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8578A - Trip Button of Contact Breaker Switching Device - Google Patents

Trip Button of Contact Breaker Switch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8578A
KR20150008578A KR20130082696A KR20130082696A KR20150008578A KR 20150008578 A KR20150008578 A KR 20150008578A KR 20130082696 A KR20130082696 A KR 20130082696A KR 20130082696 A KR20130082696 A KR 20130082696A KR 20150008578 A KR20150008578 A KR 20150008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support
trip
button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26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55688B1 (en
Inventor
윤여관
Original Assignee
윤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관 filed Critical 윤여관
Priority to KR1020130082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688B1/en
Publication of KR20150008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5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6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8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push-button, pull-knob, or slide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ip lever of a circuit breaker switch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trip lever from being bent or twisted by repulsive force and pushing force and accurately pressing the trip lever without deviation of a trip button area when pressing the trip button by improving a structure of the trip lever, which is equipped with a circuit breaker switch and presses the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in a new typ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trip lever of the circuit breaker switching device including: pressing cap which is inserted inside a combination hole of a combination rib projected toward a circuit breaker direction from a support housing; a pressing support which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cap; an elastic member which is equipped in a state covering the pressing support and elastically supports a protrusion unit and the pressing cap to be formed inside the combination hole; a combination unit which is combin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pressing support; a pressing connection bar which is connected to have a length from the external surface of the combination unit toward a side direction and is equipped with a pressing protrusion to be projected toward a trip button direction of the circuit breaker; and a reinforcing unit which is connected in a state to be extended between the pressing connection bar and the combination unit.

Description

차단기 개폐 스위치의 트립 레버{Trip Button of Contact Breaker Switching Devic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ker 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차단기 개폐 스위치의 트립 레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 개폐 스위치에 구비되어 차단기의 트립 버튼을 누르게 되는 트립 레버의 구조를 새로운 타입으로 개선하여 트립 레버가 트립 버튼을 누르게 될 때, 반발력과 누름력에 의한 트립 레버의 휘어짐이나 뒤틀림을 방지하고, 그로 인해 트립 레버가 트립 버튼의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정확하게 눌러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ip lever of a breaker opening / closing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ip lever provided in a breaker opening / closing switch to push a trip button of a breaker to a new type so that when the trip lever presses the trip butt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ip lever from being warped or distorted by the repulsive force and the pressing force so that the trip lever can be pressed accurately without departing from the area of the trip button.

일반적으로, 차단기 개폐 스위치는 차단기의 차단 버튼에 대한 온 및 오프 모드에 대한 전환 조작을 쉽게 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온 모드 또는 오프 모드에 대한 식별력을 주어 작업자가 혼동이나 착오 등을 방지하고자 사용된다.In general, the breaker opening / closing switch facilitate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on / off mode to the cutoff button of the breaker, and is used to prevent confusion or error by giving the discriminating power to the on mode or the off mode .

또한, 위와 같이 사용되는 차단기 개폐 스위치에는 트립 레버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트립 레버는 사고 전류에 의한 전력 차단이나 차단기의 점검시, 차단기의 트립(Trip) 동작을 위해 차단기의 트립 버튼을 누르는 기능을 가진다.In addition, the breaker opening / closing switch u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trip lever. This trip lever has a function of pressing the trip button of the breaker for tripping the breaker when the power is cut off due to an accident current or the breaker is checked I have.

이러한 차단기 개폐 스위치의 트립 레버에 대한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34327호(이하, "특허문헌1"이라 함)에 개시된 기술 내용을 살펴 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내에 버튼 플레이트(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버튼 플레이트(10)에는 버튼캡(12)이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 캡(12)은 프레임의 표면에 노출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As an example of the trip lever of the circuit breaker opening / closing switch, the technology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43432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And a button cap 12 is coupled to the button plate 10. The button cap 12 i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frame.

