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395A -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 Google Patents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395A
KR20150010395A KR20130085378A KR20130085378A KR20150010395A KR 20150010395 A KR20150010395 A KR 20150010395A KR 20130085378 A KR20130085378 A KR 20130085378A KR 20130085378 A KR20130085378 A KR 20130085378A KR 20150010395 A KR20150010395 A KR 20150010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essure
hoist
storage space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5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8638B1 (ko
Inventor
조홍식
김현석
조형택
Original Assignee
(주)트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인텍 filed Critical (주)트인텍
Priority to KR1020130085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6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1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9Thorax
    • A61H2201/1621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61H2201/1626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호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행 재활이 가능하도록 하여 런웨이 레일을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자유로운 방향으로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보행 재활 치료를 위한 실내의 천장에 설치된 런웨이 레일; 상기 보행 재활 치료를 위한 실내의 어느 한 장소에 설치되며, 고압의 에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고압 에어생성부 및 상기 고압 에어생성부의 에어 제공량에 대한 조절을 위해 조작 가능하게 제공되는 조작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메인기기; 상기 런웨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공기압 저장공간 내의 공기압 조절을 통해 환자가 착용하는 벨트를 설정 높이만큼 선택적으로 들어올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기압 저장공간과 연통되면서 고압 에어가 선택적으로 출입되는 공기출입부를 갖는 에어밸런스 호이스트; 그리고, 설정된 장소로 에어밸런스 호이스트가 이동될 경우 도킹되면서 상기 고압 에어생성부에서 생성된 고압의 에어가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공기압 저장공간 내로 공급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거나 혹은, 상기 공기압 저장공간 내의 고압 에어를 배출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도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walking training apparatus is based on a roof rail}
본 발명은 에어호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행 재활이 가능하도록 하여 런웨이 레일을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자유로운 방향으로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해나 질환과 같은 각종 장애로 인해 스스로 보행이 불편하게 된 환자는 규칙적인 재활 운동을 통해 점차 장애 이전의 건강상태로 재활시켜 스스로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보행 장애시의 재활은 해당 환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는 범위로부터 환자의 체중을 스스로 지탱할 수 있을 정도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수행하여야만 한다.
기존에는 보행 재활을 위한 기기가 통상의 재활용 러닝머신 등에만 의존되었기 때문에 환자가 제공받는 하중을 점진적으로 늘려가면서 재활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이에 종래에는 공개특허 제10-2009-0102473호와, 등록특허공보 제10-1283250호 및 등록특허 제10-113197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자의 체중부하를 감소시킨 상태로 보행 재활이 이루어지도록 한 기기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기술들은 각 기기별로 한 명의 환자만이 보행 재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여러 환자가 동시에 사용하지는 못한다.
더욱이, 전술된 종래 기술들은 환자의 직진 보행만 수행할 수 있을 뿐 다양한 궤적을 따라 보행하는 재활은 이루어지지 못하여 실제 해당 환자가 완전히 재활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물론, 최근에는 천장을 따라 다양한 궤적을 이루는 런웨이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런웨이 레일에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는 환자가 착용한 벨트에 연결시켜 다수의 환자가 궤적을 이루며 동시에 보행하면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즉, 설정된 중량을 들어올릴 수 있는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를 보행재활장치에 적용하고, 이러한 보행재활장치는 천장에 설치된 런웨이 레일에 연결하여 상기 환자가 상기 런웨이 레일을 따라 돌면서 보행 재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전술된 에어밸런스 호이스트가 적용된 보행재활장치는 해당 환자에 대한 보행 치료가 수행되는 도중 항상 고압의 에어를 제공받아야만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가 이동되는 도중에도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호스가 항상 연결된 상태이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해당 런웨이 레일을 따라 다수의 환자가 보행 재활 운동을 수행한다 하더라도 각 환자의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에 연결된 에어호스가 꼬이는 등의 우려로 인해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만 보행할 수밖에 없었고, 상기 에어호스의 연결이 원치않게 해제될 경우 급격한 체중 부하의 증가로 인해 환자가 오히려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호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행 재활이 가능하도록 하여 런웨이 레일을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자유로운 방향으로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에 따르면 보행 재활 치료를 위한 실내의 천장에 설치된 런웨이 레일; 상기 보행 재활 치료를 위한 실내의 어느 한 장소에 설치되며, 고압의 에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고압 에어생성부 및 상기 고압 에어생성부의 에어 제공량에 대한 조절을 위해 조작 가능하게 제공되는 조작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메인기기; 상기 런웨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공기압 저장공간 내의 공기압 조절을 통해 환자가 착용하는 벨트를 설정 높이만큼 선택적으로 들어올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기압 저장공간과 연통되면서 고압 에어가 선택적으로 출입되는 공기출입부를 갖는 에어밸런스 호이스트; 그리고, 설정된 장소로 에어밸런스 호이스트가 이동될 경우 도킹되면서 상기 고압 에어생성부에서 생성된 고압의 에어가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공기압 저장공간 내로 공급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거나 