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656A - 무선랜 시스템에서 부분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에서 부분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5656A KR20150005656A KR1020147032952A KR20147032952A KR20150005656A KR 20150005656 A KR20150005656 A KR 20150005656A KR 1020147032952 A KR1020147032952 A KR 1020147032952A KR 20147032952 A KR20147032952 A KR 20147032952A KR 20150005656 A KR20150005656 A KR 201500056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sta
- value
- aid
- bss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부분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스테이션(STA)에서 액세스 포인트(AP)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AP의 BSSID(Basic Service Set ID)에 기초하여 부분 AID(PARTIAL_AID)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AID의 계산 결과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된 부분 AID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분 AID는, 상기 AP의 BSSID의 48개의 비트 위치 중에서 40번째 비트위치부터 48번째 비트위치의 값을 10 진수로 변환한 값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부분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무선랜에서 취약점으로 지적되어온 통신 속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의 기술 표준에서는 네트워크의 속도와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무선 네트워크의 운영 거리를 확장한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예를 들어, IEEE 802.11n에서는 데이터 처리 속도가 최대 540Mbps 이상인 고처리율(High Throughput; HT)을 지원하며, 또한 전송 에러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송신부와 수신부 양단 모두에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s and Multiple Outputs) 기술의 적용이 도입되었다.
차세대 통신 기술로서 M2M(Machine-to-Machine) 통신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IEEE 802.11 WLAN 시스템에서도 M2M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 표준이 IEEE 802.11ah로서 개발되고 있다. M2M 통신에서는 매우 많은 기기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가끔씩 적은 양의 데이터를 저속으로 통신하는 시나리오를 고려할 수 있다.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통신은 모든 기기 간에 공유되는 매체(medium)에서 수행된다. M2M 통신과 같이 기기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 하나의 기기의 채널 액세스를 위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은 전체 시스템 성능의 저하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기기의 전력 절약을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부분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새로운 구성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스테이션(STA)에서 액세스 포인트(AP)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AP의 BSSID(Basic Service Set ID)에 기초하여 부분 AID(PARTIAL_AID)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AID의 계산 결과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된 부분 AID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분 AID는, 상기 AP의 BSSID의 48개의 비트 위치 중에서 40번째 비트위치부터 48번째 비트위치의 값을 10 진수로 변환한 값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AP)에서 스테이션(STA)으로부터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방법은, 상기 프레임의 부분 AID(PARTIAL_AID) 필드의 값이 상기 AP의 BSSID(Basic Service Set ID)에 기초하여 계산된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의 부분 AID 필드의 값이 상기 AP의 BSSID에 기초하여 계산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분 AID는, 상기 AP의 BSSID의 48개의 비트 위치 중에서 40번째 비트위치부터 48번째 비트위치의 값을 10 진수로 변환한 값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AP)로 프레임을 전송하는 스테이션(STA)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AP의 BSSID(Basic Service Set ID)에 기초하여 부분 AID(PARTIAL_AID)를 계산하고; 상기 부분 AID의 계산 결과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된 부분 AID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을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AP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분 AID는, 상기 AP의 BSSID의 48개의 비트 위치 중에서 40번째 비트위치부터 48번째 비트위치의 값을 10 진수로 변환한 값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스테이션(STA)으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AP)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레임의 부분 AID(PARTIAL_AID) 필드의 값이 상기 AP의 BSSID(Basic Service Set ID)에 기초하여 계산된 것인지 결정하고; 상기 프레임의 부분 AID 필드의 값이 상기 AP의 BSSID에 기초하여 계산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분 AID는, 상기 AP의 BSSID의 48개의 비트 위치 중에서 40번째 비트위치부터 48번째 비트위치의 값을 10 진수로 변환한 값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하의 사항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부분 AID의 값에 대한 계산 결과는 1 내지 511 범위 내에서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부분 AID는 (dec(BSSID[39:47])mod(29-1))+1 에 의해서 계산될 수 잇다. 여기서, dec(A)는 A를 10 진수로 변환한 값이고, A[b:c]는 2진수 A의 첫 번째 비트가 bit0일때, 상기 A의 bit b부터 bit c까지이고, mod는 모듈로(modulo) 연산이다.
상기 부분 AID 필드는 상기 프레임의 SIG-A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단일사용자(SU)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1GHz 이하(sub-1GHz) 동작 주파수에서 정의되는 프레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항 기재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부분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새로운 구성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무선랜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링크 셋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백오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숨겨진 노드 및 노출된 노드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RTS와 CTS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전력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TIM을 수신한 STA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그룹 기반 AID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SU/MU 프레임 포맷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AID 재할당 요청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15(b)는 AID 재할당 응답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6은 SIG-B 필드로 사용가능한 고정된 시퀀스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고정된 패턴이 PPDU로 전송되는 경우에, SIG-B 필드에서 반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프레임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무선랜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링크 셋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백오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숨겨진 노드 및 노출된 노드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RTS와 CTS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전력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TIM을 수신한 STA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그룹 기반 AID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SU/MU 프레임 포맷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AID 재할당 요청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15(b)는 AID 재할당 응답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6은 SIG-B 필드로 사용가능한 고정된 시퀀스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고정된 패턴이 PPDU로 전송되는 경우에, SIG-B 필드에서 반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프레임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IEEE 802.11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WLAN
시스템의 구조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IEEE 802.11 구조는 복수개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위계층에 대해 트랜스패런트한 STA 이동성을 지원하는 WLAN이 제공될 수 있다.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는 IEEE 802.11 LAN에서의 기본적인 구성 블록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 에서는 2 개의 BSS(BSS1 및 BSS2)가 존재하고 각각의 BSS의 멤버로서 2 개의 STA이 포함되는 것(STA1 및 STA2 는 BSS1에 포함되고, STA3 및 STA4는 BSS2에 포함됨)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 에서 BSS를 나타내는 타원은 해당 BSS에 포함된 STA들이 통신을 유지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이 영역을 BSA(Basic Service Area)라고 칭할 수 있다. STA이 BSA 밖으로 이동하게 되면 해당 BSA 내의 다른 STA들과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없게 된다.
IEEE 802.11 LAN에서 가장 기본적인 타입의 BSS는 독립적인 BSS(Independent BSS; IBSS)이다. 예를 들어, IBSS는 2 개의 STA만으로 구성된 최소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장 단순한 형태이고 다른 구성요소들이 생략되어 있는 도 1 의 BSS(BSS1 또는 BSS2)가 IBSS의 대표적인 예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STA들이 직접 통신할 수 있는 경우에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LAN은 미리 계획되어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LAN이 필요한 경우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애드-혹(ad-hoc) 네트워크라고 칭할 수도 있다.
STA의 켜지거나 꺼짐, STA이 BSS 영역에 들어오거나 나감 등에 의해서, BSS에서의 STA의 멤버십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BSS의 멤버가 되기 위해서는, STA은 동기화 과정을 이용하여 BSS에 조인할 수 있다. BSS 기반구조의 모든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STA은 BSS에 연관(associated)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관(association)은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분배시스템서비스(Distribution System Service; DSS)의 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에서는 도 1 의 구조에서 분배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 분배시스템매체(Distribution System Medium; DS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등의 구성요소가 추가된 형태이다.
LAN에서 직접적인 스테이션-대-스테이션의 거리는 PHY 성능에 의해서 제한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는 이러한 거리의 한계가 충분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보다 먼 거리의 스테이션 간의 통신이 필요할 수도 있다. 확장된 커버리지를 지원하기 위해서 분배시스템(DS)이 구성될 수 있다.
DS는 BSS들이 상호연결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1 과 같이 BSS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대신에, 복수개의 BSS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의 확장된 형태의 구성요소로서 BSS가 존재할 수도 있다.
DS는 논리적인 개념이며 분배시스템매체(DSM)의 특성에 의해서 특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IEEE 802.11 표준에서는 무선 매체(Wireless Medium; WM)와 분배시스템매체(DSM)을 논리적으로 구분하고 있다. 각각의 논리적 매체는 상이한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며, 상이한 구성요소에 의해서 사용된다. IEEE 802.11 표준의 정의에서는 이러한 매체들이 동일한 것으로 제한하지도 않고 상이한 것으로 제한하지도 않는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매체들이 논리적으로 상이하다는 점에서, IEEE 802.11 LAN 구조(DS 구조 또는 다른 네트워크 구조)의 유연성이 설명될 수 있다. 즉, IEEE 802.11 LAN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현예의 물리적인 특성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해당 LAN 구조가 특정될 수 있다.
DS는 복수개의 BSS들의 끊김 없는(seamless) 통합을 제공하고 목적지로의 어드레스를 다루는 데에 필요한 논리적 서비스들을 제공함으로써 이동 기기를 지원할 수 있다.
AP 는, 연관된 STA들에 대해서 WM을 통해서 DS 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고 STA 기능성을 가지는 개체를 의미한다. AP를 통해서 BSS 및 DS 간의 데이터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에서 도시하는 STA2 및 STA3 은 STA의 기능성을 가지면서, 연관된 STA들(STA1 및 STA4)가 DS로 액세스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모든 AP는 기본적으로 STA에 해당하므로, 모든 AP는 어드레스 가능한 개체이다. WM 상에서의 통신을 위해 AP 에 의해서 사용되는 어드레스와 DSM 상에서의 통신을 위해 AP 에 의해서 사용되는 어드레스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AP에 연관된 STA들 중의 하나로부터 그 AP의 STA 어드레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항상 비제어 포트(uncontrolled port)에서 수신되고 IEEE 802.1X 포트 액세스 개체에 의해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제어 포트(controlled port)가 인증되면 전송 데이터(또는 프레임)는 DS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에서는 도 2 의 구조에 추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확장된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임의의(arbitrary) 크기 및 복잡도를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가 DS 및 BSS들로 구성될 수 있다. IEEE 802.11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방식의 네트워크를 ESS 네트워크라고 칭한다. ESS는 하나의 DS에 연결된 BSS들의 집합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ESS는 DS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ESS 네트워크는 LLC(Logical Link Control) 계층에서 IBSS 네트워크로 보이는 점이 특징이다. ESS에 포함되는 STA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고, 이동 STA들은 LLC에 트랜스패런트하게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동일한 ESS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IEEE 802.11 에서는 도 3 에서의 BSS들의 상대적인 물리적 위치에 대해서 아무것도 가정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형태가 모두 가능하다. BSS들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고, 이는 연속적인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형태이다. 또한, BSS들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 있고, 논리적으로는 BSS들 간의 거리에 제한은 없다. 또한, BSS들은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이는 리던던시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IBSS 또는 ESS 네트워크들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ESS 네트워크로서 동일한 공간에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는 ESS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위치에 애드-혹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경우나, 상이한 기관(organizations)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중첩되는 IEEE 802.11 네트워크들이 구성되는 경우나, 동일한 위치에서 2 이상의 상이한 액세스 및 보안 정책이 필요한 경우 등에서의 ESS 네트워크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 는 무선랜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에서는 DS를 포함하는 기반 구조 BSS 의 일례가 도시된다.
도 4 의 예시에서 BSS1 및 BSS2가 ESS를 구성한다. 무선랜 시스템에서 STA은 IEEE 802.11 의 MAC/PHY 규정에 따라 동작하는 기기이다. STA은 AP STA 및 비-AP(non-AP) STA을 포함한다. Non-AP STA은 랩탑 컴퓨터, 이동 전화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다루는 기기에 해당한다. 도 4 의 예시에서 STA1, STA3, STA4 는 non-AP STA에 해당하고, STA2 및 STA5 는 AP STA 에 해당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non-AP STA은 단말(terminal),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단말(Mobile Terminal), 이동 가입자국(Mobile Subscriber Station; MSS) 등으로 칭할 수도 있다. 또한, AP는 다른 무선 통신 분야에서의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Node-B), 발전된 노드-B(evolved Node-B; eNB), 기저 송수신 시스템(Base Transceiver System; BTS), 펨토 기지국(Femto BS) 등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링크
셋업
과정
도 5는 일반적인 링크 셋업(link setup)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TA이 네트워크에 대해서 링크를 셋업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먼저 네트워크를 발견(discovery)하고, 인증(authentication)을 수행하고, 연관(association)을 맺고(establish), 보안(security)을 위한 인증 절차 등을 거쳐야 한다. 링크 셋업 과정을 세션 개시 과정, 세션 셋업 과정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또한, 링크 셋업 과정의 발견, 인증, 연관, 보안 설정의 과정을 통칭하여 연관 과정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예시적인 링크 셋업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510에서 STA은 네트워크 발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발견 동작은 STA의 스캐닝(scanning)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즉, STA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참여 가능한 네트워크를 찾아야 한다. STA은 무선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전에 호환 가능한 네트워크를 식별하여야 하는데, 특정 영역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식별과정을 스캐닝이라고 한다.
스캐닝 방식에는 능동적 스캐닝(active scanning)과 수동적 스캐닝(passive scanning)이 있다.
도 5에서는 예시적으로 능동적 스캐닝 과정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발견 동작을 도시한다. 능동적 스캐닝에서 스캐닝을 수행하는 STA은 채널들을 옮기면서 주변에 어떤 AP가 존재하는지 탐색하기 위해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기다린다. 응답자(responder)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STA에게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전송한다. 여기에서, 응답자는 스캐닝되고 있는 채널의 BSS에서 마지막으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전송한 STA일 수 있다. BSS에서는 AP가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므로 AP가 응답자가 되며, IBSS에서는 IBSS 내의 STA들이 돌아가면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므로 응답자가 일정하지 않다. 예를 들어, 1번 채널에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1번 채널에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STA은, 수신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포함된 BSS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다음 채널(예를 들어, 2번 채널)로 이동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스캐닝(즉, 2번 채널 상에서 프로브 요청/응답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스캐닝 동작은 수동적 스캐닝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수동적 스캐닝에서 스캐닝을 수행하는 STA은 채널들을 옮기면서 비콘 프레임을 기다린다. 비콘 프레임은 IEEE 802.11에서 관리 프레임(management frame) 중 하나로서, 무선 네트워크의 존재를 알리고, 스캐닝을 수행하는 STA으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를 찾아서, 무선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BSS에서 AP가 비콘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IBSS에서는 IBSS 내의 STA들이 돌아가면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다. 스캐닝을 수행하는 STA은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면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BSS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다른 채널로 이동하면서 각 채널에서 비콘 프레임 정보를 기록한다.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STA은, 수신한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BSS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다음 채널로 이동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다음 채널에서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능동적 스캐닝과 수동적 스캐닝을 비교하면, 능동적 스캐닝이 수동적 스캐닝보다 딜레이(delay) 및 전력 소모가 작은 장점이 있다.
