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329A -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329A
KR20150015329A KR1020130091265A KR20130091265A KR20150015329A KR 20150015329 A KR20150015329 A KR 20150015329A KR 1020130091265 A KR1020130091265 A KR 1020130091265A KR 20130091265 A KR20130091265 A KR 20130091265A KR 20150015329 A KR20150015329 A KR 20150015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data recovery
dump file
data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7834B1 (ko
Inventor
남기훈
Original Assignee
남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5718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01532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남기훈 filed Critical 남기훈
Priority to KR1020130091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834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3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 G06F11/0742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in a data processing system embedded in a mobile device, e.g. mobile phones, handheld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71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involving logging of persistent data for recov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으로서, (1)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저장된 복구 대상 파일로 덤프(dump)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2) 상기 생성한 덤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복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3) 상기 데이터 복구 장치에서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전송받는 단계; 및 (4) 상기 전송받은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저장된 덤프 파일에 덮어쓰기(overwrite)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 디바이스에 저장된 복구 대상 파일로 덤프(dump) 파일을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복구 장치에 전송하고, 데이터 복구 장치에서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기존의 덤프 파일에 덮어쓰기를 함으로써, 데이터 복구 대상인 스마트 디바이스를 데이터 복구 업체에 맡기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 복구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전문적인 데이터 복구 장치에 의해 데이터 복구가 처리되므로 복구 결과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DATA RECOVERY METHOD FOR SMART DEVICE BASED ON NETWORK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데이터 복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복구는 시스템 내의 오류나 고장 등으로 인하여 못쓰게 되어 버렸거나 잃어버린 정보를 복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종래의 데이터 복구는 하드디스크, 서버, 레이드(raid), 데이터베이스 등의 복구를 의미하였다.
최근 스마트 디바이스가 다기능화되면서 연락처, 사진 등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기업의 중요한 업무 등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가 널리 사용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의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보관된 데이터가 시스템 이상, 사용자 부주의 또는 바이러스로 인해 손상/손실되었을 때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주거나 또는 접근할 수 없는 저장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해내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에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를 위해서는, 데이터 복구 업체에 스마트 디바이스를 맡겨야 했다. 즉, 스마트 디바이스와 같은 모바일 데이터 복구는 값비싼 하드웨어 장비를 이용하므로, 전문 데이터 복구 업체에 스마트 디바이스를 맡겨 하드웨어 장비를 이용해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식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졌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맡기는 데에 거부감이 있는 사용자라고 하더라도, 일반 사용자는 모바일 데이터 복구 장비를 구비하는데 부담이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가 파악하기 어려운‘지그라인’ 등을 사용해 데이터를 추출해야 하므로 모바일 데이터 추출 및 분석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모바일 데이터의 추출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추출한 모바일 데이터를 일반 사용자가 분석하기 용이한 모바일 데이터 복구 장치 및 그 방법이 개발된바 있다(등록특허 제10-0837742호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모바일 데이터 복구 장치 및 그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여전히 모바일 데이터 복구 장치를 구매해야하는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데이터 복구를 사용자가 직접 해야 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데이터 복구 장치를 이용하여 복구가 이루어지는 전문 복구 서비스에 비하여, 편의성이나 사용자 만족도가 낮은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스마트 디바이스에 저장된 복구 대상 파일로 덤프(dump) 파일을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복구 장치에 전송하고, 데이터 복구 장치에서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기존의 덤프 파일에 덮어쓰기(overwrite)를 함으로써, 데이터 복구 대상인 스마트 디바이스를 데이터 복구 업체에 맡기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 복구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전문적인 데이터 복구 장치에 의해 데이터 복구가 처리되므로 복구 결과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으로서,
(1)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저장된 복구 대상 파일로 덤프(dump)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2) 상기 생성한 덤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복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3) 상기 데이터 복구 장치에서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전송받는 단계; 및
(4) 상기 전송받은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저장된 덤프 파일에 덮어쓰기(overwrite)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 및 단계 (2)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생성한 덤프 파일의 가상 디스크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생성한 가상 디스크 이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복구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 또는 단계 (3)에서는,
상기 덤프 파일 또는 상기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 이전에는,
상기 데이터 복구비용의 청구를 위한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와 단계 (3) 사이에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 복구 장치로부터 상기 덤프 파일 및 데이터 복구 요청의 수신을 확인하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인 메시지는,
데이터 복구에 소요되는 예상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와 단계 (3) 사이에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의 생성 알림을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생성 알림에 대응하여 복구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데이터 복구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데이터 복구 장치가, 상기 전송받은 덤프 파일을 복구 처리하여 복구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단계 (1) 내지 단계 (4)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복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 디바이스에 저장된 복구 대상 파일로 덤프(dump) 파일을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복구 장치에 전송하고, 데이터 복구 장치에서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기존의 덤프 파일에 덮어쓰기를 함으로써, 데이터 복구 대상인 스마트 디바이스를 데이터 복구 업체에 맡기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 복구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전문적인 데이터 복구 장치에 의해 데이터 복구가 처리되므로 복구 결과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에서, 단계 S200 및 단계 S300 사이에 처리될 수 있는 단계들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에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데이터 복구 업체에 맡기거나 데이터 복구 장치를 구매하여야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등에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 복구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복구를 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데이터 복구 업체에 맡기는 위험을 감수하여야 하거나, 사용자가 데이터 복구 장치를 구매하거나 PC 등에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다.
