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620A -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620A
KR20150007620A KR1020130081818A KR20130081818A KR20150007620A KR 20150007620 A KR20150007620 A KR 20150007620A KR 1020130081818 A KR1020130081818 A KR 1020130081818A KR 20130081818 A KR20130081818 A KR 20130081818A KR 20150007620 A KR20150007620 A KR 20150007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access point
information
wireless la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958B1 (ko
Inventor
황익순
하지원
김종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1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958B1/ko
Priority to PCT/KR2014/006264 priority patent/WO2015005727A1/en
Priority to US14/329,166 priority patent/US10433219B2/en
Priority to EP14822492.6A priority patent/EP3020227B1/en
Priority to EP18150890.4A priority patent/EP3328125B1/en
Publication of KR20150007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hand-off failure or re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랜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은, 무선 랜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으로,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핸드오버 불가능인 경우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IN WIRELESS LAN SYSTEM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통신에서 벗어나 데이터 통신 위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 중 하나의 고속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식으로 무선 랜(Wireless LAN)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무선 랜 시스템은 가정에서는 물론, 회사 전체 또는 회사의 일부를 커버하는 범위에서 사용되기도 하며, 백화점 등의 쇼핑몰, 공항 등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전자기술의 발전과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동통신 단말들은 이동통신사로부터의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동시에 무선 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들에서 무선 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이유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경우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지만, 무선 랜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경우 별도의 부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거나 적은 금액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체로 이동통신 단말들은 데이터 통신이 요구될 때 무선 랜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대부분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핸드오버(Handover) 기능을 제공하는 것과 같이 무선 랜 시스템에서도 단말의 활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핸드오버 기능은 하나의 서비스 영역에서 벗어나 다른 서비스 영역으로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서비스 영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절차이다.
무선 랜 시스템에서도 단말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핸드오버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무선 랜 시스템에 기재되어 있는 핸드오버 방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자. 단말(Station)은 하나의 확장 서비스 셋(Extended Service Set, ESS)을 구성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받다. 단말이 핸드오버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는 해당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 신호가 약해지거나 미리 결정된 일정 시간동안 비컨(Beacon)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등의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를 시도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무선 랜 시스템은 회사의 사내 무선 랜 또는 일부 쇼핑몰 등을 제외하면, 대체로 확장 서비스 셋(ESS)은 단일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만을 가진다. 따라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확장 서비스 셋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던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것 자체가 불필요한 핸드오버 시도가 된다.
또한 무선 랜 시스템은 물론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의 경우를 위의 상황에서 가정해 보자. 단말이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확장 서비스 셋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중에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영역에서 벗어나는 경우 단말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 시도를 수행하게 된다. 이후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찾지 못하는 경우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한다. 이처럼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로 이루어진 확장 서비스 셋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던 단말의 경우 불필요한 핸드오버를 처리를 위해 단말의 전력을 소비해야만 한다.
무선 랜 시스템과 이동통신 데이터 네트워크간에 핸드오버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를 고려해 보자. 단말은 이동통신 네트워크보다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최대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기능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단말이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확장 서비스 셋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중에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영역에서 벗어나는 경우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시도를 수행하기 전에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 시도를 수행하게 된다.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에 이러한 불필요한 핸드오버 과정을 추가로 수행함으로 인해 단말에서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게 될 뿐 아니라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되는데 불필요한 시간 지연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불필요한 무선 랜 시스템간 핸드오버 시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불필요한 무선 랜 시스템간 핸드오버 시도로 인한 단말의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는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향후 무선 랜 시스템과 이동통신 데이터 네트워크간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 불필요한 무선 랜 시스템간 핸드오버 시도를 줄임으로써 무선 랜 시스템에서 빠르게 이동통신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 랜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으로,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핸드오버 불가능인 경우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 장치로서, 상기 무선 랜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랜 무선부; 이동통신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무선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변조, 복조,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모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의 수신 및 저장을 제어하며,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핸드오버 불가능인 경우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비컨 신호 또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비컨 신호 또는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에 따라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거나 또는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현재 가정집과 같이 단일 액세스 포인트로 구성된 확장 서비스 셋(ESS)을 가지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무선 랜 네트워크에서 무선 랜 서비스가 되는 영역을 벗어날 경우 불필요한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 시도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향후 무선 랜과 이종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에 핸드오버 기능이 제공될 경우 단일 액세스 포인트로 구성된 확장 서비스 셋(ESS)을 가지는 무선 랜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상황에서 불필요한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 시도를 제거하여 이종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확장 서비스 셋이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로 구성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확장 서비스 셋이 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로 구성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들과 단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랜 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랜 서비스를 제공받는 스마트 단말에서 핸드오버 시의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내부 기능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에서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컨 신호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간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로브 메시지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간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 첨부된 본 발명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된 형태 또는 배치 등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 대한 부가적인 실시 예에 대한 균등 또는 확장은 도면을 참조한 설명을 통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확장 서비스 셋이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로 구성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랜 시스템을 구성하는 확장 서비스 셋(ESS_1)은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10)를 포함하고 있다. 액세스 포인트(10)는 단말(20)로 비컨(Beacon) 신호를 제공하며, 단말(2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확장 서비스 셋(ESS_1)을 구성하는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10)는 본 발명에 따라 비컨 신호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10)는 종래의 액세스 포인트와 달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동일한 확장 서비스 셋(ESS_1)에 포함된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액세스 포인트에서 동일한 확장 서비스 셋에 포함된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라 칭한다.
