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923A -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923A
KR20150017923A KR1020130094157A KR20130094157A KR20150017923A KR 20150017923 A KR20150017923 A KR 20150017923A KR 1020130094157 A KR1020130094157 A KR 1020130094157A KR 20130094157 A KR20130094157 A KR 20130094157A KR 20150017923 A KR20150017923 A KR 20150017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display
plate
control signal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봉건
최규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4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7923A/ko
Publication of KR20150017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에 고정된 제1 플레이트와 제1 플레이트 상에 제1 플레이트와 접촉되게 형성되되 슬라이딩 형태로 이동 가능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터치패드;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터치입력 모션이 발생함에 따라 입력되는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IMAGE DISPLAY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AME}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는 사용자가 전자장치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전자장치마다 해당 모델 특성에 대응하여 각각 개별적 또는 통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자기술의 발달과 함께 텔레비전, 셋탑박스, 모니터, 프로젝션 또는 LFD(Large Format Display) 등 다양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되고 있으며, 각각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출력해야 하는 메뉴의 수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 버튼을 간소화하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일 측면은 터치 기능 및 슬라이딩 기능을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는 본체에 고정된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접촉되게 형성되되 슬라이딩 형태로 이동 가능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터치입력 모션이 발생함에 따라 입력되는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입력 모션은, 상기 터치패드의 제2 플레이트를 터치하는 선택 모션,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 하, 좌 및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히든화면(Hidden Screen) 출력 모션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 하, 좌 및 우 방향으로 상기 히든화면 출력 모션 보다 짧게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 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의 제2 플레이트는, 감압식 터치 센서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인증된 특정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제어정보와 비교 및 해석하는 입력 신호 해석부;
상기 입력 신호 해석부에 의해서 해석된 영상 신호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가 메뉴 요청인 경우, 해당 메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메뉴 제공부;
상기 입력 신호 해석부에 의해서 해석된 영상 신호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가 히든화면(Hidden Screen) 요청인 경우, 해당 방향의 히든 화면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화면 제공부;
메뉴 및 화면 정보를 포함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메뉴 및 히든 화면을 비롯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고정된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접촉되게 형성되되 슬라이딩 형태로 이동 가능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터치입력 모션이 발생함에 따라 입력되는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입력 모션은, 상기 터치패드의 제2 플레이트를 터치하는 선택 모션,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 하, 좌 및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히든화면(Hidden Screen) 출력 모션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 하, 좌 및 우 방향으로 상기 히든화면 출력 모션보다 짧게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 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제공부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히든화면(Hidden Screen) 출력 모션에 대한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포함된 히든화면 방향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방향의 히든 화면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뉴 제공부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이동 모션에 대한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포함된 이동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력부를 통해 현재 출력되는 메뉴의 포인터를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선택 모션에 대한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 상에서 포인터가 위치한 메뉴의 영상을 실행하는 영상 실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일 측면은 터치 기능을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메뉴를 선택 및 스크롤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기능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슬라이딩 기능을 통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숨겨진 화면 및 메뉴를 출력할 수 있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기능 및 메뉴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터치패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터치패드 조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0)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2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모트 컨트롤러(10)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서로 간에 인증 절차 및 제어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통신(Bluetooth Communication)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텔레비전, 셋탑박스, 모니터, 프로젝션 또는 LFD(Large Format Display) 등과 같이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로, 리모트 컨트롤러(10)를 통한 제어가 가능하다면 상술한 장치 이외에도 모두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평면도이고, 도 3은 터치패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0)는 본체(11) 및 본체 상부에 고정되게 형성된 제1 플레이트(15)와 제1 플레이트(15) 상에 제1 플레이트(15)와 접촉되게 형성되되 슬라이딩 형태로 이동 가능한 제2 플레이트(13)로 구성된 터치패드(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플레이트(13)는 손가락 등에 의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0)는 터치패드(17) 이외에도 본체(11) 상에 별도의 조작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3)는 손가락 등을 대는 것으로도 포인터 조작을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용 패드와 상기 터치용 패드 하부에 형성된 