도 2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복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복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데이터 복구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복구 대상 장치인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복구 대상 파일로 덤프(dump) 파일을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 전송하고,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서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송하여 기존의 덤프 파일에 덮어쓰기(overwrite)를 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해 덤프 파일을 업데이트함으로써 데이터 복구 대상인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맡기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하게 데이터 복구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 복구 장치(200)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전문적인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 의해 데이터 복구가 처리되므로 복구 결과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00)에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USB 등으로 연결하고,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복구 대상 파일을 추출하여 덤프 파일로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300)이 네트워크를 통해 덤프 파일을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 전송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복구를 하는 주체는 데이터 복구 장치(200)가 되고, 사용자 단말(300)은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복구 대상 파일을 추출하여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 복구 장치(200) 등을 구비하거나 사용자 단말(300)에 복구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복구가 처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복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복구 방법에 의해 데이터를 복구하는 복구 대상 기기일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사용자 개인용도뿐 아니라 업무용으로도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용도가 다양화됨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중요한 정보가 많이 저장되게 되며, 이에 따라 데이터 복구도 더욱 중요해졌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고가의 기기로서, 데이터 복구를 위하여 타인에게 위탁할 때에 사용자들의 불안이 있는 것이 사실이며, 데이터 복구 시간 동안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사용할 수 없어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복구 방법에서는, 인터넷, 인트라넷, 유무선 통신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의한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위탁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복구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복구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등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해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기능을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로서 데이터의 복구가 필요한 기기라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현재 이용되고 있거나 장래에 이용 가능하게 될 모든 종류의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복구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덤프 파일을 전송받아 복구 처리를 하는 장치일 수 있다. 데이터 복구 장치(20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덤프 파일을 사용자가 해석할 수 있도록 분석하여 새로운 덤프 파일, 즉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덤프 파일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복구하여,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생성하고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송함으로써, 원격으로 데이터 복구를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복구 대상 파일을 추출하여 덤프 파일을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 덤프 파일을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에 덤프 파일 추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설치 및 실행하고, USB 등의 시리얼 통신으로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사용자 단말(300)에 연결하여 복구 대상 파일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복구 장치(20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복구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복구 방법은,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복구 대상 파일로 덤프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100), 덤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 전송하는 단계(S200),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전송받는 단계(S300) 및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덤프 파일에 덮어쓰기 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10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복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복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단계 S100 내지 단계 S400의 구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복구 대상 파일로 덤프 파일을 생성하여 네트워크로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 전송하며,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수신하여 덮어쓰기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덤프 파일의 추출이나 덮어쓰기 등의 프로세스를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전문 지식이 부족한 사용자의 실수나 조작 미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복구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100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복구 대상 파일로 덤프(dump)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복구 대상 파일은 대표적으로 db 확장자를 가진 파일일 수 있으며, 복구 대상 파일 및 이와 관련된 관련 파일 전체를 덤프 하여 덤프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파일 덤프는 프로그램의 오류 수정이나 데이터의 검사를 위해 기억 장치나 파일 내용의 전체 또는 일부를 행 인쇄기에 출력(copy)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복구 대상 파일을 덤프 하여 덤프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복구 대상 파일을 데이터 복구 장치(200)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덤프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데이터 복구와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단계 S100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100에서 복구 대상 파일로 덤프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관리자 권한을 획득하여야 하므로, 단계 S100의 처리 이전에 관리자 권한을 획득하는 루팅(rooting)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관리자 권한을 획득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접근 불가능한 복구 대상 파일에 접근하거나 덤프 파일을 생성하여 단계 S100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00에서는, 생성한 덤프 파일의 가상 디스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생성한 덤프 파일을 파일 상태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덤프 파일을 하드 디스크나 CD-ROM 드라이브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가상 디스크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생성한 덤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단계 S100에서 생성한 덤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 전송함으로써, 원격으로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복구를 의뢰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200에서는, 단계 S100에서 생성한 가상 디스크 이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덤프 파일을 그 자체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 디스크 이미지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원격지의 데이터 복구 장치(200)가 직접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통신 케이블로 연결하여 복구 대상 파일을 추출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00에서는, 덤프 파일을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덤프 파일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각종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단계 S200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덤프 파일을 전송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관련된 각종 정보가 유출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계 S200에서는, 덤프 파일을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계 S100 및 단계 S200을 사용자 단말(300)이 처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300)에 복구 대상이 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USB 등으로 연결하고 복구 대상 파일을 추출하여 덤프 파일을 생성하고(S100), 사용자 단말(300)이 생성한 덤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S200).