STA이 네트워크를 발견한 후에, 단계 S520에서 인증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과정은 후술하는 단계 S540의 보안 셋업 동작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서 첫 번째 인증(first authentication) 과정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인증 과정은 STA이 인증 요청 프레임(authentication request frame)을 AP에게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AP가 인증 응답 프레임(authentication response frame)을 STA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인증 요청/응답에 사용되는 인증 프레임(authentication frame)은 관리 프레임에 해당한다.
인증 프레임은 인증 알고리즘 번호(authentication algorithm number), 인증 트랜잭션 시퀀스 번호(authentication transaction sequence number), 상태 코드(status code), 검문 텍스트(challenge text), RSN(Robust Security Network), 유한 순환 그룹(Finite Cyclic Group)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인증 요청/응답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들의 일부 예시에 해당하며, 다른 정보로 대체되거나, 추가적인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STA은 인증 요청 프레임을 AP에게 전송할 수 있다. AP는 수신된 인증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STA에 대한 인증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AP는 인증 처리의 결과를 인증 응답 프레임을 통하여 STA에게 제공할 수 있다.
STA이 성공적으로 인증된 후에, 단계 S530에서 연관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연관 과정은 STA이 연관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을 AP에게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AP가 연관 응답 프레임(association response frame)을 STA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연관 요청 프레임은 다양한 능력(capability)에 관련된 정보, 비콘 청취 간격(listen interval), SSID(service set identifier), 지원 레이트(supported rates), 지원 채널(supported channels), RSN, 이동성 도메인, 지원 오퍼레이팅 클래스(supported operating classes), TIM 방송 요청(Traffic Indication Map Broadcast request), 상호동작(interworking) 서비스 능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관 응답 프레임은 다양한 능력에 관련된 정보, 상태 코드, AID(Association ID), 지원 레이트,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파라미터 세트, RCPI(Received Channel Power Indicator), RSNI(Received Signal to Noise Indicator), 이동성 도메인, 타임아웃 간격(연관 컴백 시간(association comeback time)), 중첩(overlapping) BSS 스캔 파라미터, TIM 방송 응답, QoS 맵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연관 요청/응답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들의 일부 예시에 해당하며, 다른 정보로 대체되거나, 추가적인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STA이 네트워크에 성공적으로 연관된 후에, 단계 S540에서 보안 셋업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540의 보안 셋업 과정은 RSNA(Robust Security Network Association) 요청/응답을 통한 인증 과정이라고 할 수도 있고, 상기 단계 S520의 인증 과정을 첫 번째 인증(first authentication) 과정이라고 하고, 단계 S540의 보안 셋업 과정을 단순히 인증 과정이라고도 칭할 수도 있다.
단계 S540의 보안 셋업 과정은, 예를 들어, EAPOL(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over LAN) 프레임을 통한 4-웨이(way) 핸드쉐이킹을 통해서, 프라이빗 키 셋업(private key setup)을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셋업 과정은 IEEE 802.11 표준에서 정의하지 않는 보안 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WLAN
의 진화
무선랜에서 통신 속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비교적 최근에 제정된 기술 표준으로서 IEEE 802.11n이 존재한다. IEEE 802.11n은 네트워크의 속도와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무선 네트워크의 운영 거리를 확장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IEEE 802.11n에서는 데이터 처리 속도가 최대 540Mbps 이상인 고처리율(High Throughput; HT)을 지원하며, 또한 전송 에러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송신부와 수신부 양단 모두에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s and Multiple Outputs)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무선랜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또한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화됨에 따라, 최근에는 IEEE 802.11n이 지원하는 데이터 처리 속도보다 더 높은 처리율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무선랜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초고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를 지원하는 차세대 무선랜 시스템은 IEEE 802.11n 무선랜 시스템의 다음 버전(예를 들어, IEEE 802.11ac)으로서, MAC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Service Access Point; SAP)에서 1Gbps 이상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지원하기 위하여 최근에 새롭게 제안되고 있는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중의 하나이다.
차세대 무선랜 시스템은 무선채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STA들이 동시에 채널에 액세스하는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방식의 전송을 지원한다. MU-MIMO 전송 방식에 따르면, AP가 MIMO 페어링(pairing)된 하나 이상의 STA에게 동시에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화이트스페이스(whitespace)에서 무선랜 시스템 동작을 지원하는 것이 논의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TV의 디지털화로 인한 유휴 상태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54~698MHz 대역)과 같은 TV 화이트스페이스(TV WS)에서의 무선랜 시스템의 도입은 IEEE 802.11af 표준으로서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화이트스페이스는 허가된 유저(licensed user)가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허가된 대역이라 할 수 있다. 허가된 유저는 허가된 대역의 사용을 허가 받은 유저를 의미하며, 허가된 장치(licensed device), 프라이머리 유저(primary user), 우선적 사용자(incumbent user) 등으로 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WS에서 동작하는 AP 및/또는 STA은 허가된 유저에 대한 보호(protection)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WS 대역에서 특정 대역폭을 가지도록 규약(regulation)상 분할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인 특정 WS 채널을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허가된 유저가 이미 사용하고 있는 경우, 허가된 유저를 보호하기 위하여 AP 및/또는 STA은 해당 WS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은 사용할 수 없다. 또한, AP 및/또는 STA은 현재 프레임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을 허가된 유저가 사용하게 되면 해당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
따라서 AP 및/또는STA은 WS 대역 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사용이 가능한지, 다시 말해서 상기 주파수 대역에 허가된 유저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절차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정 주파수 대역에 허가된 유저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스펙트럼 센싱(spectrum sensing)이라 한다. 스펙트럼 센싱 메커니즘으로 에너지 탐지(energy detection) 방식, 신호 탐지(signature detection) 방식 등이 활용된다. 수신 신호의 강도가 일정 값 이상이면 허가된 유저가 사용중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DTV 프리앰블(preamble)이 검출되면 허가된 유저가 사용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세대 통신 기술로서 M2M(Machine-to-Machine) 통신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에서도 M2M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 표준이 IEEE 802.11ah로서 개발되고 있다. M2M 통신은 하나 이상의 머신(Machine)이 포함되는 통신 방식을 의미하며,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또는 사물 통신으로 칭하여지기도 한다. 여기서, 머신이란 사람의 직접적인 조작이나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개체(entity)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된 검침기(meter)나 자동 판매기와 같은 장치는 물론, 사용자의 조작/개입 없이 자동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기기도 머신의 예시에 해당할 수 있다. M2M 통신은 디바이스 간의 통신(예를 들어, D2D(Device-to-Device) 통신), 디바이스와 서버(application server) 간의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와 서버 통신의 예시로, 자동 판매기와 서버, POS(Point of Sale) 장치와 서버, 전기, 가스 또는 수도 검침기와 서버 간의 통신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M2M 통신 기반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는, 보안(security), 운송(transportation), 헬스 케어(health car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적용례의 특성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M2M 통신은 매우 많은 기기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가끔씩 적은 양의 데이터를 저속으로 송수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M2M 통신은 많은 STA의 개수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정의되어 있는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AP에 최대 2007 개의 STA이 연관되는 경우를 가정하지만, M2M 통신에서는 이보다 많은 개수(약 6000 개)의 STA이 하나의 AP에 연관되는 경우를 지원하는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M2M 통신에서는 낮은 전송 속도를 지원/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TIM(Traffic Indication Map) 요소 기반으로 STA이 자신에게 송신될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인지할 수 있는데, TIM의 비트맵 크기를 줄이는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M2M 통신에서는 송신/수신 간격이 매우 긴 트래픽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전기/가스/수도 사용량과 같이 긴 주기(예를 들어, 한 달) 마다 매우 적은 양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M2M 통신에서는 하향링크(즉, AP로부터 비-AP STA으로의 링크)를 통해서 제공된 명령에 따라 STA의 동작이 수행되고, 그 결과 데이터가 상향링크(즉, 비-AP STA으로부터 AP로의 링크)를 통해서 보고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M2M 통신에서는 주요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향링크에서의 개선된 통신 방식이 주로 다루어진다. 또한, M2M STA은 주로 배터리로 동작하며 사용자가 자주 충전해주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긴 수명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M2M STA은 특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므로, 스스로 복구하는 기능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AP에 연관될 수 있는 STA의 개수는 매우 많아지더라도, 하나의 비콘 주기 동안에 AP로부터 수신할 데이터 프레임이 존재하는 STA의 개수가 매우 적은 경우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STA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키는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무선랜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게 있으며, 전술한 예시들 외에도 직접 링크 셋업, 미디어 스트리밍 성능의 개선, 고속 및/또는 대규모의 초기 세션 셋업의 지원, 확장된 대역폭 및 동작 주파수의 지원 등을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1
GHz
아래(
sub
-1
GHz
)에서 동작하는
WLAN
전술한 바와 같이 M2M 통신을 유스케이스(use case)로 하는 IEEE 802.11ah 표준이 논의 중에 있다. IEEE 802.11ah 표준은 1 GHz 아래(sub-1GHz)의 동작 주파수에서 TV 화이트스페이스 대역(white space band)을 제외한 비면허(unlicensed) 대역에서 동작하며, 기존의 실내(indoor) 커버리지를 주로 지원하던 WLAN에 비하여 월등히 넓은 커버리지(예를 들어, 최대 1km)를 가질 수 있다. 즉, 기존의 2.4GHz나 5GHz의 주파수에서 동작하던 WLAN과 달리, sub-1GHz (예를 들어, 700 내지 900MHz)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 WLAN이 사용되면, 해당 대역의 전파 특성으로 인해서 동일 전송 전력 대비 AP의 커버리지가 대략 2~3 배 확장된다. 이 경우, 하나의 AP 당 매우 많은 수의 STA들이 접속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IEEE 802.11ah 표준에서 고려하고 있는 유스케이스를 요약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Use Case 1 : 센서(sensors) 및 계량기(meters) - 1a : 스마트 그리드 - Meter to Pole - 1c : 환경용 / 농업용 모니터링 - 1d : 산업용 프로세스 센서(Industrial process sensors) - 1e : 헬스 캐어 - 1f : 헬스 캐어 - 1g : 홈 / 빌딩 자동화 - 1h : 홈 센서들 |
Use Case 2 : 백홀 센서(backhaul sensor) 및 메타 데이터(meta data) - 센서들의 백홀 집성(Backhaul aggregation) - 산업용 센서들의 백홀 집성(Backhaul aggregation) |
Usecase 3 : 확장된 범위의 Wi-Fi(Extended range Wi-Fi) - 실외 확장된 범위의 핫스팟 - 셀룰러 트래픽을 제거하기 위한 실외 Wi-Fi |
상기 표 1의 유스케이스 1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센서/미터 장치들이 802.11ah AP에 접속되어 M2M 통신을 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의 경우 최대 6,000개의 센서/미터 장치들이 하나의 AP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표 1의 유스케이스 2에 따르면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802.11ah AP가 IEEE 802.15.4g와 같은 다른 시스템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역할을 해주는 경우이다.
상기 표 1의 유스케이스 3에 따르면, 확장된 홈 커버리지(Extended home coverage), 캠퍼스 넓이의 커버리지(Campus wide coverage), 쇼핑 몰(Shopping malls)과 같은 실외 확장된 범위 핫스팟(outdoor extended range hotspot) 통신이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유스케이스 3에 따르면 802.11ah AP가 셀룰러 이동 통신의 트래픽 오프로딩(traffic offloading)을 지원함으로써, 셀룰러 트래픽의 과부하를 분산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sub-1GHz 대역에서의 통신을 위한 물리계층(PHY) 구성은, 기존 IEEE 802.11ac PHY를 1/10 다운클록킹(down-clocking)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802.11ac에서의 20/40/80/160/80+80 MHz 채널 대역폭은, 1/10 다운클록킹을 통해서, sub-1GHz 대역에서 2/4/8/16/8+8 MHz 채널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드구간(Guard Interval; GI)은 0.8㎲ 에서 8㎲로 10배 증가하게 된다. 아래의 표 2는 802.11ac PHY와, 1/10 다운클록킹된 sub-1GHz PHY의 처리량(throughput)을 비교한 것이다.
