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440A - Stretcher - Google Patents

Stretc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440A
KR20150005440A KR1020140072623A KR20140072623A KR20150005440A KR 20150005440 A KR20150005440 A KR 20150005440A KR 1020140072623 A KR1020140072623 A KR 1020140072623A KR 20140072623 A KR20140072623 A KR 20140072623A KR 20150005440 A KR20150005440 A KR 20150005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retcher
patient
main frame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6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to KR1020140072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5440A/en
Publication of KR2015000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4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03Stretchers with facilities for picking up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break-away type or using endless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3Stretchers foldable or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7Stretchers convertible into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5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auxiliary wheels, e.g. wheels not touching the ground in extended position
    • A61G1/0256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auxiliary wheels, e.g. wheels not touching the ground in extended position having wheels which support exclusively if stretcher is in low position, e.g. on the folded leg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etcher formed to carry a patient thereon to or from an ambulance. In particular, the shape of the stretch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patient so that the patient can be stably and conveniently transferred. Moreover, an assistant can easily deform the stretcher. To achieve the purposes, the stret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ck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back of a patient; a hip support unit contacting the hips of the patient; a thigh support unit contacting the thighs; and a calf support unit contacting the calves. The support unit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body parts of a patient are hinge-coupled with each other. The hip support unit is fixed to a main frame disposed in a length direction. A rear frame is hinge-coupled with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A front frame is hinge-coupled with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The stretcher can be transferred by means of a caster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rear frame and casters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front frame while the rear frame and front frame are made to stand.

Description

들것{Stretcher}Stretcher {Stretcher}

본 발명은 환자를 실고 구급차에 탑승 또는 하차할 수 있게 구성된 들것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자의 특성에 따라 들것의 형태를 변형시켜 안전하고 편안하게 환자를 이송하며, 또한 보조자가 들것의 형태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etcher capable of loading and unloading a patient and capable of loading or unloading in an ambulanc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etcher that changes the shape of a stretch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patient and transfers the patient safely and comfortably. It is configured to be deformable.

들것이란 환자나 부상자를 나르는 운반구로서, 환자가 들것에 실린 상태로 들것을 구급차에 밀어 넣어 환자를 탑승시킨다.A stretcher is a carrier for carrying a patient or wounded person. The patient is put on a stretcher and pushes the stretcher into an ambulance to board the patient.

종래의 들것은 구급대원이 들것의 전방과 후방에서 들어 올려 이동하는 구조로서, 들것에 실린 환자를 구급대원이 들고 이동함에 따라 환자가 불편하며 구급대원 또한 피로가 누적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를 통해 환자를 이송할 경우 들것의 길이가 너무 길어 엘리베이터에 진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Conventional stretcher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an ambulance is lifted and moved from the front and back of the stretcher and the patient is uncomfortable due to the movement of the patient carrying the stretcher on the stretcher and the fatigue of the ambulance is also accumulated. Especially, when the patient is transferred through the elevator, the length of the stretcher is too long to enter the elevator.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들것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3662호(공고일 2011.11.16)에 기술되어 있다.A stretcher developed to solve such a problem is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83662 (Published on November 16, 2011).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3662호(공고일 2011.11.16)에 기술된 들것은 접철식으로서, 환자의 등받이 프레임, 시트 프레임, 레그 프레임이 등받이 프레임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접철되는 구조이다. 즉, 등받이 프레임, 시트 프레임, 레그 프레임이 펼쳐진 침대 형태와 접철된 상태의 의자 형태로 변형된다.The stretcher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83662 (Published on November 16, 2011), which is a prior art document, is a folding type in which a backrest frame, a seat frame, and a leg frame of a patient are folded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inclination of a backrest frame. That is, the backrest frame, the seat frame, and the leg frame are deformed into a folded bed form and a folded chair form.

따라서 상기 선행문헌에 기술된 들것은 엘리베이터와 같이 좁은 공간으로 이동할 경우에 의자 형태로 변형하여 엘리베이터로 진입하고, 진출 후에는 침대 형태로 변형하여 환자를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Therefore, the stretcher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configured to be transformed into a chair form when it moves to a narrow space like an elevator and enter the elevator, and after being advanced into a bed form, the patient can be smoothly transferred.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들것은 침대 또는 의자 형태로만 변형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stretcher configured in this manner has a drawback that it can be deformed only in the form of a bed or a chair.

환자의 특성에 따라 유지하여야 하는 자세가 달라야 한다. 예로서 침대 형태의 들것에 실려 이송되어야 할 환자는 눕는 자세를 유지하여야 하지만, 종래의 들것은 조건에 따라 의자 형태로만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는 의자 형태로 변형된 들것에 의해 환자의 자세를 앉은 자세로 변형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척추 질환 또는 척추에 부상을 입은 환자의 경우 오히려 부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의자 및 침대형태로만 변형되는 들것의 경우 환자의 특성에 맞춰 들것의 형태 변형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 posture to be maintained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For example, a patient to be carried on a bed-type stretcher should maintain a lying posture, but since a conventional stretcher can be deformed only in a chair form according to conditions, it can be deformed in a narrow space such as an elevator by a stretcher- The patient's posture should be changed to a sitting posture. In such cases, patients suffering from spinal diseases or spinal injuries may suffer from worsening of injury.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tretcher which is deformed only in the form of a chair and a b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shape deformation of the stretch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3662호(공고일 2011.11.16)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83662 (Published on November 16, 2011)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이송되는 환자의 특성에 따라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들것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etcher capable of being deformed in various forms so as to maintain a posture helpful for a patient, have.

