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889A - 수술용 엔도백 - Google Patents

수술용 엔도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889A
KR20150005889A KR20140183172A KR20140183172A KR20150005889A KR 20150005889 A KR20150005889 A KR 20150005889A KR 20140183172 A KR20140183172 A KR 20140183172A KR 20140183172 A KR20140183172 A KR 20140183172A KR 20150005889 A KR20150005889 A KR 20150005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pring
extraction
endo
surg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83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희상
Original Assignee
한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희상 filed Critical 한희상
Priority to KR2014018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5889A/ko
Publication of KR20150005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용 엔도백에 관한 것으로, 후단에 메인 손잡이(111)를 형성한 주입 스틱(110)과, 상기 주입 스틱(110)의 전단에 스프링(121)을 결합하되 삼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상부를 개구하고 개구한 상부를 스프링(121)에 결합하는 적출주머니(120), 및 상기 적출주머니(120)를 스프링(121)에 감긴 상태를 유지시키되 주입스틱(110)을 관통시켜 전후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관(130)으로 구성하므로, 추출하는 장기의 쏠림현상을 억제하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추출이 용이하며 공간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공기의 유입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적출물을 완벽하게 외부로 꺼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술용 엔도백{Endo-bag for a surgery}
본 발명은 수술용 엔도백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추출하는 장기의 쏠림현상을 억제하고 외부 추출이 용이하도록 하되 공간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공기의 유입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수술용 엔도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內視鏡: Endoscope)이라고 하는 것은, 위나 식도와 같이 그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성장기(中空性臟器)의 내면이나, 흉강(胸腔) 또는 복강(腹腔) 등과 같은 신체의 내부를 직접 볼 수 있도록 한 의료기구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 용도에 따라 기관지경, 후두경, 식도경, 위카메라, 자궁경, 요도경, 관절경, 방광경, 직장경, 복강경, 심장경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종류로 세분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내시경을 복강(腹腔) 수술에 이용할 경우, 복강 내부의 상태를 관찰함과 동시에 내장이나 종양 등을 채취하는 시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 부위의 진단과 그 치료에 있어 시술자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술시 복벽 및 복강장기가 손상되는 부위를 최소화하여 합병증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환자의 회복 시기와 그 회복에 따른 고통 또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내시경을 이용한 복강 수술시 종양을 제거하거나 내장 등을 봉합하는 시술을 행할 경우에는, 내시경 및 수술도구와 함께 여러 가지 의료도구를 복강의 내부로 삽입시키게 되며, 수술 과정에서 제거되는 종양이나 내장 등의 조각은 의료도구를 이용하여 비닐주머니에 담아서 복강의 외부로 빼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시경을 이용한 복강 수술시 제거된 종양이나 내장 등을 봉합하는 시술을 행할 경우에는, 엔도루프(Endoloop) 등의 의료도구를 내시경 및 수술도구와 함께 복강의 내부로 삽입시키게 되며, 수술 과정에서 제거되는 종양이나 내장 등의 조각은 엔도백이라 불리우는 인체에 무해한 투명비닐 재질의 주머니를 내시경 및 수술도구와 함께 복강의 내부로 삽입시킨 다음 제거한 종양이나 내장 등을 비닐주머니에 담아서 복강의 외부로 빼내게 된다.
또한 종전에는 복강경 수술시 하나가 아닌 3 ~ 5 개의 트로카를 이용하여 수술을 하였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수술 부위마저도 최소화하기 위하여 One Port Surgery 즉 하나의 포트에 여러 개의 구멍이 뚫린 One Port를 이용하여 시술로 인한 흉터 부위를 최소화하는 복강경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비닐주머니는 비닐주머니의 입구를 조이기 위한 실이 형성된 것과, 실과 더불어 복강 내에서 비닐주머니를 용이하게 펼치기 위한 스프링 구조를 장착한 것 두 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스프링 구조를 장착한 것은 일반적인 비닐주머니의 형태를 가진 경우 입구의 펼치는 작업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그 입구를 펼치기 위한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비닐주머니 입구를 조이기 위한 실이 모두 사용되는 것으로 스프링 구조 때문에 최근에 도입된 One Port 수술 시행에서는 복강 내에서 너무 많은 자리를 차지하여 사실상 시술이 거의 불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One Port Surgery가 최근 복강경 수술에서 대부분 선택되는 주 이유는 수술 후 남는 흉터가 최소화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엔도백은 복강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입구를 용이하게 열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입구를 용이하게 조일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선행기술1: 특허등록번호 제10-0898829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부피를 최소화하고 엔도백의 적출주머니를 용이하게 트로카의 통로 내부에 조립하여 편리하게 시술부위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하되, 