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780A -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780A
KR20150007780A KR1020130082238A KR20130082238A KR20150007780A KR 20150007780 A KR20150007780 A KR 20150007780A KR 1020130082238 A KR1020130082238 A KR 1020130082238A KR 20130082238 A KR20130082238 A KR 20130082238A KR 20150007780 A KR20150007780 A KR 20150007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electronic device
input device
handwriting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156B1 (ko
Inventor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156B1/ko
Priority to US14/150,567 priority patent/US9575572B2/en
Priority to EP14151059.4A priority patent/EP2824544B1/en
Priority to CN201410043103.6A priority patent/CN104281316B/zh
Publication of KR20150007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04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ore than one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hand tools, e.g. eras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는, 유도 코일과, 가변 용량의 리액턴스 소자를 포함하는 공진 회로부; 중간 매체에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기록 부재; 및 상기 기록 부재에 고정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매체에 필기가 진행됨에 따른 필기 압력이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리액턴스 소자의 캐패시턴스가 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입력 방법 {INPUT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기기, 데스크톱 / 랩톱 컴퓨터,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탑재된 프로그램이나 저장된 정보에 따라 특정 기능, 예를 들면, 저장 정보를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예컨대, 데스크톱 컴퓨터 등은 키보드나 마우스 같은 입력 장치를 구비하며, 가전제품에는 원격 조정기가 제공되기도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전자 장치에서는 마이크로폰, 키패드가 전통적인 입력 장치로 활용되었으며,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이 물리적인 키패드를 대체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전자 장치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의 역할과 함께,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입력 모듈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정전 용량 방식이나 저항막 방식으로 구현된 터치 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예컨대, 손가락의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를 검출하는 것 외에도, 사용자의 필기를 이미지나 문서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필기를 이미지나 문서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예컨대, 터치스크린이 활성화되어야 사용자가 입력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종이와 같은 중간 매체에 필기한 내용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중간 매체를 별도로 보관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필기한 내용을 스캔하거나 사진을 찍어 전자 장치에 저장하기도 한다.
이에, 본 개시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통해 필기 입력이 가능한 수기를 지원하는 입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입력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통해 종이와 같은 중간 매체에 필기가 가능하면서, 중간 매체에 필기한 내용을 전자 장치에 저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는, 가변 리액턴스를 가진 리액턴스 소자를 포함하는 회로부; 및 중간 매체에 기록을 하기 위한, 아울러, 상기 리액턴스 소자와 커플링된 기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매체에 기록이 진행됨에 따른 필기 압력이 상기 기록 부재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리액턴스 소자의 리액턴스가 변화할 수 있다.
가변 리액턴스를 가지는 상기 리액턴스 소자는 가변의 용량성 리액턴스를 가지는 가변 캐패시터(capacitor)일 수 있다.
가변 리액턴스를 가지는 상기 리액턴스 소자는 유도성 리액턴스의 변화가 가능한 가변 인덕터(inductor)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회로부는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공진 회로부일 수 있다.
상기 기록 부재는 종이에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필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매체는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기록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리액턴스 소자로 필기 압력을 전달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회로부를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에 제공되는 팁(tip); 상기 기록 부재를 수용하는 필기구 몸체; 및 상기 필기구 몸체에 형성된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몸체가 상기 수용홈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스타일러스 몸체가 상기 수용홈에 장착되면 상기 팁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팁을 통해 필기 압력이 상기 리액턴스 소자로 전달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기록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리액턴스 소자로 필기 압력을 전달하는 연결 부재; 상기 공진 회로부, 기록 부재 및 연결 부재를 수용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수용되어 상기 기록 부재를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기록 부재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팁 부재(tip memb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기록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리액턴스 소자로 필기 압력을 전달하는 연결 부재; 상기 공진 회로부, 기록 부재 및 연결 부재를 수용하는 몸체; 및 상기 연결 부재로서 제공되며, 상기 몸체 내에서 상기 기록 부재를 감싸게 결속되는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 코일이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몸체에 수용되어 상기 기록 부재와 페라이트 코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기록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리액턴스 소자로 필기 압력을 전달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기록 부재의 외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게 결합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연결 부재에 형성되는 결속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 돌기가 상기 기록 부재의 외주면에 맞물릴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입력 패널에 의해 형성된 1차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에 의해 상기 회로부가 2차 전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입력 패널이 상기 2차 전자기장으로부터 상기 기록 부재의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패널은 휴대 전자 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패널은 휴대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디지타이저(digitiz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은, 입력 장치를 통해 중간 매체에 기록 가능한 중간 매체 기록 모드인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입력 장치의 필기 개시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입력 장치의 필기 개시 시, 상기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를 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입력 장치의 필기에 의한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검출된 입력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장치의 필기 개시를 판단하는 동작 전에, 탈착 가능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되었는지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입력 장치가 분리되었으면, 상기 입력 장치의 필기 개시를 판단하는 동작을 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중간 매체에서 가해지는 접촉에 의한 전하량 변화를 검출하고, 상기 접촉이 가해지는 상기 중간 매체의 제1 및 제2 지점 중 한 지점의 위치가 나머지 다른 지점의 위치로 이동하면, 새로운 필기 모드의 페이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필기를 인식하고, 필기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위에 추가로 필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 부호를 인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상기 교정 부호와 매핑된 상기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따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에 대한 정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CD(Compact Disk) /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등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의 각 동작을 컴퓨터 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는, 종이와 같은 중간 매체에 필기가 가능함과 아울러, 필기 내용을 전자화된 이미지나 문서로 즉시 변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의 공진 회로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의 스타일러스 몸체가 필기구 몸체에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와 조합될 수 있는 부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와 조합될 수 있는 부가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와 조합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와 조합될 수 있는 다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로서 휴대 단말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패널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다른 입력 방법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또 다른 입력 방법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을 전자 장치에서 처리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중간 매체의 페이지를 넘기는 동작을 전자 장치에서 인식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후술되는 용어들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 따라 더욱 명확하게 정의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제1', '제2' 등의 서수를 사용한 것은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는, 유도 코일, 가변 용량의 리액턴스 소자를 포함하는 가변 리액턴스의 리액턴스 소자들로 구현되는 공진 회로부, 중간 매체에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기록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는 상기 기록 부재에 고정된 연결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리액턴스 소자와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종이와 같은 중간 매체에 필기를 하게 되면, 상기 기록 부재와 중간 매체의 접촉에 의핸 필기 압력이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리액턴스 소자의 리액턴스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부재와 리액턴스 소자의 커플링은 상기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공진 회로부는 이러한 리액턴스의 변화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형성함과 아울러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는 중간 매체에 수기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입력 장치는 중간 매체에 필기하는 것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 디지타이저 등을 통해 화면에 구현된 아이콘 등을 선택, 조작하거나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10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100)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울러,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100)의 회로부(1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 장치(100)는, 가변 리액턴스의 리액턴스 소자(115a)를 포함하는 회로부(101), 중간 매체에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기록 부재(102)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장치(100)는 상기 기록 부재(102)에 고정된 연결 부재(10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액턴스 소자(115a)는, 예컨대, 가변 용량의 용량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회로부(101)는 상기 리액턴스 소자(115a)에 연결된 유도 코일(113)을 구비함으로써, 공진 회로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도 코일(113)은 상기 입력 장치(100) 내부에 배치되는 가동 부재(131), 예컨대, 페라이트 코어의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일 수 있다. 상기 리액턴스 소자(115a)는 상기 연결 부재(103)와 연동되며, 필기를 할 때 상기 연결 부재(103)가 필기 압력을 상기 리액턴스 소자(115a)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리액턴스 소자(115a)의 리액턴스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100)는 상기 회로부(101), 기록 부재(102), 연결 부재(103)를 수용하는 몸체(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4)의 내부에는 회로 기판(111)이 수용될 수 있는데, 상기 회로부(101)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상기 리액턴스 소자(115a)가 상기 회로 기판(1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도 코일(113)은 외부의 전력 또는 전자기장에 의해 유도 전류를 형성하며, 가변 리액턴스의 상기 리액턴스 소자(115a)와 상기 유도 코일(113)로 이루어지는 상기 회로부(101)에 의해 상기 입력 장치(100)는 2차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100)는 상기 회로 기판(111)에 배치된 제2, 제3의 리액턴스 소자(115b, 115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3 리액턴스 소자(115b, 115c)들 또한 상기 유도 코일(113)과 연결되어 상기 회로부(101)의 공진 주파수, 예컨대, 2차 전자기장을 강화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가변 리액턴스를 가지는 상기 리액턴스 소자(115a)는 가변의 용량성 리액턴스를 가지는 가변 캐패시터(capacitor) 또는 유도성 리액턴스의 변화가 가능한 가변 인덕터(inductor)일 수 있다. 