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209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209A
KR20150018209A KR1020130094841A KR20130094841A KR20150018209A KR 20150018209 A KR20150018209 A KR 20150018209A KR 1020130094841 A KR1020130094841 A KR 1020130094841A KR 20130094841 A KR20130094841 A KR 20130094841A KR 20150018209 A KR20150018209 A KR 20150018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t
subframe
uplink
receiving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666B1 (ko
Inventor
김성훈
김용석
이상현
정경인
게르트-잔 반 리에샤우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4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666B1/ko
Priority to PCT/KR2014/007402 priority patent/WO2015020490A1/ko
Publication of KR2015001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logical channel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88Scheduling 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셀에 대한 전송 시간 구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버퍼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에 TTI 묵음(bundling) 설정 정보가 포함될 경우,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HARQ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TTI bundling을 이용해서 셀 변경에 위치한 단말의 상향 링크 전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multiple carri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명세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보하면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 통신은 물론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근래에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 하나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상기 LTE 시스템은 현재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전송률보다 현저하게 높은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며 현재 규격화가 거의 완료되었다.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 링크는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 비해 전송 출력 상의 제약이 있다. 이는 기지국에 비해서 단말의 전송 출력이 약하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셀의 변경에 위치한 단말은 전송 출력 부족 때문에 성능 감소를 경험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전송 시간 기간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이 1 ms에 불과한 LTE에서는 이런 문제가 보다 심각하다.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TTI bundling이라는 기법을 사용해서 상기 문제점을 극복한다. TTI bundling이 올바르게 동작하기 위해 단말과 기지국은 어떤 상향 링크 그랜트 (UL grant)에 TTI bundling을 적용하고 어떤 UL grant에는 TTI bundling을 적용하지 않을지에 대해 동일한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말과 기지국이 TTI bundling pattern을 설정하거나 해제하거나 재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셀에 대한 전송 시간 구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버퍼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에 TTI 묵음(bundling) 설정 정보가 포함될 경우,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HARQ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은 단말로 특정 셀에 대한 전송 시간 구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버퍼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TTI 묵음(bundling) 설정 정보가 포함될 경우,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HARQ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셀에 대한 전송 시간 구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버퍼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TTI 묵음(bundling) 설정 정보가 포함될 경우,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HARQ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은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버퍼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TTI 묵음(bundling) 설정 정보가 포함될 경우,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HARQ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TTI bundling을 이용해서 셀 변경에 위치한 단말의 상향 링크 전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가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가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bundling이 설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TTI bundling 동작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TTI bundling과 관련된 패턴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1 실시예를 예를 들어 설명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1 실시예의 단말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은 UL grant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과 패턴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핸드 오버 과정에서 TTI bundling이 시작되고 패턴이 설정되는 것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은 핸드 오버 과정에서 단말이 패턴을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은 MG(Measurement Gap)의 시작 시점에 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2 실시예의 단말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3은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하기에서 본 명세서와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명세서를 설명하기 앞서 LTE 시스템 및 캐리어 집적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가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05, 110, 115, 120)과 MME (1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S-GW(130, Serving-Gateway)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terminal))(135)은 ENB(105, 110, 115, 120) 및 S-GW(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에서 ENB(105, 110, 115, 120)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ENB는 UE(135)와 무선 채널을 통해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05, 110, 115, 1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가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 240), RLC(Radio Link Control 210, 235), MAC (Medium Access Control 215,230)으로 이루어진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05, 2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210, 2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한다. MAC(215, 2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220, 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가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TTI bundling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305)과 기지국(310)으로 구성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305)은 셀의 변경 부분으로 이동하고 상향 링크전송 출력이 부족해지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단계 315에서 단말(305)은 기지국(310)에게 PHR(Power Headroom Report)를 전송해서 전송 출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보고한다. 단계 315의 동작은 임의의 시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320에서 기지국(310)은 단말(305)에게 TTI bundling을 적용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기지국(310)은 상기 단계 315에서 수신한 PHR을 기반으로 TTI bundling을 적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325에서 기지국(310)은 단말(305)에게 상기 단계 320의 결정을 기반으로, 제어메시지인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RRCConnectionReconfigur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ttiBundling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상기 ttiBundling의 필드는 'True'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ttiBuyndling은 단말(305)에게 TTI bundling 설정 여부를 지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디코딩해서 내용을 해석한 단말(305)은 이 후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전송에 TTI bundling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 예의 단계 330에서 단말(305)은 상기 TTI bundling을 설정하는 RRC 제어 메시지를 처리한 후, 단계 330에서 UL grant가 수신되면, 이후 단계 335에서 단말(305)는 TTI bundling이 적용된 전송을 수행한다.
이 후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단말이 TTI bundling이 설정한다는 것은 단말이 상기 TTI bundling 설정을 지시하는 RRC 제어 메시지의 처리를 완료한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 TTI bundling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TTI bundling 동작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 [0]에서 단말은 TTI bundling이 설정된 후 첫 번째 UL grant를 수신한다 (405).
상기 단말은 서브 프레임 [4] ~ 서브 프레임 [7]에서 PUSCH 전송을 수행한다 (410).
상기 bundled PUSCH 전송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은 서브 프레임 [11]에서 송수신된다 (415).
