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084A -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084A
KR20150007084A KR20130081032A KR20130081032A KR20150007084A KR 20150007084 A KR20150007084 A KR 20150007084A KR 20130081032 A KR20130081032 A KR 20130081032A KR 20130081032 A KR20130081032 A KR 20130081032A KR 20150007084 A KR20150007084 A KR 20150007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voltage value
controlling
softwar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1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윤
박희구
김정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1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7084A/ko
Publication of KR20150007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용화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에서 공용화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위치의 분별 전압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분별 전압값에 따라 스위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스위치 타입에 해당되는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소프트웨어로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evice for controlling switch for a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용화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랜 역사를 가진 조명 산업은 여전히 조명 기기와 관련하여 광원, 발광 방식, 구동 방식 등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 조명 시스템은 백열전구, 방전등, 형광등과 같은 광원을 주로 사용하여, 가정용, 경관용, 산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었다.
다만, 종래 조명 시스템의 광원 중 백열전구와 같은 저항성 광원은 효율이 낮고 발열 문제가 있고, 방전등의 경우에는 높은 가격과 높은 전압으로 인한 문제가 있으며, 형광등의 경우 수은 사용에 의한 환경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 조명 시스템에서의 광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효율, 색 다양성, 디자인의 자율성 등에 장점이 있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조명의 광원으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수명이 길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대량 생산에 적합한 전기적, 광학적, 물리적 특성들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발광 다이오드가 전술한 종래 광원들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한편, 빌딩과 같은 대형 건물에는, 매우 많은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조명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명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스위치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적용하고,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1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에서 공용화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위치의 분별 전압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분별 전압값에 따라 스위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스위치 타입에 해당되는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소프트웨어로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분별 전압값은, 회로 분기 저항을 통한 전압 값일 수 있다.
이러한 회로 분기 저항은, 상기 스위치에 공통인 공통 저항; 및 상기 스위치마다 특정된 분별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별 전압값에 따라 스위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부를 통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2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에서 공용화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위치에 포함되는 회로 분기 저항에 따른 전압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압값을 디지털 변환하여 해당 전압값에 따른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소프트웨어로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로 분기 저항은, 상기 스위치에 공통인 공통 저항; 및 상기 스위치마다 특정된 분별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3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에서 공용화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에 공통인 공통 저항 및 스위치마다 특정된 분별 저항을 포함하는 회로 분기 저항을 포함하는 스위치 조작부; 및 상기 회로 분기 저항에 따른 전압값을 감지하고, 상기 전압값에 따른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소프트웨어로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 제어부에는, 상기 전압값에 따라 스위치 타입을 결정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먼저, 다양한 스위치에 따라 공통적인 동작 알고리즘을 적용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의 형태를 분별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회로 분기 저항을 설치하고, 이러한 회로 분기 저항에 의한 분별 전압값을 감지함으로써 공용화된 소프트웨어를 효율적으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생산 수율이 증가되고 스위치의 생산 비용 절감될 수 있으며, 최적화된 설계 조건으로 조명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조명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조명 시스템의 구성요소 간 관계의 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조명 시스템의 상세 구성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공용화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의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공용화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의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가 여러 가지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조명 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조명 시스템은 조명 기기들에 자동으로 고유의 주소(address)를 할당(assigning)하고, 이와 같이 주소가 할당된 각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 시스템의 일례는, 복수의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 이러한 복수의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와 연결되어 통신하는 브리지 디바이스(Bridge Device; 40, 50) 및 이 브리지 디바이스(40, 50)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는, 브리지 디바이스(40, 50)로부터 제어 데이터와 주소 데이터를 입력받는 복수의 입력 라인들과, 연결제어수단에 의해 후단의 발광부와의 연결 상태가 연결 또는 해제되는 복수의 출력 라인들과, 이러한 제어 데이터의 속성에 기초하여 연결제어수단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마이컴(Micom)을 포함하여 각 발광부에 고유의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연결제어수단은, 예를 들어, 아날로그 스위치(analog switch)와 같은 스위치나 릴레이(re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조명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와 그 기능들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같은 조명 시스템은, 크게 관리부(management part; 1), 제어부(control part; 2) 및 디바이스부(device part; 3)로 구분할 수 있다.
관리부(1)는 감시반(80)을 포함하며, 웹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감시반(80)은 관리 소프트웨어(management software) 또는 이 관리 소프트웨어에 의해 동작하는 하드웨어(hardware)일 수 있다.
