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842A - Heating-furnace-extraction order generation device, heating-furnace-extraction order generation method, and steel plate prod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Heating-furnace-extraction order generation device, heating-furnace-extraction order generation method, and steel plate produ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842A
KR20150011842A KR1020147036156A KR20147036156A KR20150011842A KR 20150011842 A KR20150011842 A KR 20150011842A KR 1020147036156 A KR1020147036156 A KR 1020147036156A KR 20147036156 A KR20147036156 A KR 20147036156A KR 20150011842 A KR20150011842 A KR 20150011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d material
heating furnace
rolling
pattern
cr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6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48476B1 (en
Inventor
유스케 요시나리
가즈히로 나카츠지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1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8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4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1/00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for heat treat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254Work sequence, alternative seque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291Task sequence optimiz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40Minimising material used in manufacturing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패턴 작성부 (103) 가, 압연재별로 통과 공정의 각 공정과 당해 공정에 사용되는 설비의 점유 시간을 조합한 공정 패턴을 복수 작성하고,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가, 압연재별로 통과 공정의 각 공정에 대하여 1 개씩 선택한 공정 패턴을 조합하여 모드를 작성하고, 압연재의 제품 품질상의 제약 조건과 설비의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총압연 시간이 최단이 되는 압연재의 모드의 조합을 선정하고, 선정된 압연재의 모드의 조합에 기초하여 압연재의 가열로 추출 순서와 압연 스케줄을 작성한다. 이로써, 강판의 압연 능률의 향상과 제품 품질 조건의 충족을 양립시켜 강판의 제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attern creating unit 103 creates a plurality of process patterns in which each step of the passing process and the occupation time of the equipment used in the process are combined for each rolled material, A mode is created by combining the process patterns selected one by one for each step of the passing process and the mode of the rolled material in which the total rolling time is shortest based on constraint conditions on the product quality and equipment of the rolled material A combination is selected, and on the basis of the combination of the modes of the selected rolled material,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and a rolling schedule are made. As a result, both the improvement of the rolling efficiency of the steel sheet and the satisfaction of the product quality condition can be achieved, and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steel sheet can be improved.

Description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방법 및 강판의 제조 방법{HEATING-FURNACE-EXTRACTION ORDER GENERATION DEVICE, HEATING-FURNACE-EXTRACTION ORDER GENERATION METHOD, AND STEEL PLATE PRODUCTION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creating device,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creating method,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teel sheet.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본 발명은, 복수의 가열로와 조압연기 (Rough mill) 와 마무리 압연기 (Finish mill) 를 갖는 강판의 압연 라인에서의 강판의 가열로 추출 순서와 압연 스케줄을 작성하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Equipment of creating the slab extraction order from the heating furnace),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방법 (Algorithm of creating the slab extraction order from the heating furnace) 및 강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creating apparatus (equipment) for creating a heating furnace annealing sequence and a rolling schedule of a steel sheet in a rolling line of a steel plate having a plurality of heating furnaces, a rough mill and a finishing mi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slab,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eparing a slab from a heating furnace.

최근, 강도나 인성이 우수한 후강판이 요구되어, 고온의 강판의 압연과 냉각을 조합한 제어 압연이나 제어 냉각에 의해 후강판이 제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강도 또한 고인성의 후강판을 제조하는 데에는, 1000 ℃ 이상으로 가열된 슬래브를 조압연에 의해 중간 정도의 판 두께로 하고, 미재결정 온도역으로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냉각을 거쳐, 미재결정 온도역 근방의 온도역이 된 슬래브를 최종 마무리 압연에 의해 압연하는 제어 압연 (CR) 이 실시된다.BACKGROUND ART In recent years, a post-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toughness has been required, and a post-steel sheet has been produced by controlled rolling or controlled cooling in which rolling and cooling of a high-temperature steel sheet are combined. Generally, to manufacture a high-strength and high-phosphor-coated steel sheet, a slab heated to 1000 ° C or higher is subjected to rough cooling to adjust the temperature to the mid-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A control rolling (CR) is performed in which the slab, which has become a temperature region near the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side, is rolled by final finishing rolling.

예를 들어, 판 두께 200 ∼ 300 ㎜ 의 슬래브를 1100 ∼ 1200 ℃ 정도로까지 가열한 후, 조압연기로 판 두께 40 ∼ 60 ㎜ 정도까지 조압연하고, 그 후, 조정 냉각에 의해 미재결정 온도역인 900 ℃ 이하가 된 시점에서 압연을 재개하고, 예를 들어 20 ㎜ 등의 목표로 하는 최종 판 두께가 될 때까지 압연한다.For example, a slab having a sheet thickness of 200 to 300 mm is heated to about 1100 to 1200 ° C, followed by rough rolling to a sheet thickness of about 40 to 60 mm with a roughing mill, and thereafter, Lt; 0 > C, the rolling is resumed and rolled until a target final thickness of, for example, 20 mm is reached.

또한 일반적으로,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제어 압연에 더하여, 압연 후에 가속 냉각에 의해 Ar3 변태점 온도 이상의 온도부터 500 ℃ 정도까지 냉각시키는 제어 냉각도 실시된다.Gener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strength,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ntrol rolling, control cooling is also performed by cooling after the rolling from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Ar3 transformation point temperature to about 500 ° C by accelerated cooling.

상기 조압연기와 마무리 압연기에 있어서 제어 압연 (Control rolling) 이나 제어 냉각 (Control cooling) 을 실시할 때에는, 조압연기의 후단에 배치 형성한 온도 조정용의 냉각 장치로 조압연 후에 강판의 조정 냉각을 실시하고, 마무리 압연기의 후단에 배치 형성한 가속 냉각용의 냉각 장치로 가속 냉각을 실시하고 있다.When control rolling or control cooling is performed in the rough rolling mill and the finish rolling mill, adjustment cooling of the steel sheet is carried out after rough rolling with a cooling device for temperature adjustment arranged at the rear end of the rough rolling mill , And a cooling device for accelerated cooling, which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finishing mill, performs acceleration cooling.

또한, 후강판의 압연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3 및 비특허문헌 1 에는, 압연 시간이 최단이 되도록, 복수의 피압연재의 압연 패스 스케줄을 결정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In addition, a number of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rolling efficiency of the steel sheet have been disclosed. For example, Patent Literatures 1, 2 and 3 and Non-Patent Literature 1 disclose a method of determining rolling pass schedules of a plurality of pressure-sensitive expanding members so that the rolling time is shortest.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40663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240663 일본 특허 제4226516호Japanese Patent No. 4226516 일본 특허 제2111171호Japanese Patent No. 2111171

노무라 마사코, 「혼합 정수 계획법을 사용한 후판 압연 스케줄의 결정 방법」, 일본 오퍼레이션즈·리서치 학회 추계 연구 발표회, 1993 Nomura Masako, "Determination of Plate Rolling Schedule by Mixed Integer Programming", Japan Operations Research Institute Fall Conference, 1993

상기한 바와 같이, 최근, 강도나 인성이 우수한 후강판이 요구되는 경향이 있어, 제어 압연의 조건은 엄격함이 증가하고 있다. 즉, 압연 능률의 향상뿐만 아니라, 압연 능률의 향상과 제품 품질 조건의 충족을 양립시키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제조 중의 슬래브의 온도 조정의 스케줄을 포함한 후강판의 제조 효율의 최적화가 필요하고, 조압연기와 마무리 압연기의 부하를 조정할 뿐만 아니라, 가열로로부터의 추출 순서나 추출 시각까지를 고려한 압연 스케줄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require a post-steel sheet excellent in strength and toughness, and the conditions of the control rolling have been increasingly stringent. That is,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ique that not only improves rolling efficiency but also improves rolling efficiency and satisfies product quality conditions. In order to do so,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steel plate after the schedule including the temperature adjustment of the slab during manufacture, and to adjust the load on the roughing and finishing mills, .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 문헌의 어느 것에도, 냉각 장치에서의 압연재의 온도 조정이나, 가열로로부터의 추출 순서나 추출 시각을 고려한 기술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요컨대, 상기 선행 기술 문헌에 기재된 기술은, 모두, 복수의 압연재 전체의 제조 효율을 최적화하는 기술이라고는 할 수 없다.However, none of the above prior art documents disclose a technique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rolled material in the cooling apparatu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xtraction order and the extraction time from the heating furnace. In short, the techniques described in the above prior art documents are not all techniques for optimizing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a plurality of rolled materials.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강판의 압연 능률의 향상과 제품 품질 조건의 충족을 양립시켜 강판의 제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방법 및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preparation device capable of improving both the rolling efficiency and the product quality condition of a steel sheet, Order preparation metho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 발명에 관련된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는, 복수의 가열로와 적어도 조압연기와 마무리 압연기를 갖는 강판의 압연 라인에서의 강판의 가열로 내 슬래브의 추출 순서와 압연 스케줄을 작성하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로서, 압연재별로 통과 공정의 각 공정과 당해 공정에 사용되는 설비의 점유 시간을 조합한 공정 패턴 (Process time pattern) 을 복수 작성하는 공정 패턴 작성 수단과, 압연재별로 통과 공정의 각 공정에 대하여 1 개씩 선택한 공정 패턴을 조합하여 모드 (Mode) 를 작성하는 모드 작성 수단과, 압연재의 제품 품질상의 제약 조건 (Constraint condition) 과 설비의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총압연 시간이 최단이 되는 압연재의 모드의 조합을 선정하고, 선정된 압연재의 모드의 조합에 기초하여 압연재의 가열로 추출 순서와 압연 스케줄을 작성하는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수단 (Optimization algorithm of the extract order, extract timing, delivery timing from the roughing mill to the finishing mill)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achieve the object,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is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produc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which comprises a heating furnace for heating a steel sheet in a rolling line of a steel plate having a plurality of heating furnaces and at least rough rolling mills and finishing rolling mills, A process for producing a plurality of process time patterns by combining each process of the passing process and the occupation time of the equipment used in the process for each rolled material, A mode creating means for creating a mode by combining a pattern forming means and a process pattern selected one by one for each step of the passing step for each rolled material; a mode creating means for creating a constraint condition on the product quality of the rolled material, Based on the constraint conditions, a combination of the modes of the rolled material in which the total rolling time is the shortest is selected, an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modes of the selected rolled material And an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means (extracting timing, delivery timing from the roughing mill to the finishing mill) for creating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and a rolling schedule of the rolled material.

또한, 제 2 발명에 관련된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는, 상기의 제 1 발명에 있어서,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수단에, 총압연 시간에 압연재의 제품 품질에 관한 평가를 가미한 목적 함수 (Objective function) 를 최소로 하는 압연재의 모드의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irs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means is provided with an objective function (Objective) which gives an evaluation on the product quality of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total rolling time, function of the rolled material is minimized.

또한, 제 3 발명에 관련된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는, 상기의 제 2 발명에 있어서,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수단에, 압연재의 제품 품질에 관한 평가를 소정의 가중 계수로서, 목적 함수에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econd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means is constructed so that the evaluation on the product quality of the rolled material is performed with a predetermined weighting factor, .

또한, 제 4 발명에 관련된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방법은, 복수의 가열로와 적어도 조압연기와 마무리 압연기를 갖는 강판의 압연 라인에서의 강판의 가열로 추출 순서와 압연 스케줄을 작성하는 가열로 내 슬래브의 추출 순서 작성 방법으로서, 압연재별로 통과 공정의 각 공정과 당해 공정에 사용되는 설비의 점유 시간을 조합한 공정 패턴을 복수 작성하는 공정 패턴 작성 스텝과, 압연재별로 통과 공정의 각 공정에 대하여 1 개씩 선택한 공정 패턴을 조합하여 모드를 작성하는 모드 작성 스텝과, 압연재의 제품 품질상의 제약 조건과 설비의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총압연 시간이 최단이 되는 압연재의 모드의 조합을 선정하고, 선정된 압연재의 모드의 조합에 기초하여 압연재의 가열로 추출 순서와 압연 스케줄을 작성하는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procedure pr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our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ourth invention is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method for producing a heating furnace slab including a plurality of heating furnaces and a heating furnace slab A process pattern creating step of creating a plurality of process patterns by combining the respective steps of the passing step and the occupation time of the equipment used in the process for each rolled material; A mode creation step of creating a mode by combining the selected process patterns one by one and a mode combination of the mode of the rolled material in which the total rolling time is shortest based on constraint conditions on the product quality of the rolled material and equipment, , An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for creating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and a rolling schedule based on a combination of modes of the selected rolled material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또한, 제 5 발명에 관련된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방법은, 상기의 제 4 발명에 있어서,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스텝에, 총압연 시간에 압연재의 제품 품질에 관한 평가를 가미한 목적 함수를 최소로 하는 압연재의 모드의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procedure pr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f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ourth invention, in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procedure generation step, the objective function which gives an evaluation on the product quality of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total rolling time is set to a minimum And a mode of the rolled material is selected.

또한, 제 6 발명에 관련된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방법은, 상기의 제 5 발명에 있어서,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스텝에, 압연재의 제품 품질에 관한 평가를 소정의 가중 계수 (Weighting factor) 로서, 목적 함수에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procedure pr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ix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above-mentioned fifth invention, in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procedure generation step, the evaluation on the product quality of the rolled material is performed using a predetermined weighting factor , And multiplies the objective function.

또한, 제 7 발명에 관련된 강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의 제 1 발명에 의해 결정된 가열로 추출 순서에 기초하여 강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seven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sheet is manufactured based on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procedure determined by the first invention.

또한, 제 8 발명에 관련된 강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의 제 4 발명에 의해 결정된 가열로 추출 순서에 기초하여 강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eel sheet is manufactured based on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procedure determined by the fourth invention.

본 발명에 관련된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방법 및 강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강판의 압연 능률의 향상과 제품 품질 조건의 충족을 양립시켜 강판의 제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preparation device,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preparation method, and the steel plat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improvement of the rolling efficiency of the steel sheet and the satisfaction of the product quality condition can be achieved and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steel sheet can be improved.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시스템의 대상인 강판의 압연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작업 중 압연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는 작업 중 압연재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압연재 사양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가열로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사양 코드 마스터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설비 제약 마스터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패턴 DB 에 격납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 은 Job, 공정 패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 는 Resource 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Job 과 Resource 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 는 Job 과 Resource 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 는 재원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 은 작업 중 압연재가 조압연기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경우의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 은 작업 중 압연재가 냉각 장치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경우의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 은 작업 중 압연재가 마무리 압연기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경우의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9 는 작업 중 압연재가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경우의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0 은 모드 작성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rolling line of a steel sheet, which is a target of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cre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procedure cre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rolled material during opera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rolled material data during work.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olled material specification data.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heating furnace position.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pecification code master data.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facility constraint master data.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ata stored in the pattern DB.
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the heating furnace extracting sequence creating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job, a process pattern, and a mode.
1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data configuration of Resource.
1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Job and Resource.
1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Job and Resource.
Fig. 15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procedure for the rolled material.
16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procedure for a rolled material during a work in a case where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work is incomplete in the roughing mill during the work.
Fig. 17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procedure for a rolled material during a work in the case where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work is incomplete in the cooling apparatus during the work. Fig.
18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procedure for a rolled material during a work in which the rolled material during work is not finished in the finish rolling mill.
19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procedure for a rolled material during a work in a case where the rolled material in the work is incomplete in the process of the finished back side table during the work.
20 is a flowchart showing a mode creation processing procedur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heating furnace extracting order creating system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강판의 압연 라인에 대하여][About rolling line of steel sheet]

먼저,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시스템이 작성하는 압연 스케줄의 대상인 후강판의 압연 라인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rolling line of a steel plate as a target of a rolling schedule created by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creation system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시스템이 대상으로 하는 후강판의 압연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강판의 압연 라인에는, 리소스 (설비) 로서, 상류로부터 순서대로 슬래브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로 (1) 와, 리버스식의 조압연기 (2) 와, 압연재 (S) 를 공랭 또는 수냉에 의해 냉각시켜 온도 조정을 실시하는 냉각 장치 (3) 와, 리버스식의 마무리 압연기 (4) 와, 압연재 (S) 를 대기시키기 위한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rolling line of a steel sheet to be subjected to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cre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s shown in Fig. 1, in the rolling line of the steel plate, a heating furnace 1 for heating the slab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order from upstream, a reverse-type roughing mill 2, A cooling device 3 for cooling the steel strip S by air cooling or water cooling so as to perform temperature adjustment, a reverse finishing mill 4 and a finishing mill rear table 5 for waiting the rolled material S, As shown in Fig.

