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035A -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035A
KR20150010035A KR20130084269A KR20130084269A KR20150010035A KR 20150010035 A KR20150010035 A KR 20150010035A KR 20130084269 A KR20130084269 A KR 20130084269A KR 20130084269 A KR20130084269 A KR 20130084269A KR 20150010035 A KR20150010035 A KR 20150010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repeater
location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구
강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Priority to KR2013008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0035A/ko
Publication of KR20150010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중계기를 이용하여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와 연관된 단말기 정보를 중계기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정보 및 중계기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와 연관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Repeater receiving position and movement information of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률이 증가되고, 사용자의 용도와 통화 품질에 대한 욕구가 증가됨에 따라 이를 해소하기 위해 중계기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다. 중계기는 기지국과 단말기를 중간에서 연결하여, 기지국의 전파를 더 정확하고 더 멀리 송신하기 위한 장비이다.
한편, 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도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와 결합하여 운용되고 있으며 실외 환경에서는 정확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을 정도로 위치 정보의 정확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실내 및 지하철 환경에서는 위성항법장치(GPS)의 신호가 전파되지 않아 실내 및 지하철 환경에서의 위치기반서비스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하여 Wi-Fi, Zigbee,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시스템으로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으나 이는 추가적인 장비 설치 및 시스템 기반 구축이 이루어져야 하며 실내 및 지하철 등 지정된 공간에서의 추가 설치의 번잡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중계기를 이용하여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와 연관된 단말기 정보를 중계기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정보 및 중계기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와 연관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중계기는 RFID 리더 및 Wi-Fi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를 중계기가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RFID 리더 및 상기 Wi-Fi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정보를 중계기가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RFID 리더 및 상기 Wi-Fi 모듈 각각이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RFID 리더가 처리한 정보 및 상기 Wi-Fi 모듈이 처리한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의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센서에서 센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각속도계 센서, 가속도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가 사고 발생 지역에 있고, 상기 단말기가 기설정된 시간 내 이동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사망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 정보는 상기 중계기의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중계기가 설치된 건물의 특정 층과 연관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3세대 이동통신(3G),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Wi-Fi 통신망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다른 단말기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는 안테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하는 하향 신호 중계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상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 신호 중계부, 및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단말기 정보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향 신호를 수신하는 수직 편파 방사 소자,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원 편파 방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정보 수신부는 RFID 리더 및 Wi-Fi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마다 설치되며,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신호를 수신하여 원격 분배 유닛으로 송신하는 마스터 허브 유닛(Master Hub Unit; MHU), 및 상기 건물의 각 층마다 설치되며, 상기 마스터 허브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하향 신호를 증폭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분배 유닛(Remote Unit; RU)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 분배 유닛은 상기 증폭한 하향 신호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안테나, 및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단말기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중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추가적인 장비 설치 및 시스템 기반 구축 없이 실내 및 지하철 환경에서의 위치기반서비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기의 이동 정보를 중계기가 추가로 수신하고,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와 연관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중계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중계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서비스 안테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계기 시스템(1)은 중계기(100), 기지국(200), 단말기(300) 및 네트워크 시스템(4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단말기(300)로 하향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기(300)는 기지국(200)으로 상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향 신호 및 하향 신호는 통신 과정에서 약해질 수 있다.
중계기(100)는 단말기 정보 수신부(110) 및 서비스 안테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100)는 기지국(200)이 송신한 하향 신호를 증폭하여 서비스 안테나(120)를 통해 단말기(300)로 송신하고, 단말기(300)가 송신한 상향 신호를 증폭하여 기지국(2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 정보 수신부(110)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 Wi-Fi 모듈 또는 RFID 리더 및 Wi-Fi 모듈의 조합일 수 있다.
단말기 정보 수신부(110)는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 및 단말기(300)의 센서(310)에서 감지된 단말기(300)의 이동 정보를 서비스 안테나(1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안테나(120)는 이동통신 안테나, RFID 리더 안테나 및 Wi-Fi 안테나의 기능이 통합된 안테나일 수 있다.
