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6807A -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807A
KR20150006807A KR1020140086340A KR20140086340A KR20150006807A KR 20150006807 A KR20150006807 A KR 20150006807A KR 1020140086340 A KR1020140086340 A KR 1020140086340A KR 20140086340 A KR20140086340 A KR 20140086340A KR 20150006807 A KR20150006807 A KR 20150006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mage
template
image
c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4998B1 (ko
Inventor
김태우
최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텍
Publication of KR20150006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is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검자의 현재의료영상을 수검자의 과거의료영상인 기초의료영상 및/또는 기 저장된 증례의료영상과 비교하여 구강병변의 발생 가능성을 검출 및 진댄하는 구강병변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현재의료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과거의료영상인 기초의료영상을 검색하여 상기 기초의료영상이 있는 경우 상기 현재의료영상과 상기 과거의료영상 사이의 변화값이 임계치 이상인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지정하고, 상기 기초의료영상이 없는 경우 병변진단알고리즘으로 상기 현재의료영상 내 병변의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지정하여 상기 관심영역을 후보 템플릿으로 추출하는 템플릿추출부; 상기 후보 템플릿을 기 저장된 증례영상의 병변영역에 해당하는 증례 템플릿과 매칭시켜 유사성이 높은 증례 템플릿을 선정하는 템플릿매칭부; 상기 현재의료영상, 상기 기초의료영상, 상기 후보 템플릿, 상기 증례영상, 상기 증례 템플릿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진단결과표시부를 포함하는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s of oral lesion using medical image}
본 발명은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검자의 현재의료영상을 수검자의 과거의료영상인 기초의료영상 및/또는 기 저장된 증례의료영상과 비교하여 구강병변의 발생 가능성을 검출 및 진단하는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강은 안면의 하부 중앙에 있는 소화기의 입구기관으로서, 통상적으로는 저작, 소화, 미각, 어음의 구성, 호흡 등에 관여하는 구열(口裂)에서부터 인두와 이어지는 구협(口峽)까지의 조직구조를 총칭한다.
구강에 발생하는 구강질환은 임의로 토순, 구개열 등의 선천적 기형, 부식, 골절 등의 외상, 치아우식증, 치주병 등의 치과질환, 치육종, 피상낭종, 에나멜 상피종, 치아종, 설암, 구개암 등의 종양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구강은 치아, 골 및 연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구성과 기능의 다양성을 보이는 동시에 소화기의 입구로서 외부로 노출되어 각종 질병의 발병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특히 구강암은 대부분 육안으로 판별 가능하므로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조기진단이 가능하지만 초기에는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아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기 쉽고, 수술 치료시 광범위한 얼굴 및 기능 손상으로 인해 심미적인 문제는 물론 심각한 심리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구강질환의 조기발견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한편, 최근 들어 컴퓨터의 성능향상, 방사선 영상의 소프트카피화와 형식의 통일, 의학영상처리용 네트워크 기술발전 등에 힘입어 의료영상에 대한 컴퓨터의 정량분석결과를 통해 의료진의 진단에 도움을 주는 컴퓨터 보조진단(computer-aided diagnosis,CAD)기술이 소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컴퓨터 보조진단기술은 컴퓨터의 정량분석결과를 통해 영상판독자의 과다한 판독업무를 줄일 수 있고, 컴퓨터의 정량분석결과를 참고로 하여 의료진이 보다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유방영상으로부터 종괴와 미세석회화를 검출하거나 흉부 X선 또는 폐 CT 영상으로부터 결절을 검출하는 등의 기술은 이미 상용화된 바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컴퓨터 보조진단기술의 신뢰성은 정량분석을 위한 기초정보의 양과 정확도 그리고 연산의 정확성에 전적으로 의존하는바, 현재로서는 광범위한 정보의 수집 및 처리에 한계가 큰 것은 물론 연산량이 지나치게 많아 과도한 시간 및 대형의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문제를 보이고 있다.