가열로 (1) 에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슬래브는, 압연재 (S) 로서 소정의 시각에 소정의 순서로 추출되고, 조압연기 (2) 및 마무리 압연기 (4) 에 의해 압연된다. 압연의 공정에는, 스케일의 박리 및 압연재 (S) 의 균일화를 도모하는 1 ∼ 4 패스 정도의 조정 압연 공정과, 소정의 판 두께를 얻기 위해서 실시하는 후출 (厚出) 압연 공정과, 소정의 판 폭을 얻기 위해서 압연재 (S) 를 후출 압연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터닝하여 실시하는 폭 조정 압연 공정의 3 공정이 있다. 조정 압연 공정과 폭 조정 압연 공정은, 조압연기 (2) 로 실시된다. 후출 압연 공정은, 주로 마무리 압연기 (4) 로 실시되지만, 2 종의 압연기의 부하를 조정하기 위해서 조압연기 (2) 로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The slabs heated to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the heating furnace 1 are extracted as a rolled material S at a predetermined time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rolled by the roughing mill 2 and the finish rolling mill 4. The rolling step includes an adjustment rolling step of about 1 to 4 passes for peeling the scale and making the rolled material S uniform, a rolling step for obtaining a predetermined sheet thickness, There are three steps of a width adjustment rolling step in which the rolled material S is turn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next rolling in order to obtain the plate width. The adjustment rolling process and the width adjustment rolling process are carried out by the roughing mill 2. Although the post-rolling process is mainly carried out by the finish rolling mill 4, the rough rolling mill 2 may be used to adjust the load of two kinds of rolling mills.

기계 강도가 우수한 고급 후강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압연재 (S) 의 온도 변화에 수반하는 재질 변화를 도모하여 제어 압연 (CR) 이나 제어 냉각이 실시된다. 제어 압연재 (CR 재) 는, 재질 설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목표 온도에서 소정의 두께까지 압연된다. 즉, CR 재에 대해서는, 압연 도중에, 소정의 판 두께 (CR 두께) 에서 물이나 공기에 의한 냉각을 실시하면서 소정의 온도 (CR 온도) 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온도를 제어할 때에는, 주로 냉각 장치 (3) 가 이용되지만, 압연 라인의 가동 상황에 따라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이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조압연기 (2) 및 마무리 압연기 (4) 사이에는 2 대의 냉각 장치 (31, 32) 가 배치 형성되고, 압연재 (S) 의 길이에 따라 최대 2 개의 압연재 (S) 를 대기 (냉각) 시킬 수 있다. 또한,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는 최대 1 개의 압연재 (S) 를 대기시킬 수 있다.Controlled rolling (CR) or control cooling is performed by making a material change accompany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rolled material (S)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high-quality after-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The control rolled material (CR material) is roll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a target temperature set based on the material design. That is,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CR material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CR temperature) while cooling with water or air at a predetermined plate thickness (CR thickness) during rolling. Further, when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cooling apparatus 3 is mainly used, but the finishing mill back table 5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rolling line. Two cooling devices 31 and 32 are disposed between the rough rolling mill 2 and the finish rolling mill 4 so that at most two rolled materials S are allowed to stand by cooling ). In addition, at most one rolling member S can be placed in the finisher back table 5.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시스템은, 도 1 에 나타내는 후강판의 압연 라인에 있어서, 압연 라인의 상류에 배치 형성된 복수의 가열로로부터의 압연재 (S) 의 추출 순서나 추출 시각을 고려하면서 하류의 조압연기나 마무리 압연기에서의 압연 스케줄 (통과 공정 스케줄) 을 작성한다.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cre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forming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in a rolling line of a steel plate after a steel strip shown in Fig. Considering the time, a rolling schedule (passing schedule) in the downstream roughing and finishing mills is created.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on system]

다음으로,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2, a configuration of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on system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시스템 (10) 은, 작업 중 압연재 데이터베이스 (DB) (11) 와, 압연재 사양 데이터베이스 (DB) (12) 와, 사양 코드 마스터 데이터베이스 (DB) (13) 와, 설비 제약 마스터 데이터베이스 (DB) (14) 와, 파라미터 데이터베이스 (DB) (15) 와, 패턴 데이터베이스 (DB) (16) 와,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100) 를 주된 구성 요소로서 구비한다.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100) 는, 본 발명에 관련된 공정 패턴 작성 수단, 모드 작성 수단,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수단으로서 기능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procedure creation system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lled material database (DB) 11, a rolled material specification database (DB) 12, A facility code database (DB) 13, an equipment constraint master database (DB) 14, a parameter database (DB) 15, a pattern database (DB) (100) as a main component. The heating-furnace-extraction-sequence-creating apparatus 100 functions as a process-pattern creating means, a mode creating means and an optimum heating-furnace-extracting-sequence crea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작업 중 압연재 DB (11) 는, 작업 중 압연재에 관한 정보를 작업 중 압연재 데이터로서 격납한다. 여기서, 도 3 을 참조하여,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압연재 (S) 가 각 리소스를 통과하는 시각을 예시한 도면이다. 작업 중 압연재란, 이미 가열로 (1) 로부터 추출되고, 또한, 마무리 압연기 (4) 등에서의 후출 공정 (마무리 압연 공정) 이 미완료인 압연재 (S) 를 말하며, 도 3 에 나타내는 S (-2), S (-1), S (0) 과 같은 압연재 (S) 를 말한다. 여기서, 괄호 내의 숫자가 작을수록 선행하는 압연재 (S) 인 것을 나타내고, 괄호 내의 숫자가 0 이하인 것은 그 압연재 (S) 가 작업 중 압연재인 것을 나타낸다.The rolled material DB 11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rolled material during work as rolled material data during work. Here, referring to Fig. 3, a rolled material dur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time when the rolled material S passes through each resource. The rolled material during operation refers to a rolled material S which has been already extracted from the heating furnace 1 and which is further incomplete in a finishing step (finishing rolling step) in the finish rolling mill 4 or the like. S (-2 ), S (-1), S (0). Here, the smaller the number in the parentheses indicates the preceding rolled material S, the smaller the number in parentheses indicates that the rolled material S is the rolled material during work.

도 4 는, 작업 중 압연재 데이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중 압연재 데이터는, 압연재 ID, 가열로 추출 순서, 공정 순서, 공정명, 공정 완료 구분, 공정 개시 시각, 공정 종료 시각, 공정 종료 판 폭, 공정 종료 판 길이, 공정 종료 판 두께, 공정 종료 판 온도, 공정 변경 사인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각 항목에는 상위 컴퓨터에 의해 데이터 갱신된 최신의 예정 및 실적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rolled material data during operation. Fig. As shown in Fig. 4, the rolled material data during operation includes the rolled material ID,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the process sequence, the process name, the process completion classification, the process start time, the process end time, , Process termination plate thickness, process termination plate temperature, and process change signature. In each item, the latest scheduled and actual data updated by the host computer is recorded.

압연재 ID 란, 압연재 (S) 를 특정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가열로 추출 순서란, 해당하는 압연재 (S) 가 가열로에 장입된 순서 (= 가열로로부터 추출되는 순서) 를 나타내고, 오름차순으로 빠르게 추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공정 순서란, 통과 예정 혹은 통과한 (실적의) 공정의 순서를 나타낸다. 공정명이란, 통과 예정 혹은 통과한 공정의 명칭을 의미한다. 공정 완료 구분이란, 해당하는 공정이 예정, 실행 중, 실적의 어느 구분에 해당하는가를 나타낸다.The rolled material ID mean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rolled material S. [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indicates the order in which the rolled materials S are charged into the heating furnace (= the order of extraction from the heating furnace), and is extracted in ascending order. The process order refers to the order of processes that are scheduled to pass or have passed (actual). The term "process name" means the name of a process to be passed or passed. Process completion classification indicates which division of scheduled, running, and performance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process.

공정 개시 시각이란, 해당하는 공정의 개시 시각을 의미하고, 공정 완료 구분이 예정인 경우에는, 예정된 개시 시각을 나타내고, 공정 완료 구분이 실행 중 혹은 실적인 경우에는, 실적의 개시 시각을 나타낸다. 공정 종료 시각이란, 해당하는 공정의 종료 시각을 의미하고, 공정 완료 구분이 예정 혹은 실행 중인 경우에는, 예정된 종료 시각을 나타내고, 공정 완료 구분이 실적인 경우에는, 실적의 종료 시각을 나타낸다.The process start time means the start time of the process, and indicates the scheduled start time when the process completion classification is scheduled, and indicates the start time of the performance when the process completion classification is in execution or in the performance. The termination time refers to the termination time of the corresponding process. When the process completion classification is scheduled or executed, the scheduled end time is shown. If the process completion classification is the performance, the end time of the performance is shown.

공정 종료 판 폭이란, 해당하는 공정의 종료 후의 압연재 (S) 의 판 폭을 의미하고, 공정 완료 구분이 예정 혹은 실행 중인 경우에는 예정된 판 폭을 나타내고, 공정 완료 구분이 실적인 경우에는 실적의 판 폭을 나타낸다. 공정 종료 판 길이란, 해당하는 공정의 종료 후의 압연재 (S) 의 판 길이를 의미하고, 공정 완료 구분이 예정 혹은 실행 중인 경우에는 예정된 판 길이를 나타내고, 공정 완료 구분이 실적인 경우에는 실적의 판 길이를 나타낸다. 공정 종료 판 두께란, 해당하는 공정의 종료 후의 압연재 (S) 의 판 두께를 의미하고, 공정 완료 구분이 예정 혹은 실행 중인 경우에는 예정된 판 두께를 나타내고, 공정 완료 구분이 실적인 경우에는 실적의 판 두께를 나타낸다. 공정 종료 판 온도란, 해당하는 공정의 종료 후의 압연재 (S) 의 온도를 의미하고, 공정 완료 구분이 예정 혹은 실행 중인 경우에는 예정된 온도를 나타내고, 공정 완료 구분이 실적인 경우에는 실적의 온도를 나타낸다.The process termination width refers to the plate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S after completion of the corresponding process. When the process completion classification is scheduled or executed, the width of the plate is estimated. Plate width. The process termination plate length means the plate length of the rolled material S after completion of the corresponding process. If the process completion division is scheduled or running, the planned plate length is shown. If the process completion division is an actual result, Plate length. The process termination plate thickness means the plate thickness of the rolled material 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rresponding process, and indicates the planned plate thickness when the process completion division is scheduled or executed. If the process completion division is an actual result, Plate thickness. The process termination plate temperature means the temperature of the rolled material S after completion of the corresponding process, and indicates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when the process completion classification is scheduled or executed. If the process completion classification is the performance, .

공정 변경 사인이란, 작업 도중에 통과하는 공정이 변경된 것을 의미하고, 당초 예정된 공정에 부여되는 코드를 나타낸다. 또한, 새롭게 추가된 공정에 대해서는, 레코드가 추가된다.A process change sign means that a process passing through the work is changed, and indicates a code given to the originally planned process. In addition, for the newly added process, a record is added.

압연재 사양 DB (12) 는, 작업 중 압연재 및 재원 압연재에 관한 사양의 정보를 압연재 사양 데이터로서 격납한다. 압연재 사양 데이터는, 각 압연재 (S) 에 1 대 1 로 대응하는 데이터이다. 여기서, 재원 압연재란, 본 실시형태의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100) 에 의해, 향후, 가열로 추출 시각이나 통과 공정 스케줄이 작성될 예정인 압연재 (S) 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취급하는 재원 압연재의 개수는, 입력부 (101) 로부터 입력되어, 파라미터 DB (15) 에 격납되는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부여되는 것으로 한다.The rolled material specification DB (12) stores information on specification of the rolled material and the rolled material during operation as rolled material specification data. The rolled material specification data is data corresponding to each rolled material S on a one-to-one basis. Here, the pressure-softened line is the rolled material S which is scheduled to be formed by the heating-furnace-extraction-sequence crea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future for heating-line extraction time and passing schedule. The number of the rolled materials to be handl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given by referring to data stored in the parameter DB 15 that is input from the input unit 101. [

도 5 는, 압연재 사양 데이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연재 사양 데이터는, 압연재 ID, 슬래브 폭, 슬래브 길이, 슬래브 두께, 가열로 추출 온도, 폭 조정 압연 폭, 폭 조정 압연 두께, 제품 폭, 제품 길이, 제품 두께, 사양 코드, CR 두께, CR 온도, 마무리 온도, 가열로 위치, 가열로 추출 여부 사인, 스케줄 ID, 스케줄 확정 사인의 정보를 포함한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olled material specification data. As shown in Fig. 5, the rolled material specification data includes the rolled material ID, the slab width, the slab length, the slab thickness,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temperature, the width adjusting rolling width, the width adjusting rolling thickness, Specification code, CR thickness, CR temperature, finishing temperature, heating furnace position, heating furnace extracting sign, schedule ID, and schedule determining sign.

압연재 ID 란, 상기의 작업 중 압연재 DB (11) 와 동일하게, 압연재 (S) 를 특정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슬래브 폭이란, 압연재 (S) 의 판 폭을 의미한다. 슬래브 길이란, 압연재 (S) 의 판 길이를 의미한다. 슬래브 두께란, 압연재 (S) 의 판 두께를 의미한다. 가열로 추출 온도란, 가열로 (1) 로부터 추출할 때의 압연재 (S) 의 온도를 의미하고, 전술한 가열로 추출 순서가 0 이하인 경우에는 실적의 온도를 나타내고, 가열로 추출 순서가 0 보다 큰 경우에는 목표로 하는 온도를 나타낸다.The rolled material ID mean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rolled material S, similarly to the rolled material DB 11 during the above operation. The slab width means the plate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S. The slab length means the plate length of the rolled material S. The slab thickness means the thickness of the rolled material S.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temperature refers to the temperature of the rolled material S when it is extracted from the heating furnace 1 and represents the actual temperature when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is 0 or less and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is 0 And when it is larger, it indicates a target temperature.

폭 조정 압연 폭이란, 조압연기 (2) 에 있어서의 폭 조정 압연 공정 완료시의 압연재 (S) 의 판 폭을 의미한다. 폭 조정 압연 두께란, 조압연기 (2) 에 있어서의 폭 조정 압연 공정 완료시의 압연재 (S) 의 판 두께를 의미한다. 제품 폭이란, 마무리 압연 공정 완료시의 압연재 (S) 의 판 폭을 의미한다. 제품 길이란, 마무리 압연 공정 완료시의 압연재 (S) 의 판 길이를 의미한다. 제품 두께란, 마무리 압연 공정 완료시의 압연재 (S) 의 판 두께를 의미한다.The width-controlled rolling width means the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S at the completion of the width-controlled rolling process in the roughing mill 2. The width-controlled rolling thickness means the thickness of the rolled material S at the completion of the width-controlled rolling process in the roughing mill 2. The product width means the plate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S at the completion of the finish rolling process. The product length means the plate length of the rolled material S at the completion of the finish rolling process. The product thickness means the thickness of the rolled material S at the completion of the finish rolling process.

