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3019A - 신축 이음 - Google Patents

신축 이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3019A
KR20150013019A KR1020140088228A KR20140088228A KR20150013019A KR 20150013019 A KR20150013019 A KR 20150013019A KR 1020140088228 A KR1020140088228 A KR 1020140088228A KR 20140088228 A KR20140088228 A KR 20140088228A KR 20150013019 A KR20150013019 A KR 20150013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al member
expansion
gap
expans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코 요시모토
류 오가타
요시토모 오하라
히로부미 아사이
다츠아키 가네코
Original Assignee
제이엑스 닛코닛세키에너지주식회사
치요다가코겐세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엑스 닛코닛세키에너지주식회사, 치요다가코겐세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엑스 닛코닛세키에너지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13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1/00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 C10G11/14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with preheated moving solid catalysts
    • C10G11/18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with preheated moving solid catalysts according to the "fluidised-bed" techni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도 상향관 내를 낙하하는 분립체가 신축관의 내측에 마련된 단열재측에 침입하여 신축 기능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신축 이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축 이음은, 상측 배관(6a) 및 하측 배관(6b)에 일체화된 신축관(10)과, 하측 배관과 일체화되며, 그 내벽면과 신축관 사이에 배치된 제1 보호관(20)과, 상측 배관과 일체화되며, 제1 보호관의 안쪽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내주면이 하측 배관의 내벽면과 동일면에 위치함으로써, 하단부와 하측 배관의 내벽면 사이에 기체의 흐름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부(24)가 형성된 제2 보호관(21)과, 제1 및 제2 보호관의 간극(S)에 설치된 시일 부재(25, 26)와, 제1 및 제2 보호관과 신축관 사이에 설치된 신축성을 갖는 단열재(27)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보호관 사이의 간극의 바닥부에, 개구부측을 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신축 이음{EXPANSION JOINT}
본 발명은, 화학 플랜트 등에 있어서, 분립체를 동반한 고온의 기체가 상승하는 각종의 상향관에 설치할 때에 이용하기 적합한 신축 이음에 관한 것이다.
유동 접촉 분해(Fluid Catalytic Cracking) 프로세스(이하, FCC 프로세스라고 함)는, 중유로서 평가되는 고비점의 각종 원료유에, 고온 분위기 하에 있어서 제올라이트계의 고체 산촉매(FCC 촉매)를 접촉시켜 분해함으로써, 부가 가치가 높은 가솔린이나 LPG 등의 분해 생성물을 얻는 것으로, 석유 정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프로세스이다.
이 FCC 프로세스는, 원료유에 FCC 촉매를 접촉시켜 분해시키는 분해 반응 공정과, 이 분해 반응 공정에 있어서 생성된 분해 생성물을 FCC 촉매로부터 분리하여 취출하는 분리 공정과, 분리된 FCC 촉매를 스팀으로 세정하고, 그 후 FCC 촉매 상의 부착 코크스를 연소시켜 촉매를 재이용하기 위한 재생 공정과, 재생된 FCC 촉매를 상기 분해 반응 공정에 공급하는 재생 촉매의 이송 공정에 의해, 개략 구성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상기 FCC 프로세스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프로세스는, 다운 플로우 반응기(1)의 상부(1a)로부터 공급되는 원료유에, 재생 촉매 유지탑(2)으로부터 보내오는 FCC 촉매를, 상기 다운 플로우 반응기(1)를 낙하하는 과정에서 접촉시켜, 순식간에 원료유를 분해한 후에, 얻어진 분해 생성물을 하부의 분리기(3)에서 분리하여 외부로 취출하며, FCC 촉매를 촉매 세정탑(4)에서 세정하여 촉매 재생탑(5)으로 보내고, 상기 촉매 재생탑(5)에 공급되는 재생용 공기에 의해 재생시켜, 고온의 기체와 함께 촉매 상승관(6)으로부터 재생 촉매 유지탑(2)에 보내어 재이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종류의 프로세스를 실시하기 위한 FCC용 플랜트에 있어서는, 다운 플로우 반응기(1), 재생 촉매 유지탑(2), 촉매 세정탑(4) 혹은 촉매 재생탑(5) 등의 설비가, 구조체에 의해 고정되고, 이들 설비 사이에 상기 촉매 상승관(6) 등의 각종 배관이 시공되게 된다.
