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646A - 대기상태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대기상태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646A
KR20150019646A KR20130096738A KR20130096738A KR20150019646A KR 20150019646 A KR20150019646 A KR 20150019646A KR 20130096738 A KR20130096738 A KR 20130096738A KR 20130096738 A KR20130096738 A KR 20130096738A KR 20150019646 A KR20150019646 A KR 20150019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element
portable terminal
sensing
fun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349B1 (ko
Inventor
홍현수
강정관
이재면
정영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6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349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대기상태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대기상태 모드에서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휴대 단말에 대한 제1 감지요소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1 감지요소가 미리 설정된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휴대 단말에 대한 제2 감지요소를 감지한 후 감지된 제2 감지요소가 미리 설정된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제1 감지요소와 제2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쉽고 빠르게 휴대 단말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대기상태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방법{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IDLE MODE}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이 대기상태 모드에서 움직임 또는 근접 등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휴대 단말의 간단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시 휴대 단말의 전원 온 버튼을 눌러서 휴대 단말의 상태를 슬립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킨다. 활성화 모드에서 휴대 단말은 간단한 정보, 예를 들어, 배터리 상태, 충전 상태, 현재 시간, 미확인한 메시지, 미확인한 전화, 현재 재생중인 음악 정보, 컨텐츠 다운로드 정보 등을 표시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간단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근접 감지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물체의 근접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의 화면에 간단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의 전원 온 버튼을 누를 필요 없이 편리하게 휴대 단말의 간단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휴대 단말은 휴대 단말에 대한 간단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시 전원 온 버튼 또는 근접 감지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의 상태를 대기상태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휴대 단말의 화면에 간단한 정보를 표시하였다.
하지만 종래에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의 특정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의 상태를 대기상태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입력을 수행하고, 활성화 모드의 휴대 단말에서 표시하는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휴대 단말의 근접 감지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근접을 감지한 경우라도 휴대 단말의 상태를 대기상태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였기 때문에 잦은 전환으로 인한 휴대 단말의 전체 대기시간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효한 감지를 통해 쉽고 빠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대기상태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감지요소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대기상태 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제1 감지요소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제1 감지요소가 미리 설정된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제2 감지요소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된 제2 감지요소가 미리 설정된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상기 제1 감지요소와 상기 제2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대기상태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기상태 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제1 감지요소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제1 감지요소가 미리 설정된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제2 감지요소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된 제2 감지요소가 미리 설정된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상기 제1 감지요소와 상기 제2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이 대기상태 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유효한 감지를 통해서 유효한 감지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이 존재하면 휴대 단말의 상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여 해당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쉽고 빠르게 휴대 단말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감지에 대응하는 단말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감지된 움직임 및 근접에 대응하는 단말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감지 조건을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감지된 움직임 및 근접에 대응하는 단말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감지 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감지 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 발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제어부(100), 센싱부(110), 표시부(120), 통신부(130), 음성처리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의 움직임을 제어하는데, 특히 센싱부(110), 표시부(120), 통신부(130), 음성 처리부(140), 저장부(15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이 대기상태 모드에서 센싱부(110)를 구동시켜 제1 감지요소가 감지되면 감지된 제1 감지요소가 미리 설정된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대기상태 모드는 휴대 단말의 화면이 꺼져있는 상태, 휴대 단말의 화면에 꺼지고, 휴대 단말이 잠금으로 전환된 상태, 휴대 단말의 화면에 꺼지고, 최소 전력으로 필요한 구성 요소만을 동작하는 상태 등일 수 있다.
