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028A -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028A
KR20150018028A KR1020130094416A KR20130094416A KR20150018028A KR 20150018028 A KR20150018028 A KR 20150018028A KR 1020130094416 A KR1020130094416 A KR 1020130094416A KR 20130094416 A KR20130094416 A KR 20130094416A KR 20150018028 A KR20150018028 A KR 20150018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mobile terminal
touch pressure
current
touch inp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응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4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8028A/ko
Publication of KR20150018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 각각을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하는 표시부,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을 센싱하는 터치 센서 및 센싱 된 제1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 패턴이 인증 터치 압력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센싱 된 제1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친 압력 패턴과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를 잠금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통신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즉 현재의 이동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이외에 메시지 송수신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폰북 관리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메모 관리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등의 각종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는 복합적인 기능을 통해 발생되는 많은 양의 정보를 관리해야 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허락되지 않은 타인의 사용을 방지하고, 이동 단말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잠금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잠금 설정을 해제하기 위해서, 패턴(Pettern) 인식을 이용하거나, 패스워드(Password)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패턴 인식 또는 패스워드를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은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동작이나, 해제를 위해 단말기를 터치하는 지점에 대하여 쉽게 노출되어 보안성에 취약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안성이 높은 잠금 해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 각각을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하는 표시부;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을 센싱하는 터치 센서; 및 상기 센싱 된 제1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 패턴이 상기 인증 터치 압력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센싱 된 제1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친 압력 패턴과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를 잠금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가해진 제2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 패턴을 인증 터치 압력 패턴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 또는 상기 제2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동작 시킬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모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 또는 상기 제2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모터부의 동작 횟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전류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 또는 상기 제2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표시부로 전류를 발생 시키도록 상기 전류 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상기 표시부는 전류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 발생부가 발생하는 전류는 상기 전류 시트로 흐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으로 받은 패스워드를 인증 터치 압력 패턴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모터부의 동작 횟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스워드와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한 상기 모터부의 동작 횟수의 조합이 일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를 잠금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으로 받은 패스워드를 인증 터치 압력 패턴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모터부의 동작 횟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스워드와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한 상기 모터부의 동작 횟수의 조합이 일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를 잠금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표시부로 전류를 발생 시키도록 상기 전류 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스워드와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한 상기 전류 발생부의 전류 발생 횟수의 조합이 일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를 잠금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 표시부가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 각각을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하는 단계; 터치 센서가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을 센싱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센싱 된 제1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 패턴이 상기 인증 터치 압력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센싱 된 제1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 패턴이 상기 인증 터치 압력 패턴과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를 잠금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가해진 제2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 패턴을 인증 터치 압력 패턴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 입력으로 받은 패스워드를 인증 터치 압력 패턴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의 압력에 대응한 잠금 해제 기능을 제공하여, 잠금 해제에 대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표시부에 터치 입력시, 표시부의 표면에 미세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110), 모터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터부(120)는 제어부(140)부의 제어를 받아 구동된다. 제어부(140)는 모터를 구동 시켜 이동 단말기가 진동하게 한다.
제어부(14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4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3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에는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 패스위드 또는 인증 터치 압력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증 터치 압력이란,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 압력을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류 발생부(170)를 제어하여 표시부(160)의 표면에 미세한 전류를 흐르게 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 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처리부(150)는 음성 신호를 발생시킨다.
표시부(160)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표시부(16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6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표시부(16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표시부(16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표시부(16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 즉 터치 압력(이하 터치 압력이라고 함)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가 감압식 방식인 경우, 터치 센서는 표시부(160)에 터치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터치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가 정전용량 방식인 경우, 표시부(160)에 터치되는 면적을 감지하여, 표시부(16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을 센싱할 수도 있다. 그것은 사용자의 터치 압력이 커질수록, 표시부(160)에 접촉되는 면적도 커지기 때문이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40)는 표시부(16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전류 발생부(170)는 표시부(160)의 표면에 미세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다음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을 받아,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을 저장한다(S10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을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가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을 저장함에 있어서,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으로 표시부(160)를 통해 가해진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 강도의 패턴을 인증 터치 압력 패턴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으로 표시부(160)를 통해 가해진 복수의 터치 입력에 각각에 대한 제1 압력, 제2 압력, 제3 압력 및 제4 압력을 인증 터치 압력 패턴으로 저장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내지 제4 압력을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제어부(140)는 얼마든지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압력을 인증 터치 압력 패턴으로 저장한다.
