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788A - 단말기에 부착된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에 부착된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788A
KR20150016788A KR1020130092666A KR20130092666A KR20150016788A KR 20150016788 A KR20150016788 A KR 20150016788A KR 1020130092666 A KR1020130092666 A KR 1020130092666A KR 20130092666 A KR20130092666 A KR 20130092666A KR 20150016788 A KR20150016788 A KR 20150016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terminal cover
cover
termin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김슬아
이승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2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6788A/ko
Priority to US14/341,176 priority patent/US20150035771A1/en
Publication of KR20150016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단말기 커버의 개폐를 확인하는 방법은 단말기 화면에 접촉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접촉된 영역이 상기 단말기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기 커버가 상기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기에 부착된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erceiving open/close status of cover of terminal}
단말기에 부착된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다.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표면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 필름 또는 단말기 커버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단말기 커버는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이나 가죽 등 단말기 표면을 보호하기에 적합한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단말기 커버는 소정 두께 이상을 갖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으로부터 단말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다만, 단말기에 단말기 커버를 결합시킬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에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경우, 단말기 커버를 열고 단말기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야만 확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말기가 단말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단말기에 부착된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말기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하는 방법은 단말기 화면에 접촉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접촉된 영역이 상기 단말기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기 커버가 상기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상기된 단말기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기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하는 장치는 단말기 화면에 접촉된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접촉된 영역이 상기 단말기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커버가 상기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단말기에 결합된 단말기 커버의 개폐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홀 센서(hall sensor) 없이 단말기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에 홀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증가하는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홀 센서를 구비하지 않은 다양한 단말기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인지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들이 배치된 단말기 커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가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인지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인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인지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출력된 영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커버의 개폐를 확인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인지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폐 인지 장치(100)는 감지부(110), 판단부(120) 및 결정부(1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개폐 인지 장치(1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개폐 인지 장치(100)의 감지부(110), 판단부(120) 및 결정부(130)들은 각각 독립적인 장치로 존재할 수도 있음을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개폐 인지 장치(100)의 감지부(110), 판단부(120) 및 결정부(130)들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단말기 화면에 접촉된 신호를 감지한다. 여기에서, 단말기 화면에 접촉된 신호는 단말기 커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들이 단말기 화면에 접촉된 신호를 의미하는 외부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전화기가 해당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하고 이동이 자유로운 디바이스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객체는 캐패시턴스(capacitance)를 갖는 전도성 물질로서, 단말기 커버의 안쪽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다. 단말기 커버에 배치된 객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들이 배치된 단말기 커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화면에 결착될 단말기 커버의 일 면(210) 및 단말기의 후면에 결착될 단말기 커버의 다른 일 면(220)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단말기 커버의 일 면(2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230)들이 배치되어 있다.
도 2에는 객체(230)들이 단말기 커버 내의 소정의 5개 지점들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객체(230)들의 개수는 단말기가 단말기 화면에 입력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지점들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동시에 5개의 지점들을 인식할 수 있는 5 포인트 멀티 터치 센싱(5 point multi-touch sensing)이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객체(230)들은 단말기 커버 내에 총 5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가 동시에 서로 다른 2개의 지점들을 인식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객체(230)들은 단말기 커버 내에 총 2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객체(230)는 캐피시턴스를 갖는 전도성 물질을 의미한다. 또한, 객체(230)는 단말기 화면에 접촉될 수 있는 부분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정전식 터치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의 화면에 객체(230)가 접촉됨으로써, 감지부(110)가 접촉 신호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판단부(120)는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접촉된 영역이 단말기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20)는 감지부(110)가 감지한 신호에 기초하여 객체들 각각이 단말기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120)가 동작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가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단말기(360)와 결합된 단말기 커버(35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기 커버(350)의 안쪽 면에는 서로 다른 위치들 각각에 객체(310)들이 배치되어 있다.
판단부(120)는 단말기 커버(350)에 배치된 객체(310)들 각각이 단말기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320)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소정의 영역(320)은 단말기 커버(350)와 단말기(360)의 중간을 기준으로 하여 객체(310)들과 대칭되는 영역(320)들을 의미한다. 소정의 영역(3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의 (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단말기 커버(350)가 단말기(360)에 결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기 커버(350)가 단말기(360)에 결착된 경우, 단말기 커버(350)의 안쪽 면에 배치된 객체(330)들은 단말기(360)의 화면에 접촉된다.