상기 버튼 플레이트(10)에는 버튼캡(12)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돌기(14)가 형성되어 있고, 버튼캡(12)에는 상기 버튼 플레이트(10)를 끼워 압입 고정할 수 있도록 홈(16)이 형성되어 있다,The button plate 10 is form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14 for engaging with the button cap 12. The button cap 12 is provided with a groove 16 for press-fitting the button plate 10,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버튼 플레이트(10)에는 버튼 플레이트(10)의 원위치 복귀를 위한 스프링 설치되어 있으며, 버튼 플레이트(10)의 일측 끝단은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버튼의 직 상방에 위치하도록 프레임 내에 배치되게 된다. The button plate 10 is provided with a spring for returning the button plate 10 to the home position and one end of the button plate 10 is disposed in the frame so as to be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따라서, 버튼캡(12)을 누르게 되면, 버튼캡(12)에 고정된 버튼 플레이트(10)가 직 하방으로 이동하여 트립 버튼을 하방으로 밀게 됨으로써 차단기의 트립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버튼갭(12)을 누르는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스프링이 탄발력에 의해 버튼캡(12)과 버튼 플레이트(1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when the button cap 12 is pushed, the button plate 10 fixed to the button cap 12 moves downward and pushes the trip button downward, so that the tripping of the breaker is performed. In addition, when the pressure for pressing the button gap 12 is released, the button cap 12 and the button plate 10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그런데, 특허문헌1에서 제시하고 있는 버튼 플레이트(10)의 구조를 살펴보면, 굴곡이 형성되는 변곡 지점(P)을 기준으로 상부 부분(18a)과 하부 부분(18b)에 별도의 보강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button plate 10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reinforc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18a and the lower portion 18b on the basis of the inflection point P where the bending is formed not.

따라서, 버튼캡(12)을 눌러 버튼 플레이트(10)의 하부 끝단이 트립 버튼을 누르게 되면, 트립 버튼은 대부분 쉽게 눌러지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어 강력한 누름력이 요구된다. 그에 따라 트립 버튼을 누르는 버튼 플레이트(10)의 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반발력과 버튼 플레이트(10)을 상단으로부터 전달되는 누름력이 둔각을 이루고 있는 변곡 지점(P)으로 집중되게 된다.Therefore, if the lower end of the button plate 10 presses the trip button by pressing the button cap 12, the trip button is designed so as not to be pressed easily, and a strong pushing force is required. The repulsive force transmit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button plate 10 pressing the trip button and the push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button plate 10 are concentrated at the inflection point P forming the obtuse angle.

이때 버튼 플레이트(10)의 변곡 지점(P)에는 위와 같이 집중되는 응력을 이기기 위한 보강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아울러 집중 응력도 분산될 수 없는 단순 굴곡 구조를 취하고 있다.At this time, the inflection point P of the button plate 10 is formed with a simple bending structure in which the reinforcing structure for absorbing the stress concentrated as described above is not formed and the concentrated stress can not be dispersed.

그로 인해 상기 버튼 플레이트(10)의 변곡 지점(P)에 형성된 둔각이 예각을 이루게 되는 상태로 더 구부려지는 변형이 발생하여 누름력이 트립 버튼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없는 구조적이 문제가 있다.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essing force can not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trip button due to a deformation that is further bent in a state where the obtuse angle formed at the inflection point P of the button plate 10 becomes an acute angle.

또한, 위와 같이 버튼 플레이트(10)의 변곡 지점(P)에는 좌,우측 방향으로 휘어짐 또는 원 방향으로 뒤틀어짐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구조와 응력 분산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휘어짐 또는 원 방향으로 뒤틀림이 쉽게 발생하게 됨으로써, 트립 버튼을 누르게 되는 버튼 플레이트(10)의 하부 끝단이 트립 버튼을 누르는 영역으로 벗어나는 위치 이동이 발생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특허문헌1의 버튼 플레이트(10)는 차단기의 트립 버튼을 정확하게 눌러줄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bent point P of the button plate 10 is not provided with the reinforcing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bending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r the bending in the circular direction, and the bending or the twisting in the circular direction is easy As a result, the lower end of the button plate 10 to be depressed by the trip button is displaced to the area where the trip button is pressed. As a result, the button plate 10 of Patent Document 1 accurately positions the trip button of the breaker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that can not be press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34327호 (등록일: 2004년 5월 24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434327 (registered on May 24, 20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차단기 개폐 스위치에 구비되어 차단기의 트립 버튼을 누르게 되는 트립 레버의 구조를 새로운 타입으로 개선하여 트립 레버가 트립 버튼을 누르게 될 때, 반발력과 누름력에 의한 트립 레버의 휘어짐이나 뒤틀림을 방지하고, 그로 인해 트립 레버가 트립 버튼의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정확하게 눌러줄 수 있도록 한 차단기 개폐 스위치의 트립 레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ip lever which is provided in a breaker opening and closing switch and which presses a trip button of a break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ip lever of a circuit breaker opening / closing switch that prevents warping or distortion of a trip lever caused by a pressing force, thereby enabling the trip lever to accurately pres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ip button are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단기 개폐 스위치의 지지 하우징에 구비되어 차단기의 트립 버튼을 눌러주는 트립 레버로서, 상기 트립 레버는 지지 하우징으로부터 차단기 방향을 향해 돌출된 결합리브의 결합공 안으로 삽입되는 누름캡 및 누름캡과 연결되는 누름 지지대; 상기 누름 지대를 감싸는 상태로 구비되며 결합공의 내면에 형성되는 단턱부와 누름캡을 탄력지지하게 되는 탄성부재; 상기 누름 지대의 타단과 결합 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외면으로부터 측 방향을 향해 길이를 가지고 연결되며 차단기의 트립 버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누름 돌기를 구비한 누름 연결대; 상기 누름 연결대와 결합부 간에 연장되는 상태로 연결되는 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단기 개폐 스위치의 트립 레버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ip lever provided in a support housing of a circuit breaker opening / closing switch for pressing a trip button of a circuit breaker. The trip lever includes a coupling rib A push-in support connected to the push-in cap and the push-in cap to be inserted therein; An elastic member which is provided in a state to surround the pushing zone and that supports the stepped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ement hole and the pushing cap elastically; An engaging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zone; A pressing link having a length exten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to a lateral direction and having a press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of a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And a reinforcing portion extending in a state of being extended between the pressing link and the engaging portion.

