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125A -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125A
KR20150018125A KR1020130094653A KR20130094653A KR20150018125A KR 20150018125 A KR20150018125 A KR 20150018125A KR 1020130094653 A KR1020130094653 A KR 1020130094653A KR 20130094653 A KR20130094653 A KR 20130094653A KR 20150018125 A KR20150018125 A KR 20150018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mage
external device
termina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형진
조태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4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8125A/ko
Priority to US14/331,936 priority patent/US20150043886A1/en
Priority to EP14177568.4A priority patent/EP2840558B1/en
Publication of KR2015001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92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multichannel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말기는, 메모리; 카메라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통신모듈; 및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상기 카메라가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외부기기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말기{ELECTRONIC DEVICE AND TERMINAL COMMUNICATING WHIT IT}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외부기기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외부기기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메모리; 카메라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통신모듈; 및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상기 카메라가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디바이스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 주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와, 터치센서와 근접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 주위의 환경변화를 감지하는 센싱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이벤트는, 소리의 변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종류,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위치 변화, 상기 이미지의 조도(Brightness)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하여 사전에 인증된 기기이며, 상기 인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태깅(Tagging)되며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하여 사전에 인증된 기기이며, 상기 인증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일정 영역 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진입한 경우에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는 복수개 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외부기기가, 특정한 피사체를 서로 다른 각도와 서로 다른 시각(時刻)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하에서 상기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한 피사체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하에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결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이미지 중 특정 피사체가 촬영된 이미지는 선택적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는 상황,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의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이미지에 미촬영되는 상황,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모드가 변경되는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는 제1 외부기기와 제2 외부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외부기기로부터의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외부기기의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모드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메모리와, 카메라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통신모듈과,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상기 카메라가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획득한 상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각도와 서로 다른 시각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하에서 특정 피사체를 촬영한 복수의 상기 이미지를, 상기 촬영이 수행된 특정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이벤트는, 소리의 변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종류,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위치 변화, 상기 이미지의 조도(Brightness)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태깅되는 이벤트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단말기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외부기기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촬영한 후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동작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상기 획득한 이미지를 표시하되,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특정 이벤트에 따라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모드와,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계 없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말기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외부기기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도 1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Flow Chart)이다.
도 4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와 다른 외부기기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와 다른 외부기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 단말기를 사용한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특정 이벤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특정 이벤트에 따른 외부기기의 카메라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태깅(Tagging)을 통하여 연결된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특정 인물에 대한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외부기기 제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촬영한 이미지에 대한 처리(Processing)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단말기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 및 도 29는 전자 디바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의 표시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3은 전송받은 이미지의 표시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는, 카메라(11)와, 통신모듈(12)과, 마이크(13)와, 메모리(14)와, 인터페이스(15)와, 센싱모듈(16)과, 제어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는, 전자 디바이스(17)에 내장되어 이미지를 촬영하는 장치일 수 있다. 카메라(11)는 전자 디바이스(17)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카메라(11) 중, 적어도 하나는 입체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3D 카메라일 수 있다. 카메라(11)는 전자 디바이스(17)의 전면(前面)을 향하고 있을 수 있다. 카메라(11)는 제어부(17)의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카메라(11)는 제어부(17)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4)에 저장되거나 통신모듈(12)을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모듈(12)은, 전자 디바이스(10)와 외부기기와 같은 다른 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통신모듈(12)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12)는 NFC 유닛, B/T(BlueTooth) 유닛, WiFi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통신모듈(12)은, 제어부(17)의 제어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통신유닛이 선택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마이크(13)는, 전자 디바이스(10)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마이크(122)를 통하여 획득한 소리는, 이에 포함된 잡음(Noise)를 제거하는 다양한 잡음제거 알고리즘을 거친 후 메모리(14)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4)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5)는, 전자 디바이스(10)에 연결되는 다른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5)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디바이스(10)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5)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센싱모듈(16)은, 전자 디바이스(10) 외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모듈(16)은 터치센서,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전자 디바이스(1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전자 디바이스(1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질 수 있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7)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전송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전자 디바이스(10)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일 수 있다.
