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912A -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912A
KR20150018912A KR20130079450A KR20130079450A KR20150018912A KR 20150018912 A KR20150018912 A KR 20150018912A KR 20130079450 A KR20130079450 A KR 20130079450A KR 20130079450 A KR20130079450 A KR 20130079450A KR 20150018912 A KR20150018912 A KR 20150018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ember
container
outer container
cosmetic cas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9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7815B1 (ko
Inventor
신호준
Original Assignee
(주)더페이스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페이스샵 filed Critical (주)더페이스샵
Priority to KR1020130079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8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18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0Containers with movably moun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2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lipstick holders or with other toiletry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10Adhesive or cohesive means for holding the contents attach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Cosmetic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는, 화장품으로 채워진 내용기, 상기 내용기가 삽입되는 레일 부재 및 상기 레일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마련되는 외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의 바닥 부분에는 안착요소가 마련되어, 상기 안착요소에 의해 상기 레일 부재가 상기 외용기에 대하여 장착 또는 탈착 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케이스{COSMETIC CASE}
본 발명은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기호 및 선호에 따라 조립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의 경우, 기초 화장품, 색조 화장품, 기능성 화장품 등 그 기능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화장품의 종류만큼이나. 화장품을 수용하는 다양한 화장품 용기들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파운데이션과 같은 메이컵 베이스 화장품이나 색조 화장품의 경우, 외출 시 휴대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의 경우, 무엇보다도 휴대성이 중요하다.
최근, 얼굴 전체를 커버하는 파운데이션과 함께, 얼굴 피부의 국소 부위를 커버하기 위한 컨실러를 휴대하는 사용자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휴대하는 화장품이 늘어날수록 이를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가 늘어 나게 되고, 이를 휴대하기 위한 사용자의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에서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2000년 12월 18일에 출원된, 선행문헌 제10-2000-0077794호에서는 화장품 리필케이스 제조용 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스에 대하여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용기 내의 화장품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 용기의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끼움 방식의 결합구조에 의해 화장품 케이스로부터 내부 구성요소의 탈부착이 용이한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대량 생산 시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기호 및 선호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화장품을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는 화장품으로 채워진 내용기, 상기 내용기가 삽입되는 레일 부재 및 상기 레일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마련되는 외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의 바닥 부분에는 안착요소가 마련되어, 상기 안착요소에 의해 상기 레일 부재가 상기 외용기에 대하여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레일 부재는, 상기 내용기의 밑면과 맞닿는 바닥플레이트 및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외용기의 안착요소 상에 장착을 위한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측벽의 상단에는 상기 레일 부재 안쪽으로 연장하는 돌출요소가 마련되고 상기 레일 부재의 길이방향 단부 측에는 삽입 부분이 마련되어, 상기 삽입 부분을 통해 삽입된 내용기가 상기 돌출요소에 의해 상기 레일 부재에 유지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측벽의 내측에는 상기 내용기의 장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체결턱이 마련되고, 상기 내용기에는 상기 체결턱과 맞물리는 체결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안착요소에는 상기 레일 부재의 장착을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는 상기 레일 부재의 측벽에 형성된 홈과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안착요소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안착요소들 사이에 상기 레일 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레일 부재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외용기에는 상기 손잡이에 대응하도록 오목요소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상기 오목요소로부터 멀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외용기로부터 상기 레일 부재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는 복수 개의 화장품으로 채워지는 레일 부재 및 상기 레일 부재가 장착되는 외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부재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상부로 당김으로써 상기 레일 부재를 상기 외용기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레일 부재는, 상기 외용기와 맞닿는 바닥플레이트 및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에 의하면 용기 내의 화장품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 용기의 교체가 용이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에 의하면 끼움 방식의 결합구조에 의해 화장품 케이스로부터 내부 구성요소의 탈부착이 용이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대량 생산 시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에 의하면 사용자의 기호 및 선호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화장품을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레일 부재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레일 부재에 내용기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외용기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외용기에 레일 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레일 부재를 도시하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레일 부재에 내용기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외용기를 도시하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외용기에 레일 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10)는 내용기(100), 레일 부재(200) 및 외용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기(100)에는 화장품이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쉐도우, 립스틱 등과 같은 색조 화장품이 내용기(100) 내에 채워질 수 있다.
