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003A -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 Google Patents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003A
KR20150016003A KR1020130092175A KR20130092175A KR20150016003A KR 20150016003 A KR20150016003 A KR 20150016003A KR 1020130092175 A KR1020130092175 A KR 1020130092175A KR 20130092175 A KR20130092175 A KR 20130092175A KR 20150016003 A KR20150016003 A KR 20150016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enter plate
belt clip
ben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장상
Original Assignee
주장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장상 filed Critical 주장상
Priority to KR1020130092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6003A/ko
Publication of KR20150016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은 센터 플레이트;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클램프; 및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클램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클램프의 하부 말단에는 하부 굽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Belt Clip for Carrying an Article}
본 발명은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열쇠고리, 휴대폰, 지갑 등의 물품을 허리띠와 같은 벨트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한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쇠고리와 같은 휴대 물품은 주머니에 넣어서 휴대하는데, 열쇠고리에 많은 수의 열쇠가 걸리어 있는 경우에는 주머니가 과도하게 불룩해져 휴대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열쇠고리를 벨트에 차고 다니는 사람이 종종 있다.
휴대폰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휴대폰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주머니에 넣고 휴대하기에는 불편함이 따른다. 이에, 휴대폰을 벨트에 걸기 위한 다양한 종래기술들이 있다.
대한민국특허 제10-08082061호에서는 벨트 클립에 수용부를 형성하여, 휴대폰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수용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휴대폰을 벨트에 걸 수 있도록 한 휴 대폰 장착용 벨트 클립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벨트 클립은 휴대폰에 걸립돌기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걸림돌기가 없는 휴대폰의 경우 벨트 클립에 걸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걸림돌기가 없는 휴대폰이나 다른 물품은 전혀 걸 수 없기 때문에, 벨트 클립의 사용 용도가 한정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줄이나 고리가 달려 있는 모든 물품을 벨트에 걸 수 있고, 착탈이 용이하고 편리한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을 편리하게 걸고 또 분리할 수 있는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내재되어 있는 목적들은 아래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은
센터 플레이트;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클램프; 및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클램프;
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클램프의 하부 말단에는 하부 굽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굽힘부의 말단에는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클램프의 하부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 연결부와 연결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클램프의 상부에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에서 전방 쪽으로 벌어진 형태의 돌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 삽입부의 하부에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 쪽으로 들어간 부분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클램프의 상부에는 상부 굽힘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굽힘부의 말단은 하부로 연장되는 상부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걸림부의 말단은 후방으로 구부려진 하부 말단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걸림부의 말단은 전방으로 구부려진 상부 말단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굽힘부의 상단 부분은 상기 상부 연결부의 상단 부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굽힘부의 바닥 부분은 상기 하부 연결부의 바닥 부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물품을 편리하게 걸고 또 분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1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측면도이며, 도 3은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100)은 센터 플레이트(110), 제1 클램프(120) 및 제2 클램프(130)로 이루어진다.
센터 플레이트(110)와 제1 클램프(120)는 상부 연결부(11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센터 플레이트(110)와 제2 클램프(130)는 하부 연결부(11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센터 플레이트(110)를 기준으로 후방에는 제1 클램프(120)가, 전방에는 제2 클램프(130)가 위치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은 도면에서의 -x 및 +x 방향을, 전방 및 후방은 +y 및 -y 방향을, 상부 및 하부 방향은 +z 및 -z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트 클립(100)은 센터 플레이트(110), 제1 클램프(120) 및 제2 클램프(130)가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 벨트 클립(110)은 스테인레스 강판을 굽힘 가공을 통해 제작한 다음, 제1 클램프(120) 및 제2 클램프(130)가 센터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제조된다.
