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954A - An exercise device - Google Patents

An exercis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954A
KR20150005954A KR1020147030915A KR20147030915A KR20150005954A KR 20150005954 A KR20150005954 A KR 20150005954A KR 1020147030915 A KR1020147030915 A KR 1020147030915A KR 20147030915 A KR20147030915 A KR 20147030915A KR 20150005954 A KR20150005954 A KR 20150005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body
attached
cavity
mounting means
exercis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09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앨런 코넨
Original Assignee
앨런 코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2901324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2901324A0/en
Application filed by 앨런 코넨 filed Critical 앨런 코넨
Publication of KR20150005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95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5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variable weights, e.g. weight systems with weight selecting means for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2Fluids, e.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3Fluid-like particles, e.g. gun shot or s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2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7Walking and pulling or pushing a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6Training devices for jumping; Devices for balloon-jumping; Jumping a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운동 기구(10)는 내부네 캐비티(18)을 형성하는 가요성 벽을 구비하는 중공형 본체(12)를 포함하는데, 상기 캐비티(18)은 중공형 본체(12)를 수축 구조로 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비워질 수 있고, 상기 캐비티(18)은 중공형 본체(12)를 확장 구조로 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충전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장착 수단(25a, 25b)과, 이들 사이의 그립(21)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2)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장착 수단(25a, 25b)은 중공형 본체(12)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xercise device 10 includes a hollow body 12 having a flexible wall defining an interior four cavities 18 that are configured to constrict the hollow body 12 in a retracted configuration And the cavity 18 may be substantially filled to form the hollow body 12 in an expanded configuration and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ans 25a and 25b,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handle (2) with a grip (21) and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ans (25a, 25b) are fixedly attached to the hollow body (12).

Description

운동 기구{AN EXERCISE DEVICE}AN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xercise machines.

본 발명은 주로 운동 활동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후에 본 출원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사용 분야로 한정되지 않음이 예측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primarily for use with athletic activities and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is application.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particular application.

현재 시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많은 운동 제품이 있다. 대부분은 단지 특정 신체 부위에만 초점을 맞춘 개별적인 머신들이다. 케틀벨스(Kettlebells), 스위스 엑서사이즈 볼스(Swiss Exercise Balls) 및 프리웨이트(free weight)와 같은 일부 제품은 광범위한 운동을 제공하지만, 이것들이 제공하는 운동의 범위, 이러한 제품이 사용되는 장소, 및 이러한 기구들이 사용될 수 있는 방법들에는 모두 제한이 있다. There are many athletic products available in the market today. Most are individual machines that focus only on specific parts of the body. Certain products, such as Kettlebells, Swiss Exercise Balls and free weight, offer a wide range of movements, but the range of exercises they provide, where they are used, There are limits to all the ways in which they can be used.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결함중 적어도 일부를 극복하거나 또는 상당히 개선하는 운동 기구를 제공하거나, 또는 적어도 대안을 제공하도록 시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tness device that overcomes or significantly improves at least some of the deficiencies of the prior art, or at least attempts to provide an alternative.

임의의 종래 기술의 정보가 본 명세서에 인용되면, 이러한 인용이 상기 정보가 오스트레일리아 또는 다른 국가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일반적인 지식의 부분을 형성한다고 시인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if any prior art information is incorporated herein, this citation does not acknowledge that the information forms part of the common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of the invention in Australia or elsewhere.

제1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운동 기구는, 내부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가요성 벽을 구비한 중공형 본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캐비티는 상기 중공형 본체를 수축 구조로 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비워질 수 있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중공형 본체를 확장 구조로 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채워질 수 있으며; 제1 장착 수단, 제2 장착 수단, 및 제1 장착 수단과 제2 장착 수단 사이의 그립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을 포함하며, 제1 장착 수단과 제2 장착 수단은 상기 중공 바디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th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body having a flexible wall defining a cavity therein, the cavity being substantially empty to form the hollow body in a retracted configuration And the cavity can be substantially filled to form the hollow body in an expanded configuration; At least one handle having a first mounting means, a second mounting means, and a grip between the first mounting means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wherein the first mounting means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are fixedly attached to the hollow body .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상기 중공형 본체의 이격된 부분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적어도 2개의 핸들을 포함한다. Advantageously, said at least one handle comprises at least two handles fixedly attached to spaced apart portions of said hollow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형 본체는 상기 수축 구조에서 실질적으로 편평하다.Preferably, the hollow body is substantially flat in the constricted structure.

바람직하게, 상기 운동 기구는 상기 캐비티를 비우거나 또는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형 본체에 장착된 밸브 조립체를 더 포함한다.Advantageously, the motion mechanism further comprises a valve assembly mounted to the hollow body for evacuating or filling the cavity.

바람직하게, 상기 캐비티는 고체 및/또는 가스 및/또는 액체로 충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avity can be filled with solid and / or gas and / or liquid.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형 본체는 튜브형 중간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hollow body includes a tubular intermediate portion.

바람직하게,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형 본체는 상기 튜브형 중간부에 부착된 대략 반구형의 제1 및 제2 단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preferably, the hollow body includes first and second ends of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attached to the tubular intermediate portion.

한 실시예에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확장 구조일 때 길이가 최대 30 ㎝, 가장 바람직하게 약 25 내지 27 ㎝이다.In one embodiment, the hollow body is up to 30 cm in length, most preferably about 25 to 27 cm in length when in an expanded configur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형 본체는 확장 구조일 때 폭이 최대 20 ㎝, 가장 바람직하게 15 내지 18 ㎝이다.Preferably, the hollow body has a width of up to 20 cm, most preferably 15 to 18 cm when in an expanded configur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형 본체는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또는 클로로술포네이트 폴리에틸렌 합성 고무로 제조된다.Preferably, the hollow body is made of polyurethane, polyvinyl chloride or chlorosulfonate polyethylene synthetic rubber.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 조립체는 일방향 충전 밸브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valve assembly includes a unidirectional charge valve.

바람직하게, 상기 일방향 충전 밸브는 공기 및 액체가 모두 상기 일방향 충전 밸브를 통해 상기 캐비티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조정된다.Preferably, the unidirectional fill valve is adjusted such that both air and liquid can be inserted into the cavity through the unidirectional fill valve.

바람직하게, 상기 일방향 충전 밸브는 상기 중공형 본체에 부착가능한 밸브 하우징에 장착된다.Preferably, the one-way charging valve is mounted in a valve housing attachable to the hollow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형 본체는 튜브가 장착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튜브에 장착 가능하다.Preferably, the hollow body include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tube is mounted, and the valve housing is mountable to the tube.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 하우징은 수나사 중공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암나사 섹션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valve housing includes a male screw hollow section, the tube including a female threaded s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 하우징은 장착될 때 상기 중공형 본체의 외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인 대체로 편평한 섹션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valve housing includes a generally flat section that is substantially coplanar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body when mounted.

바람직하게, 상기 편평한 섹션은 상기 일방향 충전 밸브가 장착되는 중앙 리세스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flat section includes a central recess in which the one-way charging valve is mounted.

상기 밸브 조립체는 폐쇄 캡을 더 포함한다.The valv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closed cap.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상기 튜브형 중간부의 측벽에 부착된다.Preferably, said at least one handle is attached to a side wall of said tubular intermediat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장착 수단은 사용시에 상기 중공형 본체로부터 이격된 방식으로 상기 그립을 장착한다.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ans mount the grip in use in a spaced-apart manner from the hollow body.

바람직하게, 상기 그립은 곡선의 고무가공된(rubberised) 튜브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grip includes a curved rubberised tube.

바람직하게, 상기 그립은 각각의 제1 및 제2 장착 수단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단부 스트랩(end strap)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grip includes first and second end straps attached to respectiv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ans.

바람직하게, 각각의 장착 수단은 각각의 단부 스트랩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제1 패드, 및 각각의 단부 스트랩과 제1 패드 상에 배치되어, 각각의 단부 스트랩과 제1 패드에 부착되는 제2 패드를 포함한다.Preferably, each mounting means includes a first pad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each end strap, and a second pad disposed on each of the end straps and the first pad, .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제1 패드보다 크고, 상기 제1 패드의 에지를 지나서 연장하는 상기 제2 패드의 에지는 상기 중공형 본체에 부착된다. Preferably, the second pad is larger than the first pad, and the edge of the second pad extending beyond the edge of the first pad is attached to the hollow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패드는 냉간 접착제(cold glue) 또는 다른 적절한 접착제를 통해 상기 중공형 본체에 부착된다.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pads are attached to the hollow body via a cold glue or other suitable adhesive.

한 실시예에서, 상기 캐비티는 개별적으로 비워지거나 또는 충전될 수 있는 다중 챔버들로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cavity is formed of multiple chambers that can be individually emptied or filled.

한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은 상기 중공형 본체에 견고하게 부착된다.In one embodiment, the handle is rigidly attached to the hollow body.

한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은 장갑 형상 부착물로서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handle is configured as an armored attachment.

한 실시예에서, 상기 운동 기구는 상기 중공형 본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핸들을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exercise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additional handle attached to the hollow body.

한 실시예에서, 상기 2개의 핸들은 상기 중공형 본체의 양측에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wo handles are on opposite sides of the hollow body.

한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은 상기 중공형 본체의 일단부에 배치된다.In one embodiment, the handle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hollow body.

한 실시예에서, 상기 운동 기구는 상기 중공형 본체의 반대편 단부에 배치되는 제2 핸들을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exercise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handle dispos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hollow body.

한 실시예에서, 상기 운동 기구는 상기 중공형 본체의 단부에 배치되는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exercise device further comprises connecting means disposed at an end of the hollow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수단은 링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connecting means comprises a ring.