컨트롤러(17)는, 제어명령을 발생하여 전자 디바이스(10) 및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또는 컨트롤러(17) 자체의 판단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는 도 1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는, 받침부(21)와 몸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21)는, 전자 디바이스(10)가 의도된 위치에 안착할 수 있도록 전자 디바이스(10)를 지지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테이블 등에 올려지거나, 벽면이나 천정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21)에는 테이블, 벽면, 천정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고정장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몸체부(23)에는 카메라(11), 마이크(13) 등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카메라(11), 마이크(13) 등은 전자 디바이스(10)의 전면(前面)을 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7)는 카메라(11)를 동작하여 전면의 인물 등을 촬영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Flow Chart)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의 제어부(17)는,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단계(S10)를 진행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와 외부기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와 외부기기는 NFC 태킹(Tagging) 동작을 통하여 연결되거나, 블루투스(Blueoth)를 하여 연결되거나, Wifi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와 외부기기의 연결은, 인증된 기기의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에 태깅(Tagging)되는 과정을 통하여 인증이 개시되거나,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의 일정 영역 내에 외부기기가 진입하는 과정을 통하여 인증이 개시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와 외부기기의 연결은, 전자 디바이스(10)의 동작 모드(Operation Mode)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가 파티샷모드(Party Shot Mode)와 같은 특정 모드에 있는 경우에 외부기기와 연결을 시도하는 등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고, 노멀모드(Normal Mode)인 경우에는 연결 등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와 외부기기가 연결되면, 전자 디바이스(10)와 외부기기는 상호간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데이터는, 상호간 통신을 유지하게 하는 기본적인 신호,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10)의 제어신호, 외부기기에서 촬영되어 전자 디바이스(10)로 보내지는 이미지 데이터 등일 수 있다.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
특정 이벤트는, 전자 디바이스(10)의 제어부(17)가 특정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트리거(Trigger)일 수 있다. 즉, 대기상태에 있던 전자 디바이스(10)가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이벤트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정 이벤트는 소리, 특정 물체/이미지변화/조도변화/위치변화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전자 디바이스(10)와 외부 오브젝트의 위치변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이벤트의 발생 여부는 마이크(13), 카메라(11), 센싱모듈(16)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감지될 수 있다.
특정 이벤트가 소리인 경우라면, 마이크(13)를 통하여 획득한 소리의 급격한 변화가 특정 이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일축하 노래를 부르는 것이 감지되거나, 사진을 찍기 위해서 "Cheese!"와 같은 특정 단어를 말하는 것이 감지되거나, 건배하는 소리가 감지되거나, 스포츠 경기를 시청하는 중에 감탄사가 감지되거나, 폭죽 소리가 감지되거나, 박수 소리가 감지되는 등 소리가 급격히 커지거나 작아지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일 수 있다.
특정 이벤트가 특정 물체인 경우라면, 카메라(11) 및/또는 센싱모듈(16)을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 중에 특정 오브젝트가 포함된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된 이미지 중에 케익이 포함되어 있거나, 촛불이 포함되어 있거나, 파티용 모자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일 수 있다.
특정 이벤트가 이미지변화인 경우라면, 카메라(11)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움직임(Movement), 밝기(Brightmess) 등이 변화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된 이미지 중에 특정 인물이 춤을 추거나, 다수의 인물이 동일한 동작을 취하거나, 이미지의 밝기가 급격하게 변화하거나, 카메라 플레쉬가 동작하거나, 특정 오브젝트가 일정한 포토존(Photo Zone)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등일 수 있다.
특정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 및/또는 제거될 수 있다.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특정 외부기기를 제어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의 제어부(17)는, 기 설정된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하여 사진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해당하는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전자 디바이스(10)와 연결된 외부기기 중에서는 카메라를 내장한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CCTV, 카메라가 내장된 TV,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 단말기, 캠코더 등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자 디바이스(10)는 이미 연결되어 있는 외부기기로 카메라가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신호를 송신받은 외부기기는, 그에 대응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여 해당 외부기기 카메라의 화각에 대응된 사진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촬영된 사진을 획득하는 단계(S40) 및 획득한 사진을 저장하는 단계(S50)가 진행될 수 있다.
촬영된 사진은, 통신모듈(12)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에 태깅되는 경우라면 NFC 통신을 통하여 획득되고,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라면 B/T 통신을 통하여 획득되고, Wifi로 연결된 경우라면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음을 의미하낟.
