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353B1 - 불투명 커버를 통해 작동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불투명 커버를 통해 작동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353B1
KR102344353B1 KR1020177012096A KR20177012096A KR102344353B1 KR 102344353 B1 KR102344353 B1 KR 102344353B1 KR 1020177012096 A KR1020177012096 A KR 1020177012096A KR 20177012096 A KR20177012096 A KR 20177012096A KR 102344353 B1 KR102344353 B1 KR 102344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ouch sensing
conductive opaque
cover element
opaqu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626A (ko
Inventor
토니 헴민키
티무 뢰뫼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65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3Accessories for touch pads or touch screens, e.g. mechanical guides added to touch screens for drawing straight lines, hard keys overlaying touch screens or touch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2Interfacing with an external cove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by connection of exchangeable hous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4Integrated protective display lid, e.g. for touch-sensitive display i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센싱 엘리먼트 및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커버 동작 모드를 갖는다. 프로세싱 유닛은 디바이스에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가 적용될 때 디바이스의 커버 동작 모드 중 하나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커버 동작 모드가 활성화될 때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통하여 터치 센싱 엘리먼트를 통해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 및 커버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터치 센싱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불투명 커버를 통해 작동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DEVICE OPERATED THROUGH OPAQUE COVER AND SYSTEM}
스마트 폰 및 태블릿과 같은 터치 센서를 가진 디바이스를 위한 기존 커버는 광범위하게 이용 가능하다. 커버 또는 케이스는 통상적으로 착탈식이며, 디바이스는 커버가 적용될(닫힐) 때 "잠금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커버는 디바이스의 터치 센서를 덮지 않고, 일부는 광에 대해 투명하다. 소위 스마트 커버는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 디바이스와의 제한된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커버는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자체의 프로세서를 가질 수 있다.
후술되는 실시형태는 공지된 디바이스 및 커버의 단점을 전부 또는 일부 해결하는 구현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은, 독자에게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이 요약은 본 개시의 광범위한 개관이 아니고, 본 명세서의 주요/결정적 엘리먼트를 확인하거나 범위를 기술하지 않는다. 나중에 제시되는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두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여기에 개시된 개념의 선택을 제공하는 것이 이 요약의 유일한 목적이다.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다. 디바이스는 터치 센싱 엘리먼트 및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커버 엘리먼트가 적용될 때 하나 이상의 커버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커버 동작 모드에 있을 때, 디바이스는 커버 엘리먼트를 통하여 터치 센싱 엘리먼트를 통해 동작될 수 있다. 시스템은 터치 센싱 엘리먼트 및 착탈식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가진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시스템에서, 커버 엘리먼트가 디바이스에 적용될 때, 커버 엘리먼트는 터치 센싱 엘리먼트의 적어도 부분을 커버하고, 디바이스는 커버 엘리먼트를 통하여 터치 센싱 엘리먼트를 통해 동작될 수 있다.
첨부된 피처(feature)들 중 다수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 잘 이해되므로, 더 용이하게 인식될 것이다.
본 개시는 첨부된 도면에 비추어 읽힌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커버 엘리먼트가 적용된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1b는 적용된 커버 엘리먼트를 통해 동작되는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디바이스 및 커버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b는 커버 엘리먼트가 디바이스의 터치 센싱 엘리먼트의 부분을 커버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c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이 커버 엘리먼트 상에 시각화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첨부 도면에서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기 위해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에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의도된 것이고 본 실시예가 구성되거나 이용될 수 있는 유일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동일하거나 동등한 기능 및 시퀀스는 상이한 실시예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핸드헬드 디바이스로 구현되는 것으로 여기에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설명된 디바이스는 한정이 아닌 예시로서 제공된다. 당업자가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는 터치 센싱 엘리먼트 예컨대 랩탑, 스마트워치 퍼스널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 기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의 적용에 적합하다.