이러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는 명시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확장 서비스 셋(ESS_1) 내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10)의 개수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고, 확장 서비스 셋(ESS_1)이 복수 개의 액세스 포인트로 구성되었는지 단일 액세스 포인트로 구성되었는지에 대한 정보 등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확장 서비스 셋(ESS_1)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 개인 경우에도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는 명시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는 비컨(Beacon) 신호의 미사용 필드(reserved field) 중 하나의 비트(1bit)를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으며, 가능한 경우 다른 정보들의 조합을 통해 알릴 수도 있다. 비컨 신호 중 미사용 필드 중 하나의 비트를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구체적인 위치에 대해서는 특정하지 않는다. 다만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비트들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미사용 필드의 한 비트는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필드의 Reserved subfield의 하나의 비트를 사용하거나 또는 "Vendor Specific information element" 필드 또는 "Extended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 필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하나의 비트(1 bit)를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랜 시스템의 단말이 다른 이종의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 IEEE 802.11u에서 정의된 것과 같이 액세스 포인트에서 이종의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현재 액세스 포인트에서 이종의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하지를 알리는 정보를 "이종 네트워크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라 칭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서비스 셋(ESS_1)의 액세스 포인트(10)는 단말(20)로 비컨 신호를 송신할 경우 앞서 설명한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한다. 도 1의 경우 확장 서비스 셋(ESS_1)이 단일 액세스 포인트(10)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0"인 경우 핸드오버 불가능을 지시하도록 설정되었다면, 액세스 포인트(10)는 "0"의 값으로 설정하여 전송하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의 설정이 "1"인 경우 핸드오버 불가능을 지시하도록 설정되었다면, "1"의 값을 설정하여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을 확장하면, 액세스 포인트의 개수 정보를 알릴 수도 있으나, 불필요하게 정보를 전송함에 사용되는 비트 수만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이하에서는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이용되는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10)는 비컨 신호에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불가능'로 설정하여 송신한다. 즉,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가 불가능함을 알리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단말(20)은 비컨 신호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저장하며, 이때, 확장 서비스 셋(ESS_1)의 액세스 포인트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단말(20)은 액세스 포인트(10)에 접속되면,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수신하여 핸드오버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에 연결된 단말(20)은 이를 바탕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거나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이용한 핸드오버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확장 서비스 셋이 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로 구성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들과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10, 11, …, 1N)이 하나의 확장 서비스 셋(ESS_1)을 구성하는 경우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장 서비스 셋(ESS_1)이 다수 개의 액세스 포인트로 구성된 경우는 회사 또는 공공장소 등의 특별한 경우들이 대부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10, 11, …, 1N)이 하나의 확장 서비스 셋(ESS_1)을 구성하는 경우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들(10, 11, …, 1N)은 자신의 통신 영역을 가진다. 도 2에서 확장 서비스 셋(ESS_1)의 내부에 액세스 포인트들(10, 11, …, 1N)을 중심으로 한 표시된 영역들이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통신 영역이 된다. 따라서 각 액세스 포인트들(10, 11, …, 1N)은 자신의 영역에 미리 설정된 주기 단위로 비컨 신호를 송신하고, 자신의 영역에 포함된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도 2의 각 액세스 포인트들(10, 11, …, 1N)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비컨 신호에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비트로 또는 다른 정보와의 조합을 통해 또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개수 또는 여러 개의 비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에서 이종의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한지를 알리는 이종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10, 11, …, 1N)로 하나의 확장 서비스 셋이 구성된 경우 일반적으로 비컨 신호에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가능'로 설정하여 송신한다. 즉,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들(10, 11, …, 1N)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가 가능함을 표시하여 송신한다. 