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731A - 페라이트 소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라이트 소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731A
KR20150019731A KR20130096905A KR20130096905A KR20150019731A KR 20150019731 A KR20150019731 A KR 20150019731A KR 20130096905 A KR20130096905 A KR 20130096905A KR 20130096905 A KR20130096905 A KR 20130096905A KR 20150019731 A KR20150019731 A KR 20150019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errite
groove portion
ferrite sintered
sintere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6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렬
안성용
여정구
최강룡
최동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6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9731A/ko
Publication of KR20150019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2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ferr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0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characterised by unspecified or heterogeneous hardness or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hardness transitions
    • H01F1/0311Compounds
    • H01F1/0313Oxidic compounds
    • H01F1/0315Ferr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 H01F10/08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 H01F10/1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3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applying conductive, insulating or magnetic material on a magnetic film, specially adapted for a thin magnetic fil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라이트 소결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라이트 시트의 소결 시 발생하는 휨 현상 및 물결 무늬로 형성되는 변형(warpage)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율을 향상시킴으로써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고, 파단된 다수의 소편으로 형성되어 유연성(flexibility)을 확보하면서도 자속 누설에 의한 실효 투자율의 저하를 최소화하여 실드(shielding) 효과가 우수하며, 비접촉형 충전 방식에 사용 시 우수한 무선 충전 효율을 나타낼 수 있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페라이트 소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Sintered ferrit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페라이트 소결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부품이 외부에서 받는 전자파 또는 전자부품 자체가 발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트형 PC, 태블릿형 PC, 디지털 카메라, 휴대 전화(특히 스마트 폰) 등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이들 모바일 단말기의 대부분에는 충전지가 탑재되어 있어 정기적인 충전이 필요하게 된다. 휴대 단말기, 비디오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에 탑재된 2차 전지의 충전 방법에는 2가지 타입의 충전 방식, 즉 접촉형 충전 방식과 비접촉형 충전 방식이 있다. 접촉형 충전 방식은 그 장치 구조가 단순하므로 폭넓은 응용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모바일 단말기 충전지에 대한 충전 작업을 간이하게 하기 위해서 송전 모듈과 수전 모듈간에서의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코드리스의 급전(무선 전력 전송)에 의해 충전지를 충전하는 비접촉형 충전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비접촉형 충전 방식은 수전 장치와 급전 장치의 양쪽에 코일을 설치함으로써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충전 방식이다.
한편, 송전 속도가 커지면 인접한 변압기간의 결합뿐만 아니라 그 주변 부품에서 발열에 의한 결함이 발생하기 쉽다. 평면 코일을 사용하는 경우 평면 코일을 통과하는 자속이 기기 내부의 기판 등에 연결되어 전자기 유도에 의해 발생하는 와전류에 의해 장치 내부가 발열하게 된다. 그 결과 큰 전력을 송신할 수 없어 충전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자성 시트는 실드재(shielding member)로서 사용되고 있었다. 충분한 실드 효과를 얻기 위해서 자성 시트는 투자율이 크고, 면적 및 두께가 클수록 보다 유효한 실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자기장 차폐시트로는 비정질 리본, 페라이트, 자성분말이 포함된 폴리머 시트 등의 자성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전자 부품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 또는 전자 부품에 침입하는 전자파를 흡수하기 위해 판상의 페라이트 소결체의 소편을 배열한 면상의 페라이트층과 그것을 지지하는 시트층을 포함하는 전자파 흡수용 적층체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페라이트 소결체의 경우 고온에서 소결하여 제조되는 소결 시트가 휘는 현상이나 물결 무늬로 형성되는 변형(warpage)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라믹 기판을 자성 페라이트 시트 상, 하면에 적층하여 소결하거나, 페라이트 시트 사이에 세라믹 분말을 쌓아 적층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는 제조 공정이 복잡해져 생산성이 떨어지며, 소결 시 응력을 최소화하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아래의 특허문헌 1은 전자파 차폐를 위한 페라이트 시트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소결 과정에서 페라이트 시트가 휨 현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공보 제 2013-0082324 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페라이트 시트의 소결 시 응력을 최소화하여 페라이트 소결 시트가 휘거나 물결 무늬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율을 향상시켜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페라이트 시트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페라이트 시트를 가압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제 1 홈부 및 상기 홈부와 교차하도록 폭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제 2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홈부가 형성된 페라이트 시트를 소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 