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920A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920A
KR20150020920A KR20130098049A KR20130098049A KR20150020920A KR 20150020920 A KR20150020920 A KR 20150020920A KR 20130098049 A KR20130098049 A KR 20130098049A KR 20130098049 A KR20130098049 A KR 20130098049A KR 20150020920 A KR20150020920 A KR 20150020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splay unit
area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0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8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0920A/en
Publication of KR20150020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9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user′s immers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ck cover; a display unit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region to bend forward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back cover and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 photographing unit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a us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display unit; a detection unit to detect a distance value from the display unit and a viewing angl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recognized position of the user;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ifferently applies brightness compensation values of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based o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viewing angle.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0001]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outputting image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a user's immersion feeling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동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프로젝터, 테블릿, 네비게이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Digital Television) 등의 형태로 구현된다.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both a devic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 broadcast,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moving image, and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Such a video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television, a computer monitor, a projector, a tablet, a navigation device,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Digital Television)

이와 같은 영상표시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방송이나,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기능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영상표시장치가 스마트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 텔레비전)로서 구현되고 있다. 그에 따라서, 영상표시장치는 인터넷 등의 실행은 물론 이동 단말기나 컴퓨터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홈네트워크 환경이나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에서 서버의 기능까지 담당하게 되었다. Such a video display device has a variety of functions, so that it can be used as a multimedia player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photographing, video shooting, game, broadcast reception in addition to broadcasting, music or video file playback function . Furthermore, in recent years, video display devices have been implemented as smart devices (for example, smart television). Accordingly,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mobile terminal or a computer as well as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device receives digital broadcasting and takes charge of functions of a server in a home network environment or a ubiquitous environment.

한편, 이와 같은 영상표시장치에 출력되는 영상의 화질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입체 영상 기술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3D 와 같은 영상 시청시 사용자의 몰입감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Meanwhile,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output to the image display device. In recent years, various studies on stereoscopic image technology have been carried out. Particularly, studies on a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user's immersion feeling when viewing an image such as 3D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몰입감을 보다 항샹시킬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의 양단이 백 커버의 형상에 대응되게 전방으로 휘어진 구조를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n which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are bent forwar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back cover so as to enhance the user's immersion feeling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부의 양단이 백 커버의 형상에 대응되게 전방으로 휘어진 구조에서, 사용자의 시청 위치나 화면을 바라보는 시야각에 따라 왜곡된 영상의 화질을 비선형적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nonlinearly correcting the image quality of the distorted image according to the viewing position of the user or the viewing angle of the screen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are bent forwar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ck cov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백 커버와;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백 커버의 형상에 대응되게 전방으로 휘어지도록 이루어지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영상 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소정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촬영부와;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 간의 거리 값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거리 값과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의 휘도 보상치를 다르게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o this e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 cover; A display unit including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area so as to be bent forwar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ck cover and configured to output image information to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 A photographing unit for recognizing a position of a us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display unit; A detector for detecting a distance value between the display units and a viewing angl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recognized user's position;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the luminance compensation values of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areas differently based o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the viewing ang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거리 값이 기설정된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영상 정보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비선형(non-linear)적으로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set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second area as non-linear to correct the distor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whe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exceeds a preset threshold range. And compensates for the defect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영상 정보는 그대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는 스케일링 다운되도록 오버스캔(over scan)으로 설정하여 상기 비선형(non-linear)적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outputs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area as it is, and sets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second area as an overscan so that the image information is scaled down. The non- And performs an effective compens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거리 값이 상기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정도가 커질수록, 상기 제 2 영역에 대한 휘도 보상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luminance compensation value for the second area as the degree of the detected distance value exceeds the threshold rang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영상 정보 중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의 크기를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unit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detected us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displays the object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So as to be outpu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영상 정보 중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가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unit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detected us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displays the object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부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더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가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대향되는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unit further recognizes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and the control unit is further configured to cause the photographing unit to photograph the second region when the user is located on the sid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detected us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controls the displayed object to be display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을 중심으로 분리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를 사용자의 위치에서 멀리 있는 제 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area includes a plurality of areas separated from each other around the first area,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user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unit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And moving the object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closer to the user's position to the second area farther from the user's position whe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멀리 있는 제 2 영역의 영상 정보는 그대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는 디밍 제어나 픽셀 제어하여 명도 비가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area away from the user's position as it is, and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second area near the user's position is dimmed or pixel-controlled to increase the brightness ratio And a control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을수록 상기 복수의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 대한 디밍 제어 또는 픽셀 제어의 명도 비가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rightness ratio of the dimming control or the pixel control to be larger for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plurality of second areas as the detected viewing angle of the user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거리 값이 기설정된 임계범위의 미만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베젤부의 하단 영역에 상기 영상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the control unit displays a GUI for controlling the image information on a lower area of the bezel unit formed along the front edge of the display unit or the display unit User Interface) is display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단 영역에 기설정된 방식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가 감지되면, 숨겨진 GUI가 나타나도록 하고, 상기 GUI 주변에 LED 소자를 이용한 발광효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idden GUI to be displayed when a predetermined touch or proximity touch is detected in the lower area and outputs a light emission effect using the LED device around the GUI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거리 값이 기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휘도 보상치가 가장 작은 영역으로 사용자를 유도하기 위한 소정의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is out of a preset threshold range or the viewing angle of the detected user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outputs a predetermined alarm for deriving the alarm.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영상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영상 보정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영상 보정 모드 상태임을 나타내는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preset user input is applied, the controller enters an image correction mode for correcting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display unit, and controls to output an alarm indicating the image correction mode state .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백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거리 값과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n actuator coupled to the back cover to adjust a degree of warp of the second regio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based o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the viewing angle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을 중심으로 분리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백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를 각각 조절하기 위한 제 1 액츄에이터 및 제 2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거리 값과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reg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g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around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connected to the back cover to adjust the degree of warping of the plurality of second regions, 1 actuator and a second actuat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to respectively control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based o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the detected angle of view of the user,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 2 영역 중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를 제 1 값으로 변경하고,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멀리 있는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를 상기 제 1 값보다 큰 제 2 값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 is located on the sid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detected us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econd region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is controlled so as to change the degree of warping to the first value and change the degree of warping of the second region away from the position of the user to a second value larger than the first value, .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 1 및 제 2 영역에 인가되는 빛의 량, 빛의 방향, 및 주변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빛의 량, 빛의 방향, 및 주변 조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검출된 거리 값 및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의 휘도 보상치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for sensing at least one of an amount of light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areas of the display unit, a direction of the light, and a surrounding illuminance, The luminance compensation value of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areas is controlled differentl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mount of light, the direction of light, and the ambient illuminance, and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viewing ang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백 커버의 형상에 대응되게 전방으로 휘어지도록 이루어진 제2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에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와;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소정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와;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 간의 거리 값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거리 값과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의 휘도 보상치를 다르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region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region to be bent forwar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ck cov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recognizing a position of a us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basis of the display unit; Detecting a viewing angle of the light source; And controlling the luminance compensation values of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areas differently based o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the viewing angl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몰입감을 보다 항샹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시청 위치나 화면을 바라보는 시야각에 따라 최적을 화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휘도 보상치를 적용함으로써, 어느 지점이나 어느 시야각에서든 열화 없는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immersion feeling of the user, and to provide the image quality optimum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By applying different luminance compensation values, image quality without deterioration can be provided at any point or at any viewing ang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시청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을 비선형적으로 스케일링하거나 로컬 디밍(local dimming) 제어 또는 픽셀(pixel) 제어함으로써, 왜곡 없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outputted to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viewing position of the user can be non-linearly scaled, local dimming control, The distortion-free video can be viewed.

또한, 사용자의 시청 시야각에 따라 휘도가 낮게 보이는 영역의 객체들을 시안성이 확보되는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크기 변경하여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나아가, 주변의 조도나 사용자의 시청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 정도가 변형될 수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안성을 좋게하고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objects of the area where the luminance is low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are moved to another area where secularity is ensured, or the size is changed and output,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for the user. Furthermore, by adjusting the degree of warpage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of the surroundings or the viewing position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actility of the user and improve the immersion feel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세부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와 인터렉션하는 외부 입력 장치의 세부구성을 보인 예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정면, 측면,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개념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자의 시청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화질 보상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자의 시청 위치가 임계범위보다 더 먼 경우, 비선형적 스케일링으로 화면을 보상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자의 시야각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를 이동하거나 크기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자의 시청 위치가 임계범위보다 더 가까운 경우,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external input device that interacts with the video display device of FIG.
FIGS. 3A to 3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side, and top.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picture quality compensation values depending on a viewing position of a user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compensation of a screen by nonlinear scaling when a viewing position of a user is longer than a critical range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D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moving or resizing of an object displayed on a screen when a viewing angle of a user is smaller than a threshold value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screen when a viewing position of a user is closer than a critical range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mit.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동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임을 미리 밝혀둔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a concept including both a devic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 broadcast,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moving image, and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1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영상표시장치(100)는, 튜너(110), 복조부(120), 신호 입출력부(130), 인터페이스부(140), 제어부(150), 메모리(160), 디스플레이부(170), 백 커버(175), 오디오 출력부(180), 촬영부(190), 및 검출부(195)를 포함한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tuner 110, a demodulator 120, a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an interface unit 140, a controller 150, a memory 160, a display unit 170, An image output unit 175, an audio output unit 180, a photographing unit 190, and a detecting unit 195.

도 1을 참조하면,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또는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튜너(110)는 RF 방송 신호를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한다. 반면, RF 방송 신호가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튜너(110)는 RF 방송 신호를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와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튜너일 수 있다.1, a tuner 110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converts the RF broadcast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image / Convert to voice signal. For example, if the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the tuner 110 converts the RF broadcast signal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On the other hand, if the RF broadcast signal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tuner 110 converts the RF broadcast signal into an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CVBS / SIF). As described above, the tuner 110 may be a hybrid tuner capable of processing a digital broadcasting signal and an analog broadcasting signal.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는 복조부(120)로 입력되고,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는 제어부(160)로 입력될 수 있다. The digital IF signal DIF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input to the demodulator 120 and the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CVBS / SIF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input to the controller 160 .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tuner 110 can receive an RF broadcast signal of a single carrier according to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scheme or an RF broadcast signal of a plurality of carriers according to a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scheme.