IEEE 802.11ac PHY | 1/10 down-clocked sub-1GHz PHY |
채널 대역폭 / 스루풋(Throughput) | 채널 대역폭 / 스루풋 |
20 MHz / 86.7 Mbps | 2 MHz / 8.67 Mbps |
40 MHz / 200 Mbps | 4 MHz / 20 Mbps |
80 MHz / 433.3 Mbps | 8 MHz / 43.33 Mbps |
160 MHz / 866.7 Mbps | 16 MHz / 86.67 Mbps |
80+80 MHz / 866.6 Mbps | 8+8 MHz / 86.66 Mbps |
매체 액세스 메커니즘
IEEE 802.11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MAC(Medium Access Control)의 기본 액세스 메커니즘은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메커니즘이다. CSMA/CA 메커니즘은 IEEE 802.11 MAC의 분배 조정 기능(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DCF)이라고도 불리는데, 기본적으로 "listen before talk" 액세스 메커니즘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액세스 메커니즘 따르면, AP 및/또는 STA은 전송을 시작하기에 앞서, 소정의 시간구간(예를 들어, DIFS(DCF Inter-Frame Space) 동안 무선 채널 또는 매체(medium)를 센싱(sensing)하는 CCA(Clear Channel Assessment)를 수행할 수 있다. 센싱 결과, 만일 매체가 유휴 상태(idle status)인 것으로 판단 되면, 해당 매체를 통하여 프레임 전송을 시작한다. 반면, 매체가 점유 상태(occupied status)인 것으로 감지되면, 해당 AP 및/또는 STA은 자기 자신의 전송을 시작하지 않고 매체 액세스를 위한 지연 기간(예를 들어, 임의 백오프 주기(random backoff period))을 설정하여 기다린 후에 프레임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임의 백오프 주기의 적용으로, 여러 STA들은 서로 다른 시간 동안 대기한 후에 프레임 전송을 시도할 것이 기대되므로, 충돌(collision)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IEEE 802.11 MAC 프로토콜은 HCF(Hybrid Coordination Function)를 제공한다. HCF는 상기 DCF와 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를 기반으로 한다. PCF는 폴링(polling) 기반의 동기식 액세스 방식으로 모든 수신 AP 및/또는 STA이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폴링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또한, HCF는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와 HCCA(HCF Controlled Channel Access)를 가진다. EDCA는 제공자가 다수의 사용자에게 데이터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액세스 방식을 경쟁 기반으로 하는 것이고, HCCA는 폴링(polling) 메커니즘을 이용한 비경쟁 기반의 채널 액세스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HCF는 WLAN의 QoS(Quality of Service)를 향상시키기 위한 매체 액세스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경쟁 주기(Contention Period; CP)와 비경쟁 주기(Contention Free Period; CFP) 모두에서 QoS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백오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임의 백오프 주기에 기반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점유(occupy 또는 busy) 상태이던 매체가 유휴(idle) 상태로 변경되면, 여러 STA들은 데이터(또는 프레임)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이 때,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STA들은 각각 임의 백오프 카운트를 선택하고 그에 해당하는 슬롯 시간만큼 대기한 후에,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임의 백오프 카운트는 의사-임의 정수(pseudo-random integer) 값을 가지며, 0 내지 CW 범위의 값 중에서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CW는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 파라미터 값이다. CW 파라미터는 초기값으로 CWmin이 주어지지만, 전송 실패의 경우(예를 들어, 전송된 프레임에 대한 ACK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2 배의 값을 취할 수 있다. CW 파라미터 값이 CWmax가 되면 데이터 전송이 성공할 때까지 CWmax 값을 유지하면서 데이터 전송을 시도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이 성공하는 경우에는 CWmin 값으로 리셋된다. CW, CWmin 및 CWmax 값은 2n-1 (n=0, 1, 2, ...)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 백오프 과정이 시작되면 STA은 결정된 백오프 카운트 값에 따라서 백오프 슬롯을 카운트 다운하는 동안에 계속하여 매체를 모니터링한다. 매체가 점유상태로 모니터링되면 카운트 다운을 멈추고 대기하고, 매체가 유휴 상태가 되면 나머지 카운트 다운을 재개한다.
도 6의 예시에서 STA3의 MAC에 전송할 패킷이 도달한 경우에, STA3는 DIFS 만큼 매체가 유휴 상태인 것을 확인하고 바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나머지 STA들은 매체가 점유(busy) 상태인 것을 모니터링하고 대기한다. 그 동안 STA1, STA2 및 STA5의 각각에서도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고, 각각의 STA은 매체가 유휴상태로 모니터링되면 DIFS만큼 대기한 후에, 각자가 선택한 임의 백오프 카운트 값에 따라 백오프 슬롯의 카운트 다운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는 STA2가 가장 작은 백오프 카운트 값을 선택하고, STA1이 가장 큰 백오프 카운트 값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다. 즉, STA2가 백오프 카운트를 마치고 프레임 전송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STA5의 잔여 백오프 시간은 STA1의 잔여 백오프 시간보다 짧은 경우를 예시한다. STA1 및 STA5는 STA2가 매체를 점유하는 동안에 잠시 카운트 다운을 멈추고 대기한다. STA2의 점유가 종료되어 매체가 다시 유휴 상태가 되면, STA1 및 STA5는 DIFS만큼 대기한 후에, 멈추었던 백오프 카운트를 재개한다. 즉, 잔여 백오프 시간만큼의 나머지 백오프 슬롯을 카운트 다운한 후에 프레임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STA5의 잔여 백오프 시간이 STA1보다 짧았으므로 STA5이 프레임 전송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STA2가 매체를 점유하는 동안에 STA4에서도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STA4의 입장에서는 매체가 유휴 상태가 되면 DIFS만큼 대기한 후, 자신이 선택한 임의 백오프 카운트 값에 따른 카운트 다운을 수행하고 프레임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는 STA5의 잔여 백오프 시간이 STA4의 임의 백오프 카운트 값과 우연히 일치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이 경우, STA4와 STA5 간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STA4와 STA5 모두 ACK을 받지 못하여, 데이터 전송을 실패하게 된다. 이 경우, STA4와 STA5는 CW 값을 2배로 늘린 후에 임의 백오프 카운트 값을 선택하고 카운트 다운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STA1은 STA4와 STA5의 전송으로 인해 매체가 점유 상태인 동안에 대기하고 있다가, 매체가 유휴 상태가 되면 DIFS만큼 대기한 후, 잔여 백오프 시간이 지나면 프레임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STA
의
센싱
동작
전술한 바와 같이 CSMA/CA 메커니즘은 AP 및/또는 STA이 매체를 직접 센싱하는 물리적 캐리어 센싱(physical carrier sensing) 외에 가상 캐리어 센싱(virtual carrier sensing)도 포함한다. 가상 캐리어 센싱은 숨겨진 노드 문제(hidden node problem) 등과 같이 매체 액세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가상 캐리어 센싱을 위하여, 무선랜 시스템의 MAC은 네트워크 할당 벡터(Network Allocation Vector; NAV)를 이용할 수 있다. NAV는 현재 매체를 사용하고 있거나 또는 사용할 권한이 있는 AP 및/또는 STA이, 매체가 이용 가능한 상태로 되기까지 남아 있는 시간을 다른 AP 및/또는 STA에게 지시(indicate)하는 값이다. 따라서 NAV로 설정된 값은 해당 프레임을 전송하는 AP및/또는 STA에 의하여 매체의 사용이 예정되어 있는 기간에 해당하고, NAV 값을 수신하는 STA은 해당 기간동안 매체 액세스(또는 채널 액세스)가 금지(prohibit) 또는 연기(defer)된다. NAV는, 예를 들어, 프레임의 MAC 헤더(header)의 "duration" 필드의 값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충돌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강인한 충돌 검출(robust collision detect) 메커니즘이 도입되었다. 이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제 캐리어 센싱 범위와 전송 범위는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7은 숨겨진 노드 및 노출된 노드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숨겨진 노드에 대한 예시이며, STA A와 STA B는 통신 중에 있고 STA C가 전송할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구체적으로 STA A가 STA B에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STA C가 STA B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캐리어 센싱을 수행할 때에 매체가 유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STA A의 전송(즉, 매체 점유)을 STA C의 위치에서는 센싱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 STA B는 STA A와 STA C의 정보를 동시에 받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STA A는 STA C의 숨겨진 노드라고 할 수 있다.
도 7(b)는 노출된 노드(exposed node)에 대한 예시이며, STA B는 STA A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상황에서, STA C가 STA D에서 전송할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STA C가 캐리어 센싱을 수행하면, STA B의 전송으로 인하여 매체가 점유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TA C가 STA D에 전송할 정보가 있더라도 매체 점유 상태라고 센싱되기 때문에 매체가 유휴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STA A는 STA C의 전송 범위 밖에 있으므로, STA C로부터의 전송과 STA B로부터의 전송은 STA A의 입장에서는 충돌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STA C는 STA B가 전송을 멈출 때까지 불필요하게 대기하는 것이 된다. 이 때 STA C를 STA B의 노출된 노드라고 할 수 있다.
도 8은 RTS와 CTS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과 같은 예시적인 상황에서 충돌 회피(collision avoidance) 메커니즘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RTS(request to send)와 CTS(clear to send)등의 짧은 시그널링 패킷(short signaling packet)을 이용할 수 있다. 두 STA 간의 RTS/CTS는 주위의 STA(들)이 오버히어링(overhearing)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주위의 STA(들)이 상기 두 STA 간의 정보 전송 여부를 고려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STA이 데이터를 받는 STA에 RTS 프레임을 전송하면, 데이터를 받는 STA은 CTS 프레임을 주위의 STA들에게 전송함으로써 자신이 데이터를 받을 것임을 알릴 수 있다.
도 8(a)는 숨겨진 노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이며, STA A와 STA C가 모두 STA B에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STA A가 RTS를 STA B에 보내면 STA B는 CTS를 자신의 주위에 있는 STA A와 STA C에 모두 전송을 한다. 그 결과 STA C는 STA A와 STA B의 데이터 전송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게 되어 충돌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도 8(b)는 노출된 노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이며, STA A와 STA B 간의 RTS/CTS 전송을 STA C가 오버히어링함으로써, STA C는 자신이 다른 STA(예를 들어, STA D)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충돌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STA B는 주위의 모든 STA들에게 RTS를 전송하고, 실제로 보낼 데이터가 있는 STA A만 CTS를 전송하게 된다. STA C는 RTS만을 받고 STA A의 CTS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STA A는 STA C의 캐리어 센싱 밖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력 관리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STA이 송수신을 수행하기 전에 채널 센싱을 수행해야 하는데, 채널을 항상 센싱하는 것은 STA의 지속적인 전력 소모를 야기한다. 수신 상태에서의 전력 소모는 송신 상태에서의 전력 소모에 비하여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며, 수신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도 전력이 제한된(즉,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는) STA에게 큰 부담이 된다. 따라서, STA이 지속적으로 채널을 센싱하기 위해서 수신 대기 상태를 유지하면, 무선랜 처리율 측면에서 특별한 이점 없이 전력을 비효율적으로 소모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STA의 전력 관리(power management; PM) 모드를 지원한다.
STA의 전력 관리 모드는 액티브(active) 모드 및 전력 절약(power save; PS) 모드로 나뉘어 진다. STA은 기본적으로 액티브 모드로 동작한다.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은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를 유지한다. 어웨이크 상태는, 프레임 송수신이나 채널 스캐닝 등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한 상태이다. 한편, PS 모드로 동작하는 STA은 슬립 상태(sleep state) (또는 도즈(doze) 상태)와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를 전환(switch)해가며 동작한다. 슬립 상태로 동작하는 STA은 최소한의 전력으로 동작하며, 프레임 송수신은 물론 채널 스캐닝도 수행하지 않는다.
STA이 슬립 상태로 가능한 오래 동작할수록 전력 소모가 줄어들기 때문에, STA은 동작 기간이 증가한다. 하지만 슬립 상태에서는 프레임 송수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오래 동작할 수는 없다. 슬립 상태로 동작하는 STA이 AP에게 전송할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AP가 STA에게 전송할 프레임이 있는 경우, 슬립 상태의 STA은 이를 수신할 수 없으며 수신할 프레임이 존재하는 것도 알 수 없다. 따라서, STA은 자신에게 전송될 프레임의 존재 여부를 알기 위해(또한 존재한다면 이를 수신하기 위해) 특정 주기에 따라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
도 9는 전력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AP(210)는 일정한 주기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BSS 내의 STA들에게 전송한다(S211, S212, S213, S214, S215, S216). 비콘 프레임에는 TIM(Traffic Indication Map)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가 포함된다. TIM 정보 요소는 AP(210)가 자신과 연관된 STA들에 대한 버퍼된 트래픽이 존재하며, 프레임을 전송할 것임을 알려주는 정보를 포함한다. TIM 요소에는 유니캐스트(unicast) 프레임을 알려주는데 사용되는 TIM과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프레임을 알려주는데 사용되는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이 있다.
AP(210)는 3번의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때 마다 1회씩 DTIM을 전송할 수 있다. STA1(220) 및 STA2(222)는 PS 모드로 동작하는 STA이다. STA1(220) 및 STA2(222)는 소정의 주기의 웨이크업 인터벌(wakeup interval) 마다 슬립 상태에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AP(210)에 의하여 전송된 TIM 요소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STA은 자신의 로컬 클럭(local clock)에 기초하여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할 시점을 계산할 수 있으며, 도 9의 예시에서는 STA의 클럭은 AP의 클럭과 일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웨이크업 인터벌은, STA1(220)이 비콘 인터벌마다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TIM 요소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STA1(220)은 AP(210)가 첫 번째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때(S211)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221). STA1(220)은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고 TIM 요소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TIM 요소가 STA1(220)에게 전송될 프레임이 있음을 지시하는 경우, STA1(220)은 AP(210)에게 프레임 전송을 요청하는 PS-Poll(Power Save-Poll) 프레임을 AP(210)에게 전송할 수 있다(S221a). AP(210)는 PS-Poll 프레임에 대응하여 프레임을 STA1(220)에게 전송할 수 있다(S231). 프레임 수신을 완료한 STA1(220)은 다시 슬립 상태로 전환하여 동작한다.
AP(210)가 두 번째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함에 있어서, 다른 장치가 매체에 액세스하고 있는 등 매체가 점유된(busy medium) 상태이므로, AP(210)는 정확한 비콘 인터벌에 맞추어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지 못하고 지연된 시점에 전송할 수 있다(S212). 이 경우 STA1(220)은 비콘 인터벌에 맞추어 동작 모드를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지만, 지연 전송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여 다시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S222).
AP(210)가 세 번째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때, 해당 비콘 프레임에는 DTIM으로 설정된 TIM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매체가 점유된(busy medium) 상태이므로 AP(210)는 비콘 프레임을 지연 전송한다(S213). STA1(220)은 비콘 인터벌에 맞추어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동작하며, AP(210)에 의해 전송되는 비콘 프레임을 통하여 DTIM을 획득할 수 있다. STA1(220)이 획득한 DTIM은 STA1(220)에 전송될 프레임은 없으며 다른 STA을 위한 프레임이 존재함을 지시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STA1(220)은 자신이 수신할 프레임이 없음을 확인하고, 다시 슬립 상태로 전환하여 동작할 수 있다. AP(210)는 비콘 프레임 전송 후 프레임을 해당 STA에게 전송한다(S232).
