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954A - 구강관리기구 및 구강관리기구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구강관리기구 및 구강관리기구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954A
KR20150014954A KR1020147034722A KR20147034722A KR20150014954A KR 20150014954 A KR20150014954 A KR 20150014954A KR 1020147034722 A KR1020147034722 A KR 1020147034722A KR 20147034722 A KR20147034722 A KR 20147034722A KR 20150014954 A KR20150014954 A KR 20150014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ver
recycled
handle
oral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글라스 제이. 호흘베인
Original Assignee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filed Critical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5001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05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by moulding or casting a body aroun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8Handles featuring an adjustable thumb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rush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원은 구강관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구강관리기구는: 재생 재료로 이루어진 코어(118)와 상기 코어(118)를 에워싸는 커버(112)로 이루어진 손잡이; 및 적어도 하나의 세척 요소를 갖고, 손잡이에 연결되었거나 연결될 수 있는 헤드(120)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은 구강 관리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방법은: 재생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커버 재료로 재생 재료를 에워싸서 구강관리기구의 손잡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재생 재료로 이루어진 코어와 상기 코어를 에워싸는 커버 재료로 이루어진 커버를 갖는다.

Description

구강관리기구 및 구강관리기구를 제조하는 방법{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AL CARE IMPLEMEN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칫솔 또는 연성조직(soft tissue) 클리너 같은 구강관리기구, 구강관리기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관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구강관리기구, 예를 들면, 칫솔 및 혀 스크레이퍼 같은 연성조직 클리너는 일반적으로 금형의 공동 내의 폴리머 수지를 사출성형하고, 다음 폴리머를 경화하여 제조된 손잡이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머 수지는 미사용 재료(virgin material)이다. 즉, 재료는 이전에 물품 제조에 사용되지 않은 재료이다. 이 처리 공정은 사용자가 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유지하는 면이 만족스럽게 부드럽고 편안한 표면의 손잡이를 제공하지만, 미사용 재료의 사용은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어느 정도 미사용 재료를 구성하는 원료의 자원을 소비하는 것이다. 또한, 미사용 재료를 생성하는 원료를 처리하는 공정은 상당한 에너지를 소비한다.
칫솔 제조에 재생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US2010/0000039호는 재생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휴대용 칫솔을 공개했으며, WO2011/025810호는 옥수수 전분과 재생 폴리프로필렌의 혼합으로 만들어진 중실(solid) 손잡이를 가진 칫솔을 공개했으며, US5881425호는 손잡이가 적어도 약 90%의 재생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료의 조성물로 제조된 칫솔을 공개했다. 그러나, 재생 플라스틱 재료는 때로는 호일(foil), 레이블, 및 접착제와 같은 외부 재료를 포함한다. 따라서, 클린 재료가 만족할 만한 표면을 가진 기구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재생 플라스틱 재료는 외부 재료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및 체거름(sieving)을 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게 하지 않으면 그런 재생 재료로 제조되는 손잡이는 보기 안좋은 외관 및/또는 유지하는데 편안하지 않은 고르지 못한 표면의 질감을 가질 것이다. 또한, 일부 소비자에게는 소비-후 수거된(post-consumer) 재생 재료가 세균을 갖고 있다는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구강관리기구의 손잡이가, 그 재료의 사용이 환경에 대한 영향을 적게 주는 것으로 제조되며, 사용자가 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유지하기에 적당한 허용 가능한 표면을 갖고, 세균을 갖고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소비자의 안전에 대한 개념을 충당할 수 있게 개량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는 재생 재료로 형성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에워싸는 커버로 이루어진 손잡이, 및 적어도 하나의 세척 요소를 갖고,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구강관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에서 "에워싸는(enveloping)"의 표현은 "완전히 덮거나(covering) 또는 둘러싸는(surrounding)"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재생 재료(recycled material)"의 표현은 바람직하게는 이전에 물체 또는 물품의 제조에 사용된 재료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원에서 "소비-후 수거된(post-consumer) 재생 재료"의 표현은 물체 또는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재료가 소비자 또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었던 재료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소비-전 수거된(pre-consumer) 재생 재료"의 표현은 물체 또는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재료가 소비자 또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지 않았던 재료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소비-전 수거된 재생 재료"는 상기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물체 또는 물품의 제조 부위에 남지 않는 것이다. 본원에 표현된 "미사용 재료(virgin material)"는 재생 재료를 전혀 포함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은 재료를 의미한다.
재생 재료를 포함하는 코어가 커버에 의해 완전히 덮어지거나 또는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재생 재료는 손잡이의 외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즉, 코어는 기구(1)의 외면으로부터 떨어져 격리되어 있다. 따라서, 구강관리기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재생 재료로 제조되면서도, 손잡이에 사용자가 상기 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유지하기에 적당한 부드럽고, 편안하며, 시각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것은 코어의 조성, 형태 또는 표면 마무리와는 무관하게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재생 재료는 재생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재생 재료가 사용 후 수거된 재생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한다. 재생 재료는 열가소성 폴리머와 같은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재생 재료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저밀도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LDPE, HD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크릴 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N)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는 발포 재료(foamed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코어는 팽창된 발포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재생 재료는 플라스틱, 금속, 합금, 세라믹, 유리, 복합물, 또는 목재 가루, 톱밥 가루 또는 나무 부스러기 등의 유기 재료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코어는 재생 재료와 추가적인(선택적으로 비재생된)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재료에는 플라스틱, 금속, 합금, 세라믹, 유리, 복합물, 또는 목재 가루, 톱밥 가루 또는 나무 부스러기 등의 유기 재료가 있다. 다르게는 또는 부가적으로, 재생 재료는 둘 이상의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부가적으로, 코어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어가 적어도 50 중량%의 재생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코어가 적어도 75 중량%의 재생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어가 적어도 90 중량%의 재생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다.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어가 적어도 95 중량%의 재생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코어가 적어도 99 중량%의 재생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다.
커버에는 소비-후 수거된 재생 재료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에는 재생 재료가 없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커버는 0 중량% 내지 30 중량% 사이의 소비-전 수거된 재생 재료와 같은 재생 재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는 미사용 식품-등급 플라스틱(virgin food-grade plastic)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커버는 바이오-소스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커버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AP)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AB) 같은 셀룰로오스 폴리머를 포함한다.
커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투명한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커버의 제1부분은 제1재료로 제조되고, 커버의 제2부분은 제2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제2재료는 제1재료와 동일한 물질이거나 또는 제1재료와 다른 물질일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제1 및 제2재료가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재료는 제2재료보다 더 경성(harde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재료는 경성 재료이고, 제2재료는 탄성 재료일 수 있다. 제1재료는 열가소성 폴리머 같은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재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같은,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커버는 기구의 표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의 제2부분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커버는 코어 상에 오버 몰딩 된다.