때문에 컴퓨터 보조진단기술은 지금까지 유방이나 폐 등 연조직 위주의 특정조직구조에 대한 정량분석결과를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며, 구강과 같이 치아, 골 및 연조직이 복합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다양한 질병의 발병 가능성이 높은 구강질병의 검출 및 진단에 활용되기에는 많은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적은 기초정보와 연산량으로 수검자의 구강병변에 대한 검출 및 진단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의료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현재의료영상과 상기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과거의료영상인 기초의료영상을 비교하고, 변화값이 임계치 이상인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지정하는 영상비교부; 상기 현재의료영상과 상기 기초의료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진단결과표시부를 포함하는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영상비교부는 병변진단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의료영상 내 병변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영상비교부는, 상기 관심영역을 후보템플릿으로 추출하는 템플릿추출부; 상기 후보템플릿을 기 저장된 증례영상의 병변영역에 해당하는 증례 템플릿과 매칭시켜 유사성이 높은 증례 템플릿을 선정하는 템플릿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단결과표시부는 상기 후보 템플릿과 상기 유사성이 높은 증례 템플릿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현재의료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과거의료영상인 기초의료영상을 검색하여 상기 기초의료영상이 있는 경우 상기 현재의료영상과 상기 과거의료영상 사이의 변화값이 임계치 이상인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지정하고, 상기 기초의료영상이 없는 경우 병변진단알고리즘으로 상기 현재의료영상 내 병변의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지정하여 상기 관심영역을 후보 템플릿으로 추출하는 템플릿추출부; 상기 후보 템플릿을 기 저장된 증례영상의 병변영역에 해당하는 증례 템플릿과 매칭시켜 유사성이 높은 증례 템플릿을 선정하는 템플릿매칭부; 상기 현재의료영상, 상기 기초의료영상, 상기 후보 템플릿, 상기 증례영상, 상기 증례 템플릿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진단결과표시부를 포함하는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시스템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a)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현재의료영상을 얻는 단계; (b) 상기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과거의료영상인 기초의료영상을 검색하여, 상기 기초의료영상이 있는 경우 상기 현재의료영상과 상기 과거의료영상 사이의 변화값이 임계치 이상인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지정하고, 상기 기초의료영상이 없는 경우 병변진단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의료영상 내 병변의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지정하는 단계; (c) 상기 관심영역을 후보 템플릿으로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후보 템플릿을 기 저장된 증례영상의 병변영역에 해당하는 증례 템플릿과 매칭시켜 유사성이 높은 증례 템플릿을 선정하는 단계; (e) 상기 현재의료영상, 상기 기초의료영상, 상기 후보 템플릿, 상기 증례영상, 상기 증례 템플릿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은 수검자의 현재의료영상을 수검자의 과거의료영상인 기초의료영상과 비교하여 구강병변의 가능성을 진단하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기초정보와 연산량으로도 구강병변에 대한 검출 및 진단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은 수검자의 현재의료영상과 과거의료영상을 비교하여 변화량이 임계치 이상인 영역을 후보템플릿으로 선정하고, 상기 후보템플릿을 기 저장된 증례템플릿과 최종 비교하여 구강병변을 검출 및 진단하므로 보다 적은 연산량으로도 구강병변에 대한 검출 및 진단 가능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은 사용자의 최종진단에 필요한 참고자료로서 기초의료영상, 현재의료영상, 후보템플릿, 증례템플릿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보다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바, 구강병변의 진단은 물론 구강병변의 치료계획을 수립 및 치료과정 등에도 적용 가능하며, 더 나아가 치료후 예후 추적하는 경우 등 다양한 구강병변 치료 과정에 적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 진단시스템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저장부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비교부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 진단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 진단방법의 일부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 진단결과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 진단시스템(이하, 진단시스템이라 한다.)의 모식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진단시스템은 영상촬영부(10), 정보저장부(20), 영상비교부(30), 진단정보생성부(40), 진단결과표시부(50)를 포함한다.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영상촬영부(10)는 수검자의 의료영상을 촬영 및 제공하며, 일례로 치과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콘빔(Cone beam)이나 의료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팬빔(fan beam) X선 영상으로서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파노라마, CT, 투과 영상 또는 MRI, PET, PET/CT, SPECT, 초음파, 감마레이, T-레이 의료영상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영상촬영부(10)는 각각의 의료영상을 촬영하는 의료영상촬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요하다면 영상촬영부(10)는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의료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영상촬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촬영부(10)에 X선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경우, 상기 X선 영상촬영장치는 동일 수검자에 대해 연조직이 강조된 낮은 에너지 레벨의 X선 영상과 치아 및 골조직이 강조된 높은 에너지 레벨의 X선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정보저장부(20)는 수검자의 의료영상을 포함하는 의료정보와 증례영상을 포함하는 증례정보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시스템의 정보저장부(20)를 좀더 자세히 나타낸 모식도로서, 도 1과 함께 참조한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진단시스템의 정보저장부(20)는 저장정보에 따라 의료정보저장부(21)와 증례정보저장부(25)로 구분될 수 있다.