다른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제3 리액턴스 소자(115b, 115c)는 용량성 리액턴스를 가지는 캐패시터(capacitor) 또는 유도성 리액턴스를 가지는 인덕터(inductor)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제3 리액턴스 소자(115b, 115c) 중 하나를 상기 유도 코일(113)에 연결함에 있어, 스위치 부재(115d)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부재(115d)는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는데, 상기 스위치 부재(115d)가 조작되는 순간, 일시적으로 상기 회로부(101)의 공진 주파수가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공진 주파수의 일시적인 변화를 통해, 클릭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부재(102)는 종이를 포함하는 중간 매체에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볼펜(ball point pen)이나 연필(pencil)을 포함하는 필기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100)를 이용하여 중간 매체에 필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터치스크린이나 디지타이저와 같은 입력 패널을 직접 조작할 수도 있다. 상기 기록 부재(102)가 입력 패널에 직접 접촉할 경우, 필기 흔적이나 긁힘 등으로 인해 입력 패널이 손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는 상기 기록 부재(102)의 단부(121)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 팁 부재(tip member)(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팁 부재(129)는 상기 기록 부재(102)의 단부(121), 예컨대, 필기를 수행하게 되는 부분을 감싸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 장치(100)를 이용해 중간 매체가 아닌 입력 패널을 직접 조작하는 때, 상기 팁 부재(129)를 상기 기록 부재(102)에 결합하여 입력 패널의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장치(100)는 상기 기록 부재(102)의 단부(121)를 상기 몸체(104)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109)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탄성 부재(109)는 상기 가동 부재(131)를 가압하는 구조로 예시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부재(103)를 통해 상기 기록 부재(102)가 상기 가동 부재(13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록 부재(102)의 단부(121)는 상깅 탄성 부재(109)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몸체(104)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103)는 상기 기록 부재(10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게 결합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록 부재(102)가 상기 연결 부재(103)를 관통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부재(102)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연결 부재(103)에는 관통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관통홀(133)의 내주면에는 결속 돌기(1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록 부재(102)가 상기 관통홀(133)에 결합하면, 상기 결속 돌기(135)가 상기 기록 부재(102)의 외주면에 맞물려 상기 연결 부재(103)를 상기 기록 부재(102)에 고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필기 동작에서는, 상기 결속 돌기(135)가 상기 기록 부재(102)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103)는 상기 기록 부재(10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기록 부재(102)는 볼펜이나 연필과 같은 소모성 부품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 기간 사용한 후에는 상기 기록 부재(102)의 교체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연결 부재(103)로부터 기록 부재(102)를 강제로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속 돌기(135)는 일반적인 필기 압력에 대해서는 충분한 고정력을 제공하여 상기 연결 부재(103)와 기록 부재(102)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사용자가 상기 연결 부재(103)로부터 상기 기록 부재(102)를 강제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부재(102)는 상기 몸체(104)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 장치(100)를 이용하여 필기를 할 때, 상기 기록 부재(102)는 상기 몸체(104)의 내부로 수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103)가 상기 기록 부재(102)에 고정됨으로써, 필기할 때 발생하는 필기 압력, 예를 들면, 상기 기록 부재(102)의 이동이 상기 연결 부재(103)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결 부재(103)가 가변 리액턴스의 상기 리액턴스 소자(115a)에 필기 압력을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131)가 상기 연결 부재(103)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부재(131)가 상기 리액턴스 소자(115a)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기록 부재(102)로부터 발생하는 필기 압력은 상기 연결 부재(103)와 가동 부재(131)를 통해 상기 리액턴스 소자(115a)의 캐패시턴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유도 코일(113)은 상기 가동 부재(131)의 외주면에 권선될 수 있다. 아울러,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몸체(104)의 내부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109)가 배치되어 상기 기록 부재(102)의 단부(121)를 상기 몸체(104)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100a)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입력 장치(100a)는 기록 부재(102)의 외주면 상에 유도 코일(113)이 배치된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입력 장치(100)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입력 장치(100a)를 설명함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입력 장치(100)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입력 장치(100a)는 연결 부재로서, 상기 기록 부재(102)를 감싸게 결합하는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103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103a) 또한 관통홀과 결속 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기록 부재(102)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기록 부재(102)에 결속,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유도 코일(113)은 상기 페라이트 코어(103a)의 외주면에 권선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록 부재(102)에서 형성되는 필기 압력은 연결 부재, 예컨대, 상기 페라이트 코어(103a)를 통해 전달되어 가변 리액턴스의 리액턴스 소자(115a)의 리액턴스를 변화시키게 된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장치(100a)의 몸체(104) 내부에는 탄성 부재(109)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9)는 상기 몸체(104) 내부의 구조물과, 상기 기록 부재(102) 또는 상기 기록 부재(102)에 고정된 상기 페라이트 코어(103a)나 유도 코일(113)에 지지되어, 상기 기록 부재(102)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9)가 가압함에 따라, 상기 기록 부재(102)는 상기 몸체(104)로부터 그의 단부(121)를 돌출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장치(100a)는 상기 기록 부재(102)의 단부(121)를 감싸게 결합하는 팁 부재(129)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입력 장치(100a)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이나 디지타이저와 같은 입력 패널을 직접 조작할 때, 입력 패널의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100b)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입력 장치(100b)를 나타내는 또 다른 구성도이다. 도 5와 도 6을 통해 도시된 입력 장치는(100b), 전자기 공명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는 스타일러스 펜과,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기록 부재를 별도로 구성하되, 필요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을 기록 부재에 결합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입력 장치(100b)를 설명함에 있어, 선행 실시 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들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몸체(이하, '스타일러스 몸체(101b)'라 함)에는 유도 코일, 가변 리액턴스의 리액턴스 소자(115a) 등으로 이루어진 회로부(101)가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타일러스 몸체(101b)의 단부에 팁(tip)(117)이 제공되어 필기 압력을 상기 회로부(101), 예컨대 리액턴스 소자(115a)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팁(117)으로부터 필기 압력이 전달되므로, 필기할 때 상기 리액턴스 소자(115a)의 캐패시턴스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부재(102)는 별도의 필기구 몸체(104b)에 유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필기구 몸체(104b)의 내부에는 탄성 부재가 수용되어 상기 기록 부재(102)의 단부(121)를 상기 필기구 몸체(104)의 단부로 돌출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필기구 몸체(104b)에는 연결 부재(103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103b)는 상기 기록 부재(102)에 고정되어 상기 필기구 몸체(104b) 내에서 상기 기록 부재(102)와 함께 유동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필기구 몸체(104b)의 측면에는 상기 스타일러스 몸체(101b)를 수용하는 수용홈(119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 몸체(101b)는 상기 필기구 몸체(104b)에 착탈 가능한 것이다. 상기 연결 부재(103b)의 일부분은 상기 수용홈(119b) 상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스타일러스 몸체(101b)가 상기 수용홈(119b)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팁(117)이 상기 연결 부재(103b)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119b)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장치(100b)를 이용해 필기를 하게 되면, 상기 기록 부재(102)가 형성하는 필기 압력이 상기 연결 부재(103b)를 통해 상기 팁(117)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팁(177)은 필기 압력을 다시 전달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몸체(101b)에 수용된 리액턴스 소자(115a)의 리액턴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100, 100a, 100b)와 조합될 수 있는 부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100, 100a, 100b)와 조합될 수 있는 부가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이다. 상기한 입력 장치(100, 100a, 100b)들은 중간 매체, 예컨대, 종이나 수첩에 필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부가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 보호 커버(105)이다. 상기 보호 커버(105)는 전자 장치의 배면을 감싸게 결합하는 결합부(151)와, 상기 결합부(15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부(153)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장치,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휴대 장치가 상기 결합부(151)에 결합하면, 상기 덮개부(153)는 전자 장치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 장치, 예컨대, 터치스크린이 설치되어 있다면, 상기 덮개부(153)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한 입력 장치(100, 100a, 100b)들을 이용하여 필기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 커버(105)는 중간 매체로서 수첩 또는 수첩 용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첩은 수첩 용지(157)와 수첩 커버(15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첩 용지(157)는 상기 덮개부(153)의 외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수첩 커버(15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보호 커버(105)에 결합된 전자 장치가 상기 덮개부(153)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도 상기 입력 장치(100, 100a, 100b)들 중 하나를 이용해 상기 수첩 용지(157)에 필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입력 장치(100, 100a, 100b)들이 형성하는 2차 전자기장과 그 이동 궤적 등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덮개부(153)가 전자 장치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전자 장치는 상기 수첩 용지(157)에 필기된 내용을 전자화된 이미지나 문서로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폐쇄된 상태에서 필기 내용을 전자화된 파일로 저장함에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활성화될 필요는 없다. 다만, 상기 입력 장치(100, 100a, 100b)의 이동, 예컨대, 필기 내용을 검출하기 위한 기능들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또는 제어 방법은 도 11 내지 도 18을 통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100, 100a, 100b)와 조합될 수 있는 전자 장치(1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100, 100a, 100b)와 조합될 수 있는 다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 전자 장치(10)는 그 자체로서 상기 입력 장치(100, 100a, 100b)들의 이동, 예컨대,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검출할 수 있는 입력 패널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10)의 디스플레이 장치(11)에 터치스크린 기능이나 디지타이저가 통합되어 있다면, 상기 전자 장치(1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 자체를 통해 상기 입력 장치(100, 100a, 100b)들을 이용한 필기 내용을 검출하여 전자화된 파일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1)를 구비한다. 상기 입력 장치(100, 100a, 100b)들에 의한 필기 내용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전자 장치(10)는 입력 패널로서 별도의 디지타이저(10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지타이저(106)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상기 전자 장치(10)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입력 장치(100, 100a, 100b)를 이용한 필기 내용을 검출하여 상기 전자 장치(1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디지타이저는 접거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 패널(flexible panel)로 제작될 수 있다.