단말기(300)는 이동 전화기(cellular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그 외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단말기(300)는 센서(310) 및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서(310)는 각속도계 센서, 가속도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310)는 단말기(300)의 이동 정보, 예컨대 속도, 가속도, 각속도 및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RFID 태그(320)는 능동형(active)일 수 있다. 즉 RFID 리더기(110)가 RFID 태그(320)를 독출할 때, RFID 태그(320)가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능동형 RFID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300)는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를 RFID 태그(320)를 통해 중계기(100)로 전송하거나, Wi-Fi를 통해 중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중계기(100)는 단말기 정보 및 중계기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중계기 정보를 네트워크 시스템(4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400)은 단말기 정보 및 중계기 정보에 따라 단말기(300)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검출하여 저장하고, 단말기(300)의 위치 및 이동 정보와 연관된 피드백 정보를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중계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중계기(100a)는 서비스 안테나(120), 마스터 허브 유닛(Master Hub Unit; MHU, 130) 및 단말기 정보 수신부(110)를 포함하는 원격 분배 유닛(Remote Unit; RU, 14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안테나(120)는 각 원격 분배 유닛(140)마다 설치될 수 있다. 서비스 안테나(120)는 단말기(300)로부터 단말기 정보 및 상향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어 증폭된 하향 신호를 단말기(300)로 송신한다. 단말기 정보는 RFID 신호 또는 Wi-Fi 신호일 수 있다.
마스터 허브 유닛(130)은 건물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기지국(200)과 동축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신호 전달할 수 있다. 마스터 허브 유닛(130) 및 기지국(200)은 특정 대역, 예를 들면, 800MHz 대역에서 확산대역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이동통신방식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또는 고속 무선데이터 패킷 통신 규격인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마스터 허브 유닛(101)은 기지국 인터페이스(131),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133), 하단 인터페이스(135) 및 LAN(Local Area Network) 모듈(137)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인터페이스(131)는 기지국(200)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33) 사이에서 인터페이싱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33)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한 하향 신호 및 원격 분배 유닛(140)으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정보, 중계기 정보 및 상향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33)는 각 신호를 필터링하고, 이득(gain)을 조절하며, 각 신호가 전달될 패스를 설정할 수 있다.
하단 인터페이스(135)는 원격 분배 유닛(140)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33) 사이에서 인터페이싱을 수행할 수 있다.
LAN 모듈(137)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33)에서 처리된 단말기 정보 및 중계기 정보를 네트워크 시스템(4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원격 분배 유닛(140)은 음영 지역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 분배 유닛(140)은 건물의 각 층마다 설치될 수 있다.
원격 분배 유닛(140)은 단말기 정보 수신부(110), 상단 인터페이스(141), 하향신호 중계부(143), 멀티플렉서(145) 및 상향신호 중계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인터페이스(141)는 마스터 허브 유닛(130)으로부터 수신한 하향 신호를 하향신호 중계부(143)로 전달할 수 있다.
하향신호 중계부(143)는 하향 신호를 증폭하여 멀티플렉서(145)로 송신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145)는 이동통신 신호 패스, Wi-Fi 신호 패스 및 RFID 신호 패스를 하나의 포트로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멀티플렉서(145)는 각 주파수에 대한 다중 결합기(Diplexer)를 복수 개 결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멀티플렉서(145)는 증폭된 하향 신호를 서비스 안테나(120)를 통해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145)는 서비스 안테나(120)로부터 서비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신호는 상향 신호 및 단말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145)는 서비스 신호에서 이동통신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 및 RFID 또는 Wi-Fi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여 각각 상향신호 중계부(147) 및 단말기 정보 수신부(110)로 송신할 수 있다.
상향신호 중계부(147)는 멀티플렉서(145)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모듈레이션하여 상향 신호를 추출하고, 상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단 인터페이스(141)를 통해 마스터 허브 유닛(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 정보 수신부(110)는 RFID 리더(111), Wi-Fi 모듈(113) 및 선택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RFID 리더(111)는 멀티플렉서(145)로부터 수신한 RFID 대역의 RFID 신호를 독출할 수 있다.
Wi-Fi 모듈(113)은 멀티플렉서(145)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모듈레이션하여 Wi-Fi 신호를 독출할 수 있다.
RFID 신호 또는 Wi-Fi 신호는 단말기 정보, 즉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300)가 능동형 RFID 태그를 포함하는 경우, 서비스 신호에는 RFID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기(300)의 Wi-Fi 기능이 켜져 있는 경우, 서비스 신호에는 Wi-Fi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부(115)는 서비스 신호에 RFID 신호 및 Wi-Fi 신호 중 하나가 포함되는 경우, 포함된 신호의 단말기 정보를 독출하여 상단 인터페이스(141)로 출력할 수 있다.
선택부(115)는 서비스 신호에 RFID 신호 및 Wi-Fi 신호가 포함되는 경우, RFID 신호 및 Wi-Fi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단말기 정보를 독출하고 상단 인터페이스(141)를 통해 마스터 허브 유닛(130)으로 출력할 수 있다.