또한, 본 발명은 들것을 이송하는 보조자가 들것을 차량에 실거나 내릴 때에 어느 위치에서라도 편이하고 안전하게 실고 내릴 수 있게 구성된 들것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etcher designed to allow an assistant to carry a stretcher to shift and unload safely at any position when loading or unloading a stretcher on a vehic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은 환자의 등을 받혀주는 등 받이부와, 환자의 엉덩이에 접하는 엉덩이 받이부와, 허벅지에 접하는 허벅지 받이부와, 종아리에 접하는 종아리 받이부를 구비하며, 받이부들은 환자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게 배치되어 힌지 결합되고, 엉덩이 받이부는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고, 메인프레임의 후단에는 리어 프레임이 힌지 결합되며, 메인 프레임의 선단부에는 프런트 프레임이 힌지 결합되고, 리어 프레임과 프런트 프레임이 세워진 상태로 리어 프레임의 후단에 장착된 캐스터와 프런트 프레임의 후단에 장착된 캐스터들에 의해 이송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retcher comprising: a back support for supporting a back of a patient; a hip support for contacting a hip of the patient; a thigh support for contacting the thigh; and a calf support for contacting the calf The hips are fixed to a main frame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ar frame is hinged to a rear end of the main frame.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main frame. A caster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rear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frame is hinged and the rear frame and the front frame are erected, and casters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front fram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런트 프레임이 메인 프레임에 평행하게 접히고, 리어 프레임이 메인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프런트 프레임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장착된 캐스터들과 리어 프레임의 후단부에 장착된 캐스터가 지면에 접하여 들것이 접혀진 상태로 이동 가능하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frame is folded in parallel to the main frame and the rear frame is f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the casters mounted o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ront frame, The caster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caster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stretcher can be moved in a folded stat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 프레임의 선단 상면에 캐스터가 장착되고, 리어 프레임이 세워진 상태로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리어 프레임의 후단에 장착된 캐스터와 리어 프레임의 선단 상면에 장착된 캐스터가 지면에 접한 상태로 이송 가능하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ter is mount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rear frame, the caster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rear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frame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The mounted casters can be transport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허벅지 받이부와 종아리 받이부가 결합된 힌지에 받침 프레임이 힌지 결합되어 종아리 받이부의 저면에 위치하며, 메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힌지 결합된 부위에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링크가 힌지 결합되고, 링크의 단부와 받침 프레임이 힌지 결합되어 링크의 기울기에 의해 받침 프레임의 기울기가 변하면서 종아리 받이부와 허벅지 받이부의 기울기를 변형시킨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frame is hinged to the hinge coupled to the thigh receiving part and the calf receiving part to be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lf receiving part, and a tilt adjustment is performed on the hinged part of the main frame and the rear frame A possible link is hinged and the end of the link and the receiving frame are hinged together to change the slope of the receiving frame due to the tilt of the link to deform the tilt of the calf and thigh receiving par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에는 래치형 브래킷이 장착되고, 래치형 브래킷의 원호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골을 향해 이동하는 잠금레버가 장착되며, 잠금레버를 당겨 래치형 브래킷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종아리 받이부와 허벅지 받이부와 힌지 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기울기가 변형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is provided with a latch-type bracket, and a lock lever is mounted which moves toward the valley formed at intervals in the arc of the latch-type bracket, The tilt is deformed while turning around the point of hinge connection with the calf receiving portion and the thigh receiv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레버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에 의해 래치형 브래킷의 골에 삽입되어 잠금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lever is inserted and locked into the valley of the latch-type bracket by a spring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과 등 받이부의 저면에는 신축 가능한 쇼바의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 쇼바의 신축에 의해 등 받이부의 기울기가 변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a stretchable shoe are hin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frame and the back bottom, and the inclination of the back bottom is changed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ho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등 받이부에는 머리 받이부가 힌지 결합되며, 등 받이부의 저면에는 머리 받이부의 아래를 지나 들것의 선단으로 연장된 손잡이가 고정되며, 머리 받이부의 저면에는 지지대가 장착되고, 손잡이에 형성된 걸림턱들 중 어느 한 걸림턱에 지지대가 삽입되어 머리 받이부의 기울기를 조절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drest is hinged to the back support, a handle extended to the front end of the stretcher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back support through the head support, And a supporting base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holding jaws formed on the handle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head receiv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힌지 결합된 부위는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힌지 몸체와 리어 프레임에 장착된 힌지 몸체가 힌지 결합되며, 어느 한 쪽의 힌지 몸체에는 리어 프레임이 세워지거나 펼쳐지는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홈들이 형성되고, 다른 한 쪽의 힌지 몸체에는 홈에 삽입되는 잠금해제레버가 장착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nge body mounted on a main frame and a hinge body mounted on a rear frame are hinged to a hinge-coupled portion of a main frame and a rear frame, Grooves corresponding to positions where the frame is raised or unfolded, respectively, and a lock release lever inserted into the groove is mounted on the other hinge bod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해제레버는 리어 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된 풋 레버와 연결되어 연동하며 풋 레버의 선회에 의해 잠금해제레버가 홈에서 이탈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release lever is connected to the foot lever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rame and is interlocked, and the release lever is released from the groove by turning of the foot lev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에는 신축 가능한 쇼바의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 리어 프레임이 세워지거나 접힘에 따라 쇼바가 신축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a telescopic shoe are hinged to the main frame and the rear frame, and the frame is stretched or contracted as the rear frame is fold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런트 프레임의 일측에는 걸쇠가 고정되고, 메인 프레임에는 걸쇠와 체결되거나 해체되도록 선회하는 후크가 장착되며, 후크는 복수의 레버들에 의해 선회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tch is fixed to one side of the front frame, and a hook is pivotally mounted on the main frame to be engaged or disengaged with the latch, and the hook is pivoted by the plurality of lever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레버는 3개로서, 들것의 선단, 중간, 후단에 위치하며, 3개의 레버는 링크 및 와이어로 연결되어 연동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levers are three, located at the front, middle, and rear ends of the stretcher, and the three levers are linked and linked by links and wire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런트 프레임의 타측에는 완충부재가 장착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ffer member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fram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 프레임은 종아리 받이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부위에는 상향으로 손잡이가 장착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rame extends outwardly of the calf receiving portion, and the handle is mounted upward at the extended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종아리 받이부의 저면에는 회전 걸쇠가 장착되며, 종아리 받이부를 받침 프레임의 상향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회전 걸쇠를 회전시켜 손잡이에 걸쳐진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liper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lf receiving portion, and the calf latch is rotated on the handle by tilting the calf receiving portion upwardly of the receiving fram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의 길이 중간에는 고정브래킷이 장착되고, 손잡이의 단부에 장착된 선회브래킷이 고정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며, 고정브래킷과 선회브래킷 중 어느 한 쪽에는 레버에 의해 이동하는 고정핀이 장착되고, 다른 쪽에는 잠금홈이 형성되어 손잡이가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세워졌을 때에 고정핀이 잠금홈에 삽입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bracket is mounted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main frame, a turning bracket mounted on an end of the handle is hinged to the fixing bracket, and one of the fixing bracket and the turning bracket is provided with a lever And the lock pin is inserted into the lock groove when the handle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등 받이부, 엉덩이 받이부, 허벅지 받이부, 종아리 받이부는 받침플레이트와 받침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된 시트를 포함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support, the buttock support, the thigh support, and the calf support include a backing plate and a seat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ing plat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머리 받이부는 받침플레이트와 받침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된 시트를 포함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backing plate and a seat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ing plat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을 연결하는 받침부는 메인 프레임에 탈장착되는 제1클립과, 리어 프레임에 탈장착되는 제2클립과, 제2클립이 양단에 형성된 받침대와, 받침대와 제1클립을 연결하는 쇼바 및 받침대에 장착된 캐스터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ortion connecting the main frame and the rear frame includes a first clip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frame, a second clip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ar frame, a pedestal , A shoe connecting the pedestal and the first clip, and a castor mounted on the pedestal.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여 환자의 특성에 따라 환자를 편안하고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또한 환자를 이송하는 보조자 또한 환자를 쉽게 이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도 환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변형 가능하여 환자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retc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so that the patient can be comfortably and safely transpor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and the assistant for transporting the patient can also easily transport the patient . Therefore, even in a narrow space, the patient can be deformed so as to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so that the patient can be safely transpor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은 환자의 머리, 등, 허벅지 및 종아리를 받쳐주는 받이부의 기울기가 변형 가능하여 환자의 신체적 특징 및 환자의 질환 특성에 따라 환자의 자세를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tretc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lope of the receiving portion supporting the head, back, thigh, and calf of the patient can be deformed, so that the patient's posture can be comfortably maintain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and the diseas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의 기본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들것을 하지거상 형태로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들것을 이송하는 형태로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들것을 체어 형태로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들것을 하지거상 형태로 이송하기 위해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특수한 환자의 이송을 위해 본 발명의 들것을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머리 받이부의 기울기 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등 받이부의 기울기 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허벅지 받이부와 종아리 받이부의 기울기 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리어 프레임의 잠금 및 잠금해제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의 저면도이고,
도 11b는 프런트 프레임의 잠금 및 잠금해제 시에 레버들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c는 프런트 프레임의 잠금 및 해제 시에 사용되는 걸쇠와 후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1d는 프런트 프레임의 제4캐스터를 틸팅하는 가이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2a 및 도 12b는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손잡이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종아리 받이부의 기울기 조절을 위한 회전 걸쇠와 손잡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이 계단을 내려갈 수 있게 추가 장착되는 받침부 및 그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basic form of a stretc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tretc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formed in the shape of an undergarment,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tretc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formed,
4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tret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ified into a chair form.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tretc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dified to transport the stretcher in the form of an observer,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dification of the stret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transfer of a special patient,
7A and 7B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a tilt adjustment relationship of the head receiving portion,
8A and 8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tilt adjustment relationship of the back support unit.
9A and 9B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a tilt adjus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high receiving portion and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A to 10C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locking and unlocking relationship of the rear frame,
11A is a bottom view of a stretc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B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levers when locking and unlocking the front frame.
FIG. 11C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 between a latch and a hook used when locking and releasing the front frame,
11D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guide for tilting the fourth caster of the front frame,
12A and 12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n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handle mounted on the main frame,
13A and 13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coupling relation between a rotary hook and a handle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calf receiving portion,
FIGS. 14A to 14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pedestal portion and a working relationship of the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a stretc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의 기본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들것을 하지거상 형태로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들것을 이송하는 형태로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들것을 체어 형태로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들것을 하지거상 형태로 이송하기 위해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특수한 환자의 이송을 위해 본 발명의 들것을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머리 받이부의 기울기 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등 받이부의 기울기 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또한, 도 9a 및 도 9b는 허벅지 받이부와 종아리 받이부의 기울기 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리어 프레임의 잠금 및 잠금해제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의 저면도이고, 도 11b는 프런트 프레임의 잠금 및 잠금해제 시에 레버들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11c는 프런트 프레임의 잠금 및 해제 시에 사용되는 걸쇠와 후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1d는 프런트 프레임의 제4캐스터를 틸팅하는 가이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2a 및 도 12b는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손잡이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종아리 받이부의 기울기 조절을 위한 회전 걸쇠와 손잡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이 계단을 내려갈 수 있게 추가 장착되는 받침부 및 그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basic form of a stretc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tretc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dified into an upper frame, FIG. 3 is a view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tret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ified into a chair shape. 6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dification of the stret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transferring a specific patient, and Figs.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 sid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tret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A and 8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tilt adjustment relationship of the head rest portion. FIG. FIGS. 9A and 9B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a tilt adjus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high receiving portion and the calf receiving portion, FIGS. 10A to 10C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a locking and unlocking relationship of the rear frame, And FIG. 11B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levers when locking and unlocking the front frame. 11C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 between a hook and a hook used for locking and releasing the front frame, FIG. 11D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guide for tilting the fourth caster of the front frame, FIGS. 12A and 12B are views Figs. 13A and 13B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handle mounted on the frame. Fig. 13A and Fig. 13B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a coupling relation between the rotary hook and the handle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calf receiving portion. Figs. FIG. 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pedestal portion additionally mounted so as to be able to descend the stairs, and an operation thereof.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것(100)은 환자가 누웠을 때에 환자의 등을 받혀주는 등 받이부(101), 환자의 엉덩이에 접하는 엉덩이 받이부(102), 허벅지에 접하는 허벅지 받이부(103), 종아리에 접하는 종아리 받이부(104)로 구획되며, 각 받이부(101,102,103,104)는 시트(101S,102S,103S,104S)와 받침플레이트(101P,102P,103P,104P)를 포함한다. 즉 강성을 갖는 받침플레이트(101P,102P,103P,104P)에 시트(101S,102S,103S,104S)가 고정된 상태로 환자가 누웠을 때에 쿠션감을 느끼며, 또한 각 받이부(101,102,103,104)의 받침플레이트(101P,102P,103P,104P)들은 인접한 받침플레이트들과 힌지 결합되며, 엉덩이 받이부(102)의 받침플레이트(102P)는 차후에 설명하는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된 엉덩이 받이부(102)의 받침플레이트(102P)를 기준으로 등 받이부(101), 허벅지 받이부(103),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가 변형 가능하며, 이들 3개의 받이부(101,103,104)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환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들것의 자세를 변형시킨다.1 to 6, the stretcher 100 includes a back support 101 for supporting a patient's back when the user is lying down, a hip support 102 for contacting the patient's butt, a thigh support for contacting the thigh, 102P, 103P, 104P and a calf receiving portion 104 contacting the calf, and each receiving portion 101, 102, 103, 104 includes sheets 101S, 102S, 103S, 104S and a receiving plate 101P, . The seat 101S, 102S, 103S and 104S are fixed to the supporting plates 101P, 102P, 103P and 104P having rigidity, and the cushioning feeling is felt when the patient lies down. Further, the supporting plates 101, 102, 103, 101P, 102P, 103P, and 104P are hinged to the adjacent support plates, and the support plate 102P of the buttock receiving portion 102 is fixed to the main frame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nclination of the back support 101, the thigh support 103 and the calf support 104 can be deform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102P of the hip support 102 fixed to the main frame 110 And adjusts the inclination of these three receiving portions 101, 103 and 104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stretcher so that the patient can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아래에서는 들것의 자세변형에 따른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the structure of the stretcher according to the posture deformation is explained in detail.