추출하는 장기의 쏠림현상을 억제하고 외부 추출이 용이하도록 하며 공간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공기의 유입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수술용 엔도백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술용 엔도백은 후단에 손잡이를 형성한 주입 스틱과, 상기 주입 스틱의 전단에 스프링을 결합하되 삼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상부를 개구하고 개구한 상부를 스프링에 결합하는 적출주머니, 및 상기 적출주머니를 스프링에 감긴 상태를 유지시키되 주입스틱을 관통시켜 전후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관으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술용 엔도백은 수술 과정에서 제거되는 종양 등을 절개하여 외부로 적출하고자할 때, 엔도백을 트로카 하우징의 통로에 끼워 전진시키면 적출주머니가 가이드관을 빠져나와 스프링 탄성으로 적출주머니의 개구부가 원활하고 정확하게 열리게 될 뿐만 아니라 열린 상태에서 절개한 종양 등을 넣고 주입 스틱을 다시 밖으로 당기면 적출주머니의 개구부가 가이드관에 걸려 용이하게 닫게 되고 이를 복강의 외부로 빼내게 되는 것으로, 추출하는 장기의 쏠림현상을 억제하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추출이 용이하며 공간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공기의 유입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적출물을 완벽하게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엔도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엔도백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엔도백을 설명하기 위한 추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엔도백을 설명하기 위한 복강 진입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엔도백을 설명하기 위한 복강 진입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엔도백을 설명하기 위한 적출물 추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엔도백을 설명하기 위한 개구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엔도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엔도백을 설명하기 위한 적출물 제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엔도백(100)은 후단에 메인 손잡이(111)를 형성한 주입 스틱(110)과, 상기 주입 스틱(110)의 전단에 스프링(121)을 결합하되 삼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상부를 개구하고 개구한 상부를 스프링(121)에 결합하는 적출주머니(120), 및 상기 적출주머니(120)를 스프링(121)에 감긴 상태를 유지시키되 주입스틱(110)을 관통시켜 전후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관(130)으로 구성한다.
상기 주입 스틱(110)은 가이드관(130)에 삽입하여 결합하되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적출주머니(120)는 인체에 무해한 얇은 막의 비닐재질로 형성하고 상부를 개구하되 상단에 횡 방향으로 가이드 통로를 형성하여 가이드 통로에 스프링(121)을 끼워 결합한다.
더욱이, 스프링(121)을 전후의 가이드 통로에 끼워 자유상태에서 스프링(121)의 양측을 자유상태에서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적출주머니(120)의 개구부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관(130)은 파이프형상으로 형성하고 전후로 관통하는 통로(131)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되 통로(131)의 내경은 스프링(121)에 감긴 상태의 적출주머니(120)와 주입스틱(110)이 자유롭게 전 후로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가이드관(130)의 외경은 트로카(200)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트로카 하우징(210)의 통로(211)에 트로카(200)를 제거한 후 가이드관(130)을 삽입하여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가이드관(130)의 외경은 트로카 하우징(2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자유롭게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엔도백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프링(121)에 적출주머니(120)가 감긴 주입 스틱(110)을 가이드관(130)의 통로(131)에 삽입하여 결합하되 가이드관(130)의 통로(131) 앞측에 적출주머니(120)가 위치하도록 삽입하여 결합한다.
즉, 적출주머니(120)의 스프링(121)을 일직선으로 펴면서 적출주머니(120) 전체를 스프링(121)의 외주연에 감은 상태에서 가이드관(130)의 통로(131)에 삽입하여 자제시키므로 통로(131)내에서는 스프링(121) 일직선상으로 펴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한편, 내시경을 이용한 복강 수술 등 제거된 종양이나 내장 등을 봉합하는 시술을 행할 경우에는, 트로카(200) 등의 의료도구를 내시경 및 수술도구와 함께 복강의 내부로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조립하여 제작한 엔도백(100)을 사용한다.
이러한 수술 과정에서 제거되는 종양 등을 절개하여 외부로 적출하고자할 때 트로카 하우징(210)의 통로(211)에 조립상태의 엔도백(100)의 가이드관(130) 전단을 끼워 전진시켜 복강 내부로 가이드관(130)의 전단을 위치시킨다.
이때, 가이드관(130)에 결합시킨 주입스틱(110)을 적당하게 밀어 넣으면 가이드관(130)의 통로(131)에 감겨 자제 상태를 유지하던 적출주머니(120)가 빠져나와 적출주머니(120)의 스프링(121)이 자유상태가 된다.
따라서 스프링(121)의 탄성에 의해 적출주머니(120)의 개구부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적출주머니(120)가 열린 상태에서 절개한 종양 등을 넣고 주입 스틱(110)을 당기면 적출주머니(120)가 펼쳐진 상태이므로 스프링(121)만 가이드관(130)의 통로(131)로 빠져나가므로 적출주머니(120)의 개구부는 가이드관(130)의 전단에 걸려 접혀지면서 열린 상태의 적출주머니(120) 개구부가 닫혀 절개한 종양 등을 안전하게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트로카 하우징(210)의 통로(211)로 엔도백(100)을 뽑아내어 제거한 종양 등을 적출주머니(120)에 담아서 복강의 외부로 빼내게 되는 것이다.
100 : 엔도백 110 : 주입 스틱
111 : 손잡이 120 : 적출주머니
121 : 스프링 130 : 가이드관
131 : 통로 200 : 트로카
210 : 트로카 하우징 211 : 통로

