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790A -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790A
KR20150019790A KR20130097051A KR20130097051A KR20150019790A KR 20150019790 A KR20150019790 A KR 20150019790A KR 20130097051 A KR20130097051 A KR 20130097051A KR 20130097051 A KR20130097051 A KR 20130097051A KR 20150019790 A KR20150019790 A KR 20150019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content
mode
stat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7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2766B1 (ko
Inventor
정덕환
Original Assignee
(주)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인 filed Critical (주)뉴인
Priority to KR1020130097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766B1/ko
Priority to PCT/KR2014/007353 priority patent/WO2015023085A1/ko
Publication of KR2015001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766B1/ko
Priority to US15/045,176 priority patent/US971287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2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local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동적 레이어 기반을 가지며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바일 장치에서 구현되며, 제1 컨텐츠 목록을 출력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1 표시부 상에 오버랩되어 배치되고, 현재 재생중인 플레이백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표시부는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유닛과, 상기 플레이백 컨텐츠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비활성 상태인 제1 모드와 활성 상태인 제2 모드 중 하나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CONTENTS REPRODUCING SYSTEM BASED ON A DYNAMIC LAYER}
본 발명은,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중인 플레이백 컨텐츠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컨텐츠 목록을 탐색할 수 있는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모바일 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 휴대폰에서 제공하던 서비스의 수준을 넘어서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장치의 기능이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모바일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컨텐츠는 모바일 장치 등에 인터넷 망을 통하여 직접 다운로드되거나 별도로 저장되어 재생된다.
한편, 종래의 모바일 기기 등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 도중에 다른 컨텐츠를 탐색하고 싶은 경우, 재생중인 컨텐츠를 비표시(invisible) 상태로 최소화한 상태에서 컨텐츠 목록 창을 새로이 열어 다른 컨텐츠를 탐색하거나, 또는 재생중인 컨텐츠를 종료시킨 후, 컨텐츠 목록 창을 새로이 열어 다른 컨텐츠를 탐색하거나, 또는 초기 메뉴 화면 창으로 전환시킨 후, 다른 컨텐츠를 탐색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는, 컨텐츠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중인 플레이백 컨텐츠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다른 컨텐츠를 탐색하기가 번거롭고 복잡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466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텐츠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중인 플레이백 컨텐츠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다른 컨텐츠를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적 레이어 기반을 가지며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바일 장치에서 구현되며, 제1 컨텐츠 목록을 출력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1 표시부 상에 오버랩되어 배치되고, 현재 재생중인 플레이백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표시부는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유닛과, 상기 플레이백 컨텐츠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비활성 상태인 제1 모드와 활성 상태인 제2 모드 중 하나로 가변되는,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장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부의 활성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부에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표시부가 비포커스 상태인 제3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제2 표시부는 명암, 채도 또는 불투명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태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태그를 상기 제1 표시부에 드래깅(dragging) 또는 클릭하면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2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가 비표시(invisible)인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부 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제2 표시부가 표시(visible)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의 표시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부에 상기 제1 컨텐츠 목록과 다른 제2 컨텐츠 목록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백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가 제2 모드일 때 상기 제2 표시부를 클릭하면 상기 제2 표시부가 최대화 상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컨텐츠 목록을 출력하는 제1 표시부 상에 오버랩되어 배치되며 현재 재생중인 플레이백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비활성 상태인 제1 모드와 활성 상태인 제2 모드 중 하나로 가변함으로써, 컨텐츠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중인 플레이백 컨텐츠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다른 컨텐츠를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표시부에 제2 표시부의 비표시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표시부에 제2 표시부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표시부에 제2 표시부의 비포커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표시부에 제2 표시부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은 장치의 로컬에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 클라우드 서버 등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은 동적 레이어 기반을 가지며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예를 들어 일정 면적 이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모바일 장치, 터치 스크린 패널을 갖는 모바일 장치 등과 같은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은 제1 컨텐츠 목록(10)을 출력하는 제1 표시부(20)와, 제1 표시부(20) 상에 오버랩되어 배치되고 현재 재생중인 플레이백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30)와,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들이 저장된 컨텐츠 저장부(50)와, 컨텐츠 저장부(50)에 저장된 컨텐츠를 제1 표시부(20) 및 제2 표시부(3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표시부(20)의 표시 영역이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표시부(2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에 제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2 표시부(30)는 현재 재생중인 플레이백 컨텐츠의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유닛(31)과, 플레이백 컨텐츠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4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표시부(30)의 표시 영역은 제1 표시부(20)의 표시 영역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표시부(30)가 제1 표시부(20)에 비해 대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프로그레스 유닛(31)은 재생중인 플레이백 컨텐츠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프로그레스 바(33)와, 플레이백 컨텐츠를 재생, 정지, 빨리감기, 되감기 등의 동작을 위한 동작 아이콘(3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백 컨텐츠가 동영상 컨텐츠이고, 디스플레이 유닛(41)은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레이백 컨텐츠는 음악 컨텐츠, 사진 컨텐츠, 텍스트 컨텐츠 등 다양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표시부(30)는 비활성 상태인 제1 모드와 활성 상태인 제2 모드 중 하나로 가변될 수 있다. 비활성 상태인 제1 모드는 후술할 제2 표시부(30)의 태그(45)만 제1 표시부(20)에 표시되는 상태이고, 활성 상태인 제2 모드는 제2 표시부(30)가 제1 표시부(20)에 표시되는 상태이다.