AP(210)는 네 번째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다(S214). 다만, STA1(220)은 이 전 2회에 걸친 TIM 요소 수신을 통해 자신에 대한 버퍼된 트래픽이 존재한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없었으므로, TIM 요소 수신을 위한 웨이크업 인터벌을 조정할 수 있다. 또는, AP(210)에 의해 전송되는 비콘 프레임에 STA1(220)의 웨이크업 인터벌 값을 조정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가 포함된 경우, STA1(220)의 웨이크업 인터벌 값이 조정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STA1(220)은 비콘 인터벌마다 TIM 요소 수신을 위해 운영 상태를 전환하던 것을 3회의 비콘 인터벌마다 한 번 깨어나는 것으로 운영 상태를 전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STA1(220)은 AP(210)가 네 번째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고(S214), 다섯 번째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점에(S215) 슬립 상태를 유지하므로 해당 TIM 요소를 획득할 수 없다.
AP(210)가 여섯 번째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때(S216), STA1(220)은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동작하고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TIM요소를 획득할 수 있다(S224). TIM 요소는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이 존재함을 지시하는 DTIM이므로, STA1(220)은 PS-Poll 프레임을 AP(210)에게 전송하지 않고, AP(210)에 의해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S234). 한편 STA2(230)에 설정된 웨이크업 인터벌은 STA1(220)보다 긴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STA2(230)는 AP(210)가 다섯 번째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점(S215)에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TIM 요소를 수신할 수 있다(S241). STA2(230)는 TIM 요소를 통하여 자신에게 전송될 프레임이 존재함을 알고, 프레임 전송을 요청하기 위해 AP(210)에게 PS-Poll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S241a). AP(210)는 PS-Poll 프레임에 대응하여 STA2(230)에게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S233).
도 9와 같은 전력 절약 모드 운영을 위해 TIM 요소에는 STA이 자신에게 전송될 프레임이 존재하는지를 지시하는 TIM 또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프레임이 존재하는지를 지시하는 DTIM이 포함된다. DTIM은 TIM 요소의 필드 설정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0 내지 12는 TIM을 수신한 STA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STA은 AP로부터 TIM을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슬립 상태에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고, 수신한 TIM 요소를 해석하여 자신에게 전송될 버퍼된 트래픽이 있음을 알 수 있다. STA은 PS-Poll 프레임 전송을 위한 매체 액세스를 위해 다른 STA들과 경쟁(contending)을 수행한 후에, AP에게 데이터 프레임 전송을 요청하기 위하여 PS-Poll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STA에 의해 전송된 PS-Poll 프레임을 수신한 AP는 STA에게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STA은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확인응답(ACK) 프레임을 AP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TA은 다시 슬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AP는 STA으로부터 PS-Poll 프레임을 수신한 다음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SIFS(Short Inter-Frame Space)) 후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즉시 응답(immediate response) 방식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AP가 PS-Poll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STA에게 전송할 데이터 프레임을 SIFS 시간 동안에 준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지연된 응답(deferred response) 방식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예시에서 STA이 슬립 상태에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AP로부터 TIM을 수신하고 경쟁을 거쳐 PS-Poll 프레임을 AP로 전송하는 동작은 도 10의 예시와 동일하다. AP가 PS-Poll 프레임을 수신하고도 SIFS 동안 데이터 프레임을 준비하지 못한 경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대신 ACK 프레임을 STA에게 전송할 수 있다. AP는 ACK 프레임 전송 후 데이터 프레임이 준비되면, 컨텐딩을 수행한 후 데이터 프레임을 STA에게 전송할 수 있다. STA은 데이터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ACK 프레임을 AP에게 전송하고, 슬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2는 AP가 DTIM을 전송하는 예시에 대한 것이다. STA들은 AP로부터 DTIM 요소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슬립 상태에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STA들은 수신한 DTIM을 통해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이 전송될 것임을 알 수 있다. AP는 DTIM을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 전송 후 PS-Poll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 없이 바로 데이터(즉,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프레임)를 전송할 수 있다. STA들은 DTIM을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받은 후에 계속하여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수신이 완료된 후에 다시 슬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TIM
구조
상기 도 9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TIM(또는 DTIM)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전력 절약 모드 운영 방법에 있어서, STA들은 TIM 요소에 포함된 STA 식별 정보를 통하여 자신을 위해 전송될 데이터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TA 식별 정보는 STA이 AP와 연관(association)시에 할당받는 식별자인 AID(Association Identifier)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AID는 하나의 BSS 내에서는 각각의 STA에 대한 고유한(unique) 식별자로서 사용된다. 일례로, 현재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는 1에서 2007까지의 값 중 하나의 값으로 할당될 수 있다. 현재 정의되어 있는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AP 및/또는 STA이 전송하는 프레임에는 AID를 위하여 14비트가 할당될 수 있으며, AID 값은 16383까지 할당될 수 있으나 2008에서 16383은 예비(reserved)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기존의 정의에 따른 TIM 요소는, 하나의 AP에 많은 개수의 (예를 들어, 2007개 초과의) STA들이 연관될 수 있는 M2M 애플리케이션의 적용에 적절하지 않다. 기존의 TIM 구조를 그대로 확장하는 경우에는 TIM 비트맵 크기가 너무 커져서 기존의 프레임 포맷으로는 지원할 수 없고, 낮은 전송 레이트의 애플리케이션을 고려하는 M2M 통신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M2M 통신에서는 하나의 비콘 주기 동안에 수신 데이터 프레임이 존재하는 STA의 개수가 매우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M2M 통신의 적용예를 고려하면, TIM 비트맵의 크기는 커지지만 대부분의 비트가 0 값을 가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비트맵을 효율적으로 압축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기존의 비트맵 압축 기술로서, 비트맵의 앞부분에 연속되는 0을 생략하고 오프셋(offset) (또는 시작점) 값으로 정의하는 방안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버퍼된 프레임이 존재하는 STA들의 개수는 적지만 각각의 STA의 AID 값이 차이가 큰 경우에는 압축 효율이 높지 못하다. 예를 들어 AID가 10와 2000의 값을 가지는 단 두 개의 STA에게 전송할 프레임만이 버퍼되어 있는 경우에, 압축된 비트맵의 길이는 1990이지만 양 끝을 제외하고는 모두 0의 값을 가지게 된다. 하나의 AP에 연관될 수 있는 STA의 개수가 적은 경우에는 비트맵 압축의 비효율성이 크게 문제되지 않지만, STA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비효율성이 전체 시스템 성능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AID를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 보다 효과적인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각 그룹에는 지정된 그룹 ID(GID)가 할당된다. 이러한 그룹 기반으로 할당되는 AID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a)는 그룹 기반으로 할당된 AID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의 예시에서는 AID 비트맵의 앞의 몇 비트들을 GID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ID 비트맵의 처음 2 비트를 사용하여 4개의 GID를 나타낼 수 있다. AID 비트맵의 전체 길이가 N 비트인 경우에, 처음 2 비트(B1 및 B2)이 값은 해당 AID의 GID를 나타낸다.
도 13(b)는 그룹 기반으로 할당된 AID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의 예시에서는 AID의 위치에 따라서 GID가 할당될 수 있다. 이 때, 동일한 GID를 사용하는 AID들은 오프셋(offset) 및 길이(length)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ID 1이 오프셋 A 및 길이 B로 표현되면, 비트맵 상에서 A 내지 A+B-1의 AID들이 GID 1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3(b)의 예시에서, 전체 1 내지 N4의 AID가 4개의 그룹으로 분할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GID 1에 속하는 AID들은 1 내지 N1이며, 이 그룹에 속하는 AID들은 오프셋 1 및 길이 N1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GID 2에 속하는 AID들은 오프셋 N1+1 및 길이 N2-N1+1으로 표현될 수 있고, GID 3에 속하는 AID들은 오프셋 N2+1 및 길이 N3-N2+1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GID 4에 속하는 AID들은 오프셋 N3+1 및 길이 N4-N3+1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룹 기반으로 할당되는 AID가 도입되면, GID에 따라 다른 시간 구간에 채널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수의 STA에 대한 TIM 요소 부족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는 특정 그룹에 해당하는 STA(들)에게만 채널 액세스가 허용되고, 나머지 다른 STA(들)에게는 채널 액세스가 제한(restrict)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STA(들)에게만 액세스가 허용되는 소정의 시간 구간을, 제한된 액세스 윈도우(Restricted Access Window; RAW)라고 칭할 수도 있다.
GID에 따른 채널 액세스에 대해서 도 1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c)에서는 AID가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는 경우, 비콘 인터벌에 따른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첫 번째 비콘 인터벌(또는 첫 번째 RAW)은 GID 1에 속하는 AID에 해당하는 STA의 채널 액세스가 허용되는 구간이고, 다른 GID에 속하는 STA들의 채널 액세스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첫 번째 비콘에는 GID 1에 해당하는 AID들만을 위한 TIM 요소가 포함된다. 두 번째 비콘 프레임에는 GID 2를 가지는 AID들만을 위한 TIM 요소가 포함되며, 이에 따라 두 번째 비콘 인터벌(또는 두 번째 RAW) 동안에는 GID 2에 속하는 AID에 해당하는 STA의 채널 액세스 만이 허용된다. 세 번째 비콘 프레임에는 GID 3을 가지는 AID들만을 위한 TIM 요소가 포함되며, 이에 따라 세 번째 비콘 인터벌(또는 세 번째 RAW) 동안에는 GID 3에 속하는 AID에 해당하는 STA의 채널 액세스 만이 허용된다. 네 번째 비콘 프레임에는 다시 GID 1을 가지는 AID들만을 위한 TIM 요소가 포함되며, 이에 따라 네 번째 비콘 인터벌(또는 네 번째 RAW) 동안에는 GID 1에 속하는 AID에 해당하는 STA의 채널 액세스 만이 허용된다. 그 다음으로, 다섯 번째 이후의 비콘 인터벌들(또는 다섯 번째 이후의 RAW들)의 각각에서도, 해당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TIM에서 지시되는 특정 그룹에 속한 STA의 채널 액세스만이 허용될 수 있다.
도 13(c)에서는 비콘 인터벌에 따라 허용되는 GID의 순서가 순환적 또는 주기적인 예시를 나타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TIM 요소에 특정 GID(들)에 속하는 AID(들)만을 포함시킴으로써, 특정 시간 구간(예를 들어, 특정 RAW) 동안에 상기 특정 AID(들)에 해당하는 STA(들)만의 채널 액세스를 허용하고 나머지 STA(들)의 채널 액세스는 허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그룹 기반 AID 할당 방식은, TIM의 계층적(hierarchical) 구조라고도 칭할 수 있다. 즉, 전체 AID 공간을 복수개의 블록들로 분할하고, 0이 아닌 값을 가지는 특정 블록에 해당하는 STA(들) (즉, 특정 그룹의 STA)의 채널 액세스만이 허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큰 크기의 TIM을 작은 블록/그룹으로 분할하여 STA이 TIM 정보를 유지하기 쉽게 하고, STA의 클래스, 서비스품질(QoS), 또는 용도에 따라 블록/그룹을 관리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도 13의 예시에서는 2-레벨의 계층을 나타내지만, 2 이상의 레벨의 형태로 계층적 구조의 TIM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체 AID 공간을 복수개의 페이지(page) 그룹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페이지 그룹을 복수개의 블록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블록을 복수개의 서브-블록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도 13(a)의 예시의 확장으로서, AID 비트맵에서 처음 N1개의 비트는 페이지 ID(즉, PID)를 나타내고, 그 다음 N2개의 비트는 블록 ID를 나타내고, 그 다음 N3개의 비트는 서브-블록 ID를 나타내고, 나머지 비트들이 서브-블록 내의 STA 비트 위치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예시들에 있어서, STA들(또는 각각의 STA에 할당된 AID들)을 소정의 계층적인 그룹 단위로 분할하고 관리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룹 기반 AID 할당 방식이 상기 예시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PPDU
프레임 포맷
PPDU(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PLCP) Packet Data Unit) 프레임 포맷은, STF(Short Training Field), LTF(Long Training Field), SIG(SIGNAL) 필드, 및 데이터(Data)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예를 들어, non-HT(High Throughput)) PPDU 프레임 포맷은 L-STF(Legacy-STF), L-LTF(Legacy-LTF), SIG 필드 및 데이터 필드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PPDU 프레임 포맷의 종류(예를 들어, HT-mixed 포맷 PPDU, HT-greenfield 포맷 PPDU, VHT(Very High Throughput) PPDU 등)에 따라서, SIG 필드와 데이터 필드 사이에 추가적인 (또는 다른 종류의) STF, LTF, SIG 필드가 포함될 수도 있다.
STF는 신호 검출, AGC(Automatic Gain Control), 다이버시티 선택, 정밀한 시간 동기 등을 위한 신호이고, LTF는 채널 추정, 주파수 오차 추정 등을 위한 신호이다. STF와 LTF를 합쳐서 PCLP 프리앰블(preamble)이라고 칭할 수 있고, PLCP 프리앰블은 OFDM 물리계층의 동기화 및 채널 추정을 위한 신호라고 할 수 있다.
SIG 필드는 RATE 필드 및 LENGTH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ATE 필드는 데이터의 변조 및 코딩 레이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ENGTH 필드는 데이터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SIG 필드는 패리티(parity) 비트, SIG TAIL 비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필드는 SERVICE 필드, PSDU(PLCP Service Data Unit), PPDU TAIL 비트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패딩 비트도 포함할 수 있다. SERVICE 필드의 일부 비트는 수신단에서의 디스크램블러의 동기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PSDU는 MAC 계층에서 정의되는 MAC PDU에 대응하며, 상위 계층에서 생성/이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PPDU TAIL 비트는 인코더를 0 상태로 리턴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패딩 비트는 데이터 필드의 길이를 소정의 단위로 맞추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MAC PDU는 다양한 MAC 프레임 포맷에 따라서 정의되며, 기본적인 MAC 프레임은 MAC 헤더, 프레임 바디, 및 FCS(Frame Check Sequence)로 구성된다. MAC 프레임은 MAC PDU로 구성되어 PPDU 프레임 포맷의 데이터 부분의 PSDU를 통하여 송신/수신될 수 있다.
