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906A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906A
KR20150020906A KR20130098010A KR20130098010A KR20150020906A KR 20150020906 A KR20150020906 A KR 20150020906A KR 20130098010 A KR20130098010 A KR 20130098010A KR 20130098010 A KR20130098010 A KR 20130098010A KR 20150020906 A KR20150020906 A KR 20150020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data
gamma
skin tone
data block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7025B1 (ko
Inventor
최남곤
고준철
김기근
백윤기
장용준
김아름
박근정
박철우
소정훈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8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025B1/ko
Priority to US14/177,089 priority patent/US9368055B2/en
Publication of KR20150020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6Determination of movement vectors or equivalent parameters within the image

Abstract

표시 장치는 영상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간의 계조 차이가 임계치 이하인 화소 데이터 블록을 검출하는 유사 계조 블록 검출부,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서 스킨톤을 검출하는 스킨톤 검출부,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내지 않을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1 감마를 적용하는 제1 감마부, 및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낼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제2 감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field generating electrode)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방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 중에서도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액정 분자를 그 장축이 표시판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한 수직 배향 방식(vertically aligned mode) 액정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수직 배향 방식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장으로 액정 분자의 장축이 수직에서 수평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계조의 영상을 표시한다. 수직 배향 방식 액정 표시 장치는 정면에서는 원하는 계조의 영상이 시인되는데 반해, 측면에서는 액정 분자의 기울어지는 정도가 정면과 달라져서 원하지 않는 계조의 영상이 시인되는 단점이 있다. 즉, 수직 배향 방식 액정 표시 장치에서 고계조의 영상이 표시될 때에는 정면에서의 광투과율보다 측면에서의 광투과율이 낮아지고, 저계조의 영상이 표시될 때에는 정면에서의 광투과율보다 측면에서의 광투과율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측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간의 계조 차이가 임계치 이하인 화소 데이터 블록을 검출하는 유사 계조 블록 검출부,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서 스킨톤을 검출하는 스킨톤 검출부,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내지 않을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1 감마를 적용하는 제1 감마부, 및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낼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제2 감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감마는 하나의 감마를 포함하는 단일 감마일 수 있다.
상기 제2 감마는 복수의 감마를 포함하는 다중 감마일 수 있다.
상기 제2 감마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서로 다른 감마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마부는 홀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서로 다른 복수의 제1 감마를 적용하고, 짝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감마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마의 곱은 기준 감마값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은 적색 계조값, 녹색 계조값 및 청색 계조값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톤 검출부는 상기 적색 계조값이 상기 녹색 계조값보다 크고, 상기 적색 계조값이 상기 녹색 계조값보다 큰 경우에 해당 화소 데이터가 스킨톤을 나타내는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스킨톤 검출부는 상기 녹색 계조값 및 상기 청색 계조값에 미리 정해진 보정 파라미터를 곱하여 상기 적색 계조값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를 HSV 데이터로 변환하는 HSV 색공간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킨톤 검출부는 HSV 데이터에서 색상 및 채도가 미리 정해진 스킨톤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스킨톤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의 색상 히스토그램이 스킨톤을 나타내는 색상 분포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로 해당 화소 데이터가 스킨톤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를 기반으로 이전 프레임의 영상과 현재 프레임의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현재 영상이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어느 것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정지 영상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영상이 정지 영상일 때, 상기 제2 감마부는 홀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1 감마를 적용하고, 짝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영상이 동영상일 때, 상기 제2 감마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서로 다른 감마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서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 검출부, 및 상기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에지에 대해 단일 감마 및 다중 감마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는 제3 감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영상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간의 계조 차이가 임계치 이하인 화소 데이터 블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서 스킨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내지 않을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1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낼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낼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서로 다른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낼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는, 홀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서로 다른 복수의 제1 감마를 적용하고, 짝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낼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는, 홀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제1 감마를 적용하고, 짝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를 기반으로 이전 프레임의 영상과 현재 프레임의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현재 영상이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어느 것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낼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영상이 정지 영상일 때, 홀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1 감마를 적용하고, 짝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낼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영상이 동영상일 때,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서로 다른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시인성이 취약한 부분을 선별하여 다중 감마를 적용함으로써 영상의 측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와 정지 영상인 경우를 구분하여 공간 분할 다중 감마 및 시분할 다중 감마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측면 시인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수직 배향 방식 액정 표시 장치에서 광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화소 데이터 블록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측면 시인성이 취약한 부분의 에지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측면 시인성이 취약한 부분의 에지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감마를 적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4중 감마를 적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2중 감마를 적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2중 감마를 적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및 시분할 4중 감마를 적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단일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와 액정의 구동 전압의 관계를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단일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에 따른 정면 휘도와 측면 휘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공간 분할 2중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와 액정의 구동 전압의 관계를 실험한 결과를 나태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공간 분할 2중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에 따른 정면 휘도와 측면 휘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공간 분할 4중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와 액정의 구동 전압의 관계를 실험한 결과를 나태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공간 분할 4중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에 따른 정면 휘도와 측면 휘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신호 제어부(100), 주사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액정 표시판 조립체(liquid crystal panel assembly)(400) 및 데이터 처리 장치(500)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판 조립체(400)는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PX), 복수의 주사선(S1~Sn) 및 복수의 데이터선(D1~Dm)을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PX)는 복수의 주사선(S1~Sn) 및 복수의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주사선(S1~Sn)은 대략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복수의 데이터선(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액정 표시판 조립체(400)의 바깥 면에는 빛을 편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자(미도시)가 부착된다.