선택적으로, 손잡이는 커버 상에서 코어와 접촉하지 않고 오버 몰딩되는 하나 이상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세척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구강관리기구는 칫솔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연성조직 세척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구강관리기구가 연성조직 클리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구강 관리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방법은: 재생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커버 재료로 재생 재료를 에워싸서 구강관리기구의 손잡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재생 재료로 이루어진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에워싸는 커버 재료로 이루어진 커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워싸는 단계는 커버 재료로 재생 재료를 에워싸는 단계를 포함하여, 손잡이를 가진 몸체 및 구강 관리기구의 헤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이 적어도 하나의 세척 요소를 가진 헤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은 재생 재료로 코어를 생성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형성 단계는 재생 재료를 유동성 상태로 금형의 공동 내로 주입하는 단계 및 재생 재료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형성 단계는 재생 재료를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코어를 재생 재료로 이루어진 또는 포함하는 코어 재료의 예비 형성된 형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재생 재료를 발포하는(foaming)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코어의 적어도 일부를 중공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코어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중 한쪽 또는 양쪽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워싸는 단계는 코어가 경성인 경우에 바람직하게, 커버 재료로 코어를 에워싸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워싸는 단계는 커버 재료로 코어를 오버 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워싸는 단계는: 커버 재료가 유동성인 상태이고 코어가 코어의 표면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금형의 공동의 벽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커버 재료로 코어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덮는 단계; 및 커버 재료가 유동성인 상태에서 코어의 표면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 재료는 제1재료 및 제2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에워싸는 단계는 제1재료로 코어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덮는 단계 및 제2재료로 코어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덮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에워싸는 단계는 코어의 하나 이상의 제2부분을 은폐하면서 제1재료로 코어의 하나 이상의 제1부분을 덮는 단계와, 코어의 하나 이상의 제2부분을 노출하는 단계, 및 제2재료로 코어의 하나 이상의 제2부분을 덮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경우에, 제2재료는 제1재료와 동일한 물질이거나 또는 제1재료와 다른 물질일 수 있다. 제1 및 제2재료는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재료는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폴리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재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같은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워싸는 단계는, 코어 재료가 연성 및/또는 유동성 상태로 있는 동안 커버 재료로, 재생 재료를 함유한 코어 재료를 에워싸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에워싸는 단계는 예를 들어 금형의 공동에, 유동 상태의 커버 재료를 제공하고, 다음 코어 재료를 커버 재료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코어 및 커버 재료는 경화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재생 재료는 사용 후 수거된 재생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재생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한다. 재생 재료는 둘 이상의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재생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는 재생 플라스틱 재료의 펠렛(pellets) 또는 플레이크(flakes)를 용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재생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병, 카톤, 패키징 또는 일회용품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 구조를 과립으로 하여(granulating) 재생 플라스틱 재료의 펠렛 또는 플레이크를 생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재생 재료 및 예를 들어 비재생 재료로서 재생 재료와 다른 재료인 추가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와, 재생 재료 및 추가 재료를 커버 재료로 에워싸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강관리기구의 손잡이를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는 재생 재료와 추가 재료로 이루어진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에워싸는 커버 재료로 이루어진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 재료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금속 또는 합금, 세라믹, 유리, 복합물, 또는 목재 분진, 톱밥이나 목재 부스러기 등의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재료가 소비-후 수거된 재생 재료는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가 재생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가 미사용 식품-등급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그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커버는 예를 들면 0과 30 중량% 사이의 소비-전 수거된 재생 재료와 같은 재생 재료를 포함한다. 커버는 바이오-소스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커버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같은, 셀룰로오스 폴리머를 포함한다. 커버는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양태는 본 발명의 제2양태의 방법에 의해 구해진 구강관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강관리기구는 본 발명의 제1양태와 관련하여 상술 된 선택적인 특징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관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강관리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관리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강관리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강관리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VI-VI선을 따라 절취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관리기구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관리기구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VII-VII선을 따라 절취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관리기구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관리기구의 횡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통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용도 또는 사용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실시예를 통한 설명을 본원의 전체 명세서의 일부로 판단되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한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에서, 방향에 대한 임의적인 표현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표현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평하여", "하향하여", "상향하여" 등과 같은 표현으로부터 파생된 "하향", "상향", "수평", "수직", "위", "아래", "상부" 및 "하부"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이하의 설명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을 참고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이런 상대적인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어서, 장치가 그와 같이 분명하게 나타낸 것 이외에 특별한 방향으로 장치를 구성하거나 작동할 필요는 없다. "부착", "고정", "연결", "계합", "결합", "상호 연결"과 같은 용어는, 다르게 표현된 것을 제외하고는 양쪽 이동성이나 단단한 부착 또는 상호관계와 같이, 구조가 개입 구조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고정되거나 부착되는 상호관계로 표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과 이득이 양호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명의 특징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것과 조합하여 있을 수 있는 특징의 가능한 비-제한적인 조합을 설명하는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칫솔의 측면에서 설명되어 지지만, 예를 들어 연성조직 클리너 같은 다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자루달린(ansate) 기구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다. 구강관리기구는 자체 내장되는 포터블 휴대용 기구가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가 활용될 수 있으며, 구조적 및 기능적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 경우에는 칫솔이며, 도면번호 '1'로 지시된 구강관리기구를 나타낸다. 칫솔(1)은 일반적으로 손잡이(110), 목부(140) 및 헤드(120)로 이루어진 본체(1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기구는 자루달린 기구(1)이다. 목부(140)는 손잡이(110)의 종방향 단부에 배치되며, 목부(140)에 의해 손잡이(110)가 헤드(120)에 연결된다. 헤드(120)는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구강 내로 들어가는 부분이며, 실제로는 목부(140)의 적어도 일부도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입 안에 들어갈 수 있다. 칫솔(1)은 또한 헤드(120) 및 목부(140)의 종축(L)으로 간주 될 수 있는 종축(L)을 갖는다.
헤드(12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세척요소(130)를 갖는다. 세척요소(130)는 헤드(120)의 앞면(122) 너머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 요소(130)가 치아 세척요소를 포함하지만, 본 실시예의 변경에서는 상기 세척 요소가 이들 대신에 또는 부가하여 연성조직 세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세척 요소(130)는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적당한 종래의 부착방법으로 헤드(1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종래의 부착방법은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서, 앵커 프리 터프팅(AFT), 인 몰드 터프팅(IFT), 스테이플링 및 앵커링 등이 있다. 치아 세척 요소(130)는 다양한 칫솔모 및/또는 엘라스토머 클리닝 및/또는 폴리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세척 요소(130)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각각의 강모 스트랜드를 상세히 나타내지 않고, 블록으로 예시된 것이다.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지만, 제공된 칫솔모는 바람직하게 나일론으로 제조된 것이다. 또한, 칫솔모는 바람직하게 대체로 원형 단면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다른 단면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칫솔모의 직경은 칫솔모의 원하는 세정 작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제공된 연성조직 세척 요소(들)는, 바람직하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같은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로 제조된다. 연성조직 세척 요소(들)는 가늘고 긴 요소와 같은 하나 이상의 조직 계합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계합요소는 선형 또는 비선형 요소일 수 있으며, 및/또는 하나 이상의 너브(nub)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너브"는 일반적으로 기부 표면으로부터 직립하여 있는 (돌출부의 단면 형상에 제한을 받지 않는) 칼럼 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바람직한 구성의 너브는 (길이방향으로 측정) 너브의 기부에서 폭보다 더 큰 높이를 갖는다. 그러나, 너브는 상기 폭 및 높이가 대체로 같거나 또는 높이가 기부 폭보다 약간 작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상황(예, 너브가 팁에 대해 경사지거나 작은 돌기에 대해 좁아진 기부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서는, 기부 폭을 실질적으로 높이보다 크게 할 수 있다.
헤드(120)에 있는 세척 요소(130)는 임의의 적절한 형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제공되는 세척 요소(들)(130)의 특별한 배치, 형상, 유형, 및/또는 수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헤드(120)의 앞면(122) 자체, 상기 앞면(122)의 반대편의 뒷면(124), 및 헤드(120)의 양측의 대향 측면(126, 128)은 상술한 임의적 형태의 엘라스토머제 혀 클리너 및/또는 다른 치아 또는 연성조직 세척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헤드(120)는 평면도에서 가늘고 긴 타원형 또는 계란 모양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헤드(120)가 평면도에서 원형 또는 사실상 직사각형일 수 있다.
