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224A - 입력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224A
KR20150017224A KR1020130093228A KR20130093228A KR20150017224A KR 20150017224 A KR20150017224 A KR 20150017224A KR 1020130093228 A KR1020130093228 A KR 1020130093228A KR 20130093228 A KR20130093228 A KR 20130093228A KR 20150017224 A KR20150017224 A KR 20150017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ber
contact
input
input device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776B1 (ko
Inventor
김병직
권동욱
명인식
정종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776B1/ko
Priority to US14/146,329 priority patent/US9519386B2/en
Priority to EP14168288.0A priority patent/EP2835726B1/en
Publication of KR20150017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는, 전자기 유도회로(electromagnetic induction circuit; 이하, 'EMI 회로'라 함)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유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EMI 회로에 연동된 제1 접촉 부재; 및 상기 몸체에 제공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접촉 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된 도전성 재질의 제2 접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력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기기, 데스크톱 / 랩톱 컴퓨터,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탑재된 프로그램이나 저장된 정보에 따라 특정 기능, 예를 들면, 저장 정보를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예컨대, 데스크톱 컴퓨터 등은 키보드나 마우스 같은 입력 장치를 구비하며, 가전제품에는 원격 조정기가 제공되기도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전자 장치에서는 마이크로폰, 키패드가 전통적인 입력 장치로 활용되었으며,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이 물리적인 키패드를 대체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전자 장치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의 역할과 함께,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입력 모듈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정전 용량 방식이나 저항막 방식으로 구현된 터치 패널, 예컨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필름으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 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예컨대, 손가락의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를 검출하는 것 외에도, 사용자의 필기를 이미지나 문서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터치스크린, 예컨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입력 동작을 검출하게 된다. 이러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일반적인 필기구를 이용한 사용자의 필기를 이미지나 문서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 접촉하는 물체에 의한 전하량의 변화로부터 사용자의 입력 동작을 검출하게 된다. 전하량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면적을 접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저항막 방식과 비교할 때, 인체의 터치 동작으로부터 필기 입력을 검출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필기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자기 유도(electromagnetic induction; 이하, 'EMI'이라 함) 방식의 입력 장치를 더 장착하기도 한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EMI 방식의 입력 장치가 탑재된 경우, EMI 방식의 입력과 터치 패널 방식의 입력을 전환하는 것이 불편한 실정이다. 예컨대, EMI 방식의 입력은, EMI 회로가 탑재된 입력 장치를 이용하지만 터치 동작에 의한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입력 방식을 전환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다.
또한, EMI 방식의 입력을 수행함에 있어, 예컨대, 실행 프로그램의 메뉴에서 선굵기 등을 일일이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필기 입력을 하고자 할 때에는 번거로울 수 있다.
이에, 본 개시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통해 입력 방식의 전환, 예컨대, EMI 방식의 입력과 터치 방식의 입력을 상호 전환하기 편리한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통해 EMI 방식을 통한 필기 입력에서, 다양한 형태의 필기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는, 전자기 유도회로(electromagnetic induction circuit; 이하, 'EMI 회로'라 함)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유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EMI 회로에 연동된 제1 접촉 부재; 및 상기 몸체에 제공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접촉 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된 도전성 재질의 제2 접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MI 회로는 가변용량의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 부재가 유동함에 따라 가변용량의 상기 용량성 소자의 캐패시턴스가 변동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접촉 부재가 상기 몸체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접촉 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제1 접촉 부재와 나란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 제2 접촉 부재가 상기 입력 부재의 선단(distal end)을,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접촉 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제1 접촉 부재와 나란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 제2 접촉 부재가 상기 입력 부재의 선단(distal end)을,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하되, 상기 제1 접촉 부재가 더 돌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하나에 따르면,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제2 접촉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중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부재는 점 접촉 구조의 팁 부재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부재는 선 접촉 구조 또는 면 접촉 구조의 팁 부재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부재가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접촉 부재의 입력 위치를 검출하는 제1 터치 패널; 상기 제1 접촉 부재에 의한 터치 또는 호버링(hovering)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2 터치 패널; 및 상기 제1 접촉 부재가 검출되면 제1 이벤트를 출력하며, 상기 제2 접촉 부재가 검출되면 상기 제1 이벤트와 상이한 제2 이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접촉 부재 및 상기 제2 접촉 부재가 동시에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2 터치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1 터치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만을 처리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터치 패널은, 상기 제2 접촉 부재의 접촉에 의한 전하량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터치 패널은, 상기 제1 접촉 부재로부터의 유도 자계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는 EMI 회로에 연동된 접촉 부재를 통해 필기 입력만을 가능하게 하면서, 추가의 접촉 부재를 제공하여 선택적으로 터치 패드, 예컨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드를 통한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본 개시에 따른 입력 장치는 추가의 접촉 부재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촉하여 입력을 수행할 때, EMI 회로에 연동된 접촉 부재의 궤적을 따라 필기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를 통해, 예컨대, 추가의 접촉 부재가 접촉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선굵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에 탑재된 EMI 회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로 필기 입력을 수행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로 필기 입력을 수행하는 다른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과 EMI 방식으로 조합되어 구현된 터치스크린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한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터치 패널의 개념도이다.