만약 HARQ 피드백 NACK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은 서브 프레임 [20] ~ 서브 프레임 [23]에서 재전송을 수행한다 (425). 상기 재전송 역시 bundled PUSCH 전송이다.
실시 예에서 서브 프레임 [16]에서 새로운 전송이나 재전송이 지시될 수 있으며(420), 새로운 전송이 지시되었다면 서브 프레임 [20] ~ [23]에서는 새로운 bundled PUSCH 전송이 수행된다.
상기에서 보는 것과 같이 TTI bundling 동작은 서브 프레임 [n]에서 UL grant가 수신되면 4 서브 프레임 후 4 서브 프레임에 걸쳐서 bundled PUSCH transmission이 수행되며, 16 서브 프레임 후에 재전송이 수행된다. UL grant가 송수신된 서브 프레임 들이 서로 4의 배수 서브 프레임만큼 이격되지 않을 경우 bundled PUSCH transmission이 서로 충돌할 수 있다. 예컨대 서브 프레임 [n]과 서브 프레임 [n+3]에서 UL grant가 송수신되면, bundled PUSCH transmission은 서브 프레임 [n+4] ~ 서브 프레임 [n+7] 및 서브 프레임 [n+7] ~ 서브 프레임 [n+10]에서 발생하고 두 bundled PUSCH transmission 사이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말과 기지국은 TTI bundling이 설정된 후 첫 번째 UL grant가 송수신되면 TTI bundling pattern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TTI bundling과 관련된 패턴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서브 프레임 [0]에서 TTI bundling이 설정된 후 첫 번째 UL grant가 수신되면 (535), 4 서브 프레임의 간격으로 TTI bundling을 위한 UL grant가 수신될 수 있는 서브 프레임들의 패턴이 결정된다.
즉, 서브 프레임 [4](540), 서브 프레임 [8](545), 서브 프레임 [12](550), 서브 프레임 [16](555), 서브 프레임 [20](560)등으로 구성되는 UL grant 패턴이 형성된다. 서브 프레임 [4] ~ 서브 프레임 [7] (505), 서브 프레임 [8] ~ 서브 프레임 [11] (510), 서브 프레임 [12] ~ 서브 프레임 [15] (515), 서브 프레임 [16] ~ 서브 프레임 [19] (520), 서브 프레임 [20] ~ 서브 프레임 [23] (525), 서브 프레임 [24] ~ 서브 프레임 [27] (530) 등으로 구성되는 bundled PUSCH transmission을 위한 패턴도 형성된다.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패턴에 부합되지 않는 UL grant는 무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TTI bundling이 설정된 후 첫 번째 UL grant를 이용해서 패턴을 결정하는 것은 간단하기는 하지만 false positive UL grant (CRC 오류로 인해서 기지국이 전송하지 않은 UL grant를 단말이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심각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단말이 잘못된 첫번째 UL grant를 이용해서 패턴을 결정하면, 이 후 올바른 UL grant들이 모두 무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단말은 상기 단말의 상향 링크 HARQ 버퍼가 모두 비어 있는 상태에서 수신한 UL grant를 이용해서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TTI bundling을 설정하는 RRC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 후, 단말의 모든 상향 링크 HARQ 버퍼가 빌 때까지 상기 단말에 대한 상향 링크 스케줄링을 잠시 중지할 수 있다.
모든 상향 링크 HARQ 버퍼가 비어 있는 상태가 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 UL grant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은 상기 UL grant를 기준으로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상기 패턴에 부합되는 UL grant에 대해서는 bundled PUSCH transmission을 수행하고 상기 패턴에 부합되지 않는 UL grant에 대해서는 bundled PUSCH transmission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UL grant를 무시한다. 기지국은 UL grant를 상기 패턴에 부합되는 서브 프레임에서만 전송한다.
상향 링크 HARQ 버퍼는 HARQ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PUSCH 전송 데이터를 저장한다. PUSCH 전송 데이터는 MAC PDU(Media Access Control Packet Data Unit)가 채널 코딩된 것이고, 하나의 MAC PDU는 전송이 개시된 후 일정 기간이 소요되면 해당 HARQ 버퍼에서 폐기된다. 실시 예에서 상기 일정 기간은 maxHARQ-Tx라는 파라미터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단말이 false positive UL grant에 의해서 bundled PUSCH transmission을 개시했다 하더라도, 상기 일정 기간이 소요된 후에는 상향 링크 HARQ 버퍼가 모두 비어 있는 상태 (empty state)가 되고, 기지국이 UL grant를 송신하면 상기 UL grant에 의해서 올바른 패턴이 다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1 실시예를 예를 들어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TTI bundling이 설정된 후 첫번째 UL grant를 수신하면 상기 UL grant가 수신된 서브 프레임을 기준으로 패턴을 설정한다 (605). 즉 상기 UL grant가 수신된 서브 프레임과 4 서브 프레임 혹은 4의 배수의 서브 프레임만큼 이격된 서브 프레임들이 유효한 UL grant가 수신될 수 있는 서브 프레임으로 간주한다 (610).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4 서브 프레임은 다른 크기의 서브 프레임일 수 있다.