손잡이(11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 및 조작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된 부재이다. 손잡이(11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기에 적당한 인체 공학적이고 미학적인 치수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외관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손잡이(110)는 외부 커버, 쉘 또는 하우징(112) 및 커버(112)에 의해 에워싸인 코어(118)를 포함한다. 즉, 커버(112)는 코어(118)를 완전히 덮거나 둘러싸서, 코어(118)의 어떤 부분도 기구(1)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커버(112)는 코어(118)의 표면(119)과 접촉한다. 커버(112)는 소비-후 수거된 재생 재료가 없으며, 바람직하게 미사용 식품-등급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이 실시예의 변형 예에서는, 상기 커버(112)가 선택적으로 커버(112)의 최대 30 중량% 까지 소비-후 재생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112)의 제1부분(114)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AP)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AB) 등의 경성 바이오-소스 셀룰로오스 폴리머로 제조된다. 커버(112)의 제1부분(114)은 투명하여, 기구(1)의 외부로부터 커버(112)의 제1부분(114)을 통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변형에서는, 상기 커버(112)의 제1부분(114)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부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 예에서는, 제1부분(114)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그와 같은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커버(112)의 제2부분(116)은 불투명하고 탄성인 재료로, 이 경우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로 제조된다. 제2부분(116)은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기구(1)를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동안 탄력 그립으로 작동하는 손잡이(110) 부위에 위치한다.
커버(112)의 제1부분(114)은 코어(118)의 제1부분과 접촉하며, 커버(112)의 제2부분(116)은 코어(118)의 제2부분과 접촉한다. 즉, 제1 및 제2부분(114, 116)의 각각은 코어(118)의 표면(119)과 접촉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부분(114, 116)의 각각이 상기 커버(112)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시된 제1실시예에 대한 변형 예에서, 손잡이(110)는 단 하나의 제2부분(116)보다는 복수의 제2부분(116)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구(1)를 도 3에 도시했다. 도 3에서, 유사 요소는 도 2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도면 번호로 나타내었다. 2개의 실시예에서 공통인 요소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제1실시예에 대한 모든 가능한 변형은 제2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부분(116)은 손잡이(110)의 종축을 따라 및/또는 손잡이(110)의 둘레 부위에서 기구(1)의 표면으로부터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복수의 제2부분(116)은 모두 TPE로 제조된다. 따라서 기구(1)를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과 접촉하는 복수의 탄성 그립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대한 변형에서는 제2부분(116)이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복수의 이격 분리된 제2부분(116)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이 TPE와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추가하여, 복수의 이격 분리된 제2부분(116)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부분이 PP, CAP 또는 CAB와 같은 경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손잡이(110)의 제1부분(114)과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경우, 예를 들면 제1부분(114)이 제2부분(116) 중 하나 또는 모두와 다른 색상을 갖는 경우, 부분(114, 116)이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과는 무관하게, 복수의 이격 분리된 제2부분(116)은 매력적인 외관을 손잡이(110)에 제공할 수 있다.
커버(112)의 제2부분(116)의 각각은 코어(118)의 각각의 제2부분과 접촉한다.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부분(114, 116)의 각각은 코어(118)의 표면(119)과 접촉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부분(114, 116)의 각각은 커버(112)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 된다.
도 3에 도시한 제2실시예의 기구(1)에서, 손잡이(110)는 부가 섹션(117)을 갖고, 상기 섹션은 TPE로 제조되며, 손잡이(110)의 그립 부분의 추가 부분을 형성한다. 손잡이(110)의 상기 섹션(117)은 코어(118)의 어느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으므로, 따라서, 커버(112)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섹션(117)을 설치한 결과로, 손잡이(110)의 외부 표면의 일부 부분이 커버(112)로 형성된다. 즉, 표면(111)이 커버(112)로 형성되며, 또한 손잡이(110)의 다른 섹션(117)으로도 형성된다. 섹션(117)은 커버(112)에 오버 몰딩 된다. 이 실시예의 변형에서는 섹션(117)이 커버(112)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예시된 제2실시예의 변형에서는 손잡이(112)가 상기 섹션(117)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섹션(117)이 제1실시예의 기구(1)에 제공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도, 하나 이상의 섹션(117)이 제공되는 경우, 복수의 섹션(117)은 모두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구(1)의 제3실시예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도 2 및 도 3과 유사한 요소들은 도 2 및 도 3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해, 3개의 실시예에서 공통인 요소들에 대한 도 4에 도시된 요소에 대한 설명은 다시 하지 않을 것이다. 여기에 기술된 제1 및 제2실시예에 대한 가능한 모든 변경은 제3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것이다.
제3실시예에서, 코어(118)는 목부(140)쪽으로 손잡이(110)로부터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코어(118)는 손잡이(110)로부터 목부(140)와 헤드(120) 모두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구강관리기구(1)의 상당한 부분을 소비-후 수거된 재생 재료로 제조하면서, 여전히 기구(1)에는 그 일부 즉, 기구(1)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가 유지하는 부분 및 사용자의 구강 내부 조직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부드럽고 편안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코어(118) 전체는 제1 및 제2실시예의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커버(112)에 의해 에워싸인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서도, 재생 재료의 코어(118)는 기구(1)의 외부 면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예시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대한 변경에서는 손잡이(110)의 커버(112)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직 하나의 제1부분(114)을 갖기 보다는 복수의 제1부분(114)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부분(114)은 손잡이(110)의 종축을 따른 위치 및/또는 손잡이(110)의 둘레를 따른 위치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부분(116)에 의해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제1부분(114)은 모두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구(1)의 제4실시예를 도 5에 도시했다. 도 5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구성 요소 및 사용된 도면 부호와 유사한 요소 및 부호에 대해서는 간결한 도시를 위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었으며, 4개의 실시예에서 공통인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시 하지 않을 것이다. 본원에 기술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대한 변경 가능한 모든 실시예는 제4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구강관리기구(1)의 제4실시예의 손잡이(110)는 코어(118) 및 상기 코어(118)를 에워싸는 커버(112)를 포함하지만, 도 3에 도시된 섹션(117)에 상당하는 부분 및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2부분(들)에 상당하는 부분은 제외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112)는 바람직하게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코어(118) 위에 성형되는 일체형 성형품이다. 커버(112)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하여서, 코어(118)가 기구(1)의 외부에서 전혀 볼 수 없거나 또는 희미하게 볼 수 있을 뿐이다.
제1, 제2 및 제4실시예의 각각에서, 기구(1)의 목부(140) 및 헤드(120)는 커버(112)로 형성된다. 즉, 헤드(120), 목부(140) 및 손잡이(110)의 커버(112)는 모두 단일 성형품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제3실시예에서는, 기구(1)의 목부(140) 및 헤드(120)가 부분적으로 커버(112)로 형성된 것이다. 즉, 손잡이(110)의 커버(112) 및 헤드(120)와 목부(140)의 외측 부분이 모두 단일 성형품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코어(118)의 어느 부분도 기구(1)의 외부 면에서 노출되지 않는다.