이때, 판단부(120)는 단말기(360)의 화면상에서 객체(330)들이 접촉된 영역들을 파악한다. 다시 말해, 판단부(120)는 감지부(110)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객체(330)들이 접촉된 단말기(360)의 화면상의 영역들을 파악한다. 그리고, 판단부(120)는 객체(330)들이 접촉된 영역들이 소정의 영역(340)들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소정의 영역(340)들은 단말기 커버(350)가 단말기(360)에 결착된 상태에서의 객체(330)들 각각이 접촉된 단말기(360)의 화면상의 영역들로 설정된다. 여기에서, 소정의 영역(340)들이 설정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시 도 3의 (a)를 참조하면, 객체(310)들이 단말기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320)에 접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결정부(13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결정부(130)는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기 커버에 포함된 객체들 각각이 단말기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에 접촉되었다면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다고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지 않았다고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 인지 장치(100)는 정전식 터치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의 화면에 객체가 접촉된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기 커버의 결착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단말기 커버의 결착 여부를 명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인지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폐 인지 장치(100)는 감지부(110), 판단부(120) 및 결정부(130) 뿐만 아니라 근접 센싱부(140) 및 설정부(150)를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개폐 인지 장치(1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개폐 인지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은 각각 독립적인 장치로 존재할 수도 있음을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개폐 인지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감지부(110), 판단부(120) 및 결정부(130)의 구체적인 동작 내용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제 2 외부 신호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의미한다.
근접 센싱부(140)는 단말기에 포함된 근접 센서에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근접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근접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 1 외부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근접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기에는 일반적으로 근접 센서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 근접 센서는 단말기에 사용자를 포함한 외부 물체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따라서, 근접 센서는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에 근접하였는지(즉,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 인지 장치(100)는 단말기 커버에 포함된 객체들이 단말기 화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 뿐만 아니라, 근접 센서가 단말기 커버의 근접 여부를 센싱하였는지 여부를 함께 이용함으로써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개폐 인지 장치(100)가 근접 센서를 더 이용하여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인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지 않은 경우(즉, 열림)를 가정(510 단계)하여 설명한다.
520 단계에서, 근접 센싱부(140)는 단말기에 포함된 센서들에 입력된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된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53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510 단계로 진행한다.
530 단계에서, 근접 센싱부(140)는 입력된 신호가 근접 센서에서 발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근접 센싱부(140)는 단말기 화면에 근접한 외부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외부 물체는 단말기 커버를 포함한다. 근접 센서에서 발생된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54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510 단계로 진행한다.
540 단계에서, 감지부(110)는 근접 센싱부(14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신호를 감지한다. 다시 말해, 근접 센싱부(140)에서 외부 물체가 단말기 화면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한 후에, 감지부(110)는 단말기 화면에 접촉된 신호를 감지한다. 감지부(11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550 단계에서, 판단부(120)는 감지부(110)가 감지한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기 화면에 접촉된 영역이 단말기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판단부(120)는 단말기 커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들이 단말기 화면에 접촉된 영역이 단말기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12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객체들이 단말기 화면에 접촉된 영역이 단말기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과 대응되는 경우에는 56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510 단계로 진행한다.
560 단계에서, 결정부(130)는 판단부(120)에서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즉, 닫힘)되었다고 결정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개폐 인지 장치(100)는 단말기 커버 안에 배치된 객체들 뿐만 아니라 단말기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추가로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단말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설정부(150)는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됨에 따라 획득된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영역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설정부(150)는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됨을 나타내는 제 3 외부 신호를 이용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소정의 영역(320)들을 설정한다.
하나의 단말기에 결합될 수 있는 단말기 커버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기 커버마다 단말기 커버 내에 부착된 객체들의 개수 및 영역들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단말기와 결합된 단말기 커버에 부착된 객체들의 개수 및 영역에 대응하여 단말기 화면상의 센싱 영역들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설정부(150)는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됨에 따라 획득된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기 화면상의 센싱 영역들을 교정(calibration)한다. 구체적으로, 설정부(150)는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을 때 객체들이 단말기 화면에 밀착된 영역들을 파악한다. 그리고, 설정부(150)는 파악된 영역들을 센싱 영역들(즉, 도 3의 소정의 영역(320)들)로 설정한다.