사양 코드란,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100) 로 통과 공정 스케줄을 작성하는 경우의 제약 조건을 의미하고, 특수한 제약 조건이 있는 경우에, 대응하는 코드를 나타내고, 특별히 제약 조건이 없는 경우에는 블랭크가 설정된다. 또한, 각 사양 (제약 조건) 에 대응하는 코드는, 후술하는 사양 코드 마스터 DB (13) 에 격납된다.The specification code refers to a restriction condition for creating the passing schedule in the heating-line extraction-sequence creating device 100.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special restriction condition, the corresponding code is shown. Is set. The cod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specifications (constraint conditions) are stored in the specification code master DB 13 described later.

CR 두께란, 압연재 (S) 가 CR 재인 경우에, 조정 온도하에서의 압연재 (S) 의 판 두께를 의미하고, 압연재 (S) 가 CR 재가 아닌 경우에는 0 이 설정된다. CR 온도란, 압연재 (S) 가 CR 재인 경우의 조정 온도를 의미하고, 압연재 (S) 가 CR 재가 아닌 경우에는 0 이 설정된다. 마무리 온도란, 마무리 압연 공정 완료시의 압연재 (S) 의 온도를 의미한다.The CR thickness means the thickness of the rolled material S under the adjustment temperature when the rolled material S is a CR material and is set to 0 when the rolled material S is not a CR material. The CR temperature means an adjustment temperature when the rolled material S is a CR material, and is set to 0 when the rolled material S is not a CR material. The finishing temperature means the temperature of the rolled material S at the completion of the finish rolling process.

가열로 위치란, 해당하는 압연재 (S) 의 가열로 (1) 내에서의 위치를 의미한다. 도 6 은, 가열로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로 위치는, 각 가열로 (1) 내에서의 구분을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각 구분에 추출측으로부터 오름차순으로 부여된 식별 번호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1 호 로에 대해서는 추출측으로부터 순서대로 11, 12, ··· 로 가열로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동일하게, 2 호 로에 대해서는 추출 순서로부터 순서대로 21, 22, ···, 3 호 로에 대해서는 추출 순서로부터 순서대로 31, 32, ···, 4 호 로에 대해서는 추출 순서로부터 순서대로 41, 42, ··· 로 가열로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The heating furnace position means the position of the rolled material S in the heating furnace 1.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heating furnace position. Fig. As shown in Fig. 6, the positions of the heating furnaces are indicated by identification numbers assigned in ascending order from the extraction side in each division as data indicating the division in each heating furnace 1.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row, the position of the heating furnace is set in the order of 11, 12, ... from the extraction side. In the same way, for the second row, in order from the extraction order, 21, 22, ..., and 3, the extraction order is 31, 32, ..., ... is set to the heating furnace position.

가열로 추출 여부 사인이란, 해당하는 압연재 (S) 를 가열로 (1) 로부터 추출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추출 가능한 경우에는 1, 불가능한 경우에는 0 이 설정된다. 스케줄 ID 란, 해당하는 압연재 (S) 에 대하여 이미 본 실시형태의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100) 에 의해, 가열로 추출 시각이나 통과 공정 스케줄이 작성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스케줄을 식별하는 코드 (스케줄 ID) 를 의미하고, 통과 공정 스케줄이 작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블랭크가 설정된다. 스케줄 확정 사인이란, 해당하는 압연재 (S) 에 대하여 이미 본 실시형태의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100) 에 의해, 가열로 추출 시각이나 통과 공정 스케줄이 작성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스케줄이 확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확정되어 있는 경우에 1 이 설정되고, 그 밖의 경우에는 0 이 설정된다.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sine indicates whether or not the corresponding rolled material S can be extracted from the heating furnace 1, for example, 1 if it is possible to extract, and 0 if not. The schedule ID is used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chedule when the heating-furnace extraction time or the passing-process schedule is already created by the heating-furnace extraction-sequence crea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 the rolled material S concerned (Schedule ID), and when the pass process schedule is not created, the blank is set. Schedule set sign means that when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time and the passing process schedule have already been created by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rolled material S, 1 "is set when it is determined, and" 0 "is set in other cases.

사양 코드 마스터 DB (13) 는, 전술한 압연재 사양 데이터에 포함되는 사양 코드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사양 코드 마스터 데이터로서 격납한다. 도 7 은, 사양 코드 마스터 데이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양 코드 마스터 데이터는, 사양 코드와, 통과 불가 공정과, 이송 두께 최소치와, 이송 길이 최대치를 포함한다.The specification code master DB 13 stores information on th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codes included in the rolled material specification data as the specification code master data. 7 is a diagram exemplifying the specification code master data. As shown in Fig. 7, the specification code master data includes a specification code, a non-passing process, a transfer thickness minimum value, and a transfer length maximum value.

사양 코드란, 사양 (제약 조건) 의 내용을 특정하기 위한 코드를 의미한다. 통과 불가 공정이란, 해당하는 압연재 (S) 가 통과할 수 없는 공정을 의미한다. 통과 불가 공정에는, 후술하는 Resource 명이 설정된다. 이송 두께 최소치란, 조압연기 (2) 로부터 마무리 압연기 (4) 에 이송할 때의 압연재 (S) 의 판 두께의 최소치를 의미한다. 이송 길이 최대치란, 조압연기 (2) 로부터 마무리 압연기 (4) 에 이송할 때의 압연재 (S) 의 판 길이의 최대치를 의미한다.The specification code means a code for specifying th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restriction condition). The unpassable process means a process in which the rolled material S can not pass. In the non-passing process, a Resource name to be described later is set. The minimum conveying thickness value means the min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rolled material S when it is conveyed from the roughing mill 2 to the finishing mill 4. [ The maximum conveying length means the maximum length of the plate of the rolled material S when it is conveyed from the roughing mill 2 to the finishing mill 4.

설비 제약 마스터 DB (14) 는, 압연 라인 상의 설비의 제약에 관한 정보를 설비 제약 마스터 데이터로서 격납한다. 도 8 은, 설비 제약 마스터 데이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비 제약 마스터 데이터는, 조 밀 최소 압연 두께, 조 밀 최대 압연 길이, 밀 간 2 개 대기 가능 압연 길이, 냉각 장치 최대 냉각 온도차, 후면 테이블 대기 가능 압연 길이, 후면 테이블 최대 대기 시간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압연재 사양 데이터에 있어서 사양 코드에 블랭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설비 제약 마스터 데이터가 참조된다.The facility constraint master DB 14 stores, as facility constraint master data, information about constraints of the equipment on the rolling line. 8 is a diagram exemplifying the facility constraint master data. As shown in FIG. 8, the facility constraint master data includes a rough minimum rolling thickness, a rough maximum rolling length, two stand-by possible rolling lengths, a cooling device maximum cooling temperature difference, a rear table wait rolling length, It includes waiting time. In the case where the blank is set in the specification code in the rolled material specification data, the facility constraint master data is referred to.

조 밀 최소 압연 두께란, 조압연기 (2) 로 압연할 수 있는 압연재 (S) 의 판 두께의 최소치를 의미한다. 조 밀 최대 압연 길이란, 조압연기 (2) 로 압연할 수 있는 압연재 (S) 의 판 길이의 최대치를 의미한다. 밀 간 2 개 대기 가능 압연 길이란, 조압연기 (2) 와 마무리 압연기 (4) 사이의 냉각 장치 (3) 에 2 개의 압연재 (S) 를 대기시킬 수 있는 경우의 압연재 (S) 의 판 길이의 최대치를 의미한다. 냉각 장치 최대 냉각 온도차란, 냉각 장치 (3) 를 냉각시킬 수 있는 온도차의 최대치를 의미한다. 후면 테이블 대기 가능 압연 길이란,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 대기시킬 수 있는 압연재 (S) 의 판 길이의 최대치를 의미한다. 후면 테이블 최대 대기 시간이란,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 압연재 (S) 를 대기시킬 수 있는 시간의 최대치를 의미한다.The rough minimum minimum rolling thickness means the min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rolled material S that can be rolled by the roughing mill 2. The maximum coarse rolling length means the maximum value of the length of the rolled material S that can be rolled by the roughing mill 2. The allowable waiting distance between two rolling mills is the length of the rolled material S when the two rolled materials S can be placed in the cooling device 3 between the roughing mill 2 and the finish rolling mill 4 Means the maximum value of the length. The maximum cooling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cooling device means the maximum value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that can cool the cooling device 3. The back table waiting rolling length means the maximum length of the plate of the rolled material S that can be put on the finisher rear table 5. The rear table maximum waiting time means the maximum time for which the rolled material S can be kept waiting in the finisher rear table 5.

파라미터 DB (15) 는, 릴레이셔널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구성되고, 후술하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처리에 있어서 적용되는 각종 파라미터를 격납한다.The parameter DB 15 is composed of a relational database or the like, and stores various parameters to be applied in a heating-line extraction-order creatio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패턴 DB (16) 는, 각 압연재 (S) 가 통과하는 각 공정의 점유 시간에 관한 정보를 격납한다. 도 9 는, 패턴 DB (16) 에 격납되는 데이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 DB (16) 에 격납되는 데이터는, 압연재 ID, 패턴 ID,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패스 수, 공정 종료 판 폭, 공정 종료 판 길이, 공정 종료 판 두께, 공정 종료 판 온도를 포함한다.The pattern DB 16 stores information on the occupation time of each process through which each rolled material S passes. 9 is a diagram exemplifying data stored in the pattern DB 16. Fig. 9, the data stored in the pattern DB 16 includes the rolled material ID, the pattern ID, the process order, the process name, the occupied time, the number of passes, the process termination plate width, Thickness, and process termination plate temperature.

압연재 ID 란, 작업 중 압연재 DB (11) 와 동일하게, 압연재 (S) 를 특정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패턴 ID 란, 압연재 (S) 가 통과하는 공정의 패턴을 식별하는 정보를 의미하고, 동일한 압연재 (S) 의 일련의 통과 공정에 대해서는, 패턴 DB (16) 내에서 동일한 패턴 ID 가 부여된다. 이 패턴 ID 는, 후술하는 모드를 특정하는 모드 ID 도 의미한다. 공정 순서란, 동일한 패턴 ID 가 부여된 일련의 통과 공정에 있어서의 각 공정의 통과 순서를 의미한다.The rolled material ID i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rolled material S, similarly to the rolled material DB 11 during operation. The pattern ID mean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attern of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rolled material S passes and the same pattern ID is given in the pattern DB 16 for a series of passing processes of the same rolled material S . This pattern ID also means a mode ID specifying a mode to be described later. The process sequence means a sequence of passing through each process in a series of passing processes to which the same pattern ID is assigned.

공정명이란, 각 공정의 명칭을 의미한다. 점유 시간이란, 해당하는 공정에서의 점유 시간을 의미하고, 후술하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처리로 산출되는 값이 설정된다. 패스 수란, 해당하는 공정이 조압연기 (2) 또는 마무리 압연기 (4) 에 있어서의 공정인 경우에, 1 방향의 압연을 1 패스로 계상할 때의 패스의 수를 의미하고, 후술하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처리로 산출되는 값이 설정된다.The process name means the name of each process. The occupation time means an occupation time in the corresponding process, and a value calculated by a heating-line extraction procedure creatio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is set. The pass count means the number of passes when rolling the one direction in one pass when the corresponding process is a process in the rough rolling mill 2 or the finish rolling mill 4, A value calculated by the order creation processing is set.

공정 종료 판 폭이란, 해당하는 공정이 완료됐을 때의 압연재 (S) 의 판 폭을 의미한다. 공정 종료 판 길이란, 해당하는 공정이 완료됐을 때의 압연재 (S) 의 판 길이를 의미한다. 공정 종료 판 두께란, 해당하는 공정이 완료됐을 때의 압연재 (S) 의 판 두께를 의미한다. 공정 종료 판 온도란, 해당하는 공정이 완료됐을 때의 압연재 (S) 의 온도를 의미한다.The process termination plate width means the plate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S when the corresponding process is completed. The process termination plate length means the plate length of the rolled material S when the corresponding process is completed. The process termination plate thickness means the plate thickness of the rolled material S when the corresponding process is completed. The process termination plate temperature means the temperature of the rolled material S when the corresponding process is completed.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100) 는, 워크 스테이션이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범용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100) 는, 도시되지 않은 CPU 등의 연산 처리 장치가 도시되지 않은 ROM 등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입력부 (101), 데이터 판독부 (102), 패턴 작성부 (103),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및 출력부 (105) 로서 기능한다. 이들 각 부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heating-furnace extraction-sequence creating apparatus 100 is constituted by a general-purpos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workstation or a personal computer. The heating-line extraction-sequence creating apparatus 100 executes a heating-furnace-extraction-sequence creating program stored in a storage device such as a ROM (not shown) by an oper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 CPU A pattern creating unit 103, an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unit 104, and an output unit 105. [0054] The functions of these units will be described later.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처리][Heating furnace extraction procedure creation processing]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시스템 (10) 에서는, 미리 입력부 (101) 로 입력되고, 파라미터 DB (15) 에 격납된, 압연 라인 상의 설비의 처리 개시, 종료 등의 지정된 타이밍에서의, 상위 시스템에 의한 기동 지시에 의해,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100) 에 있어서, 이하에 나타내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압연 라인의 상류에 배치 형성된 복수의 가열로 (1) 로부터의 압연재 (S) 의 추출 순서나 추출 시각을 고려하면서 하류의 조압연기 (2) 나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압연 스케줄 (통과 공정 스케줄) 을 작성한다. 이하, 도 10 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이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처리를 실행할 때의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100)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In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on system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on system 10 having the above-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creating device 100 executes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creating process described below in accordance with the startup instruction by the upper system so that a plurality of heating furnaces 1 arranged upstream of the rolling line, The rolling schedule (passing schedule) in the rough rolling mill 2 and finishing mill 4 downstream is taken into consideration while considering the extraction order and the extraction time of the rolled material S from the rolling mill.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10, the operation of the heating-furnace-extraction-sequence creating apparatus 100 when the heating-furnace-extraction-sequence creat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스텝 S1 의 처리에서는, 데이터 판독부 (102) 가, 작업 중 압연재 DB (11), 압연재 사양 DB (12), 사양 코드 마스터 DB (13), 설비 제약 마스터 DB (14) 를 참조하여, 계획 기간에 제조 예정된 작업 중 압연재 및 재원 압연재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이로써, 스텝 S1 의 처리는 완료되고,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처리는 스텝 S2 의 처리로 진행된다.The data reading unit 102 refers to the rolled material DB 11, the rolled material specification DB 12, the specification code master DB 13, and the facility constraint master DB 14 in the process of step S1, During the planning period, information on rolled materials and rolled materials is extracted during the planned production. Thereby, the processing of step S1 is completed, and the heating-furnace-extraction-sequence creating processing proceeds to the processing of step S2.

스텝 S2 의 처리에서는, 패턴 작성부 (103) 가, 후술하는 공정 패턴 작성 처리에 의해, 스텝 S1 에서 추출된 각 압연재 (S) 에 대한 공정 패턴을 작성하고, 패턴 DB (16) 에 격납한다. 이로써, 스텝 S2 의 처리는 완료되고,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처리는 스텝 S3 의 처리로 진행된다.In the process of step S2, the pattern creation section 103 creates a process pattern for each rolled material S extracted in step S1 by the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 described later and stores it in the pattern DB 16 . Thereby, the processing of step S2 is completed, and the heating-furnace-extraction-sequence creating processing proceeds to the processing of step S3.

