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119A - 융설 점자블록 및 그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융설 점자블록 및 그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119A
KR20150022119A KR20130099470A KR20130099470A KR20150022119A KR 20150022119 A KR20150022119 A KR 20150022119A KR 20130099470 A KR20130099470 A KR 20130099470A KR 20130099470 A KR20130099470 A KR 20130099470A KR 20150022119 A KR20150022119 A KR 20150022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fixing
guide
fixing plate
snow me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99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2119A/ko
Publication of KR20150022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01C11/265Embedded electrical heating elements ;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은 미끄럼방지와 시각장애인들을 위하여 인도 표면에 설치되는 점자부와, 상기 점자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도에 매립되어 형성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점자블록과, 상기 점자블록 내부에 설치되어 동절기에 눈과 얼음을 제거하는 융설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융설 점자블록 및 그의 설치방법{Snow melting Braille Block and Connecting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융설 점자블록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절기에 눈이나 얼음이 점자블록에 쌓였을 때 열을 가하여 제거할 수 있는 융설 점자블록 시스템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은 흙바닥으로 된 보도에 설치되어 보도를 사용하는 사람에게 편안하게 걸을 수 있도록 하며, 흙이 신발이나 바지에 묻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도블록은 설치될 장소의 흙 바닥을 평평하게 다지는 작업을 한 후 지면 투수를 위한 골재를 깔고 다시 모래를 평탄하게 덮어 블록의 열을 맞추며 평탄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있다.
특히 이상과 같은 보도블록 중 점자블록의 경우 시각장애인이 보도 방향을 정확히 탐지하여 다닐 수 있도록 한것으로, 갈림길이나 막혀있는 길을 탐지하여 다닐 수 있게 하여 도보 중 일어날 수 있는 위험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점자블록은 상부로 돌기가 돌출되어 동절기 또는 우천시에 미끄러운 보도블록을 피해 시각장애인이 아닌 비장애인들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점자블록은 일반적인 보도블록과 달리 표면이 미끄럽기 때문에 동절기에 눈이 쌓이거나 얼음이 쌓여 미끄럽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점자블록에 돌출되는 돌기를 제외한 부분에 이용객들이 밟은 눈이 압축되어 얼음으로 변하여 일반적인 보도블록보다 미끄럽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절기에 점자블록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할 수 있는 융설 점자블록 및 그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손에 의하여 열이 발생하지 않는 융설장치를 교체할 수 있는 융설 점자블록 및 그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은 미끄럼방지와 시각장애인들을 위하여 인도 표면에 설치되는 점자부와, 상기 점자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도에 매립되어 형성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점자블록과, 상기 점자블록 내부에 설치되어 동절기에 눈과 얼음을 제거하는 융설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자블록은 상기 점자부와 상기 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점자부를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판을 구비하는 너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점자부는 상기 인도 표면에 노출되어 형성되는 점자판과, 상기 점자판의 상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미끄럼방지를 위한 점자돌기와, 상기 점자판과 상기 점자돌기를 관통하는 상기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볼트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인도에 매립되며 상기 점자부와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볼트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너트홀과, 상기 고정판 상부에서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점자부가 결합되는 위치를 절삭하여 상기 융설장치가 설치되는 가이드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서 수직과 수평으로 양 측면을 각각 직선으로 절삭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융설장치는 상기 고정부의 상부를 절삭하여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설치되는 보호체와, 상기 보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열을 순환시키는 히팅케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융설장치는 상기 히팅케이블의 열을 상기 점자부로 전달하는 열전도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의 설치방법은 (a) 인도에 매립되는 다수의 고정부를 상기 인도에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인도에 배치된 다수의 고정부의 형상에 따라 가이드홀에 보호체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보호체의 상부에 열을 순환하는 히팅케이블이 순환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히팅케이블의 양 단부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에 결합하는 단계; 및 (e) 상기 다수의 고정부에 상기 점자부를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인도에 매립되며 상기 점자부와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점자부에 형성된 볼트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너트홀과, 상기 고정판 상부에서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점자부가 결합되는 위치를 절삭하여 상기 융설장치가 설치되는 가이드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서 수직과 수평으로 양 측면을 각각 직선으로 절삭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융설장치는 상기 히팅케이블의 열을 상기 점자부로 전달하는 열전도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 및 그의 설치방법에 의하면, 점자블록의 내부에 융설장치를 구비하여 동절기에 쌓이는 눈이나 얼음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융설장치가 파손되어 열이 발생하지 않을 때 볼트를 분해하여 간편하게 교체 및 수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1에 도시된 융설 점자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융설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 및 그의 설치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에 도시된 융설 점자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100)은 미끄럼방지와 시각장애인들을 위하여 인도에 설치되는 점자블록(100)과, 상기 점자블록(100) 내부에 설치되어 눈과 얼음을 제거하는 