웹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PC와 연결될 수 있으며, 조명 기기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부(1)는, 후술할 제어부(2) 내의 컨트롤러(controller; 20)와 TCP/IP(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또는 SOAP/XML(Simple Object Access Protocol/Extensible Markup Language)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조명 기기에 대한 설정, 제어, 모니터링 및 정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컨트롤러(20)와 게이트웨이(Gateway; 30)를 포함하며, 여기에 인터페이스(interface unit; 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20)는, 인터페이스(10) 및 게이트웨이(30)와 TCP/IP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30)를 통해 디바이스부(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10)는, 제어 터치 패널(Control Touch Panel)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부(3)는, 주로 하이브리드 솔루션(hybrid solution) 형태로 구현된 디바이스를 포함하나, 레거시 솔루션(legacy solution)(미도시) 형태로 구현된 디바이스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이브리드 솔루션이라 함은 예를 들어, 다양한 목적의 기기들이 조합되어 하나의 세트(set)를 구성한 솔루션을 말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솔루션의 일 예는, 게이트웨이(30)와 연결된 브리지 디바이스(40, 50), 이 브리지 디바이스(40, 50)에 연결되는 복수의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 프로그램 스위치(program switch; 60)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sensor; 70)들의 조합으로 하나의 세트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이브리드 솔루션은, 복수의 게이트웨이(30)를 포함하거나 하나의 게이트웨이(30)에 복수의 브리지 디바이스(40, 50)들이 연결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레거시 솔루션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컨트롤러(20)와 3rd 파티 프로토콜(3rd Party Protocol) 방식으로 연결되며, 망 제어 장치(Network Control Unit; NCU), 조명 접속 장치(Lighting Interface Unit; LIU),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전송 장치(Transmission Unit; TU), 릴레이(relay) 및 프로그램 스위치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명 시스템을 빌딩(Building; B)과 같은 대형 건물에 구현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빌딩(B)과 같은 대형 건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리지 디바이스(40, 50)와, 각 브리지 디바이스(40, 50)와 연결되고 통신 가능한 복수의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가 요구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브리지 디바이스(40, 50)는,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의 온/오프(on/off), 디밍(dimming) 정도 등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switch; 60) 및 조명 공간의 조도 등에 대한 감지를 위한 센서(sensor; 70) 등이 더 연결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감시반(80)과 컨트롤러(20)는, 실시간으로 빌딩(B) 내 각 층 또는 특정 구역에 설치된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의 온/오프, 조도 등을 포함하는 각 상태 정보 또는 전력 사용량 등을 관리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사용처를 찾아서 그 낭비를 최소화하고, 건물의 설비관리 및 설비운전 보수관리, 건물 내부 환경의 유지와 그로 인해 소비되는 에너지, 물질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조명(L)은 전술한 복수의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는, 발광 유닛(Light Emitting Deveic; LED)을 포함하며, 평판 타입(flat type) 또는 벌브 타입(bulb type)일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는, 발광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며, 각 발광 유닛을 서로 연결/해제하는 수단을 포함한 통신 모듈(communication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통신 모듈을 예를 들어, 디밍 커넥터(dimming connector)라고 명명하여 기술한다.
감시반(80)은, 컨트롤러(20)에 실제 연결되어 있는 조명(L)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하는 내용 즉,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하고, 컨트롤러(20)에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감시반(80)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간이 전자 우편 전송 프로토콜) 등을 사용하여 XML 기반의 메시지를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형태의 프로토콜인 SOAP 또는 빌딩 자동화용 통신 프로토콜인 빌딩자동화제어망(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network; BACnet) 프로토콜로 컨트롤러(2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감시반(80)은, 컨트롤러(20)에 요청하여 저장되어 있는 조명(L) 설정 정보를 불러올 수 있으며, 컨트롤러(20)에 스케줄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조명 기기에 대한 그룹 단위 또는 개별 단위 제어를 요청할 수 있고, 조명(L)을 모니터링(monitering) 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시반(80)은 센서(70)에서 수집된 정보를 받아 상기와 같은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10)는, 조명(L)에 대한 제어 명령의 입력 또는 조명(L)의 상태 정보의 표시를 담당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10)는, 컨트롤러(20)와 통신하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조명에 대한 그룹 단위 또는 개별 단위 제어 등을 위한 제어 명령을 컨트롤러(20)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20)로부터 수행 결과(응답)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 단위라 함은, 복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의미와 함께 층 단위 또는 건물 단위의 조명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조명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외부 기기라 함은 예를 들어, 감시반(80), 인터페이스(10) 및 게이트웨이(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30)는, 컨트롤러(20)와 통신하여 조명에 대한 그룹 단위 또는 개별 단위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컨트롤러(20)에 전달한다.