들것(100)의 프레임은 엉덩이 받이부(102)가 상면에 고정된 메인 프레임(110)과, 메인 프레임(110)의 후단부에 힌지 결합된 리어 프레임(112)과, 메인 프레임(110)의 선단부 하면에 힌지결합된 프런트 프레임(111)을 포함한다.The frame of the stretcher 100 includes a main frame 110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ress receiving portion 102, a rear frame 112 hing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110, And a front frame 111 hin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end.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프레임(112)이 메인 프레임(110)과 일직선상으로 위치하고 프런트 프레임(111)이 메인 프레임(110)과 평행하게 접혀졌을 경우 4개의 받이부(101,102,103,104) 또한 메인 프레임(110)과 리어 프레임(112)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이 경우 환자가 바로 누울 수 있는 상태로서, 들것(100)을 구급차량에 실었을 때의 기본 형태를 갖는다.1, when the rear frame 112 is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main frame 110 and the front frame 111 is folded in parallel with the main frame 110, four receiving portions 101, 102, 103, And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main frame 110 and the rear frame 112. In this case, the patient has a basic form when the stretcher 100 is loaded on the first-aid vehicle.

이와 같이 들것(100)이 펼쳐진 상태에서 지면과 접하는 캐스터는 메인 프레임(110)의 선단에 장착된 제1캐스터(181)와, 메인 프레임(110)의 후단에 장착된 제2캐스터(182)와, 리어 프레임(112)의 후단에 장착된 제3캐스터(183)가 지면에 접하여 들것이 미끄러져 이동 가능하다.The caster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e state where the stretcher 100 is unfolded includes a first caster 181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110 and a second caster 182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110 And the third caster 183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rear frame 112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stretcher is slidable and movable.