또한, 상기 결합부의 외면으로부터 측 방향을 향해 길이를 가지고 연결되는 연결지지대; 상기 연결지지대에 구비되어 지지 하우징의 슬라이드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단기 개폐 스위치의 트립 레버가 제공된다.A connection support member having a length extending laterally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 guide fixing member provided on the connection support and slidably coupled along the slide member of the support housing.

또한, 상기 누름 지지대의 타단에는 결합공 안에 형성된 걸림턱부와 걸림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를 중심으로 하여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분할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단기 개폐 스위치의 트립 레버가 제공된다.The trip lever of the circuit breaker opening / closing switch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ushing support with a dividing portion opened or closed around the cutout por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atching protrusion formed in the coupling hole.

또한, 상기 누름 지지대의 외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는 상기 누름 지지대와 결합부 간에 결합 될 때,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차단기 개폐 스위치의 트립 레버가 제공된다.
In addition, a protrus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ushing support, and 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s formed with a groove for fitting the protrusion when the pushing support is coupled with the coupling portion A trip lever is provided.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개폐 스위치의 트립 레버를 사용하게 되면, 트립 레버가 트립 버튼을 누르게 될 때 형성되는 반발력과 누름력의 집중에 의해 트립 레버의 휘어짐 또는 뒤틀림이 방지되고, 아울러 트립 레버의 누름 돌기가 트립 버튼의 영역을 벗어남이 방지되어 궁극적으로 누름 돌기가 트립 버튼을 정확하게 눌러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When the trip lever of the breaker opening / closing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trip lever is prevented from being bent or twisted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repulsive force and the pressing force which are generated when the trip lever is pres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ushing projection from deviating from the area of the trip button, and ultimately, the pushing projection can accurately push the tripping button.

도 1은 특허문헌1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버튼캡과 버튼 플레이트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 레버가 차단기 개폐 스위치에 설치된 배면 사시도로서, 도 2a는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결합된 상태를 도면이다.
도 3은 도 2b의 전면 사사도이다.
도 4는 도 2a에서 트립 레버와 결합리브 간에 결합 된 모습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a의 트립 레버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립 레버가 구비된 차단기 개폐 스위치와 차단기 간에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립 레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사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누름캡과 탄성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사도이다.
도 9은 도 7의 트립 레버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cap and a button plate shown in the drawing of Patent Document 1.
2A and 2B are rear perspective views of a trip l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circuit breaker opening / closing switch, wherein FIG. 2A is a separated view, and FIG. 2B is a combined view.
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Figure 2b.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ip lever and the coupling rib are coupled together i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ip lever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eaker opening and closing switch having a trip l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a breaker.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ip l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ing cap and the elastic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ip lever of FIG. 7 viewed from abov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차단 버튼(30) 및 트립 버튼(86)을 구비하고 있는 차단기(3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차단기 개폐 스위치(34)의 지지 하우징(36) 전면에는 키노브(38)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2A to 6, the front of the support housing 36 of the circuit breaker opening / closing switch 34 detachably coupled to the circuit breaker 32 having the cutoff button 30 and the trip button 86 A key knob 38 is rotatably coupled.