한편, 상기 플랜트에 있어서는, 운전 시에 내부가 500℃ 이상의 온도 분위기 하로 유지되고 있으며, 운전 조건을 바꾸었을 때나 상기 운전을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조업 온도가 크게 변화한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상기 설비 사이의 배관에는, 상기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배관의 팽창·수축을 흡수하기 위한 신축 이음이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촉매 상승관(6)에 설치되는 종래의 신축 이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면 중 부호 10이 인코넬 등의 내열성 금속이 주름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신축 가능하게 된 신축관이다.
이 신축관(10)은, 상하단부가 각각 상기 촉매 상승관(6)의 상측 배관(6a) 및 하측 배관(6b)에 접합·일체화된 것이며, 그 외주부에는, 세라믹 파이버로 이루어지는 단열재(29)와, 상기 신축관(10)의 직경 방향의 형상을 유지하며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11)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측 배관(6a) 및 하측 배관(6b)은, 예컨대 탄소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 내주면에는, 각각 내화 라이닝(12, 13)이 시공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내화 라이닝(12, 13)의 표면이 상측 배관(6a) 및 하측 배관(6b)에 있어서의 내벽면(12a, 13a)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신축관(10)의 내측에는, 상기 신축관(10)의 신축성을 담보한 뒤에, 그 내화성을 확보하며, 상측 배관(6a) 및 하측 배관(6b)의 내벽면(12a, 13a)과 연속시키기 위한 내화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이 내화 구조는, 상단부가 상측 배관(6a)과 일체화되며 상측 배관(6a)의 내벽면(12a)보다 신축관(10)측에 배치되어 하단부가 개구되는 외측 보호관(14)과, 이 외측 보호관(14)의 안쪽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며, 내마모 라이닝(15a)이 실시된 내주면이 하측 배관(6b)의 내벽면(13a)과 동일면에 위치하는 내측 보호관(15)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내측 보호관(15)의 상단부와 상측 배관(6a)의 내벽면(12a) 사이에, 내외 보호관(14, 15)의 축선 방향으로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개구부(16)가 형성되고, 또한 내외 보호관(14, 15)의 간극에 시일 부재(17)로서 와이어 메쉬 삽입 호스 블레이드가 설치되며, 이 시일 부재(17)에 의해 시일된 내외 보호관(14, 15)의 외주면과 신축관(10)의 내벽 사이에, 단열재(18)가 충전됨으로써, 상기 내화 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신축 이음을 설치한 촉매 상승관(6) 내에는, 운전 시에 하방의 촉매 재생탑(5)으로부터 상방의 재생 촉매 유지탑(2)으로, 다량의 FCC 촉매를 동반한 약 550℃의 기체가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FCC 촉매를 포함하는 고온 기체의 흐름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FCC 촉매가 극력 내외 보호관(14, 15) 사이에 침입하지 않도록, 개구부(16)를 상기 흐름 방향의 하류측, 즉 신축 이음의 상부측에 형성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신축 이음을 이용하여 시험 운전을 행한 바, 이 운전 및 그 정지를 장기간 반복한 후에, 상기 신축 이음이 충분히 신축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신축 이음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그래서, 상기 신축 이음을 오버홀하여, 내부의 상황을 확인한 바, 단열재(18)가 거의 소실되며, 상기 공간이 FCC 촉매에 의해 채워진 결과, 신축관(10)의 신축이 방해되고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그 원인은, 개구부(16)가 신축 이음의 상방에 형성되고, 또한 간극이 상기 개구부(16)보다 하방으로 연장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운전 정지 시에, 촉매 상승관(6) 내를 낙하하는 FCC 촉매가, 상기 개구부(16)로부터 상기 간극 내에 침입한 것으로 고려되었다.