터치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13)는 슬라이딩 동작을 위해 중앙영역의 일부분이 터치필름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2 플레이트(13)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센서(19)와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센서(19)는 제2 플레이트(13)의 돌출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플레이트(13)의 돌출부와 닿는 면적이 돌출부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센서(19)는 좌표 측정 기능을 포함하여 제2 플레이트(13)의 돌출부의 이동(도 3의 화살표 방향)에 따라 해당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센서(19)는 제1 플레이트(15)상에 결합되게 형성되어, 제1 플레이트(15)와 제2 플레이트(13) 사이에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터치패드(17)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패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제1 플레이트(15)와 제2 플레이트(13)가 원형 형태(도 2의 (a))이거나, 사각형(도 2의 (b))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의 터치패드 조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5 내지 도 7,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8,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9,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터치패드(17), 입력부(110), 저장부(120), 무선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드(17)는 본체에 고정된 제1 플레이트(15)와 제1 플레이트(15) 상에 제1 플레이트(15)와 접촉되게 형성되되 슬라이딩 형태로 이동 가능한 제2 플레이트(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터치패드(17)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패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17)의 제2 플레이트(13)는 감압식 터치 센서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슬라이딩 형태로 이동함은 제2 플레이트(13)가 제1 플레이트(15)상에 형성된 슬라이딩 센서(19)와 접촉된 상태로 손가락 등에 의해 밀려 제한된 영역 내에서 위치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입력부(110)는 터치패드(17)에 기 설정된 터치입력 모션이 발생함에 따라 입력되는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터치입력 모션은 터치패드(17)의 제2 플레이트(13)를 터치(도 5의 (a))하는 선택 모션, 제2 플레이트(13)를 상, 하, 좌 및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도 5의 (b), 도 5의 (c), 도 6 및 도 7의 (a), 도 6 및 도 7의 (b), 도 6 및 도 7의 (c), 도 6 및 도 7의 (d))시키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히든화면(Hidden Screen) 출력 모션 및 제2 플레이트(13)를 상, 하, 좌 및 우 방향으로 히든화면 출력 모션보다 짧게 슬라이딩 이동(도 5의 (b), 도 5의 (c), 도 6 및 도 7의 (a), 도 6 및 도 7의 (b), 도 6 및 도 7의 (c), 도 6 및 도 7의 (d))시키는 이동 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터치패드(17)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정보를 비롯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는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리모트 컨트롤러(100)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향하여 대향시키지 않아도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무선 통신부(130)를 통해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부(210), 출력부(220), 저장부(230), 입력 신호 해석부(240), 메뉴 제공부(250), 화면 제공부(260) 및 영상 실행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통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부(220)는 메뉴 및 히든 화면을 비롯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메뉴 및 화면 정보를 포함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 신호 해석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인증된 특정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제어정보와 비교 및 해석할 수 있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고정된 제1 플레이트(15)와 제1 플레이트(15) 상에 제1 플레이트(15)와 접촉되게 형성되되 슬라이딩 형태로 이동 가능한 제2 플레이트(13)를 포함하는 터치패드(17), 터치패드(17)에 기 설정된 터치입력 모션이 발생함에 따라 입력되는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110),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무선 통신부(130)를 통해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140),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 모션은, 터치패드(17)의 제2 플레이트(15)를 터치하는 선택 모션, 제2 플레이트(15)를 상, 하, 좌 및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히든화면(Hidden Screen) 출력 모션 및 제2 플레이트(15)를 상, 하, 좌 및 우 방향으로 히든화면 출력 모션보다 짧게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 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 제공부(250)는 입력 신호 해석부(240)에 의해서 해석된 영상 신호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가 메뉴 요청인 경우, 해당 메뉴를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뉴 제공부(250)는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이동 모션에 대한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포함된 이동 방향 정보를 기초로 출력부(220)를 통해 현재 출력되는 메뉴의 포인터를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메뉴는 실행 가능한 영상 화면 리스트 및 영상 관련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뉴 제공부(250)는 다수의 영상 화면을 포함하는 메뉴 상에서 특정 화면을 선택하는 포인터를 이동(도 8의 (a) A)시키거나, 다수의 영상 화면을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이동(도 8의 (b) B)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수의 영상 화면을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은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0)의 제2 플레이트(13)를 ①, ②와 같이 슬라이딩하는 동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100)에서 포인터 이동을 위한 슬라이딩 동작은 히든화면을 요청하는 슬라이딩 동작에 비해 제2 플레이트(13)의 이동을 짧게 수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화면 제공부(260)는 입력 신호 해석부(240)에 의해서 해석된 영상 신호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가 히든화면(Hidden Screen) 요청인 경우, 해당 방향의 히든 화면을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제공부(260)는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히든화면(Hidden Screen) 출력 모션에 대한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포함된 히든화면 방향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방향의 히든 화면을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00) 상에서 제2 플레이트(13)를 상(1-1), 하(2-1), 좌(3-1) 및 우(4-1)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히든화면(Hidden Screen) 출력 모션이 발생함에 따라, 화면 제공부(260)는 히든화면 출력 모션에 포함된 방향(상(1-2), 하(2-2), 좌(3-2) 및 우(4-2) 방향)에 대한 히든화면을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히든화면은 다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화면, 실행 가능한 영상 화면, 현재 시청하는 채널 외에 다른 채널에서 실행되고 있는 방송 영상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 실행부(270)는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선택 모션에 대한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출력부(220) 상에서 포인터가 위치한 메뉴의 영상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100 : 리모트 컨트롤러
