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862A -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및 이러한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및 이러한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862A
KR20150017862A KR1020130094000A KR20130094000A KR20150017862A KR 20150017862 A KR20150017862 A KR 20150017862A KR 1020130094000 A KR1020130094000 A KR 1020130094000A KR 20130094000 A KR20130094000 A KR 20130094000A KR 20150017862 A KR20150017862 A KR 20150017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electrode
polymer film
electroactive polymer
voltage
las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2261B1 (ko
Inventor
박선택
박봉제
경기욱
윤성률
남세광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94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261B1/ko
Priority to US14/168,476 priority patent/US9638928B2/en
Publication of KR20150017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8Laser speckle op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phase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2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electro-mechanical, magneto-mechanical, elasto-optic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는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산란 패턴을 갖는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1 투명 전극 및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의 다른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2 투명 전극을 포함하고,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의 산란 패턴은 제1 투명 전극과 제2 투명 전극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패턴의 모양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및 이러한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An active diffuser for reducing speckle, and a laser display device having the active diffuser}
본 발명은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하는 스펙클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의 산란패턴을 가지는 확산자의 산란패턴 형상을 능동적으로 변화시켜 스펙클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확산자 및 이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레이저를 광원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광원은 다른 광원에 비해 광의 세기나 휘도 특성이 좋아 콘트라스트가 높은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소형장치로 구현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어 선호된다. 그러나 레이저 광원은 높은 가간섭성 때문에 스펙클을 발생시키며 이것은 디스플레이 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스펙클이란 스크린의 표면 거칠기에 따라 입사하는 레이저빔의 고유한 파동 특성에 의해 생기는 반점 모양의 패턴으로, 스펙클 의해 화질 특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따라서 스펙클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기존에 제시되었다.
종래기술 중 하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확산자를 구비하여 움직이게 함으로써 스펙클을 감소시킨다. 즉, 레이저 광을 회전 또는 진동하는 확산자에 투과시킨다. 확산자가 회전함에 따라 레이저 광이 투과되어 확산되는 정도를 불규칙하게 하거나 레이저 광의 위상을 불규칙하게 한다. 따라서 레이저 광의 고유한 성질인 가간섭성을 줄이다.
또 다른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파면 변조기를 구비하여 스펙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레이저 광을 파면변조기에 통과시키면 레이저 광의 위상이 변화한다. 위상 공간변화를 갖는 파면은 다중 스펙클 패턴을 발생시킴으로써 스펙클이 감소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이동 또는 진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들은 확산자나 스크린의 회전 또는 진동을 사용하여 스펙클을 감소시키는 방법들을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화면의 출렁거림으로 인해 영상을 보는 시청자에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불안정성을 야기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레이저 광의 스펙클을 감소시키기 위한 산란패턴을 갖는 확산자를 전기활성 폴리머로 제작하고 확산자의 양면에 전압을 인가하여 산란패턴의 위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동형 확산자와 그것을 이용한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는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산란 패턴을 갖는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 상기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1 투명 전극; 및 상기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의 다른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2 투명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의 상기 산란 패턴은 상기 제1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투명 전극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패턴의 모양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는 레이저 광원,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평행광으로 전환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레이저 광의 세기를 변조하는 변조기를 구비하는 입사부; 상기 입사부에서 입사되는 상기 레이저 광에 대해, 전압 인가에 따라 상기 레이저 광의 위상을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변화시켜서 상기 레이저 광의 스펙클을 저감시키는 능동형 확산자; 상기 능동형 확산자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능동형 확산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및 상기 능동형 확산자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레이저 광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 및 상기 집광 렌즈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레이저 광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스캐닝기를 구비하는 투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 광의 특성인 가간섭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스펙클을 확산자나 다른 광부품들의 회전 또는 진동이 없이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즉, 레이저 광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확산자의 전체적인 진동이나 회전을 하지 않고 스펙클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정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멀티 레벨 위상 및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패턴을 갖는 능동형 확산자를 사용함으로써, 초점거리 변화 등을 통해 스펙클을 보다 더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능동형 확산자에 전압을 인가함에 따른 확산자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확산자 중에서 멀티 레벨 위상을 갖는 확산자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확산자 중에서 각 영역별로 서로 다른 위상변화를 줄 수 있는 투명전극 패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확산자 중에서 마이크로 렌즈 패턴을 갖는 확산자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로서,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 제1 투명 전극(20) 및 제2 투명 전극(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는 레이저 스펙클을 감소시키기 위해 산란패턴을 갖는 확산자를 전기활성 폴리머로 제작하고 확산자의 양면에 전압을 인가하여 산란패턴의 위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동형 확산자이다.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은 전압의 인가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되는 성질을 갖는 필름으로, 전압의 인가 여부에 따라 모양이 변화하는 산란 패턴을 갖는다.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의 산란 패턴은 제1 투명 전극(20)과 제2 투명 전극(30)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패턴의 위상 변화가 일어나고, 이러한 패턴의 위상 변화로 인해 산란 패턴의 모양이 변화한다.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은 전압이 일정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에 인가될 때마다, 산란 패턴의 모양이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또한, 이러한 산란 패턴의 모양 변화는 전압 인가 이외에 산란 패턴의 초기 모양, 제1 투명 전극(20)과 제2 투명 전극(30)의 패턴 모양 또는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의 재질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진다.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은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산란 패턴을 갖는다. 특히,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은 멀티 레벨 위상을 갖는 복수의 산란 패턴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전압이 인가되면 복수의 산란 패턴들의 모양이 각각 변화한다.