데이터 처리 장치(5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R, G, B)에 단일 감마, 2중 감마, 4중 감마 등을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보상 영상 신호(R', G', B')를 생성한다. 영상 신호(R, G, B)는 복수의 화소의 휘도(luminance) 정보를 담고 있다. 휘도는 정해진 수효, 예를 들어, 1024(=210), 256(=28) 또는 64(=26)개의 계조(gray)를 가지고 있다. 데이터 처리 장치(500)는 측면 시인성이 취약한 부분을 선별하여 다중 감마를 적용하여 보상 영상 신호(R', G', B')을 생성함으로써 영상의 측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신호 제어부(100)는 데이터 처리 장치(500)로부터 보상 영상 신호(R', G', B')를 수신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동기 신호를 수신한다. 동기 신호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메인 클록 신호(MCLK)를 포함한다.
신호 제어부(100)는 보상 영상 신호(R', G', B'),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메인 클록 신호(MCLK)에 따라 제1 구동 제어신호(CONT1), 제2 구동 제어신호(CONT2) 및 영상 데이터(DAT)를 생성한다. 신호 제어부(100)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보상 영상 신호(R', G', B')를 구분하고, 수평 동기 신호(Hsync)에 따라 주사 라인 단위로 보상 영상 신호(R', G', B')를 구분하여 영상 데이터(DAT)를 생성한다. 신호 제어부(100)는 제1 구동 제어신호(CONT1)를 주사 구동부(200)에 전달한다. 신호 제어부(100)는 영상 데이터 신호(DAT)를 제2 구동 제어신호(CONT2)와 함께 데이터 구동부(300)로 전달한다.
주사 구동부(200)는 복수의 주사선(S1~Sn)에 연결되고, 제1 구동 제어신호(CONT1)에 따라 복수의 주사 신호를 생성한다. 주사 구동부(200)는 복수의 주사선(S1~Sn)에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고, 제2 구동 제어신호(CONT2)에 따라 입력된 영상 데이터(DAT)를 샘플링 및 홀딩하고, 복수의 데이터선(D1~Dm)에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데이터선(D1~Dm)에 소정의 전압 범위를 갖는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다.
상술한 구동 장치(100, 200, 300, 50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액정 표시판 조립체(400) 위에 직접 장착되거나,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위에 장착되거나 TCP(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액정 표시판 조립체(400)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위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구동 장치들(100, 200, 300, 500)은 복수의 주사선(S1~Sn) 및 복수의 데이터선(D1~Dm)과 함께 액정 표시판 조립체(40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이하, 측면 시인성이 취약한 부분을 선별하여 다중 감마를 적용하여 보상 영상 신호(R', G', B')을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 장치(500)는 유사 계조 블록 검출부(510), 스킨톤 검출부(520), 에지 검출부(530), 감마 처리부(550) 및 정지 영상 검출부(560)를 포함한다. 감마 처리부(550)는 제1 감마부(551), 제2 감마부(552) 및 제3 감마부(553)를 포함한다.
유사 계조 블록 검출부(510)는 영상 신호(R, G, B)를 수신하고, 영상 신호(R, G, B)에서 유사한 계조값을 가지는 화소 데이터 블록을 검출한다. 유사 계조 블록 검출부(510)는 한 프레임의 영상 신호(R, G, B)에서 N×N 화소 데이터 블록을 선택하고,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간의 계조 차이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유사한 계조값을 가지는 화소 데이터 블록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유사 계조 블록 검출부(510)는 N×N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화소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을 산출하고 각 화소 데이터의 계조값과 평균 계조값의 차이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유사한 계조값을 가지는 화소 데이터 블록을 검출할 수 있다.
화소 데이터 블록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8×8 화소 데이터 블록, 4×4 화소 데이터 블록 등이 선택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4×4 화소 데이터 블록이 선택되는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화소 데이터 블록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프레임의 영상 신호(R, G, B)에서 4×4 화소 데이터 블록이 선택된다. 4×4 화소 데이터 블록에는 16개의 화소 데이터가 포함된다. 각 화소 데이터에는 적색, 녹색, 청색의 부화소 데이터가 포함된다. 즉, 화소 데이터에는 적색 부화소 데이터, 녹색 부화소 데이터 및 청색 부화소 데이터가 포함된다.
