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8692A -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구비하는 실내용 미모 안테나를 포함하는 실내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구비하는 실내용 미모 안테나를 포함하는 실내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8692A
KR20150008692A KR20130082961A KR20130082961A KR20150008692A KR 20150008692 A KR20150008692 A KR 20150008692A KR 20130082961 A KR20130082961 A KR 20130082961A KR 20130082961 A KR20130082961 A KR 20130082961A KR 20150008692 A KR20150008692 A KR 20150008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brid
antenna
signal
hybrid coupler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2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텔
Priority to KR20130082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8692A/ko
Publication of KR2015000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커플러(hybrid coupler)를 구비하는 실내용 미모(MIMO; Multi-Input Multi-Output)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미모 안테나에 포함된 안테나들 별로 각각 필요한 신호 케이블의 수를 줄여 실내 안테나 설치의 공간적 제약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미모 안테나는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하이브리드 커플러 및 신호 케이블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안테나는 각각 신호를 송수신한다.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제1 및 제2 안테나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 케이블은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로 보낼 신호를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에 전달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통하여 전달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구비하는 실내용 미모 안테나{An indoor MIMO Antenna comprising hybrid coupler}
본 발명은 미모(MIMO; Multi-Input Multi-Output)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모 안테나에 포함된 안테나들 별로 각각 필요한 신호 케이블의 수를 줄일 수 있는 하이브리드 커플러(hybrid coupler)를 구비하는 실내용 미모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십년 동안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요구는 꾸준히 증가해왔다. 그리고 이 기간 동안에 셀룰러 및 무선 LAN(WLAN) 통신 시스템의 분야에서 몇몇의 기술상의 급격한 발전이 있었다. 아날로그 셀룰러 전화기는, 예컨대 GSM 및 CDMA 기술을 사용하는 디지털 핸드셋(digital handset)으로 대체되었으며, UMTS와 같은 제3 세대 시스템이 현재 도입되고 있다. 또한 하이퍼랜(HyperLan)과 IEEE 802.11b와 같은 WLAN 기술 또한 도입되고 있다.
한편 통신 서비스 이용의 요구에 따라 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데이터 트래픽이 무선 네트워크의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통신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 적절한 데이터 트래픽 처리를 위하여 네트워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또한 네트웍 용량의 증가에 대한 필요성뿐만 아니라,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비용과 전력 소모를 낮게 유지하고자 하는 일반적인 요구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여전히 적정한 무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면서 기지국 및 사용자 단말기 장치를 위한 비용을 가능한 낮추어야 한다.
성능과 관련된 한 가지 문제점은 다중 경로 페이딩(multipath fading)의 문제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는 혼잡 환경에 위치한다. 이는 이러한 환경 내의 빌딩, 가구 또는 다른 물체들로부터의 반사 및 회절로 인한 산란 때문에 통신 신호가 다수의 경로를 통해 그러한 기지국이나 사용자 단말기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입사되는 산란 신호는 서로 다른 컴포넌트들의 상대적인 진폭 및 위상에 따라 보강되거나 상쇄될 수 있다. 이는 환경내의 기지국, 사용자 단말기 및 다른 물체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기지국이나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수신 신호의 크기가 상당히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에 다중 경로 페이딩을 다루는 한 가지 방법은 송신 또는 수신 안테나 다이버시티(antenna diversity)를 이용하는 것이었다. 즉 종래 방법은 다중의 안테나를 이용하면서 페이딩되지 않는 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또한 종래 방법으로서 MIMO(Multi-Input Multi-Output) 방식이 있다. MIMO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이 달성될 수 있어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무선 링크의 용량이 종래의 시스템에 비하여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상술한 장치들은 다수의 안테나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장치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공간적 제약과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고, 설치 후 관리의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실내용 미모 안테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설치된 안테나 이외에 다른 안테나를 추가적으로 더 설치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전술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977082호(2010.08.13.)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실내용 미모 안테나에 복수의 안테나를 함께 설치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복수의 안테나 별로 신호 케이블을 연결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기존에 실내용 안테나에 연결된 신호 케이블 이외에 다른 신호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설치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 케이블의 추가 없이 기존에 설치된 신호 케이블을 이용하여 실내용 미모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구비하는 실내용 미모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하이브리드 커플러 및 신호 케이블을 포함하는 실내용 미모 안테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 케이블은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로 보낼 신호를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에 전달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통하여 전달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미모(MIMO)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상기 신호 케이블에 연결되는 제21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와, 오픈 상태로 배치되는 제22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와, 상기 제21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 및 제22 하이브리드 포트에 연결되는 제2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 및 상기 제21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 및 