또한, 상기 지지 하우징(36)의 내부에는 원기어(40)가 키노브(38)와 연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지지 하우징(36)의 내부에는 차단 버튼(30)이 결합 되는 결합공(42)을 형성한 이동부재(44)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동부재(44)의 일측에 형성되는 랙기어(도시되지 않음)는 원기어(40)와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게 있다. In addition, a circular gear 40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housing 36 so as to be rotatable with the key knob 38, and further, a locking button 3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housing 36, And a rack gear (not shown) formed at one side of the shifting member 44 is engaged with the original gear 40 I am drunk.

여기서, 본 발명은 차단 버튼(30)이 배치된 차단기(32)의 상면과 마주하는 지지 하우징(36)의 내면에 결합공(48)을 형성한 결합리브(50)가 직하 방향 즉, 차단기(32) 방향으로 하향 돌출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rib 50 having the coupling hole 48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housing 36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reaker 32 having the cutoff button 30, 32).

상기 결합공(48)에는 후술하는 트립 레버(52)를 지지 하우징(36)의 전면 방향으로 항상 탄력 지지하여 누름력이 해제되게 되면 트립 레버(52)가 처음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54)가 삽입된다.When the pushing force is released from the coupling hole 48 by always supporting the trip lever 52 described later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upport housing 36 and the trip lever 52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54 are inserted.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54)는 트립 레버(52)의 누름 지지대(56)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 되며, 결합공(48)의 내면에 형성된 단턱부(58)와 누름캡(60)을 탄력지지 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도 4참조).The elastic member 54 is coupled with a structure for wrapping the pushing support 56 of the trip lever 52 and has a stepped portion 58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ement hole 48 and a pushing- (See Fig. 4).

상기 결합리브(50)와 근접 거리에 있는 지지 하우징(36)의 내 측면에는 차단기(32)의 방향으로 개방되는 슬라이드홈(62)을 형성한 슬라이드부재(64)가 결합리브(50)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부재(64)의 일면에는 슬라이드홈(62)이 개방되는 슬라이드부재(64)의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따라 가이드절개홈(66)이 형성되어 있다.A slide member 64 having a slide groove 62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circuit breaker 32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housing 36 at a distance from the engagement rib 50, In the same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slide member 64, a guide cut-out groove 66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slide member 64 in which the slide groove 62 is opened.

위와 같이 형성되는 결합리브(50)와 슬라이드부재(64)에는 트립 레버(52)가 결합 된다. A trip lever 52 is coupled to the coupling rib 50 and the slide member 64 formed as described above.

상기 트립 레버(52)는 먼저, 일단에 배치되는 누름캡(60)과, 상기 누름캡(60)과 일체로 연결되는 누름 지지대(56)와, 이 누름 지지대(56)의 타단과 결합되는 결합부(68)와, 상기 결합부(68)의 측 방향으로 각각 연결 배치되는 누름 연결대(70) 및 가이드 고정부재(72)로 이루어진다.The trip lever 52 firstly includes a pushing cap 60 disposed at one end, a pushing support 56 integrally connected to the pushing cap 60, And a pushing link 70 and a guide fixing member 72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68.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 지지대(56)는 일단에 구비되는 누름캡(60)은 지지 하우징(36)의 전면에 배치되는 구조로 결합공(48)에 수용 결합 된다. Specifically, the pushing support 56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support housing 36, and the pushing cap 60 provided at one end of the pushing support 56 is received in the coupling hole 48.

상기 누름 지지대(56)의 타단에는 절개부(74)를 중심으로 하여 양편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는 분할부(76)가 형성되어 있다.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support 56 is formed with a dividing portion 76 which can be opened or closed in both directions with the cutout portion 74 as a center.

따라서, 상기 절개부(74)를 중심으로 분할부(76)가 오므려지면서 결합공(78)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부(80)의 내경을 통과하게 되고, 걸림턱부(80)의 통과 이후 분할부(76)가 양편으로 벌어지는 탄성 복귀를 통해 걸림턱부(80)에 걸리는 결합 구조를 취하게 됨으로써, 누름 지지대(56)와 결합부(68) 간에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참조).Therefore, the divided portion 76 is pinched about the cutout portion 74 and passes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latching jaw portion 8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78. After passing through the latching jaw portion 80, (See FIG. 4) by engaging the engagement protrusion 56 with the engaging portion 68 by engaging with the engaging shoulder portion 80 through the resilient returning of the engaging portion 76 to the both sides.