유사 계조 블록 검출부(510)는 16개의 화소 데이터 각각의 적색 부화소 데이터의 계조값 간의 차이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이고, 16개의 화소 데이터 각각의 녹색 부화소 데이터의 계조값 간의 차이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이고, 16개의 화소 데이터 각각의 청색 부화소 데이터의 계조값 간의 차이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유사 계조 블록 검출부(510)는 적색 부화소 데이터, 녹색 부화소 데이터 및 청색 부화소 데이터 각각의 계조값의 차이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 4×4 화소 데이터 블록을 유사한 계조값을 가지는 화소 데이터 블록으로 검출한다. 검출된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는 유사한 색을 표시하는 화소 데이터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유사 계조 블록 검출부(510)는 유사한 계조값을 가지는 화소 데이터 블록을 스킨톤 검출부(520)에 전달한다. 유사 계조 블록 검출부(510)는 유사한 계조값을 가지지 않는 화소 데이터 블록, 즉 화소 데이터 간에 계조값의 차이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화소 데이터 블록을 에지 검출부(530)에 전달한다. 유사 계조 블록 검출부(510)는 에지 검출부(530)에서 검출되는 에지 부분에 대한 스킨톤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 유사한 계조값을 가지지 않는 화소 데이터 블록을 스킨톤 검출부(52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스킨톤 검출부(520)는 화소 데이터 블록에서 스킨톤(skin-tone)을 검출한다. 영상에서 시청자는 배경보다 사람이나 동물에 주의를 집중하게 되는데, 사람이나 동물의 피부색이 다른 색상에 비해 측면 시인성에 취약한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스킨톤 검출부(520)는 측면 시인성에 취약한 스킨톤을 검출한다. 스킨톤은 영상에서 측면 시인성이 취약한 색상을 의미한다. 특히, 스킨톤은 사람이나 동물의 피부색을 의미할 수 있다.
스킨톤 검출부(520)는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화소 데이터의 적색, 녹색, 청색 각각의 계조값을 비교하여 스킨톤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톤 검출부(520)는 화소 데이터의 적색 계조값이 녹색 계조값보다 크고, 적색 계조값이 청색 계조값보다 큰 경우 해당 화소 데이터가 스킨톤을 나타내는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스킨톤 검출부(520)는 녹색 계조값 및 청색 계조값에는 미리 정해진 보정 파라미터를 곱하여 적색 계조값과 비교할 수 있다. 보정 파라미터는 실험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스킨톤을 검출하는 다른 방법으로, 스킨톤 검출부(520)는 화소 데이터 각각의 색상 히스토그램(histogram)을 이용할 수 있다. 색상 히스토그램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분포를 나타낸다. 스킨톤 검출부(520)는 색상 히스토그램에서 스킨톤을 나타내는 색상 분포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화소 데이터 각각의 색상 히스토그램이 색상 분포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로 스킨톤을 검출할 수 있다. 스킨톤을 나타내는 색상 분포 범위는 실험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스킨톤 검출부(520)는 색상 히스토그램이 색상 분포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 데이터를 저역 통과 필터를 통과시켜 최종적으로 스킨톤을 나타내는 화소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화소 데이터 블록이 유사한 계조값을 가지는 화소 데이터 블록인 경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하나의 화소 데이터가 스킨톤을 나타내는 것으로 검출되면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모든 화소 데이터가 스킨톤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화소 데이터 블록이 유사한 계조값을 가지지 않는 화소 데이터 블록인 경우, 스킨톤 검출부(520)는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화소 데이터 각각의 스킨톤을 검출하고, 스킨톤을 나타내는 화소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에지 검출부(530)에 전달할 수 있다.
스킨톤 검출부(520)는 스킨톤을 나타내지 않는 화소 데이터 블록을 제1 감마부(551)에 전달하고, 스킨톤을 나타내는 화소 데이터 블록을 제2 감마부(552)에 전달한다.
에지 검출부(530)는 화소 데이터 블록에서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에지(edge)를 검출한다. 유사한 계조값을 가지지 않는 화소 데이터 블록은 스킨톤을 나타내지 않을 수도 있으나,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와 다른 객체 간의 경계를 나타낼 수도 있다. 즉, 에지 검출부(530)는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와 다른 객체 간의 경계를 검출한다. 이때, 에지 검출부(520)는 스킨톤 검출부(520)로부터 스킨톤을 나타내는 화소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화소 데이터 블록에 스킨톤을 나타내는 화소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에 한하여 객체의 에지를 검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에지 검출부(530)는 에지 검출 필터를 이용하여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에지를 검출할 수 있다. 에지 검출부(530)는 N×N 화소 데이터 블록에 대응하는 N×N 에지 검출 필터를 이용하여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에지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에지 검출부(530)는 N×N 화소 데이터 블록보다 작은 크기의 n×n 에지 검출 필터를 이용하여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에지를 검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8×8 화소 데이터 블록에 대해 8×8 에지 검출 필터가 이용되거나, 8×8 화소 데이터 블록에 대해 4×4 에지 검출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또는, 4×4 화소 데이터 블록에서 3×3 화소 데이터 블록을 추출하고, 추출된 3×3 화소 데이터 블록에 대해 3×3 에지 검출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여, 3×3 화소 데이터 블록에 대해 3×3 에지 검출 필터가 이용되는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측면 시인성이 취약한 부분의 에지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3×3 화소 데이터 블록에 3×3 에지 검출 필터가 곱해진다. 3×3 에지 검출 필터는 양의 스케일 계수와 음의 스케일 계수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양의 스케일 계수가 12이고 음의 스케일 계수가 -2인 것으로 예시하였다.
양의 스케일 계수는 3×3 에지 검출 필터의 가운데 부분인 2행 2열에 위치한다. 음의 스케일 계수는 3×3에지 검출 필터에서 1행 및 3행의 행 방향으로 6개가 위치한다. 양의 스케일 계수와 음의 스케일 계수의 전체 합은 0이 된다.