이러한 게이트웨이(30)는 예를 들어, 지그비(Zigbee)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브리지 디바이스(40, 50)는, 게이트웨이(30) 및 복수의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러한 게이트웨이(30)로부터 전달된 제어 명령을 해당 발광부에 전달한다. 또한, 브리지 디바이스(40,50)는, 각 발광부의 응답 또는 이벤트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30)로 전달할 수 있다.
각 브리지 디바이스(40, 50)는, 복수의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본 예의 경우에는 최대 12개의 발광부(41 내지 43)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브리지 디바이스(40, 50)와 게이트웨이(30)는 지그비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 브리지 디바이스(40, 50)와 해당 발광부는 직렬 연결 방식인 RS-485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브리지 디바이스(40, 50)와 게이트웨이(30)의 연결 방식과 각 브리지 디바이스(40, 50)와 해당 발광 유닛(41 내지 43 또는 51 내지 53) 연결 방식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는, 브리지 디바이스(40, 50)와 게이트웨이(30)의 연결 방식과 각 브리지 디바이스(40, 50)와 해당 발광부의 연결 방식이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즉, 각 브리지 디바이스(40, 50)와 해당 발광부 사이는 지그비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브리지 디바이스(40, 50)는 주소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패킷 형태로 연결된 각 발광부에 전달하거나 전달받은 제어 데이터를 발광부로 다시 전달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브리지 디바이스(40, 50)는 전달된 제어 데이터를 재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포맷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 패킷을 생성하여 발광부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주소 데이터는 브리지 디바이스(40, 50)가 아닌 컨트롤러(20) 등에서 생성되어 브리지 디바이스(40, 50)를 통해 각 발광부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10)와 각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 사이의 제어 명령 전송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인터페이스(10)를 통하여 입력된 제어 명령은, 컨트롤러(20), 게이트웨이(30) 및 해당 발광부(예를 들어, 41)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브리지 디바이스(예를 들어, 40)를 통하여 차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각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와 관련된 응답 또는 이벤트 정보는, 해당 발광부(예를 들어, 4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브리지 디바이스(예를 들어, 40), 게이트웨이(30), 컨트롤러(20) 및 인터페이스(10)로 차례로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2의 구성 요소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 출원인의 설명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모든 구성 요소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제외되거나 추가된 조명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조명 시스템의 컨트롤러(20)의 상세 구성 블록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트롤러(20)는, 마이컴(21), 연결 관리 모듈(22), 통신 모듈(23), SOAP 커넥션 매니저(24) 및 BACnet 커넥션 매니저(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컴(21)은, 조명 제어 처리를 담당하는 모듈로서, 각각의 SOAP 커넥션 매니저(24), BACnet 커넥션 매니저(25) 등을 통해 인터페이스(10) 또는 감시반(80)으로부터 수신되는 조명 제어 요청을 통신 모듈(23)에게 전달하여 요청된 조명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마이컴(21)은, 위와 같이 요청된 조명에 대한 제어에 따른 응답 또는 이벤트 정보를 연결 관리 모듈(22)을 통해서 인터페이스(10) 또는 감시반(80)으로 전달한다.
마이컴(21)은,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 또는 조명 L), 스위치(60) 또는 센서(70)의 그룹 단위 제어, 개별 단위 제어, 패턴 제어, 스케줄 제어, 정/복전 제어, 조도 센서 연동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23)은, 컨트롤러(20)와 게이트웨이(30)의 통신을 담당한다. 이러한 통신 모듈(23)은, 마이컴(21)의 제어 요청을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 또는 조명 L), 스위치(60) 또는 센서(70) 등이 인식할 수 있는 패킷(packet)으로 재구성(변환)하여 게이트웨이(30)에 전달한다. 통신 모듈(23)과 게이트웨어(30)는 예를 들어, TCP/IP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3)은, 전달에 따른 응답 또는 이벤트 정보를 게이트웨이(30)로부터 수신하여 마이컴(21)에게 전달한다.