입력 패널로서의 상기 디지타이저(106)는 교류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 장치(100, 100a, 100b)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타이저(106)에 근접시키면, 상기 디지타이저(106)의 전자기장에 의해 상기 입력 장치(100, 100a, 100b)의 유도 코일에 2차 전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 코일에 의해 2차 전류가 형성되면, 상기 입력 장치(100, 100a, 100b)들은 상기 회로부(101)를 통해 2차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2차 전자기장을 형성한 상기 입력 장치(100, 100a, 100b)를 이용하여 필기를 하면, 상기 디지타이저(106)는 입력 장치(100, 100a, 100b)들의 이동 궤적을 검출함으로써, 필기 내용을 전자화된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지타이저(106)를 종이와 같은 중간 매체와 중첩하게 배치하고, 사용자는 상기 입력 장치(100, 100a, 100b)를 이용하여 중간 매체에 필기를 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디지타이저(106)는 중간 매체에 필기된 내용을 전자화된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디지타이저(106)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자화된 파일을 상기 전자 장치(10)로 송신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디지타이저(106)는 상기 전자 장치(10)의 디스플레이 장치(11)에 통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 장치(100, 100a, 100b)와 조합되는 입력 패널은 상기 전자 장치(10)의 디스플레이 장치(11)가 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전자 장치(10)의 일부분,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1)의 구성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는 디지타이저(106)가 통합된 것으로서, 그 자체로서 상기 입력 장치(100, 100a, 100b)의 필기 내용을 검출할 수 있는 입력 패널로 작동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의 외측면에는 윈도우 부재(25), 예컨대, 유리 부재가 배치되고, 그 내측면에 디스플레이 모듈(21),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liquid crystal display module)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가 터치스크린 기능(23)을 가진다면, 상기 윈도우 부재(25)와 디스플레이 모듈(21) 사이에는 터치 패널(2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23)은 투명한 합성수지 필름에 인듐-주석 산화물을 이용해 형성한 투명 전극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의 내측에 디지타이저(106)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입력 장치(100, 100a, 100b)를 이용한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지타이저(106)가 상기 전자 장치(10)의 디스플레이 장치(11)에 통합되어 있다면, 도 7에 도시된 보호 커버(105)를 상기 전자 장치(10)에 결합하여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상기 입력 장치(100, 100a, 100b)를 이용하여 상기 수첩 용지(157)에 필기할 수 있으며, 필기된 내용은 입력 패널,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에 통합된 디지타이저(106)를 통해 전자화된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기된 수첩 용지(157)는 다른 사람에게 제공하고, 필기 내용은 자신의 전자 장치에 저장,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수첩 용지(157)에는 간단한 메모에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이와 같은 중간 매체, 예컨대, 상기 수첩 용지(157)에 필기하면서도 필기 내용을 전자화된 파일로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은 디스플레이 수단(예컨대, 터치스크린 등)이 구비된 어떠한 전자 장치 내에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이미지를 표시하고,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제어할 수 있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어떠한 전자 장치도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텔레비전(TV),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은행의 ATM, 상점의 POS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의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 단말(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전자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본 개시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의 일 예로서 휴대 단말의 구성을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로서 휴대 단말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200)은 통신 모듈(220), 커넥터(265), 및 이어폰 연결잭(26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2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다른 휴대 단말 또는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및 서버 중의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200)은 터치스크린(290)과 디지타이저(digitizer)(10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290)만 포함하거나, 디지타이저(digitizer)만 포함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290)과 디지타이저(106)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295)와 디지타이저 컨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200)은 제어부(210), 통신 모듈(220), 멀티미디어 모듈(240), 카메라 모듈(250), 입/출력 모듈(260), 센서 모듈(270), 저장부(275) 및 전원 공급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이동통신 모듈(221), 서브 통신 모듈(230) 및 방송 통신 모듈(241)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통신 모듈(230)은 무선랜 모듈(231) 및 근거리 통신 모듈(2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240)은 오디오 재생 모듈(242) 및 동영상재생 모듈(2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50)은 제1 카메라(251) 및 제2 카메라(2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 모듈(260)은 버튼(261), 마이크(262), 스피커(263), 진동 소자(264), 커넥터(265) 및 키패드(2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CPU(211), 휴대 단말(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212) 및 휴대 단말(2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휴대 단말(2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2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2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211), 롬(212) 및 램(2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통신 모듈(220), 멀티미디어 모듈(240), 카메라 모듈(250), 입/출력 모듈(260), 센서 모듈(270), 저장부(275), 전원 공급부(280), 터치스크린(290), 터치스크린 컨트롤러(295), 디지타이저(106) 및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휴대 단말(200)로부터 입력 장치(100)가 분리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0)의 탈착 여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첫째, 제어부(210)는 입력 장치(100)의 수납 공간에 설치된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쉬 스위치(push switch) 등을 통해 입력 장치(100)가 휴대 장치(200)로부터 분리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둘째, 제어부(210)는 입력 장치(100)가 휴대 장치(20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지타이저(106)에서 형성한 전자기장에 의해 입력 장치(100)에서 형성되는 2차 전자기장을 검출하여 입력 장치(100)가 휴대 장치(200)로부터 분리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입력 장치(100)가 휴대 장치(200)로부터 분리되었는 경우, 휴대 단말(200)의 커버, 예컨대 덮개부(153)가 닫혀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53)의 개폐 여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첫째, 상기 덮개부(153)가 자성을 띄는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휴대 단말(200)의 센서 모듈(170)에 제공된 자기 센서(magnetic sensor)를 통해 자성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153)가 닫혀진 상태의 자성과 상기 덮개부(153)가 열린 상태의 자성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덮개부(153)의 개폐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둘째, 휴대 단말(200)의 센서 모듈(170)에 제공된 조도 센서를 통해 조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153)가 닫혀진 상태의 조도와 상기 덮개부(153)가 열린 상태의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덮개부(153)의 개폐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00)가 휴대 단말(200)로부터 분리됨과 아울러, 제어부(210)는 휴대 단말(200)의 상기 덮개부(153)가 닫혀 있는 경우, 휴대 단말(200)을 필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200)의 화면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200)의 화면의 발광 소자들이 발광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장치(200)의 커버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100)를 이용하여, 입력 패널, 예컨대 상기 디지타이저(106) 위에서 또는 상기 디지타이저(106) 상에 배치된 중간 매체에 필기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 패널의 상면 및 입력 패널의 상면에 위치하는 중간 매체에서 필기 가능하다. 제어부(210)는 입력 장치(100)의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는 범위 이내에서, 입력 패널과 입력 장치(100) 사이에 중간 매체, 예컨대, 상기 수첩 용지(157)가 존재하여도 2차 전자기장을 검출함으로써 입력 장치(100)의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종이와 같은 중간 매체의 페이지를 넘기는 경우, 페이지 넘김을 인식하고, 현재까지의 필기 내용을 저장하고, 새로운 필기 모드를 생성할 수 있다. 페이지 넘김의 인식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18의 설명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검출된 필기 입력과 매핑된 휴대 단말(200)에서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있는지 검색하고, 검색결과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필기 입력과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수행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17의 설명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은 터치스크린(190) 또는 디지타이저(106)를 통한 사용자 입력 외에, 카메라 모듈(150)을 통한 제스처 입력, 버튼(161) 또는 키패드(166)를 통한 스위치/버튼 입력, 마이크(162)를 통한 음성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입력 장치(100)가 터치스크린(190) 또는 디지타이저(미도시)에 접근하거나, 그에 근접하게 위치함에 따른 호버링(Hovering) 이벤트와 같은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의 필기의 개시의 판단을 상기의 입력 장치(100)가 디지타이저에 근접함을 감지하는 상기의 호버링 이벤트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상기 터치스크린(290)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듈(250), 입/출력 모듈(260), 및 센서모듈(270) 등을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터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쳐, 음성, 눈동자 움직임, 홍채 인식, 생체신호 등 상기 휴대 단말(100) 내로 입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동작 또는 기능이 휴대 단말(200) 내에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어 신호를 입력 유닛(268) 또는 진동 소자(264)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신호는 진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유닛(268) 또는 진동 소자(264)는 이러한 진동 패턴에 따른 진동을 생성한다. 