획득된 사진은, 전자 디바이스(10)의 메모리(14)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7)는, 획득한 사진을 그대로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획득한 사진에 대하여 일정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인물 및/또는 이벤트를 촬영한 복수의 사진이라면 파노라마 형식 등으로 복수의 사진을 병합 내지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인물 및/또는 이벤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촬영한 복수의 사진이라면, 이를 묶어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획득한 사진 중에서 초점이 맞지 않거나 의도되지 않은 오브젝트가 촬영된 경우에, 제어부(17)는 해당 사진을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와 다른 외부기기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는 하나 이상의 외부기기(31 내지 39)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일정한 공간을 커버하도록 일정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이나 사무실에 위치할 수 있다. 가정에 위치하는 경우라면, 전자 디바이스(10)에 포함된 카메라(11)가 거실을 촬영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전자 디바이스(10) 주위의 다른 외부기기(31 내지 39)와 통신가능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에 미리 등록되어 있던 외부기기일 수 있다. 또는,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외부기기일 수 있다. 또는,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의 태깅 동작이 수행된 외부기기일 수 있다.
외부기기(31 내지 39)는,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외부기기(31 내지 39)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정지영상 및/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외부기기(31 내지 39)가 촬영하는 영역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에 제1 내지 5 외부기기(31 내지 39)가 위치하는 경우라면, 거실의 서로 다른 영역을 촬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내지 5 외부기기(31 내지 39)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결합하면, 사각(Blind Spot)이 발생하지 않고 거실의 전 영역을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와 다른 외부기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는 내장(Built-in)된 카메라(11)를 사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 등 오브젝트(OB)를 전자 디바이스(10) 및 제1 내지 5 외부기기(31 내지 39)가 촬영하고 있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 및 제1 내지 5 외부기기(31 내지 39)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므로, 특정한 피사체인 오브젝트(OB)에 대한 촬영각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의 제어부(17) 및/또는 사용자는 다른 촬영각도로 촬영된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동시 및/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촬영 각도가 서로 다른 영상을 촬영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보다 생동감 있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를 통해 제1 내지 5 외부기기(31 내지 39)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보다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다. 나아가, 촬영한 이미지를 전자 디바이스(10)가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 인하여, 이미지의 저장 및/또는 전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가 외부기기(31 내지 39)를 제어하여 사진촬영을 수행하는 동작은, 전자 디바이스(10)가 파티샷모드와 같이 특정한 동작모드에 있을 때 진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와 제1 내지 5 외부기기(31 내지 39) 중에서 특정 디바이스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된 영상 중에서 전자 디바이스(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촬영한 이미지의 표시는, 촬영과 동시에 및/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OB)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거실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촬영과 동시에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디스플레이(350)에 표시하여 촬영된 영상을 즉시 확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전자 디바이스(10)와 연결하는 단계(S110)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노트북, PC 등 외부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와 단말기(100)의 연결은, 전자 디바이스(10)에서 먼저 요청하거나 단말기(100)에서 먼저 요청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일정 영역에 단말기(100)가 들어왔음을 인지하면, 전자 디바이스(10)가 먼저 단말기(100)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특정 패턴으로 단말기(100)를 흔들거나,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조작하거나, 단말기(100) 제어부에서 특정 제어신호가 발생하면 단말기(100)가 먼저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와 단말기(100)가 연결되면,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사진을 획득하는 단계(S120) 및 획득한 사진을 표시하는 단계(S130)가 진행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외부기기(31 내지 39)로부터 다양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저장한 상태일 수 있다. 단말기(100)는, 전자 디바이스(10)에게 요청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여 이미지를 전자 디바이스(10)에서 단말기(100)로 전송받을 수 있다.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에 전송받은 사진을 표시할 수 있다. 