제22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에 연결되는 제2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미모(MIMO)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제2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제2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미모(MIMO)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직교 커플러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미모(MIMO)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는 하나가 수직 편파 안테나이고, 다른 하나가 수평 편파 안테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미모 안테나는 내장된 두 개의 안테나가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매개로 연결되기 때문에, 신호 케이블의 추가 없이 하나의 신호 케이블을 이용하여 실내용 미모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즉 기존 실내용 안테나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미모 안테나로의 대체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송수신 장치와 실내용 미모 안테나에 포함된 안테나들 간의 케이블의 수를 줄임으로써, 실내 안테나 설치의 공간적 제약을 저감할 수 있으며, 시스템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미모 안테나를 포함한 실내 안테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미모 안테나를 포함한 실내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미모 안테나를 포함한 실내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장치의 일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미모 안테나를 포함한 실내 안테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내 안테나 시스템(10)은 신호 송수신 장치(20),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 실내용 미모 안테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내용 미모 안테나(30)는 신호 케이블(150),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 제1 안테나(31) 및 제2 안테나(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안테나 시스템(10)은 신호 송수신 장치(20)가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즉 신호 송수신 장치(20)는 다중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다중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안테나 시스템(10)은 특별한 통신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MIMO 무선 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신호 송수신 장치(20)에서 처리되는 신호는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 및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에 의하여 신호들의 믹싱(Mixing)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상호 간에 신호가 간섭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안테나 시스템(10)은 신호 케이블(150),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 제1 안테나(31) 및 제2 안테나(32)가 일체로 형성된 실내용 미모 안테나(10)를 포함한다. 물론 신호 케이블(150)은 실내용 미모 안테나(10)에서 인출되어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에 연결된다.
신호 송수신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와 신호 케이블(150),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를 통하여 제1 안테나(31) 및 제2 안테나(32)를 통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신호 송수신 장치(20)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들을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와 신호 케이블(150),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를 통하여 제1 안테나(31) 및 제2 안테나(32)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20)는 타겟된 통신 방식에 따라 출력 신호의 암호화와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수신 장치(20)는 제1 안테나(31) 및 제2 안테나(3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한 수신 신호를 신호 케이블(150),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를 통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신호 송수신 장치(20)는 수신된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송수신 장치(20)는 장치의 특성에 따라 하나의 신호만을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다중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신호 송수신 장치(20)는 MIMO 무선 통신 시스템 지원을 위하여 예컨대 제1 신호 처리 장치(21) 및 제2 신호 처리 장치(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신호 처리 장치(21) 및 제2 신호 처리 장치(22) 각각은 하나의 신호 출력과 수신을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1 신호 처리 장치(21)는 하나의 신호 출력과 수신을 처리하도록 구현되고 제2 신호 처리 장치(22)는 신호의 수신 처리만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는 제1 신호 처리 장치(21) 및 제2 신호 처리 장치(22) 각각에 연결되는 2개의 제1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들(111, 112)을 포함한다. 또한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는 2개의 제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들(121, 1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들(111, 112) 및 제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들(121, 122)은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측면에서 각각 다르게 지정될 수 있다. 즉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에서 제1 신호 처리 장치(21) 및 제2 신호 처리 장치(22)에 연결되는 포트는 입력 포트로서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신호 수신 시 안테나들이 수신한 신호를 제1 신호 처리 장치(21) 및 제2 신호 처리 장치(22)에 전달하는 출력 포트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의 제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들(121, 122) 중 하나에는 신호 케이블(150)이 연결된다. 그리고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의 제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들(121, 122) 중 다른 하나는 오픈(Open)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제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들(121, 122) 중 제1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121)가 신호 케이블(150)에 연결되며, 제1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122)가 오픈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는 신호 송수신 장치(20)의 출력단에 직접적으로 배치된다.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는 90도 3dB 커플러 또는 직교 커플러이다. 이에 따라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는 90도 위상 변화를 가지며 전달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내 안테나 시스템(10)은 근거리-원거리 문제(near-far problem)를 해결할 수 있다.