도 7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터치 패널의 개념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들을 각각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a 내지 9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입력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후술되는 용어들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 따라 더욱 명확하게 정의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제1', '제2' 등의 서수를 사용한 것은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100)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100)에 탑재된 EMI 회로(102)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100)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100)는 EMI 회로(102)를 내장하고 있는 몸체(101), 상기 몸체(100)에 제공된 제1 접촉 부재(121)와, 도전성 재질의 제2 접촉 부재(1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 부재(121)는 상기 EMI 회로(102)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 장치(100)를 이용한 필기 입력 동작에서, 필기 압력을 상기 EMI 회로(102)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1 접촉 부재(121)는 상기 몸체(101)의 선단(113)으로 돌출되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표면에 점접촉하는 팁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접촉 부재(121)는 상기 몸체(101)에 수용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입력 장치(100)의 팁(111), 예컨대, 상기 입력 장치(100)의 선단(113)으로 출몰 가능하게 수용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EMI 회로(102)는 유도성 소자(123)와 적어도 하나의 용량성 소자(125a, 125b, 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성 소자(123)는 페라이트 코어 등에 권선된 코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용량성 소자(125a, 125b, 125c)는 상기 유도성 소자(123)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EMI 회로(102)는 별도로 제공되는 EMI 패드와 연동할 수 있다. 예컨대, EMI 패드에 인가된 전류에 따라 상기 유도성 소자(123)에서 2차 전류가 형성되며, 상기 유도성 소자(123)와 용량성 소자(125a, 125b, 125c)로 이루어진 공진회로에 의해 상기 EMI 회로(102)는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EMI 패드는 상기 EMI 회로(102)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장의 변화를 검출하여, EMI 패드와 연결된 제어부로 검출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제어부에서 상기 입력 장치(100)에 의한 필기 입력을 이미지나 문서로 변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3개의 용량성 소자(125a, 125b, 125c)를 포함하는 EMI 회로(102)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용량성 소자들 중, 제1의 용량성 소자(125a)는 상기 유도성 소자(123)와 병렬로 연결되며, 예를 들면, 상기 제1 접촉 부재(121)에 연동된 가변용량의 용량성 소자이다. 상기 용량성 소자들 중, 제2의 용량성 소자(125b)는, 예컨대, 상기 유도성 소자(123)와 병렬로 연결되어 공진을 일으킴으로써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소자이다. 상기 유도성 소자(123)와 제2 용량성 소자(125b)에 의해 전자기장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촉 부재(121)가 다른 물체,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1 용량성 소자(125a)의 캐패시턴스가 변동되면서, 상기 EMI 회로(102)에 의한 공진 주파수, 더 나아가서는, 전자기장이 변화한다. 상기 입력 장치(100)가 EMI 패드에 인접하게 위치했을 때, EMI 패드는 상기와 같은 전자기장의 변화를 통해 상기 입력 장치(100)의 이동 궤적과 사용자의 입력 강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용량성 소자들 중, 제3의 용량성 소자(125c)는 스위치 부재(127)를 통해 상기 유도성 소자(123)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소자(127)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3 용량성 소자(125c)는 상기 유도성 소자(123)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소자(127)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 부재(115)가 상기 몸체(101)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EMI 회로(102)가 전자기장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소자(127)가 작동하면, 상기 EMI 회로(102)가 형성한 전자기장에 순간적인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순간적인 변화를 EMI 패드에 연결된 제어부에서 검출한다면 이를 클릭 동작으로 인식하여 입력의 시작/종료 신호, 선택 신호 