상부 연결부(111)는 센터 플레이트(110)와 제1 클램프(1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연결부(111)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제1 클램프(120)에 삽입되는 벨트(도시되지 않음)의 두께보다는 약간 큰 길이를 갖도록 한다. 상부 연결부(111)의 형상은 도 2를 참조하면, 전후 방향으로 직선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또는 하부로 볼록한 곡선 형상이나, M 또는 W자 형태로 주름진 형상 등 탄성 복원력을 위한 기능적 요소나 외관을 위한 디자인적 요소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하부 연결부(112)는 센터 플레이트(110)와 제2 클램프(1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연결부(112)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아래 설명하는 제2 클램프(130)의 볼록부(131)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부 연결부(111)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는 긴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연결부(112)의 형상은 도 2를 참조하면, 전후 방향으로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러한 곡선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선 형상, 상부로 볼록한 곡선 형상, 또는 M 또는 W자 형태로 주름진 형상 등 탄성 복원력을 위한 기능적 요소나 외관을 위한 디자인적 요소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제1 클램프(120)는 센터 플레이트(110)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부 연결부(111)에 의하여 센터 플레이트(11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클램프(120)의 하부 방향으로부터 벨트(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며, 제1 클램프(120)와 센터 플레이트(110) 사이의 공간에 벨트가 위치하게 된다. 제1 클램프(120)의 하부에는 하부 굽힘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굽힘부(121)의 말단에는 하부 걸림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굽힘부(121)와 하부 걸림부(122)는 벨트가 제1 클램프(120) 안쪽에 위치할 때, 제1 클램프(120)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벨트 이외의 트레이닝 복의 고무줄 재단 부위에 걸리게 하는 역할도 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벨트"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허리띠 이외에, 휴대 물품을 걸어 놓기 위한 물건, 예를 들어 앞서 말한 트레이닝 복의 고무줄 재단 부위나 바지 상의의 주머니, 가방의 끈 등 다양한 물건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하부 굽힘부(121)의 형상은 도 2에서 전후 방향으로 직선 형태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또는 하부로 볼록한 곡선 형상, 또는 M 또는 W자 형태로 주름진 형상 등 대상물에 잘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적 요소나 외관을 위한 디자인적 요소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하부 굽힘부(121) 말단의 하부 걸림부(122)는 상부 쪽으로 연장된 상하 방향으로 직선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나,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상의 변경이 가능하다. 하부 걸림부(122)는 도 2에서 센터 플레이트(110)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고 있지만, 센터 플레이트(110)와 접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제2 클램프(130)는 센터 플레이트(110)의 전방에 위치하며, 하부 연결부(11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2 클램프(130)의 상부로부터, 고리나 줄 형태를 갖는 휴대 물품을 걸 수 있도록 한다. 하부 연결부(112)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고리와 같은 원형의 휴대 물품이 걸리는 경우 부드럽게 유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제2 클램프(130)의 하부의 하부 연결부(112)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도 2와 같이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볼록부(131)가 형성된다. 볼록부(131)는 하부 연결부(112)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부분이기 때문에, 전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이는 휴대 물품이 걸리어 있을 때 잘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동시에 제2 클램프(130)의 상부를 벌리는 경우 원래의 위치로 복원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제2 클램프(130)의 상부에는 돌출 삽입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 삽입부(133)는 상부로부터 휴대 물품이 삽입되도록, 상부는 센터 플레이트(110)로부터 전방으로 벌어져 있는 형태를 가지며, 하부는 후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오목부(134)로 연결되는 형상을 갖는다. 오목부(134)는 도 2에서 센터 플레이트(110)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센터 플레이트(110)에 접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도 3의 정면도를 참조하면, 제2 클램프(130)의 좌, 우측에는 오목한 형상의 좌측 오목부(132a)와 우측 오목부(13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좌측 오목부(132a)와 우측 오목부(132b)는 링 형상을 갖는 물품이 삽입될 때, 원활한 삽입이 되면서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하는 경우에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2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측면도이며, 도 6은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200)은 센터 플레이트(210), 제1 클램프(220) 및 제2 클램프(230)로 이루어진다.
센터 플레이트(210)와 제1 클램프(220)는 상부 연결부(21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센터 플레이트(210)와 제2 클램프(230)는 하부 연결부(21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센터 플레이트(210)를 기준으로 후방에는 제1 클램프(220)가, 전방에는 제2 클램프(230)가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벨트 클립(200)은 센터 플레이트(210), 제1 클램프(220) 및 제2 클램프(230)가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 벨트 클립(200)은 스테인레스 강판을 굽힘 가공을 통해 제작한 다음, 제1 클램프(220) 및 제2 클램프(230)가 센터 플레이트(210)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제조된다.