의료정보저장부(21)에는 수검자의 의료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의료정보는 수검자정보로서 나이, 성별 등의 기본정보와 과거 촬영기록 등의 이력정보, 기초의료영상정보로서 과거에 촬영된 수검자의 의료영상인 기초의료영상과 상기 기초의료영상의 촬영조건인 기초의료영상촬영조건, 현재의료영상정보로서 현재 촬영한 수검자의 의료영상인 현재의료영상과 상기 현재의료영상의 촬영조건인 현재의료영상촬영조건 그리고 진단정보로서 후술하는 진단정보생성부(40)에서 생성된 진단결과를 포함한다.
이때, 의료정보저장부(21)의 각종 의료정보는 수검자정보 별로 저장될 수 있고, 그외 후보의료영상정보로서 후술하는 영상비교부(30)의 후보템플릿추출부(도 의 31 참조)에서 추출된 후보템플릿, 상기 후보템플릿을 포함하는 현재의료영상인 후보의료영상 그리고 상기 후보의료영상의 촬영조건인 후보의료영상촬영조건이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참고로, 위에서 언급한 각종 의료영상은 바람직하게는 DICOM 규격에 따를 수 있고, 여기에는 각종 영상촬영조건 정보가 포함된 표준규격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각종 의료영상정보를 편의상 해당 의료영상으로 언급한다.
증례정보저장부(25)에는 각종 증례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증례정보는 증례가 포함된 의료영상인 증례영상, 상기 증례영상 내 증례부분의 템플릿인 증례템플릿 그리고 증례에 대한 증례진단정보를 포함한다. 일례로, 증례영상은 구강암이 발병한 환자의 구강 X선 영상일 수 있고, 증례템플릿은 증례영상 내 구강암 발병부위의 템플릿일 수 있으며, 증례진단정보는 구강암의 발병부위, 병기 등 의료진의 진단결과일 수 있다. 이 같은 증례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증례정보저장부에 기 저장되어 업데이트 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리자의 판단에 따라 의료정보저장부(21)에 저장된 후보의료영상이 증례영상으로, 후보템플릿이 증례템플릿으로, 진단결과가 증례진단정보로 각각 추가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영상비교부(30)는 기본적으로 수검자의 현재의료영상과 기초의료영상을 비교하여 현재의료영상으로부터 후보템플릿을 추출하고, 상기 후보템플릿과 증례정보저장부(도 2의 25 참조)에 저장된 증례템플릿을 매칭시켜 유사성이 높은 적어도 하나의 증례템플릿을 선택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수검자의 기초의료영상이 없는 경우, 다시 말해 현재의료영상정보가 수검자의 최초의료영상인 경우에 영상비교부(30)는 병변진단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의료영상으로부터 후보템플릿을 추출하고, 상기 후보템플릿과 증례정보저장부(도 2의 25 참조)에 저장된 증례템플릿을 매칭시켜 유사성이 높은 적어도 하나의 증례템플릿을 선택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필요하다면 영상비교부(30)는 수검자의 현재의료영상과 기초의료영상을 비교하여 현재의료영상으로부터 후보템플릿을 추출하는 것과 별도로 병변진단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의료영상으로부터 후보템플릿을 추가적으로 추출할 수 있고, 이들 후보템플릿과 증례정보저장부(도 2의 25 참조)에 저장된 증례템플릿을 매칭시켜 유사성이 높은 적어도 하나의 증례템플릿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시스템의 영상비교부(30)를 좀더 자세하게 나타낸 모식도로서, 도 1과 함께 참조한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진단시스템의 영상비교부(30)는 후보템플릿추출부(31)와 템플릿매칭부(35)를 포함한다.