비록 도면에는 하나의 튜너(110)가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표시장치(100)는 다수의 튜너,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튜너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튜너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제 1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튜너는 기저장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제 2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 2 튜너는 제 1 튜너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RF 방송 신호를 디지털 IF 신호(DIF) 또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Although one tuner 110 i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uners, for example, first and second tuners. In this case, the first tuner may receive the first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second tuner may sequentially or periodically receive the second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stored broadcast channel . The second tuner can convert the RF broadcast signal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or an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CVBS / SIF)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tuner.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The demodulator 120 receives the converted digital IF signal DIF from the tuner 11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튜너(1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가 ATSC 방식이면,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단일 반송파 진폭변조의 잔류측파대 변조방식에 의한 복조이다. 이때,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리드 솔로몬 복호화 등의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몬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If the digital IF signal DIF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of the ATSC scheme, the demodulation unit 120 performs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is a residual sideband modulation of a single carrier amplitude modulation using the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frequency band. At this time, the demodulator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such as trellis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Solomon decoding. For this, the demodulator 120 may include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 Solomon decoder.

튜너(1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가 DVB 방식이면,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이때,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리드 솔로몬 복호화 등의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몬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If the digital IF signal DIF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of the DVB scheme,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COFDMA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demodulation. At this time, the demodulator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such as convolutional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Solomon decoding. For this, the demodulator 120 may include a convolution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Solomon decoder.

복조부(120)는 이와 같이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 수 있다. 여기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the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nd output the stream signal TS. At this tim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or a data signal is multiplexed.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TS may be an MPEG-2 TS (Transprt Stream)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or the like. Here,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이와 같이 복조부(120)에서 출력된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되어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이 수행될 수 있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 is input to the controller 170, and demultiplexing and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can be performed.

신호 입출력부(130)는 외부 기기, 예를 들어 DVD(Digital Ver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휴대기기, 스마트 폰 등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 입력 및 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A/V 입출력부 및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may be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igital versatile disk (DVD), a Blu 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notebook), a set- And is wirelessly connected to perform signal input and output operations. For this, an A / V input / output unit for connection with a wired network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on with a wireless network may be included.

A/V 입출력부는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50)로 전달될 수 있다.The A / V I / O section is composed of an Ethernet terminal,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S- video terminal (analog),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 A Mobile High-definition Link (MHL)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 IEEE 1394 terminal, a SPDIF terminal, and a liquid HD terminal. The digital signal input through these terminals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 At this time, the analog signal inputted through the CVBS terminal and the S-video terminal may be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an analog-digital converter (not shown)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무선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a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s wireless Internet access using a WLAN (Wi-Fi), a Wibro (wireless broadband), a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an do.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have.

신호 입출력부(13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그 외에도, 콘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 예를 들어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입출력부(13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고,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can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and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the server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can transmit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 An advertisement, a game, a VOD, a broadcasting signal, and related information.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can receive update information and an update file of the firmware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throug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and can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among the applications open to the public have.

신호 입출력부(130)는 상기한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입출력부(130)는메모리장치,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된 다양한 미디어 파일의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입출력부(130)는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상기한 외부 기기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may transmit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data signal provid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control unit 150. Also,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may transmit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and a data signal of various media files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device such as a memory device, a hard disk, etc. to the control unit 150. Also,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can transmit the video signal, audio signal, and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50 to the external device or other external device.

좀 더 구체적으로, 신호 입출력부(130)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셋톱 박스, 예를 들어, IPTV(Internet Protocol TV)용 셋톱 박스와 연결되어서 신호 입력 및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입출력부(130)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톱 박스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톱 박스로 다시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IPTV는 전송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되는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할 수 있고,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 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a set-top box, for example, a set-top box for IPTV (Internet Protocol TV) through at least one of the various terminals described above to perform signal input and output operations . In addition,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can transmit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and a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settop box for IPTV to the control unit 150 so that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and the signals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50 It can also be passed back to the set-top box for IPTV. In this case, the IPTV may include ADSL-TV, VDSL-TV, FTTH-TV, and the like which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network, and may include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 IP (TVIP) An Internet TV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and a full browsing TV.

신호 입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도 스트림 신호(TS)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트림 신호(TS)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may also include a stream signal TS. Such a stream signal TS may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data signal are multiplexed as described above.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5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40 may transmit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50 or may transmi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50 to the user.

인터페이스부(14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키 등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의 제스처, 사용자의 위치, 터치 등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인터페이스부(140)는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5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40 may transmit a user input signal to the controller 150,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 setting key,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140 may include a sensor unit (not shown) for sensing a user's gesture, a user's position, a touch,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 mo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interface unit 140 may transmit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unit to the controller 150 or may transmit the signal from the controller 150 to the sensor unit.

인터페이스부(140)는 외부 입력 장치(200), 예를 들어 공간 리모콘으로부터의 전원 제어,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160)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외부 입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140)와 외부 입력 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40 receives an input signal input by the user for power control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for example, power supply control from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channel selection, screen setting, or the like, To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At this time, the interface unit 140 and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may b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또한, 인터페이스부(140)는 외부 입력 장치(200)로부터 개인 정보를 수신하거나 그리고/또는 그러한 개인 정보를 통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외부 입력 장치(200)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여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를 수행하는 경우에, 외부 입력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내에 저장된 개인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정보는 전자기기에 접속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소정 계정으로 로그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140 can receive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and / or receive web server information that is being accessed through such personal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accesses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perform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can receive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 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necessary for logging into a predetermined account to access the electronic device or use the service.

제어부(15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또는 신호 입출력부(130)를 통해서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TS)를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대응하는 RF 방송 신호를 튜닝하도록 튜너(1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control unit 150 demultiplexes the stream signal TS received through the tuner 110, the demodulator 120, and / or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output signals for video or audio output. For example,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tuner 110 to tune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 previously stored channel.

제어부(15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70)로 전달되어 해상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15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0)로 전달되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및/또는 음성 신호는 신호 입출력부(130)를 통해 외부 기기의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50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70 and can outpu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solution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50 is transmitted to the audio output unit 180 So that the sound can be outputted. The video signal and / or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50 may be input to an output device of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ignal input /

제어부(150)는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를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기 위해,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OSD(On Screen Display) 생성부, 음성 처리부, 데이터 처리부,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50 demultiplexes the stream signal TS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to generate and output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controller 150 may include a demultiplexer, An OSD (On Screen Display) generating unit, a voice processing unit, a data processing unit, a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and the like.

역다중화부(미도시)는 입력된 스트림 신호(TS)를 역다중화한다. 역다중화는 예를 들어, MPEG-2 스트림 신호(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트림 신호(TS)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튜너(110), 복조부(120), 및/또는 신호 입력출력(130)로부터 출력되는 것 일 수 있다.A demultiplexer (not shown)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signal TS. For example, when the MPEG-2 stream signal TS is input, the demultiplexing unit demultiplexes the MPEG-2 stream signal TS into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and a data signal, respectively. Here, the stream signal TS may be output from the tuner 110, the demodulator 120, and / or the signal input / output 130, as described above.

영상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 예를 들어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영상 처리부는 MPEG-2 디코더를 이용하여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하고, H.264 디코더를 이용하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방식에 따라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는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등이 조절되도록 영상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70)에서 출력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ling)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70)로 전달되거나, 외부 출력 단자를 통해 외부 출력 장치(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not shown)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for example, decoding, of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More specifically, the image processing unit decodes an MPEG-2 standard-encoded video signal using an MPEG-2 decoder, and outputs 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DVB-H (Digital Video Broadcast- It is possible to decode the encoded video signal of the H.264 standard according to the handheld method.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such that the brightness, tint, and color of the image signal are adjusted.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scaling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so that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70. [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70 or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not shown) through an external output terminal.

OSD 생성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OSD 생성부는 예를 들어, 영상 신호 및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외부 입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외부 입력 장치(200)로부터 송신되는 포인팅 신호에 대응하는 포인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OSD generator (not shown) may generate an OSD signal according to user input or by itself. In more detail, the OSD generation unit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170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mage signal and a data signal or an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input apparatus 200, ) Or text (Text) can be generated. The generated OSD signal may include various data such as a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various menu screens, a widget, an icon, and a pointer corresponding to a point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In addition, the generated OSD signal may include a 2D object or a 3D object.

제어부(150)는 상술한 OSD 생성부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를 거쳐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믹싱된 영상 신호는 포맷터(Formatter)를 거쳐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하거나 3D 영상 표시를 위해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하거나 또는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mix the OSD signal generated by the OSD generation unit and the decoded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The mixed video signal can change the frame rate of an image through a frame rate converter (FRC). In addition, the mixed video signal may be output by changing the format of a video signal through a formatter, or may separate a 2D video signal and a 3D video signal for 3D video display or may convert a 2D video signal into a 3D video signal .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에 대한 음성 신호 예를 들어,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음성 처리부는 MPEG-2 디코더를 이용하여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고, MPEG 4 디코더를 이용하여 DMB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고, AAC 디코더를 이용하여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방식에 따라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처리부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성 처리부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0), 예를 들어, 스피커로 전달되거나, 또는 외부 출력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can perform a voice signal, for example, decryption on the demultiplexed voice signal. More specifically, the voice processing unit can decode an encoded voice signal of the MPEG-2 standard using an MPEG-2 decoder and use the MPEG 4 decoder to perform a bit sliced arithmetic coding (MPEG4) And decodes the encoded audio signal of the AAC (Advanced Audio Codec) standard of MPEG 2 according to the satellite DMB method or DVB-H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method using an AAC decoder . Further, the voice processing unit can process a base, a treble, a volume control, and the like. The voice signal processed in the voice processing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audio output unit 180, for example, a speaker, or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에 대한 데이터 처리, 예를 들어,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신호는 각각의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EPG 정보는, 예를 들어, ATSC 방식에서는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DVB 방식에서는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MPEG-2 스트림 신호(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될 수 있다.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may perform data processing, for example, decoding, on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Here, the data signal may include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broadcasted on each channel. The EPG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TSC-PSIP (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information in the ATSC scheme and DVB-Service Information (DVB-SI) information in the DVB scheme. Here, the ATSC-PSIP information or the DVB-SI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header (4 bytes) of the MPEG-2 stream signal TS.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미도시)는 복조부(120)에서 출력된 스트림 신호(TS) 또는 신호 입출력부(130)에서 출력된 스트림 신호(TS)를 입력받아, 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50)에 입력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제어부(15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썸네일 리스트내의 썸네일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70)의 전체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170)의 일부 영역에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썸네일 리스트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The channel browsing processor (not shown) receives the stream signal TS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 or the stream signal TS output from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extracts an image therefrom, and generates a thumbnail image .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can be directly or encoded and input to the controller 150. In such a case,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a thumbnail list having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on the display unit 170 using the input thumbnail images. At this time, the thumbnail image in the thumbnail list may be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170 or in a part of the display unit 170 in a simple view mode. In addition, the thumbnail images in the thumbnail list can be sequentially updated.