전송받은 사진을 표시함에 있어서, 단말기(100)는 특정 이벤트 별로 사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여 촬영한 서로 다른 각도 및/또는 서로 다른 시각(時刻)의 사진을 하나의 사진으로 편집하여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를 제어하는 단계(S140)가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의 설정을 조절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의 전송시간, 전송방법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전자 디바이스(10)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외부기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외부기기를 활성화 하거나 비활성화하거나, 특정 외부기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 단말기를 사용한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단말기(100)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내지 4 외부기기(31 내지 37)을 통하여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에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단말기(10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에서 발생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10) 및 제1 내지 4 외부기기(31 내지 37)은 오브젝트에 대한 촬영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오브젝트에 대한 촬영의 결과물인 이미지는, 전자 디바이스(1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로 전송된 이미지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하는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에는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 중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에서 촬영하여 전송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손가락(F)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51)를 터치함으로써 다른 외부기기에서 촬영된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에는,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전송받은 제1 외부기기(31)에서 촬영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에는,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전송받은 제2 외부기기(35)에서 촬영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에는,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전송받은 제3 외부기기(33)에서 촬영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3 외부기기(33)는, 촬영 목적이 된 특정 오브젝트를 향하지 못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한 오브젝트가 아닌 부분이 촬영된 이미지가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디바이스제거아이콘(RI)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제거아이콘(RI)이 선택되면, 제1 팝업창(P1)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해당 영상을 촬영한 외부기기를 앞으로의 촬영에서 제외할 것인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외된 외부기기는, 특별한 조작이 있기 전까지는 해당 오브젝트의 촬영에서 제외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부분이 계속하여 촬영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1은 특정 이벤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의 특정 이벤트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특정 이벤트는, 소리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는 생일축하노래, “surprise!"와 같은 특정 음성, 건배하는 잔이 부딪히는 소리, 놀라는 소리, 웃음소리, 폭죽소리 등이 감지되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정 이벤트는, 움직임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춤을 추는 행동, 관절이 크게 움직이는 행동, 박수와 같이 손이 움직이는 행동, 미리 설정된 특정 제스쳐를 취하는 행동이 감지되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정 이벤트는, 오브젝트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 촛불, 파티모자, 와인잔 등의 촬영되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정 이벤트는, 밝기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쉬가 발광하는 경우의 급격한 조도의 변화, 주변 조명의 급격한 Fade-out/in 등이 감지되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정 이벤트는, 위치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점 커지며 다가오는 사람얼굴, 포토존 내에 사람이 위치하는 경우 등이 감지되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정 이벤트는, 다른 디바이스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카메라촬영 제어명령을 전달받은 경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특정 이벤트에 따른 외부기기의 카메라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는 다양한 형태로 오브젝트를 촬영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는 특정 오브젝트를 향하고 있는 외부기기 D1 내지 D4에 대해서 서로 다른 시간에 순차적으로 촬영하도록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제어명령을 송신받은 외부기기 D1 내지 D4는, t1 내지 t4 시점에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오브젝트를 촬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는 특정 오브젝트를 향하고 있는 외부기기 D1 내지 S4에 대해서 동일한 시각에 촬영하도록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제어명령을 송신받은 외부기기 D1 내지 D4는, t1 시점에 오브젝트를 촬영할 수 있다. 즉, 특정 시점에 오보젝트의 모습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는 특정 오브젝트를 향하고 있는 외부기기 특정한 D1에 대해서 서로 다른 시각에 촬영하도록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제어명령을 송신받은 외부기기 D1은 t1 내지 t4 시점에 각각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는 특정 이벤트를 발생한 특정 오브젝트만 선택적으로 촬영하도록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와 연결된 외부기기는 제1 내지 5 외부기기(31 내지 39)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내지 5 외부기기(31 내지 39) 중에서 제1 외부기기(31)는 제1 오브젝트(OB1)를 향하고 있고, 나머지는 제2 오브젝트(OB2)를 향하고 있을 수 있다.
제1 오브젝트(OB1)는 특정 시점에 “Cheese!” 라고 소리칠 수 있다. 즉, 사진에 찍힐 준비가 되어있다는 표현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오브젝트(OB1)의 소리가 인지되면, 전자 디바이스(10)는 제1 외부기기(31)에게 촬영을 명령할 수 있다. 즉, 다른 외부기기와 별도로 특정 외부기기만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6 내지 도 18은 태깅(Tagging)을 통하여 연결된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는 일정 영역 내에 진입한 다른 단말기(100, 200)와 NFC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다른 단말기(100, 200) 및 전자 디바이스(10)는, NFC 통신을 지원하는 임의의 전자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통신을 지원하는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일 수도 있으나, 프린터, TV, DTV, 컴퓨터, 오디오 장치 등의 전자 기기일 수도 있다. 