또한,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은 산란 패턴으로서 마이크로 렌즈 패턴을 갖을 수도 있다. 마이크로 렌즈 패턴은 크기가 서로 다른 렌즈 패턴을 갖을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렌즈 패턴은 위상을 서로 달리한다. 이러한, 마이크로 렌즈 패턴은 레이저 광을 집속 및 확산시키는 특징을 갖으며, 또한, 전압의 인가에 따라 렌즈의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제1 투명 전극(20)은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20)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전극이다. 또한, 제2 투명 전극(30)은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의 다른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전극이다. 제1 투명 전극(20) 및 제2 투명 전극(30)은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의 양쪽에 코팅되어 있는 한편, 전압 인가부(후술함)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전압 인가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인가받아서,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의 양단에서 전압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투명 전극(20) 및 제2 투명 전극(30)은 ITO(Indium Tin Oxide), 탄소나노튜브, 칼코겐 화합물(chalcogenide)(MoS2, MoSe2, WS2 등), 그래핀(graphene) 또는 은나노선 등의 다양한 전극 재질로 만들어진다. ITO(Indium Tin Oxide)는 전기 전도성을 가진 투명 전도막으로서, 인듐과 산화 주석의 화합물(In2O3, SnO2)로 된 막으로서, 주로 스파터링 방법으로 제조되는 투명 전극이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로 이루어진 관모양의 소재로 전기 전도도가 높으며, 강도면에서도 우수한 전극 소자이다. 그래핀은 두께가 매우 얇으면서도 물리적, 화학적인 안정성이 높고, 강도가 강하며, 전기 전도도가 높으며, 신축성이 좋아 차세대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은나노선은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전극으로 다공성 알루미나를 이용해 만들어진 투명 전극이다. 특히, 이러한, 제1 투명전극(20) 및 제2 투명전극(30)은 각각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있으며, 복수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전극패드들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능동형 확산자에 전압을 인가함에 따른 확산자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전압=0[V])에서는 임의의 산란패턴을 갖는 초기 모양(전압=0[V]일 때의 모양)이었다가, 임의의 전압(예를 들어, 전압=1[kV])이 인가되면 초기 모양이 변화된 산란 패턴 모양(전압=1[kV]일 때의 모양)이 된다. 이러한 산란 패턴의 모양 변화는 전압 크기, 산란 패턴의 초기 모양, 제1 투명 전극(20)과 제2 투명 전극(30)의 패턴 모양 또는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의 재질 특성 등에 따라 변화한다. 이러한,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은 전압이 일정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인가될 때마다, 산란 패턴의 모양이 주기적으로 변화되며, 이러한 산란 패턴의 변화는 레이저 광의 가간섭성을 떨어뜨림에 따라 스펙클을 저감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확산자 중의 멀티 레벨 위상을 갖는 확산자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의 양면에 제1 투명전극(20) 및 제2 투명 전극(30)이 코팅되어 있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초기상태의 확산자의 산란패턴 모양은 여러 개의 위상(즉, 멀티 레벨 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계단식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멀티 레벌 위상을 갖는 능동형 확산자는 각각 위상 레벨들을 갖는 산란 패턴이 전압 인가에 따라 다른 레벨들을 갖는 산란 패턴으로 변화함으로써, 멀티 레벨에 따른 능동형 확산자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능동형 확산자는 전압을 인가하여 위상변화를 주는 방법으로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에 전체적으로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여 전 영역에 균일한 위상변화를 줄 수도 있지만, 제1 투명 전극(20) 및 제2 투명 전극(30) 각각을 일정 영역 별로 구분하여, 구분된 영역 별로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의 각 영역에 서로 다른 위상변화를 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확산자에서 각 영역별로 서로 다른 위상변화를 줄 수 있는 투명전극 패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명전극(20) 및 제2 투명전극(30)은 각각 복수의 영역들(즉, 9개의 영역에 해당하는 A, B, C, D, E, F, G, H, I)로 나뉘어져 있으며, 복수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전극패드들(100, 105, 110, 115, 120, 125, 130, 135, 140)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제1 투명전극(20) 및 제2 투명전극(30)의 구조는 전압을 주입하기 위한 전극 패드 부분과 직접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에 전압을 인가하는 투명전극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9개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영역에 전압을 인가하는 상기 투명전극 패턴의 개수 및 크기는 용도나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투명전극(20) 및 제2 투명전극(30)이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짐에 