본 발명은, 운동 기구에 있어서, 내부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가요성 벽을 구비한 중공형 본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캐비티는 중공형 본체가 확장 구조가 되도록 충전되며; 상기 중공형 본체에 부착된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형 본체는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또는 클로로술포네이트 폴리에틸렌 합성 고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ion device, comprising a hollow body having a flexible wall defining a cavity therein, the cavity being filled such that the hollow body is of an expanded configuration; A handle attached to the hollow body; The hollow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polyurethane, polyvinyl chloride or chlorosulfonate polyethylene synthetic rubber.

바람직하게, 상기 핸들은 상기 중공형 본체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Preferably, the handle is fixedly attached to the hollow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캐비티는 고체 및/또는 가스 및/또는 액체로 충전된다. Preferably, the cavity is filled with solid and / or gas and / or liquid.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형 본체는 튜브형 중간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hollow body includes a tubular intermediat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형 본체는 상기 튜브형 중간부에 부착된 대략 반구형의 제1 및 제2 단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hollow body includes first and second ends of generally hemispherical shape attached to the tubular intermediat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형 본체는 길이가 최대 30 ㎝이다.Preferably, the hollow body is up to 30 cm in length.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형 본체는 폭이 최대 20 ㎝, 가장 바람직하게 15 내지 18 ㎝이다.Preferably, the hollow body has a width of at most 20 cm, most preferably 15 to 18 cm.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길이가 30 ㎝ 내지 100 ㎝이다.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hollow body is 30 cm to 100 cm in length.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형 본체는 상기 캐비티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hollow body includes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within the cavity.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는 고체 웨이트를 포함한다.Advantageously, said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comprises a solid weight.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는 상기 캐비티의 내부 벽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is fixedly attached to an inner wall of the cavity.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는 상기 중공형 본체의 중앙부에 위치된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hollow body.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는 상기 중공형 본체의 길이방향 길이에 대해 중심에서 떨어져 위치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is located centrally away from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hollow body.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는 상기 중공형 본체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나란하거나 또는 이격된 2개 이상의 웨이트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comprises two or more weights spaced or spaced along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hollow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는 상기 캐비티의 내주부와 맞춰지는 둥근 원주부를 가진다.Advantageously, said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has a rounded circumference adapted to fit with an inner circumference of said cavity.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는 상기 캐비티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중심에서 떨어져서 배치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is disposed apart from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avity.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는 길이방향으로 확장하는 형상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is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다른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웨이트는 상기 중공형 본체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에 대하여 이격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two or more weights are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hollow body.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웨이트(들)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캐비티의 나머지는 다른 물질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emainder of the cavity that is not occupied by the auxiliary weight (s) can be wholly or partially filled with other material.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캐비티는 필요에 따라 물질을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챔버들로 분할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avity is divided into chambers that individually receive the material as needed.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운동 기구는 제1 쌍 및 제2 쌍의 핸들을 포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motion mechanism includes a first pair and a second pair of handles.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쌍의 핸들은 각각의 제1 및 제2 단부에 인접하여 배열된다.Preferably, the first pair of handles are arranged adjacent to the respective first and second ends.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쌍의 그립은 대체로 서로 평행하고 상기 중공형 본체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을 가로지른다. Preferably, the first pair of grips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one another and cross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hollow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쌍의 핸들은 상기 제1 쌍의 내부로 배열된다. Advantageously, said second pair of handles are arranged inside said first pair.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쌍의 그립은 대체로 서로 정렬되며 상기 중공형 본체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에 평행하다.Preferably, the grips of the second pair are generally aligned with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hollow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장착 수단 사이의 상기 그립의 유효 길이는 조정가능하다.Preferably, the effective length of the gri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ans is adjustable.

바람직하게, 상기 그립은 제1 장착 수단에 부착되어 제2 장착 수단 내의 링을 통과하여 고리 모양이 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조절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가늘고 긴 스트랩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grip has an elongated strap attached to the first mounting means and having a first end annularly passing through the ring in the second mounting means, and a second end adjustably attached to the first end, .

대안적으로, 상기 그립은 상기 제1 장착 수단에 부착된 제1 부분과, 상기 제2 장착 수단에 부착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서로 착탈가능하게 부착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grip includes a first portion attached to the first mounting means and a second portion attached to the second mounting mean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are detachably attachable to one another .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부분에 대한 상기 제2 부분의 위치는 조정가능하다.Preferably,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rtion relative to the first portion is adjustabl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각각의 길이는 이 부분들이 서로 부착되기 전에 조정가능하다. Preferably, the length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is adjustable before the portions are attached to each other.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운동 기구는 대체로 양측부의 각각에 적어도 2개의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개별 측부에 있는 핸들은 이들의 그립과 대체로 서로 정렬되어, 중공형 본체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exercise device includes at least two handles on each of its two sides, the handles on each of the individual sides being generally aligned with their grips, Respectively.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운동 기구는 그 각각의 대체로 대향하는 측면에의 적어도 3개의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개별 측부에 있는 핸들은 이들의 그립과 대체로 서로 정렬되어, 중공형 본체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xercise device includes at least three handles on its respective generally opposite side, and the handles on each individual side are generally aligned with their grips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body As shown in Fig.

바람직하게, 상기 핸들들은 고정된 길이의 핸들, 가변 길이의 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Preferably, the handles are fixed length handles, variable length handles, or any combination thereof.

바람직하게, 상기 운동 기구는 지면 또는 다른 구조 상의 적소에 상기 운동 기구를 실질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exercise device further comprises maintenance means for substantially retaining the exercise device at a suitable location on the ground or other structure.

바람직하게, 상기 유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기구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각각의 기구 리테이너는 운동 기구의 양측부를 결합하기 위한 2개의 결합부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holding means includes at least one mechanism retainer, and each mechanism retainer includes two engaging portions for engaging both side portions of the exercise device.

바람직하게, 2개의 결합부는 결합부의 좁은 에지부에 결합되어 운동 기구를 수용하는, 대체로 오목한 상부 부분을 형성하는 웨지이다. Preferably, the two engagement portions are wedges that form a generally concave upper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narrowed edge por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to receive the exercise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유지 수단은 융기 플랫폼(elevated platform)을 포함한다.Advantageously, said holding means comprises an elevated platform.

바람직하게, 상기 유지 수단은 운동 기구를 경사진 각도로 지향시키기 위해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이격된 융기 플랫폼들을 포함한다.Advantageously, said retaining means comprise spaced apart raised platforms having different heights for directing the exercise device at an oblique angle.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운동 기구는, 내부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가요성 벽을 구비한 중공형 본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캐비티는 상기 중공형 본체를 수축 구조로 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비워질 수 있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중공형 본체를 확장 구조로 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충전될 수 있으며; 그립 및 적어도 하나의 장착 수단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장착 수단은 상기 중공형 본체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body having a flexible wall defining a cavity therein, the cavity being substantially emptied to form the hollow body in a retracted configuration And the cavity can be substantially filled to form the hollow body in an expanded configuration; At least one handle having a grip and at least one mounting means, at least one mounting means being fixedly attached to the hollow body.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이 또한 개시된다.Other features of the invention are also disclosed.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놓일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의 방식으로만 지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의 정면도;
도 2는 충전 밸브를 도시한 도 1의 운동 기구의 단부 사시도;
도 3은 밸브 제거 도구를 사용하여 제거된 도 1의 운동 기구의 충전 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운동 기구를 위한 핸들의 부착 패드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운동 기구에 핸들의 부착 시에 제1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운동 기구에 핸들의 부착 시에 제2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핸들을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운동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운동 기구의 측면도;
도 10은 도 8의 운동 기구의 한쪽 단부의 확대도;
도 11은 변형된 핸들을 구비한 도 1 내지 도 7의 운동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변형된 핸들을 구비한 도 8 내지 도 10의 운동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변형된 핸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의 제1 사시도;
도 15는 도 15의 운동 기구의 제2 사시도;
도 16은 운동 벤치(exercise bench)로서 운동 기구의 사용을 위한 기구 플로어 리테이너를 갖는 도 14의 운동 기구의 제1 사시도;
도 17은 도 14의 조립체의 제2 사시도;
도 18은 도 14의 조립체의 정면 사시도;
도 19는 도 16의 기구 플로어 리테이너의 측면 사시도;
도 20은 도 14의 접혀진 운동 기구 및 도 19의 접혀진 기구 플로어 리테이너르 도시한 도면; 및
도 21은 도 14의 운동 기구의 단부 사시도.
Notwithstanding any other form that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n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1 is a front view of a fitness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d perspective view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 1 showing a fill valve; FIG.
Figure 3 shows a fill valve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1 removed using a valve removal tool;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attachment pad of the handle for the exercise device of Fig. 1; Fig.
Figure 5 shows a first step in the attachment of a handle to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1;
6 shows a second step in attaching a handle to the exercise device of Fig. 1; Fig.
Figure 7 shows a fitness device gripped by a user using a handle;
8 is a front view of a fitness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view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8;
Figure 10 is an enlarged view of one end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8;
FIG. 11 shows the exercise device of FIGS. 1-7 with a modified handle; FIG.
Figure 12 shows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s 8-10 with a modified handle;
Figure 13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modified handle;
FIG. 14 is a first perspective view of a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 15;
16 is a first perspective view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 14 having an instrument floor retainer for use of a exercise instrument as an exercise bench;
Figure 17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of Figure 14;
Figure 1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of Figure 14;
19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instrument floor retainer of Fig. 16;
FIG. 20 is a view showing the folded exercise device of FIG. 14 and the folded mechanism floor retainer of FIG. 19; And
Figure 21 is an end perspective view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14;

다음의 설명에서, 상이한 실시예에서 같거나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을 지시하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different embodiments, the same 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features.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10)를 도시한다. 운동 기구(10)는 핸들(20)을 갖는 중공형 본체(12)와 밸브 조립체(30)를 포함한다.1 to 7 illustrate a fitness device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ercise device (10) includes a hollow body (12) having a handle (20) and a valve assembly (30).