등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 부재(131)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접촉 부재(121)와 나란하게, 예를 들면, 상기 입력 장치(100)의 선단(113)을 부분적으로 감싸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 부재(131)는 도전성 재질로 제작되어, 예를 들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입력은 통상적으로 인체를 가상 접지라 할 때,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서 발생하는 전하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 접촉 부재(131)가 충분히 큰 전하를 띤 물질로 제작된다면, 인체에 의한 가상 접지 영향이 아니더라도 상기 입력 장치(100)를 이용하여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접촉 부재(131)가 충분히 큰 전하를 띤 물질로 제작된다면, 사용자는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상기 입력 장치(100)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접촉 부재(131)가 상기 선단(113)으로부터 상기 몸체(101)의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된다면, 인체와 연결된 상기 선단(113)도 가상 접지를 띄게 되어 터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촉 부재(121)와 제2 접촉 부재(131)의 일부분은 상기 입력 장치(100)의 선단(113)을 상기 몸체(10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장치(100)의 선단(113)이 상기 몸체(10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 접촉 부재(121)의 단부는 상기 제2 접촉 부재(131)보다 더 돌출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100)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함에 있어, 상기 선단(113)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1 접촉 부재(121)만으로 입력 동작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1, 제2 접촉 부재(121, 131)를 동시에 사용하여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도 5와 도 6을 통해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어떤 실시 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 장치(100)의 팁(111)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쐐기 형상의 팁(111)은, 두 면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에서 상기 선단(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단(113)은 하나의 선 형태를 이루거나 곡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선단에서, 상기 제2 접촉 부재(131)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 선접촉하는 팁 부재일 수 있다. 다른 한 실시 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111a)은 쐐기 형상을 가지지만, 선단(113a)은 다각형, 원 또는 타원 형상의 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면 형태의 상기 선단(113a)에서, 상기 제2 접촉 부재(131)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 면접촉하는 팁 부재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제2 접촉 부재(121, 131) 사이에는 중간 부재(119)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 부재(121)는 상기 EMI 회로(102)에 연동되고, 상기 제2 접촉 부재(131)가 도전성 물질로 제작된 바, 전기적으로 서로 간섭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부재(119)는 상기 제1, 제2 접촉 부재(121, 131)를 전기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격리시켜,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100)로 필기 입력을 수행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100)로 필기 입력을 수행하는 다른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 장치(100)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4)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아래에 배치된 EMI 패드(137)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상측에 배치된 터치 패널(13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EMI 패드(137)는 전원을 인가받아 1차 전류를 형성하며, 상기 EMI 회로(102)가 형성하는 전자기장의 변화에 의한 수신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35)은,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의 표면에 접촉하는 물체에 의한 전하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는 상기 터치 패널(135)의 상측에 배치된 윈도우(13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터치 패널(135), 디스플레이 모듈(141), EMI 패드(137)를 보호할 수 있다.
