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832A - 수술용 임플란트 및 그것이 포함된 인공인대고정용 수술용구 - Google Patents

수술용 임플란트 및 그것이 포함된 인공인대고정용 수술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832A
KR20150014832A KR1020130093902A KR20130093902A KR20150014832A KR 20150014832 A KR20150014832 A KR 20150014832A KR 1020130093902 A KR1020130093902 A KR 1020130093902A KR 20130093902 A KR20130093902 A KR 20130093902A KR 20150014832 A KR20150014832 A KR 20150014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urgical implant
tibia
artificial ligament
sur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0116B1 (ko
Inventor
신건성
Original Assignee
신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건성 filed Critical 신건성
Publication of KR20150014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17Structure of the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47Mode of fixation of anchor to tendon or ligament
    • A61F2002/0858Fixation of tendon or ligament between anchor and bone, e.g. interference screws, wed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인대를 감아 걸기에 용이하고 골조직에 삽입 및 견고한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수술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측에 직립상태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첨단부로 이루어진 수술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그 상면이 곡면으로 융기되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체부가 만나는 목부분은 상기 몸체부보다 직경이 작아지도록 걸이홈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첨단부에는 회전에 의해 골조직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드릴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술용 임플란트 및 그것이 포함된 인공인대고정용 수술용구{SURGICAL IMPLANT AND OPER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술용 임플란트 및 그것이 포함된 인공인대고정용 수술용구에 관한 것으로, 뼈에 고정시켜 인공인대를 연결 및 지지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한 수술용 임플란트 및 그것이 포함된 인공인대고정용 수술용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슬개골탈구는 애완견에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슬개골이 뼈가운데(활차구)에 위치하지 않고, 주로 다리의 안쪽으로 빠짐으로써 다리가 휘게 되는 것이다. 도 1에서 우측의 그림은 정상인 좌측의 그림에 비해, 활차구(8)에서 슬개골(7)이 다리의 안쪽으로 빠져 있고 경골(2)이 함께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보행에 문제를 일으키고, 점점 증상이 심해지면 인대와 연골 등에 손상으로 주어 복잡한 수술을 요하게 된다.
슬개골 내측탈구교정시술법 중 하나인 경골회전방지 8자 봉합술시, 먼저 슬개골(7)이 위치하는 대퇴골의 활차구(8)를 움푹하게 깎아형성 후, 대퇴골(1) 아래 경골(2)이 내측탈구된 슬개골(7)의 방향으로 내측회전된 것을 원위치로 환원하기 위하여, 대퇴골(1)의 외측 종자골의 근처에 임플란트를 박아 고정시키는 시술을 한다.
이후, 경골결절 아래에는 구멍을 뚫고 대퇴골(1)에 넣은 임플란트와 경골결절의 내측에 인공인대(수술용 봉합사)를 걸어 적당한 인장력을 줌으로써, 내측으로 변형된 경골(2)을 원위치로 환원시켜 주고 수술 후에도 경골이 내측으로 돌아 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경골회전방지 8자 봉합술 외 전술한 슬개골탈구의 수술법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경골결절이동술의 경우, 슬개골(7)이 위치하는 대퇴골의 활차구(8)를 움푹하게 깎아형성 후, 빠져 있는 슬개골(8)을 제위치에 위치시킨다.
이후, 회전된 경골(2)의 결절부분을 수술용 톱이나 정으로 절골하여 바깥쪽으로 이동시키고, “ㄱ”자와이어핀을 박아넣어 경골결절이 이동된 위치에 고정되게 하며, 이동된 경골결절이 좌우로 움직임에 대비하여 경골결절아래 보강구멍을 뚫고 수술용 봉합사로 “ㄱ”자와이어핀에 한바퀴감아 매듭함으로써 절단된 경골결절과 경골(2)을 보강한다.
이에 따라, 내측으로 회전되어 있던 슬개골(7)과 경골(2)을 원위치로 환원함과 동시에, 슬개골(7)과 경골(2)에 붙어있는 근인 대퇴네갈래근의 방향을 원위치로 조절하여 줌으로서 수술후 다시 내측으로 환원하려는 슬개골(7)을 제위치로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대퇴골(1)과 경골(2)의 골두 사이의 십자인대(6) 파열로 인해 그 복원수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파열된 전 십자인대(6) 대용으로 인공인대(수술용 봉합사)를 걸어 대퇴골(1)과 경골(2)을 서로 연결하는 시술이 이루어진다.