본체(12)는 본체(12) 내에서 내부 캐비티(18)를 함께 한정하는 대략 반구형의 제1 및 제2 단부(15 및 16)를 구비한 튜브형 중간부(14)를 포함한다. 본체(12)는 가요성의 유체 불침투성 벽 물질로 제조된다. 캐비티(18)는 본체(12)를 접혀진 실질적으로 편평한 구성(실질적으로 도 3에 도시된)으로 구성하도록 실질적으로 비워질 수 있으며, 캐비티(18)는 본체(12)를 (충전된) 확장 구조(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을 구성하도록 실질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본체(12)는 확장 구조으로 있을 때 길이가 최대 약 30 ㎝이고 폭/지름이 20 ㎝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체(12)는 확장 구조에서 길이가 26 ㎝이고 폭이 16 ㎝이다. The body 12 includes a tubular intermediate portion 14 having first and second ends 15 and 16 which are generally hemispherical within the body 12 to define the inner cavity 18 together. The body 12 is made of a flexible fluid impermeable wall material. The cavity 18 may be substantially emptied to constitute the body 12 in a substantially flat configuration (substantially as shown in FIG. 3) (As shown in Figures 1, 2, and 7). The body 12 has a maximum length of about 30 cm and a width / diameter of 20 cm when in an extended configura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ody 12 is 26 cm in length and 16 cm in width in an expanded configuration.

본체(12)는 상표명 HYPALON, TOSOH-CSM 및 EXTOS으로 판매되는 바와 같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PVC) 또는 클로로술포네이트 폴리에틸렌 (CSPE) 합성 고무 (CSM)로 제조된다.Body 12 is made of polyurethane, polyvinyl chloride (PVC), or chlorosulfonate polyethylene (CSPE) synthetic rubber (CSM) as sold under the trade names HYPALON, TOSOH-CSM and EXTOS.

밸브 조립체(30)는 암나사 튜브(17) 및 밸브 하우징(35)을 포함한다. 튜브(17)는 제1 단부(15)에 형성된 개구부를(19)에 장착된다. 밸브 하우징(35)은 수나사공 중공 제1 섹션(31) 및 대체로 편평한 제2 섹션(32)을 포함한다. 제2 섹션(32)은 그 안에 일방향 충전 밸브(36)가 장착되는 중앙 리세스(33)를 포함한다. 중앙 리세스(33)는, 밸브 캐비티(33)를 커버하고 충전 밸브(36)를 보호하기 위한 폐쇄 캡(38)에 의해 결합되는 암나사 또는 베이넛 장착 탭을 또한 포함한다.The valve assembly 30 includes a female screw tube 17 and a valve housing 35. The tube 17 is mounted to the opening 19 formed in the first end 15. The valve housing 35 includes a male or female hollow first section 31 and a generally flat second section 32. The second section 32 includes a central recess 33 into which a one-way filling valve 36 is mounted. The central recess 33 also includes a female screw or bean nut mounting tab that is joined by a closed cap 38 to cover the valve cavity 33 and to protect the fill valve 36. [

밸브 하우징(35)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7)에 부착될 때, 제2 섹션(32)은 제1 단부(15)의 외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다. 충전 밸브(36)는, 공기가 캐비티(18) 내로 펌핑되지만 공기가 필요할 때 외에는 캐비티(18)로부터 나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일방향 밸브로서 기능한다. 중앙 리세스(33)의 나사 또는 장착 탭에 부착되는 밸브 어댑터(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된다. 밸브 어댑터는 수동 또는 전기 공기 펌프일 수 있는 공기 펌프(도시되지 않음)의 호스 노즐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캐비티(18)는 본체(12)의 확장 구조으로 공기가 충전될 수 있다.When the valve housing 35 is attached to the tube 17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second section 32 is substantially coplanar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nd 15. The fill valve 36 functions as a one-way valve, meaning that air is pumped into the cavity 18 but does not allow the air to exit the cavity 18, except when needed. A valve adapter (not shown) attached to the screw or mounting tab of the central recess 33 is used. The valve adapter is attached to the hose nozzle of an air pump (not shown), which may be a manual or electric air pump. Therefore, the cavity 18 can be filled with air by the expansion structure of the main body 12. [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캐비티(18)는 물과 같은 액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캐비티(33)에 부착되는 액체 밸브 어댑터가 사용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cavity 18 may be partially or fully filled with a liquid such as water. In this case, a liquid valve adapter attached to the cavity 33 may be used.

이러한 어댑트는 밸브 하우징(35)을 제거함이 없이 밸브(36)를 통해 원하는 바와 같이 캐비티(18) 내로 액체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대안적으로, 밸브 하우징(35)은 밸브 렌치(40)를 사용하여 나사를 푸는 것에 의해 튜브(17)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물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채워질 때까지 필요에 따라 캐비티(18) 내로 부어질 수 있다. 캐비티(18)에 있는 나머지 공간은 그런 다음 밸브 하우징(35)을 본체(12)에 재부착하는 것에 의해 물이 충전된다. 또한 대안적으로, 캐비티(18)는 무거운 중량이 필요하면 모래와 같은 고체 제품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Such an adapter allows fluid to be inserted into the cavity 18 as desired through the valve 36 without removing the valve housing 35. [ Alternatively, the valve housing 35 can be removed from the tube 17 by loosening the screw using the valve wrench 40. It can then be poured into the cavity 18 as needed until the water is wholly or partially filled. The remaining space in the cavity 18 is then filled with water by reattaching the valve housing 35 to the body 12. Alternatively, the cavity 18 may be partially or fully filled with a solid product such as sand if heavy weight is required.

핸들(20)은 중간 부분(14)의 측벽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핸들(20)은 그립(21) 및 그 단부들에 부착된 제1 및 제2 장착 수단(25a 및 25b)을 포함한다. 그립(21)은 사용자의 손과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하여 치수화되고 미끄러짐을 피하는데 적합한 곡선의 고무가공된 튜브를 포함한다. 그립(21)은 각각의 장착 수단(25a 및 25b)에 부착된 단부 스트랩(22a 및 22b)들을 포함한다.The handle 20 is fixedly attached to the side wall of the intermediate portion 14. The handle 20 includes a grip 21 and first and second mounting means 25a and 25b attached to its ends. The grip 21 includes a rubberized tube of curved shape that is sized to grip with the user's hand and fingers and suitable for avoiding slippage. The grip 21 includes end straps 22a and 22b attached to respective mounting means 25a and 25b.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장착 수단(25)은 제1 패드(26) 및 보다 큰 제2 패드(27)를 포함한다. 제1 패드(26)는 각각의 단부 스트랩(22)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제1 패드(26)의 하부면은 중간 부분(14)에 부착된다. 제2(보다 큰) 패드(27)는 각각의 단부 스트랩(22) 및 제1 패드(26) 위에 위치되고 이것들에 부착된다. 제1 패드(26)의 에지를 지나서 연장하는 제2 패드(27)의 에지는 중간 부분(14)에 부착된다. 제1 및 제2 패드(26 및 27)들은 냉간 접착제 또는 다른 적절한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통해 중간 부분(14) 및 서로에 대해 부착된다. 이러한 것은 장착 수단(25)이 본체에 그립(21)을 고정적으로 부착하도록 본체(12)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As shown in Figs. 4-6, each mounting means 25 includes a first pad 26 and a second, larger pad 27. As shown in Fig. The first pad 26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each end strap 2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ad 26 is attached to the middle portion 14. A second (larger) pad 27 is positioned over and attached to each end strap 22 and first pad 26. The edge of the second pad 27 extending beyond the edge of the first pad 26 is attached to the middle portion 14. The first and second pads 26 and 27 are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14 and to each other through suitable means such as a cold adhesive or other suitable adhesive. This is fixedly attached to the body 12 so that the mounting means 25 fixedly attaches the grip 21 to the body.

운동 기구(10)의 사용이 지금 설명될 것이다. 비워진 미조립 구성에서, 운동 기구(10)는 부드럽고 가벼우며 크기가 작고 용이하게 운반된다. 사용하도록, 운동 기구(10)는 충전 부착 노즐을 사용하여 오직 공기, 오직 물, 모래 또는 그 임의의 혼합물이 필요에 따라서 충전되고, 이는 약 1분에 수행될 수 있다. The use of exercise device 10 will now be described. In the empty unassembled configuration, the exercise device 10 is soft, lightweight, small in size and easy to carry. For use, the exercise device 10 is filled with air, only water, sand or any mixture thereof, as needed using a filler attachment nozzle, which can be done in about one minute.

운동 기구(10)는 리프팅, 워킹, 조깅, 런지(lunge), 점핑, 스킹, 런닝과 같은 임의의 운동과 연대하여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메디신 볼(medicine ball) 및 케틀벨(kettle bell)과 함께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운동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운동 기구(10)는 또한 스위스 볼(Swiss Ball)과 같은 많은 다른 운동과 연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운동 기구(10)의 부드러운 벽 구조 때문에, 이것은 팔을 돌릴 수 있으며, 강재 웨이트 또는 케틀벨과 비교하여 본체와의 충돌로부터 상해가 가능한 감소된다. The exercise device 10 may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ny exercise such as lifting, walking, jogging, lunge, jumping, skating, running, or used in conjunction with a medicine ball and kettle bell Can be used as a similar motion. The exercise device 10 may als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many other exercises such as Swiss Ball. Because of the smooth wall structure of the exercise device 10, this can be turned around the arm and is less likely to be injured from collision with the body compared to the steel weight or the kettle bell.