Wi-Fi 모듈(113)은 상술한 기능 외에도 스마트폰, 노트북, 게임기, 프린터, TV 등의 단말과 원격 분배 유닛(140) 간의 일반적인 Wi-Fi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단 인터페이스(141)는 증폭된 상향 신호, 단말기 정보 및 원격 분배 유닛(140)의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정보를 마스터 허브 유닛(130)을 통해 네트워크 시스템(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중계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의 중계기(100b)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대부분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3의 중계기(100b)는 도너 안테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너 안테나(150)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33)에서 처리된 상향 신호를 기지국 인터페이스(131)를 통해 기지국(200)으로 전송하고, 기지국(200)으로부터 하향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 인터페이스(131)를 통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33)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400)은 라우터(410), 네트워크(420) 및 서버(43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우터(410)는 중계기(100)로부터 제1 단말기(300a)에 관한 단말기 정보 및 중계기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420)를 통해 서버(43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430)는 라우터(41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제1 단말기(300a)의 실시간 위치 및 이동 정보를 검출하여 저장하고, 제1 단말기(300a)의 위치 및 이동 정보와 연관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드백 정보는 중계기(100)가 설치된 건물의 특정 층과 연관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400)은 중계기(100) 또는 별도의 이동통신망(500)을 통해 제1 단말기(300a)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400)은 중계기(100), 상기 중계기(100)와 별도의 중계기 또는 이동통신망(500)을 통해 제2 단말기(300b)로 제1 단말기(300a)와 연관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500)은 예컨대 3세대 이동통신(3G),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Wi-Fi 통신망 중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시스템(400)과 단말기(300) 간에 중계기(100) 또는 이동통신망(500)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재난 사고 발생 또는 예기치 못한 원인에 따라 중계기(100) 및 이동통신망(500) 중 하나의 동작이 원활하지 않더라도, 네트워크 시스템(400)과 단말기(300) 간에 통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5는 도 1의 서비스 안테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안테나(120)는 수직 편파(vertical polarization) 방사 소자(121) 및 원 편파(circular polarization) 방사 소자(12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편파 방사 소자(121)는 이동통신용 동작 주파수를 가지고, 단말기(300)의 상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직 편파 방사 소자(121)는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구조로 구현되어 광대역 방사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원 편파 방사 소자(123)는 RFID용 동작 주파수를 가지고, 단말기(300)의 단말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원 편파는 복사된 전자파의 진행 방향에 대한 직각인 단면 내에서 주기적으로 회전하는 편파이다. 크기가 같고 위상이 90도 다른 수평 편파와 수직 편파를 조합시키면 그 합성 벡터가 원을 그려 원 편파가 발생한다.
동일 주파수를 갖는 4개의 방사소자 입력단의 위상을 전송선로에서 각각 90도 위상차가 나도록 전송 선로의 길이를 조절하여, 원 편파 방사 소자(123)를 구현할 수 있다.
수직 편파 방사 소자(121) 및 원 편파 방사 소자(123)를 이용하여 서비스 안테나(120)를 하나의 통합 안테나로 구현함으로써, 서비스 안테나(120)의 소형화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중계기(100)는 단말기(300)의 위치 및 이동 정보와 연관된 단말기 정보를 수신한다(S11).
중계기(100)는 단말기 정보 및 중계기 정보를 네트워크 시스템(400)으로 전송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 시스템(400)은 단말기 정보 및 중계기 정보에 따라 단말기(300)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검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S13).
네트워크 시스템(400)은 단말기(300)의 위치 및 이동 정보와 연관된 피드백 정보를 단말기(300) 또는 다른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S15).
다른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시스템(400)을 이용하지 않고, 중계기(100)가 단말기 정보 및 중계기 정보에 따라 단말기(300)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검출하여 저장한 후, 단말기(300)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400)의 서버(430)는 단말기(300)의 위치가 사고 발생 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
단말기(300)가 사고 발생 지역에 있으면, 서버(430)는 단말기(300)의 위치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
단말기(300)의 위치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이동하지 않으면, 서버(430)는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사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S25).
단말기(300)의 위치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이동하면, 서버(430)는 단말기(30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지 판단한다(S27).
단말기(300)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하면, 서버(430)는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부상당하였다고 판단하고, 단말기(300)의 이동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부상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S29).
단말기(300)가 사고 발생 지역에 있지 않거나, 단말기(300)가 기설정된 범위 이상 이동하면, 서버(430)는 단말기(300)의 사용자에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S31).