3×3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화소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스케일 계수가 곱해진 후, 각 화소 데이터의 합(SUM)이 산출된다. 일반적으로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계조값은 주변의 다른 객체의 계조값보다 크다.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에지가 3×3 화소 데이터 블록의 1행 또는 3행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케일 계수가 곱해진 화소 데이터의 합(SUM)은 음의 값으로 산출된다. 화소 데이터의 합(SUM)이 미리 정해진 음의 임계치보다 작게 산출되면, 해당 화소 데이터 블록은 행 방향의 에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와 달리 3×3 에지 검출 필터에서 1열 및 3열의 열 방향으로 6개의 음의 스케일 계수가 위치한다.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에지가 3×3 화소 데이터 블록의 1열 또는 3열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케일 계수가 곱해진 화소 데이터의 합(SUM)이 음의 값으로 산출된다. 화소 데이터의 합(SUM)이 미리 정해진 음의 임계치보다 작게 산출되면, 해당 화소 데이터 블록은 열 방향의 에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4×4 화소 데이터 블록에서 3×3 화소 데이터 블록은 4개 추출될 수 있으며, 4개의 3×3 화소 데이터 블록 각각에 3×3 에지 검출 필터를 적용하여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에지를 검출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4×4 화소 데이터 블록에 대해 4회의 에지 검출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에지 검출의 정확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4 및 5는 에지 검출 필터의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에지 검출 필터의 크기 및 에지 검출 필터에 포함되는 스케일 계수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에지 검출 필터의 크기 및 에지 검출 필터에 포함되는 스케일 계수는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즉, 에지 검출부(530)는 다양한 종류의 에지 검출 필터를 이용하여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에지를 검출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에지 검출부(530)는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에지를 나타내는 화소 데이터 블록을 제3 감마부(553)에 전달하고,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에지를 나타내지 않는 화소 데이터 블록을 제1 감마부(551)에 전달한다.
제1 감마부(551)는 화소 데이터 블록에 단일 감마 또는 시분할 2중 감마를 적용한다. 단일 감마의 값은 기준 감마값인 2.2 일 수 있다. 시분할 2중 감마는 홀수 프레임에서 적용되는 제1 감마 및 짝수 프레임에서 적용되는 제2 감마를 포함한다. 제1 감마와 제2 감마는 서로 다른 감마값을 갖는다. 제1 감마값과 제2 감마값의 곱은 기준 감마값인 2.2가 될 수 있다. 제1 감마부(551)에 입력되는 화소 데이터 블록은 유사한 계조값을 가지는 화소 데이터 블록 중에서 스킨톤을 나타내지 않는 화소 데이터 블록과 유사한 계조값을 가지지 않는 화소 데이터 블록 중에서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에지를 나타내지 않는 화소 데이터 블록이다. 즉, 영상에서 스킨톤 이외의 부분에 대해 단일 감마가 적용된다.
제2 감마부(552)는 화소 데이터 블록에 다중 감마를 적용한다. 다중 감마는 공간 분할 다중 감마 및 시분할 다중 감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중 감마는 공간 분할 2중 감마, 공간 분할 4중 감마, 공간 및 시분할 2중 감마, 공간 및 시분할 4중 감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마부(552)에 입력되는 화소 데이터 블록은 유사한 계조값을 가지는 화소 데이터 블록 중에서 스킨톤을 나타내는 화소 데이터 블록이다. 즉, 영상에서 스킨톤 부분에 대해 다중 감마가 적용된다.
제3 감마부(553)는 화소 데이터 블록에 단일 감마 또는 다중 감마를 적용한다. 제3 감마부(553)에 입력되는 화소 데이터 블록은 유사한 계조값을 가지지 않는 화소 데이터 블록 중에서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에지를 나타내는 화소 데이터 블록이다. 즉, 영상에서 스킨톤 부분의 에지에 대해 단일 감마 또는 다중 감마가 적용된다.
정지 영상 검출부(560)는 영상 신호(R, G, B)를 수신하고, 영상 신호(R, G, B)를 기반으로 이전 프레임의 영상과 현재 프레임의 영상을 비교하여 현재 영상이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어느 것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이전 프레임의 영상 신호(R, G, B)와 현재 프레임의 영상 신호(R, G, B)가 동일한 경우 현재 프레임의 영상은 정지 영상인 것으로 판별된다. 이전 프레임의 영상 신호(R, G, B)와 현재 프레임의 영상 신호(R, G, B)가 다른 경우 현재 프레임의 영상은 동영상인 것으로 판별된다.
정지 영상 검출부(560)는 정지 영상 정보 및 동영상 정보를 감마 처리부(550)에 전달한다.
감마 처리부(550)는 정지 영상 정보에 수신되면 시분할 다중 감마를 적용하고, 동영상 정보가 수신되면 공간 분할 다중 감마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정지 영상 정보가 수신될 때, 제1 감마부(551)는 단일 감마 또는 시분할 2중 감마를 적용할 수 있고, 제2 감마부(552)는 시분할 다중 감마를 적용할 수 있고, 제3 감마부(553)는 단일 감마 또는 시분할 다중 감마를 적용할 수 있다.
동영상 정보가 수신될 때, 제1 감마부(551)는 단일 감마를 적용할 수 있고, 제2 감마부(552)는 공간 분할 다중 감마를 적용할 수 있고, 제3 감마부(553)는 단일 감마 또는 공간 분할 다중 감마를 적용할 수 있다.