여기서, 도 11 을 참조하여, Job, 공정 패턴,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연재 (S) 가 통과하는 공정의 각각을, 이하, Job 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재원 압연재가 통과하는, 조압연기 (2) 에서의 조압연 공정 (조정 압연 공정과 폭 조정 압연 공정),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공정,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공정,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마무리 압연 공정,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의 통과 공정의 각각이 Job 에 상당한다. 예를 들어, 압연재 (S) 가 조압연 공정,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공정,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공정, 마무리 압연 공정,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의 통과 공정이라는 일련의 통과 공정을 거쳐 압연되는 경우, 당해 압연재 (S) 는 5 개의 Job 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Here, the Job, the process pattern, and the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Each of the processes through which the rolled material S passes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Job. For example, the rough rolling process (the adjustment rolling process and the width adjustment rolling process) in the rough rolling mill 2, the cooling process in the cooling device 31, the cooling process in the cooling device 32, The cooling process, the finish rolling process in the finishing mill 4, and the passing process in the finishing mill rear table 5 each correspond to Job. For example, the rolled material S has a series of steps of rough rolling,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1,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2, finish rolling, and finishing mill back-side table (5)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rolled material S has five Jobs.

또한, 일반적으로, 가열로 (1) 로부터 추출된 재원 압연재의 통과 공정은, 상기 공정예 외에, 조압연기 (2) 에서의 조압연 공정,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공정,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공정,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마무리 압연 공정,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의 대기 공정 (공랭 냉각 등),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마무리 압연 공정,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의 통과 공정이라는 순서로 7 개의 Job 을 통과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조압연기 (2) 에서의 조압연 공정,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공정,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공정,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마무리 압연 공정,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공정,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마무리 압연 공정,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의 통과 공정이라는 순서로 7 개의 Job 을 통과하는 경우도 있다.In general, the passing step of the rolled material extruded from the heating furnace 1 i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mentioned step except that the rough rolling step in the roughing mill 2, the cooling step in the cooling device 31, The cooling process in the finish rolling mill 4, the finishing rolling process in the finishing mill 4, the waiting process in the finishing mill rear table 5 (air cooling), the finishing rolling process in the finishing mill 4, There are cases where seven Jobs pass in the order of passing through the job 5. The rough rolling process in the roughing mill 2, the cooling process in the cooling device 31, the cooling process in the cooling device 32, the finish rolling process in the finish rolling mill 4, , The finish rolling process in the finishing mill 4, and the passing process in the finishing mill rear table 5 may pass seven jobs in this order.

공정 패턴이란,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압연재 (S) 에 대하여 통과할 수 있는 공정 (Job) 각각의 조업 패턴에 따른 점유 시간을 의미한다. 스텝 S2 에 있어서는, 각 압연재 (S) 의 동일 공정에 대하여, 선택할 수 있는 점유 시간에 따라 복수의 공정 패턴이 작성된다.As shown in Fig. 11, the process pattern means an occupation time according to each operation pattern that can pass through each rolled material S (Job). In step S2, a plurality of process patterns are created according to the occupation time that can be selected for the same process of each rolled material S.

각 Job 이 점유하는 리소스 (설비) 를 특정하는 정보를, 이하, Resource 라고 한다. 도 12 는, Resource 의 데이터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esource 는, 설비명과 Resource 명을 나타내는 코드와 Resource 용량 (동시에 Job 을 처리할 수 있는 수) 을 대응시켜 구성되고, 적당한 기억부에 기억된다. Resource 는, 전술한 사양 코드 마스터 DB (13) 의 통과 불가 공정에 설정된다. 또한, 도 12 에 나타내는 설비명 「더미」 는, 동일한 압연재 (S) 에 대한 복수의 통과 공정을 비교할 때에, Job 수를 맞추기 위해서 설정되는 것이다.The information that specifies the resource (equipment) occupied by each Job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source.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ata configuration of Resource. As shown in Fig. 12, Resource is configured by associating a code representing a facility name and a Resource name with a Resource capacity (a number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cessing Job), and is stored in a suitable storage unit. The resource is set in the non-passing process of the above-described specification code master DB 13. The facility name "dummy" shown in FIG. 12 is set to match the number of jobs when comparing a plurality of passing processes for the same rolled material S.

또한, 각 압연재 (S) 의 일련의 통과 공정에 있어서, 각 Resource 에서의 Job 에 대하여 1 개의 점유 시간 (공정 패턴) 이 선택된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압연재 (S) 에 대하여, 각 Resource 에서의 Job 에 대하여 1 개 선택된 공정 패턴을 조합한 일련의 통과 공정을, 이하, 모드라고 부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과 공정 스케줄의 작성을, 이미 알려진 멀티 모드·자원 제약이 형성된 프로젝트 스케줄링 문제 (RCPSP) (Multi-Mode Resource Constrained Project Scheduling Problem) 로서 정식화하여 최적해를 얻는다.In addition, one occupation time (process pattern) is selected for Job in each Resource in a series of passing processes of each rolled material S. As shown in Fig. 11, a series of passing steps in which one selected process pattern is combined for each job of each resource with respect to each rolled material S is referred to as a mod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ssing process schedule is formulated as a Multi-Mode Resource Constrained Project Scheduling Problem (RCPSP) in which a known multimode / resource constraint is formed to obtain an optimal solution.

또한, Job 과 Resource 의 대응 관계는 1 대 1 이라고는 한정할 수 없고, 1 개의 Job 이 복수의 Resource 를 점유하는 경우도 있다. 도 13 및 도 14 는, Job 과 Resource 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예를 들어, 압연재 (S) 의 판 길이가 조압연기 (2) 와 마무리 압연기 (4) 사이에서 2 개 대기할 수 있는 판 길이의 최대치 (설비 제약 마스터 DB (14) 참조) 이하인 경우에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대의 냉각 장치 (3) 에 1 장씩 압연재 (S) 를 대기시킬 수 있다. 즉, Job 과 Resource 의 대응 관계는 1 대 1 이다. 한편, 압연재 (S) 의 판 길이가 조압연기 (2) 와 마무리 압연기 (4) 사이에서 2 개 대기할 수 있는 판 길이의 최대치보다 큰 경우에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대의 냉각 장치 (3) 에 1 장의 압연재 (S) 를 대기시키게 된다. Job 과 Resource 의 대응 관계는 1 대 2 이다.In addition,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Job and Resource is not limited to one to one, and a job may occupy a plurality of resources. 13 and 14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Job and Resource. For example, when the plate length of the rolled material S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maximum plate length (see the facility constraint master DB 14) that can wait two between the roughing mill 2 and the finish rolling mill 4, As shown in Fig. 13, the rolled materials S can be placed one by one in one cooling device 3. That is,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Job and Resource is one to on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te length of the rolled material S is larg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plate length that can wait two between the roughing mill 2 and the finishing mill 4, as shown in Fig. 14, And one sheet of rolled material S is queued in the sheet feeding section 3. The correspondence between Job and Resource is 1 to 2.

스텝 S3 의 처리에서는,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가, 스텝 S2 에 있어서 패턴 DB (16) 에 격납된 각 압연재 (S) 에 대한 공정 패턴에 기초하여, 각 압연재 (S) 에 대하여 Job 수 (통과 공정의 공정 수의 최대치) 를 결정하고, 복수의 모드 (공정 패턴의 조합) 를 작성한다. 이로써, 스텝 S3 의 처리는 완료되고,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처리는 스텝 S4 의 처리로 진행된다.In step S3,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section 104 creates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section 104, based on the process pattern for each rolled material S stored in the pattern DB 16 in step S2, (The maximum value of the number of process steps in the passing process) is determined for a plurality of modes (combination of process patterns). As a result, the process of step S3 is completed, and the heating-furnace-extraction-sequence creating process proceeds to the process of step S4.

스텝 S4 의 처리에서는,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가, 후술하는 제약 조건을 적용하여, 전체 압연재 (S) 에 대하여 최적의 모드의 조합 (압연재 (S) 의 처리 순서와 각 압연재 (S) 에 대한 최적의 모드) 을 선정한다. 그 수단으로서,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후술하는 목적 함수를 설정하고, 이 목적 함수를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평가함으로써, 총 압연 시간이 최단이 되는 모드의 조합을 최적해로서 선정한다. 이로써, 스텝 S4 의 처리는 완료되고,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처리는 스텝 S5 의 처리로 진행된다.In the process of step S4,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section 104 applies the constraint conditions to be described later to determine the optimum combination of modes (the process order of the rolled material S and the angle The optimum mode for the rolled material S) is selected. As the means,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section 104 sets the objective function to be described later and evaluates the objective function based on the constraint condition, so that the combination of the modes in which the total rolling time becomes the shortest is selected as the optimal solution do. As a result, the process of step S4 is completed, and the heating-furnace-extraction-sequence creating process proceeds to the process of step S5.

스텝 S5 의 처리에서는, 출력부 (105) 가, 선정된 최적의 모드에 대응한 통과 공정 스케줄을 도시되지 않은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출력함과 함께, 이 선정된 모드에 대응한 통과 공정 스케줄에 관한 정보를 상위 시스템에 출력한다. 이로써, 스텝 S5 의 처리는 완료되고, 일련의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처리는 종료된다.In the process of step S5, the output unit 105 outputs the pass process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ptimum mode to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pass process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ode To the host system. As a result, the processing in step S5 is completed, and the series of heating-line extraction-order creation processing ends.

[공정 패턴 작성 처리][Process Pattern Making Process]

상기 스텝 S2 에 있어서 패턴 DB (16) 에 격납되는 공정 패턴을 작성하는 처리 (공정 패턴 작성 처리) 에 대하여, 도 15 ∼ 19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공정 패턴 작성 처리는, 스텝 S1 에서 추출된 압연재 (S) 가 재원 압연재인지 작업 중 압연재인지에 의해 분기한다. 또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는, 압연재 (S) 가 작업 중 압연재인 경우에 (작업 중 압연재 데이터의 압연재 ID 에 의해 식별한다), 어느 리소스 (조압연기 (2), 냉각 장치 (3), 마무리 압연기 (4),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지 (작업 공정 = 작업 압연재 데이터의 공정 완료 구분이 실행 중인 공정, 또는 가장 가까이 예정되는 공정) 에 의해 분기한다. 또한, 이하의 처리에 있어서, 점유 시간 (조압연기 (2) 및 마무리 압연기의 메탈 인 시간과 턴 등의 밀 외 시간을 포함한 점유 시간, 냉각 장치 (3) 에서의 냉각 시간,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의 대기 시간) 은, 상위 시스템의 패스 스케줄 작성 프로그램이나 수냉 계산 프로그램, 공랭 계산 프로그램 등에 의해 산출되는 값을 이용한다.A process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 for creating a process pattern stored in the pattern DB 16 in step S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9. Fig. The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branches depending on whether the rolled material S extracted in step S1 is a rolled material or a rolled material during operation. The process pattern creating process is a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 in which the resources (rough rolling mill 2, cooling apparatus 3, and the like) in the case where the rolled material S is a rolled material during work (identified by the rolled material ID of the rolled material during operation) (Finishing mill 4, finishing mill rear table 5) is incomplete (work process = the process in which the process completion classification of the work roll data is running, or the nearest scheduled process). In the following processing, the occupation time (the time occupied by the metal in the roughing mill 2 and the finishing mill and the time taken out of the mill such as turn, the cooling time in the cooling apparatus 3, 5), the value calculated by the pass schedule creation program, the water-cooling calculation program, the air-cooling calculation program, etc. of the host system is used.

도 15 는, 재원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연재 (S) 가 재원 압연재인 경우에, 패턴 작성부 (103) 는, 먼저, 조압연기 (2) 로 폭 조정 압연 공정이 완료될 때까지의 조압연기 (2) 의 점유 시간과 패스 수로서의 조압연기 (2) 에서의 패스 수를 산출함과 함께, 패턴 ID 에 초기치 0 을 설정한다 (스텝 S101).15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procedure for a rolled material material. 15, in the case where the rolled material S is a finely-rolled material, the pattern forming section 103 firstly carries out the rough rolling process until the width adjusting rolling process is completed with the roughing mill 2, The number of passes in the rough rolling mill 2 as the number of passes and the number of passes is calculated and an initial value 0 is set to the pattern ID (step S101).

압연재 (S) 가 CR 재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 S102, No), 패턴 작성부 (103) 는,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103),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조압연기에서의) 조압연, ×× 초), (2, (마무리 압연기에서의)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한다 (스텝 S104).If the rolled material S is not a CR material (step S102, No), the pattern creation section 103 calculates the occupation time of the finishing mill 4 (step S103) and sets the pattern ID to 1 (1) (rough rolling in rough rolling, xx sec), (2, finish rolling in finish mill, xx sec) as a process pattern (process order, process name, occupation time) And stores it in the DB 16 (step S104).

다음으로, 패턴 작성부 (103) 는, 조압연기 (2) 에서의 패스 수를 1 앞당기고 (스텝 S105), 이 패스 수에 기초하여 조압연기 (2) 에서의 점유 시간을 산출한다 (스텝 S106). 또한, 패턴 작성부 (103) 는, 압연재 (S) 의 판 두께나 판 길이가 조 밀 최소 압연 두께, CR 두께, 밀 간 2 개 대기 가능 압연 길이를 만족하는지 여부, 혹은 후술하는 최종 사인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7). 압연재 (S) 의 판 두께나 판 길이가 조 밀 최소 압연 두께, CR 두께, 밀 간 2 개 대기 가능 압연 길이를 만족하는 경우, 혹은 최종 사인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07, No), 패턴 작성부 (103) 는, 공정 패턴 작성 처리를 스텝 S102 의 처리로 되돌려, 다음의 패턴을 작성한다. 한편, 조업 상의 제약인 압연재 (S) 의 판 두께나 판 길이가 조 밀 최소 압연 두께, CR 두께, 밀 간 2 개 대기 가능 압연 길이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혹은 최종 사인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07, Yes), 일련의 재원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는 종료된다.Next, the pattern creating unit 103 calculates the occupation time in the roughing mill 2 based on the number of passes in the roughing mill 2 (step S105) ).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late thickness and the plate length of the rolled material S satisfy the minimum roughing roughness thickness, the CR thickness, the two possible waiting lengths between the mills, Is set (step S107). When the plate thickness or the plate length of the rolled material S satisfies the minimum coarsened minimum rolling thickness, the CR thickness, and the allowable waiting length between coils, or when the final coin is not set (step S107, No) , The pattern creating section 103 returns the process pattern creating process to the process of step S102 to create the next pattern.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te thickness or the plate length of the rolled material S, which is a limitation on the operation, does not satisfy the minimum rough rolling limit, the CR thickness, and the allowable rolling length between two stands, S107, Yes), the process pattern creating process for a series of the rolled material ends.