이 후 임의의 시점에 진행 중인 PUSCH 전송이 마무리되고 모든 상향 링크 HARQ 버퍼가 비면 (615), 단말은 현재 설정된 패턴을 해제한다. 즉, 상기 패턴과 부합되지 않는 UL grant가 수신되더라도 이를 무시하지 않는다. 이 후 임의의 시점에 상향 링크 HARQ 버퍼가 빈 후 첫 번째 UL grant가 수신되면 (620), 단말은 상기 수신된 UL grant를 기준으로 패턴을 재설정한다. 즉 상기 UL grant가 수신된 서브 프레임과 4 서브 프레임 혹은 4의 배수의 서브 프레임만큼 이격된 서브 프레임들이 유효한 UL grant가 수신될 수 있는 서브 프레임으로 간주한다 (625).
도 7에 단말 동작을 도시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705 단계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TTIbunling이 True로 설정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고, TTI bundling을 설정한다. 이 후 단말은 TTI bundling이 해제될 때까지, 즉 TTIbunling이 False로 설정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아래 동작을 수행한다.
710 단계에서 단말은 TTI bundling이 설정된 서빙 셀의 모든 상향 링크 HARQ 버퍼가 비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모든 상향링크 HARQ 버퍼가 비었다면 715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단말은 HARQ 버퍼가 비어 있지 않은 경우 710 단계에서 대기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 Carrier Aggregation이 사용되면 하나의 단말에는 여러 개의 서빙 셀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 중 일부의 서빙 셀, 예를 들어 PCell에 TTI bundling이 설정될 수 있다. 서빙 셀 별로 다수의 상향 링크 HARQ 버퍼가 구비되며, 710 단계에서 단말은 여러 서빙 셀 중 TTI bundling이 설정된 서빙 셀의 상향 링크 HARQ 버퍼를 검사한다.
71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현재 사용 중인 패턴을 해제한다. 패턴을 해제한다는 것은,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UL grant를 수신했을 때, 상기 UL grant가 수신된 서브 프레임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혹은 상기 UL grant에 의해서 발생하는 PUSCH 전송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검사해서, 만족하는 경우에만 UL grant를 처리하고 bundled PUSCH transmission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패턴이 해제된 경우,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UL grant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UL grant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이 기존에 적용되는 패턴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도 수신된 UL grant를 무시하지 않을 수 있다. 패턴을 해제한 단말은 UL grant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하고, UL grant가 발생하면 720 단계로 진행한다.
UL grant가 발생한다는 것은 아래 경우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 PDCCH를 통해서 UL grant를 수신하였으며, 상기 UL grant가 단말의 C-RNTI 혹은 Semi-Persistent Scheduling C-RNTI로 어드레스된 경우. C-RNTI는 단말의 식별자로 동적인 전송 자원 할당을 위한 것이다. Semi-Persistent Scheduling C-RNTI는 단말의 식별자로 반영국적 전송 자원 할당을 위한 것이다. Semi-Persistent Scheduling C-RNTI 및 Semi-Persistent Scheduling에 대해서는 3GPP 규격 36.321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 PDCCH를 통해서 UL grant를 수신하였으며, 상기 UL grant가 단말의 Temporary C-RNTI로 어드레스된 경우. Temporary C-RNTI는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아직 경쟁이 해결되지 않은 (Contention resolution이 완료되지 않은) 단말에게 전송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것이다.
- RAR (Random Access Response)를 통해서 UL grant를 수신한 경우.
- 설정된 UL grant가 해당 서브 프레임에 발생한 경우. 설정된 UL grant란 반영구적으로 할당된 전송 자원과 관련된 것이다. 임의의 전송 자원이 반영구적으로 할당되면, 상기 전송 자원에 대한 UL grant가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간주하며, 이러한 UL grant를 설정된 UL grant라고 한다.
720 단계에서 단말은 UL grant가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지 검사해서,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면 730 단계로 진행하고, 하나라도 만족시키지 않으면 725 단계로 진행한다.
- TTI bundling이 설정된 상태인가?
- TTI bundling이 설정된 서빙 셀에 대한 UL grant인가?
- TTI bundling이 설정된 서빙 셀의 모든 상향 링크 HARQ 버퍼가 empty 상태인가? 이 때 Msg 3를 저장하고 있는 버퍼는 고려하지 않는다. 즉, 다른 모든 버퍼는 비어 있고 임의의 버퍼에 Msg 3가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조건이 성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UL grant가 TTI bundle transmission을 위한 것인가?
TTI bundle transmission을 위한 UL grant란 bundled PUSCH transmission을 트리거하는 UL grant로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것이다.
- TTI bundling이 설정된 상태에서 TTI bundling이 설정된 서빙 셀에 대해 수신된 UL grant 중, PDCCH를 통해 C-RNTI 혹은 Semi-Persistent Scheduling C-RNTI로 어드레스된 UL grant
- TTI bundling이 설정된 상태에서 TTI bundling이 설정된 서빙 셀에 대해 발생한 설정된 UL grant
- TTI bundling이 설정된 상태에서 TTI bundling이 설정된 서빙 셀에서 전용 preamble을 사용한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수신된 유효한 RAR에 수납된 UL grant
즉, random preamble을 사용한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수신된 RAR에 수납된 UL grant 혹은 Msg 3용 UL grant 혹은 Temporary C-RNTI로 어드레스된 UL grant는 TTI bundling을 위한 UL grant가 아니다.