모서리로부터 페라이트 시트 전체 길이의 10 내지 25%에 해당하고,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폭 방향의 양 단부 모서리로부터 페라이트 시트 전체 폭의 10 내지 25% 에 해당하는 영역에 형성하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적어도 일 면에 지지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에 형성된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의 방향을 따라 각각 굴곡시켜 다수의 소편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상면 및 하면에 모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 두께의 10 내지 25%의 깊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는 개구부의 폭이 50 내지 300 ㎛ 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는 각각 0.05 내지 5 mm 의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는 U자 형상 또는 V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상면에 형성하는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하면에 형성하는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중앙부를 가압하여 다수의 무정형의 소편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는 적어도 일 면에 지지 필름이 형성된 페라이트 소결 시트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 모서리로부터 페라이트 소결 시트 전체 길이의 10 내지 25%에 해당하고,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폭 방향의 양 단부 모서리로부터 페라이트 소결 시트 전체 폭의 10 내지 25% 에 해당하는 영역은,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제 1 분할 홈 및 상기 분할 홈과 교차하도록 폭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제 2 분할 홈을 따라 분할되어 형성된 다수의 소편을 포함하며,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중앙부는 다수의 무정형의 소편을 포함하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분할 홈 및 제 2 분할 홈은 각각 0.05 내지 5 mm 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제조방법은 페라이트 시트의 소결 시 발생하는 휨 현상 및 물결 무늬로 형성되는 변형(warpage)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율을 향상시킴으로써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로부터 제조되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는 파단된 다수의 소편으로 형성되어 유연성(flexibility)을 확보하면서도 자속 누설에 의한 실효 투자율의 저하를 최소화하여 실드(shielding) 효과가 우수하며, 이에 따라 비접촉형 충전 방식에 사용 시 우수한 무선 충전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홈부가 형성된 페라이트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홈이 형성된 페라이트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홈이 형성된 페라이트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홈부가 형성된 페라이트 시트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홈이 형성된 페라이트 시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제조공정은 먼저, 페라이트 시트를 마련한다.(S1)
페라이트 시트 제조에 사용되는 페라이트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Mn-Zn계 페라이트, Ni-Zn계 페라이트, Ni-Zn-Cu계 페라이트, Mn-Mg계 페라이트, Ba계 페라이트, Li계 페라이트 등의 공지된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분말에 바인더 또는 용매를 배합시켜 슬러리를 조제한 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필름 상에 닥터 블레이드법에 의해 시트 상으로 압출하는 등의 공지된 시트 제조 수법에 따라서 페라이트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부티랄 수지,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로는 부틸알코올, 톨루엔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두께는 1 내지 20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0 ㎛ 정도의 두께로 제조될 수 있다. 1 ㎛ 미만일 경우 홈부를 형성하기 곤란하며, 투자율의 저하가 커질 수 있으며, 2000 ㎛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되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중량이 커져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페라이트 시트에 홈을 형성한다.(S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홈부가 형성된 페라이트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페라이트 시트(100)를 가압하여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속하는 제 1 홈부(10) 및 상기 홈부와 교차하도록 폭 방향(W)을 따라 연속하는 제 2 홈부(20)를 형성한다.
제 1 홈부(10) 및 제 2 홈부(20)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100)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 모서리로부터 페라이트 시트 전체 길이의 10 내지 25%에 해당(a)하고,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폭 방향의 양 단부 모서리로부터 페라이트 시트 전체 폭의 10 내지 25% 에 해당(b)하는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제 1 홈부(10) 및 제 2 홈부(20)를 상기 영역에 해당하는 페라이트 시트의 가장자리부에만 형성함에 따라 홈을 형성하는 금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가장자리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제거하여 박막형 페라이트 시트의 소결 시, 페라이트 시트가 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제 1 홈부(10) 및 제 2 홈부(20)를 각 모서리로부터 페라이트 시트 전체 길이 또는 폭의 10% 미만에 해당하는 영역까지만 형성할 경우 페라이트 시트를 소결 시 발생하는 응력 때문에 페라이트 소결 시트가 휘는 등의 변형(warpage)이 일어날 수 있으며, 25%를 초과하여 중앙부까지 상기 홈부를 형성할 경우 홈을 형성하는 금형이 복잡해져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페라이트 시트 소결 시 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향상되지 않는다.
제 1 홈부(10) 및 제 2 홈부(20)의 형상은 페라이트 시트(100)에 굴곡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투자율의 저하가 적은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V자 형상(도 3 참조) 또는 U자 형상(도 4 참조)일 수 있다. 또한, 제 1 홈부(10) 및 제 2 홈부(20)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100)의 상면 및 하면 모두에 형성할 수 있다.