조립된 운동 기구(10)는 부드럽고 사용이 편안함으로써 사용자 친화적이고, 잠재적인 상해 및 안전 문제를 최소화한다. 부분적으로 액체 충전 상태(물이 10% 내지 80% 충전되고 나머지는 공기가 충전된)에서, 물은 캐비티(18) 내에서 출렁거리고, 이러한 불안정성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코어 및 안정화 근육을 사용하여 운동 기구(10)를 안정시키도록 요구하며, 그러므로 다른 운동 기구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 이점을 제공한다. 운동 기구(10)는 사용자가 크리켓 보울링, 테니스 스윙 또는 골프 스윙과 같은 스포츠 기능 운동을 모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운동 기구(10)는 재활 또는 노인 운동을 위한 아쿠아 운동을 위하여 물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안정한 형태(물 또는 모래와 같은 고체 물질의 충전)로 사용될 때, 운동 기구(10)는 실제 중량화된 트레이닝 기구로서 사용된다. The assembled exercise device 10 is user friendly due to its softness and ease of use, and minimizes potential injury and safety problems. At a partially liquid filled state (where water is filled between 10% and 80% and the remainder is air filled), water is entrained in the cavity 18, and this instability occurs when the user uses the user ' s core & It is necessary to stabilize the instrument 10 and therefore provides an advantage not provided by other exercise devices. The exercise device 10 enables the user to imitate sports-action exercises such as cricket bowling, tennis swing or golf swing. The exercise device 10 may also be used in water for aqua exercise for rehabilitation or geriatric exercise. When used in a stable configuration (filling of solid material such as water or sand), the exercise device 10 is used as an actual weighted training mechanism.

그러므로, 운동 기구(10)는 다수의 이점을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오직 특별화된 물 설비만이 물에서 트레이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운동 기구(10)는 물에서 또한 운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운동 기구(10)는 사용자 친화적이며, 많은 수의 다른 운동 시에 사용될 수 있다. 운동 기구(10)는 비워져 있을 때 가볍고 편평하게 보관 처리되고, 이는 이동시키고 휴일에 사용하는데 편하게 하며, 이러한 것은 종래의 웨이트로 대체로 가능하지 않은 것이다. 운동 기구(10)는 임의의 형상, 색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그 위에 일정 패턴 또는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노인 또는 상해 재활을 위한 아쿠아 트레이닝 보조 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운동 기구(10)는 안정 또는 불안정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웨이트 이상의 뚜렷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는 또한 스포츠 특정 운동 및 움직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운동 기구(10)는 매우 강하고 내구적이며 지면으로 던져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참여자가 운동 기구(10)로 리프팅 운동을 수행하고 스프린트 전에 지면으로 운동 기구를 던질 수 있는 Boot Camp 스타일 그룹 수업에 편리하다. 참여자에 대한 상해 및 지면에 대한 손상 위험은 종래의 웨이트와 비교하여 최소화된다. 레지스턴스(Resistance), 케틀벨, 컴파운드, 아이솔레이션(isolation), 기능성(functional), 심혈관 및 파워트레이닝 운동이 운동 기구(10)로 모두 가능하다. Therefore, the exercise device 10 provides a number of advantages. Typically, only specialized water equipment can be used for training in water. However, the exercise device 10 can also be used to exercise in water. The exercise device 10 is user friendly and can be used in a number of different exercises. The exercise device 10 is kept lightweight and flat when it is empty, which makes it easy to move and use on holidays, which is largely not possible with conventional weights. The exercise device 10 may be made in any shape, color, and may include a pattern or an advertisement thereon. This can be used as an aqua training aid for elderly or injured rehabilitation. The exercise device 10 can be used in a stable or unstable form, which provides a distinct advantage over conventional weights. It can also be used for sports specific movements and movements. The exercise device 10 is very strong and durable and can be thrown to the ground. This is convenient, for example, in a Boot Camp style group lesson where a participant can perform lifting exercises with the exercise device 10 and throw the exercise equipment on the floor before the sprint. The risk of injury to participants and damage to the ground is minimized relative to conventional weights. Resistance, kettlebell, compound, isolation, functional, cardiovascular and power training exercises are all possible with exercise device 10.

운동 기구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게 접히고, 비워있을 때 매우 가볍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개인 트레이너가 접힌 상태에서 가방으로 10개 이상의 이러한 운동 기구(10)를 용이하게 운반하고, 그런 다음 현지의 공기 펌프 및 수도꼭지를 사용하여, 참여자에 의한 사용을 위해 그룹 수업에 앞서 운동 기구(10)를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운동 기구(10)는 그런 다음 그룹 수업 후에 다시 접혀질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이러한 수의 종래의 강제 웨이트는 대체로 편리하게 운반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운동 기구의 다른 이점은 그 중량이 필요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는 것이다.The exercise device is folded substantially flat and is very light when empty. This can be accomplished, for example, by easily transporting more than ten such exercises 10 from the folded state of the personal trainer to the bag, and then using local air pumps and faucet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assemble the exercise device 10. [ The exercise device 10 can then be folded again after the group lesson. On the contrary, this number of conventional forced weights can not generally be carried conveniently. Another advantage of th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s weight can vary as needed.

기술된 운동 기구(10)로 변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캐비티(18)는 개별적으로 팽창되거나 또는 다른 물질이 충전될 수 있는 다중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기구(10)의 한쪽 절반은 물이 충전될 수 있으며, 다른 쪽 절반은 공기가 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운동 기구(10)에 상이한 운동 역학을 제공한다. 다른 가능성에서, 챔버들은 운동 기구(1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액체를 위한 챔버들은 캐비티(18) 내에서 헬리컬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캐비티(18) 내에서 액체의 출렁거림 방향의 불안정성에 더해질 수 있다. It is self-evident that deformations can be made with the described exercise device 10. For example, the cavities 18 may be formed of multiple chambers that may be individually inflated or other materials may be filled. For example, one half of the exercise device 10 can be filled with water, and the other half can be filled with air. This provides a different kinetic mechanics to the exercise device 10. In other possibilities, the chambers can extend the length of the exercise device 10. In addition, the chambers for the liquid can be formed in a helical manner within the cavity 18, which can add to the instability of the direction of liquid sloshing in the cavity 18. [

핸들에 관계하여, 핸들은 운동 기구(10)에서 도시된 가요성 단부 스트랩 부착 대신에 운동 기구 본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그립은 사용자가 본체(12)를 파지하도록 장갑 형상의 부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운동 기구 본체는 하나 이상의 핸들, 예를 들어 대향하는 측면에의 2개의 핸들을 또한 구비할 수 있다. 핸들은 대안적으로 한쪽 단부 또는 양쪽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In relation to the handle, the handle may be made to rigidly attach to the exercise device body instead of the flexible end strap attachment shown in the exercise device 10. [ In addition, the grips may be constructed of glove-like attachments to allow the user to grip the body 12. [ The exerciser body may also have one or more handles, for example two handles on opposite sides. The handle may alternatively be provided at one end or both ends.

링 또는 다른 연결 수단은 한쪽 또는 양쪽 단부에 또한 부착될 수 있다. 링은 연결 스트랩을 통해 서로에 대해 2개 이상의 운동 기구를 부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물 또는 모래와 같은 고체 물질이 충전될 때, 사용자는 운동 기구에 부착된 하니스를 착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워킹, 조깅 또는 스프린트 등을 행하면서 운동 기구를 끌고 갈 것이다. A ring or other connecting means may also be attached to one or both ends. The rings can be used to attach two or more exercise devices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strap. In addition, when a solid material such as water or sand is charged, the user can wear a harness attached to the exercise device, so that the user will drag the exercise device while doing walking, jogging or sprinting.

커버 캡(38)은 사용자에 대한 임의의 상해를 피하도록 부드러운 커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cap 38 may also include a soft cover to avoid any injury to the user.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10a)를 도시한다. 운동 기구(10a)는 상기 운동 기구(10)와 유사하고, 중공형 본체(12a) 및 밸브 조립체(30a)를 포함한다. 본체(12a)는 또한 대략 반구형의 제1 및 제2 단부(15a 및 16a)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본체(12a)는 확장 구조으로 있을 때 폭/지름이 여전히 약 16 ㎝이다. Figs. 8 to 10 show the exercise device 1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ercise device 10a is similar to the exercise device 10 and includes a hollow main body 12a and a valve assembly 30a. The body 12a also includes first and second ends 15a and 16a that are generally hemispherical. In this embodiment, body 12a is still about 16 cm in width / diameter when in an expanded configuration.

운동 기구(10a)와 운동 기구(10) 사이의 주된 차이는 운동 기구(10a)가 약 75 ㎝의 길이로 더 길고 그 캐비티(18) 내에 고체 웨이트를 포함하고 추후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4개의 핸들(20)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exercise device 10a and the exercise device 10 is that the exercise device 10a is longer by about 75 cm in length and includes a solid weight in its cavity 18 and is provided with four handles (20).