또한, 감지 요소는 회전, 스퀴징과 같이 다양한 움직임 또는 근접 등과 같이 센싱부(110)로부터 감지될 수 있는 임의의 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감지 조건은 회전, 스퀴징과 같은 다양한 움직임 또는 근접 등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감지 조건은 감지된 움직임, 근접, 스퀴징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감지 요소가 저장부(150)에 미리 저정된 단말 기능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여기서, 단말 기능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감지 요소들과, 각 감지 요소들에 대응하는 단말 기능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감지 조건에 등록된 감지 요소는 휴대 단말이 사용자의 귀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제1 감지 조건은 제1 감지 요소가 미리 저정된 단말 기능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만약 제1 감지요소가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제어부(100)는 제1 감지요소가 감지된 시점, 상기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후의 시점, 또는 제1 감지요소가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된 시점 등의 미리 정의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임의의 시점에서 제2 감지요소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제1 감지요소가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의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감지요소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제2 감지요소가 미리 설정된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제2 감지 요소는 회전, 스퀴징과 같은 다양한 움직임 또는 근접 등 중 다른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 감지 요소는 제1 감지 요소도 동일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감지 조건은 제2 감지 요소가 미리 저정된 단말 기능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만약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감지요소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제1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2 감지요소가 미리 설정된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제어부(100)는 제1 감지요소 및 제2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감지 조건들은 하나 이상의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각 휴대 단말의 기능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감지 요소들을 포함한다.
제1 실시 예로,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이 대기상태 모드에서 센싱부(110)를 구동시켜 휴대 단말이 대기상태 모드로 진입한 시점 등의 미리 설정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감지된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된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제어부(100)는 근접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된 움직임이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만약 근접이 발생되면 제어부(100)는 발생된 근접이 미리 설정된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만약 근접이 발생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발생된 근접이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제어부(100)는 감지된 움직임과 발생된 근접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발생된 근접이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제2 실시 예로, 제어부(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휴대 단말의 스퀴징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 스퀴징이 감지되면 감지된 스퀴징이 미리 설정된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된 스퀴징이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제어부(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근접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된 스퀴징이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의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만약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근접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감지된 근접이 미리 설정된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근접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의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만약 감지된 근접이 미리 설정된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제어부(100)는 감지된 스퀴징 및 감지된 근접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감지된 근접이 미리 설정된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의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센싱부(110)는 사람의 신체 일부 또는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거나 사람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표시부(12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표시부(120)는 LCD 이외에 다양한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휴대 단말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표시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등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30)는 제어부(100)와 연결되며,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140)는 제어부(100)와 연결되어 제어부(100)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센싱부(110), 표시부(120), 통신부(130), 음성 처리부(140)의 움직임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휴대 단말 또는 제어부(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하나 이상의 단말 기능과, 각 단말 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요소를 포함하는 단말 기능 리스트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1)와 저전력 감지부(102)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1)는 저전력 감지부(102)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 감지조건에 포함되는 제1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제1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단말 기능을 수행하고, 미리 설정된 제1 감지조건에 포함되는 제1 감지신호와 미리 설정된 제2 감지조건에 포함되는 제2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제1 감지신호 및 제2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단말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1)는 저전력 감지부(102)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제1 감지 조건에 해당하는 단말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1)는 미리 저장된 단말 기능 리스트 중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단말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 기능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감지 요소들과, 각 감지 요소들에 대응하는 단말 기능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의미한다.
저전력 관리부(102)는 제어부(100)의 전반적인 움직임을 제어하는데, 특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1)가 대기상태 모드에서 센싱부(110)를 구동시키고, 구동된 센싱부(110)를 통해서 1차 감지요소 또는 2차 감지요소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감지된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근접을 감지할 수 있다.
저전력 관리부(110)는 단말 기능 리스트 중 제1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단말 기능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제1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단말 기능이 존재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1)의 대기상태 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1)로 전달한다. 여기서 활성화 모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1)를 동작시켜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동작 화면 등과 같이 감지된 감지요소에 대응하여 설정된 단말 기능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일 수 있다.
만약 제1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단말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저전력 관리부(102)는 센싱부(110)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1)의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센싱부(110)는 근접 감지 센서(111)와 움직임 감지 센서(112)를 포함한다.
근접 감지 센서(111)는 사람의 신체 일부 또는 물체가 접촉되기 전에 근접하였을 때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근접 감지 센서(111)는 적외선, 레이저, 초음파, 조도 센서 또는 정전압 방식 터치스크린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12)는 사람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 센서(112)는 가속도, 자이로, 지자기, 중력 센서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이 주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구비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1)를 대기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유효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감지에 대응하는 단말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40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의 상태가 대기 상태 모드이면 41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센싱부(110)에 의해 제1 감지요소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 제1 감지요소가 감지되면 420단계로 진행하고, 제1 감지요소가 감지되지 않으면 40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42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제1 감지요소가 미리 설정된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430단계로 진행하고,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40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43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감지요소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 제2 감지요소가 감지되면 450단계로 진행하고, 제2 감지요소가 감지되지 않으면 440단계로 진행하여 제1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한다.