상부 연결부(211)는 센터 플레이트(210)와 제1 클램프(2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연결부(211)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제1 클램프(220)에 삽입되는 벨트(도시되지 않음)의 두께보다는 약간 큰 길이를 갖도록 한다. 상부 연결부(211)의 형상은 도 5를 참조하면, 전후 방향으로 직선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또는 하부로 볼록한 곡선 형상이나, M 또는 W자 형태로 주름진 형상 등 탄성 복원력을 위한 기능적 요소나 외관을 위한 디자인적 요소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하부 연결부(212)는 센터 플레이트(210)와 제2 클램프(2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연결부(212)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아래 설명하는 제2 클램프(230)의 볼록부(231)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부 연결부(211)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는 긴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연결부(212)의 형상은 도 5를 참조하면, 전후 방향으로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러한 곡선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선 형상, 상부로 볼록한 곡선 형상, 또는 M 또는 W자 형태로 주름진 형상 등 탄성 복원력을 위한 기능적 요소나 외관을 위한 디자인적 요소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제1 클램프(220)는 센터 플레이트(210)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부 연결부(211)에 의하여 센터 플레이트(21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클램프(220)의 하부 방향으로부터 벨트(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며, 제1 클램프(220)와 센터 플레이트(210) 사이의 공간에 벨트가 위치하게 된다. 제1 클램프(220)의 하부에는 하부 굽힘부(22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굽힘부(221)의 말단에는 하부 걸림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굽힘부(221)와 하부 걸림부(222)는 벨트가 제1 클램프(220) 안쪽에 위치할 때, 제1 클램프(220)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벨트 이외의 트레이닝 복의 고무줄 재단 부위에 걸리게 하는 역할도 한다. 여기서, 하부 걸림부(222)의 말단에는 후방으로 구부려진 형상을 갖는 하부 말단 걸림부(223)가 형성되어 있어, 휴대 물품을 삽입하여 고정할 때 더 잘 고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휴대 물품을 분리할 때 하부 걸림부(222)가 센터 플레이트(210)로부터 잘 벌어지도록 한다.
하부 굽힘부(221)의 형상은 도 5에서 전후 방향으로 직선 형태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또는 하부로 볼록한 곡선 형상, 또는 M 또는 W자 형태로 주름진 형상 등 대상물에 잘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적 요소나 외관을 위한 디자인적 요소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하부 굽힘부(221) 말단의 하부 걸림부(222)는 상부 쪽으로 연장된 상하 방향으로 직선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나,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상의 변경이 가능하다. 하부 걸림부(222)는 도 5에서 센터 플레이트(210)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고 있지만, 센터 플레이트(210)와 접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제2 클램프(230)는 센터 플레이트(210)의 전방에 위치하며, 하부 연결부(21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2 클램프(230)의 상부로부터, 고리나 줄 형태를 갖는 휴대 물품을 걸 수 있도록 한다. 하부 연결부(212)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고리와 같은 원형의 휴대 물품이 걸리는 경우 부드럽게 유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제2 클램프(230)의 하부의 하부 연결부(212)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도 5와 같이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볼록부(231)가 형성된다. 볼록부(231)는 하부 연결부(212)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부분이기 때문에, 전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이는 휴대 물품이 걸리어 있을 때 잘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동시에 제2 클램프(230)의 상부를 벌리는 경우 원래의 위치로 복원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제2 클램프(230)의 상부에는 상부 굽힘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굽힘부(233)는 상부로부터 휴대 물품이 삽입되도록, 그 말단에 상부 걸림부(234)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굽힘부(233) 및 상부 걸림부(234)의 형상은 하부 굽힘부(221)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상부 걸림부(234)의 말단에는 상부 말단 걸림부(235)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말단 걸림부(235)는 하부 말단 걸림부(223)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상부 걸림부(234)는 센터 플레이트(210)와 도 5에서와 같이 접하는 형상을 가져도 좋고, 전방으로 벌어져 있는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제2 클램프(230)의 상부 굽힘부(233)는 오목부(236)와 연결되어 그 하부의 볼록부(231)로 연결된다.
