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760A - 조명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46760A KR20140146760A KR20130069426A KR20130069426A KR20140146760A KR 20140146760 A KR20140146760 A KR 20140146760A KR 20130069426 A KR20130069426 A KR 20130069426A KR 20130069426 A KR20130069426 A KR 20130069426A KR 20140146760 A KR20140146760 A KR 201401467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module
- address information
- terminal
- controller
- ligh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2—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시스템은 제1 커넥터가 마련된 조명장치와 제2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기와 상기 조명장치 및 상기 제어기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게이트웨이 및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조명장치의 주소 정보가 할당된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명장치의 주소할당 및 주소변경이 용이한 조명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형 건물의 조명 시스템은 LED 조명장치로 대체되고 있다.
상기 조명 시스템에는 실시간으로 각 층 또는 특정 구역에 설치된 LED조명장치의 온/오프, 상태 정보 또는 전력 사용량 등을 관리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마련되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불필요한 에너지의 사용처를 찾아서 그 낭비를 최소화하고, 건물의 설비관리 및 설비운전 보수관리, 건물 내부 환경의 유지와 그로 인해 소비되는 에너지, 물질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특정 발광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 그룹을 개별 또는 통합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컨트롤러를 통해 복수의 LED조명장치를 제어하거나, LED조명장치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각각의 LED조명장치의 주소가 할당되어야 한다. 즉, 할당된 주소정보로 제어신호를 전달함으로써 해당 LED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종래 조명 시스템의 주소설정방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조명제어 전용수단(예를 들어, PDA)을 소지한 상태로 모든 LED조명장치를 스캔함으로써 아직 등록이 되지 않은 LED조명장치를 찾아야 했다.
이후, 작업자가 등록이 되지 않은 LED조명장치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한 후, 개별적으로 LED조명장치의 주소를 설정해야 함으로써,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LED조명장치의 그룹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각각의 LED조명장치의 주소를 수작업을 통해 새롭게 설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조명장치의 주소할당 및 주소변경이 용이한 조명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제어 전용수단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주변 제어기를 통해 쉽고 빠르게 주소를 할당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제어기로 조명장치의 주소가 할당된 경우, 상기 주소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 제어기에 동기화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탈착 가능한 분리형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통신모듈에 할당된 주소정보로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모듈만을 교체함으로써 통신모듈에 할당된 주소정보로 새로운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모듈을 단말기에 접속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를 통해 통신모듈에 조명장치의 주소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주소 정보가 할당된 통신모듈을 조명장치에 장착시키는 단계; 및 할당된 주소 정보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모듈을 제1 단말기에 접속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통신모듈에 조명장치의 주소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모듈에 할당된 주소 정보를 제2 단말기와 동기화시키는 단계;와 주소 정보가 할당된 통신모듈을 조명장치에 장착시키는 단계; 및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를 통해 할당된 주소 정보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커넥터가 마련된 조명장치;와 제2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기;와 상기 조명장치 및 상기 제어기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게이트웨이; 및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조명장치의 주소 정보가 할당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선, 조명장치에 탈착 가능한 분리형 통신모듈을 통해 조명장치의 주소할당 및 주소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형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통신모듈에 할당된 주소정보를 해당 조명장치에 부여할 수 있고, 상기 주소정보로 제어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명제어 전용수단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주변 제어기를 통해 쉽고 빠르게 조명장치의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제어기로 조명장치의 주소가 할당된 경우, 상기 주소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 제어기에 동기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특정 제어기뿐만 아니라 주변 제어기를 통해서도 조명장치를 제어하거나 조명장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만을 교체함으로써 통신모듈에 할당된 기존 주소정보로 새로운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명장치의 주소변경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통신모듈의 주소 설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통신모듈의 장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시스템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통신모듈의 주소 설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통신모듈의 장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시스템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시스템(1)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시스템(1)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 