한편, 널-데이터 패킷(NDP) 프레임 포맷은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지 않는 형태의 프레임 포맷을 의미한다. 즉, NDP 프레임은, 일반적인 PPDU 포맷에서 PLCP 헤더 부분(즉, STF, LTF 및 SIG 필드)만을 포함하고, 나머지 부분(즉, 데이터 필드)은 포함하지 않는 프레임 포맷을 의미한다. NDP 프레임은 짧은(short) 프레임 포맷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단일 사용자 프레임 / 다중 사용자 프레임 구조
본 발명에서는, 1GHz 이하(예를 들어, 902 내지 928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단일 사용자(Single User; SU) 프레임과 다중 사용자(Multiple User; MU) 프레임에서의 SIG 필드 구성 방안에 대해서 제안한다. SU 프레임은 SU-MIMO에서 이용되는 프레임일 수 있고, MU 프레임은 MU-MIMO에서 이용되는 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 또는 NDP 프레임일 수 있다.
도 14는 SU/MU 프레임 포맷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예시에서 STF, LTF1, SIG-A(SIGNAL A) 필드는 전방향(omni direction)으로 모든 STA에게 전송된다는 의미에서 옴니(Omni) 부분에 해당하며, 빔포밍(beamforming)이나 프리코딩(precoding)이 적용되지 않고 전송될 수 있다.
한편, SIG-A 필드 다음의 MU-STF, MU-LTF1, ..., MU-LTF_NLTF, SIG-B(SIGNAL B) 필드는 사용자-특정으로 전송되는 것으로, 빔포밍 또는 프리코딩이 적용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14의 프레임 포맷의 예시에서 MU 부분은 MU-STF, MU-LTF(들), SIG-B 및 데이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옴니 부분에서 STF, LTF1, SIG-A 필드는 각각의 부반송파(subcarrier)에 대해서 단일 스트림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학식 1에서 k는 부반송파(또는 톤) 인덱스이고, xk는 부반송파 k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의미하며, NTX는 전송 안테나의 개수를 의미한다. Qk는 부반송파 k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인코딩(예를 들어, 공간 매핑)하는 열 벡터를 의미하고, dk는 인코더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1에서 Qk에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순환시프트지연(CSD)이 적용될 수 있다. 시간 도메인에서의 CSD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위상 회전(phase rotation) 또는 위상 시프트(phase shift)의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Qk는 시간 도메인 CSD에 의해 유발되는 톤 k에서의 위상 시프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예시에서와 같은 프레임 포맷이 이용되는 경우, STF, LTF1, SIG-A 필드는 모든 STA들이 수신할 수 있으며, STA들의 각각은 STF, LTF1에 기초한 채널 추정을 통해서 SIG-A 필드를 디코딩할 수 있다.
SIG-A 필드에는 길이/듀레이션(Length/Duration),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 공간 스트림의 개수(Number of Spatial Streams) 등에 관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SIG-A 필드는 2 개의 OFDM 심볼 길이로 구성된다. 하나의 OFDM 심볼은 48개의 데이터 톤(data tone)에 대해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OFDM 심볼상에서 24 비트의 정보가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SIG-A 필드는 48 비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의 표 3은 SU의 경우와 MU의 경우의 각각에 대한 SIG-A 필드의 비트 할당의 예시를 나타낸다.
SU | MU | |
SU/MU Indication | 1 | 1 |
Length / Duration | 9 | 9 |
MCS | 4 | |
BW | 2 | 2 |
Aggregation | 1 | |
STBC | 1 | 1 |
Coding | 2 | 5 |
SGI | 1 | 1 |
GID | 6 | |
Nsts | 2 | 8 |
PAID | 9 | |
ACK Indication | 2 | 2 |
Reserved | 3 | 3 |
CRC | 4 | 4 |
Tail | 6 | 6 |
Total | 48 | 48 |
상기 표 3에서 SU/MU 지시(SU/MU Indication) 필드는, SU 프레임 포맷과 MU 프레임 포맷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길이/듀레이션(Length/Duration) 필드는, 프레임의 OFDM 심볼(즉, 듀레이션) 또는 바이트 개수(즉, 길이)를 나타낸다. SU 프레임에서 조합(aggregation) 필드의 값이 1인 경우에 길이/듀레이션 필드는 듀레이션 필드로서 해석된다. 한편, 조합 필드의 값이 0인 경우에는 길이/듀레이션 필드는 길이 필드로서 해석된다. MU 프레임에서는 조합 필드가 정의되지 않고 항상 조합이 적용되도록 구성되므로, 길이/듀레이션 필드는 듀레이션 필드로서 해석된다.
MCS 필드는 PSDU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 및 코딩 기법을 나타낸다. SU 프레임인 경우에만 MCS 필드가 SIG-A 필드를 통하여 전송된다. 다른 STA들(즉, 두 STA들간의 송수신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서드파티(3rd party) STA이라고 칭할 수 있음)이 상기 SU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길이/듀레이션 필드의 길이 값과 MCS 필드 값에 기초하여 현재 수신되는 SU 프레임(즉, 조합 필드가 0인 SU 빔포밍된 프레임)의 듀레이션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MU 프레임에서는 MCS 필드는 SIG-A 필드에 포함되지 않고, 사용자-특정 정보를 나르는 SIG-B 필드에 포함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 별로 독립적인 MCS의 적용이 가능하다.
BW 필드는, 전송되는 SU 프레임 또는 MU 프레임의 채널 대역폭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BW 필드는 2MHz, 4MHz, 8MHz, 16MH 또는 8+8MHz 중의 하나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조합(Aggregation) 필드는, PSDU가 조합 MPDU(즉, A-MPDU) 형태로 조합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조합 필드가 1인 경우에 PSDU가 A-MPDU의 형태로 조합되어 전송됨을 의미한다. 조합 필드가 0인 경우, PSDU는 조합되지 않고 전송됨을 의미한다. MU 프레임에서는 PSDU가 항상 A-MPDU 형태로 전송되므로, 조합 필드가 시그널링될 필요가 없으므로 SIG-A 필드에 포함되지 않는다.
공간시간블록코딩(STBC) 필드는, SU 프레임 또는 MU 프레임에 STBC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코딩(coding) 필드는, SU 프레임 또는 MU 프레임에 사용된 코딩 기법을 나타낸다. SU 프레임의 경우에는 BCC(Binary Convolutional Code),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기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MU 프레임의 경우에는 각각의 사용자 별로 독립적인 코딩 기법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 2 비트 이상의 비트 크기로 상기 코딩 필드가 정의될 수 있다.
짧은 가드 인터벌(SGI) 필드는, SU 프레임 또는 MU 프레임의 PSDU 전송에 짧은 GI가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MU 프레임의 경우에는 SGI가 사용되면 MU-MIMO 그룹에 속한 모든 사용자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SGI가 적용됨을 나타낼 수 있다.
그룹 식별자(GID) 필드는, MU 프레임에서 다중-사용자 그룹 정보를 나타낸다. SU 프레임의 경우에는 사용자 그룹이 정의될 필요가 없으므로, GID 필드는 SIG-A 필드에 포함되지 않는다.
공간-시간 스트림의 개수(Nsts) 필드는, SU 프레임 또는 MU 프레임에서 공간 스트림의 개수를 의미한다. MU 프레임의 경우, 해당하는 다중-사용자 그룹에 속한 STA들의 각각에 대한 공간 스트림의 개수를 나타내며, 이를 위해서 8 비트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MU 그룹에 최대 4 명의 사용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서 최대 4 개의 공간 스트림이 전송될 수 있으므로, 이를 올바르게 지원하기 위해서 8 비트가 필요하다.
부분 AID(PAID) 필드는, SU 프레임에서 수신 STA을 식별하기 위한 STA의 ID를 나타낸다.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PAID의 값은 BSSID(Basic Service Set ID) 중의 일부분으로 구성된다.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PAID 값은 STA의 AID를 해싱(hashing)한 결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SSID는 48 비트 길이이고, AID는 16 비트 길이이고, PAID는 9 비트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문서에서 후술하는 "PAID의 새로운 정의 및 이용 방안"에 따르면, UL 프레임에서의 PAID는 BSSID의 일부분을 해싱한 결과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DL 프레임에서의 PAID는 AID의 일부분과 BSSID의 일부분을 해싱한 결과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표 3의 수신확인 지시(ACK indication) 필드는, SU 프레임 또는 MU 프레임의 다음에 전송되는 ACK의 유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CK 지시 필드의 값이 00이면 일반 ACK(Normal ACK)을 지시하고, 01이면 블록 ACK(Block ACK)을 지시하고, 10이면 ACK 없음(No ACK)을 지시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3가지 유형의 구분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응답 프레임(response frame)의 속성에 따라 3 가지 이상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 3에서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SIG 필드에 해당 프레임이 하향링크 프레임(DL frame)인지 상향링크 프레임(UL frame)인지를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DL/UL 지시자 필드(예를 들어, 1 비트 크기)가 포함될 수도 있다. DL/UL 지시자 필드는 SU 프레임에서만 정의되고, MU 프레임의 경우에는 정의되지 않고 항상 DL 프레임으로만 사용되는 것으로 미리 정해둘 수도 있다. 또는, SU 프레임과 MU 프레임의 종류에 상관 없이, DL/UL 지시자 필드가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4의 예시와 같은 MU 프레임에서 SIG-B 필드는 사용자-특정(User-specific)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의 표 4는 MU 프레임에서 SIG-B 필드를 구성하는 필드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아래의 표 1에서는 대역폭(BW) 2, 4, 8 또는 16 MHz 별로 PPDU에 대해서 적용되는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BW | ||||
2MHz | 4MHz | 8MHz | 16MHz | |
MCS | 4 | 4 | 4 | 4 |
Tail | 6 | 6 | 6 | 6 |
CRC | 8 | 8 | 8 | 8 |
Reserved | 8 | 9 | 11 | 11 |
Total | 26 | 27 | 29 | 29 |
상기 표 4에서 MCS 필드는 각각의 사용자 별로 MU 프레임 형태로 전송되는 PPDU의 MCS 값을 나타낸다.
TAIL 비트는 인코더를 0 상태로 리턴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CRC(Cyclic Redundancy Check) 필드는 MU 프레임을 수신하는 STA에서의 에러 검출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SIG
필드 비트 할당의 다른
실시예
SU/MU 프레임에서 적용되는 SIG 필드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표 5는 SIG-A 필드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SU | MU | |
Duration | 9 | 9 |
BW | 2 | 2 |
Aggregation | 1 | |
STBC | 1 | 1 |
Coding | 2 | 5 |
SGI | 1 | 1 |
GID | 6 | 6 |
Nsts | 2 | 8 |
PAID | 9 | |
ACK Indication | 2 | 2 |
Reserved | 3 | 4 |
CRC | 4 | 4 |
Tail | 6 | 6 |
Total | 48 | 48 |
상기 표 3의 SIG-A 필드에 비하여 표 5의 예시에서는 SU/MU 지시 비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 대신에, 표 5의 예시에서는 SU 프레임과 MU 프레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GID 필드를 사용할 수 있다.
GID 필드는 SU 프레임과 MU 프레임에 공통으로 포함된다. GID 값이 0인 경우, 해당 프레임이 상향링크로(즉, STA으로부터 AP로) 전송되는 SU 프레임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GID 값이 63인 경우, 해당 프레임이 하향링크로(즉, AP로부터 STA으로) 전송되는 SU 프레임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GID 값이 1 내지 62인 경우, 해당 프레임이 MU 프레임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표 5의 SIG-A 비트 할당의 예시에서, 표 3의 Length/Duration 필드는 표 5의 예시에서 Duration 필드만으로 제한된다. 상기 표 3의 예시에서는 조합(Aggregation) 필드의 값이 0인 경우에, Length/Duration 필드는 Length의 값을 가진다. 그러나, 표 5의 예시에서는 SIG-A는 Length/Duration 필드는 항상 Duration 값을 가지도록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조합 필드의 값이 가 0 인 경우를 위해, Length 값은 SIG-A가 아닌 SIG-B 에 포함될 수 있다.
기존의 방식에서는 SU 프레임의 경우에 SIG-A 필드에서 조합 필드의 값이 0인 경우에 Length/Duration 필드는 Length 필드로 이용되므로, 서드파티 STA들이 해당 프레임의 Duration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데이터 부분을 디코딩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부분의 MAC 헤더에 duration 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나, 전술한 표 5의 예시에서와 같이 Duration 필드가 항상 프레임의 SIG-A에 포함되도록 정의하면, 서드파티 STA들이 상기 프레임의 PPDU의 전송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을 디코딩할 필요가 없다.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을 디코딩할 필요가 없으므로, 해당 프레임의 MCS를 알 필요도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CS 값 역시 옴니 부분에 해당하는 SIG-A이 아니라, 사용자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SIG-B에 포함되도록 정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 5의 예시에서는 표 3의 예시에 비하여 MCS 필드도 포함하지 않도록 정의된다.
다음으로, MU 프레임에서 SIG-B는 사용자 특정 정보들을 포함하며, 상기 표 4의 예시와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표 4의 예시와 달리, SU 프레임에서 SIG-B 필드에는 Length 필드 및 MCS 필드가 포함된다는 것이다. 아래의 표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에 따른 SU 프레임에서의 SIG-B의 비트 할당을 나타낸다.
BW | ||||
2MHz | 4MHz | 8MHz | 16MHz | |
MCS | 4 | 4 | 4 | 4 |
Length | 9 | 9 | 9 | 9 |
Tail | 6 | 6 | 6 | 6 |
CRC | 4 | 4 | 4 | 4 |
Reserved | 3 | 4 | 6 | 6 |
Total4 | 26 | 27 | 29 | 29 |
표 6에서 MCS 필드는, PSDU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및코딩기법을 나타낸다.
표 6의 Length 필드는, PSDU의 바이트의 개수를 나타내며, 조합 레벨(즉, SIG-A의 조합 필드의 값)이 0인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조합 필드의 값이 1인 경우에도 Length 필드가 SIG-B에 포함될 수도 있다.