도 1a는 적용된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12)를 가진 디바이스(11)를 나타낸다. 이 도면은 측면으로부터 보이는 디바이스(11)의 단면이다. "불투명"은 적어도 상당한 양의 광이 차단되어 사용자가 커버를 통해 보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바이스(11)는 터치 센싱 엘리먼트(13) 및 프로세싱 유닛(14)을 포함한다. 터치 센싱 엘리먼트(13)는 예컨대 용량성 터치 센서, 액티브 스타일러스 센서 또는 전자기 공명 센서가 될 수 있다.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도면에서 별도로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해 터치 센싱 엘리먼트(13)의 부분이 되거나 터치 센싱 엘리먼트(13)에 정렬될 수 있다. 디바이스(11)는 하나 이상의 커버 동작 모드를 갖고, 프로세싱 유닛(14)은 커버 엘리먼트(12)가 적용될 때 이들 커버 동작 모드 중 하나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유닛(14)은 커버 엘리먼트(12)가 적용되는 것을 식별시에 커버 동작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할 수 있다: 커버 엘리먼트(12)가 적용될 때 활성화되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스위치; 자석 및/또는 홀 센서(Hall sensor)와 같은 센싱 엘리먼트; 카메라, 주변 광 센서, 근접 센서 또는 전용 광학 센서와 같은 광 센서로 픽업된 비주얼 큐(visual cue); 광학 근접 센서에 의해 측정된 커버 엘리먼트(12)의 근접; 터치 센싱 엘리먼트(13)에 의해 검출된 커버 엘리먼트(12) 상의 도전 패턴(conductive pattern). 실시형태들은 리스팅된 식별 타입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바이스의 커버 동작 모드가 활성화될 때, 디바이스(11)는 커버 엘리먼트(12)를 통하여 터치 센싱 엘리먼트(13)를 통해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도 1a 상의 화살표는 커버 엘리먼트(12)를 통해 입력이 수신될 수 있는 영역의 예를 나타낸다.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다른 도면뿐만 아니라) 도 1a의 엘리먼트의 표시는 단지 개략적인 것이고, 엘리먼트들 중 어느 것도 도면에 도시된 형상 및 사이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프로세싱 유닛(14)은 임의의 사이즈가 될 수 있고 디바이스(11) 내에 또는 위에 임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터치 센싱 엘리먼트(13)는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디바이스(11)의 다른 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11)는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12)의 타입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유닛(14)은 식별된 타입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1)의 커버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디바이스(11)에 커버 엘리먼트(12)가 적용될 때 선택된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11)는 커버 엘리먼트(12)의 상이한 타입을 위한 임의의 수의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싱 유닛(14)은 커버 엘리먼트 타입을 인식하기 위해 이 식별자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커버 모드를 수동으로 선택할 필요를 경감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11)는 커버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싱 유닛(14)은 커버 엘리먼트(12)가 디바이스(11)에 적용될 때 디바이스의 선택된 커버 동작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커버 엘리먼트(12)의 타입에 무관하게 선호하는 커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11)는 커버 동작 모드를 커스터마이즈하기(customizing)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언하면, 사용자는 예컨대 커스터마이제이션 툴 또는 프리셋과 같은 미리 결정된 파라미터를 사용하거나 수동으로 커버 동작 모드를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이것은 커버 동작 모드에서 디바이스(11)와의 상호작용에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b는 적용된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12)를 가진 디바이스(11)를 나타낸다. 도 1a와 마찬가지로, 디바이스(11)는 커버 엘리먼트(12)를 통하여 터치 센싱 엘리먼트(13)를 통해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터치 센싱 엘리먼트(13)는 터치(16), 제스처, 및/또는 호버(hover)(17)의 형태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b에 손가락이 도시되었지만, 임의의 대체 입력 오브젝트, 예컨대, 스타일러스 또는 펜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터치(16)는, 직접 물리적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16)를 검출하기 위해 터치 센싱 엘리먼트(13)에 대하여 충분이 오브젝트에 근접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호버(17)는 예컨대 디바이스(11)에 근접한 용량성 센싱을 의미하고, 터치 센싱 엘리먼트(13)는 디바이스(11)에 근접한 3차원 모두에서의 입력 오브젝트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버(17)는 터치 센싱 엘리먼트(13)의 자기-용량 측정(self-capacitance measurement)에 기초할 수 있다. 제스처는 핀치(pinch), 스와이프(swipe), 스윕 또는 팜 커버링(sweep or palm covering)이 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1)는 차례로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예컨대 호출을 수신하거나 거절하는 기능,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바이스로 하여금 터치, 제스처, 및/또는 호버의 형태로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11)는 커버 엘리먼트(12)를 제거하지 않고 조작성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디바이스(11)를 손상으로부터 예컨대 물로부터 보호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11)는 예컨대 우중에(in rain) 영구적인 손상의 위험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1)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면, 상기 실시형태는 불투명 비도전성 커버(12)를 통한 조작성과 결합된 커버 동작 모드에서 디바이스(11)에 의해 감소된 전력 소모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디바이스(11)가 커버 동작 모드에 있을 때, 터치 센싱 엘리먼트(13)가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가 턴 오프되거나 절전 모드에 있기 때문이다.