제1 내지 제4실시예의 각각에서, 커버(112)는 코어(118)의 표면(119) 상에 오버 몰딩 된다. 바람직하게, 이 같은 형성은 후술하는 제조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그러나, 이들 4개의 실시예들 각각의 변경에서는 커버(112), 또는 일부 부분(114, 116)이 대신하는 다른 방법에 의해 코어(118)의 표면(119)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12), 또는 그 일부 부분(114, 116) 만이 대신하여, 코어(118)의 표면(119)에 부착되거나 또는 코팅 또는 필름으로 코어(118)의 표면(119)에 코팅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실시예들 각각에서, 코어(118)는 도 6 및 도 7에 예를 들어 나타낸 바와 같이, 발포된(foamed) 소비-후 수거된 재생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한다. 도 6은 제1실시예의 칫솔의 단면도이며, 커버(112)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제1부분(114)과 대비되는 발포된 코어(118)를 명확하게 나타낸다. 도 7은 제2실시예의 칫솔의 단면도이며, 커버(112)의 각각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제1 및 제2부분(114, 116)과 대비되는 발포된 코어(118)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에 대한 변형에서, 코어(118)는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2개 이상의 다른 재생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코어(118)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저밀도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LDPE, HD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N)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재료와 같은, 2개 이상의 소비-후 수거된 재생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재생 플라스틱 재료에 더해진 다른 변형에서는, 코어(118)가 또한 상기 목록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비재생된(즉, 미사용된) 플라스틱 재료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재생 플라스틱 재료에 더하여, 코어(118)도 또한 금속 또는 합금, 세라믹, 유리, 복합물, 또는 목재 분진, 톱밥 또는 나무 부스러기 등의 유기 재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재생 또는 비재생(즉, 미사용) 비-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구조를 각각 변경한 것이며, 그 변경에서 코어(118)는 고체 재료의 조각 또는 덩어리를 포함하며, 이 경우 톱밥인 고체 재료는 폴리머 매트릭스에, 이 경우에는 폴리프로필렌 바인더에 현탁된다.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 커버(112)의 각각의 제1부분(114)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코어(118)는 재생 재료에 첨가된 착색제를 포함하여 커버(112)를 통한 코어(118)의 가시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에 대한 변형에서, 코어(118)는 착색제(또는 적어도 재생 재료로 기구(1)를 제조하는 동안 재생 재료에 첨가된 착색제)를 제외할 수 있으며, 특히 커버(112)의 전체가 불투명 한 경우에 제외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실시예들 각각에서, 코어(118)는 약 95 중량% 재생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에 대한 각각의 변형에서, 코어(118)는 상기 백분율의 재생 재료보다 많거나 적은 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코어는 적어도 50 중량% 재생 재료만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코어(118)는 적어도 75 중량% 재생 재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어(118)는 적어도 90 중량% 재생 재료,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 재생 재료,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 재생 재료를 포함한다. 코어(118)는 발포 작용제 및/또는 착색제와 무관할 수 있다. 자연적으로, 코어(118)에 재생 재료가 많이 제공될수록, 기구(1) 제조에 사용되는 미사용된 재료의 양은 적어진다.
제1, 제2 및 제4실시예의 각각에서, 코어(118)는 기구(1)의 용적의 최대 약 20% 내지 25%를 차지하고, 손잡이(110)의 용적의 최대 약 30% 내지 40%를 차지한다. 제3실시예에서, 코어(118)는 기구(1)의 용적의 최대 약 30% 내지 40%를 차지하고, 손잡이(110)의 용적의 최대 약 30% 내지 40%를 차지한다. 이들 실시예에 대한 변경에서, 커버(112)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보다 더 가늘 수 있으며, 이 경우 코어(118)는 기구(1) 및 기구의 손잡이(110)의 비율보다 더 많이 차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코어(118)는 손잡이(110)의 용적의 70% 보다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어(118)는 손잡이(110)의 용적의 80%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코어(118)가 손잡이(110)의 용적의 90% 이상으로 형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110)의 커버(112) 부분은 코어(118) 상에 제공된 코팅 또는 필름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코어는 손잡이(110)의 용적의 95% 이상을 형성할 수 있고, 심지어는 손잡이(110)의 용적의 98% 이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된 4개의 실시예에서, 헤드(120)는 목부(140)를 통해 손잡이(110)에 움직일 수 없게(irremovably) 연결된다. 제1, 제2 및 제4실시예에 대한 각각의 변동에서, 헤드(120)는 손잡이(1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서, 세척 요소(130)가 마모되었을 때 전체 기구(1)를 폐기할 필요없이, 헤드(120)를 대용할 수 있다. 그런 변동에서는 목부(140)가 헤드(120)를 가진 손잡이(110)로부터 제거되거나, 또는 목부(140)가 손잡이(110)를 가진 헤드(12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술된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대한 각각의 변경에서, 커버(112)의 제1 및 제2부분(114, 112)은 PP와 같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제1부분(114)을 제2부분(들)(116)과는 다른 색으로 착색할 수 있다.
예시된 제2 및 제3실시예에 대한 변경에서, 기구(1)의 표면으로부터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2개 이상의 제2부분(116)은 기구(1)의 밑에서 서로 직접적인 연통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코어(118) 및/또는 제1부분(114)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구멍 내에는 2개 이상의 제2부분(116)을 형성하는 구멍 재료가 배치된다. 상기 구멍은 원주 둘레를 완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구(1)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주입 재료를 단일 샷(single shot)을 사용하여 서로 접촉하는 제2섹션(116)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강관리기구를 형성하기 위한 제1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제2실시예의 기구(1)는 이런 제1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1단계로서, 병, 판지, 포장재,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다른 1회 용품(예를 들면, 전(pre)-사용된 구강관리기구)같은 하나 이상의 소비-후 수거된 플라스틱 구조물이, 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처리되어, 적어도 실질적으로 완전한 재생된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거나 그 물질로 이루어진 재료를 생성한다.
다음, 재생 열가소성 물질은 용융되어, 사출성형에 의해 코어(118)를 형성하도록, 금형의 공동 내로 주입된다. 사출성형에 의해 코어(118)를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완전한 설명을 위해 아래에 기술한다.
펠릿(pellets) 형태일 수 있는 재생 재료가 사출 성형기의 호퍼 또는 실린더에 도입되며, 호퍼에서 상기 재료는 기계적 및 열처리의 조합을 통해, 가소성으로 되어, 혼합된다. 펠릿 형태일 수 있는 착색제가 호퍼 내의 재생 재료에 첨가되어 함께 가소화 및 용융되어서, 생성된 코어(118)에 컬러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포 작용제도 이어지는 재료의 발포가 일어나도록 호퍼에 첨가될 수 있다. 다르게는, 재료가 가소화 및 용융된 후, 착색제 및/또는 발포제를 재생 재료에 첨가할 수 있다.
재생 재료는 호퍼로부터 공급 도관을 통해 금형의 제1공동 내로 유동 상태로 코어 재료로써 공급되며, 제1공동은 금형의 각각의 하프(half) 금형의 벽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공동은 원하는 형상의 코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주형은 냉각되어 코어 재료를 경화시킨다. 또한, 재료가 발포제를 포함하여서, 제1공동 내에서 재료는 발포된다. 제1공동 내의 압력을 감소시켜, 재료의 발포를 촉진할 수 있다. 경질의 코어(118)가 형성되면, 하프 금형이 서로 분리되어, 코어(118)가 금형의 제1공동으로부터 배출되거나 다르게 제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코어(118)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었더라도, 코어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정 형상의 코어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른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계는 코어(118)를 대형 재료(118)를 절단하거나 또는 코어 재료(재생 재료를 포함하거나 구성하고 있음)를 압출하여 코어(118)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코어(118)가 압출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코어(118)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부분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코어(118)의 일부분이 튜브로 형성되며, 따라서 코어(118) 및 기구(1)를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재료의 양이 감소 된다. 일례의 압출 공정에서, 코어 재료(재생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루어졌음)는 환형 다이에서 압출되어, 일정 길이로 절단하며, 그 사이에서는 여전히 연성이며, 코어(118)의 각각의 단부에서는 협지-셧 절단을 초래하여, 코어(118) 내에 공기 방울을 생성하도록 코어의 단부를 밀봉한다. 다른 예의 압출 공정에서는 코어 재료(재생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루어졌음)가 환형 다이로부터 압출되어, 일정 길이로 절단되며, 상기 절단은 코어 재료(118)가 완전히 경화되었거나 부분적으로 경화되었을 때 이루어지며, 관형 형태의 코어(118)를 초래한다. 상기 방법에 대한 다른 변형에서는, 코어(118)가 코어 재료(재생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루어졌음)의 예비 형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단 제공되었으면, 경성의 코어(118)는 제2공동(제1금형 또는 제2금형 중 어느 하나에 있음)에 배치되며, 상기 공동은 형성되는 기구(1)의 헤드(120)와 목부(14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1용적과, 손잡이(110)의 커버(112)의 제1부분(114)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용적을 갖는다. 제1 및 제2용적은 동일한 제2공동의 일부이어서, 따라서 서로 유체가 연통한다. 제1용적은 터프트 홀이 헤드(120)에 형성되기에 적당한 형상을 갖고, 상기 홀에서 치아 세척 요소(130)는 나중에 스테이플을 사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용적은 제1공동의 용적보다 큰 용적을 갖고, 상기 큰 용적은 커버(112)의 제1부분(114)을 형성할 제1커버 재료가 코어(118) 둘레로 흘러가 코어(118)의 표면(119)의 제1부분과 접촉할 수 있게 한다. 코어(118)는 차단기(shut-off)와 같은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에 의해 제2공동의 벽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코어(118)의 표면(119)의 제2부분과 접촉한다. 따라서, 표면(119)의 제2부분은 제2공동으로부터 은폐되며, 반면에 코어(118)의 표면(119)의 제1부분은 제2공동에 노출된다.