표 6의 SIG-B 비트 할당에서 CRC 필드는, SIG-A(예를 들어, 표 5)에서와 동일하게 4 비트 크기로 정의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표 4의 예시에서는 CRC 필드가 8 비트 크기로 정의되지만, 상기 표 6의 예시에서는 SIG-B의 유보(reserved) 비트를 확보하기 위해서 4 비트 크기로 정의될 수 있다.
PAID
의 새로운 정의 및 이용 방안
PAID는 STA의 비-고유(non-unique) 식별자이다. 상기 표 3 또는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AID는 SU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sub-1GHz 동작 주파수에서 정의되는 SU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 PAID는 9 비트 크기로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PAID 필드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프레임(DL frame)과 상향링크 프레임(UL 프레임)을 구분하는 방안에 대해서 제안한다. 이는 SIG 필드에 DL/UL 지시자 필드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보다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SIG 필드에 DL/UL 지시자 필드가 포함된다고 하더라도 PAID를 이용하여 DL/UL 프레임을 구분하는 방안을 정의함으로써 여전히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PAID 정의 및 이용 방안은, DL/UL 지시자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GID 값이 0 및 63인 경우는 각각 UL SU 프레임(즉, 의도된 수신측이 AP인 SU 프레임) 및 DL SU 프레임(즉, 의도된 수신측이 STA인 SU 프레임)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GID 값이 1 내지 62인 경우는 MU 프레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GID 필드가 없고 DL/UL 지시자 필드도 없는 경우에는 기존의 방식에 의하면 SU 프레임에 대해서 DL/UL을 구분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PAID 필드의 값을 이용하여 해당 프레임이 DL 프레임인지 또는 UL 프레임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방안의 일례로서 PAID 필드의 값을 아래의 표 7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조건 | 부분 AID |
AP로 보내짐 | (dec(BSSID[39:47])mod(2^9-1))+1 |
Mesh STA로 보내짐 | (dec(BSSID[39:47])mod(2^9-1))+1 |
AP와 연계된 STA에게 AP가 전송 또는 DLS 또는 TDLS STA이 직접 경로 에서 DLS 또는 TDLS STA에게 전송함 | (dec(AID[0:8]+dec(BSSID[44:47]XORBSSID[40:43])x2^5)mod2^9 mod X 는 X-modulo 연산을 지시하고, dec(A[b:c]) 는 b가 2^0에 의해 스케일되고(scaled) c가 2^(c-b)로 스케일된 십진 연산자(decimal operator)를 묘사함. |
Otherwise | 0 |
상기 표 7의 예시에서는 각각의 프레임 유형(type)에 대한 PAID 값을 구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표 7을 참조하면 STA이 AP로 UL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의 PAID의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1) AP의 BSSID의 40번째 비트 위치로부터 48번째 비트 위치까지의 9 개의 비트를 추출한다. 여기서, 비트 인덱스가 bit0부터 시작하는 경우에, 40번째 비트 위치는 bit39에 해당하고, 48번째 비트 위치는 bit47에 해당한다. 또는, 비트 인덱스가 bit1부터 시작하는 경우에, 40번째 비트 위치는 bit40에 해당하고, 48번째 비트 위치는 bit48에 해당한다. 이하의 예시들에서는 비트 인덱스는 bit0부터 시작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비트 인덱스가 bit1부터 시작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원리가 동일하게 적용됨은 자명하다.
(2) 추출된 9 비트를 10진수로 변환한다. 10 진수로의 변환은 dec(A) 함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는 A를 10진수로 변환한 값을 나타낸다.
(3) 변환된 10 진수 값에 mod (2^9-1) 연산을 적용한다. 여기서, mod는 모듈로(modulo) 연산을 의미하며, X mod Y는 X를 Y로 나눈 나머지 값으로 정의된다. 2^9 = 29 = 512 이고, 29-1 = 511 이다. 이에 따라, 단계 (3)의 결과값은 0 내지 510 범위 내의 하나의 값이 된다.
(4) mod (2^9-1) 연산의 결과값에 1을 더한다. 이에 따른 결과 값은 1 내지 511 범위 내의 하나의 값이 된다. 이 값이 PAID로서 설정되는 최종 결과 값이 된다.
이를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PAID 값을 계산하는 이유는 PAID 값이 0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PAID=0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상기 표 7의 예시에서 메쉬(mesh) STA들 간의 프레임 전송에 있어서의 PAID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피어(peer)를 맺은 상대방 메쉬 STA의 BSSID의 40번째 비트 위치부터 48번째 비트 위치에 대한 9 비트를 10진수로 변환하고, mod (2^9-1) 연산을 적용한 결과 값에 1을 더한 값(즉, 1 내지 511 범위 내의 하나의 값)을 PAID 값으로서 사용한다. 즉, 메쉬 STA으로의 프레임 전송에 있어서도 상기 수학식 2가 동일하게 사용되지만, UL 프레임에서의 PAID 계산 방식에서 AP의 BSSID를 메쉬 STA의 BSSID로 대체한 것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
상기 표 7의 예시에서 AP가 STA으로 DL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와, STA이 직접 경로(direct path)에서 DLS(Direct Link Setup)/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 링크를 통해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에서의 PAID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된다.
상기 수학식 3에서 XOR는 exclusive OR 연산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1 XOR 1 = 0, 0 XOR 1 = 1, 1 XOR 0 = 1, 0 XOR 0 = 0 으로 계산될 수 있다.
DL 프레임 또는 DLS/TDLS 프레임의 경우에, 상기 수학식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BSSID와 AID의 부분 정보를 해싱하여 얻은 결과 값을 PAID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AID의 1 번째 비트 위치부터 9 번째 비트 위치까지의 9 비트를 10 진수로 변환한다 (즉, dec(AID[0:8])). 또한, BSSID의 45 번째 비트 위치부터 48 번째 비트 위치까지의 4 비트(즉, BSSID[44:47])와 BSSID의 41 번째 비트 위치부터 44 번째 비트 위치까지의 4 비트(즉, BSSID[40:43])를 XOR 연산을 취한 결과(즉, BSSID[44:47] XOR BSSID[40:43])를 10 진수로 변환한다 (즉, dec(BSSID[44:47] XOR BSSID[40:43])). 상기 계산 결과에서, BSSID에 기초한 XOR의 결과는 4 비트 길이이고 이를 10진수로 변환한 것이고, AID에서는 9 비트를 10 진수로 변환한 것이므로, 자리수를 맞추기 위해서 BSSID로부터 획득된 10진수 결과값에 25를 곱한다 (25를 곱하는 것은 2진수에서 5 비트 길이를 추가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이에 따라, BSSIS에 기초하여 획득된 결과와 상기 AID로부터 획득된 결과를 합산한다. 상기 합산된 결과에 mod 29를 수행하여, 0 내지 511 범위 내의 하나의 값이 PAID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 7의 예시에서 그 외의 경우(otherwise)는, AP에 의해서 모든STA들로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프레임 또는 연관을 맺지 않은(non-associated) STA이 전송하는 프레임인 경우에 해당하고, 이 때 PAID 값은 0이 사용된다.
상기 표 7과 같이 PAID의 값을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계산하는 경우에, AP의 입장에서는 PAID 값이 0 또는 dec(BSSID[39:47])mod(29-1))+1 값과 일치하는 프레임만을, 자신을 향해 전송될 가능성이 있는 프레임으로 간주하고 PSDU 을 디코딩하게 된다.
또한, STA의 입장에서는 PAID 값이 0 또는 (dec(AID[0:8]+dec(BSSID[44:47] XOR BSSID[40:43])×25)mod 29 값과 일치하는 프레임만을, 자신을 향해 전송될 가능성이 있는 프레임으로 간주하고 PSDU 을 디코딩하게 된다.
여기서, AP가 AID를 STA에게 할당할 때, 할당한 AID에 의해서 계산되는 상기 수학식 3의 결과 값이 0 (즉, (dec(AID[0:8]+dec(BSSID[44:47] XOR BSSID[40:43])×25)mod 29 = 0)이 되는 AID를 STA에게 할당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수학식 3에 따른 계산 값이 0이 되는 AID를 STA에게 할당하면, 해당 STA로 전송되는 프레임의 PAID 값이 0이 되므로, 해당 프레임의 수신측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다른 모든 STA들이 해당 프레임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프레임으로 간주하여, 불필요하게 해당 프레임의 PSDU 디코딩을 시도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타입의 프레임과의 구분을 위해서 상기 수학식 3의 결과 값이 0이 되는 AID는 STA에게 할당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AP가 AID를 STA에게 할당할 때, 상기 AP의 BSSID에 기초한 상기 수학식 2의 계산 결과(즉, dec(BSSID[39:47])mod(29-1))+1)와, 상기 STA에게 할당된 AID 및 상기 AP의 BSSID에 기초한 상기 수학식 3의 계산 결과(즉, (dec(AID[0:8]+dec(BSSID[44:47] XOR BSSID[40:43])×25)mod 29)가 동일하게 되는 AID를 STA에게 할당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UL 프레임을 위한 PAID 값(즉, 상기 수학식 2의 계산 결과)과, DL 프레임을 위한 PAID 값(즉, 상기 수학식 3의 계산 결과)가 동일한 값이 되도록 특정 STA의 AID를 할당하게 되면, 상기 특정 STA은 다른 STA들이 AP를 향하여 전송하는 UL 프레임들을 모두 자신을 위한 DL 프레임인 것으로 간주하게 되어, 불필요하게 해당 프레임들의 PSDU 디코딩을 시도하게 된다.
또한, OBSS(Overlapping BSS)가 존재할 때, AP(즉, STA이 연관된 AP)는 OBSS 을 구성하는 OBSS(즉, STA이 연관된 AP의 BSS와 동일한 채널 상에서 동작하는 BSS이며 BSA가 일부 또는 전부가 겹치는 BSS)의 AP의 OBSS BSSID을 고려해 STA의 AID를 할당할 수 있다. 즉, AP 가 AID를 STA에게 할당할 때, 상기 STA에게 할당된 AID 및 상기 AP의 BSSID에 기초한 상기 수학식 3의 계산 결과(즉, (dec(AID[0:8]+dec(BSSID[44:47] XOR BSSID[40:43])×25)mod 29)가 OBSS의 BSSID에 기초한 상기 수학식 2의 계산 결과(즉, dec(OBSS BSSID[39:47])mod (29-1))+1)와 동일하게 되는 AID를 STA에게 할당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바람직하게는, AP는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된, (dec(BSSID[39:47])mod(29-1))+1 또는 (dec(Overlapping BSSID[39:47])mod(29-1))+1과 같은 PARTIAL_AID 값을 STA에게 할당하여서는 안된다). 그렇지 못한 경우, 상기 STA은 OBSS에 속한 STA들이 OBSS AP로 전송하는 OBSS UL 프레임들을 모두 자신을 향한 DL 프레임인 것으로 간주하게 되어, 불필요하게 해당 프레임들의 PSDU 디코딩을 시도하게 된다.
동일한 의미를 달리 표현하자면, AP가 STA에게 AID를 할당함에 있어서, 할당하려는 AID에 대해서 상기 수학식 3(즉, (dec(AID[0:8]+dec(BSSID[44:47] XOR BSSID[40:43])×25)mod29)을 적용하여 얻게 되는 PAID 값이, (dec(BSSID[39:47])mod(29-1))+1 와도 동일해서는 안되고, (dec(OBSS BSSID[39:47])mod(29-1))+1 와도 동일해서는 안된다. 즉, AP는 할당하려는 AID 값에 (dec(AID[0:8]+dec(BSSID[44:47] XOR BSSID[40:43])×25)mod29 를 적용해서 얻는 PAID 값이, (dec(BSSID[39:47])mod(29-1))+1 와 동일하게 되는 AID를 제외하고, 또한, (dec(OBSS BSSID[39:47])mod(29-1))+1 와 동일하게 되는 AID를 제외하여, 나머지 AID 중에서 STA에게 AID를 할당해야 한다.
이와 같이 OBSS와의 충돌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AP가 OBSS AP의 BSSID(즉, OBSS BSSID)를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만약 AP가 OBSS AP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AP에 연관된 STA에게 할당된 AID에 기초한 상기 수학식 3의 계산 결과가 상기 OBSS BSSID에 기초한 상기 수학식 2 의 계산 결과와 동일하게 되는 AID가 상기 STA에게 할당될 수도 있다. 이 경우, STA은 AP에게 AID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dec(AID[0:8]+dec(BSSID[44:47] XOR BSSID[40:43])×25)mod 29 에 대한 계산 값이 dec(OBSS BSSID[39:47])mod (29-1))+1와 동일하게 되는 AID가 STA에게 할당된 경우, 상기 STA은 AID 재할당 요청(reassignment request) 프레임을 AP로 전송할 수 있다. AP가 AID 재할당 요청 프레임을 받고, AID 재할당 요청 프레임의 이유 코드(reason code)가 "Partial AID Collision"을 지시하는 경우, AP는 해당 AID 값을 STA 들에게 할당하지 않는다. AP 는 해당 단말에게 AID 재할당 응답(reassignment response) 프레임을 전송하여 새로운 AID 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는, 후술하는 "AID 재할당 요청/응답" 항목에서 설명한다.
전술한 경우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PAID가 목적에 맞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AP가 단말들에게 AID를 할당할 때, AID와 BSSID의 해싱을 통해 얻어지는 DL 프레임의 PAID 값(즉, 상기 수학식 3의 계산 결과)이,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와 같은 특정 프레임 유형을 위해서 지정된 PAID 값(예를 들어, 0)과 중복되지 않아야 하고, 또한, AP (즉, 연관된 AP) 또는 OBSS AP로 전송되는 UL 프레임의 PAID 값(즉, 상기 수학식 2의 계산 결과)과도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위와 같이 충돌 없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위의 3 가지 조건에 해당하는 AID는 개별 STA의 AID로서 할당하지 않고, 별도의 용도(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프레임)를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AP의 PAID 값은 특정 범위의 값에서 임의의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또한, AP의 PAID값은, AID 와 BSSID의 해싱을 통해 얻어지는 DL 프레임의 PAID 값은, AP 또는 OBSS AP로 전송되는 UL 프레임과 같이 특정 STA을 위해서 지정된 PAID 값과 동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상기 표 7의 예시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특정 유형의 프레임(예를 들어, 비콘 프레임, 프로브 응답 프레임 등)을 위해서 사용될 PAID 값을 미리 지정해 두고, 일반적인 프레임을 위한 PAID는 상기 특정 유형의 프레임을 위해서 미리 지정된 값으로 정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표 8은 이에 따른 예시를 나타낸다.