혹은, 상기 공기압 저장공간 내의 고압 에어를 배출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도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킹부는 상기 메인기기가 위치된 장소의 런웨이 레일에 인접하게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이동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압 에어생성부에서 생성된 고압의 에어를 전달받도록 연결된 연결관과,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외면 중 상기 연결관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의 끝단이 수용되는 수용홈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연결관의 끝단이 수용될 경우 관로가 개방되면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공기출입부를 상기 연결관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출입부가 형성하는 관로 혹은, 상기 연통부가 형성하는 관로 중 어느 한 부위에는 해당 관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관로 차단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로 차단부는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공기압 저장공간 내로의 고압 에어 제공시 상기 고압 에어의 압력에 의해 관로를 개방하도록 동작됨과 더불어 상기 고압 에어의 제공이 중단될 경우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관로를 폐쇄하도록 설치된 체크밸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는 고압 에어의 공급 혹은, 배출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피스톤 로드를 갖는 에어밸런스부와, 상단은 상기 런웨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에어밸런스부가 결합되는 이동부와, 상기 에어밸런스부의 피스톤 로드에 연동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저부 끝단은 환자에 착용되는 벨트에 연결된 인양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에어밸런스부는 상기 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는 에어호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를 이루는 에어밸런스부의 공기압 저장공간 내부에 저장된 고압 에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에어호스의 사용을 생략함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한 에어호스의 생략으로 인해 여러 명의 환자가 런웨이 레일을 따라 자유로운 방향으로의 동시 이동이 가능하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가 복수로 구비된다 하더라도 한 대의 메인기기로 모든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에 대한 부하 조절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는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에어밸런스부에 개폐막이 구비된 벤트관로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막은 조작 핸들의 수동 조작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고려할 때 환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에어밸런스부의 공기압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고압 에어를 일부 혹은, 전부 배출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평면에서 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중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를 이루는 에어밸런스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중 도킹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중 도킹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의 에어밸런스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평면에서 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중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를 이루는 에어밸런스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를 토대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이하, “보행재활장치”라 함)는 크게 런웨이 레일(100)과, 메인기기(200)와,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와, 도킹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런웨이 레일(100)은 보행 재활 치료를 위한 실내의 천장에 설치된 구조물이다.
상기한 런웨이 레일(100)은 좁은 공간 내에서 여러 환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트랙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각 부위를 가로지르는 교차로가 함께 구비된 구조로 형성되며, 이에 대한 일 예는 첨부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기기(200)는 상기 런웨이 레일(100)을 따라 이동되는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의 부하 조절 및 각종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메인기기(200)는 상기 보행 재활 치료를 위한 실내(예컨대, 병원의 재활실 등)의 어느 한 장소에 설치되며, 고압의 에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고압 에어생성부(210) 및 상기 고압 에어생성부(210)의 에어 제공량에 대한 조절을 위해 조작 가능하게 제공되는 조작부(2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압 에어생성부(210)는 통상의 컴프레셔로 구성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컴프레셔에 의해 생성된 고압 에어를 임시 저장하는 에어 저장통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는 공기압을 조절하여 환자를 설정 하중만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기기로써, 에어밸런스부(310)와, 이동부(320)와, 인양와이어(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밸런스부(310)는 내부에 공기압 저장공간(314)을 갖는 실린더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에는 고압 에어의 공급 혹은, 배출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피스톤(311) 및 피스톤 로드(312)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피스톤 로드(312)와 피스톤(311)은 볼스크류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피스톤(311)의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피스톤 로드(312)가 회전되면서 그의 외측 끝단에 구비된 풀리(317)에 감겨진 인양와이어(330)가 풀리거나 혹은, 추가로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됨을 그 예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에어밸런스부(310)에는 상기 공기압 저장공간(314)과 연통되면서 고압 에어가 선택적으로 출입되는 공기출입부(313)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출입부(313)는 상기 에어밸런스부(310)의 어느 한 벽면에 구비되는 관로이며, 상기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의 어느 한 측 끝단 부위 혹은, 양측 끝단 부위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320)는 상기 에어밸런스부(310)를 상기 런웨이 레일(100)에 설치하기 위한 부위이다.