이에 따라 단말(20)은 비컨 신호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저장하며, 이때, 확장 서비스 셋(ESS_1)의 액세스 포인트 구성 정보 즉,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20)은 액세스 포인트(10) 접속된 경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미리 판단하고,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미리 판단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를 수행하거나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 수행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는 확장 서비스 셋을 구성할 때,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마다 사용자 또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설정해 주어야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경우에도 핸드오버를 허용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 또는 네트워크 관리자는 해당 액세스 포인트마다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불가능'으로 설정해 주어야 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에서 이종의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한지를 알리는 이종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설정하거나 또는 제품을 생산할 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랜 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스마트 단말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한 제1안테나(ANT_1)와 무선 랜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한 제2안테나(ANT_2)를 가지며, 각각의 안테나들(ANT_1, ANT_2)은 이동통신 무선부(201), 무선랜 무선부(202)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무선부(201)는 송신할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과 음성 또는/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송신할 데이터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대역으로 대역 상승 변환하고, 이동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대역 하강 변환한다. 즉, 이동통신 무선부(201)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기저대역의 데이터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대역으로 대역 상승 변환하여 제1안테나(ANT_1)를 통해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제1안테나(ANT_1)를 통해 이동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대역 하강 변환함으로써,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소정의 무선랜 무선부(202)는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 통신을 위해 송신할 데이터를 무선랜 대역으로 대역 상승 변환하고, 무선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대역 하강 변환한다. 즉, 무선랜 무선부(202)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기저대역의 데이터를 무선랜 네트워크의 대역으로 대역 상승 변환하여 제2안테나(ANT_2)를 통해 무선랜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제2안테나(ANT_2)를 통해 무선랜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대역 하강 변환함으로써,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모뎀(203)은 송/수신 데이터의 변조, 복조, 부호화, 복호화와 같은 일련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도 3은 일반적인 스마트 단말인 경우를 가정하였으므로 모뎀(203)은 음성신호의 변복조와 부호화/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보코더를 포함한다. 모뎀(203)은 마이크(MIC)로부터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모뎀(203)은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의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모뎀(203)은 그 외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경우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변조, 복조, 부호화, 복호화 등의 일련의 동작을 처리한다.
제어부(204)는 스마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무선랜 네트워크에 접속한 상태에서의 핸드오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무선랜 네트워크에 접속한 상태에서의 핸드오버는 후술되는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메모리(205)는 롬(ROM) 또는/및 램(RAM) 등의 저장 매체로, 스마트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제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비컨 신호 또는/및 프로브 응답 메시지 또는/및 그 밖의 다른 메시지나 신호에 포함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에서 이종의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한지를 알리는 이종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모리(105)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06)는 LCD 판넬 또는 LED 판넬 등의 형태로 구성되며, 제어부(204)의 제어에 의해 스마트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과정 및 대기 상태에서 스마트 단말의 상태를 표시한다.
입력부(207)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터치 감지 센서와 키 입력을 위한 키 버튼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입력부(207)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신호 또는/및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04)로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 3에서는 스마트 단말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예 및 후술할 흐름도의 단말에 대한 예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이 반드시 스마트 단말일 필요는 없으며, 무선 랜 서비스만 가능한 단말이거나 또는 무선 랜 서비스와 다른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이라도 무방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랜 서비스를 제공받는 스마트 단말에서 핸드오버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의 제어 흐름도는 먼저 무선 랜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무선 랜 네트워크와 연결된 상태에서 설명한다. 또한 도 4의 제어 흐름도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도 3의 스마트 단말을 단말의 블록 구성으로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며, 스마트 단말이 무선 랜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경우 중 하나가 된다.