융설장치(2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융설 점자블록(100)은 동절기에 기온이 하강하고 눈이 내려 시각장애인들을 위하여 인도에 설치되는 점자블록(100)이 눈 또는 얼음에 덮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융설 점자블록(100)은 점자블록(100)이 눈 또는 얼음에 덮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을 발생시켜 시각장애인들이 점자블록(100)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비장애인들이 미끄러운 인도에서 점자블록(100)을 밟고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자블록(100)은 미끄럼방지와 시각장애인들을 위하여 인도 표면에 설치되는 점자부(110)와, 상기 점자부(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도에 매립되어 형성되는 고정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점자부(110)는 상기 인도 표면에 노출되어 형성되는 점자판(111)과, 상기 점자판(111)의 상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미끄럼방지를 위한 점자돌기(112)와, 상기 점자판(111)과 상기 점자돌기(112)를 관통하는 상기 볼트(130)를 수용하기 위한 볼트홀(11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점자판(111)은 상기 인도 표면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점자블록(100)을 제외한 다른 블록들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자판(111)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점자판(111) 하부에 형성되는 융설장치(2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자돌기(112)는 상기 점자판(111) 상부에서 돌출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홀(113)은 상기 점자블록(100)을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볼트(130)가 상기 점자부(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홀(113)은 상기 점자돌기(112) 또는 상기 점자판(111)을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인도에 매립되며 상기 점자부(110)와 결합되는 고정판(121)과, 상기 고정판(121)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볼트홀(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너트홀(122)과, 상기 고정판(121) 상부에서 상기 고정판(121)과 상기 점자부(110)가 결합되는 위치를 절삭하여 상기 융설장치(200)가 설치되는 가이드홀(1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부가 없이 상기 고정판(121)을 형성하는 재료로 충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21)은 도면과 달리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내부가 중공부를 구비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너트홀(122)은 상기 점자부(110)의 볼트홀(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점자블록(100)을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너트(140)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23)은 상기 점자블록(100)에 열을 발생시키는 융설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121)의 상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절삭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융설장치(200)는 상기 가이드홀(123)에 배치되어 다양한 형태로 상기 점자부(110)와 상기 고정부(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자블록(100)은 상기 점자부(110)와 상기 고정부(12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점자부(110)의 볼트홀(113)을 관통하는 볼트(130)와 상기 볼트(130)와 체결되며 상기 고정부(120)의 너트홀(122)을 관통하는 너트(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볼트(130)는 상기 볼트홀(113)에 삽입될 때 표면이 상기 점자돌기(112)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볼트(130)의 길이는 상기 고정부(120)의 너트홀(122)까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140)는 상기 볼트(130)와 상기 너트홀(122) 내부에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120)를 관통하여 너트홀(122)에 삽입되는 몸체(141)와, 상기 몸체(141)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판(14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141)는 상기 볼트(130)와 체결되도록 내부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41)의 단부는 상기 볼트(130)를 체결하거나 분리할 때 상기 너트(14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볼트(130)와 상기 너트(140)는 상기 볼트홀(113)과 상기 너트홀(122)의 방수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가스켓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블록(100)은 미끄럼방지와 시각장애인들을 위하여 인도 표면에 설치되는 점자부(110)와, 상기 점자부(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도에 매립되어 형성되는 고정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점자부(110)는 상기 인도 표면에 노출되어 형성되는 점자판(111)과, 상기 점자판(111)의 상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미끄럼방지를 위한 점자돌기(112)와, 상기 점자판(111)과 상기 점자돌기(112)를 관통하는 상기 볼트(130)를 수용하기 위한 볼트홀(11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점자판(111)은 상기 인도 표면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점자블록(100)을 제외한 다른 블록들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자판(111)은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현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자판(111)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점자판(111) 하부에 형성되는 융설장치(2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자판(111)은 상기 융설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내부에 철판 등 열을 전도할 수 있는 철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자판(111)은 동절기 또는 우천시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상부에 다수의 홈을 구비하거나 고무재질을 구비하여 이용객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자돌기(112)는 상기 점자판(111) 상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자돌기(112)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점자블록(100)을 설치하는 장소에 따라 점자돌기(112)를 배치하는 형태에 따라 시각장애인들에게 점자로 의사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b)와 같이 타원형으로 돌출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점자돌기(112)의 상부에는 상기 점자판(111)과 동일하게 동절기 또는 우천시 미끄럼 방지를 위한 홈 또는 미끄럼 방지가 가능한 재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볼트홀(113)은 상기 점자블록(100)을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볼트(130)가 