이는 끊어진 십자인대(6)가 경골(2)을 전방으로 향하게 하므로 대퇴골(1)의 원위부위에 임플란트를 삽입하고 경골결절 아래에 인공인대를 걸어서 경골(2)이 전방으로 향하는 것을 교정하며, 인공인대가 인대를 대용하도록 한다.(도 10의 본 발명의 수술상태 참조)
전술한 시술들을 위하여 인공인대(4)가 대퇴골(1)과 경골(2)을 서로 당길 수 있도록 묶거나 경골(2)과 경골결절을 서로 묶어야 하고, 정확한 위치에 인공인대(4)가 걸려 대퇴골(1) 및 경골(2), 또는 경골(2)과 경골결절을 서로 당기거나 묶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고정부재는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142691호 등에 예시된 수술용 임플란트 등을 사용하거나,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ㄱ”자형의 고정핀(3)을 임플란트의 대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인공인대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통상의 수술용 임플란트나 고정핀(3)은 인공인대를 걸기에 적합하게 구성되지 않아 인공인대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거나 단순하지 않고, 수술용 임플란트와 장시간의 마찰에 의해 인공인대가 끊어질 수 있으며, 근육 내에서 이물감이 크게 느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골조직에 고정핀(3)이나 수술용 임플란트를 박아 고정시키는 작업이 쉽지 않으며, 인공인대(4)를 뼈에 걸어 설치하고 묶어 마무리하는 수술작업이 전체적으로 번잡하게 이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특히, "ㄱ"자형의 고정핀을 인공인대의 고정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관절부근의 움직임에 의해 골조직으로부터 쉽게 빠져나오는 경우가 많아 재수술을 요하게 되는 또다른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공인대를 감아걸기에 용이하고 골조직에 삽입 및 견고한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수술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퇴부와 경골을 인공인대로 연결하는 수술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수술용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인공인대고정용 수술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측에 직립상태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첨단부로 이루어진 수술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그 상면이 곡면으로 융기되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체부가 만나는 목부분은 상기 몸체부보다 직경이 작아지도록 걸이홈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첨단부에는 회전에 의해 골조직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드릴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술용 임플란트는 상기 머리부의 양측면이 척에 물릴 수 있도록 커팅된 수직측면이 각각 형성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측에 직립상태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첨단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머리부는 그 상면이 곡면으로 융기되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체부가 만나는 목부분은 상기 몸체부보다 직경이 작아지도록 걸이홈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첨단부에는 회전에 의해 골조직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드릴날이 형성된 수술용 임플란트와 일면과 타면이 서로 마주하는 원형 단추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도록 각각 관통된 2개의 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2개의 구멍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일면에 연결홈이 형성된 걸림버튼 및,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고, 각각 상기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3개의 홈이 외표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금속제의 물림튜브를 포함하는 인공인대고정용 수술용구를 제공한다.