그 후, 본 실시예에서는 소비-후 수거된 재생 재료(선택적으로 미사용된 식품-등급 플라스틱)가 없고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1커버 재료는, 유동 가능한 상태에서 제2공동에 도입된다. 본 실시예의 변형에서, 제1커버 재료는 소비-전 수거된 재생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충분한 제1커버 재료를 제공하여 커버(112)의 제1부분(114)을 완전하게 형성한다. 제1커버 재료는 코어(118)의 표면(119)의 제1부분(114)을 덮고, 표면(119)의 제2부분은 은폐된다. 제1커버 재료는 그 후 경화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112)의 제1부분(114)은 코어(118) 상에 오버 몰딩 된다.
다음, 제2금형의 하프 금형이 서로 분리되며, 헤드(120), 목부(140), 제1부분(114) 및 코어(118)의 조합체는 제2금형의 제2공동으로부터 배출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제거된다.
다음, 상기 조합체는 (제1금형 또는 다른 금형에 있는) 제3공동에 배치되며, 상기 제3공동은 헤드(120)와 목부(14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1용적 및, 전체 손잡이(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용적을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용적은 동일한 제3공동의 부분이며, 따라서 유체가 서로 연통하고 있다. 제1용적은 상기 제2공동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한 용적을 갖는다. 다른 한편, 제2용적은 제2공동의 용적보다 큰 용적을 갖고, 상기 큰 용적은 커버(112)의 제2부분(116)과 섹션(117)을 형성할 제2커버 재료가 상기 조합체의 둘레를 흐르게 하여, 코어(118)의 표면(119)의 제2부분과 접촉하게 한다. 따라서, 표면(119)의 제2부분은 제3공동에 노출된다.
그 후, 이 실시예에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를 포함하는 제2커버 재료가 유동 상태에서 제3공동에 도입된다. 충분한 제2커버 재료를 제공하여 커버(112)의 제2부분(116)을 완전하게 형성하며, 섹션(117)을 형성한다. 제2커버 재료는 코어(118)의 표면(119)의 제2부분을 덮고, 반면에 표면(119)의 제1부분은 제1부분(114)에 의해 은폐된다. 제2커버 재료는 그 후 설정(set)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커버(112)의 제2부분(116), 실제로는 전체의 커버(112)가 코어(118)에 오버 몰딩 된다. 즉, 코어(118)는 커버 재료에 의해 싸여지며, 상기 커버 재료는 제1커버 재료와 제2커버 재료를 포함한다.
다음, 제3공동을 형성하는 하프 금형이 서로 분리되며, 기구(1)의 몸체(100)가 제3공동으로부터 배출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제거된다.
마지막으로, 본체(100)는 최종 마무리된 기구(1)를 얻기 위해 헤드(120)에 형성된 터프트 홀 내에 치아 세척요소(130)를 설치하는 공정을 받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정은 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른 스테이플을 사용하여 상기 홀 내에 번들의 칫솔모(13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강관리기구를 형성하기 위한 제2방법에 대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기구(1)는 제2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제2방법은 대체로 상술된 제1방법과 동일하다. 그러나, 제2방법에서는, 일단 제공되었고, 제2공동에 있는 경우, 경성의 코어(118)가 차단기 같은 단 하나의 스페이서에 의해 제2공동의 벽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그것은 코어(118)의 표면(119)의 단 하나의 제2부분과 접촉한다. 그 후, 제1커버 재료는 유동 상태에서 제2공동에 도입되어 코어(118)의 표면(119)의 제1부분을 덮고, 그 동안 표면(119)의 제2부분은 은폐되며, 그 후 경화된다.
제2공동을 형성하는 하프 금형은 서로 분리되며, 헤드(120), 목부(140), 제1부분(114) 및 코어(118)의 조합체는 제2공동으로부터 배출되거나 또는 다르게 제거된다.
상기 조합체가 부차적으로 제3공동 내에 배치될 때, 제3공동의 제2용적은 제2공동의 용적보다 큰 용적을 가져서, 제2커버 재료가 상기 조합체의 둘레로 흘러가 커버(112)의 하나의 제2부분(116)을 형성하여, 코어(118)의 표면(119)의 하나의 제2부분과 접촉한다. 따라서, 표면(119)의 하나의 제2부분은 제3공동에 노출된다. 제2커버 재료가 유동 상태로 제3공동에 도입되는 경우, 커버(112)의 하나의 제2부분(116)을 완전하게 형성하는 데에만 충분한 제2커버 재료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제2커버 재료는 코어(118)의 표면(119)의 하나의 제2부분을 덮고, 표면(119)의 제1부분은 제1부분(114)에 의해 은폐된다. 그 후, 제2커버 재료는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커버(112)의 제2부분(116), 사실상 전체 커버(112)가 코어(118) 상에 오버 몰딩되어서, 커버(112)가 코어(118)를 에워싸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체(100)는 헤드(120)에 형성된 터프트 홀에 치아 세척요소(130)를 배치하는 공정을 거쳐서 최종 마무리된 기구(1)가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방법에 대한 변형에서, 제1 및 제2커버 재료는 동일한 재료,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폴리머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강관리기구를 형성하는 제3방법에서는, 코어(118)가 궁극적으로 목부(140)의 일부를 형성하는, 선택적으로 기구(1)의 헤드(120)의 부분으로도 형성되는 치수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기구(1)는 제3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방법으로, 기구(1)의 손잡이(112)는 도 4에 대해 오직 하나의 제2부분(116) 만을 가질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제3방법은 제2공동에 적당한 대응하는 수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제2부분(116)을 가진 기구(1)를 생성하는데 적합한 것이다.
제3방법에서, 코어(118)는 코어(118)가 종방향으로 큰 길이를 가진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는 사출 성형에 의한 금형의 제1공동에 형성될 수 있다.
제공된 경우, 코어가 제2공동의 제1용적 및 제2용적에서 제2공동의 벽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또는 제2방법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경성 코어(118)는 제1금형 또는 다른 금형의 제2공동에 배치된다. 제1용적은 형성되는 기구(1)의 헤드(120) 및 목부(140)의 형상에 대응하며, 제2용적은 형성되는 기구(1)의 손잡이(110)의 커버(112)의 제1부분(114)의 형상에 대응하며, 제1 및 제2용적은 동일한 제2공동의 부분이며, 따라서 유체는 서로 연통한다. 상기 제2공동은 제1공동의 용적보다 큰 용적을 갖고, 커버(112)의 제1부분(114)을 형성할 제1커버 재료가 코어(118) 둘레를 흐르게 하여, 코어(118)의 표면(119)의 제1부분과 접촉하게 한다. 코어(118)는 다시 차단기 같은 스페이서에 의해 제2공동의 벽으로부터 이격지며, 그것은 코어(118)의 표면(119)의 제2부분과 접촉한다. 그러나, 코어(118)의 증가된 종방향 길이로 인하여, 코어는 제2공동의 제1 및 제2용적 양쪽에서 제2공동의 벽으로부터 국부적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표면(119)의 제2부분이 제2공동으로부터 은폐되며, 코어(118)의 표면(119)의 제1부분은 제2공동으로부터 노출된다.