스마트 단말의 제어부(204)는 300단계에서 무선랜 무선부(202) 및 모뎀(203)을 통해 확장 서비스 셋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비컨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컨 신호 중 필요한 내용을 메모리(205)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 즉,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205)에 저장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비컨 신호에 이종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204)는 이종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이처럼 수신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단말이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가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로 구성된 확장 서비스 셋인지 아니면 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로 구성된 확장 서비스 셋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204)는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검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후 핸드오버 조건 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결정을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04)는 302단계에서 모뎀(203)과 무선랜 무선부(202)를 제어하여 해당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고, 304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핸드오버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검사한다. 304단계의 검사결과 핸드오버 가능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204)는 306단계로 진행하고, 핸드오버 불가능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204)는 320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304단계에서 306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하자.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핸드오버 가능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204)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연결 상태란,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데이터 통신을 하지는 않지만, 해당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가를 검사하는 대기상태를 포함한다.
제어부(204)는 306단계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무선랜 무선부(202)로 수신된 신호의 수신 세기를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제어부(204)는 308단계에서 무선랜 무선부(202)로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핸드오버 조건을 충족하는가를 검사한다. 308단계의 검사결과 핸드오버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어부(204)는 31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06단계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핸드오버 조건은 일반적으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해당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해당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308단계의 검사결과 핸드오버 조건을 충족하여 310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04)는 이미 204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임을 확인한 상태이므로, 신규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한다. 즉, 핸드오버가 가능한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가를 검색하는 것이다.
제어부(204)는 310단계에서 무선랜 무선부(202) 및 모뎀(203)을 제어하여 현재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비컨 신호가 수신되는가와 만일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비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신호의 세기 등을 검사한다. 즉,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 및 기존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면서 동시에 만일 특정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가 수신된다면 그 신호의 세기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후 제어부(204)는 312단계에서 신규 액세스 포인트 검색에 성공했는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신규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에 성공했다는 것은 기존의 액세스 포인트가 아니고, 동시에 동일 확장 서비스 셋에 포함된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신호가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통신에 적합한 신호의 세기를 가지며,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312단계의 검사결과 신규 액세스 포인트 검색에 성공한 경우 제어부(204)는 314단계에서 무선랜 무선부(202) 및 모뎀(203)을 제어하여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반면에 신규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에 실패한 경우 제어부(204)는 320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 과정을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308단계 내지 314단계의 과정을 다시 간략히 살펴보기로 하자. 단말은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즉, 308단계의 경우 핸드오버가 가능한 인접 액세스 포인트가 있는지 동적 검색(Active Scan)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단말은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셋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SSID)값을 포함한 프로브요구(ProbeRequest) 메시지를 다양한 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단말에서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브응답(Probe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면 프로브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신호 세기 등을 검사하여 새로 연결할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한다. 이때, 프로브응답(ProbeResponse) 메시지에는 본 발명에 따라 비컨 신호를 통해 송신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 가능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새로 연결할 액세스 포인트가 선택되면, 단말은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인증(Authentication) 및 재연결(Reassociation) 등의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304단계에서 320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204)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306단계의 액세스 포인트 연결 유지 상태와 320단계의 액세스 포인트 연결 유지 상태는 핸드오버를 위한 동작을 제외하면, 모두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320단계의 액세스 연결 유지 상태는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는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를 통해 이미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가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수신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종의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4)는 핸드오버 조건이 충족하는가를 판단하는 즉, 322단계의 검사를 수행하지 않는다. 다만, 도 4b에서 핸드오버 조건이 충족하는가를 검사하는 322단계를 둔 이유는 이종의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하였기 때문임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324단계는 322단계 이전에 수행할 수도 있다.
320단계를 수행하면서 지속적으로 접속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의 신호 세기 등을 검사한 결과 핸드오버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제어부(204)는 324단계로 진행하여 이종의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한가를 검사한다.
이종의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단계인 324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는 하기의 2가지 경우가 된다. 첫 번째 경우는 312단계에서 324단계로 진행하는 경우이다. 즉,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가 가능하고, 핸드오버를 위해 신규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였으나 신규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이다. 두 번째 경우는 322단계에서 324단계로 진행하는 경우이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핸드오버 불가능인 경우이고, 이종의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이다.