정지 영상이 표시될 때, 공간 분할 감마를 적용하게 되면 가까운 시청거리에서 해상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시인될 수 있으나, 시분할 다중 감마를 적용함으로써 시청거리에 무관하게 측면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동영상이 표시될 때, 시분할 감마를 적용하게 되면 계조의 변동에 대응한 액정의 응답 불충으로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공간 분할 다중 감마를 적용함으로써 액정의 응답 불충분으로 인한 시인성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감마 처리부(550)에서 단일 감마 또는 다중 감마가 적용된 화소 데이터 블록을 보상 영상 신호(R', G', B')로서 출력된다.
이하, 도 6 내지 11을 참조하여, 화소 데이터 블록에 단일 감마 및 다중 감마가 적용되는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감마를 지시하는 부호(a, b, c, d)는 서로 다른 감마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부호가 동일한 감마값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감마를 적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4×4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되는 모든 화소 데이터에 단일 감마(a)가 적용되는 경우이다. 각 화소 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색 부화소 데이터, 녹색 부화소 데이터 및 청색 부화소 데이터 각각에 단일 감마(a)가 적용된다. 단일 감마(a)의 값은 기준 감마값인 2.2 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4중 감마를 적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4×4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되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를 2×2 화소 데이터 블록으로 구분할 때, 2×2 화소 데이터 블록에는 4개의 화소 데이터가 포함된다. 4개 화소 데이터 각각은 적색 부화소 데이터, 녹색 부화소 데이터 및 청색 부화소 데이터를 포함한다. 2×2 화소 데이터 블록에서 1 열의 화소 데이터에는 제1 감마(a)와 제3 감마(c)가 적용되고, 2열의 화소 데이터에는 제2 감마(b)와 제4 감마(d)가 적용된다.
이때, 제1 내지 제4 감마(a, b, c, d) 각각은 부화소 데이터 단위로 적용된다. 제1 감마(a)는 제3 감마(c)가 적용되는 부화소 데이터에 인접한 부화소 데이터에 적용되고, 제3 감마(c)는 제1 감마(a)가 적용되는 부화소 데이터에 인접한 부화소 데이터에 적용된다. 제2 감마(b)는 제4 감마(d)가 적용되는 부화소 데이터에 인접한 부화소 데이터에 적용되고, 제4 감마(d)는 제2 감마(b)가 적용되는 부화소 데이터에 인접한 부화소 데이터에 적용된다.
제1 내지 제4 감마(a, b, c, d)는 서로 다른 감마값을 가지며, 제1 내지 제4 감마값의 곱은 기준 감마값인 2.2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마값은 0.275, 제2 감마값은 1, 제3 감마값은 2, 제4 감마값은 4 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감마(a, b, c, d)의 감마값은 그 곱이 기준 감마값이 2.2가 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 프레임마다 제1 내지 제4 감마(a, b, c, d)가 부화소 데이터 각각에 적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2중 감마를 적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4×4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되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를 2×2 화소 데이터 블록으로 구분할 때, 2×2 화소 데이터 블록에 제1 감마(a)와 제3 감마(c)가 적용된다.
이때, 제1 감마(a) 및 제3 감마(c) 각각은 부화소 데이터 단위로 적용된다. 제1 감마(a)는 제3 감마(c)가 적용되는 부화소 데이터에 인접한 부화소 데이터에 적용되고, 제3 감마(c)는 제1 감마(a)가 적용되는 부화소 데이터에 인접한 부화소 데이터에 적용된다.
제1 감마(a) 및 제3 감마(c)는 서로 다른 감마값을 가지며, 제1 감마값 및 제3 감마값의 곱은 기준 감마값인 2.2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마값은 0.55이고 제3 감마값은 4 일 수 있다. 제1 감마(a) 및 제3 감마(c)의 감마값은 그 곱이 기준 감마값이 2.2가 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 프레임마다 제1 감마(a) 및 제3 감마(c)가 부화소 데이터 각각에 적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2중 감마를 적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4×4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되는 모든 화소 데이터에 대해 홀수 프레임에서 제1 감마(a)가 적용되고, 짝수 프레임에서 제4 감마(d)가 적용된다. 즉, 홀수 프레임에서 화소 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색 부화소 데이터, 녹색 부화소 데이터 및 청색 부화소 데이터 각각에 제1 감마(a)가 적용되고, 짝수 프레임에서 화소 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색 부화소 데이터, 녹색 부화소 데이터 및 청색 부화소 데이터 각각에 제4 감마(d)가 적용된다.
제1 감마(a) 및 제4 감마(d)는 서로 다른 감마값을 가지며, 제1 감마값 및 제4 감마값의 곱은 기준 감마값인 2.2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마값은 0.55이고 제4 감마값은 4 일 수 있다. 제1 감마(a) 및 제4 감마(d)의 감마값은 그 곱이 기준 감마값이 2.2가 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한 프레임 간에 서로 다른 감마가 부화소 데이터 각각에 적용된다. 즉, 시간적으로 서로 다른 감마가 부화소 데이터 각각에 적용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및 시분할 4중 감마를 적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4×4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되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를 2×2 화소 데이터 블록으로 구분할 때, 2×2 화소 데이터 블록에 대해 홀수 프레임에서 제1 감마(a) 및 제3 감마(c)가 적용되고, 짝수 프레임에서 제2 감마(b) 및 제4 감마(d)가 적용된다. 즉, 홀수 프레임에서 화소 데이터에 제1 감마(a) 및 제3 감마(c)가 적용되고, 짝수 프레임에서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b) 및 제4 감마(d)가 적용된다.