45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제2 감지요소가 미리 설정된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460단계로 진행하고,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40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46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제1 감지요소와 제2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감지된 움직임 및 근접에 대응하는 단말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50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의 상태가 대기상태 모드이면 510단계에서 움직임 감지 센서(112)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520단계로 진행하고,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50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52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감지된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530단계로 진행하고, 미리 설정된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50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여기서, 감지 조건은 감지된 움직임, 근접, 스퀴징 등 중에서 어느 하나가 휴대 단말의 상태를 대기상태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유효한 움직임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을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감지 조건에 포함되는 휴대 단말의 움직임은 휴대 단말이 사용자의 귀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예로 들 수 있다.
53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근접 감지 센서(111)에 의해 근접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 근접이 감지되면 540단계로 진행하고, 근접이 감지되지 않으면 50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54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감지된 근접이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550단계로 진행하고,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50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55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감지된 움직임 및 감지된 근접에 대응하는 단말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00) 내 저전력 관리부(102)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1)의 상태를 대기상태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1)이 단말 기능 리스트에서 감지된 움직임 및 근접에 대응하는 단말 기능을 확인하고, 확인된 단말 가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이 사용자의 귀로 이동하는 움직임과 함께 사용자의 귀에 휴대 단말의 근접이 감지되면 감지된 움직임 및 감지된 근접에 대응하는 호 발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감지 조건을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60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단말 기능 리스트 중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이 존재하면 610단계로 진행하고,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640단계로 진행한다.
61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센싱부(110)를 통해서 근접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 근접이 감지되면 620단계로 진행하고, 근접이 감지되지 않으면 65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62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단말 기능 리스트 중 감지된 근접에 대응하는 단말의 기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감지된 근접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이 존재하면 630단계로 진행하고, 감지된 근접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660단계에서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단말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의 상태를 대기상태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 기능 리스트에서 휴대 단말의 상하 또는 좌우 움직임과 대기모드 전환을 위한 기능이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에서 감지된 움직임이 휴대 단말의 상하 또는 좌우 움직임인 경우 제어부(100)는 대기상태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63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감지된 움직임 및 근접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한다.
600단계에서 640단계로 진행하여 단말 기능 리스트 중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단말의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움직임 감지를 중지하고, 650단계에서 휴대 단말의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감지된 움직임 및 근접에 대응하는 단말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70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의 상태가 대기 상태 모드이면 71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스퀴징(squeezing)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 스퀴징이 감지되면 720단계로 진행하고, 스퀴징이 감지되지 않으면 70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여기서 스퀴징은 사용자의 손이 휴대 단말을 쥐는 움직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센싱부(110)에 스퀴징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를 더 구비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압력 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압력 측정 값이 스퀴징 판단을 위해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부(100)가 스퀴징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한다.
72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감지된 스퀴징이 미리 설정된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는지 판단하여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730단계로 진행하고,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70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73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근접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 근접이 감지되면 740단계로 진행하고, 근접이 감지되지 않으면 750단계로 진행하여 감지된 스퀴징에 대응하는 단말의 기능을 수행한다.