여기에서, 설정부(15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와 결합된 최초 시점에 동작함으로써 소정의 영역들을 설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 설정된 소정의 영역들을 갱신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인지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개폐 인지 장치(100)는 감지부(110), 판단부(120), 결정부(130), 근접 센싱부(140) 및 설정부(150) 뿐만 아니라 획득부(160), 실행부(170) 및 출력부(180)를 더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개폐 인지 장치(1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개폐 인지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은 각각 독립적인 장치로 존재할 수도 있음을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개폐 인지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감지부(110), 판단부(120), 결정부(130), 근접 센싱부(140) 및 설정부(150)의 구체적인 동작 내용은 도 1 또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출력부(180)는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소정의 영상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출력부(180)는 결정부(130)로부터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소정의 영상을 출력한다. 여기에서, 소정의 영상은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영상을 포함한다. 출력부(180)의 구체적인 동작 내용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출력된 영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 (b) 및 (c)를 참조하면,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소정의 영상이 출력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얇은 반사형 디스플레이를 탑재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의 상태를 항상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전기 영동 패널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panel display, EPD)를 탑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단말기 커버가 닫혔을 때와 열렸을 때의 상황에 따른 구분 동작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단말기 커버가 열리게 되면, 커버의 표면에 영상을 출력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단말기 커버를 젖힘으로써 열게 되면, 커버 표면에 탑재된 디스플레이가 위치하는 곳이 단말기 화면의 뒷면이 되므로, 디스플레이는 단말기 화면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단말기 커버 표면에 영상을 출력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단말기 커버를 닫음으로써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된 경우에만 커버의 표면에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출력부(180)는 결정부(130)로부터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소정의 영상을 출력한다.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된 상태에서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출력되는 영상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들로 구성된 영상이 될 수도 있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들로 구성된 영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커버의 색과 영상의 배경 색이 동일할 수도 있다.
이때,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출력되는 영상은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에 현재 날씨를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는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현재 날씨를 나타내는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획득부(160)는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입력된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실행부(170)는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획득부(160)는 결정부(130)로부터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의미하는 제 4 외부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실행부(170)는 획득부(160)가 수신한 제 4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소정의 명령을 입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단말기와 소정의 인터액션(intera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커버에 포함된 객체들 중 일부는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이용되고, 나머지는 제 4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획득부(160)는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입력된 제 4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제 4 신호는 단말기가 수행할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스쳐 신호가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출력된 영상을 다른 영상으로 교체하기 위한 드래그 앤드 드랍 신호 또는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출력된 영상 중에 일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신호가 해당될 수 있다.
실행부(170)는 획득부(160)가 수신한 제 4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실행부(170)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업데이트 할 수도 있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출력부(180)는 실행부(17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제 4 신호에 대응한 실행 영상을 출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커버의 개폐를 확인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기 커버의 개폐를 확인하는 방법은 도 1,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개폐 인지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개폐 인지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8의 단말기 커버의 개폐를 확인하는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810 단계에서, 감지부(110)는 단말기 화면에 접촉된 신호를 감지한다. 여기에서, 접촉된 신호는 단말기 커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들이 단말기 화면에 접촉된 산호를 포함한다.