압연재 (S) 가 CR 재인 경우에는 (스텝 S102, Yes), 패턴 작성부 (103) 는, 조압연기 (2) 에서의 압연 완료시의 판 두께가 CR 두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1). 조압연기 (2) 에서의 압연 완료시의 판 두께가 CR 두께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스텝 S111, Yes), CR 온도를 만족하기 위한 2 대의 냉각 장치 (31, 32) 에서의 냉각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112),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113),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조압연, ×× 초), (2,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 초), (3,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 초), (4,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한다 (스텝 S114). 그 후, 패턴 작성부 (103) 는, 스텝 S105 의 처리로 진행된다.If the rolled material S is a CR material (Yes in step S102), the pattern creation section 10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late thickness at the completion of rolling in the roughing mill 2 satisfies the CR thickness (step S111 ). When the plate thickness at the completion of rolling in the roughing mill 2 satisfies the CR thickness (step S111, Yes), the cooling time in the two cooling devices 31 and 32 for satisfying the CR temperature is calculated ( (Step S112), the occupation time of the finishing mill 4 is calculated (Step S113), and the pattern ID is incremented by 1 and the process pattern (process sequence, process name, occupation time) (2)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1, 占 퐏 ec), (3,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2, 占 퐏 ec), (4, finish rolling, 占 퐏 ec) And stores it in the DB 16 (step S114). Thereafter, the pattern creating unit 103 proceeds to the process of step S105.

스텝 S111 에서 조압연기 (2) 에서의 압연 완료시의 판 두께가 CR 두께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111, No), 패턴 작성부 (103) 는, 마무리 압연기 (4) 로 CR 두께를 만족할 때까지 압연하면, 압연 완료시의 압연재 (S) 의 온도가 CR 온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21).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압연 완료시의 압연재 (S) 의 온도가 CR 온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스텝 S121, Yes), 패턴 작성부 (103) 는, CR 온도를 만족하기 위한 2 대의 냉각 장치 (31, 32) 에서의 냉각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122),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한다 (스텝 S123). 그리고, 패턴 작성부 (103) 는,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조압연, ×× 초), (2,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 초), (3,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 초), (4,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한다 (스텝 S124). 그 후, 패턴 작성부 (103) 는, 스텝 S105 의 처리로 진행된다.If the plate thickness at the completion of rolling in the roughing mill 2 does not satisfy the CR thickness in step S111 (step S111, No),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when the CR thickness is satisfied by the finishing mill 4 ,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of the rolled material S at the completion of rolling satisfies the CR temperature (step S121).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olled material S at the completion of rolling in the finish rolling mill 4 satisfies the CR temperature (step S121, Yes),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sets two cooling devices (Step S122), and calculates the occupation time of the finish rolling mill 4 (step S123). Then, the pattern preparing unit 103 advances the pattern ID by one and sets the pattern ID as a process pattern (process order, process name, occupation time) = (1, rough rolling, xx sec)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2, 占 퐏 ec), (4, finish rolling, 占 퐏 ec) in the pattern DB 16 (step S124 ). Thereafter, the pattern creating unit 103 proceeds to the process of step S105.

스텝 S121 에서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압연 완료시의 압연재 (S) 의 온도가 CR 온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121, No), 패턴 작성부 (103) 는, 마무리 압연기 (4) 로 압연 중에 CR 온도 및 CR 두께를 만족하기 위한 2 대의 냉각 장치 (31, 32) 에서의 냉각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131), 가능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32). 가능해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32, Yes), 패턴 작성부 (103) 는, 산출된 조건에 기초하여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133),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조압연, ×× 초), (2,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 초), (3,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 초), (4,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한다 (스텝 S134).If the temperature of the rolled material S at the completion of rolling in the finish rolling mill 4 does not satisfy the CR temperature in step S121 (step S121, No),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controls the finish rolling mill 4 The cooling time in the two cooling devices 31 and 32 for satisfying the CR temperature and the CR thickness during rolling is calculated (step S131), an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step S132). (Yes in step S132), the pattern generating unit 103 calculates the occupation time of the finishing mill 4 based on the calculated conditions (step S133), and sets the pattern ID to 1 (2,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1, 占 퐏 ec), (3, cooling device 32 (cooling process), ), (4, finish rolling, xx sec) are stored in the pattern DB 16 (step S134).

다음으로, 패턴 작성부 (103) 는, CR 두께를 만족할 때까지의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135), 마무리 압연기 (4) 로 압연 중에 CR 온도를 만족하기 위한 2 대의 냉각 장치 (31, 32) 에서의 냉각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136), CR 두께부터 제품 두께가 될 때까지의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한다 (스텝 S137). 그리고, 패턴 작성부 (103) 는,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조압연, ×× 초), (2, 마무리 압연, ×× 초), (3,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 초), (4,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 초), (5,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한다 (스텝 S138). 또한, 스텝 S132 에서 가능해가 없는 경우에도 (스텝 S132, No), 패턴 작성부 (103) 는, 스텝 S135 에 처리를 진행시킨다.Next, the pattern preparing unit 103 calculates the occupation time of the finish rolling mill 4 until the CR thickness is satisfied (step S135), and calculates the two CRTs for satisfying the CR temperature during rolling with the finishing mill 4 The cooling time in the cooling devices 31 and 32 is calculated (step S136), and the time occupied by the finish rolling mill 4 from the CR thickness to the product thickness is calculated (step S137). Then,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advances the pattern ID by 1 and sets (step 1, rough rolling, xx second), (2, finish rolling, (4,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2, 占 퐏 ec), (5, finish rolling, 占 퐏 ec), (3)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2, And stores it in the pattern DB 16 (step S138). Also, even if it is not possible in step S132 (step S132, No), the pattern creating section 103 advances the processing to step S135.

계속해서, 패턴 작성부 (103) 는, 마무리 압연기 (4) 로 압연 중에 CR 온도를 만족하기 위한 공랭에 의한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의 냉각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139), 가능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40). 가능해가 없는 경우에는 (스텝 S140, No), 패턴 작성부 (103) 는, 스텝 S105 의 처리로 진행한다.Subsequently,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calculates the cooling time in the finishing mill back table 5 by air cooling to satisfy the CR temperature during rolling with the finishing mill 4 (step S139) (Step S140). If there is no possibility (step S140, No), the pattern creating unit 103 proceeds to the processing of step S105.

스텝 S140 에서 가능해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40, Yes), 패턴 작성부 (103) 는, 산출된 조건에 기초하여 CR 두께부터 제품 두께가 될 때까지의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141),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조압연, ×× 초), (2, 마무리 압연, ×× 초), (3,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에서의 대기, ×× 초), (4,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한다 (스텝 S142). 그 후, 패턴 작성부 (103) 는, 스텝 S105 의 처리로 진행한다.If YES in step S140 (Yes in step S140), the pattern creating unit 103 calculates the occupation time of the finishing mill 4 from the CR thickness to the product thickness based on the calculated conditions (1, rough rolling, xx sec), (2, finish rolling, xx sec), and the pattern ID is incremented by 1 (step S141) (3, waiting on the finisher rear table, XX seconds), (4, finish rolling, XX seconds) are stored in the pattern DB 16 (step S142). Thereafter, the pattern creating unit 103 proceeds to the processing of step S105.

도 16 은, 작업 중 압연재가 조압연기 (2)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경우의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연재 (S) 가 작업 중 압연재로서 조압연기 (2)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경우에, 패턴 작성부 (103) 는, 먼저, 조압연기 (2) 에서의 공정의 실적의 개시 시간부터 현재 시각까지의 시간 (기압연 시간) 을 산출한다 (스텝 S201).Fig. 16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procedure for the rolled material in the case where the rolled material during work is incomplete in the roughing mill 2. 16, when the rolled material S is a rolled material during work and the process in the roughing mill 2 is incomplete, the pattern making section 103 firstly carries out the process in the roughing mill 2 (The rolling time) from the start time of the performance of the player to the current time (step S201).

다음으로, 패턴 작성부 (103) 는, 조압연기 (2) 에서의 공정의 예정이 확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S202), 확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02, No), 조압연기 (2) 에서의 폭 조정 압연 공정이 완료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03). 폭 조정 압연 공정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03, No), 조압연기 (2) 에서의 압연의 패스 수의 실적치를 패스 수로서 설정하고, 패스 수에 기초하여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점유 시간 - 기압연 시간) 을 점유 시간으로서 설정함과 함께, 패턴 ID 에 초기치 0 을 설정한다 (스텝 S204). 그 후, 패턴 작성 (103) 은, 재원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 순서 (도 15 참조) 의 스텝 S102 에 처리를 진행시킨다.Next,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judges whether or not the schedule of the process in the roughing mill 2 is determined (step S202). If the schedule is not determined (step S202, No) 2) has been completed (step S203). If the width adjusting rolling process has not been completed (step S203, No), the actual value of the rolling number in the roughing mill 2 is set as the number of passes, the occupation time is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passes The calculated occupation time-pre-rolling time) is set as the occupation time, and an initial value 0 is set to the pattern ID (step S204). Thereafter, the pattern creation 103 causes the process to proceed to step S102 of the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procedure (see Fig. 15) for the rolled material.

스텝 S202 의 처리로 조압연기 (2) 에서의 공정의 예정이 확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02, Yes), 패턴 작성부 (103) 는, 최종 패스 수를 패스 수로서 설정함과 함께 최종 사인을 설정한다. 또한, 패턴 작성부 (103) 는, 패스 수에 기초하여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점유 시간 - 기압연 시간) 을 점유 시간으로서 설정함과 함께, 패턴 ID 에 초기치 0 을 설정한다 (스텝 S211). 그 후, 패턴 작성 (103) 은, 재원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 순서 (도 15 참조) 의 스텝 S102 에 처리를 진행시킨다.If the process schedule in the roughing mill 2 is determined in step S202 (step S202, Yes), the pattern generating section 103 sets the final pass number as the number of passes and sets the final sign Setting. The pattern creating unit 103 calculates the occupation time based on the number of passes, sets the occupation time (calculated occupation time-pre-rolling time) as the occupation time, and sets the initial value 0 to the pattern ID S211). Thereafter, the pattern creation 103 causes the process to proceed to step S102 of the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procedure (see Fig. 15) for the rolled material.

스텝 S203 의 처리로 폭 조정 압연 공정이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03, Yes), 패턴 작성부 (103) 는, 조압연기 (2) 에서의 폭 조정 압연 공정의 완료시까지의 점유 시간과 패스 수를 산출한다. 패턴 작성부 (103) 는, 산출된 패스 수를 패스 수로서 설정하고, (산출된 점유 시간 - 기압연 시간) 을 점유 시간으로서 설정함과 함께, 패턴 ID 에 초기치 0 을 설정한다 (스텝 S221). 그 후, 패턴 작성 (103) 은, 재원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 순서 (도 15 참조) 의 스텝 S102 에 처리를 진행시킨다.If the width adjusting rolling process is completed in step S203 (step S203, Yes), the pattern creating section 103 sets the occupation time until the completion of the width adjusting rolling process in the roughing mill 2, . The pattern creation unit 103 sets the calculated number of paths as the number of passes, sets the calculated occupation time-pre-rolling time as the occupation time, and sets the initial value 0 to the pattern ID (step S221) . Thereafter, the pattern creation 103 causes the process to proceed to step S102 of the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procedure (see Fig. 15) for the rolled material.

도 17 은, 작업 중 압연재가 냉각 장치 (3)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경우의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연재 (S) 가 작업 중 압연재로서 냉각 장치 (3)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경우에는, 패턴 작성부 (103) 는, 먼저, 현재 시각부터 냉각 공정 혹은 대기 공정의 공정 종료 예정 시각까지의 시간 (냉각 점유 시간) 을 점유 시간으로서 산출함과 함께, 패턴 ID 를 초기치 0 으로 설정한다 (스텝 S301).Fig. 17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procedure for a rolled material during a work in which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work is incomplete in the cooling device 3 during the work. 17, when the rolled material S is a rolled material during operation and the process in the cooling device 3 is incomplete,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firstly carries out the cooling process or the atmospheric process (Cold occupancy time) up to the process end scheduled time of the process (step S301) and sets the pattern ID to the initial value 0 (step S301).

압연재 (S) 가 CR 재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 S302, No), 패턴 작성부 (103) 는,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303),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 초), (2,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 초), (3,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하고 (스텝 S304), 일련의 냉각 장치 (3)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를 완료한다.If the rolled material S is not the CR material (step S302, No), the pattern creation section 103 calculates the occupation time of the finish rolling mill 4 (step S303) and sets the pattern ID to 1 (1,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1, 占 퐏 ec), (2,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2, 占 퐏 ec), (process step, process name, occupation time) 3, finishing rolling, xx sec) is stored in the pattern DB 16 (step S304), and the process pattern creating process for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work in which the series of cooling devices 3 is not completed is completed.

압연재 (S) 가 CR 재인 경우에는 (스텝 S302, Yes), 패턴 작성부 (103) 는, 냉각 완료시의 판 두께가 CR 두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11). 냉각 완료시의 판 두께가 CR 두께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스텝 S311, Yes), 냉각 완료시의 온도가 CR 온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12). 냉각 완료시의 온도가 CR 온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스텝 S312, Yes), 패턴 작성부 (103) 는,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313),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 초), (2,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 초), (3,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하고 (스텝 S314), 일련의 냉각 장치 (3)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를 완료한다.If the rolled material S is a CR material (Yes at Step S302), the pattern creation unit 103 determines whether the plate thickness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cooling satisfies the CR thickness (Step S311). When the plate thickness at the completion of cooling satisfies the CR thickness (step S311, Ye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at the completion of cooling satisfies the CR temperature (step S312). When the temperature at the completion of cooling satisfies the CR temperature (step S312, Yes), the pattern creating unit 103 calculates the occupation time of the finishing mill 4 (step S313) (1,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1, 占 퐏 ec), (2,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2, 占 퐏 ec), and the like as process patterns (process sequence, process name, occupation time) (Step S314), and the process pattern creating process for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work in which the process in the series of cooling apparatuses 3 is not completed is completed .

스텝 S312 에서 냉각 완료시의 온도가 CR 온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스텝 S312, No), 패턴 작성부 (103) 는, 냉각 완료시의 온도가 CR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321, No), CR 온도를 만족할 때까지 냉각 시간을 연장하고 (스텝 S323),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324),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 초), (2,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 초), (3,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하고 (스텝 S325), 일련의 냉각 장치 (3)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를 완료한다. 또한, 스텝 S321 의 처리로 냉각 완료시의 온도가 CR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스텝 S321, Yes), 패턴 작성부 (103) 는, 에러 표시를 출력하여 (스텝 S322), 일련의 냉각 장치 (3)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를 완료한다.If the temperature at the completion of cooling in step S312 does not satisfy the CR temperature (step S312, No), if the temperature at the completion of cooling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CR temperature (step S321, No) (Step S323), the occupation time of the finishing mill 4 is calculated (step S324), and the pattern ID is incremented by 1 to obtain a process pattern (process sequence, process name, occupation time (Cooling in cooling device 31, xx sec) (2, cooling in cooling device 32, xx sec), (3, finish rolling, xx sec) 16 (step S325), and completes the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for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work in which the series of cooling devices 3 is not completed. If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cooling is lower than the CR temperature in step S321 (step S321, Yes), the pattern generation unit 103 outputs an error indication (step S322) The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 for the rolled material is completed.