이러한 진동 패턴에 대한 정보는 진동 패턴 자체, 진동 패턴의 식별자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제어 신호는 단순히 진동 생성의 요청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휴대 단말(200)은 성능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221), 무선랜 모듈(231), 및 근거리 통신 모듈(2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221)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200)이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221)은 휴대 단말(2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다른 전자 장치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텍스트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브 통신 모듈(230)은 무선랜 모듈(231)과 근거리 통신 모듈(2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2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 통신 모듈(2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231)과 근거리 통신 모듈(2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231)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2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 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32)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200)과 외부 전자 장치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방송 통신 모듈(241)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 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240)은 오디오 재생 모듈(242) 또는 동영상 재생 모듈(243)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모듈(242)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275)에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 모듈(243)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컨대,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240)은 제어부(210)에 통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50)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251) 및 제2 카메라(2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250)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줌 인/줌 아웃을 수행하는 경통부(255), 상기 경통부(255)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부(254),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광원을 제공하는 플래시(2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251)는 상기 휴대 단말(2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252)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260)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261),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262),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63), 적어도 하나의 진동 소자(264), 커넥터(265), 키패드(266), 이어폰 연결 잭(267) 및 입력 장치(1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출력 모듈(260)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또는 커서 방향 키들과 같은 커서 컨트롤(cursor control)이 터치스크린(290) 상의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버튼(261)은 상기 휴대 단말(200)의 하우징(또는 케이스)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 볼륨 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262)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소리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263)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신호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방송 데이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 등)에 대응되는 소리를 휴대 단말(2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263)는 휴대 단말(100)이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소리(예를 들어,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통화 연결음,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263)는 상기 휴대 단말(2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소자(264)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휴대 단말(200)은 다른 장치로부터 음성 또는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 소자(264)가 동작한다. 진동 소자(264)는 상기 휴대 단말(2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소자(264)는 터치스크린(290) 또는 디지타이저(106)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필기 입력과 매핑된 휴대 단말(200)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수행되면, 해당 기능이 수행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진동 소자(264)가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수행되는 기능별로 대응되는 진동 소자(264)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진동 소자(264)는 제어 신호 별로 진동의 세기, 진동유지 시간 등을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진동으로 수행된 기능을 분별할 수 있다.
커넥터(265)는 상기 휴대 단말(200)과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전원 소스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커넥터(2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휴대 단말(200)의 저장부(2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0)은 커넥터(2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 소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거나, 전원 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266)는 휴대 단말(2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266)는 휴대 단말(2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2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는 휴대 단말(2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은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 삽입되어 상기 휴대 단말(200)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 장치(100)는 휴대 단말(2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휴대 단말(200)로부터 인출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100)가 삽입되는 휴대 단말(200) 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입력 장치(100)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탈/부착 인식 스위치(269)가 구비되어 있고, 탈/부착 인식 스위치(269)는 상기 입력 유닛(268)의 장착 및 분리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탈/부착 인식 스위치(269)는 상기 입력 장치(100)의 장착시 직·간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부착 인식 스위치(269)는 상기 입력 장치(100)과의 접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장치(100)의 장착 또는 분리에 대응하는 신호(즉, 입력 장치(100)의 장착 또는 분리를 통지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270)은 휴대 단말(2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27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2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휴대 단말(2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 센서, 근조도 센서 또는 휴대 단말(200)의 동작(예를 들어, 휴대 단말(200)의 회전, 휴대 단말(200)의 가속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휴대 단말(200)의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 GPS 모듈(257), 휴대 단말(200) 주변의 자성의 변화를 검출하는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등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257)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휴대 단말(100)까지의 전파 도달 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2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자기 센서는 휴대 단말(200)을 감싸는 커버, 예컨대, 상기 덮개부(153)가 자성을 띄는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덮개부(153)가 휴대 단말(200)을 덮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자성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저장부(275)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통신 모듈(220), 멀티미디어 모듈(240), 카메라 모듈(250), 입/출력 모듈(260), 센서 모듈(270), 터치스크린(290) 또는 디지타이저(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75)는 휴대 단말(200) 또는 제어부(2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275), 제어부(210) 내 롬(212), 램(213) 또는 휴대 단말(2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의 임의의 데이터 저장 장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저장부(275)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75)는 내비게이션, 화상 통화, 게임, 사용자에게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알람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데이터, 휴대 단말(200)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경 이미지들(메뉴 화면, 대기 화면 등) 또는 운영 프로그램들, 카메라 모듈(25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7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입력 장치(100)에 의한 필기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필기 모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필기 입력과 매핑된 휴대 단말(20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실행 정보를 필기 입력과 대응되도록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저장부(275)에 저장된 필기 입력과 매핑된 휴대 단말(20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실행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복수의 기능의 실행 정보들이 특정 그룹 단위, 폴더 단위, 카테고리 단위 등으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10)는 입력 장치(100)를 통해 필기 입력되는 텍스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와 매핑된 휴대 단말(20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실행 정보를 저장부(275)에서 검색할 수 있다.