따라, 각 영역 별로 서로 다른 각각 전압이 인가될 때에 복수 영역으로 구분된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의 각 영역에서의 산란 패턴들의 모양이 각각 달라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확산자 중에서 마이크로 렌즈 패턴을 갖는 확산자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1 투명전극(20) 및 제2 투명 전극(30)은 마이크로 렌즈 패턴을 갖는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 위에 코팅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 렌즈 패턴의 렌즈 크기는 수[um]에서 수백[um]까지 크기를 갖는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 패턴을 이루는 각 렌즈의 크기는 서로 다른 렌즈 크기를 갖을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렌즈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할 경우에, 서로 다른 렌즈 크기를 갖는 패턴은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더라도 위상 변화가 서로 달라지므로, 산란 패턴의 모양도 렌즈 크기에 따라서 서로 달라진다. 이러한, 마이크로 렌즈 패턴을 갖는 능동형 확산자는 빛의 산란을 통한 확산자 기능뿐만 아니라 빛을 집속 또는 확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렌즈 형태의 패턴으로 인해, 광을 집속하거나 확산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또한, 렌즈 패턴을 다양화 함으로써, 전압 인가에 따라 각 렌즈의 초점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어서 디포커싱(defocusing)에 따른 스펙클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로서, 입사부(200), 능동형 확산자(300), 전압 인가부(400), 및 투사부(500)로 구성된다.
입사부(200)는 레이저 광원(205), 상기 레이저 광원(205)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평행광으로 전환하는 렌즈(210) 및 상기 렌즈(21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레이저 광의 세기를 변조하는 변조기(215)를 구비하고 있다. 입사부(200)의 각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광원(205), 렌즈(210) 및 변조기(215)의 특징은 종래의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점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능동형 확산자(300)는 입사부(200)으로부터 입사되는 레이저 광에 대해, 전압 인가에 따라 레이저 광의 위상을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변화시켜서 레이저 광의 스펙클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한다. 능동형 확산자(300)는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산란 패턴을 갖는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1 투명 전극(20) 및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의 다른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2 투명 전극(30)을 포함하고 있다.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의 산란 패턴은 제1 투명 전극(20)과 제2 투명 전극(30)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패턴의 모양이 변화한다.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은 멀티 레벨 위상을 갖는 복수의 산란 패턴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복수의 산란 패턴들의 모양이 각각 변화된다. 또한,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은 산란 패턴으로서 마이크로 렌즈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투명전극(20) 및 제2 투명전극(30)은 각각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할 수 있으며,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전극패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능동형 확산자(30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전술한 도 1 내지 5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압 인가부(400)는 능동형 확산자(300)의 제1 투명전극(20) 및 제2 투명 전극(30)과 연결되어 있으며, 능동형 확산자(300)에 전압을 인가한다. 전압 인가부(400)는 전압을 일정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능동형 확산자(300)에 인가한다. 전압 인가부(400)가 전압을 일정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인가할 경우에, 능동형 확산자(300)은 전압 인가에 의한 위상 변화에 따라 산란패턴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게 되고, 이는 레이저 광의 가간섭성을 떨어뜨리는 기능을 하므로,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에 발생하는 스펙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압 인가부(400)는 능동형 확산자(300)에 동일한 전압을 인가할 수도 있지만, 제1 투명 전극(20) 및 제2 투명 전극(30)이 일정 영역 별로 구분된 경우에, 구분된 영역 별로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명전극(20) 및 제2 투명전극(30)이 각 9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에, 전압 인가부(400)는 각 영역의 전극 패드들로 각각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제1 투명전극(20) 및 제2 투명전극(30)의 각 영역 별로 서로 다른 각각 전압이 인가될 때에 복수 영역으로 나뉘어진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10)의 각 영역에서의 산란 패턴들의 모양은 각각 달라진다.