필기구나 스타일러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사용한 일반적인 입력 동작에서, 사용자는 필기면, 예컨대, 종이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 대하여 입력 장치를 경사진 상태로 필기를 하게 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100)의 선단(113, 113a)은 몸체(10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단(113, 113a) 전체가 디스플레이 장치(104)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필기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선단(113)은, 쐐기 형상 부분의 모서리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형상일 경우, 상기 제2 접촉 부재(13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의 표면에 선접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선단(113a)이 면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2 접촉 부재(13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의 표면에 면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단(113a)이 다각형 형상의 면으로 이루어진다면, 상기 입력 장치(100)의 경사 방향과 각도에 따라 상기 제2 접촉 부재(13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의 표면에 선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접촉 부재(131)가 띤 전하에 의한 영향, 예컨대, 전하량의 변화는 상기 터치 패널(135)을 통해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EMI 패드(137)로부터 다소 이격되어 있더라도 상기 EMI 회로(102)는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EMI 패드(137)는 상기 EMI 회로(102)가 형성한 전자기장의 변화와 이동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접촉 부재(131)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가 검출되었을 때, 상기 EMI 패드(137)를 비활성화하거나, 상기 EMI 패드(137)가 검출하는 신호를 신호처리 과정에서 제외함으로써, 터치 입력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 장치(100)를 쥐는 방향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팁(111)의 예각 부분, 예컨대, 상기 제1 접촉 부재(121)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 부재(121)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EMI 회로(102)는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EMI 패드(137)는 상기 EMI 회로(102)가 형성한 전자기장의 변화와 이동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접촉 부재(13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터치 패드(135)는 어떠한 전하량의 변화도 검출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 장치(100)의 선단(113, 113a)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에 접촉된 상태에 따라 사용자는 서로 다른 입력, 예컨대, 선굵기를 서로 다르게 입력하거나, EMI 방식의 입력과 터치 방식의 입력 중 하나만 활성화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에서, 터치스크린이 정전용량 방식과 EMI 방식으로 조합되어 구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과 EMI 방식으로 조합되어 구현된 터치스크린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은 윈도우(710), 제1 터치 패널(720), 표시 패널(730) 및 제2 터치 패널(740)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710)는 터치스크린의 내부 소자인 제1 터치 패널(720), 표시 패널(730) 및 제2 터치 패널(740)을 외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710)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 패널(730)로부터 출력되는 시각적인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터치 패널(720)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로써, 유리의 양면에 얇은 금속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인듐주석 산화물) 막 등)을 코팅하여 유리표면에 전극을 형성한다. 통상, 형성된 전극 중 하나에 전압을 인가하여 송신 채널로 사용하고, 다른 전극은 수신 채널로 사용하게 된다. 두 전극 사이에 유도되는 전하량은 두 전극 사이의 전위차와 정전용량값에 비례한다. 이러한 제1 터치 패널(720)의 표면에 입력 수단(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이 터치되면 정전용량 센서의 두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이 변하게 되고, 유도되는 전하량 또한 전압의 변화에 비례하게 되어, 누적된 전하량의 변화에 의해서 상기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제1 터치 패널(720)을 통해서는 유도 전하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모든 터치의 감지가 가능하며, 상기 입력 수단인 손가락이나 입력 장치(100)의 제2 접촉 부재(131)에 의한 터치의 감지가 모두 가능하다.
표시 패널(730)은 LCD, AMOLED 등과 같은 패널이 될 수 있으며, 좌표 측정 장치의 각종 동작 상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서비스 등에 따른 다양한 영상을 표시한다.
제2 터치 패널(740)은 EMI 방식 터치 패널로서, 복수의 루프 코일이 미리 정해진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 터치 패널(740)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티치용 입력 장치(100)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터치용 입력 장치(100)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전류를 기초로 하여, 터치용 입력 장치(100)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780)가 발생하게 되고, 제2 터치 패널(740)은 유도 자계(780)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터치용 입력 장치(100)의 호버링(Hovering) 위치, 터치 위치, 그리고 필압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제2 터치 패널(740)을 통해서는 전자기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입력 수단이라면 호버링 및 터치의 감지가 가능하며, 상기 제2 터치 패널(740)은, 본 개시의 어떤 실시 예에서는, 입력 장치(100)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 감지 전용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입력 장치(100)는 전자기 펜 또는 EMI 펜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입력 장치(100)는 자체 전력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능동형 또는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수동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하면 제1 터치 패널(720)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입력 장치(100)의 제2 접촉 부재(131)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고, 제2 터치 패널(740)은 터치용 입력 장치(100)의 제1 접촉 부재(121)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의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제2 접촉 부재(131)에 의한 터치와 터치용 입력 장치(100)의 제1 접촉 부재(121)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자 장치(700)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700)는 제어부(750) 및 터치스크린(76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760)은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710), 제1 터치 패널(720), 표시 패널(730) 및 제2 터치 패널(7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50)는 제1 터치 패널(720)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지점에서의 전하량 변경 정보 및 제2 터치 패널(740)로부터 입력되는 EMI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50)는 제1 터치 패널(720)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지점에서의 전하량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입력 장치(100)의 제2 접촉 부재(131)의 터치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750)는 제2 터치 패널(740)로부터 입력되는 EMI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접촉 부재(121)의 터치 지점 또는 호버링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50)는 제2 접촉 부재(131)가 터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 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EMI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제어부(750)는 제2 접촉 부재(131)의 터치만을 처리함으로써, 제1 접촉 부재(121)의 터치 또는 호버링을 무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100)을 기울여 터치스크린(760)에 면접촉하는 경우에는 제1 접촉 부재(121) 및 제2 접촉 부재(131)가 동시에 터치스크린(760)에 접촉될 수 있다. 제어부(750)는 제2 접촉 부재(131)가 터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EMI 신호를 처리하지 않음으로써 제1 접촉 부재(121)의 터치를 무시할 수 있다.