저장부(275)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저장부(275)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시디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학 디스크,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램, 피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28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2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는 휴대 단말(20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280)는 커넥터(2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2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2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20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컨대,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스크린(29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290)은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295)로 출력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290)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다른 입력 장치(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전자 펜 등)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2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290)은 손가락 및 다른 입력 장치에 의한 입력을 각각 입력받을 수 있도록, 손가락 및 다른 입력 장치의 터치나 접근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 값을 터치스크린 컨트롤러(295)에 제공하고, 터치스크린 컨트롤러(295)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스크린(290)으로부터의 입력이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지, 다른 입력 장치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는 터치스크린(2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컨대, 터치스크린(2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가능한 간격이 1 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2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휴대 단말(2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295)는 터치스크린(290)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제어부(2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295)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290)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295)는 터치스크린(2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 위치뿐만 아니라 호버링 간격 또는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2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295)는 터치스크린(2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 수단이 터치스크린(290)을 누르는 압력을 검출할 수 있고, 확인된 압력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200)의 전면(201) 중앙에는 터치스크린(290)이 배치된다. 터치스크린(290)은 휴대 단말(200)의 전면(201)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2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휴대 단말(200)의 전원을 켰을 때 터치스크린(2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휴대 단말(200)이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가질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291-1, 291-2, 291-3), 메인 메뉴 전환키(2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 메뉴 전환키(291-4)를 선택하면, 상기 터치스크린(290)에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290)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 상태, 수신 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휴대 단말(2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바(Status Bar; 29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290)의 하부에는 홈 버튼(261a), 메뉴 버튼(261b), 및 뒤로 가기 버튼(261c)이 형성될 수 있다. 홈 버튼(261a)은 터치스크린(2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290)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버튼(261a)이 선택되면, 터치스크린(2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290) 상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261a)이 선택되면, 상기 터치스크린(290)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261a)은 상기 터치스크린(290)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애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261b)은 터치스크린(290) 상에 표시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2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표시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휴대 단말(200)의 전면(201)의 가장자리에는 제1 카메라(251)와 조도 센서(270a) 및 근접 센서(270b)가 배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200)의 후면(203)에는 제2 카메라(252), 플래시(flash, 253), 스피커(263)가 배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200)의 측면(202)에는 예를 들어 전원/잠금 버튼(261d), 볼륨 증가 버튼(261f) 및 볼륨 감소 버튼(261g)을 갖는 볼륨 버튼(261e),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DMB 안테나(241a),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2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DMB 안테나(241a)는 휴대 단말(200)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단말(2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265)가 형성된다. 커넥터(2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휴대 단말(2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26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267)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200)의 하단 측면으로 입력 장치(100)가 장착될 수 있다. 입력 장치(100)은 휴대 단말(2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휴대 단말(200)로부터 인출 및 분리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예로서 휴대 단말(200)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8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패널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100)와 조합될 수 있는 입력 패널은 통신부(161), 저장부(162), 제어부(163), 디지타이저 컨트롤러(164) 및 디지타이저(16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165)는 전자기유도방식으로 입력 장치(100)의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티지타이저(165)는 1차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0)가 1차 전자기장 영역으로 이동하면, 1차 전자기장에 의해 입력 장치(100)의 유도 코일에 유도 전류가 형성될 수 있다. 형성된 유도 전류에 의해 입력 장치(100)의 회로부(101)가 2차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타이저(165)는 입력 장치(100)의 2차 전자기장의 이동이나 변화로부터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 컨트롤러(164)는 디지타이저(165)가 검출하는 아날로그 신호, 예컨대, 필기 입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63)로 전송한다.
제어부(163)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164)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부(161)를 통해 전자 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3)는 입력 패널(106)의 각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62)는 통신부(161)로 전송하기 위한 디지타이저 컨트롤러(164)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2)는 입력 패널(106)의 각 구동부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입력 패널(106)은 통신부(161), 저장부(162), 제어부(163), 디지타이저 컨트롤러(164), 디지타이저(165),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66) 및 터치스크린(16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a)의 입력 패널(106)에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66)와 터치스크린(167)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66)와 터치스크린(167)의 상세한 설명은 도 11의 터치스크린 컨트롤러(295) 및 터치스크린(290)의 설명과 동일하고,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14의 (a)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입력 패널(106)은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167)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67)은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입력, 입력 장치에 의한 입력 등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여, 필기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 검출할 수 있다. 선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전자 장치는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패널, 예컨대, 터치스크린(167)을 통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상면에 위치한 종이와 같은 중간 매체의 페이지를 넘기는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중간 매체의 페이지를 넘기는 동작을 전자 장치에서 인식하는 것에 대해서는 도 18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입력 장치(100), 입력 패널 및 전자 장치(200)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나기 위해 별도로 도면에 표시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별도의 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개시에서 각 기능부라 함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기능부는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개시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하, 도 15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의 절차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먼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중간 매체 기록 모드가 활성화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1501). 전자 장치의 중간 매체 기록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다음 1502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중간 매체 기록 모드가 활성화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중간 매체 기록 모드가 활성화되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에 의해 중간 매체에 필기 시 입력되는 필기 입력을 입력 장치로부터 검출할 수 있는 대기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중간 매체 기록 모드가 활성화되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필기를 개시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1502).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필기를 개시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다음 1503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필기를 개시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 또는 디지타이저에 접근하거나, 그에 근접하게 위치함에 따른 호버링 이벤트와 같은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호버링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입력 장치의 필기 개시를 판단할 수 있다. 호버링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 내에는 중간 매체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전자 장치의 호버링 이벤트 감지 영역에 위치하며, 중간 매체는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에 위치 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필기를 개시하였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들 중 필기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1503).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가 활성화되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화면의 동작 상태와 상관없이 상기 필기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화면이 꺼진 상태 또는 켜진 상태에서 상기 필기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가 활성화되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1504).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입력 패널, 전자 장치와 독립된 입력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입력 패널을 통해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가 활성화되면, 입력 패널로서 제공되는 디지타이저는 1차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상기 1차 전자기장에 의해 2차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는 상기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2차 전자기장의 변화를 검출하여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는 검출된 상기 필기 입력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전자 장치의 제어부로 전달 또는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를 통해 필기 입력되는 특수 텍스트, 텍스트, 점, 선, 도형, 그림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검출된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1505).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검출된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전자 장치는 검출된 필기 입력과 동일한 데이터가 있는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서 검색할 수 있다. 검색 결과, 검출된 필기 입력과 동일한 데이터가 저장부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 수행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서 추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추출된 기능 수행 데이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필기 입력과 동일한 데이터는 특수 텍스트, 텍스트, 점, 선, 도형, 그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수행 데이터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다른 입력 방법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1601).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장치가 분리되면, 다음 1602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장치가 분리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장치가 분리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의 내부에는 입력 장치가 분리 또는 결합 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 장치의 분리 또는 결합과 관련된 신호를 전달받아,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와 결합 또는 분리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스위치는 전자 장치의 수납 공간에 입력 장치가 결합하면 입력 장치와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입력 패널에서 발생시킨 1차 전자기장에 의해 입력 장치에서 발생하는 2차 전자기장을 검출하여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와 결합 또는 분리되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되었으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를 감싸고 있는 커버, 예를 들어, 보호 커버의 덮개부가 닫혀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1602). 전자 장치는 덮개부가 닫혀 있으면, 다음 160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장치는 덮개부가 닫혀있지 않으면, 덮개부가 닫힐 때까지 대기하기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센서부에 구비된 자기 센서를 통해 보호 커버의 덮개부가 닫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덮개부에 포함된 자성 부분의 자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덮개부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측정된 자력 세기와 덮개부가 열린 상태의 측정된 자력의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측정된 자력 세기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가 닫혀있는지 또는 열려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센서부에 구비된 조도 센서를 통해 보호 커버의 덮개부가 닫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보호 커버의 덮개부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측정된 조도와 덮개부가 열린 상태에서 측정된 조도를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측정된 조도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가 닫혀있는지 또는 열려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전자 장치는 덮개부가 닫혀있으면,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들 중 필기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1603).