한편, 제어부(150)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에 대한 신호 처리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는 튜너(110) 또는 신호 입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된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를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Meanwhile, the controller 150 may perform signal processing on the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CVBS / SIF). For example, the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CVBS / SIF input to the controller 150 may be an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or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The control unit 150 processes the input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CVBS / SIF, displays the processed video signal through the display unit 170, and outputs the processed audio signal to the audio output unit 180).

또한, 제어부(150)는 신호 입출력부(130) 또는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이나 또는 내부 프로그램 등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제어부(150)는 신호 입출력부(130) 또는 인터페이스부(14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외부 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외부 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외부 입력 장치(200)로부터의 개인 정보에 따라, 각 외부 기기 등이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외부 기기가 접속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based on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or the interface unit 140.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device information of a nearby external device in the vicinity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remote controllable channel information of another external device, received from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or the interface unit 140,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based on the frequency information or the code informa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each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and controls the display 170 to display an object indicating that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can do.

또한,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예를 들어,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이 외에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at least one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as a 3D object. Here, the object may be at least one of a connected web screen (newspaper, magazine, etc.),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various menus, widgets, icons, still images, moving images, and text.

또한, 제어부(150)는 촬영부(이하,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19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장치(200)로부터 송신된 입력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mera' 190), the sensed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not shown) Or a combination of the input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gestures of the user.

또한, 제어부(150)는 카메라(190)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고, 이 외에도,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7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90. [ For example, the distance (z-axis coordinate) between the user an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be grasped, and the x-axis coordinate and y-axis coordinate in the display unit 170 corresponding to the user position can be grasped .

메모리(160)는 제어부(150)의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해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and may stor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such as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a data signal, And so on. 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torage medium.

또한, 메모리(160)는 다른 외부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IR 포맷 키(key)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외부 기기의 IR 포맷 키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60 may store IR format key codes for controlling other external devices, and may store an IR format key database of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한편, 디스플레이모듈은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70)와 디스플레이부(17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베젤부(미도시)로 구별된다. 또한, 이러하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방에는 백 커버(175)가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모듈의 형상을 유지하게 한다.Meanwhile, the display module is divided into a display unit 170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 bezel (not shown)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display unit 170. In addition, a back cover 175 is disposed behind the display modul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신호 입출력부(130)나 인터페이스부(140)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한다. The display unit 170 converts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50 or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a control signal, and the like received from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or the interface unit 140 into RGB Signal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thereby outputting an image.

디스플레이부(17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70 may be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diodes (OLED), flexible displays, 3D displays (3D displays), and electronic ink displays (e-ink displays)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70)가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인 경우에는,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하여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 또는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없이, 예를 들어 안경(glass) 등이 없이 디스플레이부(17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디스플레이부(170) 외에 3D 시청장치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ND) 타입, 안경 타입 등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170 is a 3D display, the display unit 170 may be implemented by an additional display method or a single display method for viewing 3D images. The single display method can implement a 3D image without a separate display, for example, without a glass or the like, and the display unit 170 can be realized by a method such as a lenticular method, a parallax barrier, Can be applied. In addition, the additional display method can implement a 3D image using a 3D viewing apparatus in addition to the display unit 170. For example, a head-mounted display (HND) type, a glasses type, or the like can be applied.

또한, 디스플레이부(170)가 터치 센서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출력 장치 외에 입력 장치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unit 170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having a touch sensor, it may perform an input device function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7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7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7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70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70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where the touch object is touched on the touch sensor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Here, the touch object may be a finger, a touch pen, a stylus pen, a pointer, or the like as an object to which a touch is applied to the touch sensor. 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Thus, the control unit 15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70 is touched or the like.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70)에 의해 감싸지는 내부 영역 또는 디스플레이부(170)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In addition, the touch sensor may be disposed in an inner area surrounded by the display unit 170 or in proximity to the display unit 170. [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오디오 출력부(180)는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음성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오디오 출력부(18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80 receives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50, for example, a stereo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a sound corresponding thereto. To this end, the audio output unit 18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촬영부(190)(이하에서는, '촬영부'(190)와 '카메라'가 혼용되어 명명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는 주변 이미지를 촬영하여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기기에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를 추적한다. 상기 촬영부(190)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하고, 나아가 가시광선 차단 필터(미도시)와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190)는 마이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photographing unit 19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hotographing unit 190" and "camera" may be used in combination) may be used to photograph an image of a surrounding area to receive an audio signal and a video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or tracks the user. The photographing unit 190 may include at least one image sensor (not shown), and may further include a visible light blocking filter (not shown) and an infrared blocking filter (not shown).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190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not shown).

촬영부(190)는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부(19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는 제어부(150)로 입력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위치, 제스처, 시선변화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90)는 하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 추적 기능과 일반 촬영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촬영부(190)는 일반 촬영을 위한 일반 카메라와 사용자 추적을 위한 적외선 카메라를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90 photographs a user, and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190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150. Accordingly, the controller 150 can detect a user's movement, position, gesture, change of gaze, etc.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The photographing unit 190 can perform both the user tracking function and the general photographing function using one camera. Alternatively, the photographing unit 190 may include a general camera for general photographing and an infrared camera for user tracking.

마이크(미도시)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음성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미도시)는 외부의 음향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A microphone (not shown) may receive a predetermined voice command from the user. The microphone (not shown) may include various noise elimina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when an external acoustic signal is input.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촬영부(190)와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정보와 마이크에 의하여 수집된 오디오 정보를 신호 처리하여 신호 입출력부(130) 또는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상대방의 화상통신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imag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including a photographing unit 190 and a microphone (not shown). The control unit 150 processes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the audio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microphone and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or the interface 140.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촬영부(190)와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추적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양안의 위치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양안이 이동되는 것에 대응되는 시선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추적부(미도시)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include a user tracking unit (not shown) including a photographing unit 190 and a microphone (not shown). The control unit 150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user's binocular from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can detect a change in the line of sight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binocular. The control unit 150 can acquire the user's gaze information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racking unit (not shown).

검출부(195)는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와 디스플레이부(170)간의 거리 값을 검출한다. 또한, 상기 검출부(195)는 촬영부(19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눈동자가 바라보는 시야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170)의 중앙 전면에 대한 시야각을 검출한다. The detection unit 195 detects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user and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display unit 170 and the display unit 170. The detection unit 195 detects the viewing angle of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170 based on the visual field of the user's eyes recogniz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190.

감지부(미도시)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주변에 존재하는 외부기기를 감지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의 주변 환경, 예를 들어 조도, 습도, 온도 등을 감지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접촉이나 외력을 감지한다.The sensing unit senses an external device existing in the vicinit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r senses the ambient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illuminance, humidity, temperature, It senses contact or external force applied.

액츄에이터(198)는 제어부(15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70)의 양단을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휘어짐 정도를 조절한다. The actuator 198 adjusts the degree of warp by moving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170 in the inward direction or outward directio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50.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5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7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supplies power to the entire video display device 100.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a control unit 150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a display unit 17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n audio output unit 180 for audio output .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7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에는,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하여,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converter (not shown) for converting AC power to DC power. 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170 is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panel having a plurality of backlight lamps, an inverter (not shown) capable of PWM operation is further provided for driving a variable luminance or dimming You may.

외부 입력 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페이스부(140)와 연결되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 신호를 인터페이스부(140)로 전송한다. 외부 입력 장치(200)는 원격조정기(예, 공간 리모콘), 마우스, 키보드, 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조정기는 블루투스(Bluetooth), RF 통신, 적외선 통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통해 입력 신호를 인터페이스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입력 장치(200)가 특히 공간 리모콘으로 구현된 경우에는 본체의 동작을 감지하여서 소정의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140 via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nd transmits an input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e interface 140.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may include a remote controller (e.g., a space remote controller), a mouse, a keyboard, a wheel, and the like. The remote controller can transmit an input signal to the interface unit 140 through Bluetooth, RF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IR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or the like. When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is implemented with a spatial remote controller,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can be sensed to generate a predetermined input signal.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as a fixed digital broadcast receiver or a portable digital broadcast receiver.

영상표시장치(100)가 고정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단일의 캐리어를 사용하는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복수의 캐리어를 사용하는 지상파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각기 다른 방송 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 가능하다.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fixed digital broadcast receiver, it is possible to use digital broadcasting of ATSC (8-VSB) using a single carrier, terrestrial DVB-T (COFDM) using a plurality of carriers, Digital broadcasting of an ISDB-T system (BST-OFDM system) in which different broadcasting channels can be used according to a user's authority, and the like.

영상표시장치(100)가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 가능하다. When the video display apparatus 100 is implemented as a mobil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the terrestrial DMB type digital broadcasting, the satellite DMB type digital broadcasting, the ATSC-M / H type digital broadcasting, the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 Type digital broadcasting, and a media flow (Media Foward Link Only) type digital broadcasting.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케이블, 위성 통신, IPTV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이동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cable, satellite communication, and IPTV. Als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slate PC, tablet PCs, ultrabooks, and the like.

영상 표시 장치가 이동 단말기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 무선 통신부(미도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에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used as a mobile terminal,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may be further add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해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can receive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여기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이 외에도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 terrestrial channel, and the like. Here,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s. In addi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

여기서,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이러한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Here,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and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 Media Forward Link Only (DVF-H), a Digital Video Broadcast- ,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 Terrestrial) or the like can be used to receive a digital broadcast signal.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other broadcasting system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may be stored in a memory.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이동통신 모듈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s configured to implement a video communication mode and a voice communication mode. The video call mode refers to a state of talking while viewing a video of the other party, and the voice call mode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call is made without viewing the other party's video.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t least one of voice and image to implement a video communication mode and a voice communication mode.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이동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can be embedded in a mobile terminal or externally.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ong Term Evolution (LTE), or the like may be used.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us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Bluetoot,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i- Etc. may be used.