서버(430)는 단말기(300)의 사용자의 사망 및 부상 여부를 다른 단말기, 예컨대 소방서로 알릴 수 있다. 서버(430)는 복수의 단말기(300)의 사용자의 사망 및 부상 여부, 사용자의 부상 정도에 따라, 각 단말기(300)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부상자의 구조 계획을 수립하고,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S33).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서버(430)는 단말기(300)가 위치한 건물의 각 층마다, 다른 단말기 사용자들의 위치 및 이동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S41)
서버(430)는 검출한 다른 단말기 사용자들의 위치 및 이동 방향에 따라, 건물 내 최적의 이동 경로를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S43).
예컨대 서버(430)는 쇼핑몰, 마트, 백화점 또는 전시장에서 가장 사람들이 많이 찾는 구역을 단말기(300)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는 서버(430)는 놀이동산에서 각 놀이기구의 대기 시간을 분석하여, 단말기(300) 사용자에게 최적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추가적인 장비 설치 및 시스템 기반 구축 없이 실내 및 지하철 환경에서의 위치기반서비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기의 이동 정보를 중계기가 추가로 수신하고,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와 연관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중계기 시스템 100: 중계기
200: 기지국 300: 단말기
400: 네트워크 시스템

Claims (14)

  1. 이동통신 중계기를 이용하여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와 연관된 단말기 정보를 중계기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정보 및 중계기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와 연관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RFID 리더 및 Wi-Fi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를 중계기가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RFID 리더 및 상기 Wi-Fi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정보를 중계기가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RFID 리더 및 상기 Wi-Fi 모듈 각각이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RFID 리더가 처리한 정보 및 상기 Wi-Fi 모듈이 처리한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계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중계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각속도계 센서, 가속도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가 사고 발생 지역에 있고, 상기 단말기가 기설정된 시간 내 이동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사망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정보는
    상기 중계기의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중계기가 설치된 건물의 특정 층과 연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3세대 이동통신(3G),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Wi-Fi 통신망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다른 단말기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11. 안테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하는 하향 신호 중계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상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 신호 중계부; 및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단말기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중계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향 신호를 수신하는 수직 편파 방사 소자;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원 편파 방사 소자를 포함하는 중계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정보 수신부는
    RFID 리더 및 Wi-Fi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중계기.
  14. 건물마다 설치되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하향 신호를 원격 분배 유닛으로 송신하는 마스터 허브 유닛(Master Hub Unit; MHU); 및
    상기 건물의 각 층마다 설치되며, 상기 마스터 허브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하향 신호를 증폭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분배 유닛(Remote Unit; RU)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 분배 유닛은
    상기 증폭한 하향 신호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안테나; 및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단말기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중계기.
KR20130084269A 2013-07-17 2013-07-17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KR20150010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269A KR20150010035A (ko) 2013-07-17 2013-07-17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269A KR20150010035A (ko) 2013-07-17 2013-07-17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035A true KR20150010035A (ko) 2015-01-28

Family

ID=5248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4269A KR20150010035A (ko) 2013-07-17 2013-07-17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00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1533B (zh) 用于多模式系统中频谱共享的方法以及相关设备
JP2023040297A (ja) 集中型データ通信に関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357353B2 (en) Positioning
Zorn et al. A novel technique for mobile phone localization for search and rescue applications
CN101622891B (zh) 用户平面上行链路到达时间差(u-tdoa)
US20180294846A1 (en) Multi-input and multi-output satellite service terminal
CN107734454A (zh) 使用来自无线局域网的信号确定用户设备位置的装置
RU2011100785A (ru) Мобильные устройства с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ью фемтосоты
US99443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using a self-positionable wireless device
WO2017101880A1 (zh) 一种大覆盖面积下的室内定位方法及系统
EP2920899B1 (en) A relay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5452896A (zh) 飞行时间响应器
CN106332272B (zh) 定位的方法及设备
WO2015196696A1 (zh) 时钟同步方法、射频拉远单元、基带处理单元及基站
KR20170071352A (ko) 위성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긴급통신시스템
KR101814606B1 (ko)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69928A (ko) 실내 측위 시스템 및 방법
US97531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50010035A (ko)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JP5087045B2 (ja) ワンセグ放送システム、中継装置、チャネルリスト配信サーバおよび受信方法
RU2292646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ети мобильной коммуникации
EP2709420A1 (en) Mobile router
US201701503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00260367A1 (en) Device and method for analyzing service availa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99982B1 (ko) 다양한 위치 식별 이동단말 및 그 동작 방법, 이동단말의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