이하 NFC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는 NFC 전자 기기로 호칭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제어부(17), NFC 통신 모듈(21), 블루투스 통신 모듈(23), 와이파이 통신 모듈(25)을 포함하는 통신모듈(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전자 디바이스(10) 내의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21)은 전자 디바이스(10)가 NFC 통신을 지원하는 다른 단말기(100, 200)와 NFC 링크(NFC link)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NFC 통신 모듈(21)은 NFC 포럼 디바이스 (NFC Forum device)를 말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21)은, NFC 통신 범위(NFC communication range) 내에서 다른 단말기(100, 200)의 NFC 통신 모듈과 태깅(tagging)을 통하여, NFC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21)은 다른 단말기(100, 200)의 NFC 통신 모듈과 다양한 모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양한 모드는,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리더 모드,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21)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의 NFC 통신 모듈(21)은 카드, 다시 말해 태그(tag)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단말기(100, 200)의 NFC 통신 모듈은 리더 모드로 동작하여, 전자 디바이스(10)의 NFC 통신 모듈(21)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21)이 리더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의 NFC 통신 모듈(21)은 리더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디바이스(10)의 NFC 통신 모듈(21)은 에뮬레이션 모드로 동작하는 다른 단말기(100, 200)의 NFC 통신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21)이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의 NFC 통신 모듈(21)과 다른 단말기(100, 200)의 NFC 통신 모듈은 서로 데이터를 교환(exchange)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21)의 모드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통신 모듈(21)의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algorithm)에 따라 세팅(setting)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다른 단말기(100, 200)와 NFC 통신 모듈(21)을 통하여 NFC 링크를 형성한 이후, 다른 단말기(100, 200)와 블루투스 통신 모듈(23) 및/또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25)을 통하여 NFC 링크와 다른 종류의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자 디바이스(10)는 NFC 통신 링크가 끊어지더라도 블루투스 통신 링크 및/또는 와이파이 통신 링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기(100, 200)와 데이터 통신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NFC 링크를 형성한 이후, 전자 디바이스(10) 및 다른 단말기(100, 200)가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계속하여 다른 단말기(100, 2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다른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핸드오버(handover)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에서는 NFC 통신 링크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링크, 와이파이 통신 링크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1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링크, WiGig(Wireless Gigabit) 통신 링크 등의 다양한 통신 링크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단말기(100, 200)는 전자 디바이스(10)와 상응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다른 단말기(100, 200)는 제어부, NFC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및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핸드오버는 전자 디바이스(10)가 다른 단말기(100, 200)와 NFC 링크를 형성하고, 그 후 다른 통신 링크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와 다른 단말기(100, 200) 사이의 NFC 태깅(tagging)을 통하여 쉽게 NFC 링크를 형성한 이후, NFC 링크 보다 원거리 및/또는 고용량의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대체 통신 링크로 통신 수단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전자 디바이스(10)에 태깅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에 태깅된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에는 데이터를 공유할 것인가를 확인하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깅 동작에 의하여 데이터를 공유할 것으로 설정된 제1 내지 3 단말기(100, 101, 102) 등은 촬영한 이미지 등을 전자 디바이스(10)로 송수신 하는 관계에 있게 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깅 동작에 의하여 데이터를 공유할 것으로 설정된 제1 외부기기(31) 및 제1,2 단말기(100, 101)는 상호간 동기화되어 일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동기화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외부기기(31)는 플레쉬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플레쉬를 포함하고 있는 제1 외부기기(31)가 플레쉬를 발광하면 보다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는 제1 외부기기(31)가 발광하는 시점에 제1,2 단말기(100, 101)도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은 특정 인물에 대한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는, 특정한 오브젝트를 트랙킹(Tracking)하여 일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오브젝트(OB1)로 특정 인물이 설정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제1 오브젝트(OB1)의 동선을, 그 동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외부기기(31, 33)를 통해 촬영할 수 있다. 특정 인물의 식별은, 안면인식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오브젝트(OB1)의 동선을 트랙킹하면 제1 오브젝트(OB1)가 제2 내지 4 오브젝트(OB2 내지 OB4) 중 어느 인물과 접촉하는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구를 언제 어느정도 시간으로 접촉하였는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획득한 데이터는 인물간의 친밀도 등을 판단하는 기초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획득한 데이터는 전자 디바이스(1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물에 대한 트랙킹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특정한 인물과의 관계에 대한 코멘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Jane 이라는 인물과의 접촉빈도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면, 그와 같은 사실을 알려주는 팝업창(P2)을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해당 인물과의 관계 개선에 대한 주의를 환기받을 수 있다.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인물이 단말기(100) 사용자의 일정 영역내로 진입하였음에 대한 코멘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티 중 Sam 이라는 인물이 새로이 파티장에 들어온 경우, 디스플레이(151)에 그와 같은 사실을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해당 인물을 찾아 관계를 증진할 수 있도록 주의를 환기받을 수 있다.