투사부(500)는 능동형 확산자(300)를 통해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505) 및 집광 렌즈(505)를 통해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스캐닝기(510)를 구비한다. 투사부(500)의 각 기능을 수행하는 집광 렌즈(205) 및 스캐닝기(510)의 특징은 종래의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점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및 이러한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
20: 제1 투명 전극
30: 제2 투명 전극
200: 입사부
300: 능동형 확산자
400: 전압 인가부
500: 투사부

Claims (15)

  1.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산란 패턴을 갖는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
    상기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1 투명 전극; 및
    상기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의 다른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2 투명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의 상기 산란 패턴은 상기 제1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투명 전극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패턴의 모양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이 일정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상기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에 인가될 때마다, 상기 산란 패턴의 모양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은
    멀티 레벨 위상을 갖는 복수의 산란 패턴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복수의 산란 패턴들의 모양이 각각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은
    상기 산란 패턴으로서 마이크로 렌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패턴은
    크기가 서로 다른 렌즈 패턴을 갖으며, 상기 서로 다른 렌즈 패턴은 위상을 서로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패턴은
    레이저 광을 집속 및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패턴은
    상기 전압의 인가에 따라 렌즈의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전극 및 상기 제2 투명 전극은
    각각 ITO(Indium Tin Oxide), 탄소나노튜브, 칼코겐 화합물, 그래핀 및 은나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전극 및 상기 제2 투명전극은
    각각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기 복수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전극패드들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10. 레이저 광원,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평행광으로 전환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레이저 광의 세기를 변조하는 변조기를 구비하는 입사부;
    상기 입사부에서 입사되는 상기 레이저 광에 대해, 전압 인가에 따라 상기 레이저 광의 위상을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변화시켜서 상기 레이저 광의 스펙클을 저감시키는 능동형 확산자;
    상기 능동형 확산자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능동형 확산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및
    상기 능동형 확산자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레이저 광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 및 상기 집광 렌즈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레이저 광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스캐닝기를 구비하는 투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확산자는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산란 패턴을 갖는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
    상기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1 투명 전극; 및
    상기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의 다른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2 투명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의 상기 산란 패턴은 상기 제1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투명 전극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패턴의 모양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은
    멀티 레벨 위상을 갖는 복수의 산란 패턴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복수의 산란 패턴들의 모양이 각각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활성 고분자 필름은
    상기 산란 패턴으로서 마이크로 렌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전극 및 상기 제2 투명전극은
    각각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기 복수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전극패드들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인가부는
    상기 전압을 일정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상기 능동형 확산자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094000A 2013-08-08 2013-08-08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및 이러한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62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000A KR102062261B1 (ko) 2013-08-08 2013-08-08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및 이러한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US14/168,476 US9638928B2 (en) 2013-08-08 2014-01-30 Active diffuser for reducing speckle and laser display device having active diff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000A KR102062261B1 (ko) 2013-08-08 2013-08-08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및 이러한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862A true KR20150017862A (ko) 2015-02-23
KR102062261B1 KR102062261B1 (ko) 2020-02-20

Family

ID=5244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000A KR102062261B1 (ko) 2013-08-08 2013-08-08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및 이러한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38928B2 (ko)