72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UL grant로 패턴을 설정하지 않는다. 즉 이미 패턴이 설정되어 있다면 현재 사용 중인 패턴을 유지하고, 패턴이 설정되지 않았다면, 패턴 미설정 상황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한 UL grant를 처리할지 무시할지 결정한다. 만약 상기 UL grant가 랜덤 프리앰블이 사용된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수신된 RAR에 수납된 UL grant 즉 Msg 3를 위한 UL grant라면 상기 UL grant에 따라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상기 UL grant가 Temporary C-RNTI로 어드레스된 것이라면 마찬가지로 상기 UL grant에 따라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73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수신한 UL grant를 이용해서 패턴을 설정하고, 이 패턴을 적용해서 향후 UL grant가 수신되었을 때 bundled PUSCH transmission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730 단계의 동작은 도 8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단말은 730 단계에서 pattern을 설정한 후, 향후 PDCCH를 통해 UL grant가 수신되거나 설정된 UL grant가 발생하면, 상기 UL grant가 발생하거나 수신된 서브 프레임이 상기 패턴에 부합되는 서브 프레임이라면 bundled PUSCH transmission을 수행하고 상기 패턴에 부합되지 않는 서브 프레임이라면, 즉 TTI bundling을 위한 UL grant가 수신될 수 있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라면 상기 UL grant를 무시하고 bundled PUSCH transmission을 수행하지 않는다.
73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또 다른 UL grant가 발생하거나 HARQ 버퍼가 빌 때까지 대기한다.
도 8은 UL grant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과 패턴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UL grant가 PDCCH를 통해 서브 프레임 [n]에서 수신되었다면 (805), 단말은 서브 프레임 [n+m*4]에서 TTI bundling을 위한 UL grant(RAR을 통한 UL grant는 제외, RAR을 통한 UL grant를 통한 bundled PUSCH transmission은 패턴을 최초로 설정하는 경우에만 사용되며, 패턴이 이미 설정된 후에는 사용되지 않는다.)가 수신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n+m*4]로 특징되는 패턴이 설정된 것으로 판단한다(810).
이 때 m은 1 혹은 1보다 큰 정수이다. UL grant가 RAR을 통해 서브 프레임 [n]에서 수신되었다면 (815), 단말은 서브 프레임 [n+2+m*4]에서 TTI bundling을 위한 UL grant(RAR을 통한 UL grant는 제외)가 수신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n+2+m*4]에 의해서 특정되는 패턴이 설정된 것으로 판단한다(820). 이 때 m은 1 혹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상기와 같이 둘을 구별하는 이유는 PDCCH를 통해 UL grant를 수신한 경우와 RAR을 통해 UL grant를 수신하는 경우에 bundled PUSCH transmission이 개시되는 서브 프레임이 다르기 때문이다. PDCCH를 통해 서브 프레임 [n]에서 UL grant를 수신하면 단말은 서브 프레임 [n+4] ~ 서브 프레임 [n+7]에서 bundled PUSCH transmission을 수행하고 RAR을 통해 서브 프레임 [n]에서 UL grant를 수신하면 단말은 서브 프레임 [n+6] ~ 서브 프레임 [n+9]에서 bundled PUSCH transmission을 수행한다. 따라서 PDCCH를 통해 UL grant를 수신한 경우와, RAR을 통해 UL grant를 수신한 경우에 패턴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RAR과 PDCCH에 대해서 별도의 규칙을 정의하는 대신 bundled PUSCH transmission 전송이 시작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패턴을 정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서브 프레임 [k-4] 혹은 서브 프레임 [k-6]에서 수신된 UL grant에 의해서 서브 프레임 [k]에서 bundled PUSCH transmission이 개시된다면 (825), 단말은 서브 프레임 [k+m*4]에서 TTI bundling을 위한 UL grant가 수신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k+m*4]로 특정되는 패턴이 설정된 것으로 판단한다 (830).
핸드 오버 과정을 통해서 TTI bundling이 설정될 수도 있다. 핸드 오버는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반하며, 상기 랜덤 액세스에서 사용된 프리앰블의 종류에 따라 단말은 TTI bundling이 개시되는 시점과 패턴을 설정하는 UL grant를 차별적으로 선택한다.
도 9a 및 도 9b는 핸드 오버 과정에서 TTI bundling이 시작되고 패턴이 설정되는 것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단말(905), 셀 1(910), 셀 2(915)로 구성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905)은 셀 1(910)에서 셀 2(915)로 핸드 오버 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셀 1(910)과 셀 2(915)는 서로 다른 셀일 수도 있고 동일한 셀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 메시지는 셀 2(915)에서 TTI bundling을 적용하라는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메시지는 또한 셀 2(915)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전용 프리앰블 정보가 수납되어 있거나 수납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핸드 오버를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에 전용 프리앰블 정보가 수납되어 있지 않다면 (920), 단말(905)은 셀 2(915)에서 랜덤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925). 임의의 시점에 상기 랜덤 프리앰블에 대응되는 유효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Random Access Response, 이하 RAR)를 수신하면 (930), 단말(905)은 상기 RAR에 수납된 Timing Advance 정보를 이용해서 역방향 전송 타이밍을 조정하고 UL grant를 이용해서 PUSCH 전송을 준비한다. 상기 RAR을 서브 프레임 n에서 수신하였다고 할 때 PUSCH 전송은 서브 프레임 [n+k1]에서 수행된다. 상기 k1은 6 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FDD라면 K1은 6이고, TDD라면 K1은 6 이후에 발생하는 첫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 대응될 수 있다.