이때, 제1 감마(a)는 제3 감마(c)가 적용되는 부화소 데이터에 인접한 부화소 데이터에 적용되고, 제3 감마(c)는 제1 감마(a)가 적용되는 부화소 데이터에 인접한 부화소 데이터에 적용된다. 제2 감마(b)는 제4 감마(d)가 적용되는 부화소 데이터에 인접한 부화소 데이터에 적용되고, 제4 감마(d)는 제2 감마(b)가 적용되는 부화소 데이터에 인접한 부화소 데이터에 적용된다.
제1 내지 제4 감마(a, b, c, d)는 서로 다른 감마값을 가지며, 제1 내지 제4 감마값의 곱은 기준 감마값인 2.2가 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감마(a, b, c, d)의 감마값은 그 곱이 기준 감마값이 2.2가 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표 1은 제1 감마부(551), 제2 감마부(552) 및 제3 감마부(553)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단일 감마 및 다중 감마의 조합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A는 단일 감마를 의미하고, As, Bs, Cs는 공간 분할 감마를 의미하고, Ast, Bst는 공간 및 시분할 감마를 의미한다. As(3,4), Bs(1,2)는 2개의 감마로 공간 분할 감마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As(3,4)와 Bs(1,2)는 서로 다른 감마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Bs(1,2,3,4)는 4개의 감마로 공간 분할 감마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Ast(1,4)는 2개의 감마로 공간 분할 및 시분할 감마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Bst(1,2,3,4)는 4개의 감마로 공간 분할 및 시분할 감마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Ast(2,3) 및 Bst(1,4)는 2개의 감마로 공간 분할 및 시분할 감마를 적용하고, Ast(2,3)에서의 감마와 Bst(1,4)의 감마는 서로 다른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단일 감마 및 다중 감마를 적용함에 있어서, 공간 분할 및 시분할 감마를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예시되지 않은 조합일지라도 예시된 조합으로부터 자명하게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와 비교하여, 데이터 처리 장치(500)는 HSV 색공간 변환부(540)를 더 포함한다.
HSV 색공간 변환부(540)는 영상 신호(R, G, B)를 수신하고, 영상 신호(R, G, B)를 HSV 데이터로 변환한다. HSV 데이터는 색상(Hue), 채도(Saturation) 및 명도(Value)로 색을 표시하는 데이터이다. 영상 신호(R, G, B)는 적색, 녹색 및 청색에 대한 계조를 나타내는 RGB 데이터이다. RGB 데이터를 HSV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은 잘 알려진 변환 행렬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SV 색공간 변환부(540)는 HSV 데이터를 스킨톤 검출부(520)에 전달한다.
스킨톤 검출부(520)는 HSV 데이터에서 색상(Hue) 및 채도(Saturation)가 미리 정해진 스킨톤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즉, 스킨톤 검출부(520)는 HSV 데이터에서 j<Hue<k, l<Saturation<m 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여기서, j, k, l, m은 스킨톤을 검출하기 위한 스킨톤 범위 파라미터로서, 이는 실험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스킨톤 검출부(520)는 HSV 데이터에서 색상 및 채도가 미리 정해진 스킨톤 범위 내에 속할 때 HSV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가 스킨톤을 나타내는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스킨톤 검출부(520)는 HSV 데이터에서 색상 및 채도가 미리 정해진 스킨톤 범위 내에 속하고, HSV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의 적색 계조값이 녹색 계조값보다 크고, 적색 계조값이 청색 계조값보다 큰 경우 해당 화소 데이터가 스킨톤을 나타내는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는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2 내지 17을 참조하여 단일 감마, 공간 분할 2중 감마 및 공간 분할 4중 감마를 적용할 때 측면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측정한 실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64 계조의 영상 신호(R, G, B)를 이용하여 계조와 액정의 구동 전압의 관계, 계조에 따른 정면 휘도와 측면 휘도를 측정하였다.
도 12는 단일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와 액정의 구동 전압의 관계를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단일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에 따른 정면 휘도와 측면 휘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단일 감마(Vd_A)는 기준 감마값인 2.2이다. 액정의 구동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계조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단일 감마(Vd_A)를 적용하였을 때, 계조가 증가함에 따라 정면 휘도는 기준 감마값 2.2에 따른 휘도율과 거의 동일하게 증가한다. 반면, 측면 휘도는 저계조에서 기준 감마값 2.2에 따른 휘도보다 높게 나타난다. 즉, 측면 휘도와 정면 휘도의 차이가 발생한다. 측면 휘도와 정면 휘도의 휘도율 차이는 39.2%이다.