그 후, 제1 또는 제2방법에 대해 상술 한 바와 같이 제1커버 재료는 실질적으로 유동 가능한 상태에서 제2공동에 도입된다. 충분한 제1커버 재료가 제공되어 커버(112)의 제1부분(114)을 완전하게 형성한다. 제1커버 재료는 표면(119)의 제2부분을 은폐하면서 코어(118)의 표면(119)의 제1부분을 덮는다. 제1커버 재료는 그 후 경화가 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112)의 제1부분(114)은 코어(118) 상에 오버 몰딩 된다.
다음, 제2공동을 형성하는 하프 금형은 서로 분리되며, 헤드(120), 목부(140), 제1부분(114) 및 코어(118)의 조합체는 제2공동으로부터 배출되거나 제2공동으로부터 다르게 제거된다. 다음, 상기 조합체는 제2방법에 대해 상술 한 바와 같이 조합 한 후, 제2커버 재료를 사용하여 하나의 제2부분(116)의 생성을 위해 동일한 금형 또는 다른 금형의 제3공동에 배치되어서, 커버(112)가 코어(118)를 에워싼다.
상술한 제1 내지 제3방법에 대한 각각의 변형 예에서, 제2공동에 사용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위치설정 핀이 될 수 있음) 중 하나 이상이 제2공동 내로 제1커버 재료를 도입하는 동안 또는 도입 후(그러나, 임의의 경우에는, 제1커버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흐르는 동안) 코어(118)의 표면(119)으로부터 철회되어서, 제1커버 재료가 제2공동의 벽에 대한 코어(118)의 위치 설정에 혼란을 주지 않고 스페이서(들)의 제거에 의해 뒤에 남겨진 공극을 채운다. 따라서, 표면(119)의 제2부분을 은폐하면서 제1커버 재료가 코어(118)의 표면(119)의 제1부분을 덮고, 다음 상기 제1커버 재료는 스페이서(들)가 철회 또는 제거된 후에 표면(119)의 제2부분 중 하나 이상을 덮는다. 상기 제1커버 재료는 그 후 경화되기 시작하며, 제1 및 제2방법 중 하나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조합체는 제2공동으로부터 토출되어 제3공동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강관리기구를 형성하는 제4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기구(1)는 제4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4방법에서는 기구의 코어(118)가 제공된다. 코어(118)는 상술한 제1, 제2 또는 제3방법의 관련 부분 중 하나에 의해 또는 다른 임의적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경성의 코어(118)가 제1금형 또는 제2금형의 제2공동에 배치되며, 제2공동은 형성되는 기구(1)의 헤드(120)와 목부(14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1용적 및, 형성되는 손잡이(110)의 최종 형상에 대응하는 제2용적을 갖는다. 제1 및 제2용적은 동일한 제2공동의 부분이며, 따라서 서로 유체가 연통한다. 제1용적은 다시 터프트 홀(120)이 헤드(120)에 형성되게 하기에 적당한 형상을 갖는다. 제2용적은 커버 재료가 코어(118) 주위로 흘러가서 커버(112)를 형성하고, 코어(118)의 표면(119)의 제1부분과 접촉하게 형성된 용적을 갖는다. 코어(118)는 예를 들어 위치설정 핀과 같은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에 의해 제2공동의 벽으로부터 이격져 있으며, 그것은 코어(118)의 표면(119)의 각각의 제2부분(들)과 접촉한다. 따라서, 표면(119)의 제2부분(들)은 제2공동으로부터 은폐되며, 반면에 코어(118)의 표면(119)의 제1부분은 제2공동에 노출된다.
그 후, 본 실시예에서는 미사용 식품-등급 CAP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커버 재료가 유동 상태에서 제2공동에 도입된다. 표면(119)의 제2부분(들)을 스페이서(들)에 의해 은폐하면서, 커버 재료는 코어(118)의 표면(119)의 제1부분을 덮는다.
다음,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들)가 제2공동 내로 커버 재료를 도입하는 동안 또는 도입 후에 (그러나, 특정 경우에는 적어도 커버 재료의 일부분이 유동성으로 있는 동안) 코어(118)의 표면(119)으로부터 철회되어서, 커버 재료가 공동의 벽에 대한 코어(118)의 위치에 방해를 주지 않고 스페이서(들)를 제거하여 뒤에 남아있는 공극(void)을 채운다. 따라서, 상기 커버 재료는 표면(119)의 제2부분(들)을 은폐하면서 코어(118)의 표면(119)의 제1부분을 덮고, 다음 스페이서를 철회 또는 제거한 후에 표면(119)의 제2부분(들)을 덮는다. 최종적으로, 커버 재료는 표면(199)의 모든 부분을 덮고, 코어(118)를 에워싸고, 기구(1)의 외면도 형성한다. 커버 재료는 그 후 경화시킨다. 따라서, 전체 커버(112)가 코어(118)를 에워싸도록 코어(118) 상에 오버 몰딩 된다.
다음, 제2공동을 형성하는 하프 금형은 서로 분리되며, 헤드(120), 목부(140) 및 손잡이(110)를 포함하는 본체(100)는 제2금형의 제2공동으로부터 토출되거나 다르게 제거된다.
마지막으로, 본체(100)는 완성된 기구(1)를 얻기 위해서 헤드(120)에 형성된 터프트 홀에 치아 세척 요소(130)를 배치하는 공정을 받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관리기구를 형성하는 제5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기구(1)는 제5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5방법에서는 커버 재료로 경성 코어(118)를 덮는 것보다, 상기 방법은 커버 재료로 코어 재료(재생 재료를 포함함)를 에워싸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 재료는 연성 및/또는 유동가능한 상태에 있다. 제5방법은 단일 공동 금형으로 2중 주입 공정을 하는 것을 포함하며, 커버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연성 및/또는 유동성 상태에 있는 동안, 재생 재료를 포함하는 코어 재료는 금형 공동에 이미 배치된 커버 재료에 주입된다.
먼저, 금형의 공동이 제공되며, 공동은 형성되는 기구(1)의 헤드(120)와 목부(14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1용적, 및 형성되는 손잡이(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용적을 갖는다. 다시, 제1 및 제2용적은 동일한 공동의 부분이고, 따라서 서로 유체가 연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사용 식품-등급 CAP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인 커버 재료가, 코어(118)를 형성할 코어 재료(재생 재료를 포함)가 공동에 도입되기 전 유동 상태에서 공동에 도입된다. 특별하게는, 커버 재료의 짧은 샷이 공동 내로 주입된다. 즉, 공동에 도입되는 커버 재료 용량의 용적은 공동 자체의 용적보다 작고, 그리고 제조되는 기구(1)의 본체(100)의 용적보다 작다. 공동의 벽과 접촉하는 커버 재료의 외부 부분은, 공동의 벽이 냉각되기 때문에 경화하기 시작한다.
커버 재료의 내부 부분은 여전히 연성이면서, 재생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다른 재생 재료를 포함하거나 구성되어 있고, 기구(1)의 코어(118)를 형성할 코어 재료가 공동 내로 주입되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 재료의 내부 부분 내로 주입 된다. 다음, 커버와 코어 재료를 경화시킬 수 있다. (일부 코어 재료가 공동의 벽에 노출된 채로 남아 있다면, 부차적으로 소량의 커버 재료가 공동의 벽으로부터 코어 재료를 완전히 분리하도록 공동 내로 주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커버 재료로부터 형성된 커버는 코어 재료로 형성된 코어를 에워 싸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체(100)는 최종 용품의 기구(1)를 얻기 위해서 헤드(120)에 형성된 터프트 홀에 치아 세척 요소(130)를 배치하기 위한 공정을 실시한다.