Claims (1)

  1. 후단에 메인 손잡이(111)를 형성한 주입 스틱(110)과,
    상기 주입 스틱(110)의 전단에 스프링(121)을 결합하고 삼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상부를 개구하고 개구한 상부를 스프링(121)에 결합하며, 상측 개구부에 스프링(121)을 결합하여 자유상태에서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적출주머니(120)의 개구부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적출주머니(120), 및
    상기 적출주머니(120)를 스프링(121)에 감긴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통로(131)에 삽입하여 결합하되 통로(131) 앞측에 감긴 적출주머니(120)가 위치하도록 주입스틱(110)을 관통시켜 전후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관(13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엔도백.
KR20140183172A 2014-12-18 2014-12-18 수술용 엔도백 KR20150005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83172A KR20150005889A (ko) 2014-12-18 2014-12-18 수술용 엔도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83172A KR20150005889A (ko) 2014-12-18 2014-12-18 수술용 엔도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613A Division KR20140112206A (ko) 2013-03-13 2013-03-13 수술용 엔도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889A true KR20150005889A (ko) 2015-01-15

Family

ID=5247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83172A KR20150005889A (ko) 2014-12-18 2014-12-18 수술용 엔도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58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725B1 (en) Port extraction kit for trans-organ surgery
US10555747B2 (en) Power morcellation in a protected environment
US8252057B2 (en) Surgical access device
US8172772B2 (en) Specimen retrieval device
JP2009039504A (ja) 内視鏡手術用エンドバック
JP2017176868A (ja) 気腹デバイス
US9226772B2 (en) Surgical device
KR101434993B1 (ko) 수술용 엔도백
US8038610B2 (en) Medical instrument introduction device and method of introducing medical device
US20130158348A1 (en) Introducer for an internal magnetic camera
US20070197864A1 (en) Overtube and natural opening medical procedures using the same
JP2004065743A (ja) 腹腔鏡下手術に用いる臓器摘出袋
US7766876B2 (en) Gastrostomy catheter introducing device
KR100899445B1 (ko) 내시경 수술용 적출물 인출구
KR100960436B1 (ko) 내시경 수술용 장기 지지홀더
KR20110086219A (ko) 보호커버를 구비한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엔도백
EP2708190A2 (en) Guider port for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and gas-discharge valve for guider port for surgical instrument
KR20150005889A (ko) 수술용 엔도백
WO2007019137A1 (en) Gastric instrument sleeve with fixation means
US20100154791A1 (en) Endoscopic Bite Guard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20140112206A (ko) 수술용 엔도백
US20190159767A1 (en) Specimen retrieval device
US20190223852A1 (en) Surgical devices
US20190223851A1 (en) Surgical devices
RU2586455C1 (ru)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удаленных органов и инородных тел из полости те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