820 단계에서, 판단부(120)는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접촉된 영역이 단말기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830 단계에서, 결정부(13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기 커버가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단말기에 결합된 단말기 커버의 개폐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홀 센서(hall sensor) 없이 단말기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에 홀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증가하는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홀 센서를 구비하지 않은 다양한 단말기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PC 인터페이스(PC Interface)(예를 들면, PCI, PCI-express, Wifi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개폐 인지 장치
110: 감지부
120: 판단부
130: 결정부

Claims (19)

  1. 단말기 화면에 접촉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접촉된 영역이 상기 단말기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기 커버가 상기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된 신호는 상기 단말기 커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들이 상기 단말기 화면에 접촉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들 각각이 상기 단말기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포함된 근접 센서에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커버가 상기 단말기 화면에 근접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소정의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상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영상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커버가 상기 단말기 화면에 결착됨에 따라 획득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들은 상기 단말기 커버 내의 소정의 5개 지점들에 각각 위치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1. 단말기 화면에 접촉된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접촉된 영역이 상기 단말기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커버가 상기 단말기 화면에 결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된 신호는 상기 단말기 커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들이 상기 단말기 화면에 접촉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객체들 각각이 상기 단말기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포함된 근접 센서에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커버가 상기 단말기 화면에 근접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근접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감지하는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소정의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상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영상을 포함하는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커버의 표면에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획득부; 및
    상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커버가 상기 단말기 화면에 결착됨에 따라 획득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들은 상기 단말기 커버 내의 소정의 5개 지점에 각각 위치하는 장치.
KR1020130092666A 2013-08-05 2013-08-05 단말기에 부착된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16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66A KR20150016788A (ko) 2013-08-05 2013-08-05 단말기에 부착된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하는 방법 및 장치.
US14/341,176 US20150035771A1 (en) 2013-08-05 2014-07-25 Method and apparatus for perceiving open/closed status of cover of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66A KR20150016788A (ko) 2013-08-05 2013-08-05 단말기에 부착된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788A true KR20150016788A (ko) 2015-02-13

Family

ID=5242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666A KR20150016788A (ko) 2013-08-05 2013-08-05 단말기에 부착된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35771A1 (ko)
KR (1) KR201500167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642A (ko) * 2016-12-15 2018-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의 개폐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US10379625B2 (en) 2017-02-07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792B1 (ko) * 2013-02-28 202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케이스를 감지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43806A (ko) * 2013-10-15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TWI720984B (zh) 2015-05-20 2021-03-11 美商帝聖工業公司 用於防止上皮細胞增生及上皮-間質轉移之組合物及方法
KR102498502B1 (ko) * 2016-04-20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와 상기 커버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976799B2 (en) * 2018-12-14 2021-04-13 Motorola Mobility Llc Extending electronic device sensors through device moun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5793B2 (en) * 2011-01-31 2016-05-10 Apple Inc. Cover attachment with flexible display
US9729685B2 (en) * 2011-09-28 2017-08-08 Apple Inc. Cover for a tablet device
US8866769B2 (en) * 2012-03-13 2014-10-21 Blackberry Limited Device cover with drawing pad input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642A (ko) * 2016-12-15 2018-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의 개폐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US10547716B2 (en) 2016-12-15 2020-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opening and closing of cover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0379625B2 (en) 2017-02-07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35771A1 (en)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745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responding to finger and hand operation inputs
KR20150016788A (ko) 단말기에 부착된 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13899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커버와 전자 디바이스에서 기능 실행 방법
US10997477B2 (en) Foreign matter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US8413075B2 (en) Gesture movies
EP3000016B1 (en) User input using hovering input
CN105320366A (zh) 识别拍摄图像中的特定物体的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7533602A (ja) 電子デバイスのカメラ間の切り替え
US2011032094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witching working modes
KR20150080842A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70168857A1 (en) Information prompting method, devices,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20140106775A (ko) 터치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5549811A (zh) 基于保护套窗口的终端界面展示方法及装置
US20150242094A1 (en)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KR102344353B1 (ko) 불투명 커버를 통해 작동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
US10599261B2 (en) User interface selection through intercept points
US10394442B2 (en) Adjustment of user interface elements based on user accuracy and content consumption
US20200026412A1 (en) Screen fingerprint enablement system of electronic device
US9961293B2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face using mobi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CN110308821B (zh) 触控响应方法及电子设备
JP5949010B2 (ja) 入力制御装置、入力制御プログラム、及び入力制御方法
KR101381568B1 (ko) 자기력을 이용한 사물 센싱 방법 및 장치
KR20140112810A (ko) 터치스크린에서 드로잉 포인트에 대한 별도의 객체 디스플레이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20100134430A1 (en) Touch responsive electronic device
JP2023532794A (ja) ユーザ機器からの視覚フィードバ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