도 2a 및 도 2b에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시스템은 예컨대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시스템은 디바이스(21) 및 착탈식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22)를 포함한다. 디바이스(21)는 터치 센싱 엘리먼트(23)를 포함한다. 디바이스(21)는 또한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해 터치 센서(23)와 정렬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21)는 도 1a 및 도 1b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디바이스(11)와 유사할 수 있다. 커버 엘리먼트(22)는 서로 분리될 가능성을 예시하기 위해 도 2a에서 디바이스(21)로부터 제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디바이스(21)에 적용될 때, 커버 엘리먼트(22)는 디바이스(21)의 터치 센싱 엘리먼트(23)의 적어도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커버 엘리먼트(22)는 다양한 수단 예컨대, 자석을 사용하여, 커버 엘리먼트(22)를 디바이스(21) 상에 타이트하게 고정함으로써, 또는 하나 이상의 힌지(hinge)에 의해 (이것에 한정되지 않음) 적용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시스템은 커버 엘리먼트(22)가 터치 센싱 엘리먼트(23)의 부분만을 커버하는 실시예이다. 대안으로서, 커버 엘리먼트(22)는 터치 센싱 엘리먼트(23)의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디바이스(21)는 커버 엘리먼트(22)가 터치 센싱 엘리먼트(23)의 적어도 부분에 적용될 때 활성화되는 커버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21)는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22)를 통하여 터치 센싱 엘리먼트(23)를 통해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터치 센싱 엘리먼트(23)에 의해 검출된 입력은 터치, 제스처, 및/또는 호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21)는, 상기 커버 엘리먼트(22)가 디바이스(21)에 적용될 때, 착탈식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22)를 통하여 디바이스(21)를 동작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커버 엘리먼트(22)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바이스의 측면(side)들 및/또는 배면 부분(back part)을 커버할 수 있다. 터치 센싱 엘리먼트(23)는 또한 디바이스의 측면들 및/또는 배면 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터치 센싱 엘리먼트(23)는 예시만을 위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대략적인 영역을 커버하고 실시형태는 이 레이아웃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상이한 타입의 착탈식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22)가 사용될 수 있다. 커버 엘리먼트(22)는 저렴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기존의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불투명 및 비도전성 커버 엘리먼트(22)는 디바이스(21)에 대한 전기 접속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커버 엘리먼트(23)에서의 배선 및 접속점의 불필요함은 시스템의 신뢰성과 커버 엘리먼트(23)의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c는 디바이스(2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24)이 착탈식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22) 상에 시각화되는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기능(24)은 "재생", "트랙 변경", 및 "볼륨(volume)"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기능은 예시를 위해서만 제시되는 것이고, 대체 또는 추가 기능이 커버 엘리먼트(22) 상에 시각화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디바이스(2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기능(24)의 시각화는 스티커(sticker) 및 표면 텍스처링(surface textureing)(예컨대, 촉각 & 시각적 피드백)을 프린팅, 드로잉(drawing), 스티칭(stitching), 인그레이빙(engraving), 엠보싱(embossing), 스탬핑(stamping), 어플라잉(applying)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소정의 비도전성 물질은 사용자에게 상이하게 보이거나 느껴지는 물질을 도입하기 위해 커버 엘리먼트(22) 상에 국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능의 시각화는 커버 엘리먼트(22)의 가시적 부분(visible part)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21) 및 커버 엘리먼트(22)는 접속 인터페이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는 무선 또는 전기 접속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커버 엘리먼트(22)가 디바이스(21)에 적용될 때, 이들은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착탈식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22)는 디스플레이 엘리먼트 및 예컨대 자체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는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서, 커버 엘리먼트(22)는 또한 자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커버 엘리먼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바이스에 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21) 및 커버 엘리먼트(2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동기화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터치 센싱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다. 디바이스는 예컨대 도 1a 및 도 1b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될 수 있다. 방법은 디바이스의 터치 센싱 엘리먼트의 적어도 부분에 적용되는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식별하는 단계(31)로 시작한다. 커버 엘리먼트가 식별될 때, 디바이스의 커버 동작 모드는 32에서 활성화된다. 이 후에,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터치 센싱 엘리먼트의 적어도 부분에 적용되는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준비된다. 사용자 입력은 터치, 제스처, 및/또는 호버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33에서 수신될 때, 디바이스의 커버 동작 모드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3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수행된다.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은, 이 방법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때, 디스플레이는 스위치 오프되거나 절전 모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절전의 기술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방법은 또한,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인가되는 힘이 필요하지 않고, 상이한 제스처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를 위해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만든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터치 센싱 엘리먼트 및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커버 동작 모드를 갖는다. 