이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벅지 받이부(103)와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를 변형하여 하지거상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2, the inclination of the thigh receiving portion 103 and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can be deformed and deformed in the shape of a trapezoi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엉덩이 받이부(102)의 받침플레이트(102P)와 허벅지 받이부(103)의 받침플레이트(103P)는 힌지 결합되어 기울기 변형이 가능하고, 기울기가 변형된 허벅지 받이부(103)의 받침플레이트(103P)를 기준으로 종아리 받이부(104)의 받침플레이트(104P) 또한 기울기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환자의 상반신을 등 받이부(101)와 엉덩이 받이부(102)에 눕힌 상태로 허벅지 받이부(103)와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에 따라 하지를 들어 올린 상태로 이송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plate 102P of the hip receiving portion 102 and the receiving plate 103P of the thigh receiving portion 103 are hinged to each other and can be tilted, and the slanted thigh receiving portion 103, The receiving plate 104P of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can als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late 103P of the receiving portion 104B.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can be transferr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leg is lifted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of the thigh receiving portion 103 and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while lying on the back receiving portion 101 and the hip receiving portion 102. [

여기에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아리 받이부(104)의 받침플레이트(104P)는 받침 프레임(113)에 안착되고, 메인 프레임(110)의 후단에 힌지결합된 링크(120)가 받침 프레임(113)에 힌지 결합되며, 받침 프레임(113)의 선단은 종아리 받이부(104)의 받침플레이트(104P)와 허벅지 받이부(103)의 받침플레이트(103P)가 힌지결합된 힌지축에 장착된 힌지 브래킷(113B)에 고정된다. 따라서 종아리 받이부(104)는 받침 프레임(113)의 기울기에 따라 기울기가 변하며 또한 별도로 회전 가능한 받침플레이트(104P)에 의해 기울기가 변하게 된다.9A and 9B, the receiving plate 104P of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is mounted on the receiving frame 113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110 by a hinge- The front end of the receiving frame 113 is hinged to the receiving frame 104P of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and the receiving plate 103P of the thigh receiving portion 103 are hinged to the receiving frame 103, And is fixed to the hinge bracket 113B mounted on the shaft. Thus,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is inclined by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ing frame 113 and is inclined by the separately rotatable receiving plate 104P.

여기에서 리어 프레임(112), 링크(120), 받침 프레임(113) 및 허벅지 받이부(103)는 평행사변형꼴을 유지하며, 링크(12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허벅지 받이부(103)의 기울기와 받침 프레임(113)에 안착된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가 변하며, 더불어 받침 프레임(113)의 기울기와 별개로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가 변하게 된다.Here, the rear frame 112, the link 120, the supporting frame 113, and the thigh receiving portion 103 maintain a parallelogram shape, and the inclination of the thigh receiving portion 103, And the inclination of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seated on the supporting frame 113 are changed and the inclination of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is changed separately from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ing frame 113. [

그리고 링크(120)에는 래치형 브래킷(121)이 장착되고, 래치형 브래킷(121)의 원호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골에 삽입되는 잠금레버(122)가 장착되며, 잠금레버(122)는 골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스프링(123)의 탄성력을 받는다. 따라서 잠금레버(122)를 당겨 래치형 브래킷(121)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받침 프레임(113)의 기울기는 링크(120)와 힌지 결합된 지점과 허벅지 받이부(103)와 힌지 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기울기가 변형된다. 적정한 기울기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잠금레버(122)를 놓으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3)에 의해 잠금레버(122)가 래치형 브래킷(121)의 골이 삽입되어 링크(120)의 선회가 잠금되며,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도 잠금된다.The link 120 is equipped with a latch lever 122 which is mounted on the crest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arc of the latch bracket 121 and is mounted on the link 120,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23 is received. Accordingly, in a state where the lock lever 122 is pulled to unlock the latch bracket 121,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frame 113 is transmitted to the point where the hinge is hinged to the link 120 and the point where the hinge is hinged to the thigh receiving portion 103 And the inclination is changed. When a proper inclination is set, when the user releases the lock lever 122, the lock lever 122 is inserted into the slot of the latch bracket 121 by the spring 123 which provides an elastic force, And the inclination of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is also locked.

하지거상 형태로 변형된 들것(100)은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이송 중인 환자가 하지거상으로 이송되어야 할 경우 유용한 변형 형태이다.The stretcher 100, which is deformed in the form of an abacus, is a useful variant when the patient being transported in a vehicle is to be transported to the abdominal cavity.

한편, 구급차에 탑재된 들것(100)의 기본 형태에서 들것(100)을 구급차에서 하차하여 이송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형태로 변형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retcher 100 is removed from the ambulance in the basic form of the stretcher 100 mounted on an ambulance, it is deformed into a transfer form as shown in FIG.

환자 이송형태는 메인 프레임(110)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프런트 프레임(111)을 하향으로 선회시켜 세워지게 위치하고, 리어 프레임(112) 또한 세워지게 선회한다. 이때 지면에 접하는 캐스터는 프런트 프레임(111)의 단부에 장착된 제4캐스터(184)와 리어 프레임(112)의 단부에 장착된 제5캐스터(185)이다.The patient transfer mode is positioned so that the front frame 111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main frame 110 is pivoted downward, and the rear frame 112 is also pivoted. The caster in contact with the ground at this time is a fourth caster 184 mounted on the end of the front frame 111 and a fifth caster 185 mounted on the end of the rear frame 112.

여기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프레임(111)은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지만, 리어 프레임(112)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들것(100)의 무게와 환자의 무게를 고려한 것이며, 또한 환자 이송 시에 발생하는 관성에 따른 들것(100)의 전복을 방지하도록 리어 프레임(112)이 경사지게 위치한다. 한편, 프런트 프레임(111)의 잠금 및 해제 그리고 리어 프레임(112)의 잠금 및 해제에 관해서는 들것(100)의 변형 가능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 이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 as shown in Fig. 3, the front frame 111 is erect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but the rear frame 112 is formed obliquely.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stretcher 100 and the weight of the patient, and also the rear frame 112 is inclined to prevent overturning of the stretcher 100 according to the inertia that occurs when the patient is transported. On the other hand,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front frame 111 and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rear frame 112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after describing the deformable form of the stretcher 100.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들것(100)을 체어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환자 이송형태에서 프런트 프레임(111)을 메인 프레임(110)과 평행하게 접고, 또한 하지거상 형태의 허벅지 받이부(103)와 종아리 받이부(104)의 형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110)을 비스듬히 세우면서 리어 프레임(112)을 지면과 평행하도록 눕힘으로써, 4개의 받이부(101,102,103,104)는 체어 형태로 변형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stretch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a chair type. The front frame 111 is folded in parallel with the main frame 110 while the shape of the thigh receiving portion 103 and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are maintained in the shape of an inverted elevation, 110, 102, 103, 104 are deformed into a chair shape by rearranging the rear frame 112 so as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while obliquely erecting the four receiving portions 101, 102, 103,

이와 같이 체어 형태로 변형된 상태에서 지면과 접하는 캐스터는 리어 프레임(112)의 단부에 장착된 제5캐스터(185)와 반대쪽 단부에 장착된 제6캐스터(186)로서, 제6캐스터(186)는 체어 형태로 변형되었을 때에만 지면과 접하도록 리어 프레임(112)의 선단 상면(들것의 기본 형태를 기준하여 위치를 지정함)에 장착된다.The caster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e state of being deformed in the form of a chair is a sixth caster 186 mounted on the end opposite to the fifth caster 185 mounted on the end of the rear frame 112, (Positioned based on the basic shape of the stretcher) of the rear frame 112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only when deformed in the form of a chair.