후보템플릿추출부(31)는 수검자의 현재의료영상으로부터 병변의 가능성이 높은 부분을 후보템플릿으로 추출한다. 이를 위해 후보템플릿추출부(31)는 수검자의 기초의료영상을 검색하고, 기초의료영상이 있는 경우, 현재의료영상과 기초의료영상을 비교하여 변화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부분의 좌표를 포함하는 일정영역을 관심영역(ROI)으로 선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을 후보템플릿으로 추출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후보템플릿추출부(31)는 병변진단알고리즘을 포함하고, 기초의료영상이 없는 경우, 병변진단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검자의 현재의료영상으로부터 병변의 가능성이 높은 부분의 좌표를 포함하는 일정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선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을 후보템플릿으로 추출한다.
이를 위한 병변진단알고리즘은 컴퓨터보조진단기술에서 사용되는 공지의 알고리즘이 폭 넓게 적용 가능한데, 그 역할은 디지털 의료영상으로부터 병변의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판별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일례로는 워터셰드(watershed) 등의 영상분할기법으로 후보군을 선별한 후 형태(sharpe), 밀도(density), 위치(location) 등의 특성값과 SVM(Support Vecotr Machine),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등의 분류기법을 통해 병변을 판별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필요하다면 후보템플릿추출부(31)는 수검자의 현재의료영상과 기초의료영상을 비교하여 후보템플릿을 추출하는 것과 별개로 병변진단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검자의 현재의료영상으로부터 추가적인 후보템플릿을 추출할 수 있다.
그 결과 후보템플릿추출부(31)을 통해서는 현재의료영상으로부터 병변의 가능성이 상대로 높은 영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템플릿이 추출된다.
템플릿매칭부(35)는 후보템플릿과 증례정보저장부(도 2의 25 참조)에 저장된 증례템플릿을 매칭시켜 유사도가 기준치 이상인 증례템플릿을 선택한다. 이때, 템플릿매칭부(35)는 후보템플릿과 증례템플릿의 탬플릿 매칭을 위해 템플릿 특성값, 일례로 형태(sharpe), 밀도(density), 위치(location) 등의 특징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템플릿매칭부(35)를 통해서는 후보템플릿과 유사도가 기준치 이상인 증례템플릿이 선택되어 진단정보생성부(40)로 전달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진단정보생성부(40)는 후보템플릿 그리고 상기 후보템플릿과 유사도가 기준치 이상인 증례템플릿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표시될 진단결과를 생성한다. 진단결과는 예를 들면 후보템플릿과 증례템플릿의 일치율, 후보템플릿의 병변증례정보, 후보템플릿 내 이상영역의 체적정보 등 관리자의 최종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포함하며, 이를 위해 필요하다면 별도의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진단결과표시부(50)는 진단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진단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를 위해 진단결과표시부(50)는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진단결과의 처리, 전송, 저장, 수정 등을 위한 소정의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진단결과표시부에서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진단결과에는 사용자의 최종진단을 위한 참고자료로서 이상에서 언급한 각종 의료영상이 적절히 포함될 수 있는바, 상기 의료영상은 현재의료영상, 기초의료영상, 후보템플릿, 후보영상, 증례템플릿, 증례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적절히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진단방법을 위해 영상촬영부(10)는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현재의료영상을 획득한다.(S10))
이를 위해 영상촬영부(10)는 영상촬영장치로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현재의료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의료영상은 정보저장부(20)의 의료정보저장부(21)에 수검자의 현재의료영상정보로 저장되고, 영상비교부(30)의 후보템플릿추출부(31)로 전달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영상촬영부(10)는 현재의료영상을 획득하기 전 정보저장부(20)의 의료정보저장부(21)에 수검자의 기초의료영상이 있는지 사전 검색할 수 있고, 기초의료영상이 있다면 그 촬영조건과 동일한 촬영조건으로 현재의료영상을 촬영 및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영상비교부(30)는 정보저장부(20)의 의료정보저장부(21)에 수검자의 기초의료영상이 존재하는지 검색하고(S20), 기초의료영상이 있는 경우 현재의료영상과 기초의료영상을 비교한다.(S30) 그리고 현재의료영상과 기초의료영상의 변화값이 임계치 이상인 부분의 좌표를 포함하는 일정영역을 후보템플릿으로 추출한다.(S50)