Condition | Partial AID |
STA로 보내짐 | (dec(BSSID[39:47])mod(2^9-1-k))+1+k |
Mesh STA로 보내짐 | (dec(BSSID[39:47])mod(2^9-1-k))+1+k |
AP와 연계된 STA에게 AP가 전송 또는 DLS 또는 TDLS STA이 직접 경로 에서 DLS 또는 TDLS STA에게 전송함 | (dec(AID[0:8]+dec(BSSID[44:47]XORBSSID[40:43])x2^5)mod2^9 mod X 는 X-modulo 연산을 지시하고, dec(A[b:c]) 는 b가 2^0에 의해 스케일되고(scaled) c가 2^(c-b)로 스케일된 십진 연산자(decimal operator)를 묘사함. |
특수 프레임 (예컨대, 비콘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 | 1...k |
Otherwise | 0 |
상기 표 8의 예시에서 비콘 프레임에 PAID 1번,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PAID 2번이 할당된 경우, AP는 PAID 0, 1, 2 값이 DL 프레임, UL 프레임에 사용되지 않는 AID를 STA들에게 할당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표 8의 예시에서 UL 프레임(즉, AP로 향하는 프레임)들의 PAID가 0, 1, 2 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수학식 4와 같이 PAID가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4는 상기 표 8의 예시에서 k=2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즉, AP BSSID의 40 번째 비트 위치부터 48 번째 비트 위치에 대한 9 비트를 10진수로 나타내고 (즉, dec([39:47])), 그 결과에 mod(29-1-2) 연산을 적용하여 0 내지 508 범위의 값을 얻고, 그 결과 값에 3을 더한 3 내지 511 범위 중에서 하나의 값이, UL 프레임의 PAID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제안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기 예시들에서 AP BSSID의 40 번째 비트 위치부터 48번째 비트 위치(즉, [39:47])의 9 비트를 이용하는 부분은, AP BSSID의 41 번째 비트 위치부터 48번째 비트 위치(즉, [40:47])의 8 비트와 이진값(binary) 1을 연결(concatenation)하여 얻어지는 값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진값 1이 연결되는 비트 위치는 상기 8 비트의 LSB(Least Significant Bit) 또는 MSB(Most Significant Bit)일 수 있다.
AID
재할당 요청/응답
도 15(a)는 AID 재할당 요청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15(b)는 AID 재할당 응답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5(a)를 참조하면, 카테고리 필드는 해당 프레임이 관련된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동작(action) 필드는 해당 프레임이 상기 카테고리 내에서 어떤 관리 동작을 위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유 코드(reason code)는 PAID 충돌(Partial AID Collision)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TA이 AP에게 AID 재할당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때, STA이 복수의 OBSS AP를 검출한 경우에는 STA은 자신이 검출한 모든 OBSS AP의 BSSID 에 대한 Partial BSSID 정보를 함께 전달한다. 이것은, AP가 해당 STA을 위한 AID를 다시 할당할 때, 모든 OBSS BSSID들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함이다.
OBSS Partial BSSID 리스트 필드는, OBSS BSSID 중 [40:47]의 8 비트가 포함될 수 있다.
AID 재할당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AP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도 15(b)에서 도시하는 프레임 포맷을 가지는 AID 재할당 응답 프레임을 STA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카테고리 필드는 해당 프레임이 관련된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동작(action) 필드는 해당 프레임이 상기 카테고리 내에서 어떤 관리 동작을 위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새로운 AID(New AID) 필드는 AP가 STA에게 새로 할당하는 AID를 포함한다. AP가 새로운 AID를 할당함에 있어서, AID 재할당 요청 프레임의 OBSS Partial BSSID 리스트를 통해 알려진 OBSS BSSID들과 새로 할당되는 AID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PAID 값이 서로 충돌되지 않도록, 새로운 AID가 할당되어야 한다.
AID 활성화 오프셋(Activation Offset) 필드는, 새로 할당되는 AID 값이 실제로 이용될 시점까지의 시간 오프셋을 나타낸다. 이러한 시간 오프셋의 단위는 비콘 인터벌(Beacon Interval), DTIM 비콘 인터벌, 또는 시간 유닛(TU)의 단위로 표현된다. TU는 마이크로초(㎲)의 단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24 ㎲ 로 정의될 수 있다.
듀티 사이클(Duty Cycle) 필드는, 새로 할당되는 AID와 AID가 속한 그룹이 가지는 듀티 사이클을 나타내며, 슬립 인터벌 또는 비활성화 듀레이션(Inactivation Duration)이 포함될 수 있다.
SU
프레임의
SIG
-B 필드에 대한 추가적인 제안
SU 프레임의 경우, 해당 프레임의 디코딩을 위한 모든 정보는 SIG-A 필드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SIG-B 필드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SU 프레임에서 SIG-B 필드를 전송하지 않는 방식으로 SU 프레임 포맷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SIG-B 필드를 제외하는 별도의 포맷을 정의하는 것이 프레임을 생성하는 측과 프레임을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측의 프로세싱 부담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므로, 기존과 같이 SIG-B 필드를 포함하도록 SU 프레임을 구성하되, 그 구성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도 있다. SIG-B 필드는 실질적인 제어 정보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므로,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을 낮추기 위한 목적으로 고정된 패턴(fixed pattern)의 시퀀스를 정의하고 이를 반복함으로써 SIG-B 필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6은 SIG-B 필드로 사용가능한 고정된 시퀀스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b), (c)는 각각 2MHz, 4MHZ, 8MHz/16MH/8+8MHz PPDU의 SIG-B 필드로 사용될 수 있는 고정된 시퀀스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16(a)에서 2MHz 대역폭의 PPDU의 경우에,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SIG-B 필드의 전체 비트길이는 26이고, 그 중에서 6 비트는 TAIL 비트로 할당된다. 따라서, 고정된 시퀀스의 길이는 20 비트(즉, B0 내지 B19)를 가질 수 있다. 도 16(a)의 시퀀스 패턴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b)에서 4MHz 대역폭의 PPDU의 경우에,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SIG-B 필드의 전체 비트길이는 27이고, 그 중에서 6 비트는 TAIL 비트로 할당된다. 따라서, 고정된 시퀀스의 길이는 21 비트(즉, B0 내지 B20)를 가질 수 있다. 도 16(b)의 시퀀스 패턴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c)에서 8MHz/16MH/8+8MHz 대역폭의 PPDU의 경우에,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SIG-B 필드의 전체 비트길이는 29이고, 그 중에서 6 비트는 TAIL 비트로 할당된다. 따라서, 고정된 시퀀스의 길이는 23 비트(즉, B0 내지 B22)를 가질 수 있다. 도 16(c)의 시퀀스 패턴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7은 도 16의 고정된 패턴이 PPDU로 전송되는 경우에, SIG-B 필드에서 반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의 2MHz PPDU의 예시에서 20 비트는 상기 도 16(a)의 고정된 시퀀스 패턴에 해당한다.
도 17의 4MHz PPDU의 예시에서 21 비트는 상기 도 16(b)의 고정된 시퀀스 패턴에 해당한다. 여기서, 4MHz PPDU에서는 SIG-B 필드(즉, 고정된 시퀀스 + TAIL)이 한번 더 반복(즉, 전체 2번 전송)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7의 8MHz PPDU의 예시에서 23 비트는 상기 도 16(c)의 고정된 시퀀스 패턴에 해당한다. 여기서, 8MHz PPDU에서는 SIG-B 필드(즉, 고정된 시퀀스 + TAIL)이 3번 더 반복(즉, 전체 4번 전송)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SIG-B 필드가 반복된 전체 길이를 소정의 길이로 맞추기 위해서 패딩 비트 1 비트가 추가될 수도 있다.
도 17의 16MHz PPDU의 예시에서 23 비트는 상기 도 16(c)의 고정된 시퀀스 패턴에 해당한다. 여기서, 16MHz PPDU에서는 SIG-B 필드(즉, 고정된 시퀀스 + TAIL)이 3번 더 반복(즉, 전체 4번 전송)되고 패딩 비트가 부가된 세트가 한 번 더 반복(즉, 전체 2번 전송)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프레임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1810에서 STA은 AP로 어드레스되는(addressed to AP) 프레임(즉, UL 프레임)에 포함되는 PAID는 상기 본 발명의 예시에서와 같이 AP의 BSSID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2(즉, (dec(BSSID[39:47])mod(29-1))+1)의 결과 값이 PAID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UL SU 프레임의 PAID는 0이 아닌 값(예를 들어, 1 내지 511 범위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UL SU 프레임은 sub-1GHz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프레임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단계 S1820에서 STA은 상기 단계 S1810에서 계산된 PAID 값을 포함하는 PAID 필드와 상기 표 3 등에서 제안하는 다양한 필드를 포함하는 SIG-A 필드를 구성하고, 그 외 다른 필드들을 더 포함하는 SU 프레임 포맷(예를 들어, SU PPDU 프레임 포맷)에 따라서 구성된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830에서, AP에서는 상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프레임의 SIG-A 필드의 PAID 필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AP는 PAID의 값이 상기 AP의 BSSID에 기초하여 계산된 것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단계 S1840에서, 만약 상기 단계 S1830에서 프레임의 PAID 필드 값이 자신의 BSSID에 기초하여 계산된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AP는 상기 PPDU 프레임의 PSDU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850에서 AP는 STA에게 전송할 프레임에 포함될 PAID 값을 계산할 수 있다. AP에 의해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PAID 값은, 상기 수학식 3에서와 같이, 상기 AP에 의해서 상기 STA에게 할당되는 AID 및 상기 AP의 BSSID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ec(AID[0:8]+dec(BSSID[44:47] XOR BSSID[40:43])×25)mod29).
여기서, 상기 STA에게 할당되는 AID 값은, 해당 AID 값을 이용하여 위와 같이 계산된 PAID 값이, 다음과 같이 계산되는 제 1 PAID와 동일하지도 않고, 제 2 PAID와 동일하지도 않도록 할당되어야 한다.
상기 제 1 PAID는 상기 AP의 BSSID의 48개의 비트 위치 중에서 40번째 비트위치부터 48번째 비트위치의 값을 10 진수로 변환한 값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계산된 값(즉, (dec(BSSID[39:47])mod(29-1))+1)일 수 있다. 상기 제 2 PAID는 OBSS의 BSSID의 48개의 비트 위치 중에서 40번째 비트위치부터 48번째 비트위치의 값을 10 진수로 변환한 값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계산된 값(즉, (dec(OBSS BSSID[39:47])mod(29-1))+1)일 수 있다.