앞서 설명한 하지거상 형태는 차량에 실린 상태에서 환자의 하지를 몸보다 높게 올릴 수 있는 형태이며, 이와 같은 상태로 이송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The above-described limb type is a form in which the limb of the patient can be raised higher than the limb in the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vehicle, and it is difficult to transfer the limb to such a state.

따라서 하지거상 형태로 환자를 이송해야 할 경우, 앞서 설명한 하지거상 형태로 들것(100)을 유지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프런트 프레임(111)과 리어 프레임(112)을 세워 이송 가능한 형태를 유지한다.5, when the patient is to be transferred in the form of a lower limb, in a state in which the stretcher 100 is held in the form of the above-described limb, the front frame 111 and the rear frame (112) to maintain the transferable shape.

또한 하지에 출혈이 심하거나 또는 심장질환 등에 의해 하지를 상체보다 높게 유지해야 하는 특수 환자 이송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것(100)을 체어 형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리어 프레임(112)이 세워지고 메인 프레임(110)이 경사지도록 들것(100)의 위치를 변형한다. 즉 메인 프레임(110)의 선단에 장착된 제1캐스터(181)와 리어 프레임(112)의 후단에 장착된 제5캐스터(185)가 지면에 접하도록 유지한다.6, in the case of the special patient transfer in which the legs are bleeding or the legs should be kept higher than the upper body due to a heart disease or the like, the rear frame 112 Is raised and deforms the position of the stretcher 100 so that the main frame 110 is inclined. That is, the first caster 181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110 and the fifth caster 185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rear frame 112 are held in contact with the ground.

이 경우 환자는 등 받이부(101)에 체중이 실린 상태로 메인 프레임(110)의 기울기로 상체가 유지되고, 하지는 리어 프레임(112)이 세워진 상태에서 링크(120)가 선회하여 세워진 높이만큼의 종아리 받이부(104)에 안착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질환 부위 또는 부상 상태에 따라 등 받이부(101)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등 받이부(101)와 메인 프레임(110)의 사이에 쇼바(131)가 장착되어 등 받이부(101)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따라 등 받이부(101)의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다. 등 받이부(101)의 기울기는 앞서 설명한 들것(100)의 여러 변형 형태에서 별도로 기울기의 제어가 가능하며, 등 받이부(101)의 기울기 제어를 위한 쇼바(131)의 구체적인 설명은 차후에 설명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patient holds the upper body with the inclination of the main frame 110 in a state where the weight is loaded on the back receiving portion 101, and the upper body is held by the height of the raised and raised height of the link 120 in the state where the rear frame 112 is raised And is seated in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As shown in FIG. 6, the inclination of the back support 101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eased part or the floating state of the patient. The slope of the back support 101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by mounting the slider 131 between the back support 101 and the main frame 110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back support 101 have. The inclination of the back support part 101 can be controlled separately in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stretcher 100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ack support part 131 for controlling the inclination of the back support part 101 will be described later hav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들것(100)은 기본 형태, 하지거상 형태, 환자 이송형태, 하지거상 이송형태, 체어 형태, 특수 환자 이송형태와 같이 6가지의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각 형태에서 등 받이부(101), 허벅지 받이부(103) 및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를 별개로 제어 가능하다.As such, the stretch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ransformed into six types such as basic shape, lower limb shape, patient transfer shape, lower limb transfer type, chair type, and special patient transfer type. The inclina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01, the thigh receiving portion 103 and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can be separately controlled.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들것의 조립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following explains the assembly relationship of the stretcher described above.

앞서 일부 설명한 바와 같이, 4개의 받이부(101,102,103,104)들은 상호 힌지 결합되며, 엉덩이 받이부(102)는 메인 프레임(110)이 고정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의 후단에 리어 프레임(112)이 힌지 결합되고, 메인 프레임(110)의 선단부에 프런트 프레임(111)의 선단이 힌지 결합되며, 허벅지 받이부(103)와 받침 프레임(113) 및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 조절을 위한 링크(120), 잠금레버(122), 래치형 브래킷(121), 스프링(123)의 구성은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어 생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our receiving portions 101, 102, 103, and 104 are hinged to each other, and the hips 102 are fixed to the main frame 110. The rear frame 112 is hing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110 and the front end of the front frame 111 is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110. The thigh receiving portion 103 and the receiving frame 113 The lock lever 122, the latch-type bracket 121, and the spring 123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calf rest portion 104 and the calf rest portion 104 are explained in detail in the foregoing.

한편, 도 6에 도시된 특수 환자 이송형태로 변형된 들것(100)에 있어서, 환자의 특수성에 따라 등 받이부(101)의 기울기가 변형되도록 메인 프레임(110)과 등 받이부(101)의 받침플레이트(101P)의 사이에 쇼바(131)가 장착된다. 쇼바(131)의 하단은 메인 프레임(110)에 힌지 결합되고, 쇼바(131)의 피스톤 끝단은 등 받이부(101)의 받침플레이트(101P)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쇼바(131)의 스트로크 제어는 피스톤 끝단에 장착된 레버(132)를 이용하여 제어한다. 따라서 쇼바(131)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함으로써, 등 받이부(101)의 기울기를 조절한다.6, the main frame 110 and the back receiving portion 101 are formed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back receiving portion 101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A shoveler 131 is mounted between the support plates 101P. The lower end of the shovel 131 is hinged to the main frame 110 and the piston end of the shovel 131 is hinged to the support plate 101P of the back support 101. [ The stroke control of the shock absorber 131 is controlled by using a lever 132 mounted on the piston end. Therefore, the inclination of the back support 101 is adjusted by lengthening or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shovel 131.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 받이부(101)에는 환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 받이부(105)가 부가적으로 형성된다. 머리 받이부(105) 또한 시트(105S)와 받침플레이트(105P)를 포함하며, 머리 받이부(105)의 받침플레이트(105P)는 등 받이부(101)의 받침플레이트(101P)에 힌지 결합된다.7A and 7B, a head rest portion 105 for supporting a head of a patient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back receiving portion 101. As shown in FIG. The head receiving portion 105 also includes the seat 105S and the receiving plate 105P and the receiving plate 105P of the head receiving portion 105 is hinged to the receiving plate 101P of the back receiving portion 101 .

이와 같이 구성된 머리 받이부(105)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머리 받이부(105)의 받침플레이트(105P) 저면에는 힌지 결합된 지지대(141)가 장착되고 받침플레이트(105P)에 고정된 손잡이(142)에는 지지대(141)가 끼워지는 걸림턱(143)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대(141)가 끼워지는 걸림턱(143)의 위치에 따라 머리 받이부(105)의 기울기는 변경된다.In order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head receiving unit 105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hinge-coupled support base 141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5P of the head receiving unit 105 and a handle 142 are formed with latching protrusions 143 to which the support rods 141 are inserted. Therefore, the inclination of the head receiving portion 105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olding jaw 143 at which the support table 141 is fitted.

한편, 들것(100)을 구급차에 실었을 때, 메인 프레임(110)의 선단은 구급차 안쪽에 위치하고 리어 프레임(112)이 위치한 쪽은 구급차의 후방 도어 쪽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retcher 100 is loaded on the ambulance,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110 is positioned inside the ambulance and the rear frame 112 is positioned toward the rear door of the ambulance.