KR (1) KR102062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5736B2 (en) 2015-09-14 2021-01-19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s and apparatus for modulating light using a deformable soft dielectric
CN109417121A (zh) 2016-06-29 2019-03-0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Eap致动器和驱动方法
JP6644950B2 (ja) * 2016-08-25 2020-02-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可変集束x線散乱線除去デバイス
CN111323933A (zh) * 2018-12-14 2020-06-23 青岛海信激光显示股份有限公司 消散斑装置、方法和投影显示设备
US11714293B2 (en) 2019-06-27 2023-08-01 Lumileds Llc Speckle reduction in VCSEL array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9204A (ja) * 2006-04-04 2007-10-25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2008262029A (ja) * 2007-04-12 2008-10-30 Seiko Epson Corp 照明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KR20090049589A (ko) * 2006-08-31 2009-05-1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투사장치 및 화상표시장치
KR20100051009A (ko) * 2008-11-06 201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JP2012123308A (ja) * 2010-12-10 2012-06-28 Asahi Glass Co Ltd 投射型表示装置
JP2012173701A (ja) * 2011-02-24 2012-09-10 Stanley Electric Co Ltd 光散乱素子、光走査装置又は画像投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8726A (ja) 1998-02-04 1999-08-10 Minolta Co Ltd スペックル除去手段及びそれを用いた映像提示装置
US6122023A (en) * 1998-07-28 2000-09-19 Motorola, Inc. Non-speckle liquid crystal projection display
US6747781B2 (en) * 2001-06-25 2004-06-08 Silicon Light Machines, Inc. Method, apparatus, and diffuser for reducing laser speckle
KR101234037B1 (ko) 2005-10-12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이저 반점 감소 장치
US20080055698A1 (en) 2006-05-23 2008-03-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modulator and optical modulator module for reducing laser speckle
KR100858084B1 (ko) 2006-12-01 2008-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펙클 노이즈를 저감하는 형상을 갖는 확산자 및 이를채용한 레이저 프로젝션 시스템
WO2008083336A2 (en) * 2006-12-29 2008-07-10 Abu-Ageel Nayef M Method and system for speckle reduction using an active device
US7956941B2 (en) * 2007-08-01 2011-06-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peckle in coherent light
KR20090012276A (ko) 2009-01-07 2009-02-02 삼성전기주식회사 레이저 반점을 감소시키는 광변조기
WO2010078662A1 (en) * 2009-01-09 2010-07-15 Optotune Ag Electroactive optical device
US20120206782A1 (en) * 2011-02-16 2012-08-16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Device for reducing speckle effect in a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9204A (ja) * 2006-04-04 2007-10-25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KR20090049589A (ko) * 2006-08-31 2009-05-1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투사장치 및 화상표시장치
JP2008262029A (ja) * 2007-04-12 2008-10-30 Seiko Epson Corp 照明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KR20100051009A (ko) * 2008-11-06 201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JP2012123308A (ja) * 2010-12-10 2012-06-28 Asahi Glass Co Ltd 投射型表示装置
JP2012173701A (ja) * 2011-02-24 2012-09-10 Stanley Electric Co Ltd 光散乱素子、光走査装置又は画像投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43079A1 (en) 2015-02-12
US9638928B2 (en) 2017-05-02
KR102062261B1 (ko)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261B1 (ko) 스펙클 저감을 위한 능동형 확산자 및 이러한 능동형 확산자를 갖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JP5536004B2 (ja) 液晶レンズ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3d表示装置
TWI354115B (en)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JP5535240B2 (ja) 光スクランブラ、および、光デバイスを動作させる方法
JP4057597B2 (ja) 光学素子
JP2011514980A (ja) 自動立体視(autostereoscopic)表示装置
TW201107789A (en) Light modulation device for a display for representing two- and/or three-dimensional image content
JP2012514764A5 (ko)
JP2012234135A (ja) 液晶レンズ
JP2010169976A (ja) 空間像表示装置
US20160178811A1 (en) Varifocal lens
KR102065116B1 (ko) 광 투과량 조절 소자, 이를 포함한 영상 기기 및 그 제조 방법
EP4016176B1 (en) Meta-optical device having variable performan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Graetzel et al. Reducing laser speckle with electroactive polymer actuators
JP3358150B2 (ja) 光学装置
JP2005274847A (ja) 位相分布の形成方法及び回折光学素子
JP2013190763A (ja) 視野角制御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Park et al. Monolithic focus-tunable lens technology enabled by disk-type dielectric-elastomer actuators
JP5440237B2 (ja) 光拡散装置、スクリーンおよび画像投写装置
Giger et al. Laser speckle reduction based on electroactive polymers
US10659739B2 (en) Control of light spreading with blurring element in projector systems
JP2016071012A (ja) 投影装置
JP2012073370A (ja) 光偏向液晶素子、投射型ディスプレイおよびブレ補正撮像装置
TWI699560B (zh) 光投射裝置
JP2006091392A (ja) 電界制御アナモルフィック液晶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