위치정보 모듈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for acquir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of include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or a Wireless Fidelity (WiFi) modul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입력 장치(200)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외부 입력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10), 사용자 입력부(220), 감지부(230), 출력부(240), 전원 공급부(250), 저장부(260) 및 제어부(270)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shown in FIG. 1 in detail.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 user input unit 220, a sensing unit 230, an output unit 240, a power supply unit 250, a storage unit 260, .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부(21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210)는 RF 모듈(211) 및 IR 모듈(212)을 구비할 수 있다. RF 모듈(211)은 RF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40)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IR 모듈(212)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4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1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외부 입력 장치(200)의 움직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RF 모듈(211)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a signal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receives a signal from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For th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n RF module 211 and an IR module 212. The RF module 211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4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and the IR module 212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Receiving unit 140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transmit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the motion of the external input apparatus 200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RF module 211.

한편, 외부 입력 장치(200)는, 외부 기기와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위한, NFC 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소정 외부 기기와 근거리 자기장 통신에 의해, 개인 정보,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들을 RF 모듈(211) 또는 IR 모듈(212)을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n NFC module (not shown) for short-range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erver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transmit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RF module 211 or the IR module 212. [

이외에도 외부 입력 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 방식 등을 사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40)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using Bluetooth, infrared (IR)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140). ≪ / RTI >

외부 입력 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입력 장치(200)는,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입력 장치(200)에서 이를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can receive video, audio, or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interface unit 14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can display or output audio on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based on the receiv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또한, 외부 입력 장치(200)는 주변의 인접 외부 기기로부터, 다른 외부 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외부 기기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고, 이러한 다른 외부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외부 기기로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를 할당하여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may also receive device information of other external devices, channel information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other external devices, frequency information, code information, and the like from neighboring external devices in the vicinity, Based on the information, a channel, frequency, or code may be assigned to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remote control.

사용자 입력부(220)는 입력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키 패드, 키 버튼, 터치 스크린, 스크롤 키, 조그 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20)를 조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명령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200)의 하드 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명령은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2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는 것으로 입력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220 may include, for example, a keypad, a key button, a touch screen, a scroll key, a jog dial, etc. as input means. The user can input a control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by operating the user input unit 220. [ This control command can be input through, for example, a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of the user input unit 200 by the user.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 unit 220 has a touch screen, the command may be entered by the user touching the soft key of the touch screen.

사용자 입력부(220)는, 예를 들어, 확인키(Okay key), 메뉴키, 사방향키, 채널 조정키, 볼륨조정키, 백 키(back key), 홈 키(home key)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확인키(Okay key)(미도시)는 메뉴 또는 항목 선택시 사용 가능하며, 메뉴키(미도시)는 소정 메뉴 표시를 위해 사용 가능하다. 또한, 사방향키(미도시)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포인터 또는 인디케이터를 상,하,좌,우 이동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채널 조정키(미도시)는 채널의 상, 하 조정시 사용 가능하고, 볼륨 조정키(미도시)는, 볼륨 업, 다운 조정 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백 키(back key)(미도시)는 이전 화면으로의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홈 키(미도시)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시 사용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220 may include, for example, an Okay key, a menu key, a direction key, a channel adjustment key, a volume adjustment key, a back key, a home key, have. An OK key (not shown) is available when a menu or item is selected, and a menu key (not shown) is available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menu. The four directional keys (not shown) may be used to move the pointer or indicat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up, down, left, or right. The channel adjustment key (not shown) can be used for adjusting the channel up and down, and the volume adjustment key (not shown) can be used for adjusting the volume up and down. Also, a back key (not shown) can be used when moving to a previous screen, and a home key (not shown) can be used when moving to a home screen.

확인키는, 스크롤 기능을 추가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확인키는 휠 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확인키를 상/하 또는 좌/우로 푸쉬하는 경우에는 해당 메뉴 또는 항목 선택으로 사용될 수 있고, 구비된 휠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휠의 회전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된 화면이 스크롤링 또는 다음 리스트 페이지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된 화면이 전체 출력될 화면의 일부만 표시된 경우, 원하는 부분의 화면을 탐색하기 위하여 확인키의 휠을 스크롤링하면, 현재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되지 않던 화면 영역이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70)에 리스트 페이지가 표시되는 경우, 확인키의 휠을 스크롤링하면,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현재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The confirmation key can be implemented by adding a scroll function. For this purpose, the confirmation key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heel key. That is, when the user pushes the confirmation key up / down or left / right, it can be used as a corresponding menu or item selection. In case of rotating the provided wheel up / dow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of the display unit 100 may be scrolled or switched to the next list page. For example, when only a part of the screen to be output as a whole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if the wheel of the confirmation key is scrolled to search the screen of the desired part, Area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70. [ As another example, when the list p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the previous page or the next page of the current p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can be displayed by scrolling the wheel of the confirmation key.

또한, 이와 같은 확인키의 스크롤 기능을 이용하여, 방송 채널 전환시 채널을 휠의 회전에 대응하는 만큼 채널을 업시키거나 다운시킬 수 있고, 음량 조절시 음량을 휠의 회전에 대응하는 만큼 볼륨을 높여서 출력하거나 또는 볼륨을 작게하여 출력할 수 있다. Also, by using the scroll function of the confirmation key, it is possib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channel by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wheel when the broadcast channel is switched, and adjust the volume The output can be made high or the volume can be made small.

또한, 이와 같은 확인키의 스크롤 기능은, 별도의 키로 구비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croll function of the confirmation key may be realized by a separate key.

또한, 사용자 입력부(220)의 특정 키와 사방향키의 입력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0)의 휘어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할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신호는 제어부(150)로 전달되고, 제어부(150)는 백 커버의 형상을 변형시키기 위해 액츄에이터(198)에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한다.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degree of warping of the display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provided by inputting a specific key and a directional key of the user input unit 220.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The controller 150 applies the control signal to the actuator 198 to change the shape of the back cover.

감지부(230)는 자이로 센서(231) 및 가속도 센서(232)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31)는 외부 입력 장치(200)의 공간 움직임을 x축, y축 및 z축을 기준으로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32)는 외부 입력 장치(200)의 이동 속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230 may include a gyro sensor 231 and an acceleration sensor 232. The gyro sensor 231 can sense the spatial movement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on the basis of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The acceleration sensor 232 can sense the moving speed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or the like.

또한, 감지부(23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70)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230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measuring sensor, thereby sensing the distance to the display unit 170.

출력부(240)는 사용자 입력부(220)의 조작에 따른 정보 및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송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출력부(240)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부(220)의 조작 상태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사용자 입력부(220)의 조작 또는 무선 통신부(210)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점등되는 LED 모듈(24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42),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43) 및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44)을 구비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40 outpu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20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The user can recognize the operation state of the user input unit 220 or the control stat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output unit 240. The output unit 240 outputs an LED module 241 that is turned on, a vibration module 242 that generates vibration, and a sound output unit 242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20 or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 And a display module 244 for outputting an image.

전원 공급부(250)는 외부 입력 장치(200)의 각종 전자 소자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50)는 외부 입력 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전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외부 입력 장치(200)의 소정 키가 조작되는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50 supplies power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When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reduce power consumption by stopping the power supply. When the predetermined key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is operated, Can be resumed.

저장부(260)는 외부 입력 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주파수 대역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60)는 IR 신호로 다른 외부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IR 포맷 키(key)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외부 기기의 IR 포맷 키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60 may store various programs, applications, frequency band information, and the like related to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60 may store IR format key codes for controlling other external devices using an IR signal, and may store an IR format key database of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제어부(270)는 외부 입력 장치(200)의 제어와 관련된 제반사항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사용자 입력부(22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통신부(21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감지부(230)에서 감지한 외부 입력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 입력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70 controls overall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The control unit 270 can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20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 The control unit 270 may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sensed by the sensing unit 230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100 can calculat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정면, 측면,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개념도들이다. 여기에서는,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예로 TV 수상기를 도시하였다. FIGS. 3A to 3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side, and top. FIG. Here, a television receiver is shown as an exampl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프레임의 일 영역, 예를 들어 상단 중앙에 배치된 촬영부(190), 즉 카메라는 디스플레이부(170)를 기준으로 소정범위(예, 카메라의 화각범위)에 위치한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양안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3A, the photographing unit 190, that is, the camera disposed in one area of the fram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the upper center, i.e., the camera,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of the user or the user.

이때, 상기 카메라는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의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는 영상표시장치(100)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영상표시장치(100)에 착탈가능하도록 악세서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190)는 평소에는 내부에 숨어있다가 카메라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외부에 나타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양안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시선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amera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a fram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That is, the camera may be embedd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may be implemented as an accessory to be detachable from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190 may be structured to appear outside when the camera driving signal is applied while hiding in the inside. When the position of both eyes of the user is detected 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can acquire gaze information of a user viewing an image output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또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0)는 일정한 곡률(R)을 갖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70)의 중앙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형상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A)이 존재하고, 디스플레이부(170)의 양단에는 일정한 곡률(R)를 갖는 곡면 형상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B)이 존재할 수 있다. 3A and 3B, the display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have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R. Referring to FIG. 3A, a first display area A having a flat shape is present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part 170 and a curv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R having a constant curvature R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display part 170 And a second display area B may be present.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구별없이 하나의 영상정보가 출력될 수도 있고, 소정의 제어명령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이 출력될 수도 있다.One image information may be outputted without discrimination between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or different images may be output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70)는 유기 발광 소자(OLED: Lrganic Light Emitting Device)를 이용한 OLED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기능성 박막 형태의 유기 발광층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 양극에서 정공이 주입되고 음극에서 전자가 주입되어 유기 발광층내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이 형성되고 이 엑시톤이 발광 재결합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OLED panel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OLEDs)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 the form of a functional thin film is inserted between an an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in which holes are injected from the anode and electrons are injected from the cathode, The excitons are formed by bonding holes, and the excitons emit light while recombining light.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를 풀컬러(Full Color)로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독립 발광 방식, 컬러 필터(Color Filter)방식, 및 색변환 방식 등이 있다. Examples of a method of realiz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 a full color mode include an independent light emitting method, a color filter method, and a color conversion method.