도 6의 정면도를 참조하면, 제2 클램프(230)의 좌, 우측에는 오목한 형상의 좌측 오목부(232a)와 우측 오목부(23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좌측 오목부(232a)와 우측 오목부(232b)는 링 형상을 갖는 물품이 삽입될 때, 원활한 삽입이 되면서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하는 경우에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상부 연결부(211)와 상부 굽힘부(233)의 높이를 비교하였을 때, 상부 연결부(211)의 높이가 상부 굽힘부(233) 보다 A 만큼 높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벨트나 물품을 삽입할 때, 단차 사이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하부 굽힘부(221)와 하부 연결부(212)의 높이를 비교하면, 하부 연결부(212)가 B 만큼 하부 굽힘부(221)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클립(100)의 제1 클램프에는 벨트(300)가 삽입되고, 제2 클램프에는 열쇠 고리(400)가 삽입되어 걸려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본 발명의 벨트 클립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예시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이 범위 내에서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벨트 클립 110: 센터 플레이트
111: 상부 연결부 112: 하부 연결부
120: 제1 클램프 121: 하부 굽힘부
122: 하부 걸림부 130: 제2 클램프
131: 볼록부 132a: 좌측 오목부
132b: 우측 오목부 133: 돌출 삽입부
200: 벨트 클립 210: 센터 플레이트
211: 상부 연결부 212: 하부 연결부
220: 제1 클램프 221: 하부 굽힘부
222: 하부 걸림부 223: 하부 말단 걸림부
230: 제2 클램프 231: 볼록부
232a: 좌측 오목부 232b: 우측 오목부
233: 상부 굽힘부 234: 상부 걸림부
235: 상부 말단 걸림부 300: 벨트
400: 열쇠고리

Claims (8)

  1. 센터 플레이트;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클램프; 및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클램프;
    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클램프의 하부 말단에는 하부 굽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굽힘부의 말단에는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의 하부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 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의 상부에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에서 전방 쪽으로 벌어진 형태의 돌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 삽입부의 하부에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 쪽으로 들어간 부분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의 상부에는 상부 굽힘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굽힘부의 말단은 하부로 연장되는 상부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걸림부의 말단은 후방으로 구부려진 하부 말단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걸림부의 말단은 전방으로 구부려진 상부 말단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굽힘부의 상단 부분은 상기 상부 연결부의 상단 부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굽힘부의 바닥 부분은 상기 하부 연결부의 바닥 부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KR1020130092175A 2013-08-02 2013-08-02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KR20150016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75A KR20150016003A (ko) 2013-08-02 2013-08-02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75A KR20150016003A (ko) 2013-08-02 2013-08-02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838A Division KR20150104071A (ko) 2015-08-27 2015-08-27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003A true KR20150016003A (ko) 2015-02-11

Family

ID=5257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175A KR20150016003A (ko) 2013-08-02 2013-08-02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60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011B1 (ko) * 2020-05-15 2021-11-05 김동기 허리벨트 부착용 공구걸이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011B1 (ko) * 2020-05-15 2021-11-05 김동기 허리벨트 부착용 공구걸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1677B2 (en) Hanger with securement element
US6533414B2 (en) Eyeglass holder clip
US7584527B2 (en) Combination logo pin holder and eyeglasses holder
US10070713B1 (en) Clip holder for holding a tape measure and other tools
JP2018521723A (ja) 両側フック
US8794495B1 (en) Carrier for mobile phone
KR20150016003A (ko)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KR20150104071A (ko) 물품 휴대용 벨트 클립
KR100833620B1 (ko) 핸드폰 고리 클립
KR20140005844U (ko)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용품 홀더
US20200359775A1 (en) Tool holder
US10470557B2 (en) Multiple use pocket clip
US20100058516A1 (en) Holder for garment straps
KR101696039B1 (ko) 집게 기능이 결합된 옷걸이
KR20070012876A (ko) 정전기 방지용 소매 옷깃 악세사리
JP3236580U (ja) ベルト専用アクセサリー
CN214413016U (zh) 一种具有隐藏式挂耳的无线蓝牙耳机
JP2015138214A (ja) 合成樹脂製の連結部材を備える留め具、および留め具のための合成樹脂製の連結部材
BE1025236A1 (nl) Holster voor mobiele telefoon
KR101176355B1 (ko) 거치대
US20240068616A1 (en) Flexible magnetic spray can holder
KR20090104958A (ko) 이어폰 줄 고정클립
KR20100004193U (ko) 스피드 네일식 핸드폰 고리 클립
JP3159011U (ja) ベルト用キーホルダー
US20170071293A1 (en) Aler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