그리고, 개구부(16)로부터 침입한 FCC 촉매가, 점차 상기 시일 부재(17) 상에 퇴적하여 갈 뿐만 아니라, 시일 부재(17)로서, 기공률이 큰 와이어 메쉬 삽입 호스 블레이드를 이용하고 있었던 데 비하여, FCC 촉매는, 40 ㎛~80 ㎛의 미립자형으로 조립(造粒)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시일 부재(17)가, FCC 촉매의 침입을 저지하도록 충분히 기능하고 있지 않았던 것으로 추측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도 상향관 내를 낙하하는 분립체가 신축관의 내측에 마련된 단열재측에 침입하여, 상기 신축관의 신축 기능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신축 이음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내화 라이닝에 의해 내벽면이 구획되고, 분립체를 동반한 고온의 기체가 상승하는 상향관의 상측 배관과 하측 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 이음으로서, 상하단부가 각각 상기 상측 배관 및 하측 배관에 접속된 신축관과, 하단부가 상기 하측 배관과 일체화되며 상기 하측 배관의 상기 내벽면과 상기 신축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단부가 개구되는 통형의 제1 보호관과, 상단부가 상기 상측 배관과 일체화되며 상기 제1 보호관의 안쪽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며, 내주면이 상기 하측 배관의 내벽면과 동일면 또는 상기 제1 보호관측에 위치함으로써, 하단부와 상기 하측 배관의 내벽면 사이에 상기 기체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통형의 제2 보호관과, 이들 제1 및 제2 보호관 사이의 상기 간극에 설치된 시일 부재와, 이 시일 부재에 의해 시일된 상기 제1 및 제2 보호관의 외주면과 상기 신축관의 내벽 사이에 설치된 신축성을 갖는 단열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보호관 사이의 간극의 바닥부에, 상기 간극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측을 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분립체가 낙하하기 쉬운 각도이면 좋고, 구체적으로는 수평면에 대하여 20°~7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간극에 설치된 제1 시일 부재와, 이 제1 시일 부재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시일 부재보다 기공률이 작은 제2 시일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주머니체의 내부에 세라믹 파이버를 충전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측 배관에는, 선단부가 상기 하측 배관과 상기 제1 보호관의 외주면 사이에 개구되는 보수용 노즐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측 배관과 일체화된 제2 보호관과 하측 배관 사이의 신축관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한 개구부가, 기체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의 운전 시에는, 유속이 빠른 기체에 동반하여 상승하는 분립체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제1 보호관과 제2 보호관 사이의 간극에 침입하는 일이 없다.