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가 활성화되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화면의 동작 상태와 상관없이 상기 필기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화면이 꺼진 상태 또는 켜진 상태에서 상기 필기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가 활성화 되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1604).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입력 패널, 전자 장치와 독립된 입력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입력 패널을 통해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가 활성화되면, 입력 패널로서 제공되는 디지타이저는 1차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상기 1차 전자기장에 의해 2차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는 상기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2차 전자기장의 변화를 검출하여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는 검출된 상기 필기 입력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전자 장치의 제어부로 전달 또는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를 통해 필기 입력되는 특수 텍스트, 텍스트, 점, 선, 도형, 그림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검출된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1605).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검출된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전자 장치는 검출된 필기 입력과 동일한 데이터가 있는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서 검색할 수 있다. 검색 결과, 검출된 필기 입력과 동일한 데이터가 저장부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 수행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서 추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추출된 기능 수행 데이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필기 입력과 동일한 데이터는 특수 텍스트, 텍스트, 점, 선, 도형, 그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수행 데이터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를 종료시키는 기능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필기 입력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를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필기 모드를 종료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를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필기 모드를 종료하기 전에, 필기 내용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 동작 중 필기 입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저장부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다음 필기 모드 동작 시 이전에 입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는 비정상적으로 종료될 수 있다. 필기 모드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는 전자 장치가 강제로 종료되는 경우, 전자 장치의 전원이 끊어져 전자 장치의 동작이 종료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어도, 전자 장치는 다음 필기 모드 동작 시 이전에 입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 동작 중 필기 입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또 다른 입력 방법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먼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1701).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장치가 분리되면, 다음 1702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장치가 분리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장치가 분리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의 내부에는 입력 장치가 분리 또는 결합 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 장치의 분리 또는 결합과 관련된 신호를 전달받아,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와 결합 또는 분리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스위치는 전자 장치의 수납 공간에 입력 장치가 결합하면 입력 장치와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입력 패널에서 발생시킨 1차 전자기장에 의해 입력 장치에서 발생하는 2차 전자기장을 검출하여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와 결합 또는 분리되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되었으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를 감싸고 있는 커버, 예를 들어, 보호 커버의 덮개부가 닫혀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1702). 전자 장치는 덮개부가 닫혀 있으면, 다음 170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장치는 덮개부가 닫혀있지 않으면, 덮개부가 닫힐 때까지 대기하기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센서부에 구비된 자기 센서를 통해 보호 커버의 덮개부가 닫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덮개부에 포함된 자성 부분의 자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덮개부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측정된 자력 세기와 덮개부가 열린 상태의 측정된 자력의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측정된 자력 세기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가 닫혀있는지 또는 열려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센서부에 구비된 조도 센서를 통해 보호 커버의 덮개부가 닫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보호 커버의 덮개부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측정된 조도와 덮개부가 열린 상태에서 측정된 조도를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측정된 조도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가 닫혀있는지 또는 열려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전자 장치는 덮개부가 닫혀있으면,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들 중 필기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1703).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가 활성화되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화면의 동작 상태와 상관없이 상기 필기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화면이 꺼진 상태 또는 켜진 상태에서 상기 필기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와 결합하였는지 재차 판단할 수 있다(1704).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입력 장치가 결합하면, 다음 1708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입력 장치가 결합하지 않았으면, 다음 1705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의 내부에는 입력 장치가 분리 또는 결합 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 장치의 분리 또는 결합과 관련된 신호를 전달받아,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와 결합 또는 분리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스위치는 전자 장치의 수납 공간에 입력 장치가 결합하면 입력 장치와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입력 패널에서 발생시킨 1차 전자기장에 의해 입력 장치에서 발생하는 2차 전자기장을 검출하여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와 결합 또는 분리되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가 결합하면, 필기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1708). 전자 장치는 필기 입력을 저장하는 동작의 수행을 완료한 후 1701 동작을 다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입력 패널, 전자 장치로부터 독립된 입력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패널을 통해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패널은 검출된 필기 입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자 장치로 전달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패널은 검출된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을 입력 패널의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입력 장치가 결합하면, 상기 입력 패널로부터 전달 또는 전송받은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을 전자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입력 장치가 결합하지 않았으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1705).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입력 패널, 전자 장치와 독립된 입력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입력 패널을 통해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가 활성화되면, 입력 패널로서 제공되는 디지타이저는 1차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상기 1차 전자기장에 의해 2차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는 상기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2차 전자기장의 변화를 검출하여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는 검출된 상기 필기 입력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전자 장치의 제어부로 전달 또는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의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를 통해 필기 입력되는 특수 텍스트, 텍스트, 점, 선, 도형, 그림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검출된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1706).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검출된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전자 장치는 검출된 필기 입력과 동일한 데이터가 있는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서 검색할 수 있다. 검색 결과, 검출된 필기 입력과 동일한 데이터가 저장부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 수행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서 추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추출된 기능 수행 데이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필기 입력과 동일한 데이터는 특수 텍스트, 텍스트, 점, 선, 도형, 그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수행 데이터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를 종료시키는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1707).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를 종료시키는 종료 명령이 수신되면, 다음 1708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를 종료시키는 종료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다시 1703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를 종료시키는 기능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필기 입력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필기 모드를 종료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필기 모드를 종료하기 전에, 필기 내용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 동작 중 필기 입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저장부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다음 필기 모드 동작 시 이전에 입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는 비정상적으로 종료될 수 있다. 필기 모드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는 전자 장치가 강제로 종료되는 경우, 전자 장치의 전원이 끊어져 전자 장치의 동작이 종료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어도, 전자 장치는 다음 필기 모드 동작 시 이전에 입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 동작 중 필기 입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도 16 및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탈착 가능한 입력 장치가 결합 또는 분리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되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 예로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독립된 입력 패널과 입력 장치가 결합 또는 분리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와 독립된 입력 패널이 입력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입력 장치가 결합 또는 분리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와 독립된 입력 패널이 입력 장치의 전자기장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와 독립된 입력 패널은 검출된 입력 장치의 전자기장의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독립된 입력 패널로부터 수신한 입력 장치의 전자기장의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와 독립된 입력 패널과 입력 장치가 결합 또는 분리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들을 설명하였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개시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개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도 18 및 도 19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을 전자 장치에서 처리하는 예들을 설명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을 전자 장치에서 처리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패널은 입력 장치와 입력 패널 사이에 중간 매체가 존재하여도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입력 패널은 일정 범위 이내에 입력 장치가 위치하면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정 범위는 입력 패널에서 형성된 1차 전자기장에 입력 장치가 영향을 받아 2차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범위이다. 입력 패널은 상기 범위 이내에 중간 매체가 위치하여도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중간 매체는 1차 전자기장 및 2차 전자기장이 통과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 패널은 2차 전자기장이 통과하는 중간 매체에서 입력 장치의 필기에 의한 필기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매체는 1차 전자기장 및 2차 전자기장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패널은 종이와 같은 중간 매체가 입력 패널의 상면에 위치하고, 입력 패널은 종이 위에 입력 장치가 위치하여도 입력 장치의 필기에 의한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의 덮개부가 닫혀있으면,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중간 매체 기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전자 장치의 중간 매체 기록 모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의 상태와 상관없이 입력 장치가 필기 입력을 개시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의 필기가 개시되면, 사용자가 중간 매체에 입력 장치를 통해 필기하는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입력 패널의 상부 또는 전자 장치와 독립된 입력 패널의 상부에 종이와 같은 중간 매체가 위치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중간 매체에 수기를 가능하게 하는 볼펜이나 연필과 같은 기록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중간 매체에 필기 입력을 할 수 있다.
도 18(a)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에 의해 중간 매체에 필기 입력(1801)이 수기되는 과정이 도시되었다. 입력 장치에 의해 중간 매체에 필기 입력(1801)이 가능하다. 필기 입력(1801)은 특수 텍스트, 텍스트, 도형, 기호, 그림, 점, 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수기된 필기 입력(1801) 중 일부를 교정하기 위해 교정 부호 중 삭제의 의미로 취소선(1802)을 수기된 필기 입력(1801) 중 삭제를 원하는 부분에 추가로 수기할 수 있다. 입력 장치에 의해 취소선(1802)의 주변에 추가 필기 입력(1803)이 수기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면, 중간 매체에 수기로 입력되는 필기 입력(1801), 취소선(1802) 및 추가로 입력되는 필기 입력(1803)이 입력 패널에 의해 검출되고,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에 반영되는 과정이 도시되었다.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에 의한 중간 매체의 필기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필기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위에 추가로 필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 부호를 인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상기 인식된 교정 부호와 매핑된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교정 부호의 기능은 사이 띄우기, 삭제하기, 내용 바꾸기, 자리 바꾸기, 삽입하기, 줄 잇기, 들여쓰기, 내어쓰기, 끌어 내리기, 끌어 올리기, 삭제 내용 되살리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교정 부호의 기능은 텍스트, 도형, 기호 등 적어도 하나와 매핑되어 전자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따라 처리되면, 정정 모드가 활성화되고, 필기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의 위치와 추가로 입력된 필기 입력의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에 의해 수기된 필기 입력(1801) 중 일부를 교정하기 위해, 교정 부호 중 삭제의 의미로 취소선(1802)이 상기 수기된 필기 입력(1801) 중 삭제를 원하는 부분에 추가로 수기되면, 전자 장치는 취소선(1802)을 인식하고 취소선(1802)과 겹치는 필기 입력(1801)을 삭제 처리할 수 있다. 입력 장치에 의해 취소선(1802)의 주변에 추가 필기 입력(1803)이 수기되면, 전자 장치는 추가 필기 입력(1803)을 인식하고 삭제 처리된 필기 입력(1801)의 위치로 배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필기 입력(1801)의 각도 등을 반영하여 추가 필기 입력(1803)을 상기 각도를 고려하여 삭제 처리된 필기 입력(1801)의 위치로 재배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교정 부호를 인식하고, 교정부호와 매핑된 기능을 실행하여, 교정된 필기 입력(1805)을 필기 모드에 반영할 수 있다.
