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874A - 테이퍼진 캐치 요소를 구비한 물품 분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테이퍼진 캐치 요소를 구비한 물품 분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874A
KR20150004874A KR20147032682A KR20147032682A KR20150004874A KR 20150004874 A KR20150004874 A KR 20150004874A KR 20147032682 A KR20147032682 A KR 20147032682A KR 20147032682 A KR20147032682 A KR 20147032682A KR 20150004874 A KR20150004874 A KR 20150004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eck
packaging container
dispenser
catch element
lateral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이. 자첼
아론 엘. 베이츠
갈렙 에스. 로프틴
Original Assignee
미드웨스트바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드웨스트바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미드웨스트바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0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8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 A47F1/087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the container having approximately horizontal tracks of the serpentine type

Landscapes

  • Carton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물품 분배 시스템은, 후방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대향된 전방 단부를 갖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전방 단부와 상기 후방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 데크; 상기 제1 지지 데크에 근접하여 연결되고, 전방 가장자리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가장자리는 최전방 단부로 테이퍼져 있는, 캐치 요소; 및 상기 제1 지지 데크 아래에 위치되고, 물품 전시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지지 데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테이퍼진 캐치 요소를 구비한 물품 분배 시스템{PRODUCT DISPENSING SYSTEM WITH TAPERED CATCH ELEMENT}
본 출원은 2009년 11월 23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제61/263,767호(만료됨)의 출원인, 2010년 5월 11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제12/777,444호(미국특허 제7,922,437호)의 계속출원인, 2011년 1월 6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제12/985,658호(계류 중)의 일부-계속 출원인, 2012년 4월 23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제13/453,538호의 우선권을 청구하며, 상기 출원들의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편입된다.
본 출원은 포장 용기로부터 물품들을 분배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품들을 분배하기 위해 포장 용기들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서(dispenser)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다수의 개별 물품 유닛들을 카톤 또는 박스와 같은 포장 용기 내에 수용하는 것에 의해 물품들이 대량으로 소매점들에 출하된다. 예를 들면, 캔에 든 식품들은 24개의 개별 캔들을 수용하는 박스 형태로 소매점에 출하될 수 있다. 그 후, 소매점은 포장 용기로부터 개별 물품 유닛들을 제거하고 이들 물품들을 고객들에게 내놓을 의무가 있다.
기존의 포장-출하-해체-진열 모델에 대한 대안이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로프틴 등의 미국특허 제7,922,437호는 포장 용기 내에 포장된 물품들을 분배하고 전시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을 개시한다. 특히, 이 시스템은 지지 구조체, 물품 전시 영역 및 개방 수단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소매점의 선반 상에 위치되고, 다수의 물품 유닛을 포함하는 포장 용기를 프레임의 지지 구조체 상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물품이 간단하게 놓여질 수 있다. 포장 용기가 지지 구조체 상에 위치될 때, 프레임의 개방 수단은, 물품이 중력하에서 포장 용기로부터 프레임의 물품 전시 영역으로 하방향으로 구르는 방식으로 포장 용기를 개방시킨다.
또 다른 예로서, 겔라디 등에 의해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3/032,734호는 포장 용기가 디스펜서 상에 장착될 때 이 포장 용기를 맞물어 개방시키고, 그 후 분배되는 물품과 개방 포장 용기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포장 용기를 안내하는 캐치 요소를 갖는 개방 수단을 이용하는 물품 분배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포장 용기로부터 물품들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유효한 연구와 개발을 계속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장 용기로부터 물품들을 용이하게 분배할 수 있는 물품 분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물품 분배 시스템은 후방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대향된 전방 단부를 갖는 디스펜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전방 단부와 상기 후방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 데크(support deck); 상기 제1 지지 데크에 근접하여 연결된 캐치 요소(catch element)로서, 상기 캐치 요소는 후방 단부 및 상기 캐치 요소의 상기 후방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대향된 최전방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캐치 요소의 후방 단부는 제1 측방향 폭을 가지고, 상기 최전방 단부는 제2 측방향 폭을 가지며, 상기 제2 측방향 폭은 상기 제1 측방향 폭보다 작은, 캐치 요소; 및 상기 제1 지지 데크 아래에 위치되고, 물품 전시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지지 데크를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물품 분배 시스템은 후방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대향된 전방 단부를 갖는 디스펜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전방 단부와 상기 후방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 데크; 상기 제1 지지 데크에 근접하여 연결되고, 전방 가장자리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가장자리는 최전방 단부로 테이퍼져 있는, 캐치 요소; 및 상기 제1 지지 데크 아래에 위치되고, 물품 전시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지지 데크를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물품 분배 시스템은 후방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대향된 전방 단부를 갖는 디스펜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전방 단부와 상기 후방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지지 데크 로서, 상기 지지 데크는 