도 14는 공간 분할 2중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와 액정의 구동 전압의 관계를 실험한 결과를 나태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공간 분할 2중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에 따른 정면 휘도와 측면 휘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제1 감마(Vd_A)와 제2 감마(Vd_B)의 곱이 기준 감마값이 2.2가 되도록 제1 감마(Vd_A)와 제2 감마(Vd_B)를 정하였을 때, 액정의 구동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제1 감마(Vd_A)에 따른 계조와 제2 감마(Vd_B)에 따른 계조가 서로 다르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제1 감마(Vd_A)와 제2 감마(Vd_B)를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적용한 공간 분할 2중 감마를 적용하였을 때, 계조가 증가함에 따라 정면 휘도는 기준 감마값 2.2에 따른 휘도율과 거의 동일하게 증가한다. 반면, 측면 휘도는 기준 감마값 2.2에 따른 휘도보다 다소 높게 나타난다. 측면 휘도와 정면 휘도의 휘도율 차이는 23.2%이다.
도 16은 공간 분할 4중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와 액정의 구동 전압의 관계를 실험한 결과를 나태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공간 분할 4중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에 따른 정면 휘도와 측면 휘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제1 감마(Vd_A), 제2 감마(Vd_B), 제3 감마(Vd_C) 및 제4 감마(Vd_D)의 곱이 기준 감마값이 2.2가 되도록 제1 감마(Vd_A), 제2 감마(Vd_B), 제3 감마(Vd_C) 및 제4 감마(Vd_D)를 정하였을 때, 액정의 구동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제1 감마(Vd_A)에 따른 계조, 제2 감마(Vd_B)에 따른 계조, 제3 감마(Vd_C)에 따른 계조, 제4 감마(Vd_D)에 따른 계조가 서로 다르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제1 감마(Vd_A), 제2 감마(Vd_B), 제3 감마(Vd_C) 및 제4 감마(Vd_D)를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적용한 공간 분할 4중 감마를 적용하였을 때, 계조가 증가함에 따라 정면 휘도는 기준 감마값 2.2에 따른 휘도율과 거의 동일하게 증가한다. 측면 휘도는 기준 감마값 2.2에 따른 휘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난다. 측면 휘도와 정면 휘도의 휘도율 차이는 17.1%이다.
도 12 내지 1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 감마를 적용한 경우에 비해 2중 감마를 적용한 경우에 측면 휘도와 정면 휘도의 휘도율 차이가 적게 나타냈다. 그리고 2중 감마를 적용한 경우에 비해 4중 감마를 적용한 경우에 측면 휘도와 정면 휘도의 휘도율 차이가 적게 나타냈다. 단일 감마를 적용한 경우에 비해 4중 감마를 적용한 경우의 측면 휘도와 정면 휘도의 휘도율 차이는 22.1% 줄어들었으며, 그 만큼 측면 시인성이 향상된 것이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신호 제어부
200 : 주사 구동부
300 : 데이터 구동부
400 : 액정 표시판 조립체
500 : 데이터 처리 장치
510 : 유사 계조 블록 검출부
520 : 스킨톤 검출부
530 : 에지 검출부
540 : HSV 검출부
550 : 감마 처리부
560 : 정지 영상 검출부

Claims (20)

  1. 영상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간의 계조 차이가 임계치 이하인 화소 데이터 블록을 검출하는 유사 계조 블록 검출부;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서 스킨톤을 검출하는 스킨톤 검출부;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내지 않을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1 감마를 적용하는 제1 감마부; 및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낼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제2 감마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마는 하나의 감마를 포함하는 단일 감마인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마는 복수의 감마를 포함하는 다중 감마인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마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서로 다른 감마를 적용하는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마부는 홀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서로 다른 복수의 제1 감마를 적용하고, 짝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감마를 적용하는 표시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마의 곱은 기준 감마값인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은 적색 계조값, 녹색 계조값 및 청색 계조값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톤 검출부는 상기 적색 계조값이 상기 녹색 계조값보다 크고, 상기 적색 계조값이 상기 녹색 계조값보다 큰 경우에 해당 화소 데이터가 스킨톤을 나타내는 것으로 검출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톤 검출부는 상기 녹색 계조값 및 상기 청색 계조값에 미리 정해진 보정 파라미터를 곱하여 상기 적색 계조값과 비교하는 표시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를 HSV 데이터로 변환하는 HSV 색공간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킨톤 검출부는 HSV 데이터에서 색상 및 채도가 미리 정해진 스킨톤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톤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의 색상 히스토그램이 스킨톤을 나타내는 색상 분포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로 해당 화소 데이터가 스킨톤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를 기반으로 이전 프레임의 영상과 현재 프레임의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현재 영상이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어느 것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정지 영상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영상이 정지 영상일 때, 상기 제2 감마부는 홀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1 감마를 적용하고, 짝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표시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영상이 동영상일 때, 상기 제2 감마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서로 다른 감마를 적용하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서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 검출부; 및
    상기 스킨톤을 가지는 객체의 에지에 대해 단일 감마 및 다중 감마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는 제3 감마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영상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간의 계조 차이가 임계치 이하인 화소 데이터 블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서 스킨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내지 않을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1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낼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낼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서로 다른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낼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는,
    홀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서로 다른 복수의 제1 감마를 적용하고, 짝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낼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는,
    홀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제1 감마를 적용하고, 짝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를 기반으로 이전 프레임의 영상과 현재 프레임의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현재 영상이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어느 것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낼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영상이 정지 영상일 때, 홀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1 감마를 적용하고, 짝수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이 스킨톤을 나타낼 때 상기 화소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에 제2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영상이 동영상일 때,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부화소 데이터에 서로 다른 감마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30098010A 2013-08-19 2013-08-19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097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010A KR102097025B1 (ko) 2013-08-19 2013-08-19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4/177,089 US9368055B2 (en) 2013-08-19 2014-02-10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for improving side visi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010A KR102097025B1 (ko) 2013-08-19 2013-08-19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906A true KR20150020906A (ko) 2015-02-27