도 7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터치 패널(720)의 개념도이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 패널(720)은 금속 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그리드(721 내지 7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50)는 적어도 하나의 그리드(721 내지 728)를 좌표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제2 접촉 부재(131)가 제3 그리드(723) 및 제6 그리드(726)의 교차 지점에 터치된 경우에는, 제어부(750)는 제3 그리드(723) 및 제6 그리드(726)의 교차 지점에서 전하량의 변화가 생긴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750)는 전하 이동에 기초하여 손가락 또는 제2 접촉 부재(131)가 제3 그리드(723) 및 제6 그리드(726)의 교차 지점에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터치 패널(740)의 개념도이다.
제2 터치 패널(740)은 제1 및 제2 서브 루프부(741,742) 및 제어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서브 루프부를 포함하는 루프 전체를 루프부라고 명명할 수 있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루프부(741) 및 제2 서브 루프부(742)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루프부(741) 또는 제2 서브 루프부(742)에 각각 포함되는 복수 개의 루프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식별의 용이성을 위한 것이며 더욱 정교한 펜 좌표 위치 검출을 위하여 복수 개의 루프들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서브 루프부(741)는 x축의 방향보다 y축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x축의 좌표를 센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제2 서브 루프부(742)는 y축의 방향보다 x축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y축의 좌표를 센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루프부(741) 및 제2 서브 루프부(742)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루프를 포함하는 집합과 같이 설명된 것은 단순한 예시일 뿐이며, 위치 측정 장치에 포함된 루프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1 서브 루프부(741) 및 제2 서브 루프부(742)로 분할될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루프부(741)는 송신 신호(이하, TX 신호)를 펜(미도시)으로 송신하며, 펜(미도시)으로부터 수신 신호(이하, RX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서브 루프부(742)는 펜(미도시)으로부터 RX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루프부(741)는 송/수신 루프들로 구성되며, 제2 서브 루프부(742)는 수신 루프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서브 루프부(742)가 RX 신호를 수신한다는 것은, 입력 수단(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전자기 변화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입력 수단(미도시)으로부터 RX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서브 루프부(742)는 전자기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2 서브 루프부(742)가 수신 루프들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제2 서브 루프부(742)는 제1 서브 루프부(741)과 마찬가지로 송/수신 루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루프부(741)는 기설정된 제1 주기 동안 전류를 제어부(750)로부터 입력받아 하나의 루프에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50)는 제1 서브 루프부(741)의 하나의 루프와 연결될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제어하며, 나머지 루프들과 연결된 스위치를 오프(off)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서브 루프부(741) 중 하나의 루프는 도통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소정의 전자기장을 유도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주기는 변경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 예와 관련하여서는 제어부(750)가 직접적으로 전류를 제1 서브 루프부(741)에 제공하는 것과 같이 설명되지만, 제어부(750)는 추가적인 전력 제공 수단을 제어하여 제1 서브 루프부(741)에 전력을 제어하도록 제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1 서브 루프부(741) 전자기장을 유도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하나의 루프를 송신 신호 전송 루프(이하, TX 전송 루프)로 명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50)는 2개 이상의 전송 루프를 TX 전송 루프로 결정할 수도 있다.
루프 주변에 존재하는 입력 수단은 제1 서브 루프부(741)의 하나의 루프로부터 유도된 전자기장을 전달받았다 다시 방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입력 수단은 단순한 하나의 실시 예이며, 전자기장을 전달받았다 다시 방출할 수 있는 수단이면 제한이 없다.