연결 관리 모듈(22), SOAP 커넥션 매니저(24) 및 BACnet 커넥션 매니저(25)는, 인터페이스(10)로부터 제어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제어 요청을 컨트롤러(20) 내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내부 언어로 변환하고 마이컴(21)으로 전달한다.
즉, 연결 관리 모듈(22) 및 각 매니저(24, 25)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감시반(80) 또는 인터페이스(10)와의 해당 프로토콜을 해석 또는/및 변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 또는 조명 L)는 스위치(60)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의 제어는 온/오프(on/off) 제어 및 밝기를 제어하는 디밍 제어(dimming control)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발광부를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으로 키거나 끄고자 할 경우에는 이 스위치(60)를 통하여 켜고 끌 수 있고, 또한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60)의 상태는 게이트웨이(30)를 통하여 감시반(80)에 전달될 수 있다. 즉, 감시반(80)에서는 발광부의 온/오프 상태가 갱신되어 정보가 축적되어 현재의 발광부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60)는 개별 배터리를 이용하는 배터리 스위치(60)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명 시스템에 적용되는 스위치(60)는 보통 온/오프(on/off) 기능과 디밍 제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개별 스위치(60)는 발광부를 온/오프 할 수 있는 조작부 및 디밍 제어가 가능한 조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각 설치 장소의 발광부 배치 상태에 따라, 다양한 구성의 조작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스위치(60)에는 발광부를 온/오프 할 수 있는 조작부가 여러 개소 구비된 경우가 있고, 또한 발광부를 온/오프 할 수 있는 조작부가 한 개소 이상, 그리고 디밍 제어가 가능한 조작부가 한 개소 구비될 수 있다.
그 외에도 각 스위치(60)에는 다양한 기능을 하는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작부의 구성은 각 스위치(60)마다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스위치(60)의 스위치 제어부(MCU)에는 이러한 스위치(60)를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적용되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이와 같은 다양한 조작부를 가지는 스위치(60)의 모델에 따라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공용화된 소프트웨어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배열의 조작부를 가지는 스위치(60)의 모든 형태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공용화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개별 스위치(60)의 형태에 따라, 이러한 스위치(60)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가 선택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최초에 스위치(60)를 조명 시스템에 설치하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외에도 스위치(60)를 수리하는 경우, 조명 시스템의 설정을 수정하는 경우 등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공용화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의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스위치(60)는, 스위치에 공통인 공통 저항(R1) 및 스위치마다 특정된 분별 저항(R2)을 포함하는 회로 분기 저항(63)을 포함하는 스위치 조작부(61)를 포함한다.
즉, 스위치 조작부(61)는, 조명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위치에 공통인 공통 저항(R1)과, 각 스위치를 구분할 수 있는 분별 저항(R2)을 포함한다.
또한, 스위치(60)는, 스위치(60)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는 스위치 제어부(62; MCU)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위치 제어부(62)에는 공용화된 제어 소프트웨어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 제어부(62)는 스위치 활성화 포트(SW_Enable)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포트는 설계자에 따라 설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그라운드(ground; 접지)로 처리할 수도 있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공통 저항(R1)과 분별 저항(R2)은 회로 분기 저항(63)을 이루는데, 각 스위치는 두 저항에 의한 분별 가능한 분배 전압값(V1)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분배 전압값(V1)은 전압 분배 법칙에 의하여 회로 분기 저항(63)에 의하여 얻어지는 값이다.
예를 들어, 조명 시스템에 스위치(60)를 설치하는 경우, 이러한 분배 전압값(V1)은 스위치 활성화 포트(SW_Enable)와 함께 스위치 체크 포트(SW_CHK)를 통하여 스위치 제어부(62)에서 감지되고, 스위치 제어부(62)에서는 이 전압값(V1)에 따른 소프트웨어가 선택되어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60)의 각 기능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선택된 소프트웨어가 작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선택된 소프트웨어는 각 스위치(60)의 조작부와 매칭되는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분배 전압값(V1)은 스위치 제어부(62)에 포함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부(64; ADC Channel)에 의하여 디지털 값으로 바뀌어 스위치 제어부(62)에서 해당 매칭되는 소프트웨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공용화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의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스위치(60)를 제어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최초에 스위치(60)를 조명 시스템에 설치하는 경우나 스위치(60)를 수리하는 경우, 또는 조명 시스템의 설정을 수정하는 경우 등의 스위치(60) 제어 소프트웨어를 설정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 먼저, 스위치 제어부(62)에서는 이러한 스위치(60)의 분별 전압값(V1)을 감지한다(S10).