랜덤 프리앰블을 사용하는 경우, RAR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누구인지 알지 못한다. 즉 상기 단말이 TTI bundling이 설정된 단말인지 아닌지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랜덤 프리앰블을 사용하였다면, RAR의 UL grant에 대해서는 bundling을 적용하지 않는다 (935). 랜덤 프리앰블이 사용된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RAR의 UL grant를 통해 전송되는 PUSCH 전송을 Msg 3라고 한다. Msg 3을 수신한 기지국(915)은 단말(905)에게 경쟁 해소 (Contention Resolution, 이하 CR) 메시지를 전송한다 (940).
상기 CR 메시지는 단말(905)의 C-RNTI로 어드레스된 DL assignment 혹은 UL grant이다. 단말(905)은 경쟁이 해소된 후 첫번째 UL grant 부터 TTI bundling을 적용하며, 상기 UL grant를 기준으로 패턴을 설정한다 (943).
핸드 오버를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에 전용 프리앰블이 지시되어 있다면 (945), 단말(905)은 셀 2(915)에서 상기 지시 받은 전용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950).
임의의 시점에 단말(905)이 상기 전용 프리앰블에 대응되는 유효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Random Access Response, 이하 RAR)를 수신하면 (955), 단말(905)은 상기 RAR에 수납된 Timing Advance 정보를 이용해서 역방향 전송 타이밍을 조정하고 UL grant를 이용해서 PUSCH 전송을 준비한다. 상기 RAR을 서브 프레임 n에서 수신하였다고 할 때 PUSCH 전송은 서브 프레임 [n+k1]에서 수행된다. 상기 k1은 6 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FDD라면 K1은 6이고, TDD라면 K1은 6 이 후에 발생하는 첫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 대응된다. 전용 프리앰블을 사용한 경우, RAR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누구인지 인지한다. 즉 상기 단말이 TTI bundling이 설정된 단말이라는 것을 파악한다. 단말은 전용 프리앰블을 사용하였다면 RAR의 UL grant에 대해서 bundling을 적용한다 (965). 그리고 상기 PUSCH 전송을 기준으로 혹은 RAR의 UL grant를 기준으로 패턴을 설정한다.
도 10에 단말 동작을 도시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Handover를 지시하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한다.
101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서 지시한 셀과 순방향 동기를 수립한다.
1015 단계에서 단말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서 전용 프리앰블이 할당되었는지 판단한다. 실시 예에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ra-PreambleIndex가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필드가 1 에서 63 사이의 정수라면 dedicate preamble이 할당된 것이다. 만약 상기 파라미터가 수납되어 있지 않거나, 파리미터가 수납되어 있으나 그 값이 0이라면 전용preamble이 할당되지 않은 것이다.
상기 1015 단계의 판단 결과, 전용 preamble이 할당되었다면 1020 단계로, 할당되지 않았다면 1045 단계로 진행한다.
102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ra-PreambleIndex에서 지시된 프리앰블을 소정의 시점에 소정의 전송 자원을 이용해서 전송한다. 상기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시점과 전송 자원은 시스템 정보로 단말들에게 공지될 수 있으며, 핸드 오버의 경우 핸드 오버를 지시하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서 단말에게 통보된다. 단말은 소정의 회수 내에서 기지국이 유효한 RAR을 전송할 때까지 preamble을 전송한다. 단말이 preamble을 전송할 수 있는 최대 회수는 preambleTransMax에 의해서 규제되며 상기 값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게 통보될 수 있다.
102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유효한 RAR을 수신하면, 상기 RAR에 수납된 Timing Advance를 적용해서 역방향 전송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RAR에서 지시된 UL grant를 이용해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해야 함을 인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유효한 RAR이란, 서브 헤더에 단말이 전송한 프리앰블에 해당하는 preamble ID이 포함된 RAR일 수 있다.
103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RAR에서 할당된 역방향 전송 자원을 이용한 역방향 전송에 TTI bundling을 적용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핸드 오버를 지시하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True로 설정된 ttiBundling 파라미터가 수납되어 있었는지 검사한다. 만약 그렇다면 1035 단계로 그렇지 않다면 104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103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RAR에서 할당 받은 전송 자원을 사용해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함에 있어서 TTI bundling을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전송 자원을 TTIBUNDLESIZE TTI 동안 연속적으로 사용해서 하나의 MAC PDU를 반복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UL grant가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패턴을 설정한다. 상기 패턴 설정은 이전에 기술한 방법과 대응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104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RAR에서 할당 받은 전송 자원을 사용해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함에 있어서 TTI bundling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이 후의 역방향 전송에 대해서도 TTI bundling을 적용하지 않는다.
