기 테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충진공이 형성된 상기 테일부로부터 상기 충돌탑부까지 상기 충진재가 충진시 내부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배출공이 형성되고,
    충진 완료시 상기 공기배출공을 막는 마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7. 발사추진체에 의해 소정 목표물로 발사되는 발사체에 있어서,
    소정 충진재가 채워질 수 있도록 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쐐기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목표물에 충돌시 상기 바디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바디의 일단이 확장 및 파쇄되도록 된 헤드와;
    상기 바디의 타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충진재가 충진되는 충진공이 형성되고, 상기 발사추진체에 의한 가압력을 받아 추력을 얻는 테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일부는,
    상기 바디의 하단과 밀착 연결되어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발사추진체 총열 내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발사추진체 내에 의한 가압력을 받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내부에 상기 충진재가 채워질 수 있도록 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충진부; 및
    외측면에 상기 목표물 충돌시 내부 팽창 압력에 의한 반작용으로 일단이 반경방향으로 확장 및 파쇄되도록 슬릿홈이 형성된 측면파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홈은,
    단면부가 내주면은 평행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은 수직 또는 경사진 선으로 이루어지는 돌기 및 홈이 반복되는 형상이거나, 내주면도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돌기 및 홈이 반복되는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홈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등간격의 절개된 점선으로 이루어진 절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에는,
    상기 단면부의 상기 외주면에 상기 바디의 내부방향으로 응력이 집중되도록 노치가 인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KR1020230051810A 2023-04-20 2023-04-20 발사체 KR102601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810A KR102601642B1 (ko) 2023-04-20 2023-04-20 발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810A KR102601642B1 (ko) 2023-04-20 2023-04-20 발사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642B1 true KR102601642B1 (ko) 2023-11-13

Family

ID=8874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1810A KR102601642B1 (ko) 2023-04-20 2023-04-20 발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6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1086A1 (en) * 2004-03-15 2006-01-19 Rose Michael T Reactive material enhanced projectiles and related methods
KR100872085B1 (ko) 2007-07-09 2008-12-05 (주) 두일기업연구소 화재 진압용 소화탄
KR20150071161A (ko) 2013-12-18 2015-06-26 휴먼스화공(주) 최루가스를 구비하는 고무충격 발사체
US20150330754A1 (en) * 2012-09-28 2015-11-19 Jacobus Albertus BIERMAN Project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1086A1 (en) * 2004-03-15 2006-01-19 Rose Michael T Reactive material enhanced projectiles and related methods
KR100872085B1 (ko) 2007-07-09 2008-12-05 (주) 두일기업연구소 화재 진압용 소화탄
US20150330754A1 (en) * 2012-09-28 2015-11-19 Jacobus Albertus BIERMAN Projectile
KR20150071161A (ko) 2013-12-18 2015-06-26 휴먼스화공(주) 최루가스를 구비하는 고무충격 발사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088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arming an explosive device
EP2205929B1 (en) System for protection against missiles
US10066916B1 (en) Low impact threat rupture device for explosive ordnance disruptor
US9366508B2 (en) System for protection against missiles
US20060169165A1 (en) Super long range crash-bang round
EP3172525B1 (en) Low-collateral damage directed fragmentation munition
US8468946B2 (en) Low shrapnel door breaching projectile system
TR201816245T4 (tr) Gelişmiş parça tesirli delici mühimmat.
US20020088367A1 (en) Non-lethal ballistic
US9127920B2 (en) Pyrotechnic slug
KR100915706B1 (ko) 유탄발사기용 40㎜ 연습탄
RU2408837C1 (ru) Противопехотный осколочный боеприпас
RU2118788C1 (ru) Надкалиберная граната
RU2722193C1 (ru) Отделяющаяся осколочно-фугасная головная часть снаряда
US8196513B1 (en) Stand-off disrupter apparatus
US8297190B1 (en) Door breaching device with radially expandable explosive
KR102601642B1 (ko) 발사체
BELLAMY et al. THE WEAPONS OF
RU2127861C1 (ru) Боеприпас для поражения снарядов вблизи защищаемого объекта
RU2080548C1 (ru) Многоцелевой снаряд
KR102106402B1 (ko) 전차 사격 훈련용 연습탄
WO2016114743A1 (ru) Способ гиперзвуковой защиты танка
RU2206862C1 (ru) Бетонобойный боеприпас
RU2567474C2 (ru) Пуля сверхмалого кумулятивного боеприпаса
RU2738687C2 (ru) Бронебойный оперенный подкалиберный снаря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