상기 점자부(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홀(113)은 상기 점자돌기(112) 또는 상기 점자판(111)을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볼트홀(113)은 상기 볼트(13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볼트(130)가 하부로 관통되지 않도록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인도에 매립되며 상기 점자부(110)와 결합되는 고정판(121)과, 상기 고정판(121)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볼트홀(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너트홀(122)과, 상기 고정판(121) 상부에서 상기 고정판(121)과 상기 점자부(110)가 결합되는 위치를 절삭하여 상기 융설장치(200)가 설치되는 가이드홀(1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1)은 평면이 사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현장 상황에 따라 상기 점자부(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121)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점자부(110)와 결합되는 위치에 틈새로 이물질이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켓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너트홀(122)은 상기 점자블록(100)을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볼트(130)와 체결되는 너트(140)의 몸체(14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너트홀(122)은 상기 너트(140)의 몸체(141)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너트(140)의 걸림판(142)이 걸려 상기 너트(140)가 상기 볼트(130)에 의하여 체결될 때 상기 고정판(121)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별도의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2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21)의 상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상기 고정판(121)을 절삭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23)은 상기 융설장치(200)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수직의 양 측면과 수평의 양 측면이 직선으로 각각 절삭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23)은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123)이 직각으로 꺾이는 부분에는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융설장치(200)가 직각으로 꺾이거나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때 상기 융설장치(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123)은 상기 융설장치(200)에 따라 타원, 사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123)은 상기 점자부(110)가 상기 고정부(120)와 결합된 후 융설장치(200)가 설치되지 않는 곳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별도의 커버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홀(123)을 통해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융설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융설장치(200)는 상기 고정부(120)의 상부를 절삭하여 형성되는 가이드홀(123)에 설치되는 보호체(210)와, 상기 보호체(2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열을 순환시키는 히팅케이블(2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체(210)는 상기 고정부(12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홀(123)에 설치되어 상기 히팅케이블(220)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보호체(210)는 상기 가이드홀(123)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체(210)는 상기 히팅케이블(22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홀(211)을 구비하여 상기 히팅케이블(220)이 이동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히팅케이블(220)은 상기 보호체(210)의 수용홀(211)에 삽입되며 열이 전도되는 전도체로 형성되어 전류 또는 열을 공급받아 전달된 열이 상기 점자부(110)로 전달되어 상기 점자블록(100) 상부에 눈이 쌓이거나 얼음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케이블(220)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온도가 상승한 부동액 등의 용매가 순환되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용매를 내부에 순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히팅케이블(220)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히팅케이블(220)의 용매는 온도가 높은 용매를 전달받으면 상기 히팅케이블(220)을 순환하여 상기 히팅케이블(220)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용매가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케이블(220)은 전류가 흐르거나 전류를 열로 변환하여 열이 순환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히팅케이블(220)에 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에는 상기 보호체(210)를 전류가 흐르지 않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설장치(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케이블(220)의 열을 상기 점자부(110)로 넓게 전달하는 열전도체(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체(230)는 상기 보호체(210)와 상기 히팅케이블(220)의 상부에 적층되어 설치되며 상기 히팅케이블(220)에서 발생하는 열이 넓게 상기 점자부(1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전도체(230)는 상기 히팅케이블(220)에 전류를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킬 때 상기 히팅케이블(220)의 전류가 상기 점자부(110)를 통해 눈이나 얼음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히팅케이블(220)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상기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면 상기 눈이나 얼음과 같이 전류가 흐르는 물체에 의하여 상기 융설 점자블록(100)을 이용하는 이용객이 감전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열전도체(230)를 전류를 억제하며 열을 전도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하면 상기 점자부(110)의 상부 온도만 상승하게 되어 눈이나 얼음은 제거할 수 있지만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열전도체(230)의 재질은 철, 구리 등 다양하게 형성하여 전류가 전달되더라도 전류를 억제하거나 열은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의 설치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단계 S100에서는 융설장치(200)가 배치되는 가이드홀(123)이 구비되는 고정부(120)를 인도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를 인도에 배치할 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도가 진행하는 방향이나 시각장애인에게 의미를 전달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0)를 인도에 매립하여 배치하기 전에 상기 고정부(120)의 너트홀(122)에 너트(140)를 삽입하여 배치할 수 있다.