또한, 내용기(100)는 밑면과 네 개의 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면과 네 개의 측면으로 형성된 내부 공간에 화장품이 채워질 수 있다.
그러나, 내용기(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화장품이 채워질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상기 내용기(100)의 측면에는 내용기(100)가 레일 부재(200) 상에 장착되게 하기 위한 체결홈(11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110)은 레일 부재(200)의 체결턱(224)과 맞물리며, 이에 의해 내용기(100)가 레일 부재(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10)에는 복수 개의 내용기(1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성들이 색조화장을 할 때 다양한 색상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화장품 케이스(10) 내에 복수 개의 내용기(100)가 구비되는 것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내용기(100) 내에는 서로 다른 색상의 아이쉐도우로 채워지거나, 서로 다른 색상의 립스틱으로 채워지거나, 아이쉐도우와 립스틱이 함께 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장품으로 채워진 내용기들(100)은 사용자의 기호 및 선호에 맞추어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용기(100)는 레일 부재(20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 또는 3을 참조하여, 상기 레일 부재(200)는 바닥플레이트(210), 측벽(220), 돌출요소(230) 및 손잡이(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플레이트(210)는 내용기(100)의 밑면과 맞닿을 수 있다. 그러므로 바닥플레이트(210)는 내용기(100)의 밑면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측벽(220)은 바닥플레이트(210)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측벽(220)은 내용기(100)의 측면과 맞닿을 수 있다. 그러므로 레일 부재(200)의 측벽(220) 또한 내용기(100)의 측면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바닥플레이트(210) 및 측벽(220)의 크기는 화장품 케이스(10) 내에 수용되는 내용기(100)의 크기 및 내용기(100)의 개수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게다가, 측벽(220)에는 후술하게 될 외용기(300)의 안착요소(210)와 결합을 위한 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레일 부재(200)가 외용기(3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는데, 레일 부재(200)와 외용기(300)의 결합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바닥플레이트(210)의 단부 중 측벽(220)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들을 통해 내용기(100)가 레일 부재(200) 내에 삽입되는 삽입 부분(2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부분(250)은 레일 부재(200)의 길이방향 단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 부재(200)에 두 개의 삽입 부분(25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삽입 부분(250)을 통해 내용기(100)가 레일 부재(200)로부터 용이하게 삽입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측벽(220)의 상단에는 레일 부재(200) 안쪽으로 연장하는 돌출요소(2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요소(230)는 레일 부재(200) 내에 삽입된 내용기(100)를 고정 또는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돌출요소(230)에 의해 내용기(100)가 레일 부재(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2 또는 3에는 돌출요소(230)가 측벽(220)의 상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돌출요소(230)가 측벽(220)의 상단에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더불어, 측벽(220)의 내측에는 체결턱(224)이 마련되어, 레일 부재(200) 내에 삽입된 내용기(1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용기(100)의 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결턱(224)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체결홈(11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용기(100)의 체결홈(110)과 레일 부재(200)의 체결턱(224)의 결합에 의해, 내용기(100)는 레일 부재(200)에 확실하게 장착될 수 있다.또한, 레일 부재(200)에는 손잡이(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40)는 예를 들어 레일 부재(20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240)를 당김으로써 레일 부재(200)를 외용기(3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240)는 상부로, 즉 외용기(300)에 장착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손잡이(240)에 의해 레일 부재(200)가 용이하게 외용기(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레일 부재(200)는 외용기(30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외용기(300)에는 레일 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외용기(300)의 내부 공간의 바닥 부분에는 안착요소(31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요소(310)는 레일 부재(200)가 외용기(300)에 대하여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게 한다.
안착요소(31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안착요소들(310) 사이에 레일 부재(200)가 끼워질 수 있다.