104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소정의 프리앰블 셋에서 하나의 프리앰블을 무작위로 선택한 뒤 소정의 시점에 소정의 전송 자원을 이용해서 전송한다. 상기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시점과 전송 자원은 시스템 정보로 단말들에게 공지되며, 핸드 오버의 경우 핸드 오버를 지시하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서 단말에게 통보된다. 단말은 소정의 회수 내에서 기지국이 유효한 RAR을 전송할 때까지 preamble을 전송한다. 단말이 preamble을 전송할 수 있는 최대 회수는 preambleTransMax에 의해서 규제되며 상기 값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게 통보된다.
105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유효한 RAR을 수신하면, 상기 RAR에 수납된 Timing Advance를 적용해서 역방향 전송 타이밍을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RAR에서 지시된 역방향 전송 자원을 이용해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해야 함을 인지한다. 유효한 RAR이란, 단말이 전송한 프리앰블에 해당하는 preamble ID를 서브 헤더에 포함한 RAR이다.
105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TTI bundling을 적용하지 않고 RAR에서 할당 받은 전송 자원을 이용해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106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이 후 PDCCH를 통해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하거나 설정된 역방향 그랜트에 의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할 때 TTI bundling을 적용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핸드 오버를 지시하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True로 설정된 ttiBundling 파라미터가 수납되어 있었는지 검사한다. 만약 그렇다면 1065 단계로 그렇지 않다면 1070 단계로 진행한다.
106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아래 조건을 충족시키는 UL grant 부터 TTI bundling을 적용하고 상기 UL grant를 이용해서 패턴을 설정한다. 패턴 설정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다. 상기 조건은 아래와 같다.
[TTI bundling 패턴을 설정하는 UL grant]
Msg 3를 저장한 상향 링크 HARQ 버퍼를 제외한 나머지 버퍼는 모두 비어 있는 상태에서 처음으로 수신한, 단말의 C-RNTI 혹은 Semi-Persistent Scheduling C-RNTI로 어드레스된 UL grant; 또는
랜덤 액세스가 완료된 후 처음으로 수신한 UL grant 혹은 랜덤 액세스를 완료시키는 UL grant 중 먼저 수신된 UL grant; 또는
경쟁 해소가 완료된 후 처음으로 수신한 UL grant 혹은 경쟁을 해소하는 UL grant 중 먼저 수신된 UL grant.
1070 단계는 1040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2 실시 예>
단말의 이동성 지원을 위해서 단말은 꾸준히 서빙 셀 및 주변 셀을 측정하도록 지시 받는다. 단말이 특히 현재 서빙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의 주변 셀을 측정할 경우, 현재 서빙 셀에서의 송수신을 중단하여야 한다. 단말이 측정을 수행하는 동안 기지국이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향링크를 스케줄링 함으로써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단말이 비 서빙 주파수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시구간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시구간을 측정 갭 (Measurement Gap: 이하 MG라 칭함)이라 할 수 있다.
도 11은 MG(Measurement Gap)의 시작 시점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과 기지국은 MG이 발생하는 시구간에 대해서 서로 동일한 이해를 하여야 한다. MG의 길이는 6 ms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단말에게 MG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을 알려줌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서브 프레임의 시작 시점이 항상 가장 이상적인 MG 시작 시점은 아니다. 예를 들어 TDD 시스템에서는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과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Timing Advance 보다 조금 긴 길이를 가지는 스위칭 구간이 존재한다. 다른 조합, 예를 들어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과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사이,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과 스위칭 서브 프레임 사이, 스위칭 서브 프레임과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갭이 존재하지 않으며 시간적으로 서로 인접한다. 예컨대 서브 프레임 [n-1] (1105)는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서브 프레임 [n] (1110)은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이라 할 때, 서브 프레임 [n-1]과 서브 프레임 [n] 사이에는 소정의 길이의 스위칭 구간 (1115)이 존재한다. 상기 공백 구간 동안 단말은 상향 링크에서 하향 링크로 스위칭을 수행한다. 이처럼 상기 스위칭 구간을 전후해서 MG을 설정하고자 할 경우, 서브 프레임 [n-1]이 종료되는 시점 (1125)에서 MG을 시작하는 것이 서브 프레임 [n]이 시작되는 시점(1130)에서 MG을 시작하는 것보다 효율적이다. 다른 경우, 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 [n+1]을 기준으로 MG을 설정하는 경우라면 서브 프레임 [n]의 종료 시점에서 시작하는 것과 서브 프레임 [n+1]의 시작 시점에서 시작하는 것 사이에 차이가 없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는 MG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을 판단할 수 있는 소정의 파라미터들을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달하고, 단말과 기지국은 상기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MG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을 판단하는 한 편, 상기 첫번째 서브 프레임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면 MG을 상기 첫번째 서브 프레임 직전의 서브 프레임의 종료 시점에서 MG을 시작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1200 단계에서 단말은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를 획득해서 RRC 연결 설정 절차 수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인지하고 서빙 셀과 RRC 연결 설정 절차를 개시한다.
1215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MG을 설정한다. MG는 단말에게 gapOffset을 할당함으로써 설정된다. 일 예로서 gapOffset은 0에서 39 사이의 값을 가지는 제 1 gapOffset과 0에서 79 사이의 값을 가지는 제 2 gapOffset으로 구분되며, 이 중 하나의 값이 사용된다. 제 1 gapOffset이 시그날링되면 Gap repetition period가 40 ms이고 제 2 gapOffset이 시그날링되면 gap repetition period가 80 ms 이다. 상기 gapOffset과 gap repetition period 등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규격 36.133과 규격 36.331에서 찾아볼 수 있다.