도 18(c)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에 의해 중간 매체에 기능 텍스트(1806)와 필기 입력(1807)이 수기되는 과정이 도시되었다. 입력 장치는 중간 매체에 기능 텍스트(1806)와 필기 입력(1807)을 수기할 수 있다. 필기 입력(1807)은 특수 텍스트, 텍스트, 도형, 기호, 그림, 점, 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입력 장치에 의해 중간 매체에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텍스트(1806)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명령하는 기능 실행 부호(1808)가 추가로 수기될 수 있다.
기능 텍스트(1806)는 전자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매핑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장치에 의해 "tel" 이 중간 매체에 필기된 경우에는 전자 장치의 전화 거는 기능과 매핑될 수 있다. 입력 장치에 의해 "mms"가 중간 매체에 필기된 경우에는 전자 장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와 매핑될 수 있다. 입력 장치에 의해 "-"가 중간 매체에 필기된 경우에는 전자 장치의 전화번호부에 "-" 사이에 필기된 숫자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8(d)를 참조하면, 중간 매체에 수기로 입력되는 기능 텍스트(1806)와 필기 입력(1807) 및 기능 실행 부호(1808)가 입력 패널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된 필기가 반영된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이 도시되었다. 전자 장치는 기능 텍스트(1806) 및 기능 실행 부호(1808)가 중간 매체에 수기되면, 인식 영역(1809) 내에 필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기능 텍스트(1806)와 매핑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중간 매체에서 필기된 내용을 포함하는 첨부 파일을 생성하여 인식 영역(1809) 내에 필기와 매칭되는 이메일 주소를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해당 주소로 이메일을 발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인식 영역(1809) 내에 필기 중 쉼표가 있는 경우 다수의 수신인에게 이메일을 발송하려는 것을 인식하고, 쉼표 사이에 각 필기와 매칭되는 각 이메일 주소를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중간 매체에서 필기된 내용을 포함하는 첨부 파일을 해당 주소들로 발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특정 필기와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서로 매핑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필기를 인식하고, 필기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도 18(a) 내지 18(d)에서 설명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모드가 중간 매체 기록 모드가 활성화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전자 장치가 중간 매체 기록 모드로 동작하면, 입력 장치의 필기가 개시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의 필기가 개시되면,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검출된 필기 입력과 대응되는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보호 커버의 덮개부가 닫혀있으면, 전자 장치의 중간 매체 기록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입력 패널의 호버링 이벤트 감지가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면, 입력 장치가 필기 개시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전자 장치의 중간 매체 기록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입력 장치의 수납 공간, 입력 패널에 구비된 입력 장치의 수납 공간 중 어느 한 곳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입력 장치의 수납 공간, 입력 패널에 구비된 입력 장치의 수납 공간 중 어느 한 곳으로부터 분리되었으면, 전자 장치의 중간 매체 기록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중간 매체 기록 모드 또는 필기 모드로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화면은 켜고, 필기 모드를 실행할 필요가 없이 입력 장치를 통해 필기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수기로 필기한 내용을 중간 매체를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중간 매체의 페이지를 넘기는 동작을 전자 장치에서 인식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 패널(106) 상면에 밀착된 종이와 같은 중간 매체(1901)의 페이지를 넘기는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중간 매체(1901)의 페이지가 넘어가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의 필기에 의한 필기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필기 입력 저장 후, 전자 장치는 새로운 필기 모드의 페이지를 생성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중간 매체(1901)의 접촉 지점에 압력이 가해지면, 전자 장치는 상기 압력이 가해지는 접촉 지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촉은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예를 들어 손가락)에 의한 접촉, 입력 장치에 의한 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매체(1901)는 입력 패널(106)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입력 패널(106)은 터치스크린과 터치스크린 패널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터치스크린의 압력이 가해지는 접촉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중간 매체(1901)의 접촉 지점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압력은 중간 매체(1901)의 특정 지점의 하부에 밀착되어 위치하는 입력 패널(106)의 터치스크린의 접촉 지점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중간 매체의 접촉 지점에 압력이 가해지면, 입력 패널을 통해 압력이 가해지는 접촉 지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d)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중간 매체(1901)에 접촉 지점에 압력이 가해지면, 입력 패널(106)의 접촉 지점은 전하량이 변화한다. 따라서, 입력 패널은 중간 매체(1901)의 특정 지점에서 발생하는 접촉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매체(1901)의 제1 지점(1902) 및 제2 지점(1903)에 접촉이 발생하면, 중간 매체(1901)의 제1 지점(1902)에 대응되는 입력 패널(106)의 터치 스크린(1905)의 제1 지점(1906) 및 제2 지점(1907)의 전하량이 변화한다. 입력 패널(106)의 터치스크린(1905)의 제1 지점(1906)은 중간 매체(1901)의 제1 지점(1902) 하측에 위치하며, 입력 패널(106)의 터치스크린(1905)의 제2 지점(1907)은 중간 매체(1901)의 제2 지점(1903) 하측에 위치한다. 입력 패널(106)은 터치스크린(1905)의 제1 지점(1906) 및 제2 지점(1907)의 전하량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중간 매체(1901)의 제1 지점(1902) 및 제2 지점(1903) 중 한 지점의 위치가 나머지 다른 지점의 위치로 이동되면, 대응되는 입력 패널(106)의 터치스크린(1905)의 제1 지점(1906) 및 제2 지점(1907) 중 한 지점의 위치가 나머지 다른 지점의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중간 매체(1901)의 페이지가 넘어가는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중간 매체(1901)의 페이지가 넘어가면, 입력 장치의 필기에 의한 필기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필기 입력이 저장된 후, 전자 장치는 새로운 필기 모드의 페이지를 생성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별도로 마련된 터치스크린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입력 패널을 통해 중간 매체(1901)의 페이지가 넘어가는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중간 매체(1901)의 페이지 넘기는 동작 인식 시, 이미 검출된 입력 패널(106)의 터치스크린(1905)의 제1 지점(1906) 및 제2 지점(1907) 이외의 중간 매체(1901)의 제3 지점(1904)의 압력으로 인한 입력 패널(106)의 터치스크린(1905)의 제 3 지점(1907)이 검출되어도, 중간 매체의 페이지 넘기는 동작 인식시 제외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입력 장치 101: 공진 회로부
102: 기록 부재 103: 연결 부재
104: 몸체 105: 보호 커버
106: 입력 패널 10: 전자 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가변 리액턴스를 가진 리액턴스 소자를 포함하는 회로부; 및
    중간 매체에 기록을 하기 위한, 아울러, 상기 리액턴스 소자와 커플링된 기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매체에 기록이 진행됨에 따른 필기 압력이 상기 기록 부재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리액턴스 소자의 리액턴스가 변화하는 입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공진 회로부인 입력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부재는 종이에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필기 부재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매체는 종이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리액턴스 소자로 필기 압력을 전달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입력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를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에 제공되는 팁(tip);
    상기 기록 부재를 수용하는 필기구 몸체; 및
    상기 필기구 몸체에 형성된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몸체가 상기 수용홈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스타일러스 몸체가 상기 수용홈에 장착되면 상기 팁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팁을 통해 필기 압력이 상기 리액턴스 소자로 전달하는 입력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리액턴스 소자로 필기 압력을 전달하는 연결 부재;
    상기 공진 회로부, 기록 부재 및 연결 부재를 수용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수용되어 상기 기록 부재를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입력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부재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팁 부재(tip member)를 더 포함하는 입력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리액턴스 소자로 필기 압력을 전달하는 연결 부재;
    상기 공진 회로부, 기록 부재 및 연결 부재를 수용하는 몸체; 및
    상기 연결 부재로서 제공되며, 상기 몸체 내에서 상기 기록 부재를 감싸게 결속되는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 코일이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입력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수용되어 상기 기록 부재와 페라이트 코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입력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리액턴스 소자로 필기 압력을 전달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기록 부재의 외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게 결합하는 입력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에 형성되는 결속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 돌기가 상기 기록 부재의 외주면에 맞물리는 입력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입력 패널에 의해 형성된 1차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에 의해 2차 전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입력 패널이 상기 2차 전자기장으로부터 상기 기록 부재의 필기 입력을 검출하는 입력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널은 휴대 전자 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널은 휴대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디지타이저(digitizer)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16. 입력 장치를 통해 중간 매체에 기록 가능한 중간 매체 기록 모드인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입력 장치의 필기 개시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입력 장치의 필기 개시 시, 상기 전자 장치의 필기 모드를 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입력 장치의 필기에 의한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검출된 입력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의 필기 개시를 판단하는 동작 전에,
    탈착 가능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되었는지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입력 장치가 분리되었으면, 상기 입력 장치의 필기 개시를 판단하는 동작을 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매체에서 가해지는 접촉에 의한 전하량 변화를 검출하고, 상기 접촉이 가해지는 상기 중간 매체의 제1 및 제2 지점 중 한 지점의 위치가 나머지 다른 지점의 위치로 이동하면, 새로운 필기 모드의 페이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필기를 인식하고, 필기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위에 추가로 필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 부호를 인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상기 교정 부호와 매핑된 상기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따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