캐비티(18)는 캐비티(18)의 내부 벽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4 또는 5킬로의 납 또는 강재 웨이트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보조 웨이트(들)은 본체(12a)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어디든 위치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그 중앙부에 위치된다. 그러나, 상이한 운동 역학을 제공하도록 본체(12a)의 길이방향 길이에 대해 중심에서 떨어져서 배치된 보조 웨이트(들)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12a)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나란하거나 또는 이격된 2개 이상의 이러한 웨이트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The cavity 18 includes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not shown), such as a 4 or 5 kilos lead or steel weight fixedly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cavity 18. The auxiliary weight (s) may be located anywhere along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main body 12a, but are preferably located at the center thereof. However, it is possible to have auxiliary weights (s) that ar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length of body 12a to provide different kinematic dynamics. It is also possible to have two or more such weights that are parallel or spaced along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main body 12a.

보조 웨이트(들)은 임의의 필요한 형상의 것일 수 있으며, 캐비티(18)의 내주부를 따라서 어디든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조 웨이트는 캐비티(18)의 내주부가 맞춰지는 둥근 원주부를 가진다. 그러나, 상이한 운동 역학을 제공하도록 본체(12a)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24a)에 대해 중심에서 떨어져서 배치된 보조 웨이트(들)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 웨이트(들)은 길이방향으로 확장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이러한 웨이트는 본체(12a)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24a)에 대해 이격될 수 있다. The auxiliary weight (s) may be of any desired shape and may be located anywhere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cavity 18. [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auxiliary weight has a rounded circumference to which the inner periphery of the cavity 18 is fitted. It is, however, possible to have auxiliary weights (s) located centrally away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24a of the body 12a to provide different kinematic dynamics. The auxiliary weight (s) may be shap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wo or more such weights may be spaced about a longitudinal central axis 24a of the body 12a.

보조 웨이트(들)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캐비티(18)의 나머지는 모래, 공기, 물, 또는 임의의 그 조합과 같은 다른 물질로 완전히 충전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캐비티(18)는 필요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물질을 수용하는 챔버들로 분할될 수 있다.The remainder of the cavity 18 that is not occupied by the auxiliary weight (s) can be fully charged or partially filled with other materials such as sand, air, water, or any combination thereof. The cavity 18 may be divided into chambers that individually receive material as needed.

운동 기구(10a)는 4개의 핸들을 포함하며, 제1 쌍(23a)은 핸들(20a 및 20b)이며, 제2 쌍은 핸들(20c 및 20d)이다. 핸들(20a 및 20b)의 제1 쌍(23a)은 각각의 제1 및 제2 단부(15a 및 16a)에 인접하여 배열되고, 그 그립(21a 및 21b)은 서로 대체로 평행하고 본체(12a)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24a)에 대해 가로지른다. 그러므로, 핸들의 제1 쌍(23a)은 사용자가 운동 기구(10a) 상에 넓은 그립을 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쌍(23b)의 핸들(20c 및 20d)는 제1 쌍(23a)의 안쪽을 향해 배열되고, 그 그립(21c 및 21d)은 대체로 서로 정렬되고 본체(12a)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24a)에 평행하다. 그러므로, 핸들의 제2 쌍(23b)은 사용자가 운동 기구(10a) 상에 좁은 직선 그립을 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exercise device 10a includes four handles, the first pair 23a being the handles 20a and 20b and the second pair being the handles 20c and 20d. The first pair 23a of the handles 20a and 20b are arranged adjacent to the respective first and second ends 15a and 16a and the grips 21a and 21b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main body 12a And cross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24a. Therefore, the first pair 23a of the handles enables the user to have a wide grip on the exercise device 10a. The handles 20c and 20d of the second pair 23b are arranged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pair 23a and the grips 21c and 21d are arranged substantially aligned with each other and the center axis 12a of the body 12a 24a. Thus, the second pair of handles 23b enables the user to have a narrow straight grip on the exercise device 10a.

그러므로, 운동 기구(10a)는 무거운 웨이트에 의한 수많은 운동 뿐만 아니라 두손 파지의 동적 운동을 제공한다. Therefore, the exercise device 10a provides dynamic movement of the two-handed grip as well as numerous movements by the heavy weight.

도 11은 변형된 핸들(20e)을 갖는 도 1 내지 도 7의 운동 기구를 도시한다. 핸들(20e)은 중간 부분(14)의 측벽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장착 수단(25a 및 25b) 사이의 그립(21)의 유효 길이는 조정가능하다. 핸들(20e)은 제1 및 제2 장착 수단(25a 및 25b)을 포함하고, 그립(21)은 가늘고 긴 스트랩(21)을 포함한다. 제2 장착 수단(25b)은 부착된 링(29)을 포함한다. 스트랩(21)은 장착 수단(25a)에 부착된 제1 단부(28a)를 가지며, 스트랩(21)은 그런 다음 링(29)을 통하여 고리 모양으로 되고, 스트랩의 제2 단부(28b)는, 훅 및 루프 수단(VELCO™), 버튼 또는 다른 적절한 부착물을 통해 제1 단부(28a)로 다시 조정가능하게 부착되며, 이러한 것은 제1 및 제2 장착 수단(25a 및 25b) 사이에서 스트랩(21)의 유효 길이가 조정가능하도록 허용한다.Fig. 11 shows the exercise device of Figs. 1 to 7 with a modified handle 20e. The handle 20e is fixedly attached to the side wall of the intermediate portion 14. In this embodiment, the effective length of the grip 21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ans 25a and 25b is adjustable. The handle 20e includes first and second mounting means 25a and 25b and the grip 21 includes an elongated strap 21. The second mounting means 25b comprises an attached ring 29. Fig. The strap 21 has a first end 28a attached to the mounting means 25a and the strap 21 is then annularly shaped through the ring 29 and the second end 28b of the strap, And is again adjustably attached to the first end 28a through a hook and loop means (VELCO (TM)), button or other suitable attachment, which is attached to the strap 21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ans 25a and 25b, To be adjustable.

도 12는 2개의 변형된 핸들(20e)을 갖는 도 8 내지 도 10의 운동 기구를 도시한다. 핸들(20e)은 상기된 핸들(21c 및 21d)과 동일한 위치이다. Figure 12 shows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s 8-10 with two deformed handles 20e. The handle 20e is at the same position as the handles 21c and 21d described above.

조정가능한 핸들(20e)은 사용자가 발걸이로서 이러한 핸들(20e)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는 중간 부분(14)과 핸들(20e) 사이에서 그 각각의 발을 삽입하고, 그 발 위로 그립(21)을 조이고, 필요에 따라서 운동을 수행한다. The adjustable handle 20e allows the user to use this handle 20e as a footrest and the user inserts its respective foot between the middle portion 14 and the handle 20e, (21), and performs exercise as required.

도 13은 제1 및 제2 장착 수단(25a 및 25b) 사이에서 그립(21)의 유효 길이를 조정가능하도록 허용하는 변형된 핸들(20f)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그립(21)은 제1 장착 수단(25a)에 부착된 제1 부분(21a) 및 제2 장착 수단(25b)에 장착된 제2 부분(21b)을 포함한다. 제1 부분(21a)은 하부 섹션(61) 및 상부 섹션(62)을 포함한다. 사용 시에, 제2 부분(21b)은 훅 및 루프 수단(VELCRO™)을 통해 서로 부착된 하부 및 상부 섹션(61 및 62) 사이에서 샌드위치된다. 제1 부분(21a)에 대하여 제2 부분(21b)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및 제2 장착 수단(25a 및 25b) 사이의 스트랩(21)의 유효 길이는 조정가능하다. Figure 1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modified handle 20f that allows the effective length of the grip 21 to be adjus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ans 25a and 25b. In this embodiment, the grip 21 includes a first portion 21a attached to the first mounting means 25a and a second portion 21b mounted to the second mounting means 25b. The first portion 21a includes a lower section 61 and an upper section 62. In use, the second portion 21b is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and upper sections 61 and 62 attached to each other via hook and loop means VELCRO (TM).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rtion 21b with respect to the first portion 21a, the effective length of the strap 21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ans 25a and 25b is adjustable.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부분(21a 및 21b)은 가방 및 캠핑 설비에서 사용되는 측면 해제 버클과 같은 적절한 버클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21a 및 21b)의 각각의 길이는 이 부분들이 버클을 통해 서로 연결되기 전에 조정가능하게 만들어질 것이며, 그러므로 스트랩(21)의 유효 길이가 조정가능하도록 허용한다.In other embodiments,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1a and 21b may be connected to one another using suitable buckles such as a side release buckle used in bags and camping equipment. The length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1a and 21b will be made adjustable before these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uckle, thus allowing the effective length of the strap 21 to be adjustable.

다른 가능한 변형에서, 본체는 임의의 필요한 치수의 것일 수 있으며, 25 ㎝ 내지 32 ㎝의 지름 및 1 m 내지 1.2 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핸들(20)의 수는 2개에서 8개로 변할 수 있으며, 조정가능한 핸들(20e 또는 20f)은 2개에서 6개로 변할 수 있다. 이러한 기구는 많은 다른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In other possible variations, the body may be of any desired dimension, and may have a diameter of 25 cm to 32 cm and a length of 1 m to 1.2 m. The number of handles 20 can vary from two to eight and the adjustable handle 20e or 20f can vary from two to six. These mechanisms enable many different exercises.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10b)를 도시한다. 운동 기구(10b)는 상기된 운동 기구(10a)와 유사하고, 중공형 본체(12b) 및 밸브 조립체(30)를 포함한다. 본체(12a)는 대략 반구형의 제1 및 제2 단부(15a 및 16a)를 갖는 튜브형 중간부(14a)를 또한 포함한다. 14 and 15 illustrate a exercise device 10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ercise device 10b is similar to the exercise device 10a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hollow body 12b and a valve assembly 30. [ The body 12a also includes a tubular intermediate portion 14a having approximately hemispherical first and second ends 15a and 16a.