한편, 운전의 정지 시에, 상기 분립체가 상향관 내를 낙하하는 경우에도, 상기 개구부가 제1 보호관과 제2 보호관 사이의 간극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분립체가 상기 간극에 침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보호관 사이의 간극의 바닥부에, 상기 간극측으로부터 개구부측을 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로부터 간극 내에 침입하고자 하는 분립체를, 중력에 의해 상기 경사면을 따라 관 내에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만약 상기 분립체가, 개구부로부터 간극 내에 침입한 경우에도, 상기 간극 내에 시일 부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해 분립체의 상방으로의 혼입을 막을 수 있고, 특히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일 부재를, 상방에 위치하는 제1 시일 부재와, 이 제1 시일 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시일 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며, 또한 개구부측에 위치하는 제2 시일 부재로서, 제1 시일 부재보다 기공률이 작은 것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입경이 작은 분립체에 대해서도, 침입 저지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게다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단열재를, 주머니체의 내부에 세라믹 파이버를 충전함으로써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만일 분립체가 시일 부재를 통과하여 단열재측에 침입한 경우에 있어서도, 종래와 같이 상기 단열재가 산일(散逸)되어 분립체와 치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하측 배관에, 선단부가 상기 하측 배관과 제1 보호관의 외주면 사이에 개구되는 보수용 노즐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보수용 노즐로부터 내부의 단열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에 분립체가 혼입한 경우에는, 상기 보수 노즐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충전한 제1 및 제2 보호관의 외주면과 신축관의 내벽 사이의 공간의 에어 퍼지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이음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2의 시일 부재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FCC 프로세스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프로세스에 이용된 종래의 신축 이음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이음을, 도 3에 나타낸 FCC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촉매 상승관(상향관)(6)에 설치하는 신축 이음에 적용한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4에 나타낸 것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간략화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신축 이음에 있어서는, 신축관(10)과 하측 배관(6b)의 내화 라이닝(13)의 내벽면(13a) 사이에, 하단부가 하측 배관(6b)에 접합되어 상단부가 개구되는 외측 보호관(제1 보호관)(2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외측 보호관(20)의 안쪽에, 간극(S)을 두고 하단부가 개구되는 내측 보호관(제2 보호관)(21)이 배치되고, 이 내측 보호관(21)의 상단부가 상측 배관(6a)에 접합되어 있다.
이들 외측 보호관(20) 및 내측 보호관(21)은, 각각 내주면에 내마모 라이닝(22, 23)이 시공되어 있고, 내측 보호관(21)의 내마모 라이닝(23)의 표면이, 상측 및 하측 배관(6a, 6b)의 내화 라이닝(12, 13)의 내벽면(12a, 13a)과 동일면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보호관(21)의 하단부와, 하측 배관(6b)의 내화 라이닝(13) 사이에, 기체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신축관(10)의 신축을 담보하는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보호관(20)의 내마모 라이닝(22)의 하부는, 상기 간극(S)측으로부터 개구부(24)측을 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2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경사면(22a)의 경사 각도는, 분립체가 낙하하기 쉬운 각도이면 좋고, 구체적으로는 수평면에 대하여 20°~7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보호관(20) 및 내측 보호관(21) 사이의 간극(S)에는, 상부 시일 부재(제1 시일 부재)(25) 및 하부 시일 부재(제2 시일 부재)(2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시일 부재(25)는, 외주가, 선직경 0.4 ㎜φ의 SUS310S의 와이어에 의해 짜여진 호스 내에, 0.254 ㎜φ SUS310S의 와이어가 194 Kg/㎥의 밀도로 충전된 호스 블레이드이다. 또한, 하부 시일 부재(26)는, 외주가, 마찬가지로 선직경 0.4 ㎜φ의 SUS310S의 와이어에 의해 짜여진 호스 내에, 평균 섬유 직경이 2.5 ㎛인 Al2O3 및 SiO2로 이루어지는 세라믹스 파이버가, 60 Kg/㎥~250 Kg/㎥의 밀도로 충전된 호스 블레이드이다. 이에 의해, 하부 시일 부재(26)는, 상부 시일 부재(25)보다 기공률이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상하부 시일 부재(25, 26)에 의해 시일된 외측 보호관(20) 및 내측 보호관(21)의 외주면과 신축관(10)의 내벽 사이에, 신축관(10)의 신축을 방해하지 않는 신축성을 구비한 단열재(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열재(27)는, SiO2 등의 세라믹스 파이버로 이루어지는 클로스(cloth)의 주머니체의 내부에, Al2O3 및 SiO2로 이루어지는 세라믹스 파이버가, 128 Kg/㎥~160 Kg/㎥의 밀도로 충전된 것이다.