또한 이때 제어부(140)는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대응하여 모터부(120)를 동작시켜 단말기를 진동 시킨다. 제어부(140)는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단말기를 제1 수치만큼 진동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수치를 통해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를 수치적으로 인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정도 강도에 비례하여 단말기가 어느 정도 진동하는 지는 미리 정해져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으로 표시부(160)를 통해 가해진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대응하여, 전류 발생부(170)가 표시부(160)의 표면에 미세한 전류를 흐르게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표시부에 터치 입력시, 표시부의 표면에 미세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60)은 표시 패널(161) 및 전류 시트(171)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61)은 특정 영상 또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3에 따르면, 전류 시트(171)는 표시 패널(161)위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전류 시트(171)는 표시 패널(161)의 아래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류 발생부(170)는 전류 시트(171)로 미세 전류를 발생한다. 전류 시트(171)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표시부(160)와 접촉한 사용자의 일부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사용자의 신체로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표시부(160)에 접촉한 사용자의 일부가 진동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경우 표시부(160)와 사용자의 일부 사이에 정전기적 인력의 변화가 발생하고, 사용자는 이 정전기적 인력의 변화를 진동으로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대응하여 전류 발생부(170)를 제어하여, 전류 시트(171)로 전류를 발생 시킨다. 제어부(140)는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전류 발생부(170)를 제어하여 전류 시트(171)로 제2 수치만큼 전류를 발생 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부(160)에 접촉된 일부가 제2 수치만큼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수치를 통해 입증 터치 압력의 터치 압력 강도를 수치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정도 강도에 비례하여 전류 발생부(170)가 어느 정도의 수치만큼 전류를 발생하는지는 미리 정해져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패스워드(Password)대한 사용자 입력을 받아, 인증 터치 압력 패턴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가 사용자 입력으로 패스워드를 입력 받으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으로 받은 패스워드를 인증 터치 압력으로 저장한다.
표시부(160)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한다(S103).
터치 센서는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을 센싱한다(S105).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는 표시부(160)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을 센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는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제5 압력 내지 제8 압력을 센싱한다. . 본 명세서에서는 제5 내지 제8 압력을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센싱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의 수는 인증 터치 압력 패턴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센싱 된 터치 압력에 대응하여 동작한다(S107).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터치 압력에 대응하여 모터부(1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모터부(120)가 동작하게 되면, 단말기는 모터부(120)의 동작에 따른 진동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 때, 제어부(140)는 센싱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모터부(120)의 동작 횟수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저장된 인증 터치 압력의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단말기를 제3 수치만큼 진동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3 수치를 통해 입증 터치 압력의 터치 압력 강도를 수치적으로 인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정도 강도에 비례하여 단말기가 어느 정도 진동하는 지는 미리 정해져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저장된 인증 터치 압력의 터치 압력의 강도에 대응하여, 전류 발생부(170)가 표시부(160)의 표면에 미세한 전류를 흐르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저장된 인증 터치 압력의 터치 압력의 강도에 대응하여 전류 발생부(170)를 제어하여, 전류 시트(171)로 전류를 발생 시킨다. 제어부(140)는 저장된 인증 터치 압력의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전류 발생부(170)를 제어하여 전류 시트(171)로 제4 수치만큼 전류를 발생 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부(160)에 접촉된 일부가 제4 수치만큼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수치를 통해 입증 터치 압력의 터치 압력 강도를 수치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정도 강도에 비례하여 전류 발생부(170)가 어느 정도의 수치만큼 전류를 발생하는지는 미리 정해져 있을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센싱 된 터치 압력의 패턴이 인증 터치 압력 패턴과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109).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패스워드의 첫번째 숫자와제5 압력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모터의 횟수, 두번째 숫자와 제6 압력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모터의 횟수, 세번째 숫자와 제7 압력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모터의 횟수 및 네번째 숫자와 제8 압력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모터의 횟수 모두가 일치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터치 센싱 된 터치 압력과 인증 터치 압력이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패스워드의 첫번째 숫자와 제5 압력에 대응하여 전류 발생부(170)가 전류를 발생하는 횟수, 두번째 숫자와 제6 압력에 대응하여 전류 발생부(170)가 전류를 발생하는 횟수, 세번째 숫자와 제7 압력에 대응하여 전류 발생부(170)가 전류를 발생하는 횟수 및 네번째 숫자와 제8 압력에 대응하여 전류 발생부(170)가 전류를 발생하는 횟수 모두가 일치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터치 센싱 된 터치 압력과 인증 터치 압력이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제1 압력과 제5 압력, 제2 압력과 제6 압력, 제3 압력과 제7 압력 및 제4 압력과 제8 압력이 모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터치 센싱 된 터치 압력과 인증 터치 압력이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센싱 된 터치 압력의 패턴이 인증 터치 압력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한다(S111).