상기 인공인대고정용 수술용구는 상기 걸림버튼이 상기 일면 및 타면이 상기 단추형상의 원주면과 만나는 모서리는 전체가 모따기 또는 라운드 가공되고, 상기 물림튜브는 그 단면이 타원 또는 트랙형상이며, 상기 3개의 홈 중 중간의 홈은 상기 물림튜브의 중간에 형성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머리부의 양측면은, 척에 물릴 수 있도록 커팅된 수직측면이 각각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임플란트는, 상면이 구의 상단의 형상과 같이 부드러운 곡면으로 융기된 형상이 됨으로써 근육의 움직임에 의해 근육과 머리부의 거친 마찰을 줄이고 이물감을 최소화한다. 또한, 몸체부보다 직경이 작아진 걸이홈이 형성됨으로써 인공인대가 머리부를 이탈하기 어려워 머리부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고, 머리부의 크기가 작아지면 수술후 근육과 접촉하게 되는 머리부의 특성상, 근육내에서의 이물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드릴날이 형성됨으로써 핸드척으로 파지하여 골조직에 박아 고정시키는 작업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고, 주위 관절의 움직임이 있더라도 수술후 골조직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고 장기간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걸림버튼은 2개의 구멍을 연결하는 연결홈의 형성으로 인해 인공인대가 걸림버튼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걸림버튼 내부에 안착된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수술후 움직임이 발생하는 인공인대가 근육과 마찰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걸림버튼은 모서리 전체가 모따기 또는 라운드 가공됨으로써, 수술후 걸림버튼이 근육과 마찰할 때 근육에 전달하는 자극을 최소화시켜 이물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걸림버튼은 뼈에 구멍을 1개만 형성시키더라도 인공인대를 걸 수 있도록 하여, 인공인대를 뼈에 걸기 위해 2개 이상의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어 수술작업을 단순화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물림튜브는 그 단면이 트랙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줄형상의 인공인대가 2줄이 나란히 통과할 수 있고, 2줄의 인공인대가 통과할 수 있는 튜브의 형상 중 관통공의 공간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는 형상인 바, 그로 인해 2줄의 인공인대를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물림튜브의 전체 크기를 가장 최소화할 수 있다. 물림튜브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은 근육내에서의 이물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물림튜브의 외표면에는 3개의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혈액이 물림튜브에 묻어 물림튜브를 정확히 물수 없는 상황에서도 니퍼가 물림튜브를 압착하는 위치를 안내하고, 니퍼의 이빨이 물림튜브의 외표면에서 쉽게 물리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슬개골탈구 수술시 대퇴골과 경골을 서로 연결하여 대퇴골에 대하여 경골을 교정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종래 수술용 봉합사가 걸리는 고정핀이 뼈에 고정된 상태를 예시하는 X-ray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임플란트가 뼈에 고정된 상태에서 인공인대(수술용 봉합사)가 걸린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임플란트가 핸드척에 물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버튼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버튼에 인공인대가 걸린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림튜브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림튜브가 인공인대를 물어 연결하도록 하는 작업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임플란트, 걸림버튼 및 물림튜브를 이용하여 인공인대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종래 이루어지던 경골결절이동술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2는 종래 경골결절이동술에 의해 고정된 “ㄱ”자와이어핀이 경골 내에서 빠져나온 상태를 도시하는 X-ray사진
도 13은 종래 경골결절이동술에 의해 고정된 “ㄱ”자와이어핀이 경골 내에서 부러진 상태를 도시하는 X-ray사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임플란트가 경골결절이동술에 이용되어 경골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X-ray사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임플란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임플란트가 골조직에 고정된 상태에서 인공인대(수술용 봉합사)가 걸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임플란트(10)는, 머리부(20)와, 상기 머리부(20)의 하측에 직립상태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이 형성된 몸체부(30), 및 상기 몸체부(30)의 하단에 형성된 첨단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머리부(20)는 그 상면(21)이 곡면으로 융기되어 형성되고, 그 머리부(20)의 양측면은 핸드척(hand chuck)에 물릴 수 있도록 커팅된 수직측면(22)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면(21)이 구의 표면의 형상과 같이 부드러운 곡면으로 융기된 형상이 됨으로써 임플란트(10)가 골조직(81)에 박혀 머리부(20)가 노출된 상태에서, 근육의 움직임에 의해 근육과 머리부(20)의 거친 마찰을 줄이고 이물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머리부(20)의 상면(21)은 곡면으로 형성되되, 본 수술용 임플란트(10)를 핸드척(85)에 물어 작업할 수 있도록 머리부(20)의 양 측면이 각각 커팅되어 수직측면(22)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수직측면(22)은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됨으로써 핸드척(85)이 머리부(20)를 물어 단단한 골조직으로 회전에 의해 진입할 때, 임플란트(10)가 헛돌지 않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30)는 머리부(20)의 하측으로 직립인 상태로 길게 뻗어 있는 부분으로서, 외면에는 나선(31)이 형성된다.