한편, 제2 표시부(30)가 활성 상태인 제2 모드에서 제1 표시부(20)에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2 표시부(30)가 비포커스 상태인 제3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제3 모드에서 제2 표시부(30)는 명암, 채도 또는 불투명도가 감소할 수 있다. 예컨대, 비포커스 상태인 제3 모드에서 제2 표시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두어지거나, 또는 흐려지거나, 또는 투명해질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부(30)는 제1 모드에서, 예컨대 제2 표시부(30)가 비활성 상태에서 제1 표시부(20) 상에 표시되는 태그(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드에서 제2 표시부(30)는 태그(45)만 제1 표시부(20)에 오버랩되며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태그(45)가 제1 표시부(20)의 하단 영역에 노출되게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태그(45)는 제1 표시부(20)의 상단 영역, 좌측단 영역 또는 우측단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표시부(30)의 태그(45)만 제1 표시부(20)에 오버랩되며 표시된 상태에서, 태그(45)를 제1 표시부(20)의 상단을 향해 드래깅(dragging)하면, 제2 표시부(30)는 제2 모드로 변경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20)에 오버랩되며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태그(45)를 드래깅하여 제2 모드로 변경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드래깅 대신에 태그(45)를 클릭, 또는 제스쳐 모션 등에 의해 제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30)가 비표시(invisible)인 상태에서, 제1 표시부(20)에 출력되는 제1 컨텐츠 목록(10) 및 제2 컨텐츠 목록(10‘)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30)가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컨텐츠 목록을 제1 컨텐츠 목록(10), 제2 컨텐츠 목록(10’)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컨텐츠 목록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은 제2 표시부(30)의 표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1 표시부(20)에 제1 컨텐츠 목록(10)과 다른 제2 컨텐츠 목록(10‘)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은 제2 표시부(30)가 제2 모드일 때, 예컨대 제2 표시부(30)가 활성 상태일 때 제2 표시부(30)를 클릭하면, 제2 표시부(30)가 제1 표시부(20)에 대응하는 크기인 최대화 상태로 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표시부(30)가 제2 모드일 때 제2 표시부(30)의 디스플레이 유닛(41)을 클릭하면, 제2 표시부(30)의 디스플레이 유닛(41)이 제1 표시부(20)에 대응하는 크기인 최대화 상태로 될 수 있다. 이로써, 재생중인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을 통해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30)가 비표시인 상태에서, 제1 표시부(20)에 출력된 컨텐츠 목록(10,10‘) 중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하나를 선택하여 클릭한다.
컨텐츠를 클릭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된 컨텐츠에 해당하는 동영상 및 진행상태 등이 표시되는 제2 표시부(30)가 제1 표시부(20)에 오버랩되며 표시되고, 제2 표시부(30)는 활성 상태인 제2 모드로 변경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1 표시부(20)에 오버랩된 제2 표시부(30)를 통해 동영상을 즐길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표시부(30)가 제1 표시부(20)에 오버랩되며 배치된 상태에서 제2 표시부(30)를 클릭하면, 좀 더 바람직하게는 제2 표시부(30)의 디스플레이 유닛(41)을 클릭하면, 제2 표시부(30)의 디스플레이 유닛(41)이 제1 표시부(20)에 대응하는 크기인 최대화 상태로 되고, 이로써 재생중인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을 통해 감상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재생 도중에 다른 컨텐츠를 탐색하고 싶은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20)에 제2 표시부(30)가 오버랩된 상태에서 제1 표시부(20)를 사용자가 터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30)는 어두어지거나, 또는 흐려지거나, 또는 투명해지면서 비포커스 상태인 제3 모드로 변경되어, 제1 표시부(20)에 컨텐츠 목록(10,10‘)이 명확하게 표시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2 표시부(30)의 비포커스 상태에서 제1 표시부(20)에 표시되는 컨텐츠 목록(10,10‘)들로부터 컨텐츠를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다른 실시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20)에 제2 표시부(30)가 오버랩된 상태에서 태그(45)를 일 예로서 제1 표시부(20)의 하단 영역으로 드래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30)의 태그(45)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제1 표시부(20)에 표시되지 않고, 제2 표시부(30)의 태그(45)만 제1 표시부(20)의 하단 영역에 표시되는 비활성 상태인 제1 모드로 변경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2 표시부(30)의 비활성 상태에서 제1 표시부(20)에 표시되는 컨텐츠 목록(10,10‘)들로부터 컨텐츠를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컨텐츠 목록을 출력하는 제1 표시부 상에 오버랩되어 배치되며, 현재 재생중인 플레이백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비활성 상태인 제1 모드와 활성 상태인 제2 모드 중 하나로 가변함으로써, 컨텐츠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중인 플레이백 컨텐츠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다른 컨텐츠를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10‘ : 컨텐츠 목록 20 : 제1 표시부
30 : 제2 표시부 31 : 프로그레스 유닛
41 : 디스플레이 유닛 45 : 태그
50 : 컨텐츠 저장부 60 : 제어부

Claims (10)

  1. 동적 레이어 기반을 가지며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에서 구현되며, 제1 컨텐츠 목록을 출력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1 표시부 상에 오버랩되어 배치되고, 현재 재생중인 플레이백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표시부는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유닛과, 상기 플레이백 컨텐츠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비활성 상태인 제1 모드와 활성 상태인 제2 모드 중 하나로 가변되는,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부의 활성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부에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표시부가 비포커스 상태인 제3 모드로 변경되는,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제2 표시부는 명암, 채도 또는 불투명도가 감소하는,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태그를 더 포함하는,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를 상기 제1 표시부에 드래깅(dragging) 또는 클릭하면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2 