KR102097025B1 KR102097025B1 (ko) 2020-04-06

Family

ID=52466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010A KR102097025B1 (ko) 2013-08-19 2013-08-19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68055B2 (ko)
KR (1) KR1020970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209A (ko) * 2017-03-08 2018-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90014298A (ko) * 2017-08-01 2019-0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KR20200011476A (ko) * 2017-05-24 2020-02-03 선전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밝기 조절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1767B (zh) * 2015-04-20 2017-04-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其显示方法及显示装置
US10388235B2 (en) * 2017-12-29 2019-08-20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driving method and device
CN111133749A (zh) * 2018-01-11 2020-05-08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减少显示器中的图像滞留
CN110462724B (zh) * 2019-06-28 2021-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中图像显示的方法、补偿显示设备的数据信号的数据信号补偿设备、以及显示设备
KR20210106625A (ko) * 2020-02-20 2021-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13496682B (zh) * 2020-03-19 2022-07-29 咸阳彩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像素数据的优化方法、像素矩阵驱动装置及显示器
KR20220000449A (ko) * 2020-06-25 2022-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230102663A1 (en) * 2021-09-21 2023-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kin tone protection using a dual-core geometric skin tone model built in device-independent sp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770A (ko) * 2001-06-27 2003-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킨 컬러 필터를 이용한 가상-윤곽 잡음 검출기를 가지는표시장치와 그의 화상처리방법
KR20060089831A (ko) * 2005-02-04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100792455B1 (ko) * 2006-01-25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사 윤곽 노이즈 저감 장치 및 방법
KR20120073562A (ko) * 2010-12-27 201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데이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4076B2 (en) * 2003-06-26 2010-11-30 Fotonation Vision Limited Digital image processing using face detection and skin tone information
US8154612B2 (en) 2005-08-18 2012-04-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for color classification, and for skin color detection
US8106865B2 (en) 2006-06-02 2012-01-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90079108A (ko) 2008-01-16 2009-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511130B1 (ko) 2008-07-25 2015-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영상의 부스팅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콘트롤러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8385638B2 (en) * 2009-01-05 2013-02-26 Apple Inc. Detecting skin tone in images
US8548257B2 (en) * 2009-01-05 2013-10-01 Apple Inc. Distinguishing between faces and non-faces
US9602793B2 (en) * 2009-12-09 2017-03-21 Imagination Technologies Limited Skin tone detection in a digital camera
KR20110126862A (ko) 2010-05-18 2011-1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987799B1 (ko) 2012-05-31 2019-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983186B2 (en) * 2012-06-10 2015-03-17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enhancing photographs with shadow lift adjustments
US8805114B2 (en) * 2012-11-27 2014-08-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ntent adaptive edge and detail enhancement for image and video proces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770A (ko) * 2001-06-27 2003-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킨 컬러 필터를 이용한 가상-윤곽 잡음 검출기를 가지는표시장치와 그의 화상처리방법
KR20060089831A (ko) * 2005-02-04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100792455B1 (ko) * 2006-01-25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사 윤곽 노이즈 저감 장치 및 방법
KR20120073562A (ko) * 2010-12-27 201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데이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209A (ko) * 2017-03-08 2018-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011476A (ko) * 2017-05-24 2020-02-03 선전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밝기 조절 시스템
KR20190014298A (ko) * 2017-08-01 2019-0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68055B2 (en) 2016-06-14
KR102097025B1 (ko) 2020-04-06
US20150049123A1 (en) 2015-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0906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9064979B (zh) 图像显示处理方法及装置、显示装置及存储介质
US8681148B2 (en) Method for correcting stereoscopic imag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image generating device
US1135507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US1014736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local dimming of the same
KR101929001B1 (ko) 표시 패널의 얼룩 보상 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WO201800070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color shift in displayed image
US20140225943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EP3516646B1 (en) Apparatus for enhancing brightness uniformity of displaye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9728160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of a display for reducing color shift
US20170069250A1 (en) Display Panel, Display Method Thereof, as Well as Display Device
TW201013632A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driving display apparatus, drive-use integrated circuit, driving method employed by drive-use integrated circuit,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20100020242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40040860A (ko) 멀티프라이머리 이미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CN107093410B (zh) 液晶显示亮度调控方法、装置以及液晶显示屏
EP1884916B1 (en) Driv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and image signal compensating method therefor
US20240046835A1 (en) Display device brightness compensation look-up table manufacturing method, device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08122544B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11030971B2 (en)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color correction based on image type
WO2010045038A1 (en) High dynamic range display with rear modulator control
TW201903743A (zh) 應用於顯示面板之光學補償裝置及其運作方法
KR20170040865A (ko) 표시장치와 그 영상 렌더링 방법
JP2007147794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6281985B2 (ja) 透明表示装置
KR20160117825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