단계 S300에서는,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서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전송받을 수 있다. 단계 S200에서 전송한 덤프 파일을 수신한 데이터 복구 장치(200)는, 덤프 파일을 사용자가 해석할 수 있도록 분석하여 새로운 덤프 파일, 즉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데이터 복구 장치(200)가 네트워크를 통해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300)이 데이터 복구 장치(200)로부터 덤프 파일을 수신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때, 단계 S300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은, 손상된 데이터가 복구되어 유출 시 문제가 될 수 있는 많은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데이터 복구 장치(200)는 이를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00에서는, 데이터 복구 장치(200)가 전송받은 덤프 파일을 복구 처리하여 복구 데이터를 생산하고, 복구 데이터를 텍스트 형태의 문서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단계 S300에서는, 복구 데이터를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로 생성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으나, 데이터 복구 장치(200)는 복구 데이터를 문서화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페이지, 이메일 등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복구 데이터 문서는, 통화 내역, 문자 메시지, 메신저 대화 내용 등 텍스트 형태로 복구되는 복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 사진, 동영상 등과 같은 텍스트 형태가 아닌 복구 데이터의 파일 이름, 복구 개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전송받은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덤프 파일에 덮어쓰기 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덤프 파일을 단계 S300에서 전송받은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로 대체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복구 방법에서는, 복구된 데이터를 별도의 장치를 통해 전달받거나 별도의 장치로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복구 방법에서, 단계 S200 및 단계 S300 사이에 처리될 수 있는 단계들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복구 방법은, 데이터 복구비용의 청구를 위한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단계(S210),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단계(S220)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의 생성 알림을 수신하여 출력하고 복구 데이터의 전송을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 요청하는 단계(S2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데이터 복구비용의 청구를 위한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결제 프로세스는 일반적인 온라인 결제 또는 모바일 결제에서 사용하는 결제 프로세스와 동일하게 처리될 수 있으며, 신용카드, 계좌이체, 휴대폰 결제, 포인트, 상품권 등 다양한 결제 방식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단계 S210을 더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복구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별도의 결제 과정 없이 데이터 복구비용을 청구하고 결제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복구 업체와 사용자 간 신뢰를 형성하고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데이터 복구 장치(200)로부터 덤프 파일 및 데이터 복구 요청의 수신을 확인하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아 출력할 수 있다. 즉, 단계 S200에서 덤프 파일이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 전송되면,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덤프 파일이 안전하게 수신되어 데이터 복구를 한다는 내용의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확인 메시지는, 데이터 복구에 소요되는 예상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 S220에서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 Message Service), 이메일 등을 이용하여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푸시 메시지로 확인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단계 S230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의 생성 알림을 수신하여 출력하고, 생성 알림에 대응하여 복구 데이터의 전송을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 요청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복구 장치(200)에서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의 생성이 완료되면, 완료 사실을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푸시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알려줄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복구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면, 단계 S300에서 데이터 복구 장치(200)가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계 S210 내지 단계 S230을 사용자 단말(300)이 처리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복구 대상이 되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복구 장치(200)와의 데이터 또는 신호의 송수신은 사용자 단말(300)이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의 스마트 디바이스(100)도 본 발명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복구를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 디바이스 200: 데이터 복구 장치
300: 사용자 단말
S100: 스마트 디바이스에 저장된 복구 대상 파일로 덤프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S200: 덤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복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S210: 데이터 복구비용의 청구를 위한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단계
S220: 스마트 디바이스가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단계
S230: 스마트 디바이스가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의 생성 알림을 수신하여 출력하고 복구 데이터의 전송을 데이터 복구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
S300: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가 전송받는 단계
S400: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스마트 디바이스에 저장된 덤프 파일에 덮어쓰기 하는 단계

Claims (10)

  1.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으로서,