도 22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외부기기 제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자 디바이스(10)는 외부기기의 동작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기기가 발생한 이벤트에 최적화되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특정 이벤트는, 지속적인 사운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일축하 음악이 계속되고 있거나, 웃음소리가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1 외부기기(31)를 정지영상 촬영모드를 동영상 촬영모드로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정 이벤트는, 지속적인 움직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춤을 추는 동작이 계속되거나, 박수를 치는 동작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1 외부기기(31)를 동영상 촬영모드로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변경된 촬영모드는, 해당 특정 이벤트가 종료되면 다시 통상의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6은 촬영한 이미지에 대한 처리(Processing)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다바이스(10)는 촬영한 이미지에 대한 편집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4 이미지(P1 내지 P4)가 촬영되어 있을 수 있다. 촬영된 이미지 중에서 제2 이미지(P2)가 정상적으로 촬영되지 못한 상태일 수 있다.
도 2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는 정상적으로 촬영되지 못한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즉, 촬영과 동시 또는 촬영 후 후처리 과정에서 저장 및/또는 공유하기 적절하지 않은 이미지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적절치 않은 이미지가 저장되거나 공유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인물을 촬영한 제1 이미지(P1)의 제1 영역(A1)이 가려지게 될 수 있다.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의 제어부(17)는, 가려져서 쓸모없어진 제1 영역(A1)을 잘라내고 제2 영역(A2)만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의 제어부(17)는, 특정 오브젝트가 포함된 이미지만을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로 제1 내지 4 이미지(P1 내지 P4)가 전송되었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전송받은 이미지 중에서 특정 오브젝트가 포함된 이미지만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인물인 제1 오브젝트(OB1)가 포함된 제1,2 이미지(P1, P2)만을 메모리(14)에 저장하고, 제1 오브젝트(OB1)가 촬영되지 않은 제3, 4 이미지(P3, P4)는 제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저장할 특정 오브젝트는, 사전 및/또는 사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및/또는 사후에 특정 인물을 선택하여, 그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가 저장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설정된 특정 인물에 대한 안면인식 등 이미지 처리 방법을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에서 그 특정 인물 등을 식별할 수 있다.
도 2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단말기 소유자의 사진이 포함된 이미지는 저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인물인 제1 오브젝트(OB1)가 포함된 이미지는 저장하지 않고 제거할 수 있다. 제거되는 이미지는, 단말기(100)의 소유자가 촬영한 것은 물론, 다른 외부기기에 의하여 우연히 단말기(100) 소유자가 촬영된 이미지도 포함될 수 있다.
도 27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단말기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는, 다양한 시점에 다른 단말기(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가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일정한 반경(D) 내에 위치하는 경우와 단말기(100)가 전자 디바이스(10)의 일정한 반경(D) 외부로 벗어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단말기(100)가 일정한 반경(D)을 벗어나는 경우에 단말기(100)의 소유자가 해당 파티/모임을 떠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는 그 단말기(100) 및 다른 외부기기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하였던 이미지를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의 소유자가 t0 시점에서 t1 시점까지 촬영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는 해당 단말기(100)의 소유자가 파티/모임을 떠났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는 그 단말기(100)로 저장하였던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의 동작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티/모임이 있기 전에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의 동작모드를 변경하여 놓을 수 있다. 즉, 이미지의 촬영 및/또는 저장이 이루어지는 파티샷모드로 전자 디바이스(10)의 동작모드가 변경되어 있을 수 있다. 파티/모임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의 동작모드를 노멀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의 동작모드가 변경되면, 전자 디바이스(10)는 저장하였던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는 전자 디바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의 표시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에 저장된 이미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저장된 이미지를 전송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0)에는 전송받은 이미지가 그 이미지를 촬영한 외부기기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제1 내지 4 이미지(P1 내지 P4)가 하나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표시된 제1 내지 4이미지(P1 내지 P4)에는 각 이미지가 촬영된 외부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IC)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이벤트시에 어떤 이미지가 촬영되었는가 여부 및 그 이미지가 어떠한 기기에서 촬영되었는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를 파노라마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즉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동일한 시점 내지 그와 인접한 시점에 촬영된 이미지를 파노라마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기억을 떠올리는데 도움 줄 수 있다. 표시되는 이미지에는 그 이미지가 어떤 기기에서 촬영되었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부가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3은 전송받은 이미지의 표시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지 갤러리는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갤러리는, 전자 디바이스(10) 및/또는 전송받은 단말기의 동작모드(Operation Mode)에 따라서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 및/또는 단말기가 파티샷모드와 같은 특정한 모드에 있을 때 이미지 갤러가 그에 대응되도록 표시되고, 노멀모드 등에 있을 때는 통상의 이미지 갤러리 형태로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전자 디바이스(10) 및/또는 단말기가 파티샷모드와 같이 특정한 모드에 있음을 전제하고 설명한다.