도 5는 해당 과정을 좀더 자세히 나타낸 순서도로서, 영상비교부(30)의 후보템플릿추출부(31)는 먼저 현재의료영상과 기초의료영상을 정합한다.(S31) 이때, 정합이란 두 의료영상의 비교를 위해 동일기준좌표로 정렬하는 과정을 총칭하는바, 일례로 시간의 경과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화가능성이 적은 골조직, 특히 치아를 기준으로 현재의료영상과 기초의료영상을 정합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의료영상과 기초의료영상 내 전치, 견치, 구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악궁궤적을 인식하여 서로 동일 좌표 상에 일치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재의료영상과 기초의료영상의 정합방법은 다양하다.
이어서, 영상비교부(30)의 후보템플릿추출부(31)는 현재의료영상과 기초의료영상을 영역별로 스캔하면서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인 영역을 찾는다. 이때, 스캔영역은 목적에 따라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S35)
마지막으로, 영상비교부(30)의 후보템플릿추출부(31)는 현재의료영상과 기초의료영상 사이의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인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고(S39) 해당 영역을 후보템플릿으로 추출한다.(도 4의 S50 참조)
반면, 영상비교부(30)가 정보저장부(20)의 의료정보저장부(21)에서 수검자의 기초의료영상을 검색하지 못한 경우, 다시 말해 수검자의 현재의료영상이 최초의 의료영상인 경우에 영상비교부(30)의 후보템플릿추출부(31)는 병변진단알고리즘으로 현재의료영상에서 병변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고(S40), 해당 영역을 후보템플릿으로 추출한다.(S50)
이때, 영상비교부(30)의 후보템플릿추출부(31)가 병변진단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현재의료영상으로부터 병변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영역을 찾지 못한 경우, 영상비교부(30)는 현재의료영상을 정보저장부(20)의 의료정보저장부(21)에 수검자의 기초의료영상으로 저장하고, 그 결과를 진단정보생성부(40) 및 진단결과표시부(5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필요하다면 영상비교부(30)는 정보저장부(20)의 의료정보저장부(21)에서 수검자의 기초의료영상을 검색한 경우라도, 도 5의 과정으로 추출된 후보템플릿과 별개로 병변진단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현재의료영상으로부터 병변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고 해당 영역을 후보템플릿으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후보템플릿은 영상비교부(30)의 템플릿매칭부(35)로 전달된다.
이어서, 템플릿매칭부(35)는 후보템플릿과 정보저장부(20)의 증례정보저장부(35)에 저장된 증례템플릿을 매칭시켜 유사성이 높은 증례템플릿을 선정한다.(S60)
한편, 후보템플릿추출부(31)가 현재의료영상과 기초의료영상 간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인 영역을 찾지 못한 경우 또는 이와 별개 또는 병합하여 병변진단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현재의료영상으로부터 병변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영역을 찾지 못한 경우, 영상비교부(30)는 현재의료영상을 정보저장부(20)의 의료정보저장부(21)에 수검자의 기초의료영상으로 저장하고, 그 결과를 진단정보생성부(40)와 진단결과표시부(5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진단정보생성부(40)는 영상비교부(30)에서 전달되는 후보템플릿과 증례템플릿을 통해 진단정보를 생성하고, 진단결과표시부(5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70, S80)
도 6은 진단결과표시부(50)를 통해 표시되는 진단결과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기초의료영상, 현재의료영상, 후보템플릿, 증례템플릿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영역(A) 그리고 진단정보생성부(40)에서 후보템플릿과 증례템플릿의 비교를 통해 생성된 진단정보를 표시하는 진단정보표시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진단정보표시영역(B)에는 일례로 후보템플릿의 예상 병병, 증례템플릿과 일치율, 후보템플릿 내 병변영역이라 판단되는 부분의 면적 내지는 체적정보 그리고 기타 의사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각종 분석 및 참조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같은 진단결과를 위해 진단정보생성부에는 소정의 연산알고리즘이 탑재될 수 있다.