  20. 제16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의 각 동작을 컴퓨터 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0130082238A 2013-07-12 2013-07-12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입력 방법 KR102179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238A KR102179156B1 (ko) 2013-07-12 2013-07-12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입력 방법
US14/150,567 US9575572B2 (en) 2013-07-12 2014-01-08 Input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EP14151059.4A EP2824544B1 (en) 2013-07-12 2014-01-14 Input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CN201410043103.6A CN104281316B (zh) 2013-07-12 2014-01-29 电子设备的输入设备及使用所述输入设备的输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238A KR102179156B1 (ko) 2013-07-12 2013-07-12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780A true KR20150007780A (ko) 2015-01-21
KR102179156B1 KR102179156B1 (ko) 2020-11-16

Family

ID=5015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238A KR102179156B1 (ko) 2013-07-12 2013-07-12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75572B2 (ko)
EP (1) EP2824544B1 (ko)
KR (1) KR102179156B1 (ko)
CN (1) CN10428131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606A (ko) 2016-09-29 2018-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76343A (ko) * 2016-12-27 2018-07-05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자필 정보 처리 장치, 자필 정보 처리 방법 및 자필 정보 처리용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0580A (zh) * 2014-12-11 2015-04-2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组合式附件系统及其组合式附件
US10359849B2 (en) * 2015-04-14 2019-07-23 Jose Antonio DELMAR LISS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touch-generated messages
EP3106067B1 (en) * 2015-06-15 2019-07-31 Seloy Oy Insulating glazing unit with projection and input means
JP6618536B2 (ja) 2015-07-29 2019-12-11 株式会社ワコム 座標入力装置
WO2017020208A1 (zh) * 2015-08-02 2017-02-09 李强生 根据虹膜匹配家用电器遥控器的方法以及遥控器
CN105549862B (zh) * 2015-12-09 2019-06-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闹钟提醒方法、装置和终端设备
JP6668386B2 (ja) * 2016-02-05 2020-03-18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
CN106204958B (zh) * 2016-07-08 2018-10-02 盐城旷智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虹膜进行识别的atm机输入装置
US10296089B2 (en) * 2016-08-10 2019-05-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aptic stylus
US10236710B1 (en) * 2016-12-20 2019-03-19 Quirklogic, Inc. Stylus securing apparatus
CN110119216A (zh) * 2019-06-12 2019-08-13 卓阅科技(深圳)有限公司 智能笔及教学设备
EP4181876A1 (en) 2020-07-14 2023-05-24 Nutrition Lipid Developments Isotonic lipid emul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4574A (ja) * 1995-01-13 1996-07-30 Wacom Co Ltd 感圧素子及び感圧機能付スタイラスペン
KR20090130241A (ko) * 2007-04-11 2009-12-21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정전용량형 힘센서를 구비한 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7667T1 (de) * 1987-08-24 1991-09-05 Wacom Co., Ltd., Saitama, Jp Koordinateneingabesystem mit einem eingabeschreibstift.
JPH04119174A (ja) 1990-09-10 1992-04-20 Toray Dow Corning Silicone Co Ltd 繊維処理剤
JP3195528B2 (ja) * 1995-11-01 2001-08-06 株式会社セイコーアイ・インフォテック スタイラスペン及びそのスタイラスペンを使用した座標読取システム
US5631741A (en) 1995-12-29 1997-05-20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carbon paper
US6259043B1 (en) 1996-01-23 2001-07-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pertaining to a digitizer for use in paper based record systems
US6362440B1 (en) * 1998-03-27 2002-03-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y interfaceable portable computing device
ATE250784T1 (de) 1998-11-27 2003-10-15 Synaptics Uk Ltd Positionssensor
GB2355433A (en) 1999-10-19 2001-04-25 Celestica Ltd Electronic touch sensitive panel for ring binder
CN2454827Y (zh) * 2000-12-13 2001-10-17 黑龙江黑大同庆软件工程股份有限公司 直观式电子复写装置
JP4119174B2 (ja) 2002-06-18 2008-07-16 株式会社ワコム 入力ペン
US7262764B2 (en) 2002-10-31 2007-08-28 Microsoft Corporation Universal computing device for surface applications
US6999067B2 (en) * 2002-12-30 2006-02-14 Aiptek International Inc. Electromagnetic induction pen-like device with writing function
CN1581913A (zh) * 2003-08-13 2005-02-16 亿燿企业股份有限公司 移动电话外接式手写辨识输入装置
US6985138B2 (en) * 2003-08-29 2006-01-10 Motorola, Inc. Input writing device
US7502509B2 (en) * 2006-05-12 2009-03-10 Velosu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pen stroke correction
US20080166175A1 (en) 2007-01-05 2008-07-10 Candledragon, Inc. Holding and Using an Electronic Pen and Paper
US7891253B2 (en) 2007-04-11 2011-02-2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Capacitive force sensor
JP5235472B2 (ja) 2008-04-01 2013-07-10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
CN101807135B (zh) 2009-02-16 2011-12-07 太瀚科技股份有限公司 无边缘区域的数字板及其坐标计算电路
US7990702B2 (en) * 2009-07-31 2011-08-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figurable input i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KR101055926B1 (ko) 2009-08-04 2011-08-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필기 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필기 입력 시스템에 포함되는 전자 책받침 및 그 제어방법
JP5444073B2 (ja) * 2010-03-25 2014-03-19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201721186U (zh) * 2010-05-24 2011-01-26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可切换笔芯的笔形装置
KR20120082995A (ko) 2011-01-17 2012-07-25 주식회사 에스앤케이테크놀로지 파우치방식의 휴대기기용 필기정보 입력시스템
KR20120082996A (ko) 2011-01-17 2012-07-25 주식회사 에스앤케이테크놀로지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기기용 필기정보 입력시스템
KR101872255B1 (ko) 2011-11-09 2018-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터치 기능 지원 시스템과 터치 펜
JP5991735B2 (ja) * 2012-04-13 2016-09-14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
JP6012069B2 (ja) * 2012-09-13 2016-10-25 株式会社ワコム 電磁誘導方式の位置指示器及び電子インク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4574A (ja) * 1995-01-13 1996-07-30 Wacom Co Ltd 感圧素子及び感圧機能付スタイラスペン
KR20090130241A (ko) * 2007-04-11 2009-12-21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정전용량형 힘센서를 구비한 감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606A (ko) 2016-09-29 2018-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76343A (ko) * 2016-12-27 2018-07-05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자필 정보 처리 장치, 자필 정보 처리 방법 및 자필 정보 처리용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4544A2 (en) 2015-01-14
US20150015499A1 (en) 2015-01-15
US9575572B2 (en) 2017-02-21
EP2824544B1 (en) 2018-08-15
EP2824544A3 (en) 2015-04-15
CN104281316A (zh) 2015-01-14
KR102179156B1 (ko) 2020-11-16
CN104281316B (zh) 2019-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156B1 (ko)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입력 방법
EP2701056B1 (en) Method for operation of pe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9851890B2 (en) Touchscreen keyboard configu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US9977497B2 (en)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set by a user in a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US9946345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to input unit
US20140160045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a pen
KR102264444B1 (ko)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US20140210758A1 (en) Mobile terminal for generating haptic pattern and method therefor
US20140055427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0482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bration
US201402589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eting an item on a touch screen display
US201200847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e-book pages in portable terminal
US20140285453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US98860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bration
US2015002663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inpu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40281962A1 (en) Mobile device of executing action in display unchecking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05331A (ko)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객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US20140062965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coordinat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00242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1010183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according to floating input
KR20140092106A (ko)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단말과 저장 매체
KR102009679B1 (ko) 입력 장치를 이용한 메모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및 방법
KR102248483B1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 방법
KR20150012544A (ko) 전자 장치의 방향 기능 입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