시스템(1)은 인터페이스(10), 컨트롤러(20), 게이트웨이(30),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조명장치(41 내지 43 및 51 내지 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시스템(1)은 복수의 조명장치(41 내지 43 및 51 내지 53)의 온/오프, 디밍 제어, 색온도 조절 등을 담당하기 위한 스위치(60) 및 조명 공간의 상태 정보, 예를 들어 조도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전술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적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조명 시스템(1)을 구성할 수 있는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감시반(80)과 컨트롤러(20)는 실시간으로 빌딩(B)의 각 층 또는 특정 구역에 설치된 조명장치의 온/오프, 조도, 색온도 등을 포함하는 각 상태 정보 또는 전력 사용량 등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감시반(80)은 상기 컨트롤러(20)와 SOAP 또는 BACnet 프로토콜로 통신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20)에 실제 연결되어 있는 조명장치(41 내지 43, 51 내지 53)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하는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컨트롤러(20)에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감시반(80)은 컨트롤러(20)에 요청하여 저장되어 있는 조명장치(41 내지 43, 51 내지 53)의 설정 정보를 불러올 수 있으며, 컨트롤러(20)에 스케줄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그룹/개별 제어를 요청할 수 있고, 조명장치(41 내지 43, 51 내지 53)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0)는 상기 조명장치(41 내지 43, 51 내지 53)에 대한 제어 명력의 입력 또는 상기 조명장치(41 내지 43, 51 내지 53)의 상태 정보의 표시를 담당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10)는 상기 컨트롤러(20)와 통신하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그룹/개별 제어 또는 개별 층/전체 층 제어 등을 컨트롤러(20)로 전송하고, 수행결과(응답)를 컨트롤러(20)로부터 수신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0)는 외부 기기(예를 들어, 감시반, 인터페이스,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수행하며, 조명장치(41 내지 43, 51 내지 53)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상기 컨트롤러(20)와 통신하며, 상기 컨트롤러(20)로부터 조명장치(41 내지 43, 51 내지 53)의 그룹/개별 제어를 전달받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컨트롤러(20)에 전달한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지그비(Zigbee)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장치(41 내지 43, 51 내지 53)는 브릿지 디바이스(40, 50)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3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디바이스(40, 50)는 상기 게이트웨이(30)로부터 전달된 제어명령을 해당 조명장치(41 내지 43, 51 내지 53)에 전달하고, 각 조명장치(41 내지 43, 51 내지 53)의 응답 또는 이벤트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3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41 내지 43, 51 내지 53)는 평판형 조명장치(도 4 참조) 또는 벌브(Bulb) 타입 조명장치(도 5 참조), PAR 타입 조명장치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통신모듈(100)의 주소 설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시스템(1)은 통신모듈(100)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모듈(100)은 상기 조명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분리형 통신모듈일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모듈(100)은 조명장치의 전장부에 직접 마련되지 않고, 상기 통신모듈(100)은 상기 조명장치의 일부영역을 통해 상기 조명장치의 전장부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100)에는 조명장치의 주소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에 상기 통신모듈(100)이 장착되면, 상기 통신모듈(100)에 미리 할당된 주소정보를 통해 상기 조명장치는 제어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조명장치의 제어를 위한 주소정보는 상기 통신모듈(100)에 의하여 결정된다.
한편, 상기 통신모듈(100)은 단말기(예를 들어, 60 또는 90)로부터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명장치의 작동상태를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와 연결되며 상기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100)의 무선 통신부는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Z-웨이브(Wave)을 통해 상기 단말기(60, 9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100)은 주소정보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와 전술한 무선 통신부 이외에도 상기 조명장치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를 위한 출력부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통신을 위한 입출력부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문서에서 단말기라 함은 조명장치를 제어하거나 조명장치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기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는 스위치(60), 리모컨, 스마트 폰(110, 도 6 참조), PDA 또는 컴퓨터(90)일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1)과 상기 조명장치와 접속되기 위한 단자부(102)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모듈(100)은 상기 단자부(102)를 통해 조명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모듈(100)의 단자부(102)는 상기 조명장치의 전장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100)이 상기 조명장치에 장착되면, 사용자는 직접 조명장치를 조작하지 않고도, 상기 단말기(60, 90)를 통해 상기 조명장치의 점등/소등, 조도 및/또는 색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60, 90)를 통해 상기 조명장치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대형 건물의 경우, 복수의 조명장치(41 내지 43, 51 내지 53)와 스위치(60) 및 센서(7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조명장치(41 내지 43, 51 내지 53)와 스위치(60) 및 센서(70)에는 고유의 주소정보가 할당되어야 한다.