이상의 2가지 경우 중 어떠한 경우에 해당하여 324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04)는 이종(異種)의 네트워크, 예를 들어 LTE 등의 이동통신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한가를 검사한다. 324단계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는 둘 이상의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인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만일 단말이 이종의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단말인 경우 2가지 방법 각각에 대해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312단계에서 324단계로 진행한 경우에는 324단계로 진행하지 않고, 328단계로 진행하거나 330단계로 진행하여 332단계까지 수행하거나 330단계만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322단계에서 324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324단계로 진행하지 않고, 328단계로 진행하거나 330단계로 진행하여 332단계까지 수행하거나 330단계만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네트워크 모두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을 가정하였으므로, 324단계를 포함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종의 데이터 네트워크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LTE 등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가정한다.
324단계의 검사결과 이종의 데이터 네트워크 즉, 이동통신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 제어부(204)는 이종의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시도한다. 이때, 이종의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한가를 검사할 때, 이동통신 무선부(201) 및 모뎀(203)을 제어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 등을 먼저 검사함으로써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이종의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통신을 수행하던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 즉,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 즉,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여부 정보를 갱신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무선 랜 네트워크와 통신을 하지 않던 상황에서 무선 랜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에 갱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
324단계의 검사결과 이종의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경우 제어부(204)는 328단계로 진행하여 기존에 통신을 수행하던 액세스 포인트가 송신하여 무선랜 무선부(202)로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해당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인가를 검사한다. 즉, 핸드오버 조건을 충족할 정도로 열악한 채널 환경이지만, 해당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이 가능한 상태인가 또는 앞선 핸드오버 조건이 해소되었는가를 검사하는 과정이다.
328단계의 검사결과 기존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 유지가 가능한 경우 제어부(204)는 306단계 또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기존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을 유지한다. 즉,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를 하거나 또는 이종의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가 된다. 해당 상황에서 핸드오버 조건을 충족할 정도로 열악한 채널 환경이 지속되면 필요할 경우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 또는/및 이종의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시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반면에 328단계의 검사결과 기존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의 유지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330단계로 진행하여 무선 랜 연결의 해지를 통보하고, 332단계로 진행하여 기존에 미리 알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이종의 데이터 네트워크로 연결을 시도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액세스 포인트가 자신으로부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으며, 이를 단말로 알려준다. 따라서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현재 접속하고 있는 확장 서비스 셋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동작은 2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핸드오버 불가능인 경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를 시도할 필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핸드오버를 위한 시도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첫 번째 경우에 이종의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 이종의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만일 이종의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반면에 이종의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경우 기존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을 유지하거나 또는 무선랜 연결을 해지한다. 즉,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경우 단말은 불필요한 핸드오버 시도를 줄일 수 있다.
둘째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핸드오버 가능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핸드오버 조건이 충족되면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를 시도한다. 따라서 단말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미리 제공한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에 의거하여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를 시도하거나 시도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여기서도 단말이 이종의 데이터 네트워크로 연결할 수 없는 단말인 경우 무선 랜 연결 해지만을 통보하고, 상기 루틴을 종료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비컨 신호에 이종의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액세스 포인트가 IEEE 802.11u를 미지원 하는 등의 이유로 비컨 신호에 이종의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가능 여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3GPP TS23.234에서 정의되어 있는 것처럼 단말의 Preferred SSID 관리를 통해 이종의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단말이 동일한 확장 서비스 셋 내의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경우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Preferred SSID 정보에 따라 이종의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라면, 비컨 신호에 이종의 데이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내부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Station)과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ANT_1)를 포함한다. 안테나는 무선 모듈(401)과 접속되어, 송신할 신호를 공중으로 송출하고, 대기 중에서 안테나의 길이에 대응하는 파장을 갖는 신호를 획득하여 무선 모듈(401)로 제공한다.
무선 모듈(401)은 단말로 송신할 신호를 미리 설정된 대역으로 대역 상승 변환하여 안테나(ANT)로 전달하며,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모뎀(402)에서 처리 가능한 대역의 신호로 대역 하강 변환한다.
모뎀(402)은 단말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의 변조, 복조, 부호화, 복호화와 같은 일련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관리자 인터페이스(403)는 관리자 컴퓨터 등의 다른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관리자 인터페이스(403)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406)로 제공하고, 액세스 포인트 ??어부(406)로부터 외부 기기로 전달할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특히 관리자 인터페이스(403)는 관리자가 본 발명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설정할 경우 외부 기기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액세스 포인트 메모리(404)는 액세스 포인트가 동작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며, 제어 동작 시 발생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저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5)는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네트워크의 통신 노드간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406)는 단말들과의 통신 및 다른 네트워크와의 통신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에 따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406)는 본 발명에 따라 핸드오버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에서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의 흐름도에서는 액세스 포인트에 최초 전원이 투입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전원이 투입되면, 각각의 장치들은 500단계에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406)는 액세스 포인트 메모리(404)에 설정된 바에 따라 각각의 모듈과 인터페이스들의 연결 상황들을 점검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406)는 액세스 포인트 메모리(404)로부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읽어온다.