상기한 이동부(320)의 상단은 상기 런웨이 레일(1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에어밸런스부(31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에어밸런스부(310)는 상기 이동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런웨이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환자가 자유롭게 방향 전환을 하거나 혹은, 몸을 틀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양와이어(330)는 상기 에어밸런스부(310)와 연동하면서 환자가 착용하는 벨트(340)를 선택적으로 인양하는 와이어로써, 일측 끝단은 상기 에어밸런스부(310)를 이루는 피스톤 로드(312)와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후크(331)로써 상기 환자가 착용하는 벨트(34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킹부(400)는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가 미리 설정된 특정 장소로 이동될 경우 도킹되면서 상기 고압 에어생성부(210)에서 생성된 고압의 에어가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의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로 공급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거나 혹은, 상기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의 고압 에어를 배출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기기(200)의 고압 에어생성부(210)와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 간을 에어호스로 항상 연결하는 구조가 아닌 필요시에만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의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에 제공받거나 혹은,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의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로부터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에어호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도킹부(400)는, 상기 메인기기(200)가 위치된 장소의 런웨이 레일(100)에 인접하게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의 이동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고압 에어생성부(210)에서 생성된 고압의 에어를 전달받도록 연결된 연결관(410)과,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10)의 외면 중 상기 연결관(410)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410)의 끝단이 수용되는 수용홈(421)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연결관(410)의 끝단이 수용될 경우 관로가 개방되면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의 공기출입부(313)를 상기 연결관(410)과 연통시키는 연통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통부(420)는 상기 에어밸런스부(310)의 공기출입부(313)와 단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공기출입부(313)가 상기 에어밸런스부(310)의 어느 한 측벽에 구비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연결관(410)과의 연결 방향 및 연결 구조의 단순화를 위해 상기 연통부(420)와 공기출입부(313)를 별도로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공기출입부(313)가 형성하는 관로 혹은, 상기 연통부(420)가 형성하는 관로 중 어느 한 부위에는 해당 관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관로 차단부(430)를 더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가 메인기기(200)로부터 이탈되어 런웨이 레일(100)을 따라 이동되는 도중 에어밸런스부(310)의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의 고압 에어가 원치않게 배출됨이 차단되도록 하여 고압 에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지 않더라도 환자가 착용한 벨트(340)를 항상 일정한 하중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관로 차단부(430)는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의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로의 고압 에어 제공시 상기 고압 에어의 압력에 의해 관로를 개방하도록 동작됨과 더불어 상기 고압 에어의 제공이 중단될 경우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관로를 폐쇄하도록 설치된 체크밸브로 구성됨을 그 예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재활장치 중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의 에어밸런스부(310)에는 상기 공기출입부(313)가 이루는 관로와 연통되는 별도의 벤트관로(315)가 더 형성되고, 상기 벤트관로(315)는 조작 핸들(350)의 수동 조작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에어밸런스부(310)의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에 저장된 고압 에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벤트관로(315)에는 개폐막(316)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막(316)은 상기 조작 핸들(350)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벤트관로(315)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재활장치를 이용한 보행 재활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최초, 보행재활장치를 이루는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는 메인기기(100)가 위치된 부위로 이동된 상태이며, 이때 도킹부(400)를 이루는 연결관(410) 및 연통부(420)는 서로 결합되면서 상기 메인기기(200)의 고압 에어생성부(210)에서 생성된 고압 에어를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를 이루는 에어밸런스부(310)의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에 저장하거나 혹은, 상기 에어밸런스부(310)의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에 저장된 고압 에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의 상태에서, 보행 재활 치료를 받고자 하는 환자는 벨트(340)를 착용한 후 상기 벨트(340)와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의 인양와이어(330)를 후크(331)로써 연결한 후 조작부(220)를 조작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정 부하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적정 부하라 함은 해당 환자의 체중과 재활 치료 단계를 고려한 부하를 의미한다. 예컨대, 재활치료를 처음 시작할 경우 환자의 발이 지면에 닿은 상태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되 해당 환자의 체중은 보행재활장치가 모두 지탱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재활치료에 의해 환자의 상태가 점차 호전될 경우 상기 환자 체중의 일부는 해당 환자가 지탱하도록 보행재활장치가 제공하는 부하를 점차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20)를 통한 적정 부하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메인기기(200)는 고압 에어생성부(210)를 동작시켜 고압 에어를 생성함과 더불어 이렇게 생성된 고압 에어를 상기 입력된 부하에 따라 에어밸런스부(310)의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에 추가로 저장하거나 혹은, 일부 배출함으로써 상기 입력된 적정 부하에 맞게 인양와이어(330)의 승강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와 같다.