상술한 방법에 대한 각각의 변형에서, 코어(118)가 그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가진 경우, 커버 재료(예를 들면, 제2커버 재료)는 주입을 하는 동안 구멍(들)을 통과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과는 형성되는 기구(1)의 표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간격을 두고 있는 커버(112)의 복수의 제2섹션(116)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하게 한다.
상술한 방법에 대한 각각의 변형에서, 펠릿 또는 플레이크를 만드는 재생된 구조는 폴리프로필렌 이외의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플라스틱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는, 상기 구조가 비-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거나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된 방법의 각각에서, 코어 재료에 또는 코어 재료로서 포함되는 재생 재료가 재생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반면에, 상술된 방법에 대한 변형에서는 재생 재료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다음의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비-후 수거된 재생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저밀도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LDPE, HD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N). 다른 변형에서, 다른 실시예에 하나 이상의 재생된 플라스틱 재료에 더하여, 또한, 코어 재료는 상기 목록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의 비-재생(즉, 미사용) 플라스틱 재료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재생 플라스틱 재료에 더하여, 코어 재료도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합금, 세라믹, 유리, 조합체, 또는 목재 분진, 톱밥 또는 나무 부스러기 등의 유기 재료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의 재생 또는 비-재생 비-플라스틱 재료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대한 또 다른 변형에서는, 발포제 및/또는 착색제가 코어 재료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의 각각에서 커버 재료가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하는 반면에, 상기 방법들에 대한 변형에서는 커버 재료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다음과 같은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서 하나 이상의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저밀도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LDPE, HD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크릴 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N). 특정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 재료에 재생 재료가 없거나, 또는 적어도 소비-후 수거된 재생 재료는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실시예에서, 커버 재료(예를 들어, 상술된 제1 및 제2커버 재료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소비-전 수거된 재생 재료를 포함한다.
커버 재료가 투명한 커버 또는 그러한 일부분을 형성하는 상술한 각각의 방법에 대한 변형에서, 커버 재료가 반투명한 또는 불투명한 커버 또는 그러한 일부분을 대신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대한 다른 변형에서, 상기 방법은 추가 구성 요소 및/또는 재료가 코어와의 접촉부로부터 떨어져서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는 추가적인 단계(들)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대한 다른 변형에서, 상기 헤드(120)의 세정 요소(들)(130)의 처리는 스테이플 작업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출 성형 공정(들)을 완료한 후, 터프트 홀에 치아 세척 요소(들)(130)를 다른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배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치아 세척 요소 및/또는 조직 세척 요소 등의 세척 요소(들)(130)는, 금형 공동에 커버 재료를 주입하는 동안 커버 재료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동은 터프트 홀이 헤드(120)에 형성되는데 적절한 형상을 갖지 않고, 세척 요소(들)(130)가 커버 재료로 이루어진 헤드(1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기에 적당한 형상을 가질 것이다. 헤드(120)에 세척 요소(들)(130)를 배치하는 공정은 앵커 프리 터프팅(anchor free tufting)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방법에 의해 헤드(120)를 형성하는 동안 또는 형성한 후에 달성될 수 있다.
상술 한 방법에 대한 또 다른 변형에서는, 기구(1)의 헤드(120) 및/또는 목부(140)가 커버 재료로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헤드(120) 및/또는 목부(140)는 동일한 형성 공정에 의해 기구(1)의 커버(112)와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헤드(120) 및/또는 목부(140)는 예를 들어 손잡이(110) 상에 헤드(120) 및/또는 목부(140)의 재료를 오버 몰딩하여, 후속 공정에서 손잡이(11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는, 헤드(120) 및 선택적으로 목부(140)가 손잡이(110)에서 분리되지만 손잡이(110)에 연결될 수 있는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 경우, 커버(112)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상술한 각각의 공동은 헤드(120)를 갖지 않거나, 또는 그로부터 분리되어, 그리고 선택적으로 또한 목부(140)를 갖지 않거나, 또는 그로부터 분리되어, 손잡이(110)를 형성하기에 적당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공동은 헤드(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용적 및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기구(1)의 목부(140)에도 대응하는 용적을 배제할 수 있다.
1: 구강관리기구 100: 몸체 110: 손잡이 112: 커버 118: 코어
120: 헤드 130: 세척요소 140: 목부

Claims (53)

  1. 구강관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강관리기구는:
    재생 재료로 이루어진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에워싸는 커버로 구성되는 손잡이; 및
    적어도 하나의 세척 요소를 갖고,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재료는 재생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재생 재료는 소비-후 수거된 재생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발포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소비-후 수거된 재생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미사용 식품-등급의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바이오-소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셀룰로오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제1부분은 제1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커버의 제2부분은 제2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재료는 제1재료와는 다른 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재료는 제1재료와 동일한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재료는 제1재료와 다른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료는 제2재료보다 더 경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재료는 경성 재료이고, 제2재료는 탄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료는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재료는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기구의 표면에서 서로 이격 분리된 복수의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코어 상에 오버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커버에 오버 몰딩되며 상기 코어와 접촉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재생 재료와 추가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재료는 2개 이상의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적어도 50 중량%의 재생 재료, 선택적으로 적어도 75 중량%의 재생 재료, 선택적으로 적어도 90 중량%의 재생 재료, 선택적으로 95 중량%의 재생 재료, 선택적으로 적어도 99 중량%의 재생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중공 및/또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세척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구강관리기구는 칫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연성조직 클리닝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구강관리기구는 연성조직 클리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27.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강관리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재생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및
    구강관리기구의 손잡이를 형성하기 위해 커버 재료로 재생 재료를 에워싸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재생 재료를 갖고, 상기 커버는 코어를 에워싸는 커버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단계는 커버 재료로 재생 재료를 에워싸서 구강관리기구의 손잡이와 헤드를 갖춘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세척 요소를 가진 헤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코어를 생성할 형상으로 재생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단계는 유동 가능한 상태로 금형의 공동에 재생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와 재생 재료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단계는 재생 재료를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생 재료를 발포하는(foaming)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2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공 코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코어를 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중 한쪽 또는 양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2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단계는 커버 재료로 상기 코어를 에워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단계는 커버 재료로 코어를 오버 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단계는:
    커버 재료가 유동성으로 있으면서 코어가 코어의 표면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금형의 공동의 벽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커버 재료로 코어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덮는 단계; 및
    커버 재료가 유동성인 상태에서 코어의 표면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철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커버 재료가 제1재료 및 제2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에워싸는 단계는 제1재료로 코어의 하나 이상의 제1부분을 덮는 단계 및 제2재료로 코어의 하나 이상의 제2부분을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단계는 코어의 하나 이상의 제2부분을 은폐시키면서 제1재료로 코어의 하나 이상의 제1부분을 덮는 단계, 코어의 하나 이상의 제2부분을 노출하는 단계, 및 제2재료로 코어의 하나 이상의 제2부분을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재료는 제1재료와 동일한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재료는 제1재료와 다른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료는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재료는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2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단계는 코어 재료가 유동성 상태에 있는 커버 부재로, 재생 재료를 포함하는 코어 재료를 에워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단계는 금형의 공동 내에 유동 가능한 상태에서 커버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 재료에 코어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27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재료는 재생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플라스틱 재료는 사용 후 수거된 재생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27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재료는 2개 이상의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27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는 재생 열가소성 재료의 펠렛 또는 플레이크를 용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는 재생 플라스틱 재료의 펠렛 또는 플레이크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구조물을 과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27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생 재료와 상기 재생 재료와 다른 재료인 추가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재료와 상기 추가 재료를 커버 재료로 에워싸서 구강관리기구의 손잡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재생 재료와 상기 추가 재료로 이루어진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에워싸는 커버 재료로 이루어진 커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27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재료는 소비-후 수거된 재생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27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재료는 미사용 식품-등급의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27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재료는 셀룰로오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청구항 제27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구강관리기구.