따라서 들것(100)이 구급차로 진입할 때에 프런트 프레임(111)이 구급차의 범퍼와 접하게 되는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프런트 프레임(111)의 측면 즉 구급차의 범퍼와 접하는 선측에 완충부재(111C)가 장착된다.Therefore, when the stretcher 100 enters the ambulance, the front frame 11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umper of the ambulance. In order to prevent breakage, the buffer member 111C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ront frame 111, Respectively.

한편, 들것(100)을 구급차에서 하차시킬 때에 보조자가 구급차의 도어를 열고 차량 밖에서 리어 프레임(112)의 후단에 위치한 손잡이(112L)를 당겨 차량 밖으로 인출한다. 그럼으로써 들것(100)의 후단부 즉 리어 프레임(112)이 먼저 차량 밖으로 인출되는데, 이때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자는 리어 프레임(112)의 저면에 장착된 풋 레버(151) 또는 리어 프레임(112)과 메인 프레임(110)이 힌지 결합된 부위에 위한 잠금해제레버(152)를 선회시킨다. 풋 레버(151)는 잠금해제레버(152)와 연결된 상태로 풋 레버(151)가 하향으로 내려가면 잠금해제레버(152) 또한 연동하여 선회한다. 잠금해제레버(152)는 리어 프레임(112)의 힌지 몸체(153)에 장착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힌지 몸체(153)에 형성된 2개의 홈(153H)들 중 어느 한 홈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2개의 홈(153H) 중 한 개의 홈은 메인 프레임(110)과 리어 프레임(112)이 일렬로 배치되었을 때에 잠금해제레버(152)가 삽입되는 홈이고, 다른 한 홈은 리어 프레임(112)이 세워졌을 때에 잠금해제레버(152)가 삽입되는 홈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해제레버(152)는 풋 레버(151)와 연결된 상태로 연동하며, 잠금해제레버(152)에는 코일스프링(154)이 연결되어 잠금해제레버(152)가 홈(153H)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따라서 코일스프링(154)의 탄성력은 풋 레버(151)가 상향으로 선회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r lifts the stretcher 100 from the ambulance, the assistant opens the door of the ambulance and pulls the handle 112L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rear frame 112 out of the vehicle. 10A to 10C, the assistant is operated by the foot lever 151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rame 112, and the rear end of the foot lever 151, Or the lock releasing lever 152 for the portion where the rear frame 112 and the main frame 110 are hinged together. When the foot lever 151 is moved downwar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unlocking lever 152, the unlocking lever 152 also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oot lever 151. The unlocking lever 152 is mounted on the hinge body 153 of the rear frame 112 and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two grooves 153H formed in the hinge body 153 of the main frame 110. [ Concretely, one groove of the two grooves 153H is a groove into which the lock release lever 152 is inserted when the main frame 110 and the rear frame 112 are arranged in a line, and the other groove is a rear frame 112 Is a groove into which the lock release lever 152 is inserted. The lock release lever 152 is linked with the foot lever 151 and the coil spring 154 is connected to the lock release lever 152 so that the release lever 152 is engaged with the groove 153H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154 provides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foot lever 151 pivots upward.

이와 같이 구성된 들것(100)을 구급차 밖으로 빼낼 때에 도어 밖에 위치한 보조자가 들것(100)을 끌어당겨 빼낸다. 이때 리어 프레임(112)이 범퍼 외측에 위치하였을 때에 풋 레버(151)를 내리거나 또는 잠금해제레버(152)를 선회시켜 잠금을 해제한다. 그러면 자중에 의해 리어 프레임(112)이 하향으로 선회하면서 지면에 세워진다. 이때 리어 프레임(112)의 갑작스런 선회속도를 줄일 수 있게 리어 프레임(112)과 메인 프레임(110)은 전체 길이가 신축되는 쇼바(155)에 힌지 결합된다.When the stretcher 10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taken out of the ambulance, an assistant located outside the door pulls the stretcher 100 out. At this time, when the rear frame 112 is positioned outside the bumper, the foot lever 151 is lowered or the lock release lever 152 is pivoted to release the lock. Then, the rear frame 112 is pivot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is placed on the ground. At this time, the rear frame 112 and the main frame 110 are hinged to the shovel 155 whose entire length is expanded and contracted so as to reduce the sudden turning speed of the rear frame 112.

한편, 리어 프레임(112)이 세워진 상태에서 들것(100)을 차량 밖으로 인출하는 중에 프런트 프레임(111)이 범퍼 외측에 위치할 경우, 프런트 프레임(111)을 잠금해제하여 프런트 프레임(111)이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ront frame 111 is located outside the bumper while the rear frame 112 is lifted out of the vehicle while the stretcher 100 is being taken out of the vehicle, the front frame 111 is unlocked to lift the front frame 111 .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프레임(111)의 잠금해제수단은 보조자가 들것(100)의 어느 위치에서라도 손쉽게 프런트 프레임(111)의 잠금해체가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즉 들것(100)의 선단, 중간, 후단에 각각 잠금해제수단이 위치하며, 3개의 잠금해제수단은 레버(160A,160B,160C) 형태로 상호 링크(161) 또는 와이어(162)로 연결되어 연동된다.11A to 11C, the unlocking means of the front frame 111 is configured so that the assistant can easily unlock the front frame 111 at any position of the stretcher 100. [ The unlocking means are located at the front, middle, and rear ends of the stretcher 100, and the three unlocking means are connected by links 161 or wires 162 in the form of levers 160A, 160B, do.

따라서 보조자가 들것(100)의 전방, 측부 및 후방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근처에 위치한 프런트 프레임(111)의 잠금해제수단인 레버(160A,160B,160C)로 잠금을 해체함으로써, 프런트 프레임(111)이 하향으로 선회하여 세워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급차에서 들것(100)을 내려질 때에는 프런트 프레임(111)이 구급차의 범퍼 후방에 위치하였을 때에 프런트 프레임(111)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프런트 프레임(111)이 세워져 프런트 프레임(111)의 후단에 장착된 제4캐스터(184)가 리어 프레임(112)에 장착된 제5캐스터(185)와 함께 지면에 접하여 이송 가능하게 되고, 잠금해제된 상태에서 들것(100)을 구급차에 밀어 넣을 때에는 세워진 프런트 프레임(111)이 구급차의 범퍼와 접하면서 프런트 프레임(111)이 접혀진다.Therefore, even if the assistant is located at the front, the side, and the rear of the stretcher 100, the front frame 111 is unlocked by the levers 160A, 160B, and 160C which are the unlocking means of the front frame 111 positioned nearby, So that it can be erected. Therefore, when the stretcher 100 is lowered from the ambulance, when the front frame 111 is positioned behind the bumper of the ambulance, the front frame 111 is unlocked so that the front frame 111 is raised, The fourth caster 184 mounted on the rear frame 112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with the fifth caster 185 mounted on the rear frame 112. When the stretcher 100 is pushed into the ambulance in the unlocked state, The front frame 111 is folded while the front frame 111 is in contact with the bumper of the ambulance.