한편, 제2 서브 루프부(742)의 루프들은 전자기 변화 센싱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2 서브 루프부(742)의 루프들은 입력 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입력 수단은 제1 서브 루프부로부터 전달받은 전자기를 다시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전자기는 변화를 가지며, 제2 서브 루프부(742)는 이러한 전자기 변화를 센싱한다. 제2 서브 루프부(742)는 전자기 변화를 센싱할 수 있으며, 최대 센싱 신호를 센싱한 최대 신호 루프로부터 센싱된 최대 센싱 신호 및 최대 신호 루프 인접 루프들로부터의 센싱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펜의 y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서브 루프부(742)는 최대 신호 루프의 신호 이외의 다른 루프에서 센싱된 센싱 신호를 모두 제어부(750)로 출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750)는 복수 개의 루프들로부터의 센싱 신호의 출력 결과에 기초하여 피크점을 판단할 수 있어, 더욱 정교하게 펜의 y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주기가 경과한 이후, 제2 주기 동안 제어부(750)는 제1 서브 루프부(741) 중 하나의 루프에는 전류를 인가하고, 제1 서브 루프부(741) 전부는 전자기 변화를 센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수단은 제1 서브 루프부(741) 중 하나의 루프로부터 방출된 전자기를 전달받았다가 다시 방출할 수 있다.
제1 서브 루프부(741) 각각의 루프는 입력 수단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기 변화를 센싱할 수 있으며, 최대 센싱 신호를 센싱한 최대 신호 루프 및 최대 신호 루프의 인접 루프로부터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입력 수단의 x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서브 루프부(741)는 최대 신호 루프의 신호 이외의 다른 루프에서 센싱된 센싱 신호를 모두 제어부(750)로 출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750)는 센싱 신호의 출력 결과로부터 피크점을 판단할 수 있어, 입력 수단의 x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750)는 제1 서브 루프부(741)에 입력되는 EMI 신호 및 제2 서브 루프부(742)에 입력되는 EMI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수단의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에서, 제어부(750)는 입력 수단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독립적으로 측정하는 것과 같이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제어부(750)는 입력 수단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동시에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에서, 제2 서브 루프부(742)의 루프들은 전자기 변화를 감지만 하는 것처럼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2 서브 루프부(742)는 제1 서브 루프부(741)과 마찬가지로 송/수신 루프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전자 장치(700)는 터치스크린(760)을 활성화할 수 있다(S801). 더욱 상세하게, 전자 장치(700)는 터치스크린(760)에 포함된 도전성 재질의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터치 패널(720) 및 EMI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2 터치 패널(74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700)는 도전성 재질의 제2 접촉 부재(131)가 터치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803). 전자 장치(700)는 활성화된 제1 터치 패널(720)의 일 지점에서 전하량의 변화가 생기는지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접촉 부재(131)가 터치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전성 재질의 제2 접촉 부재(131)가 터치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803-N), 전자 장치(700)는 EMI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S805). 전자 장치(700)는 제2 터치 패널(740)에 입력되는 EMI 신호를 기초로 제1 접촉 부재(121)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접촉 부재(131)가 접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803-Y), 전자 장치(700)는 EMI 신호를 무시하며(S807), 제1 터치 패널(720)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S809). 즉, 전자 장치(700)는 제2 터치 패널(7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지 않으며, 제1 터치 패널(720)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도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b의 실시 예는 도 9a 내지 9d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a 내지 9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입력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8b에서 도 8a와 동일한 단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자 장치(700)는 제2 접촉 부재가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803-N), 제1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S815). 예를 들어, 도 9a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700)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900)을 터치스크린(76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장치(100)의 제1 접촉 부재(121)를 터치스크린(900)에 접촉시키도록 조작할 수 있다. 제1 접촉 부재(121)가 터치스크린(900)에 접촉하면, 제1 터치 패널(720)은 제1 접촉 부재(121)에 의해서는 전하량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하량의 변화를 검출할 수 없다. 아울러, 제2 터치 패널(740)은 제1 접촉 부재(121)로부터 수신되는 EMI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750)는 제2 터치 패널(740)에서 검출되는 EMI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장치(1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750)는 판단된 입력 장치(100)의 위치에 기초하여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900) 상에 선(line) 객체(object)(901)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750)는 제1 접촉 부재(121)의 접촉 또는 호버링에 대응하여 선 객체를 표시하는 제1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750)는 제1 접촉 부재(121)의 접촉 또는 호버링에 대응하여, 도 9b에서와 같은 선 객체(902)를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90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8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700)는 제2 접촉 부재(131)가 터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803-Y), EMI 신호를 무시하고(S807), 제2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S819). 예를 들어, 도 9c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제2 접촉 부재(131)가 터치스크린(900)에 터치되도록 입력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선 객체(902)를 따르는 드래그(drag) 제스처(910)을 입력하도록 제2 접촉 부재(131)를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예로, 드래그(drag) 제스쳐(910)에 삭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제2 접촉 부재(131)가 접촉되면, 제1 터치 패널(720)은 제2 접촉 부재(131)가 접촉되는 지점, 즉 드래그 제스처(910)가 접촉되는 지점에서 전하량의 변화가 생기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750)는 전하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1 터치 패널(720) 상의 제2 접촉 부재(131) 접촉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2 터치 패널(740)은 입력 장치(100)로부터 EMI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750)는 검출된 EMI 신호를 처리하지 않아 무시할 수 있다.