제 1 홈부(10) 및 제 2 홈부(20)는 페라이트 시트 두께의 10 내지 25%의 깊이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홈이 형성된 페라이트 시트의 단면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홈부의 깊이(12)는 페라이트 시트의 표면으로부터 가장 깊게 형성된 곳까지의 길이로 정의할 수 있다.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의 깊이(12)를 페라이트 시트 두께의 10% 미만으로 형성할 때 소결 시 휨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없으며, 소결 후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를 따라 파단 시 직선적으로 파단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고, 25%를 초과할 경우 홈부를 페라이트 시트 상면 및 하면에 모두 형성하기 어려우며, 소결 후 파단 시 인접하는 페라이트 소편과의 파단 부위의 접촉 영역이 적어져 투자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의 개구부의 폭(11)은 50 내지 300 ㎛ 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의 폭(11)이 50 ㎛ 미만으로 형성하는 것은 공정 상 어려움이 있으며, 300 ㎛를 초과할 경우 페라이트 시트의 투자율의 저하가 커져 바람직하지 않다.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는 각각 0.05 내지 5 mm 의 간격(13)으로 형성할 수 있다. 홈부 간의 간격(13)은 홈부의 중앙부로부터 인접한 홈부의 중앙부까지의 길이로 정의할 수 있다.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가 0.05 내지 5 mm 의 간격(13)으로 형성될 때 페라이트 시트의 소결 시 휨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홈부 간의 간격이 0.05 mm 미만인 경우 금형 제작이 어려워 작업성이 떨어지며, 5 mm를 초과할 경우 페라이트 시트의 소결 시 휨 현상 방지에 어려움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홈이 형성된 페라이트 시트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라이트 시트의 상면에 형성하는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하면에 형성하는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페라이트 시트 상면의 홈부와 하면의 홈부를 엇갈리도록 형성할 경우 페라이트 시트에 발생하는 응력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제어하여 페라이트 시트가 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홈부가 형성된 페라이트 시트를 소성하여 페라이트 소결 시트를 형성한다.(S3)
소성 온도는 850 내지 1050 ℃로 할 수 있으며, 약 45 내지 120분 간 소성할 수 있다. 소성 온도가 850 ℃ 미만일 경우 입자의 소결이 충분하지 못하여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으며, 1050 ℃를 초과할 경우 입자의 성장이 진행될어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소성된 페라이트 소결 시트에 지지 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S4)
소성된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나 지지를 위하여 지지 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지지 필름은 예를 들어, 편면 접착 시트 또는 양면 접착 시트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신장성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심재로 하고, 그 표면에 접착체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 필름이 부착된 페라이트 소결 시트를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의 방향을 따라 각각 굴곡시켜 다수의 소편으로 분할할 수 있다. (S5)
이에 제 1 및 제 2 홈부가 형성된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가장자리부는 제 1 및 제 2 홈부를 따라 파단, 분할되어 다수의 페라이트 소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홈부의 방향을 따라 굴곡하는 조작은 롤러 등을 사용하여 페라이트 소결 시트를 가압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중앙부는 가압하여 다수의 무정형의 소편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에 제 1 및 제 2 홈부를 형성한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가장자리부는 사각형 등의 규칙적인 소편으로 분할되고,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중앙부는 무정형의 소편으로 분할함으로써 페라이트 소결 시트에 효과적으로 유연성(flexibility)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페라이트 소결 시트는 적어도 일 면에 지지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 모서리로부터 페라이트 소결 시트 전체 길이의 10 내지 25%에 해당하고,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폭 방향의 양 단부 모서리로부터 페라이트 소결 시트 전체 폭의 10 내지 25% 에 해당하는 영역은,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제 1 분할 홈 및 상기 분할 홈과 교차하도록 폭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제 2 분할 홈을 따라 분할되어 형성된 다수의 소편을 포함하며,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중앙부는 다수의 무정형의 소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 모서리로부터 페라이트 소결 시트 전체 길이의 10 내지 25%에 해당하고,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폭 방향의 양 단부 모서리로부터 페라이트 소결 시트 전체 폭의 10 내지 25% 에 해당하는 영역은, 제 1 및 제 2 분할 홈에 의해 사각형의 규칙적인 형상의 다수 소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분할 홈 및 제 2 분할 홈은 각각 0.05 내지 5 mm 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분할 홈 및 제 2 분할 홈이 0.05 내지 5 mm 의 간격으로 형성됨에 따라 분할되어 형성되는 소편의 길이가 0.05 내지 5 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분할 홈 및 제 2 분할 홈에 의해 형성되는 규칙적인 형상의 소편이 상기 영역에 해당하는 페라이트 시트의 가장자리부에만 형성되고, 분할 홈이 형성되지 않은 중앙부는 무정형의 소편으로 분할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유연성(flexibility)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페라이트 소결 시트는 전자파 차폐 시트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비접촉형 충전 방식의 자성체 시트로 사용될 수 있다.