즉, 특정 조명장치를 개별 제어하거나, 복수의 조명장치를 그룹 제어하는 경우, 해당 조명장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고유의 주소정보가 요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모듈(100)에 주소정보가 미리 할당하고, 각각의 통신모듈을 조명장치들(41 내지 43, 51 내지 53)과 센서(70) 및 스위치(60)에 장착시킴으로써, 조명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주소 설정을 손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모듈(100)을 상기 스위치(60)/리모컨 또는 컴퓨터(90)의 장착 슬롯에 장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60) 및 상기 컴퓨터(90)에는 상기 통신모듈(100)이 접속되기 위한 장착 슬롯(61, 91)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모듈(100)은 별도의 젠더(Gender)를 통해 상기 장착슬롯(61, 91)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60) 또는 리모컨에는 통신모듈(100)의 주소를 설정하기 위한 커미셔닝 툴(Commissioning Tool)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100)에 할당되는 상기 주소 정보는 PAN ID, 통신채널 및 그룹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통신모듈(100)의 장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모듈(100)은 상기 단말기(60, 90) 및 상기 조명장치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이하, 상기 통신모듈(100)과 상기 조명장치의 장착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조명장치(41)는 평판형 조명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1 조명장치(41)는 하우징(1, 2)과 광학부(3)와 발광부(4) 및 전장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 2)은 외관을 형성하며, 프론트 케이스(1)와 리어 케이스(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케이스(1)에는 광투과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발광부(4)는 상기 하우징(1, 2)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4)는 회로기판(5) 및 상기 회로기판(5)에 실장된 복수의 LED(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학부(3)는 확산부재 또는 렌즈 어레이일 수 있으며,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하우징(1, 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장부(7)는 상기 발광부(4)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전장부(7)는 상기 하우징(1, 2)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1, 2)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장부(7)에는 상기 통신모듈(100)의 장착을 위한 장착슬롯(8)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장부(7)가 상기 하우징(1, 2) 내부에 위치된 경우, 상기 통신모듈(100)은 상기 하우징(1, 2) 또는 광학부(3)를 통해 상기 전장부(7)의 장착슬롯(8)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조명장치(42)는 벌브 타입 조명장치일 수 있다.
제2 조명장치(42)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부(도시되지 않음)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44)과 상기 하우징(44)에 장착되는 광학부(45, 예를 들어 벌브) 및 상기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하우징(44)에 장착되며, 상기 광학부(45)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부는 상기 하우징(44) 내부에 위치되며, 베이스(46)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장착슬롯은 상기 전장부에 마련되며, 상기 통신모듈(100)은 상기 하우징(44) 또는 광학부(45)를 통하여 상기 전장부의 장착슬롯에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시스템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시스템(1)은 제1 커넥터가 마련된 조명장치(41, 42) 및 제2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기(60, 90, 1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명 시스템(1)은 상기 조명장치 및 상기 제어기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게이트웨이(30) 및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조명장치의 주소 정보가 할당된 통신모듈(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전술한 장착 슬롯과 동일하고, 상기 제어기는 전술한 단말기와 동일하며, 그 밖의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설명한 그것들과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소 정보는 상기 제어기를 통해 할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기는 제1 제어기(예를 들어, 스위치) 및 제2 제어기(예를 들어,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장치의 주소 정보가 제1 제어기(60)를 통해 할당된 경우, 상기 주소 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30)를 통해 상기 제2 제어기(90)에 동기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명장치는 제1 제어기(60) 또는 제2 제어기(9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즉, 특정 제어기로 조명장치의 주소가 할당된 경우, 상기 주소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 제어기에 동기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특정 제어기뿐만 아니라 주변 제어기를 통해서도 조명장치를 제어하거나 조명장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는 제1 조명장치(41) 및 제2 조명장치(42)를 포함하고, 제1 조명장치(41)의 통신모듈이 제2 조명장치(42)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2 조명장치(42)는 제1 조명장치(41)의 주소 정보를 할당받을 수 있다. 즉, 제2 조명장치(42)는 제1 조명장치(41)의 주소정보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즉, 통신모듈(100)만을 교체함으로써 통신모듈에 할당된 기존 주소정보로 새로운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명장치의 주소변경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조명 시스템(1)은 제3 커넥터가 마련되고, 조명공간의 상태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통신모듈(100)이 상기 제3 커넥터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센서(70)는 상기 통신모듈에 저장된 해당 주소 정보를 할당받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은 통신모듈을 단말기에 접속시키는 단계(S101)와 상기 단말기를 통해 통신모듈에 조명장치의 주소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02)와 주소 정보가 할당된 통신모듈을 조명장치에 장착시키는 단계(S103) 및 할당된 주소 정보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단계(S10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조명장치에는 상기 통신모듈이 삽입되기 위한 장착 슬롯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장착 슬롯과 상기 통신모듈의 단자부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단말기의 장착 슬롯과 상기 통신모듈의 단자부가 상이한 구조를 가질 경우, 별도의 젠더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조명장치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은 통신모듈을 제1 단말기에 접속시키는 단계(S201)와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통신모듈에 조명장치의 주소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202) 및 상기 통신모듈에 할당된 주소 정보를 제2 단말기(S203)와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은 주소 정보가 할당된 통신모듈을 조명장치에 장착시키는 단계(S204) 및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를 통해 할당된 주소 정보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단계(S205)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는 각각 스위치, 리모컨, 스마트 폰, PDA 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및 조명장치는 게이트웨이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주소정보의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1: 조명 시스템