이미지 갤러리의 상단에는 선택메뉴(M)가 도시될 수 있다. 선택메뉴(M)에는, 외부기기별 활성화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DEVICE 탭, 특정인이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사진을 검색할 수 있는 PERSON 탭, 촬영된 지점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는 SPACE 탭, 특정 인물만이 촬영된 사진을 검색할 수 있는 SOLE 탭, 그룹사진을 검색할 수 있는 GROUP 탭, 특정 이벤트별로 사진을 검색할 수 있는 CIRCUMSTANCE 탭, 시간 순서에 따라 사진을 검색할 수 있는 TIME 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IME 탭을 서택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151)에는 타임라인(TL)이 표시될 수 있다. 타임라인(TL)에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여 촬영된 시점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45 부분을 선택하면 그 당시에 촬영된 이미지(P)가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DEVICE 탭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151)에는 특정 외부장치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SM1)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버튼(SM1)을 조작하여 특정 외부장치가 사진을 촬영하게 하거나 촬영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PERSON 탭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151)에는 특정 인물의 리스트(UN)가 표시될 수 있다. 리스트(UN)의 이름을 선택하여 특정인물이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사진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SPACE 탭이 선택되면, 기 설정된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 외부기기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 할 수 있는 선택버튼(SM2)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고’를 OFF 하면, 창고에 설치되어 있던 외부기기를 비활성화하여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SOLE 탭을 선택하면, 특정 인물의 리스트(UN)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F) 등으로 리스트(UN)의 특정인물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특정인물과 관련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 중에서 John이 포함된 이미지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그 특정인물과 관련된 하무 메뉴를 더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mile'이라는 메뉴를 선택하면, John이 웃고 있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전자 디바이스 11 : 카메라
12 : 통신모듈 13 : 마이크
14 : 메모리 15 : 인터페이스
16 : 센싱모듈 17 : 컨트롤러

Claims (16)

  1. 메모리;
    카메라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통신모듈; 및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상기 카메라가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 주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와, 터치센서와 근접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 주위의 환경변화를 감지하는 센싱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는,
    소리의 변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종류,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위치 변화, 상기 이미지의 조도(Brightness)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하여 사전에 인증된 기기이며,
    상기 인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태깅(Tagging)되며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하여 사전에 인증된 기기이며,
    상기 인증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일정 영역 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진입한 경우에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복수개 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외부기기가, 특정한 피사체를 서로 다른 각도와 서로 다른 시각(時刻)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하에서 상기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한 피사체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하에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결합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이미지 중 특정 피사체가 촬영된 이미지는 선택적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는 상황,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의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이미지에 미촬영되는 상황,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모드가 변경되는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는 제1 외부기기와 제2 외부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외부기기로부터의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외부기기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모드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2. 디스플레이;
    메모리와, 카메라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통신모듈과,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상기 카메라가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획득한 상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각도와 서로 다른 시각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하에서 특정 피사체를 촬영한 복수의 상기 이미지를, 상기 촬영이 수행된 특정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12 항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는,
    소리의 변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종류,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위치 변화, 상기 이미지의 조도(Brightness)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태깅되는 이벤트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제12 항에 있어서,
    단말기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외부기기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촬영한 후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작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상기 획득한 이미지를 표시하되,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특정 이벤트에 따라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모드와,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계 없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130094653A 2013-08-09 2013-08-09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말기 KR20150018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653A KR20150018125A (ko) 2013-08-09 2013-08-09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말기
US14/331,936 US20150043886A1 (en) 2013-08-09 2014-07-15 Electronic device and terminal communicating with it
EP14177568.4A EP2840558B1 (en) 2013-08-09 2014-07-18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ng with external camer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653A KR20150018125A (ko) 2013-08-09 2013-08-09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125A true KR20150018125A (ko) 2015-02-23

Family