프로세싱 유닛은 디바이스의 터치 센싱 엘리먼트의 적어도 부분에 적용되는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식별하고 디바이스의 커버 동작 모드 중 하나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커버 동작 모드가 활성화될 때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통하여 터치 센싱 엘리먼트를 통해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는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해 터치 센싱 엘리먼트와 정렬된다.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디바이스는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의 타입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유닛은 식별된 타입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커버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디바이스에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가 적용될 때 디바이스의 선택된 커버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커버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유닛은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가 디바이스에 적용될 때 디바이스의 선택된 커버 동작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커버 동작 모드를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디바이스의 터치 센싱 엘리먼트는 터치, 제스처, 및/또는 호버의 형태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의 실시형태는 디바이스의 커버 동작 모드로 활성화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디바이스로 하여금 터치, 제스처, 및/또는 호버의 형태로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포함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스템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터치 센싱 엘리먼트 및 디바이스에 적용되도록 구성되는 착탈식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엘리먼트가 디바이스에 적용될 때,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는 터치 센싱 엘리먼트의 적어도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되고, 디바이스는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통하여 터치 센싱 엘리먼트를 통해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 터치 센싱 엘리먼트는 터치, 제스처, 및/또는 호버의 형태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임의의 상기 실시형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시스템의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임의의 상기 실시형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시스템의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상기 커버 엘리먼트가 디바이스에 적용될 때, 착탈식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통하여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임의의 상기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의 실시형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커버 엘리먼트의 표면 상에서 시각화된다.
임의의 상기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의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 및 착탈식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는 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커버 엘리먼트가 디바이스에 적용될 때, 커버 엘리먼트는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에 접속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디바이스의 터치 센싱 엘리먼트의 적어도 부분에 적용되는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식별하는 단계; 커버 엘리먼트의 식별시 디바이스의 커버 동작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디바이스의 터치 센싱 엘리먼트의 적어도 부분에 적용되는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디바이스의 커버 동작 모드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터치, 제스처, 및/또는 호버의 형태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 및/또는 디바이스의 커버 동작 모드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여기에 개시된 기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한정이 아닌 예시로서, 사용될 수 있는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의 예시적 타입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Program-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SP(Program-specific Standard Product), SOC(System-on-a-chip system),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디바이스 기능 또는 방법 시퀀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은 컴퓨팅 기반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예컨대, 메모리 및 통신 매체와 같은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 등의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착탈식 및 비착탈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RAM, 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k) 또는 다른 옵티컬 스토리지(optical storage),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 마그네틱 디스크 스토리지(magnetic disk storage) 또는 다른 마그네틱 스토리지 디바이스, 또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전송 매체를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 또는 다른 전송 기술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 내의 다른 데이터, 프로그램 모듈, 데이터 구조,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컴퓨터 저장 매체는 통신 매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컴퓨터 저장 매체는 그 자체로 전파 신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전파된 신호는 컴퓨터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지만, 전파된 신호 자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의 예가 아니다. 