여기서, 독립 발광 방식은 R, G, B 각각의 발광 재료를 정교하게 패턴이 되어있는 메탈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열증착을 함으로써 R, G, B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컬러 필터 방식은 백색 발광층을 형성하고 R, G, B 컬러 필터를 패터닝하여 R, G, B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또한, 색변환 방식은 청색 발광층을 형성하고 청색을 녹색과 적색으로 변화하는 색변환층을 사용하여 R, G, B를 구현하는 방식이다.Here, in the independent light emission method, R, G, and B are implemented by thermal deposition using a metal shadow mask in which light emitting materials of R, G, and B are precisely patterned. In the color filter method, R, G, and B are implemented by forming a white light emitting layer and patterning R, G, and B color filters. The color conversion system is a system in which R, G, and B are implemented using a color conversion layer in which a blue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and a blue color is changed to green and red.

도 3c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곡률이 0에 가까운 값을 가지는 평평한 형상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고, 이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곡면 형상을 가지는 별도의 프레임, 예를 들어 백 커버(미도시)에 의하여 휘어지도록 이루어져 일정 곡률(R)을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3C, the display panel of the display unit 170 may be a flat display panel having a curvature close to zero, and such a flat panel display panel may be a separate frame having a curved surface, for example, a back cover (Not shown) and may be maintained in a curved shape having a certain curvature R.

계속해서 도 3c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0)의 곡면 형상은 사용자의 시청 위치(S)와 디스플레이부(170)간의 거리 값들(d1, d2, d3)이 동일 또는 유사한 값을 갖도록 상기 곡률(R)이 정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이와 같이 정해진 곡률(R)에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갖게 된다. 3C, the curved surface shape of the display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s determined such that the distance values d1, d2, and d3 between the viewing position S of the user and the display unit 170 are the same or The curvature R can be determined to have a similar value. Then, the display unit 170 has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curvature R determined in this way.

그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에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할 때,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3D 영상의 시청시 사용자의 몰입감이 디스플레이부(170)의 곡면 형상에 의해 크게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s feeling of immersion can be improved when viewing an image output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in particular, the feeling of immersion of the user when viewing the 3D image can be greatly improved by the curved surface shape of the display portion 170 have.

한편,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70)가 곡면 형상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가 평평한 형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벗어나 측면의 곡면 형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바라볼 때, 영상의 밝기나 명도비가 열화된다.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unit 170 has a curved shap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located on the side faces the display area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side surface beyond the flat display area, the brightness or brightness ratio of the image deteriorates do.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0, 도 1)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백 커버(175, 도 1)의 형상에 대응되게 전방으로 휘어지도록 이루어지는 제2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양단이 휘어진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부(170)의 제1 및 제2 영역에는 소정의 영상 정보가 출력된다.1)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back cover 175 (FIG. 1)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formed so as to be bent forward. Predetermined imag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display unit 170 having the structure of which both ends are bent.

또한,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된 촬영부(190)는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70)를 기준으로 소정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검출부(195)는 이와 같이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와 디스플레이부(170)간의 거리 값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검출한다.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190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recognizes the position of a us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display unit 170. FIG. The detection unit 195 detect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unit 170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170 based on the thus recognized position of the user.

검출된 거리 값과 시야각 정보가 제어부(150, 도 1)로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검출된 거리 값과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제 1 및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의 휘도 보상치를 다르게 적용한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70)로부터 이격된 정도, 디스플레이부(170)의 중앙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부(170)를 바라보는 경우 시야각(예, 제 1 영역인지 또는 제 2 영역인지)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되는 영상의 밝기와 명도 비를 다르게 보상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서 어느 지점을 보고 있더라도 열화 없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Whe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viewing angle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FIG. 1),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areas of the display unit 170 based o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the viewing angle The luminance compensation value of the outputted image information is applied differently.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is away from the display unit 170, the user's current position based on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170, and the viewing angle when the user looks at the display unit 170 at the current position The brightness of the imag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70 is compens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r the brightness of the second region or the second region, thereby providing a user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can view the image without degradation do.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자의 시청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화질 보상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quality compensation value depending on a viewing position of a user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 도 1)는평평한 형상을 갖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백 커버의 형상에 대응되게 전방으로 휘어지도록 이루어진 곡선 형상을 갖는 제 2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170, 도 1)에 소정의 영상 정보를 출력한다(S401).Referring to FIG. 4, an image display device 100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gion having a flat shape and a second reg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region, And outputs a predetermined imag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70 (FIG. 1) including a second area having a curved shape configured to be bent by the first area (step S401).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정보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거나, 특정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화면이거나, 소정의 웹페이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정보는 아이콘, 인디케이터와 같이 화면 제어와 관련된 메뉴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display unit 170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an execution screen of a specific application, a broadcast program screen of a specific channel, or a predetermined web page. In addition, the image information may include menu objects related to screen control such as an icon and an indicator.

또한,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후방에는 곡선 형상을 갖는 백 커버(175)가 배치되어, 상기 제 2 영역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백 커버의 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백 커버(175)는 상기 곡선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 2 영역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정 곡률(R)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A back cover 175 having a curved shape is disposed behind the display unit 170 so that the display panel of the second area can be bent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hape of the back cover. In addition, the back cover 175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for maintaining the curved shape, so that the display panel of the second area can maintain a certain curvature R.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제 1 영역에는 제1 영상 정보를 출력하고, 제 2 영역에는 제 1 영상 정보와 다른 제 2 영상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50)는 환경에 따라 제 1 영역에만 영상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 1 영역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고 제 2 영역에는 제 1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아이콘들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output the first image information to the first area and output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image information to the second area.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image information only in the first area or output image information in the first area, and to control image information output in the first area in the second area, May be output.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50, 도 1)는 구비된 촬영부(190)를 구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기준으로 소정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S402).The control unit 15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rives the photographing unit 190 and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user 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reference to the display unit 170 in operation S402, .

상기 촬영부(190)는 디스플레이부(17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베젤부(미도시)에 내장되거나, 상기 베젤부에 착탈가능한 액세서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190)는 평소에는 상기 베젤부내에 숨겨져 있다가, 제어부(150)로부터 구동신호가 전달되면, 외부에 나타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90 may be embedded in a bezel (not shown) formed along an edge of the display unit 170, or may be implemented as an accessory detachable from the bezel.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190 is hidden in the bezel, and may be displayed outside when the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50. [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영상 보정 모드에 진입한 경우에, 촬영부(19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output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photographing unit 190 when entering the image correction mode.

그러면, 상기 촬영부(190)는 이와 같은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기준으로 촬영부(190)의 화각범위내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The photographing unit 190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user within the angle of view of the photographing unit 190 based on the display unit 170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또한, 상기 촬영부(190)는 적외선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눈동자를 함께 인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와 사용자의 시선을 함께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190)는 인식된 사용자의 눈동자와 색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190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not shown) to recognize the user's eyes. Accordingly, the user's position and the user's gaze can be tracked together.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190 can recognize the user's face based on the recognized user's pupil and color information.

촬영부(190)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는 화각범위를 기준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복수의 '촬영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촬영 영역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70)를 기준으로, 중앙, 전, 후, 좌, 우 5개의 영역으로 구별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user sens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190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based on the angle of view range, and may be referred to as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regions' hereinafter. Such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regions can be distinguished into five regions in the center, the front, the rear, the left, and the right on the basis of the display unit 170, for example.

여기서, 촬영 영역의 분할 개수는 디스플레이부(170)의 크기에 비례하며, 분할 기준은 디스플레이부(170)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야각이 될 수 있다. 또한, 촬영 영역의 분할 개수와 분할 기준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Here, the number of division of the photographing region i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70, and the division criterion may be a viewing angle of the user looking at the display unit 170. Further, the number of division of the shooting region and the division criterion can be changed through user input.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의 촬영부(190)의 화각범위내에는 중앙의 최적영역('Best Zone')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기준으로 좌우 측면영역('A, B 영역'), 가까운 영역('D 영역'), 멀리 있는 영역('C 영역')과 같은 영상보정을 요하는 영역들('Bad Zone')이 존재한다. 5, an optimal area ('Best Zone') in the center and a left side and right side area (for example, a right side and a left side) are defined within the angle of view of the photographing unit 190 of the display unit 170, (&Quot; A Zone B "), a close region ('D region') and a distant region ('C region').

구체적으로, 최적영역('Best Zone')에서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부(170)의 제 2 영역의 곡면 형상이 느껴지지 않아 전체적으로 왜곡없는 평평한 형상의 영상 시청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의 몰입감이 더욱 향상된다.Concretely, in the best zone ('Best Zone'), the curved surface shape of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unit 170 is not felt to the user, so that it is possible to view an image of a flat shape without distortion as a whole. That is, the sense of immersion of the user is further improved.

한편, A, B 영역에서는, 디스플레이부(170)의 중앙, 즉 제 1 영역을 기준으로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좁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170)의 측면, 즉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의 휘도가 낮아짐에 따라 명도 비가 저하되는 열화가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reas A and B, since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detect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170, that is, the first area is narrow, the luminance of the image output to the side of the display unit 170, There is a deterioration in which the brightness ratio is lowered.

또한, C 영역에서는, 디스플레이부(170)의 제 2 영역의 곡면 형상이 사용자에게 그대로 느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체적으로 오목한 형상의 영상을 시청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the C region, since the curved surface shape of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unit 170 is felt by the user as i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views the entirely concave shape image.

또한, D 영역에서는, 최적영역('Best Zone') 대비 영상의 열화는 없지만,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되는 영상이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 시청거리이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대응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In the D area, there is no deterioration of the image relative to the optimal area ('Best Zone'). However, since the imag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70 is viewed at a glance, a corresponding screen is output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Control is requir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되는 영상의 화질 또는 스케일링의 개선이 필요한 영역은 사용자와 디스플레이부(170)간의 거리나 그리고/또는 디스플레이부(170)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결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rea required to improve the image quality or the scaling of the imag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70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unit 170 and / or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viewing the display unit 170 .

이에, 검출부(195, 도 1)는 촬영부(190, 도 1)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간의 거리 값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검출한다(S403). 1) detects a distance valu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unit 170 and a distance valu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unit 170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user recogniz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90 (FIG. 1) (S403).

또한, 상기 검출부(195)는 기검출된 거리 값과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거리 변화량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부(195)는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간의 거리가 제 1 거리 값에서 제 2 거리 값으로 변화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195)는, 기검출된 시야각과 촬영부(190)에 의해 감지된 현재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기초로 시야각 변화량을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195 can detect a distance change amount based o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the current user position. That is, the detection unit 195 may detect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unit 170 changes from the first distance value to the second distance value. The detection unit 195 may detect the viewing angle change amount based on the detected viewing angle and the viewing direction of the current user sens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90.