이 실시예에서 본체(12b)는 확장 구조으로 있을 때 30 ㎝의 최대 폭 및 120 ㎝의 최대 길이를 가진다. 캐비티(18)는 필요하면 그 안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ody 12b has a maximum width of 30 cm and a maximum length of 120 cm when in an expanded configuration. The cavity 18 may include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not shown) therein if desired.

운동 기구(10b)는 한쪽 측부 상의 핸들(20a 내지 20c) 및 그 반대편 측부 상의 핸들(20d 내지 20f)의 6개의 핸들을 포함한다. 각 측부 상의 핸들(20)은 그립(21)과 대체로 서로 정렬되고, 본체(12b)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24a)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The exercise device 10b includes six handles of handles 20d-20f on one side and handles 20a-20c on the opposite side. The handles 20 on each side are generally aligned with the grips 21 and are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24a of the body 12b.

핸들(20a 및 20d, 20c 및 20f)들은 각각의 제1 및 제2 단부(15a 및 15b)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핸들(20b 및 20e)은 중간 부분(14a)에 배열된다.Handles 20a and 20d, 20c and 20f are arranged adjacent to respective first and second ends 15a and 15b. Handles 20b and 20e are arranged in intermediate portion 14a.

핸들(20)은 고정 길이 또는 가변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기구(10b)는 이러한 핸들의 임의의 필요한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운동 기구(10b)는 그 사이즈 및 핸들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된 다른 운동 기구와 다른 운동을 제공한다.Handle 20 may have a fixed length or variable length, and mechanism 10b may have any desired combination of such handles. The exercise device 10b provides different motions than the other exercise devices described above due to its size and handle configuration.

도 16 내지 도 18은 운동 벤치로서 운동 기구(10b)의 사용을 위한 기구 플로어 리테이너(80)를 도시한다. Figures 16-18 illustrate the instrument floor retainer 80 for use of the exercise device 10b as an exercise bench.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각각의 기구 플로어 리테이너(80)는 그 좁은 에지부(84)에서 연결된 2개의 웨지(82)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플로어 리테이너(80)는 대체로 오목한 상부 부분(86) 및 편평한 하부 부분(88)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ures 19 and 20, each instrument floor retainer 80 includes two wedges 82 connected at its narrowed edge 84. Therefore, each floor retainer 80 forms a generally concave upper portion 86 and a flat lower portion 88.

도 16 내지 도 18을 다시 참조하여, 플로어 리테이너(80)는 플로어 또는 테이블(100)을 결합하는 하부 부분(88)들이 이격된 방식으로 위치된다. 운동 기구(10b)는 그런 다음 운동 기구(10b)가 웨지(82)들에 의해 측면으로 유지되도록 오목한 상부 부분(86) 위에 배치된다.Referring again to Figures 16-18, the floor retainer 80 is positioned in such a way that the lower portions 88 joining the floor or table 100 are spaced apart. The exercise device 10b is then placed over the concave upper portion 86 so that the exercise device 10b is laterally held by the wedges 82. [

운동 기구(10b)는 그런 다음 저항 트레이닝 벤치(resistance training bench) 및 코어 밸런스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20)들 사이에서 본체(12) 상에 누울 수 있다. 또한, 다른 핸들(20)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운동 기구(10b)는 불안정한 저항 트레이닝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The exercise device 10b may then be used as a resistance training bench and as a core balance mechanism. The user may lie on the body 12 between the handles 20. [ Further, by using the other handle 20, the exercise device 10b can be used as an unstable resistance training mechanism.

도 20은 도 14의 접혀진 운동 기구 및 도 19의 접혀진 기구 플로어 기구를 도시한다. 이러한 것은 기구가 종래의 운동 벤치와 달리 용이하게 운반되고 저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Fig. 20 shows the folding exercise device of Fig. 14 and the folded mechanism floor mechanism of Fig. 19; This enables the instrument to be easily transported and stored unlike conventional exercise benches.

다른 실시예에서, 리테이너(80)들은 지면으로부터 운동 기구(10b)를 상승시키기 위한 융기 플랫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융기 플랫폼은 경사진 각도로 운동 기구(10b)를 지향시키기 위해 상이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retainers 80 may be formed with a raised platform for raising the exercise device 10b from the ground. In addition, the ridge platform may have a different height to direct the exercise device 10b at an oblique angle.

또한, 운동 기구(10b)로부터 공기 및 그 캐비티(18) 내의 물 또는 모래에 의해, 운동 기구(10b)는 샌드백처럼 사용될 수 있다. 도 21은 운동 하니스에 운동 기구(10b)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물 및/또는 링(90)을 도시하는 운동 기구(10b)의 단부 사시도이다. Further, by the air from the exercise device 10b and the water or sand in the cavity 18, the exercise device 10b can be used as a sandbag. 21 is an end perspective view of a motion mechanism 10b showing attachment and / or ring 90 for attaching exercise device 10b to a motion harness.

운동 기구(10)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핸들은 다른쪽 단부가 자유 단부인 단지 하나의 장착 수단을 가질 수 있다. In another possible embodiment of the exercise device 10, the handle may have only one mounting means, the other end of which is a free end.

본 발명은 각각의 운동 기구(10 및 10a) 중 적어도 하나, 및 바람직하게 운동 기구(10b), 바람직하게 플로어 리테이너(80)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each of the exercise devices 10 and 10a, and preferably a fitness device 10b, preferably a floor retainer 80. [

해석Translate

실시예들Examples ::

"한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대한 본 명세서에서의 인용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특별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 내내 다양한 곳에서 구문 "한 실시예에서" 또는 "실시예에서"의 출현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인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인용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당업자에 자명한 것으로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Quot; one embodiment "or" an embodiment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structure, or characteristic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 is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appearances of the phrase " in one embodiment "or" in an embodiment " in various place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re not necessarily all referring to the same embodiment, but can be quoted. Further, the particular features, structures, or characteristics may be combined in any suitable manner as would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than one embodiment.

유사하게,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이 때때로 본 발명을 간소화하고 하나 이상의 다양한 발명 특징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단일 실시예, 도면, 또는 설명에서 함께 그룹화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 방법은, 청구된 발명이 각 청구항에서 명백히 인용된 것보다 많은 특징을 요구하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다음의 청구항을 반영함으로써, 본 발명의 특징들은 단일의 상기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보다 적게 있다. 그러므로, 특정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다음의 청구항은 이러한 특정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명확히 통합되고, 각 청구항은 본 발명의 개별적인 실시예로서 그 자체를 주장한다. Similarly, in the above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features of the invention are sometimes grouped together in a single embodiment, figure, or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implify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id in understanding one or more of the various inventive features . However, this disclosure metho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reflecting an intention that the claimed invention requires more features than are expressly recited in each claim. Rather, by reflecting the following claim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ess than all features of a single single disclosed embodiment.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specific embodiments is clearly incorporated in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such specific embodiments, with each claim standing on its own as an individual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일부 실시예가 일부를 포함하고 다른 실시예에 포함된 다른 특징을 포함하지 않지만,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의 조합은 본 발명에 내에 있는 것으로 의미되며, 다른 실시예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임의의 청구된 실시예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while som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some and do not include other features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combinations of features of other embodiments as would be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re meant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o form another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following claims, any claimed embodiments may be used in any combination.

객체의 다른 예들Other examples of objec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달리 명시되지 않으면, 공통의 객체를 기술하도록 서수 형용사는 "제1", "제2", "제3" 등은 단지 같은 객체의 상이한 예가 인용되고, 그래서 기술된 객체가 주어진 순서,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순위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있는 것을 암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As used herein, ordinal adjectives are used to describe a common object,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at a "first", "second", "third", etc. are merely cited as different examples of the same object, Indicates that the objects are not intended to imply that they are in a given order, temporally, spatially, in a ranking, or in any other way.

특정 상세Specific details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설명에서, 다수의 특정 상세가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러한 특정 상세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다른 예에서, 널리 공지된 방법, 구조 및 기술은 본 설명의 이해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다.In the description provided herei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t is understood, however, that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n other instances, well-known methods, structures, and techniques have not been shown in detail in order not to obscure the understanding of this description.

용어Terms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특정 용어는 명료성을 위해 재분류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렇게 선택된 특정 용어에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각각의 특정 용어는 유사한 기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모든 기술적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전방", "후방", "반경 방향", "주변에", "상향", "하향", 등과 같은 용어는 참조 지점을 제공하는 편의의 단어로서 사용되며, 제한 용어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certain terms will be reclassified for clarity.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terms so selected, and that each specific term includes all technical equivalents that operate in a similar manner to achieve similar technical objectives. Terms such as "forward", "rearward", "radial", "around", "upward", "downward", and the like are used as terms of convenience to provide reference poin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erms.

포함하는 및 구비하는Including and having

다음의 청구항 및 본 발명의 이전 설명에서, 본 명세서가 표현 언어 또는 필요한 암시로 인하여 달리 요구하는 것 외에, 용어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 또는 "구비하는"과 같은 변형은 포괄적인 의미로, 즉 기술된 특징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의 추가의 특징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e following claims and in the previous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ations such as "comprises ", or " comprising ", or" having ", in addition to what the present specification requires otherwise, That is,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bu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additional feature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용어 중 임의의 하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구비하는" 또는 "구비한다"는 그 용어에 따른 적어도 요소/특징을 "구비하는"을 또한 의미하는 개방 용어이지만, 다른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구비하는"은 "포함하는"과 동의어이며 "포함하는"을 의미한다.Any one of the terms: "comprising" or "comprising ", as used herein, is an open term which also encompasses at least the elements / features according to the term, but does not exclude the other. Therefore, "comprising" is synonymous with "comprising"

본 발명의 범위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도록 믿어지는 것이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는, 다른 및 추가의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에 대해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놓이는 것으로서 이러한 변화 및 변형을 청구하도록 의도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서 주어진 임의의 수식이 사용될 수 있는 절차를 대표한다. 기능은 블록도로부터 추가되거나 또는 삭제될 수 있으며, 작동은 기능 블록 사이에 교환될 수 있다. 단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기술된 방법에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other and further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s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 / RTI > For example, it represents a procedure in which any of the equations given above can be used. The function may be added or deleted from the block diagram, and the operation may be interchanged between the functional blocks. Steps may be added to or deleted from the methods describ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비록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이 많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예측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산업상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상기로부터 설명된 장치가 연습 및 피트니스 산업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clear that the device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in the practice and fitness industries.