특히 도 4에는 네 개의 안착요소(310)가 서로 직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안착요소(310)의 개수 및 배치는 레일 부재(200)를 안착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또한, 특히 도 5를 참조하여, 안착요소(310)에는 레일 부재(200)의 장착을 위한 돌기(312)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돌기(312)의 형상은 레일 부재(200)의 홈(222)의 형상과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안착요소(310)의 돌기(312)를 레일 부재(200)의 홈(222)에 확실하게 장착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안착요소(310)의 돌기(312)를 통해 레일 부재(200)가 외용기(30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 부재(200) 내의 내용기(100)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예를 들어, 내용기(100)에 채워진 화장품을 다 사용한 경우 또는 사용자가 다른 색상의 색조화장품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레일 부재(200)는 외용기(300)의 안착요소(310)의 돌기(3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안착요소(310)와 같은 끼움 방식의 결합구조에 의해 비교적 간단하게 레일 부재(200)를 외용기(300)에 대하여 탈착 또는 장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레일 부재(200)와 외용기(300)의 결합구조는 전술한 것과 같이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레일 부재(200)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외용기(300)에는 홈이 형성되거나, 레일 부재(200)와 외용기(300)에 벨크로와 같은 탈부착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외용기(300)로부터 레일 부재(20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용기(300)에는 전술된 레일 부재(200)의 손잡이(240)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요소(3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요소(320)는 레일 부재(200)의 손잡이(24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오목요소(320)로부터 손잡이(240)를 멀어지게 함으로써 레일 부재(200)를 외용기(3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10)는 다음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조립될 수 있다.
우선, 화장품이 채워진 내용기(100)를 준비한다.
이때 내용기(10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 및 선호에 맞추어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레일 부재(200)의 삽입 부분(250)을 통해 내용기(100)를 삽입시킨다.
레일 부재(200)의 바닥플레이트(210) 및 측벽(220)을 따라 내용기(100)들이 차례로 삽입되고, 레일 부재(200)의 상단에 형성된 돌출요소(230)에 의해 삽입된 내용기(100)들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레일 부재(200)의 측벽(220) 내측에 마련된 체결턱(224)과 내용기(100)의 측면에 마련된 체결홈(110)의 결합에 의해 내용기(100)가 더욱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내용기(100)가 삽입된 레일 부재(200)를 외용기(300)에 장착시킨다.
이때 레일 부재(200)의 측벽(220)에 형성된 홈(222)이 외용기(300)의 안착요소(310)의 돌기(312)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안착요소(310)의 돌기(312)로부터 레일 부재(200)를 탈착시키는 것에 의해, 레일 부재(200)를 외용기(3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레일 부재(200)에 형성된 손잡이(240)와 외용기(300)에 형성된 오목요소(320)에 의해 레일 부재(200)를 외용기(3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 및 선호에 따라서 원하는 때에 그리고 원하는 대로 화장품 케이스(10) 내의 내용기(100)들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맞춤형의 화장품 케이스(10)가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내용기의 교체가 용기하며, 화장품 케이스로부터 내용기 및 레일 부재의 탈부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마련되어 화장품 케이스를 대량 생산할 때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의 맞춤형 화장품 케이스라는 점에서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화장품 케이스
100: 내용기
110: 체결홈
200: 레일 부재
210: 바닥플레이트
220: 측벽
222: 홈
224: 체결턱
230: 돌출요소
240: 손잡이
250: 삽입 부분
300: 외용기
310: 안착요소
312: 돌기
320: 오목요소

Claims (9)

  1. 화장품으로 채워진 내용기;
    상기 내용기가 삽입되는 레일 부재; 및
    상기 레일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마련되는 외용기;
    를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의 바닥 부분에는 안착요소가 마련되어, 상기 안착요소에 의해 상기 레일 부재가 상기 외용기에 대하여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부재는,
    상기 내용기의 밑면과 맞닿는 바닥플레이트; 및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하는 측벽;