74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감지된 근접이 미리 설정된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는지 판단하여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760단계를 진행하고,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70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76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감지된 스퀴징 및 감지된 근접에 대응하는 단말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감지 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이 한정된 배터리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류 소모를 절감하기 위해 일정 시간 동안 휴대 단말로 입력이 없으면 대기상태 모드로 진입한 후 대기상태 모드의 휴대 단말로 휴대 단말의 특정 기능을 바로 실행하기 위한 움직임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은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손에 쥐는 움직임, 즉, 스퀴징이 감지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휴대단말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경우,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휴대한 채로 이동하기 위한 경우, 사용자가 단순히 휴대 단말을 만지작거리거나 휴대 단말을 보기 위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휴대단말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경우에는 호 송신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경우와 호 송신 기능 이외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호 송신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80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이 호 발신을 위한 기능인지 판단하여 호 발신을 위한 기능인지 판단하여 호 발신을 위한 기능이면 810단계를 진행하고, 호 발신을 위한 기능이 아니면 83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81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수신자 정보가 입력되는지 판단하여 수신자 정보가 입력되면 820단계에서 입력된 수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호 발신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자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810단계에서 수신자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
800단계에서 830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센싱부(110)를 통해서 스퀴징 및 근접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호 발신 기능을 수행하는데, 호 발신 전에 수신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스피커를 통해서 "누구에게 전화걸기를 원하십니까?"와 같은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마이크를 통해서 수신자의 이름 등과 같은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 음성 처리부(140)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제어부(100)는 전달된 수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호 송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쉽고 빠르게 호 송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움직임 인식은 일반적인 움직임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아무런 움직임이 없는 상태가 해제되는 순간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감지된 움직임을 유효한 움직임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만약 일정 시간 이후에 휴대 단말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움직임이 감지되더라도 감지된 움직임을 무시하고, 일정 시간 내에 어떠한 움직임도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에서 설명한 움직임 인식 과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감지 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호 송신 기능 이외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90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이 대기모드 전환을 위한 기능인지를 판단하여 대기모드 전환을 위한 기능이면 910단계로 진행하여 휴대 단말의 상태를 대기상태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의 상하좌우 움직임과 휴대 단말의 상태를 대기상태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이 대응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의 상하좌우 움직임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의 상태를 대기상태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이 대기모드 전환을 위한 기능이 아니면 제어부(100)는 920단계로 진행하여 휴대 단말의 이동에 대응하는 기능인지를 판단한다.
휴대 단말의 이동에 대응하는 기능이면 제어부(100)는 930단계에서 휴대 단말의 화면 상에 알림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움직임 감지 센서(112)를 통해서 사용자의 보행 이동에 의한 휴대 단말의 이동이 감지되면 감지된 휴대 단말의 이동에 대응하여 설정된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휴대 단말의 이동에 대응하여 시간, 스케줄, 현재 위치 등과 같은 정보를 알리기 위한 알림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의 화면 상에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의 이동이 감지되면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이 휴대 단말의 이동을 위한 기능이 아니면 제어부(100)는 940단계로 진행하여 휴대 단말의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순히 휴대 단말을 들고 만지작거리는 경우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의 특정 움직임을 감지하더라도 감지된 특정 움직임에 대응되어 설정된 휴대 단말의 기능이 없는 경우 휴대 단말의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00)는 대기상태 모드에서 센싱부(110)의 근접 감지 센서(111)를 통해서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여 휴대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 센서(11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물체의 근접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그 외에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 발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호 발신 기능이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스퀴징하고, 휴대 단말이 귀에 근접하는 것과 대응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과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휴대 단말을 쥐고, 사용자의 우측 또는 좌측 귀 근처로 휴대 단말이 근접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센싱부(110)에 의해서 스퀴징을 감지하고, 얼굴 옆면 앞쪽으로부터 뒤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휴대 단말의 회전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0)는 센싱부(110)에 의해서 휴대 단말로의 근접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의 상태는 대기상태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감지된 스퀴징, 회전 운동, 근접에 대응하는 호 발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이 대기상태 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유효한 감지요소들이 감지되면 감지된 감지요소들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쉽고 빠르게 휴대 단말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에서 제어부, 저장부, 표시부 등의 각 구성 소자는 장치로 구성되거나, 구성 소자들 중 일부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제어부(또는 프로세서) 및 저장부(또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휴대 단말이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휴대 단말과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휴대 단말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100: 제어부
110: 센싱부
120: 표시부
130: 통신부
140: 음성 처리부
150: 저장부

Claims (13)