스텝 S311 의 처리로 냉각 완료시의 판 두께가 CR 두께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311, No), 패턴 작성부 (103) 는, 마무리 압연기 (4) 로 CR 두께를 만족할 때까지 압연하면, 압연 완료시의 압연재 (S) 의 온도가 CR 온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31).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압연 완료시의 압연재 (S) 의 온도가 CR 온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스텝 S331, Yes), 패턴 작성부 (103) 는,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332),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 초), (2,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 초), (3,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하고 (스텝 S333), 일련의 냉각 장치 (3)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를 완료한다.If the plate thickness at the time of cooling finish does not satisfy the CR thickness (step S311, No),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rolls the finish rolling mill 4 until the CR thickness is satisfi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of the rolled material S at the time of completion satisfies the CR temperature (step S331).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olled material S at the completion of rolling in the finish rolling mill 4 satisfies the CR temperature (step S331, Yes),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calculates the occupancy time of the finishing mill 4 (1,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1, 占 퐏 ec), (2, cooling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1) The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 is completed (step S333), the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 is completed The process pattern creating process for the rolled material is completed.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압연 완료시의 압연재 (S) 의 온도가 CR 온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331, No), 패턴 작성부 (103) 는, 마무리 압연기 (4) 로 압연 중에 CR 온도 및 CR 두께를 만족하기 위한 2 대의 냉각 장치 (31, 32) 에서의 냉각 시간을 재차 산출하고 (스텝 S341), 가능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42). 가능해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342, Yes), 패턴 작성부 (103) 는, 산출된 조건에 기초하여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343),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 초), (2,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 초), (3,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한다 (스텝 S344).When the temperature of the rolled material S at the completion of rolling in the finish rolling mill 4 does not satisfy the CR temperature (step S331, No),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causes the finishing mill 4 to perform CR The cooling time in the two cooling devices 31 and 32 for satisfying the temperature and the CR thickness is calculated again (step S341),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ooling time is possible (step S342). (YES in step S342), the pattern generating unit 103 calculates the occupation time of the finishing mill 4 based on the calculated conditions (step S343), and sets the pattern ID to 1 (1,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1, 占 퐏 ec), (2,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2, 占 퐏 ec), (process step, process name, occupation time) 3, finish rolling, XX seconds) is stored in the pattern DB 16 (step S344).

다음으로, 패턴 작성부 (103) 는, CR 두께를 만족할 때까지의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345), 마무리 압연기 (4) 로 압연 중에 CR 온도를 만족하기 위한 2 대의 냉각 장치 (31, 32) 에서의 냉각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346), CR 두께부터 제품 두께가 될 때까지의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한다 (스텝 S347). 그리고, 패턴 작성부 (103) 는,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 초), (2,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 초), (3, 마무리 압연, ×× 초), (4,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 초), (5,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 초), (6,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한다 (스텝 S348). 또한, 스텝 S342 에서 가능해가 없는 경우에도 (스텝 S342, No), 패턴 작성부 (103) 는, 스텝 S345 에 처리를 진행시킨다.Next, the pattern preparing unit 103 calculates the occupation time of the finishing mill 4 until the CR thickness is satisfied (step S345), and calculates the occupancy time of the finishing mill 4 to satisfy the CR temperature during rolling with the finishing mill 4 The cooling time in the cooling apparatuses 31 and 32 is calculated (step S346), and the occupation time of the finishing mill 4 from the CR thickness to the product thickness is calculated (step S347). Then, the pattern preparing unit 103 advances the pattern ID by 1 and sets (process order, process name, occupation time) = (1,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1, XX seconds) as a process pattern,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1, x seconds), (3, finish rolling, x seconds), (4,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1, (6, finish rolling, XX seconds) in the pattern DB 16 (step S348). Further, even if it is not possible in step S342 (step S342, No), the pattern creating section 103 advances the processing to step S345.

계속해서, 패턴 작성부 (103) 는, 마무리 압연기 (4) 로 압연 중에 CR 온도를 만족하기 위한 공랭에 의한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의 냉각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349), 가능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50). 가능해가 없는 경우에는 (스텝 S350, No), 패턴 작성부 (103) 는, 일련의 냉각 장치 (3)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를 완료한다.Subsequently,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calculates the cooling time in the finishing mill back table 5 by air cooling to satisfy the CR temperature during rolling with the finishing mill 4 (step S349)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possible (Step S350). If there is no possibility (step S350, No),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completes the process pattern creating process for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work in which the series of cooling processes in the cooling device 3 is not completed.

스텝 S350 의 처리에서 가능해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350, Yes), 산출된 조건에 기초하여 CR 두께부터 제품 두께가 될 때까지의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351),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 초), (2,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 초), (3, 마무리 압연, ×× 초), (4,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에서의 대기, ×× 초), (5,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하고 (스텝 S352), 일련의 냉각 장치 (3)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를 완료한다.If it is possible in the process of step S350 (step S350, Yes), the occupation time of the finishing mill 4 from the CR thickness to the product thickness is calculated based on the calculated conditions (step S351) (1,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1), xx sec), (2,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2)), (5 seconds, finish rolling, xx sec) in the pattern DB 16, (x, seconds), (3, finish rolling, xx sec) (Step S352), and completes the process pattern creating process for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work in which the series of cooling devices 3 is not completed.

도 18 은, 작업 중 압연재가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경우의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연재 (S) 가 작업 중 압연재로서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경우에, 패턴 작성부 (103) 는, 먼저, 현재 시각부터 마무리 압연 공정의 공정 종료 예정 시각까지의 시간을 점유 시간으로서 산출함과 함께, 패턴 ID 를 초기치 0 으로 설정한다 (스텝 S401).18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procedure for the rolled material in the case where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work is incomplete in the finishing mill 4. 18, when the rolled material S is a rolled material during work and the process in the finish rolling mill 4 is incomplete,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firstly carries out the process of the finish rolling step from the present time The time until the scheduled end time is calculated as the occupation time, and the pattern ID is set to the initial value 0 (step S401).

마무리 압연 공정의 예정이 확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402, Yes), 패턴 생성부 (103) 는, 냉각 장치 (31, 32) 에서의 냉각 공정의 예정이 있으면 (스텝 S403, Yes),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마무리 압연, ×× 초), (2,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 초), (3,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 초), (4,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하고 (스텝 S404), 일련의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를 완료한다.(Step S402, Yes), the pattern generation unit 10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attern ID (step S402, Yes) is set for the cooling process in the cooling devices 31 and 32 (1, finish rolling, 占 퐏 ec), (2,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1, 占 퐏 ec), and 3, the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2, 占 퐏 ec), (4, finish rolling, 占 퐏 ec) are stored in the pattern DB 16 (step S404) And completes the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 for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unfinished work.

스텝 S403 의 처리에서 냉각 장치 (31, 32) 에서의 냉각 공정의 예정이 없고 (스텝 S403, No),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의 대기 공정의 예정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405, Yes), 패턴 작성부 (103) 는,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마무리 압연, ×× 초), (2,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에서의 대기, ×× 초), (3,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하고 (스텝 S406), 일련의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를 완료한다.If there is no schedule for the cooling process in the cooling apparatuses 31 and 32 (step S403, No) and there is a standby process schedule in the finisher rear table 5 (Yes at step S405) , The pattern generating unit 103 sets the pattern ID to 1 and sets the pattern ID to 1 as the process pattern (process order, process name, occupation time) = (1, finish rolling, (Step S406), and a series of finishing rolling mills 4 in which the processes in the finish rolling mill 4 are not completed are stored in the pattern DB 16 Is completed.

스텝 S405 의 처리에서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의 대기 공정의 예정이 없는 경우에는 (스텝 S405, No), 패턴 작성부 (103) 는,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하고 (스텝 S407), 일련의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를 완료한다.If there is no schedule for the waiting process in the finishing mill back table 5 (step S405, No), the pattern preparing unit 103 advances the pattern ID by 1 in step S405, (Step S407), and the process in the series of finishing mills 4 is completed. In this case, The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 for the serial is completed.

마무리 압연 공정의 예정이 확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02, No), 냉각 장치 (31, 32) 에서의 냉각이나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의 대기의 예정이 없으면 (스텝 S411, No), 패턴 작성부 (103) 는,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하고 (스텝 S412), 일련의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를 완료한다.If the schedule of the finish rolling process is not determined (step S402, No), there is no schedule of waiting in the cooling table surface 5 (step S411, No) , The pattern creating unit 103 stores the pattern ID 16 in the pattern DB 16 as the process pattern (process order, process name, occupation time) = (1, finish rolling, (Step S412), and completes the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 for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work in which a series of processes in the finishing mill 4 is not completed.

스텝 S411 의 처리에서 냉각 장치 (31, 32) 에서의 냉각이나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의 대기의 예정이 있으면 (스텝 S411, Yes), 패턴 작성부 (103) 는, 현재 시각부터 마무리 압연 공정의 이미 정해진 공정 중단 예정 시각까지의 시간을 점유 시간으로서 산출한다 (스텝 S421). 여기서 공정 중단 예정 시각은, 압연재 (S) 가 CR 재인 경우에는 CR 두께를 만족할 때까지의 시간으로 하여 산출된다.If there is a schedule of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s 31 and 32 or standby in the back surface table 5 (step S411, Yes) in the process of step S411, the pattern generation unit 103 performs the finish rolling The time until the predetermined process stop scheduled time of the process is calculated as the occupied time (step S421). Here, the process stop scheduled time is calculated as the time until the CR thickness is satisfied when the rolled material S is the CR material.

압연재 (S) 가 CR 재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 S422, No), 패턴 작성부 (103) 는, 이미 정해진 냉각 장치 (3) 에 의한 냉각 시간을 포함한, 공정 중단 예정 시각부터 제품 두께까지의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423),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마무리 압연, ×× 초), (2,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 초), (3,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 초), (4,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한다 (스텝 S424).When the rolled material S is not a CR material (step S422, No),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finishes the process from the estimated time from the process stopping time to the product thickness including the cooling time already set by the cooling device 3 (Step S423), the pattern ID is incremented by 1, and the process pattern (process sequence, process name, occupation time) is calculated as follows: (1, finish rolling,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1, cooling in x seconds), (3,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2 in x seconds), (4, finish rolling in x seconds) (Step S424).

계속해서, 패턴 작성부 (103) 는, 이미 정해진 공랭에 의한 냉각 (대기) 시간을 포함한, 공정 중단 예정 시각부터 제품 두께까지의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425),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마무리 압연, ×× 초), (2,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에서의 대기, ×× 초), (3,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하고 (스텝 S426), 일련의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를 완료한다.Subsequently,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calculates the occupation time of the finishing mill 4 from the estimated time of the process stop to the product thickness including the predetermined cooling (waiting) time by the air cooling (standby) (step S425) (1, finish rolling, xx sec), (2, waiting in the finisher rear table, xx sec), (1) 3, finish rolling, xx sec) is stored in the pattern DB 16 (step S426), and the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for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work in which the series of finishing rolling mill 4 is not completed is completed.

압연재 (S) 가 CR 재인 경우에는 (스텝 S422, Yes), 패턴 작성부 (103) 는,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압연 중단 후에 CR 온도를 만족하기 위한 냉각 장치 (31, 32) 에서의 냉각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431), 제품 두께까지의 남은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한다 (스텝 S432). 그리고, 패턴 작성부 (103) 는,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마무리 압연, ×× 초), (2, 냉각 장치 (31) 에서의 냉각, ×× 초), (3, 냉각 장치 (32) 에서의 냉각, ×× 초), (4,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한다 (스텝 S433).When the rolled material S is a CR material (step S422, Yes), the pattern creation section 10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R in the cooling device 31, 32 to satisfy the CR temperature after the rolling finish in the finish rolling mill 4 The cooling time is calculated (step S431), and the occupation time of the remaining finishing rolling mill 4 to the product thickness is calculated (step S432). Then, the pattern preparing unit 103 advances the pattern ID by one and prepares as the process pattern (process order, process name, occupation time) = (1, finish rolling, xx sec) (3, cooling in the cooling device 32, 占 퐏 ec), (4, finish rolling, 占 占 seconds) in the pattern DB 16 (step S433 ).

계속해서, 패턴 작성부 (103) 는,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압연 중단 후에 CR 온도를 만족하기 위한 공랭에 의한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의 냉각 (대기)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434), 가능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35). 가능해가 없는 경우에는 (스텝 S435, No), 패턴 작성부 (103) 는, 일련의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를 완료한다.Subsequently,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calculates the cooling (standby) time in the finishing mill back table 5 by air cooling to satisfy the CR temperature after the rolling in the finishing mill 4 is stopped (step S434 ,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step S435). If there is no possibility (step S435, No),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completes the process pattern creating process for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work in which the series of finishing rolling mill 4 is not completed.

스텝 S435 의 처리에서 가능해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435, Yes), 패턴 작성부 (103) 는, 제품 두께까지의 남은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436),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마무리 압연, ×× 초), (2,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에서의 대기, ×× 초), (3,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하고 (스텝 S437), 일련의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를 완료한다.If it is possible in the processing of step S435 (step S435, Yes), the pattern creating section 103 calculates the occupation time of the remaining finishing rolling mill 4 to the product thickness (step S436) (1, finish rolling, xx sec), (2, wait in the finisher rear table, xx sec), (3, finishing) (Step S437), and completes the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for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work in which the series of processes in the finishing mill 4 is not completed.

도 19 는, 작업 중 압연재가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경우의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연재 (S) 가 작업 중 압연재로서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경우에, 패턴 작성부 (103) 는, 먼저, 현재 시각부터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의 대기 공정의 공정 종료 예정 시각까지의 시간을 점유 시간으로서 산출함과 함께, 패턴 ID 를 초기치 0 으로 설정한다 (스텝 S501).Fig. 19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ing procedure for a rolled material during a work when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work is incomplete in the finished rear table 5. 19, when the rolled material S is a rolled material during work and the process in the finishing mill back table 5 is incomplete,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firstly carries out, from the present time, The time until the scheduled end time of the waiting process in the table 5 is calculated as the occupation time, and the pattern ID is set to the initial value 0 (step S501).

패턴 작성부 (103) 는, 제품 두께까지의 남은 마무리 압연기 (4) 의 점유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502), 패턴 ID 를 1 앞당김과 함께, 공정 패턴으로서 (공정 순서, 공정명, 점유 시간) = (1,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에서의 대기, ×× 초), (2, 마무리 압연, ×× 초) 를 패턴 DB (16) 에 격납하고 (스텝 S503), 일련의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의 공정이 미완료인 작업 중 압연재에 대한 공정 패턴 작성 처리를 완료한다.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calculates the occupation time of the remaining finishing rolling mill 4 up to the product thickness (step S502), and sets the pattern ID to 1 as a process pattern (process order, process name, occupation time (2, finish rolling, xx sec) is stored in the pattern DB 16 (step S503), and a series of finishing mill back side tables 5 ) Is completed is completed, the process pattern creation process for the rolled material is completed.

[모드 작성 처리][Mode creation processing]

상기 스텝 S3 에 있어서 각 압연재 (S) 에 대하여 복수의 모드를 작성하는 처리 (모드 작성 처리) 에 대하여, 도 2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 은, 모드 작성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패턴 DB (16) 로부터 압연재 (S) 에 대한 공정 패턴을 압연재 ID 별로 추출한다 (스텝 S601).A process (mode creation process) for creating a plurality of modes for each rolled material S in step S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20 is a flowchart showing the mode creation processing procedure. As shown in Fig. 20,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section 104 extracts the process pattern for the rolled material S from the pattern DB 16 for each rolled material ID (step S601).