    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외용기의 안착요소 상에 장착을 위한 홈이 마련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상단에는 상기 레일 부재 안쪽으로 연장하는 돌출요소가 마련되고 상기 레일 부재의 길이방향 단부 측에는 삽입 부분이 마련되어, 상기 삽입 부분을 통해 삽입된 내용기가 상기 돌출요소에 의해 상기 레일 부재에 유지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내측에는 상기 내용기의 장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체결턱이 마련되고, 상기 내용기에는 상기 체결턱과 맞물리는 체결홈이 마련되는 화장품 케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요소에는 상기 레일 부재의 장착을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는 상기 레일 부재의 측벽에 형성된 홈과 맞물려 결합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요소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안착요소들 사이에 상기 레일 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배치되는 화장품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부재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외용기에는 상기 손잡이에 대응하도록 오목요소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상기 오목요소로부터 멀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외용기로부터 상기 레일 부재를 분리시킬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
  8. 복수 개의 화장품으로 채워지는 레일 부재; 및
    상기 레일 부재가 장착되는 외용기;
    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부재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상부로 당김으로써 상기 레일 부재를 상기 외용기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부재는,
    상기 외용기와 맞닿는 바닥플레이트; 및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하는 측벽;
    을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KR1020130079450A 2013-07-08 2013-07-08 화장품 케이스 KR101497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450A KR101497815B1 (ko) 2013-07-08 2013-07-08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450A KR101497815B1 (ko) 2013-07-08 2013-07-08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912A true KR20150018912A (ko) 2015-02-25
KR101497815B1 KR101497815B1 (ko) 2015-03-05

Family

ID=5257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450A KR101497815B1 (ko) 2013-07-08 2013-07-08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224B1 (ko) 2015-06-10 2017-02-21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입체감 및 고급질감을 제공하는 화장품 용기
KR101705111B1 (ko) 2015-06-17 2017-02-21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고급질감을 제공하는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712497B1 (ko) 2015-07-28 2017-03-23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특이 질감을 제공하는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707526B1 (ko) 2016-09-06 2017-02-20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다양한 입체적 굴곡면을 갖는 화장품 용기용 뚜껑
KR102332103B1 (ko) * 2020-05-20 2021-11-30 주식회사 신우 리필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20240044207A (ko) 2022-09-28 2024-04-04 주식회사 리치코스 휴대용 화장품 리필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8811U (ko) * 1988-06-03 1989-12-21
US5092354A (en) * 1991-06-07 1992-03-03 Diamond Plastics & Design, Inc. Cosmetic kit
KR100626175B1 (ko) * 2005-03-30 2006-09-20 변영광 화장품 및 화장용구 보관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815B1 (ko)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815B1 (ko) 화장품 케이스
US10349723B2 (en) Compact cosmetics container having opening/closing button formed in lid thereof
JP2004275715A (ja) ボタン開放式化粧品ケース
KR100522303B1 (ko) 화장품케이스
KR101638813B1 (ko) 인출식 팔레트를 갖춘 화장품용기
KR101253099B1 (ko) 콤팩트 용기
WO2017007210A1 (ko) 탄성슬릿부를 구비한 손가락 삽입 마스카라 용기
KR200460285Y1 (ko)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
KR200475203Y1 (ko)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US20190142134A1 (en) Cosmetics case
KR101806110B1 (ko) 버튼에 의해 내용물용기가 상승되는 조립식 화장품 용기
KR20160003132U (ko) 회전 개폐가 가능한 다단 화장품 용기
KR101330257B1 (ko) 립스틱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립스틱
KR20130027746A (ko) 블록식 화장품 케이스
KR101707232B1 (ko) 두 개의 브러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
KR20150001416U (ko) 손잡이를 구비한 리필용기가 장착된 화장품용기
JP3127399U (ja) 多機能式化粧品用容器
KR200338783Y1 (ko) 케이스
KR20210046297A (ko) 내용물의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 수용체
CN205757917U (zh) 卡扣式眼影盒
KR101757363B1 (ko) 커버 일체형 자동인출 립스틱 용기
KR102012897B1 (ko) 슬림화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JP3226765U (ja) 化粧品容器
KR101886145B1 (ko) 버튼에 화장도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190032127A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