상부 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 면 아래에 채널(channel)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은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지지 테크; 상기 유입구에 근접하여 디스펜서 프레임에 연결되는 캐치 요소; 및 상기 지지 데크 상에 위치되며, 그의 일부가 상기 캐치 요소와 맞물리는 포장 용기를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물품 분배 시스템은 후방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대향된 전방 단부를 갖는 디스펜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전방 단부와 상기 후방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상부 지지 데크로서, 상부 면을 갖고 상기 상부 면 아래에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은 유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는 디스펜서 프레임의 후방 단부를 향하여 개구되는, 상부 지지 데크; 상기 상부 지지 데크 아래에 위치되는 하부 지지 데크로서, 상기 디스펜서 프레임은 물품이 상부 지지 데크로부터 하부 지지 데크로 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개구 크기를 형성하는 하부 지지 데크; 상기 채널의 유입구에 근접하여 상기 디스펜서 프레임에 연결된 캐치 요소; 및 취약부를 형성하고, 상기 캐치 요소가 상기 취약부를 맞물도록 상기 상부 지지 데크 상에 위치되는 포장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캐치 요소는 취약부에 구멍을 뚫어 분리시켜 상기 포장 용기에 개구부를 형성시킨다.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은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포장 용기로부터 물품들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1) 후방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대향된 전방 단부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레임은, 상부 면을 갖고 상기 전방 단부와 상기 후방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상부 지지 데크 및 상기 상부 지지 데크 아래에 위치되며, 물품 전시 영역을 형성하는 하부 지지 데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제1 개구부를 형성하며, 캐치 요소는 상기 프레임에 되는, 단계; (2) 취약부를 형성하고, 복수의 물품을 초기에 수용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3) 상기 포장 용기를 상기 상부 지지 데크를 따라 상기 전방 단부로부터 상기 후방 단부로 억압하여, 상기 캐치 요소가 상기 취약부를 맞물고, 제2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액세스 패널을 상기 포장 용기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분리된 액세스 패널은 상부 면 아래로 상기 후방 단부를 향하는, 단계; 및 (4) 복수의 물품 중 하나 이상의 물품이 상기 포장 용기로부터 상기 물품 전시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개구부를 상기 제1 개구부와 정렬시키고, 상기 물품이 상기 물품 전시 영역으로 이동할 때 상기 물품이 상기 분리된 액세스 패널과 상호작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물품 분배 시스템의 다른 관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첨부하는 도면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품 분배 시스템의 하나의 관점을 도시하는 정면 및 측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물품 분배 시스템의 포장 용기를 도시하는 저면 및 측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포장 용기를 도시하는 저면 및 측면 사시도로서, 천공부들을 형성하기 위해 적용된 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b의 포장 용기를 도시하는 측면 및 저면 사시도로서, 개방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a의 포장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포장 용기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물품 분배 시스템의 디스펜서의 측면 확대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5의 디스펜서의 캐치 요소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캐치 요소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측면 확대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일부를 도시하는 상세한 측면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디스펜서의 측면 확대 단면도로서, 부분적으로 장착된 제1 구성에서의 포장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디스펜서의 측면 확대 단면도로서, 완전하게 장착된 제2 구성에서의 포장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디스펜서의 측면 확대 단면도로서, 물품을 분배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관점의 물품 분배 시스템(10)은 디스펜서(12)와 포장 용기(container)(14)를 포함한다. 포장 용기(14)는 다수 유닛의 물품(16)을 수용할 수 있다. 포장 용기(14)는 디스펜서(12)를 따라 대체로 수평으로 포장 용기(14)를 억압하는 것에 의해 디스펜서(1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포장 용기(14)가 디스펜서(12)를 따라 억압될 때, 디스펜서(12)가 포장 용기(14)를 맞물어 개방시킴으로써, 디스펜서(12)를 통한 포장 용기(14)로부터의 물품(16)들의 이동에 포장 용기(14)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물품(16)들이 포장 용기(14)로부터 디스펜서(12)로 배출될 수 있다.
포장 용기(14)는 물품(16)들을 수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디스펜서(12)와 유익하게 상호작용하는 임의의 포장 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장 용기(14)는 판지 카톤 또는 골판지 박스일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포장 용기(14)는 물품(16)(도 9 및 도 10 참조)들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30)을 형성하는 6개의 벽(18, 20, 22, 24, 26, 28)을 갖는 대체로 직선형 포장 용기일 수 있다. 대향 벽(18, 20)들은 포장 용기(14)의 전방 벽과 후방 벽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대향 벽(22, 24)들은 포장 용기(14)의 제1 측벽(예를 들어, 좌측 벽)과 제2 측벽(예를 들어, 우측 벽)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대향 벽(26, 28)들은 포장 용기(14)의 베이스 벽과 상부 벽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제1 취약부(weakening feature)(34)는 포장 용기(14)의 베이스 벽(26)과 좌측 벽(22) 사이의 가장자리(52)로부터 포장 용기(14)의 베이스 벽(26)과 우측 벽(24) 사이의 가장자리(56)를 향하여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취약부(34)는 베이스 벽(26)과 후방 벽(20) 사이의 가장자리(44)에 근접하여 베이스 벽(26)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취약부(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벽(26)의 일부가 포장 용기(14)의 잔여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제1 구현에 있어서, 제1 취약부(34)은 천공부들의 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취약부(34)는 