이후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406)는 502단계로 진행하여 액세스 포인트 메모리(404)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알리기 위한 비컨 정보를 생성하고, 신호 송출을 준비한다. 그런 후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406)는 504단계에서 비컨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비컨 신호의 송출이 가능한가에 대한 검사는 인접한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과 비컨 신호 송/수신 시에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될 수도 있다.
504단계의 검사결과 비컨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406)는 506단계로 진행하여 모뎀(402) 및 무선 모듈(401)을 제어하여 비컨 신호를 방송한다. 이후 508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모드란 단말(Station)로부터 프로브요청(Probe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고, 프로브응답(Probe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한 후 단말로부터 인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인증이 가능한가를 검사하여 인증 응답 메시지를 생성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즉, 단말과 액세스 포인트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든 신호의 송/수신 동작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프로브응답 메시지 또는 비컨 신호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즉, 프로브응답 메시지에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모드는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가 이루어질 경우 단말의 핸드오버에 필요한 단계들을 수행하는 모든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컨 신호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간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액세스 포인트(10)는 600단계에서 비컨 신호를 단말(20)로 송신한다. 이때, 비컨 신호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은 600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비컨 정보를 수신하면, 610단계에서 이를 메모리(205)에 저장한다.
그런 후 단말(20)은 612단계에서 610단계에서 저장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검사한다. 단말은 612단계의 검사결과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 614단계로 진행하여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 가능 모드를 수행한다. 반면에 612단계의 검사결과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경우 616단계로 진행하여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 불가능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핸드오버 가능 모드란, 앞서 설명한 도 4a 및 도 4b에서 306단계 내지 314단계를 의미한다. 또한 핸드오버 가능 모드는 312단계에서 324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 불가능 모드란, 앞서 설명한 도 4a 및 도 4b에서 320단계 내지 33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종의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라면 320단계와 330단계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이종의 네트워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320단계와 328단계 및 330단계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이종의 네트워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320단계와 328단계, 330단계 및 332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로브 메시지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간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620단계에서 단말(10)이 액세스 포인트(10)로 프로브요구 메시지(ProbeRequest Message)를 송신하면 액세스 포인트(10)는 이를 수신하고, 622단계에서 프로브응답 메시지(ProbeResponse Message)를 단말(10)로 송신한다. 이때, 프로브응답 메시지(ProbeResponse Message)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10)은 622단계에서 프로브응답 메시지(ProbeResponse Message)를 수신하면, 630단계에서 이를 수신하고,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630단계에서 메모리(205)에 저장한다.