10: 인터페이스
20: 컨트롤러
30: 게이트웨이
41 내지 43, 51 내지 53: 조명장치
60: 스위치
70: 센서
80: 감시반
10: 인터페이스
20: 컨트롤러
30: 게이트웨이
41 내지 43, 51 내지 53: 조명장치
60: 스위치
70: 센서
80: 감시반
Claims (13)
- 통신모듈을 단말기에 접속시키는 단계;
상기 단말기를 통해 통신모듈에 조명장치의 주소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주소 정보가 할당된 통신모듈을 조명장치에 장착시키는 단계; 및
할당된 주소 정보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조명장치에는 상기 통신모듈이 삽입되기 위한 장착 슬롯이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는 PAN ID, 통신채널 및 그룹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조명장치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 통신모듈을 제1 단말기에 접속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통신모듈에 조명장치의 주소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통신모듈에 할당된 주소 정보를 제2 단말기와 동기화시키는 단계;
주소 정보가 할당된 통신모듈을 조명장치에 장착시키는 단계; 및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를 통해 할당된 주소 정보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는 각각 스위치, 리모컨, 스마트 폰, PDA 또는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및 조명장치는 게이트웨이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주소정보의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 제1 커넥터가 마련된 조명장치;
제2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기;
상기 조명장치 및 상기 제어기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게이트웨이; 및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조명장치의 주소 정보가 할당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는 상기 제어기를 통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의 주소 정보가 제1 제어기를 통해 할당된 경우, 상기 주소 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제2 제어기에 동기화되고,
상기 조명장치는 제1 제어기 또는 제2 제어기를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제1 조명장치 및 제2 조명장치를 포함하고,
제1 조명장치의 통신모듈이 제2 조명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2 조명장치는 제1 조명장치의 주소 정보를 할당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서,
제3 커넥터가 마련되고, 조명공간의 상태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제3 커넥터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센서는 해당 주소 정보를 할당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광학부; 및
상기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전장부에 마련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하우징 또는 광학부를 통해 상기 제1 커넥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69426A KR20140146760A (ko) | 2013-06-18 | 2013-06-18 | 조명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69426A KR20140146760A (ko) | 2013-06-18 | 2013-06-18 | 조명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6760A true KR20140146760A (ko) | 2014-12-29 |
Family
ID=5267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69426A KR20140146760A (ko) | 2013-06-18 | 2013-06-18 | 조명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4676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022635A (ja) * | 2016-08-04 | 2018-02-08 |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
-
2013
- 2013-06-18 KR KR20130069426A patent/KR2014014676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022635A (ja) * | 2016-08-04 | 2018-02-08 |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
JP2021114475A (ja) * | 2016-08-04 | 2021-08-05 |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 照明システ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175553A1 (en) | Distributed lighting control system | |
US8368325B2 (en) | Lighting system | |
US20130049633A1 (en) | Illumination system relating to light-emitting-diode lamps | |
WO2017033397A1 (ja) | 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照明制御装置 | |
CN101444145A (zh) | 具有连接分组的照明系统 | |
JP5187237B2 (ja) | 照明制御システムのアドレス設定方法 | |
KR101602212B1 (ko) |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 | |
KR101452428B1 (ko) | 조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EP3843507A1 (en) | Transceiver for emulating an input device of a lighting system | |
KR101925029B1 (ko) |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7100916B2 (ja) | 照明システム | |
KR101290747B1 (ko) | 조명 스마트 관리시스템 | |
KR101111682B1 (ko) | 적외선 송수신 통신 모듈을 내장한 조명 제어 시스템 | |
KR20130143265A (ko) | 조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 |
KR20140146760A (ko) | 조명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 |
KR20140145306A (ko) | 조명 시스템 | |
KR101677131B1 (ko) | 블루투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 |
KR101918178B1 (ko) | PoE를 이용한 IoT 객실 시스템 | |
KR101386203B1 (ko) | 조명제어용 프로토콜 변환장치 | |
KR20110048816A (ko) | 무선 조명 제어 장치 | |
KR102141866B1 (ko) | 조명 통합 관리 시스템 | |
KR101581650B1 (ko) | 달리 어드레스 매핑형 전원 중첩 통신 방식의 제어시스템 | |
JP2011204412A (ja) | 照明制御システム | |
KR102039083B1 (ko) | 조명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허브통신 시스템 및 사물인터넷 허브통신 방법 | |
KR20150007086A (ko) | 조명 시스템의 배터리 스위치의 전력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