그리고, 상기한 인양와이어(330)의 승강 높이에 대한 조절이 완료되면 도킹부(400)를 이루는 연결관(410) 및 연통부(420)를 서로 분리한다.
이때, 상기 연통부(420)가 형성하는 관로 혹은, 에어밸런스부(310)의 공기출입부(313)가 형성하는 관로 중 어느 한 부위에 구비된 관로 차단부(430)는 해당 관로를 차단하도록 동작됨으로써, 상기 관로를 통한 에어밸런스부(310) 내의 고압 에어가 원치않게 배출됨이 방지된다. 이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는 계속적인 에어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에어밸런스부(310)의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부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해당 환자는 런웨이 레일(100)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보행 재활치료를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술된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의 구조 및 작용으로 인해 에어호스가 제거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런웨이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 에어호스의 꼬임이나 엉킴 등이 발생될 우려가 전혀 없으며, 여러 명의 환자가 상기 런웨이 레일(100)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한편, 전술된 보행재활 치료 도중 해당 환자가 힘에 겨워함에 따른 휴식을 취하거나 혹은, 재활 치료가 완료될 경우 환자(혹은, 보호자)는 조작 핸들(350)을 조작하여 에어밸런스부(310) 내의 공기압이 외부로 강제 배출되도록 한다.
즉, 조작 핸들(350)의 조작에 의해 개폐막(316)이 동작되면서 벤트관로(315)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러한 벤트관로(315)의 개방에 의해 에어밸런스(310)의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에 저장된 고압 에어는 상기 벤트관로(315)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해당 환자는 자유로운 상태를 이루게 되고, 벨트(340)와 인양와이어(330) 간의 연결 해제가 가능하다.
물론, 상기 조작 핸들(350)의 조작을 통해 상기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의 일부 고압 에어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환자가 메인기기(200)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스스로의 의지에 따라 지탱 체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는 에어호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를 이루는 에어밸런스부(310)의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부에 저장된 고압 에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에어호스의 사용을 생략함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상기한 에어호스의 생략으로 인해 여러 명의 환자가 런웨이 레일(100)을 따라 자유로운 방향으로의 동시 이동이 가능하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가 복수로 구비된다 하더라도 한 대(혹은, 두 대)의 메인기기(100)로 모든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에 대한 부하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는 에어밸런스 호이스트(300)의 에어밸런스부(310)에 개폐막(316)이 구비된 벤트관로(315)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막(316)은 조작 핸들(350)의 수동 조작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고려할 때 환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에어밸런스부(310)의 공기압 저장공간(314) 내에 저장된 고압 에어를 일부 혹은, 전부 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0. 런웨이 레일 200. 메인기기
210. 고압 에어생성부 220. 조작부
300. 에어밸런스 호이스트 310. 에어밸런스부
311. 피스톤 312. 피스톤로드
313. 공기출입부 314. 공기압 저장공간
315. 벤트관로 316. 개폐막
320. 이동부 330. 인양와이어
331. 후크 340. 벨트
350. 조작 핸들 400. 도킹부
410. 연결관 420. 연통부
421. 수용홈 430. 관로 차단부

Claims (6)

  1. 보행 재활 치료를 위한 실내의 천장에 설치된 런웨이 레일;
    상기 보행 재활 치료를 위한 실내의 어느 한 장소에 설치되며, 고압의 에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고압 에어생성부 및 상기 고압 에어생성부의 에어 제공량에 대한 조절을 위해 조작 가능하게 제공되는 조작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메인기기;
    상기 런웨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공기압 저장공간 내의 공기압 조절을 통해 환자가 착용하는 벨트를 설정 높이만큼 선택적으로 들어올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기압 저장공간과 연통되면서 고압 에어가 선택적으로 출입되는 공기출입부를 갖는 에어밸런스 호이스트; 그리고,
    설정된 장소로 에어밸런스 호이스트가 이동될 경우 도킹되면서 상기 고압 에어생성부에서 생성된 고압의 에어가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공기압 저장공간 내로 공급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거나 혹은, 상기 공기압 저장공간 내의 고압 에어를 배출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도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상기 메인기기가 위치된 장소의 런웨이 레일에 인접하게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이동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압 에어생성부에서 생성된 고압의 에어를 전달받도록 연결된 연결관과,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외면 중 상기 연결관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의 끝단이 수용되는 수용홈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연결관의 끝단이 수용될 경우 관로가 개방되면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공기출입부를 상기 연결관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출입부가 형성하는 관로 혹은, 상기 연통부가 형성하는 관로 중 어느 한 부위에는 해당 관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관로 차단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차단부는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공기압 저장공간 내로의 고압 에어 제공시 상기 고압 에어의 압력에 의해 관로를 개방하도록 동작됨과 더불어 상기 고압 에어의 제공이 중단될 경우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관로를 폐쇄하도록 설치된 체크밸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는