100 : 페라이트 시트 11 : 개구부 폭
10 : 제 1 홈부 12 : 홈부의 깊이
20 : 제 2 홈부 13 : 홈부 간의 간격

Claims (11)

  1. 페라이트 시트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페라이트 시트를 가압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제 1 홈부 및 상기 홈부와 교차하도록 폭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제 2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홈이 형성된 페라이트 시트를 소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 모서리로부터 페라이트 시트 전체 길이의 10 내지 25%에 해당하고,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폭 방향의 양 단부 모서리로부터 페라이트 시트 전체 폭의 10 내지 25% 에 해당하는 영역에 형성하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적어도 일 면에 지지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에 형성된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의 방향을 따라 각 굴곡시켜 다수의 소편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상면 및 하면에 모두 형성하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 두께의 10 내지 25%의 깊이로 형성하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는 개구부의 폭이 50 내지 300 ㎛ 이 되도록 형성하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는 각각 0.05 내지 5 mm 의 간격으로 형성한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는 U자 형상 또는 V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제조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상면에 형성하는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하면에 형성하는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제조방법.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중앙부를 가압하여 다수의 무정형의 소편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제조방법.
  10. 적어도 일 면에 지지 필름이 형성된 페라이트 소결 시트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 모서리로부터 페라이트 소결 시트 전체 길이의 10 내지 25%에 해당하고,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폭 방향의 양 단부 모서리로부터 페라이트 소결 시트 전체 폭의 10 내지 25% 에 해당하는 영역은,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제 1 분할 홈 및 상기 분할 홈과 교차하도록 폭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제 2 분할 홈을 따라 분할되어 형성된 다수의 소편을 포함하며,
    상기 페라이트 소결 시트의 중앙부는 다수의 무정형의 소편을 포함하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 홈 및 제 2 분할 홈은 각각 0.05 내지 5 mm 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페라이트 소결 시트.
KR20130096905A 2013-08-14 2013-08-14 페라이트 소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9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6905A KR20150019731A (ko) 2013-08-14 2013-08-14 페라이트 소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6905A KR20150019731A (ko) 2013-08-14 2013-08-14 페라이트 소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731A true KR20150019731A (ko) 2015-02-25

Family

ID=5257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6905A KR20150019731A (ko) 2013-08-14 2013-08-14 페라이트 소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97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5450B2 (en) 2015-05-22 2020-03-17 Wits Co., Ltd. Magnetic sheet for communications module
JP2020150105A (ja) * 2019-03-13 2020-09-17 Tdk株式会社 フェライ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502233A (ja) * 2020-01-28 2023-01-23 エスケイシー・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無線充電装置およびそれを含む移動手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5450B2 (en) 2015-05-22 2020-03-17 Wits Co., Ltd. Magnetic sheet for communications module
JP2020150105A (ja) * 2019-03-13 2020-09-17 Tdk株式会社 フェライ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502233A (ja) * 2020-01-28 2023-01-23 エスケイシー・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無線充電装置およびそれを含む移動手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93314B (zh) 磁场屏蔽单元及包括其的多功能复合模块
US9793741B2 (en) Magnetic sheet, wireless charging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gnetic sheet
KR102405414B1 (ko) 자기장 차폐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KR102522857B1 (ko) 고-성능 실드 시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 모듈
CN107912075B (zh) 车辆用无线电力传输模块
US9653797B2 (en) Antenna module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534542B1 (ko) 무선 충전 및 근거리 통신 동시 구현용 하이브리드 자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전자부품 모듈
KR102175378B1 (ko) 대면적형 복합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US20140145807A1 (en) Magnetic sheet of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939663B1 (ko) 무선충전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KR20150032382A (ko) 초박형 및 고투자율의 wpc 및 nfc 겸용 하이브리드 자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9192A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안테나용 연자성 시트, 연자성 플레이트 및 연자성 소결체
CN104780748A (zh) 复合铁氧体片及其制造方法和含复合铁氧体片的电子装置
US10097031B2 (en) Charging device having small loop transmission coils for wireless charging a target device
KR101813341B1 (ko) 자성체 시트 제조방법 및 자성체 시트 제조용 롤러
KR20160063844A (ko) 무선 충전 모듈 및 차폐시트
KR101489391B1 (ko) 연자성 시트
EP3016203B1 (en) Receiving antenna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190108461A (ko)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US9088068B2 (en) Magnetic composite sheet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module
KR20150019731A (ko) 페라이트 소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154258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KR20130085976A (ko) 자성 시트와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안테나 장치
KR20180000490A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KR20140081558A (ko) 자성체 복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