제어부(750)는 제1 터치 패널(720) 상의 제2 접촉 부재(131)의 접촉에 대응하여 제2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d에서와 같이, 제어부(750)는 제2 접촉 부재(131)의 접촉 지점에 존재하던 선 객체를 삭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d에서와 같이, 제어부(750)는 제2 접촉 부재(131)의 접촉 지점에 존재하던 선 객체가 삭제된 선 객체(903)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d에서는 제2 접촉 부재(131)가 터치되는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경우에도 제어부(750)는 이를 검출하여 제2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700)는 제1 접촉 부재(121)가 터치 또는 호버링되는 경우 및 제2 접촉 부재(131)가 터치되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상이한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입력 장치 101: 몸체
102: EMI 회로 121: 제1 접촉 부재
131: 제2 접촉 부재 104: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3)

  1. 전자기 유도회로(electromagnetic induction circuit; 이하, 'EMI 회로'라 함)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유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EMI 회로에 연동된 제1 접촉 부재; 및
    상기 몸체에 제공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접촉 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된 도전성 재질의 제2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EMI 회로는 가변용량의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 부재가 유동함에 따라, 가변용량의 상기 용량성 소자의 캐패시턴스가 변동되는 입력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접촉 부재가 상기 몸체의 일단에 배치되는 입력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제1 접촉 부재와 나란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 제2 접촉 부재가 상기 입력 부재의 선단(distal end)을,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하는 입력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제1 접촉 부재와 나란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 제2 접촉 부재가 상기 입력 부재의 선단(distal end)을,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하되, 상기 제1 접촉 부재가 더 돌출된 입력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접촉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중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입력 장치.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부재는 점 접촉 구조의 팁 부재인 입력 장치.
  8.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부재는 선 접촉 구조 또는 면 접촉 구조의 팁 부재인 입력 장치.
  9.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부재가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되는 입력 장치.
  10. 전자기 유도회로(electromagnetic induction circuit; 이하, 'EMI 회로'라 함)에 연동된 제1 접촉 부재 및 도전성 재질의 제2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입력 위치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부재의 입력 위치를 검출하는 제1 터치 패널;
    상기 제1 접촉 부재에 의한 터치 또는 호버링(hovering)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2 터치 패널; 및
    상기 제1 접촉 부재가 검출되면 제1 이벤트를 출력하며, 상기 제2 접촉 부재가 검출되면 상기 제1 이벤트와 상이한 제2 이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접촉 부재 및 상기 제2 접촉 부재가 동시에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2 터치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1 터치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만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패널은, 상기 제2 접촉 부재의 접촉에 의한 전하 이동을 검출하는 전자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패널은, 상기 제1 접촉 부재로부터의 유도 자계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루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93228A 2013-08-06 2013-08-06 입력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31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228A KR102131776B1 (ko) 2013-08-06 2013-08-06 입력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4/146,329 US9519386B2 (en) 2013-08-06 2014-01-02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14168288.0A EP2835726B1 (en) 2013-08-06 2014-05-14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nput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228A KR102131776B1 (ko) 2013-08-06 2013-08-06 입력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224A true KR20150017224A (ko) 2015-02-16
KR102131776B1 KR102131776B1 (ko) 2020-07-08

Family

ID=5094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228A KR102131776B1 (ko) 2013-08-06 2013-08-06 입력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19386B2 (ko)
EP (1) EP2835726B1 (ko)