아울러, 상기 누름 지지대(56)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누름 지지대(56)의 외면에는 돌기(82)가 돌출되어 있고, 이 돌기(82)와 대응하는 결합부(68)의 일 단부에는 요홈(8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누름 지지대(56)의 분할부(76)가 결합부(68)의 걸림턱부(80)에 걸림 결합 되면, 상기 누름 지지대(56)의 돌기(82)는 결합부(68)의 요홈(84)으로 삽입 결합 되는 상태가 되어 누름 지지대(56)의 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A protrusion 82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support 56 so as to prevent rotation of the pressing support 56. One end of the fitting portion 68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82 is provided with a groove 84 Is formed. When the divided portion 76 of the pressing support 56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80 of the engaging portion 68 as described above, the projection 82 of the pressing support 56 is engaged with the recessed portion 80 of the engaging portion 68 So that rotation of the pressing support 56 is prevented.

상기 결합부(68)에는 결합부(68)와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누름 연결대(70)가 연결 배치되어 있고, 이 누름 연결대(70)의 일단에는 차단기(32)의 트립 버튼(86)을 누르기 위한 누름 돌기(88)가 누름 연결대(70)와 직각을 이루며 차단기(32)의 방향을 향해 연결되어 있다.A pressing link 70 is connected to the engaging part 68 at a right angle with the engaging part 68. A trip button 86 of the circuit breaker 32 is pressed to one end of the pressing link 70, And is connected to the direction of the circuit breaker 32 at a right angle to the push rod 7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누름 연결대(70)의 뿌리부분에는 보강부(90)가 누름 연결대(70)와 결합부(68) 간에 연결되는 구조로 상면과 양 측면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다 (도 5참조).The reinforcing portion 9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70 and the engaging portion 68 at the root portion of the push rod 70 so as to extend from the top and both sides of the push rod 70 (see FIG. 5).

또한, 상기 결합부(68)에는 결합부(68)와 직각을 이루며 배치되는 연결지지대(92)의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지지대(92)는 상기 가이드절개홈(66)을 관통하는 구조를 취하게 되며, 아울러 연결지지대(92)와 일체로 연결되는 가이드 고정부재(72)는 슬라이드홈(62)으로 슬라이드 결합 되게 된다.One end of a coupling support 92 disposed at a right angle to the coupling portion 68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68. The guide support member 92 has a structure to pass through the guide cutout groove 66 and a guide fixing member 72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upport 92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slide groove 62 do.

따라서, 상기 누름캡(60)을 누르게 되면, 탄성부재(54)가 압축되는 상태로 누름 지지대(56)는 차단기(3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고정부재(72)가 가이드절개홈(66)과 슬라이드홈(62)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누름 지지대(56)와 결합 되는 결합부(68)의 위치 변동을 잡아줌으로써 누름 돌기(88)가 차단기(32)의 트립 버튼(86)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pressing cap 60 is pressed, the pressing support 56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ircuit breaker 32 in a state where the elastic member 54 is compressed. At this time, the guide fixing member 72 is slid along the guide cut-out groove 66 and the slide groove 62 to thereby change the position of the engaging portion 68 engaged with the pressing support 56, It is prevented from deviating from the area of the trip button 86 of the circuit breaker 32.

또한, 트립 레버(86)가 계속 차단기(32)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누름 돌기(88)가 트립 버튼(86)을 누르게 되는데, 이때 트립 버튼(86)의 누름을 위한 누름력이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 The trip lever 86 continues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breaker 32 so that the pushing projection 88 presses the trip button 86. At this time, the pushing force for pushing the trip button 86 acts strongly do.