단계 S200은 단계 S100에서 인도에 배치한 고정부(120)의 형상에 따라 가이드홀(123)에 융설장치(200)의 보호체(21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23)은 상기 고정부(120)의 상부에 수직과 수평의 양 측면에 직선으로 절삭하여 형성되므로 다수의 고정부(120)를 배치할 때 가이드홀(123)은 서로 이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체(2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가이드홀(123)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체(210)는 히팅케이블(220)이 전원부(300)와 순환되도록 단부에 배치된 고정부(120)에서는 원형으로 형성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홀(123)에 보호체(210)가 설치되지 않는 부분에는 방수를 위하여 별도의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단계 S300은 단계 S200에서 상기 가이드홀(123)에 배치된 보호체(210)에 히팅케이블(22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히팅케이블(220)은 상기 보호체(210)를 가이드홀(123)에 설치하기 전에 보호체(210)에 삽입하여 가이드홀(123)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히팅케이블(220)의 단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히팅케이블(220)의 양 단부는 상기 가이드홀(123)을 순환하여 전원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단계 S400은 단계 S300에서 상기 가이드홀(123)에 배치된 히팅케이블(220)을 전류 및 열을 공급하는 전원부(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전원부(300)는 조명등, 전신주, 태양열 공급장치, 지열공급장치 등 열 및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로 형성될 수 있다.
단계 S500은 단계 S100에서 고정부(120)의 너트홀(122)에 삽입한 너트(140)에 볼트(130)를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고정부(120)의 상부에 점자부(110)를 결합시킨 후 볼트홀(113)을 통해 볼트(130)를 삽입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융설 점자블록 및 그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점자블록 110: 점자부
120:고정부 130: 볼트
140: 너트 200: 융설장치
210: 보호체 220: 히팅케이블
300: 전원부

Claims (11)

  1. 미끄럼방지와 시각장애인들을 위하여 인도 표면에 설치되는 점자부와, 상기 점자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도에 매립되어 형성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점자블록과,
    상기 점자블록 내부에 설치되어 동절기에 눈과 얼음을 제거하는 융설장치를 포함하는 융설 점자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블록은 상기 점자부와 상기 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점자부를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판을 구비하는 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점자블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부는 상기 인도 표면에 노출되어 형성되는 점자판과,
    상기 점자판의 상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미끄럼방지를 위한 점자돌기와,
    상기 점자판과 상기 점자돌기를 관통하는 상기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볼트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점자블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인도에 매립되며 상기 점자부와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볼트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너트홀과,
    상기 고정판 상부에서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점자부가 결합되는 위치를 절삭하여 상기 융설장치가 설치되는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점자블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서 수직과 수평으로 양 측면을 각각 직선으로 절삭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점자블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설장치는 상기 고정부의 상부를 절삭하여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설치되는 보호체와,
    상기 보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열을 순환시키는 히팅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점자블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융설장치는 상기 히팅케이블의 열을 상기 점자부로 전달하는 열전도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점자블록.