신호 케이블(150)은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와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와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신호 케이블(150)은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의 신호를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에 전달하며,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의 신호를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신호 케이블(150)은 제1 및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100, 200)에 연결되기 위하여 끝단이 일정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케이블(150)은 신호의 전달을 위하여 적절한 금속 재질 예컨대 동축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신호 케이블(150)은 광 케이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신호 케이블(150)은 신호 송수신 장치(20)와 안테나들(31, 32)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100, 200)을 연결하기 위하여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는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와 유사 또는 동일한 커플러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는 오픈(Open) 상태로 배치되는 제21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211)를 포함한다. 또한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는 제1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121)와 연결되는 제22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212)를 포함한다. 한편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는 제1 및 제2 안테나(31, 32)에 연결되는 제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들(221, 222)을 포함한다.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 역시 90도 3dB 커플러 또는 직교 커플러로 구성될 수 있다. 직교 커플러 형태의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는 전달되는 신호를 90도 위상 변이시켜 전달한다.
제1 안테나(31)는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의 제2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221)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안테나(31)는 제2 안테나(32)와 물리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안테나(32)는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의 제2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222)와 연결된다. 예컨대 제1 및 제2 안테나(31,32)는 하나가 수직 편파 안테나이고, 다른 하나가 수평 편파 안테나일 수 있다.
이때 신호 케이블(150),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 제1 안테나(31) 및 제2 안테나(32)는 실내용 미모 안테나(30)를 구성한다. 예컨대 제1 안테나(31) 및 제2 안테나(32)가 인쇄회로기판 또는 반사판 상에 구현되는 경우,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는 인쇄회로기판 또는 반사판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와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를 기반으로 2개의 안테나(31, 32)가 배치되는 구조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경우에 따라서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에 하나의 안테나만이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안테나(31) 및 제2 안테나(32)가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의 하나의 출력 포트에만 연결되는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안테나들(31, 32)의 배치는 실질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안테나 시스템(10)이 타겟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20)의 요구에 따라 다양화될 수 있다. 즉 다중 페이딩 경로에 따른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신호 수신을 위해서 제1 안테나(31) 및 제2 안테나(32)가 하나의 제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스트림만을 처리하도록 신호 송수신 장치(20)가 설계되는 경우 제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 중 하나에 하나의 안테나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4개의 스트림을 처리하도록 신호 송수신 장치(20)가 설계되는 경우 제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들(221, 222) 모두가 각각 제1 안테나(31) 및 제2 안테나(3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미모 안테나(30)를 포함한 실내 안테나 시스템(100)의 신호 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안테나 시스템(10)은 먼저 제1 신호 처리 장치(21)에서 제1 신호(A)가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의 제11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111)에 전달된다. 그리고 제2 신호 처리 장치(22)의 제2 신호(B)는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의 제12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112)에 전달된다.
제1 신호(A)는 제11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111)에서 분기되며 제1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121)와 제1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122)에 각각 전달된다. 제1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122)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제1 신호(A)는 90도 위상 변이된다. 그리고 제2 신호(B)는 제12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112)에서 분기되며 제1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121)와 제1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122)에 각각 전달된다. 제1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121)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제2 신호(B)는 90도 위상 변이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122)는 오픈 상태이다. 결과적으로 신호 케이블(150)을 통하여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에 전달되는 신호는 위상 변이 없는 제1 신호(A)와 위상 변이가 발생하는 제2 신호(B)이다. 여기서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를 통과하는 신호는 3dB 진폭 감소가 적용되기 때문에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의 출력 신호들은 크기가 50% 저감된다.