참고로, 진단정보생성부(40)의 진단결과에 의해 후보템플릿과 증례템플릿의 일치율이 임의의 설정값 보다 높은 경우, 관지자의 지시에 따라 현재의료영상을 정보저장부(20)의 의료정보저장부(21)에 수검자의 후보의료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고, 필요하다면 증례정보저장부(25)에 증례영상 및 증례템플릿으로 추가할 수 있다.
더불어,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진단시스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영상촬영장치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치과용 X선 영상장치로 구강에 대한 현재의료영상을 촬영하면 X선 영상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이와 별도로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진단결과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이 없더라도 쉽게 예상 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해당 기술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들 모든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라면 분명하게 인지할 수 있다.
10 : 영상촬영부 20 : 정보저장부
21 : 의료정보저장부 25 : 증례정보저장부
30 : 영상비교부 31 : 후보템플릿추출부
35 : 템플릿매칭부 40: 진단정보생성부
50 : 진단결과표시부

Claims (5)

  1.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의료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현재의료영상과 상기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과거의료영상인 기초의료영상을 비교하고, 변화값이 임계치 이상인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지정하는 영상비교부;
    상기 현재의료영상과 상기 기초의료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진단결과표시부를 포함하는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비교부는 병변진단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의료영상 내 병변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지정하는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영상비교부는,
    상기 관심영역을 후보템플릿으로 추출하는 템플릿추출부;
    상기 후보템플릿을 기 저장된 증례영상의 병변영역에 해당하는 증례 템플릿과 매칭시켜 유사성이 높은 증례 템플릿을 선정하는 템플릿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단결과표시부는 상기 후보 템플릿과 상기 유사성이 높은 증례 템플릿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표시하는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시스템.
  4.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현재의료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과거의료영상인 기초의료영상을 검색하여 상기 기초의료영상이 있는 경우 상기 현재의료영상과 상기 과거의료영상 사이의 변화값이 임계치 이상인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지정하고, 상기 기초의료영상이 없는 경우 병변진단알고리즘으로 상기 현재의료영상 내 병변의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지정하여 상기 관심영역을 후보 템플릿으로 추출하는 템플릿추출부;
    상기 후보 템플릿을 기 저장된 증례영상의 병변영역에 해당하는 증례 템플릿과 매칭시켜 유사성이 높은 증례 템플릿을 선정하는 템플릿매칭부;
    상기 현재의료영상, 상기 기초의료영상, 상기 후보 템플릿, 상기 증례영상, 상기 증례 템플릿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진단결과표시부를 포함하는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시스템.
  5. (a)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현재의료영상을 얻는 단계;
    (b) 상기 수검자의 구강에 대한 과거의료영상인 기초의료영상을 검색하여, 상기 기초의료영상이 있는 경우 상기 현재의료영상과 상기 과거의료영상 사이의 변화값이 임계치 이상인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지정하고, 상기 기초의료영상이 없는 경우 병변진단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의료영상 내 병변의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지정하는 단계;
    (c) 상기 관심영역을 후보 템플릿으로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후보 템플릿을 기 저장된 증례영상의 병변영역에 해당하는 증례 템플릿과 매칭시켜 유사성이 높은 증례 템플릿을 선정하는 단계;
    (e) 상기 현재의료영상, 상기 기초의료영상, 상기 후보 템플릿, 상기 증례영상, 상기 증례 템플릿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방법.
