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180A -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180A
KR20150014180A KR1020130089519A KR20130089519A KR20150014180A KR 20150014180 A KR20150014180 A KR 20150014180A KR 1020130089519 A KR1020130089519 A KR 1020130089519A KR 20130089519 A KR20130089519 A KR 20130089519A KR 20150014180 A KR20150014180 A KR 20150014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wake
signal
sensing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3145B1 (ko
Inventor
이계원
임현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9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145B1/ko
Priority to US14/265,968 priority patent/US9472972B2/en
Publication of KR20150014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여 웨이크업(wake up)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고,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제공받아 이동 단말기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감지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분야의 급속한 발전이 진행되면서 언제, 어디서 및 누구와도 통화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통신 환경이 구축되고 있고 더 많은 정보의 교류가 가능한 시대가 되었다. 유선의 제한적인 통신 환경에서 무선이라는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환경으로 발전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는 무선 단말기의 충전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기의 충전 방식은 유선을 이용한 방식이 정형화 되어 있었으나, 무선 또는 비접촉으로 충전이 가능한 제품 및 기술에 대해 21세기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 및 태블릿(tablet) PC의 발달과 광범위한 사용은, 무선 단말기에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에 대한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무선으로 전력 전송하는 무선 충전이 주목받고 있다.
다만 무선 충전의 경우 송신기가 수신기 존부를 판단하고, 수신기가 존재하며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무선 충전을 실시한다. 그러나 송신기가 수신기 존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감지용 코일(detecting coil)에 주기적으로 전류를 공급해야 한다. 즉, 주기적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송신기가 수신기의 존부를 확인해야 하므로 송신기의 대기 전력 손실은 전체 시스템 효율에 있어 큰 문제가 된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특허문헌 1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출력측의 임피던스에 따라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과는 달리, 송신기의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한 내용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해 센서를 이용하는 내용에 대해서도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10819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입력을 감지하고, 외부 입력이 감지된 경우에 무선 충전 장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는 것에 관한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여 웨이크업(wake up)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고,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제공받아 이동 단말기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감지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감지하는 감지용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용 코일에 기준전류를 제공하여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임피던스 변화가 없다면, 상기 감지용 코일에 상기 기준전류 이상의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공급하거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압전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마그네틱센서모듈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센서모듈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충전상태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에의 전원 공급은 자기 유도 방식 및 자기 공명 방식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 제어방법은, 센서부가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고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감지부가 상기 동작신호를 제공받아 이동 단말기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를 감지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를 감지하는 단계는, 감지용 코일에 기준전류를 제공하여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임피던스 변화가 없다면 감지용 코일에 상기 기준전류 이상의 전류를 제공하여 임피던스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가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부는 압전센서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압력이 감지되면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가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부는 마그네틱센서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력이 감지되면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가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부는 터치센서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는, 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또는 자기 공명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충전상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입력을 감지하고, 외부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 무선 충전 장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대기 전력을 줄일 수 있고, 이로써 전체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감지용 코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감지용 코일에 기준전류를 제공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동 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7은 도6에 도시한 무선 충전 장치 제어방법 중 이동 단말기를 감지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무선 충전 장치(100)는 센서부(110), 제어부(120), 감지부(130), 전원 공급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0)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여 웨이크업(wake up)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30)는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동작신호를 제공받아 이동 단말기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140)는 상기 감지부(130)가 상기 이동 단말기(200)를 감지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입력을 감지하기 전까지 슬립 모드일 수 있다. 이때, 외부로부터의 입력은 일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기(200)에 의한 입력일 수 있으며, 슬립 모드는 센서부(1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현재 비활성화 상태임을 의미한다. 한편, 액티브 모드는 모든 구성이 정상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10)의 블록도이다.
상기 센서부(110)는 슬립 모드인 경우라도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최소 전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110)는 도5를 참조하면, 압전센서모듈(112) 및 센서 IC(111)일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센서모듈(113) 및 센서IC(111)일 수 있으며, 터치센서모듈(114) 및 센서 IC(111)일 수 있다.
만약,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모듈이 압전센서모듈(112)이라면, 상기 압전센서모듈(112)은 이동 단말기(200)가 무선 충전 장치(100) 위에 놓여질 때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센서 IC(111)는 상기 압전센서모듈(112)이 압력을 감지하면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현재 슬립 모드이던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제어부(120)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이다.
만약,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모듈이 마그네틱센서모듈(113)이라면, 상기 마그네틱센서모듈(113)은 이동 단말기(200)가 무선 충전 장치(100) 위에 놓여질 때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부터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센서 IC(111)는 상기 마그네틱센서모듈(113)이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자력을 감지하면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모듈이 터치센서모듈(114)이라면, 상기 터치센서모듈(114)은 이동 단말기(200)가 무선 충전 장치(100) 위에 놓여질 때의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센서 IC(111)는 상기 터치센서모듈(114)이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아 슬립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만 슬립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이때까지 외부 입력은 이동 단말기(200)에 의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였으나, 외부 입력이 이동 단말기(200)에 의한 것이 아닌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에 대비하여, 무선 충전이 필요한 이동 단말기(200)가 맞는지를 감지부(130)에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의 감지용 코일(131)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2를 참조하면, 감지부(13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감지용 코일(13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의 감지용 코일(131)에 기준전류를 제공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상기 감지부(130)는 상기 감지용 코일(131)에 기준전류(141)를 제공하여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임피던스 변화가 있는 경우라면, 감지부(130)는 현재 이동 단말기(200)가 실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후 전원 공급부(140)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임피던스 변화가 없는 경우라면 감지부(130)는 상기 감지용 코일(131)에 더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다. 이때, 더 큰 전류는 상기 기준전류(141)보다 더 큰 전류(142)일 수 있다. 만약 상기 기준전류(141)보다 더 큰 전류(142)를 흘렸을 때 임피던스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라면, 상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이동 단말기(200)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충전 장치(100)가 액티브 모드 상태일 때는, 도3의 두번째 기준전류(143)를 흘려주는 것처럼, 주기적으로 상기 감지용 코일(131)에 전류를 공급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존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14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공급하거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공급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 및 이동 단말기(200)의 예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가 현재 무선 충전 장치(100)에 충전되기 이전 상황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후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거나, 자력 또는 터치입력을 가하는 경우, 슬립 모드이던 무선 충전 장치(100)가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여 감지용 코일(131)에 기준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임피던스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라면, 이동 단말기(200)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현재 이동 단말기(200)가 무선 충전되고 있는 상태라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0)는 표시부(150)에 현재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50)에 출력된 현재 충전 상태를 보고, 충전 계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한편, 전원 공급부(140)의 전원 공급은 원칙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무선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식으로는 자기 유도 방식 및 자기 공명 방식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7은 도6에 도시한 무선 충전 장치 제어방법 중 이동 단말기(200)를 감지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 제어방법은, 현재 무선 충전 장치(100)가 슬립모드로 대기하는 단계(S610), 센서부(110)가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S620), 상기 외부 입력에 대한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630), 이에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는 단계(S640)와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650), 이로써 이동단말기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660), 무선 충전 시작(S670)하는 단계(S670) 및 충전 완료될 때까지 확인하는 단계(S6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7을 참조하여 무선 충전 장치(100) 제어방법 중 이동 단말기(200)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감지용 코일(131)에 기준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S661), 이후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S662). 이후 임피던스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라면 알고리즘을 종료하고 도6에 기재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을 이동 단말기(200)에 진행할 수 있다(S650).
나아가,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방법은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 중 하나로 이동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현재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충전 상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로써, 무선 충전 장치(100)의 센서부(110)가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통해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여 슬립 모드였던 제어부(120)를 액티브 모드로 변화시킴으로써 무선 충전을 하기 이전에 소비되는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무선 충전 장치
110: 센서부
120: 제어부
130: 감지부
131: 감지용 코일
140: 전원 공급부
150: 표시부
200: 이동 단말기