또한, 하측 배관(6b)에는, 선단부가 하측 배관(6b)의 내부에 개구되는 보수용 노즐(28)이 접속되어 있고, 이 보수용 노즐(28)에 의해, 하측 배관(6b)과 외측 보호관(2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단열재(27)의 상태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신축 이음에 따르면, 상측 배관(6a)과 일체화된 내측 보호관(21)과 하측 배관(6b)의 내화 라이닝(13) 사이에 형성되어, 신축관(10)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한 개구부(24)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흐르는 기체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의 운전 시에 있어서는, 유속이 빠른 기체에 동반하여 상승하는 FCC 촉매가 개구부(24)로부터 외측 보호관(20)과 내측 보호관(21) 사이의 간극(S)에 침입하는 일이 없다.
또한, 운전의 정지 시에, 상기 FCC 촉매가 촉매 상승관(6) 내를 낙하하는 경우에도, 개구부(24)가 외측 보호관(20)과 내측 보호관(21) 사이의 간극(S)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FCC 촉매가 간극(S)에 침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게다가, 상기 간극(S)이 되는 외측 보호관(20)의 내마모 라이닝(22)의 하부에, 상기 간극(S)측으로부터 개구부(24)측을 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2a)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개구부(24)로부터 간극(S)에 침입하고자 하는 FCC 촉매를, 중력에 의해 이 경사면(22a)을 따라 관 내에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만약 상기 FCC 촉매가, 개구부(24)로부터 간극(S) 내에 침입한 경우에도, 간극(S) 내에 상부 시일 부재(25) 및 하부 시일 부재(26)를 설치하고, 개구부(24)측에 위치하는 하부 시일 부재(26)로서, 상부 시일 부재(25)보다 기공률이 작은 것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입경이 100 ㎛ 이하라고 하는 미세한 FCC 촉매 분립체에 대해서도, 침입 저지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주머니체의 내부에 세라믹 파이버를 충전함으로써 단열재(27)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만일 FCC 촉매가 상하부 시일 부재(25, 26)를 통과하여 단열재(27)측에 침입한 경우에 있어서도, 종래와 같이 단열재(27)가 산일되어 FCC 촉매와 치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도, 촉매 상승관(6) 내를 낙하하는 FCC 촉매가, 신축관(10)의 내측에 마련된 단열재(27)측에 침입하여, 신축관(10)의 신축 기능을 손상시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측 배관(6b)에, 선단부가 하측 배관(6b) 내에 개구되는 보수용 노즐(28)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 보수용 노즐(28)로부터 내부의 단열재(27)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만일 단열재(27)의 충전 부분에 FCC 촉매가 혼입된 경우에는, 보수 노즐(28)을 이용하여 외측 보호관(20) 및 내측 보호관(21)의 외주면과 신축관(10)의 내벽 사이의 공간의 에어 퍼지 등을 행할 수도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화학 플랜트 등에 있어서, 분립체를 동반한 고온의 기체가 상승하는 각종 상향관에 설치하는 신축 이음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6 : 촉매 상승관(상향관) 6a : 상측 배관
6b : 하측 배관 10 : 신축관
12, 13 : 내화 라이닝 12a, 13a : 내벽면
20 : 외측 보호관(제1 보호관) 21 : 내측 보호관(제2 보호관)
22, 23 : 내마모 라이닝 22a : 경사면
24 : 개구부 25 : 상부 시일 부재(제1 시일 부재)
26 : 하부 시일 부재(제2 시일 부재) 27 : 단열재
28 : 보수용 노즐 29 : 외부 단열재
S : 간극

Claims (4)

  1. 내화 라이닝에 의해 내벽면이 구획되고, 분립체를 동반한 고온의 기체가 상승하는 상향관의 상측 배관과 하측 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 이음으로서,
    상하단부가 각각 상기 상측 배관 및 하측 배관에 접속된 신축관과,
    하단부가 상기 하측 배관과 일체화되며 상기 하측 배관의 상기 내벽면과 상기 신축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단부가 개구되는 통형의 제1 보호관과,
    상단부가 상기 상측 배관과 일체화되며 상기 제1 보호관의 안쪽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내주면이 상기 하측 배관의 내벽면과 동일면 또는 상기 제1 보호관측에 위치함으로써, 하단부와 상기 하측 배관의 내벽면 사이에 상기 기체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통형의 제2 보호관과,
    이들 제1 및 제2 보호관 사이의 상기 간극에 설치된 시일 부재와,
    이 시일 부재에 의해 시일된 상기 제1 및 제2 보호관의 외주면과 상기 신축관의 내벽 사이에 설치된 신축성을 갖는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보호관 사이의 간극의 바닥부에, 상기 간극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측을 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이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간극에 설치된 제1 시일 부재와, 이 제1 시일 부재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시일 부재보다 기공률이 작은 제2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이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주머니체의 내부에 세라믹 파이버를 충전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이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배관에는, 선단부가 상기 하측 배관과 상기 제1 보호관의 외주면 사이에 개구되는 보수용 노즐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이음.