11 : 본체
13 : 제2 플레이트
15 : 제1 플레이트
20, 200 :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10 : 입력부
120, 230 : 저장부
220 : 출력부
140 : 무선 통신부
150 : 제어부
210 : 통신부
240 : 입력 신호 해석부
250 : 메뉴 제공부
260 : 화면 제공부
270 : 영상 실행부

Claims (12)

  1. 본체에 고정된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접촉되게 형성되되 슬라이딩 형태로 이동 가능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터치입력 모션이 발생함에 따라 입력되는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패드 형태로 형성된 리모트 컨트롤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 모션은,
    상기 터치패드의 제2 플레이트를 터치하는 선택 모션,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 하, 좌 및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히든화면(Hidden Screen) 출력 모션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 하, 좌 및 우 방향으로 상기 히든화면 출력 모션 보다 짧게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 모션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의 제2 플레이트는, 감압식 터치 센서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6.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인증된 특정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제어정보와 비교 및 해석하는 입력 신호 해석부;
    상기 입력 신호 해석부에 의해서 해석된 영상 신호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가 메뉴 요청인 경우, 해당 메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메뉴 제공부;
    상기 입력 신호 해석부에 의해서 해석된 영상 신호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가 히든화면(Hidden Screen) 요청인 경우, 해당 방향의 히든 화면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화면 제공부;
    메뉴 및 화면 정보를 포함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메뉴 및 히든 화면을 비롯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고정된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접촉되게 형성되되 슬라이딩 형태로 이동 가능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터치입력 모션이 발생함에 따라 입력되는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 모션은,
    상기 터치패드의 제2 플레이트를 터치하는 선택 모션,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 하, 좌 및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히든화면(Hidden Screen) 출력 모션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 하, 좌 및 우 방향으로 상기 히든화면 출력 모션보다 짧게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 모션을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공부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히든화면(Hidden Screen) 출력 모션에 대한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포함된 히든화면 방향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방향의 히든 화면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메뉴 제공부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이동 모션에 대한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포함된 이동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력부를 통해 현재 출력되는 메뉴의 포인터를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실행 가능한 영상 화면 리스트 및 영상 관련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선택 모션에 대한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 상에서 포인터가 위치한 메뉴의 영상을 실행하는 영상 실행부;
    를 더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094157A 2013-08-08 2013-08-08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KR20150017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157A KR20150017923A (ko) 2013-08-08 2013-08-08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157A KR20150017923A (ko) 2013-08-08 2013-08-08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923A true KR20150017923A (ko) 2015-02-23

Family

ID=53046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157A KR20150017923A (ko) 2013-08-08 2013-08-08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79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8245B2 (en) Media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ed search term corresponding to an image
RU2609101C2 (ru) Узел сенсор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ми, контроллер и электрон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JP6105822B1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の制御方法及び装置
US20150339026A1 (en) User termina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and multimedia system thereof
US941148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EP2595045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147557A1 (ja) 制御装置、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US20160054860A1 (en) Input device
US20150009136A1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input operation processing method
KR101384493B1 (ko)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US20120223886A1 (en) Rapid screen control input system
KR101363661B1 (ko) 엣지 슬라이딩 ui가 적용된 스마트 리모트 컨트롤러
CN105872674A (zh) 用于显示遥控器的操作轨迹的方法、遥控器和显示终端
JP2013152566A (ja) リモコン装置
KR20150017923A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KR101771837B1 (ko)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포스 입력을 제공하는 리모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4071669A (ja) 情報表示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14590A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EP2558964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 and method thereof
KR101791222B1 (ko) 마우스 기능 제공 휴대 전자기기 및 그 운용 방법
KR1017722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128090A (ko) 영상 표시 기기
TW201427401A (zh) 電視機、遙控裝置及菜單顯示方法
JP6115136B2 (ja) 情報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KR101439178B1 (ko) 촬영부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