상기 나선(31)은 몸체부(30)의 상부의 소정위치에서 시작하여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본 수술용 임플란트(10)가 회전하여 골조직에 용이하게 박혀 들어가도록 하고 수술용 임플란트(10)가 골조직에 박힌 상태를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몸체부(30)의 상부 중 나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32)의 직경은 나선(31)의 산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하여 나선이 형성한 골조직에 나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32)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머리부(20)와 몸체부(30)가 만나는 목부분은 상기 몸체부(30)보다 직경이 작아지도록 걸이홈(35)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이홈(35)은 둘레를 따라 환형의 홈을 형성하여 그 직경이 몸체부(30)보다 작아진 부분으로서, 수술용 인공인대(50)를 감아 걸 수 있는 부분이다. 본 수술용 임플란트(10)가 골조직에 박힌 상태에서 노출된 목부분의 걸이홈(35)에 인공인대(50)를 1회 감아 걸게 되면, 걸린 인공인대(50)가 몸체부(30)를 따라 움직이지 않고 걸이홈(35)에 걸린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또한, 몸체부(30)보다 직경이 작아진 걸이홈(35)이 형성됨으로써 걸이홈(35)에 1회 감아걸린 인공인대(50)가 머리부(20)를 이탈하기 더욱 어렵게 됨으로써 머리부(20)의 크기도 작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머리부(20)의 크기가 작아지면 수술후 근육과 접촉하게 되는 머리부(20)의 특성상, 근육내에서의 이물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첨단부(40)에는 회전에 의해 골조직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드릴날(41)이 형성된다.
상기 드릴날(41)은 뾰족하게 형성된 첨단부(40)와 함께 골조직에 쉽게 파고들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첨단부(40)에 패여있는 절삭홈(43)이나 커팅면이 형성됨으로써 드릴날(41)이 형성된다. 상기 절삭홈(43) 및 커팅면은 몸체부(30)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대칭인 한 쌍으로 형성된다.
첨단부(40)에 상기 드릴날(41)이 형성됨으로써 도 5와 같이, 핸드척(85)으로 파지하여 골조직에 첨단부(40)가 접한 상태에서 돌리면 첨단부(40)와 드릴날(41)이 골조직을 파고들면서 수술용 임플란트(10)가 골조직에 박혀 들어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몸체부(30)보다 작은 직경으로 골조직에 1차드릴링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수술용 임플란트(10)를 핸드척(85)에 물어 1차드릴링된 골조직의 구멍에서 회전시켜 고정작업한다.
한편, 전술한 수술용 임플란트(10)와 함께 인공인대(50)를 골조직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걸림버튼(60)이 함께 구비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버튼(60)은 일면(64)과 타면(65)이 서로 마주하는 원형 단추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면(64)과 타면(65)을 연결하도록 각각 관통된 2개의 구멍(61,62)이 형성된다.
상기 일면(64)과 타면(65)은 원반형 단추형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원형의 넓은 면이고, 단추의 눈과 같이 2개의 구멍(61,62)이 형성되면 일면(64)과 타면(65)을 연결하는 구멍이 된다.
상기 구멍은 도 7과 같이 인공인대(50)가 통과하여 인공인대(50)가 걸림버튼(60)에 걸린 상태가 된다.
상기 일면에는 도 6과 같이, 2개의 구멍(61,62)을 서로 연결하도록 연결홈(63)이 형성됨으로써, 도 7과 같이 한쪽의 구멍을 통과한 후, 다시 다른 쪽의 구멍으로 나가는 인공인대(5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홈(63)의 형성으로 인해 인공인대(50)가 걸림버튼(60)의 일면(64)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걸림버튼(60) 내부에 안착된 상태가 됨으로써 수술후 움직임이 발생하는 인공인대(50)가 근육과 마찰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걸림버튼(60)은 상기 일면(64) 및 타면(65)이 단추형상의 원주면(67)과 만나는 모서리는 전체가 모따기 또는 라운드 가공됨으로써 거친 모서리를 제거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이유도 수술후 걸림버튼(60)이 근육과 마찰할 때 근육에 전달하는 자극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이물감을 줄이기 위함이다.
걸림버튼(60)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뼈에 구멍을 1개만 형성시키더라도 인공인대(50)를 걸 수 있도록 하여 인공인대(50)를 뼈에 걸기 위해 구멍을 2개이상 뚫을 필요가 없어 수술작업을 단순화시킨다.
한편, 전술한 수술용 임플란트(10) 및 걸림버튼(60)과 함께 인공인대(50)를 골조직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마무리하기 위해 물림튜브(70)가 함께 구비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림튜브(7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공(71)이 형성되고 각각 관통공 둘레에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3개의 홈(73,74,75)이 길이방향을 따라 외표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물림튜브(70)는 금속제로 형성되어 니퍼(nipper)(86)에 의해 압착되는 경우, 그 압착변형된 상태를 유지하여 그 내부를 통과하는 인공인대(50)를 물 수 있다.