Claims (73)

운동 기구에 있어서,
내부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가요성 벽을 구비한 중공형 본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캐비티는 상기 중공형 본체를 수축 구조로 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비워질 수 있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중공형 본체를 확장 구조로 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충전될 수 있으며;
제1 장착 수단, 제2 장착 수단, 및 제1 장착 수단과 제2 장착 수단 사이의 그립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을 포함하며, 제1 장착 수단과 제2 장착 수단은 상기 중공 바디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In the exercise device,
A hollow body having a flexible wall defining a cavity therein, wherein the cavity can be substantially emptied to form the hollow body in a retracted configuration, Lt; / RTI > can be substantially charged;
At least one handle having a first mounting means, a second mounting means, and a grip between the first mounting means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wherein the first mounting means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are fixedly attached to the hollow body Wherein the weight is attached.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중공형 본체의 이격부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적어도 2개의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handle comprises at least two handles fixedly attached to the spaced apart portions of the hollow body.
제1항에 있어서,
중공형 본체는 수축 구조에서 실질적으로 편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low body is substantially flat in a constricted configu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를 비우거나 또는 채우기 위해 중공형 본체 내에 장착되는 밸브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alve assembly mounted within the hollow body for evacuating or filling the cav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고체 및/또는 가스 및/또는 액체로 충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cavity can be filled with solids and / or gases and / or liqui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튜브형 중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hollow body includes a tubular intermediate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상기 튜브형 중간부에 부착되는 대략 반구형의 제1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said hollow body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stantially hemispherical ends attached to said tubular intermediat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확장 구조에 있을 때 최대 30 cm의 길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low body has a length of up to 30 cm when in an expanding configu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확장 구조에 있을 때 최대 20cm의 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low body has a width of at most 20 cm when in an expanding configu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또는 클로로술포네이트 폴리에틸렌 합성 고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hollow body is made of polyurethane, polyvinyl chloride or chlorosulfonate polyethylene synthetic rub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일방향 충전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5. The method of claim 4,
Lt; RTI ID = 0.0 > 1, < / RTI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충전 밸브는 공기와 액체가 모두 일방향 충전 밸브를 통해 캐비티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ne-way charging valve is adjusted such that both air and liquid can be inserted into the cavity through the one-way charging valv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충전 밸브는 중공형 본체에 부착가능한 밸브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ne-way charging valve is mounted in a valve housing attachable to the hollow bod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내부에 장착된 튜브를 가지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튜브에 장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hollow body includes an opening having a tube mounted therein, wherein the valve housing is mountable to the tub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수나사 중공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암나사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said valve housing comprises a male screw hollow section, said tube comprising a female threaded sec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장착될 때 중공형 본체의 외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 되는 대체로 편평한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valve housing comprises a generally flat section that is substantially coplanar with an exterior surface of the hollow body when mounted.
제16항에 있어서,
평면 섹션은 일방향 충전 밸브가 장착되는 중앙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lat section comprises a central recess in which a one-way filling valve is moun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폐쇄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5. The method of claim 4,
≪ / RTI > wherein said valve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closed cap.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튜브형 중간부의 측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t least one handle is attached to a side wall of the tubular intermediat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제1 장착 수단과 제2 장착 수단은 사용시에 중공형 본체로부터 이격된 방식으로 그립을 장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ounting means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mount the grip in a manner spaced apart from the hollow body during u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곡선의 고무가공된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grip comprises a curved rubber processed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각각의 제1 및 제2 장착 수단에 부착하는 제1 및 제2 단부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grip comprises first and second end straps attached to respectiv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ans.
제22항에 있어서,
각각의 장착 수단은,
각각의 단부 스트랩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제1 패드, 및
각각의 단부 스트랩과 제1 패드 상에 배치되어, 각각의 단부 스트랩과 제1 패드에 부착되는 제2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23. The method of claim 22,
Each mounting means comprises:
A first pad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each end strap, and
And a second pad disposed on each of the end straps and the first pad and attached to the respective end straps and the first pad.
제23항에 있어서,
제2 패드는 제1 패드보다 크며,
제1 패드의 에지를 지나서 연장하는 제2 패드의 에지는 중공형 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second pad is larger than the first pad,
And the edge of the second pad extending beyond the edge of the first pad is attached to the hollow body.
제2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패드는 냉간 접착제 또는 다른 적당한 접착제를 통해 중공형 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ads are attached to the hollow body via a cold adhesive or other suitable adhes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개별적으로 비워지거나 또는 충전될 수 있는 다중 챔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cavity is formed of multiple chambers that can be individually emptied or fi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중공형 본체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is rigidly attached to the hollow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장갑 형상 부착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handle is configured as an armored attachment.
제1항에 있어서,
중공형 본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 / RTI >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additional handle attached to the hollow body.
제29항에 있어서,
2개의 핸들은 중공형 본체의 양측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30. The method of claim 29,
And the two handles are on opposite sides of the hollow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중공형 본체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hollow body.
제31항에 있어서,
중공형 본체의 반대편 단부에 배치되는 제2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32. The method of claim 31,
And a second handle disposed at an opposite end of the hollow body.
제31항에 있어서,
중공형 본체의 단부에 배치되는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32. The method of claim 31,
And a connecting means disposed at an end of the hollow body.
제1항에 있어서,
연결 수단은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comprises a ring.
운동 기구에 있어서,
내부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가요성 벽을 구비한 중공형 본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캐비티는 중공형 본체가 확장 구조가 되도록 충전되며;
상기 중공형 본체에 부착된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형 본체는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또는 클로로술포네이트 폴리에틸렌 합성 고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In the exercise device,
A hollow body having a flexible wall defining a cavity therein, the cavity being filled such that the hollow body is of an expanded configuration;
A handle attached to the hollow body;
Wherein said hollow body is made of polyurethane, polyvinyl chloride or chlorosulfonate polyethylene synthetic rubber.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중공형 본체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the handle is fixedly attached to the hollow body.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고체 및/또는 가스 및/또는 액체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the cavity is filled with solids and / or gases and / or liquids.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튜브형 중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said hollow body includes a tubular intermediate portion.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상기 튜브형 중간부에 부착되는 대략 반구형의 제1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39. The method of claim 38,
Wherein said hollow body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stantially hemispherical ends attached to said tubular intermediate portion.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최대 30 cm의 길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the hollow body has a length of at most 30 cm.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20 cm의 길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the hollow body has a length of 20 c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30cm와 100cm 사이의 길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low body is between 30 cm and 100 cm in l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상기 캐비티 내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hollow body includes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within said cavity.
제4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는 고체 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44. The method of claim 43,
RTI ID = 0.0 > 1, < / RTI > wherein the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comprises a solid weight.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는 캐비티의 내부 벽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45. The method of claim 44,
Wherein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is fixedly attached to an inner wall of the cavity.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는 중공형 본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45. The method of claim 44,
Wherein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is dispos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hollow body.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는 중공형 본체의 길이방향 길이에 대해 중심에서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45. The method of claim 44,
Wherein the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hollow body.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는 중공형 본체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나란하거나 또는 이격된 2개 이상의 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45. The method of claim 44,
Wherein the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comprises two or more weights spaced or spaced along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hollow body.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는 캐비티의 내주부와 맞춰지는 둥근 원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45. The method of claim 44,
Wherein the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has a rounded circumferential portion that mates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avity.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는 중공형 본체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에 대해 중심에서 떨어져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45. The method of claim 44,
Wherein the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hollow body.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웨이트는 길이방향으로 확장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45. The method of claim 44,
Wherein the at least one auxiliary weight is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51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웨이트는 중공형 본체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52. The method of claim 51,
Wherein the two or more weights are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hollow body.
제44항에 있어서,
보조 웨이트(들)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캐비티의 나머지는 다른 재료로 완전히 충전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충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45. The method of claim 44,
Wherein the remainder of the cavity, which is not occupied by the auxiliary weight (s), can be fully charged or partially filled with another material.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필요에 따라 상기 재료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챔버들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54. The method of claim 53,
Wherein the cavity is divided into chambers that individually receive the material as needed.
제1항에 있어서,
제1 쌍 및 제2 쌍의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pair and a second pair of handles.
제55항에 있어서,
제1 쌍의 핸들은 각각의 제1 및 제2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56. The method of claim 55,
Wherein the first pair of handles are disposed adjacen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nds.
제55항에 있어서,
제1 쌍의 그립은 대체로 서로 평행하고, 중공형 본체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을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56. The method of claim 55,
The first pair of grips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one another and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hollow body.
제55항에 있어서,
제2 쌍의 핸들은 제1 쌍의 핸들의 내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56. The method of claim 55,
And the second pair of handles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pair of handles.
제55항에 있어서,
제2 쌍의 그립은 대체로 서로 정렬되고, 중공형 본체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56. The method of claim 55,
The second pair of grips being generally aligned with one another a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hollow body.
제1항에 있어서,
제1 장착 수단과 제2 장착 수단 사이의 그립의 유효 길이는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ffective length of the grip between the first mounting means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is adjustable.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제1 장착 수단에 부착되어 제2 장착 수단 내의 링을 통과하여 고리 모양이 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조정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가늘고 긴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64. The method of claim 60,
The grip includes an elongated strap attached to the first mounting means and having an elongated first end passing through the ring in the second mounting means and a second end adjustably attached to the first end, Features a fitness machine.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제1 장착 수단에 부착된 제1 부분 및 제2 장착 수단에 부착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부분은 서로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64. The method of claim 60,
Wherein the grip includes a first portion attached to the first mounting means and a second portion attached to the second mounting mean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ar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제62항에 있어서,
제1 부분에 대한 제2 부분의 위치는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63. The method of claim 62,
Wherein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rtion relative to the first portion is adjustable.
제6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부분의 각각의 길이는 이들이 서로 부착되기 전에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63. The method of claim 62,
Wherein the length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is adjustable before they are attach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운동 기구의 대체로 양측부의 각각에 적어도 2개의 핸들을 포함하고,
각 개별 면에 있는 핸들은 이들의 그립과 대체로 서로 정렬되어, 중공형 본체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ercise device generally comprises at least two handles on each side,
Wherein the handles on each individual face are generally aligned with their grips and are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hollow body.
제1항에 있어서,
운동 기구의 대체로 양측부의 각각에 적어도 3개의 핸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개별 측부에 있는 핸들은 이들의 그립과 대체로 서로 정렬되어, 중공형 본체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ercise device generally comprises at least three handles on each side,
Wherein the handles on each individual side are generally aligned with their grips and are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hollow body.
제65항 또는 제66항에 있어서,
핸들은 고정 길이의 핸들, 가변 길이의 핸들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66. The method of claim 65 or 66,
Wherein the handle is a fixed length handle, a variable length handle, or any combination thereof.
제65항 또는 제66항에 있어서,
지면 또는 다른 구조 상의 적소에 운동 기구를 실질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66. The method of claim 65 or 66,
Further comprising retaining means for substantially retaining the exercise device in place on the surface or other structure.
제68항에 있어서,
유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기구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각각의 기구 리테이너는 운동 기구의 양측부를 결합하기 위한 2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69. The method of claim 68,
Wherein the retaining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mechanism retainer, each mechanism retainer including two engaging portions for engaging opposite sides of the exercise device.
제69항에 있어서,
2개의 결합부는 결합부의 좁은 에지부에 결합되어 운동 기구를 수용하는, 대체로 오목한 상부 부분을 형성하는 웨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70. The method of claim 69,
Wherein the two engaging portions are wedges joined to the narrowed edge portions of the engaging portions to form a generally concave upper portion for receiving the exercising mechanism.
제68항에 있어서,
유지 수단은 융기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69. The method of claim 68,
Wherein the retaining means comprises a raised platform.
제68항에 있어서,
유지 수단은 운동 기구를 경사진 각도로 지향시키기 위해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이격된 융기 플랫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69. The method of claim 68,
Wherein the retaining means comprises spaced apart raised platforms having different heights for directing the exercise device at an oblique angle.
운동 기구에 있어서,
내부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가요성 벽을 구비한 중공형 본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캐비티는 상기 중공형 본체를 수축 구조로 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비워질 수 있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중공형 본체를 확장 구조로 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충전될 수 있으며;
그립 및 적어도 하나의 장착 수단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장착 수단은 상기 중공형 본체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In the exercise device,
A hollow body having a flexible wall defining a cavity therein, wherein the cavity can be substantially emptied to form the hollow body in a retracted configuration, Lt; / RTI > can be substantially charged;
At least one handle having a grip and at least one mounting means,
Wherein at least one mounting means is fixedly attached to the hollow body.
KR1020147030915A 2012-04-03 2013-04-03 An exercise device KR2015000595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2901324A AU2012901324A0 (en) 2012-04-03 An excersise device
AU2012901324 2012-04-03
AU2012903454 2012-08-13
AU2012903454A AU2012903454A0 (en) 2012-08-13 An exercise device
AU2013900723 2013-03-04
AU2013900723A AU2013900723A0 (en) 2013-03-04 An exercise device
PCT/AU2013/000339 WO2013149294A1 (en) 2012-04-03 2013-04-03 An exercis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954A true KR20150005954A (en) 2015-01-15