KR1020140086340A 2013-07-09 2014-07-09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KR101684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567 2013-07-09
KR1020130080567 2013-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807A true KR20150006807A (ko) 2015-01-19
KR101684998B1 KR101684998B1 (ko) 2016-12-12

Family

ID=5257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340A KR101684998B1 (ko) 2013-07-09 2014-07-09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99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20200A1 (en) * 2015-01-30 2016-08-04 Dental Imaging Technologies Corporation Dental variation tracking and prediction
WO2016126056A1 (ko) * 2015-02-03 2016-08-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제공 장치 및 의료정보 제공 방법
KR101653505B1 (ko) * 2015-10-13 2016-09-0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건강상태에 대한 진단을 보조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WO2018080194A1 (ko) * 2016-10-26 2018-05-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병변의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10349918B2 (en) 2015-12-22 2019-07-16 Samsung Medison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ltrasound images
KR20200101584A (ko) * 2019-02-20 2020-08-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로의 간편한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14893A (ko) *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코어라인소프트 의료용 인공 신경망 기반 행잉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의료 영상 판독 지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934B1 (ko) 2019-11-19 2021-06-30 주식회사 코어라인소프트 의료용 인공 신경망 기반 대표 영상을 제공하는 의료 영상 판독 지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4173A (ja) * 2011-10-27 2013-05-20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観察システム、マーキング装置、観察装置及び内視鏡診断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4173A (ja) * 2011-10-27 2013-05-20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観察システム、マーキング装置、観察装置及び内視鏡診断システ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20200A1 (en) * 2015-01-30 2016-08-04 Dental Imaging Technologies Corporation Dental variation tracking and prediction
US9770217B2 (en) * 2015-01-30 2017-09-26 Dental Imaging Technologies Corporation Dental variation tracking and prediction
WO2016126056A1 (ko) * 2015-02-03 2016-08-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제공 장치 및 의료정보 제공 방법
US10585849B2 (en) 2015-02-03 2020-03-10 Pu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1653505B1 (ko) * 2015-10-13 2016-09-0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건강상태에 대한 진단을 보조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US10349918B2 (en) 2015-12-22 2019-07-16 Samsung Medison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ltrasound images
WO2018080194A1 (ko) * 2016-10-26 2018-05-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병변의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1584A (ko) * 2019-02-20 2020-08-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로의 간편한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14893A (ko) *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코어라인소프트 의료용 인공 신경망 기반 행잉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의료 영상 판독 지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998B1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998B1 (ko)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US20200335200A1 (en) Similar case retrieval apparatus, similar case retrieval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imilar case retrieval system, and case database
US8483467B2 (en) Medical image diagnosis assis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is recorded program for the same
US9064332B2 (en) Fused-image visualization for surgery evaluation
US10062166B2 (en) Trachea marking
KR101840350B1 (ko) 의료 영상 판독 과정에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이용한 판독 효율 증대 방법 및 그 장치
US20120093383A1 (en) Sequential image acquisition method
US2016010428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050057B1 (en) Medical image system and program
BRPI0618949A2 (pt) método e sistema para analisar uma pluralidade de dados de imagem médicos de uma região em uma anatomia, método para adquirir e analisar dados de imagem médicos mrs de uma região em uma anatomia e sistema para analisar dados de imagem médicos de uma região em uma anatomia
JP2008259622A (ja) レポート作成支援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11583249B (zh) 一种医学图像的质量监控系统及方法
CN110189324B (zh) 一种医学图像处理方法及处理装置
US20210217166A1 (en) Automated screening of medical data
JP200821239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9028161A (ja) 医用画像表示装置及び医用画像表示方法
KR20220124166A (ko) 방사선 파라미터 결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278257B2 (en) Diagnostic auxiliary image generation apparatus, diagnostic auxiliary image generation method, and diagnostic auxiliary image generation program
JP2011041804A (ja) 胎児の肋骨数を測定する超音波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1753831A (zh) 一种图像分析方法、装置、图像采集设备及存储介质
JP519275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5019996A (ja) 放射線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2136107B1 (ko) 뼈 감쇄된 x-선 영상의 정합 장치 및 방법
JP2005269214A (ja) 画像診断支援装置及び画像診断支援方法及び画像診断支援プログラム及び画像診断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6181025A (ja) 異常陰影検出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