컴퓨터 저장 매체가 컴퓨팅 기반 디바이스 내에 도시되었지만, 스토리지는 원격으로 분산되거나 위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음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컴퓨팅 기반 디바이스는 컴퓨팅 기반 디바이스와 별개이거나 통합적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arranged) 입력/출력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정보는 예를 들어, 센서 입력을 사용하거나 다른 디스플레이 목적을 위해 장치에 의해 추적된 손 제스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출력 제어기는 또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카메라, 마이크 또는 다른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음성 입력, 사용자 제스처 또는 다른 사용자 동작을 검출할 수 있고 NUI(natural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의 뼈 길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등에 의해 특정 사용자를 위한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또한 터치 감응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경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다. 입력/출력 제어기는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다른 예컨대 국부적으로 접속된 프린팅 디바이스와 같은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용어 '컴퓨터' 또는 '컴퓨팅 기반 디바이스'는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프로세싱 능력을 가진 임의의 디바이스를 의미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된다. 당업자는 이러한 프로세싱 능력이 다수의 상이한 디바이스로 통합되므로, 각각 '컴퓨터' 및 '컴퓨팅 기반 장치'라는 용어는 PC, 서버, 이동 전화(스마트 폰 포함), 태블릿 컴퓨터, 셋탑 박스, 미디어 플레이어, 게임 콘솔, 개인용 정보 단말기 및 다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설명된 방법들은 유형의 저장 매체 상의 기계 판독 가능 형태로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의 모든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구현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유형의 저장 매체의 예는 디스크, 썸 드라이브(thumb drive),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 -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전파된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다. 전파된 신호는 유형의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지만, 전파된 신호 자체는 유형의 저장 매체의 예가 아니다. 소프트웨어는, 방법 단계가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병렬 프로세서 또는 직렬 프로세서에서 실행하기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이는 소프트웨어가 가치 있고 별도로 거래 가능한 상품이 될 수 있음을 인정한다.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벙어리 (dumb)"또는 표준 하드웨어에서 실행되거나 제어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이 의도된다. 또한,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실리콘 칩을 설계하거나 유니버설 프로그래머블 칩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HDL(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소프트웨어와 같은 하드웨어의 구성을 "설명"하거나 정의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이 의도된다.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되는 스토리지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예컨대, 원격 컴퓨터는 개시된 프로세스의 실시예를 소프트웨어로서 저장할 수 있다. 로컬 또는 터미널 컴퓨터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원격 컴퓨터에 액세스하고 소프트웨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로컬 컴퓨터는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피스(piece)를 다운로드하거나, 로컬 터미널 및 일부의 원격 컴퓨터(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당업자는 또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종래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소프트웨어 명령어의 전부 또는 일부가 DSP,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 등의 전용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여기에 주어진 임의의 범위 또는 디바이스 값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요구되는 효과를 잃지 않고 연장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구조적 피처(feature) 또는 방법론적 동작에 대하여 특정한 랭귀지로 주제(subject matter)를 설명했지만, 특허청구범위에서 규정된 대상은 특정한 피처 또는 동작에 한정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대신 상기 특정한 피처 및 동작은 특허청구범위를 구현하는 예시적 형태로서 개시된다.
전술한 이점 및 장점은 일 실시형태와 관련될 수 있거나 여러 실시형태와 관련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는 언급된 문제점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는 것 또는 언급된 이점 및 장점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an)' 아이템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의 항목을 의미한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 기술된 방법의 단계는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또는 적절한 경우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개별 블록은 여기에서 설명된 주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임의의 방법으로부터 삭제될 수 있다.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의 양태는 설명된 임의의 다른 실시예의 양태와 결합하여 추구되는 효과를 잃지 않고 추가의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용어 "포함하는"은 식별된 방법 블록 또는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되고, 이러한 블록 또는 엘리먼트는 배타적인 목록을 포함하지 않으며, 방법 또는 장치는 추가적인 블록 또는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단지 예시로서 주어지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명세서, 실시예 및 데이터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구조 및 사용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공한다. 여러 가지 실시형태가 특정 정도로, 또는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다수의 변경을 가할 수 있다.