여기서, 압연재 ID 를 SlabID, 패턴 ID 를 PatternID, 공정 순서를 ProcNo, Job 의 식별 정보를 JobID, Job 의 모드의 식별 정보를 ModeID 라고 나타낸다. 또한, 압연재 ID 가 i, 압연재가 가지는 Job 의 식별 정보가 j, Job 이 가지는 모드의 식별 정보가 k 인 경우에, 압연재 i 가 가지는 Jobj 의 모드 k 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Slab[i][j][k] 를 정의한다. 또한, Slab[i][j][k].R[] 는, 압연재 i 의 Jobj 의 모드 k 에서 점유되는 Resource 라고 정의한다. 또한, Slab[i][j][k].Tim 은, 압연재 i 의 Jobj 의 모드 k 에서 점유되는 Resource 의 점유 시간이라고 정의한다.Here, the rolled material ID is SlabID, the pattern ID is PatternID, the process order is ProcN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Job is JobI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Mode of Job is ModeID. When the rolled material ID is i,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job of the rolled material is j,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de of the job is k, Slab [i] j] [k]. In addition, Slab [i] [j] [k] .R [] is defined as Resource occupied in mode k of Job j of rolled material i. Slab [i] [j] [k] .Tim is defined as occupancy time of Resource occupied in mode k of Job j of rolled material i.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취출한 공정 패턴의 데이터를, 패턴 ID (PatternID) 를 제 1 우선 키, 공정 순서 (ProcNo) 를 제 2 우선 키로 하여 오름차순으로 소트한다 (스텝 S602). 또한,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초기치로서 PatternID = 1, ProcNo = 1, JobID = 1, ModeID = 1 을 설정한다 (스텝 S603).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on unit 104 sorts the data of the extracted process patterns in ascending order using the pattern ID (PatternID) as the first priority key and the process order (ProcNo) as the second priority key (step S602) . The optimal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on unit 104 sets PatternID = 1, ProcNo = 1, JobID = 1, and ModeID = 1 as initial values (step S603).

다음으로,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패턴 ID 가 당해 PatternID 의 공정 패턴에 대하여, 공정 순서 (ProcNo) 를 참조한다 (스텝 S610).Next,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creation section 104 refers to the process sequence (ProcNo) for the process pattern of the pattern ID of the pattern ID (step S610).

공정명 = 조압연에서는 (스텝 S611, Yes), 조압연에 관한 제약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612, Yes),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다음 식 (1) 을 설정하고 (스텝 S613), JobID 를 1 앞당김과 함께 (스텝 S614), 당해 PatternID 에 대하여, 모든 ProcNo 에 대하여 참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15, No), ProcNo 를 1 앞당기고 (스텝 S616), 스텝 S611 의 처리로 돌아간다. 또한, 조압연에 관한 제약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12, No),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후술하는 스텝 S619 에 처리를 진행시킨다.If the constraint condition for rough rolling is satisfied (Yes at step S612),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creation section 104 sets the following equation (1) to ProcNo is incremented by one (step S616). If ProcNo is not referred to for all the ProcNo (step S615, No), ProcNo is incremented by one (step S614) ,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611. If the constraint condition for the rough rolling is not satisfied (step S612, No),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on section 104 advances the processing to step S619 described later.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공정명 = 냉각에서는 (스텝 S611, No, 또한, 스텝 S621, Yes), 냉각에 관한 제약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622, Yes), 2 대의 냉각 장치 (31, 32) 사이에 압연재 (S) 를 2 개 대기 가능하면 (스텝 S623, Yes),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다음 식 (2) 를 설정하고 (스텝 S624), JobID 를 1 앞당김과 함께 (스텝 S614), 당해 PatternID 에 대하여, 모든 ProcNo 에 대하여 참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15, No), ProcNo 를 1 앞당기고 (스텝 S616), 스텝 S611 의 처리로 돌아간다.If the constraint condition for cooling is satisfied (step S622, Yes), the cooling apparatuses 31 and 32 are disposed between the two cooling apparatuses 31 and 32 in the process name = cooling (step S611, No and step S621, (Step S623, Yes),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section 104 sets the following Equation (2) (Step S624), and advances the JobID to 1 (Step S614). If the pattern ID is not referred to all ProcNo (step S615, No), ProcNo is incremented by one (step S616),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61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스텝 S623 의 처리에서 2 개 대기 가능하지 않으면 (스텝 S623, No),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다음 식 (3) 을 설정한다 (스텝 S625). 또한, 식 (3) 에 있어서, CLRN 이란 2 대의 냉각 장치 모두 확보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JobID 를 1 앞당김과 함께 (스텝 S614), 당해 PatternID 에 대하여, 모든 ProcNo 에 대하여 참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15, No), ProcNo 를 1 앞당기고 (스텝 S616), 스텝 S611 의 처리로 돌아간다. 또한, 냉각에 관한 제약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22, No),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후술하는 스텝 S619 에 처리를 진행시킨다.If two queues are not available in the process of step S623 (step S623, No), the optimum heating-furnace-temperature-extraction-sequence creating unit 104 sets the following equation (3) (step S625). In the formula (3), CLRN means that both cooling units are secured. ProcNo is incremented by 1 (step S616). If ProcNo has not been referred to for all the ProcNo (step S615, No), the processing of step S611 is performed . If the constraint condition for cooling is not satisfied (step S622, No),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creation section 104 advances the processing to step S619 described later.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공정명 = 마무리 압연에서는 (스텝 S621, No, 또한, 스텝 S631, Yes),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다음 식 (4) 를 설정하고 (스텝 S632), JobID 를 1 앞당김과 함께 (스텝 S614), 당해 PatternID 에 대하여, 모든 ProcNo 에 대하여 참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15, No), ProcNo 를 1 앞당기고 (스텝 S616), 스텝 S611 의 처리로 돌아간다.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on section 104 sets the following equation (4) (step S632), and sets the JobID to 1 (step S621: No) (Step S614). If the pattern ID is not referred to all ProcNo (step S615, No), ProcNo is incremented by one (step S616),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611.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공정명 = 대기에서는 (스텝 S631, No, 또한, 스텝 S641, Yes),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5) 에서의 대기에 관한 제약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642, Yes),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다음 식 (5) 를 설정하고 (스텝 S643), JobID 를 1 앞당김과 함께 (스텝 S614), 당해 PatternID 에 대하여, 모든 ProcNo 에 대하여 참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15, No), ProcNo 를 1 앞당기고 (스텝 S616), 스텝 S611 의 처리로 돌아간다. 또한, 대기에 관한 제약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42, No),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후술하는 스텝 S619 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또한, 스텝 S641 의 처리에서 공정명 = 대기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 S641, No),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에러 표시를 출력하고 (스텝 S644), 후술하는 스텝 S619 의 처리로 진행한다.In the case where the process name = waiting (step S631, No, step S641, Yes), if the constraint condition on the waiting condition in the finisher rear surface table 5 is satisfied (Yes at step S642) The order creating unit 104 sets the following equation (5) (step S643), advances the JobID by 1 (step S614), and if the pattern ID is not referred to all ProcNo S615, No), advances ProcNo by one (step S616), and returns to the processing of step S611. If the restriction condition regarding the atmosphere is not satisfied (step S642, No),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on section 104 advances the processing to the later-described step S619. In step S641, if the process name is not standby (step S641, No),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creation section 104 outputs an error indication (step S644), and performs the process of step S619 .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스텝 S615 의 처리에서 당해 PatternID 에 대하여, 모든 ProcNo 에 대하여 참조한 경우에는 (스텝 S615, Yes),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다음 식 (6) 을 설정한다 (스텝 S617). 여기서, Job 의 나머지가 있는 경우, 남은 Job 에는 Tim = 0 의 DMY 를 할당하는 모드를 정의한다. 그리고, ModeID 를 1 앞당김과 함께 (스텝 S618), 모든 PatternID 에 대하여 참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19, No), PatternID 를 1 앞당기고, ProcNo = 1, JobID = 1 을 설정하고 (스텝 S620), 스텝 S610 의 처리로 돌아간다.When referring to all the ProcNo's in the process of the step S615 (Step S615, Yes),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section 104 sets the following equation (6) (step S617). Here, when there is a remainder of Job, a mode for allocating DMY of Tim = 0 is defined for the remaining Job. If all the Pattern IDs have not been referred to (step S619, No), the PatternID is incremented by one, and ProcNo = 1 and JobID = 1 are set (step S620) ),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610.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스텝 S619 의 처리에서, 모든 PatternID 에 대하여 참조한 경우에는 (스텝 S619, Yes),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일련의 모드 작성 처리를 완료한다.In the process of step S619, when referring to all the Pattern IDs (step S619, Yes),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creating section 104 completes a series of mode creating processes.

[제약 조건][Constraint]

상기 스텝 S4 의 처리에서 적용되는 제약 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constraint conditions applied in the process of step S4 will be described.

[Job 의 선행 제약][Prior constraint of Job]

모든 압연재의 전체 Job 에 대하여, 이하의 식 (7) 로 부여되는 제약 조건이 성립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Slab[i][j][].StartTime 은, 압연재 (압연재 ID = i) 의 Job (JobID = j) 의 개시 시각을 나타내고, Slab[i][j][].EndTime 은, 압연재 (압연재 ID = i) 의 Job (JobID = j) 의 종료 시각을 나타낸다. 여기서, Job 의 선행 제약은, 선택되는 모드에는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식 (7) 에 모드 k 에 대하여 기재가 없지만, 임의의 모드에 대하여 식 (7) 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The constraint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7) must be satisfied for the entire Job of all rolled materials. Here, Slab [i] [j] []. StartTime represents the start time of Job (JobID = j) of the rolled material (rolled material ID = i) (JobID = j) of the rolled material (rolled material ID = i). Here, since the precedence constraint of Job does not depend on the mode to be selected, the equation (7) does not describe the mode k, but requires that the relation of the equation (7) holds for an arbitrary mode.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7

[작업 중 압연재의 선행 제약][Preceding constraints on rolled materials during work]

작업 중 압연재는 순서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가열로로부터 추출된 순서를 유지하는 점에서, 가열로 (1) 로부터 추출된 작업 중 압연재의 최초의 Job (JobID = 1) 에 대하여, 이하의 식 (8) 로 부여되는 제약 조건이 성립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C_order[II] (II = 1, 2, 3, ···, NN, NN 은 추출이 완료된 압연재 개수) 에는, 가열로 추출 순서가 빠른 순서대로 압연재 ID 가 격납된다. 여기서, Slab[C_order[II]][1][].StartTime 은, C_order[II] 번째에 추출된 압연재의 1 번째의 Job 의 개시 시각을 나타내고, Slab[C_order[II]][1][].EndTime 은, C_order[II] 번째에 추출된 압연재의 1 번째의 Job 의 종료 시각을 나타낸다. 여기서, 작업 중 압연재의 선행 제약은, 선택되는 모드에는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식 (8) 에 모드 k 에 대하여 기재가 없지만, 임의의 모드에 대하여 식 (8) 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JobID = 1) of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work extracted from the heating furnace 1 in order to maintain the order extracted from the heating furnace because the order of the rolled material can not be changed during the work. 8) must be satisfied. Here, the rolled sheet material ID is stored in the order of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in the C_order [II] (II = 1, 2, 3, ..., NN, NN is the number of rolled materials after extraction). Here, Slab [C_order [II]] [1] [] StartTime represents the start time of the first Job of the rolled material extracted at the C_order [II] ]. EndTime represents the end time of the first job of the rolled material extracted at the C_order [II] th. Here, since the precedence constraint of the rolled material during operation does not depend on the mode to be selected, although there is no description of the mode k in the equation (8), it is required that the relation of the equation (8) holds for any mode will be.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8

작업 중 압연재는 재원 압연재보다 선행하는 점에서, 이하의 식 (9) 로 부여되는 제약 조건이 성립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Slab[II][1][].EndTime 은, 추출이 완료된 압연재 II 의 1 번째의 Job 의 종료 시각을 나타내고, Slab[i][1][].StartTime 은 재원 압연재 i 의 1 번째의 Job 의 개시 시각을 나타낸다. 여기서, 작업 중 압연재의 선행 제약은, 선택되는 모드에는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식 (9) 에 모드 k 에 대하여 기재가 없지만, 임의의 모드에 대하여 식 (9) 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It is necessary for the rolling material to satisfy the constraint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9), since it precedes the rolled material. Slab [II] [1] []. EndTime represents the end time of the first job of the rolled material II that has been extracted. Slab [i] [1] Th job. Here, since the precedence constraint of the rolled material during operation does not depend on the mode to be selected, although there is no description of the mode k in the equation (9), it is required that the relation of the equation (9) holds for any mode will be.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09

[재원 압연재의 가열로 추출 순서 제약][Limitations on Extraction Sequence of Heating Furnace of Rolled Material]

가열로로부터 추출하는 순서를 바꿀 수 없는 재원 압연재의 조합 (압연재 사양 데이터에 포함되는 가열로 위치 및 가열로 추출 여부 사인을 참조하여 작성된다) 에 대하여, 이하의 식 (10) 으로 부여되는 제약 조건이 성립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재원 압연재 nn 보다 먼저 추출할 수 없는 재원 압연재의 압연재 ID 를 ㎜ 이라고 하면, Slab[㎜][1][].EndTime 은, 재원 압연재 ㎜ 의 1 번째의 Job 의 종료 시각을 나타내고, Slab[nn][1][].StartTime 은, 재원 압연재 nn 의 1 번째의 Job 의 개시 시각을 나타낸다. 여기서, 재원 압연재의 가열로 추출 순서 제약은, 선택되는 모드에는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식 (10) 에 모드 k 에 대하여 기재가 없지만, 임의의 모드에 대하여 식 (10) 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10) given below with respect to the combination of the rolled material in which the order of extraction from the heating furnace can not be changed (created by referring to the heating furnace position and heating furnace extracting sign included in the rolled material specification data) Constraints must be established. Here, if the rolled material ID of the rolled material that can not be extracted before the rolled soft material nn is mm, Slab [mm] [1] []. EndTime is the ending time of the first job of the rolled material mm , And Slab [nn] [1] [] StartTime indicates the start time of the first Job of the financial roll nn. Here, the constraint on the heating furnace roughening of the pressure-softened material does not depend on the mode to be selected. Therefore, although there is no description of the mode k in the formula (10), the relation of the formula (10) It is demanding.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0

[모드의 선택 조건 제약][Conditional selection condition restriction]

동일 압연재에서 선택되는 모드의 식별 정보 (ModeID) 는, 상이한 Job 에 대해서도 동일한 점에서, 다음 식 (11) 로 부여되는 제약 조건이 성립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Mode (Slab[i][][k]) 는, Slab[i] 의 모든 Job 에 있어서, 동일한 모드 k 가 선택되는 것을 나타낸다.(ModeID) of the mode selected in the same rolled material must satisfy the constraint condition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11) on the same point also for different Jobs. Here, Mode (Slab [i] [] [k]) indicates that the same mode k is selected for all jobs of Slab [i].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1

[목적 함수][Objective function]

상기 스텝 S4 의 처리에서 모드의 조합을 최적화할 때의 목적 함수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는, 이하의 식 (12) 로 부여되는 총압연 시간을 목적 함수로서 설정하고, 이 목적 함수 (총압연 시간) 가 최단이 되는 모드의 조합을 최적해로서 선정한다. 여기서, first_slab 는 순서가 최초인 압연재의 압연재 ID, first_mode 는 최초의 압연재의 1 번째의 Job 에서 선택된 모드의 모드 ID, last_slab 는 순서가 최종인 압연재의 압연재 ID, last_job 은 last_slab 의 최종 Job 의 JobID, last_mode 는 last_job 에 있어서 선택된 모드의 모드 ID 로 한다. 이 경우, Slab[last_slab][last_job][last_mode].EndTime 은, 순서가 최종인 압연재의 최종 Job 의 종료 시각을 나타내고, Slab[first_slab][1][first_mode].StartTime 은, 순서가 최초인 압연재의 1 번째의 Job 의 개시 시각을 나타낸다.The objective function at the time of optimizing the combination of modes in the process of step S4 will be described.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on section 104 sets the total rolling time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12) as an objective function and selects a combination of modes in which the objective function (total rolling time) is the shortest as the optimal solution do. Here, first_slab is the rolled material ID of the first rolled material whose order is first, first_mode is the mode ID of the mode selected by the first Job of the first rolled material, last_slab is the rolled material ID of the rolled material whose order is last, last_job is the last Job ID of Job, and last_mode is the mode ID of the mode selected in last_job. In this case, Slab [last_slab] [last_job] [last_mode] .EndTime represents the end time of the last job of the rolled material whose order is the last, and Slab [first_slab] [1] [first_mode] .StartTime represents the first Indicates the start time of the first Job in the series.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2