그에 따라 누름 돌기(88)로부터 전달되는 반발력이 누름 연결대(70)와 결합부(68) 간에 연결되는 지점으로 집중되게 되고, 누름 지지대(56)의 누름력도 누름 연결대(70)와 결합부(68) 간에 연결되는 경계 지점으로 집중되게 된다.The repulsive force transmitted from the pushing projection 88 is concentrated at the point where the pushing link 70 is connected to the engaging portion 68 and the pushing force of the pushing support 56 is also transmitted to the pushing link 70 68). ≪ / RTI >

그로 인해, 상기 누름 연결대(70)와 결합부(68) 간에 연결되는 경계 지점에서 휘어짐이 형성되려고 하는데, 이때 누름 연결대(70)와 결합부(68) 간에 보강부(90)가 형성되어 있어 위와 같이 집중되는 응력을 이길 수 있게 된다.The reinforcing portion 90 is formed between the pushing link 70 and the engaging portion 68 at this time to form a warp at the boundary point between the pushing link 70 and the engaging portion 68. Therefore, It is then possible to overcome the concentrated stresses.

아울러 상기 보강부(90)를 통해 집중된 응력이 분산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누름 연결대(70)가 수직 또는 좌우 방향으로 휘어지는 변형과 함께 원 방향으로 뒤틀어지는 현상도 방지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centrated stress is dispersed through the reinforcing portion 90, the pushing link 7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tor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with the vertical or lateral deflection.

한편, 상기 결합부(68)로 집중되는 반발력과 누름력이 결합부(68)의 둘레 즉, 전체면적으로 분산되어 누름 연결대(70)의 변형에 의한 위치 변동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결합부(68)와 가이드 고정부재(72)간에 연결되는 연결지지대(92)가 결합부(68)를 견고하게 잡아주고 있어, 결과적으로 트립 레버(52)의 전체적인 위치 변동이나 변형이 방지되어 누름 돌기(88)가 트립 버튼(86)을 정확하게 눌러줄 수 있게 된다.
The repulsive force and the pressing force concentrated on the engaging portion 68 are dispersed around the engaging portion 68, that is, the entire area, thereby preventing the positional change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pressing link 70.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support 92, which is connected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68 and the guide fixing member 72, firmly holds the coupling portion 68. As a result, the overall positional variation of the trip lever 52 So that the pushing projection 88 can push the trip button 86 accurately.

나아가, 앞서 설명에서는 트립 레버(52)를 구성하는 누름 지지대(56)와 결합부(68)가 개별적으로 각각 제작되어 서로 걸림 결합 되는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Further,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sing support 56 and the engaging portion 68 constituting the trip lever 52 ar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engaged with each other, but the structur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structure.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립 레버(100)의 누름 지지대(102)와 결합부(104)간에 일체로 연결되고, 다만 누름 지지대(102)를 감싸는 상태로 탄성부재(54)가 결합 될 수 있도록 누름 지지대(102)와 누름캡(106) 간에만 분리되는 결합구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기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한다.
6 to 8, the elastic member 54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pushing support 102 of the trip lever 100 and the engaging part 104, but in a state of surrounding the pushing support 102, The engagement structure separating only between the pressing support 102 and the pressing cap 106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Other similar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re omitted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s.

10 : 버튼 플레이트 12 : 버튼캡
14 : 체결돌기 16 : 홈
30 : 차단 버튼 32 : 차단기
34 : 차단 개폐 스위치 36 : 지지 하우징
38 : 키노브 40 : 원기어
42, 48 : 결합공 44 : 이동부재
50 : 결합리브 52 : 트립 레버
54 : 탄성부재 56 : 누름 지지대
58 : 단턱부 60 : 누름캡
62 : 슬라이드홈 64 : 슬라이드부재
66 : 가이드절개홈 68 : 결합부
70 : 누름 연결대 72 : 가이드 고정부재
74 : 절개부 76 : 분할부
80 : 걸림턱부 82 : 돌기
84 : 요홈 86 : 트립 버튼
88 : 누름 돌기 90 : 보강부
92 : 연결지지대
10: Button plate 12: Button cap
14: fastening projection 16: groove
30: cutoff button 32: breaker
34: interrupting opening / closing switch 36: supporting housing
38: key knob 40: one gear
42, 48: engaging hole 44: moving member
50: engaging rib 52: trip lever
54: elastic member 56: pressing support
58: step portion 60: pushing cap
62: slide groove 64: slide member
66: Guide cutout groove 68:
70: pressing link 72: guide fixing member
74: incision part 76:
80: engaging jaw 82: projection
84: groove 86: trip button
88: pushing projection 90: reinforcing portion
92: Connection support

Claims (4)