이상에서 설명한 단계(S101 내지 S111)에 따르면, 사용자는 표시부(160)의 일부분을 압력만 다르게 하여 터치 하게 되므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동작이나, 패스워드 등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보안에 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무선 통신부
120: 모터부
130: 메모리
140: 제어부
150: 오디오 처리부
160: 표시부
161: 표시 패널
170: 전류 발생부
171: 전류 시트

Claims (19)

  1.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 각각을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하는 표시부;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을 센싱하는 터치 센서; 및
    상기 센싱 된 제1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 패턴이 상기 인증 터치 압력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센싱 된 제1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친 압력 패턴과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를 잠금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가해진 제2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 패턴을 인증 터치 압력 패턴으로 저장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 또는 상기 제2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동작 시키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모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 또는 상기 제2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모터부의 동작 횟수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전류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 또는 상기 제2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표시부로 전류를 발생 시키도록 상기 전류 발생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전류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 발생부가 발생하는 전류는 상기 전류 시트로 흐르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으로 받은 패스워드를 인증 터치 압력 패턴으로 저장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모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모터부의 동작 횟수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스워드와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한 상기 모터부의 동작 횟수의 조합이 일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를 잠금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전류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표시부로 전류를 발생 시키도록 상기 전류 발생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전류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 발생부가 발생하는 전류는 상기 전류 시트로 흐르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스워드와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한 상기 전류 발생부의 전류 발생 횟수의 조합이 일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를 잠금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3.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
    표시부가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 각각을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하는 단계;
    터치 센서가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을 센싱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센싱 된 제1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 패턴이 상기 인증 터치 압력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센싱 된 제1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 패턴이 상기 인증 터치 압력 패턴과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를 잠금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가해진 제2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압력 패턴을 인증 터치 압력 패턴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 또는 상기 제2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동작 시키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 또는 상기 제2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모터부의 동작 횟수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 또는 상기 제2 복수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터치 압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표시부로 전류를 발생 시키도록 전류 발생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전류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 발생부가 발생하는 전류는 상기 전류 시트로 흐르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터치 압력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 입력으로 받은 패스워드를 인증 터치 압력 패턴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0130094416A 2013-08-08 2013-08-08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18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416A KR20150018028A (ko) 2013-08-08 2013-08-08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416A KR20150018028A (ko) 2013-08-08 2013-08-08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028A true KR20150018028A (ko) 2015-02-23

Family

ID=53046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416A KR20150018028A (ko) 2013-08-08 2013-08-08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80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4774B2 (en) 2015-05-15 2017-01-10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GB2550673A (en) * 2016-04-14 2017-11-29 Canon Kk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4774B2 (en) 2015-05-15 2017-01-10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GB2550673A (en) * 2016-04-14 2017-11-29 Canon Kk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85519B2 (en) 2016-04-14 2020-03-10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GB2550673B (en) * 2016-04-14 2020-04-22 Canon Kk Controlling access to an information processor via a combination input of touch position and touch press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2299B1 (en) Physical key component, terminal, and touch response method and device
EP309627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001910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or creating shortcut of executing application
KR102187833B1 (ko)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17819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170730B2 (en) Method for executing private mode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90392422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60071887A (ko) 이동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303322B2 (en) Device and method of unlocking device
CN110827820A (zh) 语音唤醒方法、装置、设备、计算机存储介质及车辆
US1080344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45205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1802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70330167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117183A (ko) 메시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6853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30030A (ko) 터치 버튼 진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6221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754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6054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보안 방법
KR20100136704A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6048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08914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금융 거래 방법 및 금융 서버
KR101029607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아이템 수신 방법, 및 무선환경에서의 아이템 제공방법
KR2011013744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