또한, 스텝 S3 의 처리에 있어서, 압연재 (S) 의 품질 평가를 가미한 최적해를 선정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평가치로서 Slab[i][j][k].ModeValue 를 준비하고, 도 20 의 S619 바로 앞에서, 예를 들어, 실조업 등으로부터 얻어진 품질상 바람직한 조압연 종료시의 판 두께, 판 온도 등을 입력부 (101) 를 통하여 파라미터 DB (15) 에 격납해 두고, 이들을 포함하는 모드에 대해서는 0 이하의 수치를 부여하고, 그 이외의 모드에 대해서는 0 보다 큰 값을 정의하는 스텝을 추가하여, 평가치를 상기 목적 함수에 가미한다. 예를 들어, 이하의 식 (13) 으로 부여되도록, 상기 식 (12) 에 각 모드의 소정의 가중 계수를 곱하여 각 모드의 조합의 목적 함수를 산출하고, 이 목적 함수가 최소가 되는 모드의 조합을 최적해로서 선정한다. 이 가중 계수는, 입력부 (101) 를 통하여 파라미터 DB (15) 에 미리 격납해 두면 된다. 여기서, W (0 < = W < = 1) 는, 각각의 평가치에 곱해지는 가중 계수를 나타낸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tep S3, the optimum solution may be selected in addition to the quality evaluation of the rolled material S. In this case, Slab [i] [j] [k] .ModeValue is prepared as the evaluation value, and the value of the plate thickness at the end of the rough rolling, which is preferable in terms of quality obtained from, for example, And the like are stored in the parameter DB 15 through the input unit 101 and numerical values of 0 or less are assigned to the mode including them and a step of defining a value larger than 0 is added to other modes, The evaluation value is added to the objective function. For example, the objective function of the combination of each mode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equation (12) by a predetermined weighting coefficient of each mode so as to be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13), and a combination of modes As an optimal solution. This weighting coefficient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parameter DB 15 through the input unit 101. [ Here, W (0 < = W < = 1) represents a weighting factor multiplied by each evaluation value.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3

이상과 같이 선정된 모드의 조합에 기초하여,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100) 는, 압연재 (S) 의 가열로 추출 시각, 통과 공정의 각 공정의 점유 시간을 결정함으로써, 가열로 추출 순서나 추출 시각을 고려한 통과 공정 스케줄을 작성한다.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selected modes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line extraction sequence creation device 100 determines the extraction time of the heating furnace of the rolled material S and the occupation time of each step of the passing process, A pass process schedule considering the extraction time is created.

이상과 같이 정식화함으로써, 가열로 추출 순서나 추출 시각을 고려한 통과 공정 스케줄은, 멀티 모드·RCPSP 문제로서, IBM ILOG Scheduler, 수리 시스템사 제조 Nuopt, LogOpt 사 제조 OptSeq 등의 시판되는 범용의 RCPSP 솔버를 활용하여 풀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above formulation, the passing process schedule considering the heating-furnace extraction sequence and the extraction time is a commercial multi-mode RCPSP solver such as IBM ILOG Scheduler, Nuopt manufactured by Nissan Systems Co., Ltd. and OptSeq manufactured by LogOpt Co., Can be solved by utilizing.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처리에 의하면, 패턴 작성부 (103) 가, 압연재 (S) 별로 통과 공정의 각 공정과 당해 공정의 설비의 점유 시간을 조합한 공정 패턴을 복수 작성하고,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4) 가, 압연재별로 통과 공정의 각 공정별로 1 개씩 선택한 공정 패턴을 조합하여 모드를 작성하고, 제품 품질상의 제약 조건과 설비의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총압연 시간이 최단이 되는 모드의 조합을 선정함으로써, 압연 라인의 상류에 배치 형성된 복수의 가열로로부터의 압연재 (S) 의 추출 순서나 추출 시각을 고려하면서 하류의 조압연기 (2) 나 마무리 압연기 (4) 에서의 압연 스케줄 (통과 공정 스케줄) 을 작성한다. 이로써, 열간 압연에 의해 제조되는 후강판의 압연 능률의 향상과 제품 품질 조건의 충족을 양립시켜 제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i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preparation proces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preparing section 103 can calculate the occupancy time of the respective steps of the passing process and the equipment of the process for each rolled material S And the optimal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creating section 104 creates a mode by combining the process patterns selected one by one for each process of the passing process for each rolled material, The combination of the modes in which the total rolling time is shortest is selected based on the constraint conditions of the equipment so that the downstream side of the rolling line S (Rolling process schedule) in the rough rolling mill 2 or finishing rolling mill 4 is prepared. This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both the rolling efficiency and the product quality condition of the steel sheet after hot rolling, thereby improving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최적화란, 총압연 시간이 최단이 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제품 품질상의 제약 조건과 설비의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소정 범위로 선택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optimization means that the total rolling time is shortest. However, it may be selected 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constraint conditions on the product quality and equipment.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한 본 발명의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기술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당업자 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른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Although the embodiments to whic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ve been described above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echniques and drawings that form part of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other embodiments, examples, operating techniques, and the lik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present embodimen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방법 및 강판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가열로와 조압연기와 마무리 압연기를 갖는 강판의 압연 라인에서의 강판의 가열로 추출 순서와 압연 스케줄을 작성하는 처리에 적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device,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method, and the steel plat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cable to a heating furnace of a steel plate in a rolling line of a steel plate having a plurality of heating furnaces, a roughing mill, and a finishing mill It is suitable for the process of creating extraction schedule and rolling schedule.

1 ; 가열로
2 ; 조압연기
3 ; 냉각 장치
4 ; 마무리 압연기
5 ; 마무리 밀 후면 테이블
S ; 압연재
10 ;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시스템
11 ; 작업 중 압연재 데이터베이스 (DB)
12 ; 압연재 사양 데이터베이스 (DB)
13 ; 사양 코드 마스터 데이터베이스 (DB)
14 ; 설비 제약 마스터 데이터베이스 (DB)
15 ; 파라미터 데이터베이스 (DB)
16 ; 패턴 데이터베이스 (DB)
100 ;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101 ; 입력부
102 ; 데이터 판독부
103 ; 패턴 작성부
104 ;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부
105 ; 출력부
One ; Heating furnace
2 ; Rough rolling mill
3; Cooling device
4 ; Finishing mill
5; Finishing mill rear table
S; Rolled material
10;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filling system
11; During the operation, the rolled material database (DB)
12; Rolled material specification database (DB)
13; Specification code Master database (DB)
14; Facility constraint master database (DB)
15; Parameter database (DB)
16; Pattern database (DB)
100;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preparation device
101; Input
102; The data-
103; The pattern-
104;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sequence preparation section
105; Output portion

Claims (8)

복수의 가열로와 적어도 조압연기와 마무리 압연기를 갖는 강판의 압연 라인에서의 강판의 가열로 내 슬래브의 추출 순서와 압연 스케줄을 작성하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로서,
압연재별로 통과 공정의 각 공정과 당해 공정에 사용되는 설비의 점유 시간을 조합한 공정 패턴을 복수 작성하는 공정 패턴 작성 수단과,
압연재별로 통과 공정의 각 공정에 대하여 1 개씩 선택한 공정 패턴을 조합하여 모드를 작성하는 모드 작성 수단과,
제품 품질상의 제약 조건과 설비의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총압연 시간이 최단이 되는 압연재의 모드의 조합을 선정하고, 선정된 압연재의 모드의 조합에 기초하여 압연재의 가열로 추출 순서와 압연 스케줄을 작성하는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procedure creating apparatus for creating a heating furnace slab extraction procedure and a rolling schedule by a plurality of heating furnaces and a steel plate having at least roughing and finishing mills,
A process pattern creation means for creating a plurality of process patterns each of which is a combination of each process of the passing process and an occupancy time of the equipment used in the process,
Mode creating means for creating a mode by combining process patterns selected one by one for each process of the passing process for each rolled material,
A combination of the modes of the rolled material in which the total rolling time is shortest is selected based on the constraint on the product quality and the constraint on the equipment, And an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means for creating a rolling sche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수단은, 총압연 시간에 압연재의 제품 품질에 관한 평가를 가미한 목적 함수를 최소로 하는 압연재의 모드의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means selects a combination of modes of the rolled material that minimizes an objective function that is an evaluation of the product quality of the rolled material at the total rolling ti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수단은, 압연재의 제품 품질에 관한 평가를 소정의 가중 계수로서, 목적 함수에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ng means multiplies an objective function by an evaluation on the product quality of the rolled material as a predetermined weighting coefficient.
복수의 가열로와 적어도 조압연기와 마무리 압연기를 갖는 강판의 압연 라인에서의 강판의 가열로 내 슬래브의 추출 순서와 압연 스케줄을 작성하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방법으로서,
압연재별로 통과 공정의 각 공정과 당해 공정에서 사용되는 설비의 점유 시간을 조합한 공정 패턴을 복수 작성하는 공정 패턴 작성 스텝과,
압연재별로 통과 공정의 각 공정에 대하여 1 개씩 선택한 공정 패턴을 조합하여 모드를 작성하는 모드 작성 스텝과,
압연재의 제품 품질상의 제약 조건과 설비의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총압연 시간이 최단이 되는 압연재의 모드의 조합을 선정하고, 선정된 압연재의 모드의 조합에 기초하여 압연재의 가열로 추출 순서와 압연 스케줄을 작성하는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방법.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procedure for creating a heating furnace slab extraction sequence and a rolling schedule in a rolling line of a steel plate having a plurality of heating furnaces and at least a roughing and finishing rolling mill,
A process pattern creation step of creating a plurality of process patterns by combining the respective processes of the passing process and the occupation times of the facilities used in the process for each rolled material;
A mode creating step of creating a mode by combining process patterns selected one by one for each process of the passing process for each rolled material,
A combination of the modes of the rolled material in which the total rolling time is shortest is selected based on the constraint conditions on the product quality of the rolled material and the constraint conditions of the equipment an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modes of the rolled material, And an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on step of creating an extraction order and a rolling schedu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스텝은, 총압연 시간에 압연재의 제품 품질에 관한 평가를 가미한 목적 함수를 최소로 하는 압연재의 모드의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on step selects a combination of modes of the rolled material that minimizes the objective function that is an evaluation of the product quality of the rolled material at the total rolling tim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스텝은, 압연재의 제품 품질에 관한 평가를 소정의 가중 계수로서, 목적 함수에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said optimum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creation step multiplies an objective function by an evaluation relating to a product quality of the rolled material as a predetermined weighting factor.
상기 제 1 항에 기재된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장치에 의해 결정된 가열로 추출 순서에 기초하여 강판을 제조하는 강판의 제조 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el sheet is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procedure determined by the heating-furnace-extraction-order creating device. 상기 제 4 항에 기재된 가열로 추출 순서 작성 방법에 의해 결정된 가열로 추출 순서에 기초하여 강판을 제조하는 강판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steel sheet on the basis of a heating furnace extraction procedure determined by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procedure pr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4.
KR1020147036156A 2012-06-26 2013-06-17 Heating-furnace-extraction order generation device, heating-furnace-extraction order generation method, and steel plate production method KR10154847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3349 2012-06-26
JP2012143349 2012-06-26
PCT/JP2013/066626 WO2014002816A1 (en) 2012-06-26 2013-06-17 Heating-furnace-extraction order generation device, heating-furnace-extraction order generation method, and steel plate produc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842A true KR20150011842A (en) 2015-02-02
KR101548476B1 KR101548476B1 (en) 2015-08-28

Family

ID=4978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6156A KR101548476B1 (en) 2012-06-26 2013-06-17 Heating-furnace-extraction order generation device, heating-furnace-extraction order generation method, and steel plate production meth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35181B1 (en)
KR (1) KR101548476B1 (en)
CN (1) CN104411421B (en)
WO (1) WO201400281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9902B2 (en) * 2014-08-07 2017-06-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plan creation device,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plan creation method, steel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rolling line operation method
CN110825055B (en) * 2019-11-26 2020-12-04 北京工业大学 Hybrid production workshop energy-saving scheduling method considering continuous processing of heating furnace
TWI794058B (en) * 2022-03-18 2023-02-21 中國鋼鐵股份有限公司 Hea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a heating furnace
CN114570772B (en) * 2022-04-15 2024-01-30 宝信软件(武汉)有限公司 Intelligent control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conveying slabs through furnace feeding roller way
JP7387070B1 (en) 2023-02-16 2023-11-27 三菱電機株式会社 Scheduling device, scheduling system, scheduling method, and scheduling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0665B2 (en) * 1998-12-03 2002-09-03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olling order in hot rolling
JP4631105B2 (en) * 1999-07-19 2011-02-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Heating control method for heating furnace
CN100464886C (en) * 2003-06-13 2009-03-04 杰富意钢铁株式会社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ably cooling thick steel plate
KR101362300B1 (en) * 2008-03-31 2014-02-12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Steel plate quality assurance system
JP5636697B2 (en) * 2009-03-04 2014-12-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Heating furnace charging order and extraction order / rolling order creation method, and heating furnace charging order and extraction order / rolling order creation device
JP5673249B2 (en) * 2010-07-06 2015-02-1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Hot rolling schedule creation device, hot rolling schedule cre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002816A1 (en) 2016-05-30
KR101548476B1 (en) 2015-08-28
CN104411421B (en) 2016-05-11
WO2014002816A1 (en) 2014-01-03
CN104411421A (en) 2015-03-11
JP5435181B1 (en)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476B1 (en) Heating-furnace-extraction order generation device, heating-furnace-extraction order generation method, and steel plate production method
JP6020366B2 (en) Mill pacing device, mill pacing method and operation method
JP4151298B2 (en) How to determine rolling procedure
JP4935489B2 (en) Heating furnace charging order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JP33206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olling order in hot rolling
JP5403196B1 (en) Rolling order determination system and rolling order determination method
JP4987795B2 (en) Manufacturing lot knitting apparatus and knitting method for hot rolling mill
JP4983719B2 (en) Rolling order determination method and rolling order determination apparatus for hot rolling, and hot 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CA2743170C (en) Process schedul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JP5463743B2 (en) Slab hot rolling schedule determination method and slab hot rolling schedule determination device
JP2013182348A (en) Production plan creation device, production plan creation system, and production plan creation program
JP6149902B2 (en)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plan creation device, heating furnace extraction order plan creation method, steel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rolling line operation method
JP5494194B2 (en) Production target range setting device and production target range setting method
JP200922645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ciding rolling order in hot rolling, and method of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hot-rolled steel plate
JP6593278B2 (en) Production plan creation method and production plan creation device
JP6299673B2 (en) Roll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10490383B (en) Integrated production heat plan optimization method based on slab clustering
JP5117176B2 (en) Production schedule creation device and production schedule creation program
JP6822390B2 (en) Rough rolling time calculation method for thick steel sheets, rough rolling time calculation device for thick steel sheet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ick steel sheets
JP2010207899A (en) Method of controlling temperature in hot rolling
JP2024016404A (en) Rolling setting support system, and rolling setting support method
JP2006281280A (en) Method for operating slab heating furnace
JP5734605B2 (en) Production plan creation device and production plan creation program
Sato et al. Profile and flatness set up system for rolling mill
JP2004255409A (en) Method for rolling steel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