Family

ID=49299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915A KR20150005954A (en) 2012-04-03 2013-04-03 An exercise device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50051053A1 (en)
EP (1) EP2866907A4 (en)
KR (1) KR20150005954A (en)
AU (1) AU2013243227A1 (en)
CA (1) CA2908602A1 (en)
GB (1) GB2516787A (en)
NZ (1) NZ630201A (en)
WO (1) WO201314929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31508A1 (en) * 2013-07-27 2015-01-29 Morgan Goldberg Multifaceted linear training device
WO2015118382A1 (en) * 2014-02-06 2015-08-13 Harshana Jayakuru Ranil Aqua ropes for fitness training
US9550088B2 (en) * 2014-05-27 2017-01-24 Boonplook Coompol Exercise roller
TWI538711B (en) * 2015-02-06 2016-06-21 旭宏祥有限公司 Barbell
EP3090784A1 (en) * 2015-04-08 2016-11-09 Amer Sport Italia SpA Fitness training aid
USD871072S1 (en) * 2018-03-01 2019-12-31 Coulter Ventures, LLC Bag
GB201513076D0 (en) * 2015-07-24 2015-09-09 Rachele Rollin A soft modular fitness device
USD823953S1 (en) * 2015-10-16 2018-07-24 Move Strong Functional Fitness Equipment, LLC Exercise weight bag
US9814421B2 (en) 2015-11-30 2017-11-14 Bardavon Health Innovations, Llc Apparatus for determining lifting capacity
JP5974322B1 (en) * 2016-02-15 2016-08-23 央 軽部 Body strengthening swing exercise equipment
US10343009B2 (en) * 2017-05-19 2019-07-09 Peyton Ventures, LLC Multi-use exercise bag with removeable weights
JP6929007B2 (en) * 2017-06-02 2021-09-01 株式会社 Mtg Exercise equipment
USD845405S1 (en) * 2017-08-28 2019-04-09 Phillip Alexander Harrison Fillable weight
IT201800002319A1 (en) * 2018-02-01 2019-08-01 Reaxing Srl KETTLEBELL TYPE GYMNASTICS EQUIPMENT
US11052278B2 (en) * 2018-02-23 2021-07-06 Micah Brown Pipe exercise device
US11318345B2 (en) * 2018-05-18 2022-05-03 Naipaul Bassoo Sand pit training bag
USD1010752S1 (en) 2019-07-31 2024-01-09 Coulter Ventures, Llc. Bag
US20210113880A1 (en) * 2019-10-18 2021-04-22 Naipaul Bassoo Adjustable workout sled bag
CN115154990B (en) * 2022-07-11 2023-06-02 南昌工学院 Body-building dumbbell exercises train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9315A (en) * 1954-08-25 1957-07-16 Jesse L Strasburg Golf club carrier
US4191232A (en) * 1979-01-19 1980-03-04 Bruce Plastics, Inc. Duplex handles of molded plastic material
SU1590079A1 (en) * 1988-04-25 1990-09-07 Н. М. Харлов Weight
US5393285A (en) * 1992-10-30 1995-02-28 Mohawk Sports, Inc. Exercise apparatus
US6126041A (en) * 1998-03-24 2000-10-03 Ditomasso; Joseph Liquid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CZ14283U1 (en) * 2004-02-04 2004-04-26 Jan Mgr. Pospíšil Training and rehabilitation appliance
US7758477B2 (en) * 2006-06-08 2010-07-20 Jerry Prenatt Exercise device
GB2474062A (en) * 2009-10-05 2011-04-06 Lee Booth An unstable weight
USD672414S1 (en) * 2011-07-25 2012-12-11 Escape Fitness Limited Weighted bag for exerci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9294A1 (en) 2013-10-10
EP2866907A4 (en) 2016-04-06
NZ630201A (en) 2017-01-27
CA2908602A1 (en) 2013-10-10
EP2866907A1 (en) 2015-05-06
US20150051053A1 (en) 2015-02-19
GB201419571D0 (en) 2014-12-17
AU2013243227A1 (en) 2014-11-13
GB2516787A (en)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5954A (en) An exercise device
US10350474B1 (en) Underwater striking ba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5425626B2 (en) Exercise equipment
US8317667B1 (en) Portable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286247B2 (en) Portable strength training and exercise apparatus
US9364699B2 (en) Inflatable recreation device
US20150018178A1 (en) Agility and strength improvement apparatus
US20150190679A1 (en) Agility and strength improvement apparatus
US20140011645A1 (en) Multiple position exercise device
US20160074691A1 (en) Resistanc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use with an exercise apparatus
US9079070B2 (en) Soft kettlebell
US20150182777A1 (en) Fillable Kettlebell
US7892157B2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20120100968A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9724554B2 (en) Full body exercise apparatus
US20190336387A1 (en) Exercise Device Having Telescoping Elements
US8882645B2 (en) Partially stabilized exercise device mounted with elastic resistance members
US10010757B2 (en) Equipment for improving physical fitness
US8376914B2 (en) Aquatic exercise device
US20080227604A1 (en) Training device for an ambulatory user
US20150343254A1 (en) Resistance train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9192802B2 (en) Wheeled exercise apparatus
WO2013059029A1 (en) Exerciser
US20180015323A1 (en) Human hand-crawling apparatus
US20050054497A1 (en)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