Claims (17)

  1.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여 웨이크업(wake up)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고,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제공받아 이동 단말기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감지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감지하는 감지용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용 코일에 기준전류를 제공하여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는 무선 충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임피던스 변화가 없다면, 상기 감지용 코일에 상기 기준전류 이상의 전류를 제공하는 무선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공급하거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공급하는 무선 충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압전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는 무선 충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마그네틱센서모듈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는 무선 충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센서모듈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는 무선 충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충전상태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의 전원 공급은 자기 유도 방식 및 자기 공명 방식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 장치.
  11. 센서부가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고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감지부가 상기 동작신호를 제공받아 이동 단말기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를 감지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감지하는 단계는,
    감지용 코일에 기준전류를 제공하여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임피던스 변화가 없다면 감지용 코일에 상기 기준전류 이상의 전류를 제공하여 임피던스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부는 압전센서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압력이 감지되면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부는 마그네틱센서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력이 감지되면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부는 터치센서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는,
    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또는 자기 공명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제어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충전상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제어방법.


KR1020130089519A 2013-07-29 2013-07-29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83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519A KR101983145B1 (ko) 2013-07-29 2013-07-29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4/265,968 US9472972B2 (en) 2013-07-29 2014-04-30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519A KR101983145B1 (ko) 2013-07-29 2013-07-29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180A true KR20150014180A (ko) 2015-02-06
KR101983145B1 KR101983145B1 (ko) 2019-05-28