구체적으로 프런트 프레임(111)의 선측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완충부재(111C)가 위치하고 반대편에는 걸쇠(111H)가 고정된다. 따라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프레임(111)이 메인 프레임(110)과 평행하게 접혔을 때에 걸쇠(111H)는 메인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후크(163)에 체결된다. 후크(163)는 힌지 결합된 상태로 앞서 설명한 3개의 잠금해제수단인 레버(160A,160B,160C)들과 연동될 수 있게 링크(161) 및 와이어(162)로 연결된다. 따라서 3개의 레버(160A,160B,160C) 중 어느 한 레버를 선회시키더라도 후크(163)가 걸쇠(111H)에서 잠금해제되어 프런트 프레임(111)이 세워지는 방향으로 선회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레버(160A,160B,160C)들을 연동시키기 위해 링크(161) 및 와이어(162)로 연결하는 구성은 여러 형태로 변경 가능한 일반적인 기술적 수준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pecifically, the buffer member 111C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ront frame 111 as described above, and the latch 111H is fixed on the opposite side. Therefore, when the front frame 111 is folded in parallel with the main frame 110, the latch 111H is fastened to the hook 163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frame 110, as shown in FIG. 11C. The hook 163 is connected to the link 161 and the wire 162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levers 160A, 160B and 160C which are the three unlocking means described above in the hinged state. Therefore, even if any one of the three levers 160A, 160B, and 160C is turned, the hook 163 is unlocked from the latch 111H, thereby turn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frame 111 is raised. Here, the structure in which the link 161 and the wire 16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order to link the plurality of levers 160A, 160B, and 160C is a general technical level that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0)의 저면에는 가이드(110G)가 형성되며, 프런트 프레임(111)이 접혔을 때에 프런트 프레임(111)의 단부에 장착된 제4캐스터(184)가 가이드(110G)와 간섭된 후 가이드(110G)에 의해 제4캐스터(184)가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틸팅된다. 따라서 프런트 프레임(111)의 걸쇠(111H)가 메인 프레임(110)의 후크(163)에 체결되었을 때에 제4캐스터(184)가 가이드(110G)에 의해 틸팅되며, 들것(100)의 기본 형태에서 제4캐스터(184)는 지면과 접하지 않게 틸팅된 상태 즉 메인 프레임(110)과 수평으로 마주한다.11D, a guide 110G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frame 110. When the front frame 111 is folded, a fourth caster 184 (see FIG. 11D) mounted on an end of the front frame 111 Is interfered with the guide 110G and then is tilted so that the fourth caster 184 is positioned horizontally by the guide 110G. The fourth caster 184 is tilted by the guide 110G when the latch 111H of the front frame 111 is fastened to the hook 163 of the main frame 110, The fourth caster 184 is tilted so as not to touch the ground surface, that is, horizontally facing the main frame 110.

또한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 중간에는 들것(100)에 실린 환자 또는 보조자가 들것(100)을 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170)가 상향으로 장착되는데, 손잡이(170)는 환자가 들것(100)에 실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바깥으로 접히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의 양단은 메인 프레임(110)에 장착된 힌지의 선회브래킷(171)에 고정되며, 선회브래킷(171)에는 레버(171L)의 이동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정핀(171P)이 장착된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된 힌지의 고정브래킷(172)에는 손잡이(170)가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로 선회하여 위치하였을 때에 고정핀(171P)이 삽입되는 잠금홈(172H)이 형성된다. 그리고 선회브래킷(171)의 내부에는 고정핀(171P)을 잠금홈(172H) 쪽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이 내장된다. 따라서 레버(171L)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고정핀(171P)이 잠금홈(172H)에서 이탈되도록 한 후에 손잡이(170)를 메인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선회한다. 그러면 손잡이(170)가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에서 하향으로 선회하게 되어 환자를 들것(100)에 용이하게 실고 내릴 수 있다. 또한 손잡이(170)를 선회시켜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고정핀(171P)이 잠금홈(172H)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다.A handle 170 is mounted upward so that a patient or an assistant in the stretcher 100 can push and move the stretcher 100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main frame 110, And folded outward so that it can be lifted or lowered. 12A and 12B, both ends of the handle are fixed to the swing bracket 171 of the hinge mounted on the main frame 110, and the swing bracket 171 is fixed to the swing bracket 171 by the movement of the lever 171L And a fixing pin 171P that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mounted. A locking groove 172H is formed in the fixing bracket 172 of the hinge fixed to the main frame 110 to insert the fixing pin 171P when the knob 170 is pivotally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10 do. Inside the orbiting bracket 171, a coil spring for pressing the fixing pin 171P toward the lock groove 172H is incorporated. The lever 171L is moved backward so that the fixing pin 171P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172H and then the knob 170 is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110. [ Then, the handle 170 is pivoted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10, so that the patient can be easily lifted and lowered onto the stretcher 100. Also, the handle 170 is pivoted to be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10, and the fixing pin 171P is inserted into the lock groove 172H to fix the position.

한편,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아리 받이부(104)를 받쳐주는 받침 프레임(113)은 종아리 받이부(104)의 후단쪽으로 연장되며, 받침 프레임(113)의 상향으로 손잡이(113L)가 고정된다. 그리고 종아리 받이부(104)의 받침플레이트(104P) 저면에는 회전 걸쇠(104H)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13A and 13B, the support frame 113 for supporting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extends toward the rear end of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and is supported by the handle (not shown) 113L are fixed. A rotating latch 104H is rotatably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104P of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아리 받이부(104)와 받침 프레임(113)은 같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지만 각각 별도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게 선회한다. 따라서 받침 프레임(113)은 링크(120)에 의해 기울기가 조절되고, 종아리 받이부(104)를 받침 프레임(113)의 기울기보다 더 큰 기울기를 갖도록 회전 걸쇠(104H)를 회전시켜 받침 프레임(113)에 장착된 손잡이(113L) 위에 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를 받침 프레임(113)보다 더 큰 기울기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유는 링크(120)에 의해 종아리 받이부(104)와 허벅지 받이부(103)가 연동하여 기울기가 설정되지만, 이에 따른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를 환자의 특성에 따라 조절하기 위함이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calf receiving unit 104 and the support frame 113 are pivoted about the same hinge axis but are pivoted so as to have separate slopes. The support frame 113 is tilted by the link 120 and the rotary hook 104H is rotated so that the calf support portion 104 has a slope larger than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frame 113, On the handle 113L mounted on the handle 113L. Therefore, the inclination of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can be maintained at a larger slope than the supporting frame 113. [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link 120 sets the tilt of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and the thigh receiving portion 103 by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and adjusts the inclination of the calf receiving portion 104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It is for this reas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은 앞서 설명한 체어형태에서 계단을 내려갈 수 있도록 충격을 완충하면서 들것(100)을 지지하는 받침부(190)가 장착된다.Meanwhile, the stretc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upport portion 190 for supporting the stretcher 100 while buffering the shock so as to descend the stairs in the above-described chair type.

도 14a에 있어서, 받침부(190)는 들것(100)에 탈장착 가능하며, 체어형태로 변형된 들것(100)에 받침부(190)가 장착된 상태로 계단을 내려간다.In Fig. 14A, the receiving portion 19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tretcher 100, and descends in a state where the receiving portion 190 is mounted on the stretcher 100 deformed in the form of a chair.