그런 후 단말(20)은 632단계에서 630단계에서 저장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검사한다. 단말은 632단계의 검사결과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 634단계로 진행하여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 가능 모드를 수행한다. 반면에 632단계의 검사결과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경우 636단계로 진행하여 액세스 포인트간 핸드오버 불가능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핸드오버 가능 모드란, 앞서 설명한 도 4a 및 도 4b에서 306단계 내지 314단계를 의미한다. 또한 핸드오버 가능 모드는 312단계에서 324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 불가능 모드란, 앞서 설명한 도 4a 및 도 4b에서 320단계 내지 33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종의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라면 320단계와 330단계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이종의 네트워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320단계와 328단계 및 330단계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이종의 네트워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320단계와 328단계, 330단계 및 332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ESS_1, ESS_2 : 확장 서비스 셋
10, 11, 1N : 액세스 포인트
20 : 단말
ANT_1, ANT_2 : 안테나
SPK : 스피커
MIC : 마이크
201 : 이동통신 무선부
202 : 무선랜 무선부
203 : 모뎀
204 : 제어부
205 : 메모리
206 : 표시부
207 : 입력부
401 : 무선 모듈
402 : 모뎀
403 : 관리자 인터페이스
404 : 액세스 포인트 메모리
405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406 :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

Claims (17)

  1. 무선 랜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핸드오버 불가능인 경우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된 확장 서비스 셋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인,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핸드오버 가능 상태인 경우 핸드오버 조건이 충족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 조건이 충족되면,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시도는,
    핸드오버가 가능한 신규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핸드오버가 가능한 신규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 검색된 신규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가 가능한 신규 액세스 포인트의 존재를 검색한 결과 핸드오버가 가능한 신규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종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한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이종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 이종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시도하여 이종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 유지가 가능한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 유지가 가능한 경우 상기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핸드오버 불가능인 경우 핸드오버 조건이 충족되면, 이종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한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이종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 이종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시도하여 이종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 유지가 가능한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 유지가 가능한 경우 상기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핸드오버 불가능인 경우 핸드오버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 유지가 가능한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 유지가 가능한 경우 상기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는,
    비컨 신호 또는 프로브 응답 신호 또는 상기 비컨 신호와 상기 프로브 응답 신호 모두에 포함된 신호인,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상기 비컨 신호에 포함된 경우 상기 비컨 신호의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필드의 Reserved subfield 중 하나의 비트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비컨 신호의 Vendor Specific information element 필드 중 하나의 비트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비컨 신호의 Extended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 필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하나의 비트를 사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동일한 확장 서비스 셋에 포함된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설정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12.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랜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랜 무선부;
    이동통신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무선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변조, 복조,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모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의 수신 및 저장을 제어하며,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핸드오버 불가능인 경우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된 확장 서비스 셋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인,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가 핸드오버 가능 상태이고, 핸드오버 조건이 충족되면, 핸드오버가 가능한 신규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가를 검색하고, 핸드오버가 가능한 신규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 검색된 신규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드오버가 가능한 신규 액세스 포인트의 존재를 검색한 결과 핸드오버가 가능한 신규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이종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 이종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종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 유지가 가능한가를 검사하고, 상기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 유지가 가능한 경우 상기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장치.
  17.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비컨 신호 또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비컨 신호 또는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핸드오버 가능 여부 정보에 따라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거나 또는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시스템.
KR1020130081818A 2013-07-11 2013-07-11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162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818A KR102162958B1 (ko) 2013-07-11 2013-07-11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CT/KR2014/006264 WO2015005727A1 (en) 2013-07-11 2014-07-11 Wlan system and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therein
US14/329,166 US10433219B2 (en) 2013-07-11 2014-07-11 WLAN system and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therein
EP14822492.6A EP3020227B1 (en) 2013-07-11 2014-07-11 Wlan system and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therein
EP18150890.4A EP3328125B1 (en) 2013-07-11 2014-07-11 Wlan system and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818A KR102162958B1 (ko) 2013-07-11 2013-07-11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620A true KR20150007620A (ko) 2015-01-21
KR102162958B1 KR102162958B1 (ko) 2020-10-07

Family

ID=5227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818A KR102162958B1 (ko) 2013-07-11 2013-07-11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33219B2 (ko)
EP (2) EP3020227B1 (ko)
KR (1) KR102162958B1 (ko)