물림튜브(70)는 그 단면이 트랙(track)형상(육상경기장의 주행경로로서 한쌍의 직선주로가 마주보고 한쌍의 반원주로가 마주보도록 구성된 경로를 의미함)으로 형성됨으로써 줄형상의 인공인대(50)가 2줄이 나란히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물림튜브(70)는 단면이 트랙형상인 관통공(71)이 형성되는 것이므로 2줄의 인공인대(50)가 통과할 수 있는 튜브의 형상 중 관통공(71)의 공간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는 형상이고, 그로 인해 2줄의 인공인대(5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물림튜브(70)의 전체 크기를 가장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이다. 물림튜브(70)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은 근육내에서의 이물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하다.
상기 트랙형상은 타원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물림튜브(70)의 외표면(72)에는 상기 물림튜브(7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각각 연장되는 3개의 홈(73,74,75)이 각각 형성되되, 물림튜브(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3개의 홈(73,74,75) 중 중간의 홈(73)은 상기 물림튜브(70)의 중간에 형성되고 양측의 홈(74,75)은 중간의 홈(73)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개의 홈(73,74,75)은 혈액이 물림튜브(70)에 묻어 정확히 물수 없는 상황에서도 니퍼(86)가 물림튜브(70)를 압착작업하는 위치를 안내하고, 니퍼(86)의 이빨이 물림튜브(70)의 외표면에서 쉽게 물리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임플란트(10), 걸림버튼(60) 및 물림튜브(7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대퇴골(1)의 소정위치에 수술용 임플란트(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전동드릴로 예비드릴링(drilling)하여 수술용 임플란트(10)가 고정될 구멍을 형성한다.
이후, 도 10과 같이 수술용 임플란트(10)를 대퇴골(1)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킨다. 그 과정에서 수술용 임플란트(10)의 머리부(20)를 핸드척(85)이 물고 드릴링에 의해 미리 형성된 구멍에 압입시키면서 회전시킨다. 전술한 과정에서 예비드릴링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수술용 임플란트(10)의 드릴날(41)이 골조직을 파쇄하면서 수술용 임플란트(10)가 쉽게 진입하도록 하고 나선(31)이 골조직과 결합되면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수술용 임플란트(10)는 대퇴골(1)에서 걸이홈(35)과 머리부(20)가 노출된 상태까지 박아 고정시킨다.
한편, 인공인대(50)가 걸리는 경골(2)의 소정위치에는 드릴링에 의해 1개의 구멍을 형성한다.
이후, 인공인대(50)의 일측을 경골(2)에 형성시킨 1개의 구멍에 통과시키고 걸림버튼(60)의 2개의 구멍을 도 7과 같이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다시 경골(2)의 1개의 구멍을 통해 경골(2)을 빠져 나온다. 이에 따라, 걸림버튼(60)이 경골(2)에 걸린 상태가 되므로 인공인대(50)는 경골(2)에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걸림버튼(60)은 경골(2)에 구멍을 1개만 형성시키더라도 인공인대(50)를 걸 수 있도록 하여 수술작업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인공인대(50)의 타측은 대퇴골(1)에 고정된 수술용 임플란트(10)의 걸이홈(35)에 1회 감아 건다. 수술용 임플란트(10)의 목부분에 형성된 걸이홈(35)은 그 직경이 나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32)보다 작도록 골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공인대(50)가 감아걸린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이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머리부(20)를 쉽게 빠져나가지 않는다.
수술용 임플란트(10)의 걸이홈(35)에 걸린 인공인대(50)의 타측단부는 경골(2)의 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온 일측단부와 함께 도 9와 같이, 물림튜브(7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통과한다.