그러면, 감지된 분별 전압값(V1)에 따라 스위치 타입을 결정한다(S20).
이때, 분별 전압값(V1)은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부(64; ADC Channel)에 의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어 스위치 제어부(62)에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 타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조작부의 구성을 가지는 스위치의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결정된 스위치 타입에 해당되는 소프트웨어를 선택한다(S30).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용화된 소프트웨어 중 해당 스위치의 타입에 해당되는 소프트웨어가 설정되어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선택된 소프트웨어로 스위치(60)를 제어할 수 있다(S40).
이상과 같이, 다양한 스위치(60)에 따라 공통적인 동작 알고리즘을 적용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60)의 형태를 분별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회로 분기 저항을 설치하고, 이러한 회로 분기 저항에 의한 분별 전압값을 감지함으로써 공용화된 소프트웨어를 효율적으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생산 수율이 증가되고 스위치의 생산 비용 절감될 수 있으며, 최적화된 설계 조건으로 조명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관리부 2: 제어부
3: 디바이스부 10: 인터페이스
20: 컨트롤러 30: 게이트웨이
41 내지 43, 51 내지 53: 발광부
60: 스위치 61: 스위치 조작부
62: 스위치 제어부 63: 회로 분기 저항
64: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부
70: 센서 80: 감시반

Claims (8)

  1. 조명 시스템에서 공용화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위치의 분별 전압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분별 전압값에 따라 스위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스위치 타입에 해당되는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소프트웨어로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별 전압값은, 회로 분기 저항을 통한 전압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분기 저항은,
    상기 스위치에 공통인 공통 저항; 및
    상기 스위치마다 특정된 분별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별 전압값에 따라 스위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부를 통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방법.
  5. 조명 시스템에서 공용화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위치에 포함되는 회로 분기 저항에 따른 전압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압값을 디지털 변환하여 해당 전압값에 따른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소프트웨어로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분기 저항은,
    상기 스위치에 공통인 공통 저항; 및
    상기 스위치마다 특정된 분별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방법.
  7. 조명 시스템에서 공용화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에 공통인 공통 저항 및 스위치마다 특정된 분별 저항을 포함하는 회로 분기 저항을 포함하는 스위치 조작부; 및
    상기 회로 분기 저항에 따른 전압값을 감지하고, 상기 전압값에 따른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소프트웨어로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의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에는, 상기 전압값에 따라 스위치 타입을 결정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의 제어 장치.
KR20130081032A 2013-07-10 2013-07-10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7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1032A KR20150007084A (ko) 2013-07-10 2013-07-10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1032A KR20150007084A (ko) 2013-07-10 2013-07-10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084A true KR20150007084A (ko) 2015-01-20

Family

ID=5257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1032A KR20150007084A (ko) 2013-07-10 2013-07-10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70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032B1 (ko) 조명 시스템
US20110175553A1 (en) Distributed lighting control system
US10098205B2 (en) Configurable lighting devices under broadcast control
US872983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lighting systems
EP2503854A1 (en)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00262297A1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30141009A1 (en)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with remote lighting controller
US20090066266A1 (en) Integrated power and control unit for a solid-state lighting device
US20100262296A1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2307422A (zh) 一种用于在照明控制系统中更换镇流器的系统及方法
US202302687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supply control
KR101295283B1 (ko) 조명 시스템
KR101290747B1 (ko) 조명 스마트 관리시스템
US20170188435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to Detect and Provision for Lighting Interfaces
WO2016066138A1 (zh) 带识别地址的低压直流灯光照明系统
KR20150007084A (ko)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7086A (ko) 조명 시스템의 배터리 스위치의 전력 제어 방법
KR20150010204A (ko) 조명 시스템의 배터리 스위치의 제어 방법
KR20150007088A (ko) 조명 시스템의 배터리 스위치 제어 방법
WO2021026853A1 (en) Dimming controller with current distribution circuit
KR20140146760A (ko) 조명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KR20000031286A (ko) 두 가닥 통신선에 의한 형광등의 디밍 제어알고리즘
CN114157527A (zh) 用于网络结构功能扩展的扩展模块
WO2023203553A1 (en) Smart lighting management system
Rubinstein et al. High Performance Commercial Build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