KR1020147034722A 2012-05-17 2012-05-17 구강관리기구 및 구강관리기구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0149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2/038235 WO2013172834A1 (en) 2012-05-17 2012-05-17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al care imp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954A true KR20150014954A (ko) 2015-02-09

Family

ID=4627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722A KR20150014954A (ko) 2012-05-17 2012-05-17 구강관리기구 및 구강관리기구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9554640B2 (ko)
EP (1) EP2849607B1 (ko)
KR (1) KR20150014954A (ko)
CN (1) CN104284610A (ko)
AU (2) AU2012380350B2 (ko)
BR (1) BR112014028630A2 (ko)
CA (1) CA2872007A1 (ko)
IN (1) IN2014DN09303A (ko)
MX (2) MX350286B (ko)
PH (1) PH12014502466B1 (ko)
RU (1) RU2599368C2 (ko)
TW (1) TW201404338A (ko)
WO (1) WO20131728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9691B2 (en) * 2009-12-18 2013-10-0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USD689286S1 (en) * 2011-05-02 2013-09-10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9980557B2 (en) 2012-05-17 2018-05-2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of forming an oral care implement
CA2973153A1 (en) * 2015-02-18 2016-08-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EP3111799B1 (en) * 2015-06-30 2023-07-2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of forming an oral care implement
US11089861B2 (en) * 2015-09-08 2021-08-1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KR20200028432A (ko) 2017-07-12 2020-03-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브러시 헤드 배열
DE102019204397A1 (de) * 2019-03-28 2020-10-01 M+C Schiffer Gmbh Bürste, insbesondere Zahnbürs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3756838A1 (en) * 2019-06-26 2020-12-30 Bic Violex S.A. Razor handle with recycled content
TW202128056A (zh) * 2019-06-28 2021-08-01 日商獅子股份有限公司 牙刷
EP3995037A1 (en) * 2020-11-06 2022-05-11 The Gillette Company LLC Handle for a personal care implement and personal care implement
WO2023110768A1 (en) 2021-12-15 2023-06-22 Unilever Ip Holdings B.V. Oral care implement comprising replaceable head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0808A (en) 1992-01-30 1995-08-15 Warner-Lambert Company Disposable shaped article
DE4408426A1 (de) * 1994-03-12 1995-09-14 Krauss Maffei Ag Verfahren zum Herstellen dickwandiger Kunststoff-Artikel
RU94041837A (ru) * 1994-09-22 1996-08-10 Е.И.Дю Пон де Немурс энд Компани (US)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ных изделий из термопластичного полимера, армированного волокном, и продукт, изготовленный этим способом
US5517712A (en) 1994-09-29 1996-05-21 Schiano; Travis A. Portable toothbrush and mounting stand
CA2182235C (en) * 1995-08-10 2006-02-28 William W. Barton Brush with improved grip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5881425A (en) * 1996-09-03 1999-03-16 Recycline, Inc. Recycled and recyclable toothbrush having bristle and handle configurations for improved oral hygiene
EP0960010B1 (en) 1997-02-14 2003-04-16 SmithKline Beecham Consumer Healthcare GmbH Injection mould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articles from two components
US6298516B1 (en) * 1998-03-06 2001-10-09 Gillette Canada Company Toothbrushes
US20050015907A1 (en) * 1999-04-22 2005-01-27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hcare Gmbh & Co. Kg Toothbrush
DE29912420U1 (de) * 1999-07-15 1999-11-18 Trisa Holding Ag Triengen Zahnbürste
US6345406B1 (en) 1999-12-08 2002-02-12 William A. Dodd Oral healthcare system having interchangeable, disposable heads
DE10034839A1 (de) * 2000-07-18 2002-01-31 Schiffer Fa M & C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ckwandigen Bürsten, insbesondere Zahnbürsten
JP4159739B2 (ja) * 2000-11-21 2008-10-01 花王株式会社 ブラシ用ハンドル
GB2370220A (en) * 2000-12-23 2002-06-26 Synlatex Ltd Cosmetics brush
US20030070259A1 (en) * 2001-10-15 2003-04-17 Brown William R. Elastomeric grips for personal care products
BR0214332A (pt) * 2001-11-30 2004-09-14 Unilever Nv Método para prover uma composição de base tópica para uso na preparação de uma composição cosmética, recipiente cosmético re-selável, e, composição anidra
US20030116884A1 (en) * 2001-12-21 2003-06-26 Wagstaff Robert K. Method for making a tongue cleaning device
DE10221869A1 (de) 2002-05-15 2003-11-27 Coronet Werk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orstenstruktur an einem Träger
WO2004024016A2 (en) 2002-09-10 2004-03-25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with transparent handle
GB2401258B (en) * 2003-04-29 2005-06-22 Research In Motion Ltd Multiple function current-sharing charging system and method
NO20055077D0 (no) 2005-10-31 2005-10-31 Jordan As Anordning ved tannborste
MX2009010971A (es) 2007-04-12 2009-10-30 Unilever Nv Cepillo de dientes con esqueleto de metal y cuerpo de plastico moldeado alrededor.
FR2921547A1 (fr) * 2007-09-28 2009-04-03 Acting Sarl Pinceau
US20100000039A1 (en) 2008-06-19 2010-01-07 Beatriz Vega-Cortes Portabale toothbrush dispenser
US8510893B2 (en) * 2008-06-20 2013-08-20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with visual and/or other sensory effects
WO2011025810A1 (en) 2009-08-26 2011-03-03 Gmz Associates, Ltd Environmentally friendly toothbrush
US8745804B2 (en) * 2009-08-27 2014-06-10 Steven Jaksha Stainless steel toothbrush with thermochromic display
AU2009356710B2 (en) * 2009-12-18 2014-06-0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a body disposed within the handle
US20120272468A1 (en) * 2011-04-26 2012-1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Device Comprising A Synthetic Polymer Derived From A Renewable Resource And Methods Of Producing Said Device
DE102011109332A1 (de) 2011-08-03 2013-02-07 Eppendorf Ag Labo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Laborproben
EP2554353B1 (de) 2011-08-05 2017-06-07 Trisa Holdin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Zahnbürste und Zahnbür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207892A1 (en) 2015-09-03
MX365144B (es) 2019-05-24
AU2015207892B2 (en) 2016-02-25
WO2013172834A1 (en) 2013-11-21
RU2014151005A (ru) 2016-07-10
US9554640B2 (en) 2017-01-31
RU2599368C2 (ru) 2016-10-10
EP2849607A1 (en) 2015-03-25
IN2014DN09303A (ko) 2015-07-10
CN104284610A (zh) 2015-01-14
MX2014013990A (es) 2015-02-10
AU2012380350B2 (en) 2015-04-30
US20170099939A1 (en) 2017-04-13
US10278484B2 (en) 2019-05-07
US20150164211A1 (en) 2015-06-18
PH12014502466A1 (en) 2014-12-22
PH12014502466B1 (en) 2014-12-22
CA2872007A1 (en) 2013-11-21
BR112014028630A2 (pt) 2017-07-25
AU2012380350A1 (en) 2014-11-13
EP2849607B1 (en) 2018-01-24
TW201404338A (zh) 2014-02-01
MX350286B (es) 201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4954A (ko) 구강관리기구 및 구강관리기구를 제조하는 방법
CN103945733B (zh) 用于生产具有内腔的牙刷的方法
AU2012292931B2 (en)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and toothbrush
US9420877B2 (en)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EP2091385B1 (en) Brooms and methods of producing brooms
US11071373B2 (en) Implemen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EP3111799B1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of forming an oral care imp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