표준 천공부들의 열, 미세 천공부들의 열 또는 지퍼형 절개부들의 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현에 있어서, 제1 취약부(34)는 포장 용기(14)에 새김눈선(scoring) 처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3 구현에 있어서, 제1 취약부(34)는 포장 용기(14)를 크리싱(creasing) 처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취약부(50, 54)를 형성하기에 유용한 다른 기술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제2 취약부(50)는 제1 취약부(34)로부터 포장 용기(14)의 전방 벽(18)을 향하여 대체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취약부(50)는 베이스 벽(26)과 좌측 벽(22) 사이의 가장자리(52)에 근접하여 베이스 벽(26)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취약부(54)는 제1 취약부(34)로부터 포장 용기(14)의 전방 벽(18)을 향하여 대체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또한 제2 취약부(50)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취약부(54)는 베이스 벽(26)과 우측 벽(24) 사이의 가장자리(56)에 근접하여 베이스 벽(26)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취약부(50, 54)의 길이방향 길이는 포장 용기(14) 내에 수용된 물품(16)들의 크기(예를 들어, 직경)에 의해 좌우된다. 일 예에서와 같이, 제2 및 제3 취약부(50, 54)는 가장자리(52)의 길이의 적어도 5%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와 같이, 제2 및 제3 취약부(50, 54)는 가장자리(52)의 길이의 적어도 10%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와 같이, 제2 및 제3 취약부(50, 54)는 가장자리(52)의 길이의 적어도 20%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와 같이, 제2 및 제3 취약부(50, 54)는 가장자리(52)의 길이의 적어도 30%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취약부(50, 5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벽(26)의 일부가 포장 용기(14)의 잔여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제1 구현에 있어서, 제2 및 제3 취약부(50, 54)는 천공부들의 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및 제3 취약부(50, 54)는 표준 천공부들의 열, 미세 천공부들의 열 또는 지퍼형 절개부들의 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현에 있어서, 제2 및 제3 취약부(50, 54)는 포장 용기(14)에 새김눈선 처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3 구현에 있어서, 제2 및 제3 취약부(50, 54)는 포장 용기(14)를 크리싱 처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취약부(50, 54)를 형성하기에 유용한 다른 기술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제1 취약부(34)에서의 베이스 벽(26)에 적용된 힘(F)(도 2b 참조)은 상기 취약부의 길이를 따라 베이스 벽(26)을 분리할 수 있으며, 그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패널(access panel)(58)을 형성하도록 제2 및 제3 취약부(50, 54)를 따라 포장 용기(14)로부터 베이스 벽(26)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분리된다. 제1 취약부(34)가 포장 용기(14)의 잔여부로부터의 액세스 패널(58)의 분리를 용이하게 함에 따라, 액세스 패널(58)의 크기는 상당히 증가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포장 용기(14) 내에 액세스 개구부(access opening)(60)를 형성한다. 액세스 개구부(60)는, 포장 용기(14)가 디스펜서(12) 상에 장착될 때 포장 용기(14) 내에 수용된 물품(16)들이 포장 용기(14)로부터 분배되도록 하며, 최종적으로는 디스펜서(12) 내로 분배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미리 형성된 접는선(62)(도 3 참조)들은 액세스 패널(58)이 포장 용기(14)의 베이스 벽(26)에 대하여 피봇되는 것을 지원하도록 베이스 벽(26)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미리 형성된 접는선(62)들은, 액세스 패널(58)이 무작위로 접혀지거나 또는 액세스 패널(58)이 무리지어 형성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포장 용기(14)는, 도 4에 도시된 판지 용기 블랭크(70)와 같은 판지 용기 블랭크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포장 용기 블랭크(70)는 (전방 벽 패널(18A, 18B, 18C, 18D로 구성된) 전방 벽(18), (후방 벽 패널(20A, 20B, 20C, 20D로 구성된) 후방 벽(20), 좌측 벽(22), 우측 벽(24), 베이스 벽(26), 상부 벽(28) 및 실링 패널(sealing panel)(71)을 형성하는, 복수의 미리 형성된 접는선(72, 73, 75, 77, 78, 79)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 용기(14)는 길이방향 접는선(72, 73, 75, 78)들을 따라 포장 용기 블랭크(70)를 접고, 포장 용기(14)의 3차원 몸체를 형성하도록 상부 벽(28)을 실링 패널(71)에 연결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그 후, 전방 벽 패널(18A, 18B, 18C, 18D)들은 포장 용기(14)의 전방 벽(18)을 형성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후방 벽 패널(20A, 20B, 20C, 20D)들은 포장 용기(14)의 후방 벽(20)을 형성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포장 용기 블랭크(70)는 포장 용기(14)의 외부면(74)(도 1 참조)을 형성할 수 있는 블랭크의 (예를 들어, 점토로) 코팅된 제1 주 표면 및 코팅되지 않은 제2 주 표면을 갖는, C1S 판지와 같은 판지계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와 같이, 판지계 재료는, 블랭크의 양쪽 주 표면 상에 코팅(예를 들어, 점토)을 가질 수 있는 C2S 판지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포장 용기 블랭크의 하나 이상의 주 표면은 인쇄된 텍스트 및/또는 그래픽과 같은 표시(indicia)(76)(도 1 참조)가 표시될 수 있다.
특정한 판지 용기 블랭크(70)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다양한 기술과 재료들이 포장 용기(14)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접혀진 판지 용기들은 본 발명의 포장 용기(14)의 하나의 특정한 예이고 비제한적인 예이다.
다양한 형상과 구성을 갖는 다양한 물품(16)들이 포장 용기(14)에 수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물품 분배 시스템(10)에 의해 분배될 수 있다. 적절한 물품(16)들은 캔(예를 들어, 캔에 든 수프 또는 애완동물 먹이), 단지(jar)(예를 들어, 단지에 든 소스) 또는 병(예를 들어, 병에 든 청량음료)들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펜서(12)는 프레임(80)과 캐치 요소(8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12)의 프레임(80)은, 도 1,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경사지지만 대체로 수평인 구성과 같은, 원하는 구성으로 포장 용기(14)를 지지할 수 있다. 포장 용기(14)가 도 1,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구성으로 디스펜서(12)를 따라 대체로 수평으로 억압될 때, 캐치 요소(82)는,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되는, 포장 용기(14)로부터 액세스 패널(58)(도 3 참조)을 분리하도록 포장 용기(14)의 제1 취약부(도 2b 참조)를 맞물 수 있다.