Claims (17)

  1.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엘리먼트;
    터치 센싱 엘리먼트 - 상기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는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터치 센싱 엘리먼트와 정렬됨 - ; 및
    프로세싱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엘리먼트 및 상기 터치 센싱 엘리먼트에 의해 형성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체 영역이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로 커버되어 보이지 않게 되도록 상기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상기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검출하고,
    복수의 커버 타입에 대한 복수의 저장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의 커버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검출된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 및 상기 식별된 커버 타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저장된 커버 동작 모드로부터 하나의 커버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커버 동작 모드를 활성화 - 상기 터치 센싱 엘리먼트가 활성화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엘리먼트가 스위치 오프되거나 절전 모드로 되고, 상기 활성화된 커버 동작 모드는 상기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통해 상기 터치 센싱 엘리먼트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성(operability)을 제공함 - 하는 것인,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선택된 커버 동작 모드로 활성화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은 표면 텍스처링(surface textureing)을 통해 상기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 상에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시각화에 대응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 상에 구현된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각화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각화를 통해 상기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다른 커버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상기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에 대한 상기 선택된 다른 커버 동작 모드를 활성화하는 것인,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커버 동작 모드 중 하나 이상의 커버 동작 모드를 커스터마이징하는 것인,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엘리먼트는 터치, 제스처, 및 호버(hover)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인,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커버 동작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통한 상기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포함하는 것인, 디바이스.
  8. 시스템에 있어서,
    터치 센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의 터치, 제스처, 및 호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착탈가능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 - 상기 터치 센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센싱 엘리먼트가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 엘리먼트가 스위치 오프되거나 절전 모드로 됨에 따라, 그리고 상기 착탈가능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가 상기 터치 센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고 상기 터치 센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를 보이지 않게 렌더링함에 따라, 상기 착탈가능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검출함 -
    상기 착탈가능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와 상기 터치 센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접속 인터페이스; 및
    상기 터치 센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의 상기 착탈가능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의 적용시에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터치 센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명령어들을 전송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 상기 시스템은 상이한 타입의 커버 엘리먼트와 연관된 다수의 저장된 식별자를 사용하여 적용된 상기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의 타입을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함 -
    를 포함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관된 디바이스에 전송된 상기 명령어들은 커버 타입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타입 식별자는 상기 착탈가능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커버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연관된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것인,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는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는 상기 착탈가능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통해 연관된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의 하나 이상의 표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상기 착탈가능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 상에 시각화되는 것인,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는,
    프로세싱 유닛; 및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엘리먼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터치 센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터치 센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동기화되는 것인, 시스템.
  16. 터치 센싱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가 상기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통해 보이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엘리먼트의 전체를 커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는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터치 센싱 엘리먼트와 정렬됨 - ;
    상이한 타입의 커버 엘리먼트와 연관된 다수의 저장된 식별자를 사용하여 적용되는 상기 검출된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의 타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커버 동작 모드로부터 하나의 커버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커버 동작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비도전성 불투명 커버 엘리먼트를 통해 상기 터치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제스터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터치 센싱 엘리먼트가 활성화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엘리먼트가 스위치 오프되거나 절전 모드로 됨 - ;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활성화된 커버 동작 모드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활성화된 커버 동작 모드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센싱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77012096A 2014-10-08 2015-10-07 불투명 커버를 통해 작동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2344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09,813 US10248244B2 (en) 2014-10-08 2014-10-08 Device operated through opaque cover and system