KR1020140088228A 2013-07-25 2014-07-14 신축 이음 KR201500130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54724 2013-07-25
JP2013154724A JP6142317B2 (ja) 2013-07-25 2013-07-25 伸縮継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019A true KR20150013019A (ko) 2015-02-04

Family

ID=5248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228A KR20150013019A (ko) 2013-07-25 2014-07-14 신축 이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42317B2 (ko)
KR (1) KR20150013019A (ko)
SA (1) SA1143506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7757B2 (en) * 2017-07-11 2021-02-02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duct components in a boiler
JP7223480B2 (ja) 2020-09-14 2023-02-16 花王株式会社 4-アミノ安息香酸水酸化活性を有するポリペプチド及びその利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9857Y1 (ko) * 1970-11-11 1975-11-15
JPS5119716Y2 (ko) * 1972-02-24 1976-05-24
AT346875B (de) * 1974-09-06 1978-09-15 Wurth Anciens Ets Paul Kompensatorverbindung zwischen zwei mit feuerfestfutter versehenen rohrstuecken und gelenkduesenstoecke mit diesen verbindungen
JPS54120721U (ko) * 1978-02-14 1979-08-23
JPS58119689U (ja) * 1982-02-08 1983-08-15 大同酸素株式会社 伸縮式管継手
JPS60179594A (ja) * 1984-02-27 1985-09-1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高温・高圧流体の導入管構造
JP2008025352A (ja) * 2006-07-18 2008-02-07 Hino Motors Ltd 排気管の可撓継手構造
US7484773B2 (en) * 2006-09-22 2009-02-03 Kellogg Brown & Root Llc Self purging expansion j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A114350668B1 (ar) 2016-06-01
JP6142317B2 (ja) 2017-06-07
JP2015025491A (ja)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idenreich Hot gas filtration–A review
US3861862A (en) Fuel gun for fluidized bed reactor
US326829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gas streams
EP2663618B1 (en) Gasification reactor and process
EP3390587B1 (en) Gasification system
CN104258676B (zh) 一种催化陶瓷膜反应装置
PL110558B1 (en) Reactor for partial burning particulated solid coal fuel
KR20150013019A (ko) 신축 이음
US2651565A (en) Apparatus for uniform distribution and contacting of subdivided solid particles
JP2020073674A (ja) ガス化システム及びプロセス
CN204159171U (zh) 一种催化陶瓷膜反应装置
CN105154142A (zh) 流化床气化装置及流化床气化系统
EP3390586B1 (en) Gasification system
Heidenreich Hot gas filters
KR101245319B1 (ko) 환원가스의 분진 제거방법
CN204939410U (zh) 流化床气化装置及流化床气化系统
Bocci et al. Particulates separation technologies for syngas purification
US20040020277A1 (en) Monitoring erosion of ceramic insulation or shield with wide area pneumatic grids
KR101206484B1 (ko) 환원가스의 분진 제거 장치
KR101238894B1 (ko) 분진 제거장치의 희생 노즐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