  1. 대기상태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감지요소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대기상태 모드에서 상기 센싱부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제1 감지요소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제1 감지요소가 미리 설정된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제2 감지요소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된 제2 감지요소가 미리 설정된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상기 제1 감지요소와 상기 제2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제1 감지요소가 상기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 단말의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제1 감지요소가 상기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상기 제2 감지요소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2 감지요소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제2 감지요소가 상기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 단말의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하나 이상의 기능과, 각 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요소를 포함하는 단말 기능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제1 감지요소가 상기 단말 기능 리스트에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능 리스트에 상기 제1 감지요소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이 존재하면 상기 제2 감지요소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제2 감지요소가 상기 단말 기능 리스트에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능 리스트에 상기 제1 감지요소 및 상기 제2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이 존재하면 상기 제1 감지요소 및 상기 제2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8. 휴대 단말의 대기상태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 모드에서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휴대 단말에 대한 제1 감지요소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제1 감지요소가 미리 설정된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제2 감지요소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된 제2 감지요소가 미리 설정된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상기 제1 감지요소와 상기 제2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제1 감지요소가 상기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 단말의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제1 감지요소가 상기 제1 감지 조건에 포함되면 상기 제2 감지요소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2 감지요소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제2 감지요소가 상기 제2 감지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 단말의 대기상태 모드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요소와 상기 제2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하나 이상의 기능과, 각 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요소를 포함하는 단말 기능 리스트에 상기 감지된 제1 감지요소가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능 리스트에 상기 제1 감지요소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이 존재하면 상기 제2 감지요소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요소와 상기 제2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감지된 제2 감지요소가 상기 단말 기능 리스트에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능 리스트에 상기 제1 감지요소 및 상기 제2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이 존재하면 상기 제1 감지요소 및 상기 제2 감지요소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0130096738A 2013-08-14 2013-08-14 대기상태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방법 KR102203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738A KR102203349B1 (ko) 2013-08-14 2013-08-14 대기상태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738A KR102203349B1 (ko) 2013-08-14 2013-08-14 대기상태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646A true KR20150019646A (ko) 2015-02-25
KR102203349B1 KR102203349B1 (ko) 2021-01-18

Family

ID=5257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738A KR102203349B1 (ko) 2013-08-14 2013-08-14 대기상태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3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239A (ko) * 2015-12-15 2017-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N111274113A (zh) * 2020-02-24 2020-06-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状态预测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10971143B2 (en) 2017-09-29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device, electronic device,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3422A (ko) * 2008-03-28 2009-10-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작 감지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58376B1 (ko) * 2011-11-29 2013-04-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속도 센서와 근접센서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받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3422A (ko) * 2008-03-28 2009-10-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작 감지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58376B1 (ko) * 2011-11-29 2013-04-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속도 센서와 근접센서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받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239A (ko) * 2015-12-15 2017-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0971143B2 (en) 2017-09-29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device, electronic device,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274113A (zh) * 2020-02-24 2020-06-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状态预测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11274113B (zh) * 2020-02-24 2023-07-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状态预测方法、装置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349B1 (ko)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1127B2 (en) Low powe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CN103283210B (zh) 用于接近检测验证的移动设备和方法
KR101536750B1 (ko) 방송수신장치의 상태에 따라 모드를 설정하는 원격제어장치
EP3002933B1 (en) User terminal light control method and corresponding apparatus
US8909300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ing direction
US10610152B2 (en) Sleep state detec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6062175B2 (ja) 携帯端末、省電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省電力制御方法
KR101744209B1 (ko)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비일시적 기록 매체, 중앙 장치 및 주변 장치
CN104657057A (zh) 终端唤醒方法及装置
CN104832446A (zh) 控制风扇方法及装置
KR20180089229A (ko)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US10228804B2 (en) Mobile device with periodic estimation of underwater state based on detected acceleration
CN107957843B (zh) 一种控制方法和移动终端
CN110784915B (zh) 电子设备的功耗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1443815A (zh) 一种振动提醒方法及电子设备
CN111405110A (zh) 屏幕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9197760B2 (en) Hand activated mode setting
CN111357006A (zh) 一种疲劳提示方法和终端
KR102203349B1 (ko) 대기상태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방법
KR102105967B1 (ko) 정보 표시를 위한 저전력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4951203B (zh) 设备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327744A (zh) 一种功能控制组件及电子设备
WO2015085745A1 (zh) 管理液晶显示屏背光灯的方法、装置及终端
KR101624866B1 (ko) 방송수신장치의 상태에 따라 모드를 설정하는 원격제어장치
CN110046007B (zh) 内容处理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