프레임(80)은 제1 (예를 들어, 우측) 측벽(84), 제2 (예를 들어, 좌측) 측벽(86), 제1 (예를 들어, 상부) 지지 데크(88) 및 제2 (예를 들어, 하부) 지지 데크(9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벽(84)은 좌측 벽(86)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좌측 벽(86)과 대체로 평행할 수 있다. 프레임(80)은 제1 (예를 들어, 전방) 단부(92) 및 이 제1 단부(92)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대향된 제2 (예를 들어, 후방) 단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지지 데크(90)는 우측 벽(84)과 좌측 벽(86)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또한 프레임(80)의 전방 단부(92)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단부(96) 및 프레임(80)의 후방 단부(94)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단부(98)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지지 데크(90)와 측벽(84, 86)들은 프레임(80)의 하부 레벨(100)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지지 데크(90)는 전방 단부(96)로부터 후방 단부(98)로 경사질 수 있으며(즉, 후방 단부(98)가 전방 단부(96)에 대해 상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 지지 데크(90)의 후방 단부(98)에 근접하여 위치된 물품(16)들이 중력하에서 하부 지지 데크(90)의 전방 단부(96)로 아래로 구르게 된다. 하부 지지 데크(90)의 경사 정도는, 여러 가지 중에서도, 프레임(80)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재료의 마찰계수 및 디스펜서(12)에 의해 분배되는 물품(16)들의 형상에 의해 좌우된다.
스토퍼(stop)(102)는 물품(16)들이 하부 지지 데크(90)의 전방 단부(96)를 지나 구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 지지 데크(90)의 전방 단부(96)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102)는 (예를 들어, 하부 지지 데크와 일체로) 하부 지지 데크(9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하부 지지 데크(90)의 전방 단부(96)에서 상방향으로의 만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02)는 하부 지지 데크(90)의 전방 단부(96)에서 물품(16)들을 수집함으로써, 하부 지지 데크(90)의 전방 단부(96)에서 물품 전시 영역(104)을 형성한다.
상부 지지 데크(88)는 우측 벽(84)과 좌측 벽(86)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또한 프레임(80)의 전방 단부(92)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단부(106) 및 프레임(80)의 후방 단부(94)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지만 프레임(80)의 후방 단부(94)까지 연장되지 않는 단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지지 데크(88)와 측벽(84, 86)들은 프레임(80)의 상부 레벨(1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지지 데크(88)의 후방 단부(108)와 프레임(80)의 후방 단부(94) 사이의 공간은, 물품(16)들이 프레임(80)의 상부 레벨(110)로부터 하부 레벨(100)로 이동되도록 하는 슈트(chute)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개구부(11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용기(14)가 디스펜서(12) 상에 완전하게 장착된 구성일 때, 포장 용기(14) 내의 액세스 개구부(60)(도 3 참조)는 프레임(80)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112)(도 5 참조)와 정렬될 수 있다.
상부 지지 데크(88)는 전방 단부(106)로부터 후방 단부(108)로 경사질 수 있다(즉, 전방 단부(106)가 후방 단부(108)에 대해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지지 데크(88) 상에 지지된 물품(16)들은, 중력하에서, 상부 지지 데크(88)의 후방 단부(108)로, 개구부(112)를 통하여, 프레임(80)의 하부 레벨(100)로, 최종적으로는 물품 전시 영역(104)으로 아래로 구를 수 있다.
선택적인 후방 벽(114)은 우측 벽(84)과 좌측 벽(86) 사이에서 프레임(80)의 후방 단부(94)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후방 벽(114)은 포장 용기(14)(도 1 참조)가 후방 벽(114)을 지나 상부 지지 데크(88)를 따라 후방으로 수평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선택적인 가이드(116)는 프레임(80)의 후방 벽(114)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프레임(80)의 개구부(112)를 통해 상부 레벨(110)로부터 하부 레벨(100)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116)는 경사형(ramp-like)는 구조일 수 있고, 포장 용기(14)로부터 배출되어 프레임(80) 내의 개구부(112)를 통과하는 물품(16)들을 수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또한 물품(16)들을 하부 지지 데크(90)의 후방 단부(98)로 안내할 수 있다.
캐치 요소(82)는 상부 지지 데크(88)의 전방 단부(106)와 후방 단부(10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치 요소(82)는 상부 지지 데크(88)의 후방 단부(108)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캐치 요소(82)는 프레임(80)의 측벽(84, 86)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또한 프레임(80)의 전방 단부(92)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캐치 요소(82)의 특정 크기와 형상은, 여러 가지 중에서도, 포장 용기(14)의 제1 취약부(34)의 크기와 형상에 의존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캐치 요소(82)는 후방 단부(83) 및 최전방 단부(8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최전방 단부(85)는 후방 단부(83)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캐치 요소(82)의 후방 단부(83)는 프레임(80)의 측벽(84, 86)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측방향 폭(WR)을 가질 수 있으며, 최전방 단부(85)는 프레임(80)의 측벽(84, 86)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측방향 폭(WF)(도 6b 참조)를 가질 수 있다. 최전방 단부(85)의 측방향 폭(WF)은 후방 단부(83)의 측방향 폭(WR)보다 실질적으로 작을 수 있다.