이와 같이, 검출부(195)에 의해 거리 값과 시야각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검출된 거리 값과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의 휘도 보상치를 서로 다르게 제어한다(S404).When the distance value and the viewing angle are detected by the detecting unit 195, the controller 150 calculates the luminance compensation values of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areas based o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the viewing angle, (S404).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50)는 먼저,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정보와 색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휘도 정보와 색상 정보의 수집은 예를 들어, 픽셀(Pixel)별로 수집될 수 있다. 즉, YCbCr 방식으로 픽셀 정보가 표현되는 경우, 휘도를 나타내는 Y값을 수집하여 휘도 정보를 수집하고 색상을 나타내는 Cb값, Cr값을 수집함으로써, 색상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this, the controller 150 may collect luminance information and color information from a video signal input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The collection of luminance information and color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for example, on a pixel-by-pixel basis. That is, when pixel information is expressed by the YCbCr method, it is possible to collect color information by collecting Y values representing luminance, collecting luminance information, and collecting Cb values and Cr values representing colors.

또한, 입력된 영상 신호에서 소정의 영역, 예를 들어 손 영역, 얼굴색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150) 이러한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Pixel)의 개수를 별도로 카운트하여 전체 입력된 영상 신호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When it is detected that the input image signal indicates a predetermined area, for example, a hand area or a face color area, the controller 150 separately counts the number of pixels corresponding to the area, Can be calculated.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50)는 이와 같이 수집된 휘도 정보, 색상 정보, 및 소정의 영역의 픽셀 개수 정보(또는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1차 휘도 보정치를 결정한다.Then,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the primary luminance correction value based on the luminance information, the color information, and the pixel number information (or ratio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area.

이와 같이 영상 신호에 대한 1차 휘도 보정이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검출된 거리 값과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 대해, 이하에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2차 휘도 보정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primary luminance correction for the video signal is performed in this way,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areas based o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the viewing angle, As a result, different secondary luminance corrections are performed.

이하에서는, 단계 S404와 관련하여 평평한 형상을 갖는 제 1 영역과 곡선 형상을 갖는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을 서로 다르게 보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시들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xamples for correcting the images output to the first area having a flat shape and the second area having a curved shape,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tep S404.

단계 S404에서, 검출된 거리 값이 기설정된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이면,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70)로부터 멀리 위치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50)는 영상 정보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곡선 형상을 갖는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비선형(non-linear)적으로 보상한다.If the detected distance value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that is, if the user is located away from the display unit 170 in step S404, And non-linearly compensates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second region having the shape.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임계범위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최적영역('Best Zone')범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란,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부(170)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디스플레이부(170)의 제 2 영역의 곡면 형상이 사용자에게 그대로 느껴짐으로써, 사용자가 전체적으로 오목한 형상의 영상을 시청하게 되는 지점이나 영역을 가리킨다.Here, the preset threshold range means a range of 'Best Zon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refore, if the detected range of the user exceeds the threshold range,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user is far away from the display unit 170, and the curved shape of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unit 170 is felt by the user as it is, Quot ;, and " view "

이와 관련하여,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자의 시청 위치가 임계범위보다 더 먼 경우, 비선형적 스케일링으로 화면을 보상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In this regard, FIGS. 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ompensation of a screen by nonlinear scaling when a viewing position of a user is longer than a critical range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70)의 제 1 영역의 영상 정보는 그대로 출력하고, 곡면 형상을 갖는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는 스케일링 다운되도록 오버스캔(over scan)으로 설정한다. For this purpose, the controller 150 outputs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170 as it is, and sets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second area having the curved shape to be overscanned so as to be scaled down do.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서 평평한 형상을 갖는 제 1 영역의 스케일링과 곡선 형상을 갖는 제 2 영역의 스케일링을 비선형(non-linear)적 보상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150 can non-linearly compensate the scaling of the first area having a flat shape and the scaling of the second area having a curved shape in the display unit 170. [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적어도 일 영역에 곡선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부(170)를 멀리서 시청하는 경우, 전체적으로 오목한 형상의 영상을 보게 되며,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장된 스케일링 룩 업 테이블(미도시)의 픽셀 수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평평한 형상의 제 1 영역의 픽셀들은 스케일링을 유지하고, 곡선 형상을 갖는 제 2 영역의 픽셀들은 스케일링 다운(down)되도록 설정한다(도 6b의 (a)). 이와 같이 비선형(non-linear)적 보상이 이루어지면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보이게 되어 사용자의 몰입감이 향상된다(도 6b의 (b)).For example, as shown in FIG. 6A, when the user views the display unit 170 having a curved shape in at least one area from afar, the viewer views the entirely concave shape image. Thu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umber of pixels of the pre-stored scaling look-up table (not shown) is adjusted as shown in Figs. 6B and 6C. Specifically, the pixels of the first area of the flat shape maintain the scaling, and the pixels of the second area of the curved shape set to be scaled down (FIG. 6 (a)). If the non-linear compensation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whole is seen to be flat and the user's immersion feeling is improved (FIG. 6B (b)).

이때, 상기 제어부(150), 검출된 거리 값이 상기 기설정된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정도가 커질수록,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70)로부터 멀어질수록 곡선 형상을 갖는 제 2 영역에 대한 휘도 보상치를 더욱 증가시킨다.At this time, as the degree of the detected distance value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that is, as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display unit 170, the controller 150 calculates the luminance compensation value for the second region having a curved shape Further increase.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부(170)로부터 멀어질수록 곡선 형상을 갖는 제 2 영역의 픽셀들의 스케일링 다운(down)을 더욱 크게 설정한다. 이때,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 2 영역에 대한 스케일링 다운(down) 정도는 소정의 테이블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ler 150 sets the scaling down of the pixels of the second area having a curved shape to be larger as the position of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display unit 170. [ At this time, the degree of scaling down of the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may be stored in advance in a predetermined table.

또한, 단계 S404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된 영상 정보 중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의 크기를 변경하여 출력한다.If the user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unit 170 in the step S404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detected user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70 to display the image And changes the size of the object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이와 관련하여,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자의 시야각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를 이동하거나 크기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In this regard, FIGS. 7A to 7D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how an object displayed on a screen is moved or resized when a viewing angle of a user is smaller than a threshold value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여기서, 상기 기정해진 임계값은 디스플레이부(170)를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70)의 제 2 영역을 바라볼 때 다른 영역에 비해 영상의 명도비가 떨어지는 경계값을 의미한다. 이때, 사용자의 시야각은,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가 측면이고 디스플레이부(170)를 기준으로 가까울수록 작아진다. Here,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s a threshold value at which a brightness ratio of an image is lower than that of another region when a user located on a side of the display unit 170 views the second region of the display unit 170. At this time,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becomes smaller as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user is on the side and closer to the display unit 170.

또한, 여기서,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이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 인디케이터, 소프트 키 등을 포함한다.Here, the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includes, for example, an execution icon of an application, a menu, an indicator, and a soft key for controlling the screen.

한편, 다른 예에서는,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70)의 제 2 영역을 바라볼 때 열화되는 영상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를 평평한 형상을 갖는 제 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xample, in order to correct an image deteriorated when a user located on the side faces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unit 170,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the object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in a flat shape Can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여기서, 곡선 형상을 갖는 제 2 영역은 평평한 형상을 갖는 제 1 영역을 중심으로 분리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복수의 제 2 영역은 제 1 영역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각각 대향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region having a curved shape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g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around a first region having a flat shape. That is, the plurality of second regions may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first region and be disposed at positions opposed to each other.

예를 들어, 도 7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측면(왼쪽)에서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에는 제1측면에 가까운 제2영역(즉, 곡선 형상을 갖는 왼쪽 디스플레이 영역)에서의 시야각이 더 좁기 때문에 해당 영역에서의 명도비가 낮아진다. 한편, 도 7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측면(오른쪽)에서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에는 제2측면에 가까운 제2영역(즉, 곡선 형상을 갖는 오른쪽 디스플레이 영역)에서의 시야각이 더 좁기 때문에 해당 영역에서의 명도비가 낮아진다.7A, when a user views an image on the first side (left side), a second region (i.e., a left display region having a curved shape) near the first side, The brightness ratio in the corresponding region is low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views the image on the second side (right side) as shown in Fig. 7A (B), the user can see the image in the second area close to the second side Since the viewing angle is narrower, the brightness ratio in the corresponding area is lowered.

즉, 상기 제어부(150)는 촬영부(19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또는, 얼굴, 눈동자)가 디스플레이부(170)를 기준으로 측면에 존재하고,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인식되면,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제2영역에 출력되는 객체들(예,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을 사용자의 위치에서 멀리 있는 제2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객체들은 이동전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user's position (or face, pupil) recogniz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190 exists on the side of the display unit 170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detected user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It is possible to display objects (e.g., application execution icons) output in the second area close to the user's location in the second area far from the user's location. At this time, the objects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opposed to before the movement.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를 기준으로 한 사용자의 위치가 측면에 위치할수록 시야각이 좁아지고 중앙에 위치할수록 시야각에 넓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에 가까운 지점 또는 영역에서의 디밍(dimming) 제어값이 더욱 커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디밍(dimming) 제어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에 가까운 지점 또는 영역에 위치한 객체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부(170)의 중앙 또는 사용자로부터 먼 지점으로 이동한다.Referring to FIG. 7B, it can be seen that as the position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170 is positioned on the side, the viewing angle becomes narrower, and as the posi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the viewing angle widens.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dimming control value at a position or a region close to the user's position becomes larger as shown in FIG. 7C. With or without such a dimming control, as shown in FIG. 7D, objects located at a point or area close to the user's location, e.g., application execution icons, Moves away from the user.

한편, 다른 예에서는, 촬영부(19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기초로,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들을 배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xample, the object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can be arranged based on the sight direction of the user recogniz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190. [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하고,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제2영역에 사용자의 시선이 고정되면, 해당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를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대향되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한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unit 170,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detected us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control unit 150 displays the user's gaze The object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area is displayed in the " opposed position "

즉,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하고,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미만이더라도, 사용자의 위치에서 멀리 있는 제2영역을 응시하는 경우에는 명도비가 극히 떨어지지는 않으므로 해당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들을 유지하거나 또는 열화된 화질만 보정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user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unit 170 and gazes at the second region far from the user's position, even if the detected viewing angle of the user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brightness ratio is not extremely decreased Keep the objects displayed in the area or correct only the degraded image quality.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70)의 제 2 영역을 바라볼 때 열화되는 영상을 보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멀리 있는 제 2 영역의 영상 정보는 그대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제어나 픽셀(pixel) 제어하여 명도 비가 높일 수 있다.In order to correct an image deteriorated when a user located on a side of the display unit 170 views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unit 170, the controller 150 outputs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area far from the user's position as it is ,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second area close to the user's position may be controlled by local dimming or pixel control to increase the brightness ratio.