1220 단계에서 단말은 MG의 첫번째 서브 프레임을 특정하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와 서브프레임 번호를 산출한다. 일 예로 MG의 첫번째 서브 프레임이 속하는 라디오 프레임의 SFN은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MG의 첫번째 서브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번호는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MG의 첫번째 서브 프레임이 서브 프레임 [n]이라 가정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1230 단계에서 단말은 현재 동작 모드가 FDD인지 TDD인지 검사한다. FDD라면 1235 단계로 진행하고 TDD라면 1240 단계로 진행한다. 1235 단계에서 단말은 서브 프레임 [n]의 시작 시점에서 MG을 개시한다.
1240 단계에서 단말은 서브 프레임 [n-1]은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이고 서브 프레임 [n]은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인지 검사해서 그렇다면 124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1235 단계로 진행한다. 1245 단계에서 단말은 서브 프레임 [n-1]이 종료되는 시점에 MG을 개시한다. 만약 단말에게 여러 개의 서빙 셀이 설정되어 있고, 이 중 둘 혹은 그 이상의 서빙 셀이 활성화 상태라면, 단말은 여러 개의 서브 프레임 [n-1] 들 중, 시간적으로 가장 늦은 (latest) 서브 프레임 [n-1]의 종료 시점에 MG을 개시한다. 다수의 서빙 셀이 설정되었다는 것은 Carrier aggregation이 적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carrier aggregation시 동작과 활성화에 대한 설명은 규격 36.331과 규격 36.321에 설명되어 있다.
1235 단계에서 서브 프레임의 [n]의 시작 시점과 서브 프레임 [n-1]의 종료 시점은 동일하므로, 1235 단계에서도 서브 프레임 [n-1]의 종료 시점에 MG을 시작하도록 단말의 동작을 단순화할 수도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송수신부(1305), 제어부(131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315), 제어 메시지 처리부(1330), 각 종 상위 계층 처리부(1320, 1325) 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1305)는 서빙 셀의 순방향 채널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역방향 채널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다수의 서빙 셀이 설정된 경우, 송수신부(1305)는 상기 다수의 서빙 셀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315)는 상위 계층 처리부(1320, 1325)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330)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송수신부(130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해서 적절한 상위 계층 처리부(1320, 1325)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3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메시지 처리부(1330)는 RRC 계층 장치이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해서 필요한 동작을 취한다. 예를 들어 RRC 제어 메시지를 수신해서, TTI bundling 관련 정보, MG 관련 정보 등을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위 계층 처리부(1320, 1325)는 서비스 별로 구성될 수 있다. FTP(File Transfer Protocol)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과 같은 사용자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해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315)로 전달하거나 상기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315)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처리해서 상위 계층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제어부(1310)는 송수신부(1305)를 통해 수신된 스케줄링 명령, 예를 들어 역방향 그랜트들을 확인하여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전송 자원으로 역방향 전송이 수행되도록 송수신부(1305)와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315)를 제어한다. 제어부는 또한 TTI bundling과 관련된 제반 절차, MG과 관련된 제반 절차 등을 총괄한다. 즉 도 3 ~ 도 12에 기술된 동작 중 단말 동작을 제어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송수신부 (1405), 제어부(141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 (1420), 제어 메시지 처리부 (1435), 각 종 상위 계층 처리부 (1425, 1430), 스케줄러(1415)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405)는 순방향 캐리어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역방향 캐리어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다수의 캐리어가 설정된 경우, 송수신부(1405)는 상기 다수의 캐리어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420)는 상위 계층 처리부(1425, 14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435)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송수신부(140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해서 적절한 상위 계층 처리부(1425, 14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435), 혹은 제어부 (14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메시지 처리부(1435)는 단말이 전송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해서 필요한 동작을 취하거나, 단말에게 전달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해서 하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상위 계층 처리부(1425, 1430)는 베어러 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S-GW 혹은 또 다른 기지국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RLC PDU로 구성해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420)로 전달하거나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420)로부터 전달된 RLC PDU를 PDCP SDU로 구성해서 S-GW 혹은 다른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스케줄러는 단말의 버퍼 상태, 채널 상태 등을 고려해서 단말에게 적절한 시점에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송수신부에게 단말이 전송한 신호를 처리하거나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제어부는 또한 TTI bundling과 관련된 제반 절차, MG과 관련된 제반 절차 등을 총괄한다. 즉 도 3 ~ 도 12에 기술된 동작과 관련된 기지국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셀에 대한 전송 시간 구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버퍼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에 TTI 묵음(bundling) 설정 정보가 포함될 경우,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HARQ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수신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1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L grant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HARQ의 버퍼가 비어 있을 경우, 상기 제1 UL grant를 수신한 서브프레임에서 특정 간격만큼 떨어진 서브프레임에서 추가로 수신되는 UL grant를 기반으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간격만큼 떨어진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에서 제2 UL grant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2 UL grant를 무시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L grant를 수신한 이후, 제3 UL grant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UL grant가 상기 상향링크 HARQ 버퍼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수신되고, 상기 제3 UL grant가 TTI bundle 전송을 위한 것일 경우, 상기 제3 UL grant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수신 방법은
    상기 제3 UL grant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에서 특정 간격만큼 떨어진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에서 제4 UL grant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제4 UL grant를 무시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6.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특정 셀에 대한 전송 시간 구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버퍼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TTI 묵음(bundling) 설정 정보가 포함될 경우,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HARQ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송수신 방법은