하나의 표현에서, 최전방 단부(85)의 측방향 폭(WF)은 후방 단부(83)의 측방향 폭(WR)의 최대 50%일 수 있다. 다른 표현에서, 최전방 단부(85)의 측방향 폭(WF)은 후방 단부(83)의 측방향 폭(WR)의 최대 25%일 수 있다. 다른 표현에서, 최전방 단부(85)의 측방향 폭(WF)은 후방 단부(83)의 측방향 폭(WR)의 최대 10%일 수 있다. 다른 표현에서, 최전방 단부(85)의 측방향 폭(WF)은 후방 단부(83)의 측방향 폭(WR)의 최대 5%일 수 있다. 또 다른 표현에서, 최전방 단부(85)의 측방향 폭(WF)은 후방 단부(83)의 측방향 폭(WR)의 최대 1%일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캐치 요소(82)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오각형(또는, 대안적으로 대체로 삼각형) 형상이며, 후방 단부(83) 및 전방 가장자리(87, 89)들을 포함할 수 있다. 캐치 요소(82)의 후방 단부(8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 데크(88)의 후방 단부(108)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캐치 요소(82)의 전방 가장자리(87, 89)들은 후방 단부(83)로부터 테이퍼질 수 있으며, 또한 프레임(80)(도 5 참조)의 전방 단부(92)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대체로 뾰족한 최전방 단부(85)에서 종단될 수 있다.
뾰족한 최전방 단부(85)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최전방 단부가 도 1, 도 9 및 도 10에 따라 위치될 때, 포장 용기(14)의 제1 취약부(34)에 구멍을 뚫어 분리시키도록 대체로 날카롭거나 또는 충분히 뾰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방 가장자리(87, 89)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프레임(80)의 후방 단부(94)를 향하여 전진할 때, 포장 용기(14)의 제1 취약부(34)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날카롭게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인 구성에 있어서, 캐치 요소(82')의 최전방 단부(85')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형상일 수 있다.
2개의 특정 캐치 요소(82, 82')(도 6a 및 도 6b)가 테이퍼진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기술들이 측방향으로 좁은 최전방 단부를 갖는 캐치 요소(82)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장착 동안의 캐치 요소(82)와 포장 용기(14)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캐치 요소(82)는 상부 지지 데크(88)의 상부 면(118)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상부 지지 데크(88)의 상부 면(118)에 대한 캐치 요소(82)의 약간의 변위 및/또는 약간의 각도는, 포장 용기(14)를 디스펜서(12) 상에 장착하는 동안, 캐치 요소(82)에 의한 포장 용기(14)의 제1 취약부(34)의 맞물림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상부 지지 데크(88)는 액세스 패널(58)이 캐치 요소(82)에 의해 포장 용기(14)로부터 분리될 때, 상부 지지 데크(88)의 상부 면(118) 아래로 액세스 패널(58)을 안내하도록 위치된 채널(120)을 형성할 수 있다. 채널(120)은 캐치 요소(82)에 근접하는 유입구(122)로부터, 캐치 요소(82) 아래로 하방향으로, 최종적으로 배출구(124)로 연장될 수 있다. 배출구(124)는 프레임(80)의 후방 단부(94)를 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 채널(120)은 프레임(80)의 측벽(84, 86)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또한 액세스 패널(58)(도 3 참조)이 거기를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측방향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캐치 요소(82), 특히 캐치 요소(82)의 최전방 단부(85)는 포장 용기(14)의 제1 취약부(34)(도 2b 참조)에 구멍을 뚫을 수 있으며, 또한 포장 용기(14)가 프레임(80)의 후방 단부(94)를 향하여 상부 지지 데크(88)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할 때, 포장 용기(14)로부터 액세스 패널(58)(도 3 참조)을 분리시킬 수 있다.
캐치 요소(82)의 형상 및 위치는, 캐치 요소(82)의 일부분이 포장 용기(14)의 제1 취약부(34)(도 2b 참조)를 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포장 용기(14)가 캐치 요소(82)에 대해 이동할 때, 캐치 요소(82)는 베이스 벽(26)이 개구부(122)를 통하여 채널(120) 내로 하방향으로 억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세스 패널(58)(도 3 참조)이 제2 및 제3 취약부(50, 54)(도 2b 참조)를 따라 포장 용기(14)로부터 분리되며, 최종적으로는 포장 용기(14)의 액세스 개구부(60)(도 3 참조)를 형성한다.
도 7a 및 도 7b는 캐치 요소(82")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 요소(82")는 최전방 단부(85")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대안적인 개구부(122')와 채널(120')을 형성할 수 있다. 캐치 요소는,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가이드 채널(154)을 형성하는 액세스 패널 가이드 요소(143)에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 요소(82")는,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액세스 패널(58)(도 3 참조)이 방향전환 채널(redirection channel)(154)에 의해 방향전환되기 전에 분리되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길이인 거리 "D1"만큼 돌출될 수 있다. 거리 "D1"은 대체로 0.25 인치 이하, 0.5 인치 이하, 0.75 인치 이하 또는 1.0 인치 이하일 수 있다.