    고압 에어의 공급 혹은, 배출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피스톤 로드를 갖는 에어밸런스부와,
    상단은 상기 런웨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에어밸런스부가 결합되는 이동부와,
    상기 에어밸런스부의 피스톤 로드에 연동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저부 끝단은 환자에 착용되는 벨트에 연결된 인양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에어밸런스부는 상기 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KR1020130085378A 2013-07-19 2013-07-19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KR101528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378A KR101528638B1 (ko) 2013-07-19 2013-07-19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378A KR101528638B1 (ko) 2013-07-19 2013-07-19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395A true KR20150010395A (ko) 2015-01-28
KR101528638B1 KR101528638B1 (ko) 2015-06-17

Family

ID=5248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378A KR101528638B1 (ko) 2013-07-19 2013-07-19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6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267B1 (ko) 2019-04-25 2020-10-20 (주)젬텍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KR20220086914A (ko)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레일형 재활 시스템 및 전기자극용 재활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270B1 (ko) 2015-08-21 2017-09-19 (주)젬텍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349B2 (ja) * 1986-11-14 1995-03-01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エアホイストの制御装置
KR100402110B1 (ko) * 2001-09-12 2003-10-17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에어밸런싱 호이스트의 안전장치
JP2003126193A (ja) * 2001-10-22 2003-05-07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歩行支援機器
KR101008051B1 (ko) * 2010-06-09 2011-01-13 주식회사 동성산기 하지 재활치료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267B1 (ko) 2019-04-25 2020-10-20 (주)젬텍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KR20220086914A (ko)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레일형 재활 시스템 및 전기자극용 재활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638B1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000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ody weight support system
US1177979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ody weight support system
KR101528638B1 (ko)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JP7088909B2 (ja) 体重支持システム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7708641A (zh) 坐式步行康复机器人
US11883347B2 (en) Fall arresting lift machine
US10182960B2 (en) Sensory upright chair for applying deep touch pressure and method of use
US9987181B2 (en) Portable elevating seat
CN107029382B (zh) 气动减重训练器及气动减重训练系统
ES2239679T3 (es) Dispositivo de adelgazamiento.
US11925596B2 (en) System for rehabilitating the walk and weight supporting device for such
KR101047981B1 (ko) 헬스 기구
KR20150053505A (ko) 좌식 운동치료 장치
KR101703428B1 (ko) 심폐소생술 보조장치
CN205460668U (zh) 气动减重训练器及气动减重训练系统
KR101677088B1 (ko) 운동장치
KR101008051B1 (ko) 하지 재활치료 장치
KR101776270B1 (ko)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TWI624255B (zh) Stroke treatment robot
JPH07284512A (ja) 療養用体重調整装置
CN204601478U (zh) 可调节锻炼强度的病人悬吊装置
CA2206822A1 (en) Improved walking frame
CN207980316U (zh) 呼吸功能锻炼仪
CN116869723A (zh) 一种心脏起搏器植入的术后制动护理装置
CN211935082U (zh) 一种临床内科用呼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