차단기 개폐 스위치의 지지 하우징에 구비되어 차단기의 트립 버튼을 눌러주는 트립 레버로서,
상기 트립 레버는 지지 하우징으로부터 차단기 방향을 향해 돌출된 결합리브의 결합공 안으로 삽입되는 누름캡 및, 이 누름캡과 연결되는 누름 지지대;
상기 누름 지지대를 감싸는 상태로 구비되며 결합공의 내면에 형성되는 단턱부와 누름캡을 탄력지지하게 되는 탄성부재;
상기 누름 지지대의 타단과 결합 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외면으로부터 측 방향을 향해 길이를 가지고 연결되며 차단기의 트립 버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누름 돌기를 구비한 누름 연결대;
상기 누름 연결대와 결합부 간에 연장되는 상태로 연결되는 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개폐 스위치의 트립 레버.
A trip lever provided on a support housing of the breaker opening / closing switch for pressing a trip button of the breaker,
The trip lever includes a pushing cap inserted into a coupling hole of a coupling rib protruding from the support housing toward the direction of the breaker, and a pushing support connected to the pushing cap;
An elastic member which is provided in a state of wrapping the pressing support and which supports the stepped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and the pressing cap elastically;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support;
A pressing link having a length exten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to a lateral direction and having a press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of a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And a reinforcing portion extending in a state of being extended between the pressing link and the engag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면으로부터 측 방향을 향해 길이를 가지고 연결되는 연결지지대;
상기 연결지지대에 구비되어 지지 하우징의 슬라이드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개폐 스위치의 트립 레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ion support having a length extending laterally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 guide fixing member provided on the connection support and slidably coupled along the slide member of the support housing.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지지대의 타단에는 결합공 안에 형성된 걸림턱부와 걸림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를 중심으로 하여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분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개폐 스위치의 트립 레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other end of the pushing support is formed with a dividing portion which is opened or closed with respect to the cutout so as to engage with the engaging jaw formed in the coupling ho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지지대의 외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는 상기 누름 지지대와 결합부 간에 결합 될 때,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개폐 스위치의 트립 레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rotrus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ushing support, and 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s formed with a groove for fitting the protrusion when the pushing support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Trip lever of the switch.
KR1020130082696A 2013-07-15 2013-07-15 Trip Button of Contact Breaker Switching Device KR101555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696A KR101555688B1 (en) 2013-07-15 2013-07-15 Trip Button of Contact Breaker Switc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696A KR101555688B1 (en) 2013-07-15 2013-07-15 Trip Button of Contact Breaker Switch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578A true KR20150008578A (en) 2015-01-23
KR101555688B1 KR101555688B1 (en) 2015-09-25

Family

ID=5257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696A KR101555688B1 (en) 2013-07-15 2013-07-15 Trip Button of Contact Breaker Switch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6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0981A (en) * 2020-11-23 2021-04-23 深圳供电局有限公司 Backup brake separating device of switch cabin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463B1 (en) 2010-10-04 2012-02-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Trip button mechanism of remote operating handle for circuit brea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0981A (en) * 2020-11-23 2021-04-23 深圳供电局有限公司 Backup brake separating device of switch cabin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688B1 (en) 2015-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160467A (en) Conductor connecting terminal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9484684B2 (en) Connector with peripheral wall having an opening and a detector slidably engaging the peripheral wall adjacent the opening for preventing widening of the opening
JPH09293566A (en) Connector
US8604376B2 (en) Electrical switch
EP4088296B1 (en) Electrical switch
JP2019091610A (en) connector
KR101555688B1 (en) Trip Button of Contact Breaker Switching Device
EP2889886B1 (en) Electromagnetic relay
WO2011120850A1 (en) A reset mechanism for a manual alarm device and a manual alarm device with the same
KR102262700B1 (en) Air circuit break
US7592560B1 (en) Button device
JP2014107023A (en) Thermal overload relay
US11476610B2 (en) Conductor terminal
WO2015042839A1 (en) Dual-position buttons
KR101483027B1 (en) Circuit Breaker
KR200455791Y1 (en) Button assembly for tact switch module
JP2015195091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button structure of electronic apparatus
JP2018186027A (en) Switch mounting structure and switch using the same
KR200461085Y1 (en) Rocker switch
JP6212867B2 (en) Push-button switch
WO2014125549A1 (en) Circuit breaker and method for assembling circuit breaker
US8648272B2 (en) Bracket and shell assembly housing a push button switch
JP2018055962A (en) Emergency stop switch
US6894241B1 (en) Resilient switching device
JP2002042603A (en) Push button device of speaker micro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