    상기 단말로 제1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UL grant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HARQ의 버퍼가 비어 있을 경우, 상기 제1 UL grant를 수신한 서브프레임에서 특정 간격만큼 떨어진 서브프레임에서 추가로 수신되는 UL grant를 기반으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간격만큼 떨어진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에서 제2 UL grant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2 UL grant를 무시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UL grant를 수신한 이후, 제3 UL grant를 수신하고, 상기 제3 UL grant가 상기 상향링크 HARQ 버퍼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수신되고, 상기 제3 UL grant가 TTI bundle 전송을 위한 것일 경우, 상기 제3 UL grant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3 UL grant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에서 특정 간격만큼 떨어진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에서 제4 UL grant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제4 UL grant를 무시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1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에 있어,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셀에 대한 전송 시간 구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버퍼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TTI 묵음(bundling) 설정 정보가 포함될 경우,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HARQ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1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수신하고, 상기 제1 UL grant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HARQ의 버퍼가 비어 있을 경우, 상기 제1 UL grant를 수신한 서브프레임에서 특정 간격만큼 떨어진 서브프레임에서 추가로 수신되는 UL grant를 기반으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간격만큼 떨어진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에서 제2 UL grant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2 UL grant를 무시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UL grant를 수신한 이후, 제3 UL grant를 수신하고, 상기 제3 UL grant가 상기 상향링크 HARQ 버퍼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수신되고, 상기 제3 UL grant가 TTI bundle 전송을 위한 것일 경우, 상기 제3 UL grant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UL grant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에서 특정 간격만큼 떨어진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에서 제4 UL grant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제4 UL grant를 무시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버퍼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TTI 묵음(bundling) 설정 정보가 포함될 경우,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HARQ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 제1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UL grant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HARQ의 버퍼가 비어 있을 경우, 상기 제1 UL grant를 수신한 서브프레임에서 특정 간격만큼 떨어진 서브프레임에서 추가로 수신되는 UL grant를 기반으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간격만큼 떨어진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에서 제2 UL grant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2 UL grant를 무시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UL grant를 수신한 이후, 제3 UL grant를 수신하고, 상기 제3 UL grant가 상기 상향링크 HARQ 버퍼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수신되고, 상기 제3 UL grant가 TTI bundle 전송을 위한 것일 경우, 상기 제3 UL grant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3 UL grant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에서 특정 간격만큼 떨어진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에서 제4 UL grant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제4 UL grant를 무시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30094841A 2013-08-09 2013-08-0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102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841A KR102102666B1 (ko) 2013-08-09 2013-08-0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CT/KR2014/007402 WO2015020490A1 (ko) 2013-08-09 2014-08-0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841A KR102102666B1 (ko) 2013-08-09 2013-08-0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209A true KR20150018209A (ko) 2015-02-23
KR102102666B1 KR102102666B1 (ko) 2020-04-22

Family

ID=52461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841A KR102102666B1 (ko) 2013-08-09 2013-08-0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2666B1 (ko)
WO (1) WO201502049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30259A (ja) * 2008-08-04 2011-12-15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信号伝送方法及び装置
JP2012530434A (ja) * 2009-06-18 2012-11-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移動通信における改良された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8577A1 (en) * 2007-06-25 2008-12-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inter-frequency and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
US9172509B2 (en) * 2008-04-11 2015-10-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for transmission time interval bundling in the uplink
US20090268707A1 (en) * 2008-04-25 2009-10-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to implement transmission time interval bundling
US8908648B2 (en) * 2010-12-23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TDD-LTE measurement gap for performing TD-SCDMA measurement
US8923234B2 (en) * 2011-10-06 2014-12-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easuring a neighboring cell and an apparatu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30259A (ja) * 2008-08-04 2011-12-15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信号伝送方法及び装置
JP2012530434A (ja) * 2009-06-18 2012-11-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移動通信における改良された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0490A1 (ko) 2015-02-12
KR102102666B1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20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providing TDD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user equipment and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DD
US112910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Msg3 transmission of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729831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erforming preamble assignment for random acces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6339125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ランダムアクセス手続を行う方法及び装置
US8644834B2 (en) Resource allocation
KR10205333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940753B (zh) 移动通信系统中的随机接入方法和设备
KR10207716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62397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2077692B1 (en) Method of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999219B (zh) 执行随机接入过程的方法和装置
CN106900053B (zh) 用于上行链路定时调整的终端、基站及其方法
KR10171060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EP2181511B1 (en)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9733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s well as system thereof
CN113303020A (zh) 无线通信系统中的处理两步随机接入过程中的msg a重传的方法和设备
EP2999289A1 (en) Terminal for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2014513504A (ja) ランダムアクセス応答のためのクロススケジューリング
KR20150055524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보고 및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8111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셀들의 측정 구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127291A (ko) 기지국간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EP3925115B1 (en) Reliability enhancement for user equipment with partial repetitions in configured grant
KR10210266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