신호 케이블(150)은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의 제21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211)에 연결되어 있다. 제21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211)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신호(A)와 위상 변이가 발생한 제2 신호(B)가 전달된다. 이 신호들은 제21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211)에서 각각 분기되어 제2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221)와 제2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222)에 전달된다. 여기서 제2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222)에 전달되는 신호는 90도 위상 변이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의 출력 포트들 중 제2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221)에 출력되는 신호 또는 제1 안테나(31)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A/4∠0 °+ B/4∠-90°
또한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200)의 출력 포트들 중 제2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222)에 출력되는 신호 또는 제2 안테나(32)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2]
A/4∠-90 °+ B/4∠-180°
위의 수학식에서 나타낸 신호들은 결과적으로 데이터 스트림 또는 채널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직교하는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안테나(31) 및 제2 안테나(32)를 통하여 송신되는 신호 또는 수신되는 신호는 각각 서로 직교 특성에 따라 근거리-원거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안테나 시스템(10)은 하나의 신호 케이블(150)을 통하여 구현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신호 케이블(150)을 요구하지 않아 안테나들(31, 32)과 신호 송수신 장치(20) 간의 연결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미모 안테나(30)를 포함한 실내 안테나 시스템(100)의 신호 송수신 장치의 일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송수신 장치(20)는 제1 송신부(Tx1)와 제1 수신부(Rx1)를 포함하는 제1 신호 처리 장치(21)와, 제2 수신부(Rx2)만을 가지는 제2 신호 처리 장치(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수신 장치(2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송신부(Tx1)와 제1 수신부(Rx1)를 포함하는 제1 신호 처리 장치(21)와, 제2 송신부(Tx2) 및 제2 수신부(Rx2)를 포함하는 제2 신호 처리 장치(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실내 안테나 시스템
20 : 신호 송수신 장치
30 : 실내용 미모 안테나
31 : 제1 안테나
32 : 제2 안테나
100 :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
150 : 신호 케이블
200 :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

Claims (5)

  1.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및 제2 안테나;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가 연결되는 하이브리드 커플러;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로 보낼 신호를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에 전달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통하여 전달받는 신호 케이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미모(MIMO)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상기 신호 케이블에 연결되는 제21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
    오픈 상태로 배치되는 제22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
    상기 제21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 및 제22 하이브리드 포트에 연결되는 제2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
    상기 제21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 및 제22 하이브리드 입력 포트에 연결되는 제2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미모(MIMO)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제21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제22 하이브리드 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미모(MIMO)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직교 커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미모(MIMO)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는 하나가 수직 편파 안테나이고, 다른 하나가 수평 편파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미모(MIMO) 안테나.
KR20130082961A 2013-07-15 2013-07-15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구비하는 실내용 미모 안테나를 포함하는 실내 안테나 시스템 KR20150008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961A KR20150008692A (ko) 2013-07-15 2013-07-15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구비하는 실내용 미모 안테나를 포함하는 실내 안테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961A KR20150008692A (ko) 2013-07-15 2013-07-15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구비하는 실내용 미모 안테나를 포함하는 실내 안테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692A true KR20150008692A (ko) 2015-01-23

Family

ID=5257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2961A KR20150008692A (ko) 2013-07-15 2013-07-15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구비하는 실내용 미모 안테나를 포함하는 실내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86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0959B1 (en) Multiway switch, radio frequency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256871B2 (en) Evolved distributed antenna system
CN108377161B (zh) 用于下一代无线用户设备硬件设计与方法的分布式相控阵多入多出
KR101841552B1 (ko) 밀리미터파 통신 시스템에서 공간 분할 이중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7038216B2 (ja) マルチウェイスイッチ、無線周波数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US11601166B2 (en) Antenna switching on MIMO devices
EP3540969B1 (en) Multiway switch, radio frequency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21507638A (ja) マルチウェイスイッチ、無線周波数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US11258179B2 (en) Base station
US20110150118A1 (en) Antenna arrangement for interference reduction and mimo communication
US8417295B2 (en) Antenna system
JP2008054268A (ja) 無線通信装置、情報端末、並びに情報端末用の外付け装置
US20200229003A1 (en) Access Point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5970417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複合無線通信装置
KR101427644B1 (ko) 실내 안테나 시스템
KR20150008692A (ko)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구비하는 실내용 미모 안테나를 포함하는 실내 안테나 시스템
CN107948947B (zh) 用于车辆到x通信的通信设备
EP19149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door communications with radio frequency distribution
Erricolo et al. Massive MIMO: review and a case for the 12 GHz band
Honma et al. Realizing in-band full-duplex MIMO with feasible RF-chain: Key challenges
EP4184808A1 (en) Antenna apparatus
TWI401903B (zh) 雙天線通訊裝置與方法
KR100620744B1 (ko)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한 gps 신호 수신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EP1914902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door communications with digital distribution
KR20110067603A (ko) 안테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