이후, 도 9와 같이, 물림튜브(70)의 3개의 홈(73,74,75) 중 중간의 홈(73)을 니퍼(86)가 잡아 압착시키면 인공인대(50)의 초기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 초기 연결상태에서 인공인대(5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를 잡아 물림튜브(70)를 통과한 방향으로 더 빼내면, 물림튜브(70)의 가운데부분이 압착되어 있으나, 인공인대(50)가 물림튜브(70)로부터 강제적으로 빠져나오면서 인공인대(50)의 길이가 조절되고 보다 긴장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인공인대(50)의 길이가 조절되어 긴장상태가 적합하게 이루어진 후에는 물림튜브(70)의 3개의 홈(73,74,75) 중 양측 2개의 홈(74,75)을 추가로 니퍼로 압착함으로써 물림튜브(70)는 인공인대(5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견고한 연결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로서, 인공인대(50)가 대퇴골(1)과 경골(2)을 연결하여 인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참고로, 미설명 도면부호 7은 슬개골이고, 도면부호 6은 십자인대를 지시하고 있다.
전술한 수술용 임플란트(10)는 대퇴골(1)과 경골(2)을 연결하는 인공인대(50)를 걸기 위한 용도 뿐 아니라, 골절되거나 절단한 뼈를 연결하기 위하여 뼈에 박아 고정시키는 고정 또는 지지부재로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상기 수술용 임플란트(10)의 다른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종래 이루어지던 경골결절이동술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슬개골(7)이 위치하는 대퇴골(1)의 활차구(8)를 움푹하게 깎아형성 후, 빠져 있는 슬개골(7)을 제위치에 위치시키고, 슬개골(7)과 연결된 경골결절(9)을 수술용 톱이나 정으로 절골시킨다. 도면부호 9a는 절골된 면을 지시하고 있다.
절골된 경골결절(9)을 바깥쪽으로 이동시키고 와이어핀(3)을 박아넣은 후, “ㄱ”자형으로 굽힘으로써 경골결절(9)이 이동되어 있는 위치에 고정시킨다. 또한, 이동된 경골결절(9)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경골(2)에 구멍을 뚫고 고정력이 좋은 스텐레스와이어로 구멍과 “ㄱ”자와이어핀(3)에 한바퀴 감아 매듭하는 방식으로 시술이 이루어졌다.
그러한 “ㄱ”자와이어핀(3)과 스텐레스와이어(4)로 이루어지는 경골결절이동술의 경우, “ㄱ”자와이어핀(3)이 경골결절(9)과 경골(2)을 잡고 있는 지지력이 약하여 경골(2)의 움직임에 의해 도 12와 같이, “ㄱ”자와이어핀(3)이 조금씩 빠지게 되고 경골결절(9)이 경골(2)로부터 들어올려지기도 한다.
또한, 도 13과 같이 “ㄱ”자와이어핀(3)이 부러짐으로써 경골결절(9)이 경골(2)로부터 이탈되고 슬개골(7)과 대퇴부두근이 위로 올라가버리는 문제도 종종 발생하고 있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임플란트(10)를 상기 “ㄱ”자와이어핀(3)을 대신하여 설치함으로써 경골결절(9)과 경골(2)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임플란트(10)는 나선(31)이 경골(2)을 단단히 파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경골(2)로부터 빠지지 않아 경골결절(9)의 고정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임플란트(10)를 사용시 “ㄱ”자와이어핀(3)에 비하여 수술용 봉합사(70)를 보다 견고히 지지할 수 있으므로 금속성 와이어를 대신하여 생체내에서 흡수될 수 있는 흡수성 봉합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봉합사를 사용하여 경골(2) 및 경골결절(9)을 한바퀴 감고, 수술용 임플란트(10)의 걸이홈(35)에 건 후, 매듭지음으로써 충분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흡수성 봉합사의 사용은 근육 내에서의 이물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대퇴골 2; 경골
3; 고정핀 4; 인공인대(수술용 봉합사)
6; 십자인대 7; 슬개골
8; 활차구 9; 경골결절
9a; 경골결절 절단면 10; 임플란트
20; 머리부 21; 상면
22; 수직측면 30; 몸체부
31; 나선 32; 나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35; 걸이홈 40; 첨단부
41; 드릴날 43; 절삭홈
50; 인공인대 60; 걸림버튼
61,62; 구멍 63; 연결홈
64; 일면 65; 타면
67; 원주면 70; 물림튜브
71; 관통공 73; 중간의 홈
74,75; 양측의 홈 81; 골조직
85; 핸드척 86; 니퍼(nipper)

Claims (5)

  1. 머리부(20)와,
    상기 머리부(20)의 하측에 직립상태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31)이 형성된 몸체부(30), 및
    상기 몸체부(30)의 하단에 형성된 첨단부(40)를 포함하는 수술용 임플란트(10)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20)는
    그 상면이 곡면으로 융기되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0)와 상기 몸체부(30)가 만나는 목부분은 상기 몸체부(30)보다 직경이 작아지도록 걸이홈(35)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첨단부(40)에는 회전에 의해 골조직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드릴날(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20)의 양측면은,
    핸드척(85)에 물릴 수 있도록 커팅된 수직측면(22)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3. 머리부(20)와
    상기 머리부(20)의 하측에 직립상태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31)이 형성된 몸체부(30) 및
    상기 몸체부(30)의 하단에 형성된 첨단부(40)를 포함하되,