US14/509,813 2014-10-08
PCT/US2015/054352 WO2016057591A1 (en) 2014-10-08 2015-10-07 Device operated through opaque cover and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626A KR20170065626A (ko) 2017-06-13
KR102344353B1 true KR102344353B1 (ko) 2021-12-27

Family

ID=5436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096A KR102344353B1 (ko) 2014-10-08 2015-10-07 불투명 커버를 통해 작동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48244B2 (ko)
EP (1) EP3204844B1 (ko)
KR (1) KR102344353B1 (ko)
CN (1) CN107111391B (ko)
WO (1) WO2016057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4807B2 (en) * 2015-07-10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brid secondary screen smart cover with e-ink
KR102335552B1 (ko) * 2017-08-22 2021-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 및 커버 장치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US10806993B2 (en) 2018-09-18 2020-10-20 Valve Corporation Handheld controllers with swappable controls
US10888776B2 (en) * 2018-11-27 2021-01-12 Valve Corporation Handheld controllers with detachable overlays
US20220083137A1 (en) * 2020-09-14 2022-03-17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Devices Having Protective Screens Selectively Positionable to Switch Devices Between User Interface Mod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1154A1 (en) 2005-02-15 2006-08-17 Ratner David L Electric-switch activated by sensing a touch through a large variety of cover-plate materials
US20070222765A1 (en) 2006-03-22 2007-09-27 Nokia Corporation Slider input lid on touchscreen
US20140198070A1 (en) 2013-01-16 2014-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5199B1 (en) 1999-02-04 2003-03-18 Palm, Inc. Smart cover for a handheld computer
FI116344B (fi) 2000-10-11 2005-10-31 Nokia Corp Viestintälaite
US7054441B2 (en) 2000-12-12 2006-05-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device having a protective user interface cover
FR2836319B1 (fr) 2002-02-18 2004-10-29 Purple Labs Terminal mobile faisant fonction de telephone mobile et d'assistant numerique personnel
GB0801396D0 (en) * 2008-01-25 2008-03-05 Bisutti Giovanni Electronic apparatus
US8917239B2 (en) 2012-10-14 2014-12-23 Neonode Inc. Removable protective cover with embedded proximity sensors
US8310351B2 (en) 2010-04-08 2012-11-13 Motorola Mobility Llc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detachable user input attachment
US8537128B2 (en) * 2010-06-21 2013-09-17 Apple Inc. Portable multi-touch input device
US9729685B2 (en) * 2011-09-28 2017-08-08 Apple Inc. Cover for a tablet device
CN103207768A (zh) * 2012-01-11 2013-07-17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双屏幕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30181935A1 (en) 2012-01-18 2013-07-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and accessory with capacitive touch point pass-through
KR102241291B1 (ko) * 2013-03-14 2021-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60756B1 (ko) * 2013-03-14 2019-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N203399163U (zh) * 2013-08-15 2014-01-15 林木旺 在合盖状态下就能操控电容触控手机的保护套
CN203522828U (zh) 2013-10-15 2014-04-02 梁肇飞 触屏手机保护套
KR102213899B1 (ko) * 2013-12-03 202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커버와 전자 디바이스에서 기능 실행 방법
CN203691478U (zh) 2013-12-31 2014-07-02 上海鼎讯电子有限公司 电容触控屏手机
CN103941977A (zh) * 2014-03-28 2014-07-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1154A1 (en) 2005-02-15 2006-08-17 Ratner David L Electric-switch activated by sensing a touch through a large variety of cover-plate materials
US20070222765A1 (en) 2006-03-22 2007-09-27 Nokia Corporation Slider input lid on touchscreen
US20140198070A1 (en) 2013-01-16 2014-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11391A (zh) 2017-08-29
WO2016057591A1 (en) 2016-04-14
US20160103546A1 (en) 2016-04-14
CN107111391B (zh) 2020-06-30
US10248244B2 (en) 2019-04-02
EP3204844B1 (en) 2019-07-17
KR20170065626A (ko) 2017-06-13
EP3204844A1 (en)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817B1 (ko)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KR102344353B1 (ko) 불투명 커버를 통해 작동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2264444B1 (ko)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US116567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plurality of virtual buttons on a device
EP277886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ouch screen
CN106104458B (zh) 用于显示传感器和边框传感器的导电迹线布线
US9335844B2 (en) Combined touchpad and keypad using force input
US20120327040A1 (en) Identifiable stylus
US20130155018A1 (en) Device and method for emulating a touch screen using force information
EP3299938A1 (en) Touch-sensitive button with two levels
US20130207905A1 (en) Input Lock For Touch-Screen Device
US11314411B2 (en) Virtual keyboard animation
JP6144501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10043407B2 (en) Interactive book with proximity, touch, and/or gesture sensing
US20120075202A1 (en) Extending the touchable area of a touch screen beyond the borders of the screen
KR102655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52383B1 (ko)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37629A (ko) 이어폰 연결을 감지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EP2741194A1 (en) Scroll jump interface for touchscreen input/output device
KR102242120B1 (ko) 터치스크린 운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CN108737656B (zh) 悬浮按钮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140080814A (ko) 자기장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제어 수단 및 사용자 단말
EP3477452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CN107066105B (zh) 具有视觉反馈的输入设备、处理系统和电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