장착 동안의 캐치 요소(82")와 포장 용기(14)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포장 용기(14)가 프레임(80) 내로 삽입될 때,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도 5, 도 6a 및 도 6b에서 기술된 캐치 요소(82)의 맞물림보다 더 빠른 맞물림을 얻는 관점의 맞물림을 얻을 수 있도록, 확장된 거리 "D1"은 캐치 요소(82")가 초기 개구부(initiation opening)(34)와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확장된 거리 "D1"은 포장 용기(14)가 프레임(80) 내로 삽입될 때, 액세스 패널(58)이 캐치 요소(82") 내에서 뒤틀리고 그리고/또는 붙잡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는, 캐치 요소(82")가 스테이지(즉, 포장 용기(14)가 상부 지지 데크(88)를 따라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 액세스 패널(58)의 초기 분리가 액세스 패널 가이드 요소(143)에 의한 액세스 패널(58)의 방향전환 전에 발생될 수 있는 스테이지)들에서 포장 용기(14)와 상호작용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채널(120')에 의해 우회 및/또는 방향전환되기 전에 개구부(122')를 통하여 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액세스 패널(58)에 충분한 공간(ample room)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한 것이다.
상부 지지 데크(88)는 액세스 패널(58)이 캐치 요소(82")에 의해 포장 용기(14)로부터 분리될 때, 상부 지지 데크(88) 아래로 액세스 패널(58)을 안내하도록 위치된 가이드 채널(154)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채널(154)은 캐치 요소(82")에 근접하는 채널(120')로부터, 캐치 요소(82") 아래로 하방향으로, 최종적으로 배출구(124')로 연장될 수 있다. 채널(120')은 상부 지지 데크(88)의 길이방향 축 "L"과 대체로 평행한 통로 축 "P"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채널(154)은, 채널(120')이 상부 지지 데크(88) 위의 디스펜서 프레임(80)의 전방 단부(92)를 향하여 개구되고, 배출구(124')가 상부 지지 데크(88) 아래의 디스펜서 프레임(80)의 전방 단부(92)를 향하여 개구되도록, 채널(120')로부터 만곡(예를 들어, 대체로 V자 형상)될 수 있다. 가이드 채널(154)은 디스펜서 프레임(80)의 측벽(84, 86)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또한 액세스 패널(58)(도 3 참조)이 거기를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측방향 폭을 가질 수 있다.
액세스 패널 가이드 요소(143)는 우측 벽(84)과 좌측 벽(86)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펜서 프레임(80)의 전방 단부(92)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단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패널 가이드 요소(143)와 측벽(84, 86)들은 배출구(124')를 형성할 수 있다. 배출구(124')는 프레임(80)의 측벽(84, 86)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또한 액세스 패널(58)(도 3 참조)이 거기를 통하여 가이드 채널(154)을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측방향 폭을 가질 수 있다.
액세스 패널 가이드 요소(143)는, 액세스 패널(58)이 캐치 요소(82")에 의해 포장 용기(14)로부터 더 분리되어 가이드 채널(154)을 통과할 때, 액세스 패널(58)을 상부 지지 데크(88) 아래로 더 안내하도록 위치된 배출구(124')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액세스 패널 가이드 요소(143)는 대체로 만곡(예를 들어, C자 형상)되어 측방향으로 신장되고 전방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대안적인 구조체가 본 발명의 액세스 패널 가이드 요소(143)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 데크(90)를 따라 이동하는 물품(16)들과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액세스 패널 가이드 요소(143)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캐치 요소(82")는 포장 용기(14)의 제1 취약부(34)(도 2b 참조)에 구멍을 뚫을 수 있으며, 또한 포장 용기(14)가 디스펜서 프레임(80)의 후방 단부(94)를 향하여 상부 지지 데크(88)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할 때, 포장 용기(14)로부터 액세스 패널(58)을 분리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캐치 요소(82")의 형상 및 위치는, 캐치 요소(82")의 일부분이 포장 용기(14)의 초기 개구부(34)(도 2b 참조)를 통하여 연장되고, 포장 용기의 일부분 내로 더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포장 용기(14)가 캐치 요소(82")에 대해 이동할 때, 물품(16)이 제1 취약부(34)를 하방향으로 억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취약부(34)는 캐치 요소(82")에 의해 적절하게 붙잡히고, 그 후, 개구부(122')를 통하여 포장 용기(14)의 베이스 벽(26)을 억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취약부(34)(도 3 참조)가 포장 용기(14)로부터 분리되고, 제2 및 제3 취약부(50, 54)(도 2B 참조)를 따라 더 분리되며, 최종적으로는 포장 용기(14)의 액세스 개구부(60)(도 3 참조)를 형성한다. 포장 용기(14)가 더 억압될 때, 액세스 패널(58)이 가이드 채널(154)의 만곡부에 도달할 때까지 액세스 패널(58)은 개구부(122')와 채널(120')을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채널(154)의 만곡된 형상은, 분리된 액세스 패널(58)이 액세스 패널 가이드 요소(143)에 의해 형성된 배출구(124') 내로 역방향(즉, U자 형상)을 향하도록 하여, 분리된 액세스 패널(58)이 하부 지지 데크(90)를 따라 이동하는 물품(16)들과 상호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포장 용기(14)가 디스펜서(12) 상에 장착되고, 이에 따라 디스펜서(12)의 캐치 요소(82)가 포장 용기(14)를 맞물어 개방시킴으로써, 포장 용기(14) 내에 초기에 수용된 물품(16)들이 디스펜서(12)로 배출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8 내지 도 10은 포장 용기(14)가 상부 지지 데크(88)를 따라 (즉, 상부 지지 데크(88)의 길이방향 축(A)을 따라) 디스펜서 프레임(80)의 후방 단부(94)를 향하여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억압됨으로써, 포장 용기(14)를 자동적으로 개방시키고 물품(16)들을 포장 용기(14)로부터 디스펜서(12)로 분배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용기(14)의 제1 취약부(34)가 디스펜서(12)의 캐치 요소(82)에 접근할 때, 캐치 요소(82)는 제1 취약부(34)에 구멍을 뚫어 분리시키고 거기를 통과한다. 