    (1)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저장된 복구 대상 파일로 덤프(dump)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2) 상기 생성한 덤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복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3) 상기 데이터 복구 장치에서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전송받는 단계; 및
    (4) 상기 전송받은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저장된 덤프 파일에 덮어쓰기(overwrite)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및 단계 (2)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생성한 덤프 파일의 가상 디스크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생성한 가상 디스크 이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복구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또는 단계 (3)에서는,
    상기 덤프 파일 또는 상기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을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 이전에는,
    상기 데이터 복구비용의 청구를 위한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와 단계 (3) 사이에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 복구 장치로부터 상기 덤프 파일 및 데이터 복구 요청의 수신을 확인하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메시지는,
    데이터 복구에 소요되는 예상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와 단계 (3) 사이에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복구 처리된 덤프 파일의 생성 알림을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생성 알림에 대응하여 복구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데이터 복구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데이터 복구 장치가, 상기 전송받은 덤프 파일을 복구 처리하여 복구 데이터를 생산하고, 복구 데이터를 텍스트 형태의 문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단계 (1) 내지 단계 (4)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복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KR1020130091265A 2013-07-31 2013-07-31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KR101517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265A KR101517834B1 (ko) 2013-07-31 2013-07-31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265A KR101517834B1 (ko) 2013-07-31 2013-07-31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329A true KR20150015329A (ko) 2015-02-10
KR101517834B1 KR101517834B1 (ko) 2015-05-06

Family

ID=52571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265A KR101517834B1 (ko) 2013-07-31 2013-07-31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8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124B1 (ko) 2018-08-29 2020-02-19 나성훈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방법
KR102079119B1 (ko) 2018-08-29 2020-04-07 나성훈 스마트기기에 대한 데이터 복구 방법
KR102301761B1 (ko) * 2020-06-26 2021-09-14 김태원 Usb 메모리의 데이터 복구 장치
CN115827323A (zh) * 2022-12-01 2023-03-21 摩尔线程智能科技(北京)有限责任公司 恢复文件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230B1 (ko) 2023-07-20 2024-03-18 주식회사 더블오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파라미터 페이지 라이브러리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648229B1 (ko) 2023-11-16 2024-03-18 주식회사 더블오 낸드 플래시 메모리 데이터 복원 정보 생성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124B1 (ko) 2018-08-29 2020-02-19 나성훈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방법
KR102079119B1 (ko) 2018-08-29 2020-04-07 나성훈 스마트기기에 대한 데이터 복구 방법
KR102301761B1 (ko) * 2020-06-26 2021-09-14 김태원 Usb 메모리의 데이터 복구 장치
CN115827323A (zh) * 2022-12-01 2023-03-21 摩尔线程智能科技(北京)有限责任公司 恢复文件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CN115827323B (zh) * 2022-12-01 2024-02-02 摩尔线程智能科技(北京)有限责任公司 恢复文件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834B1 (ko)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834B1 (ko)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복구 방법
US20130275765A1 (en) Secure digital document distribution with real-time sender control of recipient document content access rights
EP3149899A1 (en) Message attachment management
TW202020769A (zh) 離線場景下的支付處理方法、伺服器及可讀儲存媒體
EP297789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so et al. iPhone social networking for evidence investigations using iTunes forensics
US201400131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storage medium
WO2014155385A1 (en) Release codes with print job identifiers and directives
US20140038650A1 (en) Short message backup method, mobile terminal, and server
KR101392624B1 (ko) 네트워크 통신에 기반을 둔 모바일 포렌식 방법
KR20160002430A (ko) 카드 결제를 위한 결제 대행 서버, 카드 단말기, 정산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처리 방법
CN103997730A (zh) 一种加密数据的解密复制粘贴方法
JP201602545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307610B2 (ja) データ改竄検知装置、データ改竄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499893B (zh) 基于区块链的投标文件加密存证方法和系统
CN106936844B (zh) 远程访问服务的数据交互方法和系统
JP2012194856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TWI815039B (zh) 兼具安全及便利的文件付費處理裝置及系統
CN105809051A (zh) 基于加密卡的企业密钥分发方法以及基于加密卡的报税方法
JP201602548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70257346A1 (en) Physical level-based security system for data security of security terminal and method using the same
US11188662B2 (en) Encrypted data backup and restoration for image forming apparatuses using cloud
CN107786420A (zh) 一种消息撤销方法、消息撤销服务器及用户设备
WO2020138505A1 (ja) ファイル伝送システム
KR20150069182A (ko) 서버를 이용한 모바일 포렌식 무결성입증 및 증거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