Family

ID=5238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519A KR101983145B1 (ko) 2013-07-29 2013-07-29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72972B2 (ko)
KR (1) KR1019831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218A1 (ko) * 2015-06-03 2016-12-08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무선 충전 시스템
WO2020010044A1 (en) * 2018-07-03 2020-01-09 Xentris Wireless Llc Inertial user interface portable power bank and method of operation
KR102216487B1 (ko) * 2019-10-04 2021-02-1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웨이크업을 수행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641A (ko) * 2014-01-16 2015-07-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전자기기와 이를 위한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US20160373166A1 (en) * 2015-06-17 2016-12-22 Intel Corporation Proximity sensor for deep sleep wakeup of wireless charger
US11217814B2 (en) * 2015-10-06 2022-01-04 Honda Motor Co., Ltd. Fuel battery stack
US10271189B2 (en) * 2016-06-01 2019-04-23 Essential Products, Inc.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and device accessories
CN108784217A (zh) * 2017-04-28 2018-11-13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水杯
US10503235B2 (en) 2017-10-24 2019-12-10 Hing S Tong Wake from off state power system
CN108879987A (zh) * 2018-08-06 2018-11-23 佛山市苔藓云链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其无线充电操作方法
KR20220051693A (ko) * 2020-10-19 2022-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드 및 햅틱 제공을 위한 무선 충전 장치
CN114243838A (zh) * 2021-12-20 2022-03-25 深圳市易湘瑞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充移动电源实时充电的控制方法、系统
CN117713394B (zh) * 2024-02-06 2024-04-26 深圳今翔科技有限公司 应用于供电设备的无线供电控制电路、方法及供电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9864A1 (en) * 2000-01-26 2001-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vailable service time in mobile telephones
US20110115335A1 (en) * 2008-07-07 2011-05-19 Sebastien Pelletier Device for Changing the Operational State of an Apparatus
KR20120108190A (ko) 2011-03-23 2012-10-05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US20130082647A1 (en) * 2011-09-30 2013-04-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ow-Power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01115D0 (en) * 2005-01-19 2005-02-23 Innovision Res & Tech Plc Combined power coupling and rf communication apparatus
JP4707626B2 (ja) * 2006-08-11 2011-06-22 三洋電機株式会社 無接点の充電器とこの充電器と携帯電子機器の組み合わせ
KR100906324B1 (ko) * 2007-07-09 2009-07-07 양현갑 분실물 탐색장치 및 그 탐색방법
KR101711912B1 (ko) 2009-09-16 2017-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효율적인 무선 충전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847755B2 (en) * 2010-02-26 2014-09-30 Thl Holding Company, Llc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for monitoring protective headgear
KR20110103297A (ko) * 2010-03-12 2011-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충전 방법 및 장치
US9124122B2 (en) * 2011-05-18 2015-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charging system, and impedanc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04541B1 (ko) * 2012-12-31 2019-07-26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9864A1 (en) * 2000-01-26 2001-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vailable service time in mobile telephones
US20110115335A1 (en) * 2008-07-07 2011-05-19 Sebastien Pelletier Device for Changing the Operational State of an Apparatus
KR20120108190A (ko) 2011-03-23 2012-10-05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US20130082647A1 (en) * 2011-09-30 2013-04-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ow-Power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218A1 (ko) * 2015-06-03 2016-12-08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무선 충전 시스템
WO2020010044A1 (en) * 2018-07-03 2020-01-09 Xentris Wireless Llc Inertial user interface portable power bank and method of operation
KR102216487B1 (ko) * 2019-10-04 2021-02-1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웨이크업을 수행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145B1 (ko) 2019-05-28
US20150028802A1 (en) 2015-01-29
US9472972B2 (en) 201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145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026646B2 (ja) 共振型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電力伝送制御方法、それを用いる無線電力送信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無線電力受信装置
JP6504416B2 (ja) 受電装置、及び受電方法
JP4413236B2 (ja) 受電制御装置、送電制御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受電装置、送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EP2084821B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ctivation
US6424124B2 (en) System for providing charge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US8026694B2 (en) Power transmission control device, power transmission device,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electronic instrument
US11954270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inpu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1812444B1 (ko) 이물질감지기능이 있는 무선충전장치 및 무선충전장치의 이물질감지방법
JP2009136132A (ja) 近距離の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KR20140120699A (ko) 충전을 위한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와 충전 장치
KR20130137479A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
JP2011171871A (ja) 電子機器及び電力供給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CN111373629A (zh) 一种无线充电的对位检测方法及电子设备
JP2008206325A (ja) 受電制御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受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848000B2 (en) Non-contact power receiving device and non-contact power receiving method
US20120091812A1 (en) Power switching device
CN112399295A (zh) 入盒检测方法、充电方法、无线耳机、充电盒及存储介质
US20140115356A1 (en) Transformer capable of automatic input power adjustment and computer using the transformer
KR100386005B1 (ko) 휴대기기의 충전시스템
KR102566969B1 (ko) 근거리 통신 과정에서 충전 가능한 모바일 단말
KR101172169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US9762080B2 (en)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harging method thereof
JP2018110479A (ja) 省電力装置
KR20210119777A (ko)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 공급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의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