  8. (a) 인도에 매립되는 다수의 고정부를 상기 인도에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인도에 배치된 다수의 고정부의 형상에 따라 가이드홀에 보호체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보호체의 상부에 열을 순환하는 히팅케이블이 순환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히팅케이블의 양 단부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에 결합하는 단계; 및
    (e) 상기 다수의 고정부에 상기 점자부를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융설 점자블록의 설치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인도에 매립되며 상기 점자부와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점자부에 형성된 볼트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너트홀과,
    상기 고정판 상부에서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점자부가 결합되는 위치를 절삭하여 상기 융설장치가 설치되는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점자블록의 설치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서 수직과 수평으로 양 측면을 각각 직선으로 절삭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점자블록의 설치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융설장치는 상기 히팅케이블의 열을 상기 점자부로 전달하는 열전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점자블록의 설치방법.
KR20130099470A 2013-08-22 2013-08-22 융설 점자블록 및 그의 설치방법 KR20150022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470A KR20150022119A (ko) 2013-08-22 2013-08-22 융설 점자블록 및 그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470A KR20150022119A (ko) 2013-08-22 2013-08-22 융설 점자블록 및 그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119A true KR20150022119A (ko) 2015-03-04

Family

ID=5302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9470A KR20150022119A (ko) 2013-08-22 2013-08-22 융설 점자블록 및 그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21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840A (ko) * 2015-11-16 2017-05-24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 융설 시스템 및 그의 설치 방법
WO2018211163A1 (es) 2017-05-19 2018-11-22 Calo Lopez Antonio Método de optimización de la repotenciación de plantas solares fotovoltaicas mediante mantenimiento predictivo y preventivo inteligente
KR20220167083A (ko) * 2021-06-11 2022-12-20 심용보 히팅 케이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840A (ko) * 2015-11-16 2017-05-24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 융설 시스템 및 그의 설치 방법
WO2018211163A1 (es) 2017-05-19 2018-11-22 Calo Lopez Antonio Método de optimización de la repotenciación de plantas solares fotovoltaicas mediante mantenimiento predictivo y preventivo inteligente
US11487279B2 (en) 2017-05-19 2022-11-01 Antonio Calo Lopez Method for optimizing the power enhancement of photovoltaic solar plants using smart preventive and predictive maintenance
KR20220167083A (ko) * 2021-06-11 2022-12-20 심용보 히팅 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2774A2 (en) Interlocking heated patio stones and system
KR100923663B1 (ko) 포장 도로의 제설장치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877843B1 (ko) 절전형 도로 융설 구조
KR20150022119A (ko) 융설 점자블록 및 그의 설치방법
KR20180082861A (ko) 도로 결빙방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결빙방지공법
KR101570813B1 (ko) 융설블록 시스템 및 그의 설치방법
US10533291B2 (en) Snow melting mat
KR102001529B1 (ko) 도로 융설 시스템
JP3654842B2 (ja) ヒータ付き点字ブロック
US20190090313A1 (en) Modular heated surface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CA3079124C (en) Suspension mounted heating system
JP2008291607A (ja) 融雪路盤構造物および融雪路盤の施工方法
KR101513532B1 (ko) 도로 융설 시스템 및 그의 설치방법
US61276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driveways and walkways free of ice and snow
KR101905577B1 (ko) 탄소섬유발열선을 이용한 결빙방지 매트
KR101736316B1 (ko) 융설 점자블록
KR100969985B1 (ko) 지열을 이용한 도로의 노면 결빙 방지장치
US20160355997A1 (en) Method of retrofitting a ground surface to resist snow and ice
KR102238239B1 (ko) 도로 결빙 방지용 발열관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결빙 방지 구조
KR101484767B1 (ko) 노면결빙방지 도로
KR101727154B1 (ko) 투수성능이 증대된 융설블록
KR100980639B1 (ko) 미끄럼 방지층을 갖는 경사노면 결빙 방지 구조
KR100671060B1 (ko) 공동주택 주출입구 경사로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 블럭조립체.
KR101649601B1 (ko) 열선 케이블 가설이 용이한 금속 탄성바닥재
GB2569037A (en)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