WO (1) WO20150057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781A (ko) * 2015-02-17 2016-08-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네트워크 자동 접속전환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네트워크 접속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248B1 (ko) 2014-09-05 2018-01-04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캐리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7071913B (zh) 2014-09-18 2020-04-21 株式会社Kt 用于处理用户平面数据的方法及装置
CN106717060B (zh) * 2014-10-02 2020-06-05 株式会社Kt 用于使用wlan载波处理数据的方法及其装置
US9967233B2 (en) * 2015-01-21 2018-05-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points
US9769737B2 (en) * 2015-04-10 2017-09-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inter-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by a radio access network
WO2016190902A1 (en) * 2015-05-26 2016-12-01 Intel IP Corporation Wlan mobility for lte/wlan aggregation
CN108293270B (zh) * 2015-11-05 2022-05-13 英特尔公司 长期演进(lte)和无线局域网(wlan)聚合(lwa)连接过程
CN106231554B (zh) * 2016-08-03 2019-06-21 上海智臻智能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单热点的定位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41469A2 (en) * 2003-01-23 2004-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off method in wireless lan, and access point and mobile station performing handoff method
WO2007029881A2 (en) * 2005-09-09 2007-03-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network side communication apparatus
US20100222053A1 (en) * 2009-02-27 2010-09-02 Girisrinivasarao Athulurutirumala Arrangement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based on a heuristic mode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4158A1 (en) * 2001-12-18 2003-06-19 Lauri Soderbacka Intersystem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US7606242B2 (en) * 2002-08-02 2009-10-20 Wavelink Corporation Managed roaming for WLANS
US6950655B2 (en) * 2002-10-01 2005-09-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wherein handover information is broadcas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KR20040110633A (ko) * 2003-06-20 200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 핸드오버 수행 방법
CN102685825B (zh) * 2004-03-12 2016-01-20 美商内数位科技公司 在wtru中实施的用于切换无线技术的方法及设备
JP4012212B2 (ja) * 2005-04-28 2007-11-21 株式会社東芝 移動無線端末装置
KR101203845B1 (ko) * 2005-07-05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의 자원 관리가 가능한 매개체 무관 핸드오버를위한 메시지 송수신방법
US20070049323A1 (en) * 2005-08-25 2007-03-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Rogue access point detection and restriction
WO2007089111A1 (en) * 2006-02-01 2007-08-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GB0612438D0 (en) * 2006-06-23 2006-08-02 Siemens Ag Network selection
KR20080064699A (ko) * 2007-01-05 200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정보를 가지는 네트워크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간이동 정보 교환 방법
KR20090065048A (ko) * 2007-12-17 2009-06-22 주식회사 케이티 저전력 수직 핸드오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5042104B2 (ja) * 2007-12-27 2012-10-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基地局、通信品質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65064B1 (ko) * 2008-09-11 2011-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망간 핸드 오버 방법 및 이종 망간 핸드 오버 수행을 위한 무선 자원 관리 장치
KR20100036523A (ko) 2008-09-30 2010-04-08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무선랜 시스템
JP5319456B2 (ja) * 2009-08-20 2013-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基地局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2484824B (zh) * 2009-08-26 2014-11-05 夏普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以及越区切换方法
US9020500B2 (en) * 2010-11-05 2015-04-28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Network sel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41469A2 (en) * 2003-01-23 2004-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off method in wireless lan, and access point and mobile station performing handoff method
WO2007029881A2 (en) * 2005-09-09 2007-03-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network side communication apparatus
US20100222053A1 (en) * 2009-02-27 2010-09-02 Girisrinivasarao Athulurutirumala Arrangement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based on a heuristic mod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781A (ko) * 2015-02-17 2016-08-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네트워크 자동 접속전환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네트워크 접속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8125A1 (en) 2018-05-30
KR102162958B1 (ko) 2020-10-07
EP3020227A1 (en) 2016-05-18
EP3020227B1 (en) 2018-01-10
EP3020227A4 (en) 2017-01-18
US20150016414A1 (en) 2015-01-15
US10433219B2 (en) 2019-10-01
WO2015005727A1 (en) 2015-01-15
EP3328125B1 (en)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958B1 (ko)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10104566B2 (en) Reporting WiFi channel measurements to a cellular radio network
KR101451860B1 (ko)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시스템 간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08832B1 (ko) 여러 주파수 대역의 무선 랜에서 스캐닝될 주파수 대역의 설정
JP5409326B2 (ja) 上層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21128058A1 (zh) 小区重选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08471631B (zh) 一种切换准备方法、相关基站及ue
KR1007356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근 등급 제한 리스트를 이용한서비스 상태 제공 장치 및 방법
JP7402697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067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performing paging in a wireless access system that supports a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KR101606811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고속 링크 셋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3556824B (zh) 一种随机接入方法及装置
EP3493612B1 (en)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system area, terminal and base station
JP2011049844A (ja) 無線装置、無線装置の動作モード切換え方法
CN113133092B (zh) 一种节能控制方法及相关设备
KR20140113240A (ko)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신속한 이동 단말기의 무선 링크 설정을 위한 방법
GB2506886A (e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supporting local area cells an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CN109479261B (zh) 重新建立连接的方法和无线局域网设备
JP2013058836A (ja) 送信装置、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174422B (zh) 高低频切换方法、配置终端的方法及装置
CN111757366A (zh) 一种频点配置方法、测量方法、网络设备及终端
WO2023046190A1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WO2024092648A1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14391269B (zh) 无线通信方法及设备
CN111510265B (zh) 一种消息发送、接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