여기서, 로컬 디밍(local dimming) 제어란, 예를 들어 LED 디스플레이 모듈이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발광 다이오드(LED) 등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영상의 밝은 부분은 더욱 밝게 하고 어두운 부분은 더욱 어둡게 함으로써, 휘도나 명도비를 보상하는 방식이다. 한편, 픽셀(Pixel) 제어란 명도비가 떨어지는 픽셀 데이터 값을 그레이 또는 블랙에 해당하는 값으로 변경하는 것을 가리킨다. Here, the local dimming control is performed by, for example, an LED display module or a backlight unit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the like as a light source on the back surface of a display panel, Thereby compensating for the brightness and the brightness ratio. On the other hand, pixel control refers to changing the pixel data value in which the brightness ratio falls to a value corresponding to gray or black.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LED 디스플레이 모듈이나 또는 LED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기본적인 로컬 디밍 제어가 수행된 상태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시청 위치 및 시야각에 근거하여 2 차 로컬 디밍 또는 픽셀 제어를 수행한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ondary local dimming or pixel control is performed based on the detected viewing position and viewing angle of the user in a state where basic local dimming control is performed through the LED display module or the LED backlight unit.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을수록 상기 복수의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 대한 로컬 디밍 제어 또는 픽셀 제어의 명도 비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brightness ratio of the local dimming control or the pixel control to be larger for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plurality of second areas as the detected viewing angle of the user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한편, 상술한 화질 보정 또는 스케일링을 위한 객체의 크기변경, 이동 표시, 특정 영역에 대한 로컬 디밍 제어나 픽셀 제어는 위에서 설명한 조건들을 만족한 경우 자동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할 것이나, 사용자 입력에 의한 영상 보정 명령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change, the movement display, the local dimming control or the pixel control for the image quality correction or scaling for the image quality correction or the scaling are performed automatically when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are satisfied. However, Command. ≪ / RTI >

또한, 단계 S404에서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간의 거리 값이 기설정된 임계범위의 미만인 경우, 즉, 사용자의 시청거리가 디스플레이부(170)에 가까운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베젤부(미도시)의 하단에 상기 영상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I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unit 170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range, that is, if the viewing distance of the user is close to the display unit 170 in step S404, (Graphic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unit 170 or a bezel (not shown) formed along the front edge of the display unit.

이와 관련하여,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자의 시청 위치가 기설정된 임계범위보다 더 가까운 경우,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출력되는 것을 보여준다.In this regard, FIGS. 8A and 8B show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screen when a viewing position of a user is closer to a preset threshold range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70)에 매우 가깝게 접근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되는 영상이 시야에 모두 들어오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려고 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되는 영상에서 특정 객체에 관심을 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A,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display unit 170 very close to the display unit 170,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is not entirely visibl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5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wants to control the imag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70, or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shows interest in the specific object.

이에,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70)의 하단이나 베젤부(미도시)의 하단에 영상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810),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 메뉴 아이콘, EPG 정보를 포함한 인디케이터, 채널변경 또는 볼륨조절 키와 같은 소프트 키 등을 출력할 수 있다. 8B,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810 for controlling image information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170 or at a lower end of a bezel (not shown), for example, A menu icon, an indicator including EPG information, a soft key such as a channel change or volume control key, and the like.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70)나 베젤부의 하단 영역에 기설정된 방식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가 감지된 경우, 숨겨진 GUI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GUI 주변에는 LED 소자를 이용한 발광효과를 출력될 수 있다. Also,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a hidden GUI when a predetermined type of touch or proximity touch is detected in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unit 170 or the bezel unit. At this time, a light emission effect using an LED element may be outputted around the GUI.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촬영부(19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대응되는 지점 또는 영역에 상기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50 may output the GUI (Graphic User Interface) to a corresponding point or are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recogniz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190. [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촬영부(19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시선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예, 5초) 디스플레이부(170)의 특정 객체에 고정된 경우, 해당 객체에 대해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170)의 하단이나 측면쪽에 해당 객체와 관련된 추가 검색을 위한 팝업창이나 검색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user's gaze recogniz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190 is fixed to a specific object of the display unit 17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five seconds), the control unit 150 displays interest It is possible to output a pop-up window or search result for additional search related to the object on the lower or side of the display unit 17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와 디스플레이부(170)간의 거리 값이 기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즉,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서는 영상이 왜곡되거나 화질이 열화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 대한 휘도 보상치가 가장 작은 영역, 즉 최적영역범위내로 사용자를 유도하기 위한 소정의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unit 170 is out of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or the viewing angle of the detected user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at is, When the image is distorted or the image quality deteriorates, the controller 170 outputs a predetermined alarm for guiding the user to the area having the smallest luminance compensation value for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display unit 170, can do.

여기서, 소정의 알람은 음성 안내, 공간 리모컨(200)에의 진동, 또는 디스플레이부(170)에의 메시지 또는 이미지 표시 형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alarm may be any one of a voice guidance, a vibration to the space remote control 200, a message to the display unit 170, or an image display mode.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이상에서 설명한 영상 보정을 수행하기 전에 영상 보정 모드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50 may determine whether the image correction mode has been entered before performing the image correction described above.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70)에 소정의 영상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예, 공간 리모컨(200)을 이용한 특정 키입력, 음성명령, 제스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된 영상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영상 보정 모드에 진입한다.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70 to display predetermined imag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70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user input (e.g., a specific key input, a voice command, or a gesture input using the space remote control 200) The display unit 170 enters an image correction mode for correcting the image information.

이때, 영상 보정 모드에의 진입을 알리기 위한 소정의 알람이 출력되거나, 또는 영상 보정 모드 상태임을 나타내는 알람(예, 보정중임을 나타내는 표시자나 알림음)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보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대응되는 알람을 출력하거나 영상 보정 모드 상태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alarm for notifying the entry into the image correction mode is outputted, or an alarm indicating that the image correction mode is in operation (for example, an indicator indicating that the image is being corrected or a notification sound) may be output. When the image correction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50 outputs a corresponding alarm or an indicator indicating that the image correction mode is in the state of disappearing from the screen.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0)는 평평한 형상을 갖는 제 1 영역과 곡선 형상을 갖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지며, 제 2 영역의 곡률(R)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음을 전제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ere, the display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gion having a flat shape and a second region having a curved shape, and the curvature R ) Can be modified by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디스플레이부(170)에서 평평한 형상을 갖는 제 1 영역과 곡선 형상을 갖는 제 2 영역에 영상 정보가 출력된다(S901). 이때, 제 1 및 제 2 영역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영상 정보가 출력되거나, 서로 다른 영상 정보가 출력되거나, 또는 제 1 영역에는 영상정보가 출력되고 제 2 영역에는 제 1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키가 출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first, in the display unit 170, image information is output to a first area having a flat shape and a second area having a curved shape (S901).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one image information is output, different image information is output, or imag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first area and is output to the first area in the second area,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and second areas A control key for controlling the video information can be output.

제어부(150)는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되는 영상정보에 대한 영상 보정 모드에 진입한 것을 인식한다(S901).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나 오디오 출력부(180)에 영상 보정 모드에의 진입과 영상 보정 중임을 나타내는 알람이 출력된다(S903).When the predetermined user input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50 recognizes that the image correction mode for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display unit 170 is entered (S901). At this time, an alar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and the audio output unit 180 indicating that the image is being corrected and the image is being corrected (S903).

이와 같이, 영상 보정 모드에 진입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촬영부(190)를 구동하여 사용자의 위치(또는, 사용자의 얼굴, 사용자의 눈동자)를 인식한다(S904). 영상표시장치(100)는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와 디스플레이부(170)간의 거리 값과 디스플레이부(170)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검출한다(S905).In this manner, when the image correction mode is entered, the control unit 150 drives the photographing unit 190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user (or the user's face or the user's eyes) (S904).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etects a distance valu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unit 170 and a viewing angl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170 based on the recognized user's position (S905).

그러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50)는 검출된 거리 값과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서 곡선 형상을 갖는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를 조절한다(S906).Then, the control unit 15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djusts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second region having a curved shape on the display unit 170 based o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the viewing angle (S906).

이를 위해,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70)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부(170)의 형상을 지지하는 백 커버(175)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를 조절하는 액츄에이터(198, 도 1)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검출된 거리 값과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198)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액츄에이터(198)에 제공한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n actuator (not shown) connected to the back cover 175 for supporting the shape of the display unit 170 at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170, 198, Figure 1). Further, the control unit 15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198 based o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the viewing angle, and provides the control signal to the actuator 198.

이때, 곡선 형상을 갖는 제 2 영역이 평평한 형상을 갖는 제 1 영역을 중심으로 분리된 복수의 영역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복수의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를 각각 조절하기 위한 제 1 액츄에이터 및 제 2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region having a curved shape is a plurality of reg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around the first region having a flat shap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degree of curvature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actuator for respectively adjusting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이와 같이 복수의 액츄에이터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검출된 거리 값과 사용자의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 plurality of actuators ar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to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respectively, based o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70)를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의 휘도값은 더욱 낮아지게 된다. Specifically, when the user is located on the sid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170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detected user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luminance value of the image output to the second region close to the user's position is lowered do.

이에, 상기 제어부(150)는, 복수의 제 2 영역 중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를 제 1 값(휘어짐이 '0' 또는 '음의 값'이 될 수 있음)으로 변경하고,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멀리 있는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를 상기 제 1 값보다 큰 제 2 값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각각 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멀리 있는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을 측면에서도 몰입감 있게 시청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changes the degree of warping of the second region closer to the position of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regions to a first value (warp can be '0' or 'negative value') And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so as to change the degree of warping of the second region away from the position of the user to a second value larger than the first value. Thereby, the image outputted to the second area far from the user's position can be watched with immersion from the side.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제 2 영역과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멀리 있는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 대해, 서로 다른 로컬 디밍 제어 또는 픽셀 제어의 보상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디밍(dimming) 값을 크게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apply different local dimming control or pixel control compensation values to image information output to a second area close to the user's location and a second area remote from the user's location have. That is, a dimming value for an image output to the second area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user can be largely applied.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70)에서 가까이 위치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50)는 복수의 제 2 영역이 전방으로 더욱 휘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user is located close to the display unit 170, the controller 15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so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regions are further bent forward. Thus, the immersion feeling of the user can be further improved.