KR (1) KR102131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446B1 (ko) * 2014-10-07 201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회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그리고 디지털 펜
IT202000011221A1 (it) * 2020-05-15 2021-11-15 St Microelectronics Srl Sistema e metodo di rilevamento del sollevamento e dell'abbassamento di un piede di un utilizzatore con la finalita' di abilitare una funzionalita' di un dispositivo dell'utilizzatore, e dispositivo dell'utilizzato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4971B2 (ja) * 1994-05-14 2006-08-02 シナプティックス (ユーケー)リミテッド 位置エンコーダ
US20110285670A1 (en) * 2010-05-21 2011-11-24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Stylus pe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9139A (en) * 1992-10-30 1994-09-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Architecture for communication of remote devices to a digitizing display
JP3510318B2 (ja) 1994-04-28 2004-03-29 株式会社ワコム 角度情報入力装置
US5748110A (en) 1995-04-13 1998-05-05 Wacom Co., Ltd. Angular input information system relative to a tablet for determining an incline angle of a pointer or stylus
DE69605038T2 (de) * 1995-05-19 2000-02-24 Seagate Technology Elektrisches erdungssystem für instrumente zum zusammenbau von plattenlaufwerken
EP0899538B1 (en) * 1997-08-27 2003-05-14 IMEC vzw A probe tip configuration, a method of fabricating probe tips and use thereof
ATE250784T1 (de) 1998-11-27 2003-10-15 Synaptics Uk Ltd Positionssensor
US6957768B1 (en) 1999-05-25 2005-10-25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Computer system control via interface surface
US6417846B1 (en) 2000-02-02 2002-07-09 Lee Si-Ken Multifunction input device
JP5427070B2 (ja) 2010-03-05 2014-02-26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CN103576907A (zh) * 2012-07-30 2014-02-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两用手写笔
KR101995403B1 (ko) * 2012-09-14 2019-07-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이를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40247238A1 (en) * 2013-03-01 2014-09-04 Barnesandnoble.Com Llc System and method for dual mode stylus dete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4971B2 (ja) * 1994-05-14 2006-08-02 シナプティックス (ユーケー)リミテッド 位置エンコーダ
US20110285670A1 (en) * 2010-05-21 2011-11-24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Stylus 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5726A1 (en) 2015-02-11
US20150042602A1 (en) 2015-02-12
KR102131776B1 (ko) 2020-07-08
EP2835726B1 (en) 2017-11-22
US9519386B2 (en)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2133B2 (ja) 身体又は物体の動きを感受する制御インタフェース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並びに、前記デバイスを組み込む制御機器
CN106462263B (zh) 位置指示器、位置检测装置以及位置检测装置的输入控制方法
KR101523596B1 (ko) 터치 및 호버 감지
US9411472B2 (en) Touch sensor with adaptive touch detection thresholding
US7843438B2 (en) Notebook-sized computer and input system of notebook-sized computer
JP6862072B2 (ja) 指示体検出装置及びその信号処理方法
JP6085630B2 (ja) タッチペンシステム及びタッチペン
EP3299938A1 (en) Touch-sensitive button with two levels
US20090289902A1 (en)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subregion based swipethrough data entry
US201402671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KR101749956B1 (ko) 전극 배열이 집적된 컴퓨터 키보드
TW201823935A (zh) 手寫資訊處理裝置、手寫資訊處理方法及手寫資訊處理程式
CN107148608A (zh) 用于采用中间屏蔽电极层的力和接近性感测的设备和方法
TW201510804A (zh) 觸控面板控制方法
US201402472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ual mode stylus detection
JP5732172B2 (ja)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及び電子情報機器
JP7112961B2 (ja) タッチ力推定のためのトランス容量データと絶対容量データとの組み合わせ
KR102131776B1 (ko) 입력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38758A (ko)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KR20150060476A (ko) 터치스크린 상의 명령입력영역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113669A (ko) 좌표입력장치
KR20150135848A (ko) 이레이저 기능을 갖는 전자펜
KR20150065420A (ko) 접촉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스타일러스 펜 및 그의 접촉면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112790A (ko) 위치 검출 장치 및 위치 검출 방법
KR20110079392A (ko) 터치스크린용 연필형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