캐치 요소(82)가 제1 취약부(34)를 통하여 연장됨으로써, 포장 용기(14)의 베이스 벽(26)의 후방 가장자리(66)는 채널(120)의 유입구부(122)를 통하여 하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용기(14)가 디스펜서(12)의 후방 단부(94)를 향하여 상부 지지 데크(88)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이동할 때, 포장 용기(14)의 베이스 벽(26)은 채널(120)을 통과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액세스 패널(58)을 베이스 벽(26)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채널(120)의 배출구(124)가 디스펜서(12)의 후방 단부(94)를 향하여 개방되기 때문에, 분리된 액세스 패널(58)은 디스펜서(12)의 후방 단부(94)를 향하는 방향으로 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포장 용기(14)에 형성되는 액세스 개구부(60)를 부분적으로 덮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용기(14)가 디스펜서(12) 상에 완전하게 장착되는 것에 의해, 포장 용기(14)에 형성된 액세스 개구부(60)는 프레임(80)의 상부 레벨(110)과 하부 레벨(100) 사이에서 개구부(112)와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포장 용기(14)의 액세스 개구부(60)를 통해, 프레임(8)의 개구부(112)를 통해, 하부 지지 데크(90)로 하방향으로, 최종적으로는 물품 전시 영역(104)으로, 포장 용기(14)에 초기에 수용된 물품(16)들을 중력으로 억압할 수 있다. 개구부(60, 112)들을 통과하는 물품(16)들의 중량은 액세스 패널(58)을 도 9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구성으로 억압할 수 있다.
물품(16)들이 액세스 패널(58)과 상호작용하는 포장 용기(14)로부터 배출될 때, 액세스 패널(58)은 디스펜서(12)의 상부 지지 데크(88) 상에서 "구부려질 수(hooked)" 있다. 특히, 물품(16)들이 액세스 패널(58)과 상호작용하는 포장 용기(14)로부터 배출될 때, 액세스 패널(58)의 제1 부분(즉, 채널(120) 내의 액세스 패널(58)의 부분)은 디스펜서 프레임(80)의 후방 단부(94)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액세스 패널(58)의 제2 부분(즉, 후방 가장자리(66)를 포함하는 액세스 패널(58)의 부분)은 디스펜서 프레임(80)의 전방 단부(92)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포장 용기(14)가 디스펜서(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물품(16)들과 디스펜서(12) 상으로의 액세스 패널(58)의 "구부러짐"을 용이하게 하는 액세스 패널(58) 사이의 맞물림은, 장착된 포장 용기(14)가 디스펜서(12)로부터 빠르고 쉽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는 억지력(theft deterrent)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품 분배 시스템의 다양한 관점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를 통해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은 이러한 변형들을 포함하고,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0)

  1. 후방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대향된 전방 단부를 갖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전방 단부와 상기 후방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 데크;
    상기 제1 지지 데크에 근접하여 연결된 캐치 요소로서, 상기 캐치 요소는 후방 단부 및 상기 캐치 요소의 상기 후방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대향된 최전방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캐치 요소의 상기 후방 단부는 제1 측방향 폭을 가지고, 상기 최전방 단부는 제2 측방향 폭을 가지며, 상기 제2 측방향 폭은 상기 제1 측방향 폭보다 작은, 캐치 요소; 및
    상기 제1 지지 데크 아래에 위치되고, 물품 전시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지지 데크를 포함하는, 물품 분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방향 폭은 상기 제1 측방향 폭의 최대 25%인, 물품 분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방향 폭은 상기 제1 측방향 폭의 최대 10%인, 물품 분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방향 폭은 상기 제1 측방향 폭의 최대 5%인, 물품 분배 시스템.
  5. 후방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대향된 전방 단부를 갖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전방 단부와 상기 후방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 데크;
    상기 제1 지지 데크에 근접하여 연결되고, 전방 가장자리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가장자리는 최전방 단부로 테이퍼져 있는, 캐치 요소; 및
    상기 제1 지지 데크 아래에 위치되고, 물품 전시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지지 데크를 포함하는, 물품 분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데크는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캐치 요소는 상기 제1 지지 데크의 상기 후방 단부에 근접하여 상기 제1 지지 데크에 연결되며, 상기 전방 단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물품 분배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전방 단부는 뾰족하거나 또는 둥근형상인, 물품 분배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디스펜서는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대향되는, 물품 분배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 요소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물품 분배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전방 단부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중심이 맞춰진, 물품 분배 시스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 요소는 제1 상부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지지 데크는 제2 상부 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상부 면은 상기 제2 상부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물품 분배 시스템.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데크 상에 위치된 포장 용기를 더 포함하는, 물품 분배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데크는 상부 면 및 상기 상부 면 아래로 연장되는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채널은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물품 분배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전방 단부를 향하여 개구되는, 물품 분배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의 일부는 상기 채널에 수용되는, 물품 분배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에 초기에 수용된 복수의 물품을 더 포함하는, 물품 분배 시스템.