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70)로부터 멀리 위치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50)는 복수의 제 2 영역이 평평한 형상과 유사하거나 동일해지도록 휘어짐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70)를 바라볼 때 영상이 오목하게 보여지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is located far away from the display unit 170, the controller 15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to control the warping so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regions are similar to or the same as the flat shape Can be output. Thus, the problem that the image is seen concave when the user looks at the display unit 170 can be solved.

또한, 이와 같은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는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의 타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정보의 장르가 영화와 같이 사용자의 몰입감을 더욱 중요시하는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50)는 제 2 영역이 전방으로 더욱 휘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egree of warping of the second area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display unit 170. [ For example, if the genre of the image information is more important to the user's immersion feeling, such as a movie, the controller 150 can control the second region to be further bent forward.

또한,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는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190)에 의한 인식 결과, 한 명이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에는 몰입감에 중시하여 제 2 영역이 전방으로 더욱 휘어지도록 하고, 다수인이 영상을 함께 시청하는 경우에는 제 2 영역의 평평한 형상과 유사하거나 동일해지도록 휘어짐을 조절할 수 있다.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second area may b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users viewing the imag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70. [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one person views an image as a result of recognition by the photographing unit 190, the second region is bent more forward by giving importance to immersion, and when a plurality of people watch an image together, The warpage can be adjusted so as to be similar to or the same as that of the flat shape of FIG.

한편, 이와 같이 곡선 형상을 갖는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의 조절은 다른 센서값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djustment of the degree of warping of the second region having such a curved shape can be made based on other sensor value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인가되는 빛의 량, 빛의 방향, 및 주변 조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의 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빛의 량, 빛의 방향, 및 주변 조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not shown) capable of sensing at least one of the amount of light, the direction of light, Time). Alternatively,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receive a sig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n amount of light sensed through an external sensor (not shown), a direction of light, and an ambient illuminance.

그러면, 상기 제어부(150)는 감지된(또는 수신된) 빛의 량, 빛의 방향, 및 주변 조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검출된 거리 값 및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의 휘도 보상치를 다르게 적용한다.Then,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areas to output the first and second area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amount of light, the direction of the light, and the surrounding illuminance, and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the viewing angle. The luminance compensation value of the image information is differently applied.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시청 몰입감을 보다 항샹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위치나 화면을 바라보는 시야각에 따라 최적을 화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휘도 보상치를 적용함으로써, 어느 지점이나 어느 시야각에서든 열화 없는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시청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을 비선형적으로 스케일링하거나 로컬 디밍(local dimming) 제어 또는 픽셀(pixel)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화면을 바라보는 시야각에 따라 휘도가 낮게 보이는 영역의 객체들을 시안성이 확보되는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크기 변경하여 출력한다. 또는, 주변의 조도나 사용자의 시청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 정도가 하드웨어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viewing immersion feeling of the user and to provide the optimum image quality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or the position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image quality without deterioration at any point or at any viewing angle by applying different luminance compensation values. For this purpos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non-linearly scaled or local dimming control or pixel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viewing position of the user. In addition, the objects in the area where the luminance is low are shifted to another area where the cyanity is ensured or the siz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viewed by the user. Alternatively, the degree of warpage of the display unit may be changed in hardware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illuminance and the viewing position of the user, thereby providing a convenient environment for the user.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restrictive in every respec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Claims (19)

백 커버;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백 커버의 형상에 대응되게 전방으로 휘어지도록 이루어지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영상 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소정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촬영부;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 간의 거리 값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거리 값과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의 휘도 보상치를 다르게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Back cover;
A display unit including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area and being bent forwar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ack cover and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to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 photographing unit for recognizing a position of a user 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display unit;
A detector for detecting a distance value between the display units and a viewing angl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recognized user's position;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different luminance compensation values of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areas based o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the viewing ang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거리 값이 기설정된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영상 정보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비선형(non-linear)적으로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exceeds a preset threshold range,
And compensates nonlinearly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second area to correct the distor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영상 정보는 그대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는 스케일링 다운되도록 오버스캔(over scan)으로 설정하여 상기 비선형(non-linear)적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rein the non-linear compensation is performed by outputt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area as it is and setting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second area as an over scan so as to be scaled down. Video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거리 값이 상기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정도가 커질수록, 상기 제 2 영역에 대한 휘도 보상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d increases the luminance compensation value for the second area as the degree of the detected distance value exceeds the threshold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영상 정보 중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의 크기를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user is located on the sid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detected user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o change the size of the object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mong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display unit and to output the changed s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영상 정보 중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가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user is located on the sid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detected user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object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of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display unit in the first are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더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가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대향되는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hotographing unit further recognizes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Wherein,
When the user is located on the sid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detected user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controls the object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to be displayed at a position opposite to a direction of the user's ey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을 중심으로 분리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를 사용자의 위치에서 멀리 있는 제 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reg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g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around the first region,
Wherein,
When the user is located on the sid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detected user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moves an object displayed in a second area close to the user's position to a second area far from the user's loc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멀리 있는 제 2 영역의 영상 정보는 그대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는 디밍 제어나 픽셀 제어하여 명도 비가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area far from the user's position is outputted as it is and the image information outputted to the second area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user is subjected to dimming control or pixel control so as to increase the brightness ratio.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을수록 상기 복수의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 대한 로컬 디밍 제어 또는 픽셀 제어에 따른 명도 비가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nd controls the brightness ratio according to the local dimming control or the pixel control to be larger for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plurality of second areas as the detected viewing angle of the user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거리 값이 기설정된 임계범위의 미만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베젤부의 하단 영역에 상기 영상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f the detected distance valu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for controlling the image information in a lower area of a bezel formed along a front edge of the display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단 영역에 기설정된 방식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가 감지되면, 숨겨진 GUI가 나타나도록 하고, 상기 GUI 주변에 LED 소자를 이용한 발광효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idden GUI to be displayed when a predetermined touch or proximity touch is detected in the lower area and to output a light emission effect using the LED device around the GUI.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거리 값이 기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휘도 보상치가 가장 작은 영역으로 사용자를 유도하기 위한 소정의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is out of a preset threshold range or when the detected user's viewing angl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outputs a predetermined alarm for guiding the user to an area having the smallest luminance compensation value for the imag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영상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영상 보정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영상 보정 모드 상태임을 나타내는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enter an image correction mode for correcting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display unit and output an alarm indicating the image correction mode when the predetermined user input is a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거리 값과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ctuator coupled to the back cover for adjusting a degree of warping of the second region.
Wherein,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based o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the viewing angl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을 중심으로 분리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백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를 각각 조절하기 위한 제 1 액츄에이터 및 제 2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거리 값과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econd reg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g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around the first region,
Further comprising a first actuator and a second actuator connected to the back cover for respectively adjusting a degree of warping of the plurality of second regions,
Wherein,
And outputs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for resp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based o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detected user.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야각이 기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 2 영역 중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를 제 1 값으로 변경하고,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멀리 있는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를 상기 제 1 값보다 큰 제 2 값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n the user is located on the sid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detected user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Wherein,
Changing the degree of warping of the second region closer to the position of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regions to the first value and changing the degree of warping of the second region farther away from the position of the user to a second value larger than the first value And controls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 1 및 제 2 영역에 인가되는 빛의 량, 빛의 방향, 및 주변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빛의 량, 빛의 방향, 및 주변 조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검출된 거리 값 및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의 휘도 보상치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t least one of an amount of light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areas of the display unit, a direction of the light, and a surrounding illuminance,
Wherein,
The luminance compensation value of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areas is controlled differentl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amount of light, the direction of light, and the ambient illuminance, and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viewing angle To be displayed.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백 커버의 형상에 대응되게 전방으로 휘어지도록 이루어진 제2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에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소정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 간의 거리 값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거리 값과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의 휘도 보상치를 다르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to a display unit including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area and being bent forwar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back cover;
Recognizing a position of a us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display unit;
Detecting a distance value between the display units and a viewing angl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recognized user's position; And
And controlling the luminance compensation values of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areas differently based on the detected distance value and the viewing angle.
KR20130098049A 2013-08-19 2013-08-19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500209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049A KR20150020920A (en) 2013-08-19 2013-08-19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049A KR20150020920A (en) 2013-08-19 2013-08-19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920A true KR20150020920A (en) 2015-02-27

Family

ID=5257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8049A KR20150020920A (en) 2013-08-19 2013-08-19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0920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760A1 (en) * 2016-08-12 2018-02-15 (주)코텍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uminance of oled display device
KR20180036838A (en) * 2016-09-30 2018-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80097804A (en) * 2017-02-23 2018-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JP2019008168A (en) * 2017-06-26 2019-01-17 ローム株式会社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US10579206B2 (en) 2016-12-14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WO2020067701A1 (en) * 2018-09-27 2020-04-02 삼성전자(주)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recording medium
WO2024101645A1 (en) * 2022-11-08 202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i thereof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760A1 (en) * 2016-08-12 2018-02-15 (주)코텍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uminance of oled display device
KR20180036838A (en) * 2016-09-30 2018-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579206B2 (en) 2016-12-14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KR20180097804A (en) * 2017-02-23 2018-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JP2019008168A (en) * 2017-06-26 2019-01-17 ローム株式会社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WO2020067701A1 (en) * 2018-09-27 2020-04-02 삼성전자(주)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recording medium
US11423815B2 (en) 2018-09-27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WO2024101645A1 (en) * 2022-11-08 202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i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958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US966123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50020920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50014290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KR20140109168A (en) Imag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50001139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50005131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KR20160053663A (en) Image display devic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KR102086346B1 (en) Audio extension module
KR20190102443A (en)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EP2793104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image display device
KR20150019123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KR102471913B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KR20150006276A (en) Conte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60083737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KR20170022333A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KR20170030351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06382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KR102149200B1 (en) Input module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369588B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KR20150026328A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557573B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KR201500517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image display device
KR20240058148A (en) Transparent display with variable light blocking panel, video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25562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