ID=5122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653A KR20150018125A (ko) 2013-08-09 2013-08-09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43886A1 (ko)
EP (1) EP2840558B1 (ko)
KR (1) KR201500181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145A (ko) * 2015-04-10 201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설정 방법 및 장치
WO2017043726A1 (en) * 2015-09-07 2017-03-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07538A (zh) * 2013-11-07 2014-02-26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拍摄方法及拍摄装置
US20180139485A1 (en) * 2015-04-22 2018-05-17 Mohammed Tauqeer Ansari Camera System for Car Security
US10043551B2 (en) * 2015-06-25 2018-08-07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save or delete a video clip
WO2017007735A1 (en) * 2015-07-03 2017-01-12 H4 Engineering, Inc. Tracking camera network
WO2017015100A1 (en) * 2015-07-17 2017-01-26 Tribune Broadcasting Company, Llc Video-production system with social-media features
US20170262972A1 (en) * 2015-11-04 2017-09-14 Intel Corporation Generating voxel representations and assigning trust metrics for ensuring veracity for use with multiple applications
US10678398B2 (en) 2016-03-31 2020-06-09 Intel Corporation Prioritization for presentation of media based on sensor data collected by wearable sensor devices
JP6747158B2 (ja) * 2016-08-09 2020-08-26 ソニー株式会社 マルチ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カメラの処理方法、確認装置および確認装置の処理方法
KR102529928B1 (ko) * 2016-09-22 202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카메라의 교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11050069B (zh) * 2019-12-12 2021-1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电子设备
JP7115498B2 (ja) * 2020-03-17 2022-08-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接続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36861A1 (en) * 2021-07-30 2023-02-02 Zoom Video Communications, Inc. Automatic Multi-Camera Production In Video Conferenci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4013B2 (en) * 2001-08-10 2008-10-28 Stmicro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depth using multi-plane stereo and spatial propagation
GB2389978A (en) * 2002-06-17 2003-12-24 Raymond Joseph Lambert Event-triggered security monitoring apparatus
KR100511227B1 (ko) * 2003-06-27 2005-08-31 박상래 휴대용 감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개인 방범 시스템
US7697026B2 (en) * 2004-03-16 2010-04-13 3Vr Security, Inc. Pipeline architecture for analyzing multiple video streams
US20050206741A1 (en) * 2004-03-19 2005-09-22 Raber Gregory W Law enforcement vehicle surveillance system
US20060146140A1 (en) * 2004-12-30 2006-07-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for wireless operation and control of a camera
US20060171453A1 (en) * 2005-01-04 2006-08-03 Rohlfing Thomas R Video surveillance system
US20060230171A1 (en) * 2005-04-12 2006-10-12 Dacosta Behram M Methods and apparatus for decreasing latency in A/V streaming systems
GB2451291A (en) * 2007-07-27 2009-01-28 Camwatch Ltd Portable video surveillance system
WO2009051457A2 (en) * 2007-10-19 2009-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record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CN101742111B (zh) * 2008-11-14 2013-05-08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在虚拟世界中记录事件的方法和装置
US8702516B2 (en) * 2010-08-26 2014-04-22 Blast Motion Inc. Motion event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US8805165B2 (en) * 2010-11-09 2014-08-12 Kodak Alaris Inc. Aligning and summarizing different photo streams
US9210393B2 (en) * 2011-05-26 2015-12-0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ultimedia object correlation using group label
US20130322689A1 (en) * 2012-05-16 2013-12-05 Ubiquity Broadcasting Corporation Intelligent Logo and Item Detection in Video
US8861932B2 (en) * 2012-05-18 2014-10-14 At&T Mobility Ii Llc Video service buffer manage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145A (ko) * 2015-04-10 201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설정 방법 및 장치
WO2017043726A1 (en) * 2015-09-07 2017-03-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048843B2 (en) 2015-09-07 2018-08-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0558B1 (en) 2018-10-17
EP2840558A3 (en) 2015-08-19
US20150043886A1 (en) 2015-02-12
EP2840558A2 (en)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8125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말기
KR101938667B1 (ko) 휴대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4084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5821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33917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3446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KR10183296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71447B1 (ko) 미러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49670B1 (ko)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97173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655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133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378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3110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61614B1 (ko) 화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13374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0485A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CN109618192B (zh) 播放视频的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JP2017532618A (ja)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672268B1 (ko) 전시공간 제어 시스템 및 전시공간 제어방법
JP6624235B2 (ja) 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1237744A1 (zh) 拍摄方法及装置
KR2017010871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7247A (ko) 이동 단말기
KR20200093760A (ko)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