  1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전시 영역은 상기 전방 단부에 근접하는, 물품 분배 시스템.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데크는 상기 디스펜서의 상부 레벨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지지 데크는 상기 디스펜서의 하부 레벨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데크는 상기 상부 레벨과 상기 하부 레벨 사이에 개구부를 추가로 형성하는, 물품 분배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는 내부 공간 및 상기 내부 공간 내로의 액세스 개구부를 형성하는, 물품 분배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개구부는 상기 제1 지지 데크에 의해 형성된 상기 개구부와 정렬되는, 물품 분배 시스템.
KR20147032682A 2012-04-23 2013-04-19 테이퍼진 캐치 요소를 구비한 물품 분배 시스템 KR201500048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53,538 2012-04-23
US13/453,538 US20130277321A1 (en) 2012-04-23 2012-04-23 Product Dispensing System with Tapered Catch Element
PCT/US2013/037287 WO2013163014A1 (en) 2012-04-23 2013-04-19 Product dispensing system with tapered catch 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874A true KR20150004874A (ko) 2015-01-13

Family

ID=4832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32682A KR20150004874A (ko) 2012-04-23 2013-04-19 테이퍼진 캐치 요소를 구비한 물품 분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130277321A1 (ko)
EP (1) EP2840936A1 (ko)
JP (1) JP2015515422A (ko)
KR (1) KR20150004874A (ko)
CN (1) CN104363795A (ko)
AR (1) AR090816A1 (ko)
AU (1) AU2013252592A1 (ko)
BR (1) BR112014026530A2 (ko)
CA (1) CA2871426A1 (ko)
GB (1) GB201418432D0 (ko)
MA (1) MA20150216A1 (ko)
MX (1) MX2014012754A (ko)
RU (1) RU2014147001A (ko)
TW (1) TW201350395A (ko)
WO (1) WO2013163014A1 (ko)
ZA (1) ZA2014079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4785B2 (en) * 2011-02-23 2015-11-03 Westrock Mwv, Llc Product dispensing system with panel guide
WO2013078113A2 (en) * 2011-11-22 2013-05-30 The Coca-Cola Company Carton based product dispenser
US8925744B1 (en) * 2012-07-02 2015-01-06 POP Displays USA LLC Two tiered shelf display
US8955695B2 (en) 2013-03-14 2015-02-17 Giraffx Design, LLC Serpentine dispenser with cartridges
MY175988A (en) * 2013-04-23 2020-07-20 Minibar Systems Controlled inventory refrigerated dispensing system
US10861277B2 (en) 2013-08-29 2020-12-08 Rtc Industries, Inc. Product dispenser with an s-shaped down chu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2619A (en) * 1956-01-31 labine
US1941458A (en) * 1933-06-03 1934-01-02 Samuel J Bens Pack holder and cutter
US7992747B2 (en) * 2008-02-25 2011-08-09 Jamie Bauer Product dispenser assembly and cartridge for holding product
US7922437B1 (en) * 2009-11-23 2011-04-12 Meadwestvaco Corporation Display system, dispensing device and package for use therein
US9090390B2 (en) * 2010-09-27 2015-07-28 Meadwestvaco Corporation Product dispen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26530A2 (pt) 2017-06-27
ZA201407902B (en) 2015-12-23
US20130277321A1 (en) 2013-10-24
RU2014147001A (ru) 2016-06-20
CA2871426A1 (en) 2013-10-31
GB201418432D0 (en) 2014-12-03
CN104363795A (zh) 2015-02-18
EP2840936A1 (en) 2015-03-04
MA20150216A1 (fr) 2015-06-30
JP2015515422A (ja) 2015-05-28
AU2013252592A1 (en) 2014-11-13
WO2013163014A1 (en) 2013-10-31
AR090816A1 (es) 2014-12-10
TW201350395A (zh) 2013-12-16
MX2014012754A (es)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318817A1 (en) Product Dispensing System with Tapered Opening Tool
US9174785B2 (en) Product dispensing system with panel guide
US20120285977A1 (en) Product Dispensing System
US8302809B1 (en) Product dispensing system with increased product-to-dispenser contact
US9090390B2 (en) Product dispensing system
KR20150004874A (ko) 테이퍼진 캐치 요소를 구비한 물품 분배 시스템
US8833601B2 (en) Product dispensing system with staggered perforations
US20120152970A1 (en) Product Dispensing System
US20130277385A1 (en) Container for Use in a Product Dispensing System
KR20130139922A (ko) 프라이밍 영역을 구비한 물품 분배 용기, 시스템 및 방법
US9096345B2 (en) Product dispensing system with reinforced weakening features
US8851302B2 (en) Product dispensing system with container-product interaction
US20130134177A1 (en) Product Dispensing System with Container-Product Interaction
US20130233813A1 (en) Product Dispenser and System with Container Opening Feature
US20140076922A1 (en) Product Dispensing System with Increased Container and Dispenser Openings
US20130221020A1 (en) Product Dispensing System with Staged Container Op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