    상기 머리부(20)는
    그 상면(21)이 곡면으로 융기되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0)와 상기 몸체부(30)가 만나는 목부분은 상기 몸체부(30)보다 직경이 작아지도록 걸이홈(35)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첨단부(40)에는 회전에 의해 골조직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드릴날(41)이 형성된 수술용 임플란트(10);
    일면(64)과 타면(65)이 서로 마주하는 원형 단추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면(64)과 타면(65)을 연결하도록 각각 관통된 2개의 구멍(61,62)이 형성되되, 상기 2개의 구멍(61,62)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일면(64)에 연결홈(63)이 형성된 걸림버튼(60); 및,
    길이방향으로 관통공(71)이 형성되고, 각각 상기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3개의 홈(73,74,75)이 외표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금속제의 물림튜브(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인대고정용 수술용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버튼(60)에서
    상기 일면(64) 및 타면(65)이 상기 단추형상의 원주면(67)과 만나는 모서리는 전체가 모따기 또는 라운드 가공되고,
    상기 물림튜브(70)는 그 단면이 트랙형상 또는 타원형상이며,
    상기 3개의 홈(73,74,75) 중 중간의 홈(73)은 상기 물림튜브(70)의 중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인대고정용 수술용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20)의 양측면에는,
    핸드척(85)에 물릴 수 있도록 커팅된 수직측면(22)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인대고정용 수술용구
KR1020130093902A 2013-07-30 2013-08-08 수술용 임플란트 및 그것이 포함된 인공인대고정용 수술용구 KR101500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0001 2013-07-30
KR1020130090001 2013-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832A true KR20150014832A (ko) 2015-02-09
KR101500116B1 KR101500116B1 (ko) 2015-03-09

Family

ID=5257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902A KR101500116B1 (ko) 2013-07-30 2013-08-08 수술용 임플란트 및 그것이 포함된 인공인대고정용 수술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1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2202B1 (fr) * 1991-02-05 1993-07-30 Safir Implant chirurgical osseux, notamment pour stabilisateur inter-vertebral.
US5397356A (en) * 1993-01-15 1995-03-14 Depuy Inc. Pin for securing a replacement ligament to a bone
JPH08299362A (ja) * 1995-05-08 1996-11-19 Terumo Corp 骨ネジ組立体
US8814919B2 (en) * 2007-10-23 2014-08-26 K2M, Inc. Posterior pedicle screw having a taper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116B1 (ko) 201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1409B2 (en) Femoral fixation
US9492159B2 (en) Flat suture anchor
AU2004201994B2 (en) Tissue fixation device
US94458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osseous membrane reconstruction
US8348960B2 (en) Applicator for suture/button construct
US201602427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11241224B2 (en) Self-assembling suture anchor assembly, surgical kit, and surgical repair method
US200902343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ticular scapholunate reconstruction
JP2013524932A (ja) 新規な縫合糸アンカーシステムの提供および使用を含む関節唇を寛骨臼に再付着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JPH08510933A (ja) 外科用ねじ及び座金
JP2018509276A (ja) 関節修復システム
US9265495B2 (en) Flipp tack pusher
CA2992517C (en) Joint stabilisation
KR20190136196A (ko)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KR101500116B1 (ko) 수술용 임플란트 및 그것이 포함된 인공인대고정용 수술용구
CN115778457A (zh) 一种骨植入物、定位套管、插入器及植入系统
US20210085309A1 (en) Methods for passing a posterior button suture for medical procedures
US202301726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20130172893A1 (en) Scapho-lunate and other ligament and bone repair/re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