모드로 변경되는,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가 비표시(invisible)인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부 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제2 표시부가 표시(visible)되는,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의 표시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부에 상기 제1 컨텐츠 목록과 다른 제2 컨텐츠 목록이 출력되는,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백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인,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가 제2 모드일 때 상기 제2 표시부를 클릭하면 상기 제2 표시부가 최대화 상태로 디스플레이되는,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KR1020130097051A 2013-08-16 2013-08-16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KR101532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051A KR101532766B1 (ko) 2013-08-16 2013-08-16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PCT/KR2014/007353 WO2015023085A1 (ko) 2013-08-16 2014-08-08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US15/045,176 US9712877B2 (en) 2013-08-16 2016-02-16 Contents playback system based on dynamic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051A KR101532766B1 (ko) 2013-08-16 2013-08-16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790A true KR20150019790A (ko) 2015-02-25
KR101532766B1 KR101532766B1 (ko) 2015-06-30

Family

ID=5246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051A KR101532766B1 (ko) 2013-08-16 2013-08-16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12877B2 (ko)
KR (1) KR101532766B1 (ko)
WO (1) WO20150230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012A (ko) * 2016-06-10 2018-11-09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눈 트래커 유닛을 포함하는 조작 장치 및 조작 장치의 눈 트래커 유닛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1822A1 (en) * 2006-09-22 2008-05-15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video
KR101371420B1 (ko) * 2006-12-28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최상위 메뉴 간 직접 이동가능한 메뉴세트를 이용한 메뉴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101398134B1 (ko) 2007-10-04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장치 및 방법
US20110191677A1 (en) * 2010-01-29 2011-08-04 Robert Paul Morris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trolling play of media streams
KR20130048526A (ko) * 2011-11-02 2013-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318429A1 (en) * 2012-05-22 2013-11-28 Movile Dynamic floating web video player
KR101265464B1 (ko) * 2012-12-21 2013-05-16 김영민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46812A1 (en) * 2013-08-12 2015-02-12 Google Inc. Dynamic resizable media item pla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012A (ko) * 2016-06-10 2018-11-09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눈 트래커 유닛을 포함하는 조작 장치 및 조작 장치의 눈 트래커 유닛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766B1 (ko) 2015-06-30
WO2015023085A1 (ko) 2015-02-19
US20160165311A1 (en) 2016-06-09
US9712877B2 (en)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87943B2 (en) User terminal device for support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s thereof
WO2018006802A1 (zh) 一种视频播放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170019242A (ko) 전자 장치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6272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teractive information in panoramic video
JP201316787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CN103019536A (zh) 演示期间交互地缩放内容
BRPI1101626A2 (pt) aparelho e método de processamento de informação, e, meio de armazenamento de informação legìvel por computador
US20090140977A1 (en) Common User Interface Structure
US20240171801A1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30046839A (ko)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110864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moving or advancing a display region
JP7328459B2 (ja) アクションカードストランドを備えたゲームコンソールアプリケーション
KR101532766B1 (ko) 동적 레이어 기반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
US20230071445A1 (en) Video pictur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device, medium, and program product
US10254947B2 (en) Smart device capable of multi-tasking contro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861157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offset content
JP6201261B2 (ja) 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092864A1 (ja) ユーザー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
CN113407141A (zh) 界面更新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KR2021008785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4887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65363A1 (zh) 短视频的播放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2062899A1 (zh) 基于vr场景的视频预览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5002549B (zh) 视频画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WO2018122896A1 (ja) 電子機器における情報の表示方法および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