받침부(190)는 메인 프레임(110)의 저면에 형성된 제1축(197a)에 장착되는 제1클립(191)과, 리어 프레임(112)에 장착되는 'U'형태의 받침대(195)와, 받침대(195)의 양단에 장착되며 리어 프레임(112)에 형성된 제2축(197b)에 장착되는 제2클립(192)과, 받침대(195)와 제1클립(191)을 연결하는 쇼바(193) 및 받침대(195)에 장착된 제7캐스터(18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받침부(190)의 제1클립(191)을 도 14b 및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0)의 제1축(197a)에 장착하고 제2클립(192)을 제2축(197b)에 장착한다.The receiving unit 190 includes a first clip 191 mounted on a first shaft 197a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frame 110 and a U shaped shelf 195 mounted on the rear frame 112 A second clip 192 mounted on both ends of the pedestal 195 and mounted on a second shaft 197b formed on the rear frame 112 and a second clip 192 mounted on both ends of the pedestal 195 and connected to the pedestal 195 and the first clip 191 193 and a seventh caster 187 mounted on the pedestal 195. 14b and 14c, the first clip 191 of the receiving unit 19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first shaft 197a of the main frame 110 and the second clip 192 is mounted on the first shaft 197a. And mounted on the two-axis shaft 197b.

이와 같이 받침부(190)를 장착한 상태에서 체어형태로 변형된 들것(100)을 계단에서 서서히 밀게 되면, 들것(100)의 제5캐스터(185)가 계단의 모서리를 지나 아래로 내려갈 때에 받침부(190)의 제7캐스터(187)가 계단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고 들것(100)이 계단을 내려감에 따라 쇼바(193)는 수축되면서 제7캐스터(187)가 들것(100)을 받쳐주게 된다.When the fifth caster 185 of the stretcher 100 descends down the edge of the stairs, when the stretcher 100 deformed in the form of a chair in the state where the receiving unit 190 is mounted is gradually pushed from the step, The seventh caster 187 of the part 19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 and the shock absorber 193 is contracted as the strut 100 is lowered so that the seventh caster 187 supports the stretcher 100 do.

이 상태에서 들것(100)을 더 전진시키면 제7캐스터(187) 즉 받침부(190) 또한 계단의 모서리를 지나게 되고, 결국 제5캐스터(185)와 제7캐스터(187)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복 작동에 따라 들것은 계단은 순차적으로 내려간다.
When the stretcher 100 is further advanced in this state, the seventh caster 187 or the receiving portion 190 also passes the edge of the step. As a result, the fifth caster 185 and the seventh caster 187 are on the same plane . As a result of this repetition, the stairs descend sequentially.

100 : 들것
101 : 등 받이부
102 : 엉덩이 받이부
103 : 허벅지 받이부
104 : 종아리 받이부
105 : 머리 받이부
110 : 메인 프레임
111 : 프런트 프레임
112 : 리어 프레임
113 : 받침 프레임
120 : 링크
121 : 래치형 브래킷
122 : 잠금레버
131 : 쇼바
141 : 지지대
143 : 걸림턱
151 : 풋 레버
160A, 160B, 160C : 레버
170 : 손잡이
181~187 : 캐스터
190 : 받침부
191, 192 : 클립
195 : 받침대
100: Stretcher
101:
102: hip section
103: Thigh support
104: calves
105: head rest part
110: main frame
111: Front frame
112: rear frame
113: Support frame
120: Link
121: Latch type bracket
122: Lock lever
131: Shoba
141: Support
143: hanging jaw
151: Foot Lever
160A, 160B, 160C: Lever
170: Handle
181 ~ 187: Casters
190:
191, 192: Clip
195: Stand

Claims (2)

환자의 등을 받혀주는 등 받이부(101)와, 환자의 엉덩이에 접하는 엉덩이 받이부(102)와, 허벅지에 접하는 허벅지 받이부(103)와, 종아리에 접하는 종아리 받이부(104)를 구비하며, 받이부(101,102,103,104)들은 환자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게 배치되어 힌지 결합되고,
엉덩이 받이부(102)는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되고, 메인 프레임(110)의 후단에는 리어 프레임(112)이 힌지 결합되며, 메인 프레임(110)의 선단부에는 프런트 프레임(111)이 힌지 결합되고, 리어 프레임(112)과 프런트 프레임(111)이 세워진 상태로 리어 프레임(112)의 후단에 장착된 캐스터(185)와 프런트 프레임(111)의 후단에 장착된 캐스터(184)들에 의해 이송 가능하되,
프런트 프레임(111)이 메인 프레임(110)에 평행하게 접히고, 리어 프레임(112)이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프런트 프레임(111)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장착된 캐스터(181, 182)들과 리어 프레임(112)의 후단부에 장착된 캐스터(183)가 지면에 접하여 들것이 접혀진 상태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A back support 101 for supporting the patient's back, a hip support 102 for contacting the patient's hip, a thigh support 103 for contacting the thigh, and a calf support 104 for contacting the calf , Receivers (101, 102, 103, 104) are hinged and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body part of the patient,
The hips 102 are fixed to the main frame 110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ar frame 112 is hing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110.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110, A caster 185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rear frame 112 in a state where the rear frame 112 and the front frame 111 are erected and a caster 184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front frame 111 , ≪ / RTI >
The front frame 111 is folded in parallel to the main frame 110 and the rear frame 112 is f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10. In this state, (181, 182) and a caster (183)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rear frame (112)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stretcher is movable in a fold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리어 프레임(112)의 선단 상면에 캐스터(186)가 장착되고, 리어 프레임(112)이 세워진 상태로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리어 프레임(112)의 후단에 장착된 캐스터(185)와 리어 프레임(112)의 선단 상면에 장착된 캐스터(186)가 지면에 접한 상태로 이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ster 185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rear frame 112 in a state in which the caster 186 is mount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rear frame 112 and the rear frame 112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nd the caster (186) mount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carrier (112) is transportable in contact with the ground.
KR1020140072623A 2014-06-16 2014-06-16 Stretcher KR201500054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623A KR20150005440A (en) 2014-06-16 2014-06-16 Stretc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623A KR20150005440A (en) 2014-06-16 2014-06-16 Stretch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801A Division KR101413422B1 (en) 2013-07-03 2013-07-03 Stretc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440A true KR20150005440A (en) 2015-01-14

Family

ID=5247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623A KR20150005440A (en) 2014-06-16 2014-06-16 Stretc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544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0480B2 (en) bed
US8950776B2 (en) Wheelchair and bed
JP2009515560A (en) Patient movement system with associated frame and lift cart
IES80505B2 (en) A bed
JP2014520604A (en) Patient-friendly chair, frame and lifting garment
JP4776736B1 (en) Nursing wheelchair
JP5317111B2 (en) Human body gripping tool and transfer support device using the same
JP2016193100A (en) Support machine for standing-up and sitting-down, and walking in standing position
KR101413422B1 (en) Stretcher
CN113101152A (en) Fall-proof, fall-proof, sitting and standing dual-purpose walking-aid vehicle
US11491061B2 (en) Transfer device
US20100200030A1 (en) Mobility assist device and method for self-transfer between bed and wheelchair
JP5531344B2 (en) Transfer equipment
KR20150005440A (en) Stretcher
JP6317146B2 (en) Transfer support device
JP2008104813A5 (en)
JP2008104813A (en) Chair for nursing care
JP5067806B2 (en) Reclining wheelchair
JP6087405B1 (en) Moving car
JP5142693B2 (en) Transfer assist device
JP2017225553A (en) Transfer vehicle
CZ2015801A3 (en) A robotic mobile and modifiable bed with verticalization
KR101205094B1 (en) Medicare supporter for lower body handicapped person
JP2001104410A (en) Transferring device
WO2016035111A1 (en) Human trans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