단계 S1860에서 AP는 상기 단계 S1850에서 계산된 PAID 값을 포함하는 PAID 필드와 상기 표 3 등에서 제안하는 다양한 필드를 포함하는 SIG-A 필드를 구성하고, 그 외 다른 필드들을 더 포함하는 SU 프레임 포맷(예를 들어, SU PPDU 프레임 포맷)에 따라서 구성된 프레임을 상기 STA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81870에서 STA에서는 상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프레임의 SIG-A 필드의 PAID 필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STA는 PAID의 값이 상기 AP에 의해서 상기 STA에게 할당되는 AID 및 상기 AP의 BSSID에 기초하여 계산된 것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단계 S1880에서, 만약 상기 단계 S1870에서 프레임의 PAID 필드 값이 자신의 AID 및 상기 AP의 BSSID에 기초하여 계산된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3에 따라 계산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STA은 상기 PPDU 프레임의 PSDU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에서 예시하는 본 발명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특히, PAID 구성 방안)에 있어서,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AP(10)는 프로세서(11), 메모리(12), 송수신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STA(20)는 프로세서(21), 메모리(22), 송수신기(23)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3 및 23)는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IEEE 802 시스템에 따른 물리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 및 21)는 송수신기(13 및 21)와 연결되어 IEEE 802 시스템에 따른 물리 계층 및/또는 MAC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 및 21)는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AP 및 STA의 동작을 구현하는 모듈이 메모리(12 및 2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 및 21)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2 및 22)는 프로세서(11 및 21)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1 및 21)의 외부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1 및 21)와 공지의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AP 및 STA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10 : 액세스 포인트
11 : 프로세서
12 : 메모리
13 : 송수신기
20 : 스테이션
21 : 프로세서
22 : 메모리
23 : 송수신기
11 : 프로세서
12 : 메모리
13 : 송수신기
20 : 스테이션
21 : 프로세서
22 : 메모리
23 : 송수신기
Claims (14)
- 무선 통신 시스템의 스테이션(STA)에서 액세스 포인트(AP)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P의 BSSID(Basic Service Set ID)에 기초하여 부분 AID(PARTIAL_AID)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AID의 계산 결과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된 부분 AID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 AID는, 상기 AP의 BSSID의 48개의 비트 위치 중에서 40번째 비트위치부터 48번째 비트위치의 값을 10 진수로 변환한 값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계산되는, 프레임 전송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ID의 값에 대한 계산 결과는 1 내지 511 범위 내에서 하나의 값을 가지는, 프레임 전송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ID는 (dec(BSSID[39:47])mod(29-1))+1 에 의해서 계산되고,
dec(A)는 A를 10 진수로 변환한 값이고,
A[b:c]는 2진수 A의 첫 번째 비트가 bit0일때, 상기 A의 bit b부터 bit c까지이고,
mod는 모듈로(modulo) 연산인, 프레임 전송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ID 필드는 상기 프레임의 SIG-A 필드에 포함되는, 프레임 전송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단일사용자(SU) 프레임인, 프레임 전송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1GHz 이하(sub-1GHz) 동작 주파수에서 정의되는 프레임인, 프레임 전송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AP)에서 스테이션(STA)으로부터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부분 AID(PARTIAL_AID) 필드의 값이 상기 AP의 BSSID(Basic Service Set ID)에 기초하여 계산된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의 부분 AID 필드의 값이 상기 AP의 BSSID에 기초하여 계산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 AID는, 상기 AP의 BSSID의 48개의 비트 위치 중에서 40번째 비트위치부터 48번째 비트위치의 값을 10 진수로 변환한 값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계산되는, 프레임 수신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ID의 값에 대한 계산 결과는 1 내지 511 범위 내에서 하나의 값을 가지는, 프레임 수신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ID는 (dec(BSSID[39:47])mod(29-1))+1 에 의해서 계산되고,
dec(A)는 A를 10 진수로 변환한 값이고,
A[b:c]는 2진수 A의 첫 번째 비트가 bit0일때, 상기 A의 bit b부터 bit c까지이고,
mod는 모듈로(modulo) 연산인, 프레임 수신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ID 필드는 상기 프레임의 SIG-A 필드에 포함되는, 프레임 수신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단일사용자(SU) 프레임인, 프레임 수신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1GHz 이하(sub-1GHz) 동작 주파수에서 정의되는 프레임인, 프레임 수신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AP)로 프레임을 전송하는 스테이션(STA)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AP의 BSSID(Basic Service Set ID)에 기초하여 부분 AID(PARTIAL_AID)를 계산하고; 상기 부분 AID의 계산 결과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된 부분 AID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을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AP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부분 AID는, 상기 AP의 BSSID의 48개의 비트 위치 중에서 40번째 비트위치부터 48번째 비트위치의 값을 10 진수로 변환한 값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계산되는, 프레임 전송 STA 장치. - 무선 통신 시스템의 스테이션(STA)으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AP)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레임의 부분 AID(PARTIAL_AID) 필드의 값이 상기 AP의 BSSID(Basic Service Set ID)에 기초하여 계산된 것인지 결정하고; 상기 프레임의 부분 AID 필드의 값이 상기 AP의 BSSID에 기초하여 계산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부분 AID는, 상기 AP의 BSSID의 48개의 비트 위치 중에서 40번째 비트위치부터 48번째 비트위치의 값을 10 진수로 변환한 값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계산되는, 프레임 수신 AP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261637310P | 2012-04-24 | 2012-04-24 | |
US61/637,310 | 2012-04-24 | ||
US201261662871P | 2012-06-21 | 2012-06-21 | |
US61/662,871 | 2012-06-21 | ||
US201261666860P | 2012-06-30 | 2012-06-30 | |
US61/666,860 | 2012-06-30 | ||
US201261692686P | 2012-08-23 | 2012-08-23 | |
US61/692,686 | 2012-08-23 | ||
US201261698645P | 2012-09-09 | 2012-09-09 | |
US61/698,645 | 2012-09-09 | ||
US201261699868P | 2012-09-12 | 2012-09-12 | |
US61/699,868 | 2012-09-12 | ||
PCT/KR2013/003509 WO2013162280A1 (en) | 2012-04-24 | 2013-04-24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 including partial association identifier in wireless lan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5656A true KR20150005656A (ko) | 2015-01-14 |
KR101606808B1 KR101606808B1 (ko) | 2016-03-28 |
Family
ID=4948350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32952A KR101606808B1 (ko) | 2012-04-24 | 2013-04-24 | 무선랜 시스템에서 부분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KR1020167004215A KR101749117B1 (ko) | 2012-04-24 | 2013-04-24 | 무선랜 시스템에서 부분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KR1020147032951A KR101797499B1 (ko) | 2012-04-24 | 2013-04-24 | 무선랜 시스템에서 부분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4215A KR101749117B1 (ko) | 2012-04-24 | 2013-04-24 | 무선랜 시스템에서 부분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KR1020147032951A KR101797499B1 (ko) | 2012-04-24 | 2013-04-24 | 무선랜 시스템에서 부분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3) | US9585057B2 (ko) |
EP (2) | EP2842239B1 (ko) |
JP (2) | JP5866479B2 (ko) |
KR (3) | KR101606808B1 (ko) |
CN (2) | CN104335510B (ko) |
AU (1) | AU2013253159B2 (ko) |
CA (1) | CA2871362C (ko) |
MX (1) | MX338533B (ko) |
RU (1) | RU2590888C2 (ko) |
WO (2) | WO201316227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4966B1 (ko) * | 2012-06-28 | 2015-04-24 | 주식회사 케이티 |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재할당 방법 |
WO2014134942A1 (zh) * | 2013-03-06 | 2014-09-12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组播数据包传输方法及装置 |
US9936437B2 (en) * | 2013-08-12 | 2018-04-03 | Kt Corporation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WLAN system |
US10205573B2 (en) * | 2013-09-13 | 2019-02-12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OFDMA PS-poll transmission |
US9838940B2 (en) * | 2013-09-18 | 2017-12-05 | Qualcomm, Incorporated | Packet transmission deferral based on BSSID information |
US9763262B2 (en) * | 2013-11-01 | 2017-09-12 | Qualcomm Incorporated | Wireless communications deferral based on transmission opportunity |
CA2933598C (en) * | 2013-12-14 | 2019-08-20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data from wireless lan to plurality of stas |
US9755795B2 (en) * | 2013-12-18 | 2017-09-05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WLAN OFDMA design of subcarrier groups and frame format |
US9936502B2 (en) | 2013-12-18 | 2018-04-03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OFDMA resource management in WLAN |
CN105830361B (zh) * | 2013-12-20 | 2019-04-19 | Lg电子株式会社 | 用于在无线lan系统中收发包括部分关联标识符的帧的方法和装置 |
EP3512109B1 (en) | 2014-09-25 | 2021-03-03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
RU2665295C1 (ru) | 2014-10-20 | 2018-08-28 |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правки и приема сигнализации в беспроводной локальной сети |
US20160204915A1 (en) | 2015-01-14 | 2016-07-14 | Xiaogang Chen |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receiving signal fields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ocal-area network |
CN111031608B (zh) | 2015-02-02 | 2024-04-26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资源指示方法及装置 |
US11057253B2 (en) * | 2015-02-02 | 2021-07-06 | Lg Electronics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HE-SIG B |
US9998185B2 (en) * | 2015-03-27 | 2018-06-12 | Newracom, Inc. | Aggreg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user MIMO or OFDMA operation |
US20180132278A1 (en) * | 2015-04-28 | 2018-05-10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procedures for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and spatial reuse in sub-channeliz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
JP2018121093A (ja) | 2015-06-05 | 2018-08-02 | シャープ株式会社 | 無線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
WO2017022897A1 (ko) * | 2015-07-31 | 2017-02-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랜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N106453446A (zh) * | 2015-08-06 | 2017-02-22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一种物联网设备连接方法、装置、及系统 |
US9974023B2 (en) * | 2015-09-25 | 2018-05-15 | Intel Corporatio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 wakeup packet |
CA3001440A1 (en) * | 2015-10-16 | 2017-04-20 | Sony Corporation |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
EP3366065A1 (en) | 2015-10-23 | 2018-08-29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Methods for concurrent link setup and downlink data retrieval for high efficiency wlan |
CN114585090A (zh) | 2015-12-09 | 2022-06-03 | 韦勒斯标准与技术协会公司 | 使用多基本服务标识符集的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终端 |
CN113709077B (zh) * | 2016-02-29 | 2023-11-10 |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 发送装置、发送方法 |
KR102342150B1 (ko) | 2016-03-04 | 2021-12-23 |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 다른 베이직 서비스 세트와 중첩된 베이직 서비스세트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
US10045379B2 (en) * | 2016-04-01 | 2018-08-07 | Motorola Mobility Llc | Multi-radio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
KR20220122776A (ko) | 2016-04-02 | 2022-09-02 |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 중첩된 베이직 서비스 세트의 공간적 재사용 동작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
EP4432773A3 (en) * | 2016-04-02 | 2024-10-16 |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basic service s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of received frame |
US10063302B2 (en) * | 2016-04-15 | 2018-08-28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Short SSW frame format for SLS beamforming process between enabled, associated stations and method of preparing wireless communication |
JP6750985B2 (ja) * | 2016-04-15 | 2020-09-02 |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
CN106060942A (zh) * | 2016-05-30 | 2016-10-26 |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 无线局域网的通信方法、通信装置和接入点 |
WO2018047570A1 (ja) * | 2016-09-09 | 2018-03-15 | 日本電気株式会社 | 無線lanシステム、無線lan基地局、無線lan端末、通信方法 |
EP3310013B1 (en) * | 2016-10-13 | 2020-07-15 | Nokia Technologies Oy | Sharing resources in an unlicensed frequency band |
US10637549B2 (en) * | 2017-01-17 | 2020-04-28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systems for coordinating distributed MIMO communications |
US10849159B2 (en) | 2017-04-17 | 2020-11-24 | Qualcomm Incorporated | Trigger-based random access in a multiple BSSID network |
US10641887B1 (en) * | 2017-05-23 | 2020-05-05 | Nxp Usa, Inc. | Null data packet (NDP) ranging with unassociated stations |
US20190014538A1 (en) * | 2017-07-07 | 2019-01-10 | Qualcomm Incorporated | Broadcast twt indication in broadcast probe response and fils discovery frames to aid unassociated stas |
US11683678B2 (en) * | 2019-01-04 | 2023-06-20 | Apple Inc. | Discovery frames and group addressed frames transmission |
WO2020180007A1 (ko) * | 2019-03-07 | 2020-09-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복수의 ap를 이용한 신호 송신 |
CN112074003A (zh) * | 2019-06-11 | 2020-12-11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控制终端设备联网的方法、装置及控制设备 |
CN115715026B (zh) * | 2020-07-01 | 2023-09-01 | 华为技术有限公司 | 多链路设备的关联标识符aid分配方法及相关装置 |
CN115866799A (zh) | 2020-07-02 | 2023-03-28 | 华为技术有限公司 | 多链路设备的探测方法及通信装置 |
CN113993090B (zh) | 2020-07-27 | 2024-04-09 | 华为技术有限公司 | 适用于多链路的组播业务传输方法及装置 |
CN116017566B (zh) | 2020-08-07 | 2023-11-28 | 华为技术有限公司 | 适用于多链路的单播业务指示方法及相关装置 |
US20240022459A1 (en) * | 2022-07-13 | 2024-01-18 | Nxp Usa, Inc. | Non-long range preamble design for long range wireless packet and methods for processing the preamble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59898B1 (en) | 1998-05-05 | 2001-07-10 | Telxon Corporation | Multi-communication access point |
JP3708095B2 (ja) * | 2003-08-12 | 2005-10-19 | 株式会社東芝 |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
US7577438B2 (en) | 2005-04-25 | 2009-08-18 |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addressing and power savings in wireless systems |
US8600336B2 (en) | 2005-09-12 | 2013-12-03 | Qualcomm Incorporated | Scheduling with reverse direction gra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US20080144591A1 (en) * | 2006-12-18 | 2008-06-19 | Nokia Corporation |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providing FBMS with multiple BSSID support |
AU2010327466B2 (en) * | 2009-12-03 | 2014-08-21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frame in a wireless RAN system |
US8913550B2 (en) | 2010-02-16 | 2014-12-16 | Intel Corporation | Clustering management in mmWave wireless systems |
CN102844999B (zh) | 2010-03-15 | 2015-05-20 | Lg电子株式会社 | 在wlan系统中发送帧的方法和设备 |
US11026169B2 (en) * | 2010-11-09 | 2021-06-01 | Qualcomm Incorporated | Physical layer power save facility |
US9992738B2 (en) * | 2010-11-17 | 2018-06-05 | Qualcomm Incorporated | Physical layer power save facility with random offset |
-
2013
- 2013-04-24 RU RU2014146998/07A patent/RU2590888C2/ru active
- 2013-04-24 EP EP13780680.8A patent/EP2842239B1/en active Active
- 2013-04-24 JP JP2015508863A patent/JP586647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4-24 WO PCT/KR2013/003508 patent/WO201316227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4-24 AU AU2013253159A patent/AU2013253159B2/en active Active
- 2013-04-24 CA CA2871362A patent/CA2871362C/en active Active
- 2013-04-24 JP JP2015508864A patent/JP586648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4-24 US US14/397,686 patent/US9585057B2/en active Active
- 2013-04-24 KR KR1020147032952A patent/KR10160680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4-24 CN CN201380027059.3A patent/CN104335510B/zh active Active
- 2013-04-24 KR KR1020167004215A patent/KR10174911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4-24 EP EP13781357.2A patent/EP2842241B1/en active Active
- 2013-04-24 CN CN201380027062.5A patent/CN104335511B/zh active Active
- 2013-04-24 WO PCT/KR2013/003509 patent/WO201316228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4-24 MX MX2014012922A patent/MX338533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3-04-24 US US14/397,687 patent/US9585058B2/en active Active
- 2013-04-24 KR KR1020147032951A patent/KR10179749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1-09 US US15/401,491 patent/US9974003B2/en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IEEE 802.11-11/0039r0.* * |
Partial_Aid_value(2011.05.04).* *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6808B1 (ko) | 무선랜 시스템에서 부분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KR102378136B1 (ko) | 무선랜 시스템에서 트리거 프레임 수신 후 상향링크 전송 수행 방법 및 장치 | |
KR101672289B1 (ko) | 무선랜 시스템에서 청취 간격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 |
KR101651138B1 (ko) |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 |
KR101584554B1 (ko) | 무선랜 시스템에서 트래픽 지시 맵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1603116B1 (ko) | 무선랜 시스템에서 비콘 프레임의 선택적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20150013514A (ko) | 무선랜 시스템에서 피드백 트리거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KR20150063521A (ko) | 무선랜 시스템에서 중계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150035721A (ko) | 무선랜 시스템에서 널 데이터 패킷 프레임을 이용하는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 |
KR20150013465A (ko) | 무선랜 시스템에서 저전력 스캐닝 방법 및 장치 | |
KR20150013481A (ko) |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 |
KR20150000474A (ko) | 무선랜 시스템에서 비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KR20140130120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50003764A (ko) |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 |
KR20150105333A (ko) | 무선랜 시스템에서 개선된 스캐닝 방법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